2025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 |
대 표 이 사 : | 이 덕 윤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로9길 66, 제1동 712호 | |
(전 화) 02 - 6271 - 0102 | ||
(홈페이지) http://www.bioinfra.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 사 | (성 명) 연 도 흠 |
(전 화) 02 - 6239 - 5502 |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2조에 의거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31일(월)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서울시 금천구 벚꽃로298, 1813호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4기 (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 방법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기서명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참석 주주님을 위한 주주총회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안 욱(출석률: 100%) | 황만순(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14 | 제23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 | 2024.02.28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3 | 2024.08.22 |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4 | 2024.09.19 | 제1호 의안 : 신주발행에 관한 일정 변경의 건제2호 의안 : 본점 이전의 건 | 찬성 | 찬성 |
5 | 2024.10.10 | 전환사채의 일부 변경의 건(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찬성 | 찬성 |
6 | 2024.11.20 |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7 | 2024.11.21 |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 찬성 | 찬성 |
8 | 2024.12.12 | 주주명부 폐쇄의 건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700 | 12 | 12 | - |
기타비상무이사 | 1 | 700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가) 체외진단체외진단(In Vitro Diagnostics, IVD)은 질병 진단과 예후 판정, 건강상태의 평가, 질병의 치료 효과 판정, 예방 등의 목적으로 인체에서 채취된 조직, 혈액, 체액, 분뇨, 소변 등을 이용한 검사 기술을 의미하며 바이오마커 발굴 기술과 임상 의료기술, 통계 기법 등의 융복합 기술에 기반하여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은 임상 의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고 전문화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기존 암 진단법은 주로 내시경과 조직검사에 의존하여 침습적이고 고통을 수반하여 진단검사에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나, 최근에는 비침습적인 암의 조기 및 예후 진단법으로 프로테오믹스 기초기술과 임상 의료기술, 통계기법 등의 융합 진단기법 및 암 마커, 플랫폼 기술 개발이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015년 60세 이상의 세계 인구는 약 9억명으로 전체 인구의 12.3%에 이르고 2030년에는 16.5%, 2050년에는 21.5%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2016,UNDESA Population Division, 한국투자증권). 한국의 경우에도 2050년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35.9%로 예상되고 있습니다(미국통계청). 이처럼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만성질환 및 복합질환이 증가하고 있고,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되고 웰빙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질병의 치료뿐만 아니라, 진단 및 예방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 및 개인의 유전정보가 증대됨에 따라 정확한 진단과 효율적인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개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기술 혁신과 소득 증대로 인해 개인별 맞춤의료 및 고급의료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개인에 따른 맞춤치료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진단기술 또는 진단제품이 확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의료진단은 조기진단, 치료와 동반된 진단기술을 요구하는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적극적인 진단을 통하여 의료비 절감 및 국민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보건경제적 측면에서 개발필요성이 매우 높은 분야입니다. Allied Market Research (2019)의 보고에 의하면, 세계 체외진단시장을 2020년 715억 달러로 추정하며, 2030년까지 체외 진단 시장은 연평균 4.8% 성장하여 2030년에는 체외진단시장이 1,06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체외진단 산업은 주로 미국,유럽 등 선진국에 편중되어 있으나, 국내기업들의 바이오사업 진출이 활발히 이루어져, 다국적 기업들과 경쟁하기 시작하였습니다.최근들어, 각국의 규제 강화 및 보호무역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해 보건당국의 승인이 까다로워지는 등 한층 강화된 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유럽의 강화된 제품 인증 기준인 IVDR(European Medical Devices Regulation) 도입으로 인증 절차가 까다로워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1998년부터 정부 주도하에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NCI)내 암 조기 발견 연구 부서를 설립하여 각 대학, 연구소 및 기업과 함께 암을 조기에 발견하고 위험군을 가려내기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바이든 행정부는 Cancer Moonshot Project(25년간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50%이상 줄이겠다는 정책으로 암 치료제 및 진단기술 도입에 연간 18억 달러 투입 예정)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암 고위험군 선별 및 조기진단의 대표적인 제품들을 살펴보면, 바이오마커로 대부분 단백마커 또는 유전자 마커를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두 마커군 모두암 고위험군 선별 마커로써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특장점과 한계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각 바이오마커가 갖는 한계를 극복하고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단백마커와 유전자 마커를 결합하는 복합 바이오마커 기반 체외 암 조기 진단법을 개발하는 것이 최신 트렌드입니다.
(나) 약물전달시스템 산업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이란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물질을 다양한 물리·화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효력을 발휘하도록 세포, 조직, 장기 등으로의 전달 및 방출을 제어하는 일련의 기술을 총칭하는 기술입니다. 약물전달시스템은 다양한 전달 경로(경피형, 경구형, 주사형 등)나 약물의 종류, 작용 방식(서방형, 방출체어형, 표적지향형 등)에 따라 분류가 가능합니다.
약물전달시스템이 요구되는 약물은 물리·화학적으로나 약물 동력학적으로 개선해야 할 특성을 가지는 경우인데, 예를 들면 약효는 우수하나 높은 수용성, 혹은 높은 지용성, 불용해성, 낮은 생체 내 이용률 등의 특징을 나타내는 약물을 약물전달시스템을 적용하여 이들의 특성을 개선하고 약물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약물전달시스템의 목적입니다.
기존 의약품의 경우 단순 복제약(바이오시밀러)이 아닌 투여 편의성과 부작용, 치료 효과 등을 개선한 개량신약으로 개발 가능하고, 신규 물질의 경우 R&D 효율이 우수하지만 약물로 이용하기 어려웠던 고분자 신약의 안정성을 향상한 신물질/신제형 신약개발을 가능하게 하며 새로운 치료 물질의 활용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최근 저분자 합성 단백질, 펩타이드, 유전자와 같은 다양한 고분자 물질을 이용한 약물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인체 내로 흡수 시 단백질 분해효소(proteinase), 펩타이드 분해효소(peptidase), 핵산 분해효소(nuclease) 등에 의해 몸 안에서 쉽게 분해되거나 또는 신장을 통해 빠르게 배출되기 때문에 체내 반감기가 짧아 안정성이 떨어지는 제한점이 있어 DDS 기술 적용이 필수적입니다.
항암 치료 분야에서도 다양한 표적 약물전달 기술이 개발되어 기존의 화학 항암제에 비해 일부 부작용을 감소시켰지만 여전히 항암제 독성은 제약 산업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약물전달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플랫폼 기술로써 기술이 접목된 바이오 의약품이나 개량신약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뛰어난 약효를 기본으로 하여 약물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하고, 표적화가 가능해야 하며, 정상 조직에서 부작용(독성)을 줄일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최근 제약 산업 분야에서는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 신약개발의 리스크를 줄이면서도 유사한 파급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으로 약물전달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는데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은 3~6억 달러 이상, 평균 15년의 시간이 걸리지만 블록버스터가 아니라면 최고 매출액은 연간 5억 달러에 미치지 못합니다.(출처: 연구성과정보시스템, 난용성 유효천연물의 가용화 기술 2018)
반면 특허의 보호기간이 끝난 기존 제품에 새로운 제형을 개발하는데는 비용은 신약개발에 비해 약 1/10 수준이며, 연구기간도 약 1/3로 단축이 가능하며 매출액이 연간 1억-2억 달러에 이르기도 합니다. Pfizer와 같은 주요 제약업체도 특허가 만료되기 전에 경쟁력을 유지하고 수익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약물전달 기술을 가진 기업과 제휴를 맺고 공동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는 약물전달 기술이 특허 만료를 앞둔 제품의 수명을 늘리는데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출처: 연구성과정보시스템, 난용성 유효천연물의 가용화 기술 2018)
특히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이 표적 약물전달 기술이 접목된 바이오 의약품 개발에주목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바이오 신약 개발 경험 측면에서는 글로벌 기관과의 격차가 크나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 바이오 신약개발을 위한 바이오 기술 개발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고 뛰어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분야이기 때문입니다.
세계적으로 수많은 연구기관들이 평균 수명 연장 및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선택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표적 약물전달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바이오·제약 분야의 기술 및 제품 개발은 막대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미치고 국가의 주요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Marketsandmarkets 보고(2018)에 따르면, 글로벌 항암 약물전달시장은 2019년기준1,599억 달러로 추정하며,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8%로 성장하여 2024년 시장규모는 2,34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글로벌 피부 약물전달시장은 2019년 1,667억 달러로 추정하며, 연평균 9.4 % 성장하여 2024년 2,612억달러에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당사의 초음파를 활용한 약물전달시스템은 무거운 액화기체가 원료로 중력에 의한 피부 약물전달 용도에 특화되어 있으며 다량의 약물 탑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단기적으로 초음파와 미소기포를 이용한 피부 미용 의료기기, 중·장기적으로 초음파와 미소기포를 이용한 피부 질환 치료 및 표적약물전달(항암치료제)를 통한 수익 창출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체외 진단
당사는 설럽 이후 지속적으로 체외진단 기술 개발에 집중하였고, 그 결과 인체 내 소량의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 내 단백질 바이오마커(protein biomarker)를 분석하여 암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하는 체외진단 다중표지자 검사 기술(i-FINDER)을 개발했습니다.
일반적으로 매년 건강검진 등을 통해 암을 검사하는 방법은 암 별로 특정 단백질 하나를 검사하는 단일표지자 검사입니다. 이는 단수 검사이기 때문에 검출률이 현저히 낮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반면, 당사의 체외진단 다중표지자 검사 기술은 바이오테크놀로지(biotechnology)와 바이오인포매틱스(bioinformatics)를 융합한 기술로, 소량의 혈액내에 있는 특정 단백질 표지자 여러 개를 검출하고, 그 여러 개의 결과 수치들을 빅데이터로 분석하여 암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입니다.
당사는 i-FINDER 검사 기술을 국내 식약처 인허가를 통해 제품화하려고 여러 차례 시도하였으나 인허가를 위한 검체 확보 및 임상 설계에 현실적인 어려움과 한계가 있어 국내의 경우 다변수분석 등 용역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당사가 진단검사전문병원에 제공하고 있는 다변수분석 용역 서비스를 서울식약청에서는 체외진단의료기기(소프트웨어)로 보아 2023년 5월 판매중지 및 폐기 명령 행정처분을 하였고 이에 당사는 서울행정법원에 판매중지 및 폐기명령에 대한 행정처분 집행정지 신청 및 취소소송을 제기하여 법원으로부터 행정처분 집행정지가 받아들여졌으며, 취소소송은 현재 1심은 당사가 패소하였으나 항소를 진행하여 항소심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향후 소송 결과에 따라서 국내 검진사업은 축소 또는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미국 20/20 Genesystems 사와 기술사용 계약을 체결하여 CLIA LAB을보유한 20/20사의 임상실험실개발검사(LDT) 프리미엄 서비스에 당사의 원천기술을제공하는 형태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부터 미국내에서 프리미엄 서비스가 개시되어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나) 약물전달시스템
당사는 약 10년간 의학, 의공학, 생물학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표적 약물전달 기술 개발을 진행해왔으며 그 결과 약물을 캡슐화하여 약물의 안전성을 높이고, 능동형 표적 기술이 적용 가능한 미소기포를 개발하였으며, 수동형 표적 기술인 집속형 초음파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초음파 에너지에 반응할 수 있는 특성을 더하여 융합형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당사의 초음파 표적 약물전달 기술 제품은 단순 제조 기술이 바탕이 된 제품이 아닌 초음파에 대한 공학적 기술과 미소기포에 대한 생화학적 기술, 그리고 이 두 기술이 더해졌을 때의 상호 작용에 의한 인체 반응 연구 등 생물학적 연구 기술이 융합되어 개발된 하나의 기술 제품입니다.
당사는 정부과제 수행 및 자체 연구 개발을 통해 초음파 표적약물전달 기술을 개발하였고 이 과정에서 기술 관련 세계 저명 저널에 연구논문 출판, 국내외 학술대회, 및 미소기포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미소기포 공정 기술에 대한 원천 특허를 확보하였으며 적용 분야에 따른 특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당사 초음파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의 적용이 가능한 분야는 비침습적으로 피부를 통해 약물을 전달하는 분야부터 최소 침습으로 혈관 주사를 통해 인체 내의 특정 범위로 약물을 전달하는 적용 분야까지 다양한 분야로의 확장이 가능합니다.
세부적으로는 일반 의약품, 항암제, 기능성 화장품 분야가 있으며, 항암 분야의 경우 유방암, 전립선암, 췌장암, 신장암, 유방암, 간암, 위암, 뇌종양 등의 암종에 적용 가능하며, 알츠하이머, 파킨슨, 조현병, 우울증 등 약물전달이 어려워 치료가 힘든 뇌 질환 분야에서도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20년부터 미용기기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025년 중 초음파 의료기기를 출시하여 판매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국내 유수의 유통 기업과 업무제휴를 맺어 국내외 피부 미용/의료기기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할 예정이며, 임상을 통해 점진적으로 피부 케어뿐 아니라 탈모케어, 건선, 당뇨 및 피부암 치료제에도 그 영역을 확대할 예정입니다.또한, 초음파 감응형 약물전달체 연구 성과를 국내외 특허 출원(5건)하였고, 관련 연구 논문을 SCIE급 미국화학회 국제학술지인 랭뮤어에 투고하여 표지논문으로 선정되는 등 피부약물전달시스템에 이어 표적약물전달시스템 분야에서도 유의미한 연구성과를 쌓아가고 있습니다.(2) 시장점유율정확한 통계가 없어 시장점유율을 알 수 없습니다.(3) 시장의 특성
- 주주총회소집공고 'Ⅲ.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개요, 가. 업계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체외 진단 사업 영역에서 진단검사전문병원을 통하여 진단검사 용역서비스를제공하고 있으며, 치료 영역에서는 유전자 항암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또한, 개발된 항암치료제의 안정성 증가와 표적화를 위해 초음파와 미소기포를 이용한 표적 약물전달 플랫폼 기술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현재 주요 매출은 진단검사 용역부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2025년 상반기내 초음파 미용기기를 출시하여 미용기기 시장을 확대하고 추후 초음파 의료기기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입니다.(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주주총회소집공고 'Ⅲ. 경영참고사항, 1.사업의개요, 나.회사의 현황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본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4 기 2024. 12. 31 현재 |
제 23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2,206,143,466 | 1,371,959,413 |
1.현금및현금성자산 | 2,056,311,707 | 399,133,852 |
2.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6,571,750 | 587,711,356 |
3.재고자산 | - | 211,176,563 |
4.당기법인세자산 | 83,940 | 5,780,520 |
5.기타유동금융자산 | 22,600,000 | 93,213,241 |
6.기타유동자산 | 110,576,069 | 74,943,881 |
Ⅱ. 비유동자산 | 3,266,866,688 | 1,230,495,026 |
1.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792,581,800 | 562,513,644 |
2.유형자산 | 68,550,274 | 80,702,780 |
3.무형자산 | 335,095,632 | 372,175,328 |
4.사용권자산 | - | 78,887,578 |
5.기타비유동자산 | 70,638,982 | 136,215,696 |
자산 총계 | 5,473,010,154 | 2,602,454,439 |
부채 | ||
Ⅰ. 유동부채 | 2,178,903,476 | 2,686,739,245 |
1.매입채무및기타채무 | 952,675,581 | 299,548,208 |
2.유동전환사채 | 207,408,234 | 387,520,634 |
3.유동전환상환우선주부채 | 731,397,836 | 1,799,005,235 |
4.유동파생상품부채 | 43,623,441 | 23,475,460 |
5.기타유동부채 | 243,798,384 | 111,298,108 |
6.유동리스부채 | - | 65,891,600 |
Ⅱ. 비유동부채 | 252,652,232 | 1,232,089,417 |
1.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 88,000,000 | 88,000,000 |
2.순확정급여부채 | 164,083,925 | 1,124,448,998 |
3.기타비유동부채 | 568,307 | 19,640,419 |
부채 총계 | 2,431,555,708 | 3,918,828,662 |
자본 | ||
Ⅰ. 자본금 | 13,933,009,500 | 7,644,331,000 |
Ⅱ. 자본잉여금 | 35,523,727,012 | 34,345,558,701 |
Ⅲ. 기타자본 | 526,258,974 | 526,258,974 |
Ⅳ. 결손금 | -46,941,541,040 | -43,832,522,898 |
자본 총계 | 3,041,454,446 | -1,316,374,223 |
자본 및 부채 총계 | 5,473,010,154 | 2,602,454,439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4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3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매출액 | 189,000,204 | 1,301,550,902 |
매출원가 | 267,263,407 | 355,382,970 |
매출총이익 | -78,263,203 | 946,167,932 |
판매비와관리비 | 1,958,553,093 | 3,114,435,649 |
영업손실 | 2,036,816,296 | 2,168,267,717 |
기타수익 | 80,932,124 | 12,217,953 |
기타비용 | 5,039,744 | 2,135,966 |
금융수익 | 7,448,165 | 153,791,641 |
금융비용 | 386,181,033 | 448,705,180 |
투자손익 | -769,933,669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3,109,590,453 | 2,453,099,269 |
법인세비용 | - | - |
당기순손실 | 3,109,590,453 | 2,453,099,269 |
기타포괄손익 | 572,311 | 33,886,309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572,311 | 33,886,309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572,311 | 33,886,309 |
총포괄손실 | 3,109,018,142 | 2,419,212,960 |
주당손익 | ||
기본및희석주당손실 | 112 | 174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4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3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I.미처리결손금 | 46,941,541,040 | 43,832,522,898 |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3,832,522,898 | 41,413,309,938 |
2.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572,311) | (33,866,309) |
3.당기순손실 | 3,109,590,453 | 2,453,099,269 |
II.결손금처리액 | - | - |
III.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6,941,541,040 | 43,832,522,898 |
- 주석 상세한 주석사항은 3월 2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감사보고서제출」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덕윤 | 1963.02.19 | 부 | - | 없음 | 이사회 |
안욱 | 1976.03.27 | 여 | - | 없음 | 이사회 |
황만순 | 1970.09.15 | 부 | - | 없음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덕윤 |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대표이사 | 2012.01~2016.022016.02~2019.012019.06~현재 | 한국거래소 상무라오스증권거래소 부이사장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대표이사 | 없음 |
안욱 | 세마인베스트먼트 본부장 | 2002~20062014~20152015~현재 | 삼일회계법인 FAS본부 매니져트랜스링크 캐피탈코리아 본부장세마인베스트먼트 본부장 | 없음 |
황만순 | 한국투자파트너스(주) 대표이사 | 2019.06~현재2009.01~현재 | (주)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기타비상무이사한국투자파트너스(주) 대표이사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덕윤 | - | - | - |
안욱 | - | - | - |
황만순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사외이사로서의 전문성 및 독립성을 기초로 직무를 수행 - 회사 및 주주, 기타 이해관계자 모두의 가치 제고를 위한 투명한 의사결정 및 이사회 견제를 통해 직무를 수행 - 상법상 사외이사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엄중함을 인지하고, 상법 제382조 제3항, 제542조의8 제2항및 동 시행령 제34조에 의거하여 사외이사의 자격요건 부적격 사유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사외이사직 상실하도록 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이덕윤 사내이사 후보자는 2019년부터 당사의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수차례에 걸쳐 국내 유수의 기관투자자로부터 연구개발을 위한 자금을 확보하여 추진 동력을 마련하였고, 탁월한 경영역량과 리더쉽을 보유한 경영전문가로서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고 있음.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서는 이덕윤 후보자가 사내이사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것으로 판단함. - 안욱 사외이사 후보자는 2019년 03월 당사의 사외이사로 선임된 후부터 이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며 당사가 적법하고 투명한 경영을 해나갈 수 있도록 기여하였음. 앞으로도 그간 축적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의사결정과 경영전반에 대해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어 회사 발전에 기여해 줄 것으로 기대함. - 황만순 기타비상무이사후보자는 2019년 06월 당사의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된 후부터 이사회에서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며 당사가 적법하고 투명한 경영을 해나갈 수 있도록 기여하였음. 앞으로도 그간 축적한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의사결정과 경영전반에 대해 아낌없는 조언을 해주어 회사 발전에 기여해 줄 것으로 기대함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주식매수선택권을 통한 동기부여 및 핵심인력의 확보와 유지를 위해 정관 제11조(주식매수선택권)에 의거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이덕윤 | 임원 | 경영총괄 | 보통주 | 700.000 |
강경남 | 직원 | IT개발 이사 | 보통주 | 55.000 |
한경현 | 직원 | 기술사업 이사 | 보통주 | 40.000 |
연도흠 | 직원 | 경영지원 이사 | 보통주 | 25.000 |
엄수임 | 직원 | 경영지원 과장 | 보통주 | 20.000 |
총( 5 )명 | 총(840.000)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교부, 자기주식교부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기명식 보통주 840,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을 기준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함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2개월, 과거1개월, 과거1주간의 종가를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한 평균값을 산술평균하여 결정)2. 행사기간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부터7년 이내 | - |
기타 조건의 개요 | 기타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계약서 등에 정하는 바에 따름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주식수 | 잔여주식수 |
---|---|---|---|---|
28,054,698 | 발행주식 총수의 15% | 기명식 보통주 | 4,208,204 | 3,368,904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종류 | 부여주식수 | 행사주식수 | 실효주식수 | 잔여주식수 |
---|---|---|---|---|---|---|---|
2025년 | - | - | - | - | - | - | 839,300 |
2024년 | - | - | - | - | - | - | 839,300 |
2023년 | - | - | - | - | - | - | 839,300 |
계 | - | 총( - )명 | - | 총( - )주 | 총( - )주 | 총( - )주 | 총(839,300)주 |
※ 기타 참고사항
상기 내역에는 금번 정기주주총회 제3호 의안(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의 주식 수 840,000주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7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62백만원 |
최고한도액 | 7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5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8백만원 |
최고한도액 | 35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당사의 홈페이지(https://www.bioinfra.co.kr, 바이오인프라생명과학 → IR → 공지사항)에 게재 될 예정입니다. - 향후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