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유비씨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6월 13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유비씨
대 표 이 사 : 조규종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248번길 25, 1006호 (관양동, 안양산업진흥원)
(전 화) 031-346-5497
(홈페이지) https://uvc.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조희래
(전 화) 031-346-549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6기 임시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31조에 의거 16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6월 30일(월)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48번길 25, 1006호 본점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1) 안 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35명 / 58,500주)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의결권불행사시)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증권거래법 제174조의 6 제5항에 의거 증권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서면결의서 제출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인감증명서 1통, 대리인의 신분증

※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이 신분증으로 인정되며, 신분증이 없을 경우 주주총회 입장이 제한됩니다.

2025년 6월 13일

주식회사 유비씨

대표이사 조 규 종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길선(출석률: 100%) 이지훈(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5-03-04 제 1호 의안 : 자금 신규 차입의 건 찬성 찬성
2 2025-03-14 제 1호 의안 : 내부회계 관리규정 제정의 건 찬성 찬성
제 2호 의안 : 출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찬성 찬성
3 2025-03-31 제 1호 의안 : 대표이사 선임의 건 찬성 찬성
제 2호 의안 : 출장여비규정 개정의 건 찬성 찬성
4 2025-04-07 제 1호 의안 : 자금 신규 차입의 건 찬성 찬성
5 2025-05-20 제 1호 의안 : 임시주주총회 개최를 위한 기준일 설정 승인의 건 찬성 찬성
6 2025-06-13 제 1호 의안 : 제16기 임시주주총회 개최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 - - -
기타비상무이사 1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디지털 트윈 시장 현황

디지털 트윈은 산업 자산을 디지털로 복제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 분석, 예측하는 기술로, 산업의 복잡성과 운영 효율을 개선하는데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시장은 제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확장 중이며, 특히 제조 디지털 트윈 시장은 로봇 기술과 기계 장비의 연동으로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제조업 외에도 에너지,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는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image01.jpg [디지털 트윈 핵심기술과 응용서비스]

[산업 분야별 디지털 트윈 적용 범위]

산업 분야 적용 범위
제조

·공장, 설비, 제조공정의 가상세계 트윈화 기반 공정 효율화/자동화/생산성 향상

·가상세계 지능화를 통한 현실 세계 제조장비 실시간 제어

·제조현장 트윈화 기반 작업자 안전도 향상 및 작업장 인명사고 예방

에너지

·송배전, 발전, 에너지 소비원 등 에너지 수급 설비의 디지털 트윈화

·에너지 밸류 체인에 연결된 수급 유형 모델 간 시공간 동기화 및 협업

·계통 유연화, 자원 생명주기 관리, 자율 이동수요 관리 등 디지털 트윈 기반 지능형 서비스

·발전소 인명사고 예방을 위한 위험 예측 및 안전 시뮬레이션

의료

·헬스케어

·사람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휴먼 트윈

·병원 내 프로세스, 운영관리, 진료/운영 기록, 공간 및 의료기기 디지털 트윈

·질병의 진단, 예방, 치려, 처방, 수술, 원무 등 의료, 헬스케어 전반을 포괄하는 디지털 트윈

스마트시티

·도시 시설물, 인프라 등 도시 구성 객체에 대한 디지털 트윈화

·도시 구성 정적객체 및 동적 객체에 대한 시공간 동기화

·도시를 이루는 객체 간 연계 및 상호작용 분석 및 관리

웰니스

·개인의 사회적/경제적/지적 활동 등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디지털 트윈

·개인의 행복과 복지를 위한 다양한 활동과 개인이 모인 집단 커뮤니티 등의 영역까지 포괄

교통

·모빌리티

·교통, 모빌리티 대상 Macro 및 Micro 수준 디지털 트윈화

·디지털 트윈 기반 교통인프라 계획, 분석, 관리

·디지털 트윈 기반 모빌리티 계획, 분석, 관리

출처 : 디지털 트윈 기술 K-로드맵, 2021.12,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나) 제조 디지털 트윈 시장 현황

제조업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가장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는 분야로, 디지털 트윈을 통해 공장 내부의 기계 및 장비를 가상으로 재현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는 공정의 최적화와 예측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스마트팩토리는 이러한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로봇 공학 및 기계 장비와의 연동을 통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핵심 요소인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복잡한 제조 라인의 작동 상태를 사전에 검토하고, 제품 생산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디지털 트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해외 기업에서는 로봇 시스템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로봇 공학과 연계되면서 자율 운영을 실현하게 하며, 공장의 기계 장비와 로봇을 디지털 트윈을 통해 연결하여 기계 상태와 생산 속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산 속도 조절, 고장 예측, 자율적인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다) 산업 특성

디지털 트윈 산업은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를 실시간으로 연결해 운영 효율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현실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상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예측 분석, 최적화된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디지털 트윈 기술은 제조업, 에너지, 물류, 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산업의 주요 특성 중 하나는 복잡한 데이터 처리와 고도화된 통합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점입니다. 각 산업의 특성에 맞는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집하고 분석해야 하며, 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능력이 경쟁력의 핵심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산업 맞춤형 솔루션과 다양한 기술의 융합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IoT, AI, 클라우드, 5G와 같은 최신 기술들이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결합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기술의 표준화와 상호 운용성이 산업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됩니다. 각 기업은 특정 산업군에 최적화된 기술과 노하우를 보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특히 OPC UA와 같은 국제 표준을 준수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더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트윈은 확장성과 자율성이 중요합니다. 처음에는 단순한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율적으로 운영되고 실시간으로 변화를 반영하는 수준까지 발전할 수 있어 장기적 관점에서의 투자와 개발이 필수적입니다.

(라)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은 높은 초기 구축 비용으로 인해 기술 공급 기업의 시장 진입에 어려움이 있지만, 잠재력이 매우 큰 시장으로 집중 육성 지원이 필요합니다. 현재 제조업체들은 정부의 다양한 지원 사업(중소벤처기업부, 선도형 스마트 공장 구축 지원 사업 등)을 통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정부는 공장 자동화, 생산 최적화, 실시간 모니터링을 구현하도록 장려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서치회사인 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시장 규모 271억원에서 2020년 742억원에서 2025년 6,122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디지털 트윈 사업에 핵심적인 ICT 인프라의 우세로 2026년까지 연평균성장률 52.5%의 높은 성장률이 전망되며, 타 국가 대비 성장세가 빠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jpg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 전망

출처 : 디지털트윈 혁신성장품목보고서, 2021.07.01., 한국IR협의회, IBK투자증권 재구성

원본 데이터 : 디지털트윈 마켓, Markets and Market, 2020년

디지털 트윈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디지털 트윈과 관련된 특허 출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특허정보검색서비스 키프리스를 통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특허 출원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 세계적으로 특허 출원 건수가 연평균 50.7% 증가하였으며, 이 중 한국의 특허 출원 증가율은 45.7%로 전 세계 평균에 근접한 수준을 보이며 국내에서도 디지털 트윈 기술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주요 기업들은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활성화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디지털 트윈 기술은 제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장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과 사물인터넷의 확산,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 등과 같은 다양한 기술 요소에 의해 성장이 더욱 촉진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국내 시장에서의 성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 요인]

성장 요인 내 용

관련 기술의

수요 증가

·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사물인터넷의 인기가 높이지면서 디지털 트윈 시장의 성장 주도
요소기술의발전 · 센서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센서 가격하락과 가용 ICT 기술의 발전, 대표적으로 산업용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모델링 등의 관련 기술들이 발전하면서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 가속

시스템의

스마트화 요구

· 프로세스 최적화, 비용 효율성, 생산성과 관련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그와 관련된 솔루션을 채택하는 기업이 증가하면서 디지털 트윈 시장 성장

(마) 글로벌 시장 규모 및 전망

글로벌 시장에서는 IoT와 AI 기술이 디지털 제조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을 더욱 촉진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GE, 독일의 Siemens, 프랑스의 Dassault와 같은 글로벌 디지털 트윈 솔루션 기업들은 헬스케어,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디지털 트윈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제조 관련 기술 및 플랫폼 솔루션을 다른 산업 분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은 2023년 기준으로 약 145억 달러(한화 약 19조 5,750억원 규모)로 평가되었으며, 2030년 약 2,691억 달러(한화 약 363조 2,85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동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38.7%로, 향후 10년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성장세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정되고 있으며 자동차, 반도체, 에너지 등 다양한 업종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2032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_1.jpg 2022-2032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

출처 : Digital Twin Market Size, 2022 to 2032, 2023.10, Precedence Research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은 기술 수용성이 높은 제조업에서 비용 절감 효과가 입증되면서 더 많은 산업에서 채택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국가 정부들이 디지털 트윈 기술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향후 디지털 트윈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10년 04월 30일에 설립하여 3D 기반 관제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으로 사업을 영위하다가, 2016년 03월 01일 조규종 대표이사의 인수창업을 계기로 CPS(Cyber-Physical Systems, 가상물리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으로 전환하였습니다. 당사는 핵심제품인 'Flexing CPS', 'Flexing DT', 'Flexing Edge' 등 디지털트윈 구현 소프트웨어 개발에 성공하여 현재 제조산업 분야 디지털트윈 구현 소프트웨어 개발·공급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제조 디지털 트윈 공급 역량 및 시장 성숙도를 바탕으로 각기 다른 고객의 고객별 요구에 맞춰 제품을 단계별로 제공하며,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과 함께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목표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제품 단계는 [① (대기업) 디지털 트윈 구축 → ② (1차 벤더 확대)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 구축 → ③ SaaS 기반 구독형 플랫폼 제공]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tmp9652.jpg [㈜유비씨 사업 구조(비지니스 모델)]

1) 디지털 트윈 구축

당사는 현대자동차, 삼성SDI 등 유수 대기업 및 한국전력공사와 같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디지털 트윈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프로젝트 기반의 구축 비용과 맞춤형 솔루션 제공에 따른 설계, 개발, 구현 용역 제공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규모 시스템 통합 및 복잡한 요구사항을 다루며 고부가가치의 서비스 계약을 통해 매출을 확보하며, 유지보수와 사후 관리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 구축

두 번째 단계로, 1차 벤더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트윈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며, 주된 수익원은 온프레미스 형태의 통합 플랫폼 라이선스 판매입니다. 당사는 고객 맞춤형 개발 및 통합 시스템 제공을 통해 추가 매출을 창출하고 있으며, 구축 후 유지보수 및 기술 지원 계약을 통해 장기 고객 유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 공정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확장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3) SaaS 기반 구독형 플랫폼 제공

최종 단계에서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구독형 CPS 플랫폼을 제공하여 초기 구축 비용 없이 구독료를 지불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SaaS 기반 구독형 플랫폼 제공을 통해 안정적이고 반복적인 수익 창출이 가능하며, SaaS 플랫폼의 확장성과 효율성을 통해 시장이 확대에 따른 매출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 매출 현황]
(단위 : 천원)

매출

유형

제 품 명

2024년도

(제15기)

2023년도

(제14기)

2022년도

(제13기)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자사

제품

On-Premise DT 3,651,774 69.94% 2,052,014 52.39% 416,971 14.43%
솔루션 1,180,457 22.61% 1,287,562 32.87% 1,777,236 61.49%
SaaS DT 56,400 1.08% 50,400 1.29% 50,400 1.74%
기 타 332,469 6.37% 526,580 13.44% 645,682 22.34%
매 출 총 계 5,221,100 100.00% 3,916,556 100.00% 2,890,289 100.00%

(2) 시장점유율

1) 주식회사 유비씨가 타겟하는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 정의

디지털 트윈은 물리적 객체나 시스템을 가상 환경에 복제하여 시뮬레이션, 예측, 최적화 등을 수행하는 기술로, 산업·도시·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적용되는 매우 포괄적인 개념입니다.

당사는 디지털 트윈이라는 매우 광범위한 정의 아래,디지털 트윈 플랫폼 시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단일화된 시장 규모 발표자료가 없어 아래와 같이 당사가 타겟하는디지털 트윈 시장을 재정의하였습니다.

당사는 디지털 트윈 시장을 아래와 같이 ‘데이터 실시간 동기화, AI 예측, 시뮬레이션 등’의 기술군과 ‘제조업‘의 산업군으로 범위를 제한합니다.

가) 적용 기술 범위 제한

일반적인 디지털 트윈의 개념에서 벗어나, 당사는 다음의 주요 기능을 포함하는 기술을 ‘디지털 트윈 플랫폼’으로 정의합니다.

-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 시뮬레이션 기반 분석

- 인공지능(AI) 기반 예측

- 공정·설비 운영 최적화

이는 단순 3D 가시화나 모니터링 기능을 넘어, 데이터기반 판단과 시뮬레이션이 결합된 지능형 플랫폼에 해당합니다.

나) 적용 산업 범위 제한

당사의 주요 매출은 주로 제조 디지털 트윈으로 발생하는 바, 디지털 트윈의 적용 산업 중에서도 ‘제조업’에 국한하여 시장 범위를 재정의하였습니다.

스마트팩토리, 공정 최적화, 예지보전, 자동화 제어 등 실질적인 수요 기반이 명확한 산업군을 대상으로 합니다.

2) 주식회사 유비씨가 타겟하는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 추정

새 그림.jpg 주식회사 유비씨가 타겟하는 국내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 추정

글로벌 시장 조사 기관인 Grand View Research에 따르면, 대한민국 디지털 트윈 전체 시장 규모는 2024년 1386.9$M(약 1조 8,723억 원)에서 2030년 155,839.4$M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기간 동안 연평균 성장률(CAGR)은 33%로 예상됩니다.

한편 2022년과 2023년의 대한민국 디지털 트윈 전체 시장 규모에 대한 자료가 없어 2024년 규모와 연평균 성장률 33%를 활용해 추정하였으며, 각 784$M(약 1조 584억 원), 1,042.8$M(약 1조 4,078억 원)으로 도출하였습니다.

당사 타겟 시장 비율은 글로벌 디지털 트윈 기업인 Siemens의 매출 실적을 참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Siemens는 해당 분야의 글로벌 선두 기업으로, 당사와 유사한 시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Siemens의 2023년의 연간 매출은 €77.77B로 보고되었습니다. 전체 매출 중산업 자동화, 디지털 팩토리 솔루션 분야를 포함하는 Digital Industries사업부의 매출은 전체 매출의 27.6%를 차지하였다고 보고하였습니다. 또한해당 사업부의 사업 영역 중 데이터 실시간 수집 및 연동, AI기반 예측 및 최적화, 공정 시뮬레이션 및 가상 시나리오 등 당사가 정의한 범위의 디지털 트윈 타겟 시장에 부합하는 소프트웨어 영역은 사업부 매출의 약 28%를 차지한다고 추산하였습니다. 이는 Siemens의 2020년 소프트웨어 영역 매출 비중으로, 이를 적용하면 2023년 해당 영역 매출은 약 €6.01B로,전체 매출의 약 7.7%를 차지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 타겟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1,084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단, Siemens는 Digital Industries 사업부의 전체 매출 대비 비중을 2023년 이외 다른 사업연도에는 명시하지 않은 바,각 연도의 비율을 27.6%로 동일 적용하였고, 소프트웨어 영역 비율 또한 2020년 28%를 동일 적용하여 추산한 결과 타겟 비율은 각 연도 모두 7.7%로 동일하게 도출되었습니다. 따라서 2022년 815억 원, 2023년 1,084억 원, 2024년 1,442억 원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디지털 트윈 전체 시장 규모의 꾸준한 성장에 따라 당사가 타겟한범위의 디지털 트윈 시장 또한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3) 최근 3사업연도(2022년~2024년)의 주식회사 유비씨 국내시장점유율 변동추세

새 그림 (1).jpg 주식회사 유비씨 국내시장점유율(2022~2024년)

4) 2024년 주요 경쟁회사별 국내 시장 점유율

새 그림 (2).jpg 2024년 주요 경쟁회사별 국내 시장 점유율

(3) 시장의 특성

제조업은 디지털 트윈 기술을 가장 활발하게 도입하고 있는 분야로, 디지털 트윈을 통해 공장 내부의 기계 및 장비를 가상으로 재현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는 공정의 최적화와 예측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스마트팩토리는 이러한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다양한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며, 로봇 공학 및 기계 장비와의 연동을 통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제조업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핵심 요소인 시뮬레이션 기능을 통해 복잡한 제조 라인의 작동 상태를 사전에 검토하고, 제품 생산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파악할 수 있게 합니다. 또한, 디지털 트윈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해외 기업에서는 로봇 시스템을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상용화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통해 로봇 공학과 연계되면서 자율 운영을 실현하게 하며, 공장의 기계 장비와 로봇을 디지털 트윈을 통해 연결하여 기계 상태와 생산 속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산 속도 조절, 고장 예측, 자율적인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글로벌 시장에서는 IoT와 AI 기술이 디지털 제조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을 더욱 촉진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GE, 독일의 Siemens, 프랑스의 Dassault와 같은 글로벌 디지털 트윈 솔루션 기업들은 헬스케어, 자동차,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들은 자사 제품의 디지털 트윈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제조 관련 기술 및 플랫폼 솔루션을 다른 산업 분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은 2023년 기준으로 약 145억 달러(한화 약 19조 5,750억원 규모)로 평가되었으며, 2030년 약 2,691억 달러(한화 약 363조 2,850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동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38.7%로, 향후 10년간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성장세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정되고 있으며 자동차, 반도체, 에너지 등 다양한 업종에서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2032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jpg 2022-2032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 규모

출처 : Digital Twin Market Size, 2022 to 2032, 2023.10, Precedence Research

글로벌 디지털 트윈 시장은 기술 수용성이 높은 제조업에서 비용 절감 효과가 입증되면서 더 많은 산업에서 채택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국가 정부들이 디지털 트윈 기술 투자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향후 디지털 트윈 시장은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유비씨_조직도.jpg 유비씨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8조의3(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

②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이사회가 정한 우선 비율에 따른 금액을 금전 또는 주식으로 배당한다. 이 경우 우선 비율은 최근 3년간의 배당률, 자금 조달의 필요성, 시장 상황, 기타 이익배당에 관한 우선주식의 발행과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한다.

제8조의3(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

② 이익배당에 관한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액면금액 또는 발행가액을 기준으로 이사회가 정한 우선 비율에 따른 금액을 금전 또는 주식으로 배당한다. 이 경우 우선 비율은 최근 3년간의 배당률, 자금 조달의 필요성, 시장 상황, 기타 이익배당에 관한 우선주식의 발행과 관련된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한다.

이익배당 관련 액면금액, 발행가액 모두 가능으로 변경
제8조의6(전환에 관한 종류주식)② 전환에 관한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회사의 선택 또는 주주의 청구에 따라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할 수 있다2.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는 전환 전의 수와 동수로 한다. 제8조의6(전환에 관한 종류주식)② 전환에 관한 종류주식은 다음 각 호에 의거 회사의 선택 또는 주주의 청구에 따라 전환할 수 있는 것으로 발행 시 이사회가 정할 수 있다.2.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는 전환 전의 수와 동수로 한다. 단, 전환비율을 조정할 수 있는 종류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 시에 이사회가 전환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는 내용, 조정사유, 조정방법(산식)을 정하여야 한다. 단서 조항 추가
- 제8조의7(청산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종류주식)① 본 회사는 청산잔여재산분배에에 관하여 우선적 내용이 있는 종류주식(이하 '청산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종류주식'이라 함)을 발행할 수 있다.② 청산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종류주식의 주주는 회사의 청산시 잔여재산의 분배에 있어서 발행시 이사회의 결의에 따라 우선권을 보유한다. 조항신설
- 부칙제2조 (개정시행일) 본 정관은 2025년 6월 30일부터 개정시행한다. 조항신설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당사는 임직원에게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를 통하여 유능 인력 확보와 핵심 인력의 장기 근속을 유도함으로써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 원동력을 확보하고자 함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OOO외 31명 직원 개발센터장 등 보통주 51,500
안창환 미등기임원 개발본부장 보통주 2,000
조희래 미등기임원 경영본부장 보통주 1,000
김준우 미등기임원 PM 보통주 4,000
총( 35 )명 - - - 총( 58,500 )주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기명식 보통주식 58,5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행사가격: 부여일(임시주주총회 의결일 당일)을 기준으로 확정될 예정이며, 부여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법」제340조의2,「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의 규정을 준용하여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과거 2개월, 1개월, 1주일간의 각 가중산술평균가격을 산술평균한 가격과 주식의 액면가액 중 높은가액으로 산정- 행사기간 : 2028.06.30~2035.06.29 -
기타 조건의 개요 - 부여일 및 결의요건 ① 부여일 : 2025년 6월 30일 ② 결의요건 : 특별결의 관련 세부사항은 법령, 정관 및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서 등에 따름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부여가능주식수 잔여주식수
2,943,900 발행주식 총수의 10% 기명식 보통주 294,390 235,890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종류 부여주식수 행사주식수 실효주식수 잔여주식수
2023년 2023.03.30 29 기명식 보통주 82,500 - 24,000 58,500
2024년 - - 기명식 보통주 - - - -
2025년 - - 기명식 보통주 - - - -
- 총( 29 )명 - 총( 82,500 )주 총( - )주 총( 24,000 )주 총( 58,500 )주

(주1) 2024.11.08 액면분할에 따른 부여수량 조정을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uvc.co.kr/ -> COMPANY -> NOTICE(공지사항)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