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펨토바이오메드 정 정 신 고 (보고)
2025년 3월 24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5년 3월 7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Ⅲ. 경영참고사항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전기 지급된 이사의 보수총액 정정 (단순 기재오류 정정) 686백만원 819백만원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3 월 7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대 표 이 사 : 이 상 현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700, D동 510호
(전 화) 031-628-8158
(홈페이지)http://www.femtobiomed.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 (성 명) 박 신 웅
(전 화) 031-628-815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4기 정기)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4조에 의거, 제14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고자 합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700, D동 1층 회의실

(야탑동, 분당테크노파크)

3. 회의 목적 사항 :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및 영업보고 2. 내부회계 운영실태보고 3.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 1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2024.01.01~2024.12.31]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박준권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 사외이사 황운봉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15억]

제5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1억]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상법 시행령 제31조의 4의 4항에 의거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인 3월 18일까지 당사의 홈페이지 내 게재할 예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기타사항

(1) 참석주주님을 위한 기념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대리행사: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7일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대표이사 이상현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정완균(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024-01 2024.02.08 제1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제2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찬성
2024-02 2024.02.29 제1호 의안: 제1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2024-03 2024.03.25 제1호 의안: 제3자 배정 유상증자의 건 찬성
2024-04 2024.04.08 제1호 의안: 제3자 배정 유상증자 정정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인선임위원회 정완균심재승박순철이길한강다은 2024.02.13 1. 외부회계감사인 선임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500,000,000 4,000,000 4,000,000 -

(주)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사항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세포 및 유전자 치료제 분야의제조공정기기및서비스 사업을 영위하는 생명공학 전문기업으로 비바이러스 세포 내 유전자를 전달하는 CellShot 플랫폼을 중심으로 공정 기기, 세포유전자 플랫폼 사업 및 세포유전자 서비스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CellShot 플랫폼은 다양한 항암 면역세포 치료치료제를 개발하고 생산하기 위한 비바이러스 무매개체 세포 형질 전환 플랫폼입니다.

가. 업계의 현황

2018년 5월 22일 미국 FDA 커미셔너 Scott Gotlieb의 FDA의 세포 유전자 치료제 허가와 관련한 공식 입장 (Remarks to the Alliance for Regenerative Medicine's Annual Board Meeting)에서는 세포 유전자 치료제가 가지고 있는 높은 가능성과 가치를 강조하였습니다. 세포유전자 치료제를 통해 보편적인 질병뿐 아니라 7000여 가지가 넘는 희귀 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의회의 공식 요청으로 혁신 신약의 신속 승인 제도가 도입 되는 등 세포 유전자 치료제를 개발하고 보급하고자 하는 미국의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본 FDA의 세포 유전자 치료제 개발 지원 정책에서 가장 우려하는 문제점은 바이럴 벡터를 중심으로 한 생산의 비 효율성과 매우 높은 생산 비용입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FDA도 CBER (Center for Biologics Evaluation and Research)을 중심으로 제약사를 적극적으로 돕기위한 예산과 정책방향을 지원하기로 하였으며, 기술적으로도 이의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continuous manufacturing technologies, 즉 연속적인 생산 기술의 개발을 통해 생산 문제를 해결하도록 장려하였습니다. 펨토바이오메드의 CellShot platform 기술이 현재 상용화된 전기 천공 기술 중 유일하게 연속 생산방식의 기술입니다.

또한, 바이럴 벡터를 사용하는 현재의 세포 유전자 치료제 생산 방법의 안전성 문제에 대해서는 신속 승인 제도가 이를 명확히 확인할 수 없는 문제를 인정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post-market follow up을 통해서 시판 후 안전성 문제의 평가를 공식 절차화 하였습니다. 이에 6종의 CAR-T 치료제들은 15년의 post-market follow up 절차를 부여 받았고, 2023-2024년 상기 6종의 CAR-T 치료제들에 대한 secondary T cell malignancies 발생에 대한 증거가 확보되어 공식적으로 이를 표시하는 boxed warning 명령이 내려졌습니다. 즉, 바이럴 벡터를 사용하는 세포 유전자 치료제의 경우 second cancer의 부작용이 FDA에 의해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었고, 이를 제약사는 자신들의 세포 유전자 치료제 라벨에 공식적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이정표로, 향후 보편적 질병뿐 아니라 수천가지의 희귀 질환 치료제의 방대한 마켓에서 바이럴 벡터가 사용될 수 있는 영역이 매우 제한적으로 규제되었음을 의미합니다. 이에, 비바이러스 유전자 전달 방식의 시장 침투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으며, 그 마켓의 규모 또한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바이럴 벡터는 사실상 유전자 세포 치료제라는 영역을 탄생시킨 주역으로 바이오 신약 역사에 항체 치료제와 더불어 양대 산맥을 차지할 만큼 매우 중요하고 절대적인 존재입다. 하지만, 생산성 문제와 안전성 문제라는 가장 중요한 상업화의 두 키워드에서 FDA의 우려를 해소하지 못하게 되어, 현재는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비바이러스 방향이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비바이러스 시장은 크게 유전 전달 물질과 전달 체계로 나눌 수 있고, 유전 전달 물질은 크게 CRISPR를 필두로 하는 유전자 편집 물질과 mRNA를 필두로 하는 유전자 비편집 발현 물질로 나뉘게 됩니다. 그리고, 전달 체계는 전기 천공 (electroporation)등 전달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과 LNP, CPP, Lipofectamine 등 세포 침투 전달 매개체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뉘게 됩니다. 현재, 바이럴 벡터의 안전성이 문제가 된 상황에서 매개체를 사용하는 방식은 비바이러스 방식에서도 여전히 안전성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전기 천공 방식이 가장 주목 받고 있습니다. 다만, 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은 고효율 전달의 위한 전달 기술의 기술적 난이도가 매우 높아 현재 바이러스 벡터를 대체할 만큼의 효율을 보이는 전기 천공 기술이 없는 상황입니다. 이에, 바이러스 벡터를 대체할 수 있는 높은 효율과 생산성을 겸비한 기술의 수요가 어느때보다 높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① 세포치료제 제조 공정 사업 도입 - 신규 파이프라인의 개발 및 공급 사업항체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 기술 기업들과 협력하여 펨토바이오메드의 mRNA-NK-CellShot Platform에 신규 타겟 항체 기술을 적용, 고형 암 타겟의 CAR-NK 세포 치료제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줄기세포 기반의 재생 신약 분야에 공정 공급 사업중간엽줄기세포 기반의 바이오텍사와 협력하여 재생 세포 신약 개발 공정에 mRNA 전달 공정을 도입, 세포 치료제의 조직 안착률을 높이는 등 치료효과를 극대화하는 개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미국에서는 셀샷 복합 유전자 전달 기술을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공정에 적용하여 기존의 매우 낮은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 입니다.

- 세포 치료제 CDMO 업체들을 통한 유전자 전달 공정 공급 사업북미 지역의 세포 치료제 CDMO 기업들과의 셀샷 공정 도입 논의가 진행 중입니다. 세포 치료제 CDMO 기업들과의 협력은 북미지역 세포 치료제 제조 공정 마켓에 진입하는 핵심 단계입니다. 국내 세포 치료제 CDMO 시장도 이제 성장하기 시작하고 있어, 북미지역 진출 후, 국내 시장의 성숙에 따라, 사업성이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② On-site 세포 치료제 공급을 위한 기초 임상 연구당사 CellShot 플랫폼을 통해 환자에서 채집한 프라이머리 면역세포(NK, T, PBMC 등)에 대한 높은 공정 수율을 확보하여, 배양 과정 없이 인체 독성이 없는 성분만으로 유전자 전달이 가능합니다. 기술적으로는 병원에서 운영이 가능한 수준의 안전하고, 간편한, 완전 밀폐화된 GMP 제조 공정의 개발이 가능합니다.

서울 성모 병원과 ‘고효율 mRNA 유전자 전달 센터’를 설립하였고, 기초 임상 연구단을 조직하였습니다. 센터의 기초 임상 연구단에서는 5개 (간암, 췌장암, 혈액암, 뇌종양, 유방암)암 종에 대해 8명의 임상 연구 교수(성필수 교수, 윤재호 교수, 최영훈 교수, 이성학 교수, 안스데반 교수, 윤창익 교수, 엄기성 교수, 박성수 교수 팀)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③ 연구-개발 용 유전자 전달 기기 사업

해당 영역은 다양한 후보 물질 및 다양한 전달 조건을 적용하여, 가능성이 높은 후보 물질과 전달 조건을 탐색하는 영역입니다. 소량의 샘플을 다양하게 제조하게 되며, HTS (High Throughput Screening) 개념의 전달 기기를 공급하여야 합니다.

이에, 당사는 다양한 조건별로 유전자 전달을 수행하고, 개별 수거 용기에 분주하는 부속 기기(CellShot Turtle)를 개발하였습니다. CellShot Badger 본체에 장착하며, 운영 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으로 다양한 전달 조건을 부여하고 조건별로 개별 분주 후 표준 96-well plate에 수거하여 자동 분석기에 직접 로딩하도록 개발하였습니다.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기기들 대부분은 여러 조건의 세포 샘플을 각각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기기들입니다. 당사의 자동 프로그래밍으로 다양한 세포 유전자 전달 조건을 수행해 주는 기기는 연구 개발용으로 사업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글로벌 distributor를 연구 개발용 셀샷 시스템 공급북미 CDMO 기업 및 북미지역 공급 agency 활용할 계획입니다. 중국 시장은 9XBio사 및 MineBio사를 통해 공급 추진 중입니다. 9XBio사는 중국내 2만개 이상의 대학 및 연구실 고객 보유중이며, MineBio사는 중국 내 세포치료제 대리점으로 20개 이상의 임상 추진 바이오회사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외 일본, 태국, 대만, 싱가폴 국가의 공급을 위한 논의도 진행 중 입니다.

- 세포 주 개발 공정 기기 공급 사업바이오 의약품 개발의 핵심인 세포 주 개발은 바이러스 벡터, 리포펙타민, 전기천공 기술들이 유전자 편집에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영구적인 유전자 편집을 위해서 세포 핵내 유전자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한 기술적 목표로 셀샷 분리전달 기술의 적용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현재 바이오 의약품은 대부분 세포 주 기반의 생산 공정을 가지고 있어서, 매우 큰 시장입니다. 셀샷 분리전달의 높은 세포 내 전달 효율과 공정 수율의 장점을 확대하여 바이러스 벡터 기술이나 리포펙타민 기술 등 기존 기술 대비, 개발 시간을 줄여주고, 개발 성공률을 높여 개발 비용 줄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생산제품은 「한국표준산업분류」 표 상 소분류인 의료용 기기 제조업(271)에 해당되며, 별도의 사업부문 구분 및 부문별 재무제표 작성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Cell engineering 기술은 전통적인 전기천공법 외에도 Flow Electroporation®, CellSqueeze®, CellShot 등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세포 내 물질 전달기술의 종류와 특징 및 시장참여자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시장점유율은 정확하게 집계가 안되는 가운데, MaxCyte가 리더업체로 매출액이 가장 큽니다.

기술 바이러스 벡터 전기천공 Cell Squeeze CellShot
회사 다수 MaxCyte, ThermoFisher 등 SQZ Biotech 펨토바이오메드

원천

특허

- - - 확보
장점 - 기술적 성숙도

- 다수 유전자의 공동전달 용이

- 기술적 성숙도

- 단순한 공정

- 유전자 전사 반응 시 영향 최소화

- 세포 활동성에 영향 없음

- 분리전달기술

- 높은 전달 효율

- 다수 유전자의 공동전달 용이

- 높은 세포 공정 수율 (전후처리 공정 제거)

단점

- 복잡하고 비싼 공정

- 유전독성 등의 잠재적 위험성

- 세포치료제 개발 시 다수 유전자의 공동전달 한계

- 1차원 혼합전달에 기인한 낮은 세포 공정 수율

- 낮은 전달 효율

- 생체 내(in vivo) 시스템 적용 시 한계

- 대상 세포(T세포)에 대한 임상 부족으로 낮은 기술적 성숙도

- 복잡한 제어 시스템
단계 승인 임상 전임상 개발
기타

매개체 기반

전통적인 전달 기술

가장 보편적인

무매개체 전달기술

Roche와

파트너쉽 체결

세계최초

2차원 물질전달 기술

(3) 시장의 특성

항암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유전물질을 세포안에 주입하는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유전물질을 세포에 전달하는 기술을 이용한 항암치료의 가장 큰 장점은 유전자 분석을 통해 질환의 근본원인을 규명하여 치료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암의 종류에 따라 그에 맞는 항암치료제 개발이 필수적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세포 내 유전물질 전달기술이 필수적입니다.

글로벌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에서 유전물질 전달기술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미국 세포유전자치료제 시장에서 임상진행 건수는 전임상 약 460건, 임상 200여건으로 조사되었습니다. 2021년에 조사된 2026년 세포유전자치료제 임상 진행 개수가 전임상 900여건, 임상 450여건으로 6년 내 두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임상 대부분이 비바이러스 전달방식을 활용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자세한 사항은 '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본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 확정전 결산자료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4 기 2024. 12. 31 현재
제 13 기 2023. 12. 31 현재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단위 : 원)
과 목 제 14 기 제 13 기
자산
유동자산 2,876,181,233 2,093,986,239
현금및현금성자산 2,153,187,863 1,459,493,841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44,453,653 367,611,537
기타유동자산 392,301,738 79,742,331
당기법인세자산 4,649,820 1,667,520
재고자산 81,588,159 185,471,010
비유동자산 672,485,226 1,193,207,225
유형자산 434,462,112 731,480,348
사용권자산 114,518,198 177,687,594
무형자산 12,3004,916 149,561,459
기타비유동채권 500,000 134,477,824
자 산 총 계 3,548,666,459 3,287,193,464
부채
유동부채 14,608,970,865 11,987,741,108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81,131,478 243,416,942
전환상환우선주부채 2,164,740,407 1,118,991,089
전환우선주부채 2,911,812,416 2,998,088,339
파생상품부채 8,860,514,806 7,429,551,379
리스부채 107,516,686 123,493,928
유동성장기차입금 46,624,802 54,863,391
기타유동부채 236,630,270 19,336,040
비유동부채 71,850,687 156,399,147
리스부채 2,971,517 44,903,146
충당부채 22,087,585 22,074,412
장기차입금 30,097,776 76,722,578
장기종업원급여부채 16,693,809 12,699,011
부 채 총 계 14,680,821,552 12,144,140,255
자본
자본금 4,220,857,500 4,200,636,000
자본잉여금 14,733,044,450 11,139,622,130
기타자본항목 1,397,292,581 2,342,786,745
결손금 (31,483,349,624) (26,539,991,666)
자 본 총 계 (11,132,155,093) (8,856,946,791)
부채와자본총계 3,548,666,459 3,287,193,464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괄손익계산서)>

제 14 기 (2024. 1. 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3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단위 : 원)
과 목 제 14 기 제 13 기
매출 159,015,000 333,954,255
매출원가 97,687,691 125,449,255
매출총이익 61,327,309 208,505,000
판매비와관리비 5,383,306,456 3,758,448,770
영업손실 (5,321,979,147) (3,549,943,770)
기타수익 19,696,202 195,294,590
기타비용 7,386,963 144,139,612
금융수익 896,003,539 1,503,013,886
금융원가 529,691,589 252,749,04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4,943,357,958) (2,248,523,947)
법인세비용 - -
당기순손실 (4,943,357,958) (2,248,523,947)
기타포괄손실 - -
당기총포괄손실 (4,943,357,958) (2,248,523,947)
주당손실  
기본주당손실 (588) (268)
희석주당손실 (588) (380)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4 기 (2024. 1. 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3 기 (2023. 1. 1 부터 2023. 12. 31 까지)
주식회사 펨토바이오메드 (단위 : 원)
과 목 제14 기 제 13 기
I. 미처리결손금 31,483,349,624 26,539,991,666
1. 전기이월미처분결손금 26,539,991,666 24,291,467,719
2. 당기순손실 4,943,357,958 2,248,523,947
II. 결손금처리액 - - - -
I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31,483,349,624 26,539,991,666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박준권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박준권 1980.12.04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박준권 펨토바이오메드 연구소장 2013.08~현재 펨토바이오메드 연구소장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박준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펨토바이오메드 설립 초창기 시절 합류하여 당사 연구소장을 역임 - 당사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기술개발에 폭넓은 지식 보유 - R&D 출신으로 기술적 이해도가 높음

제2-2호 의안 : 사외이사 황운봉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황운봉 1958.05.15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황운봉 포항공과대학교기계공학과 교수 2024.06~현재2017.03~현재2000.09~2001.08 에코리뉴(주) CTO포항공과대학 기계공학과 교수LG전자 Digital Appliance Research 연구원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황운봉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전문성 및 역량 발휘

본 후보자는 기계공학 분야 전문가로서의 뛰어난 역량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음

본 후보자는 포항공과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로서 다년간 실무 및 연구활동을 통하여 전문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갖게 된 경험과 전문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펨토바이오메드 이사회에 적극 참여하겠음.

- 이사회/위원회 출석률 90% 이상

- 회사의 미래 성장 방향 설계 시 역량과 경험을 활용하여 회사의 지속가능성에 기여

- 회사의 다양한 경영 의사결정과 관련한 Risk 관리에 기여

2. 독립적 지위 및 투명한 의사결정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경영진을 감독할 책임이 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으며 회사의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위치에 있지 않고, 회사와의 이해관계 및 회사와의 거래 또한 없음. 이를 바탕으로 독립적인 지위에서 ㈜펨토바이오메드의 사외이사 직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펨토바이오메드 이사회의 투명성, 독립성, 전문성 제고에 공헌하고자 함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인은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법령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임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회사의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의 위치에 있지 않고, 회사와의 이해 관계 및 거래 사실 또한 없음을 확인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사 사외이사 직무를 적극적으로 수행하여, 투명성과 독립성 제고에 공헌할 것으로 판단함- 기계공학 분야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확인서 이사 확인서_박준권.jpg 이사 확인서_박준권 이사 확인서_황운봉.jpg 이사 확인서_황운봉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0조(주식매수선택권)

⑤ 주식매수선택권의 1주당 행사가격은 다음 각호의 가격 이상이어야 한다.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을 조정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1. 새로이 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가액 중 높은 금액

가.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을 기준으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시행령’ 제 54조의 규정을 준용하여 평가한 주식의 시가

나. 주식의 권면액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경우에는 제 1호 가목의 규정에 의하여 평가한 주식의 시가

제10조(주식매수선택권)

⑤ 주식매수선택권의 1주당 행사가격은 다음 각호의 가액 이상이어야 한다.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한 후 그 행사가격을 조정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1. 새로이 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목의 가격 중 높은 금액

가.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을 기준으로 한 주식의 실질가액

나. 당해 주식의 권면액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경우에는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을 기준으로 한 주식의 실질가액

주식매수선택권행사가격 결정 시실질가액 준용(코스닥협회 표준 정관 준용)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2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 정완균 사외이사 임기 만료(만료일: 2025. 5. 27) 이후에는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가 3명 (1명) 이 됩니다.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명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819백만원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 이사의 수(사외이사수)는 2024년말 기준 이사 수 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개최 1주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femtobiomed.com)에 게재를 진행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업보고서는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정기주주총회 개최일 : 2025년 3월 26일(수) 오전 10시

□ 주주총회 집중일 주주총회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