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000001]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000002] I. 기업개요

1. 기업명
한국전력공사
2. 공시대상 기간 및 보고서 작성 기준일:
공시대상 기간 시작일
2024-01-01
공시대상 기간 종료일
2024-12-31
보고서 작성 기준일
2024-12-31

2-1. 당기~전전기 회계연도 기간

구분 당기 전기 전전기
회계기간 시작일 2024-01-01 2023-01-01 2022-01-01
회계기간 종료일 2024-12-31 2023-12-31 2022-12-31

3.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담당자

공시 책임자 실무자
성명 : 오흥복 성명 : 박세련
직급 : 기획부사장 직급 : 차장
부서 : - 부서 : 재무처 결산부
전화번호 : 061-345-3005 전화번호 : 061-345-4277
이메일 : heungbok.oh@kepco.co.kr 이메일 : trendy@kepco.co.kr

4. 표 1-0-0 : 기업개요

최대주주 등 대한민국 정부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51.1
소액주주 지분율(%) 41.8
업종 비금융(Non-financial) 주요 제품 전기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해당 여부 X 공공기관운영법 적용대상 여부 O
기업집단명 -
요약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당기 전기 전전기
(연결) 매출액 93,398,896 88,219,461 71,257,863
(연결) 영업이익 8,364,710 -4,541,648 -32,655,153
(연결) 당기순이익 3,621,968 -4,716,144 -24,429,108
(연결) 자산총액 246,807,795 239,714,965 234,804,994
별도 자산총액 139,472,103 138,838,342 131,023,727

[000003]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준수율
80

5.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핵심지표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직전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비고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X X 상법에 따라 주총 2주전까지 통지 및 공고
전자투표 실시 O O 전자투표 도입 및 활용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O O 주주총회 집중일 이외 개최
현금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X X 배당실시계획을 이사회 결정 당일 공시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X X 배당실시계획을 이사회 결정 당일 공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마련 및 운영 O O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기관장에 대한 선임절차 운영
위험관리 등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O O 리스크심의위원회, 내부회계관리규정 등 내부통제정책 마련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지 여부 O O 이사회 의장은 비상임이사중 선임하여 대표이사와 분리
집중투표제 채택 O O 정관상 집중투표제 배제하지 않음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O O 임원추천위원회에서 결격사유 여부,
역량검증 등 종합적인 인사검증 시행
이사회 구성원 모두 단일성(性)이 아님 O O 이사회는 남성 13명, 여성1명으로 구성*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 (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의 설치 O O 감사위원회 직속 내부감사부서 존재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O O 감사위원 중 1인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선임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O O 분기별 1회 이상 대면회의 개최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 마련 여부 O O 감사규정을 통해 보장

* 이사회 구성은 2024.12.31 기준

[000004] II. 기업지배구조 현황

[100000] 1. 기업지배구조 일반정책

가. 기업의 기업지배구조 관련 정책 운영 방향 및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사항등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1) 주주

당사는 주주의 권익을 보호하고 주가 안전성 확보 등 주주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주식시장 상장시부터 투명한 지배구조를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

당사는 투명하고 건전한 지배구조 구현을 위하여 정관, 이사회 규정 및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등 내부규정을 회사 홈페이지에 공개하여 지배구조 운영방식에 관해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돕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는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통한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장을 포함한 상임이사 7명과 비상임이사 8명으로 구성하여 이사의 과반수를 비상임이사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명하고 독립적인 이사회 운영을 위해 비상임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들은 재무·회계, 공공, 학계,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성을 토대로 이사회 안건에 대한 경영제언 및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사들이 최선의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사회 사무국을 통하여 이사회 개최 전 사전 설명회를 실시하여 안건별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3) 감사기구

감사위원회는 회계와 주요 경영 업무의 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내부감시장치의 가동현황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며 이사와 경영진이 합리적 경영판단을 할 수 있도록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합니다.

감사위원회는 3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3인 중 2인은 비상임이사이고,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비상임이사로 선임되어 있습니다. 상임감사위원은 임원추천위원회 추천을 거쳐 주주총회 의결로 선임되며, 비상임감사위원은 비상임이사 중 주주총회 의결로 선임됩니다.

감사위원회는 감사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이사회 및 경영진 등 업무집행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4조에 따라 공사의 관계 임직원 및 외부감사인에게 회의출석 및 관련 자료의 제출과 의견진술을 요구할 수 있으며,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나. 기업이 가진 고유한 지배구조 특징이 있다면 그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비상임이사 중심의 이사회 구성

당사 이사회는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7명의 상임이사와 8명의 비상임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총인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의 경우 성별, 인종, 나이, 국적 또는 문화적 배경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고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지닌 후보를 선정하여 다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대해 유연하고 전문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공정하고 투명한 이사회 운영을 위하여 이사회 의장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1조에 따라 비상임이사 중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선임되고 있습니다.

(2) 이사회 산하 위원회 운영

당사는 비상임이사의 전문성을 적극 활용하여 심도 있는 안건 심의와 경영 견제 및 감독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이사회 산하 4개의 전문위원회(감사위원회, ESG위원회, 임원추천위원회, 전력계통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비상임감사위원 2인과 상임감사위원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최소 1인은 회계·재무전문가를 선임하여 당사 업무와 회계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는 ESG 기반의 경영체계 강화를 위해 공기업 최초로 202012 이사회 산하에 신설되었습니다. ESG위원회는 3명의 비상임이사와 1명의 상임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ESG 관련 주요 경영현안 심의, ESG 경영전략 및 관련 사업계획 수립에 대한 심의 등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방향성 점검과 이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을 관리·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임원추천위원회는 임원 선임이 필요한 경우 이사회 의결을 통해 과반의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정하는 외부위원 5~15인 이내로 구성하며, 임원 선임의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전력계통위원회는 비상임이사 3, 상임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의결을 요하는 전력계통 분야 주요안건 사전 검토, 이사회 요청 전력계통 관련 주요 추진계획 등 경영현안 심의, 전력계통 주요 정책 추진계획 및 이행실적 점검 및 환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3) 이사회 내 위원회의 전문성 강화

당사는 이사회 구성 시,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이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임원 후보자의 서류 심사 과정에서 고유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의 전문 분야를 바탕으로 이사회 내 위원회인 ESG 위원회, 감사위원회 위원, 전력계통위원회 위원으로 선임하며, 외부전문가로 구성된 ESG 자문위원회와 감사자문위원회를 통해 포괄적 자문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 ESG 교육 등 역량 강화 교육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4) 이사회 독립성

당사는 이사회가 견제와 균형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이사들의 소신 있는 의사결정을 위해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을 지원하고, 이사회의 안건과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해당 안건의 의결에 참여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 후보자의 상법상 결격사유 해당 유무를 검증하여 회사와의 특수관계 여부를 엄격히 검토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선임된 비상임이사는 경영진으로부터 독립 위치에서 견제와 균형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합니다.

[200000] 2. 주주

[201000] (핵심원칙1) 주주는 권리행사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받고, 적절한 절차에 의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201100] (세부원칙 1-1) - 기업은 주주에게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및 의안 등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회에서 주주총회 소집을 결의하는 즉시 전자공시를 시행하며, 주주총회 개최일 2주 전까지 관련 정보를 주주에게 서면 또는 전자공시시스템 공고를 통해 통지하고 있습니다.
가.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개최된 주주총회 일시, 장소, 의안 등 주주총회 관련 정보 제공 전반에 관하여 설명한다.

표 1-1-1: 주주총회 개최 정보

제65기 2차
임시 주주총회
제64기
정기 주주총회
65기 1차
임시 주주총회
64기 2차
임시 주주총회
63기
정기 주주총회
64기 1차
임시 주주총회
정기 주총 여부 X O X X O X
소집결의일 2025-05-09 2025-02-28 2024-12-20 2024-06-20 2024-02-23 2024-02-06
소집공고일 2025-05-13 2025-03-11 2024-12-20 2024-06-24 2024-03-11 2024-02-06
주주총회개최일 2025-05-28 2025-03-26 2025-01-06 2024-07-09 2024-03-26 2024-02-21
공고일과 주주총회일 사이 기간 15 15 17 15 15 15
개최장소 본사/전라남도 나주시 본사/전라남도 나주시 본사/전라남도 나주시 본사/전라남도 나주시 본사/전라남도 나주시 본사/전라남도 나주시
주주총회 관련사항 주주통보 방법 소집통지서 발송,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 소집통지서 발송,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 소집통지서 발송,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 소집통지서 발송,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 소집통지서 발송,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 소집통지서 발송,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
외국인 주주가 이해가능한 소집통지 실시 여부 O O O O O O
통지방법 해외 공시를 통한 영문 소집 통지 해외 공시를 통한 영문 소집 통지 해외 공시를 통한 영문 소집 통지 해외 공시를 통한 영문 소집 통지 해외 공시를 통한 영문 소집 통지 해외 공시를 통한 영문 소집 통지
세부사항 이사회 구성원 출석 현황 6명 출석 5명 출석 6명 출석 5명 출석 6명 출석 5명 출석
감사 또는 감사위원 출석 현황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주주발언 주요 내용 (1) 발언주주 : 3인
- 최대주주(정부) 1명
- 개인주주 2명
(2) 주요 발언 요지 : 안건 찬성에 대한 발언
(1) 발언주주 : 3인
- 최대주주(정부) 1명
- 개인주주 2명
(2) 주요 발언 요지 : 안건 찬성에 대한 발언
(1) 발언주주 : 3인
- 최대주주(정부) 1명
- 개인주주 2명
(2) 주요 발언 요지 : 안건 찬성에 대한 발언
(1) 발언주주 : 3인
- 최대주주(정부) 1명
- 개인주주 2명
(2) 주요 발언 요지 : 안건 찬성에 대한 발언
(1) 발언주주 : 5인
- 최대주주(정부) 1명
- 개인주주 4명
(2) 주요 발언 요지 :
안건 찬성 및 경영 여건 개선에 대한 발언
(1) 발언주주 : 4인
- 최대주주(정부) 1명
- 개인주주 3명
(2) 주요 발언 요지 :
안건 찬성 및 경영 여건 개선에 대한 발언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가 주주총회 관련하여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지 못한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현재 당사는 법적 기한을 준수하기 위해 이사회 결의 직후 주주총회소집결의 공시 및 주주총회 개최 2주 전 소집통지 및 공고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연결결산 일정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 등으로 인하여 부득이하게 주주총회 4주 전 통지는 준수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 주주총회와 관련하여 충분한 기간 전에 주주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1200] (세부원칙 1-2) -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전자투표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주주 의결권이 원활히 행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가. 주주의 직접 또는 간접 의결권 행사 전반에 관한 사항을 설명한다.
(1) 최근 3개 사업연도간 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서면투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현황 등

당사는 62, 63, 64기 정기주주총회를 집중일 외의 일자에 개최하여 주주의 참석이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주주가 참석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모색하겠습니다.

표 1-2-1: 정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접근성

구분 제64기 정기주주총회 제63기 정기주주총회 제62기 정기주주총회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미해당 미해당 미해당
정기주주총회일 2025-03-26 2024-03-26 2023-03-28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여부 O O O
서면투표 실시 여부 X X X
전자투표 실시 여부 O O O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여부 X X X
(2)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개최된 주주총회의 안건 별 찬반 비율 및 내용

표 1-2-2: 주주총회 의결 내용

결의 구분 회의 목적사항 가결 여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1) (1) 중 의결권 행사 주식수 찬성주식수 찬성 주식 비율 (%) 반대 기권 등 주식수 반대 기권 등 주식 비율 (%)
65기 2차 임시
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상임이사(정치교) 선임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69,488,199 417,919,268 89.0 51,568,931 11.0
64기
정기
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2024회계연도 연결재무제표, 별도재무제표 및 부속서류(안) 승인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64,789,138 459,937,089 99.0 4,852,049 1.0
제2호
의안
보통(Ordinary) 2025년도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64,789,138 462,491,873 99.5 4,852,049 1.0
65기 1차
임시
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상임이사(안중은) 선임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56,649,381 426,269,508 93.3 30,379,873 6.7
64기 2차
임시
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비상임감사위원(이성호) 선임의 건 가결(Approved) 326,970,387 140,926,166 139,631,135 99.1 1,295,031 0.9
63기
정기
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2023회계연도 연결재무제표, 별도재무제표 및 부속서류(안) 승인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56,130,852 452,144,375 99.1 3,986,477 0.9
제2호
의안
보통(Ordinary) 2024년도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56,130,852 452,144,375 99.1 3,986,477 0.9
64기 1차
임시
주주총회
제1호
의안
보통(Ordinary) 상임이사(오흥복) 선임의 건 가결(Approved) 641,964,077 447,188,270 403,933,823 90.3 43,254,447 9.7
나. 주주총회 의결 사항 중 반대 비율이 높거나 부결된 안건이 있는 경우 주주와의 소통을 위한 노력 및 내역을 기재한다.

해당내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가 주주총회 등 의사결정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도록 충분한 조치를 취하지 못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전자투표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주주 의결권이 원활히 행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62, 63, 64기 정기주주총회는 집중일 외의 일자에 개최하여 주주의 참석이 용이하도록 하였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향후에도 주주 의결권 행사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201300] (세부원칙 1-3) - 기업은 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의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질의하고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상법에 근거하여 주주제안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제안된 의안이 법령이나 정관에 위배 되지 않을 경우, 이사회 의결을 통해 주주총회의 목적 사항으로 상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가. 주주제안권과 관련된 사항과 관련하여 아래의 사항을 설명한다.
(1) 주주제안 관련 절차를 홈페이지 등을 통해서 상세히 안내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N(X)

주주제안 절차에 대하여 질의하는 주주들에게는 유선 및 서면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사례가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홈페이지 안내 등의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았으나, 향후 주주의 편의를 더욱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주주가 제안한 의안을 처리하는 절차와 기준과 관련된 규정이 마련되어 시행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상법에서 규정하는 제안 요건에 근거하여 주주제안권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제안된 의안이 법령이나 정관에 위배되지 않을 경우, 이사회 의결을 통해 주주총회의 목적 사항으로 상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주주총회 시 의사진행 방해 의도가 명백한 경우를 제외하고, 주주의 발언을 존중하며 주주총회 안건에 대하여 주주들이 자유롭게 질의하고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참석 주주에게 발언 기회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제안 내역 및 이행 상황
주주제안 여부
N(X)

당사의 공시 대상기간 직전 사업연도 개시시점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접수된 주주제안에 대한 내역은 없었으므로,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표 1-3-1: 주주 제안 현황

제안 일자 제안주체 구분 주요 내용 처리 및 이행 상황 가결 여부 찬성률 (%) 반대율 (%)
(4)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기업이 접수한 공개서한의 주요 내용 및 처리 현황
공개서한 접수 여부
N(X)

당사의 공시 대상기간 직전 사업연도 개시시점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접수된 기관투자자 공개서한에 대한 내역은 없었으므로,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표 1-3-2: 공개서한 현황

발송일자 주체 주요 내용 회신 일자 수용 여부 회신 주요 내용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주주들의 주주제안권 행사를 용이하게 하는 정책과 관련하여 부족한 사항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주주제안 절차에 대하여 질의하는 주주들에게는 유선 및 서면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개최된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사례가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홈페이지 안내 등의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았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향후 주주의 편의를 더욱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01400] (세부원칙 1-4) - 기업은 배당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을 마련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정책으로 배당을 시행중이며, 이에 대한 안내는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 보고서, IR활동, 배당결정공시 등을 통해 수행하고 있습니다.
가. 주주환원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고 주주들에게 충분히 안내하고 있는지 다음의 사항을 설명한다.
(1) 배당을 포함한 기업의 주주환원정책 수립 여부
시행 여부
N(X)

당사는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으로 상법462, 정관48, 51, 한국전력공사법14, 15조에 따라 배당을 시행하고 있으며, 향후 투자계획, 래 현금흐름, 재무구조 및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배당을 결정합니다.

회사의 성장잠재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주주들의 배당에 대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적정한 배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을 수립해 나가겠습니다.

(2) 주주환원정책을 주주들에게 안내하는 방식 및 주주환원 정책을 영문자료로 제공하는지 여부
연1회 통지 여부
N(X)
영문자료 제공 여부
N(X)

당사의 배당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 결의를 거쳐 정기주주총회에서 최종 결정되며, 이사회 및 정기주주총회에서의 배당 관련 결정사항(배당실시계획)을 전자공시를 통해 즉시 공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보고서에 최근 3개 사업연도별 주요 배당지표를 공시하고, 당사의 홈페이지에 최근 5개 사업연도별 배당지급 관련 정보에 대하여 안내하고 있으나, 최근 지속된 누적적자의 해소와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배당정책이 필요함에 따라 별도 공시는 하지 않고 있습니다.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현금배당을 실시했다면 배당 기준일 이전에 배당결정을 하여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였는지 여부
정관반영 여부
N(X)
시행 여부
N(X)

당사는 2024 회계연도 흑자 전환에 따라 주당 213원의 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배당기준일은 정관 제15조에 따라 2024년도 결산기말(‘24.12.31)이었고, 배당확정일은 주주총회 의결일(’25.3.26)로 배당주주 결정 후 배당액이 확정되었습니다. 당사는 향후 주주의 배당 예측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표 1-4-1: 배당기준일과 배당액 확정일

결산월 결산배당 여부 배당기준일 배당액 확정일 현금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여부
배당 12월(Dec) O 2024-12-31 2025-03-26 X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주주환원 정책의 수립 마련 및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한 점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에 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정책으로 배당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안내는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 보고서, IR활동, 배당결정공시 등을 통해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지속된 누적적자의 해소와 급변하는 대내외 경영여건을 고려한 유연한 배당정책이 필요함에 따라 별도 공시는 하지 않고 있으며, 주주의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고 방안은 현재 검토 중에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주주들의 배당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면서도, 투자계획과 재무건전성을 고려한 적정 수준의 배당을 시행할 예정이며,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201500] (세부원칙 1-5) -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준의 배당 등을 받을 주주의 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상장 공기업으로서 배당을 통한 주주환원을 시행중이며, 적절한 수준의 배당을 받도록 노력함과 동시에 주주들에게 과거 배당에 관한 안내를 충실히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가. 최근 회사가 시행한 주주환원 관련 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1) 배당관련 사항

당사는 2022, 2023 회계연도에 적자로 인하여 배당을 실시하지 못하여 2022, 2023 회계연도 관련 내용의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2024년 배당가능이익에는 별도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을 기재하였습니다.

※ 한국전력공사법 제14조(이익금의 처리) 및 정관 제48조(이익금의 처리)에 따라 배당가능이익은 당해 결산연도 당기순이익에서 이월손실금 보전 및 이익준비금 적립액을 제한 금원으로 산정

표 1-5-1-1: 최근 3개 사업연도 주주환원 현황

일반현황 주식배당 현금배당(단위 : 원)
연도 결산월 배당가능 이익 총 배당금 주당 배당금 시가 배당률 (%)
당기 보통주 2024년 12월(Dec) - 829,338,815,456 136,738,348,401 213 1.0
종류주 2024년 12월(Dec) -
전기 보통주 2023년 12월(Dec) -
종류주 2023년 12월(Dec) -
전전기 보통주 2022년 12월(Dec) -
종류주 2022년 12월(Dec) -

표 1-5-1-2: 최근 3개 사업연도 현금배당 성향

구분 당기 전기 전전기
연결기준 (%) 3.8
개별기준 (%) 16.5
(2) 배당 외에 회사가 실시한 주주환원 관련사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해 설명한다.

해당내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가 적절한 수준의 주주환원을 받을 주주의 권리 존중과 관련하여 부족한 점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한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상장 공기업으로서 배당을 통하여 주주환원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2, 2023 회계연도에 적자로 인하여 배당을 실시하지 못하였으나, 배당 결정 시에는 적절한 수준의 배당을 받도록 노력함과 동시에 주주들에게 과거 배당에 관한 사항 등을 충실히 안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향후에도 적절한 수준의 주주환원을 받을 주주의 권리 존중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겠습니다.

[202000] (핵심원칙 2) 주주는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을 부여받아야 하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202100] (세부원칙 2-1) - 기업은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고자 최선을 다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공정공시를 통해 분기·연간 실적을 발표하고, 홈페이지에 IR 자료를 함께 공시하고 있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현재 주식발행 정보 전반에 대하여 다음의 사항을 설명한다.
(1) 주식 발행 현황

아래 표 2-1-1-1의 보통주, 종류주 칸 공란에 대한 참고사항입니다. 당사의 발행가능 주식 총수는 정관 제6조에 따라 12억주이며, 그 중 기명식 종류주식의 발행가능 주식총수는 제7조의2 제1항에 따라 1억5천만주입니다.

표 2-1-1-1: 발행가능 주식총수(주)

보통주 종류주 발행가능 주식전체
1,200,000,000

표 2-1-1-2: 주식발행 현황 세부내용

발행주식수(주) 발행비율 (%) 비고
보통주 641,964,077 53.50 기명식 보통주식
종류주 0 0.00 무의결권 배당우선주식
(2) 종류주식별 의결권 부여 내용 및 사유, 종류주주총회 실시내역

당사는 해당내역이 없어 위 사항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발행한 보통주식은 모두 기명식이며, 상법 제369조에 따라 1주당 1개의 의결권이 있습니다. 다만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경우 상법 제542조의12에 따라 의결권이 있는 주식수의 3%를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대하여 의결권이 제한됩니다. 당사는 주주의 고유 권한인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상법 및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의 공평한 의결권 보장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와의 의사소통 관련사항 전반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주요 IR, 컨퍼런스콜, 기관투자자 등 주주와의 대화 관련 사항

당사는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하고 공평하게 제공한다는 원칙 하에 회사 홈페이지와 전자공시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매년 2, 5, 8, 11월에 분기별 실적발표를 위한 컨퍼런스콜을 실시하고 있으며, 본사가 전남 나주혁신도시로 이전한 후 NDR, 컨퍼런스콜 등을 통해 국내외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IR활동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공시대상기간 사업연도 개시시점부터 공시서류제출일 현재까지 주요 IR활동 내역입니다.

일자

대상

형식

주요내용

2024.1.3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1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6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9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3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31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2.13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2.23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234분기 실적발표

2024.2.29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7

신용평가사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7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8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13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19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2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26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28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3.28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9

상장유관기관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9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11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1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16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23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26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4.26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5.10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241분기 실적발표

2024.5.2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5.2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5.22

기관투자자

IR 컨퍼런스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5.27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5.28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5.3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6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13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13

애널리스트

소통행사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14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19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6.26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7.2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7.16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7.17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7.18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8.2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8.8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242분기 실적발표

2024.8.21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8.26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3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3

기관투자자

IR 컨퍼런스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0

기관투자자

소통행사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0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0

상장유관기관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1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1

신용평가사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2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2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2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13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9.2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2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8

기관투자자

IR 컨퍼런스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1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28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29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29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0.3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13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243분기 실적발표

2024.11.18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19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2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2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21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22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2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1.28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5

상장유관기관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5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9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11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13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17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4.12.2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1.7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1.1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1.21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1.24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6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1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17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21

기관투자자

IR 컨퍼런스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2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2.28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244분기 실적발표

2025.3.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5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7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7

신용평가사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1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10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12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14

기관투자자

IR 컨퍼런스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20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2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2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3.28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1

기관투자자

수시면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2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7

기관투자자

IR 컨퍼런스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16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18

기관투자자

NDR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24

기관투자자

대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24

기관투자자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25

기관투자자

대면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4.29

신용평가사

컨퍼런스콜

재무 및 경영현황 등 투자정보

2025.5.13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251분기 실적발표

대외 홈페이지 주주질의 게시판 질의·답변 99

(2) 소액 주주들과 따로 소통한 행사가 있다면 그 내용
별도행사 개최 여부
N(X)

당사는 소액주주들과 별도로 소통행사를 시행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3) 해외투자자와 따로 소통한 행사가 있다면 그 내용

당사는 20249월 미국 뉴욕에서 해외투자자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를 개최하여, 회사 경영상황 및 중장기 재무목표 등 기업현안을 설명하고 소통하는 행사를 시행하였습니다.

(4) 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해 IR 담당부서의 전화 번호 및 이메일 주소 공개 등을 통해 문의 창구를 상세히 안내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실적발표 일정은 거래소 공시시스템에 게재된 공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시 IR 일정과 관련해서는 당사 홈페이지(https://home.kepco.co.kr) - IR센터-IR행사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주주들이 IR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당사 홈페이지의 IR정보-IR자료실에 IR프레젠테이션을 게재하고 있으며 IR담당부서의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외국인 주주를 위한 영문사이트를 운영 중에 있으며, Investor Relation 메뉴를 국문 홈페이지와 동일하게 운영, 자료를 게재하고 있습니다. (http://home.kepco.co.kr/kepco/EN)

(5) 외국인 주주를 위한 영문 사이트 운영, 담당직원 지정 및 외국어로 상담이 가능한 연락처를 공개하는지 여부와 영문 공시 내역
영문 사이트 운영 여부
Y(O)
외국인 담당 직원 지정
Y(O)
영문공시 비율
5

당사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미국주식예탁증서(ADR)을 상장(’94.10.27)한 법인으로서 EDGAR*시스템을 통해 영문공시를 제출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시장에서는 2024년부터 시장에서 필요한 정보를 중심으로 영문공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에서도 외국인주주를 위한 영문공시를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 http ://www.sec.gov 접속한 후 filings>EDGAR filing search 에서

한국전력공사 영문회사명(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조회 가능

(6)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 공시 관련 제재 내역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여부
N(X)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사업연도 개시시점부터 공시서류제출일 현재까지 불성실공시기업으로 지정된 적은 없습니다.

표 2-1-3: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내역

불성실 공시유형 지정일 지정사유 부과벌점 제재금(단위 : 원) 지정 후 개선노력 등
라.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주주에게 기업의 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지 못한 점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먼저 당사는 분기 및 연간 실적을 공시기준 및 기한을 준수하여 공정공시를 통해 실적을 발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IR 관련 자료를 홈페이지에 함께 공시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공시사항 발생 시, 기한 내 공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주에게 당사의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공평하게 제공하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이며, 적극적으로 IR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202200] (세부원칙 2-2) - 기업은 지배주주 등 다른 주주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운영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임직원의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 방지를 위해 사내 윤리규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회사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주요 거래내역을 파악하고 공시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가.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와 관련한 기업의 통제 장치(정책)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 통제 정책 전반
시행 여부
Y(O)

당사의 임직원 행동강령임직원 행동지침은 임직원의 자기거래를 방지하고, 사적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부당행위를 통제하며 공정하게 업무를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임직원 행동강령4조에서 공정한 직무수행을 해치는 사항에 대하여 징계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14조에서 직무관련 정보를 이용한 거래 등을 금지하는 등 내부거래금지 관련 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공시관리규정의 임직원의 불공정거래 금지 조항에 따라 임직원이 업무 등과 관련된 미공개 중요정보를 특정증권 등의 매매, 그 밖의 거래에 이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2)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와 관련하여 포괄적 이사회 의결이 있다면 그 내용과 사유

공시대상기간(’24.1.1~12.31)동안 당사와 종속회사의 주요 내부거래는 다음과 같으며 내부거래, 자기거래 관련하여 포괄적 이사회 의결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회사의 명칭

주요거래내용

매출

매입

한국수력원자력()

전력거래등

853,341

13,086,044

전력설비등

66,216

-

임대차거래등

1

3,036

기타거래

153,776

808,719

한국남동발전()

전력거래등

62,297

5,153,694

전력설비등

9,431

-

임대차거래등

-

2,198

기타거래

2,338

428,909

한국중부발전()

전력거래등

68,760

6,850,322

전력설비등

11,874

-

임대차거래등

-

2,433

기타거래

3,015

457,522

한국서부발전()

전력거래등

110,649

5,859,375

전력설비등

13,621

-

임대차거래등

-

354

기타거래

4,183

531,394

한국남부발전()

전력거래등

76,043

6,213,298

전력설비등

13,359

-

임대차거래등

-

1,664

기타거래

1,564

503,555

한국동서발전()

전력거래등

33,662

5,089,446

전력설비등

8,989

-

임대차거래등

-

1,101

기타거래

1,373

445,673

한국전력기술()

전력거래등

1,886

-

기타거래

10,256

7,076

한전KPS()

전력거래등

2,448

-

임대차거래등

8

-

기타거래

50,090

111,602

한전원자력연료()

전력거래등

8,670

-

기타거래

21,133

50,138

한전KDN()

전력거래등

1,481

-

임대차거래등

367

-

기타거래

450

567,879


회사의 명칭

주요거래내용

매출

매입

코스포영남파워()

전력거래등

1,765

412,037

전력설비등

200

-

기타거래

45

3

한전MCS()

전력거래등

145

-

임대차거래등

2,174

-

기타거래

1,064

291,670

한전FMS()

전력거래등

1

-

임대차거래등

143

-

기타거래

150

108,878

경기그린에너지()

전력거래등

36

24,931

한국해상풍력()

전력거래등

167

14,917

임대차거래등

14

-

기타거래

421

-

희망빛발전()

전력거래등

4

236

기타거래

16

112

켑코이에스()

기타거래

1,821

19

켑코솔라()

전력거래등

117

7,214

기타거래

2,943

9,769

()코엔서비스

전력거래등

119

-

중부발전서비스()

전력거래등

4

-

코웨포서비스()

전력거래등

18

-

제주한림해상풍력()

전력거래등

232

14,123

기타거래

417

83

인천연료전지()

전력거래등

47

38,814

퍼스트키퍼스()

전력거래등

16

-

시큐텍()

전력거래등

8

-

한전CSC()

전력거래등

-

-

임대차거래등

684

-

기타거래

385

49,326

파주에코에너지()

전력거래등

15

7,399

()케이솔라신안

전력거래등

-

27,361

전력설비등

45

-

케이피에스파트너스()

전력거래등

2

-

()모하솔라

전력거래등

241

-

전력설비등

4

-

정암풍력발전()

전력거래등

85

5,120


회사의 명칭

주요거래내용

매출

매입

()영양아폴론태양광

전력거래등

2

-

기타거래

-

194

()영양코퍼레이션

전력거래등

2

-

기타거래

-

190

()솔라베이더

전력거래등

1

-

기타거래

-

195

()영양이노베이션

전력거래등

2

-

기타거래

-

188

()영양호루스태양광

전력거래등

2

-

기타거래

-

184

()영양솔라매니지먼트

전력거래등

2

-

기타거래

-

198

영덕해맞이풍력발전()

전력거래등

55

3,469

에스이그린에너지()

전력거래등

16

18,817

탐라해상풍력발전()

전력거래등

76

3,554

에너지신산업전문투자사모투자신탁

기타거래

7,820

-

서부발전창기태양광()

전력거래등

75

2,763

전력설비등

49

-

창죽풍력발전()

전력거래등

19

3,941

()상공에너지

전력거래등

257

5,292

기타거래

-

16

경주풍력발전()

전력거래등

116

11,001

해외종속기업(18개사)

기타거래

251,161

144


(3) 지배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역

공시대상기간 동안 지배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은 없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정책 중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 계획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임직원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회사와 특수관계자 사이의 중요한 거래내역을 파악하고 적절히 공시하기 위한 내부 시스템을 운영해나가겠습니다.

[202300] (세부원칙 2-3) - 기업은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정책에 있어 주주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주주의 권익보호를 위해 주주가 회사의 주요사업과 관련 정보를 적기에 충분히 제공 받고, 보다 쉽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대외 홈페이지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에 대한 소액주주 의견 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한 회사의 정책을 설명한다.
정책마련 여부
N(X)

당사는 주주의 권익보호를 위해 주주가 회사의 주요사업과 관련 정보를 적기에 충분히 제공 받고, 보다 쉽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대외 홈페이지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향후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과 같은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이 발생할 경우 주주보호를 위해 필요한 방안을 적극 시행하겠습니다.

나. 공시 대상기간에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이 있었거나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 경우 소액주주의견 수렴, 반대주주 권리 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해 시행한 내용을 설명한다.
계획 여부
N(X)

당사의 공시 대상연도 내에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의 내역은 없습니다.

다.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자본조달 사항이 있는 경우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발행 여부
N(X)
(1)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채권 등 발행 현황

해당내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2) 공시대상기간 내에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자본조달이 있는 경우 의사결정과정에서 소액주주 등의 이해를 고려했는지 여부

해당내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3) 공시대상기간내에 주식관련사채 등 발행 또는 약정위반(기한이익 상실)으로 인한 지배주주 변동 내용

해당내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라.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의 소유 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 과정에 있어서 소액주주의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에 중 부족한 부분이나 개선 계획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주주의 권익보호를 위해 주주가 회사의 주요사업과 관련 정보를 적기에 충분히 제공 받고, 보다 쉽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대외 홈페이지 등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기업의 소유 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 조달 과정에 있어서 소액주주의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 보호에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개선하기 위해 향후 최선의 노력을 다할 예정입니다.

[300000] 3. 이사회

[303000] (핵심원칙 3)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이익을 위하여 기업의 경영목표와 전략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감독하여야 한다.

[303100] (세부원칙 3-1) -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이사회는 상법에 근거하여 설치된 회사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서, 관련 법령 및 정관상에 규정된 경영 목표, 예산, 중장기 전략 등 회사경영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의결합니다.
가. 이사회가 기업운영의 중심으로서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기업이 운영하고 있는 제도 등 관련 사항 전반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정관 또는 이사회 규정 등으로 정하고 있는 이사회 심의 ㆍ 의결사항을 설명하고 법상 의무 외 추가 강화된 내용이 있다면 그 이유 및 효과

당사 이사회의 의결 및 보고 사항은 정관38조 및 38조의2, 이사회 규정4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결사항

보고사항

1. 경영목표, 예산(정원 포함), 자금계획 및 운영계획,

중장기재무관리계획

2. 예비비(정부경영평가 성과급 제외) 사용

3. 기말결산

4. 20kW이상 발전소, 300억원 이상인 고정자산(발전소 및 송변전설비 제외)의 취득(신증설 포함) 및 처분

5. 장기 송변전 설비계획

6. 장기차입금의 차입 및 사채의 발행과 그 상환계획

7. 전기요금 조정

8. 잉여금의 처분

9. 다른 법인의 지분을 10%이상 취득(중소기업 금융지원의 경우 20%이상 지분취득) 또는 다른 법인에 30억원 이상 출자

92. 다른 기업체 등에 대한 5억원을 초과하는 출연

(사회공헌 목적의 단순기부금 제외)

10. 다른 기업체 등에 대한 채무보증

11. 정관의 변경

12. 주요 규정의 제정 및 개정

13. 주주총회의 소집과 이에 제출할 의안

14. 신주의 발행, 실권주 및 단주의 처리

15. 증자, 감자

16. 재평가액의 확정

17. 해산

18. 연구 및 기술개발계획

19. 투자회사의 합병, 해산 및 채무보증

20. 임원추천위원회의 구성 및 임원후보 심사기준의 결정

21. 사장과의 경영계약안

22. 사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여 이사회의 심의·의결을 요청하는 사항

23. 사장 해임건의 요청

24. 본사 본부급 이상 직제의 확대 및 지역본부, 지사 신설

25. 임원의 보수

26. 당초 의결한 내용에서 총 사업비가 10% 이상 또는 100억원 이상 증액되거나 주요 내용의 현격한 변경이 있을 경우 그 변경계획

27. 거래금액이 자본총계 또는 자본금 중 큰 금액의 100분의 5 이상이거나 500억원 이상 내부거래

28. 기타 사장 및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사항

1. 상반기 결산

2. 국정감사, 공공기관운영법 제43조 제1항의 규정에 따라 실시된 회계감사와 동법 제52조의 규정에 따라 감사원이 실시한 감사에서 지적된 사항과 그에 대한 조치 계획 및 실적

3. 회사의 단체협약 결과와 그에 따른 예산소요 추계(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에 한한다)

4. 감사위원회의 회사 업무와 회계에 대한 감사 결과

5. 사업연도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용 실태

6. 공공기관운영법 시행령 제20조의 규정에 따른 소명 사실

7. 본사 처()급 직제확대를 포함한 대규모 조직 개편 결과

8. 원전비리 방지를 위한 원자력 발전사업자등의 관리·감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운영계획

9. 그 밖에 이사회가 사장에게 보고하도록 요구하는 사항


당사 이사회는 법령 및 정관으로 규정한 의결사항 외에도 업무 집행과 관련하여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사항은 의안으로 제출할 수 있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사항으로 명시된 것 외에도 그 밖에 이사회가 보고하도록 요구하는 사항 규정하고 있어 관련 법상 의무화된 사항이 아닌 경우에도 이사회의 심의나 의결이 필요하다고 인정될 만한 건들에 대해 적극적으로 안건을 상정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의 권한 중 이사회 내 위원회 및 대표이사(또는 대표집행임원)에게 위임된 사항

이사회는 이사회 규정43항을 통하여 의결사항 중에서 경미하다고 인정하는 사안에 대하여는 그 범위를 정하여 사장이 결정하게 위임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사회 규정13조를 통하여 긴급을 요하는 사항으로서 이사회를 개최할 여유가 없거나 개최할 수 없을 때에는 사장이 사전 집행하고 최단 시일 내에 이사회에 부의하여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이사회가 긴급집행을 승인하지 아니할 경우에는 그 조치는 장래에 한하여 효력을 상실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가 경영의사 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사항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이사회의 활성화와 역할 강화를 위해 이사회 사무국장의 관할 하에 부서 책임자 및 차장, 직원 등 4명이 경영정보 제공, 사전 설명, 기타 요청사항 등 비상임이사 직무수행에 필요한 제반 업무를 지원하고 있으며, 당사의 이사회는 앞으로도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나가겠습니다.

[303200] (세부원칙 3-2) - 이사회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 이사회는 최고경영자인 사장의 선임이 필요한 경우 이사회를 개최하여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후보자 심사기준을 심의·의결합니다.
가. 최고경영자승계정책이 마련되어 있다면 그에 관한 내용에 대해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승계정책의 수립 및 운영 주체
승계정책 수립 여부
Y(O)

당사의 최고경영자인 사장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선임합니다. 최고경영자(사장)의 임기가 만료되거나 또는 그 밖에 사유로 새로이 선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임원추천위원회를 구성하여 후보자를 모집하고, 기획재정부 산하 공공기관 운영위원회3~5배수의 후보자를 추천하여 심의·의결 후 주주총회 의결 및 주무기관의 장(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제청을 거쳐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2) 후보(집단)선정, 관리, 교육 등 승계정책의 주요 내용
후보 선정
Y(O)

사장후보추천위원회는 5~15인 이내로 구성(비상임이사의 수가 과반수 이상)하며, 위원장은 비상임이사 중에서 선임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사장후보추천위원회는 공기업·준정부기관의 경영에 관한 지침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심사기준을 정하여 이에 따라 적격 후보자를 추천하고 있으며, 심사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력산업분야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

2. 조직관리 및 기업경영 능력

3. 개혁 지향적 의지와 추진력

4. 최고경영자로서의 전략과 비전

5. 청렴성과 도덕성 등 건전한 기업윤리의식

당사 사장의 임기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8조에 따라 3년이며, 경영실적 평가에 따라 1년 단위로 연임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정관28조에 따라 사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상임이사 중에서 직제규정이 정하는 순서에 의하여 그 직무를 대행하고 상임이사 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할 수 없을 때에는 비상임이사 중에서 선임비상임이사, 선임자, 연장자의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합니다.

(3) 공시대상기간동안 후보군에 대한 교육 현황
후보 교육
N(X)

당사는 앞서 언급한 공모 및 추천과정을 통해 신임 사장을 선임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후보군에 대한 별도의 교육은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4)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최고 경영자승계정책을 개선·보완한 사항이 있다면 그 내용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최고경영자승계정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최고경영자인 사장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선임됩니다. 또한 사장후보추천위원회는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심사기준을 정하여 이에 적합한 후보자를 추천하고 있으므로 후보군에 대한 별도 교육은 실시되고 있지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 당사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과 관련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겠습니다.

[303300] (세부원칙 3-3) - 이사회는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이사회는 회사의 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분야별 리스크심의위원회 및 감사위원회 운영을 통해 적절한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가. 회사의 내부통제 정책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1)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전사적인 위험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관리하는 정책이 있는지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전사 리스크관리 정책 마련 여부
Y(O)

한국전력은 다양한 유형의 리스크를 식별·관리하기 위해 전사적 리스크 관리체계를 확립하고, 리스크 관리 총괄 임원(CRO, Chief Risk Officer)를 지정하여 리스크 거버넌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유형별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각 리스크 요인별 리스크 식별 및 진단, 보고, 대응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한국전력은 사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분야(재무·사업·운영)별 리스크심의위원회와 외부감사인 및 이사회 내 감사위원회를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산하 독립된 내부감사기구를 설치하여 내부통제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리스크심의위원회는 과반수 이상의 사외위원으로 구성할 것을 원칙으로 하여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재무적 리스크의 경우 독립적인 외부감사인이 주기적으로 재무제표,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하여 검증 및 평가하여 대외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만으로 구성된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환경, 사회, 지배구조 등 비재무적 리스크와 관련한 주요 보고 및 의사결정사항 등을 검토, 심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준법경영 정책 마련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준법경영 정책 마련 여부
Y(O)

당사는 준법경영을 위하여 내부 감사규정의 제·개정, 윤리규정 제정 등을 감사위원회 및 윤리준법위원회의 의결사항으로 정하고 운영하고 있고, 임직원 행동강령을 바탕으로 임직원의 의사결정과 행동기준을 마련 및 시행하고 있습니다.

(3) 내부회계관리 정책 마련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내부회계관리 정책 마련 여부
Y(O)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내부회계관리규정 마련하고 이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구축하였습니다. 주요 항목별로 세부 통제활동을 만들고 매년 통제활동별 유효성 평가를 시행함으로써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전 직원 대상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을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중요성을 전사적으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당사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책임자는 사장이며, 기획부사장은 내부회계관리자로서 제도의 회계관리·운영조직을 총괄하고 있습니다. 사장은 사업연도마다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주주총회,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에 결과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평가하여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4) 공시정보 관리 정책 마련 여부 및 그 운영 현황
공시정보관리 정책 마련 여부
Y(O)

당사는공시관리규정을 마련하여 모든 공시정보가 관련법규에 따라 정확하고 완전하며 공정하고 시의적절하게 공시될 수 있도록 공시조직을 운영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공시총괄부서는 경영·통합공시의 원활한 업무처리를 위해 공시업무를 총괄 관리하는 본사 기획부서로 정하고 있으며, 공시확인부서는 공시업무의 정확성 및 적시성을 위하여 본사 감사부서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시책임자인 기획부사장이 공시통제제도의 설계 및 운영에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며 공시담당부서(재무처 결산부)에서 사업부서를 대상으로 정기·수시로 공시정보를 수집·검토하는 등 공시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5) 그 밖에 회사가 내부통제를 위해 특별히 시행하고 있는 정책

한국전력의 내부통제시스템은 사전예방 중심의 내부통제와 사후감사 중심의 내부감사활동으로 구분되며, 효과적인 내부견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세밀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내부회계시스템을 전력그룹사 공동으로 구축하여 연결 재무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통제 정책 중 미진한 부분이 있거나 회사의 규모에 맞추어 낮은 단계로 시행하는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대외환경 불안정 속에서도, 에너지 분야에 있어 선제적 기술혁신, 과감한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통해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해외시장 및 신산업 분야를 선점하며, 지역사회와 동반성장하는 기회로 만들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산하 감사위원회, ESG위원회 및 자문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전문적인 시각에서 선제적으로 리스크를 예방하고 최소화하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04000] (핵심원칙 4) 이사회는 효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경영진을 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이사는 다양한 주주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투명한 절차를 통하여 선임되어야 한다.

[304100] (세부원칙 4-1) - 이사회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 사항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사외이사를 두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회 총인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이사회의 독립성을 충실히 보장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 구성현황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지원부서 등 관련 조직도
표 4-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및 이사회내 위원회 조직도
(2)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구성, 이사회 구성원의 연령, 성비 현황 등



표 4-1-2: 이사회 구성 현황

구분 성별 나이(滿) 직책 이사 총 재직기간(월) 임기만료예정일 전문 분야 주요 경력
김동철 사내이사(Inside) 남(Male) 69 사장 20 2026-09-18 공공 (前)국회 제17·18·19·20대 국회의원
전영상 사내이사(Inside) 남(Male) 60 상임감사위원 26 2025-03-06 학계 (前)건국대 행정학과 교수
오흥복 사내이사(Inside) 남(Male) 59 기획부사장 14 2026-02-20 경제계 (前)한전 인재개발원장
정치교 사내이사(Inside) 남(Male) 59 안전&영업배전부사장 0 2027-05-27 경제계 (前)한전 경기북부본부장
안중은 사내이사(Inside) 남(Male) 58 경영관리본부장 4 2027-01-05 경제계 (前)한전 상생협력본부장
서철수 사내이사(Inside) 남(Male) 59 전력계통본부장 17 2025-12-10 경제계 (前)한전 송변전건설단장
한진현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65 의장/
전력계통위원회
위원장
20 2025-08-29 공공 (現)법무법인(유) 광장 고문
(前)산업통상자원부 차관
김종운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67 ESG위원회 위원 32 2024-08-21 공공 (前)나주시의회 6대 의장
나주시청 공무원 직장협의회 초대의장
김준기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59 ESG위원회 위원장 24 2025-05-01 학계 (現)서울대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교수
(前)국회 예산정책처 처장
김성은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68 감사위원 18 2025-11-07 학계 (前)경희대 경영대학 교수
전기위원회 위원
이성호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61 감사위원장 18 2025-11-07 학계 (現)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조성진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68 전력계통위원회
위원
17 2025-12-03 학계 (前)경성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한국수력원자력 비상임이사
강 훈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70 ESG위원회 위원 12 2026-04-30 법조계 (現)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前)청와대 대통령실 법무비서관
이흥렬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55 노동이사 / 전력계통위원회 위원 0 2027-05-06 산업계 (前)전국전력노동조합 기획처장
전국전력노동조합 기획국장
(3)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 위원회의 구성, 의장 및 위원장, 위원회의 주요 역할 등

당사의 이사회 내 위원회로는 감사위원회, 임원추천위원회, ESG 위원회, 전력계통위원회가 있습니다.

표 4-1-3-1: 이사회내 위원회 현황

이사회내 위원회 주요 역할 위원회 총원(명) 위원회 코드 비고
감사위원회 ㆍ회사의 회계 및 업무감사
ㆍ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ㆍ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 점검 등
3
ESG위원회 ㆍESG 관련 이사회 안건 사전심의
ㆍESG 관련 주요 경영현안 심의
ㆍESG 경영전략 및 관련 사업계획 수립에 대한 자문 제공 등
4
임원추천위원회 ㆍ임원후보자의 모집방법 결정
ㆍ임원후보자 심사 및 추천될 자의 결정
ㆍ사장 후보로 추천하고자 하는 자와 경영계약안 협의
ㆍ기타 임원후보자 추천과 관련된 업무
5 임원추천위원회는 당사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한 위원으로 구성되며, 위원 정수는 5명에서 15명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 의결로 정하고 있습니다. 위원회 총원은 최소 인원수로 기재하였습니다.
전력계통위원회 ㆍ이사회 의결을 요하는 전력계통 분야 주요안건 사전 검토
ㆍ이사회 요청 전력계통 관련 주요 추진계획 등 경영현안 심의
ㆍ전력계통 주요 정책 추진계획 및 이행실적 점검 및 환류
4

표 4-1-3-2: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

직책 구분 성별 겸임
감사위원회 이성호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김성은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여(Female)
전영상 위원 사내이사(Inside) 남(Male)
ESG위원회 김준기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강훈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김종운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오흥복 위원 사내이사(Inside) 남(Male)
임원추천위원회
(5~15인)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하는 위원
전력계통위원회 한진현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조성진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이흥렬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남(Male)
서철수 위원 사내이사(Inside) 남(Male)
(4) 회사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이사회내 위원회를 설치하였다면 그 구체적인 기능 및 역할
ESG 위원회 설치 여부
Y(O)

ESG 위원회는 비상임이사 3, 상임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SG 관련 주요 경영 현안 심의, ESG 경영전략 및 관련 사업계획 수립에 대한 자문 제공 등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방향성 점검과 이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을 관리·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5)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였는지 여부
이사회 의장이 사외이사인지 여부
Y(O)

당사 이사회는 이사회 규정에 따라 이사의 독립성 확보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상임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맡고 있습니다.

(6) 선임 사외이사, 집행임원제도 도입 여부 및 그 제도 도입 배경 이유, 관련 근거, 현황 등
선임사외이사 제도 시행 여부
Y(O)
집행임원 제도 시행 여부
N(X)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집행임원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의 구성 및 사외이사의 독립성 관련 미진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개선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당시 집행임원 제도를 도입하고 있지 않으나,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시행하고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등 다른 방안을 통해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앞으로도 이사회를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사항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사외이사를 두어 이사회의 독립성을 충실히 보장할 것입니다.

[304200] (세부원칙 4-2) - 이사회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경력 등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 선임 시 이사회의 다양성, 전문성, 책임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이사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전문적인 경력을 가진 경쟁력 있는 이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이사회의 현황에 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의 전문성, 책임성 및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업의 정책 마련 여부와 현황, 이사회가 모두 동일한 성별로 구성된 경우 그 이유
이사회 성별구성 특례 적용기업인지 여부
Y(O)
이사회 구성원이 모두 동성(同性)이 아닌지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 구성 시 성별, 나이, 민족, 국적 또는 문화적 배경에 따른 차별을 두지 않으며, 다양한 기관에 후보자 모집 공고를 의뢰하여 이사회의 다양성과 균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이사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해당 분야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 리더십과 조직관리 능력, 청렴성과 도덕성 등 건전한 윤리의식 및 당사의 특성과 여건을 반영하여 특별히 요구되는 고유 역량 등을 평가하여 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비상임이사는 재무·회계, 공공, 학계, 법조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성을 토대로 이사회 안건에 대한 경영제언 및 자문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 박충근 노동이사는 근로계약 종료(정년퇴직)에 따른 노동이사 지위 상실

표 4-2-1: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구분 최초선임일 임기만료(예정)일 변동일 변동사유 현재 재직 여부
최영호 사내이사(Inside) 2020-11-16 2022-11-15 2023-02-06 사임(Resign) 퇴직
이종환 사내이사(Inside) 2020-11-09 2022-11-08 2023-02-27 만료(Expire) 퇴직
이현빈 사내이사(Inside) 2020-09-14 2022-09-13 2023-02-27 만료(Expire) 퇴직
이정복 사내이사(Inside) 2023-02-27 2025-02-26 2024-07-16 사임(Resign) 퇴직
이준호 사내이사(Inside) 2023-02-27 2025-03-03 2025-03-03 사임(Resign) 퇴직
전영상 사내이사(Inside) 2023-03-07 2025-03-06 2023-03-07 선임(Appoint) 재직
정승일 사내이사(Inside) 2021-06-01 2024-05-31 2023-05-19 사임(Resign) 퇴직
박헌규 사내이사(Inside) 2021-05-28 2023-05-27 2023-06-26 만료(Expire) 퇴직
서근배 사내이사(Inside) 2023-06-26 2025-05-19 2025-05-19 사임(Resign) 퇴직
김동철 사내이사(Inside) 2023-09-19 2026-09-18 2023-09-19 선임(Appoint) 재직
김태옥 사내이사(Inside) 2021-03-25 2023-03-24 2023-11-07 만료(Expire) 퇴직
이흥주 사내이사(Inside) 2021-10-14 2023-10-13 2023-11-07 만료(Expire) 퇴직
서철수 사내이사(Inside) 2023-12-11 2025-12-10 2023-12-11 선임(Appoint) 재직
오흥복 사내이사(Inside) 2024-02-21 2026-02-20 2024-02-21 선임(Appoint) 재직
안중은 사내이사(Inside) 2025-01-06 2027-01-05 2025-01-06 선임(Appoint) 재직
정치교 사내이사(Inside) 2025-05-28 2027-05-27 2025-05-28 선임(Appoint) 재직
방수란 사외이사(Independent) 2020-09-01 2022-08-31 2023-05-01 만료(Expire) 퇴직
박종배 사외이사(Independent) 2020-01-31 2023-01-30 2023-08-29 만료(Expire) 퇴직
박효성 사외이사(Independent) 2021-04-14 2023-04-13 2023-11-07 만료(Expire) 퇴직
이기만 사외이사(Independent) 2021-04-14 2023-04-13 2025-11-07 만료(Expire) 퇴직
이계성 사외이사(Independent) 2021-07-09 2023-07-08 2023-12-03 만료(Expire) 퇴직
김재신 사외이사(Independent) 2021-07-09 2023-07-08 2024-04-30 만료(Expire) 퇴직
박충근*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5-02 2025-05-01 2025-03-31 기타(Other) 퇴직
김종운 사외이사(Independent) 2022-08-22 2024-08-21 2022-08-22 선임(Appoint) 재직
김준기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5-02 2025-05-01 2023-05-02 선임(Appoint) 재직
한진현 사외이사(Independent) 2023-08-30 2025-08-29 2023-08-30 선임(Appoint) 재직
김성은 사외이사(Independent) 2023-11-08 2025-11-07 2023-11-08 선임(Appoint) 재직
이성호 사외이사(Independent) 2023-11-08 2025-11-07 2023-11-08 선임(Appoint) 재직
조성진 사외이사(Independent) 2023-12-04 2025-12-03 2023-12-04 선임(Appoint) 재직
강훈 사외이사(Independent) 2024-05-01 2026-04-30 2024-05-01 선임(Appoint) 재직
이흥렬 사외이사(Independent) 2025-05-07 2027-05-06 2025-05-07 선임(Appoint) 재직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배경, 전문성 및 책임성 측면에서 이사회 구성에 미흡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는 교수, 법조인, 재무·회계전문가 등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전문적인 경력을 가진 경쟁력 있는 이사들로 구성되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경력 등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이사회를 구성하겠습니다.

[304300] (세부원칙 4-3) -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임원 선임과 관련한 모든 절차와 기준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과 정관을 준수하여, 충분한 수준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가. 사내ㆍ사외이사 선임을 위한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을 설치하고 있는지 여부 및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활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설치 여부
Y(O)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위원 중 사외이사 비율 (%)
51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9조 및 동법 시행령 제23조에 의거 한전은 기관장, 상임감사위원 및 비상임이사 후보자 추천을 위해 임원추천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관련 세부사항을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을 통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임원추천위원회는 비상설 기구로서 임원의 임기 만료 및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임원을 새로이 선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구성토록 하고 있으며, 각 위원회의 존속 기간은 해당 임원 선임이 완료되는 시점까지입니다.

임원추천위원회는 당사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한 위원으로 구성되며, 위원 정수는 5명에서 15명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 의결로 정하고, 이사회가 선임한 위원은 위원 정수의 2분의 1 미만으로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사회가 선임하는 위원은 법조계, 경제계, 언론계, 학계 및 노동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중에서 선임하고 있으며, 관련 규정에 의거 한전의 의견을 대변할 수 있는 사람 1명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원추천위원회의 위원장은 비상임이사 중에서 임원추천위원회 위원의 호선으로 선출합니다.

당사는 임원 선임에 있어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임원 후보자 심사기준 및 절차에 대해서는 당사의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및 관련 법령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든 임원 후보자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34, 공직자윤리법17, 상법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2항 등 관계 법령에서 규정한 결격사유 해당여부를 철저히 검증하고 있습니다.

※ 이사후보추천위원회 등 위원 중 사외이사 비율은 1/2를 초과하므로, 51%로 기재였습니다.

나. 주주들에게 이사 후보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검토 시간을 제공하고 있는지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총회에 이사선임 안건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후보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였는지 여부

당사는 이사 후보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제공과 검토를 위한 충분한 시간 확보를 위하여 최소 주주총회 2주 전까지 이사 선임 관련 정보를 주주들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주주총회 시 소수주주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표 4-3-1: 이사 후보 관련 정보제공 내역

정보제공일(1) 주주총회일(2) 사전 정보제공기간(일)((2)-(1)) 이사 후보 구분 정보제공 내역 비고
65기 2차 임시총회 정치교 2025-05-13 2025-05-28 15 사내이사(Inside) 1. 후보자 주요경력(전·현직 포함)
2. 후보자의 추천인, 최대주주와의 관계
3. 법인과의 최초 3년간 거래내역
65기 1차 임시총회 안중은 2024-12-20 2025-01-06 17 사내이사(Inside) 1. 후보자 주요경력(전·현직 포함)
2. 후보자의 추천인, 최대주주와의 관계
3. 법인과의 최초 3년간 거래내역
64기 2차 임시총회 이성호 2024-06-24 2024-07-09 15 사외이사(Independent) 1. 후보자 주요경력(전·현직 포함)
2. 후보자의 추천인, 최대주주와의 관계
3. 법인과의 최초 3년간 거래내역
64기 1차 임시총회 오흥복 2024-02-06 2024-02-21 15 사내이사(Inside) 1. 후보자 주요경력(전·현직 포함)
2. 후보자의 추천인, 최대주주와의 관계
3. 법인과의 최초 3년간 거래내역
(2) 재선임되는 이사 후보의 경우 과거 이사회 활동 내역 공개 여부 및 그 방법과 내용
재선임 이사 활동내역 제공
Y(O)

재선임 진행되는 이사 후보(상임이사)의 경우 주주총회 소집공고 공시를 통해 과거 이사회 활동 내역, 후보자 약력, 후보자와 최대주주와의 관계 등 이사 선임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보고서를 통해 이사회 활동 내역을 공개하고 있으며 주주총회 소집공고 시 비상임이사의 활동내역(이사회, 이사회 내 위원회)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다. 집중투표제 채택 여부를 밝히고 이사 후보 선정과 이사 선임 과정에서 소액주주의 의견청취를 위해 어떤 조치 및 노력을 하는지 설명한다.
집중 투표제 채택 여부
Y(O)

당사는 정관에서 집중투표제를 배제하지 않고 있으므로 상법382조의2 및 제542조의6에 따라 2인 이상의 이사 선임을 목적으로 하는 주주총회의 소집이 있을 때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 이상을 보유한 주주가 청구할 경우에 집중투표제를 채택할 수 있습니다.

라.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 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 확보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재선임 되는 이사 후보(상임이사)의 경우 사업보고서 및 분·반기보고서를 통해 이사회 활동 내역을 주주들에게 공개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당사는 공정성과 독립성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앞으로도 임원 선임과 관련한 모든 절차 및 기준이 되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정관을 준수하여,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과정에서 충분한 수준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겠습니다.

[304400] (세부원칙 4-4) -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및 관련 지침에 따라 임원을 선임하고 있습니다.
가. 미등기 임원을 포함하여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선임에 관해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등기 임원 현황

표 4-4-1: 등기 임원현황

성별 직위 상근 여부 담당업무
김동철 남(Male) 사 장 O 경영 총괄
전영상 남(Male) 상임감사위원 O 감사, 청렴, 내부통제 업무 총괄
오흥복 남(Male) 기획부사장 O 경영전략·평가, 재무·예산, 전력거래, 탄소중립, 요금체계 업무 총괄
정치교 남(Male) 안전&영업배전부사장 O 안전, CS 및 전력판매, 전력수급, 배전설비 건설·운영, AMI 업무 총괄
안중은 남(Male) 경영관리본부장 O 조직 및 인사, 노무, 법무, 홍보, 계약·자재, 정보보안 업무 총괄
서철수 남(Male) 전력계통본부장 O 송변전설비계획·건설·용지보상·갈등관리·운영·보강 및 신기술 업무 총괄
한진현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김종운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김준기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김성은 여(Fe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이성호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조성진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강 훈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이흥렬 남(Male) 비상임이사 X 이사회 안건 심의 및 의결
(2) 미등기 임원 현황

성별

직위

상근여부

담당업무

백우기

영업본부장

상근

CS 및 전력판매, 전력수급, 에너지 효율 업무 총괄

문일주

기술혁신본부장

상근

전력기술·연구·품질,에너지생태계 조성·협력사업 업무 총괄

박복래

원전수출본부장

상근

해외 원자력사업,

UAE 원전사업 업무 총괄


(3)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회사의 정책 및 그 내용
시행 여부
Y(O)

당사는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업·준정부기관의 인사운영에 관한 지침19(직무수행요건 및 자격요건 설정) 및 제20(임원선임의 원칙)에 따라 임원을 선발하며, 1직급 본부장(미등기임원)은 당사의 인사관리지침13조의3에 의거하여 1년 단위 재신임을 원칙으로 하고,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역량평가에 합격한 사람 중에서 선발하고 있습니다.

(4) 보고서 제출일 현재 횡령, 배임 또는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행위,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 사익편취 행위 혐의로 기소되었거나 확정판결의 이력이 있는 자, 외부감사법상 회계처리기준 위반으로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해임권고 등 조치를 받은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어 있는지 여부

당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34조 및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13조에 따라 국가공무원법33(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자는 임원후보에서 배제하고 있으며,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선정된 후보자는 공공기관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임원으로 선정되므로 현재 당사 임원 중 과거 횡령 또는 배임 판결을 받은 자는 없습니다. 이사가 직무와 관련된 사건에 대해 수사기관의 조사 또는 수사를 받게 되는 경우,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53조의2에 따라 수사기관이 당사에 통보를 하게 되므로 임원의 비위사건에 대해 파악이 가능합니다.

(5)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대표 소송이 제기되었다면 그 내용 및 현황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주대표 소송 제기내역은 없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앞으로도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05000] (핵심원칙 5) 사외이사는 독립적으로 중요한 기업경영정책의 결정에 참여하고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경영진을 감독ㆍ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305100] (세부원칙 5-1) - 사외이사는 해당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야 하며, 기업은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비상임이사는 당사 및 계열회사에 재직하고 있지 않으며(노동이사 제외), 당사 또한 비상임이사가 최대 주주이거나 비상임이사가 임직원으로 재직 중인 회사와 거래한 바가 없습니다.
가.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와 해당 기업간의 이해관계 전반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가 과거 해당 기업 및 계열회사에 재직한 경력이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 이흥렬 이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5(공기업 임원의 임면)에 따라 선임된 노동이사이며, 202557일 선임되었음

** 조성진이사의 재직기간에는 한국수력원자력 비상임이사 재직기간 포함

표 5-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재직기간

당사 재직기간(월) 계열회사 포함 시 재직기간(월)
한진현 20 20
김종운 32 32
김준기 24 24
김성은 18 18
이성호 18 18
조성진** 17 38
강 훈 12 12
이흥렬(노동이사)* 350 350
(2) 최근 3년간 사외이사 또는 사외이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와 해당기업(계열회사 포함)간 거래 내역이 있는 경우 그 내역

현재 재임 중인 당사의 비상임이사는 관계 법령 및 내규에서 정하고 있는 자격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므로 당사와 중대한 이해관계는 없습니다.

(3) 최근 3년간 사외이사가 임직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회사와 그 해당 기업간 거래 내역이 있는 경우 그 내역

현재 재임 중인 당사의 비상임이사는 관계 법령 및 내규에서 정하고 있는 자격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으므로 당사와 중대한 이해관계는 없습니다.

(4) 기업이 위 거래 내역을 확인하는 절차 및 관련 규정이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시행 여부
Y(O)

당사는 공정하고 투명한 비상임이사 선임을 위하여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에 비상임이사 후보 추천 절차를 상세히 정하고 있으며, 상법 제382조 제542조의8에서 정하고 있는 비상임이사 결격요건에 대해 철저히 검증합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한 노력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와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으며,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공정하고 투명한 상임이사 선임을 위하여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및 상법 제382조 제542조의8에서 정하고 있는 비상임이사 결격요건에 대해 철저히 검증하겠습니다.

[305200] (세부원칙 5-2) -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상법, 상법 시행령에 의거 당사 외 2개 이상 이사·집행임원·감사 재임 중인 자는 비상임이사로 선임되지 않도록 후보자 공고 시 명시하고 있습니다.
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사항 전반에 대하여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의 타기업 겸직 허용 관련 내부기준
시행 여부
N(X)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및 당사의 정관에서 비상임이사의 겸직을 제한하고 있지 않으며, 비상임이사의 타기업 겸직허용 내부 기준을 별도로 마련하고 있지 않습니다.

(2)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의 타기업 겸직 현황

표 5-2-1: 사외이사 겸직 현황

감사위원 여부 최초선임일 임기만료예정일 현직 겸직 현황
겸직기관 겸직업무 겸직기관 근무시작월 겸직기관 상장 여부
한진현 X 2023-08-20 2025-08-29 법무법인(유) 광장 고문 GS 사외이사 '21.03 상장
김종운 X 2022-08-22 2024-08-21 -
김준기 X 2023-05-02 2025-05-01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호텔신라 사외이사 '22.03 상장
김성은 O 2023-11-08 2025-11-07 - HD현대미포 사외이사 '22.03 상장
이성호 O 2023-11-08 2025-11-07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조성진 X 2023-12-04 2025-12-03 -
강 훈 X 2024-05-01 2026-04-30 법무법인 바른 변호사
이흥렬 X 2025-05-07 2027-05-06 -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가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해서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지 못하는 사항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겸직에 관해 법률에 따른 제한사항 외 별도의 제한사항을 두고 있지 않습니다만 비상임이사의 직무수행을 위한 충분한 검토시간을 지원토록 하는 등 겸직제한 외의 방법으로 이를 보완하고 있습니다. 2024년 당사 이사회 참석률은 95.2%로 비상임이사들은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한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의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305300] (세부원칙 5-3) - 기업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사전설명, 직무 관련 교육, 현안 간담회, 현장 시찰 등을 통하여 비상임이사의 원활한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원을 충실히 시행하고 있습니다.
가. 기업이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하고 있는 정책 및 구체적인 운영 현황을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에 대한 인적·물적 자원 제공 및 사내 정보 등 제공현황

현재 당사는 이사회 사무국을 통하여 비상임이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지원하고 있으며, 이사회 사무국장의 관할하에 해당 부서의 책임자 및 차장, 직원 등 4명이 비상임이사의 안건 검토를 위한 사전 설명, 경영정보 제공, 기타 직무수행에 필요한 요청사항에 대한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사외이사의 정보(자료)제공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전담인력 현황
전담인력 배치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와 관련된 사무를 담당하는 이사회 사무국을 통하여 이사회의 원활한 활동 및 상임·비상임이사에 대한 제반 업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3) 사외이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는 지 여부 및 교육 제공현황
교육실시 여부
Y(O)

당사는 비상임이사의 업무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43월에는 국가핵심산업 전력설비 및 HVDC 현장 점검을 통해 미래 전력망 증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같은해 10월에는 전력연구분야 현황 청취 및 실험설비 시찰을 진행하였으며, 12월에는 내부회계관리 제도에 관련한 이사회 책임 및 역할 교육을 시행하였습니다. 20253월 및 5월에는 해외전력설비 시찰 및 주요 인사 면담을 통해 안건심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에너지 신시장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4)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이사회와 별도로 사외이사들만 참여하는 회의가 있다면 그 내용
사외이사 별도회의 개최 여부
N(X)

공시대상기간 연도 개시시점부터 공시서류제출일 현재까지 비상임이사들만 참여한 회의 개최 내역은 없습니다.

표 5-3-1: 사외이사만으로 이루어진 회의 내역

정기/임시 개최일자 출석 사외이사(명) 전체 사외이사(명) 회의 사항 비고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 직무수행에 필요한 기업의 지원 중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내용을 설명하고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사외이사에 대한 인적·물적 자원 제공 및 사내 정보 등 제공을 통해 이사회의 원활한 활동을 지원하겠습니다.

[306000] (핵심원칙 6) 사외이사의 적극적인 직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들의 활동내용은 공정하게 평가되어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수지급 및 재선임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306100] (세부원칙 6-1) - 사외이사의 평가는 개별실적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결과는 재선임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각 사외이사의 개별실적에 근거하여 직무수행실적을 평가하고 있으며 해당 평가결과는 재선임 결정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가. 사외이사 개인별 평가를 실시하고 그 평가 결과를 재선임에 반영하는지 여부를 다음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의 개별 평가 실시 여부 및 그 구체적인 방법
사외이사 개별평가
Y(O)

당사의 비상임이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36조에 따라 직무수행실적에 대한 평가를 받습니다. 평가 내용에는 해당 이사의 이사회 참석률, 이사회 활동내역, 기여도 등이 있습니다. 2024년 김종운 이사에 대한 직무수행실적을 평가하였습니다.

기재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36조에 의거하여 기획재정부장관이 정한 비상임이사의 직무수행실적 평가기준·방법에 따라 비상임이사에 대한 직무수행실적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의 직무수행실적 평가결과에 따라 1년 단위로 연임될 수 있으며, 임명권자인 기획재정부장관이 연임 여부를 결정합니다.

(2) 사외이사 평가의 공정성 확보 방안

당사는 2023년 이사회 운영시스템을 구축하여 출석률, 발언내용, 경영제언 등을 시스템으로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기반의 계량 평가를 통해 공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3) 사외이사 평가를 재선임에 반영하는지 여부
재선임 여부 반영
Y(O)

평가 결과 그 실적이 저조한 비상임이사에 대하여 운영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해임하거나 임명권자에게 해임을 건의할 수 있습니다. 비상임이사의 직무수행실적 평가결과에 따라 1년 단위로 연임될 수 있으며 임명권자인 기획재정부장관이 연임 여부를 결정합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지 않거나 평가를 하더라도 재선임 결정에 반영하지 않는다면 그 사유 및 앞으로의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비상임이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36조에 따라 직무수행실적에 대한 평가를 받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사외이사의 개별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의 공정성 확보을 확보하여 사외이사 재선임에 반영하겠습니다.

[306200] (세부원칙 6-2) - 사외이사의 보수는 평가 결과,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보수지침에 따라 연간 보수 한도 3천만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월정액과 회의 참석비로 구분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가. 사외이사의 보수에 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사외이사의 보수 정책 내용과 그 정책 수립배경, 구체적인 보수의 산정 기준
사외이사 보수 정책 수립
Y(O)

비상임이사에 대한 보수는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보수지침5조에 의거하여 월정액 또는 회의참석수당 등을 포함하여 연 30백만원을 상한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규정에 의거하여 비상임이사에게는 회의참석여비, 이사회 업무와 관련되는 출장여비, 자료의 수집·분석에 필요한 수수료 및 직무 수당 등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비상임이사에 대한 보수내역은 정기공시를 통해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단위:)

구 분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2024

8

240,000,000

29,500,000

* 평균인원에는 수당 미지급 대상 사외이사(노동이사)는 미포함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다면 그 수량 및 행사조건 관련 구체적인 사항
스톡옵션 부여 여부
N(X)
성과 연동 여부
N(X)

보고서 제출일 기준 당사는 비상임이사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사외이사의 평가 결과와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보수가 결정되는데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의 비상임이사의 보수는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보수지침5조에 의거하여 월정액 또는 회의참석수당 등을 포함하여 연 30백만원을 상한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비상임이사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비상임이사에 대한 보수내역을 정기공시를 통해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307000] (핵심원칙 7)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의 이익을 위한 최선의 경영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307100] (세부원칙 7-1) - 이사회는 원칙적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되어야 하며,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이사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매월 1회 정기이사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사회 규정」을 통해 이사회의 운영에 관한 전반적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 운영 전반에 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정기이사회 개최 여부 및 이사회 운영 관련 규정 내용
정기이사회 개최
Y(O)
이사회 운영 관련 규정 존재 여부
Y(O)

당사는 정관, 이사회 규정에 이사회 운영에 관한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하며 정기이사회는 매월 세 번째 금요일에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임시이사회는 긴급한 의안이 있을 때 소집합니다. 이사회는 의장 또는 재적이사의 1/3 이상의 요구로 소집하며, 이사회 개최예정일로부터 7일 전까지 소집을 통지하고 있습니다. 참석이 곤란한 이사를 위해서는 상법 제391조 제2항에 의거 원격통신수단의 이용을 통한 참석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정기 및 임시 이사회 개최 정보

당사는 비상임이사의 의사 결정력 제고를 위하여 안건 사전설명을 실시하며, 심의에 필요한 요청자료를 적기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주요 경영현안에 대해 보고하며, 회사 관련 언론보도와 경영통계 자료를 매일 제공하고 있습니다.

표 7-1-1: 이사회 개최 내역

개최횟수 평균 안건통지-개최간 기간(일) 이사 평균 출석률 (%)
정기 10 7 96.6
임시 6 7 92.9
나. 이사회가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회사가 제공하는 정책을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각 임원의 성과 평가와 연계된 보수 정책의 수립 및 공개 여부
임원보수 정책수립 여부
Y(O)
보수정책의 공개 여부
Y(O)

당사의 사장은 임기 중 경영방침 및 중장기 경영목표 등을 반영한 경영성과 계획을 수립하며, 임기 중 달성할 경영목표에 대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경영계약을 체결하고 공기업 경영평가단으로부터 이행실적을 평가받고 있습니다. 사장을 포함한 사내이사의 보수는 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보수지침에 의거하여 보수한도를 설정하고, 주주총회의 승인된 보수 한도 내에서 보수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성과급의 경우 경영목표 이행실적을 반영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의 수당은 공기업· 준정부기관 임원보수지침에 따라 연 30백만원을 상한으로 하며, 월정액과 회의참석수당으로 구분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임원의 보수지급 내역은 사업보고서 및 공공기관 경영정보시스템을 통해 대외 공시하여 투명하게 관리합니다.

(2)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이사들의 소신 있는 의사결정과 안정적 경영활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임원배상책임보험을 가입하였습니다.

(3)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 이익에 영향을 주는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는지 여부
이해관계자 고려 여부
Y(O)

건전한 지배구조는 지속적인 성장과 주주 등 이해관계자 권익 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당사는 2017년부터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통해 기업지배구조 정책과 더불어 핵심지표 10개에 대한 준수여부를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다.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정기적으로 이사회 개최 근거가 되는 이사회의 운영규정 등이 없거나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이사회 소집통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정관, 이사회 규정에 이사회 운영에 관한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이사회를 통지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이사회를 개최하며, 정관, 이사회 규정에 따라 이사회를 운영해나가겠습니다.

[307200] (세부원칙 7-2) - 이사회는 매 회의마다 의사록을 상세하게 작성하고,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매 이사회에 대해 회의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별이사의 출석률 및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 기록의 작성·보존 및 개별이사의 활동내역 공개에 대해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 의사록, 녹취록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보존하고 있는지 여부 및 관련 규정
시행 여부
Y(O)

당사는 상법391조의3 이사회 규정11조에 따라 이사회 회의의 개최일시, 장소, 참석자 명단, 회의결과 등을 기록한 회의록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작성된 회의록은 다음 이사회에서 보고 및 확인을 거쳐 주된 사무소에 보존하며, 경영상 기밀 등 특별한 사항을 제외하고는 14일 이내에 자체 홈페이지와 기획재정부장관이 정하는 통합공시시스템(ALIO)을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매 이사회에 대해 회의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별이사의 출석률 및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2) 이사회 내에서 주요 토의 내용과 결의 사항을 개별이사별로 기록하고 있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 회의록 작성 시 안건의 주요 토의내용과 참석자 발언 내용을 기재하고 있으며 각 의결사항에 대한 개별이사 찬반 여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최근 3년간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표 7-2-1: 최근 3년간 이사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구분 이사회 재직기간 출석률 (%) 찬성률 (%)
최근 3개년 평균 최근 3개년 최근 3개년 평균 최근 3개년
당해연도 전년도 전전년도 당해연도 전년도 전전년도
이현빈 사내이사(Inside) 2020.9.14~2023.2.26 100 100 100 100 100 100
이종환 사내이사(Inside) 2020.11.9~2023.2.26 100 100 100 100 100 100
최영호 사내이사(Inside) 2020.11.16~2023.2.6 92.9 100 85.7 100 100 100
김태옥 사내이사(Inside) 2021.3.25~2023.11.7 100 100 100 100 100 100
박헌규 사내이사(Inside) 2021.5.2~2023.6.25 93.8 87.5 100 100 100 100
정승일 사내이사(Inside) 2021.6.1~2023.5.19 100 100 100 100 100 100
이흥주 사내이사(Inside) 2021.10.1~2023.11.7 81.1 69.2 92.9 100 100 100
이정복 사내이사(Inside) 2023.2.27.~2024.7.16 100 100 100 97.6 95.2 100
이준호 사내이사(Inside) 2023.2.27.~2025.3.3. 100 100 100 98.6 97.2 100
전영상 사내이사(Inside) 2023.3.7~현재 100 100 100 91.6 86.1 97.1
서근배 사내이사(Inside) 2023.6.26~25.5.19 96.2 93.8 100 98.6 97.2 100
김동철 사내이사(Inside) 2023.9.19~현재 90.9 93.8 83.3 98.2 96.4 100
서철수 사내이사(Inside) 2023.12.11~현재 100 100 100 98.6 97.2 100
오흥복 사내이사(Inside) 2024.2.21~현재 100 100 97 97
안중은 사내이사(Inside) 2025.1.6~현재
정치교 사내이사(Inside) 2025.5.28~현재
성시헌 사외이사(Independent) 2020.6.10~2022.8.21 100 100 100 100
방수란 사외이사(Independent) 2020.9.1~2023.5.1 94.7 100 92.9 100 100 100
박종배 사외이사(Independent) 2020.1.31.~2023.8.29 100 100 100 100 100 100
박효성 사외이사(Independent) 2021.4.14~2023.11.7 100 100 100 100 100 100
이기만 사외이사(Independent) 2021.4.14~2023.11.7 96.3 100 92.9 100 100 100
황철호 사외이사(Independent) 2021.4.14~2022.8.17 100 100 100 100
이계성 사외이사(Independent) 2021.7.9~2023.12.3 100 100 100 100 100 100
김재신 사외이사(Independent) 2021.7.9~2024.4.30 97.6 100 100 92.9 93.3 80 100 100
김종운 사외이사(Independent) 2022.8.22~현재 87.5 93.8 77.8 100 98.1 94.3 100 100
김준기 사외이사(Independent) 2023.5.2~현재 86.2 87.5 84.6 97.1 94.1 100
박충근 사외이사(Independent) 2023.5.2.~2025.3.31 96.6 93.8 100 98.2 96.4 100
한진현 사외이사(Independent) 2023.8.30~현재 91.7 87.5 100 98.6 97.1 100
김성은 사외이사(Independent) 2023.11.8~현재 90.5 87.5 100 88.6 83.9 93.3
이성호 사외이사(Independent) 2023.11.8~현재 95.2 93.8 100 98.6 97.1 100
조성진 사외이사(Independent) 2023.12.4~현재 100 100 100 95.9 91.7 100
강훈 사외이사(Independent) 2024.5.1~현재 100 100 100 100
이흥렬 사외이사(Independent) 2025.5.7~현재
(4) 정기공시 외 개별이사의 활동 내용공개 여부 및 그 방법
공개 여부
Y(O)

당사는 개별 비상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 및 찬반내용 등 활동내용을 기획재정부장관이 정하는 통합공시시스템(ALIO)을 통하여 사유발생일 기준 14일 이내 수시공시하고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 기록 작성·보존과 개별이사별 활동내역 공개 관련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를 설명하고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매 이사회에 대해 회의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별이사의 출석률 및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적절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이사회 의사록을 상세하게 작성하고,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겠습니다.

[308000] (핵심원칙 8) 이사회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그 내부에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한다.

[308100] (세부원칙 8-1) - 이사회 내 위원회는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되 감사위원회와 보상(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회 내 위원회의 과반수를 비상임이사로 구성하였습니다.
가. 이사회내 위원회의 위원 구성과 관련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각 이사회내 위원회 사외이사 과반수 선임 여부
시행 여부
Y(O)

당사의 이사회 내 위원회는 총 4개로 감사위원회, 임원추천위원회, ESG 위원회, 전력계통위원회가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0, 상법542조의11에 따라 설치가 의무화된 것이며, 임원추천위원회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9조에 따라 사장, 상임감사위원, 비상임이사 후보자 추천 및 사장 후보로 추천하고자 하는 자와 경영계약() 협의 등을 수행하기 위해 설치한 위원회입니다.

임원추천위원회는 비상임이사와 이사회가 선임하는 위원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는 관련 법률 및 규정에 따라 비상임이사의 수가 2분의 1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는 비상임이사 3, 상임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ESG 관련 주요 경영 현안 심의, ESG 경영전략 및 관련 사업계획 수립에 대한 자문 제공 등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방향성 점검과 이에 대한 성과와 문제점을 관리·감독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력계통위원회는 비상임이사 3, 상임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의결을 요하는 전력계통 분야 주요안건 사전 검토, 이사회 요청 전력계통 관련 주요 추진계획 등 경영현안 심의, 전력계통 주요 정책 추진계획 및 이행실적 점검 및 환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감사위원회 및 보수(보상)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선임하였는지 여부
시행 여부
N(X)

감사위원회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0, 상법542조의11따라 설치가 의무화된 것으로 상임이사 1, 비상임이사 2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내 위원회의 위원 구성과 관련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 등에 관하여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이사회 내 위원회의 과반수를 비상임이사로 구성하였고, 감사위원회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0, 상법542조의11에 따라 설치가 의무화된 것으로 상임이사 1, 비상임이사 2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이사회 내 위원회 구성과 관련하여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308200] (세부원칙 8-2) - 모든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에 대하여는 명문으로 규정하여야 하며, 위원회는 결의한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이사회 내 각 위원회에 대한 운영 규정을 제정하여 이에 따라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각 위원회는 결의한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가. 이사회내 위원회의 조직 및 운영과 관련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이사회 내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과 관련하여 명문규정이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
명문규정 여부
Y(O)

당사는 이사회 규정83항에 따라 이사회 내 위원회를 설치하고, 각 위원회의 운영 규정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 ESG 위원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위원회의 목적, 적용범위, 임무, 구성, 소집 및 의결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명문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위원회의 결의 사항이 이사회에 보고되는지 여부
보고 여부
Y(O)

감사위원회는 공사의 업무와 회계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되어 있으며, ESG 위원회는 이사회의 의결을 요하는 사항 중 ESG와 관련된 주요 안건에 대해서는 사전심의 후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임원추천위원회의 경우에는 이사회 의결을 통해 위원회의 구성 및 후보자 심사기()을 결정하고, 비상임이사를 포함한 외부위원으로 구성하여 독립적으로 후보자 심사 및 추천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이사회 결과 보고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각 이사회내 위원회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현황

표 8-2-1: 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2024년 비상임이사
후보자 추천
1차 2024-01-18 5 5 결의(Resolution) 운영일정, 후보자 모집방법, 심사방법 등 결정 가결(Approved) X
2차 2024-02-06 5 5 결의(Resolution) 서류심사 가결(Approved) X
2025년 비상임이사
후보자 추천
1차 2025-03-06 5 5 결의(Resolution) 운영일정, 후보자 모집방법, 심사방법 등 결정 가결(Approved) X
2차 2025-03-25 5 5 결의(Resolution) 서류심사 가결(Approved) X
상임감사 1차 2025-03-17 5 5 결의(Resolution) 운영일정, 후보자 모집방법, 심사방법 등 결정 가결(Approved) X
2차 2025-04-01 4 5 결의(Resolution) 서류심사 가결(Approved) X
3차 2025-04-08 5 5 결의(Resolution) 면접심사 가결(Approved) X
비상임이사
(노동이사)
후보자 추천
- 2025-04-01 4 5 결의(Resolution) 서류심사 가결(Approved) X

표 8-2-2: 리스크관리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표 8-2-3: 내부거래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 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4) 기타 이사회 내 위원회(필요시 상기 표 활용하여 기재)

<8-2-4: ESG 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

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ESG-

‘241

2024.04.19

3

4

의결

’24년 전사 환경경영 추진계획()

가결

보고

’24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계획()

보고사항

보고

ESG 관련

국내외 동향보고

보고사항

ESG-

‘242

2024.09.27

4

4

의결

ESG 자문위원회 구성()

가결

보고

'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중간보고

보고사항

보고

'24ESG 평가 대응방향 및 향후계획

보고사항

ESG-

‘243

2024.12.20

4

4

보고

'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고사항

보고

SEC 기후공시 주요내용 및 시사점 검토

보고사항

보고

SEC 기후공시 대응계획()

보고사항

ESG-

‘251

2025.3.21

4

4

의결

’25년 전사 환경경영 추진계획()

수정

가결

보고

’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계획()

보고사항


<8-2-5: 전력계통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

일자

출석

인원

정원

안건

가결여부

이사회 보고 여부

구분

내용

전력계통-

‘241

2024.12.20

4

4

심사

345kV 이상 주요 건설사업 착수()

원안

심사

전력계통-

‘251

2025.3.21

4

4

보고

전력망 운영기준 검토 결과 보고

보고사항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이사회내 위원회 운영 관련 명문 규정 마련이나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관련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이사회 내 각 위원회에 대한 운영 규정을 제정하여 이에 따라 위원회를 운영하고 있고, 각 위원회는 결의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어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앞으로도 당사는 이사회 내 각 위원회에 대한 운영 규정에 따라 위원회를 운영하며, 임원추천위원회를 제외한 각 위원회는 결의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겠습니다.

[400000] 4. 감사기구

[409000] (핵심원칙 9)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경영진 및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성실하게 감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내부감사기구의 주요 활동내역은 공시되어야 한다.

[409100] (세부원칙 9-1)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문화된 규정을 마련하여 운영 중이며, 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가. 내부감사기구 구성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내부감사기구 구성 현황
감사위원회 설치 여부
Y(O)

감사는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202항에 따라 감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3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3인 중 2인은 비상임이사이고,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비상임이사로 선임되어 있습니다. 위원 중 1인은 상법 시행령 37조에서 정하는 회계·재무 전문가입니다. 제출일 기준 구성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9-1-1: 내부감사 기구의 구성

구성 감사업무 관련 경력 및 자격 비고
직책 구분
이성호 위원장 사외이사(Independent)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
한국마케팅학회 회장
한국경영학회 부회장
-
김성은 위원 사외이사(Independent) 경희대 대학원 첨단기술비즈니스학과 교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 회계세무학과 교수
-
전영상 위원 사내이사(Inside) 건국대학교 공공인재대학 행정학과 교수
한국행정학회 운영이사
한국인사행정학회 연구이사
한국정책과학학회 총무이사
-
(2)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정책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존재 여부
Y(O)

상임감사위원은 임원추천위원회의 추천을 거쳐 주주총회 의결로 선임되고, 비상임 감사위원은 비상임이사 중 주주총회 의결로 선임되어, 경영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상임감사위원은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37조에 의거 직무 외의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지 못하며, 그 임명권자나 제청권자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 한해 비영리 목적의 업무를 겸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한국전력공사정관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 내 최소 1명 이상의 회계전문가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감사위원회 내 회계전문가는 김성은 위원입니다.

감사위원회는 감사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이사회 및 경영진 등 업무집행기관으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나. 내부감사기구의 운영과 관련해서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내부감사기구의 운영 목표, 조직, 권한과 책임을 규율하는 규정이 별도로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내부감사기구 규정
Y(O)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운영 목표, 조직, 권한과 책임 등을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명시하여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직무권한과 구체적인 역할은 해당 규정 제3조 및 제12조에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직무 권한(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3)

1. 위원회는 공사의 업무와 회계에 대한 감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한다.

2. 위원회는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공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3. 위원회는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여 이로 인하여 공사에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공사를 위하여 이사에 대하여 그 행위를 유지(留止)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4. 위원회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5. 위원회는 제4항의 경우에 지체없이 보고를 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6. 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5항 외에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과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감사위원회 의결·보고사항(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12)

구 분

내 용

의결

사항

1. 위원회의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요구

2. 주주총회의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결과

3. 이사의 법령·정관 위반행위에 대한 이사회 보고

4. 주주총회에 제출할 재무제표 등에 대한 감사보고서의 작성 제출

5.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된 행위를 하여 회사가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회사를 위하여 그 행위를 중지할 것을 요구

6. 이사에 대한 영업보고 청구

7. 이사와 공사간의 소송 등 이사의 이익과 공사의 이익이 상반되는 사항의 경우 공사의 대표

8. 연간 감사계획의 수립

9. 공사의 윤리규정 제정, 개폐 및 윤리규정·지침 등의 준수관리에 관한 사항

10.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변경, 해임

11. 외부감사인과의 보수 등에 관한 계약

12. 외부감사인의 공사에 대한 비감사업무 수행의 승인

13. 감사관련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사항

14. 위원회 운영규정, 내부 감사규정의 제정 및 개폐

15. 기타 이사회에서 위임받은 사항과 법령·정관 등에서 위원회 부의사항으로 정한 내용 또는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보고

사항

1. 이사의 업무 등 보고

2. 다음 사항의 감사결과

. 감사원 감사결과

. 종합감사 및 특정감사 결과 중 공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 연간감사결과

. 비상임이사 2인 이상의 요청에 의한 감사결과

3. 연간 감사교육계획의 수립

4.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의 보고

5. 외부감사인으로부터 기관이 회계처리 등에 관한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한 사실의 보고

6.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와 감사관련 보고

7.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에 대한 평가

8. 내부통제제도 설계 및 운영의 적정성 평가와 개선사항 검토

9. 중요한 회계처리기준이나 회계추정변경의 타당성 검토

10. 재무활동의 건전성과 타당성 및 재무보고의 정확성 검토

11. 경영공시의 적정성 검토

12. 공기업·준정부기관 감사기준30(경영지침 준수여부 보고)의 규정에 따른 경영지침 위반사항

13. 기타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2)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 제공 현황
감사기구 교육 제공
Y(O)

당사는 내부관리회계제도 업무지침에 따라 감사위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외부전문가가 주체가 되어 내부회계관리제도 등에 대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4년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3) 외부 전문가 자문 지원 등을 시행하고 있는지 여부 및 그 내용
외부 자문 지원
Y(O)

감사위원회는 업무수행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는 당사의감사위원회 운영규정 따라 관계 임직원 및 외부감사인의 위원회 출석, 관련 자료의 제출과 의견진술을 요청할 수 있으며,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경영진의 부정행위에 대한 조사 관련 규정 및 경영진의 내부감사기구에 대한 정보, 비용 지원 등에 관한 사항
조사절차 규정 마련
Y(O)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경영진의 법령·정관 위반행위에 대하여는 감사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이사회에 보고합니다. 감사위원회는 외부 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을 보고받습니다. 또한 경영진의 부정행위에 대하여는 사안의 경중에 따라 감사규정, 조사업무절차서 등의 내부규정에 의거하여 조사를 진행하고, 중대 비위일 경우 수사기관에 고소·고발을 진행합니다.

또한 감사위원에게는 위원회 업무와 관련되는 출장여비, 자료의 수집·분석에 필요한 수수료 등의 비용을 지급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5) 기업 경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과 관련된 정보에 대한 내부감사기구의 접근성
내부감사기구의 정보 접근절차 보유 여부
Y(O)

감사위원회 위원은 이사회에 참석하여 중요 경영정보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의거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에 대하여 수시로 보고하도록 하고 있어 중요정보에 대한 접근이 용이합니다.

다. 내부감사기구 지원조직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내부감사기구 지원 조직 설치 현황
지원조직 설치 여부
Y(O)

당사는 감사위원회 직속으로 집행부서로부터 독립된 별도의 본사 내부감사기구를 설치하여 보유하고 있으며, 지역별 감사업무를 담당하는 6개 권역감사부를 설치하여 강화된 내부통제 장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전체 감사인력은 132명으로 영업, 계약, 재무, 자재, 송변전, 배전, IT, 통신, 건축, 토목 등 전 분야의 검증된 전문인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부감사기구는 연초 감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연간 감사계획에 의하여 종합감사, 일상감사, 특정감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고, 그 결과를 감사위원회 및 이사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감사결과를 대외 홈페이지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2) 내부감사기구 지원 조직의 독립성 확보 여부
지원조직의 독립성 확보
Y(O)

감사규정8조에 따라 본사 감사실 직원의 보직 및 이동은 상임감사위원의 요구에 의하여 사장이 행하도록 규정하여 내부감사기구 지원 조직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라. 감사위원 및 감사의 법적 책임에 상응하고 충실한 직무 수행을 지원할 수 있는 수준의 보수가 지급되고 있는지에 관하여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감사위원 및 감사에 대한 독립적인 보수 정책 운용 여부
독립적인 보수정책 수립
Y(O)

감사위원에 대한 보수는공기업·준정부기관 임원 보수지침5조에 의거하여 월정액 또는 회의참석수당 등을 포함하여 연 30백만원을 상한으로 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의거하여 감사위원에게는 회의참석여비, 위원회업무와 관련되는 출장여비, 자료의 수집·분석에 필요한 수수료 및 직무 수당 등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2) 감사위원 또는 감사가 아닌 사외이사 대비 보수 비율
보수 비율
100

감사위원에 대한 보수내역은 비상임이사와 동일하며, 정기공시를 통해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비상임이사가 감사위원을 겸임하는 경우 연봉 외 별도 보수 지급은 없습니다.

마.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 및 전문성 확보와 관련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는 경우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적정하게 시행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부 규정 및 관련 법령을 지속적으로 준수할 것입니다.

(3) (감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지 않는 사유 및 향후 감사위원회 설치 계획이 있는지 여부

당사는 감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어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09200] (세부원칙 9-2)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정기적 회의 개최 등 감사 관련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의 내부감사기구는 정기적 회의 개최 등 감사 관련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중이며, 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가. 내부감사기구의 정기적 회의 개최 현황 등 활동내역과 관련된 사항을 아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내부감사기구의 감사활동, 외부감사인 선임 절차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평가 등 정기적인 활동(회의) 내역
정기회의 개최 여부
Y(O)

2024년에는 총 15회의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24년도 연간 감사계획(), 2023년도 연간 감사결과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등 28건의 의결안건과 23건의 보고안건을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202511일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총 6회의 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24년도 연간 감사계획() 21건의 의결안건과 16건의 보고안건을 처리하였습니다.

(2) 감사회의록, 감사 기록의 작성·보존과 주주총회 보고절차 관련된 내부 규정이 있는지 여부와 그 내용
규정 마련 여부
Y(O)

자체 감사규정감사규정 시행지침에 따라 감사 계획, 실시 및 결과 보고 등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의거하여 감사위원회 개최시 회의일시·장소, 안건, 발언요지, 회의결과 등의 내용을 기록하고 출석위원의 서명을 받아 보존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상법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주주총회에 제출할 의안 및 서류를 조사하여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하게 부당한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주주총회에 그 의견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3) (감사위원회가 설치된 경우)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감사위원회 회의 개최 내역, 개별이사 출석내역

(24.01.01~25.05.29)

<개별이사의 감사위원회 출석내역>

2024

구분

회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개최일자

1.19

2.16

2.23

3.14

4.19

5.17

6.20

7.18

9.5

9.26

10.18

11.15

12.11

12.13

12.27

비상임

김재신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퇴임

퇴임

퇴임

퇴임

퇴임

퇴임

퇴임

퇴임

비상임

김성은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

비상임

이성호

선임전

선임전

선임전

선임전

선임전

선임전

선임전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

출석

출석

상 임

전영상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2025

구분

회차

1

2

3

4

5

6

개최일자

1.23

2.12

2.27

3.14

4.10

5.22

비상임

이성호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비상임

김성은

출석

출석

-

-

-

-

상 임

전영상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출석


표 9-2-1: 최근 3개년 개별이사 감사위원회 출석률

구분 출석률 (%)
최근 3개년 평균 최근 3개년
당해연도 전년도 전전년도
김재신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100
박효성 사외이사(Independent) 100 100
김성은 사외이사(Independent) 75 100 93 33
이성호 사외이사(Independent) 94 88 100
최영호 사내이사(Inside) 100 100
전영상 사내이사(Inside) 100 100 100 100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감사기구가 감사 관련업무 수행 관련해서 미진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와 향후 계획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내부감사기구의 감사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한 정책을 적정하게 시행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내부감사기구의 감사 관련 업무 수행을 위한 내부 규정 및 관련 법령을 지속적으로 준수할 것입니다.

[410000] (핵심원칙 10)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주 등 그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외부감사인은 감사대상기업과 그 경영진 및 지배주주 등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410100] (세부원칙 10-1)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 규정을 마련하여 운영 중이며, 관련 법령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가.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운영 정책에 관하여 아래의 내용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임 관련 정책, 외부감사인 독립성 훼손 우려 상황 유무
정책 마련 여부
Y(O)
독립성 훼손우려 상황 유무
N(X)

당사는 주권상장법인으로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10조에 따라 3개 사업연도의 감사인을 선임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감사시간, 감사인력, 감사보수 및 감사계획의 적정성과 감사인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포함한 선정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여 대면회의를 통해 외부감사인을 선임하였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의 선임 전 전문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경영상태, 회사에 대한 이해도, 전문인력 투입 및 운영계획, 사업수행계획, 감사품질 및 기타 회계서비스 제공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 선정과 관련한 대면회의 시 각 평가요소에 대한 검토결과와 대면회의의 개최횟수, 참석자 인적사항, 주요 발언 내용은 문서로 작성·관리하고 있습니다.

(2) 외부감사인 선임 관련 회의개최 및 각 회의 논의사항

감사위원회는 2021721일 제8차 감사위원회에서 외부감사인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의결하였고, 그에 따라 전문평가위원회의 외부감사인 기술능력평가를 2021930일에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2021108일 제10차 감사위원회에서 미리 의결한 선임기준에 따른 대면평가회의를 실시하였습니다.

그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20211015일 제11차 감사위원회에서 2022사업연도부터 2024사업연도까지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의 외부감사인으로 한영회계법인을 선임하였습니다.

또한 2025사업연도부터 2027사업연도까지의 외부감사인 선임을 위하여 감사위원회는 202495일 제9차 감사위원회에서 외부감사인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의결하였습니다.

선임계획에 따라 20241210일 전문평가위원회의 외부감사인 기술능력평가를 실시하였고, 20241211일 제13차 감사위원회에서 미리 의결한 선임기준에 따른 대면평가회의를 실시하였습니다.

그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2025123일 제1차 감사위원회에서 2025사업연도부터 2027사업연도까지 연속하는 3개 사업연도의 외부감사인으로 삼정회계법인을 선임하였습니다.

(3) 외부감사 종료 후 외부감사인의 감사계획을 충실하게 수행하였는지 등에 대한 평가 여부 및 그 내용

감사위원회는 매년 외부감사인의 감사활동 결과를 평가하고 있으며, 외부감사인 선정 시 정한 사항의 준수 여부, 감사방법의 적정성, 내부감사부서와의 협력도, 감독당국의 제재현황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4) 외부감사인 및 그 계열사를 통해 컨설팅 또는 비감사용역을 제공받고 있다면 해당 회사를 선정한 사유 및 비용 지급 내역

감사위원회는 회사와 외부감사인간 비감사용역에 대하여 외부감사인의 독립성관리에 특이사항이 없다고 판단되는 업무 등에 한해 제한적으로 승인하고 있습니다. 승인시에는 용역대상 업무가Sarbanes·Oxley ActSec 201, 공인회계사법,한국공인회계사 윤리기준,감사위원회 운영규정을 준수하고 있는지의 여부, 독립성훼손 여부, 계약 필요성과 계약금액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당사 및 연결회사에 대한 비감사용역 제공 현황(’24.1.1~12.31)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체결일

(감사위원회

승인일)

용역내용

계약상대자

(외부감사인)

용역보수

(단위:천원)

2024.01.22

한전KPS 필리핀법인 세무신고 및 자문

EY

22,684

2024.05.13

한전KPS 필리핀법인 세무조사 대리

EY

23,630

2024.07.18

KEPCO Australia Pty., Ltd 세무분야 자문

EY

53,000

2024.07.18

DE Energia SpA 사업청산 관련 세무분야 자문

EY

86,000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 중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사유 와 향후 계획에 대해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적정하게 시행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내부 규정 및 관련 법령을 지속적으로 준수할 것입니다.

[410200] (세부원칙 10-2)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상기 세부원칙에 대한 준수여부를 간략하게 기술한다. (100자 이내)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분기 1회 이상 주기적으로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여 효율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가.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 간 의사소통 내역을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1) 경영진 참석 없이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이 분기별 1회 이상 감사 관련 주요 사항을 협의하는지 여부
시행 여부
Y(O)

감사위원회는 경영진의 참석 없이 분기별 1회 이상 외부감사인인 한영회계법인(2019~2024) 및 삼정회계법인(2025~2027)으로부터 직접 보고를 받았으며, 감사 관련 주요 이슈사항에 대하여 의견을 교환하고 있습니다.

표 10-2-1: 외부감사인과 소통내역

개최일자 분기 내용
1회차 2024-01-19 1분기(1Q)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보고
2회차 2024-02-23 1분기(1Q) 2023회계연도 외부감사인 기말 재무제표 감사 진행경과 보고
3회차 2024-03-14 1분기(1Q) 2023회계연도 외부감사인 기말 재무제표 감사결과 보고
4회차 2024-04-19 2분기(2Q) SEC 제출 2023회계연도 연차보고서(20-F) 감사 진행경과 보고
5회차 2024-06-20 2분기(2Q) 2024회계연도 1분기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검토결과 보고
6회차 2024-07-18 3분기(3Q) 2024회계연도 외부감사인 연간 감사계획 보고
7회차 2024-09-26 3분기(3Q) 2024회계연도 반기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검토결과 보고
8회차 2024-11-15 4분기(4Q) 2024회계연도 3분기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검토결과 및 연간 감사계획 변경사항 보고
9회차 2025-01-23 1분기(1Q)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보고
10회차 2025-02-12 1분기(1Q) 외부감사인의 사전 독립성 보고
11회차 2025-02-27 1분기(1Q) 2024회계연도 외부감사인 기말재무제표 감사 진행경과 보고
12회차 2025-03-14 1분기(1Q) 2024회계연도 외부감사인 재무제표 감사결과 보고
13회차 2025-04-10 2분기(2Q)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제출 2024회계연도 연차보고서(Form 20-F) 외부감사 진행경과 보고
14회차 2025-05-22 2분기(2Q) 2025회계연도 1분기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검토결과 보고
(2) 외부감사인과의 주요 협의내용과 내부 감사업무 반영 절차 및 내용

감사위원회는 당사의 중요한 회계처리기준, ·반기재무제표 검토 및 기말감사 결과보고, 당사 직원의 직무집행에서 발견되는 부당행위 등에 대하여 외부감사인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연간 감사사항을 협의하였으며, 외부감사인과의 주요 협의내용은 내부감사기구 검토 후 내부감사업무에 적극 반영하고 있습니다.

(3) 외부감사인이 감사 중에 발견한 중요사항을 내부감사기구에 통보하는 절차 및 이와 관련된 내부감사기구의 역할 및 책임

외부감사인은 감사 중에 발견한 중요사항을 대면회의, 이메일, 전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감사위원회에 통보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의 감사업무를 적극 지원하고 외부감사인이 감사중에 발견한 중요사항은 내부감사기구 검토 후 내부감사업무에 적극 반영하고 있습니다.

(4) 외부감사인에게 재무제표를 제공한 시기
재무제표 정기주총 6주전 제공 여부
Y(O)
연결재무제표 정기주총 4주전 제공 여부
Y(O)

당사는 별도재무제표를 정기주주총회 6주전에, 연결재무제표를 정기주주총회 4주전에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고 있습니다.

표 10-2-2: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제공 내역

정기주총일 재무제표 제공일자 연결재무제표 제공일자 제공대상
제63기 2024-03-26 2024-02-14 2024-02-26 EY 한영회계법인
제64기 2025-03-26 2025-02-10 2025-02-25 EY 한영회계법인
나. 위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과 의사소통에 부족한 점이 있다면 그 사유 및 향후 계획을 설명한다.
(1) 미진한 부분 및 그 사유

기재된 바와 같이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충분히 의사소통하고 있습니다.

(2) 향후 계획 및 보충설명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과 분기별 1회 이상 주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것입니다.

[500000] 5. 기타사항

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대해 아래의 사항을 포함하여 설명한다.
(1)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여부
자율공시 여부
N(X)

당사는 공시대상 기간동안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별도로 공시하지 않았습니다.

(2) 최근 3년간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 수립, 공시 과정에 이사회 참여 여부

당사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별도로 공시하지 않아, 계획 수립 과정 및 이사회 참여 여부에 대한 기재를 생략합니다.

표 11-1 :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이사회 참여 여부

공시일자 이사회 참여 여부 관련 이사회 일자 주요 논의 내용
(3)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 및 시장참여자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활용하여 소통한 실적이 있는지 여부 및 내용
소통 여부
N(X)

당사는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별도로 공시하지 않아,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활용한 소통 현황에 대한 기재를 생략합니다.

표 11-2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소통 현황

일자 소통 대상 소통 채널 임원 참여 여부 주요 소통 내용
나. 핵심(세부)원칙으로 제시되지 않은 사항 중에서 해당 기업이 지배구조측면에서 주요하게 수립한 정책이 있다면 설명한다.

당사는 핵심 원칙으로 제시된 사항을 준수하여 지배구조 정책을 수립하였습니다.

다. 최신 정관을 첨부하고 본 보고서의 내용을 지지할 수 있는 명문의 정책 중 공개할 수 있는 규정이 있다면 그 내용을 첨부한다.

1. 한국전력공사 정관

2. 이사회 규정

3. 감사규정

4.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5. 공시관리규정

6. 직제규정

7.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

8. ESG 위원회 운영규정

9. 내부회계관리규정

10. 한국전력공사 임직원 행동강령

11. 임원추천위원회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