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기 반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8월 14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시프트업 |
대 표 이 사 : | 김 형 태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 12층, 13층, 14층, 15층(서초동, 에이프로 스퀘어) |
(전 화) 070-8672-5597 | |
(홈페이지) https://shiftup.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CFO (성 명) 안 재 우 |
(전 화) 070-8672-5597 | |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시프트업'이며, 영문명은 'SHIFT UP Corporation.' 입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2013년 12월 02일 '주식회사 시프트업' 으로 설립되었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1) 본사의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 12층, 13층, 14층, 15층(서초동, 에이프로 스퀘어)2) 전화번호 : 070-8672-55973) 홈페이지 : https://shiftup.co.kr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당사는 게임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는 글로벌 게임 개발사로, 당사가 개발한 게임을 글로벌 퍼블리셔를 통해 국내 및 해외에 서비스하고 있습니다.당사의 대표 게임 타이틀이자 주요 매출원으로는 전 세계 약 150여개국 이상에서 모바일과 PC로 서비스되고 있는 <승리의 여신: 니케>와 AAA급 콘솔 게임 <스텔라 블레이드> 등의 게임 IP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시 이후에도 글로벌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고 있습니다.당사 제13기 반기말 (2025.01.01~2025.06.30) 영업수익은 1,546억원입니다. 이 중 <승리의 여신: 니케>의 영업수익은 774억원(매출 비중 50.1%), <스텔라 블레이드>의 영업수익은 727억원(매출 비중 47.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 <데스티니 차일드> IP 이외에도 신규 IP의 개발 및 확보를 통한 게임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밖에 보유 IP를 활용한
사.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변경일자 | 주소 |
2020.03.30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 4층, 14층(서초동, 에이프로스퀘어) |
2021.03.05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 4층, 14층, 15층(서초동, 에이프로스퀘어) |
2024.06.17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 12층, 13층, 14층, 15층(서초동, 에이프로스퀘어) |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다. 최대주주의 변동당사는 설립일부터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최대주주 변동 이력이 없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당사는 설립일부터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상호 변경 이력이 없습니다. 마.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당사는 2024년 9월 30일 이사회에서 소규모 합병을 결의하였으며, 2024년 12월 5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합병방법 | 주식회사 시프트업이 지분 100%를 보유한 주식회사 테이블원을 흡수합병- 존속회사 : 주식회사 시프트업- 소멸회사 : 주식회사 테이블원 |
합병목적 | 우수 개발 인력 확보를 통한 신작 개발 역량 강화 |
합병비율 | 주식회사 시프트업 : 주식회사 테이블원 = 1.000000 : 0.000000 |
합병상대회사 | 주식회사 테이블원 |
합병계약일 | 2024년 10월 2일 |
합병기일 | 2024년 12월 5일 |
이사회결의일 | 2024년 9월 30일 |
기타사항 | 2024년 10월 1일 주식회사 테이블원 지분 100%를 취득 |
바.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일자 | 내 용 |
2021년 09월 | 신작 <스텔라 블레이드> 트레일러 공개 (PlayStation Showcase 2021) |
2022년 04월 | SHIFT UP JP 일본 소재 법인 청산 (2020년 2월 설립) |
2022년 07월 | 기업가치 1조원 달성에 따른 유니콘 기업 등극 |
2022년 11월 |
<승리의 여신: 니케> 모바일 버전 글로벌 출시 (153개국) 매출 기준 한국, 일본 양대 마켓 1위, 대만 iOS 1위, 북미 구글플레이스토어 3위 달성 |
2022년 11월 | 사우디아라비아 투자청(MISA)과 게임부문 협력 및 해외 진출을 위한 협업을 위한 MOU 체결 |
2023년 02월 | <승리의 여신: 니케> '아시아 태평양 어워즈 2022' 최고의 글로벌 인기게임 선정 |
2023년 03월 | <승리의 여신: 니케> '대만 바하무트 게임어워드' 최고 인기 모바일게임 동상 수상 |
2023년 09월 | <승리의 여신: 니케> 중국 모바일/PC 퍼블리싱 계약 체결 |
2023년 09월 | <데스티니 차일드> 모바일/PC 국내외 서비스 종료 |
2023년 10월 | 신작 <스텔라 블레이드> 퍼블리싱 계약 체결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
2023년 11월 | <승리의 여신: 니케> '2023년 대한민국 게임대상', 우수상 및 기술창작상 캐릭터부분 수상 |
2024년 02월 | 신작 <스텔라 블레이드> PlayStation 'State of Play' 참가, 신규 트레일러 및 출시일(2024년 4월 26일) 공개, 디지털 버전 사전 예약 주문 시작 |
2024년 03월 | 신작 <스텔라 블레이드> 2024년 3월 29일 데모버전 공개 |
2024년 04월 | 신작 <스텔라 블레이드> PlayStation 5 버전 2024년 4월 26일 글로벌 출시미국, 영국, 캐나다, 독일, 이탈리아, 일본, 프랑스, 브라질 PlayStation store 판매량 1위 달성 |
2024년 11월 | <스텔라 블레이드> '2024 대한민국 게임대상', 최우수상 및 기술창작상 (게임 기획/시나리오, 그래픽, 캐릭터, 사운드), 우수개발자상, 인기 게임상 등 7개 부문 수상 |
2025년 05월 | <승리의 여신: 새로운 희망>(*) 모바일/PC 버전 2025년 5월 22일 중국 출시 (*) <승리의 여신: 니케> 중국 버전 명칭 |
2025년 06월 |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 2025년 6월 12일 글로벌 출시 |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제12기(2024년말) | 제11기(2023년말) | 제10기(2022년말) | 제9기(2021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58,781,720 | 58,334,720 | 38,834,070 | 1,123,606 | 1,121,700 |
액면금액 | 200 | 200 | 200 | 500 | 500 | |
자본금 | 11,756,344,000 | 11,666,944,000 | 7,766,814,000 | 561,803,000 | 560,85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11,908,650 | 492,803 | 492,803 |
액면금액 | - | - | 200 | 500 | 500 | |
자본금 | - | - | 2,381,730,000 | 246,401,500 | 246,401,500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11,756,344,000 | 11,666,944,000 | 10,148,544,000 | 808,204,500 | 807,251,50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 ) |
취득방법 | 주식의 종류 | 기초수량 | 변동 수량 | 기말수량 | 비고 | ||||
---|---|---|---|---|---|---|---|---|---|
취득(+) | 처분(-) | 소각(-) | |||||||
배당가능이익범위이내취득 | 직접취득 | 장내 직접 취득 | |||||||
장외직접 취득 | |||||||||
공개매수 | |||||||||
소계(a) | |||||||||
신탁계약에 의한취득 | 수탁자 보유물량 | ||||||||
현물보유물량 | |||||||||
소계(b) | |||||||||
기타 취득(c) | |||||||||
총 계(a+b+c) | |||||||||
다. 자기주식 신탁계약 체결ㆍ해지 이행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계약기간 | 계약금액(A) | 취득금액(B) | 이행률(B/A) | 매매방향 변경 | 결과보고일 | ||
---|---|---|---|---|---|---|---|---|
시작일 | 종료일 | 횟수 | 일자 | |||||
(주1) 당사는 2025년 5월 13일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계약금액 500억원)을 NH투자증권과 체결하였습니다. 계약기간은 2025년 5월 13일부터 2025년 11월 12일이며, 작성 기준일 현재 신탁계약에 의한 취득 주식수는 957,955주 입니다. |
라. 다양한 종류의 주식 당사가 과거 발행한 종류주식은 2024년 1월 11일 부로 전량 보통주로 전환되어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종류주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단위 : 주) |
행사일자 | 전환한종류주식 수 | 전환된보통주식 수 | 비고 |
2023.10.26 | 150,000 | 150,000 | 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2023.11.30 | 2,725,440 | 2,725,440 | 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2024.01.11 | 11,908,650 | 11,908,650 | 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
가. 정관의 최근 개정일 당사 정관의 최근 개정일은 2023년 7월 28일로 제11기 4차 임시주주총회에서 변경되었습니다.
나.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다. 사업목적 1)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당사는 2013년 12월 2일 설립된 글로벌 게임 개발사로 게임 개발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가 개발한 게임을 글로벌 퍼블리셔를 통해 국내 및 해외에 서비스하고 있습니다.당사의 대표 게임 타이틀이자 주요 매출원으로는 전 세계 약 150여개국 이상에서 모바일과 PC로 서비스되고 있는 <승리의 여신: 니케>와 AAA급 콘솔 게임 <스텔라 블레이드> 등의 게임 IP로 구성되어 있으며, 출시 이후에도 글로벌 이용자의 눈높이에 맞는 콘텐츠 개발과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고 있습니다.당사 제13기 반기말 (2025.01.01~2025.06.30) 영업수익은 1,546억원입니다. 이 중 <승리의 여신: 니케>의 영업수익은 774억원(매출 비중 50.1%), <스텔라 블레이드>의 영업수익은 727억원(매출 비중 47.0%)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 <데스티니 차일드> IP 이외에도 신규 IP의 개발 및 확보를 통한 게임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밖에 보유 IP를 활용한
가.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사업 성격에 따른 기준으로 게임 개발 단일 사업부문의 성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품목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게임개발 | 승리의 여신: 니케 | 77,422 | 50.07% | 151,526 | 67.62% | 163,537 | 97.00% |
스텔라 블레이드 | 72,730 | 47.04% | 68,062 | 30.37% | - | - | |
데스티니 차일드(주1) | - | - | - | - | 3,979 | 2.36% | |
기타 | 4,465 | 2.89% | 4,497 | 2.01% | 1,078 | 0.64% | |
합계 | 154,617 | 100.00% | 224,085 | 100.00% | 168,594 | 100.00% |
(주1) 2023년 9월 21일 국내외 서비스를 종료하였습니다. |
1) 서비스에 관한 내용당사는 다음과 같이 퍼블리셔를 통해 당사가 개발한 게임을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품목 | 플랫폼 | 출시국가 | 출시시기 | 퍼블리셔 |
---|---|---|---|---|
승리의 여신: 니케(주1) | 모바일 / PC | 글로벌 | 2022.11 | Proxima Beta Pte. Limited |
중국 | 2025.05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 ||
스텔라 블레이드 | 콘솔 | 글로벌 | 2024.04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
PC | 글로벌 | 2025.06 |
(주1) 중국 버전의 공식 서비스 명칭은 <승리의 여신: 새로운 희망>입니다. |
가) 승리의 여신: 니케<승리의 여신: 니케>는 수집형 RPG와 3인칭 슈팅(TPS)가 결합된 서브컬처 게임으로 당사가 개발하고
품목 | 수익모델 | 플랫폼 | 출시시기 | 출시국가 |
---|---|---|---|---|
승리의 여신: 니케(주1) | 부분 유료화 | 모바일 / PC | 2022.11 | 글로벌 |
2025.05 | 중국 | |||
스텔라 블레이드 | 패키지 판매 | 콘솔 | 2024.04 | 글로벌 |
PC | 2025.06 | 글로벌 |
(주1) 중국 버전의 공식 서비스 명칭은 <승리의 여신: 새로운 희망>입니다. |
<승리의 여신: 니케>의 경우, 기존의 성장요소를 최대한 변화시키지 않으며, 매력적인 콘텐츠 업데이트를 통해서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첫 출시 이후 게임 내 각종 상품들을 점진적으로 일부 추가하기는 하였으나, 국내 기준으로 각 상품의 가격은 변동되지 않았습니다. 향후에도 출시된 상품들의 가격을 변동할 구체적인 계획은 존재하지 않습니다.<스텔라 블레이드>의 경우,
가. 주요 원재료 당사는 모바일 및 콘솔 게임 개발을 주사업으로 영위하는 게임회사로 일반 제조업과 달리 원재료가 투입되지 않아, 주요 원재료 등에 관한 사항은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나.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당사는 모바일 및 콘솔 게임 개발을 주사업으로 하며, 이에 필요한 생산설비는 업무용 PC 등의 비품, 임차시설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기초순장부금액 | 취득 | 감가상각비 | 처분 | 기말순장부금액 |
비품 | 726 | 230 | (160) | (4) | 792 |
임차시설물 | 1,985 | 150 | (403) | - | 1,732 |
합계 | 2,711 | 380 | (563) | (4) | 2,524 |
다. 생산설비 투자 계획 당사는 2024년 7월 유가증권시장 신규 상장 공모를 통해 4,350억원을 조달한 바 있으며, 이 중 약 1,147억원을 개발 인력 증가에 따른 근무 환경 구축(사옥 등 시설 투자) 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에 있습니다.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구 분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
게임개발 | 대한민국 | 568 | 838 | 1,282 |
아시아 | 125,188 | 155,177 | 166,230 | |
아메리카 | 28,860 | 68,062 | 849 | |
유럽 | 1 | 4 | 141 | |
기타 | 0 | 3 | 92 | |
합 계 | 154,617 | 224,085 | 168,594 |
나. 판매경로, 판매방법 및 주요 매출처 1) 판매경로 당사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개발한 게임을 글로벌 퍼블리셔를 통해 국내 및 해외에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구분 | 품목 | 판매경로 | 플랫폼 | 출시국가 | 출시시기 | 주요 매출처 |
---|---|---|---|---|---|---|
게임매출 | 승리의 여신: 니케 | 퍼블리셔 | 모바일 / PC | 글로벌 | 2022.11 | Proxima Beta Pte. Limited |
중국 | 2025.05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 ||||
스텔라 블레이드 | 퍼블리셔 | 콘솔 | 글로벌 | 2024.04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 |
PC | 글로벌 | 2025.06 |
2) 판매방법 당사는 현재 게임 개발사로서 제작 역량 강화에 집중하고 있고 사내 별도의 판매조직 없이 각 게임별 글로벌적으로 전문성 높은 퍼블리셔를 통해 게임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개발사와 퍼블리셔는 게임의 서비스 전 과정에 걸쳐 시장분석, 판매전략 수립 등에 대해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당사가 직접적인 판매활동을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3) 판매전략
당사는 제품 각각의 특성에 맞춘 최적의 판매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당사가 개발한 <승리의 여신: 니케>는
당사는 향후에도 자사 신규 게임별 특성과 출시 전략에 따라 글로벌 영향력 높은 퍼블리셔와의 지속적인 협업 또는 자체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이용자 확보 및 매출 증대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당사는 미래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재무위험을 식별하고 평가하고 관리를 통해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시장 위험가) 외환 위험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환율의 변동 위험에 따라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이 있습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회사의 화폐성자산ㆍ화폐성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
USD | 202,738,934 | 31,598,747 | 155,032,824 | 1,727,694 |
JPY | 9,673,471 | 0 | 6,150,598 | 296,136 |
CNY | 0 | 1,099,091 | 170 | - |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원화대비 환율이 다음과 같이 변동시 회사의 세전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세전 손익에 대한 영향 | ||
---|---|---|---|
당반기말 | 전기말 | ||
USD/원 | 10% 상승 시 | 17,114,019 | 15,330,513 |
10% 하락 시 | (17,114,019) | (15,330,513) | |
JPY/원 | 10% 상승 시 | 967,347 | 585,446 |
10% 하락 시 | (967,347) | (585,446) | |
CNY/원 | 10% 상승 시 | (109,909) | 17 |
10% 하락 시 | 109,909 | (17) |
2) 신용 위험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회사에게 재무손실을 입힐 위험을 의미합니다. 신용위험은 기업 및 개인 고객에 대한 신용거래 및 채권뿐 아니라 현금성자산, 채무상품의 계약 현금흐름, 유리한 파생상품 및 예치금 등에서 발생합니다.
가) 위험관리
기업 고객의 경우 외부 신용등급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 동 정보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내부적으로 고객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등을 근거로 신용등급을 평가합니다. 고객별 한도는 내부 및 외부 신용등급에 따라 이사회가 정한 한도를 적용합니다. 경영진은 이러한 고객별 한도의 준수 여부를 정기적으로 검토합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담보나 그 밖의 신용보강을 고려하지 않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익스포저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38,849,244 | 289,250,437 |
매출채권 | 125,560,481 | 102,306,131 |
기타금융자산 | 33,832,500 | 13,653,15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46,271,327 | 256,438,850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192,655,800 | 101,650,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3,636,809 | 13,636,809 |
합 계 | 850,806,161 | 776,935,380 |
3) 유동성 위험
유동성위험은 당사가 현금이나 다른 금융자산을 인도하여 결제하는 금융부채에 관련된 의무를 이행하는 경우에 어려움을 겪게 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의 유동성위험관리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단기 및 중장기 자금조달과 유동성관리규정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는 이사회에 있습니다.
당사는 충분한 적립금과 차입한도를 유지하고 예측현금흐름과 실제현금흐름을 계속하여 관찰하고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만기구조를 대응시키면서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가) 만기 분석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주1) | 당반기말 | ||||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장부금액 | |
기타금융부채(주2) | 46,575,723 | - | - | 46,575,723 | 46,575,723 |
리스부채 | 3,345,874 | 8,517,524 | - | 11,863,398 | 9,929,560 |
합 계 | 49,921,597 | 8,517,524 | - | 58,439,121 | 56,505,283 |
(단위: 천원) |
구 분(주1) | 전기말 | ||||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장부금액 | |
기타금융부채(주2) | 3,592,828 | - | - | 3,592,828 | 3,592,828 |
리스부채 | 3,254,089 | 10,402,789 | - | 13,656,878 | 11,152,263 |
합 계 | 6,846,917 | 10,402,789 | - | 17,249,706 | 14,745,091 |
(주1) | 계약상 현금흐름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종업원급여 관련 채무 등은 제외되었습니다. |
4) 자본위험 관리
당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당사는 산업내 다른 기업과 일관되게 부채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부채비율은 부채총계를 자본총계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부채총계 | 92,894,183 | 39,427,774 |
자본총계 | 793,117,395 | 764,404,136 |
부채비율 | 11.71% | 5.16% |
나. 파생상품 등 거래현황 당사는 당반기말 현재 매매목적의 선물환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계약처 | 계약체결일 | 만기일 | 통화 | 계약금액(USD) | 평가금액(KRW) | 약정환율 |
선물환 | 신한투자증권 | 2025-01-24 | 2025-07-24 | USD | 14,331,849.00 | (923,974,360) | 1,420.87 |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종류 | 계약상대방 | 계약기간 | 계약의 목적 및 내용 | 계약금액 | 비고 |
퍼블리싱 계약 | Proxima Beta Pte. Ltd | 2021.01.06 ~ | 니케 모바일 퍼블리싱 계약 | 총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당사에 수수료로 지급 | 글로벌 |
퍼블리싱 계약 | Proxima Beta Pte. Ltd | 2022.12.29 ~ | 니케 PC 퍼블리싱 계약 | 총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당사에 수수료로 지급 | 글로벌 |
퍼블리싱 계약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외1 | 2023.09.08 ~ | 니케 China 퍼블리싱 계약 | 총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당사에 수수료로 지급 | 중국 |
퍼블리싱 계약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 2023.10.06 ~ | 스텔라 블레이드 콘솔 퍼블리싱 계약 | 총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당사에 수수료로 지급 | 글로벌 |
임대차 계약 | 우리은행(신탁업자), 제이알투자운용 (집합투자업자) | 2024.01.01 ~ | 에이프로스퀘어(사무실) 임차 계약 | 월 임차료 및 관리비 지급 | 사무실 임차 관련 |
퍼블리싱 계약 |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 2025.02.01 ~ | 스텔라 블레이드 PC 퍼블리싱 계약 | 총 매출액의 일정 비율을 당사에 수수료로 지급 | 글로벌 |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조직당사는 기업부설연구소 및 연구개발조직 등을 통하여 신규 콘텐츠 개발 및 관련 제반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위 : 명) |
구분 | 총원 | 연구소장 | 연구원 등 |
㈜시프트업 기업부설연구소 | 261 | 1 | 260 |
2) 연구개발 비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인건비 | 20,031 | 18,498 | 11,241 |
제조경비 | 32,516 | 10,078 | 4,535 |
합계 | 52,547 | 28,576 | 15,776 |
자산계상 | - | - | - |
비용계상 | 52,547 | 28,576 | 15,776 |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 33.99% | 12.75% | 9.36% |
3) 주요 연구개발 실적[2020년]
연구과제 | 3D Scan 장비 및 sculpture 모델을 통한 모델링 제작 파이프라인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3D 게임의 캐릭터 제작에 있어, 전통적인 컨셉 원화 및 그것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링 방식이 아닌, 실제 조형제작을 통해 디테일한 아트워크를 구현해당 조형을 3D 스캔하여 모델링과 아트워크의 이질감 등을 없앤 높은 퀄리티의 모델링을 구현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스텔라 블레이드>에 해당 기술을 통한 다수의 애니메이션이 사용됨 |
연구과제 | 모션 캡쳐 시스템을 이용한 애니메이션 제작 파이프 라인 최적화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웨어러블 모션 캡쳐 시스템(Xsens)을 이용하여,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실시간 캡쳐 및 확인 / 제작 파이프 라인의 최적화, 전통적인 수작업 애니메이션이 아닌 모션 캡쳐를 통해 보다 빠르게 현실적이고 높은 퀄리티의 애니메이션을 구현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스텔라 블레이드>에 해당 기술을 통한 다수의 애니메이션이 사용됨 |
[2021년]
연구과제 | 스킨드 메시(skinned mesh) 절단 표현을 위한 실시간 메시 컷팅 및 생성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캐릭터 3D 모델의 실시간 절단을 구현하여, 게임 내 전투의 임팩트 및 비주얼 표현의 향상을 목표로 함몬스터의 사망 시, 몬스터와 주인공의 무기 각도에 따라, 본 베이스의 메시 절단, 클리핑 및 메시 머지를 통한 절단면 표현을 구현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스텔라 블레이드>에 해당 기술을 통한 다수의 애니메이션이 사용됨 |
연구과제 | 패드 햅틱(게임 컨트롤러 진동)을 통한 게임 내 몰입감 향상에 대한 리소스 제작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패드 햅틱(게임 컨트롤러 진동)을 통해 게임 내 몰입감 향상을 목표로 함패드 햅틱(게임 컨트롤러 진동)을 플레이 상황과 유저 액션에 맞춰 적용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게임 내 몰입감 향상을 위해 패드 햅틱과 음악 및 음향 효과 동기화를 통해 플레이 몰입감과 플레이 감각을 극대화함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스텔라 블레이드>에 해당 패드 햅틱(게임 컨트롤러 진동)이 적용됨 |
[2022년]
연구과제 | 게임 내 다중언어 음성 출력 시 퀄리티 높은 캐릭터 립싱크 애니메이션 표현을 위한 외부 솔루션 도입 및 리소스 생성 체인 고도화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다양한 음성 언어를 지원하는 게임에 있어 음성에 맞는 립싱크 및 페이셜 감정표현의 효율적인 파이프라인 구성은 퀄리티 향상의 핵심적인 기술임. 외부 립싱크 솔루션 도입 및 해당 솔루션을 통한 제작 프로세스 자동화를 통해 빠르고 퀄리티 높은 립싱크 및 페이셜 애니메이션 표현을 구현함을 목표로 함외부 솔루션인 Jali을 사용하여 페이셜 애니메이션 구성의 감정표현(페이스 상단)과 언어별 립싱크(페이스 하단) 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언어의 적용과 감정표현을 독립적으로 표현하는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자동화하여 높은 퀄리티의 페이스 애니메이션을 효율적으로 적용함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스텔라 블레이드>에 해당 기술을 통한 캐릭터들의 인플레이, 시네마틱이 적용됨 |
[2023년]
연구과제 | 유니티 엔진 네트워크 통신에서 HTTP/2 Batching 기법을 활용한 네트워크 통신의 구조 기반 개선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HTTP/2에서 새롭게 제안된 Request Batching을 유니티 엔진의 네트워크 레이어에 적용해 HTTP handshake가 갖는 부하를 구조적으로 개편하여 전체적인 응답속도를 개선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승리의 여신: 니케>에 적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수백개의 HTTP요청도 일괄 처리할 수 있는 서비스 구축에 성공 |
연구과제 | Kubernetes 환경 기반 서버 인프라 구축의 선언적 관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인프라 관리를 코드 수준에서 제어하고, 인프라 Vendor에 종속되지 않는 인프라 배포 전략 수립서로 다른 서버 인프라 환경에서도 하나의 인프라 오케스트레이션으로 관리 및 배포를 통한 여러 서버의 운영환경을 쉽게 관리 |
연구결과의 상품화 | OnPermise, AWS, TCloud 세 가지 서로 다른 서버 인프라 환경에서도 하나의 인프라 오케스트레이션으로 관리 및 배포하여 <승리의 여신: 니케>의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수행 |
[2024년]
연구과제 | 게임 성능 최적화를 위한 게임로직 병렬화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게임 내 CPU 기반의 로직은 순차적인 수행을 기본으로 하기에 부하의 조절이 쉽지 않음. 이의 최적화를 위해, 처리 단위의 그룹화, 병렬 처리 및 처리 시점 분산을 통한 부하 밸런싱 조절 및 성능향상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스텔라 블레이드>에 해당 기술을 반영, 게임 성능 최적화 |
연구과제 | 메타 휴먼 및 실시간 퍼포먼스 캡쳐를 통한 사실적인 얼굴 및 표정 표현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캐릭터의 표현에 있어, 사실적이고 자연스러운 얼굴 표정 및 감정표현 부분은 중요한 요소. 이를 효율적이고 퀄리티 높게 구현하기 위하여 언리얼 엔진의 메타휴먼 시스템과 실시간 캡쳐 환경을 이용, 효율적이고 퀄리티 높은 캐릭터를 표현 |
연구결과의 상품화 | 연구 과제를 통한 최적화된 파이프라인 구성을 통해 효율적인 사내 페이셜 캡쳐 시스템 구축 |
연구과제 | Unity 엔진 버전 업그레이드에 따른 성능 최적화 및 사전 문제 탐지 연구 |
연구기관 | 자체연구 (㈜시프트업 기업부설 연구소)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현재 서비스 중인 게임의 Unity 엔진 업그레이드 시, 성능 향상과 함께 기대할 수 있는 이점, 발생 가능한 문제점 및 리스크를 검토한 연구 |
연구결과의 상품화 | 로딩 속도 개선, 메모리 히칭 등의 이슈 개선 및 추가적인 메모리 최적화 가능성 검토 진행 중 |
4) 연구개발 계획
개요 | 구글의 알파고로 시작해서 OpenAI까지 딥러닝을 기반으로 한 연구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게임 개발 환경과 콘텐츠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 이에 게임 콘텐츠 개발 과정의 효율성과 다양성을 진행하기 위해 회사에서는담당 부서에서 많은 기술에 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함 |
기대효과 | 많은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생산하여 개발 프로세스의 개선을 이루고, 게임 플레이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시프트업의 제작 라인업의 다양화에 기여 |
적용 예시 | 게임 제작 과정에서의 단순 작업에 AI 적용하여 게임개발의 효율성 향상이용자의 행동에 따라 다양한 반응을 할 수 있는 콘텐츠의 제작으로 다양한 경험을 지원함 |
진행 상황 | 이미지 생성, 음성 생성에 대한 기반 기술을 확보하고 PoC 단계를 통과하기 위한 작업 진행 예정대화 생성(가상 인격), 3D 애니메이션 분야에서는 기반 기술 연구 및 아이디어 프로토타입 진행 예정 |
가. 특허권, 실용신안권, 의장권, 상표권 및 저작권 등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당사는 저작권, 상표권 등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뿐만아니라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국내 및 해외에서의 지적재산권 등록 및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각적으로 지적재산권 보호 방안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적재산권 현황 요약]
구분 | 상표권 | 저작권 | |||
출원 | 등록 | 신청 | 등록 | ||
국내 | 대한민국 | 8 | 26 | - | 244 |
해외 | 일본, 미국, EU등 | 51 | 105 | - | 1 |
합 계 | 59 | 131 | - | 245 |
나. 법률, 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당사의 영업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법률 및 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목적 및 주요내용 |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
- 게임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게임물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게임산업의 진흥 및 국민의 건전한 게임문화를 확립함으로써 국민경제의 발전과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사행성게임물의 정의(법 제2조제1호의2), 게임물의 등급분류(법 제21조), 게임제작업의 등록(법 제25조), 게임물 관련사업자의 준수사항(법 제28조), 불법게임물 등의 유통금지(법 제32조) |
이스포츠(전자스포츠) 진흥에 관한 법률 (문화체육관광부 게임콘텐츠산업과) |
- 이스포츠의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이스포츠의 문화와 산업의 기반조성 및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이스포츠를 통하여 국민의 여가선용 기회 확대와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기본계획의 수립 등(법 제6조), 표준계약서의 사용 및 확산(법 제7조의2), 자금지원 등(법 제8조), 이스포츠 관련 전문인력의 양성(법 제10조) |
문화산업진흥기본법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
- 문화산업의 지원 및 육성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문화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고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삶의 질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문화산업의 정의(법 제2조 제1호 나목),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설립(법 제31조) |
소프트웨어진흥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 정책과) |
- 소프트웨어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국가 전반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강화하고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소프트웨어진흥시설 지정 등(법 제11조), 소프트웨어 지식재산권 보호(법 제17조), 소프트웨어사업 영향평가(법 제43조), 중소 소프트웨어사업자의 사업 참여 지원(법 제48조) |
콘텐츠산업 진흥법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산업정책과) |
- 콘텐츠산업의 진흥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콘텐츠산업의 기반을 조성하고 그 경쟁력을 강화하여 국민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건전한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콘텐츠제작의 활성화(법 제9조), 지식재산권의 보호(법 제10조), 창업의 활성화(법 제13조),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지원(법 제17조) |
저작권법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정책과) |
-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업무상저작물의 저작자(법 제9조), 저작권(법 제10조), 공표권(법 제11조), 성명표시권(법 제12조), 동일성유지권(법 제13조), 보호기간의 원칙(법 제39조), 저작물의 이용허락(법 제46조) |
디자인보호법 (특허청 디자인심사정책과) |
- 디자인의 보호와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디자인의 창작을 장려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디자인등록의 요건(법 제33조), 디자인등록출원(법 제37조), 디자인등록출원일의 인정 등(법 제38조), 디자인권의 존속기간(법 제91조), 디자인등록의 무효심판(법 제121조) |
특허법 (특허청 특허제도과) |
- 발명을 보호·장려하고 그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특허요건(법 제29조), 선출원(법 제36조), 특허출원(법 제42조), 특허출원심사의 청구(법 제59조), 우선심사(법 제61조), 특허료(법 제79조), 특허권의 존속기간(법 제88조) |
상표법 (특허청 상표심사정책과) |
- 상표를 보호함으로써 상표 사용자의 업무상 신용 유지를 도모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함 - 상표등록의 요건(법 제33조), 선출원(법 제35조), 심사의 순위 및 우선심사(법 제53조), 상표등록결정(법 제68조), 상표등록료(법 제72조), 상표등록증의 발급(법 제81조) |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특허청 산업재산보호정책과) |
- 국내에 널리 알려진 타인의 상표·상호 등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등의 부정경쟁행위와 타인의 영업비밀을 침해하는 행위를 방지하여 건전한 거래질서를 유지함을 목적으로 함 - 부정경쟁행위 등의 금지청구권 등(법 제4조), 부정경쟁행위 등에 대한 손해배상책임(법 제5조), 영업비밀 원본 증명(법 제9조의2), 영업비밀 침해행위에 대한 금지청구권 등(법 제10조) |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이용자기반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자원정책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사이버침해대응과, 방송통신위원회 이용자정책총괄과, 방송통신위원회 디지털유해정보대응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디지털기반안전과)) |
- 정보통신망의 이용을 촉진하고 정보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보호함과 아울러 정보통신망을 건전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향상과 공공복리의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함 - 접근권한에 대한 동의(법 제22조의2), 청소년유해매체물의 표시(법 제42조), 청소년유해매체물의 광고금지(법 제42조의2), 청소년 보호 책임자의 지정 등(법 제42조의3), 정보의 삭제요청 등(법 제44조의2) |
청소년보호법 (여성가족부 청소년보호환경과) |
- 청소년에게 유해한 매체물과 약물 등이 청소년에게 유통되는 것과 청소년이 유해한 업소에 출입하는 것 등을 규제하고 청소년을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구제함으로써 청소년이 건전한 인격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함 - 청소년유해매체물의 심의·결정(법 제7조), 등급 구분 등(법 제8조), 청소년유해매체물의 심의 기준(법 제9조), 청소년유해매체물의 자율 규제(법 제11조), 청소년유해표시 의무(법 제13조), 판매 금지 등(법 제16조), 인터넷게임 이용자의 친권자등의 동의(법 제24조), 인터넷게임 제공자의 고지 의무(법 제25조) |
개인정보보호법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 개인정보의 처리 및 보호에 관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나아가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함을 목적으로 함 - 개인정보 보호 원칙(법 제3조), 개인정보 보호위원회(법 제7조), 개인정보의 수집·이용(법 제15조), 개인정보의 제공(법 제17조), 개인정보의 목적 외 이용·제공 제한(법 제18조), 정보주체 이외로부터 수집한 개인정보의 수집 출처 등 통지(법 제20조) |
다.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1) 산업의 특성게임은 놀이문화의 일종으로 상대적으로 쉬운 접근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수단입니다. PC, 모바일, 콘솔 등 디지털 플랫폼을 기반으로 창의적인 게임 소재와 다양한 장르를 통하여 전 세계 이용자들에게 서비스 저변이 확대되고 있으며, Covid-19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과 감염에 대한 두려움으로 2020년부터 게임 콘텐츠를 즐기고자 하는 이용자의 수요가 증가하여 높은 고부가가치와 경제성을 창출하였습니다. Covid-19 팬데믹 종식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국내 게임사들의 제작 역량이 강화되어 글로벌 시장 내 한국의 위상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게임은 다양한 산업과 결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검증된 게임 IP는 팬덤을 형성하여 옷, 가방, 피규어, 액세서리 등의 상품 등의 수요로 이어지며 핵심 게임 IP의 탄탄한 스토리와 흥행이 검증된 세계관은 영화, 드라마, 웹툰, 애니메이션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확대가 가능합니다. 게임사들은 이를 통하여 이용자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고 신규 비즈니스 기회 발굴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멀티 플랫폼(Multi-Platform), 크로스 플레이(Cross-Play) 등 플랫폼 진화에 힘입어 글로벌 게임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게임은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플랫폼 종류에 따라서 크게 온라인 게임, PC 게임, 모바일 게임, 콘솔 게임, 아케이드 게임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콘솔 게임과 아케이드 게임은 전통적 의미의 게임이라면, 모바일과 온라인 게임은 2000년대 이후 모바일 인프라와 인터넷이 확산되면서 급성장한 게임 플랫폼 유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에 더해 접근성으로도 게임을 분류해 볼 수 있습니다. 간단한 조작으로 짧은 시간에 즐길 수 있는 캐주얼 게임, 게임을 위해 높은 이해도와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하드코어 게임, 캐주얼 게임과 하드코어 게임의 중간에 있는 미드코어 게임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퍼즐, 퀴즈, 아케이드, 스포츠 장르의 게임을 캐주얼 게임으로, MMORPG 장르의 게임을 하드코어 게임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미드코어 게임의 장르로는 액션 RPG, 전략 시뮬레이션 등이 있습니다.
게임의 다양한 분류 방법은 전 세계 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각양각색의 선호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과거 부족한 하드웨어 성능으로 캐주얼 게임이 주를 이루었으나 오늘날은 큰 개발비가 투입되는 대작 게임들이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콘솔이라는 제한적인 플랫폼에서 PC, 모바일을 거쳐 크로스 플레이를 제공하는 게임사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게임산업의 성장은 기술 발전의 혜택을 직접적으로 받아왔고, 향후에도 기술 발전에 따라 산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2) 산업의 규모 및 성장성미디어에 대한 소비증대 및 기술혁신으로 인하여 최근 게임산업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과거 전통적 형태의 엔터테인먼트와는 달리 게임산업은 이용자에게 풍부한 스토리와 복잡한 세계관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 발전을 통하여 게임 산업은 꾸준한 성장을 이루었습니다.게임 산업의 기술 발전은 더 많은 이용자가 몰입도 높은 게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보편화, 급속도로 성장하는 네트워크 환경, 고성능 PC 및 콘솔 장치 등의 출시로 인하여 게임 이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게임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즐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습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관점에서는 Unity 및 Unreal Engine 등과 같은 높은 성능을 보유한 게임 엔진의 출시로 인하여 일관되고 높은 품질을 유지하면서 다양한 플랫폼을 통하여 게임을 경험하는 크로스 플랫폼 게임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기술적인 발전과 더불어 최근 라이브 스트리밍 등에 대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게임산업에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Twitch 및 YouTube Gaming 등과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은 게임 참여자를 게임 플레이어에서 게임 시청자까지로 확장시켰습니다. 영향력 있는 게임 콘텐츠 제작자가 전용 팬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동 커뮤니티를 통하여 새로운 게임에 대한 출시를 홍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e-스포츠는 게임에 대한 정의를 확장하여 직접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프로게이머가 플레이하는 영상을 전 세계의 수백만 명의 시청자가 시청하는 것까지도 확장이 이루어지며, 글로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큰 부문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가) 국내 게임 시장의 규모 및 전망2023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22조 9,642억 원으로, 2022년 22조 2,149억 원 대비 3.4% 증가하였습니다. 최근 10년간 국내 게임 산업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Covid-19가 발발한 2020년 재택 시간의 증가로 국내 게임 시장이 21.3%에 이르는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 성장률은 둔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게임시장의 규모 추이> |
(단위 : 억원) |
구 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매출액 | 성장률 | |
PC게임 | 49,012 | 2.0% | 56,373 | 15.0% | 58,053 | 3.0% | 58,888 | 1.4% |
모바일게임 | 108,311 | 39.9% | 121,483 | 12.2% | 130,720 | 7.6% | 136,118 | 4.1% |
콘솔게임 | 10,925 | 57.3% | 10,520 | -3.7% | 11,196 | 6.4% | 11,291 | 0.8% |
아케이드게임 | 2,272 | 1.6% | 2,733 | 20.3% | 2,976 | 8.9% | 2,852 | -4.2% |
PC방 | 17,970 | -11.9% | 18,408 | 2.4% | 18,766 | 1.9% | 19,994 | 6.5% |
아케이드게임장 | 365 | -48.1% | 396 | 8.6% | 438 | 10.4% | 500 | 14.2% |
합계 | 188,855 | 21.3% | 209,913 | 11.2% | 222,149 | 5.8% | 229,642 | 3.4% |
※ 출처 : 2024년 대한민국게임백서 |
2024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2023년 대비 9.78% 상승한 25조 1,899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1년부터 성장률 자체로 보면 둔화 추세였지만 2024년에는 이보다는 높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게임시장 내 상황 변화로 인해 예측치가 변화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나) 세계 게임 시장의 규모 및 전망2023년 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0% 증가한 2,051억 8,900만 달러로 추정됩니다. 2022년 성장률이 사실상 정체된 상황과 비교하여, 미약하지만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향후 연평균 성장률(CAGR)은 3.5%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게임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026년 | '23~'26CAGR | |
---|---|---|---|---|---|---|---|---|
아케이드게임 | 매출액 | 17,394 | 19,077 | 18,583 | 18,782 | 19,032 | 19,248 | 1.2% |
성장률 | - | 9.7% | -2.6% | 1.1% | 1.3% | 1.1% | ||
온라인PC게임 | 매출액 | 34,486 | 34,314 | 34,231 | 34,945 | 35,670 | 36,402 | 2.1% |
성장률 | - | -0.5% | -0.2% | 2.1% | 2.1% | 2.1% | ||
콘솔게임 | 매출액 | 60,550 | 59,012 | 62,281 | 63,878 | 66,862 | 66,947 | 2.4% |
성장률 | - | -2.5% | 5.5% | 2.6% | 4.7% | 0.1% | ||
모바일게임 | 매출액 | 88,882 | 88,837 | 90,094 | 94,530 | 99,808 | 105,052 | 5.3% |
성장률 | - | -0.1% | 1.4% | 4.9% | 5.6% | 5.3% | ||
합계 | 매출액 | 201,312 | 201,239 | 205,189 | 212,135 | 221,371 | 227,649 | 3.5% |
성장률 | - | 0.0% | 2.0% | 3.4% | 4.4% | 2.8% |
※ 출처 : 2024년 대한민국게임백서, PWC 2024; Niko Partners 2024; JOGA 2024; Enterbrain 2024; Playmeter 2016; Circana 2024 |
2023년 세계 게임시장에서 플랫폼 점유율은 모바일 게임이 43.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서 콘솔 게임이 30.4%로 두 번째로 높은 점유율을 기록했습니다. 2022년 모바일 게임의 성장률이 안정화에 접어들며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모바일 게임 특성상 높은 접근성을 통한 시장 확대로 2023년부터는 성장률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콘솔 게임에서 AAA급 게임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모바일과 콘솔 게임 중심의 플랫폼 점유율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게임산업은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성이 적은 편입니다. 게임은 여가시간을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생산, 서비스하는 산업입니다. 대표적인 콘텐츠 산업인 영화, 공연, 스포츠 등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용이하고 저렴한 즐길거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경기가 좋지 않아도 다른 콘텐츠 산업 대비 민감도가 떨어집니다. 이와 같이 경기변동 폭이 커도 게임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또한 게임은 기후적 특성 및 주요 이용자의 인구학적 특성으로 인해 일정 수준의 계절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12월은 일반적으로 연말, 크리스마스, 1월 새해 등의 이벤트가 있는 시기라는 점에서 게임 업체들은 경쟁적으로 12월 경에 신작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야외 활동이 많은 봄, 여름, 가을에 비하여, 겨울에는 실내활동이 잦아지며, 실내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여가 활동 중 하나인 게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한편, 겨울만큼은 아니지만 여름 또한 방학 이벤트로 인해 신규 이용자 유입이 급증하는 시기입니다.한편, 계절적으로는 게임 이용의 디바이스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입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는 이용 형태 등에서 뚜렷한 계절성을 보이지 않고 제한적입니다. 개개인이 휴대하는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게임 플레이의 장소나 시간적 제약이 낮아 계절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공간적 제약이 많은 PC나 콘솔 게임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휴가철 등의 요인으로 6~8월에는 매출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며, 연말/연초에는 매출이 상승하는 등 계절적 요인이 일부 존재하는 경향이 있습니다.4) 국내외 시장 여건 및 경쟁상황국내 게임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MMORPG 시장의 포화와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규제 강화로 장르 다변화와 새로운 수익 모델 모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반면, 글로벌 게임시장은 모바일과 콘솔 플랫폼을 중심으로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전통적으로 글로벌 게임 시장은 플랫폼에 따라 지역적 특성이 상이합니다. 콘솔 게임 시장은 북미와 유럽 중심으로 서구권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모바일 게임시장은 아시아 지역에서 빠르게 성장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플랫폼 간 경계가 흐려지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콘솔 게임 시장은 아시아 지역에서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북미와 유럽 위주로 강세를 보였다면, 최근에는 중국,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콘솔 게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모바일 게임 시장 또한 서구권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다양한 장르의 모바일 게임이 북미와 유럽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특히 캐주얼 게임이 서구권 유저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모바일 시장의 서구권 확대와 콘솔 시장의 아시아권 성장은 글로벌 게임산업의 경계를 허물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게임 개발사들이 모바일과 콘솔 플랫폼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핵심 요소로 부각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5) 경쟁우위 요소가) 신규 IP개발 노하우당사는 세계관 구축 및 캐릭터 생성과 관련하여 수년간에 걸쳐 정립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몰입감 높은 내러티브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하여 당사는 각 게임별 IP 개발 초기 단계부터 게임 속 세계관을 정밀하게 스케치하고, 수많은 플롯(Plot)과 다양한 캐릭터들을 복잡하게 엮어내기 위해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캐릭터 개발 시 캐릭터와 이용자간의 장기적인 관계 형성을 위하여 단계별 접근 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즉, 신규 캐릭터 출시에 앞서 서브스토리와 게임 내 이벤트에 대한 암시를 삽입함으로써 새로운 캐릭터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캐릭터가 출시되면 전체 내러티브와 미션은 물론 전용 게임플레이 기능을 통하여 바이럴 팬덤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출시 이후 단계에서는 정기적인 콘텐츠 업데이트, 오프라인 상품 및 이벤트를 통해 이용자가 지속적으로 캐릭터를 플레이하도록 유도하고, 캐릭터와의 관계 유지를 위해 플레이어에게 캐릭터를 지속적으로 상기시키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세계관 구축 및 캐릭터 제작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유저의 IP에 대한 참여를 점진적으로 높이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게임장르와 주제를 전 세계 이용자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게임플레이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나) 기술 중심 개발 플랫폼당사는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 속도와 몰입감 높은 게임 플레이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발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컨셉 생성을 가속화하고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필요한 반복작업을 간소화하기 위해 AI 를 신작 개발에 활용하고 있으며, AAA급 게임 개발에 맞춘 최첨단 그래픽 이미지 합성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스텔라 블레이드> 개발의 경우 내부적으로 3D 조각 기술과 물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초현실적인 게임 내 환경과 몬스터를 디자인함으로써 광활한 오픈 월드를 설계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자체적으로 보유한 3D 스캐닝 스튜디오와 모션 캡처 기술을 활용하여 자연스럽고 역동적인 캐릭터와 개체의 움직임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당사는 개발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서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강점을 활용하여 게임에 대한 품질과 개발 효율성을 최적화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게임의 컨셉화 단계에서부터 5~10분 정도의 게임플레이 프로토타입을 신속하게 제작하여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및 내부인력의 피드백을 수집한 후 전반적인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개발 단계에서는 당사의 숙련된 리더십과 핵심 팀 리더들은 명확한 개발 계획을 설정하고, 생산 속도를 높이는 기술적인 지원을 통하여 팀 간 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출시에 앞서 글로벌 퍼블리싱 파트너사의 기술 및 QA 지원을 통하여 최종 출시되는 게임의 전체적인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다) 멀티 플랫폼 활용 능력당사는 다양한 플랫폼 유형의 게임을 개발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출시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 업체가 달성하기 어려운 뛰어난 성과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승리의 여신: 니케>는 모바일 게임 경험을 PC 플랫폼으로 성공적으로 확장하며, PC 버전의 DAU(Daily Active Users)가 약 30% 수준까지 증가했습니다. 또한 <스텔라 블레이드>를 통해 콘솔, PC 게임 시장에 신규 진출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당사는 모바일, PC, 콘솔 플랫폼에서의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플랫폼의 유저들에게 게임 플레이 경험을 제공하는 크로스 플랫폼 게임을 개발하여 저변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라. 사업부문별 주요 재무정보 당사의 경우 단일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게임개발부문의 성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품목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제12기(2024년) | 제11기(2023년)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게임개발 | 승리의 여신: 니케 | 77,422 | 50.07% | 151,526 | 67.62% | 163,537 | 97.00% |
스텔라 블레이드 | 72,730 | 47.04% | 68,062 | 30.37% | - | - | |
데스티니 차일드(주1) | - | - | - | - | 3,979 | 2.36% | |
기타 | 4,465 | 2.89% | 4,497 | 2.01% | 1,078 | 0.64% | |
합계 | 154,617 | 100.00% | 224,085 | 100.00% | 168,594 | 100.00% |
(주1) 2023년 9월 21일 국내외 서비스를 종료하였습니다. |
마. 신규사업 등의 내용 1) <스텔라 블레이드> IP 확장당사가 개발한 AAA급 게임 <스텔라 블레이드>는 2024년 4월 콘솔 출시를 통해 완성도 높은 게임성을 기반으로 흥행에 성공하며 글로벌 콘솔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하였습니다. 또한, 2025년 6월 출시된 PC 버전 또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기록하며 플랫폼 확장까지 성공적으로 진행한 바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스텔라 블레이드> IP의 프랜차이즈화를 본격 추진 하고 있으며, 현재 <스텔라 블레이드>의 후속작(시퀄) 개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후속작은 본편 <스텔라 블레이드>의 액션성을 계승하면서도, 더욱 확장된 세계관과 고도화된 게임성을 반영해 프랜차이즈 IP로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본편 이상의 성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2) 신규 IP <프로젝트 스피릿> 개발당사가 개발 중인 신규 IP <프로젝트 스피릿>은 <승리의 여신: 니케>, <스텔라 블레이드>에 이은 차기 플래그십 타이틀로, 당사의 IP 제작 역량을 집약한 신규 게임으로 개발 중에 있습니다.<프로젝트 스피릿>은 이스턴 판타지 세계관을 기반으로 한 서브컬처 스타일의 게임으로, 모바일, PC, 콘솔을 아우르는 크로스 플랫폼으로로 개발되고 있으며, 글로벌 전 지역, 전 플랫폼의 유저들에게 새로운 게임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당사의 IP 경쟁력을 강화하고, 당사의 장기적인 성장을 견인할 핵심 IP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단위 : 원) |
과 목 | 제13기 반기말 | 제12기 | 제11기 |
2025년 6월말 | 2024년 12월말 | 2023년 12월말 | |
[유동자산] | 824,453,991,020 | 768,171,881,980 | 177,200,980,837 |
현금및현금성자산 | 138,849,244,353 | 289,250,436,994 | 116,136,433,406 |
매출채권 | 125,560,480,570 | 102,306,130,959 | 59,892,458,011 |
기타유동금융자산 | 30,328,341,694 | 11,394,731,622 | 845,150,456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유동) | 326,874,611,412 | 256,438,849,713 |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유동) | 192,655,800,000 | 101,650,000,000 | - |
기타유동자산 | 10,185,512,991 | 7,131,732,692 | 326,938,964 |
[비유동자산] | 61,557,586,874 | 35,660,027,909 | 26,717,121,628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3,504,158,233 | 2,258,421,553 | 1,526,350,08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19,396,715,561 | - | 250,649,161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 13,636,808,600 | 13,636,808,600 | - |
유형자산 | 2,524,093,097 | 2,710,752,973 | 941,314,607 |
사용권자산 | 9,849,921,824 | 11,078,469,461 | 9,870,743,231 |
무형자산 | 2,308,694,925 | 2,969,191,667 | 575,646,307 |
기타비유동자산 | 3,786,525,445 | - | - |
순확정급여자산 | 236,655,570 | 221,440,456 | 19,970,123 |
이연법인세자산 | 6,314,013,619 | 2,784,943,199 | 13,532,448,118 |
자산총계 | 886,011,577,894 | 803,831,909,889 | 203,918,102,465 |
[유동부채] | 81,130,764,412 | 28,585,967,115 | 11,198,987,853 |
[비유동부채] | 11,763,418,649 | 10,841,807,169 | 11,660,829,867 |
부채총계 | 92,894,183,061 | 39,427,774,284 | 22,859,817,720 |
[자본금] | 11,756,344,000 | 11,666,944,000 | 9,916,152,000 |
[자본잉여금] | 531,187,450,850 | 527,436,611,274 | 95,895,518,998 |
[기타자본] | (46,998,466,227) | 6,281,126,370 | 4,202,445,287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51,231,401) | (51,231,401) | (53,244,210) |
[이익잉여금] | 297,223,297,611 | 219,070,685,362 | 71,097,412,670 |
자본총계 | 793,117,394,833 | 764,404,135,605 | 181,058,284,745 |
부채및자본총계 | 886,011,577,894 | 803,831,909,889 | 203,918,102,465 |
종속·관계·공동기업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025년 1월 1일~2025년 6월 30일 | 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월 1일~2023년 12월 31일 | |
영업수익 | 154,617,107,742 | 224,084,645,616 | 168,594,168,364 |
영업이익 | 94,466,613,903 | 152,676,273,166 | 111,062,581,629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94,232,376,979 | 178,788,681,976 | 114,349,287,458 |
당기순이익 | 78,152,612,249 | 147,973,272,692 | 106,690,578,319 |
보통주기본주당순이익 | 1,339 | 2,734 | 3,004 |
보통주희석주당순이익 | 1,323 | 2,659 | 2,042 |
(주1) | 상기 요약재무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제 13 기 반기말 |
제 12 기말 |
|
---|---|---|
제 13 기 반기 |
제 12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결손금) |
자본 합계 |
|
제 13 기 반기 |
제 12 기 반기 |
|
---|---|---|
1.1 회사의 개요 주식회사 시프트업(이하 "회사"라 함)는 2013년 12월 2일 설립되어,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77길 55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등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당반기말 현재 자본금은 11,756백만원이며, 주요 주주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회사의 2025년 6월 30일로 종료하는 6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요약반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2.2.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5년 1월 1일에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회사는 비교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이 개정사항이 회사의 요약반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2)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은 2026 년 1 월 1 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 원가법 2.3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
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반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
현금및현금성자산 |
매출채권 |
기타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매출채권 |
기타금융자산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기타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기타금융부채 |
파생상품 금융부채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자산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자산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부채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자산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 |
|
자산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자산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ETF |
MMT,MMF 등 |
펀드 등 |
선물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평가기법 |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자산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ETF |
MMT,MMF 등 |
펀드 등 |
선물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평가기법 |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시장접근법 |
순자산가치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부채 |
|
파생상품 |
|
선물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
평가기법 |
|
시장접근법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파생상품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파생상품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파생상품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증권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파생상품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금융자산, 범주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범주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
연체상태 |
연체상태 합계 |
연체상태 |
연체상태 합계 |
|||||||||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9개월 이하 |
9개월 초과 12개월 이하 |
1년 초과 |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9개월 이하 |
9개월 초과 12개월 이하 |
1년 초과 |
|||
장부금액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
연체상태 |
연체상태 합계 |
연체상태 |
연체상태 합계 |
|||||||||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9개월 이하 |
9개월 초과 12개월 이하 |
1년 초과 |
3개월 이내 |
3개월 초과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9개월 이하 |
9개월 초과 12개월 이하 |
1년 초과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현재가치할인차금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유형자산 |
||||||
---|---|---|---|---|---|---|
사무용비품 |
임차시설물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유형자산 |
||||||
---|---|---|---|---|---|---|
사무용비품 |
임차시설물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사무용비품 |
임차시설물 |
유형자산 합계 |
|
---|---|---|---|
사무용비품 |
임차시설물 |
유형자산 합계 |
|
---|---|---|---|
건물 |
|
---|---|
건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사용권자산 |
|
---|---|
사용권자산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
||||||
---|---|---|---|---|---|---|
컴퓨터소프트웨어 |
지적재산권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
||||||
---|---|---|---|---|---|---|
컴퓨터소프트웨어 |
지적재산권 |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장부금액 |
장부금액 합계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감가상각누계액 및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컴퓨터소프트웨어 |
지적재산권 |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합계 |
|
---|---|---|---|
컴퓨터소프트웨어 |
지적재산권 |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합계 |
|
---|---|---|---|
(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투자주식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1) 음반 및 음원 기획과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회사이며,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2) 회사는 전기 이전 에스티메이트(유)의 계속적인 영업손실 등으로 인해 관계기업투자주식의 회수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함에 따라 전액 손상을 인식하였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사후처리, 복구, 정화 비용을 위한 충당부채 |
|
---|---|
사후처리, 복구, 정화 비용을 위한 충당부채 |
|
---|---|
전환상환우선주 |
|
---|---|
전환우선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본 |
|
---|---|
기타포괄손익누적액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 적립금 |
|
자본 |
|
---|---|
기타포괄손익누적액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 적립금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양도제한조건부주식 |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1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2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3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4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5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6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7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8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9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10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11차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
양도제한조건부 주식 |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양도제한조건부주식 |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양도제한조건부주식 |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
|||||
범위 |
범위 합계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게임매출 |
로열티매출 |
기타매출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게임매출 |
로열티매출 |
기타매출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외국 |
|||||||||||
아시아 |
아메리카 |
유럽 |
기타 국가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외국 |
|||||||||||
아시아 |
아메리카 |
유럽 |
기타 국가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수행의무 |
수행의무 합계 |
|||||
---|---|---|---|---|---|---|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수행의무 |
수행의무 합계 |
|||||
---|---|---|---|---|---|---|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대출약정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
(1)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특수관계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1) 해당 투자를 통해 관계기업에 대한 소유지분과 연계된 이익에 실질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에 따라 당기손익-공정가치로측정합니다.(주2) 회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과 동일한 연결실체 내의 일원입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Proxima Beta Pte. Ltd. |
텐센트코리아(유) |
Beijing Yongxing Interactive Technology Co., Ltd.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
Proxima Beta Pte. Ltd. |
텐센트코리아(유) |
Beijing Yongxing Interactive Technology Co., Ltd.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Proxima Beta Pte. Ltd. |
Beijing Yongxing Interactive Technology Co., Ltd.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Proxima Beta Pte. Ltd. |
Beijing Yongxing Interactive Technology Co., Ltd. |
Shenzhen Tencent Tianyou Technology Co., Ltd. |
||
전체 특수관계자 |
||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관계기업 |
|
포챈트스튜디오(주) |
||
전체 특수관계자 |
||
---|---|---|
당해 기업이나 당해 기업의 지배기업의 주요 경영진 |
관계기업 |
|
포챈트스튜디오(주)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고객1 |
고객2 |
|
---|---|---|
고객1 |
고객2 |
|
---|---|---|
가.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당사는 사업전략, 재무정책, 주주가치 제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법 제462조에 따른 배당 가능 이익 한도를 기준으로 정관에 규정한 바에 따라 이사회 및 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해 배당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정관 제60조 및 제61조에 이익배당과 배당금 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나.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1)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2)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다.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1) 배당에 관련한 정관 기재사항
구분 | 내용 |
제13조(신주의 동등배당) |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등에 의하여 발행(전환된 경우를 포함한다)한 동종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 배당한다. |
제59조(이익잉여금의 처분) | 회사는 매 사업년도말의 처분전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1. 이익준비금2. 기타의 법정적립금3. 배당금4. 임의적립금5. 기타의 이익잉여금처분액 |
제60조(이익배당) | 1. 이익의 배당은 금전, 주식 및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2. 이 회사는 이사회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3.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
제61조(배당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 1. 배당금은 배당이 확정된 날로부터 5년이 경과하여도 수령되지 않은 때에는 회사는 지급의무를 면하는 것으로 한다.2. 전항의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회사에 귀속한다.3. 이익배당금에 대하여는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다. |
라.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제12기(2024년 말) | 제11기(2023년 말)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마.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주1) | 최근 5년간 배당을 지급하지 않은 사유로 과거 배당이력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 | ||||||
- | ||||||
- | ||||||
- | ||||||
(주1) | ||||||
- | ||||||
- | ||||||
- | ||||||
- | ||||||
(주2) | ||||||
- | ||||||
- | ||||||
- | ||||||
- | ||||||
- | ||||||
(주3) | ||||||
(주4) | ||||||
(주5) | ||||||
- | ||||||
일반공모 | ||||||
- | ||||||
- | ||||||
- |
(주1) | 1주당 11주의 비율로 신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습니다. |
(주2) | 1주당 액면금액을 500원에서 200원으로 변경하는 주식분할을 실시하였습니다. |
(주3) | 전환상환우선주식 150,000주를 보통주 150,000주로 전환하였습니다. |
(주4) | 전환상환우선주식 1,341,040주, 우선주식 748,700주, 제2회우선주식 635,700주를 보통주 2,725,440주로 전환하였습니다. |
(주5) | 전환상환우선주식 635,960주,우선주식 2,171,740주,제2회우선주식 407,340주,제3회우선주식 8,693,610주를 보통주 11,908,650주로 전환하였습니다.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나.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다.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라.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마.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바.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사.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나.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기준일 : | ) |
종류 | 운용상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
계 | - |
가. 최근 3사업연도 중 합병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2024년 9월 30일 이사회에서 소규모 합병을 결의하였으며, 2024년 12월 5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합병방법 | 주식회사 시프트업이 지분 100%를 보유한 주식회사 테이블원을 흡수합병- 존속회사 : 주식회사 시프트업- 소멸회사 : 주식회사 테이블원 |
합병목적 | 우수 개발 인력 확보를 통한 신작 개발 역량 강화 |
합병비율 | 주식회사 시프트업 : 주식회사 테이블원 = 1.000000 : 0.000000 |
합병상대회사 | 주식회사 테이블원 |
합병계약일 | 2024년 10월 2일 |
합병기일 | 2024년 12월 5일 |
이사회결의일 | 2024년 9월 30일 |
기타사항 | 2024년 10월 1일 주식회사 테이블원 지분 100%를 취득 |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용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설정률 | |
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매출채권 | 125,560,481 | - | 0.0% |
미수금 | 27,755,527 | - | 0.0% | |
미수수익 | 2,621,989 | 169,892 | 6.5% | |
유동성장기대여금 | 120,718 | - | 0.0% | |
단기대여금 | 2,420,000 | 2,420,000 | 100.0% | |
장기미수금 | 779,091 | 779,091 | 100.0% | |
장기대여금 | 713,990 | - | 0.0% | |
장기임차보증금 | 3,574,560 | - | 0.0% | |
기타보증금 | 850 | - | 0.0% | |
합 계 | 163,547,206 | 3,368,983 | 2.1% | |
제12기(2024년) | 매출채권 | 102,306,131 | - | 0.0% |
미수금 | 10,553,683 | - | 0.0% | |
미수수익 | 903,446 | 169,892 | 18.8% | |
유동성장기대여금 | 101,631 | - | 0.0% | |
단기대여금 | 2,425,864 | 2,420,000 | 99.8% | |
장기미수금 | 779,091 | 779,091 | 100.0% | |
장기대여금 | 625,334 | - | 0.0% | |
장기임차보증금 | 2,434,560 | - | 0.0% | |
기타보증금 | 850 | - | 0.0% | |
합 계 | 120,130,590 | 3,368,983 | 2.8% | |
제11기(2023년) | 매출채권 | 59,892,458 | - | 0.0% |
미수금 | 7,225 | - | 0.0% | |
미수수익 | 2,873 | - | 0.0% | |
유동성장기대여금 | 135,665 | - | 0.0% | |
단기대여금 | 600,000 | - | 0.0% | |
유동성장기임차보증금 | 100,000 | - | 0.0% | |
장기미수금 | 779,091 | 779,091 | 100.0% | |
장기대여금 | 580,908 | - | 0.0% | |
장기임차보증금 | 1,662,000 | - | 0.0% | |
기타보증금 | 980 | - | 0.0% | |
합 계 | 63,761,200 | 779,091 | 1.2% |
2) 대손충당금 변동 현황
(단위: 천원) |
구 분 | 제13기 반기 | 제12기 | 제11기 |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 합계 | 3,368,983 | 779,091 | 779,091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2,076,014 |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 | - | -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 | 2,076,014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 | 513,878 | -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3,368,983 | 3,368,983 | 779,091 |
3) 매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매출채권 등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하고 있습니다.4) 2025년 반기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의 잔액 현황
(단위: 천원) |
구분 | 3개월 이내 | 6개월 이내 | 6-12개월 | 1년 이상 경과 | 합 계 |
금액 | 125,558,010 | 2,435 | - | 36 | 125,560,481 |
구성비율 | 100% | 0% | 0% | 0% | 100% |
다. 공정가치 평가내역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주1) | 장부금액 | 공정가치(주1) |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38,849,244 | 138,849,244 | 289,250,437 | 289,250,437 |
매출채권 | 125,560,481 | 125,560,481 | 102,306,131 | 102,306,131 |
기타금융자산 | 33,832,500 | 33,832,500 | 13,653,153 | 13,653,15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주2) | 346,271,327 | 346,271,327 | 256,438,850 | 256,438,850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192,655,800 | 192,655,800 | 101,650,000 | 101,650,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주3) | 13,636,809 | 13,636,809 | 13,636,809 | 13,636,809 |
합 계 | 850,806,161 | 850,806,161 | 776,935,380 | 776,935,380 |
금융부채: | ||||
기타금융부채(주4) | 46,575,723 | 46,575,723 | 3,592,828 | 3,592,828 |
파생상품부채 | 923,974 | 923,974 | - | - |
합 계 | 47,499,697 | 47,499,697 | 3,592,828 | 3,592,828 |
(주1)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입니다. |
(주2) | 당반기말 현재 전환상환우선주 등 공정가치 측정에 필요한 신뢰성있는 재무정보를 입수하기 어렵거나 입수하였더라도 공정가치측정치의 범위가 유의적이고 다양한 추정치의 발생확률을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원가로 측정하고 있는 금융상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3) |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공정가치 측정에 필요한 신뢰성있는 재무정보를 입수하기 어렵거나 입수하였더라도 공정가치측정치의 범위가 유의적이고 다양한 추정치의 발생확률을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없기 때문에 원가로 측정하였습니다. |
(주4) | 종업원급여 관련 채무 등은 제외되었습니다. |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접근할 수 있는 활성시장의 (조정하지 않은) 공시가격 (수준 1)
- 수준 1의 공시가격 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관측할 수 있는 투입변수 (수준 2)
-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할 수 없는 투입변수 (수준 3)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77,121,200 | 249,753,411 | 13,496,716 | 340,371,327 |
파생상품부채 | - | 923,974 | - | 923,974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70,500,762 | 185,938,088 | - | 256,438,850 |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수준 3인 반복적인 측정치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기초 | - | - |
취득 | 13,581,600 | - |
평가 | (84,884) | - |
기말 | 13,496,716 | - |
3)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은 없습니다.
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가능한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 때, 해당 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하다면 해당 상품은 수준 2에 포함됩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됩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1, 수준 2 및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해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수준3 투입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ETF | 77,121,200 | 1 | 시장접근법 | 시가 등 | - |
MMT, MMF 등 | 249,753,411 | 2 | 시장접근법 | 이자율, 환율 등 | - |
펀드 등 | 13,496,716 | 3 | 순자산가치 | - | - |
파생상품부채: | |||||
선물환 | 923,974 | 2 | 시장접근법 | 환율 등 | -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수준3 투입변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ETF | 70,500,762 | 1 | 시장접근법 | 시가 등 | - |
MMT, MMF 등 | 184,581,218 | 2 | 시장접근법 | 이자율, 환율 등 | - |
선물환 | 1,356,870 | 2 | 시장접근법 | 환율 등 | - |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라.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가.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운영실태 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제13기 반기(당반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
제12기(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2025년 02월 10일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
제11기(전전기) | 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 - | - | - |
나.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평가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제13기 반기 (당반기) | 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연결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제12기 (전기) | 내부회계 관리제도 | 2025년 02월 10일 |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연결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제11기 (전전기) | 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연결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다. 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검토결론)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유형(감사/검토) | 감사의견 또는검토결론 | 지적사항 | 회사의대응조치 |
---|---|---|---|---|---|---|
제13기 반기 (당반기) | 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
연결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 |
제12기 (전기) | 내부회계 관리제도 | 한영회계법인 | 감사 | 적정의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연결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 |
제11기 (전전기) | 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
연결내부회계 관리제도 | - | - | - | - | - |
1) 내부회계관리·운영조직 인력 및 공인회계사 보유현황
소속기관또는 부서 | 총 원 | 내부회계담당인력의 공인회계사 자격증보유비율 | 내부회계담당인력의평균경력월수 | ||
---|---|---|---|---|---|
내부회계담당인력수(A) | 공인회계사자격증소지자수(B) | 비율(B/A*100) | |||
감사위원회 | 3 | 3 | 1 | 33 | 154 |
이사회 | 8 | 5 | 2 | 40 | 150 |
회계처리부서 | 4 | 4 | 2 | 50 | 109 |
공시관련부서 | 3 | 2 | - | - | 126 |
2) 회계담당자의 경력 및 교육실적
직책(직위) | 성명 | 회계담당자등록여부 | 경력(단위:년, 개월) | 교육실적(단위:시간) | ||
---|---|---|---|---|---|---|
근무연수 | 회계관련경력 | 당기 | 누적 | |||
내부회계 관리자/회계담당임원 | 안재우 | X | 2년 6개월 | 12년7개월 | 4 | 16 |
회계담당직원 | 김미리 | X | 1년10개월 | 13년10개월 | - | 624 |
가. 이사회의 구성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4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 사외이사 3명 등 총 8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사회 의장은 김형태 대표이사가 수행하고 있으며, 김형태 대표이사는 회사 업무 전반에 대해 이해도가 높아 원활한 이사회 진행 및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고 인정되어 의장에 선임되었습니다. 당사는 이사회의 의사결정 전문성 제고 및 효율적인 책임 수행을 위하여 이사회 내에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중입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나. 중요의결사항
회차 | 개최일자 | 의안의 주요내용 | 가결여부 | 사내이사 | 사외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
김형태 대표이사(출석률:100%) | 민경립(출석률:100%) | 안재우(출석률:100%) | 조인상(주1)(출석률:100%) | 유창석(출석률:100%) | 이예나(출석률:100%) | 강상현(출석률:100%)) | 샤오이마(출석률:100%) | ||||
찬반여부 | |||||||||||
1 | 2025.02.10 | '24년 4분기 및 연간 경영실적보고 | 보고 | - | - | - | - | - | - | - | - |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 보고 | - | - | - | - | - | - | - | - | ||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 | 보고 | - | - | - | - | - | - | - | - | ||
제12기 영업보고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1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12기 정기주주총회 회의목적사항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1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 2025.03.27 | 대표이사 선임(중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 2025.05.12 | '25년 1분기 경영실적보고 | 보고 | - | - | - | - | - | - | - | -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자기주식 매입 신탁 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주1) 2025년 3월 27일 개최된 제1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조인상 사내이사가 신규 선임 되었습니다. |
다. 이사회 내 위원회1) 위원회 구성현황
위원회명 | 구성 | 소속 이사명 |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
내부거래위원회 | 사외이사 3명 |
강상현 위원장 이예나 위원 유창석 위원 |
- 공정거래 자율준수 체계 구축 및 경영투명성 제고 목적-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 등 심의 및 의결 |
보상위원회 | 사외이사 3명 |
강상현 위원장 이예나 위원 유창석 위원 |
- 이사보수 결정 과정의 객관성, 투명성 확보 목적- 임원의 보상에 관한 중요사항 심의 및 의결 |
ESG위원회 | 사외이사 3명 |
이예나 위원장강상현 위원 유창석 위원 |
- 지속가능경영을 추진하고 주주가치를 제고- ESG경영에 대한 제반사항을 검토 |
(주1) |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관한 사항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2) 이사회내 위원회 활동내역가) 내부거래위원회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의 주요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 ||
강상현(출석률:100%) | 이예나(출석률:100%) | 유창석(출석률:100%) | ||||
찬반여부 | ||||||
내부거래위원회 | 2025.02.10 | 이해관계자와의 '25년 거래 총액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나) 보상위원회
위원회명 | 개최일자 | 의안의 주요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 ||
강상현(출석률:100%) | 이예나(출석률:100%) | 유창석(출석률:100%) | ||||
찬반여부 | ||||||
보상위원회 | 2025.03.27 | 임직원 인센티브 지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5.04.30 | '25년 임원 보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임원 보상 지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다) ESG위원회당기 중 ESG 위원회 개최 이력이 없습니다.
라. 이사회의 독립성 1) 이사회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4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회사 경영의 중요한 의사결정 및 업무집행은 이사회의 심의, 의결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 및 감사 후보자는 이사회가 추천하며 주주총회 의결을 통해 선임됩니다. 이러한 절차에 따라 선임된 이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직명 | 성명 | 추천인 | 선임일 | 임기 | 연임여부및 연임 횟수 | 선임배경 | 활동분야(담당업무)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 또는주요주주와의 관계 |
사내이사(대표이사) | 김형태 | 이사회 | 2013.12.02 | 3년 | 연임(4 회) | 당사의 창업자로서 당사의 기업 지속 성장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으며, 급변하는 시장에서 탁월한 경영역량을 발휘하여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 | 경영총괄(CEO) | 해당사항 없음 | 본인 |
사내이사 | 민경립 | 이사회 | 2023.07.28 | 3년 | 신규선임 | 당사의 CSO로서 당사 사업에 대한 높은 이해, 재무 분야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회사의 전략적 성과를 도출하고 실적을 개선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 | 경영총괄(CSO)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사내이사 | 안재우 | 이사회 | 2023.07.28 | 3년 | 신규선임 | 당사의 CFO로서 당사 사업에 대한 높은 이해, 재무 분야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회사의 전략적 성과를 도출하고 실적을 개선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 | 재무총괄(CFO)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사내이사 | 조인상 | 이사회 | 2025.03.27 | 3년 | 신규선임 | 당사의 CHRO / CRMO로서 당사 사업에 대한 높은 이해, 인사 및 조직 관리 분야의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판단 | 인사총괄(CHRO/CRMO)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기타비상무이사 | 샤오이마 | 이사회 | 2024.01.05 | 3년 | 신규선임 | 글로벌 산업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 | 강상현 | 이사회 | 2023.07.28 | 3년 | 신규선임 | 회계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 | 이예나 | 이사회 | 2023.07.28 | 3년 | 신규선임 | 법률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법리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사외이사 | 유창석 | 이사회 | 2023.07.28 | 3년 | 신규선임 | 산업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당사는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하고 이사회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 중이며, 위원회는 사외이사 3인으로 관련 법규에 의거 총 위원의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마. 사외이사의 전문성1) 사외이사의 업무지원 조직회사 내 지원조직은 사외이사가 이사회에서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개최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 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IR팀 | 3 | 팀장 외 2명 (평균 1년 7개월) | 이사회 운영 및 사외이사/감사 직무수행과 관련된 지원 업무 일체 |
2)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사외이사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련 법령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가.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나. 감사위원회 위원의 독립성
당사는 관련법령 및 정관에 따라 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권한ㆍ책임 등을 감사위원회 규정에 정의하여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위원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선임한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으며, 회계ㆍ재무 전문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며, 위원 총수의 3분의 2 이상을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사외이사가 위원장을 맡는 등 관련법령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구성 | 추천인 | 선임배경 | 임기 | 회사와의 관계 | 최대주주 또는주요주주와의 관계 |
연임 횟수 | |||||
강상현(감사위원장) | 이사회 | 회계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2023.07~2026.07신규선임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예나 | 이사회 | 법률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법리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2023.07~2026.07신규선임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유창석 | 이사회 | 산업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 | 2023.07~2026.07신규선임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또한, 감사위원회의 감사업무 수행은 회계감사를 위해서는 재무제표 등 회계관련서류 및 회계법인의 감사절차와 감사결과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회계법인에 대하여 회계에 관한 장부와 관련서류에 대한 추가 검토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검토합니다. 그리고 감사위원회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설치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내부회계관리자로부터 보고받고 이를 검토합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업무감사를 위하여 이사회 및 기타 중요한 회의에 출석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이사로부터 경영에 관한 보고를 받고 중요한 업무에 관한 회사의 보고에 대해 추가검토 및 자료보완을 요청하는 등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합니다.
다. 감사위원회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강상현(출석률:100%) | 이예나(출석률:100%) | 유창석(출석률:100%) | ||||
1 | 2025.01.13 | 외부감사인 선임 계획(안) 보고 | 보고 | - | - | - |
외부감사인 선임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2 | 2025.02.10 | '24년 4분기 및 연간 경영실적보고 | 보고 | - | - | - |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보고 | - | - | - | ||
제12기 영업보고서 및 재무제표 보고 | 보고 | - | - | - | ||
제12기 정기주주총회 부의 안건 검토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외부감사인 선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3 | 2025.05.12 | '25년 1분기 및 연간 경영실적보고 | 보고 | - | - | - |
'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및 평가계획 보고 | 보고 | - | - | - |
라.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 계획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여부 |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마. 감사위원회(감사)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바.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 1) 준법지원인 등의 인적사항 및 주요경력
성 명 | 성별 | 주요 경력 | 결격 여부 |
---|---|---|---|
유연희 | 여 |
전) Nevada Gaming Control Board - Legal extern 전) 콘텐츠퍼스트 주식회사 - Legal Counsel (사내변호사) 현) 주식회사 시프트업 사내변호사 |
적격 |
2) 준법지원인 등의 주요 활동 내역 및 처리 결과준법지원인은 회사의 준법통제기반을 구축하고 아래와 같이 상시로 준법지원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일자 | 주요 활동 내역 | 점검 결과 |
---|---|---|
2024.01 ~ 상시 | 준법통제 체제 운영 | 특이사항 없음 |
2024.01 ~ 상시 | 주요 계약 현황 및 개선 필요사항 점검 | 특이사항 없음 |
2024.01 ~ 상시 | 위법 또는 부당한 업무집행행위 등 점검 | 특이사항 없음 |
3)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다. 주식사무
구분 | 내용 | ||
---|---|---|---|
정관상신주인수권의내용 | 제9조(신주인수권)1.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2. 전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①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 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② 발행하는 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7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는 경우③ 상법 제340조의2 및 벤처기업법 제16조의3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④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 판매, 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⑤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벤처투자조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⑥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법 제418조 제2항의 규정에 따른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⑦ 주권을 한국거래소가 운영하는 주식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⑧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⑨ 우리사주조합원을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3. 주주가 신주인수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기하거나 상실한 경우와 신주발행에 있어서 단주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4.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제13조(신주의 동등배당)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전에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등에 의하여 발행(전환된 경우를 포함한다)한 동종 주식에 대하여는 동등 배당한다 | ||
결산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사업년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 폐쇄기준일 및 주주총회 소집시기 |
제19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회사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7일까지 주주의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 다만,「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에는 동 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제25조(소집시기) 1. 회사의 주주총회는 정기주주총회와 임시주주총회로 한다. 2. 회사는 매결산기마다 정기주주총회를 소집하여야 하고, 필요에 따라 임시주주총회를 소집한다. |
||
주권의 종류 |
제8조(주식 및 주권의 종류) 1. 회사가 발행하는 주권은 보통주식과 종류주식으로 한다. 2. 회사의 주권은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및 10,000주권의 8종류로 한다. 다만,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에는 동 항은 적용하지 않는다. |
||
명의개서대리인 | 국민은행 증권대행부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 없음 | ||
공고방법 |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shiftup.co.kr) 에 게재한다. 다만, 전산 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 서울특별시내에서 발행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
라.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 안건 | 결의내용 |
제12기 정기주주총회(2025.03.27) | 제1호 의안 : 제12기(2024.01.01 ~ 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형태 선임의 건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조인상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11기 정기주주총회(2024.03.29) | 제1호 의안 : 제11기(2023.01.01 ~ 2023.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임시주주총회(2024.01.05) | 제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임시주주총회(2023.09.27) | 제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임시주주총회(2023.07.28) | 제1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5호 의안 : 임원 퇴직금 및 보수 규정 개정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임시주주총회(2023.07.18) | 제1호 의안 : 주식분할에 따른 정관 변경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임시주주총회(2023.06.28) | 제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10기 정기주주총회(2023.03.31) | 제1호 의안 : 제10기(2022.01.01 ~ 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4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변경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임시주주총회(2023.01.18) | 제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변경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임시주주총회(2022.12.02) |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임시주주총회(2022.09.21) | 제1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9기 정기주주총회(2022.03.31) | 제1호 의안 : 제9기(2021.01.01 ~ 2021.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
제5호 의안 : "프로젝트 파이낸싱 계약" 변경의 건 | 원안대로 가결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가.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주1) | 기초(2025년 1월 1일) 지분율은 발행주식총수 58,334,720주 기준이며, 기말(2025년 6월 30일) 지분율은 발행주식총수 58,781,720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나. 최대주주에 관한 사항
성명 | 직책 | 주요 경력 | 비고 |
김형태(1978.02) | 대표이사 | - 13.12 ~ 현재 시프트업 CEO- 05.10 ~ 13.12 엔씨소프트 AD- 99.01 ~ 05.09 소프트맥스 팀장 | - |
다. 최대주주 변동내역 당사는 설립일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 변동 이력이 없습니다.
2. 주식의 분포
가. 주식 소유 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 | |||
- | ||||
(주1) | ||||
우리사주조합 | - |
(주1) | 국민연금공단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은 국민연금공단의 최근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내용을 토대로 한 주식보유현황이므로 현재 주식소유현황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나.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주1) | 소액주주 현황은 2025년 6월말 기준 주주명부의 개별 주주번호 기준으로 1% 미만의 주주를 모두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다. 주가 및 주식거래 실적
(단위 : 원, 주) |
종 류 | '25년 1월 | '25년 2월 | '25년 3월 | '25년 4월 | '25년 5월 | '25년 6월 | ||
---|---|---|---|---|---|---|---|---|
보통주 | 주가 | 최 고 | 66,500 | 68,800 | 61,400 | 54,400 | 58,500 | 56,100 |
최 저 | 57,300 | 57,200 | 53,300 | 43,350 | 48,100 | 48,150 | ||
평 균 | 61,544 | 62,585 | 57,415 | 50,802 | 53,734 | 50,863 | ||
거래량 | 최 고(일) | 386,031 | 629,188 | 373,492 | 257,823 | 1,574,160 | 793,700 | |
최 저(일) | 78,693 | 94,946 | 112,956 | 57,369 | 77,563 | 105,550 | ||
월 간 | 3,372,802 | 5,381,578 | 4,303,141 | 3,055,868 | 6,805,613 | 5,021,717 |
(주1) | 주가는 종가 기준입니다. |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나. 타회사 임원 겸직 현황
(기준일 : 2025년 06월 30일) |
겸직임원 | 겸직회사 | |||
직위 | 성명 | 직장명 | 직책 | 담당업무 |
사외이사 | 유창석 | 경희대학교 문화엔터테인먼트학과 | 부교수 | 부교수 |
사외이사 | 이예나 | 법무법인(유) 율촌 | 변호사 | 파트너변호사 |
사외이사 | 강상현 | 회계법인베율 | 이사 | 파트너회계사 |
기타비상무이사 | Xiaoyi Ma(샤오이마) | Tencent Holdings | Vice President | Senior Vice President |
CISO | 이형복 | 포스텍 IT융합공학과 | 겸직교수 | 겸직교수 |
다. 직원 등의 현황 1)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주1) | 직원의 수는 2025년 6월말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미등기임원을 포함하였습니다. |
(주2) | 평균 근속연수는 2025년 6월말 기준 개인별 근속연수의 평균을 기재하였습니다. |
(주3) | 연간 급여총액은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급여로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 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주4) | 1인 평균 급여액은 월별 평균 급여 합산액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2) 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명, %) |
구분 | 당반기(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전기(제12기)(2024년) | 전전기(제11기)(2023년) |
육아휴직 사용자수(남) | 1 | 1 | 1 |
육아휴직 사용자수(여) | 1 | 0 | 1 |
육아휴직 사용자수(전체) | 2 | 1 | 2 |
육아휴직 사용률(남) | 0% | 8.33% | 12.50% |
육아휴직 사용률(여) | 100% | 0% | 100% |
육아휴직 사용률(전체) | 14.29% | 7.69% | 22.22%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남) | 0 | 0 | 0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여) | 0 | 1 | 1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전체) | 0 | 1 | 1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 0 | 0 | 1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 수 | 1 | 8 | 3 |
3) 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명) |
구분 | 당반기(제13기 반기)(2025년 6월말) | 전기(제12기)(2024년) | 전전기(제11기)(2023년) |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 활용 | 활용 | 활용 |
시차출퇴근제 사용자 수 | 0 | 0 | 0 |
선택근무제 사용자 수 | 30 | 35 | 32 |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 사용자 수 |
0 | 0 | 0 |
마. 미등기임원 보수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주1) | 연간 급여총액은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급여이며, 1인당 평균 급여액은 연간급여총액을 인원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가.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주1) | 상기 주주총회 승인금액은 제12기 정기주주총회(2025년 3월 27일)에서 승인된 금액입니다. |
나. 보수지급금액
1)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주1) | 인원수는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의 기간동안 사임한 이사 등을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인원수로 단순평균하여 계산하였습니다. |
(주3) | 보수총액은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2025년 6월까지 지급된 누계금액입니다. |
2)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주1) | 인원수는 2025년 1월부터 6월까지 제출일 현재까지의 기간동안 사임한 이사 등을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보수총액은 사업연도 개시일로부터 2025년 6월까지 지급된 누계금액입니다. |
(주3) |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인원수로 단순평균하여 계산하였습니다. |
(주4) | 감사위원회 위원은 총 3명으로,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다. 이사ㆍ감사의 보수지급기준 당사는 이사의 보수한도를 주주총회 결의로 정하고 있으며,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보수한도 범위내에서 각 이사의 직무 수행결과 등을 감안하여 집행하고 있습니다.
라.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주1) | 상기 보수총액은 근로소득지급명세서상의 보수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민경립 | 근로소득 | 급여 | 165 | 임원보수규정에 따라 임원 급여 Table를 기초로 보상위원회에서 수행 직무, 직급, 리더십, 전문성, 회사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결정된 연간 급여 총액을 12분할하여 매월 지급 (2025.01.01~2025.06.30) |
상여 | - | 해당사항 없음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2,477 | 주주총회 결의로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행사 당시 주가와의 차이에 행사수량을 곱한 행사이익 중 조세특례제한법 상의 벤처기업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에 대한 과세특례 적용 금액을 제외하여 산출하였음 | ||
기타 근로소득 | 17 | 복리후생 지원금 지급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마.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주1) | 상기 보수총액은 근로소득지급명세서상의 보수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민경립 | 근로소득 | 급여 | 165 | 임원보수규정에 따라 임원 급여 Table를 기초로 보상위원회에서 수행 직무, 직급, 리더십, 전문성, 회사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결정된 연간 급여 총액을 12분할하여 매월 지급 (2025.01.01~2025.06.30) |
상여 | - | 해당사항 없음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2,477 | 주주총회 결의로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행사 당시 주가와의 차이에 행사수량을 곱한 행사이익 중 조세특례제한법 상의 벤처기업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에 대한 과세특례 적용 금액을 제외하여 산출하였음 | ||
기타 근로소득 | 17 | 복리후생 지원금 지급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단위 : 백만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유형석 | 근로소득 | 급여 | 149 | 임원보수규정에 따라 임원 급여 Table를 기초로 보상위원회에서 수행 직무, 직급, 리더십, 전문성, 회사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결정된 연간 급여 총액을 12분할하여 매월 지급 (2025.01.01~2025.06.30) |
상여 | 361 | 회사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에 근거하여, 임원보수규정에 따라 보상위원회를 통해 승인 받은 보상 재원내에서 영업이익 등으로 구성된 계량지표와 리더십, 전문성, 회사 기여도로 구성된 비계량 지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성과급 지급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 근로소득 | 28 | 복리후생 지원금 지급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바.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등 1) 이사ㆍ감사에게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
구 분 | 부여받은인원수 |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업무집행지시자 등 | |||
계 |
(주1) |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는 2025년 반기 재무제표 상 주식매수선택권으로 계상된 금액이며,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법을 적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 |
2)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기준일 : | ) |
부여받은자 | 관 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종류 | 최초부여수량 | 당기변동수량 | 총변동수량 | 기말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의무보유여부 | 의무보유기간 | ||
---|---|---|---|---|---|---|---|---|---|---|---|---|---|---|
행사 | 취소 | 행사 | 취소 | |||||||||||
※ 공시서류작성기준일(2025년 6월 30일) 현재 종가 : 48,900 원
3)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당사는 2024년 5월 17일 이사회 결의로 제정된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지급 규정에 따라, 보상위원회에서 임직원의 경영책임 강화와 장기경영성과 중심의 보상을 위해 양도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Unit, RSU)을 부여하였으며, 주요 내용 및 부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여시기 | 2024년 5월 17일 |
부여주식 | (주)시프트업 보통주식 (주1) |
부여근거 및 절차 | 보상위원회에서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지급 규정에 따라 부여대상 임직원의 경영책임을 강화하고 직무의 내용과 직무 수행의 결과에 따른 경영성과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여 수량 범위를 결정. 부여 계약상 평가 기간 내의 경영성과와 성과평가결과에 따라 보상위원회에서 부여 수량 범위 내에서 지급 수량을 확정함 |
부여주식수의 조정 |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주식의 액면분할 또는 병합, 합병 및 자본감소 등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동등한 보상 조건 유지를 위한 합리적인 방식으로 부여 수량 조정 |
지급시기 | 부여일로부터 3년 |
부여한 인원수 | 등기임원 1인 |
부여한 주식 등의 총수 | 35,000주 |
당기중 지급 주식 등의 총수 | - |
누적 지급 주식 등의 총수 | - |
미지급 주식 등의 총수 | 35,000주 |
가.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나.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대주주 등과의 자산양수도 등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 등과의 영업거래
(기준일: 2025년 0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내용 | 거래금액 |
Proxima Beta Pte. Ltd.(기타특수관계자) | 매출 등 | 2025.01.01 ~ 2025.06.30 | 로열티매출 | 67,230 |
(주1) | 최근 사업연도 매출총액(별도기준)의 100분의 5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거래 기준입니다. |
4. 대주주 등에 대한 주식기준보상 거래 가. 주식기준보상제도의 명칭당사는 임직원 근로 및 성과에 대한 주식보상제도인 양도제한조건부주식보상(RSU) 제도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나. 부여근거 및 절차
당사는 2024년 5월 17일 이사회 결의로 제정된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지급 규정에 따라, 보상위원회에서 임직원의 경영책임 강화와 장기경영성과 중심의 보상을 위해 양도제한조건부주식(Restricted Stock Unit, RSU)을 부여하였습니다. 다. 주요내용
부여시기 | 2024년 5월 17일 |
부여주식 | (주)시프트업 보통주식 (주1) |
부여근거 및 절차 | 보상위원회에서 양도제한조건부주식 지급 규정에 따라 부여대상 임직원의 경영책임을 강화하고 직무의 내용과 직무 수행의 결과에 따른 경영성과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부여 수량 범위를 결정. 부여 계약상 평가 기간 내의 경영성과와 성과평가결과에 따라 보상위원회에서 부여 수량 범위 내에서 지급 수량을 확정함 |
부여주식수의 조정 |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주식의 액면분할 또는 병합, 합병 및 자본감소 등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 동등한 보상 조건 유지를 위한 합리적인 방식으로 부여 수량 조정 |
지급시기 | 부여일로부터 3년 |
부여한 인원수 | 등기임원 1인 |
부여한 주식 등의 총수 | 35,000주 |
당기중 지급 주식 등의 총수 | - |
누적 지급 주식 등의 총수 | - |
미지급 주식 등의 총수 | 35,000주 |
(주1) | 당사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자기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나, 향후 자기주식 취득 후 주식을 지급하거나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신고일자 | 제목 | 신고내용 | 신고사항의 진행상황 |
2025.05.12 | 주요사항보고서(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 | - 계약금액 : 50,000,000,000 원- 계약기간 : 2025년 05월 13일 ~ 2025년 11월 12일- 계약목적 : 주주가치 제고- 계약체결기관 : NH투자증권- 계약체결 예정일자 : 2025년 05월 13일- 이사회 결의일 : 2025년 05월 12일 | 취득 완료 |
가. 중요한 소송사건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현황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그 밖의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의 '5.재무제표 주석'의 '33.우발상황 및 약정사항' 등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합병등의 사후정보 당사는 2024년 9월 30일 이사회에서 소규모 합병을 결의하였으며, 2024년 12월 5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1) 합병 등의 주요 내용
합병방법 | 주식회사 시프트업이 지분 100%를 보유한 주식회사 테이블원을 흡수합병- 존속회사 : 주식회사 시프트업- 소멸회사 : 주식회사 테이블원 |
합병목적 | 우수 개발 인력 확보를 통한 신작 개발 역량 강화 |
합병비율 | 주식회사 시프트업 : 주식회사 테이블원 = 1.000000 : 0.000000 |
합병상대회사 | 주식회사 테이블원 |
합병계약일 | 2024년 10월 2일 |
합병기일 | 2024년 12월 5일 |
이사회결의일 | 2024년 9월 30일 |
기타사항 | 2024년 10월 1일 주식회사 테이블원 지분 100%를 취득 |
2) 합병 등의 전후 주요 재무사항
본 합병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5 제8항 제2호 나목단서에 따라 합병가액의 적정성에 대한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를 거치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합병 등 전후의 재무사항 비교표를 생략합니다.
다.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2025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보통주 | 22,661,370 | 2024.07.11 | 2025.07.11 | 상장일로부터 1년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27조 제1항 제1호 및 제27조 2항 | 58,781,720 |
라.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주1) 조건부 지분 인수 계약(SAFE)에 의한 투자로서 향후 후속 투자가 있을 시 약정된 조건에 따라 지분율이 결정됩니다. |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