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 년 8 월 12 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
대 표 이 사 : | 안 재 용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10 (삼평동) |
(전 화) 02-2008-2200 | |
(홈페이지) http://www.skbioscience.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전략본부장 (성 명) 최 재 영 |
(전 화) 02-2008-2200 | |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구 분 | 명 칭 |
---|---|
상호 | SK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
국문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 |
영문 | SK bioscience Co., Ltd. (약호 "SKBS") |
다. 설립일자 당사는 2018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상법 제530조의2 내지 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VAX사업부문의 단순ㆍ물적 분할로 설립된 분할신설법인입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및 홈페이지 주소
구 분 | 내 용 |
---|---|
본사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10 (삼평동) |
전화번호 | 02-2008-2200 |
홈페이지 | http://www.skbioscience.com |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백신/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CDMO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다양한 백신의 생산기술 및 생산 플랫폼을 바탕으로 각종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백신/바이오 의약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본사와 안동 L HOUSE 생산시설을 통해 연구/생산 역량을 확대하고 있으며, 2024년 독일 CDMO 전문회사 IDT Biologika를 인수함으로써 글로벌 백신/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에 본격 진출하고, 글로벌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164억원이며, 자체 생산 백신 제품매출 14.1%, 상품매출이 7.0%, CDMO 등 기타 78.9%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사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II.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1) 회사채 공시대상기간동안 신용평가전문기관으로부터 신용평가를 받은 사항이 없습니다.
(2) 기업신용등급공시대상기간동안 신용평가전문기관으로부터 신용평가를 받은 사항이 없습니다.
※ 신용등급별 정의
등 급 | 정 의 |
---|---|
AAA | 원리금 지급능력이 최상급임 |
AA |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
A | 원리금 지급능력은 우수하지만 상위등급보다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른영향을 받기 쉬운 면이 있음 |
BBB | 원리금 지급능력이 양호하지만 상위등급에 비해서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라 장래 원리금의 지급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
BB | 원리금 지급능력이 당장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장래 안전에 대해서는단언할 수 없는 투기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 |
B | 원리금 지급능력이 결핍되어 투기적이며 불황시에 이자지급이 확실하지 않음 |
CCC | 원리금 지급에 관하여 현재에도 불안요소가 있으며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커매우 투기적임 |
CC | 상위등급에 비하여 불안요소가 더욱 큼 |
C | 채무불이행의 위험성이 높고 원리금 상환능력이 없음 |
D | 상환 불능상태임 |
아.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당사의 본점소재지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10 (삼평동)이며, 설립 이후 본점소재지의 변동은 없습니다.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 상기 임기만료 또는 해임 경영진은 자진 사임하였습니다. |
다. 최대주주의 변동 분할신설 시 당사의 최대주주는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이며, 설립일로부터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 해당사항 없음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 해당사항 없음 바.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
- 해당사항 없음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 해당사항 없음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주요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SK바이오사이언스]
연 도 | 연 혁 |
---|---|
2001 |
동신제약 인수 |
2005 |
백신 R&D 센터 설립 |
2009 |
국내 바이오신약 1호 NBP601(혈우병 치료제) License out (CSL) |
2012 |
백신 생산 공장 준공 (안동 L HOUSE) |
2013 |
장티푸스백신 공동개발 및 글로벌 공급계약 (IVI, GF) |
2014 |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공동개발 계약 체결 (Sanofi) |
2015 |
국내 최초 3가 세포배양독감백신 발매 |
2016 |
세계 최초 4가 세포배양독감백신 발매 |
2017 |
개발도상국용 소아장염백신 공동개발 및 생산 계약 (PATH, GF) 세계 두 번째 대상포진백신 발매 |
2018 |
세포배양독감백신 생산기술 수출 계약 체결 (Sanofi) 수두백신 발매 SK바이오사이언스㈜ 설립 (2018.07.01 SK케미칼㈜의 VAX사업부문 물적분할) |
2019 |
독감백신 3가, 4가 및 수두백신 WHO PQ 인증 |
2020 |
Sanofi 공동개발 21가 폐렴구균백신 글로벌 임상 2상 진입 COVID-19 백신 개발 착수 COVID-19 백신 개발 GF Grant COVID-19 백신 Capacity Reservation 계약 체결 (CEPI) COVID-19 백신 CMO 계약 체결 (AstraZeneca)COVID-19 백신 CDMO 계약 체결 (Novavax) |
2021 | Novavax COVID-19 백신 기술 도입 계약 체결유가증권시장 상장 (2021.03.18) 국내 백신기업 최초 EU GMP 획득 (안동 L HOUSE)COVID-19 백신 후보물질 'GBP510' 3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
2022 | Novavax COVID-19 백신 국내 품목허가 획득COVID-19 백신 'GBP510' 정부 선구매 계약COVID-19 백신 'GBP510' 부스터샷 3상 임상시험계획(IND) 승인장티푸스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멀티주 수출용 품목허가 획득COVID-19 백신 'SKYCovione(GBP510)' 식약처 국내 품목허가 획득 |
2023 | 2세대 에볼라 백신 CMO 계약 체결 (MSD)COVID-19 백신 'SKYCovion(GBP510)' 영국 MHRA 품목허가(Marketing Authorisation) 획득(주1)인플루엔자 백신 대한민국 조달청 공급 계약 체결COVID-19 백신 'SKYCovione(GBP510)' 세계보건기구(WHO) 긴급사용목록(Emergency Use Listing) 등재(주1)Sanofi 공동개발 21가 폐렴구균백신 글로벌 임상 2상 결과발표태국정부 산하 국영 제약사 GPO와 Glocalization MOU 및 독감백신 원액 공급계약 체결美 Novavax 社 지분 인수패치형 백신 개발 업무 협약 (Vaxxas)2세대 에볼라 백신 공동개발 업무협약 (Hilleman 연구소) |
2024 |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태국 수출 안동 L HOUSE 공장 증축 착공 Sanofi와 소아 DTaP 백신 등 5종 국내 유통 계약 체결 美 Sunflower Therapeutics社 조건부 지분 인수 美 Fina Biosolutions社 지분 인수 독일 IDT 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인도네시아 품목허가 획득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 차세대 세계일류상품 인증 획득 Sanofi 공동개발 21가 폐렴구균백신 글로벌 임상 3상 개시 Sanofi 공동개발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수정 계약 체결 (NextGen 백신 개발) |
2025 |
Sanofi와 RSV 예방 항체 및 A형 간염 백신 국내 유통 계약 체결 WHO 주관 SARS 바이러스 국제표준물질 확립 공동 연구 프로젝트 완료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 PAHO 추가 수주 (2025~2027 중남미 지역 공급)모더나와의 mRNA 특허 기술 관련 무효소송 최종 승소질병청 '우선순위 감염병 대유행 대비 신속개발기술 구축 지원사업' 선정화이자와의 13가 폐렴구균백신 관련 특허침해 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소송 최종 승소 안동 L HOUSE 폐렴구균백신 생산시설 준공 |
(주1) 엔데믹 전환 및 WHO에서 변이 백신 균주로 계통 조성을 권고함에 따라 '24년 자진취하 및 철회 하였습니다. |
[IDT Biologika]
연 도 | 연 혁 |
---|---|
1921 | 안할트 카운티 박테리아 연구소 설립 (독일 데사우) |
1925 | 인간 결핵 백신 및 돼지 단독(erysipelas) 백신 생산 시작 |
1930 | 수동 면역용 혈청 산업 생산 확대Anhalt Serum Institute Dessau GmbH(ASID) 설립 |
1945 | 전염병 대응 백신 및 진단제 개발백신 연구소(Forschungsinstitut fur Impfstoffe) 신설 |
1960 | 동물 전염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정부 정책 시행, 연구ㆍ생산 방향 결정 |
1980 | 인체용 의약품 생산 부문 분사백신 공장 데사우-토르나우(Impfstoffwerk Dessau-Tornau)로 사명 변경 |
1993 | 기업 민영화 (Hartmut Klocke 인수) |
1999 | 생산 역량 확대 및 핵심 사업(① 인체 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CDMO ② 동물용 의약품 개발ㆍ생산ㆍ유통) 집중 |
2007 | IDT Biologika로 사명 변경 |
2015 | Aeras TB의 위탁 제조 사업부 인수 (메릴랜드 록빌), 북미 시장 진출 |
2019 | 동물 건강 사업부 Ceva Sante Animale에 매각 |
2023 | 독일 최초로 독일 정부로부터 팬데믹 대응 역량 공식 인증 |
2024 | SK바이오사이언스, IDT Biologika 지분 60% 인수 |
2025 | - |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백만원, 주) |
종류 | 구분 | 제8기 반기 (2025년 6월말) | 제7기(2024년말) | 제6기 (2023년말) | 제5기 (2022년말) | 제4기 (2021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78,369,145 | 78,347,293 | 76,827,750 | 76,784,046 | 76,500,000 |
액면금액(원) | 500 | 500 | 500 | 500 | 500 | |
자본금 | 39,185 | 39,174 | 38,414 | 38,392 | 38,25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원)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원)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39,185 | 39,174 | 38,414 | 38,392 | 38,250 |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 의결권 없는 우선주식은 발행 주식 총수의 4분의 1 이내로 발행할 수 있음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 해당사항 없음 다. 다양한 종류의 주식 발행 현황 - 해당사항 없음
가.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나. 사업목적 현황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당사는 SK케미칼 내 백신사업부문으로서 축적해온 역량을 바탕으로 2018년 7월 1일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인류의 건강을 예방부터 치료까지 증진시킨다는 미션 아래 자체적인 백신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글로벌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오며 성과 창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체 백신 개발과 글로벌 백신 CDMO의 2-Track 전략을 통해 COVID-19 팬데믹을 성공적으로 대응하면서 백신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역량과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습니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이와 같은 성과와 경험을 기반으로 Global Top 10 Vaccine Company로 도약하기 위한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백신 개발 및 상업화]
당사 백신사업은 SK케미칼이 2001년 동신제약을 인수를 통해 백신업계에 진출함으로써 시작되었습니다. 2015년 성인용으로는 국내 최초, 소아용으로는 세계 최초로 세포배양3가 독감백신 '스카이셀플루'를 출시하였고, 2016년 세계 최초 세포배양4가 독감백신인 '스카이셀플루4가'를 출시하였습니다. 2017년에는 프리미엄 백신인 대상포진백신 '스카이조스터'를 국내에 상용화하였으며, 이듬해 2018년 수두백신 '스카이바리셀라'를 국내 출시했습니다. 2013년에 GF(게이츠재단), IVI(국제백신연구소)가 참여한 장티푸스 접합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여 2022년 개발을 완료했습니다. 자체개발 및 생산된 '스카이셀플루', '스카이셀플루4가', '스카이바리셀라', '스카이타이포이드'에 대하여 WHO PQ(사전인증)를 획득하며 국내시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Sanofi와 세포배양 인플루엔자 백신 생산 플랫폼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글로벌 협력을 이어 나갔습니다.
한편 2020년부터 시작된 유례없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백신 산업의 중요성은 더 크게 부각되었습니다. '인류의 건강을 증진시킨다'는 미션 아래 글로벌 제약사의 COVID-19 백신 CDMO 사업과 글로벌 협력을 통한 자체백신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당사는 자체개발 COVID-19 백신을 출시하기 위해 GF와 CEPI(감염병혁신연합)의 지원을 포함한 폭넓은 글로벌 협력을 기반으로 연구개발에 집중했습니다. GF, CEPI와 협력하여 개발한 COVID-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은 2022년 6월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습니다. 또한 2023년 5월 영국 MHRA 품목허가 승인, 2023년 6월 WHO EUL에 등재된 바 있습니다.
당사는 신규 백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2014년 Sanofi와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여 2023년 21가 폐렴구균백신의 미국 임상 2상 시험에서 우수한 면역원성과 안전성을 확인했으며, 2024년 12월부터 소아 및 청소년 약 7,800여 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2025년 6월에는 안동 L HOUSE에 폐렴구균백신 생산 시설 증축 공사 준공을 완료하여, 상업생산에 대한 준비도 순항 중입니다. 또한, 2024년 12월, 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백신 제품에 추가하여 후속 폐렴구균백신 개발을 추진하는 수정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이에 따라 폐렴구균백신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그리고, mRNA백신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2022년부터 국제기구 CEPI와 지속 개발해온 일본뇌염 백신(GBP560)의 글로벌 임상 1/2상이 2025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팬데믹 대응에서 나아가 다양한 질병에 대응이 가능한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신규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것입니다.
[CDMO]
당사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백신 생산시설인 안동 L HOUSE와 연구개발 역량을 통해 팬데믹 초기인 2020년 CEPI와 COVID-19 백신 개발 및 시설사용 계약을 체결하였고, 곧이어 AstraZeneca의 바이러스 전달체 백신 'Vaxzevria(AZD1222)'의 원액 및 완제 위탁생산 계약(CMO) 및 Novavax의 재조합단백질 백신 'Nuvaxovid(NVX-CoV2373)'의 위탁개발생산 계약(CDMO) 및 기술도입(License-in)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자체 포트폴리오 생산을 위해 이미 다양한 생산플랫폼을 갖춘 덕분에 플랫폼이 상이한 두 COVID-19 백신 및 자사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며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 COVID-19 백신 공급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IDT Biologika는 백신, 세포ㆍ유전자 치료제(CGT) 등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폭넓은 전문 경험을 보유한 글로벌 CDMO 기업으로, 다양한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서비스 기반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100년 이상의 백신 분야 경험을 바탕으로, 공정/분석법 개발, 임상 시험물질 생산, 상업용 원료 의약품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 최종 제품 포장까지 모든 단계를 아우르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특히 생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생산에 대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수준의 품질과 안전성을 유지하며 제품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럽의약품청(EMA), 브라질 위생감시국(ANVISA) 등 주요 글로벌 규제 기관의 엄격한 품질 기준을 준수하고 있으며, 정기적인 감사 및 검증을 통해 높은 품질관리 역량을 입증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 안정적인 제품 공급이 가능한 신뢰할 수 있는 CDMO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상품 유통]
SK바이오사이언스는 국가 방역에 기여하기 위해 COVID-19 백신인 '뉴백소비드'의 완제품을 미국 바이오기업 Novavax로부터 수입하여 2023년 2월부터 국내 공급하였습니다. '뉴백소비드'는 합성항원 방식으로 개발된 COVID-19 백신입니다. 합성항원 방식은 독감, HPV백신 등에 장기간 활용되며 안전성을 입증하였습니다. 당사는 '뉴백소비드' 공급으로 COVID-19 감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역 활동에 기여하였습니다.
일련의 국가방역에 기여하는 사업에서 더 나아가 글로벌 기업 Sanofi와 국내외에서의 파트너십을 확장하며 백신 등 예방 의약품 시장 동반 공략에 나서고 있습니다. 당사는 Sanofi와 '펜탁심', '테트락심' 등의 5종 백신에 대한 유통 계약을 맺고 지속적으로 공급해오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협업에 더하여 2025년부터는 영유아 대상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와 A형 간염 백신 '아박심'의 국내 공동 판매 및 유통계약을 체결하고 공급을 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백신 뿐만 아니라, 수액제 및 검사키트 등의 상품 유통도 지속하였습니다. 향후 백신 외 상품 유통을 추가 확대하여 경쟁력 있는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2025년 반기 연결 기준 매출액은 3,164억원이며, 자체 생산 백신제품 14.1%, 상품매출이 7.0%, CDMO 등 기타 78.9%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기 '1. 사업의 개요'의 세부사항 및 포함되지 않은 내용 등은 'II. 사업의 내용'의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부터 '7. 기타 참고사항' 까지의 항목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매출유형 | 구분 | 품목 | 매출액 | 비율 |
---|---|---|---|---|
제품 | 백신제제 | 스카이조스터,스카이셀플루 외 | 44,412 | 14.1% |
상품 | 백신제제 등 | 펜탁심, 헥사심 외 | 22,253 | 7.0% |
기타 | 용역 매출 등 | CDMO 외 | 249,752 | 78.9% |
합계 | 316,417 | 100.0%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및 가격변동원인
당사 제품의 판매가격은 시장상황, 정부정책, 원재료 및 경쟁제품의 가격변동추이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제품 및 계약별로 상이하며, 이에 따라 가격 변동 추이를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백신 개발 및 상업화]
일반적으로 백신 제품은 감염병의 유행에 대응한 시장 또는 정부의 수요와 백신 업체의 공급 상황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CDMO]
CDMO 사업의 경우 시장상황 및 주요 계약조건 등을 고려하여 고객사와의 상호 협의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가.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1) 주요 매입처[백신 개발 및 상업화] 당사는 마케팅, 연구소로 이어지는 R&D와 생산/판매 네트워크의 시너지를 통해 '스카이코비원', '스카이셀플루', '스카이조스터' 등의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재료 매입처는 GSK, Lonza, Merck, Cytiva, Thermo Fisher Scientific 등이 있으며, 해당 업체들은 모두 Global 수준의 기술력을 갖춘 곳입니다. [CDMO]IDT Biologika는 품질 관리를 이유로, 고객사에서 지정하는 거래처를 통해 원재료를 구매하거나 현물로 직접 전달 받는 방식으로 원재료를 확보합니다.(2) 원재료의 가격변동 원인 등[백신 개발 및 상업화] 바이오의약품 원재료는 가격 변동에 따른 수요 탄력성이 낮고, 경기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편입니다. 주요 원ㆍ부자재는 연간 사용 실적과 사업 계획을 바탕으로 수요 물량을 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급업체와 대개 1년 단위 계약을 통해 단가를 협의합니다. 일반적으로 기준 단가에 대해 품목별 할인율을 적용해 연간 단가가 결정되며, 주요 품목의 경우 환율, 운송비, 관세 등 외부 요인도 단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2025년 2분기는 연초 체결한 계약 조건에 따라 전반적인 원ㆍ부자재 수급이 안정적으로 유지됐으며, 일부 주요 품목은 환율 급등에 대비해 2분기 초 선제적으로 재고를 확보하고 결제 시점을 조정하여 환율에 의한 단가 인상 반영을 최소화했습니다. 다만, 미 연준의 금리 동결, 지정학적 불안정, 글로벌 물류비 상승 등 대외 변수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으며, 관세 이슈도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원ㆍ달러 환율 변동성도 큰 폭으로 이어지며 일부 품목의 추가 단가 인상 요청이 발생하였고, 이에 대응해 당사는 공급선 다변화 및 대체품 발굴을 통해 원가 부담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하고자 합니다. 향후에도 환율, 관세, 운송비 등 주요 지표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중장기적인 원가 안정화 전략을 지속 추진할 계획입니다.[CDMO]주요 원재료는 품질관리 등의 사유로 고객사로부터 확인받거나 또는 고객사가 지정하는 거래처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지며, 구매한 원재료 및 부대비용에 대해서는 고객사로부터 대부분 사전 또는 사후 정산(환급)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계약조건으로 인해 가격 변동과 같은 원재료 매입과 관련한 위험은 제한적입니다. 한편, 당사는 원재료 공급처와 장기공급계약을 체결하여 안정적인 원재료를 공급받고 있으며, 가격 인상과 관련하여 매년 물가 상승률 수준의 인상률을 적용하는 등의 계약조건으로 인해 가격 변동과 관련한 위험은 제한적입니다.
나.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1) 생산능력, 생산실적, 가동률 원액 기준(Drug Substance)이며, 생산능력은 생산가능일수와 각 Suite별 대표품목의 공정기간(Cycle)을 고려하여 산정하고 생산실적을 반영하여 가동률을 산출하였습니다.[안동 L HOUSE]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생산능력 | 216 배치 | 572 배치 | 481 배치 |
생산실적 | 73 배치 | 215 배치 | 269 배치 |
가동률 | 33.8% | 37.6% | 55.9% |
※ 제8기 1분기에는 예방정비기간이 포함되어 있으며 Suite별로 기간은 상이합니다. 제8기 반기는 이를 포함한 수치입니다. |
[IDT Biologika]
구분 | 2025년 반기 | 2024년 | 2023년 |
---|---|---|---|
생산능력 | 68 배치 | 147 배치 | 109 배치 |
생산실적 | 24 배치 | 50 배치 | 50 배치 |
가동률 | 35.3% | 34.0% | 45.9% |
(2) 생산 및 설비의 현황 등
(가) 생산 및 설비의 현황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주요 사업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역 |
사업장 |
주요사업 내용 |
소재지 |
---|---|---|---|
국내 |
판교 본사 |
R&D, 전사관리, 마케팅 및 사업개발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10 (삼평동) |
안동 L HOUSE |
의약품 생산, 도소매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산업단지길 150 |
|
화성 |
원자재 및 완제품 보관 |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정문송산로 184번길 |
|
해외 | SK bioscience USA, Inc. | 바이오 기술 개발 | 43 Thorndike St, STE 2-1, Cambridge, MA 02141 |
SK bioscience Germany GmbH | 지주회사 | Karl-Hermann-Flach-Straße 25, 61440 Oberursel (Taunus) | |
IDT Biologika GmbH | 의약품 제조 | Am Pharmapark, 06861 Dessau-Roßlau, Germany | |
IDT Biologika Corporation | 의약품 제조 | 1405 Research Blvd, Rockville, MD 20850 | |
Technik-Energie-Wasser Servicegesellschaft mbH | 기타 서비스 | Am Pharmapark, 06861 Dessau-Roßlau, Germany |
당사의 시설 및 설비는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기초 | 취득 | 처분 | 감가상각 | 기타(주1) | 기말 |
토지 | 71,307 | 12 | - | - | 1,074 | 72,393 |
건물 | 360,585 | 2 | - | (6,311) | 9,908 | 364,184 |
구축물 | 65,302 | - | - | (4,358) | 2,566 | 63,510 |
기계장치 | 174,826 | 1,918 | (390) | (13,796) | 8,151 | 170,709 |
차량운반구 | 95 | - | - | (16) | 1 | 80 |
기타의유형자산 | 69,535 | 305 | (307) | (7,650) | 4,391 | 66,274 |
건설중인자산 | 224,623 | 106,181 | (104) | - | 4,625 | 335,325 |
미착기계 | 6,650 | 6,439 | - | - | (13,089) | - |
합 계 | 972,923 | 114,857 | (801) | (32,131) | 17,627 | 1,072,475 |
※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평가가 어려워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주1) 건설중인자산의 본계정 대체, 환율변동효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나) 진행중인 투자 및 향후 투자계획 등
당사는 Top-tier 수준의 생산시설을 보유한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 2021년 6월 경상북도-안동시와 공장 증설 및 부지 확장투자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습니다. 2023년 11월에는 Sanofi와 공동개발중인 21가 폐렴구균백신 상업생산을 위한 L HOUSE 생산시설 증축을 결정하여, 2025년 6월 준공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L HOUSE 부지 인근에 조성되고 있는 경북바이오 2차 일반산업단지 내에 약 97,409㎡(3만여 평)의 부지를 추가로 매입해 향후 다양한 사업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안동 L HOUSE 뿐만 아니라 당사는 2021년 12월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과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 인천 송도동 인천테크노파크 확대조성 단지인 7공구 Sr14 구역 30,414㎡ (9천여 평) 부지에 글로벌 R&PD(Research & Process Development) 센터를 신축 예정이며 현재 판교와 경북 안동을 중심으로 구성돼 있는 당사의 R&D 및 생산 인프라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신규 조성될 글로벌 R&PD 센터에는 백신ㆍ바이오 분야의 기초연구와 공정개발 및 생산을 위한 연구소, 파일럿 플랜트 등이 들어서며 이를 통해 바이오 CDMO 사업 확장과 신규 플랫폼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국제기구, 국내외 바이오 기업 및 연구기관 등과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2024년 6월 27일, 독일의 글로벌 백신ㆍ바이오 C(D)MO IDT Biologika 경영권 지분 인수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IDT Biologika는 1921년 설립돼, 100년 이상 축적된 전문성과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유럽을 포함한 13개 이상의 핵심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Track record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분 인수를 통해 당사는 cGMP(미국 FDA 우수 의약품 제조ㆍ관리 기준)와 BSL-3(생물안전 3등급 시설)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확보하며, 이를 기반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겨냥해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신규 바이오 영역으로의 진출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IDT Biologika는 C(D)MO 기업으로서 백신 및 Biologics, 유전자 치료제 등 주력 사업영역에서 기존 고객과의 신뢰 강화와 니즈 충족 및 신규 고객 온보딩 기회를 확보하기 위해 품질과 설비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Modality 대응을 포함한 신규 영역으로의 확장을 위한 전략적 투자 기회 모색 등 중장기 성장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가. 매출 실적 (1) 매출유형별 실적
(단위 : 백만원) |
매출유형 |
구분 |
품목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제품 | 백신제제 | 스카이조스터,스카이셀플루 외 | 44,412 | 96,965 | 108,458 |
상품 | 백신제제 등 | 펜탁심, 헥사심 외 | 22,253 | 53,001 | 22,939 |
기타 | 용역 매출 등 | CDMO 외 | 249,752 | 117,579 | 238,109 |
합계 | 316,417 | 267,545 | 369,506 |
(2) 매출지역별 실적
(단위 : 백만원) |
품 목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국 내 | 47,479 | 131,495 | 158,217 |
국 외 | 268,938 | 136,050 | 211,289 |
합 계 | 316,417 | 267,545 | 369,506 |
(3) 수주상황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품목 | 수주일자 | 납기 | 수주총액 | 기납품액 | 수주잔고 |
---|---|---|---|---|---|
금액 | 금액 | 금액 | |||
백신 원액 및 완제 생산 | 2022년~(계약별 상이) | ~2033년(계약별 상이) | 313,922 | 185,453 | 128,469 |
CDMO | 2015년~(계약별 상이) | ~2029년(계약별 상이) | 2,047,856 | 1,372,202 | 675,654 |
합 계 | 2,361,778 | 1,557,655 | 804,123 |
※ 향후 시장상황 및 고객사 수요 변동 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백신 개발 및 상업화]당사 제품의 판매 경로는 크게 네 가지가 있습니다.
① 회사 → 병ㆍ의원
당사/파트너사의 영업사원을 통해 제품을 직접 구매,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병ㆍ의원의 사용량을 고려하여 주문을 진행하며 주문 완료 후 1~2일 내 당사/파트너사와 계약된 배송업체를 통해 병ㆍ의원으로 배송 됩니다. ② 회사 → 도매 → 병ㆍ의원
병ㆍ의원이 도매(온라인ㆍ오프라인) 업체를 통해 제품을 구매,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해당 도매는 당사를 통해 제품을 구매하여 병ㆍ의원으로 납품하는 형태입니다. ③ 회사 → 수출
당사가 해외로 수출하는 방식이며, 해외 파트너사 혹은 각국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④ 회사 → 정부 입찰 참여
국가무료 접종사업에 포함되는 제품의 경우 두 가지 방식을 통해 공급이 진행됩니다.
사전현물공급방식은 경쟁 입찰을 통해 정부가 사업 물량을 일괄 구매 확보하여 위탁의료기관에 현물 백신을 배분하는 방식이고, 민간개별구매방식은 위탁의료기관이 백신 물량을 개별 확보하고, 정부사업에 사용된 물량에 대해 정부에서 정한 가격으로 의료기관에 백신 비용을 배분하는 방식입니다.
[CDMO]
IDT Biologika의 CDMO 사업은 수주계약 기반 사업입니다. 수주 절차는 신규 고객사를 탐색하고 접촉하는 단계에서 시작해, 고객사의 CDMO 협력 요청에 따라 당사가 제안서를 제출하고 협의를 진행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이후 고객사가 최종 CDMO 파트너를 선정하면, 계약 조건을 조율하고 확정한 후 공식적으로 수주 계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2) 판매방법 및 조건[백신 개발 및 상업화]
판매방법 |
대금회수 조건 |
---|---|
내수 |
현금, 어음결제 등 |
Local, 직수출 |
현금, 신용장결제 등 |
[CDMO]
판매방법 |
대금회수 조건 |
---|---|
고객사 납품 | Bank transfer |
(3) 판매조직 및 전략 [백신 개발 및 상업화]
구분 |
전략 |
---|---|
마케팅&사업개발본부국내마케팅실 |
- 병ㆍ의원 중심의 마케팅 활동 전개 - 시장 세분화를 통한 정확한 Target 마케팅 실행 - 병원 조직 전문화/세분화를 통한 조직 강화- 국내 정부 입찰 참여 |
마케팅&사업개발본부BD2실, BD3실 | - WHO PQ 인증을 기반으로 한 공공입찰시장 입찰 확대- 글로벌 이니셔티브와의 협업을 통한 LMIC 진출 - Partnership 강화를 통한 기존 고객 Lock-in- 당사 기술개발 현황, Capa. 확장 진행상황 등 논의를 통한 신규고객 유치 |
[CDMO]
구분 |
전략 |
---|---|
Project ManagementDepartment | - 프로젝트 비용 산출 및 관리, work package 준비 및 진척 상황 모니터링- 프로젝트 보고 및 주요 이슈 매니지먼트 보고(Escalation)- 프로젝트 관련 업무 총괄 및 contact point 역할 수행- 계획 수립 및 주요 마일스톤 정의 |
CommercialDepartment | - 제안서 작성, 가격 책정 및 계약 협상- 산업 동향 분석 및 시장 포지셔닝 강화- 신규 사업 기회 발굴 및 고객 관계 구축- 장기 비즈니스 목표에 맞추어 주요 고객과의 전략적 파트너십 개발 |
5-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당사의 주요 금융부채는 파생상품을 제외하고는 매입채무및기타채무, 차입금, 사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금융부채의 주요 목적은 당사의 운영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입니다. 당사의 주요 금융자산에는 매출채권 및 영업 활동에서 직접 파생되는 현금 및 단기예금이 포함됩니다. 당사는 또한 채무 및 지분 상품에 대한 투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생상품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고위 경영진은 이러한 위험관리를 감독합니다. 위험관리 목적을 위한 모든 파생활동은 적절한 기술, 경험 및 감독을 갖춘 전문가 팀에 의해 수행됩니다. 투기 목적의 파생 상품 거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은 당사의 정책입니다.
가.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화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시장위험은 이자율위험, 외환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가지 유형의 위험으로 구성됩니다. 시장 위험에 영향을 받는 금융상품에는 차입금과 사채, 예금, 채무 및 지분 투자 및 파생금융상품이 포함됩니다.(1)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금리의 변동으로 인해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시장금리변동 위험에 대한 당사의 변동은 주로 변동 이자율이 적용되는 당사의 장기부채와 관련이 있습니다.
(2) 외환위험외환위험은 외환변동으로 인해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당사가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는 것은 주로 당사의 영업활동(매출 또는 비용이 외화로 표시되는 경우) 및 외화 자금조달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특히 외화사채 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당사는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통화선물 거래를 통해 환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어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3) 기타 가격위험
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한편, 당사가 보유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중 상장지분상품은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당사에 재무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1) 매출채권, 기타채권 및 계약자산당사는 신용거래를 희망하는 모든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신용검증절차의 수행을 원칙으로 하여 신용상태가 건전한 거래상대방과의 거래만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손위험에 대한 당사의 노출정도가 중요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는 등 매출채권, 기타채권 및 계약자산 잔액에 대한지속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기타의 자산현금성자산, 단기예금, 채무증권 및 장ㆍ단기대여금 등으로 구성되는 당사의 기타의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의 부도 등으로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당사의 신용위험 노출정도는 파생금융상품을 제외하고는 최대 해당 금융상품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당사는 우리은행 등의 금융기관에 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상품 등을 예치하고 있으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다.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도록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통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으며, 금융상품의 만기와 영업현금흐름의 추정치를 고려하여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만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라. 자본관리 자본관리의 주 목적은 당사의 영업활동을 유지하고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높은 신용등급과 건전한 자본비율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당사는 자본구조를 경제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정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배당정책을 수정하거나 자본감소 혹은 신주발행을 검토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기 중 자본관리의 목적, 정책 및 절차에 대한 어떠한 사항도 변경되지 않았습니다.
5-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가. 파생상품 보유내역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가 보유한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당사는 동파생상품을 위험회피 수단으로 지정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자산 | 부채 | 자산 | 부채 | |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 | ||||
통화선도계약 | 41,172 | 48,014 | 195 | 1,660,062 |
나. 환율 변동 Risk Hedge용 파생상품거래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가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하지 않은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USD, EUR, AUD, 천원) |
구 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계약처 |
JP Morgan Chase Bank 등 | ||
Buy/Sell |
Sell | Buy | Sell |
계약금액 |
USD 23,574,885 AUD 537,133 | USD 2,462,158 EUR 292,830 | USD 26,014,577 EUR 50,051,675 AUD 661,527 |
평가손익 |
8,642 | (15,484) | (1,659,867) |
6-1. 경영상의 주요 계약(요약)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가 체결중인 경영상의 주요 계약은 라이센스아웃/인 계약, 공동개발 계약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품목 | 계약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체결시기 | 총 계약금액 | 수취/지급금액 | 진행경과 등 |
---|---|---|---|---|---|---|---|
라이센스아웃 계약 | 유전자재조합 Factor VIII (혈우병 치료제) | CSL | 대한민국 제외전 지역 | 2009.05 | (주1) | (주1) | 미국, 유럽/아시아(국가별) 등 상업화 |
세포배양 독감백신 원액 | GPO (GovernmentPharmaceutical Organization),BGT (Biogenetech Co., Ltd.) | 태국 | 2023.08 | US$ 51M | (주1) | 현지 기술이전 완료, 허가 진행 중 | |
라이센스인 계약 | Novavax COVID-19 백신 기술 도입 | Novavax | 대한민국, 태국, 베트남 | 2021.02 | (주1) | (주1) | 상업생산 |
공동개발 계약 |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 Sanofi | 전 세계 | 2014.03 (주2) | US$ 45.0M+ EU€ 350M (주3) | US$ 45.0M+ EU€ 50M | GBP410 :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중NextGen : 기초연구/비임상 시험 진행 중 |
장티푸스접합백신 | IVI (국제백신연구소) | 전 세계 | 2013.04 | (주1) | (주1) | 수출용 품목허가 획득WHO PQ 인증 | |
COVID-19 백신(GBP510) 프로젝트 연구/개발 계약 | CEPI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 | 2020.12 | US$ 10.0M | (주1) | 국내 품목허가 획득추가 임상 연구 진행 중 | |
COVID-19 백신(GBP510) 프로젝트 연구/개발 추가 지원 계약 | CEPI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 | 2021.05 | US$ 200.1M | (주1) | ||
광범위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 (GBP511) 프로젝트 연구/개발 계약 | CEPI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 | 2021.12 | US$ 57.6M | (주1) | 임상 시료 생산 중 | |
Nasal Spray | IAVI (국제에이즈백신추진본부) | - | 2021.11 | US$ 4M | (주1) | 임상 시료 생산 완료, 안정성 시험 진행 중 | |
일본뇌염 바이러스/라싸열 mRNA 백신(GBP560, GBP570) 개발 | CEPI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 | 2022.10 | US$ 140.0M | (주1) | 일본뇌염 바이러스 mRNA 백신: 임상 1/2상 진행 중라싸열 mRNA 백신: 기초연구 진행 중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주2) 2024년 12월 수정 계약을 채결하였습니다.(주3) 선급금 및 개발/허가 및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수령하는 마일스톤 합계 금액입니다. |
※상세 현황은 '상세표-4. 경영상의 주요 계약(상세)' 참조 |
6-2.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조직[SK바이오사이언스]연구개발 조직은 Bio연구본부, 개발본부, 마케팅&사업개발본부 BD1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백신제품 연구/개발 및 임상개발 관련 활동, Global 포트폴리오 확장 및 사업기회 강화 활동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수행 업무
백신제품 연구(Bio연구본부) | - 바이오 백신 제품 개발을 위해 제품화 가능한 공정 개발 및 플랫폼 확보- 백신 제품화를 위한 배양 및 정제공정 개발, scale-up 및 기술이전, 임상시료 제조 지원, 허가 문서 작성, 상업생산 지원- 고부가가치 백신 개발과 플랫폼기술 구축- R&D 전체 과제에서 필요한 공통업무(QC, QA, Serology) 수행 및 GCLP 유지/관리- 신규과제에 대한 concept 기획 및 기초연구를 수행/과제 제안 |
임상, 허가, Medical(개발본부) | - 의약품 개발 및 제품 수명주기 관리 측면에서 의학적 전략을 수립, 실행- Global 수준의 임상개발을 통한 R&D value 창출- 자체 개발과제 및 파트너사 협력과제에 대한 허가 전략 수립 등 허가 업무 전반을 담당, 관리- 인허가 업무 및 허가 획득 후 품목허가 유지, 갱신, 변경 업무를 수행 |
Global 포트폴리오 확장 및 사업기회 강화(마케팅&사업개발본부 BD1실) | - Vaccine portfolio, Platform technology 및 사업모델 구축 및 실행- Global Fund initiative 와의 협업/지원을 통한 Fund 기회 도출을 위한 사업 기반 마련 |
[IDT Biologika]IDT Biologika의 연구개발 조직은 Development Departm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세스/분석 개발 및 QC 최적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수행 업무
프로세스/분석 개발 및 플랫폼ㆍQC 최적화(Development Department) | - 임상 및 Pre-Commercial 단계의 고객들에게 프로세스 및 분석 개발 서비스 제공- 팬데믹 대비 플랫폼 기술 최적화- GMP 가이드라인 업데이트에 따른 지속적인 QC method 개선 업무 수행 |
(2) 연구개발 인력 현황 [SK바이오사이언스]SK바이오사이언스는 Bio 연구, 개발, 허가, 임상을 담당하는 박사급 39명, 석사급 212명 등 총 315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명) |
구 분 | 박사 | 석사 | 기타 | 계 |
---|---|---|---|---|
인원수 | 39 | 212 | 64 | 315 |
[IDT Biologika]IDT Biologika는 프로세스 및 분석 개발, 플랫폼 및 QC 최적화를 담당하는 박사급 13명, 석사급 38명 등 총 76명의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명) |
구 분 | 박사 | 석사 | 기타 | 계 |
---|---|---|---|---|
인원수 | 13 | 38 | 25 | 76 |
(3) 핵심 연구인력[SK바이오사이언스]SK바이오사이언스의 핵심 연구인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직책 | 성명 | 주요경력 | 주요연구실적 |
---|---|---|---|
Global Business대표 | 김훈 | 고려대 농화학(學)고려대 생화학(碩)아주대 분자과학(博) | [논문]- Immune persistence and response to booster dose of Vi-DT vaccine at 27.5 months post-first dose (2022년, NPJ Vaccines. 7:12)- Influenza vaccines: Past, present, and future (Review) (2022년, Rev Med Virol. 32(1):e2243)- Effective inactivated influenza vaccine for the elderly using a single-stranded RNA-based adjuvant (2021년, Sci Rep. 11(1):11981)- Immunization with RBD-P2 and N protects against SARS-CoV-2 in nonhuman primates (2021년, Science Advances. 7 : eabg7156)- Immunogenicity, safety and reactogenicity of a Phase II trial of Vi-DT typhoid conjugate vaccine in healthy Filipino infants and toddlers: A preliminary report (2020년, Vaccine. 4476-4483)-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Vi-DT conjugate vaccine among 6-23-month-old children: Phase II, randomized, dose-scheduling, observer-blind Study (2020년, EClinicalMedicine. 100540)- Inactivated influenza vaccine formulated with single-stranded RNA-based adjuvant confers mucosal immunity and cross-protection against influenza virus infection(Vaccine 38 (2020) 6141-6152)- Evaluation of glycoprotein E subunit and live attenuated varicella-zoster virus vaccines formulated with a single-strand RNA-based adjuvant (2020년, Volume8)-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12-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infants aged 6-10 weeks: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trial(2020년, Volume 63(7))- Assignment of opsonic values to pneumococcal reference serum 007sp and a second pneumococcal OPA calibration serum panel (Ewha QC sera panel B) for 11 serotypes (2020년, Vaccine 38(8145-8153)- Comparison of antigenic mutation during egg and cell passage cultivation of H3N2 influenza virus (2020년, Clin Exp Vaccine Res)-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new live attenuated herpes zoster vaccine (NBP608) compared to Zostavax® in healthy adults aged 50 years and older (2019년, Vaccine. 3605-3610)-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Phase III Trial of a Cell Culture-derived Quadrivalent Inactivated Influenza Vaccine in Healthy South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6 Months to 18 Years of Age (2019년, Pediatr Infec Dis J. e209-e215)- Cricket paralysis virus internal ribosome entry site-derived RNA promotes conventional vaccine efficacy by enhancing a balanced Th1/Th2 response (2019년, Vaccine. 37(5191-5202))- Heterologous prime-boost vaccination with adenoviral vector and protein nanoparticles induces both Th1 and Th2 responses again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018년, Vaccine. 3468-3476)- Vaccines, inspiring innovation in health (2018년, Vaccine. 7430-7437)- Effect of apoptosis-associated speck-like protein containing a caspase recruitment domain on vaccine efficacy: Overcoming the effects of its deficiency with aluminum hydroxide adjuvant (2018년, Microbiol Immunol. 1348-0421)- Development of a diagnostic system for detection of specific antibodies and antigens again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018년, Microbiol Immunol. 574-584)-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Clinical Trial of a Cell Culture-derived Inactivated Trivalent Influenza Vaccine (NBP607) in Healthy Children 6 Months Through 18 Years of Age (2018년, Pediatr Infect Dis J. 605-611)- Sahastrabuddhe S2.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Vi-DT typhoid conjugate vaccine: Phase I trial in Healthy Filipino adults and children., 10.1016 J (2018년, Vaccine.05.038)- Creation, characterization, and assignment of opsonic values for a new pneumococcal OPA calibration serum panel (Ewha QC sera panel A) for 13 serotypes(2018년, Medicine (Baltimore))- Comparative evaluation of a newly developed 13-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a mouse model (2017년, Hum Vaccin Immunother. 1169-1176)-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cell culture-derived inactivated quadrivalent influenza vaccine (NBP607-QIV)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 (2017년, VOL. 13, NO. 7, 1653-1660)-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cell Culture-derived inactivated trivalent influenza vaccine(NBP607). (Vaccine 33. 5437-5444, 2015)- 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induced obesity and its chronic inflammation on influenza virus-related pathology. (2015년, Environmental Toxicology and Pharmacology. 40, 924-930) 外 다수-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vaccines for obesity. [국책과제] 주관연구 책임자- 유전자 재조합기술 기발 COVID-19 백신 대량생산 공정구축 및 시료생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0~2021)- 인유두종 바이러스 4가 백신의 제품화 및 인유두종 바이러스 10가 백신 개발 (미래창조과학부-바이오의료기술개발, 2015~2020)- 장티푸스 다당-단백질 접합 백신 생산 기술 개발 (보건복지부-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 2013~2018)- 세포배양기술을 활용한 인플루엔자백신 제품화 (신종인플루엔자 범 부처 사업단(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0~2016)-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바이러스 백신개발 연구(로타바이러스백신) (지식경제부, 2009~2013)- 동물세포 배양기술을 활용한 신종인플루엔자 백신의 조기 생산 기술 개발 (보건복지부-인수공통전염병 인체감염대응연구, 2009~2010) - 두창 백신 개발 과제(2007~2009)- 탄저 백신 개발 과제(2006~2008) 外 다수 [대표특허]- 무혈청 배지에서 부유배양 되는 Vero 세포주 및 상기 세포를 사용하여 백신용 바이러스를 제조하는 방법 (등록일: 2018-02-14)- 무혈청 배양 및 부유 배양에 적응된 MDCK 세포주 및 상기 세포를 사용하여 백신용 바이러스를 제조하는 방법 (등록일: 2015-12-09)- 폐렴구균 혈청형을 갖는 협막 다당류의 제조 방법 (등록일: 2019-01-28)- 다가 폐렴구균 다당류-단백질 접합체 조성물(등록일: 2019-12-12) |
Bio연구본부장 | 박용욱 | 한양대 생화학/분자생물학(學)광주과학기술원 생명과학(碩) | [논문]- Park, Y.W.; Kim, Y.H.; Jung, H.U.; Jeong, O.S.; Hong, E.J.; Kim, H.; Lee, J. Comparison of antigenic mutation during egg and cell passage cultivation of H3N2 influenza virus. Clin. Exp. Vaccine Res. 2020, 9, 56-63. [특허]- MDCK-derived cell lines adapted to serum-free culture and suspension culture and method for preparing vaccine virus using the cells. (KR10-1577745, 2015-12-09) |
Bio1실장 | 이건세 | 고려대 생명과학(學) 고려대 분자생물학(碩) 가톨릭대 생명공학(博) | [논문]- Intranasal immunization with the recombinant measles virus encoding the spike protein of SARS-CoV-2 confers protective immunity against COVID-19 in hamsters. Vaccine, 2024; 42(2), 69-74.- Recent advances in vaccines and diagnostics again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Acta Virologica, 2020; 64(2), 251-260.- Development of a diagnostic system for detection of specific antibodies and antigens against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icrobiology and Immunology. 2018; 62(9), 574-584.[특허]- 무혈청 배양 및 부유 배양에 적용된 MDCK 세포주 및 상기 세포를 사용하여 백신용 바이러스를 제조하는 방법. (등록일: 2015-12-09)- 무혈청 배지에서 부유배양 되는 Vero 세포주 및 상기 세포를 사용하여 백신용 바이러스를 제조하는 방법. (등록일: 2018-02-14)- A형 간염 바이러스의 제조방법 및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A형 간염 바이러스. (등록일: 2021-07-08)- 국내출원 4건, 국내등록 7건, 해외출원 39건, 해외등록 45건 [과제수행] 과제책임자 - RIGHT FUND, Development of COVID-19 vaccine candidates using viral vector system and efficacy evaluation in animal model (2020~2021)-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 A형 간염 백신의 고효율 생산 공정개발 및 백신 유효성 평가 (2020~2022)-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 A형 간염 백신의 비임상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 (2022~2025) |
Bio2실장 | 신진환 | 고려대 유전공학(學)KAIST 분자유전학(碩)성균관대 분자약제학(博) | [논문]-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12-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infants aged 6-10 weeks: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trial.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2020; 63 (7), 265 - Comparative evaluation of a newly developed 13-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a mouse model. Human vaccines & immunotherapeutics. 2017; 13 (5), 1169-1176 [특허]- 국내출원 19건, 해외출원 177건, 국내등록 3건, 해외등록 72건- 대표 특허: US 9,981,029, US 9,636,392, US 10,058,607, US 10,034,949 |
Bio3실장 | 이수진 | 청주대 유전공학(學)청주대 유전공학(碩)가톨릭대 생명공학(博) | [논문]- Evaluation of glycoprotein E subunit and live attenuated varicella-zoster virus vaccines formulated with a single-strand RNA-based adjuvant. Immun Inflamm Dis. 2020 Jun;8(2):216-227. doi: 10.1002/iid3.297. [특허]- 국내출원 8건, 해외출원 17건, 국내등록 2건(10-1577745, 10-1831284), 해외등록 7건(2614140, 6067560, 323937, 2011299761, IDP000053063, 104862267 B, 9447383) [과제수행] 과제책임자- RIGHT FUND, Development of a cost-effective Hepatitis A vaccine on a low-footprint, low-cost platform, (2020) |
개발본부장兼 임상허가개발실장 | 류지화 | 덕성여대 제약학(學)덕성여대 약학(碩)성균관대 약학대학 임상사회약학(博) | [논문]-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Vi-DT conjugate vaccine among 6-23-month-old children: Phase II, randomized, dose-scheduling, observer-blind Study. EClinicalMedicine. 2020- Immunogenicity and safety of a 12-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infants aged 6-10 weeks: a randomized double-blind active-controlled trial. Clin Exp Pediatr. 2020- Immunogenicity, safety and reactogenicity of a Phase II trial of Vi-DT typhoid conjugate vaccine in healthy Filipino infants and toddlers: A preliminary report. Vaccine. 2020-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a Vi-DT typhoid conjugate vaccine: Phase I trial in Healthy Filipino adults and children. Vaccine. 2018- Activation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by oxidative stress leads to the induction of microsomal epoxide hydrolase in H4IIE cells. Toxicol Lett. 2001- The essential role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 and of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in the antioxidant response element-mediated rGSTA2 induction by decreased glutathione in H4IIE hepatoma cells. Mol Pharmacol. 2000- Role of glucose utilization in the restoration of hypophysectomy-induced hepatic cytochrome P450 2E1 by growth hormone in rats. Chem Biol Interact. 2000 [관련 이력]- Phase 1 20 여개, Phase 2 10 여개, Phase 3 20 여개 임상시험 수행- 2016 식품의약품안전처 백신임상평가지침 개발 TFT member- 2016-2017 한국임상개발연구회 연구분과장 역임 |
Medical Affairs실장 | 김혜영 | 서울대 의학(學)서울대 의학(碩)서울대 의학(博) | - |
[IDT Biologika]IDT Biologika의 핵심 연구인력은 아래와 같습니다.
직책 | 성명 | 주요경력 | 주요연구실적 |
---|---|---|---|
Scientific Advisor | Andreas Neubert | Ph.D., Veterinary Virology from the University Leipzig | [논문]- Fabianska, I., Borutzki, S., Richter, B., Tran, H. Q., Neubert, A., & Mayer, D. (2021). LABRADOR-A computational workflow for virus detection in high-throughput sequencing data. Viruses, 13(12), 2541. - Braun, C., Thurmer, A., Danie, R., Schultz, A. K., Bulla, I., Schirrmeier, H., Mayer, D., Neubert, A., & Czerny, C. P. (2017). Genetic variability of Myxoma virus genomes. Journal of Virology, 91(2). - Vos, A., Freuling, C. M., Hundt, B., Kaiser, C., Nemitz, S., Neubert, A., Nolden, T., Teifke, J. P., Te Kamp, V., Ulrich, R., Finke, S., & Muller, T. (2017). Oral vaccination of wildlife against rabies: Differences among host species in vaccine uptake efficiency. Vaccine, 35(32), 3938-3944. - Beckert, A., Geue, L., Vos, A., Neubert, A., Freuling, C., & Muller, T. (2009). Genetic stability (in vivo) of the attenuated oral rabies virus vaccine SAD B19. Microbiology and Immunology, 53(1), 16-21. |
Senior DirectorDevelopment | Mathias Kahl | M.S.,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 (HTW Berlin) | [논문]- Kahl, M., Hesse, F., Schlupp, C., Kaufmann, M., & Evers, A. (2018). Mabfilin and Fabfilin-New antibody-scaffold fusion formats for multispecific targeting concepts. mAbs, 10(5), 719-730. https://doi.org/10.1080/19420862.2018.1462433[특허]- European Patent Office. (2023). Novel human programmed death ligand 1 (PD-L1) specific binding molecules (Patent No. EP4326749A1). - United States Patent and Trademark Office. (2024). Affinity ligands for the purification and detection of ubiquitin muteins (Patent No. US20240309056A1). |
(4) 연구개발비용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
비용의성격별 분류 | 원재료비 | 19,247 | 17,066 | 37,681 |
인건비 | 13,341 | 28,482 | 29,045 | |
판관경비 등 | 35,402 | 60,627 | 50,555 | |
연구개발비용 총계 |
67,990 | 106,175 | 117,281 | |
정부지원금 | (36) | (447) | (611) | |
외부지원금 | (13,679) | (29,315) | (30,927) | |
지원금 총계 | (13,715) | (29,762) | (31,538) | |
지원금 차감 후 금액 |
54,275 | 76,413 | 85,743 | |
회계처리내역 |
판매비와 관리비 |
32,240 | 71,353 | 85,743 |
개발비(무형자산) |
22,035 | 5,060 | - | |
회계처리금액 계 | 54,275 | 76,413 | 85,743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 합계÷당기매출액×100] |
21.5 | 39.7 | 31.7 |
※ 비율은 외부지원금 등 차감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 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나. 연구개발 및 특허출원 실적 (1) 연구개발 실적(가) 연구개발 현황(요약)
(기준일 : 2025.06.30) |
품목 | 적응증 | 연구 시작일 | 현재진행단계 | 비고 |
---|---|---|---|---|
GBP410 |
폐렴구균 (PCV) |
2014년 |
임상 3상 |
공동개발 |
NBP615 |
자궁경부암 (HPV) |
2010년 |
임상 1/2상 |
- |
NBP613 |
로타바이러스 |
2010년 |
임상 1/2상 |
- |
NBP1803 |
면역항암 |
2018년 |
기초연구 |
- |
백신 |
급성호흡기감염병 (RSV) |
2018년 |
기초연구 |
- |
NBP1801 |
A형간염 |
2018년 |
비임상 (주1) |
- |
NBP1802 |
재조합 대상포진 |
2018년 |
비임상 |
- |
NBP623 |
비만 |
2019년 |
기초연구 |
- |
Combo 백신 |
COVID-19 + 독감 |
2021년 |
기초연구 |
- |
GBP511 |
범용 COVID-19 |
2021년 |
비임상 |
공동개발 |
GBP540 |
Mini-binder (Nasal spray) |
2021년 |
비임상 |
공동개발 |
GBP550 |
mRNA COVID-19 |
2021년 |
비임상 |
공동개발 |
GBP560 |
일본뇌염 |
2022년 |
임상 1/2상 |
공동개발 |
GBP570 |
라싸열 |
2022년 |
기초연구 |
공동개발 |
GBP460 |
자궁경부암 (HPV) |
2022년 |
기초연구 |
공동개발 |
NBP607B |
차별화 Flu |
2023년 |
비임상 (주2) |
- |
NBP625 | 판데믹 Flu | 2023년 | 비임상 | - |
NBP624 | 보툴리눔독소 | 2023년 | 기초연구 | - |
GBP480 | 에볼라 백신 | 2023년 | 기술이전 | 공동개발 CDMO |
GBP412 | 폐렴구균 (PCV) | 2024년 (주3) | 비임상 | 공동개발 |
GBP413 | 폐렴구균 (PCV) | 2024년 (주3) | 기초연구 | 공동개발 |
NBP626 | 조류인플루엔자 | 2025년 | 기초연구 | 질병청 과제 |
※기초연구 및 비임상, 기술이전 단계 품목은 상세표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주1) 2025년 4월 14일 임상 1상 IND 승인되었습니다.(주2) 2025년 7월 16일 임상 1상 IND 신청하였습니다.(주3) 계약체결일 기준입니다. |
※상세 현황은 '상세표-5. 연구개발 현황(상세)' 참조 |
(나) 연구개발 완료 실적
(기준일 : 2025.06.30) |
품 목 | 적응증 | 개발완료연도 | 현재 현황 | 비 고 |
---|---|---|---|---|
스카이셀플루프리필드시린지주 |
독감 예방 |
2014년 |
국내 판매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 |
스카이셀플루4가프리필드시린지주 |
독감 예방 |
2015년 |
국내 판매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 |
스카이셀플루주 | 독감 예방 | 2019년 | 국내 품목허가 획득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WHO PQ 인증 |
스카이셀플루 멀티주 | 독감 예방 | 2019년 | 국내 품목허가 획득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WHO PQ 인증 |
스카이셀플루4가주 | 독감 예방 | 2019년 | 국내 품목허가 획득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WHO PQ 인증 |
스카이셀플루4가 멀티주 | 독감 예방 | 2019년 | 국내 품목허가 획득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WHO PQ 인증 |
스카이뉴모프리필드시린지주 |
폐렴구균 예방 |
2019년(소아)2016년(성인) |
국내 수출용 허가 획득해외 인허가중 | - |
스카이조스터주 |
대상포진 예방 |
2017년 |
국내 판매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 |
스카이바리셀라주 |
수두 예방 |
2018년 |
국내 판매해외 인허가중/판매중 |
WHO PQ 인증 |
스카이타이포이드멀티주 |
장티푸스 예방(TCV) |
2022년 |
국내 수출용 허가 획득해외 인허가중 | WHO PQ 인증 |
스카이코비원멀티주(수출명: 스카이코비온) |
COVID-19 예방 |
2022년 |
국내 품목허가 획득 (주1) |
- |
(주1) 엔데믹 전환 및 WHO에서 변이 백신 균주로 계통 조성을 권고함에 따라, MHRA 품목허가(Marketing Authorisation) 승인 후 자진취하, WHO 긴급사용목록(Emergency Use Listing) 등재 후 자진철회 하였습니다. |
(2) 특허출원 실적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건) |
연도 |
국내 |
국외 (주1) |
||
---|---|---|---|---|
출원 |
등록 |
출원 |
등록 |
|
2025년 반기 | 7 | 9 | 5 | 14 |
2024년 | 10 | 5 | 81 | 27 |
2023년 | 17 | 12 | 44 | 37 |
(주1) 특허 조회 시스템상에서 조회 가능한 출원 및 등록 건수 기준이며, 실제출원 및 등록 건수와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
(3) 기타 연구개발 실적당사는 그간 다양한 백신 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에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백신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잠재력 높은 백신 제제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자궁경부암 백신 등으로 구성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여 백신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자 하며, 당사의 R&D 역량을 통한 글로벌 다국적기업, 국제기구, 바이오텍과의 공동개발 및 협업을 통한 글로벌 백신 네트워크를 활발히 구축, 백신 산업에서의 글로벌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COVID-19 팬데믹 상황 극복을 위해 그동안 쌓아 올린 백신 개발 경험과 기술을 활용하여 COVID-19 백신 개발을 진행하였고, 현재 엔데믹으로 전환에 대응하여 범용 COVID-19 백신 등 개발에 착수하였습니다. 특히 GF, CEPI의 펀딩을 받은 자체 COVID-19 백신 '스카이코비원'은 2021년 8월 식약처로부터 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아 국내 뿐만 아니라 유럽, 동남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글로벌 3상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으며, 뛰어난 임상시험 결과를 확보하여 2022년 6월 국내 식약처 품목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또한 동 품목은 2023년 5월 영국 MHRA 품목허가 승인, 2023년 6월 WHO EUL에 등재된 바 있습니다.당사에서 진행해 온 주요 연구개발 과제들의 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당사 백신 사업의 토대이자 핵심 제품인 세포배양 독감백신의 경우, 3가 백신은 국내 최초로, 4가 백신은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독점 시장이었던 대상포진백신 시장에 프리미엄 백신 '스카이조스터'를 출시한 데 이어, 수두백신인 '스카이바리셀라' 발매까지 연이어 성공하였습니다.당사가 진행 중인 연구개발 과제의 경우, 글로벌 백신 전문기업 Sanofi와 추진 중인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개발 프로젝트가 가장 대표적입니다. 2014년에 개시된 21가 폐렴구균백신 개발 프로젝트는 현재 글로벌 임상 3상이 진행중이며 상용화 시 2030년 글로벌 약 13조원의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폐렴백신 소아 시장 진출이 기대됩니다. 이외에도 당사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국외 기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제백신연구소와 공동 개발한 장티푸스백신의 경우, 2022년 5월 국내 식약처로부터 수출용 품목허가와 2024년 2월 WHO PQ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글로벌 공급을 위한 해외 인허가를 진행 중입니다. CEPI와 넥스트 팬데믹 대비를 위해 개발중인 mRNA 기술 활용 일본뇌염 백신도 2025년 2월 글로벌 임상 1/2상을 시작하였습니다.당사는 향후에도 우수한 기술력을 토대로 연구개발 과제들을 지속 추진하며, 외부 기관, 정부 등을 포괄하는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여 R&D 성과를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백신 개발 및 상업화](가) 백신 산업의 정의
백신 산업은 생물학적 제제를 연구, 개발, 제조, 유통하는 것을 의미하며, 현재까지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 백신과 관련된 산업이 주류를 이루어 왔으나 분자생물학 및 면역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암과 같은 만성,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 백신까지 영역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백신 산업은 인간 혹은 동물의 면역증진 뿐만 아니라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도 도움을 주어 비용 대비 효과가 큰 의약품산업으로 인류의 건강 증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나) 백신 산업의 특성
① 국가적 산업천연두, 탄저병 등과 같은 전염병은 한번 발생하면 확산속도가 매우 빨라 국경에 관계없이 대량의 피해가 발생하므로 해당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개별 국가와 초국가 조직(UN 등)에서는 백신 접종과 같은 면역 프로그램을 상시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개발 국가의 경우 전염병 의한 유아 사망률이 훨씬 높은데도 복잡한 정치상황과 예산부족 등으로 그에 대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과거 2009년 신종플루 대유행이 발생했을 때에도 전 세계적으로 독감백신 확보를 위해 국가 간 치열한 백신 확보 전쟁이 벌어졌었고 백신을 생산하는 주요 선진국들은 자체생산을 통해 우선적으로 백신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우리나라를 포함한 생산 능력이 충분하지 않은 나라는 백신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범 국가적 단체들은 국제 보건 및 세계 공영을 도모하기 위해 백신 생산 자급 능력이 충분하지 못한 국가에 백신을 계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특히 COVID-19 사태 이후 글로벌 차원에서 COVID-19 백신의 공평한 분배와 접근성 보장을 위해 CEPI, WHO, GAVI의 협력 하에 COVAX 백신 분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전 세계 국가가 COVID-19 종식을 위해 협력을 도모하였습니다.백신의 이러한 산업적 특성은 더욱더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향후 백신의 수요는 개별 국가는 물론이고 초국가적 조직의 질병 예방 정책에 따라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바이오 기술 기반 성장산업인간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의약품을 개발하는 포스트 게놈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주도하기 위한 국가의 바이오 산업 진흥 정책 및 민간 제약 업체의 R&D 투자는 점점 더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특히 최근 전통 제약업체들은 신약 파이프라인 강화를 위하여 바이오 벤처 업체에 대한 투자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신약의 연구개발과 마케팅 등에 대한 바이오 업체와 제약 업체의 역할분담으로 그 시너지 효과는 보다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③ 독과점 시장Evaluate Pharma(2024)에 따르면 백신 시장은 해외의 경우 대형 제약업체 4개사(GSK, Sanofi, Merck, Pfizer)가 세계시장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당사를 포함한 몇 개 업체가 대부분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과점 시장 구조입니다. 그 외 제약사가 후발 주자로 나서 백신을 자체 공급하려는 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발을 추진중이나, 기술 개발기간이 길고 연구개발과 제조 설비에 대한 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며 상당한 상용화 노하우를 필요로 하는 등 자본집약적 연구개발 및 생산 구조를 가지고 있어 초기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 국내의 경우 미국과의 FTA 체결로 다국적 제약사들이 백신 관련 임상을 국내에서 진행하고 직접 판매에 나서는 등 다국적 제약사의 국내 시장 지배력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 제조 백신 자급 능력을 높이기 위해 국내 제약사들과 협의체를 구성하여 백신 생산 시설의 신축 및 이전을 지원하고 세계보건기구 등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해외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시장의 규모글로벌 백신 시장 규모는 COVID-19 팬데믹에 따른 변동성을 제외하면, 광범위한 연구개발 활동에 따른 백신 접근성 확대, 의료에 대한 높은 지출, WHO/UNICEF 등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예방접종 프로그램 확대 등에 따라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개발도상국의 소아 백신 수요 증가, 전폭적인 예방접종 지원, 그리고 Next Generation 백신 개발로 인한 제품 부가가치 상승 등이 향후 시장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글로벌 백신 시장은 2024년 약 544억 달러에서, 2027년 약 579억 달러, 2030년 약 716억 달러 규모로 점차 확대될 전망입니다.
글로벌 백신 시장 현황 및 전망 (2024~2030년, 단위: 백만달러) |
※ 출처 : Evaluate Pharma (2025.08)
[CDMO]
CDMO는 Contract Development & Manufacturing Organization의 약자로 의약품 위탁 개발 및 생산을 의미하며, 제약 및 바이오 기업들과 계약을 통해 CMO영역을 넘어 후보물질 개발, 생산 공정, 임상 상용화 등의 신약개발 과정을 위탁 개발 및 생산하는 사업 영역입니다. 과거에는 제약사가 연구개발(R&D), 임상시험, 생산, 마케팅을 직접 수행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높은 비용과 생산설비 구축의 어려움으로 인해 점차 외부 아웃소싱을 활용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신생 바이오 기업이나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생산 역량을 갖추기 어려운 특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술적 전문성을 갖춘 CDMO 기업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백신 개발 및 상업화]
2015년~2016년 지카, 2015년 메르스, 2017년 에볼라, 2019년 홍역, 2020년 COVID-19 등 전염병 발생은 발생지역 및 인근 지역의 사회ㆍ경제적 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각국은 범국가적 차원으로 발병 감시, 대응 및 예방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원에서 글로벌 예방 접종 지원 사업 실행 등으로 인해 글로벌 백신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글로벌 예방 접종 지원 사업은 WHO, UNICEF 등 국제기구와 GF(게이츠재단) 등 민간단체들을 중심으로 한 보건지원사업으로, 저소득국가에서 홍역, 풍진, 소아마비 등 백신접종을 실시하여 각 질환별 백신시장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예방 백신 뿐만 아니라 치료 백신 시장이 개화되고 있으며 면역 활성화, 면역 장기 기억 향상에 도움이 되는 보조제 및 보조제 혼합물을 결합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CDMO]
한국바이오협회에서 2024년 7월에 발간한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CDMO 시장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 규모는 2023년 197억 달러에서 향후 6년간 연평균 14% 성장률의 지속적인 확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성장, 신약 개발 비용 증가, 규제 강화 등의 요인이 CDMO 시장 확대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사들은 신약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R&D에 집중하기 위해 CDMO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CDMO 기업들은 대형 제약사와의 장기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백신 개발 및 상업화](가) 일반경기변동과의 관계① 필수 예방 의학 시장 확대로 인한 수요 창출의약품의 특성상 경기 변동에 따른 수요의 영향은 일부 있으나, 백신을 포함하는 바이오 의약품은 최근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관심 증대와 상대적으로 개발 및 생산이 까다롭기 때문에 공급 대비 시장 수요가 높습니다. 고령화 추세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에 대한 사회적 비용 절감 움직임으로 치료 중심에서 예방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백신은 연령과 무관하게 감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리잡아 어린아이들 뿐만 아니라 성인에서도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권고되어 경기와 상관 없이 지속적인 수요를 창출 하고 있습니다.
② 국가예방접종 사업으로 인한 고정 수요예방접종은 전염병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비용-편익적인 수단으로 공중보건 정책에서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따라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예방접종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가예방접종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법률 제17067호) 제24조에 따르며, 국가가 권장하는 예방접종으로 지역사회 인구집단의 면역 수준을 높여 질병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일정 수준의 예방접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025년에 편성된 질병관리청 예산안은 1조 2,698억원으로, 감염병 등의 대응체계 고도화에 중점 투자하는 방안으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일정 수준의 예방접종률을 유지하기 위한 강제성으로 시장에 일정한 수요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③ 국가필수예방접종(NIP) 대상 질병 증가프리미엄 백신은 폐렴구균이나 자궁경부암처럼 치료와 예방이 어려운 질병을 막기 위한 백신입니다. 일반 백신 가격은 4~5만원 수준인 반면 프리미엄 백신의 가격은 개발비용의 증가, 개발 기간의 장기화로 일반 백신 가격 대비 약 3배 이상 높습니다. 이러한 고가의 프리미엄 백신 또한 공중보건 정책의 확대로 최근 국가필수예방접종(NIP)에 포함되고 있습니다. 폐렴구균 감염증은 소아에서 치명률이 높아 세계보건기구 및 의학계에서 국가예방접종 도입을 권고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014년 65세 이상 어르신 대상, 2015년부터는 소아 대상으로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국가필수예방접종에 포함시켜 무료로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의 경우 OECD 가입국 85%가 국가 무료접종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2016년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되어, 현재 만 12~17세 여성 청소년 및 18~26세 저소득층 여성을 대상으로 무료접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대상포진백신 등에 대한 국가필수예방접종 도입이 지속 논의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백신은 정부정책에 의해 안정적인 수요가 창출되는 등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나) 계절적 경기변동 여부 및 변동 정도제약 산업은 계절적 요인에 대한 의존도 또한 낮습니다. 계절성이 강한 특정 질병의 치료제(독감백신 등)나 전염성 질병의 경우 타 질병의 치료제에 비해 계절적 요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을 수 있으나, 산업 전체적으로 볼 때 계절적 요인에 따른 변화가 크다고 보기에는 어렵습니다. 특히 백신 산업은 소아예방접종과 같이 연령별, 접종 시기에 따라 접종하거나, 질병의 유행에 따라 접종하기 때문에 계절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다만 인플루엔자 백신과 코로나 백신 접종의 경우 다른 대부분의 백신과 달리 매년 유행 시즌인 9월~12월 사이 접종을 권장하고 있어 계절에 따라 수요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매년 변이 발생 등에 따라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종류가 달라져 연 1회 접종이 권고되고 있습니다.
[CDMO]
의약품은 필수 소비재로, 신약 개발 및 바이오 의약품 생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CDMO 산업은 경기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산업입니다. 특히 CDMO 기업은 제약사의 연구개발 전략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경제 상황에 따른 단기적 변동보다는 장기적 성장이 더욱 중요합니다. 다만, 글로벌 규제 환경의 변화, 주요 제약사의 R&D 투자 감소, 특허 만료 등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유럽에서는 CDMO 기업에 대해 지속적인 품질 및 생산시설 개선을 요구하는 방향으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4) 시장 여건 [백신 개발 및 상업화] 제약ㆍ바이오 기업들은 수익성이 높은 신약에 주목하며 시장 선점을 위해 인수합병(M&A)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바이오벤처에 대한 벤처투자 회수 전략으로 M&A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바이오벤처는 혁신적인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하고 있지만 자본력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빅파마(Big Pharma)는 자본력과 글로벌 임상ㆍ규제 대응 역량을 갖추고 있어, 바이오벤처를 인수함으로써 자체 파이프라인을 강화하고 신약 개발의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 개발 분야에서도 협업과 M&A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CDMO]한국바이오협회에서 2024년 7월에 발간한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CDMO 시장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세계 바이오 의약품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4,800억 달러에서 2029년까지 연평균 9% 성장해 8,063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바이오 CDMO 시장 규모 또한 2023년 197억 달러에서 향후 6년간 연평균 14%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CDMO 시장의 성장은 빅파마의 아웃소싱 확대, 바이오의약품 개발 증가, 고도화된 생산 기술 수요 증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세포ㆍ유전자 치료제(CGT), mRNA 백신 및 항체의약품과 같은 첨단 바이오의약품 개발이 활발해지면서, 이를 생산할 수 있는 CDMO 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규제 환경이 강화되면서 CDMO 기업의 GMP(우수 의약품 제조ㆍ관리 기준) 인증, 품질 관리 역량, 최신 생산시설 구축이 필수 요건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FDA 및 유럽 EMA 등의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글로벌 CDMO 기업들은 최신 기술을 적용한 생산 공정 개발과 품질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5) 경쟁요소 [백신 개발 및 상업화]
(가) 경쟁의 특성 및 진입 난이도
① 글로벌 경쟁 심화
백신안전기술지원센터,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에서 발간한 '2024 백신산업 동향집'에 따르면, 현재 글로벌 백신 시장은 GSK, Sanofi, Merck, Pfizer 4개 기업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지배력은 글로벌 유통망 및 강력한 제품 포트폴리오에 기인합니다. GSK와 Merck는 자궁경부암, 재조합 대상포진, 인플루엔자 및 뇌수막염 백신으로 프리미엄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Pfizer와 Sanofi 역시 각각 COVID-19, 폐렴구균백신과 고품질 인플루엔자, 소아 혼합백신 등 자체 개발 백신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 동시에, 여러 전략적 파트너쉽과 공동연구에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백신 시장에서 주도적인 입지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이후 COVID-19 백신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면서 '21년 대형 제약업체 4개사(GSK, Sanofi, Merck, Pfizer) 외 타기업 점유율이 전년 대비 급격히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시장 변화는 특히 Moderna의 COVID-19 백신으로 인한 매출 증가에 기인하였습니다. 허가 규제 사업인 백신사업의 특성상, National Players의 경우 특정 지역 또는 기초백신을 중심으로 안정적 성장 기반을 확보하여 성장해 나가고 있으며, 각국 정부와의 적극적인 협력을 통해 안정적으로 사업을 수행합니다. 또한, 해외 시장 진출 시에는 주로 현지 유통업체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수행해 나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② 높은 R&D 비용 및 리스크
백신 등 의약품을 만들기 위해, 시판에 앞서 인체에 무해한지 동물실험과 임상시험 등 테스트를 거쳐 '질병에 효과가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와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됩니다. 예를 들어 2017년 시장에 등장해 크게 성공한 대상포진백신 '싱그릭스(GSK)'는 3만 명을 대상의 임상 3상을 2010년 8월 개시했으며, 이후 2017년 10월 미국 허가 완료까지 약 7년의 기간이 소요되었습니다.이처럼 막대한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도 백신 개발에 실패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연구 개발 리스크 뿐만 아니라 국가별 인증을 얻기 위해 지속적으로 임상 실험 및 허가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신규 업체에게 높은 진입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③ 기술 집약적 사업백신은 고난이도 기술 수준 및 대규모의 생산시설 투자가 요구되는 산업이므로 소수기업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신규 진입이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신규 기업의 경우 기존 기업에 비해 백신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가 더디고, 해외진출 경험의 부족, 플랫폼 테크놀로지의 부족 및 생산ㆍ임상시험에 대한 누적 데이터의 부족 등이 신규 진입 장벽을 높이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 신규진입을 위해서는 개발된 백신의 임상 평가 인프라 및 평가 기술 개발이 요구되는데 백신은 생산설비, 공정, 소재, 제품이 복잡한 점도 고려해야 합니다.
(나) 경쟁 우위 요소① 적격 생산 시설 보유백신을 포함한 의약품 제조사의 생산공정에는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우수의약품 제조기준)가 적용됩니다. GMP는 품질이 고도화된 우수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출고에 이르기까지 제조 및 품질관리 전반에 걸쳐 지켜야 할 규범이며, 의약품을 일정하고 재현성 있게 생산하기 위하여 제조설비 및 QC 장비의 적격성(Qualification), 공정의 유효성 입증(Validation), 작업자의 교육 및 훈련, 작업장의 환경 등에 이르기까지 제조 및 품질관리 관련 모든 연관된 사항을 통제하는 기준입니다.
국내의 경우 GMP가 2008년 도입되었으며 기존에는 제형별로 GMP 지정을 받으면 그 제형에 속한 모든 품목의 제조가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개별 품목 허가 시 마다 국내외 의약품 제조 현장을 지도 및 점검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되어 이를 위해 국내 제약업체들은 각 분류에 적합한 GMP 생산시설을 구비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 제약업체는 시설설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설비투자의 금액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주요 GMP 생산시설 보유 여부가 백신 사업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필수 요인입니다. 당사는 국내 최초의 세포배양 기반 생산 시설을 기반으로 동물세포 배양, 세균 배양,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접합 백신 등 높은 기술이 필요한 다양한 플랫폼을 갖추고 있어서 신종 전염병에 대한 신속한 백신 개발 및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② 주요 백신(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 백신, WHO PQ 인증 백신) 시장 선점국가예방접종지원사업 대상 백신 중 시장의 과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백신이 대다수이나 효능이 더 나은 백신이 개발될 경우 선택하여 접종할 수 있기 때문에 시장 진입 및 경쟁의 요인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해외기업과 국내 기업과의 경쟁이 치열하나, 당사는 최첨단 무균 배양기를 통해 백신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항생제나 보존제의 투여가 불필요한 고순도 정제 백신 '스카이셀플루'를 통해 국내시장에서 선도적 지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스카이바리셀라'는 국내 2번째 수두백신으로 국내외 19개 임상기관에서 소아 대상 다국가 임상 3상을 통해 유효성 및 안전성을 확인하여 2018년에 국내 허가를 받았습니다. 2019년 수두백신으로는 세계 2번째로 WHO PQ 인증을 획득하여 국제 입찰 (UNICEF, PAHO) 및 해외 시장 진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게이츠재단으로부터연구비를 지원 받아 국제백신연구소(IVI)와 공동 개발한 장티푸스백신 '스카이타이포이드'는 2022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출용 품목허가 획득에 이어 2024년 WHO PQ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③ 프리미엄 백신 시장 선점프리미엄 백신은 전 세계적으로 판매가 예상되기 때문에 매년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높은 제품 단가로 일반 백신 대비 마진율이 높아 국내 제약사들의 향후 글로벌 백신 시장 내 경쟁우위 확보를 위해서는 프리미엄 백신 파이프라인 보유가 필수적입니다. 프리미엄 백신은 기술 장벽이 높아 글로벌 제약사들이 독점하고 있었던 시장이었으나 당사와 GC녹십자 등을 중심으로 프리미엄 백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CDMO]
(가) 경쟁의 특성 및 진입 난이도 CDMO의 주요 경쟁력으로는 엄격한 품질 관리, 전문 인력, 공정 개발ㆍ생산 역량 및 성공적인 Track record가 중요합니다. 의약품 생산 시, 각 국가별 GMP 요구사항을 준수하는 시설ㆍ설비의 구축 및 유지에 상당한 자본 투자가 필요합니다. 개발사들은 주력 분야인 R&D, 마케팅 등에 집중하고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전문 CDMO에 공정 개발부터 생산 까지 아웃소싱하는 전략을 확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임상부터 상업화까지의 제품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End-to-End CDMO 서비스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CDMO는 단순 위탁 생산을 넘어, 공정 최적화 및 지속적인 데이터 관리과정에서 고객사와의 장기적 협업 관계를 구축합니다. 이러한 CDMO 서비스의 단계 및 제품 특성에 따라 고객사와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의 장기 계약이 체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과정에서 생산 공정 안정성과 품질 일관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와 같이 CDMO 산업은 상당한 자본과 기술력, 그리고 고객과의 신뢰관계 구축 등 경쟁력을 갖추어야 하기에 진입 장벽이 높은 분야로 평가됩니다.
(나) 경쟁우위요소
IDT Biologika는 100년 이상의 개발ㆍ생산 역사를 보유한 글로벌 CDMO로, 우수한 연구ㆍ제조 인력 및 인프라를 바탕으로 생물학적 제재, 세포유전자치료제 및 완제의약품의 임상부터 상업화 단계까지 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랜 시간 축적한 노하우와 최신의 생산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럽 및 미국을 포함한 13개국 이상의 주요 규제 기관들의 까다로운 승인 요건을 충족하는 등 고품질 바이오 의약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IDT Biologika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 혁신적인 바이오텍 및 정부 기관까지 폭 넓은 고객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 고객과 20년 이상의 장기간 전략적 관계를 유지하는 등 CDMO 업계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특히 우수한 기술력 기반의 전문성 및 고객 맞춤형 제조 서비스에 강점을 보유하여, 공급 안정성 유지 차원의 멀티 소싱을 선호하는 제약사들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대형 고객사들과 단독 공급 계약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백신 CDMO 분야에서 지위를 확고히 다져온 증거로 지난 팬데믹 동안 독일 정부의 바이러스 기반 백신 단독 공급 업체로 지정되어 글로벌 공중 보건에 기여하였으며, 그 성과로 넥스트 팬데믹 대응 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고객들의 신뢰와 오랜 시간 축적된 Track record를 기반으로 유럽ㆍ미국 등 선진시장 사업을 강화할 것이며, SK그룹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업적, 지리적 확장 또한 준비하고 있습니다.
(6) 자원조달상의 특성 백신 의약품 산업은 판매 허가 취득 과정에서 원재료 및 생산 공정 등에 대한 심사/허가를 받기 때문에 허가 사항에 포함된 주요 구매 원부재료 및 생산업체 변경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주요 원부재료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해당 제품의 공급 업체들과 분기별 예측을 통해 수요를 예측하고, 생산 및 공급 관련된 이슈사항을 공유하며 밀접한 파트너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백신 개발 및 생산에 있어 전 세계 주요 백신 업체가 동시에 역량을 집중하여 관련 원부재료를 긴급 조달했던 상황에서 이러한 주요 공급업체와의 장기간의 파트너쉽은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사는 관련 조달 품목에 대한 수량 및 납기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정적인 조달을 위한 주요 생산 원부재료의 이원화 작업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대상포진백신 생산에 사용되는 주요 원료인 FBS(Fetal Bovine Serum, 소혈청)와 같이 외부환경요인 등으로 수급 문제가 발생하기 쉬운 품목은 정식 허가 변경(추가)을 통하여 다원화하여 조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높은 품질 유지를 위해 일회용 자재(일회용 배양백, 보관백, 튜빙 등)를 사용하는 공정 특성이 있어 공정 부자재에 대한 구매 비중도 높은 편이며 이러한 부자재의 수급 문제에 대한 위험 감소를 위해 다양한 대체 제품을 발굴, 허가 제품에 대한 의존도를 경감하고 더 나아가 경쟁에 따른 구매 비용 절감도 지속 달성하고 있습니다.
주요 생산 설비에 대한 안정적인 유지 보수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연간 유지보수 계약을 체결하여 정기 점검 수행 및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대처 방안을 수립, 운영 중이며 예비품 간접 확보도 도모하고 있습니다.
(7)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국민의 생명을 다루는 산업 특성으로 인해 정부는 제약ㆍ바이오 기업들에 엄격한 규제를 가하고 있습니다. 해당 규제는 임상시험 계획에 대한 승인 심사는 물론 허가, 발매 후 재심사, 허가 범위 외 사용에 대한 제재 등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의약품 허가 과정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를 통해 의약품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물론, 시험방법, 의약품의 주성분에 대한 제조 관련 정보, 위해성관리계획 등을 모두 검토하여 철저히 검증된 제품만이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부 규제로 인해 규정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 생산이 가능한 소수의 기술력 있는 기업들만이 시장에 진입 가능하다는 점이 산업의 특징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의 개황
[SK바이오사이언스]당사는 모회사인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가 2001년 3월 백신 전문기업인 동신제약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생명과학 전문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다졌습니다. 이후 2006년 11월 1일,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는 동신제약을 공식 합병했습니다. 동신제약과의 합병은 R&D 및 마케팅의 유기적 결합을 통해 세계 일류 생명과학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출발점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국내 독보적인 경쟁력을 보유한 동신제약의 백신 사업 합병을 통한 시너지로 더욱 발전시켜 바이오의약산업의 선두주자로 부상하겠다는 포부의 발현이었습니다. 에스케이케미칼은 2006년 세계 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예방'으로 바뀌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당시 국내에서 백신사업은 미지의 분야였음에도 2008년부터 인프라 구축과 R&D에 약 5,000억 원의 대규모 투자를 감행했습니다. 2012년에는 백신공장 안동 L HOUSE 준공으로 국내에서 개발되는 대부분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전초기지를 마련했습니다.안동 L HOUSE는 싱글유즈 시스템을 통해 생산의 유연성을 구현했을 뿐 아니라 완벽한 무균 시스템으로 최고의 품질관리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각 공정실은 검증된 헤파필터를 통해 청정작업환경을 유지하면서 에어락(Air-lock) 시스템과 지역별로 독립된 공조 시스템을 구축해 교차오염을 차단하고 있으며, 또한 원액지역에서 생산한 원액은 완제지역 냉장실에 보관한 후 밀폐된 일회용 무균백에서 최종원액을 조제함으로써 대량생산 체제에서도 안정적으로 품질을 보증할 수 있습니다.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해야 하는 충전공간은 RABS(Restricted Access Barrier System)를 갖춰 특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장래 수출이나 대유행을 대비한 미래 확장성(Future Extension Plan)도 가지고 있습니다.안동 L HOUSE를 기반으로 당사는 2014년 국내 최초 3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허가, 2015년 세계 최초 4가 세포배양 독감백신 허가, 2017년 대상포진백신 세계 2번째 허가, 2018년 수두백신 국내 2번째 허가 등의 성과를 거두며 백신주권 확립에 한 걸음 더 다가섰습니다. 나아가 세계적 수준의 R&D 역량을 인정받으면서 2014년 글로벌 백신기업 Sanofi와 협력해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개발에 나섰습니다. 또한, CSL에 기술이전을 통해 라이센스 아웃한 A형 혈우병 치료제 '앱스틸라'는 2016년 미국 FDA와 캐나다, 2017년 유럽의약국(EMA), 호주에서 시판허가를 받으며 국내 기술 기반의 바이오 신약 중 최초로 미국과 EU에 진출했고, 허가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2014년 Sanofi와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공동개발 프로젝트를 체결하여, 2018년 12월 미국 FDA 승인 하에 안동 L HOUSE에서 생산된 임상의약품을 사용하여 21가 폐렴구균백신의 글로벌 임상 2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으며, 2024년 글로벌 임상 3상을 개시했습니다. 더불어 2025년 6월에는 안동 L HOUSE에 폐렴구균백신 생산 시설 증축 공사 준공을 완료하여, 상업생산에 대한 준비도 순항 중입니다. 해당 백신의 상용화 성공 시, 2030년 글로벌 약 13조원의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폐렴백신 소아 시장 진출이 기대됩니다. 또한, 2024년 추가 차세대 폐렴구균백신(NextGen) 개발을 추진하는 수정 계약을 체결하며 폐렴구균백신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당사는 글로벌 시장 진출을 염두에 두고 국외 기관과 다방면으로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IVI와 공동 개발한 장티푸스백신의 경우 수출용 품목허가 및 WHO PQ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GF, CEPI의 펀딩을 받아 개발한 COVID-19 백신 '스카이코비원'도 국내(식약처) 및 해외(영국 MHRA 등)에서 품목허가 승인을 받은 바 있습니다.
이와 함께 당사는 송도 국제도시에 글로벌 R&PD 센터를 신축해 세계를 무대로 한 바이오 CDMO 사업 확장 및 신규 플랫폼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국제기구, 국내외 바이오기업 및 연구기관 등과 협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IDT Biologika]
IDT Biologika는 1921년 독일 데사우에서 설립된 안할트 카운티 박테리아 연구소(Bakteriologisches Institut der Anhaltischen Kreise)에서 시작되었습니다. 1925년에는 결핵 백신과 돼지 단독(erysipelas) 백신을 생산하며 본격적으로 백신 제조를 시작했고, 이후 인간과 동물의 수동 면역을 위한 혈청 생산 수요가 증가하면서 1930년 Anhalt Serum Institute Dessau GmbH(ASID)가 설립되었습니다.1945년에는 전염병 퇴치를 위한 백신 및 진단제 생산을 계기로 백신 연구소(Forschungsinstitut fur Impfstoffe)가 신설되었으며, 1960년대부터는 동물 전염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정부 정책에 따라 연구 및 생산 방향을 확립했습니다.1980년에는 인체용 의약품 생산 부문이 분사되며 회사명이 백신 공장 데사우-토르나우(Impfstoffwerk Dessau-Tornau)로 변경되었고, 1993년 Hartmut Klocke가 회사를 민영화하면서 운영 구조에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1999년에는 생산 역량을 확장하는 동시에 인체용 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CDMO, 동물용 의약품의 개발ㆍ생산 및 유통이라는 두 가지 핵심 사업에 집중하기 시작했습니다.이후 2019년 동물 건강 사업부를 Ceva Sante Animale에 매각하면서 인체용 백신 및 생물학적 제제 CDMO에 집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현재 IDT Biologika는 바이오의약품 CDMO를 전문으로 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독일 정부로부터 팬데믹 대응 역량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독일 기업이 되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제 품 (품목명) |
2024년 |
2023년 |
||
---|---|---|---|---|
회사명 |
시장점유율 |
회사명 |
시장점유율 |
|
독감 (스카이셀플루) |
당사 |
17% |
당사 |
14% |
기타 |
83% |
기타 |
86% |
|
대상포진 (스카이조스터) |
당사 |
35% |
당사 |
44% |
기타 |
65% |
기타 |
56% |
|
수두 (스카이바리셀라) |
당사 |
52% |
당사 |
43% |
기타 |
48% |
기타 |
57% |
※ 출처: 독감 - 자체추정(식약처, 국가출하승인자료, CDC 접종률) 대상포진/수두 - IMS데이터 기준 |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예방용 백신 파이프라인 확대
파이프라인은 기업에서 연구개발(R&D) 중인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의미합니다. 당사는 기존 국내 프리미엄 백신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신규 예방용 백신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해 R&D 투자 진행, 인력 투입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을 통해 예방용 백신의 가치가 주목받았으며, 글로벌 백신시장 또한 높은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미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COVID-19 백신, 장티푸스백신 프로젝트 등을 통해 글로벌 공동개발 프로젝트 경험이 축적되어 있으며, 현재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후보를 비롯한 다수의 프리미엄 백신 포트폴리오의 확보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특히, Sanofi사와 공동개발 중인 21가 폐렴구균백신의 경우, 2024년 12월부터 돌입한 글로벌 임상 3상을 미국, 호주, 한국 등에서 본격 수행 중이며, 향후 당사 예방용 백신 파이프라인 확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임상 3상을 진행 중인 21가 폐렴구균백신 외에도 추가적인 후속 폐렴구균백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확대 계약을 2024년에 체결하며, 폐렴구균백신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나) 신규 바이오/플랫폼 확대
백신 및 바이오 업계에서 플랫폼의 의미는 동일한 기술을 기반으로 여러 파이프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으로, COVID-19 팬데믹 당시 급부상한 mRNA 플랫폼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당사의 연구개발 및 생산 역량의 핵심적인 특성은 다수의 플랫폼을 동시에 보유하며 유연하게 필요에 따라 빠른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당사는 이미 합성항원 (스카이코비원 및 Novavax社, 뉴백소비드), 세포배양 (스카이셀플루), 바이러스전달체 (AstraZeneca社, 백스제브리아) 등을 포함한 다양한 플랫폼에서 역량을 입증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글로벌 이니셔티브 중 하나인 CEPI와의 협업을 통해 mRNA 기술 및 생산 플랫폼을 확보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5년 2월 일본뇌염 백신(GBP560)의 글로벌 임상 1/2상을 시작했습니다. 이를 통해 팬데믹 대응뿐 아니라 한 발 더 나아가 다양한 질병에 대응이 가능한 mRNA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신규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바이오 생태계 내에서 지속적인 네트워킹 및 협력을 통해 새로운 혁신 플랫폼 확보 노력도 경주할 것입니다.
한편, 플랫폼 기술은 백신 이외에도 바이오 치료제 분야에서도 시너지 확보가 가능합니다. 일례로 당사가 보유한 바이러스 전달체 생산 역량 등을 활용하여 CGT를 포함한 신규 바이오 영역으로의 확장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다) CDMO 사업 수행
당사의 CDMO 사업은 백신 원천 기술을 가진 업체로부터 항원 제조기술을 이전 받아, 제품의 상업물량을 공급하거나, 공정개발 단계부터 개발 서비스를 제공하여 백신의 상업화에 주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 이후, 많은 기업들이 백신의 개발과 제조를 추진하고 있으나, 축적된 노하우가 필요한 백신의 상업화 역량을 보유한 기업의 수는 제한적입니다. 최근 글로벌 제약ㆍ바이오 기업 상당수가 생산공정 개발 및 대량 생산을 위탁하고, 제조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제품을 공급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자체 개발 및 생산 역량이 부족한 바이오벤처들의 경우 CDMO 기업과의 파트너십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개발 제품 포트폴리오의 성공적인 출시/공급과, 글로벌 파트너와의 COVID-19 백신 CDMO 파트너십을 통해 EU-GMP 확보 등 높은 수준의 공정개발과 생산 역량을 증명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4년 10월 독일 소재의 IDT Biologika를 인수하였습니다. 미국, 유럽을 포함한 13개국 이상의 핵심 의약품 규제기관으로부터 인정받은 Track record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정/분석법 개발과 함께 임상부터 상업 단계까지 백신/바이오 전 영역의 원료 의약품 및 완제 의약품을 위탁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제약, 바이오 기업의 핵심 제조 파트너로서 탄탄한 사업기반을 다져왔으며, 독일 정부와도 높은 신뢰를 기반으로 넥스트 팬데믹을 함께 대비하며 향후 5년간 연간 8,000만 도즈 규모의 비축 물량 계약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라) SKYShield 사업 진행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며 여러 정부가 생산 등 백신 관련 역량의 자국화를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당사는 해외 정부, 현지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세계 각 국가의 백신 개발/생산 인프라 자국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한 백신 관련 제품, 기술, 설비의 노하우와 해외 정부차원의 제도적 지원, 현지 기업의 기술 이전 및 운영 시너지를 통해 세계 각 국의 백신 역량 자국화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당사는 2023년 8월 태국 국영제약사 GPO와 세포배양 독감백신의 완제기술을 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세계 지역별 거점 국가들을 중심으로 지역 특성에 특화된 사업모델을 구상하여 추진하고 있습니다.
가. 요약 연결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유동자산] | 1,436,042 | 1,576,673 | 1,382,969 |
- 당좌자산 | 1,239,422 | 1,365,547 | 1,302,320 |
- 재고자산 | 196,620 | 211,126 | 80,649 |
[비유동자산] | 1,418,415 | 1,266,923 | 469,470 |
- 유형자산 | 1,072,475 | 972,923 | 296,288 |
- 사용권자산 | 6,318 | 9,684 | 19,636 |
- 무형자산 | 148,077 | 124,548 | 22,459 |
- 기타비유동자산 | 191,545 | 159,768 | 131,087 |
자산총계 | 2,854,457 | 2,843,596 | 1,852,439 |
[유동부채] | 320,390 | 310,589 | 135,620 |
[비유동부채] | 509,370 | 510,555 | 12,964 |
부채총계 | 829,760 | 821,144 | 148,584 |
[자본금] | 39,185 | 39,174 | 38,414 |
[자본잉여금] | 1,235,600 | 1,235,376 | 1,160,456 |
[기타자본] | 10,447 | 10,351 | 10,35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1,242 | 17,907 | (54,786) |
[이익잉여금] | 475,816 | 499,757 | 549,420 |
[비지배지분] | 232,407 | 219,887 | - |
자본총계 | 2,024,697 | 2,022,452 | 1,703,855 |
부채와 자본총계 | 2,854,457 | 2,843,596 | 1,852,439 |
종속ㆍ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025년 01월 01일~ 06월 30일 | 2024년 01월 01일 ~ 12월 31일 | 2023년 01월 01일 ~ 12월 31일 | |
매출액 | 316,417 | 267,545 | 369,506 |
영업이익(손실) | (52,521) | (138,431) | (11,98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48,965) | (89,107) | 7,327 |
당기순이익(손실) | (20,850) | (50,117) | 22,318 |
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순이익 (원) | (306) | (698) | 291 |
희석주당순이익 (원) | (306) | (698) | 290 |
※ 상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 중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나. 요약 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유동자산] | 1,013,402 | 1,185,018 | 1,379,372 |
- 당좌자산 | 913,713 | 1,098,809 | 1,298,723 |
- 재고자산 | 99,689 | 86,209 | 80,649 |
[비유동자산] | 1,114,285 | 969,151 | 475,031 |
- 유형자산 | 529,060 | 436,012 | 295,954 |
- 사용권자산 | 4,250 | 7,438 | 19,219 |
- 무형자산 | 47,999 | 24,440 | 22,459 |
- 기타비유동자산 | 532,976 | 501,261 | 137,399 |
자산총계 | 2,127,687 | 2,154,169 | 1,854,403 |
[유동부채] | 170,619 | 178,927 | 135,304 |
[비유동부채] | 197,714 | 194,668 | 12,731 |
부채총계 | 368,333 | 373,595 | 148,035 |
[자본금] | 39,185 | 39,174 | 38,414 |
[자본잉여금] | 1,235,600 | 1,235,376 | 1,160,456 |
[기타자본] | 10,447 | 10,351 | 10,35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4,096 | 6,652 | (54,727) |
[이익잉여금] | 470,026 | 489,021 | 551,874 |
자본총계 | 1,759,354 | 1,780,574 | 1,706,368 |
부채와 자본총계 | 2,127,687 | 2,154,169 | 1,854,403 |
종속ㆍ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025년 01월 01일~ 06월 30일 | 2024년 01월 01일 ~ 12월 31일 | 2023년 01월 01일 ~ 12월 31일 | |
매출액 | 68,801 | 156,286 | 369,506 |
영업이익 | (53,975) | (133,594) | (9,79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7,226) | (112,018) | 9,416 |
당기순이익 | (18,994) | (66,662) | 24,407 |
기본주당이익 | |||
기본주당순이익 (원) | (242) | (863) | 318 |
희석주당순이익 (원) | (242) | (863) | 317 |
※ 상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 중 5. 재무제표 주석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제 8 기 반기말 |
제 7 기말 |
|
---|---|---|
제 8 기 반기 |
제 7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
|||
제 8 기 반기 |
제 7 기 반기 |
|
---|---|---|
1-1 지배기업의 개요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이하 "지배기업")는 2018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의 VAX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를 주요 사업으로영위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은 2021년 3월 1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당반기말 현재 자본금은 39,184,573천원입니다. 당반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주요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2 종속기업의 현황 (1) 당반기말 현재 종속기업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보고기간종료일과 당반기 및 전반기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1-3 종속기업변동내역당반기 중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대상에 제외되거나 추가된 종속기업은 없으며, 전반기 중 연결재무제표의 작성 대상에서 추가된 종속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2-1 재무제표 작성기준연결기업의 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정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는 연차연결재무제표에 기재할 것으로 요구되는 모든 정보 및 주석사항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의 정보도 함께 참고하여야 합니다. 2-2 제ㆍ개정된 기준서의 적용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의 2025년1월 1일부터 적용되는 기준서를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연결기업은 공표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은 기준서, 해석서, 개정사항을 조기적용한 바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당사는 비교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 이 개정사항이 연결기업의 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3 중요한 판단과 추정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경영진은 회계정책 적용과 자산ㆍ부채 및 수익ㆍ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판단, 추정 및 가정을 해야 합니다. 실제 경과는 이러한 추정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요약반기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에대해 경영진이 내린 중요한 판단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Sell |
Buy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Sell |
Buy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비상장 주식 |
채무증권 |
||
(주)에스엠엘바이오팜 |
K-바이오백신펀드 |
Sunflower Therapeutics PBC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비상장 주식 |
채무증권 |
||
(주)에스엠엘바이오팜 |
K-바이오백신펀드 |
Sunflower Therapeutics PBC |
|
금융자산, 범주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분류 |
||||
상장주식 |
비상장 주식 |
|||
Novavax Inc |
주식회사 씨티셀즈 |
클립스비엔씨 주식회사 |
Fina Biosolutions LLC |
|
금융자산, 범주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분류 |
||||
상장주식 |
비상장 주식 |
|||
Novavax Inc |
주식회사 씨티셀즈 |
클립스비엔씨 주식회사 |
Fina Biosolutions LLC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장기금융상품 |
||
금융자산, 범주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장기금융상품 |
||
금융자산, 범주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계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계 |
유형자산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유형자산 및 재고자산 등 |
|
---|---|
유형자산 및 재고자산 등 |
|
---|---|
신규시설투자 |
|
---|---|
건물 |
차량운반구 |
기계장치 |
자산 합계 |
|
---|---|---|---|---|
건물 |
차량운반구 |
기계장치 |
자산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저작권, 특허권, 기타 산업재산권, 용역운영권 |
자본화된 개발비 지출액 |
컴퓨터소프트웨어 |
영업권 |
고객관련 무형자산 |
회원권 |
무형자산 및 영업권 합계 |
|
---|---|---|---|---|---|---|---|
저작권, 특허권, 기타 산업재산권, 용역운영권 |
자본화된 개발비 지출액 |
컴퓨터소프트웨어 |
영업권 |
고객관련 무형자산 |
회원권 |
무형자산 및 영업권 합계 |
|
---|---|---|---|---|---|---|---|
토지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시설자금대출 |
인수금융 |
일반자금대출 |
|||||
거래상대방 |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시설자금대출 |
인수금융 |
일반자금대출 |
|||||
거래상대방 |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법적소송우발부채의 분류 |
|
---|---|
피소(피고) |
|
손해배상청구 소송 |
|
약정의 유형 |
||||||||||||||||||||||||||||||||||||||||||
---|---|---|---|---|---|---|---|---|---|---|---|---|---|---|---|---|---|---|---|---|---|---|---|---|---|---|---|---|---|---|---|---|---|---|---|---|---|---|---|---|---|---|
대출약정 |
||||||||||||||||||||||||||||||||||||||||||
외상매출금담보대출 |
파생상품보증금 면제약정 |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
파생상품(한도거래) |
시설자금대출 |
인수금융 |
일반자금대출 |
||||||||||||||||||||||||||||||||||||
거래상대방 |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인수금융 |
|
---|---|
약정의 유형 |
|||||||||||||||
---|---|---|---|---|---|---|---|---|---|---|---|---|---|---|---|
재산종합보험 |
이행지급 등 |
생산물책임보험 |
|||||||||||||
거래상대방 |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AXA Vers. A.G 외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AXA Vers. A.G 외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AXA Vers. A.G 외 |
서울보증보험 |
|
약정의 유형 |
|||||||||||||||
---|---|---|---|---|---|---|---|---|---|---|---|---|---|---|---|
재산종합보험 |
이행지급 등 |
생산물책임보험 |
|||||||||||||
거래상대방 |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AXA Vers. A.G 외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AXA Vers. A.G 외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AXA Vers. A.G 외 |
서울보증보험 |
|
정기예금 |
정기예금 등 |
|
---|---|---|
정기예금 |
정기예금 등 |
|
---|---|---|
약정의 유형 |
||
---|---|---|
기술이전계약 및 공동개발 |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개발 |
|
거래상대방 |
||
미국 사노피 파스퇴르사 |
||
약정의 유형 |
||
---|---|---|
COVID-19 백신 CDMO 계약 |
COVID-19 백신 독점계약 |
|
거래상대방 |
||
노바백스 |
||
약정의 유형 |
||||
---|---|---|---|---|
토지 매매계약 |
공사계약 |
|||
거래상대방 |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
SK에코플랜트㈜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
SK에코플랜트㈜ |
|
17-1 당반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가스㈜ |
SK플라즈마㈜ |
SK D&D㈜ |
SK㈜ |
SK이노베이션㈜ |
SK텔레콤㈜ |
에스케이오앤에스(주) |
SK네트웍스㈜ |
SK매직㈜ |
행복나래㈜ |
SK브로드밴드㈜ |
SK핀크스㈜ |
SK에코플랜트㈜ |
SK엠앤서비스㈜ |
SK에너지㈜ |
SK에코엔지니어링㈜ |
Klocke Verpackungs-Service GmbH |
SK하이닉스㈜ |
SK하이스텍㈜ |
SK렌터카㈜ |
(주)애커튼파트너스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가스㈜ |
SK플라즈마㈜ |
SK D&D㈜ |
SK㈜ |
SK이노베이션㈜ |
SK텔레콤㈜ |
에스케이오앤에스(주) |
SK네트웍스㈜ |
SK매직㈜ |
행복나래㈜ |
SK브로드밴드㈜ |
SK핀크스㈜ |
SK에코플랜트㈜ |
SK엠앤서비스㈜ |
SK에너지㈜ |
SK에코엔지니어링㈜ |
Klocke Verpackungs-Service GmbH |
SK하이닉스㈜ |
SK하이스텍㈜ |
SK렌터카㈜ |
(주)애커튼파트너스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 D&D㈜ |
SK가스㈜ |
행복나래㈜ |
SK에코플랜트㈜ |
SK이노베이션㈜ |
SK㈜ |
SK에코엔지니어링㈜ |
SK플라즈마㈜ |
SK텔레콤㈜ |
SK엠앤서비스㈜ |
Klocke Verpackungs-Service GmbH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 D&D㈜ |
SK가스㈜ |
행복나래㈜ |
SK에코플랜트㈜ |
SK이노베이션㈜ |
SK㈜ |
SK에코엔지니어링㈜ |
SK플라즈마㈜ |
SK텔레콤㈜ |
SK엠앤서비스㈜ |
Klocke Verpackungs-Service GmbH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선택권 |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선택권 |
||
조건변경 |
||
조정 전 |
조정 후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선택권 |
|
평가기법 |
|
이항모형 |
|
주식선택권 |
|
---|---|
자본 |
자본 합계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차손익적립금 |
환산 관련 외환차이 적립금 |
||
자본 |
자본 합계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차손익적립금 |
환산 관련 외환차이 적립금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제품 |
상품 |
용역 등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제품 |
상품 |
용역 등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외국 |
|||||||||||
아메리카 |
유럽 |
중동 |
아시아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외국 |
|||||||||||
아메리카 |
유럽 |
중동 |
아시아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부채 |
|||
계약부채 |
|||
선수수익 |
환불부채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부채 |
|||
계약부채 |
|||
선수수익 |
환불부채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고객A |
고객B |
고객C |
|
---|---|---|---|
고객A |
고객B |
고객C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주식 합계 |
|
---|---|---|
보통주 |
주식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파생상품 |
장기금융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파생상품 |
장기금융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부채, 분류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부채, 분류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비상장 주식 |
|
주식회사 씨티셀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자산 |
|
장기금융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종속기업 SK bioscience Germany GmbH의 IDT Biologika GmbH 및 Technik-Energie-Wasser Servicegesellschaft mbH 인수 |
|
---|---|
제 8 기 반기말 |
제 7 기말 |
|
---|---|---|
제 8 기 반기 |
제 7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8 기 반기 |
제 7 기 반기 |
|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 주식회사(이하 "당사")는 2018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의 VAX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백신 및 바이오의약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관련된 지식재산권의 임대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3월 18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당반기말 현재 자본금은 39,184,573천원입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주요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1 재무제표 작성기준당사의 요약반기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정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요약반기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할 것으로 요구되는 모든 정보 및 주석사항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의 정보도 함께 참고하여야 합니다. 2-2 제ㆍ개정된 기준서의 적용 요약반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의 2025년 1월1일부터 적용되는 기준서를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당사는 공표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은 기준서, 해석서, 개정사항을 조기적용한 바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당사는 비교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 이 개정사항이 당사의 요약반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3 중요한 판단과 추정요약반기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경영진은 회계정책 적용과 자산ㆍ부채 및 수 익ㆍ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판단, 추정 및 가정을 해야 합니다. 실제 경과는 이러한 추정치와 다를 수 있습니다. 요약반기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 불확실성의 주요 원천에 대해 경영진이 내린 중요한 판단은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범주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범주 |
금융부채, 범주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Sell |
Buy |
|
파생상품 목적의 지정 |
||
---|---|---|
매매 목적 |
||
파생상품 계약 유형 |
||
통화 관련 |
||
파생상품 유형 |
||
선도계약 |
||
Sell |
Buy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합계 |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금융상품 |
|
---|---|
매출채권 |
|
장부금액 |
|
손상차손누계액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비상장 주식 |
채무증권 |
||
(주)에스엠엘바이오팜 |
K-바이오백신펀드 |
Sunflower Therapeutics PBC |
|
금융자산, 범주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
금융자산, 분류 |
|||
비상장 주식 |
채무증권 |
||
(주)에스엠엘바이오팜 |
K-바이오백신펀드 |
Sunflower Therapeutics PBC |
|
금융자산, 범주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분류 |
|||
상장주식 |
비상장 주식 |
||
Novavax Inc |
주식회사 씨티셀즈 |
클립스비엔씨 주식회사 |
|
금융자산, 범주 |
|||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분류 |
|||
상장주식 |
비상장 주식 |
||
Novavax Inc |
주식회사 씨티셀즈 |
클립스비엔씨 주식회사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금융자산, 범주 |
금융자산, 범주 합계 |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장기금융상품 |
||
금융자산, 범주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금융자산, 분류 |
||
장기금융상품 |
||
금융자산, 범주 |
||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공정가치평가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금융자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지정 지분상품투자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계 |
유형자산 합계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계 |
유형자산 합계 |
|
---|---|---|---|---|---|---|---|---|---|
건설중인자산 |
|
---|---|
건설중인자산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유형자산 및 재고자산 등 |
|
---|---|
유형자산 및 재고자산 등 |
|
---|---|
신규시설투자 |
|
---|---|
9-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종속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9-2 당반기 중종속기업투자의 변동은 없으며, 전반기 중 종속기업투자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건물 |
차량운반구 |
기계장치 |
자산 합계 |
|
---|---|---|---|---|
건물 |
차량운반구 |
기계장치 |
자산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합계 구간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저작권, 특허권, 기타 산업재산권, 용역운영권 |
자본화된 개발비 지출액 |
컴퓨터소프트웨어 |
회원권 |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합계 |
|
---|---|---|---|---|---|
저작권, 특허권, 기타 산업재산권, 용역운영권 |
자본화된 개발비 지출액 |
컴퓨터소프트웨어 |
회원권 |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시설자금대출 |
인수금융 |
||||
거래상대방 |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 등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 등 |
||
차입금명칭 |
차입금명칭 합계 |
||||
---|---|---|---|---|---|
시설자금대출 |
인수금융 |
||||
거래상대방 |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 등 |
우리은행 |
한국산업은행 등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법적소송우발부채의 분류 |
|
---|---|
피소(피고) |
|
손해배상청구 소송 |
|
약정의 유형 |
||||||||||||||||||||||||||||||||||||
---|---|---|---|---|---|---|---|---|---|---|---|---|---|---|---|---|---|---|---|---|---|---|---|---|---|---|---|---|---|---|---|---|---|---|---|---|
대출약정 |
||||||||||||||||||||||||||||||||||||
외상매출금담보대출 |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
시설자금대출 |
인수금융 |
파생상품보증금 면제약정 |
파생상품(한도거래) |
|||||||||||||||||||||||||||||||
거래상대방 |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하나은행 |
신한은행 |
우리은행 |
수협은행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JP Morgan Chase Bank |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인수금융 |
|
---|---|
약정의 유형 |
||||||||||||
---|---|---|---|---|---|---|---|---|---|---|---|---|
재산종합보험 |
이행지급 등 |
생산물책임보험 |
||||||||||
거래상대방 |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서울보증보험 |
|
약정의 유형 |
||||||||||||
---|---|---|---|---|---|---|---|---|---|---|---|---|
재산종합보험 |
이행지급 등 |
생산물책임보험 |
||||||||||
거래상대방 |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서울보증보험 |
삼성화재해상보험 |
현대해상화재보험 |
메리츠화재해상보험 |
서울보증보험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약정의 유형 |
||
---|---|---|
기술이전계약 및 공동개발 |
차세대 폐렴구균 백신개발 |
|
거래상대방 |
||
미국 사노피 파스퇴르사 |
||
약정의 유형 |
||
---|---|---|
COVID-19 백신 CDMO 계약 |
COVID-19 백신 독점계약 |
|
거래상대방 |
||
노바백스 |
||
약정의 유형 |
||||
---|---|---|---|---|
토지 매매계약 |
공사계약 |
|||
거래상대방 |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
SK에코플랜트㈜ |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
SK에코플랜트㈜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한 지급보증 |
|||
전체 특수관계자 |
|||
종속기업 |
|||
IDT Biologika GmbH |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17-1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 bioscience USA, Inc. |
SK가스㈜ |
SK플라즈마㈜ |
SK D&D㈜ |
SK㈜ |
SK이노베이션㈜ |
SK텔레콤㈜ |
에스케이오앤에스(주) |
SK네트웍스㈜ |
SK매직㈜ |
행복나래㈜ |
SK브로드밴드㈜ |
SK핀크스㈜ |
SK에코플랜트㈜ |
SK엠앤서비스㈜ |
SK에너지㈜ |
SK에코엔지니어링㈜ |
SK하이닉스㈜ |
SK하이스텍㈜ |
SK렌터카㈜ |
(주)애커튼파트너스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 bioscience USA, Inc. |
SK가스㈜ |
SK플라즈마㈜ |
SK D&D㈜ |
SK㈜ |
SK이노베이션㈜ |
SK텔레콤㈜ |
에스케이오앤에스(주) |
SK네트웍스㈜ |
SK매직㈜ |
행복나래㈜ |
SK브로드밴드㈜ |
SK핀크스㈜ |
SK에코플랜트㈜ |
SK엠앤서비스㈜ |
SK에너지㈜ |
SK에코엔지니어링㈜ |
SK하이닉스㈜ |
SK하이스텍㈜ |
SK렌터카㈜ |
(주)애커튼파트너스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 bioscience USA, Inc. |
IDT Biologika GmbH |
SK D&D㈜ |
SK가스㈜ |
행복나래㈜ |
SK에코플랜트㈜ |
SK이노베이션㈜ |
SK㈜ |
SK에코엔지니어링㈜ |
SK플라즈마㈜ |
SK텔레콤㈜ |
SK엠앤서비스㈜ |
||
전체 특수관계자 |
전체 특수관계자 합계 |
||||||||||||||
---|---|---|---|---|---|---|---|---|---|---|---|---|---|---|---|
최상위 지배기업 |
지배기업 |
종속기업 |
그 밖의 특수관계자 |
||||||||||||
SK디스커버리㈜ |
SK케미칼㈜ |
SK bioscience USA, Inc. |
IDT Biologika GmbH |
SK D&D㈜ |
SK가스㈜ |
행복나래㈜ |
SK에코플랜트㈜ |
SK이노베이션㈜ |
SK㈜ |
SK에코엔지니어링㈜ |
SK플라즈마㈜ |
SK텔레콤㈜ |
SK엠앤서비스㈜ |
||
전체 특수관계자 |
|
---|---|
특수관계자 |
|
종속기업 |
|
SK bioscience Germany GmbH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선택권 |
|||
범위 |
범위 합계 |
||
하위범위 |
상위범위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선택권 |
||
조건변경 |
||
조정 전 |
조정 후 |
|
주식기준보상약정 |
|
---|---|
주식선택권 |
|
평가기법 |
|
이항모형 |
|
주식선택권 |
|
---|---|
자본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차손익적립금 |
|
자본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의 차손익적립금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제품 |
상품 |
용역 등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품과 용역 |
제품과 용역 합계 |
|||||||
---|---|---|---|---|---|---|---|---|
제품 |
상품 |
용역 등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외국 |
|||||||||||
아메리카 |
유럽 |
중동 |
아시아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지역 |
지역 합계 |
|||||||||||
---|---|---|---|---|---|---|---|---|---|---|---|---|
본사 소재지 국가 |
외국 |
|||||||||||
아메리카 |
유럽 |
중동 |
아시아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
재화나 용역의 이전 시기 합계 |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재화나 서비스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부채 |
|||
계약부채 |
|||
선수수익 |
환불부채 |
||
자산과 부채 |
자산과 부채 합계 |
||
---|---|---|---|
부채 |
|||
계약부채 |
|||
선수수익 |
환불부채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고객A |
고객B |
|
---|---|---|
고객A |
고객B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주식 합계 |
|
---|---|---|
보통주 |
주식 합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
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 |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장기 차입금 |
리스 부채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파생상품 |
장기금융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단기금융상품 |
파생상품 |
장기금융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부채, 분류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부채, 분류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분류 |
|
비상장 주식 |
|
주식회사 씨티셀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측정 전체 |
|
---|---|
공정가치 |
|
자산부채변동의 유동비유동 분류 |
|
비유동으로 분류되는 자산부채 |
|
자산 |
|
장기금융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가. 회사의 배당정책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배당을 지급할 수 있으며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한 투자, 주주가치 제고 및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배당정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백신 및 CDMO 사업은 끊임없는 연구개발과 생산 인프라 확대를 위한 자본지출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합니다. 더욱이 COVID-19 이후 당사는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 나가기 위해 연구개발 등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배당 또는 자사주 매입 등 보다는 목표한 투자계획을 차질없이 달성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업가치 및 주주가치를 제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주주환원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향후 목표한 투자 집행이 완료되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이 창출되는 시점이 오면 배당을 비롯한 각종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도록 하겠습니다.
나.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에 관한 사항
(1) 정관상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가부
구분 | 현황 및 계획 |
정관상 배당액 결정 기관 | |
정관상 배당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할 수 있는지 여부 | |
배당절차 개선방안 이행 관련 향후 계획 |
(2) 배당액 확정일 및 배당기준일 지정 현황
구분 | 결산월 | 배당여부 | 배당액확정일 | 배당기준일 | 배당 예측가능성제공여부 | 비고 |
---|---|---|---|---|---|---|
다. 기타 참고사항(배당 관련 정관의 내용 등)
당사는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 결의 및 이사회를 통해 배당을 지급할 수 있으며 배당가능이익 범위내에서 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한 투자, 주주가치 제고 및 경영 환경 등을 고려하여 배당금 지급 여부를 결정하고 있습니다.당사의 2024년 3월 25일 개최된 제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정관 일부를 변경하여 중간배당 지급에 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였습니다. 정관은 배당에 관한 사항을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습니다.
제9조의4 동등배당회사는 배당 기준일 현재 발행(전환된 경우를 포함한다)된 동종 주식에 대하여 발행일에 관계 없이 모두 동등하게 배당한다.제35조 배당금의 지급 (1) 이익의 배당은 금전, 주식 및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2)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제1항의 배당금은 본 항에 따라 이사회에서 정한 기준일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3) 배당금은 그러한 배당이 결의된 정기주주총회에서 달리 결정되지 않는 한 정기주주총회의 승인일로부터 일(1)개월 이내에 지급되어야 한다. (4) 배당금에 관한 청구권은 그 배당을 결의한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오(5)년 이내에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되며,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회사에 귀속한다. 미지급배당금에는 이자를 가산하지 아니한다. 제35조의2 중간배당 (1)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관계 법령에 따라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2)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3) 중간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가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가)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나)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다) 상법시행령에서 정하는 미실현이익 (라)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마)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바) 중간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 (4) 배당금에 관한 청구권은 그 배당을 결의한 이사회 결의일로부터 오(5)년 이내에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되며,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회사에 귀속한다. 미지급배당금에는 이자를 가산하지 아니한다. |
라.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주당액면가액(원)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
(연결)주당순이익(원)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현금배당수익률(%) | ||||
주식배당수익률(%)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주당 주식배당(주) | ||||
※ 주당순이익은 보통주기본주당순이익입니다. |
마. 과거 배당 이력 - 해당사항 없음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 |
주식발행(감소)일자 | 발행(감소)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발행(감소)가액 | 비고 | ||
- | ||||||
- | ||||||
- |
※ 공시대상기간의 증자현황입니다. |
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다.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라.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현황 - 해당사항 없음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마. 채무증권 발행실적 등 (1) 채무증권 발행실적-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2)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3)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4) 회사채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5)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6)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7) 사채관리계약 주요내용 및 충족여부 등- 해당사항 없음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 해당사항 없음
나. 사모자금의 사용 내역
(기준일 : | )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재무제표 재작성 - 해당사항 없음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 해당사항 없음(3)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중 16. 우발상황 및 약정사항 또는 5. 재무제표 주석 중 16. 우발상황 및 약정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감사보고서 상 강조사항과 핵심감사사항]- 핵심감사사항에 대해서는 외부감사인과 논의중이며, 당반기 기준 핵심감사사항은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기준일 : 2025.06.30) |
사업연도 |
강조사항 등 |
핵심감사사항 |
---|---|---|
제8기 반기(당반기) |
- | - |
제7기(전기) |
해당사항 없음 |
재고자산 평가 |
제6기(전전기) |
해당사항 없음 |
재고자산 평가 |
※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에 관한 상세 내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5. 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최근 사업연도의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
제8기 반기 | 매출채권 | 117,302 | 2,634 | 2.25% |
미수금 | 10,040 | - | - | |
미수수익 | 4,723 | - | - | |
합계 | 132,065 | 2,634 | 1.99% | |
제7기 |
매출채권 |
96,916 | 2,454 | 2.53% |
미수금 |
82,502 | - | - | |
미수수익 |
11,432 | - | - | |
합계 |
190,850 | 2,454 | 1.29% | |
제6기 |
매출채권 |
12,977 | 49 | 0.38% |
미수금 |
4,107 | - | - | |
미수수익 |
5,307 | - | - | |
합계 |
22,391 | 49 | 0.22% |
(2) 최근 사업연도의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기초 |
2,454 | 49 | 184 |
설정(환입) |
92 | (82) | (29) |
제각 등 |
88 | 2,487 | (105) |
기말 |
2,634 | 2,454 | 49 |
(3) 매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대손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기 위해 매출채권의 신용위험 특성과 연체일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습니다.
[충당금설정률]
정상채권 |
- |
경험율 |
---|---|---|
법정관리/화의채권 |
담보범위내 채권 |
0% |
담보범위 초과액 |
100% |
|
기타사고채권 |
담보범위내 채권 |
0% |
담보범위 초과액 |
100% |
(4) 경과기간별 매출채권잔액 현황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연령별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90일 이내 |
131,368 | 145,609 | 21,626 |
180일 이내 |
539 | 33,529 | 717 |
180일 초과 |
158 | 11,712 | 48 |
소 계 |
132,065 | 190,850 | 22,391 |
대손충당금 |
(2,634) | (2,454) | (49) |
차 감 계 |
129,431 | 188,396 | 22,342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최근 사업연도의 재고자산 보유현황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
백신 |
상품 |
3,335 | 1,117 | 468 |
제품 |
36,344 | 44,523 | 8,061 | |
반제품 |
18,002 | 14,623 | 9,703 | |
재공품 |
25,114 | 48,273 | 11,869 | |
원재료 |
73,132 | 74,622 | 18,533 | |
저장품 |
39,091 | 27,613 | 32,015 | |
미착품 | 1,310 | 132 | - | |
기타 | 292 | 223 | - | |
합 계 | 196,620 | 211,126 | 80,649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6.9% | 7.4% | 4.4%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2.7회 | 1.6회 | 1.7회 |
(2) 재고자산의 실사 내역 등 ① 재고자산 실사 목적[SK바이오사이언스]- 재무상태표일기준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함- 공장별 담당자의 12월말 기준 재고자산 실사 시 외부감사법인(한영회계법인)의 회계사가 실사 입회함[IDT Biologika] - 재무상태표일기준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함- 공장별 담당자의 실사일 기준 재고자산 실사 시 외부감사법인(RSM Ebner Stolz)의 회계사가 실사 입회하고, 실사일과 재무상태표일 사이 재고 변동은 전진 계산(Forward Calculation) 반영하였음
② 연말재고실사일 및 실사절차
장소 및 일시 |
입회인 |
실사인 |
비고 |
---|---|---|---|
안동공장 : 2025.01.08 (수) | 1인 | 1인 | 재고자산 실사 |
안성/송산창고: 2025.01.08 (수) | 2인 | 2인 | 재고자산 실사 |
IDT Biologika (Dessau) : 2024.10.23 (수) | 1인 | 16인 | 재고자산 실사 |
IDT Biologika (Leipzig) : 2024.10.23 (수) | 2인 | 3인 | 재고자산 실사 |
③ 실사방법[SK바이오사이언스]- 사업부별 제품별 표본조사 실시- 보관재고, 운송중인 재고에 대해선 보관증 확인함- 외부감사인은 회사의 재고실사에 입회/확인하고 일부 항목에 대해 표본 추출하여 그 실재성 및 완전성을 확인함 [IDT Biologika] - 사업부별 제품별 표본조사 실시- 보관재고, 운송중인 재고에 대해선 보관증 확인함- 외부감사인은 회사의 재고실사에 입회/확인하고 일부 항목에 대해 표본 추출하여 그 실재성 및 완전성을 확인함 ④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당사는 장기체화재고(1년이상)를 일부 보유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적정하게 평가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음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가액 |
---|---|---|---|
상품 | 3,361 | (26) | 3,335 |
제품 | 57,702 | (21,358) | 36,344 |
반제품 | 23,227 | (5,225) | 18,002 |
재공품 | 42,846 | (17,732) | 25,114 |
원재료 | 107,667 | (34,535) | 73,132 |
저장품 | 48,699 | (9,608) | 39,091 |
미착품 | 1,310 | - | 1,310 |
기타 | 292 | - | 292 |
합 계(주1) | 285,104 | (88,484) | 196,620 |
(주1) 계약이행원가 성격의 금 액 1,323,601 천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라. 공정가치 평가내역 공정가치 평가내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중 25. 공정가치 또는 5. 재무제표 주석 중 25. 공정가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의거하여 본 항목을 분기보고서에는 작성하지 아니하며, 관련 내용은 2025.03.17.에 제출된 2024년도 사업보고서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 회계감사인은 한영회계법인입니다. |
마. 감사인의 변경 - 해당사항 없음 바. 종속회사의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공시대상기간 중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적정 이외의 감사의견을 받은 종속회사는 없습니다.
가. 회계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검토 의견
사업연도 | 감사/검토의견 | 지적사항 |
---|---|---|
제8기 반기(당반기) | - | - |
제7기(전기) |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4년 12월 31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 |
제6기(전전기) |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 |
나. 내부통제구조의 평가 - 해당사항 없음 다. 내부회계관리제도
(1) 경영진의 내부회계 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운영실태 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평가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3) 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검토결론)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유형(감사/검토) | 감사의견 또는검토결론 | 지적사항 | 회사의대응조치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라.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
(1)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 인력 및 공인회계사 보유현황
소속기관또는 부서 | 총 원 | 내부회계담당인력의 공인회계사 자격증보유비율 | 내부회계담당인력의평균경력월수 | ||
---|---|---|---|---|---|
내부회계담당인력수(A) | 공인회계사자격증소지자수(B) | 비율(B/A*100) | |||
(2) 회계담당자의 경력 및 교육실적
직책(직위) | 성명 | 회계담당자등록여부 | 경력(단위:년, 개월) | 교육실적(단위:시간) | ||
---|---|---|---|---|---|---|
근무연수 | 회계관련경력 | 당기 | 누적 | |||
가. 이사회 구성 개요 (1) 이사회 구성 현황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2인, 사외이사 4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 총 7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사회 의장직은 권익환 사외이사가 수행하고 있습니다. 권익환 이사는 법률전문가로서 깊이 있는 식견을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균형감 있게 이사회를 주재하며 이사회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주도하여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 많은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내에는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 및 인사위원회 총 5개의 위원회가 설치되어 운영 중입니다.
당사의 이사의 수 및 사외이사의 변동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 2025년 3월 26일에 개최된 제7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의경 사외이사를 신규 선임 하였습니다.※ 2025년 3월 26일자로 문창진 사외이사가 자진 사임하였습니다. |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인적사항은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의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이사회의 권한 내용 이사회 규정에 의하면 당사의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의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독합니다.
(3)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 내용
조항 |
상세내용 |
제3조 (구성 및 권한) |
① 이사회는 이사 전원으로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 ③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
제8조 (소집청구) |
① 각 이사는 이사회 소집청구권을 갖는다. ② 소집권자를 제외한 이사 총수의 3분의 1이상의 서면청구가 있을 경우 소집권자는 이를 거부 또는 보류(保留)하지 못한다. ③ 이사회 소집청구는 이사회 소집일 2주일 전에 함을 원칙으로 한다. 단, 긴급을 요하는 사항은 예외로 한다. |
제9조 (소집통지) |
① 이사회 소집통지는 이사회 의장 또는 의장이 지명한 이사의 지시에 따라 이사회 간사가 회의 개최일 7일 전까지 각 이사에게 통보하며, 단,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회의일 전일까지 통보할 수 있다. ② 본 조 제 1항의 소집통지는 각 이사에게 문서, 전자문서 또는 구두 등의 방법에 의한다. ③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본 조 제1항에 정한 소집통지 절차 없이 언제든지 이사회를 개최할 수 있다. |
제11조의 3 (이사회 내 위원회) |
① 이사회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하여 정관이 정한 바에 따라 이사회 내에 다음의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1. 감사위원회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3. 내부거래위원회 4. 기타 필요 시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설치한 위원회 ② 이사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제외하고는 그 권한을 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다. 1.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2.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3. 위원회의 설치와 그 위원의 선임 및 해임 4. 기타 정관에서 정하는 사항 ③ 이사회내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각 위원회 규정 및 운영 지침에 따른다. |
제13조 (위임사항) |
다음 사항의 결정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한다. 1. 법령 또는 정관에서 정한 것을 제외하고 제11조에 명시되지 않은 일체의 회사업무에 관한 사항 2. 이사회의 의결로 대표이사에게 그 결정을 위임한 사항 3. 이사회에서 결정된 사항의 시행에 관한 세부적 사항 |
제16조 (의결방법) |
① 이사회의 의결은 이사 과반수의 참석과 참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단, 제 11조 제 4호 마목, 아목에 규정된 사항을 의결함에는 재적이사 2/3 이상의 수로써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ㆍ수신하는 원격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
제17조 (의결권) |
① 이사는 각 1개의 의결권을 갖는다. ② 이사의 의결권은 대리인에 의하여 행사할 수 없다. |
제18조 (의결권의 제한) |
① 이사회의 의결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당해사항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② 전항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는 이사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나. 주요의결사항 등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성명 |
||||||
안재용(출석률 100%) | 김훈(출석률 100%) | 안재현(출석률 100%) | 권익환(출석률 100%) | 이의경(출석률 100%) | 박선현(출석률 100%) | 최정욱(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제1차 | 2025.01.22 | [부의안건]1. '24년 안전/보건 이행결과 및2. '25년 안전/보건계획 수립의 건3. 준법지원인 선임의 건[보고사항]1. 준법지원인 활동 내역 및 활동계획 보고2. 윤리경영 운영현황 보고 | 원안가결원안가결원안가결-- | 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 | (주1) | 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 |
제2차 | 2025.02.05 | [부의안건]1. 제7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원안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3차 | 2025.02.19 | [보고사항]1. '24년 연간실적 발표 결과 및 MSCI지수 편출 관련 보고2.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 | -- | -- | -- | -- | -- | -- | |
제4차 | 2025.02.25 | [부의안건]1. 제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의안 확정의 건[보고사항]2.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보고 | 원안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5차 | 2025.03.26 | [부의안건] 1. ESG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2.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3.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4. 사외이사 처우규정 제정의 건5. '25년 사외이사 보수 승인의 건 | 원안가결원안가결원안가결원안가결원안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
제6차 | 2025.04.30 | [부의안건]1. SK케미칼과의 Eco Lab 임대차 갱신 계약의 건[보고사항]1. 이사회 內 활동 실적 보고2. 경영현황 보고3. '25년 1분기 경영실적 보고 | 원안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제7차 | 2025.06.25 | [부의안건]1. SK케미칼과의 수액제 거래 승인의 건2. SK bioscience Germany GmbH 출자 승인의 건[보고사항]1. '25년 상반기 전사 KPI 결과 보고 | 원안가결원안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주1) 이의경 사외이사는 2025년 3월 26일자로 선임되어, 출석률 계산시 선임이전 이사회는 제외하였습니다. |
다. 이사회 및 이사회 산하 위원회 활동 평가결과(자기평가)
2025년 1월 사외이사를 대상으로 2024년 이사회 활동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평가결과 나타난 개선 필요사항은 적극 반영 예정입니다.
- 종합 평점: 4.9점(5점 만점)
이사회의 구성 |
이사회의 역할 |
이사회의 책임 |
이사회의 운영 |
위원회의 구성 |
위원회의 역할/운영 |
5.0 | 4.9 | 4.7 | 4.9 | 5.0 | 5.0 |
라. 이사회 내 위원회
(1) 위원회별 명칭, 소속이사 및 위원장의 이름, 설치목적과 권한
위원회명 |
구성 |
성명 |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비 고 |
내부거래위원회 |
사외이사 3명 | 권익환(위원장)이의경최정욱 |
- 설치목적: 내부거래시 공정성/적정성 확보여부를 감시하여 합리적이고 투명한 경영, 균형 있는 의사결정 도모 - 권한사항: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상법 등 관련 법령에서 이사회 승인 대상으로 정하고 있는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 검토 |
- |
ESG위원회 |
사외이사 2명사내이사 1명 | 박선현(위원장)이의경안재용 |
- 설치목적: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과정에서 이사회 기능 강화 및 ESG경영 강화- 권한사항: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영전략 및 ESG방향성에 대한 이사회의 자문 및 검토 수행 |
- |
인사위원회 |
사외이사 2명 기타비상이사 1명 | 최정욱(위원장)권익환안재현 |
- 설치목적: 회사 경영의 중요 주체인 주요 임원의 주요 인사사항에 대한 사전검토 역할 수행을 통한 경영 투명성 강화- 권한사항: 대표이사의 평가 및 유임 여부, 사내이사의 보수액 적정성 등에 관한 사항을 검토하고 주요 임원의 평가 및 보수액 책정 결과에 대해 회사로부터 보고 받음 |
- |
※ 감사위원회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제외하였습니다.※ 2025년 3월 26일 박선현 이사는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에서 사임하였습니다.※ 2025년 3월 26일 이의경 이사가 내부거래위원회, ESG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2025년 4월 21일 박선현 이사가 ESG위원회 위원장으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
(2) 위원회 활동내역[내부거래위원회]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성명 |
||
---|---|---|---|---|---|
권익환(출석률 100%) | 이의경(출석률 100%) | 최정욱(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2025.04.30 | [부의안건]1. SK케미칼과의 ECO Lab 임대차 갱신 계약 검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25.06.23 | [부의안건]1. SK케미칼과의 수액제 거래 승인의 건2. SK bioscience Germany GmbH 출자 승인의 건 | 가결 가결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찬성찬성 |
[ESG위원회]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성명 |
||
---|---|---|---|---|---|
박선현 (출석률 100%) |
이의경(출석률 100%) | 안재용(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2025.04.21 | [부의안건]1. ESG위원회 위원장 선정의 건[보고안건]1. '25년 ESG 주요 계획2. '25년 중요성 평가 결과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인사위원회]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성명 |
||
---|---|---|---|---|---|
최정욱(출석률 100%) | 권익환(출석률 100%) | 안재현(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2025.06.23 | [보고안건]1. 2025년 상반기 전사 KPI 평가 검토 | - | - | - | - |
마. 이사의 독립성 (1) 이사선출에 대한 독립성 기준 등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이사 후보자는 충분한 검토를 거쳐 이사회에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사외이사 3명)에서는 균형 있는 의사결정 및 경영감독이 가능하도록 후보자들의 경력 및 전문분야를 고려한 후, 상법 및 상법시행령 등 관련규정에서 제시된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는지를 심사하여 사외이사 후보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2) 이사의 선임배경, 추천인 등
구분 |
성명 |
추천인 |
선임일 |
활동분야 (담당업무)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와의 관계 |
임기 (연임여부/횟수) |
---|---|---|---|---|---|---|---|
사내이사 | 안재용 | 이사회 | 2018.07.02 | 대표이사ESG위원회 위원 | 해당없음 | 계열회사 임원 | '18.07~'27.03 (연임/2회) |
김훈 | 이사회 | 2018.12.11 | 이사회(Global Business 대표) | 계열회사 임원 | '18.12~'27.03 (연임/2회) | ||
기타비상무이사 | 안재현 | 이사회 | 2023.03.27 | 인사위원회 위원(전사 경영전반에 대한 업무) | 최대주주 임원 | '23.03~'26.03 (-) | |
사외이사 | 권익환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2021.03.31 | 이사회 의장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감사위원회 위원인사위원회 위원(법률) | 해당없음 | '21.03~'27.03 (연임/1회) | |
이의경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2025.03.26 | ESG위원회 위원내부거래위원회 위원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보건) | 해당없음 | '25.03~'28.03 (-) | ||
최정욱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2020.10.29 | 감사위원회 위원장인사위원회 위원장내부거래위원회 위원(회계ㆍ재무) | 해당없음 | '20.10~'26.03 (연임/1회) | ||
박선현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2024.03.25 | ESG위원회 위원장감사위원회 위원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이사회 경영) | 해당없음 | '24.03~'27.03 (-) |
※ 상기 선임일은 최초 선임일입니다. |
성명 |
선임 배경 |
---|---|
안재용 | SK케미칼의 LS전략기획실장, VAX사업부문장을 역임하였으며 백신사업에 대한 전문지식과 역량을 바탕으로 당사의 신규사업 실행 및 성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 |
김훈 | SK케미칼의 Bio실장을 역임하고 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의 Global Business 대표로 재임 중이며 그 동안 SK케미칼의 Life Science Biz.의 성장에 지대한 역할을 하였으며 향후에도 그 경험과 능력을 바탕으로 당사의 신규사업 실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 |
안재현 | SK디스커버리 대표이사 사장,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 SK D&D 대표이사, SK가스 경영지원부문장 및 신성장에너지위원장을 역임하며 투자 및 M&A에 높은 전문성을 보유한 바 있으며, 특히 SK에코플랜트의 친환경, 그린에너지 등 사업구조 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바 있으므로, 장차 당사의 바이오 중심의 포트폴리오 구축 및 ESG 경영 가속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
권익환 |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을 역임하는 등 법률전문가로서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활용하여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사회의 전문성과 다양성을 제고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이의경 | 의약품의 사회적 영향을 분석하는 '사회 약학'을 전공한 보건의료계 전문가로,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대학에서의 연구 활동을 통해 축적한 전문성을 토대로 제5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성균관대 약학대학 교수로 재임하고 있는 바, 학계와 보건의료계를 넘나들며 쌓은 식견과 역량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최정욱 | 공인회계사로서 법무법인 지평, 삼일회계법인, 김앤장법률사무소 및 KPMG 삼정회계법인에서 30년간 세무업무를 수행하였고,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등을 역임하는 등 전문가로서의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박선현 | 최고 경영진과 기업 이사회의 전략적 의사결정 과정, 성장전략, 기업의 다양성과 혁신성 등에 대해 다년간 연구해온 바, 당사의 이사회의 경영과 거버넌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3)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현황 및 활동 내역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현황
성명 |
사외이사 여부 |
비고 |
---|---|---|
권익환 |
O |
- 사외이사가 동위원회 총원의 100%임- 사외이사 1/2 이상 요건을 충족함 (상법 제542조의8) |
이의경 |
O |
|
최정욱 |
O |
② 활동내역 -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 없음
바. 사외이사의 전문성 사외이사 지원 조직은 사외이사가 이사회 및 이사회내 위원회에서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필요시 별도의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 주요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사외이사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주1) 교육 기간은 2023.03.07 부터 2023.06.20 입니다. |
(2) 사외이사 지원 조직 현황
- 담당업무 : 이사회 운영 및 업무지원- 임직원 현황
부서명 |
직원수 |
직위(근속년수) |
주요 활동내역 |
---|---|---|---|
대외협력홍보실 | 2명 | 실장(사무국장) 1명 (1년 2개월)팀장(사무국 실무) 1명 (1년 2개월) |
-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운영-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부의/보고 안건 검토 및 상정-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의사록 작성 및 관리- 이사회 및 위원회 운영을 위한 제도 및 절차 마련- 기타 사외이사 지원업무 수행 |
※ 상기 근속년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 재직 중 해당업무 담당 기간입니다. |
가. 감사위원회 위원의 인적사항 및 사외이사 여부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3인의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 위원회 위원 중 회계ㆍ재무전문가는 최정욱 위원장이며, 관련 법령의 경력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 전문가 유형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및 「상법 시행령」제37조 제2항에 따른 회계ㆍ재무전문가 유형입니다. ㆍ1호 유형 : 회계사로서 자격관련 업무에 5년 이상 종사하였는지 여부 |
나. 감사위원회 위원의 독립성 감사위원회 제도의 투명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법에서는 위원의 선임과 구성에 대하여 엄격히 규정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 중에서 위원을 선임하여야 하고, 3명 이상의 이사로 구성되어야 하며,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 2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당사는 이 기준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이사회는 감사위원 후보 선정 시 그 후보로 독립성이 확보된 사외이사로만 선정을 하고 있으며, 그 중 최소 1명은 회계ㆍ재무 전문가로 선임될 수 있도록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위원과 당사와의 거래내역은 없습니다.
선출기준의 주요 내용 |
선출기준의 충족여부 |
관련 법령 등 |
---|---|---|
3명 이상의 이사로 구성 |
충족 (3인) |
상법 제415조의2 제2항 |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 2 이상 |
충족 (전원 사외이사) | |
위원 중 1명 이상은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
충족 (1명, 최정욱 이사) |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
감사위원회의 대표는 사외이사 |
충족 (최정욱 이사) | |
그 밖의 결격요건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자 등) |
충족 (해당사항 없음) |
상법 제542조의11 제3항 |
구분 |
임기 (연임여부/횟수) |
추천인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등과의 관계 |
선임배경 |
---|---|---|---|---|---|
권익환 | '21.03~'27.03 (연임/1회)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해당없음 | 계열회사 임원 (사외이사) |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서울남부지방검찰청 검사장을 역임하는 등 법률전문가로서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활용하여 관련 법령 및 내부 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확보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박선현 | '25.03~'27.03 (-)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해당없음 | 계열회사 임원 (사외이사) | 경영대학 교수, 사외이사 경험 등 회계, 재무, 내부통제 및 리스크 관리 등 기업 운영에 필수적 요소를 갖춘 전문가로 감사위원회 거버넌스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최정욱 | '20.10~'26.03 (연임/1회)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 해당없음 | 계열회사 임원 (사외이사) | 공인회계사로서 법무법인 지평, 삼일회계법인, 김앤장법률사무소 및 KPMG 삼정회계법인에서 약 30년간 세무업무를 수행하였고, 기획재정부 세제발전심의위원 등을 역임하는 등 전문가로서의 지식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어 회사의 올바른 기업지배구조 확립과 회계투명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선임 |
다. 감사위원회의 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성명 |
||
---|---|---|---|---|---|---|
최정욱(출석률:100%) | 박선현(출석률:100%) | 권익환(출석률:100%) | ||||
찬반여부 |
||||||
제1차 | 2025.02.19 | [부의안건]1. '25년 감사계획 승인의 건 [보고사항]1. 내부회계관리제도 용역수행 결과 보고 2. '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보고3. '24년 결산실적에 대한 외부감사인 건토결과 보고 | 원안가결--- | 찬성--- | (주1) | 찬성--- |
제2차 | 2025.02.25 | [부의안건] 1. 제7기 정기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 조사결과 확정의 건2.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 평가 의견서 확정의 건3. 감사보고서 확정의 건4.'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확정의 건 | 원안가결원안가결원안가결원안가결 | 찬성찬성찬성찬성 | 찬성찬성찬성찬성 | |
제3차 | 2025.04.30 | [보고사항] 1. 그룹 리더 솔선수범 점검결과 보고2. '24년 외부감사인 준수여부 보고3. '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보고4. '25년 1분기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검토결과 보고 | ---- | ---- | ---- | ---- |
(주1) 박선현 감사위원은 2025년 3월 26일자로 선임되어, 출석률 계산시 선임이전 감사위원회는 제외하였습니다. |
라.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감사위원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마.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 상기 근속년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 재직 중 해당업무 담당 기간입니다. |
바. 준법지원인의 인적사항 및 주요 경력 등 (1) 준법지원인의 인적사항 및 주요경력
성명 |
주요경력 |
결격요건 여부 |
비고 |
---|---|---|---|
유지현 | '03 이화여자대학교 의학 학사'04 서울아산병원 인턴 수료'07 고려대학교 법학 학사'08 제50회 사법시험 합격'11 제40기 사법연수원 수료'17 U.C. Berkely School of Law LL.M.'11~'21 법무법인(유) 광장'21.12~'23.12 SK바이오사이언스 법무실장 兼 특허실장'23.12~현재 SK바이오사이언스 법무특허실장 | 해당없음 | - |
(2) 준법지원인 등의 주요 활동내역 및 그 처리결과 당사의 준법지원인은 실질적인 Compliance 업무를 총괄하고 있으며 준법경영 기반을 구축하고 임직원의 준법의식을 제고해 회사에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예방하고 있습니다.
항목 | 점검일시 | 주요내용 | 결과 | |
예방 | 경영활동 전반 준법 점검 | 상시 | 상법, 자본시장법, 약사법, 공정거래법, 개인정보보호법, SHE, 인사/노무 등 경영활동 전반에 대한 준법 점검 및 검토- 사내 제도 정비, 법규준수 Process 구축, 계약검토 및 법률자문 제공 - 기타 회사의 사업활동과 관련한 법률 검토 지원 | 경영활동과 관련한 법적 위험 검토 및 준법 점검 활동을 통해 법적 리스크 예방 |
윤리실천레터 발송 | 수시 |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윤리규범 및 실천 지침 내용을 숙지할 수 있도록 전구성원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윤리경영실천레터 발송 - 구성원 상호존중('25.01.06), 설 명절 윤리경영 준수(선물 수취 관련) 안내 ('25.01.14), 구성원 상호존중2('25.04.03) | 구성원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윤리규범 및 실천 지침 내용 전달하고, 윤리의식을 제고함 | |
윤리경영 게시판 운영 | 상시 | - 윤리경영 기준 및 자료에 대한 접근성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해 윤리경영 게시판 운영 ('24.06.05 오픈, 상시 운영 중) | ||
마케팅 판촉 활동 Monitoring | 상시 | 약사법, 공정경쟁규약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마케팅 판촉활동 수행 전 사전ㆍ사후 검토 및 점검하는 CP 모니터링 활동 수행- 마케팅 판촉활동에 대한 내부 검토 및 승인 프로세스 수립, 품의 내용 점검, 관련 규정 등 준수여부 검토, 사후 보고서 점검- 관련 법령에 부합하도록 모든 판촉활동에 대한 경제적 이익 제공 지출보고서 작성 | 사전 및 사후 검토, 점검 활등을 통해 관련 법령을 철저히 준수하도록 함 | |
관련 법령 안내 | 격월 | - 상법, 자본시장법 등 구성원이 준수하여야하는 관련 법령 내용 안내 및 준법의식 고취를 위한 정기 공지, 가이드라인 배포- 정기적으로 미공개 중요정보 이용금지 제도와 단기매매차익 반환제도 등 관련 법령 안내 및 가이드라인 배포 ('25.01.24, '25.03.20. '25.05.21) | 구성원들이 관련법령 내용 및 준수사항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준법의식을 제고함 | |
생물안전위원회 | 수시(월 1~2회) | - 연구실/공장 생물안전위원회 운영 및 관련 법규 준수 점검- 총 4건(심의 3건, 회의 1건)의 안건 심의 진행 | 관련 법규 준수 점검 및 검토를 통해 회사가 취급하는 병원체, 유전자병원생물체 등의 안전한 취급 및 관리 도모 | |
중대재해처벌법상 조치의무 준수 점검 | 연 1회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현황 및 안전보건 조치의무 이행 점검 및 개선/보안사항 도출, 이사회 등에 전년도 안전보건 이행 결과 및 당해년도 점검계획 보고 ('25.01.22) | 점검 및 개선 활동 수행을 통해 사고 발생 예방 | |
교육 | 윤리경영 교육 | 정기 | 윤리경영 실천 내재화 및 윤리경영 준수 의식 확산을 위한 전사 구성원 대상 온라인 윤리경영 교육 시행('25.04.10 ~ 05.09)- 차별은 공공의 적, 공정은 공공의 힘! / 구성원의 수상한 하루 / SNS 스타가 되고 싶으세요? / 미운우리새끼 - 나 잡아봐라! / 절차는 내 마음속에 있는 거죠 / 대박이야 대박! / 말하는 대로 원하는 대로 / 다만 겸업에서 구하소서 / 아직도 갑~갑~한 갑질을?! | 구성원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윤리규범 및 실천 지침 내용 전달하고, 윤리의식을 제고함 |
윤리경영 Workshop | 연 1회 |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 제고를 위한 조직별 토론식 교육 실시 ('25.05.07 ~ 06.12)- 근태 및 겸업 겸직 / 규정과 원칙 준수 | ||
공정거래교육 | 정기/수시 | 업무 수행 관련 Compliance 위반 Risk 사전 방지 및 마케팅 부서 대상 공정거래 인식 제고를 위한 맞춤형 교육 실시- 상반기 정기 CP 교육 : 약사법, 공정경쟁규약, CP규정, 정책동향, 리베이트 관련 유의사례 등 ('25.01.14) | 구성원들이 관련법령 내용 및 준수사항을 숙지할 수 있도록 하고, 준법의식을 제고함 | |
자율점검 | 정기 감사 | 정기 | - 연구소 원부자재/시약/장비 관리 감사('25.3월~'25.6월) | 점검활동을 통해 개선방안 도출 및 시행 |
전사적 Risk 관리 (ERM) | 연 1회 | - 전사적 Risk 과제의 관리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관리 효과를 평가하여 향후 추진 계획 수립- 당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사회적 Event를 관측하여 적시에 Risk 경고 및 신규 관리 과제 발굴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 1회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평가 ('25. 01.08 ~ 01.14)- 시행여부 점검(윤리규범 전파, 구성원 윤리 서약서 징구, 윤리교육, 제보채널 운영 등) |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ㆍ공시되는 회계정보의 신뢰성 확보 | |
내부거래 타당성 검토 Process | 상시 | - 주요 이해관계자(주요주주, 이사, 계열회사 등)과의 거래시 사전에 거래내용의 적절성, 절차의 적법성 등에 대한 내부거래 타당성 검토 | 총 19건의 내부거래타당성 검토를 통해 관련 법령 준수 점검 | |
내부제보 | 윤리경영 상담/신고 제도 운영 | 수시 (제보 접수 시) | - 내부제보에 따른 조사 절차 운영 중- 익명성 보장/제보자 보호/비밀 유지- 격월간 배포 중인 윤리경영 실천레터를 통한 내부신고 제도 안내 중 | 내부 제보시 철저한 조사 및 검토를 통해 원인 파악, 개선안 도출, 시행 중 |
(3)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 상기 근속년수는 SK바이오사이언스 재직 중 해당업무 담당 기간입니다. |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 당사 이사회는 2021년 6월 24일 전자투표제도 도입을 채택해 제4기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제를 시행하였습니다. |
나.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 해당사항 없음 다. 경영권 경쟁 - 해당사항 없음 라.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마. 주식사무
정관상신주인수권의내용 |
제9조 신주인수권 (1)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수권주식의 범위 내에서 신주를 발행한다. (2)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회사가 발행하는 신주를 인수할 권리를 가진다. (3) 제2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5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특정한 자(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를 배정하기 위하여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5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불특정다수인(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고 이에 따라 청약을 한 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3. 관련 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회사의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거나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관련 법령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제3항 제2호의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여야 한다. 1.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자의 유형을 분류하지 아니하고 불특정 다수의 청약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2. 관계 법령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까지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인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3. 주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이 있는 경우 이를 불특정 다수인에게 신주를 배정받을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4.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인수인 또는 주선인으로서 마련한 수요예측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특정한 유형의 자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5) 제3항 각 호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 수 있다. (6)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7) 회사가 제2항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제8조의5에 따라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
||
결산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회계연도말 이후 3개월 이내 |
기준일 | 매 결산기의 최종일 | ||
명의개서대리인 | 하나은행 증권대행부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72, 02-368-5800) | ||
주주의 특전 | 없음 | 공고게재 방법 |
당사 홈페이지 : http://www.skbioscience.co.kr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주요 일간지인 "매일경제신문"에 게재한다. |
바.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
안건 |
결의내용 |
주요 논의내용 |
---|---|---|---|
제7기정기주주총회(2025.03.26) |
제1호 의안 : 제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제3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 | 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 |
제6기정기주주총회(2024.03.25) |
제1호 의안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4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 임원퇴직금규정 개정의 건제6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 | 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 |
제5기정기주주총회(2023.03.27) | 제1호 의안 :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제4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제5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제6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원안대로 승인 | 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원안대로 통과 |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SK케미칼(주))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 상기 출자자수 및 지분율은 2025년 6월 30일 보통주 기준입니다. |
(2) 법인 또는 단체의 대표이사, 업무집행자, 최대주주의 변동내역- 해당사항 없음
(3) 최대주주(SK케미칼(주))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 상기 재무현황은 외부감사인의 검토 완료 전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검토의견을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SK케미칼(주)의 정기보고서 및 공시된 재무제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4)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 해당사항 없음
다. 최대주주의 최대주주(SK디스커버리(주))의 개요
(1)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 상기 출자자수 및 지분율은 2025년 6월 30일 보통주 기준입니다. |
(2)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 상기 재무현황은 외부감사인의 검토 완료 전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검토의견을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SK디스커버리(주)의 정기보고서 및 공시된 재무제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라. 최대주주의 대표자
성명 |
직 위(상근여부) |
출생연도 |
주요경력 |
---|---|---|---|
김철 |
대표이사 사장(상근) |
1961.05 | 서울대/경제학 London School of Economics/경제학(석) 前) SK이노베이션 자원개발본부장 |
안재현 |
대표이사 사장(상근) |
1966.02 | 연세대/응용통계학 前)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 |
마. 최대주주의 개요
(1)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회사의 명칭은 'SK케미칼 주식회사'라 칭하고, 한글로는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로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SK CHEMICALS CO.,LTD'라 표기합니다. (2) 설립일자SK케미칼은 2017년 12월 01일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1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에스케이디스커버리 주식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중 Green Chemicals Biz. 및 LifeScience Biz.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된 분할신설법인입니다.
(3)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310(삼평동) - 전화번호 : 02-2008-2008 - 홈페이지 : http://www.skchemicals.com(4) 중소기업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5) 주요 사업의 내용SK케미칼은 에스케이디스커버리 주식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중 Green Chemicals 및 Life Science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설립되었으며, 환경 친화적 소재사업 중심의 Green Chemicals Biz.와 의약품과 백신을 생산ㆍ판매하는 Life Science Biz.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반기말 연결기준 매출액은 11,335억원이며, 고기능성 Copolyerster 수지 등 제품 68.4%, 천연물/합성의약품 19.8%, 백신제품 27.9%, 기타 -16.1%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SK케미칼 사업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SK케미칼 정기보고서 'II.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6) 등기임원현황
(기준일 : 2025.06.30) |
(단위 :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김철 | 남 | 1961.05 | 대표이사 사장 | 사내이사 | 상근 | 대표이사 | 서울대/경제학 London School of Economics/경제학(석) 前) SK이노베이션 자원개발본부장 | 3,000 | - | 계열회사 임원 | 7년 7개월 | 2026.03.28 |
안재현 | 남 | 1966.02 | 대표이사 사장 | 사내이사 | 상근 | 대표이사 (ESG위원회 위원) | 연세대/응용통계학 前) SK에코플랜트 대표이사 사장 | - | - | 계열회사 임원 | 3년 3개월 | 2026.03.28 |
손현호 | 남 | 1969.09 | 기타비상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기타비상무이사 (인사위원회 위원) | 고려대/경영학 University of Texas/MBA 前) SUPEX추구협의회 전략지원팀 담당임원,SK㈜ 재무3실장 現) SK디스커버리 대표이사 사장 | - | - | 최대주주 임원 | 4개월 | 2028.03.26 |
박태진 | 남 | 1961.07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ESG위원회 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감사위원회 위원) | 서울대/독어독문학 서울대/경영대학원(석) 前) JP모간 한국 회장 겸 아태지역 부회장, 한국 대표 및 IB 본부 대표 現) 현대카드 경영자문위원 現) 아모레퍼시픽 사외이사 | - | - | 계열회사 임원 | 4개월 | 2028.03.26 |
문성환 | 남 | 1954.01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이사회 의장, 감사위원회 위원, 인사위원회 위원장) | 서울대/경영학, 핀란드 헬싱키경영경제대(MBA) 前) 휴비스 대표이사 사장 前) 삼양사 대표이사 사장 | - | - | 계열회사 임원 | 5년 3개월 | 2026.03.28 |
조홍희 | 남 | 1959.07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장,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인사위원회 위원) | 성균관대/무역학 영국 University of Bath/조세학(석) 前) 서울지방국세청 청장 前) 대교, 셀트리온 사외이사 現)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現) 메리츠금융지주 사외이사 | - | - | 계열회사 임원 | 5년 3개월 | 2026.03.28 |
최선미 | 여 | 1969.02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감사위원회 위원,ESG위원회 위원) | 연세대/영문학 미국 코넬대 대학원 석/박사 前) 연세대 국제처 부처장 前) 베트남 빈대학 경영대 초대학장 現)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 | - | - | 계열회사 임원 | 1년 3개월 | 2027.03.26 |
2. 최대주주 변동 내역
(기준일 : |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합산 내역이며, 지분율은 해당 변동일자 기준입니다. |
3. 주식의 분포
가.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 | |||
- | ||||
우리사주조합 | - |
나.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주주수 | 전체주주수 | 비율(%) | 소액주식수 | 총발행주식수 | 비율(%) | ||
소액주주 |
※ 소액주주는 작성기준일 현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에 미달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를 말하며, 총발행주식수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입니다. |
4. 주가 및 주가거래실적
(기준일 : | 2025.06.30 | ) |
구 분 | 2025년 1월 | 2025년 2월 | 2025년 3월 | 2025년 4월 | 2025년 5월 | 2025년 6월 | |
---|---|---|---|---|---|---|---|
주가(원) | 최고 | 53,000 | 49,500 | 43,000 | 40,450 | 45,100 | 51,300 |
최저 | 48,150 | 42,550 | 39,200 | 35,850 | 38,800 | 44,850 | |
평균 | 50,128 | 47,608 | 41,650 | 38,975 | 41,482 | 47,139 | |
거래량(주) | 최고(일) | 494,334 | 2,311,117 | 506,310 | 222,134 | 511,809 | 1,233,346 |
최저(일) | 52,540 | 60,604 | 43,293 | 30,054 | 53,749 | 71,962 | |
월간 | 132,744 | 238,242 | 174,612 | 87,487 | 155,800 | 201,284 |
※ 최고 및 최저 주가는 해당일자의 종가 기준입니다.※ 월간 '거래량(주)'는 평균값입니다. |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 등기임원의 임기는 선임일 이후 3년 내의 최종의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종료시까지 입니다.※ 소유주식수는 우리사주 보유분을 제외한 수량입니다.※ 재직기간은 임원 재직기간입니다.(주1) CPO : Chief Privacy Officer(주2) CISO : Chief Information Security Officer |
※ 작성 기준일 이후 신규 선임/퇴임 임원
- 해당사항 없음
나. 등기임원의 겸직현황
(기준일 : | 2025.06.30 | ) |
구분 | 겸직현황 | ||||
---|---|---|---|---|---|
성명 | 직책 | 회사명 | 직책 | 선임시기 | 상근여부 |
권익환 | 사외이사 | (주)한화 | 사외이사 | 2022.03.29 | 비상근 |
박선현 | 사외이사 | (주)두산 | 사외이사 | 2024.03.28 | 비상근 |
이의경 | 사외이사 | (주)아모레퍼시픽 | 사외이사 | 2025.03.25 | 비상근 |
안재현 | 기타비상무이사 | SK케미칼(주) | 대표이사 | 2023.03.28 | 상근 |
※ 당사의 등기임원으로, 국내 법인의 등기임원 겸직 현황입니다. |
다.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 상기 직원의 급여총액은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미등기 임원을 포함하였습니다.※ 평균 근속연수는 2018년 7월 1일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로부터의 분할 이전 근속연수를 포함한 기간입니다. |
라. 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
(단위: 명, %) |
구분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육아휴직 사용자수(남) | 11 | 11 | 8 |
육아휴직 사용자수(여) | 15 | 27 | 18 |
육아휴직 사용자수(전체) | 26 | 38 | 26 |
육아휴직 사용률(남) | 8.5% | 8.0% | 5.7% |
육아휴직 사용률(여) | 20.8% | 39.1% | 35.3% |
육아휴직 사용률(전체) | 12.9% | 18.4% | 13.6%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남) | 3 | 7 | 7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여) | 10 | 7 | 4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전체) | 13 | 14 | 11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 수 | 9 | 10 | 1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 수 | 15 | 15 | 26 |
※ 육아휴직 사용률 계산식 : 육아휴직 사용자 / 육아휴직 대상자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 및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가진 근로자)※ 해당 수치는 육아지원제도를 사용한 연중 퇴직자를 포함합니다. |
마. 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
(단위: 명) |
구분 | 제8기 반기 | 제7기 | 제6기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 O | O | O |
시차출퇴근제 사용자 수 | 982 | 1,035 | 935 |
선택근무제 사용자 수 | 667 | 687 | 640 |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사용자 수 | 25 | 129 | 184 |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원격근무(재택근무 포함) 중 1개 이상 제도의 도입ㆍ활용 여부※ 선택근무제 : 1개월(신상품ㆍ신기술의 연구개발 업무는 3개월) 이내의 정산기간을 평균하여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40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근무의 시작ㆍ종료시각 및 1일 근무시간을 조정하는 제도※ 해당 수치는 유연근무제도를 사용한 연중 퇴직자를 포함합니다. |
바.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 1인 평균 급여액은 월별 평균 급여액의 합입니다. |
가.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 현황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2) 보수지급금액
(가)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인원 수 로 단순 평균하여 계산하였습니다. |
(나)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 상기 인원 수 및 보수총액에는 2025년 3월 26일자로 사임한 이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인원 수로 단순 평균하여 계산하였습니다.※ 등기이사 인원수는 보수를 지급받지 않는 기타비상무이사 1인을 포함하였습니다. |
(3) 보수지급기준
구분 |
보수지급기준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2025년 이사보수한도 범위 내에서 직책(역할), 리더십, 전문성, 회사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본급을 결정하였음. 또, 회사의 매출액, 영업이익, 세전이익과 같은 정량 평가 결과와 전략적 목표 달성도, 리더십과 같은 정성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성과급을 지급 할 수 있음.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2025년 이사보수한도 범위 내에서 담당업무, 전문성, 회사의 경영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본급을 결정하였음. |
감사위원회 위원 |
2025년 이사보수한도 범위 내에서 담당업무, 전문성, 회사의 경영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기본급을 결정하였음. |
나.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이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인 5억원 이상에 해당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2) 산정기준 및 방법- 해당사항 없음 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개인별 보수지급 금액이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인 5억원 이상에 해당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2) 산정기준 및 방법- 해당사항 없음
라.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1) 이사ㆍ감사에게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
구 분 | 부여받은인원수 |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업무집행지시자 등 | |||
계 |
※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하여 당기 포괄손익계산서 상 비용으로 계상된 부분은 없습니다. |
(2) 공정가치 산출방법 등 부여일 기준 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18.12.11) | (단위 : 주, 원) |
부여일 | 발행할 주식수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부여일의 공정가치 |
---|---|---|---|---|
2018.12.11 | 18,209 주 | 2021.12.11~2028.12.10 | 274,621 원/주 | 49,465 원/주 |
2020년 무상증자 및 주식분할 반영 후 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1.12.31) | (단위 : 주, 원) |
부여일 | 발행할 주식수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부여일의 공정가치 |
---|---|---|---|---|
2018.12.11 | 546,270 주 | 2021.12.11~2028.12.10 | 9,154 원/주 | 1,649 원/주 |
주식선택권의 공정가치는 이항옵션가격결정모형에 따라 산정되었으며, 모형에 적용한 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2018.12.11 부여분 |
---|---|
부여일의 주식가격 | 9,154 원/주 |
행사가격 | 9,154 원/주 |
기대변동성 | 11.90% |
무위험이자율 | 1.94% |
※ 상기 부여일의 주식가격 및 행사가격은 부여일 이후 무상증자 및 주식분할이 반영된 가격입니다. |
(3) 주식매수선택권 현황
(기준일 : | ) |
부여받은자 | 관 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종류 | 최초부여수량 | 당기변동수량 | 총변동수량 | 기말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의무보유여부 | 의무보유기간 | ||
---|---|---|---|---|---|---|---|---|---|---|---|---|---|---|
행사 | 취소 | 행사 | 취소 | |||||||||||
※ 상기 최초 부여수량, 기말 미행사수량 및 행사가격은 2020년 무상증자 및 주식분할이 반영된 숫자입니다. 2020년 10월 20일 무상증자 : 1주당 2주 / 2020년 12월 1일 주식분할 : 액면가 5,000원 → 500원※ 공시서류작성기준일(2025년 06월 30일) 현재 종가 : 47,750원 |
1. 계열회사의 현황 가. 해당 기업집단의 명칭 및 계열회사의 수 등
(1)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계열회사간 출자현황]
2025년 6월 30일 기준 | (보통주 기준)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SK이노베이션 | 대한송유관공사 | 행복키움 | SK에너지 | 내트럭 | 제주SKFC | 행복디딤 | 굿스플로 | SK지오센트릭 | 울산아로마틱스 |
---|---|---|---|---|---|---|---|---|---|---|
SK(주) | 55.9% | |||||||||
SK이노베이션 | 41.0% | 100.0% | 100.0% | 100.0% | ||||||
SK에너지 | 100.0% | 100.0% | 100.0% | 100.0% | ||||||
SK지오센트릭 | 50.0%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55.9% | 41.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5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행복모음 | 원폴 | 에스티에이씨 | SK엔무브 |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 | SK온 | SK온테크플러스 | 행복믿음 | SK어스온 | SK인천석유화학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70.0% | 95.1% | 100.0% | 100.0%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100.0% | 100.0% | 50.0% | |||||||
SK엔무브 | 70.0% | |||||||||
SK온 | 100.0% | 100.0%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50.0% | 70.0% | 70.0% | 95.1% | 100.0% | 100.0% | 10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SK아이이테크놀로지 | 파주에너지서비스 | 나래에너지서비스 | 여주에너지서비스 | 보령LNG터미널 | 전남해상풍력 | 신안증도태양광 | 해쌀태양광 | 쏠리스 | 아리울행복솔라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61.2% | 51.0% | 100.0% | 100.0% | 50.0% | 51.0% | 80.2% | 100.0% | 67.3% | 100.0%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61.2% | 51.0% | 100.0% | 100.0% | 50.0% | 51.0% | 80.2% | 100.0% | 67.3%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부산정관에너지 | 아이지이 | 전남2해상풍력 | 전남3해상풍력 | 당진행복솔라 | 해솔라에너지 | 아이파킹 | SK플러그하이버스 | 부사호행복나눔솔라 | 보령블루하이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100.0% | 100.0% | 55.0% | 55.0% | 100.0% | 50.0% | 44.5% | 51.0% | 70.0% | 100.0%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55.0% | 55.0% | 100.0% | 50.0% | 44.5% | 51.0% | 7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E&S시티가스 | 코원에너지서비스 | 충청에너지서비스 | 영남에너지서비스 | 전남도시가스 | 강원도시가스 | 전북에너지서비스 | E&S시티가스부산 | 부산도시가스 | SK텔레콤 |
---|---|---|---|---|---|---|---|---|---|---|
SK(주) | 30.6% | |||||||||
SK이노베이션 | 100.0% | 100.0%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E&S시티가스부산 | 100.0%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30.6%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PS&마케팅 | SK오앤에스 | 서비스에이스 | 서비스탑 | SK텔링크 | 행복한울 | SK스토아 | SK브로드밴드 | 홈앤서비스 | 미디어에스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99.1% | ||
SK브로드밴드 | 100.0% | 100.0%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99.1% | 10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SK스퀘어 | 드림어스컴퍼니 | FSK L&S | 11번가 | SK플래닛 | 원스토어 | 인크로스 | 마인드노크 | SK텔레콤CST1 | 콘텐츠웨이브 |
---|---|---|---|---|---|---|---|---|---|---|
SK(주) | 31.5%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38.7% | 60.0% | 98.1% | 86.3% | 45.8% | 36.1% | 55.4% | 36.7%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100.0%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31.5% | 38.7% | 60.0% | 100.0% | 86.3% | 45.8% | 36.1% | 100.0% | 55.4% | 36.7%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티맵모빌리티 | 와이엘피 | 로지소프트 | SK하이닉스 | SK하이스텍 | SK하이이엔지 | 행복모아 | SK하이닉스시스템IC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62.4% | 20.1%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100.0% | 100.0% | ||||||
SK하이닉스 | 100.0% | 100.0% | 100.0% | 100.0%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62.4% | 100.0% | 100.0% | 20.1% | 100.0% | 100.0% | 10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행복나래 | SK키파운드리 | SKC | SK엔펄스 | 아이세미 | SK넥실리스 | SK피아이씨글로벌 | SK리비오 | ISC | SK네트웍스 |
---|---|---|---|---|---|---|---|---|---|---|
SK(주) | 40.6% | 43.9%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100.0% | 100.0% | ||||||||
SKC | 99.1% | 100.0% | 51.0% | 77.0% | 45.0% | |||||
SK엔펄스 | ||||||||||
ISC | 100.0%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40.6% | 99.1% | 100.0% | 100.0% | 51.0% | 77.0% | 45.0% | 43.9%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SK네트웍스서비스 | 민팃 | 카티니 | SK매직 | SK매직서비스 | 행복나무 | 엔코아 | SK스피드메이트 | 글로와이드 | SK에코플랜트 | 성주테크 |
---|---|---|---|---|---|---|---|---|---|---|---|
SK(주) | 63.2%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100.0% | 100.0% | 100.0% | 100.0% | 93.4% | 100.0% | 100.0% | ||||
SK매직 | 100.0% | 100.0% | |||||||||
SK에코플랜트 | 100.0%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93.4% | 100.0% | 100.0% | 63.2%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SK에코엔지니어링 | 강동그린컴플렉스 | 동남해안해상풍력 | 에이피개발 | SK오션플랜트 | 삼강S&C | 창원에스지에너지 | 리뉴에너지충북 | 리뉴어스 | 블룸SK퓨얼셀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100.0% | 78.8% | 100.0% | 100.0% | 37.6% | 65.1% | 96.3% | 100.0% | 60.0%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96.6%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78.8% | 100.0% | 100.0% | 37.6% | 96.6% | 65.1% | 96.3% | 100.0% | 6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에이치솔루션 | SK에어플러스 | 리뉴에너지경기 | 리뉴에너지경인 | 리뉴에너지충청 | 리뉴랜드경주 | 리뉴에너지경북 | 리뉴리퀴드서남 | 리뉴리퀴드호남 | 리뉴랜드신경주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55.0% | 100.0% | ||||||||
리뉴어스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55.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그린화순 | 곡성환경 | 달성맑은물길 | 경산맑은물길 | 리뉴로지스인더 | 리뉴원 | 리뉴로지스 | 리뉴콘대원 | 리뉴랜드청주 | 리뉴에너지그린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100.0% | |||||||||
리뉴어스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리뉴원 | 100.0% | 100.0% | 100.0% | 100.0%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리뉴에너지대원 | 리뉴에너지메트로 | 리뉴에너지새한 | 리뉴에너지전남 | 리뉴에너지충남 | SK플라즈마 | SK가스 | SK어드밴스드 | 울산GPS | 당진에코파워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80.7% | 72.2% | ||||||||
SK가스 | 45.0% | 99.5% | 54.9%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85.0% | 72.2% | 45.0% | 99.5% | 54.9%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지에너지 | 에코마린퓨얼솔루션 | 롯데SK에너루트 | 울산에너루트2호 | 울산에너루트3호 | 태화에너루트1호 | 태화에너루트2호 | SK디앤디 | 디앤디인베스트먼트 | DDIOS108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31.3% | |||||||||
SK가스 | 50.0% | 100.0% | 50.0% | |||||||
롯데SK에너루트 | 100.0% | 100.0% | 100.0% | 100.0% | ||||||
SK디앤디 | 100.0% | 100.0%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50.0% | 100.0% | 50.0% | 100.0% | 100.0% | 100.0% | 100.0% | 31.3% | 10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디앤디프라퍼티솔루션 | DDISFPFV | SK이터닉스 | 진도산월태양광발전 | SK케미칼 | SK바이오사이언스 | 엔티스 | 제이에스아이 | SK케미칼대정 | SK멀티유틸리티 |
---|---|---|---|---|---|---|---|---|---|---|
SK(주)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31.0% | 40.9%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85.1% | 100.0% | ||||||||
SK이터닉스 | 100.0% | |||||||||
SK케미칼 | 66.4% | 50.0% | 40.0% | 50.0% | 100.0%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85.1% | 100.0% | 31.0% | 100.0% | 40.9% | 66.4% | 50.0% | 40.0% | 50.0% | 10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프롭티어 | SK바이오팜 | SK임업 | 휘찬 | SK핀크스 | SK리츠운용 | SK트리켐 | SK레조낙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제이에스원 |
---|---|---|---|---|---|---|---|---|---|---|
SK(주) | 64.0% | 100.0% | 100.0% | 100.0% | 65.0% | 51.0% | 100.0%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66.5%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100.0%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50.0%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66.5% | 64.0% | 100.0% | 100.0% | 100.0% | 100.0% | 65.0% | 51.0% | 100.0% | 50.0%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 | SK머티리얼즈그룹포틴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클린에너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토털밸류제1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클린인더스트리얼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SK실트론 | 행복채움 | 에스엠코어 |
---|---|---|---|---|---|---|---|---|---|
SK(주) | 51.0% | 75.0% | 32.4% | 51.0% | 26.6%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100.0% | 100.0% | 100.0% | ||||||
SK실트론 | 100.0% | ||||||||
유엔에이디지탈 | |||||||||
계열사 계 | 51.0% | 75.0% | 32.4% | 100.0% | 100.0% | 100.0% | 51.0% | 100.0% | 26.6% |
피투자회사 \ 투자회사 | 애커튼테크놀로지서비스 | 유엔에이엔지니어링 | 티모르홀딩스 |
---|---|---|---|
SK(주) | 50.0% | ||
SK이노베이션 | |||
SK에너지 | |||
SK지오센트릭 | |||
SK엔무브 | |||
SK온 | |||
E&S시티가스 | |||
E&S시티가스부산 | |||
SK텔레콤 | |||
SK브로드밴드 | |||
PS&마케팅 | |||
SK스퀘어 | |||
원스토어 | |||
인크로스 | |||
티맵모빌리티 | |||
SK하이닉스 | |||
SKC | |||
SK엔펄스 | |||
ISC | |||
SK네트웍스 | |||
SK매직 | |||
SK에코플랜트 | |||
리뉴어스 | |||
리뉴원 | |||
SK오션플랜트 | |||
SK디스커버리 | |||
SK가스 | |||
롯데SK에너루트 | |||
SK디앤디 | |||
SK이터닉스 | |||
SK케미칼 | |||
SK임업 | 90.9% | ||
휘찬 | |||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 | |||
SK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
SK실트론 | |||
유엔에이디지탈 | 98.0% | ||
계열사 계 | 50.0% | 98.0% | 90.9% |
주1) 6월 말 기준일 기점 실제 지분 소유 여부에 따라 작성함주2) 공시서류작성일 이후 SK매직은 SK인텔릭스로, SK매직서비스는 SK인텔릭스서비스로 각각 사명 변경주3) 행복나무는 6월 26일 설립 후 현재 계열 편입 통지 전임주4) 서울공항리무진, SK일렉링크, 굿서비스, 인프라커뮤니케이션즈 총 4개사는 6월말 현재 기업집단 에스케이의 소속회사이나, 6월 중 계열제외사유 발생하여 상기 표에는 제외함 |
2. 타법인 출자 현황 가. 타법인 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등 - 해당사항 없음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 해당사항 없음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 해당사항 없음 4. 대주주에 대한 주식기준보상 거래 - 해당사항 없음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당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중 17.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또는 5. 재무제표 주석 중 17.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공시의 진행현황 (1) 진행상황
신고일자 | 계약내역 | 계약금액 | 판매ㆍ공급금액 | 대금수령금액 | ||
총액 | 당기 | 누적 | 당기 | 누적 | ||
2023.08.21 | - 계약명 : 세포배양 독감백신 원액 공급계약- 계약상대방 : 태국 GPO(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 태국 BGT(Biogenetech Co., Ltd.)- 계약기간 : 2023.08.18 - 2033.08.18- 주요 계약조건 : 세포배양 독감백신 원액 공급 | USD 50,680,000 |
USD 491,397 |
USD 491,397 |
USD 99,072 |
USD 99,072 |
2023.11.29 | - 계약명 : 코로나19 백신(스카이코비원) 정부 선구매 계약- 계약상대방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 계약기간 : 2022.03.21 - 2025.12.31- 주요 계약조건 : SK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 및 생산한 코로나19 백신(스카이코비원) 또는 노바백스(Novavax, Inc.)가 개발한 뉴백소비드 공급 | 200,000 백만원 | - | 178,382 백만원 | - | 200,000 백만원 |
2025.06.04 | - 계약명 :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 계약- 계약상대방 : 대한민국 조달청- 계약기간 : 2025.06.04 - 2026.06.30- 주요 계약조건 :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 | 22,728 백만원 | - | - | - | - |
(2) 대금 미수령 사유 상기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백신 공급 계약'은 2025년 6월 체결된 계약으로, 향후 절차에 따라 독감백신을 공급하고 대금을 수령할 예정입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
(기준일 : 2025.06.30) |
구 분 | 소 제기일 | 원고 | 피고 | 소송의 내용 | 소송가액 | 진행상황 |
---|---|---|---|---|---|---|
특허권침해금지소송 | 2024.12.19 | 와이어쓰 LLC, 한국화이자제약(주) | SK바이오사이언스(주) | 13가 폐렴구균백신 관련 특허침해 금지 및 손해배상 청구 | 1억 원 | 판결 확정(당사 승소) |
손해배상청구소송 | 2023.12.13 | 대한민국 (질병관리청) | SK바이오사이언스(주) | SK디스커버리, SK케미칼로부터각 분할 전 행위 관련 손해배상 청구 | 1만 원(주1) | 1심 진행중 |
불공정무역행위판정 등취소청구 소송 | 2024.03.21 | SK바이오사이언스(주) | 무역위원회 | 13가 폐렴구균백신 관련무역위원회 시정명령 등 취소 청구 | 105 백만원 | 판결 확정(당사 승소) |
(주1) 해당 소송의 소송가액은 소제기일을 기준으로 원고가 SK디스커버리 및 SK바이오사이언스 등 연대채무자들을 상대로 청구한 금액을 기재한 것으로 소송가액은 소송 진행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해당사항 없음
다. 채무보증현황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가 종속기업의 지급이행과 관련하여 제공하고 있는 지급보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채무자(회사와의 관계) | 채권자 | 채무금액 | 채무보증금액 | 채무보증기간 | 채무보증조건 |
---|---|---|---|---|---|
IDT Biologika GmbH(종속회사) | 한국산업은행,KDB아일랜드, 농협은행 | 185,186 | 222,224 | 2024.10.11~2029.10.11 | 채무자의 대출금액전액상환 완료시까지 |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 해당사항 없음 마. 그 밖의 우발 채무 등 (1) 약정 내역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금융기관과 체결한 약정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금융기관 | 구 분 | 한도액 | 실행액 |
---|---|---|---|
하나은행 | 외상매출금담보대출 | 4,000 백만원 | 83 백만원 |
파생상품보증금 면제약정 | USD 73,000,000 | - | |
신한은행 | 외상매출금담보대출 | 3,000 백만원 | - |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 5,000 백만원 | - | |
파생상품(한도거래) | USD 15,048,000 | - | |
우리은행 |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 5,000 백만원 | - |
시설자금대출 | 250,000 백만원 | 80,000 백만원 | |
수협은행 | 파생상품(한도거래) | 15,000 백만원 | USD 5,282,902 7,142 백만원 |
한국산업은행/농협은행 | 인수금융(주1) | EUR 74,000,000 | EUR 74,000,000 |
일반자금대출 | EUR 125,000,000 | EUR 125,000,000 | |
JP Morgan Chase Bank(주2) | 파생상품(한도거래) | - | USD 20,754,141 AUD 537,133 EUR 292,830 |
(주1) 당사가 취득한 IDT Biologika GmbH 및 Technik-Energie-Wasser Servicegesellschaft mbH의 지분증권을 담보로 제공하였습니다.(주2) 결제일별 한도액이 USD 100,000,000이며, 실행액은 2025년 6월의 거래금액의 합계입니다. |
(2) 담보제공 및 기타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담보제공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용 | 금액 |
---|---|---|
정기예금 | 우리사주조합 대출 담보 제공 | 1,600 |
가. 제재현황
[SK바이오사이언스] (1) 수사ㆍ사법기관의 제재현황- 해당사항 없음(2) 행정기관의 제재현황(가) 기타 행정ㆍ공공기관의 제재현황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사유 |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회사의 이행 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회사의대책 |
2023.07.12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 과태료 부과 및 시정명령 | 100만원 | 개인정보보호 법규 위반 | 개인정보 보호법 제 26조(업무위탁에 따른개인정보의 처리 제한) | 과태료 자진 납부 완료및 시정명령 이행 완료 | 개인정보 보호 관련교육 및 감독 절차 마련 |
※ 당사는 13가 폐렴구균백신 관련하여 2024년 2월 22일 무역위원회로부터 불공정무역행위를 사유로 시정조치 명령, 과징금 납부 명령 및 시정명령을 받은 사실의 공표 명령을 받은 바 있으나, 무역위원회의 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행정소송에서 당사가 최종 승소함에 따라 무역위원회가 부과한 모든 처분은 취소되었으며, 기납부한 과징금 전액을 환급 받았습니다. |
[IDT Biologika]- 해당사항 없음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사유 |
근거법령 |
처벌 또는 조치에 대한회사의 이행 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회사의대책 |
2023.07.11 |
한국거래소 |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주) |
공시위반제재금 |
800만원 |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의 지연공시 |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제35조 및 제38조의2 |
공시위반제재금 납부 | 내부교육 시행 및관련 공시 시스템 구축 |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SK바이오사이언스]- 해당사항 없음[IDT Biologika]- 해당사항 없음
나.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다. 합병등의 사후정보 - 해당사항 없음 라. 녹색경영 당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 제27조 제1항에 따른 관리업체에 해당하며, 같은 법 제27조 제3항에 따라 정부에 보고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사업장명 |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tCO2e) | 연간 에너지 사용량 (TJ) | |||||
직접배출 | 간접배출 | 총량 | 연료사용량 | 전기사용량 | 스팀사용량 | 총량 | ||
2024년 | L HOUSE | 5,165 | 12,187 | 17,352 | 101 | 255 | 0 | 356 |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주1) IDT Biologika GmbH의 종속기업입니다.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주1) 서울공항리무진, 인프라커뮤니케이션즈 계열 제외 진행중주2) 굿서비스 계열제외 완료 (7/10)주3) 해외계열회사는 비상장사로 분류함 |
(*) 사명 변경 : SK(주) (舊 SK C&C(주)), 엔티스(주) (舊 SK사이텍(주)), 파주에너지서비스(주) (舊 피엠피(주)), SK엠앤서비스(주) (舊 엠앤서비스(주)), SK매직서비스(주) (舊 매직서비스(주)), SK디스커버리(주) (舊 SK케미칼(주)), (주)드림어스컴퍼니 (舊 (주)아이리버), SK오앤에스(주) (舊 네트웍오앤에스(주)), 울산GPS(주) (舊 당진에코파워(주)), 당진에코파워(주) (舊 당진에코태양광발전(주)), 나래에너지서비스(주) (舊 위례에너지서비스(주)), SK넥실리스 (舊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주)),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주) (舊 SK퍼포먼스머티리얼즈(주)), SK에어플러스(주) (舊 SK머티리얼즈에어플러스(주)), SK에코플랜트(주) (舊 SK건설(주)), SK지오센트릭(주) (舊 SK종합화학(주)), SK에코엔지니어링(주) (舊 BLH엔지니어링(주)), SK플러그하이버스(주) (舊 (주)해일로하이드로젠), SK스페셜티(주) (舊 SK머티리얼즈(주)), 디앤디프라퍼티솔루션(주) (舊 디앤디리빙솔루션(주)), SK엔무브(주) (舊 SK루브리컨츠(주)), SK레조낙(주) (舊 SK쇼와덴코(주)), SK엔펄스(주) (舊 SKC솔믹스(주)), SK오션플랜트(주) (舊 삼강엠앤티(주)), SK일렉링크(주) (舊 에스에스차저(주)), (주)유엔에이디지탈 (舊 (주)에이앤티에스), (주)유엔에이엔지니어링 (舊 유빈스(주)), (주)리뉴원 (舊 대원그린에너지(주)), 리뉴콘대원(주) (舊 대원하이테크(주)), 리뉴로지스(주) (舊 (주)이메디원로지스), 리뉴에너지충북(주) (舊 (주)클렌코), SK리비오(주) (舊 에코밴스(주)), SK온테크플러스(주) (舊 SK모바일에너지(주)), SK키파운드리(주) (舊 (주)키파운드리), 리뉴랜드경주(주) (舊 (주)와이에스텍), 리뉴랜드신경주(주) (舊 (주)삼원이엔티), 리뉴로지스(주) (舊 (주)이메디원로지스), 리뉴리퀴드서남(주) (舊 서남환경에너지(주)), 리뉴리퀴드호남(주) (舊 호남환경에너지(주)), 리뉴어스(주) (舊 환경시설관리(주)), 리뉴에너지경기(주) (舊 경기환경에너지(주)), 리뉴에너지경북(주) (舊 경북환경에너지(주)), 리뉴에너지경인(주) (舊 경인환경에너지(주)), 리뉴에너지충북(주) (舊 (주)클렌코), 리뉴에너지충청(주) (舊 충청환경에너지(주)), 리뉴원(주) (舊 대원그린에너지(주)), 리뉴콘대원(주) (舊 대원하이테크(주)), 티모르홀딩스(유) (舊 SKF&NHIS티모르홀딩스(유)), 프롭티어(주) (舊 (주)한국거래소시스템즈), 아이파킹(주) (舊 파킹클라우드(주)), 제주SKFC(주) (舊 제주유나이티드FC(주))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주1) 상기 지분율은 보통주 총수 대비 비율입니다.(주2) 상기 지분율은 발행주식 총수 대비 비율입니다.(주3) 당사는 Novavax Inc.의 주식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으로 지정함에 따라 평가손익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주4) 상기 지분율은 발행주식 총수 대비 비율입니다.(주5) 조건부 지분 인수 계약(SAFE)에 의한 투자로써 향후 후속 투자가 있을 시 약정된 조건에 따라 지분율이 결정됩니다.※ 전기 중 SK bioscience Germany GmbH는 신규출자를 통해 종속기업으로 편입되었습니다.※ 별도의 표시가 없는 법인은 모두 보통주 기준입니다. |
☞ 본문 위치로 이동 |
가. 라이센스아웃(License-out) 계약
(1) 품목 : 유전자재조합 Factor VIII (혈우병 치료제)
①계약상대방 |
CSL (호주) |
②계약내용 | 유전자재조합 Factor VIII(혈우병 치료제)에 대한 대상지역 독점 사용권 부여 |
③대상지역 | 대한민국을 제외한 전 세계 |
④계약기간 | 2009년 5월부터 Royalty Term Expiration까지 |
⑤총계약금액 | (주1) |
⑥수취금액 | (주1) (반환의무 없음) |
⑦계약조건 | (주1) |
⑧회계처리방법 | 매출로 인식 |
⑨대상기술 | 유전자재조합 Factor VIII |
⑩개발진행경과 | 2016년 미국 허가 획득 및 발매 이후 각 지역별 허가 획득하여 판매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2) 품 목 : 세포배양 독감백신 원액
①계약상대방 |
GPO (Government Pharmaceutical Organization, 태국),BGT (Biogenetech Co., Ltd., 태국) |
②계약내용 | 태국 GPO에 당사 세포배양 독감백신의 완제기술을 이전 함에 따라, 태국 BGT를 통해 태국 GPO에게 세포배양 독감백신 원액을 공급하는 건 |
③대상지역 | 태국 |
④계약기간 | 2023년 8월부터 2033년 8월까지 |
⑤총계약금액 | US$50,680,000 |
⑥수취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주1) |
⑧회계처리방법 | (주1) |
⑨대상기술 | 세포배양 독감백신 |
⑩개발진행경과 | 현지 기술이전 완료, 허가 진행 중 |
⑪기타사항 | 상기 계약금액은 계약 상 최소 구매수량 및 단가에 근거한 금액이며, 계약상대와의 합의에 따라 추후 변동 가능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나. 라이센스인(License-in) 계약 (1) Novavax COVID-19 백신 기술 도입
①계약상대방 |
Novavax (미국) |
②계약내용 |
Novavax가 개발한 COVID-19 백신을 대상지역에서 독점 또는 비독점적으로 개발, 생산, 판매할 수 있는 권한 허여 |
③대상지역 |
대한민국, 태국, 베트남 |
④계약체결시기 |
2021년 2월 |
⑤총계약금액 |
(주1) |
⑥지급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제품 판매 금액 중 일정액을 로열티로 지급 |
⑧회계처리방법 |
비용 인식 |
⑨대상기술 |
합성항원 방식의 COVID-19 백신 'NVX-CoV2373' 생산 기술 |
⑩개발진행경과 |
상업생산, 수입 및 판매 |
⑪기타사항 |
대한민국 내에서 Novavax가 개발한 COVID-19 백신(변종 항원 포함)에 대한 개발,생산, 및 판매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한을 2029년 2월 12일까지, 태국 및 베트남에 대해서는 비독점적인 권한을 2028년 6월 30일까지 허여함상기 국가(대한민국, 태국, 베트남)에 판매 시 순매출액의 일부를 Novavax에 로열티로 지급할 예정임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다. 공동개발 계약 (1) 품목 : 차세대 폐렴구균백신
①계약상대방 |
Sanofi (미국) |
②계약내용 | 차세대 폐렴구균백신의 공동개발 및 판매 |
③대상지역 | 전 세계 |
④계약체결시기 | 2014년 3월 (주1) |
⑤총계약금액 | US$ 45M + EU€ 350M (주2) |
⑥수취금액 | US$ 45M + EU€ 50M (반환의무 없음) |
⑦계약조건 | (주3) |
⑧회계처리방법 | 매출로 인식 |
⑨대상기술 |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개발 기술 |
⑩개발진행경과 | GBP410 :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중NextGen : 기초연구/비임상 시험 진행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2024년 12월 수정 계약을 채결하였습니다.(주2) 선급금 및 개발/허가 및 상업화에 따른 단계별 수령하는 마일스톤 합계 금액입니다.(주3)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2) 품목 : 장티푸스접합백신
①계약상대방 |
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국제백신연구소) |
②계약내용 |
장티푸스접합백신의 공동개발 |
③대상지역 |
전 세계 |
④계약체결시기 |
2013년 04월 |
⑤총계약금액 |
연구개발비 수령 |
⑥수취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IVI(국제백신연구소)가 개발한 장티푸스접합 백신에 대한 공정 개발 및 상업생산 공급 |
⑧회계처리방법 |
(주1) |
⑨대상기술 |
항원과 운반체 단백질의 conjugation 기술 적용 |
⑩개발진행경과 | 수출용 품목허가 획득, WHO PQ 인증 |
⑪기타사항 | IVI(국제백신연구소)로부터 장티푸스 단백접합 백신 기술 도입GF(게이츠재단)의 펀드를 통한 CMC 연구 및 생산 진행, 펀드 과제 종료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3) COVID-19 백신(GBP510) 프로젝트 연구/개발 계약
①계약상대방 |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②계약내용 | COVID-19 백신(GBP510) 프로젝트 연구/개발 |
③대상지역 | - |
④계약체결시기 | 2020년 12월 |
⑤총계약금액 | US$ 10.0M |
⑥수취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임상약 생산 및 임상1/2상 비용 지원, open access 정책 준수, 상업화시 COVAX facility 통한 백신 공급 |
⑧회계처리방법 | 연구개발비 차감 |
⑨대상기술 | SARS-CoV-2 바이러스항원에 대한 예방용 백신 |
⑩개발진행경과 | 국내 품목허가 획득, 추가 임상 연구 진행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4) COVID-19 백신(GBP510) 프로젝트 연구/개발 추가 지원 계약
①계약상대방 |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②계약내용 | COVID-19 백신(GBP510) 프로젝트 연구/개발 추가 지원 계약 |
③대상지역 | - |
④계약체결시기 | 2021년 5월 |
⑤총계약금액 | US$ 200.1M |
⑥수취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Scale-up생산, variant 백신 개발, 임상 3상 및 추가 임상 관련 지원, open access 정책 준수, 상업화시 COVAX facility 통한 백신 공급 |
⑧회계처리방법 | 연구개발비 차감 |
⑨대상기술 | SARS-CoV-2 바이러스항원에 대한 예방용 백신 |
⑩개발진행경과 | 국내 품목허가 획득, 추가 임상 연구 진행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5) 광범위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GBP511) 프로젝트 연구/개발 계약
①계약상대방 |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②계약내용 | 광범위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GBP511) 프로젝트 연구/개발 계약 |
③대상지역 | - |
④계약체결시기 | 2021년 12월 |
⑤총계약금액 | US$ 57.6M |
⑥수취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항원후보물질 발굴, 전임상 및 임상1/2상 시험, open access 정책 준수, 상업화시 COVAX facility 통한 백신 공급 |
⑧회계처리방법 | 연구개발비 차감 |
⑨대상기술 | 사베코바이러스(SARS-CoV 및 SARS-CoV-2 변이 포함) 항원에 대한 예방용 범용백신 |
⑩개발진행경과 | 임상 시료 생산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6) Nasal Spray
①계약상대방 |
IAVI (International AIDS Vaccine Initiative, 국제에이즈백신추진본부) |
②계약내용 | COVID-19 , 독감 등 호흡기 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를 위한 Nasal spray 의약품 플랫폼 구축 |
③대상지역 | - |
④계약체결시기 | 2021년 11월 |
⑤총계약금액 | US$ 4M (주1) |
⑥수취금액 | (주2) |
⑦계약조건 | 공정 개발, Scale-up study 및 임상약 생산 |
⑧회계처리방법 | 연구개발비 차감 |
⑨대상기술 | 비강 내 호흡기 바이러스 수용체에 투여 단백질이 결합하여, 바이러스의 인체 수용체 결합 및 감염을 방어하는 기전 |
⑩개발진행경과 | 임상 시료 생산 완료, 안정성 시험 진행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추가 펀딩으로 총계약금액이 US$ 3.6M에서 US$ 4M로 변경되었습니다.(주2)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7) 일본뇌염 바이러스/라싸열 mRNA 백신(GBP560, GBP570) 개발
①계약상대방 | CEPI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 전염병예방혁신연합) |
②계약내용 |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라싸열(Lassa fever) 바이러스 mRNA 백신 플랫폼 연구/개발 |
③대상지역 | - |
④계약체결시기 | 2022년 10월 |
⑤총계약금액 | US$ 140.0M(최대) |
⑥수취금액 | (주1) |
⑦계약조건 | (주1) |
⑧회계처리방법 | 연구개발비 차감 |
⑨대상기술 | 일본뇌염 바이러스와 라싸열 바이러스항원에 대한 예방용 mRNA 백신 |
⑩개발진행경과 | 일본뇌염 바이러스 mRNA 백신: 임상 1/2상 진행 중라싸열 바이러스 mRNA 백신: 기초연구 진행 중 |
⑪기타사항 | - |
(주1) 세부 내용은 영업기밀에 해당되어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 본문 위치로 이동 |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연구개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품목 : GBP410
①구 분 | 백신제제 |
②적응증 |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질환, 급성 중이염 및 폐렴 예방 |
③작용기전 | 폐렴구균 항원에 대한 예방용 백신 |
④제품의 특성 | 다당체 항원과 접합단백질의 결합 |
⑤진행경과 | 미국 임상 2상 완료 (2020년-2023년, 소아/성인 대상),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중 |
⑥향후계획 | 글로벌 임상 3상 완료 및 허가 신청 (소아 대상) |
⑦경쟁제품 | 프리베나13 (Pfizer), 프리베나20 (Pfizer), 신플로릭스(GSK), 박스뉴반스(Merck) |
⑧관련논문 | Creation, characterization, and assignment of opsonic values for a new pneumococcal OPA calibration serum panel (Ewha QC sera panel A) for 13 serotypes. Medicine (Baltimore). 2018 Apr;97(17):e0567. doi: 10.1097/MD.0000000000010567. |
Comparative evaluation of a newly developed 13-valent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in a mouse model. Hum Vaccin Immunother. 2017 May 4;13 (5):1169-1176. doi: 10.1080/21645515.2016.1261772. Epub 2016 Dec 14. | |
⑨시장규모 | USD 7,939 million in 2024 (출처: Evaluate Pharma, 2025) |
⑩기타사항 | Sanofi와 공동연구 진행 |
(2) 품목 : NBP615
①구 분 | 백신제제 |
②적응증 | 자궁경부암 및 생식기 사마귀 예방 |
③작용기전 | 인유두종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예방용 백신 |
④제품의 특성 | Virus-like particle 활용 |
⑤진행경과 | 임상1/2상 완료 (2019년) |
⑥향후계획 | 추후 개발 전략 결정 |
⑦경쟁제품 | 가다실(Merck), 서바릭스(GSK) |
⑧관련논문 | - |
⑨시장규모 | USD 9,290 million in 2024 (출처: Evaluate Pharma, 2025) |
⑩기타사항 | - |
(3) 품목 : NBP613
①구 분 | 백신제제 |
②적응증 | 소아장염 예방 |
③작용기전 | 로타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예방용 백신 |
④제품의 특성 | 로타바이러스 약독화 생백신 |
⑤진행경과 | 임상1/2상 완료 (2016년) |
⑥향후계획 | 추후 개발 전략 결정 |
⑦경쟁제품 | 로타릭스 (GSK), 로타텍 (Merck) |
⑧관련논문 | - |
⑨시장규모 | USD 2,432 million in 2021 (2023년, 출처: Global Vaccine Market Model- data-sharing collaboration between BMGF, Gavi, UNICEF and WHO managed by Linksbridge) |
⑩기타사항 | - |
(4) 품목 : GBP560
①구 분 | 백신제제 |
②적응증 | 일본뇌염 예방 |
③작용기전 | 일본뇌염 바이러스 항원에 대한 예방용 백신 |
④제품의 특성 | mRNA 백신 |
⑤진행경과 | 임상 1/2상 진행 중 |
⑥향후계획 | 임상 3상 진행 및 허가 신청 |
⑦경쟁제품 | 이모젭(Substipharm), 익시아로(Valneva) |
⑧관련논문 | - |
⑨시장규모 | USD 135 million in 2024 (출처: Evaluate Pharma, 2025) |
⑩기타사항 | CEPI 펀드를 통한 개발 진행 |
※ 기초연구 및 비임상, 기술이전 단계 품목은 상세표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