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 월 11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
대 표 이 사 : 허 용 호
본 점 소 재 지 : 충청남도 당진시 시곡로 307
(전 화)070-7563-6333
(홈페이지)http://www.joosungcorp.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박 대 원
(전 화) 02-2027-470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6기 정기)

주주각위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 정관 제16조의 규정에 의거, 제1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8조에 의거, 본 공고로 갈음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6일(수) 오전9시

2. 장 소 : 충청남도 당진시 시곡로 307, 당사 강당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16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하나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주신분증 사본과 위임장(주주 인적사항 기재, 인장날인 또는 자필서명, 법인 주주의 경우 법인인감 날인 및 법인인감 증명서 첨부) 및 대리인의 신분증

※ 금번 주주총회에서는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하였으니 이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기훈 김한규 이수영 김상용 이지은 임판식
출석률 100% 출석률 100% 출석률 100% 출석률 0% 출석률 0% 출석률 0%
출석 찬반 출석 찬반 출석 찬반 출석 찬반 출석 찬반 출석 찬반
1 2024.01.02 주선업 사업관련 협약 체결의 건 참석 찬성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2 2024.02.06 하나은행 여신거래 약정의 건 참석 찬성
3 2024.02.13 재무제표 승인의 건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참석 찬성
4 2024.03.11 하나은행 여신거래 약정의 건 참석 찬성
5 2024.03.13 정기주주총회 안건 확정의 건 참석 찬성
6 2024.03.13 자회사 금전대여의 건일본 수출물품에 대한 무역조건 변경의 건 참석 찬성
7 2024.03.27 타법인주식 처분의 건 참석 찬성
8 2024.04.05 이사회내 위원회 운영의 건 참석 찬성 참석 찬성 참석 찬성
9 2024.05.17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참석 찬성 참석 찬성 참석 찬성
10 2024.05.27 지점설치의 건 참석 찬성 참석 찬성 참석 찬성
11 2024.06.12 임시주주총회 안건 확정의 건 참석 찬성 참석 찬성 참석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보수위원회

사외이사 이수영

사내이사 박승희

사외이사 박기훈

2024.06.12

- 정기주주총회에서 결의된 이사보수한도의 적정성 검토의 건

- 등기이사 보수 결정의 건

- 법인카드 사용한도에 대한 검토의 건

가결

감사위원회

사외이사 김한규

사내이사 장준식

사외이사 이수영

2024. 5.10

-제 16기 1분기 연결, 별도 재무제표 검토의 건

-제 16기 1분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상황 검토의 건

가결
2024.06.12 -임시주주총회 안건 검토의 건 가결

사외이사 김한규

사내이사 장준식

사외이사 이수영

사외이사 이지은

2024.08.09

-제 16기 반기 연결, 별도 재무제표 검토의 건

-제 16기 반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상황 검토의 건

가결
2024.11.12

-제 16기 3분기 연결, 별도 재무제표 검토의 건

-제 16기 3분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상황 검토의 건

가결
사외이사 후보추천 위원회

사외이사 박기훈

사내이사 박지현

사외이사 김한규

2024.06.11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가결
투명경영위원회

사외이사 김한규

사내이사 장준식

사외이사 박기훈

2024.05.14

-개선계획 이행내역 진행사항 검토의 건

-사업협약서 내용 검토의 건

가결

사외이사 김한규

사내이사 장준식

사외이사 임판식

2024.11.12

-개선계획 이행내역 진행사항 검토의 건

-사업협약서 변경 내용 검토의 건

-부패방지경영시스템(ISO 37001) 인증 취득 제안의 건

가결
2024.12.18 -사내이사 사임 권고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6 1,200,000 34,560 5,76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RFWINDOW JAPAN(종속기업) 매출 등 2024.01~2024.12 20 2.99%
JSL LOGISTICS INC(기타특수관계자) 매출 등 2024.01~2024.12 53 7.99%

※ 거래금액은 직전사업연도 매출총액의 100분의 5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거래입니다. ※ 비율은 2024년도 별도 재무제표상의 매출액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통신네트워크사업■ 커스터머사업■ 물류사업

가. 업계의 현황

■ 통신네트워크사업부문 [중계기사업]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전 세계 정보통신 산업은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에 기여하며, 다양한 산업과 융합하여 새로운 시장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통신산업은 방송, 컴퓨터,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메타버스, 양자통신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단순한 통신 서비스의 범위를 넘어 디지털 경제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스마트폰의 등장 이후, 4G LTE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초고속 무선 데이터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이에 따라 관련 산업도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2019년 4월, 대한민국은 세계 최초로 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하며 네트워크 인프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었습니다. 5G는초고속(ultra-high speed), 초저지연(ultra-low latency), 초연결성(massive connectivity) 특성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차, 가상·증강현실(VR/AR), 스마트 팩토리,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 중계기 산업은 무선 통신망의 음영지역 해소 및 통화 품질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로, 기존 기지국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중계기는 기지국 대비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유연성이 높아, 현재까지도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네트워크 확장 방식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5G 네트워크의 고주파 특성상 전파 도달 거리가 짧아 중계기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중계기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 장비 시장은 ▲기존 통신망의 유지보수 ▲신규 통신 서비스 확대에 따른 장비 투자 ▲통신 사업자 간 망 품질 차별화 경쟁 등에 의해 주도되고 있습니다. 통신 사업자들은 매년 효율적인 투자 전략을 통해 중계기를 운영하며, 특히 5G 네트워크의 고도화와 사물인터넷(IoT) 기기 확산에 대비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 역시 5G 서비스의 확산과 데이터 트래픽의 폭증으로 중계기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모바일 인터넷 보급률 증가와 스마트폰 사용자 확대는 중계기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앞으로도 한국은 첨단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과 6G 기술 개발을 통해 글로벌 통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적 수출 산업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이동통신 중계기 산업은 CDMA, WCDMA, WIBRO, LTE 등 다양한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함께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국내에서는 2011년 7월 LTE(4G) 서비스가 개시되면서 초고속 데이터 통신 시대가 본격화 되었으며, 일본은 2006년 WCDMA 도입과 함께 설비 투자를 확대하며 ICS 중계기, 가정용 RF 중계기 등의 신규 수요를 창출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국내 중계기 업체들은 해외 시장 진출의 기회를 확보했으며, 현재까지 LTE에서 5G로의 진화 속에서 지속적인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2019년 4월,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5G 이동통신이 상용화되면서 3.5GHz 및 28GHz 대역이 주요 주파수로 활용되었고, 이에 따라 중계기 설비 투자 및 기술 표준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었습니다. 5G 네트워크는 기존 4G 대비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 도달 거리가 짧고 장애물에 취약한 특성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중계기의 필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특히 실내 및 도심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을 위해 중계기 설비 투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5G 네트워크 인프라 확대를 위한 투자가 지속되고 있으며, 주요 통신사와 정부 기관들은 5G의 상용화와 확산을 위해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은 5G 인프라 구축을 국가 전략 프로젝트로 추진하며, 이는 중계기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6G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통신 산업은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6G는 5G의 한계를 넘어 초저지연(0.1ms 이하), 초고속(1Tbps 이상), 초연결성(100만 개/km² 이상의 디바이스 연결)을 실현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홀로그램 통신, 디지털 트윈, 양자통신등 미래 기술의 상용화가 가능해질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중계기 및 광통신 장비 시장은 6G 네트워크의 핵심 인프라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AI기반 네트워크 최적화 기술,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스마트 시티, 산업 자동화(스마트 팩토리), 메타버스 등 다양한 기술과의 융합이 가속화되면서 중계기의 역할과 수요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티와 스마트 팩토리는 수많은 IoT 기기와 센서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해야 하며, 이를 위해 안정적이고 고성능의 통신 인프라가 필수적입니다. 또한, 자율주행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초저지연 통신이 가능한 중계기 네트워크가 핵심 인프라로 작용할 것입니다.

이러한 기술적 발전과 시장 수요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중계기 산업은 단순한 통신 인프라를 넘어 디지털 경제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국내 중계기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5G 및 6G 시대에 걸맞은 기술 혁신과 시장 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국내에서는 5G 기지국 설치 및 네트워크 고도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존 브로드밴드 네트워크의 용량 증대를 위한 투자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네트워크의 고주파 특성상 전파 도달 거리가 짧아 중계기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이는 실내 및 도심 지역에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중계기 설비 투자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통신 사업자 간 경쟁 심화와 망 품질 차별화를 위한 투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5G 네트워크 구축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신흥국에서는 4G 네트워크 확대 및 업그레이드가 진행되면서 무선 중계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은 5G 상용화를 위해 막대한 투자를 진행 중이며, 인도, 동남아시아, 중동 등 신흥국들은 아직까지 4G 네트워크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중계기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트래픽 증가와 스마트폰 데이터 사용량 확대로 인해 중계기 및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 종료 이후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되면서 기업과 정부 기관들이 5G 및 6G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원격 근무, 온라인 교육, 비대면 서비스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서 안정적이고 고성능의 통신 인프라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이는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통신사는 5G투자를 뛰어넘어 비 육상(NTN:Non-Terrestrial Network)을 포함한 커버리지 확장기술로써 위성 및 고고도플랫폼(HAPS:High-Altitude Platform Station)을 이용한 산간, 해상, 우주공간까지 커버가 가능해진 NTN확장검토가 시작되었습니다.또, 주파수영역의 광 대역화 및 주파수이용의 고도화기술에서는 6G향에 5G보다 더 높은 주파수대역인 미리파, 100?300 GHz의 테라 헤르쯔파에 적합한 무선기술을 확립시키고 전파전반특성의 명확화, 전반 모델의 구축, 디바이스 기술의 과제 해결을 중요시하게 될 것입니다.무선통신시스템의 다기능화 및 다양한 영역의 AI기술의 활용 전파 측정으로 얻은 정보에 추가로 영상 및 다양한 AI기술로 해석하여, 무선통신제어의 고도화, 고 정밀 측위, 물체 검출, 무선급전등을 활용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경기변동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이동통신 중계기 산업은 단기적으로는 5G 네트워크 확대와 디지털 전환 가속화에 따른 수요 증가로 성장할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6G 기술 개발과 미래 기술 융합에 따른 새로운 시장 창출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중계기 업체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4) 경쟁 요소

과거에는 약 100여 개의 중계기 업체가 난립해 있었으나, 현재는 독자적인 기술 개발 역량과 영업력을 갖춘 10개 내외의 기업으로 시장이 재편되었습니다. 이는 중계기 산업이 기술 집약적이고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진화하면서, 기술력과 품질 경쟁력이 없는 중소 업체들이 도태된 결과입니다.

현재 광중계기가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소형 ICS 중계기 및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분산 안테나 시스템) 장비의 해외 신규 수주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AS는 실내 및 대형 건물에서의 네트워크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필수 장비로, 5G 네트워크의 확산과 함께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주요 국내 고객사는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대형 이동통신 사업자이며, 해외 고객사는 일본, 유럽, 미국, 동남아시아, 중동 등 다양한 국가에서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국내 통신 사업자들은 전파 음영 지역 해소, 통화 품질 개선, 신규 서비스 구축을 위해 중계기 수요가 발생하면 제한경쟁 방식의 인증시험을 통해 품질과 성능이 우수한 업체를 협력사로 선정한 후, 선정된 업체들 간 경쟁 입찰을 통해 최종 공급업체를 결정하는 구조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는 통신 사업자들이 기술력과 품질을 중시하는 동시에,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

한편, 최근 반도체 가격 상승, 원자재 비용 증가, 글로벌 물류 비용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해 중계기 업체들은 원가 연동제 방식의 계약 모델을 통해 통신 사업자들과 협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원자재 수급 차질이 지속되면서, 중계기 생산 비용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중계기 업체들은 원가 절감을 위한 기술 혁신과 공정 효율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통신 사업자들과의 협상을 통해 공급 가격의 안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계기 업체들은 R&D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및 6G 네트워크에 최적화된 중계기 기술 개발, 에너지 효율성 향상, 소형화 및 경량화 등 기술 혁신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환경 속에서 중계기 업체들은 기술력, 품질, 비용 효율성, 글로벌 시장 대응력 등 다양한 요소를 균형 있게 강화해야 하며, 이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Optical사업]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광통신 산업은 기존의 전통적인 통신 매체인 전기·전자 기반 네트워크에서 광신호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진화하면서 발전해온 산업입니다. 광기술과 통신기술이 융합되면서 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졌으며, 이를 기반으로 5G, AI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컴퓨팅, IoT(사물인터넷), 자율주행 인프라와 같은 최신 ICT(정보통신기술) 산업과 긴밀하게 연계되고 있습니다.

광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됩니다.

1) 광송신부(Optical Transmitter): 전기 신호를 빛 신호로 변환하는 발광소자(LD/PD칩, 레이저 다이오드 등)**가 위치하며, 데이터를 광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합니다.

2) 광중계 및 전송부(Optical Transport & Relay): 변환된 광신호를 광섬유를 통해 장거리 전송하며, 중계기를 활용하여 신호 손실을 최소화하고 증폭합니다.

3) 광수신부(Optical Receiver): 수신된 빛 신호를 다시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 장비 및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광통신 산업은 소재 개발 → 부품 및 모듈 생산 → 시스템 및 장비 구축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아래과 같이 각 단계에서 첨단 기술과 전문성이 요구됩니다.

▶ 소재 및 기초 기술 단계: 실리카, 실리콘 등 광소재 개발과 함께, 광반도체 칩(LD/PD칩, LED, 포토다이오드 등) 및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핵심 광소자가 제조됩니다.

▶ 부품 및 모듈 개발 단계: 광섬유, 능동·수동 광부품(광필터, 광증폭기, 광커넥터) 등이 생산되며, 광트랜시버,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모듈 등 주요 광모듈이 이 단계에서 만들어집니다.

▶ 시스템 및 장비 구축 단계: 최종적으로 광전송 장비, WDM(DWDM, CWDM) 시스템, 스위치·라우터, 가입자 단말 장비 등이 제조되며, 이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됩니다.

이처럼 광통신 산업은 초고속, 초저지연,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 5G 네트워크, AI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와 함께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트래픽의 폭증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가속화로 인해 광통신 기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광통신 산업은 단순한 통신 인프라를 넘어 메타버스, 양자통신, 홀로그램 통신 등 미래 기술의 핵심 기반으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타버스 구현을 위해서는 초고속 데이터 전송과 초저지연 통신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광통신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전통적인 ICT(정보통신기술)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정보를 수집·처리하는 연결 중심의 기술이었으나, 최근에는 거대한 데이터를 생성·축적하고, 이를 기반으로 AI(인공지능)를 활용한 분석·학습·추론을 통해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지능형 ICT(Intelligent ICT)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인프라의 역할은 단순한 연결 수단에서 벗어나, 데이터기반의 가치 창출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초연결(Hyperconnectivity)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 광통신 시스템 및 네트워킹 시장은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과 5G 네트워크의 확산, 데이터 센터의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2023년 약 3,163억 달러 규모였던 이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CAGR) 8.6%를 보이며 2030년에는 약 5,62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WDM(DWDM, CWDM) 기반 광전송 장비의 수요는 글로벌 통신 사업자들의 설비 투자 확대, 데이터센터 확산, 모바일 백홀 트래픽 증가 등의 요인으로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기존 광전송 장비 시장에서는 Huawei, ZTE(중국)가 적극적인 시장 확장을 시도하며 점유율을 확대해 왔으나, 최근 미국 및 유럽 주요 국가들이 중국산 네트워크 장비 도입을 제한하면서 시장 판도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국가 안보 및 네트워크 보안 이슈를 이유로 Huawei와 ZTE 장비 사용을 제한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유럽 주요 국가들도 중국산 네트워크 장비 배제 움직임을 보이며 대체 공급업체를 모색하는 상황입니다. 이는 중국산 장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글로벌 추세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Cisco Systems, Juniper Networks(미국) 및 Nokia, Ericsson(유럽) 등의 글로벌 네트워크 장비 제조사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국내 광전송 장비 제조사들도 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며 의미 있는 시장 점유율 확대 기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광전송 장비 기업들은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북미·유럽 시장뿐만 아니라, 중국 장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려는 동남아시아, 중동, 남미 등의 신규 시장에서도 점진적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업체들은 5G 특화망(Private 5G), AI 데이터센터, 차세대 광전송 솔루션(WDM-PON,광트랜시버) 분야에서 새로운 사업 기회를 창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5G 특화망과 AI 데이터센터의 확산은 광통신 산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5G 특화망은 제조업, 헬스케어,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맞춤형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하며, AI 데이터센터는 초고속 데이터 처리와 대용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광통신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광전송 솔루션인 WDM-PON,광트랜시버는 데이터 트래픽 폭증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국내 업체들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광통신 산업은 지능형 ICT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서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 기업들은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통해 이 성장세에 발맞춰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광통신 산업은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지만,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및 유지보수 수요가 지속되는 산업입니다. 경기 호황기에는 국가 기간망 확장, 5G 및 데이터센터 인프라 투자 증가로 인해 광전송 장비, 광트랜시버, Multiplexer WDM(DWDM, CWDM) 솔루션 등의 수요가 급증합니다.

또한, 정부 주도의 대규모 네트워크 투자가 활발해지면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프라 구축이 가속화됩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인프라 투자 법안(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과 유럽의 디지털 컴퍼스(Digital Compass) 정책은 광통신 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경기 침체기에도 광통신망은 필수 인프라로서 지속적으로 운영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IT 장비보다 수요가 급감하지 않는 특징을 가집니다. 데이터 트래픽의 지속적인 증가, 클라우드 서비스 확대, AI 기반 시스템 도입 등이 광통신 인프라의 필수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팬데믹 이후 원격 근무, 온라인 교육, 비대면 서비스 등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광통신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었습니다.

최근 전 세계적인 경기 변동성과 공급망 이슈로 인해 반도체 및 핵심 부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광통신 장비 제조업체들이 비용 절감 및 공급망 다변화 전략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예를 들어, 주요 기업들은 반도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다수의 공급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생산 공정의 효율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중국 장비 배제 정책으로 인해 Huawei, ZTE 등 중국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감소하면서, 이에 따른 대체 공급업체 발굴 및 신규 시장 개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5G 특화망(Private 5G), AI 데이터센터, 차세대 WDM-PON(Passive Optical Network) 솔루션 등과 같은 신규 기술 도입이 광통신 산업의 경기 변동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5G 특화망은 제조업, 헬스케어,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맞춤형 네트워크 구축을 가능하게 하며, AI 데이터센터는 초고속 데이터 처리와 대용량 데이터 저장을 위한 광통신 기술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WDM-PON 솔루션은 데이터 트래픽 폭증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는 광통신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처럼 광통신 산업은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안정적인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신규 기술 도입과 글로벌 시장의 변화에 발맞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4) 경쟁요소

당사는 오랜 기간 축적된 광통신 및 ICT 부품 생산 기술을 기반으로, 품질관리 시스템(QMS, Quality Management System)을 적용하여 안정적인 품질과 신속한 납품 대응, 효율적인 재고 관리를 통해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고객 신뢰를 확보하고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원격 네트워크 관리 및 전원 제어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인터넷망을 통해 전원 공급의 원격 제어(ON/OFF) 및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스마트 전력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데이터센터, 5G 기지국, AI 인프라, 스마트 팩토리 및 IoT 기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력 소모가 전체 운영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당사의 스마트 전력관리 솔루션은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광통신 제품뿐만 아니라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여,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산업용 자동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콘센트, 벽 스위치, 전력 모니터링 장치 등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단순한 광통신 장비 공급업체를 넘어, 에너지 관리와 네트워크 최적화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솔루션 기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5G 및 AI 데이터센터 확산, 클라우드 기반 네트워크의 증가에 따른 초고속 광통신 장비 및 전송 네트워크의 필요성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당사는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고성능 Multiplexer 등 최신 광통신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차별화된 기술력과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당사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5G·6G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 및 유럽 시장에서의 중국산 장비 배제 추세에 발맞춰, 당사는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 혁신을 추구하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통해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광통신 산업의 핵심 입지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커스터머사업부문 [블랙박스사업]

(1) 산업의 특성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의 주행 및 주차시 사고 등 분쟁에 대한 증거자료 및 교통법규 준수 유도, 교통법규 위반사례 단속, 범죄예방 뿐만 아니라, 차선이탈, 신호대기시 앞차 출발알림, 과속카메라 알림등 운전자 편의를 제공하는 시스템까지 지원하며 자동차 필수품으로 자리잡으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최근에는 화물차 및 대형차 안전사고와 관련된 졸음운전경보와 IoT를 적용하면 차량 사고 통보와 충격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받을 수 있고 차량 위치와 운행이력, 주차장소 확인 등 실시간 통신과 연계하며 블랙박스 활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국내 블랙박스 산업은 차량 안전에 대한 소비자 인식 확산과 운전관련 분쟁증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정부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사업용 차량에(대형 버스 및 화물차) 대한 의무화, 보조금 지급, 보험료 할인 등 국내 차량용 블랙박스의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또한, 해외 역시 사고로 인한 분쟁의 증가로 블랙박스 규제 완화 및 후방카메라 탑재 의무화를 확대하고 있으며 일본과 유럽 등 다양한 국가에서 장착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해 고화질 야간화질개선, 커넥티드 연결기능, 앞차출발알림(FVSA), 전방주돌경보(FCWS), 차선이탈경보(LDWS), 운행기록자기진단장치(OBD) 기능이 탑재된 고사양 블랙박스 제품 출시되고 있어 해외 블랙박스 시장은 점차 확대될것으로 예상됩니다.

블랙박스 수요전망.jpg -

글로벌 블랙박스 수요전망 (그래프 Update)

(3) 경기변동의 특성국내 완성차에 내장형 블랙박스인 '빌트인 캠(DVRS, Drive Video Record System)' 보급이 확대되어, 애프터 마켓이 주요 타깃인 블랙박스 업체들에게는 일정 부분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존업체들의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를 통하여 차선이탈경보(LDWS), 전방추돌경보(FCWS), 앞차출발알림(FVSA), 보행자인식경보(PCWS), 신호등변경 알림(TLCA), 급커브감속경보시스템(CSWS) 등을 통한 실시간 통신 연동, 스마트폰 연동등 기존 제품과 차별화되는 기술력으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다만, 소비자의 기호 및 경기변동에 따라 블랙박스의 판매는 유동적입니다. (4) 경쟁요소당사의 '위니캠(WINYCAM)' 블랙박스는 2002년 설립된 주식회사 위니테크놀로지의 오래된 업력 및 다양한 블랙박스 솔루션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핵심 기술로는 위니 부팅 제어 시스템(WLBS), 블랙박스 저전력 설계 알고리즘, 위니 포맷 프리 파일 시스템(WFFS), 위니 자동차 배터리 보호 시스템(WBPS) 등이 있으며, 당사는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하며 신제품 개발 및 생산 중에 있습니다. 향후 국내시장의 변화에 대비하여 해외 및 온라인 판매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TINT & PPF사업]

(1) 산업의 특성

차량용 윈도우 필름은 적외선 및 자외선 차단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유리 비산에 따른 2차 피해를 방지하며, 보호필름(PPF)은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차량을 보호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국내에서는 차량 구입시 필수로 시공하고 있는 추세이며, 해외 선진국에서는 보급형을 기본으로 고품질 차량용 윈도우필름이 수요가 증가하고 개발도상국에서는 보급형 차량용 윈도우필름의 대중화가 시작되면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차량용 외장보호필름인 PPF(Paint Protection Film) 시장은 현재 도입기 시장으로 고가 차량의 판매량 증가 등에 맞물려 태생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PPF시장은 차량을 외부충격 및 오물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때문에 고가 차량 소유주 및 자동차 튜닝 시장에서 상당히 높이 평가되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차량용 윈도우필름은 차량 보급률 및 글로벌 경제 성장률에 따라 시장규모가 변동되는 경향이 있으나, 경기 민감도가 낮은 시장이며 계절적 특성으로 인하여 겨울보다는 여름에 매출이 다소 높은 특성이 있습니다. PPF 필름은 Paint Protection Film 의 약자로 차량 도장용 보호 필름으로 운행 시 stone chip에 의해 차량 도장에 손상을 주는 것을 막아주는 보호필름으로서 세계적으로 활성화된지는 약 10년 정도 되었으며 국내에는 이제 막 도입기에 접어 들었습니다. PPF시장은 차량을 외부충격 및 오물에 대하여 차량을 보호하기 때문에 고가 차량 소유주 및 자동차 튜닝 시장에서 상당히 높이 평가되는 매력적인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 물류사업부문

(1) 산업의 특성

(가) 물류사업이란

물류(物流)는 물적유통(Physical Distribution)으로 생산자로부터 소비자까지의 물(物)의 흐름이며, 물류 사업은 국내ㆍ외적으로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물리적 경제활동으로 구체적으로 운송ㆍ보관ㆍ하역 등과 이에 부가되어 가공(포장, 조립 등)ㆍ정보 활동 등을 통한 부가가치의 창출 활동을 의미 합니다 또한, 최근 물리적 유통의 개념을 넘어 원자재 조달에서 회수까지 포함하는 Logistics와 환경 부하의 저감을 고려하는 Green 물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 되고 있습니다

물류사업 정의.jpg 물류사업 정의

(나) 물류사업의 범위

물류사업의 구분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1. 사업 운영 주체에 따른 구분

1) 자가물류(1PL) (First Party Logistics): 자체적인 물류 활동 수행

2) 자회사물류(2PL)(Second Party Logistics): 자회사 또는 계열사를 통해 물류서 비스 실행

3) 제3자물류(3PL) (Third Party Logistics): 업이 물류 업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위탁 하여 아웃소싱으로 실행

4) 제4자물류(4PL) (Forth Party Logistics): 물류 전반의 아웃소싱을 넘어 물류 컨설팅과 IT솔루션까지 제공

2. 사업 범위에 따른 구분

1) 화물 운송업,

2) 물류시설 운영업,

3) 물류서비스업

3. 사업 활동 영역에 따른 구분

1) 국내 물류

2) 국제 물류

사업 운영 주체에 따른 구분 상의 자사 물류(1PL)의 경우 고정 투자비 부담이 증가 하며 경기 변동과 수요 계절성에 의한 불량의 불안정 등의 단점이 존재하여, 물류 운송 규모가 크거나 물류 형태가 복잡한 국제 물류가 필요한 기업에서는 비용 절감, 효율성 향상 등의 이점을 가지고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2~3PL 형태로 물류 사업을 영위 하고 있습니다.

(다) 물류 사업의 특징

1) 외부 환경의 민감성

물류사업의 경우 매출원가 중 인건비, 유류비의 비중이 크고 영업자산 조달을 위한 장기미지급금의 규모가 크므로, 영업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유가, 금리, 환율 등의 변동과 국내외 경기 변동에 따른 내륙 화물 수송량 및 수출입 물동량의 변화에 민감합니다.

2) 화주 확보의 중요성

화주 확보는 물류업에서의 핵심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물류업은 단순히 수요를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조업이나 유통업과 같은 다른 산업의 요구에 따라 파생된 수요를 처리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물류전문업체의 서비스가 고비용이거나 비효율적이거나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화주 기업은 내부 자원을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물류를 운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이러한 특성으로 봤을 때, 물류업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고정거래 화주를 확보하는 것이며, 그를 통하여 안정적인 물동량을 확보함으로써 물류 네트워크의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수익의 안정성을 강화하여 투자의 회수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또한 지속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물류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증명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3) 차별화 어려운 서비스

물류 서비스는 무형적이며 소멸성을 갖는 특성으로 인해 차별화가 어렵습니다.이로 인해, 경쟁자가 쉽게 모방할 수 있어 동질적인 서비스 간 경쟁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최근에는 기업들이 물류의 중요성을 점차적으로 인식하면서 물류업체들이 서비스 차별화와 경제적 규모 확장을 위한 노력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이들은 업태 다각화를 통해 다양한 물류 프로세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매출 규모를 확대하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운수업 관련 지표.jpg 운수업 관련 지표

4) 물류산업 디지털 전환

물류 시장의 디지털 전환은 물류 서비스 품질 향상, 운영비 절감, 효율성을 극대화 목표로 하고 있으며, 5G, 사물인터넷, AI, 빅데이터 등과 결합된 고도화된 지능화 물류 시스템은 공급망 전체의 빠르고 정확한 실시간 정보를 파악하여 물류망 운영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예상치 못한 물류망 문제 발생 시 즉시 신고되어 빠르게 대응 할 수 있게 합니다

5g 기반 기술.jpg 5G 기반 기술

(2) 산업의 성장성

물류업(육상운송 및 물류시설운영, 물류서비스업)은 계절적 경기변동이 크지 않으며, 특히 항공이나 해운 등 글로벌 경쟁체제에 놓인 운송 산업에 비해 낮은 변동성을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물류는 국내 경제성장률, 수출입물류, 내수시장의 제조업과 유통업 업황 등의 영향을 받지만, 기본적으로 경제성장과 함께 상품 수요가 증가하면서 관련 물동량도 증가하기 때문에 시장규모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특히, 상품가격 변동에도 불구하고 화물의 이동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수요산업의 가격 및 경기 변화에 비해 물류업의 변동성은 낮은 수준을 보이게 되며, 물류업 내의 경쟁 및 구조 변화와 이에 따른 서비스 수수료 변화 등으로 인해 개별 업체는 성장과 쇠락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jpg 산업의 성장성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등

■ 통신네트워크사업부문[중계기사업]

(1) 영업 개황

당사는 2021년 4월 자회사인 (주)알에프윈도우와 흡수합병을 통해 사업의 다변화를 추진하였습니다. (주)알에프윈도우는 이동통신용 ICS/RF 중계기, 네트워크 최적화 컨설팅, 중계기 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이동통신 중계기용 UPS, 감시박스 설계 및 공급, 5G 안테나 내장용 공용기 및 대역결합기 등을 주요 제품으로 개발 및 생산해 왔습니다. 이번 합병을 통해 당사는 중계기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기술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중계기 제품의 핵심 기술로는 ICS(Interference Cancellation System) 중계기 기술이 있습니다. ICS 중계기는 기존 RF 중계기에 비해 소형화와 간소화가 가능한 획기적인 기술로, 이동통신 중계기 시장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ICS 중계기 기술을 세계 최초로 상용화하여 기술적으로 선구자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일본의 NTT DOCOMO에 제품을 공급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당사의 중계기 기술력은 세계 최초로 ICS 중계기를 상용화한 기술을 기반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CAPEX(설비투자비용)와 OPEX(운용비용) 절감을 통한 효율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국내 중계기 업계에서 기술력, 생산 시설, 매출 규모 등에서 타 업체 대비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작년 일본 NTT DOCOM와 국내 LG U+ 통신사의 신규 중계기 공급을 위한 RFP(Request for Proposal)에 참가하여, 동축분배장비 사업권과 5G와 LTE가 동시에 서비스 가능한 5G 중형 중계기 사업권을 획득하였습니다. NTT DOCOMO동축분배장비는 중소규모 빌딩의 서비스 강화를 위하여 동축케이블로 연결하여 케이스케이드 효과를 살려 더욱 더 넓은 커버리지 확충에 기여할 것이며 기존 장비의 노화로 인하여 전체 물량 교체가 기대되는 장비입니다.

LGU+ 5G 중형중계기는 전세계적 탄소중립 흐름에 맞춰 System 내부의 HPA(High Power Amplifier)에 Pre-distortion 기술을 적용하여, 5W 고출력 장비의 소모전력을 20%이상 감축과 동시에 5W 이상의 고출력으로 5G network과 연동되어, 건물 내 통화품질 및 data 서비스 품질과 커버리지가 크게 향상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이런 신규 사업을 통해 2025년 중계기 사업에서 긍정적인 매출 및 사업 확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은 2026년 3G 서비스 중단을 예정하고 있어, 2025년까지 기존 감시박스 및 기타 장비들을 LTE 대응 제품으로 전면 교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가 현재 NTT DOCOM에 납품 중인 감시박스 및 옥외 대형 장비 등의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일본 시장은 당사에게 중요한 해외 시장 중 하나로, 향후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핵심 지역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기술력과 시장 경쟁력을 바탕으로 당사는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5G 및 6G 네트워크 시대에 걸맞은 기술 혁신과 사업 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입니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

당사는 대한민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5G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 솔루션을 제공 및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용망과 별도로 운영되는 5G 특화망(Private 5G) 및 맞춤형 주파수 솔루션을 공급하며, 다양한 산업에서의 5G 도입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일본 시장에서는 기존 이동통신사의 5G 전국망 구축이 장기간 소요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2019년 12월부터 ‘5G 특화망(로컬 5G)’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유선 사업자, 5G 장비 업체, 제조업체 등이 해당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당사도 일본 내 5G 특화망 사업자들과 협력하여, 스마트팩토리, 스마트 시티, IoT 기반 인프라 구축을 위한 맞춤형 중계기 및 네트워크 솔루션을 공급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 또한 5G 특화망 도입 이후, 대형 IT 기업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자가망 구축 및 기업 맞춤형 5G 서비스 도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5G 특화망 도입 정책 발표 이후, 네이버 등 대형 고객이 직접 사업에 필요한 자가망을 구축하거나 5G 장비 업체 등의 사업자가 5G 특화망 사업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이 있으며, 네이버는 100대 이상의 자율주행 로봇, 한전은 발전소 및 자회사의 설비 관리 관제, 삼성전자는 기업고객대상으로 5G 장비와 Managed Serviece, LG전자는 기지국과 서버등 결합하는 솔루션 제공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또한, 기타 공공기관 사회안전분야 사업 진출을 위해 소방청이 추진하는 드론 규제샌드박스 참여사업자에 참가하여, 군집드론부대의 화재진압 및 인명구조 시스템에 당사 드론 중계기를 접목하여, 안정적인 기술 구현을 통한 공익 목적의 통신환경 구축 솔루션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추진중에 있습니다.현재 동종 업계의 시장점유율과 관련된 공식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Optical사업] (1) 영업 개황

당사는 2017년 9월 (주)위니테크놀러지와의 흡수합병을 통해 Optical 부품 제조 및 공급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현재 5G 및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을 위한 광통신 솔루션을 개발·제조·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광통신 산업의 핵심 플레이어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당사의 Optical 제품은 LTE, 5G 및 차세대 네트워크의 고속·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고성능 광전송 솔루션으로, 기존의 CWDM(Coar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서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으로 전환하여 단일 광 회선에서 다중 신호를 결합및 분리할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기술을 활용한 광 MUX(Multiplexer) 솔루션은 5G 기지국, AI 데이터센터, 스마트 팩토리,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다양한 산업의 네트워크 인프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광 MUX는 광신호를 다중화 및 분리하는 솔루션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특히 5G 네트워크 및 대규모 데이터센터에서 고효율 광전송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면서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광 점퍼코드, 광 감쇠기(Attenuator), 광 스위치 등 다양한 Passive Optical 제품을 안정적인 품질로 국내외 주요 통신사업자 및 장비 제조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은 광통신 네트워크의 신호 전송 품질을 최적화하고,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광 감쇠기는 광신호의 강도를 조절하여 네트워크의 신호 품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광 스위치는 네트워크의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광통신 제품 포트폴리오를 통해 국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5G 네트워크, AI 데이터센터, 클라우드 네트워크 등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지속적인 R&D 투자를 통해 기술 혁신을 추구하며, 고객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통해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의 중국산 장비 배제 추세에 발맞춰, 당사는 북미 및 유럽 시장, 동남아시아, 중동, 남미 등 신흥 시장에서도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준비해가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광통신 산업의 핵심 기술과 제품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으며, 5G·6G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스마트 인프라 구축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미래 성장을 이어가도록 하고 있습니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현재 동종 업계의 시장점유율과 관련된 공식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커스터머사업부문 [블랙박스사업] (1) 영업 개황

당사는 사업 다각화를 위하여 2017년 6월 (주)위니테크놀러지의 지분 100%를 취득하였으며, 소규모 합병을 통해 블랙박스 개발, 제조 및 유통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사의 자체 블랙박스 브랜드인 '위니캠(WINYCAM)'은 1세대 블랙박스 제조 전문 업체로 2008년 국내 최초로 2채널 LCD 차량용 블랙박스와 카메라 일체형 포터블 DVR을 출시, 일본에 수출하였습니다. 당사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업 부설 연구소와 자체 생산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년간 축적된 기술로 보급형 부터 고급형의 블랙박스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여 생산 및 유통하고 있습니다.

[블랙박스 제품군 비교]

구분 제품 사양 주요 소비자 주요 유통채널
고급형제품군 2K+FHD 해상도 Full HD + Full HD 해상도 Quad HD + FHD 해상도 플래그쉽 스토어카마스터카마스터 온라인, 오프라인오프라인, 해외오프라인, 해외
보급형제품군 2채널 / 3.5”형 HD + HD 해상도 Full HD + D1 해상도 카마스터 오프라인, 해외

(2) 시장현황 및 점유율현재 블랙박스 시장은 공신력 있는 조사기관의 공식적인 시장점유율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TINT & PPF사업]

(1) 영업 개황당사는 커스터머 사업 다각화의 일원으로 2021년 10월 차량용 윈도우 필름 브랜드 “BLOCKFORD”의 ㈜맨즈380과 북미 전역을 대상으로 총판권을 체결하여 2022년 4월부터 미국의 대리점에 TINT필름의 유통 및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동년 6월에는 국내 생산을 위하여 ㈜맨즈380 및 오퍼社와 과 TINT 및 PPF 필름 주문자 생산방식(OEM)을 체결하였으며 TINT&PPF 사업 부문을 신설하여 국내외 경쟁력있는 필름 생산 업체의 외주 관리 및 연구 개발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현재 관련 시장은 공신력 있는 조사기관의 공식적인 시장점유율 자료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재를 생략합니다.

■ 물류사업부문

(1) 영업 개황

당사는 2023년에 물류사업 관련 사업목적을 정관에 추가한 후 2024년부터 사업영역부문을 확장하여 물류주선업을 신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물류주선 업종은 포워딩 사업이라고도 불리는 운송주선업으로, 고객의 화물을 직접 소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탁하여 인도까지의 집하, 입출고, 선적, 운송, 보험, 보관, 배송 등의 업무를 주선하거나 수행하는 것을 말합니다.이는 일반적인 계약물류에 비해 경쟁이 치열하며, 제3자 물류업체의 업무 영역이 확장됨에 따라 경쟁이 더욱 심화될 수 있으며, 또한, 화주의 대체비용이 낮고 협상력이 강하기 때문에 포워딩 업체의 마진이 낮게 형성됩니다.당사는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성그룹이 이전부터 영위 중이던 동종사업의 노하우를 전수받아 사업에 관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업무경력을 가진 인력을 바탕으로 관련 부서를독자적으로 구성하였으며, 그를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 물류 네트워크 거점을 확보 및 물류 다각화로 신사업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물류프로세스.jpg 물류프로세스

(2) 시장현황 및 점유율

글로벌경기의 침체와 자국 이익 우선주의의 가속화가 2025년도의 국제물류 시장에는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 2기의 출범과 더불어 관세부과의 정책을 통한 대중국 견제가 심화되면서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이 되며, 이는 국내 물류업체 영역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아시아 ? 북미 항로에 혼란이 가중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국제물류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하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에 따라 북미 항로의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 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국가의 북미 수출의 생산기지가 되고 있는 멕시코, 캐나다에 25%의 관세부과가 기정사실화 되면서 멕시코, 캐나다로 움직이는 물량의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다만, 미국 내 생산의 증가가 예상이 되어 일부 제품의 미국 항로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 對 미국 물류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주성그룹에는 있는 당사에는 다소 긍정적인 부분으로 이 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국제분쟁으로 한동안 제한되었던 노선이 회복될 예정이어서 유럽항로 및 지중해항로에 선복 공급량 확대와 원활한 물류 흐름이 기대가 되는 상황입니다.

이로 인한 유럽 항로와 지중해항로의 운송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면서 화주사들의 수출경쟁력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2024년도에 감소했던 유럽지역에 대한 수출입 물량의 증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상황과는 달리 최근 인도 및 서남아시아 시장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다른 항로에 비하여 지속적인 증가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이 되며, 2024년에 비해 10~15%의 물량 증가가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 외에도 서남아 중동지역과 유럽지역의 경쟁력 확보를 통하여 더 많은 포트폴리오를 준비하고 있는 주성코퍼레이션에게는 2025년은 변화하는 국제물류 시장에서 또다른 기회를 준비하여야 하며 불확실성에 대비하여 안정적 운영도 더불어 고민하여야 하는 시기로 보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주요 제품
통신네트워크 RF 중계기, Optic MUX-Multiplexer, Optic Switch emd
블랙박스 블랙박스 CLS600+, EDGE 등
물류사업 해상물류, 항공물류 등

(2)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음(3)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연결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16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15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16기 기말 제15기 기말
자산
Ⅰ.유동자산 30,330,933,237 27,488,558,048
현금및현금성자산 18,388,210,411 22,229,409,422
매출채권및기타유동채권 6,120,793,078 2,157,657,958
단기대여금 7,084,000 313,084,000
기타유동금융자산 4,192,226,876 706,955,963
재고자산 1,284,782,553 1,675,631,774
기타유동비금융자산 327,212,559 370,376,461
당기법인세자산 10,623,760 35,442,470
Ⅱ.비유동자산 6,281,134,873 6,646,053,890
장기매출채권및기타비유동채권 552,525,270 582,381,396
장기대여금 90,000,000 319,661,47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36,433,284 36,433,284
유형자산 5,533,366,431 5,617,622,140
무형자산 68,809,888 89,955,600
자산총계 36,612,068,110 34,134,611,938
부채
Ⅰ.유동부채 8,079,877,301 7,924,286,030
매입채무및기타유동부채 2,511,271,383 2,534,431,315
단기차입금 4,500,000,000 3,641,480,848
유동성장기부채 - 1,057,140,000
유동성리스부채 442,118,528 454,492,985
기타유동비금융부채 99,515,443 98,981,182
당기법인세부채 486,985,306 94,803,470
유동성충당부채 39,986,641 42,956,230
Ⅱ.비유동부채 1,685,605,329 3,948,058,755
장기차입금 - 2,114,280,000
순확정급여부채 1,260,292,069 1,219,264,083
비유동성리스부채 166,496,577 356,175,266
비유동성충당부채 2,344,384 1,952,079
이연법인세부채 256,472,299 256,387,327
부채총계 9,765,482,630 11,872,344,785
자본
Ⅰ.지배기업 소유주지분 26,846,585,480 22,262,267,153
보통주자본금 26,405,115,000 26,405,115,000
미처리결손금 (116,037,891,214) (120,626,556,761)
기타자본구성요소 116,479,361,694 116,483,708,914
Ⅱ.비지배지분 - -
자본총계 26,846,585,480 22,262,267,153
부채및자본총계 36,612,068,110 34,134,611,938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6 기말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5 기말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과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매출액 68,846,344,884 23,947,360,256
매출원가 59,215,008,556 19,030,342,599
매출총이익 9,631,336,328 4,917,017,657
판매비와관리비 5,867,662,117 6,252,487,435
일반관리비 4,717,935,403 5,537,839,992
대손상각비(환입) 49,128,206 (56,530,271)
경상연구개발비 1,100,598,508 771,177,714
영업이익(손실) 3,763,674,211 (1,335,469,778)
금융손익 1,511,344,550 (504,563,175)
금융수익_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400,034,023 304,986,543
금융수익_기타 2,442,102,358 153,458,815
금융비용 1,330,791,831 963,008,533
기타손익 (56,328,385) (605,532,697)
기타수익 174,449,038 880,634,866
기타비용 230,777,423 1,486,167,563
법인세비용차감전이익(손실) 5,218,690,376 (2,445,565,650)
법인세비용 616,022,831 231,389,736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4,602,667,545 (2,676,955,386)
중단영업당기순이익(손실) - 1,300,082,072
당기순이익(손실) 4,602,667,545 (1,376,873,314)
기타포괄이익(손실) (18,349,218) (194,016,143)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4,347,220) (32,364,225)
1. 해외사업환산차이 (4,347,220) (32,364,225)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없는 항목 (14,001,998) (161,651,918)
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4,001,998) (161,651,918)
총포괄이익(손실) 4,584,318,327 (1,570,889,457)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4,602,667,545 (1,376,873,314)
지배기업의 소유주 지분 4,602,667,545 (1,376,873,314)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4,602,667,545 (2,676,955,386)
중단영업당기순이익(손실) - 1,300,082,072
비지배지분 - -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 -
중단영업당기순이익(손실) - -
총포괄이익(손실)의 귀속 4,584,318,327 (1,570,889,457)
지배기업의 소유주 4,584,318,327 (1,570,889,457)
계속영업총포괄이익(손실) 4,584,318,327 (2,870,971,529)
중단영업총포괄이익 - 1,300,082,072
비지배지분 - -
계속영업총포괄이익(손실) - -
중단영업총포괄이익(손실) - -
주당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손실) 87 (72)
중단영업기본주당이익 - 35
희석주당이익(손실)
계속영업희석주당이익(손실) 87 (72)
중단영업희석주당이익 - 35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16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15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자산
Ⅰ. 유동자산 29,762,861,756 26,294,903,199
현금및현금성자산 17,311,287,076 21,303,566,888
매출채권및기타유동채권 6,506,647,148 2,454,271,341
단기대여금 410,000,000 6,000,000
기타유동금융자산 4,192,226,876 706,955,963
유동재고자산 1,026,541,961 1,435,602,163
기타유동비금융자산 316,158,695 358,617,784
당기법인세자산 - 29,889,060
II. 비유동자산 6,435,746,380 6,973,296,743
장기매출채권및기타비유동채권 341,900,223 400,187,230
장기대여금 90,000,000 319,661,47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6,433,284 36,433,284
종속기업투자주식 604,263,789 753,695,796
유형자산 5,314,947,176 5,393,971,343
무형자산 48,201,908 69,347,620
자산총계 36,198,608,136 33,268,199,942
부채
I. 유동부채 7,681,937,156 6,810,800,296
매입채무및기타유동채무 2,355,594,007 2,239,588,108
단기차입금 4,500,000,000 3,176,000,000
유동성장기부채 - 1,057,140,000
유동성리스부채 245,729,964 236,227,524
유동성충당부채 39,986,641 42,956,230
기타유동비금융부채 54,484,070 58,888,434
당기법인세부채 486,142,474 -
II. 비유동부채 1,341,088,374 3,472,294,349
장기차입금 - 2,114,280,000
비유동성리스부채 28,744,533 45,240,755
순확정급여부채 1,059,212,191 1,059,641,944
이연법인세부채 253,131,650 253,131,650
부채총계 9,023,025,530 10,283,094,645
자본
I. 자본금 26,405,115,000 26,405,115,000
보통주자본금 26,405,115,000 26,405,115,000
II. 결손금 (117,060,301,189) (121,250,778,498)
미처리결손금 (117,060,301,189) (121,250,778,498)
III. 기타자본구성요소 117,830,768,795 117,830,768,795
감자차익 99,343,626,500 99,343,626,500
기타자본잉여금 (49,803,965) (49,803,965)
주식발행초과금 17,645,258,745 17,645,258,745
자기주식 (60,569,645) (60,569,64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952,257,160 952,257,160
자본총계 27,175,582,606 22,985,105,297
부채와자본총계 36,198,608,136 33,268,199,942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6 기말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5 기말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말 제 15 기말
매출액 66,807,454,484 21,784,122,777
매출원가 58,930,043,943 18,736,361,246
매출총이익 7,877,410,541 3,047,761,531
판매비와관리비 4,361,641,895 4,189,774,860
일반관리비 3,218,386,906 3,475,127,417
대손상각비(환입) 42,656,481 (56,530,271)
경상연구개발비 1,100,598,508 771,177,714
영업이익(손실) 3,515,768,646 (1,142,013,329)
금융손익 1,547,179,411 (491,083,678)
금융수익-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363,718,995 241,798,687
금융수익-기타 2,442,102,358 153,458,815
금융비용 1,258,641,942 886,341,180
기타손익 (271,046,296) (491,220,391)
기타수익 81,632,503 933,633,396
기타비용 352,678,799 1,424,853,787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791,901,761 (2,124,317,398)
법인세비용 599,674,444 -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4,192,227,317 (2,124,317,398)
중단영업당기순이익 - 1,300,082,072
당기순이익(손실) 4,192,227,317 (824,235,326)
기타포괄이익 (1,750,008) (145,024,553)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없는 항목 (1,750,008) (145,024,553)
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750,008) (145,024,553)
계속영업포괄이익(손실) 4,190,477,309 (2,269,341,951)
중단영업포괄이익 - 1,300,082,072
총포괄이익(손실) 4,190,477,309 (969,259,879)
주당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손실) 79 (57)
중단영업기본주당이익 - 35
희석주당이익(손실)
계속영업희석주당이익(손실) 79 (57)
중단영업희석주당이익 - 35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16 기말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15 기말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주성코퍼레이션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I. 미처리결손금 117,060,301 121,250,778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121,250,778 120,281,519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750 145,024
3. 당기순손실(이익) (4,192,227) 824,235
II. 결손금처리액 - -
I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117,060,301 121,250,778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기타 참고사항- 본 재무제표는 감사 전 내부결산 시 작성한 재무제표이며,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 4 조 (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홈페이지(www.conbuzz.co.kr)에 한다 .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시에서 발행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제 4 조 (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joosungcorp.com/)에 게재한다 .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시에서 발행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변경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8 ( 5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2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8 ( 4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66,859,993
최고한도액 1,200,000,000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8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2024년) 및 감사보고서(2024년)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joosungcorp.com/

※ 참고사항

- 당사는 주주들의 원활한 참석을 위해 주주총회 자율분산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2025년 3월 26일(수) 9시에 주주총회 개최를 결정하였습니다. 따라서, 주총 집중일 개최사유 신고의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