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000001]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 |
[000002] I. 기업개요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
2024-01-01 |
2024-12-31 |
2024-12-31 |
2-1. 당기~전전기 회계연도 기간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회계기간 시작일 | 2024-01-01 | 2023-01-01 | 2022-01-01 |
회계기간 종료일 | 2024-12-31 | 2023-12-31 | 2022-12-31 |
3.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담당자
공시 책임자 | 실무자 | ||
---|---|---|---|
성명 : | 성명 : | ||
직급 : | 직급 : | ||
부서 : | 부서 : | ||
전화번호 : | 전화번호 : | ||
이메일 : | 이메일 : |
4. 표 1-0-0 : 기업개요
최대주주 등 | 롯데지주㈜ |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 54.59 |
---|---|---|---|
소액주주 지분율(%) | 34.46 | ||
업종 | 비금융(Non-financial) | 주요 제품 |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ABS 등 |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해당 여부 | O | 공공기관운영법 적용대상 여부 | X |
기업집단명 | 롯데 | ||
요약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연결) 매출액 | 20,430,376 | 19,946,397 | 22,276,083 |
(연결) 영업이익 | -894,081 | -347,702 | -762,607 |
(연결) 당기순이익 | -1,825,556 | -39,243 | 27,820 |
(연결) 자산총액 | 34,552,330 | 33,476,310 | 26,784,587 |
별도 자산총액 | 20,469,045 | 21,153,038 | 18,458,139 |
[000003]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66.7 |
5.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핵심지표 |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 (직전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 비고 |
---|---|---|---|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 X | X | 주주총회 3주 전 소집공고 실시 |
전자투표 실시 | O | O | 2021년부터 전자투표제를 도입하여 매년 주주총회에서 실시 중 |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 X | O | 최근 3개 사업연도 동안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외의 날짜에 주주총회를 개최 중이나, '24년도의 경우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주총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함 |
현금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 O | X | 2024년 정기주주총회에서 상장회사협의회 표준 정관에 따라 배당 절차에 관한 정관을 개정하고 '24년 중간배당부터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중 |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 O | O | 배당정책은 사업보고서 등으로 매년 전자공시 및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고, 배당실시 계획 또한 수립 시 주주에게 통지함 |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마련 및 운영 | O | O | 명문화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수립하고 인사부서 주관 최고경영자 후보군 선정, 교육 등 운영 중 |
위험관리 등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 O | O | 리스크 관리(이사회 주관 각 위원회 운영 규정 및 지속가능경영 추진위원회 규정), 준법경영, 내부회계관리, 공시정보관리 규정을 명문화하고 운영 중 |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지 여부 | X | X |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수행 |
집중투표제 채택 | X | X | 정관상 집중투표제 배제 |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 O | O | 기업지배구조헌장 등 규정에 정책을 명문화하고 운영 중 |
이사회 구성원 모두 단일성(性)이 아님 | O | O | 이사회 구성원 11인 중 1인 여성 사외이사로 구성 |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 (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의 설치 | X | O | 감사위원회 규정 내 감사위원회 지원조직장의 인사는 감사위원회의 동의권을 얻어야 하나, 조직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음 |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 O | O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조운행 사외이사가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에 해당 |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 O | O | 분기별 1회 이상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 개최하여 경영진 참석없이 외부감사인과의 회의 진행중 |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 마련 여부 | O | O | 기업지배구조헌장 및 감사위원회 규정 내 중요정보 접근 규정 운영 |
핵심지표 준수에 관한 사항은 본 보고서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000004] II. 기업지배구조 현황
[100000] 1. 기업지배구조 일반정책
롯데케미칼 주식회사(이하 '롯데케미칼')는 사랑과 신뢰를 받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류의 풍요로운 삶에 기여하고자 노력합니다. 롯데케미칼은 국민으로부터 사랑받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서 회사 가치의 지속적 성장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 가능한 성장의 바탕이 되는 건전한 지배구조를 구축하고자 하며, 공정성, 투명성, 독립성의 원칙에 따라 상호 견제와 균형이 이루어지는 지배구조 체제를 운영하고자 합니다.
당사의 지배구조는 상법 등의 관련 법령 및 당사 규정에 입각하여 명시된 원칙과 절차에 따라 수립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구성원 간의 견제와 균형을 통해 안정적이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구현하고자 이사회 규정 및 관련 규정을 통해 이사회와 경영진의 권한을 명확히 구분하여, 경영 의사결정권과 업무집행권을 각각 위임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사회가 경영진의 업무집행에 대해 실질적인 견제 기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이사회 내 사외이사 비율을 과반 이상(이사 11명 중 6명)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는 최고경영자 자격요건을 갖춘 다수의 후보 중에서, 최고경영진과 인사담당 임원이 협의하여 최적의 인물을 사내이사 후보로 선정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는 전문성, 투명성, 다양성의 원칙을 바탕으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선임된 이사 후보자는 주주총회 전 주주총회 소집공고 및 소집통지서를 통하여 주주가 검토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제공되며, 주주총회의 의결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선임됩니다. 이렇게 선임된 이사 전원에서 후보를 추천하고 의결하여 이사회 의장을 선임하고 있고, '24년부터 선임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여 이사회 의장이 사내이사 일 때 선임 사외이사를 선출하여 균형과 견제 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사회는 구성원들의 화학산업, 기술경영, 전략기획, 회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축적된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주요 경영 사안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를 통해 의사결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경영진의 업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이사회 산하에 총 5개 위원회(감사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 · 운영 중에 있습니다. 각 위원회는 독립성과 견제 및 균형추구를 위하여 모든 위원회의 구성원을 과반수의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으며, ESG위원회를 제외한 나머지 감사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관, 이사회 규정 및 이사회 내 각 위원회 규정 등 지배구조와 관련된 모든 내규의 전문을 당사 홈페이지를 통하여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https://www.lottechem.com). 이와 같은 제도와 장치를 통해 이사회 · 경영진 · 사외이사 간 상호 견제와 균형을 실현함과 동시에 최적화된 경영 의사결정이 가능한 기업 지배구조를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상기 당사 홈페이지, 전자공시시스템 및 동 공시에 첨부된 기업지배구조헌장과 각 첨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
1)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 구성 및 선임 사외이사 제도 도입 당사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지식과 경륜을 갖춘 외부인사를 이사회에 참여시켜 회사 경영과 관련된 사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숙의하고 토론함으로써 합리적인 의견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총 11명으로, 이 중 6명을 사외이사로 선임하여 이사회 내 사외이사가 과반수가 되도록 구성,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다양한 배경과 전문성, 독립성을 갖춘 사외이사를 이사회에 참여시켜 전문적이고 합리적인 판단과 경영진에 대한 견제기능 강화를 통하여 회사의 지속가능한 경영과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중장기 이익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또한, 사외이사가 경영진으로부터의 독립성을 유지하며 이사회 내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24년부터 선임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이사회 의장이 사내이사인 경우에도 견제와 균형을 위한 장치를 마련하고, 이사회의 독립성과 감시기능을 한층 강화하였습니다. 2) 이사회 내 위원회 운영 당사의 이사회 내 위원회는 총 5개로 감사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운영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법령상에 규정된 위원회의 역할과 권한에 부가하여, 각 위원회 규정을 통해 위원회의 구체적인 권한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이사회의 전문성, 독립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먼저, 감사위원회는 법적 의무사항의 승인 및 보고뿐만 아니라, 비경상적 사고의 보고, 외부 감사인의 감사현황 보고 등 내부통제와 관련한 적극적인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는 당사의 기업집단에 속하는 계열회사와의 거래의 적정성과 공정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는 이사회에 추천할 사외이사 후보 선정에 관한 사항을 의결하고 있습니다. 보상위원회는 임원의 보상 관련 사항을 심의, 의결하여 투명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ESG위원회는 ESG관점에서 사업 의사결정 적합성 및 실행 타당성을 심의 · 의결하고 있습니다.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은 각 이사에게 통지되며, 각 이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이사회 의장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하여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을 다시 결의할 수 있습니다. 단, 「상법」 제415조의2 제6항에 의거하여 감사위원회에서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는 다시 결의할 수 없습니다. 3) 사외이사의 전문성 강화 당사는 사외이사를 화학산업, 재무 및 회계분야, 법률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하고 있으며 회사에 가장 적합한 인재를 선정하기 위해 관련부서의 다양한 검증 프로세스를 통해 엄격한 기준으로 사외이사 후보군을 선정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사외이사 각자가 보유한 전문역량을 극대화하여 이사회가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회사는 이사회를 지원하는 전담 부서를 통해 사외이사의 경영의사 결정과 관련한 정보제공 요청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전 사전보고 절차를 통해 자료를 적시에 제공하고, 필요 시 별도의 설명회를 개최하여 사외이사들이 중요사안을 면밀히 검토할 수 있도록 하여, 최선의 의사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사외이사의 회사 사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분기별로 주요사업 현황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사내 주요 현안에 대한 정보도 수시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직무수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교육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제도와 장치를 통해 이사회, 경영진, 사외이사 모두가 상호 견제와 균형을 갖추는 동시에,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지배구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
[201000] (핵심원칙1) 주주는 권리행사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받고, 적절한 절차에 의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201100] (세부원칙 1-1) - 기업은 주주에게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및 의안 등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1을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인 직전 사업연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2회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주주가 주주총회 개최 일시, 장소, 의안 등 관련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권리를 충분히 행사할 수 있도록 주주총회 개최일 최소 2주전에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고 당사의 국문/영문 홈페이지(https://www.lottechem.com)에도 동일 내용을 게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이상을 보유한 주주에게는 별도로 서면 소집통지서를 제공하며, 외국인 주주를 위해 한국거래소 영문전자공시시스템(https://engkind.krx.co.kr)과 당사 영문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주주총회 소집결의 관련 내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부 내역은 아래 표 1-1-1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표 1-1-1: 주주총회 개최 정보
제 49기 정기주주총회 (2024년) |
제 48기 정기주주총회 (2023년) |
제 47기 정기주주총회 (2022년) |
||
정기 주총 여부 | O | O | O | |
소집결의일 | 2025-03-06 | 2024-03-06 | 2023-03-07 | |
소집공고일 | 2025-03-07 | 2024-03-06 | 2023-03-08 | |
주주총회개최일 | 2025-03-25 | 2024-03-26 | 2023-03-29 | |
공고일과 주주총회일 사이 기간 | 18 | 20 | 21 | |
개최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타워 31층 Auditorium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타워 31층 Auditorium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타워 31층 Auditorium |
|
주주총회 관련사항 주주통보 방법 | 소집통지서 발송 (1%이상 주주) 및 전자적인 방법 (전자공시시스템 및 홈페이지) |
소집통지서 발송 (1%이상 주주) 및 전자적인 방법 (전자공시시스템 및 홈페이지) |
소집통지서 발송 (1%이상 주주) 및 전자적인 방법 (전자공시시스템 및 홈페이지) |
|
외국인 주주가 이해가능한 소집통지 | 실시 여부 | O | O | O |
통지방법 | 영문공시 | 영문공시 | 영문공시 | |
세부사항 | 이사회 구성원 출석 현황 | 11명 중 9명 출석 | 11명 중 10명 출석 | 11명 중 9명 출석 |
감사 또는 감사위원 출석 현황 | 3명 중 3명 출석 | 3명 중 3명 출석 | 3명 중 3명 출석 | |
주주발언 주요 내용 | 1) 발언주주 : 개인주주 1인 등 2) 발언내용 : 주주와의 소통 활성화 요청 |
1) 발언주주 : 개인주주 1인 등 2) 발언내용 : IR활동을 강화하여 회사의 중장기 사업전략 공유로 회사가치 제고 필요 및 안건 찬성 및 재청 |
1) 발언주주 : 다수 주주 2) 발언내용 : 안건 찬성 및 재청 |
당사는 주주들의 의안 이해를 돕고 상법상 기한을 준수하기 위해 주주총회 약 2~3주 전에 소집결의 및 소집공고를 진행하여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나, 회사의 대내외 경영 일정과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을 위한 제반 준비 등의 사유로 충분한 기간 전(4주 전)에 통지를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는 주주총회 개최에 관련된 업무 일정 조율 및 준비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충분한 기간 전에 주주들에게 주주총회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200] (세부원칙 1-2) -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2를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많은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참여하여 권리를 원활히 행사할 수 있도록, 최근 3개 사업연도 동안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외의 날짜에 주주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다만, 제 49기 정기주주총회의 경우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서 발표한 정기주주총회 집중일을 회피하여 개최하였으나, 주총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였습니다. 그리고 소액주주의 권익 보호와 의결권 행사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2021년 3월 개최된 제45기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제를 도입하고 있으며, 주주총회 소집 공고 시 전자투표 이용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서면투표제는 채택하고 있지 않으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에 따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과 당사 홈페이지에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를 게재하여 주주가 직·간접적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
표 1-2-1: 정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접근성
구분 | 제 49기 정기주주총회 | 제 48기 정기주주총회 | 제 47기 정기주주총회 |
---|---|---|---|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 2025-03-21 2025-03-27 2025-03-28 |
2024-03-22 2024-03-27 2024-03-29 |
2023-03-24 2023-03-30 2023-03-31 |
정기주주총회일 | 2025-03-25 | 2024-03-26 | 2023-03-29 |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여부 | X | O | O |
서면투표 실시 여부 | X | X | X |
전자투표 실시 여부 | O | O | O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여부 | O | O | O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인 2024년 1월 1일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2회(제48기 및 제49기)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1) 제49기 정기주주총회 2025년 3월 25일에 개최된 제49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발행주식 중 의결권이 제한되는 자사주 등을 제외한 총 42,155,652주 중 약 73%에 해당하는 30,636,547주가 출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이 중 9.03%는 전자투표제를 통해 의결권이 행사되었습니다. 상정된 안건은 모두 원안대로 승인되었으며, 안건과 안건별 세부 찬반 현황은 아래 표 1-2-2와 같습니다. 2) 제48기 정기주주총회 2024년 3월 24일에 개최된 제48기 정기주주총회에서는 발행주식 중 의결권이 제한되는 자사주 등을 제외한 총 42,176,447주 중 약 78%에 해당하는32,945,733주가 출석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이 중 10.94%는 전자투표제를 통해 의결권이 행사되었습니다. 상정된 안건은 모두 원안대로 승인되었으며, 안건과 안건별 세부 찬반 현황은 아래 표 1-2-2와 같습니다. |
표 1-2-2: 주주총회 의결 내용
결의 구분 | 회의 목적사항 | 가결 여부 |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1) | (1) 중 의결권 행사 주식수 | 찬성주식수 | 찬성 주식 비율 (%) | 반대 기권 등 주식수 | 반대 기권 등 주식 비율 (%) | ||
---|---|---|---|---|---|---|---|---|---|---|
제 49기 정기 주주총회 |
제1호 | 보통(Ordinary) | 제49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2,155,652 | 30,636,547 | 30,084,143 | 98.2 | 552,404 | 1.80 |
제2-1호 | 보통(Ordinary) | 사내이사 신동빈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55,652 | 30,636,547 | 24,810,907 | 80.98 | 5,825,640 | 19.02 | |
제2-2호 | 보통(Ordinary) | 사내이사 황민재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55,652 | 30,636,547 | 30,555,367 | 99.74 | 81,180 | 0.26 | |
제2-3호 | 보통(Ordinary) | 사외이사 조혜성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55,652 | 30,636,547 | 30,583,865 | 99.83 | 52,682 | 0.2 | |
제2-4호 | 보통(Ordinary) | 기타비상무이사 김종근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55,652 | 30,636,547 | 30,550,234 | 99.72 | 86,313 | 0.28 | |
제3호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서휘원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21,405,722 | 9,886,617 | 9,833,803 | 99.47 | 52,814 | 0.53 | |
제4호 | 보통(Ordinary)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2,155,652 | 30,636,547 | 30,557,428 | 99.74 | 79,119 | 0.26 | |
제 48기 정기 주주총회 |
제1호 | 보통(Ordinary) | 제48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포함}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2,272,649 | 97.95 | 673,084 | 2.05 |
제2호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변경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2,906,464 | 99.88 | 39,269 | 0.12 | |
제3-1호 | 보통(Ordinary) | 사내이사 이훈기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28,749,375 | 87.26 | 4,196,358 | 12.74 | |
제3-2호 | 보통(Ordinary) | 사내이사 이영준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1,954,724 | 96.99 | 991,009 | 3.01 | |
제3-3호 | 보통(Ordinary) | 사내이사 성낙선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2,854,318 | 99.72 | 91,415 | 0.28 | |
제3-4호 | 보통(Ordinary) | 사외이사 조운행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27,850,546 | 84.53 | 5,095,187 | 15.47 | |
제3-5호 | 보통(Ordinary) | 사외이사 오윤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2,737,351 | 99.36 | 208,382 | 0.64 | |
제3-6호 | 보통(Ordinary) | 사외이사 손병혁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2,600,954 | 98.95 | 344,779 | 1.05 | |
제3-7호 | 보통(Ordinary) | 사외이사 박지순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32,735,436 | 99.36 | 210,297 | 0.64 | |
제4-1호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 조운행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20,675,388 | 11,444,674 | 7,160,590 | 62.56 | 4,284,084 | 37.44 | |
제4-2호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 오윤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20,675,388 | 11,444,674 | 11,231,021 | 98.13 | 213,653 | 1.87 | |
제5호 | 보통(Ordinary)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2,176,447 | 32,945,733 | 29,440,124 | 89.35 | 3,505,609 | 10.65 |
당사는 주주총회 소집공고 후 대내외 의결권 자문사, 국내외 기관투자자, 소액주주 등으로부터 접수된 질의 및 안건에 대한 의견에 대해 메일, 유선 연락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가 제안한 안건의 목적과 법적 검토사항, 배경 등을 충분히 설명하여 주주들이 안건의 취지와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제48기 정기주주총회 중 사외이사 1인에 대한 반대 비율이 높았던 안건의 경우 해외의 한국 상법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된 부분을 바로잡기 위하여 서한을 발송하는 등 주주와 소통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였습니다. |
당사는 주주들의 주주총회 참석과 주주의 의결권 행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하여 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사업연도에 개최된 제49기 정기주주총회의 경우,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서 개최하였으나 한국상장회사협의회의 '주총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는 참여하지 못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안건 변경 등 발생 가능한 이슈에 대한 대응 및 의결권 행사과정의 편의성 등을 고려하여 서면투표제는 도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
향후에는 '주총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노력 및 온·오프라인 병행 전자주주총회 개최 등 주주가 의사결정에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201300] (세부원칙 1-3) - 기업은 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의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질의하고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3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관련 법령과 정관에 따라 주주제안을 처리하고 있으며, 주주제안 절차는 당사 홈페이지(https://www.lottechem.com/ko/ir/meeting.do)를 통하여 상세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상법」 제363조의2(주주제안권), 제542조의6(소수주주권)에 따라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0.5% 이상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전부터 계속하여 보유한 주주는 주주총회일의 6주 전까지 서면 또는 전자 문서로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제안 처리 절차와 기준을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조 제4항과 이사회 규정 제12조 제1항에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주주제안이 접수되면 서면 또는 전자문서를 통해 접수 확인 안내를 실시하고, 제안자의 주주 자격을 확인한 뒤 제안 내용이 법령·정관 또는 「상법」 시행령 제12조상의 거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지 면밀히 검토합니다. 거부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의안을 이사회에 상정하여 주주총회 목적사항으로 포함하도록 결정하며, 주주 요청 시에는 소집통지서에 제안 의안의 주요 내용을 기재하여 안내합니다. 또한 주주총회 당일에 제안 의안에 대해 충분한 설명과 질의·응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주주가 권리를 온전히 행사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접수된 주주제안 내역은 없습니다. |
표 1-3-1: 주주 제안 현황
제안 일자 | 제안주체 | 구분 | 주요 내용 | 처리 및 이행 상황 | 가결 여부 | 찬성률 (%) | 반대율 (%) | |
---|---|---|---|---|---|---|---|---|
N(X)
|
공시기간대상 기간 개시시점부터 제출 시점까지 기관투자자의 수탁자책임 이행활동의 일환으로 제출된 주주의 공개 서한 요구 등 접수된 공개서한은 없습니다. |
표 1-3-2: 공개서한 현황
발송일자 | 주체 | 주요 내용 | 회신 일자 | 수용 여부 | 회신 주요 내용 | |
---|---|---|---|---|---|---|
당사는 주주제안권 행사 절차를 회사 홈페이지에 안내하고 있으며, 주주제안이 접수될 경우 관련 법규 및 당사 규정에 따라 절차를 진행하여 주주가 주주제안권을 용이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
향후 주주제안을 받게 되는 경우 적법한 절차에 따라 주주총회 의안을 검토하고 상정하여 주주의 권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400] (세부원칙 1-4) - 기업은 배당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을 마련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4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배당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수립, 시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관 제50조(이익금의 처분) 및 제51조(이익배당)에 의거하여 이익잉여금을 금전과 주식 및 기타의 재산의 형태로 이익배당을 할 수 있으며, 제51조의2(중간배당)을 바탕으로 중간배당을 실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2년 3월, 주주환원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5개년('22~'26, '23년 2년 연장) 주주환원정책을 마련하고, 전자공시와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주주에게 안내하였습니다. 배당은 「상법」 제462조의 배당가능 이익 범위 내에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 계획 및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연간 배당성향 30%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배당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 제고를 위해 중간배당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상기 주주환원정책 기간 동안 총 3,000억 원 규모의 자기주식 매입 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실시 전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검토하여 추진 중에 있습니다. |
Y(O)
|
Y(O)
|
당사는 2022년 3월 'CEO IR DAY' 행사에서 '22~'26년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발표하고 해당 정책과 관련한 자료는 전자공시와 홈페이지에 자료를 게시하여 가능한 많은 주주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외국인 주주를 위하여 영문공시를 병행 제공하였으며, 영문자료 또한 당사 영문 홈페이지에 제공하였습니다. 이후 매분기 실적발표 및 상시 컨퍼런스 콜 등 다양한 투자자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통해서 발표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의 내용을 수시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주환원정책의 배당 항목은 매 사업연도의 재무제표와 배당 계획에 대한 이사회 승인 후 공시를 통하여 주주에게 안내하고 있으며, 자사주 매입 또한 이사회 승인 직후 공시를 통하여 국내외 주주에게 투명하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3회의 현금배당을 실시하였습니다. 당사는 2024년 3월 26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주주들이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장회사협의회 표준 정관에 따라 배당 절차에 관한 정관을 개정하였습니다. 따라서 2024년도 중간배당의 경우(표 1-4-1의 2차 배당) 7월 11일 이사회에서 배당금과 배당기준일을 의결한 뒤, 배당기준일은 7월 26일로 설정함으로써 주주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사전에 제공하였고, 2024년도 결산배당의 경우(표 1-4-1의 3차 배당)도 2025년 2월 7일 이사회를 통하여 배당기준일을 주주총회 이후인 3월 31일로 설정하여 주주가 배당금액을 먼저 확인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당사는 앞으로도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동 절차를 지속 운영해 나갈 예정입니다. |
표 1-4-1: 배당기준일과 배당액 확정일
결산월 | 결산배당 여부 | 배당기준일 | 배당액 확정일 | 현금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여부 | |
---|---|---|---|---|---|
1차 배당 | 12월(Dec) | O | 2023-12-31 | 2024-02-07 | X |
2차 배당 | 12월(Dec) | X | 2024-07-26 | 2024-07-11 | O |
3차 배당 | 12월(Dec) | O | 2025-03-31 | 2025-02-07 | O |
당사는 2022년 3월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전자공시, 홈페이지 자료 게시, 각종 행사 등을 통해 국문 및 영문으로 수시 제공함으로써 주주들이 충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시대상기간 개시 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실시한 총 3회의 현금배당 중, 정관 배당절차 개선 전 이루어진 결산배당(표 1-4-1의 1차 배당)을 제외한 모든 배당은 개선된 배당절차에 따라 배당금을 먼저 확정한 후, 그 이후로 기준일을 설정하여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을 충분히 제공하였습니다. |
앞으로도 당사는 중장기 주주환원정책과 배당 관련 사항들은 결정되는 즉시, 전자공시뿐만 아니라 회사 홈페이지 등을 통하여 주주들이 충분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예정이며, 개선된 배당절차를 지속적으로 준수하여 주주들에게 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고에 충실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500] (세부원칙 1-5) -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준의 배당 등을 받을 주주의 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5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2022년 3월 수립한 주주환원정책에 따라 배당성향 30% 이상(별도 당기순이익 기준)의 배당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배당의 경우, 주주의 배당안정성과 기업가치 성장을 위한 재무 안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전전기 사업연도인 2022년부터 당기 사업연도인 2024년까지 별도 및 연결 기준 당기순이익이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주주의 배당안정성과 정책의 일관성을 고려하여 시가배당률(국고채 금리 평균이상) 기준의 최소 배당안을 이사회에 상정하여 주주총회의 최종 승인을 거쳐 배당하였습니다. 당사는 현재까지 차등배당 및 분기배당 등을 실시하지 않고 있으며, 1994년도부터 2024년까지 전자공시 기준 30년간 결산배당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며 배당의 지속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래 표 1-5-1-1에 기재된 당기 총 배당금 및 주당배당금은 2024년 당사가 실시한 중간배당 (주당 1,000원, 약 422억원) 및 결산배당 (주당 1,000원, 약 422억원)을 합산한 금액이며, 시가 배당률은 주주명부 폐쇄일 2 매매거래일 전부터 과거 1주일간의 거래소 시장에서 형성된 최종가격의 산술평균에 대한 1주당 배당금 비율로 산정하였습니다. 또한, 표 1-5-1-2에 기재된 최근 3개 사업연도 현금배당 성향은, 연결 및 별도 기준 당기순이익이 적자였던 연도에 대해서는 배당성향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상세한 배당 관련 사항은 아래 표 1-5-1-1 및 표 1-5-1-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표 1-5-1-1: 최근 3개 사업연도 주주환원 현황
일반현황 | 주식배당 | 현금배당(단위 : 원) | ||||||
---|---|---|---|---|---|---|---|---|
연도 | 결산월 | 배당가능 이익 | 총 배당금 | 주당 배당금 | 시가 배당률 (%) | |||
당기 | 보통주 | 2024년 | 12월(Dec) | X | 9,102,771,156,252 | 84,334,294,000 | 2,000 | 2.91 |
종류주 | 2024년 | 12월(Dec) | X | |||||
전기 | 보통주 | 2023년 | 12월(Dec) | X | 10,243,083,774,304 | 147,617,564,500 | 3,500 | 2.25 |
종류주 | 2023년 | 12월(Dec) | X | |||||
전전기 | 보통주 | 2022년 | 12월(Dec) | X | 10,141,675,319,144 | 118,966,564,500 | 3,500 | 2.00 |
종류주 | 2022년 | 12월(Dec) | X |
표 1-5-1-2: 최근 3개 사업연도 현금배당 성향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연결기준 (%) | 427.63 | ||
개별기준 (%) | 72.09 |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기간 내 주주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총 3,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 매입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 10월부터 2024년 5월까지 5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당사 보통주 323,300주)을 매입하여 현재까지 총 608,272주의 자기주식을 매입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자기주식의 매입 규모를 결정하여 자기주식 매입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
상기 기재와 같이 당사는 주주가 적절한 수준의 주주환원을 받을 수 있도록 수립한 주주환원정책에 근거하여 배당 및 자기주식 매입 등의 주주환원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수립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최대한 준수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2000] (핵심원칙 2) 주주는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을 부여받아야 하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202100] (세부원칙 2-1) - 기업은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2-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 정관에 근거한 총 발행 가능 주식수는 100,000,000주이며, 발행주식은 42,775,419주입니다. |
표 2-1-1-1: 발행가능 주식총수(주)
보통주 | 종류주 | 발행가능 주식전체 |
---|---|---|
100,000,000 | 0 | 100,000,000 |
표 2-1-1-2: 주식발행 현황 세부내용
발행주식수(주) | 발행비율 (%) | 비고 | |
---|---|---|---|
보통주 | 42,775,419 | 42.78 | - |
현재까지 우선주 등 종류주식의 발행내역은 없고, 우선주는 의결권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종류주식이 없기 때문에, 종류주주총회 실시내역은 없습니다. |
당사는 발행가능한 주식 중 현재까지 보통주를 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통주를 보유한 모든 주주에게 공평한 의결권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현재까지 주주의 보유주식 수에 비례한 공평한 의결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주주의 권한 보장에 최선을 다할 예정입니다. |
당사는 매년 2월, 5월, 8월, 11월에 잠정실적을 공시한 이후, 상세한 경영 실적 설명을 위해 국문 및 영문 Presentation 자료를 제작하여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있으며, 모든 투자자가 실시간으로 청취할 수 있는 웹캐스팅 방식을 통해서 국ㆍ영문 실적발표회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NDR(Non-Deal Roadshow)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국내외 증권사가 주관하는 IR 컨퍼런스에도 참석하여 투자자들의 관심사항에 대해 직접 설명하는 등 투자자들과의 소통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수시로 기관투자자들 대상, 회사탐방 및 개별 IR 미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증권사 애널리스트 및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경영진 간담회 등 다양한 IR 활동을 통해 회사의 전략과 경영계획 등에 대해 투명하게 소통하고 있습니다. 아래 기술한 NDR, 컨퍼런스, 경영진 간담회와 같은 대외적인 IR 행사들의 경우, 모든 투자자에게 형평성 있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사전 안내 공시를 통해 행사 일정을 공유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동일한 Presentation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영진 간담회 등 주요 행사의 경우 별도의 보도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방식으로 발표 내용을 공개함으로써, 모든 투자자가 회사의 주요한 IR 행사 발표 내용에 대해 동일한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표 2-1-2-1 : 주요 IR, 컨퍼런스콜, 주주와의 대화 개최 내역 (2024.1.1 ~ 2025.5.31)
|
당사는 분기별 실적발표회 시 웹캐스팅 방식을 통해 모든 투자자가 실시간으로 청취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고, 국내외 기관투자자 및 애널리스트에게 제공되는 모든 자료 또한 홈페이지를 통해 동일하게 제공하고 있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소액주주들만을 대상으로 한 별도의 행사는 없었으나, 홈페이지 및 관련 공시를 통해 IR 담당부서에 연결가능한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 핫라인 등을 공개하여 이를 통해 소액주주들과 수시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주로 회사의 경영현황과 주주환원정책에 관련된 질의를 청취하고 있고, 당사는 분기별 실적발표회 내용을 바탕으로 경영 현황과 중장기 주주환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해외투자자를 대상으로 6회의 행사를 별도로 개최하였습니다. 아시아, 미주, 유럽 등 다양한 지역의 해외투자자를 타깃으로 개최된 컨퍼런스에 참석하여 다수의 미팅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실적 및 회사의 전략 방향성에 관련된 질의를 청취하였고 기 공시와 발표를 통해 공개된 분기별 실적발표회 및 간담회 자료 내용을 바탕으로 회사의 경영 현황과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및 재무 건전성 제고 계획을 안내하였습니다. |
Y(O)
|
당사는 투자자들이 필요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https://www.lottechem.com) 및 전자공시를 통해 IR담당부서의 전화번호 및 이메일 주소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기재된 번호로 연락할 경우, ARS를 통해 IR담당부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안내하고 있으며, 홈페이지 방문자를 위해 간편하게 문의할 수 있도록 IR담당부서의 전용 이메일과 별도 핫라인을 공개하고, 이용방법에 대한 상세한 안내도 함께 제공하고 있습니다. |
100 |
외국인 주주의 편의와 이해 제고를 위해 영문 홈페이지(https://www.lottechem.com/en/index.do)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문 홈페이지와 동일한 주요 사업내용, 재무현황, 각종 IR자료 등을 영문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IR 담당부서의 전화번호와 이메일 주소를 영문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하여 외국인 주주가 직접 문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외국어 상담이 가능한 IR 전담직원이 외국인 주주의 문의에 대해 직접 응대하고 있습니다. 공시사항 역시 한국거래소 공시시스템을 활용하여 영문공시를 병행 제출하고 있으며,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제출된 수시공시 총 45건 중 45건을 영문으로 제공하였습니다. 상세한 영문공시 내역은 아래 표 2-1-2-2와 같습니다. 표 2-1-2-2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시행한 수시공시 의 영문공시 제공내역
|
N(X)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 공시 관련 제제 내역이 없습니다. |
표 2-1-3: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내역
불성실 공시유형 | 지정일 | 지정사유 | 부과벌점 | 제재금(단위 : 원) | 지정 후 개선노력 등 | |
---|---|---|---|---|---|---|
당사는 국내외 주주들을 대상으로 컨퍼런스콜, 웹캐스팅, 홈페이지, 전자공시 등 다양한 소통 채널을 통하여 기업정보를 주주에게 적시에 충분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소액주주를 위한 별도의 행사 개최는 없었으나, 전화, 이메일 등의 방법으로 수시로 소액주주들과 경영현황, 주주환원정책 등 소액주주 주요 질의에 소통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소액주주와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하여, 매분기 실적발표회 준비 시 해당 분기 중 유선과 메일을 통해 접수된 소액주주의 질의 및 요청사항을 취합하여 경영진에게 전달하고 있으며, 해당 내용에 대한 답변이 실적발표회 중 경영진 답변사항에 포함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인 주주나 투자자들에게 충분한 정보를 공평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202200] (세부원칙 2-2) - 기업은 지배주주 등 다른 주주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운영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2-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계열회사 등과의 내부거래,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 등과의 자기거래를 통제하기 위한 체계적인 내부 규정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우선, 롯데그룹 행동강령의 이해상충 방지 조항을 회사의 행동기준으로 삼아 이를 구체화하고, 이사회 규정을 통해 관련된 절차를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계열회사 등 특수관계인과의 일정 거래금액 이상의 내부거래 적정성을 사전에 심의, 검토하기 위해 이사회 산하에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를 자발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각 항목별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자기거래 및 이해상충 방지 롯데그룹 행동강령은 개인과 회사 간 이해가 상충될 경우, 회사가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이익에 부합하도록 행동할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이해상충이 발생하거나 발생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이를 회사에 공개하고, 사전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습니다(4. 주주와의 신뢰 - 02 이해 상충 방지).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당사는 이사회 규정 제12조 제1항에서 「상법」 제398조에 따른 이사 등과 회사 간 거래, 이사의 경업, 동종영업을 목적으로 하는 타 회사 임원 겸임, 이사의 회사 기회 이용 등에 대해 이사회 사전 승인을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때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해당 안건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으며, 그 이사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하지 않습니다(이사회 규정 제9조 제3항). 2) 투명경영위원회를 통한 내부거래 심의 또한, 당사는 일정 거래금액 이상의 계열회사 등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에 대해 사전에 심의 및 승인하기 위하여 이사회 산하에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 위원회는 내부거래의 적정성과 공정성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였고,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에서 심의를 수행하기 위해 전원 사외이사(3인)로 구성되어 있으며, 투명경영위원회 운영 규정 제3조 및 제11조에 규정된 부의 사항(세부 원칙 4-1 부분 참조)에 대한 심의 및 승인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필요 시 관련 사업의 주요내용, 계약방식 및 거래 상대방의 선정기준, 세부 거래조건 등 관련 자료의 제출 및 보고를 요청할 수 있으며, 거래당사자 선정의 적정성, 세부 거래조건의 타당성, 수의계약 체결 사유, 비계열 독립기업에 대한 직발주 가능성 등을 검토하여 관련 법령 및 회사 규정 위반 우려가 있는 내부거래에 대해서는 시정을 건의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동 규정 제12조에 따라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관계 임직원 또는 외부인사를 회의에 출석시켜 의견을 청취하거나,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내부거래의 투명성 확보와 공정거래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해, 내부거래의 가능성이 있는 경우 경쟁입찰 방식을 원칙으로 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내부거래를 진행하는 경우 계약방식 및 거래조건의 적정성에 대하여 컴플라이언스팀의 사전 검토를 거치도록 하는 절차를 세운 내부 지침(규정)을 제정·운영하고 있습니다(2021. 8. 25.附). |
「상법」 제542조의 9 제5항 등 관련 법령 및 당사 이사회 규정 제12조 제1항 제1호 17목에 의거하여, 일정 규모 이상의 특수관계인과의 거래 중 당사가 영위하는 업종에 따른 일상적인 거래의 경우, 거래의 반복성 및 효율성을 고려하여, 거래 전 이사회에 거래기간, 가격, 물량 등 거래의 중요한 내용을 보고하고 연간 거래총액을 포괄적으로 승인받도록 하고 있습니다. 포괄 승인을 받은 거래총액의 범위 안에서 이행되는 거래는 별도의 이사회 승인을 거치지 않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4년 2월 이사회에서 2024년 최대주주 등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에 대한 사전 포괄 승인을 받았고, 2025년 3월 제4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해당 거래 내역을 보고하였습니다. |
당사는 지배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을 사업보고서에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가지급금 및 대여금 내역 (단위: 천원)
2) 담보제공 내역 (단위: 천USD, 천원)
3) 채무보증 내역 (단위 : 천USD, 천MYR, 천EUR, 천원)
4) 자금보충 약정 (단위 : 천원)
5) 당기 중 당사의 이해관계자와의 자산양수도 거래 (단위 : 천원)
(주1) 별도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주2) 2024년 9월 6일부로 삼박엘에프티㈜에서 롯데엔지니어링플라스틱㈜로 사명 변경되었습니다.
6) 영업거래 (단위 : 천원)
|
당사는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롯데그룹 행동강령,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의 자발적 설치 등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고 있습니다. |
향후에도 당사의 정책을 바탕으로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겠습니다. |
[202300] (세부원칙 2-3) - 기업은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정책에 있어 주주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당사는 세부원칙 2-3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6조를 통해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 회사 경영권의 변동을 초래하는 중대한 행위는 투명하고 공정한 절차에 의해 이루어져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합병이나 중요한 영업의 양수도 등 중요한 구조변경에 반대한 주주가 법령에 따라 실질가치를 반영한 공정한 가액으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음을 명문화하여 반대주주를 포함한 소액주주 등 주주보호를 위한 회사의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 사안 발생 시, 이사회에서 의결하고 주주총회에 안건을 상정하여 최종적으로 승인됩니다. 이에 따라 주주총회일 2주 전까지 서면 및 전자적인 방식으로 주주에게 내용을 안내하게 됩니다. 주주는 주주총회 출석을 통하여 직접 행사 혹은 전자투표를 통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반대주주는 반대의사를 제출하고 주주총회 승인일로부터 20일 이내에 매수를 요청하는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매수청수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홈페이지에 동 사안에 관련된 내용을 공고하며, 공개된 IR 담당부서의 연락처를 통하여 소액주주의 의견을 청취하고 수렴할 수 있습니다. |
N(X)
|
당사는 공시 대상기간 중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등에 관한 사항이 없었으며, 현재 구체적인 계획 또한 없습니다. |
N(X)
|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채권 등 발행 현황이 없습니다.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내에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자본조달 사항이 없었습니다. |
|
당사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기초로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에 대한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사안이 발생 시 상법상 주주총회 특별결의 절차와 당사 투표제도 등을 이용하여 반대주주 권리보호를 할 수 있으며 소액주주 의견 수렴 절차는 별도로 명문화되어 있지 않으나 관련 사안 발생 시 홈페이지 공고 및 공개된 IR 담당부서의 전화번호와 이메일 등을 통하여 소액주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습니다. |
앞으로도 회사는 소액주주 의견수렴 및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하여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300000] 3. 이사회
[303000] (핵심원칙 3)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이익을 위하여 기업의 경영목표와 전략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감독하여야 한다.
[303100] (세부원칙 3-1) -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3-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당사 이사회는 회사의 최고 의사결정기구로서, 이사회 규정 제12조(부의사항)에 따라 주주총회 상정에 관한 사항, 경영 관련 사항, 재무 관련 사항, 이사에 관한 사항 등을 의결합니다. 특히, 재무 및 소송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법상 기준보다 강화된 내부기준을 자율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재무에 관한 사항 중 출자 또는 출자지분의 처분, 고정자산 취득 및 처분, 차입 등 투자 관련 사안에 대해서는 해당 투자가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것인지 고려하며,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법보다 엄격한 금액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10억 원 이상의 기부금에 대해서는 기부 목적, 기부 금액, 대상사업의 적정성 등을 이사회가 직접 검토하여 기부의 투명성과 합리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소송 관련 사항의 경우, 당사는 소송의 금액 규모뿐 아니라 사안의 민감도, 회사의 평판 및 재무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 등 다양한 요소를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안건을 이사회에 부의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이러한 사안에 대해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다각도로 검토하고, 적절한 대응 방향과 대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심의·의결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이사회 부의사항은 아래 표 3-1-1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표3-1-1 : 이사회 부의사항
|
이사회는 이사회 운영의 효율성과 전문성,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산하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및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관련 사항을 위임하고 있습니다.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은 각 이사에게 통지되며, 각 이사는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사회 의장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하여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을 다시 결의할 수 있습니다(「상법」 제415조의2 제6항에 따라 감사위원회 결의는 제외). 이사회가 각 위원회에 위임한 사항은 아래 표 3-1-2와 같습니다.
표 3-1-2 : 이사회가 위원회에 위임한 사항
또한, 이사회의 효율적인 운영과 경영의사결정 기능의 수행을 지원하기 위해, 이사회 내 위원회와는 별개로 경영위원회를 설치 · 운영하고 있습니다. 경영위원회는 2인의 대표이사 · 기획담당 임원· 재무담당 임원을 포함한 5인 이상의 내부 상근 임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법령, 정관, 이사회 운영규정 및 경영위원회 운영규정 등에 의하여 별도로 결의할 기관을 정하지 아니한 사항' 또는 '이사회 및 각 위원회에서 결의한 사항의 세부사항의 결정 및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대표이사가 그 결정을 하도록 위임하고 있습니다.
[경영위원회 승인사항]
|
당사 이사회는 회사의 의사결정기구로서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위하여 회사의 경영 목표 및 기본적인 경영방침을 결정하고, 투명한 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사회의 감독 권한과 부의사항 등을 이사회 운영 규정에 상세히 규정하고, 일부는 법상 의무화된 부분보다 강화하여 의결하도록 하여 이사회가 경영의사결정과 감독 기능을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당사는 이사회와 관련하여 정책적으로 미비한 사항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노력과 함께 외부 기업지배구조 평가에서의 개선 요구사항 등을 반영하여 이사회 중심 지배구조의 독립성 및 효율성 수준을 제고해 나갈 것입니다. |
[303200] (세부원칙 3-2) - 이사회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3-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인사부서 주관으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수립하고 명문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은 회사의 장기비전을 공유하고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에 부합할 수 있는 최고경영자 선임을 위해 관련한 자격, 권한, 책임, 승계, 교육 등 관련 사항을 체계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최고경영진과 인사부서에서는 해당 정책에 따라 매년 최고경영자 후보군을 선정하고 관리 및 육성하고 있으며, 최고경영자 승계시점이 도래하면 사전에 육성된 후보군과 외부 영입 인재 후보군을 포함, 최종 후보군을 이사회에 추천합니다. 이사회는 경영 역량, 경험, 전문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상법」 제389조, 정관 제35조, 이사회 규정 제12조에 따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최고경영자 선임절차를 완료합니다. 또한, 전임 최고경영자는 퇴임 후 상근고문 또는 상담역으로 위촉되어 지속적인 경영승계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대표이사 일신상의 사유나 유고 등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비상상황 발생 시 정관 제36조, 이사회 규정 제4조에 따라 이사회에서 결정된 자가 그 직무를 대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에 따라 매년 사업환경과 전략을 반영하여 최고경영자 역할과 핵심역량을 정의한 포지션 개요서를 작성합니다. 이 개요서를 바탕으로 각 본부로부터 추천받은 후보군과 기존 후보를 대상으로 자격·역량 검증을 실시하고, 핵심역량 분야별 최대 4배수 이내로 최종 후보군을 확정합니다. 확정된 후보군은 연중 상시 운영되는 육성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비즈니스·글로벌·리더십·조직관리 등 기본 역량을 강화하고, 개인별 강점 및 보완 과제에 따른 현장 과제를 수행합니다. 또한 상위 리더와의 팀 구성, 코칭·멘토링 등 다양한 지원 활동을 통해 최고경영자로서의 소양과 통찰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동안 총 4명의 최고경영자 후보군을 대상으로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 CEO로 육성하기 위해 IR 피칭, 국내·외 현장방문 교육, 전현직 CEO 및 내·외부 전문가 특강 등의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2025년에는 재무 리더십, 조직 관리역량 등 CEO로서 갖춰야 할 필수역량에 대한 학습과정과 마인드셋 코칭, 파괴적 혁신 워크샵 등으로 구성된 CEO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최고경영자 후보군의 역량·자질 검증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2024년부터 당사 최고경영진이 참여하는 ‘Talent Session’을 신설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최고경영자승계정책을 마련하고 후보군을 선정하여 관리하며 명문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새롭게 도입한 경영승계 제도들이 안정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발전시킬 예정입니다. |
[303300] (세부원칙 3-3) - 이사회는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당사는 세부원칙 3-3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전사적 차원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인식하고 대응하기 위한 정책과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1) 이사회, 위원회 중심의 전사 리스크 관리체계 이사회는 이사회 규정 제12조에 따라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 사안에 대해 포괄적인 리스크 관리를 수행하며, 이사회의 권한을 위임받은 각 위원회는 위원회 내 명문화된 운영 규정을 통해 분야별 리스크를 인식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회계ㆍ재무 리스크를, 투명경영위원회는 계열회사 간 내부거래의 적정성 검토 등 공정거래 관련 리스크를 관리합니다. 그리고 ESG위원회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영역 전반의 리스크 및 기회를 관리하고 있으며, 의사결정 과정에 ESG 요소를 내재화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위원회는 인식된 리스크를 이사회에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이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 이사회의 전사적 리스크 관리 현황
2) 실무조직의 자율적 리스크 관리체계
● 자율적 리스크 관리 현황
|
Y(O)
|
당사는 경영활동 전반의 컴플라이언스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이사회를 통해 준법지원인을 선임하고, CEO 직속으로 준법경영부문 내에 법무팀, 컴플라이언스팀, 내부회계팀을 설치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준법경영헌장, 기업지배구조 헌장, 준법통제기준(상장회사 표준준법통제기준 반영)을 비롯하여 반부패, 공정거래, 영업비밀 등 주요 리스크 분야에 대한 관리 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업에서 수행하는 업무 전반에 대해 컴플라이언스 리스크를 분석, 평가하고 핵심 리스크 유형별로 적합한 통제 활동을 수립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맞춤형 교육, 사전 검토, 상시 점검/모니터링, 프로세스 개선, 업무 가이드라인 배포 등). 특히 2024년에는 해외 자회사 컴플라이언스 관리체계 도입을 완료하였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운영, 개선을 통해 준법경영 체계를 정착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는 그룹차원에서 제정한 ‘롯데인의 행동강령(Code of Conduct)’을 내부 준칙으로 준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임직원이 준법 및 윤리 기준을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당사 준법지원인의 인적사항 및 주요 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준법지원인 인적사항 및 주요 경력
● 준법지원인 주요 활동 내역
●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 부패방지 경영시스템(ISO 37001) 및 규범준수 경영시스템(37301) 통합 인증 취득을 통한 준법경영 체계 확립 당사는 준법경영 및 부패 리스크 관리의 객관적 지표를 확립하고 이를 조직 문화로 정착하여 지속가능 성장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2024년 공인 인증기관으로부터 부패방지 경영시스템(ISO 37001) 및 규범준수 경영시스템(37301) 통합 인증을 취득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는 다음의 업무를 진행하였습니다. - 규범준수 및 부패방지 경영시스템 매뉴얼 및 관련 규정 운영 - 이사회 구성원을 포함한 전 임직원의 준법 서약 실시 - 부서별 담당자 선발 · 교육, 부서별 리스크와 기회 진단 · 평가, 모니터링 - 내부심사 진행 - 부패방지 및 규범준수 경영시스템 운영 결과 및 개선 방안 승인(대표이사)/보고(이사회) - 외부 인증기관을 통한 외부 심사 실시 |
Y(O)
|
당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과 공시를 위하여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 제8조에 따라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하고 독립된 전담 조직을 두어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운영하고 있으며, 외감법 시행령 제9조 제2항 제6호 적용에 따라 연결재무제표에 관한 회계정보의 작성과 공시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이 포함된 연결 기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설계·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점검 결과에 대하여 대표이사는 외감법 제8조 제4항에 의거 사업연도마다 주주총회, 이사회 및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는 외감법 제8조 제5항에 의거 사업연도마다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평가하여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감법 제8조 제7항에 의거 외부감사인은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해 감사를 실시하고 감사 의견을 감사보고서에 표명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리 및 운영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은 당사의 2024년 사업보고서 첨부 자료인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보고서’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공시정보관리규정을 두어 당사의 모든 공시정보가 관련 법규에 따라 정확하고 공정하며 시의적절하게 공시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임직원의 불공정거래 또한 방지하기 위하여 공시 관련 업무 및 절차에 관한 사항과 공시정보의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공시통제조직의 기본적 권한과 책임은 공시정보관리규정 제4조 책임과 권한 및 제5조 세부사항에서 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공시책임자는 대표이사의 임명을 통하여 공시관련법규 준수 및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권한을 받아 공시업무를 총괄하며, 공시사항과 관련된 각종 장부 및 기록에 대한 제출요구 및 열람권, 공시정보 생성 및 작성과 관련된 부서의 임직원에 대한 의견 청취, 필요한 경우 담당임원 및 감사위원과 협의할 권한을 가집니다. 또한, 외부전문가의 자문을 청취할 수 있는 권한도 부여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공시담당부서는 부서장 1인과 공시담당자 2인으로 구성되어, 공시정보 수집, 공시서류의 작성 및 제출, 연간 공시업무계획의 수립 및 점검, 공시 관련 법규 제 · 개정 검토, 공시 위험의 점검 및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당사의 공시관리 프로세스는 내부회계관리규정에 따라 공시관리 프로세스 별 공시통제활동을 매년 문서화하고, 평가받음으로써 공시 내부통제 체계의 적정성을 지속적으로 개선, 보완하고 있습니다. 또한, 롯데그룹의 공시지원시스템(L-DART) 및 당사 내부 공시지원시스템을 통하여 기업집단 차원 및 회사 단위로 공시정보를 이중 점검, 관리하고 있으며, 주요 공시자료는 각 담당부서의 임원의 결재를 거쳐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업부서는 공시정보관리규정에 따라 중요한 경영상 이슈가 발생할 경우, 공시담당부서에 즉시 통보해야 합니다. 또한, 회사는 이사회 안건 상정 시 현업부서가 공시대상 정보 여부에 대한 사전검토를 필수적으로 거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시대상 정보 누락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임직원을 대상으로 수시공시사항 및 자본시장법상 불공정거래 방지에 관한 정기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공시위반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종속회사에 대해서도 협의체를 구성하여 주요 경영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종속회사의 경영사항에 대한 공시 적시성 및 정확성 확보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
그 외 추가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준법경영 정책의 주요 내용과 그 운영 현황에 대해 보충 설명을 하겠습니다. ● 내 · 외부 제보채널 운영 [온라인 신문고] 당사는 임직원 및 외부 이해관계자가 회사 및 임직원의 법령 및 윤리경영 위반 행위, 불공정 및 부당한 행위 등을 제보할 수 있도록 온라인 신문고를 운영하고 있습니다(https://ethics.lottechem.com/sinmungo/sinmungo_real_report.do). 당사는 내부 규정(신문고 운영 및 사건처리 요령)에 의거, 제보 사실에 대한 조사 및 확인, 조사 결과에 따른 징계조치 등의 모든 절차에서 제보자와 그 대리인의 신원을 보호하며, 제보자와 그 대리인의 동의 없이 그들의 신원이 노출될 우려가 있는 어떠한 자료도 공개하거나 누설하지 않습니다. 제보는 익명 또는 실명으로 제보할 수 있고, 당사는 제보자 등과 그 대리인에게 사건처리경과 및 결과를 통지하여야 하며, 제보를 이유로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조치를 하지 않습니다. [외부 준법 제보 채널, 고충처리위원회] 당사는 임직원이 회사 및 임직원의 법령 및 사규 위반 행위,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 등의 사안을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외부 기관에 제보할 수 있도록 외부 준법 제보 채널을 신설하였습니다(2021. 7. 1.附). 또한 임직원은 직장 내 성희롱/괴롭힘과 관련된 사안은 당사 내부에 설치된 고충처리위원회를 통해서도 신고할 수 있으며, 당사 내부 규정(외부 준법 제보 채널 운영 및 사건처리요령, 성희롱, 직장내 괴롭힘의 예방 및 사건처리요령)에 의거, 임직원은 익명 또는 실명으로 제보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제보 접수, 조사 및 조사 결과에 따른 징계조치 등의 절차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피해자/제보자와 그 대리인이 적절히 보호받을 수 있도록 조치하며, 제보를 이유로 해고나 그 밖의 불리한 조치를 해서는 안 되며, 피해자가 원하는 경우 근무 장소 변경 등 피해자 등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합니다. 제보 채널, 제보 방법 및 처리 절차는 당사 내부 인트라넷과 임직원에게 배포된 컴플라이언스 핸드북을 통해 상시 안내하고 있습니다. ● 공급망 대상 준법경영 정책 확산 당사는 당사와 거래하는 모든 파트너사(공급망) 전반에 준법경영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파트너사가 자율적으로 준법경영 정책을 수립 및 운영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9년부터 모든 계약에 표준 반부패 조항을 반영하여, 파트너사의 국내 · 외 반부패 법령 준수, 반부패 법령 위반 방지를 위한 유효한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운영 및 부패방지 교육 시행 등을 필수 조건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파트너사 대상 컴플라이언스 교육도 진행하고 있으며, 2024년 8월에 파트너사 대상 ESG 경영 교육을 실시한 바 있습니다. 또한,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거래의 경우, 계약 체결 전에 파트너사의 준법경영 이행현황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노동, 환경, 인권, 안전, 윤리 등 영역에서 파트너사의 지속가능한 경영과 당사와의 상생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파트너사와의 상생협력을 위한 임직원 실천지침’을 마련하였습니다. 아울러, 납품업체와의 거래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관련 법령에 따라 납품대금연동제를 도입, 운영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리스크 관리, 준법경영 등 내부통제 정책을 마련하고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맞춰 리스크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 회사는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하여 새롭게 인식되는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 정책을 지속 보완하고 개선해나가겠습니다. |
[304000] (핵심원칙 4) 이사회는 효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경영진을 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이사는 다양한 주주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투명한 절차를 통하여 선임되어야 한다.
[304100] (세부원칙 4-1) - 이사회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 사항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사외이사를 두어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4-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 |
당사 이사회는 정관 제31조에 따라 3인 이상 11인 이내의 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지배구조헌장 제5조와 정관에 따라 이사회가 실질적인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외이사가 전체이사의 과반수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며, 이사 전원을 특정 성(性)의 이사로 구성하지 아니합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11인으로, 4인의 사내이사와 6인의 사외이사(1인 여성 사외이사)와 1인의 기타비상무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세한 이사회 구성 등 현황은 표 4-1-2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표 4-1-2: 이사회 구성 현황
구분 | 성별 | 나이(滿) | 직책 | 이사 총 재직기간(월) | 임기만료예정일 | 전문 분야 | 주요 경력 | |
---|---|---|---|---|---|---|---|---|
신동빈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70 | 대표이사 | 386 | 2027-03-25 | 기업경영 일반 | 현) 롯데그룹 회장 현) 롯데지주 대표이사 |
이영준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59 | 대표이사 겸 이사회 의장 | 62 | 2026-03-25 | 기업경영 일반 | 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화학군 총괄대표, 기초소재사업 대표 겸임) 전)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 대표 |
황민재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53 | 대표이사, ESG 위원회 위원 | 2 | 2027-03-25 | 기업경영 일반 | 현) 롯데케미칼 대표이사(첨단소재사업 대표) 전) 롯데케미칼 화학군HQ 기술전략본부장(CTO) |
성낙선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52 | 롯데케미칼 재무혁신본부장(CFO) | 14 | 2026-03-25 | 재무 / 회계 경영관리 |
현) 롯데케미칼 재무혁신본부장(CFO) 전)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 경영지원본부장 |
조운행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4 | 감사위원회 위원장, 투명경영위원회 위원, ESG위원회 위원 | 38 | 2026-03-25 | 재무/회계, 금융 | 현) 한반도사랑나눔장학회 이사장 전) 우리종합금융 대표이사 |
오윤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2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감사위원회 위원, 투명경영위원회 위원 | 14 | 2026-03-25 | 조세, 법률 | 현)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 한국국제조세협회 이사장 및 한국세법학회장 |
손병혁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0 | 선임(先任)사외이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보상위원회 위원, ESG위원회 위원 | 14 | 2026-03-25 | 산업, 연구(화학) | 현) 서울대 화학부 교수 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평가위 소재분과위원(과기부 산하) |
박지순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57 | 보상위원회 위원장, ESG위원회 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14 | 2026-03-25 | 노사, 고용정책 | 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전) 금융산업공익재단 이사 |
서휘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57 | 감사위원회 위원, 투명경영위원회 위원 | 2 | 2027-03-25 | 산업, 연구(화학) | 전) ㈜삼양사 AM BU장 전) 한국바스프㈜ 첨가제사업부문장 |
조혜성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60 | 보상위원회 위원, ESG위원회 위원 | 2 | 2027-03-25 | 산업, 연구(화학) | 전) ㈜삼양사 AM BU장 전) 한국바스프㈜ 첨가제사업부문장 |
김종근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50 | 기타비상무이사 | 2 | 2027-03-25 | 사업관리 | 현) 롯데지주 경영혁신1팀장 전) 롯데칠성음료㈜ 주류마케팅부문장 |
당사는 정관 제39조 및 이사회 규정 제13조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이사회 내 총 5개의 위원회{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감사위원회, ESG위원회}를 두고 있습니다. 먼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2024년 7월 이사회 의결을 통하여 전원 사외이사(3인)로 구성하고 있으며, 사외이사 선임원칙의 수립 및 점검,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 후보의 추천, 상시적인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 및 후보 검증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상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3인)로 구성되어 있으며 임원 보상 관련 사항을 심의 및 의결하고, 기타 이사회에서 위임한 사항을 심의 및 의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3인)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상 대규모 내부거래, 공정거래법상 사익편취 규제에 해당하는 대상과의 수의계약, 계열회사와 건설, 물류, 시스템 통합, 광고 분야에서의 100억원 이상 수의계약, 이미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사안의 거래조건을 20% 이상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경을 하는 경우 등에 해당하는 사항을 심의 및 의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투명경영위원회의 위원장은 보고서 제출일 이후인 6월에 개최되는 위원회에서 선임 예정입니다. 감사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3인)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사의 회계와 업무 감사, 영업에 관한 보고 요구 및 회사의 재산 상태 조사,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과 이사회 위임 사항을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ESG위원회는 사외이사 4인, 사내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장은 사외이사가 담당하고 있고, ESG 경영 전략과 실행계획 등의 수립, ESG 실행 전략으로 이사회에 부의되는 안건 심의 및 의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각 위원회의 구성원은 법률, 회계, 재무, 세무 및 영위 산업의 전문가로 구성하여 의안을 심도 있고 다양한 관점으로 토의 및 의사 결정하고 있습니다. 모두 과반수의 사외이사를 두고 있으며 특히,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이사회 및 위원회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전담부서 및 지원부서를 두어 사외이사가 전문적인 직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7일 전에 의안 자료를 충분한 시간을 두고 이사진에게 보고, 제공함으로써 회의가 충실하게 진행되도록 하고 있습니다. |
표 4-1-3-1: 이사회내 위원회 현황
이사회내 위원회 주요 역할 | 위원회 총원(명) | 위원회 코드 | 비고 |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1. 사외이사 선임원칙의 수립·점검·보완 2.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 후보 추천 3. 상시적인 사외이사 후보군 관리 및 후보 검증 |
3 | A | - |
보상위원회 | 1. 임원 보상 관련 사항의 심의 및 의결 2. 기타 이사회에서 위임한 사항의 심의 및 의결 |
3 | B | - |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 1. 공정거래법상 대규모 내부거래 2. 공정거래법상 사익편취 규제에 해당하는 대상과 수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3. 계열회사와 건설, 물류, 시스템 통합, 광고 분야에서 100억원 이상의 수의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4. 이미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사안의 거래조건을 20% 이상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경을 하는 경우 5. 기타 위원회의 운영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 |
3 | C | - |
감사위원회 | 1. 회사의 회계와 업무 감사 2. 영업에 관한 보고 요구 및 회사의 재산 상태 조사 3.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과 이사회 위임 사항 처리 |
3 | D | - |
ESG위원회 | 1. ESG 경영 전략과 실행계획 등의 수립 2. ESG 실행 전략으로 이사회에 부의되는 안건 심의 3. 기타 이사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및 대표이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
5 | E | - |
표 4-1-3-2: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
직책 | 구분 | 성별 | 겸임 |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오윤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C, D |
손병혁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B, E | |
박지순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B, E | |
보상위원회 | 박지순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E |
손병혁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E | |
조혜성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E | |
투명경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
조운행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D, E |
오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D | |
서휘원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D | |
감사위원회 | 조운행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C, E |
오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C | |
서휘원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C | |
ESG위원회 | 박지순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B |
손병혁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B | |
조운행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C, D | |
조혜성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B | |
황민재 | 위원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 |
Y(O)
|
당사는 2021년 9월 지속가능경영 관련 이사회 내 ESG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는 회사의 경영의사결정에 ESG 관점을 통합하여 환경,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투명한 지배구조를 정립하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하였습니다(ESG위원회 규정 제3조). 위원회는 ESG 경영 전략과 실행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 안전/기후/폐기물/자원 선순환 관련 전략의 실행, 지배구조의 개선, 기타 이사회에서 위임을 받거나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을 심의, 의결합니다. 또한, ESG 경영전략의 실행 성과 및 ESG 경영과 관련된 재무·비재무적 리스크 관리 사항에 대하여 보고 받을 권한도 보유하고 있습니다(ESG위원회 규정 제11조). 상세한 위원회 규정은 본 보고서 내 첨부된 ESG위원회 규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N(X)
|
당사의 이사회 의장은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영준 대표이사가 맡고 있습니다. 이영준 대표이사는 재직기간 동안 풍부한 현장경험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당사 성장에 이바지하였고, 그간의 경영 경험과 비전을 통해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방향성 수립과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이사회 규정 제4조에 따라 이사 중 추천을 통해 의결을 거쳐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되었습니다. |
Y(O)
|
N(X)
|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집행임원 제도는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사회 규정 제4조의2에 의거하여 대표이사 혹은 사내이사가 의장을 맡는 경우, 경영진 견제 및 감독 기능을 강화하고 이사회 운영의 투명성과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선임사외이사는 사외이사 전원으로 구성되는 사외이사 회의를 소집 및 주재할 수 있으며, 경영진에게 현안 보고를 요구하거나 의견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2024년 3월 이사회에서 선임사외이사 제도 도입을 승인하였고, 보고서 제출일 현재 선임사외이사는 손병혁 사외이사입니다. 2024년 1월 1일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선임사외이사 주재로 소집된 사외이사만의 회의는 총 4회 개최하였습니다. 집행임원제도는 이사회의 대표이사와 각 이사를 통하여 중요 의사결정과 감독 및 집행 권한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도입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현재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을 겸임하고 있습니다. 이는 석유화학업의 특성상 글로벌 경기와 수급구조 등 대외 경영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업종에 대한 이해도, 전문성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이에 당사는 이사회의 독립성과 견제기능을 보완하고자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하여 사외이사가 이사회 내에서 경영진의 의사결정에 대한 견제와 감독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사회의 전문성과 산업이해도를 강화하기 위해 석유화학기업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를 신규 사외이사로 선임하는 등 이사회 구성의 균형성과 독립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더욱 높이고 경영 감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2024년 7월 이사회 의결을 통해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구성원을 전원 사외이사(3인)으로 구성하였습니다. 또한, 2024년 도입한 선임사외이사 제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사외이사 전원으로만 구성된 사외이사 회의를 4회 개최하였습니다.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이사회가 경영상의 중요 사안에 대하여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해에 부합하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경영진 및 지배주주의 견제, 감독기능과 관련된 제도를 지속적으로 보완 및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
[304200] (세부원칙 4-2) - 이사회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경력 등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구성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4-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Y(O)
|
당사는 이사회의 전문성, 책임성 및 다양성 확보를 위해 관련 정책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기업지배구조헌장 제5조에서는 이사회가 기업 경영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지닌 유능한 사람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기반으로 경영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이사회 구성의 다양성을 증진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관 제31조와 이사회 규정 제3조에서도 이사 전원을 특정 성(性)의 이사로 구성하지 아니하도록 다양성에 대한 부분을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감을 가진 유능한 자로 이사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내이사는 사업에 대한 전문 지식, 책임감, 성과와 경험을 가진 후보들 중 이사회 추천을 거쳐 주주총회에서 선임합니다. 사외이사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기술, 법률, 정책, 재무, ESG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과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성을 두루 갖춘 후보를 성별, 인종, 국적 등에 따른 제한 없이 추천하고, 주주총회를 통해 선임합니다. 당사는 2024년 이사회 역량 현황표'(Board Skills Matrix, BSM)을 도입하고 이사진이 갖추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리스크 관리, 경영/회계와 글로벌, ESG 역량, 리더쉽, 산업기술 및 법률/정책 총 7가지의 지표를 선정하였습니다. 각 이사 별 전문성과 역량은 누구나 확인가능하고 이를 통한 합리적인 의결권 행사에 기여할 수 있도록 본 보고서의 첨부와 당사 홈페이지 및 ESG Report를 통하여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사업 전반에 높은 이해도를 지닌 사내이사 4인, 기타비상무이사 1인과 각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사외이사 6인, 총 1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외이사 중 1인을 여성으로 선임하여 이사회의 성별 다양성 원칙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구성원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본 보고서 내 '표 4-1-2: 이사회 구성 현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은 표 4-2-1과 같습니다. |
표 4-2-1: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구분 | 최초선임일 | 임기만료(예정)일 | 변동일 | 변동사유 | 현재 재직 여부 | |
---|---|---|---|---|---|---|
신동빈 | 사내이사(Inside) | 1993-03-12 | 2027-03-25 | 2025-03-25 | 재선임(Reappoint) | 재직 |
이영준 | 사내이사(Inside) | 2020-03-25 | 2026-03-25 | 2024-03-26 | 재선임(Reappoint) | 재직 |
황진구 | 사내이사(Inside) | 2021-03-23 | 2025-03-25 | 2024-12-01 | 사임(Resign) | 퇴직 |
강종원 | 사내이사(Inside) | 2023-03-29 | 2025-03-25 | 2024-01-10 | 사임(Resign) | 퇴직 |
이훈기 | 사내이사(Inside) | 2024-03-26 | 2026-03-25 | 2024-12-01 | 사임(Resign) | 퇴직 |
성낙선 | 사내이사(Inside) | 2024-03-26 | 2026-03-25 | 2024-03-26 | 선임(Appoint) | 재직 |
황민재 | 사내이사(Inside) | 2025-03-25 | 2027-03-25 | 2025-03-25 | 선임(Appoint) | 재직 |
전운배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4-03-26 | 2024-03-26 | 만료(Expire) | 퇴직 |
강정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4-03-26 | 2024-03-26 | 만료(Expire) | 퇴직 |
최현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4-03-26 | 2024-03-26 | 만료(Expire) | 퇴직 |
남혜정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1-03-23 | 2025-03-25 | 2025-03-25 | 만료(Expire) | 퇴직 |
조운행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03-24 | 2026-03-25 | 2024-03-26 | 재선임(Reappoint) | 재직 |
차경환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3-29 | 2025-03-25 | 2025-03-25 | 만료(Expire) | 퇴직 |
박지순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6 | 2026-03-25 | 2024-03-26 | 선임(Appoint) | 재직 |
오윤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6 | 2026-03-25 | 2024-03-26 | 선임(Appoint) | 재직 |
손병혁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6 | 2026-03-25 | 2024-03-26 | 선임(Appoint) | 재직 |
서휘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5-03-25 | 2027-03-25 | 2025-03-25 | 선임(Appoint) | 재직 |
조혜성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5-03-25 | 2027-03-25 | 2025-03-25 | 선임(Appoint) | 재직 |
김종근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5-03-25 | 2027-03-25 | 2025-03-25 | 선임(Appoint) | 재직 |
당사 이사회는 전문성, 다양성, 책임의식을 고루 갖춘 이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앞으로도 이사회 구성을 '이사회 역량 현황표'(Board Skills Matrix, BSM)를 기준으로 활용하여 각 분야의 전문가 및 다양한 배경을 가진 유능한 자로 구성함으로써, 당사의 경쟁력 확보와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
[304300] (세부원칙 4-3) -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4-3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100 |
당사는 사외이사 선임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사회 내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법」 제382조, 제542조의8 등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자격요건을 충족하면서 경영진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 독립성을 기반으로 회사 경영에 대한 견제, 감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외이사후보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 후보는 당사의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통해 육성된 후보군과 외부 영입 후보군 중에서 최고경영진과 인사부서의 논의를 거쳐 역량과 경험, 전문성, 리더쉽 등을 보유한 최적의 인물을 이사회에 추천합니다. 이렇게 추천된 사내ㆍ사외이사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통해 최종 선임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 선임을 위한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에 관한 사항은 본 보고서 세부원칙 3-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구성, 이사 후보 추천에 관한 주요 활동 내역은 동 보고서 내 세부원칙 7-1 및 8-2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공시대상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총 2회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당사는 이사 후보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아래 표 4-3-1과 같이 주주총회일 2~4주 이전에 주주총회소집 공고, 주주총회 소집 결의 등으로 공시함으로써, 주주가 이사 후보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가지고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습니다. |
표 4-3-1: 이사 후보 관련 정보제공 내역
정보제공일(1) | 주주총회일(2) | 사전 정보제공기간(일)((2)-(1)) | 이사 후보 구분 | 정보제공 내역 | 비고 | ||
---|---|---|---|---|---|---|---|
제 49기 정기주주총회 | 신동빈 | 2025-03-07 | 2025-03-25 | 18 | 사내이사(Inside)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
재선임 |
황민재 | 2025-03-07 | 2025-03-25 | 18 | 사내이사(Inside)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
신규선임 | |
조혜성 | 2025-03-07 | 2025-03-25 | 18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신규선임 | |
서휘원 | 2025-03-07 | 2025-03-25 | 18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신규선임 | |
김종근 | 2025-03-07 | 2025-03-25 | 18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신규선임 | |
제 48기 정기주주총회 | 이훈기 | 2024-03-06 | 2024-03-26 | 20 | 사내이사(Inside)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
신규선임 |
이영준 | 2024-03-06 | 2024-03-26 | 20 | 사내이사(Inside)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
재선임 | |
성낙선 | 2024-03-06 | 2024-03-26 | 20 | 사내이사(Inside)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
신규선임 | |
조운행 | 2024-03-06 | 2024-03-26 | 20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재선임 | |
박지순 | 2024-03-06 | 2024-03-26 | 20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신규선임 | |
오윤 | 2024-03-06 | 2024-03-26 | 20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신규선임 | |
손병혁 | 2024-03-06 | 2024-03-26 | 20 | 사외이사(Independent) | 1. 후보 추천방식 및 추천사유 2. 후보자 상세 이력, 전문성, 독립성 3. 후보자의 결격 사유 유무 등 4. 후보자 직무수행계획 5. 겸직 현황 |
신규선임 |
Y(O)
|
재선임되는 이사 후보에 대해 분·반기, 사업보고서 및 주주총회 소집공고를 통하여 이사회 및 위원회 참석률, 안건 별 찬반현황 등 이사회 활동 내역을 공시하여 선임과정에서 주주들의 평가가 충분히 반영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N(X)
|
회사는 정관 제32조 3항에 의거하여 「상법」 제382조의 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현재까지 이사 선임 과정에서 소수주주가 의견을 제시한 경우가 없었으나, 향후 이러한 요구가 있을 경우 이에 대한 신중한 검토를 통해 소수주주의 의견이 존중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이며, 집중투표제 또한 경영에 대한 감시 강화와 주주권익을 위한 주주의 요청이 있는 때에 도입 검토를 진행하겠습니다. |
당사는 현재 집중투표제를 도입하고 있지는 않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 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충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높이고 경영 감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2024년 이사회 결의를 통해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구성원을 전원 사외이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업종 특성을 고려한 전문성 검증을 강화하기 위하여 위원회 구성원이 적절한 역량지표를 바탕으로 사외이사 후보를 검증할 수 있도록 개선하였습니다. |
[304400] (세부원칙 4-4) -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4-4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표 4-4-1: 등기 임원현황
성별 | 직위 | 상근 여부 | 담당업무 | |
---|---|---|---|---|
신동빈 | 남(Male) | 회장 | O | 회사 업무 총괄 |
이영준 | 남(Male) | 사장 | O | 회사 업무 총괄 |
황민재 | 남(Male) | 부사장 | O | 회사 업무 총괄 |
성낙선 | 남(Male) | 상무 | O | 화학군HQ 재무혁신본부장(CFO) |
손병혁 | 남(Male) | 기타 | X | 사외이사 |
박지순 | 남(Male) | 기타 | X | 사외이사 |
오윤 | 남(Male) | 기타 | X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
조운행 | 남(Male) | 기타 | X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
서휘원 | 남(Male) | 기타 | X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
조혜성 | 여(Female) | 기타 | X | 사외이사 |
김종근 | 남(Male) | 상무 | X | 기타비상무이사 |
미등기임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4-4-2: 미등기 임원현황
|
당사는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하는 정책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이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기업지배구조헌장 제5조 4항에 ‘회사는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사람은 이사로 선임하지 아니한다’고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사를 포함한 모든 임원 선임 과정에서 후보의 과거 이력을 면밀하게 조사함으로써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가 선임되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의 경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통하여 관련 법령과 정관상 결격사유가 없는 자로서, 독립적으로 회사경영을 감독하는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사전에 면밀하게 검토하여 주주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문성 및 역량을 갖춘 사외이사를 추천하고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검토결과는 주주총회 소집결의 및 결과 공시 시 사외이사 자격요건 적격 확인서 및 사외이사 자격요건 확인서를 제출하여 증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등기)임원의 경우에도 임원 후보자의 직무 전문성과 역량은 물론,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 등의 리스크 여부 등을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검증한 후 신규 선임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2019년 10월 대법원에서 업무상 배임죄 등으로 유죄 판결 확정 후 2022년 8월 특별 사면 및 복권된 사내이사 1인을 2025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로 중임하였습니다. 해당 사내이사가 유죄의 선고를 받은 것은 사실이나, 해당 유죄 판결은 당사의 경영과 관련된 사안이 아니며, 당사는 해당 사안을 전체적으로 검토한 결과 당사의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와는 무관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해당 사내이사는 현 롯데그룹의 회장으로서 뛰어난 경영 능력으로 그룹의 국내 및 해외 사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당사의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탁월한 경영 안목 및 리더십으로 국내외 신규사업 추진 등을 통해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사내이사를 당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경영 적임자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주주대표 소송이 제기된 사실이 없습니다. |
당사는 위 기재 내용과 같이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기업지배구조헌장 등 정책을 명문화하고 사전에 면밀하게 검토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당사는 책임경영의 원칙을 이행함으로써 회사 및 그룹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기여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주주권익을 보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힘쓰겠습니다. |
[305000] (핵심원칙 5) 사외이사는 독립적으로 중요한 기업경영정책의 결정에 참여하고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경영진을 감독ㆍ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305100] (세부원칙 5-1) - 사외이사는 해당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야 하며, 기업은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5-1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가 과거 당사 및 계열회사에 재직한 사실은 없습니다. |
표 5-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재직기간
당사 재직기간(월) | 계열회사 포함 시 재직기간(월) | |
---|---|---|
박지순 | 14 | 14 |
손병혁 | 14 | 14 |
오윤 | 14 | 14 |
조운행 | 38 | 38 |
서휘원 | 2 | 2 |
조혜성 | 2 | 2 |
최근 3년간 사외이사 또는 사외이사가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와 당사 및 계열회사간 거래한 사실은 없습니다. |
최근 3년간 사외이사가 임직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회사와 그 해당 기업간 거래한 내역은 없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 선임 시 당사의 내부 규정에 따라 「상법」 제382조의3, 제542조의8, 9에 따른 결격사유나 당사 간의 거래 내역 등을 확인하고, 해당 부적격 사유가 있는지 면밀히 검토합니다. 이러한 검토결과는 주주총회 소집결의 및 결과 공시 시행 시 사외이사 자격요건 적격 확인서 및 사외이사 자격요건 확인서를 제출하여 증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 임기내 재직사항 변동 또한 동일한 절차를 통하여 결격사유를 확인하고 있으며, 법률 검토 및 관련기관 사실 확인 등을 거쳐 결격사유가 인정될 시, 내부 사임절차를 통하여 해당 사외이사는 중도 퇴임하고 정관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에 따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및 이사회를 거쳐 신임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위 기재한 사실과 같이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하여 선임 전 결격사유 확인 및 변동사항 발생 시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
당사 정관 제33조에서 이사의 임기를 2년으로 하고, 임기가 만료된 경우 1회에 한하여 재선임 또는 교체를 실시합니다. 사외이사의 임기를 2년으로 하고, 재선임을 1회로 한하는 것은 장기간에 걸친 사외이사의 재임으로 인하여 독립성과 투명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입니다. 이러한 규정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권익보호를 위하여 독립성을 갖춘 사외이사를 선임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고 관련된 프로세스 역시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개선하도록 하겠습니다. |
[305200] (세부원칙 5-2) -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5-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가 당사 경영 전반에 대한 의사결정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법」 시행령 제34조에서 정하는 기준 내에서 이사 겸임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규정 제10조에 따라 타회사 임원 겸임은 이사회 결의사항으로 정하고 있어, 당사의 사외이사는 이사회 사전 승인 없이 타기업의 겸임을 할 수 없습니다. |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 외 2개 이상의 다른 회사의 겸임을 하고 있는 사외이사는 없습니다. 겸직 현황에 따라 당사의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외이사 별 겸직 현황은 표 5-2-1과 같습니다. |
표 5-2-1: 사외이사 겸직 현황
감사위원 여부 | 최초선임일 | 임기만료예정일 | 현직 | 겸직 현황 | ||||
---|---|---|---|---|---|---|---|---|
겸직기관 | 겸직업무 | 겸직기관 근무시작월 | 겸직기관 상장 여부 | |||||
박지순 | X | 2024-03-26 | 2026-03-25 |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현대제철㈜ | 사외이사 | ’22.03. | 코스피 |
손병혁 | X | 2024-03-26 | 2026-03-25 | 서울대 화학부 교수 | 한국고분자학회 | 부회장 | ’25.01. | 비상장 |
조운행 | O | 2022-03-24 | 2026-03-25 | 재단법인 한반도사랑나눔장학회 이사장 | ||||
오윤 | O | 2024-03-26 | 2026-03-25 |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 ||||
서휘원 | O | 2025-03-25 | 2027-03-25 | |||||
조혜성 | X | 2025-03-25 | 2027-03-25 | 대상㈜ 상담역 |
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 중 타 기관에 겸직하고 있는 사외이사는 총 5명으로 2024년 이사회를 통하여 겸업에 관련하여 면밀히 검토한 결과, 사외이사 업무에 지장을 줄 정도의 과도한 겸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모두 원안 가결되었습니다. 또한, 세부원칙 7-2와 8-2 이사회 및 위원회 내 사외이사 출석률은 98%로, 당사의 사외이사들은 충분한 노력을 바탕으로 충실히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당사는 사외이사가 주어진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과도한 겸직을 제한하는 한편, 이사회 출석현황 등 직무수행의 성실도와 이행 현황을 점검하고 사외이사진의 효과적인 직무수행을 적극 지원하도록 하겠습니다. |
[305300] (세부원칙 5-3) - 기업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5-3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가 원활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과 사내정보를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적극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0조, 이사회 규정 제11조 및 제17조에 따라,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이사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외부 전문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회사는 해당 비용을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안건의 경우, 해당 안건에 대한 주요 경영 정보 등 세부 내용과 관련 자료를 포함한 소집통지를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최소 1일 전까지 송부하여 안건에 대해 충분히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의 회사 경영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국내외 사업장을 직접 시찰하고 현황보고 등의 내부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사외이사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를 위해 외부전문가로부터의 전문 교육 또한 실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가 원활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과 사내정보를 정기적, 비정기적으로 적극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0조, 이사회 규정 제11조 및 제17조에 따라, 사외이사를 포함한 모든 이사는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외부 전문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고 회사는 해당 비용을 지원해야 합니다. 또한,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안건의 경우, 해당 안건에 대한 주요 경영 정보 등 세부 내용과 관련 자료를 포함한 소집통지를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최소 1일 전까지 송부하여 안건에 대해 충분히 사전에 검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이사의 회사 경영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국내외 사업장을 직접 시찰하고 현황보고 등의 내부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사외이사의 전문성과 역량 강화를 위해 외부전문가로부터의 전문 교육 또한 실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가 회사의 경영실태를 적시에 정확히 파악하고 이사회 및 위원회 활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회사 경영활동에 대한 이해와 이사회 및 위원회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공시대상기간동안 총 5회에 걸쳐 사외이사 대상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주요 교육 내용은 롯데그룹 및 당사에 대한 이해와 경영현황 및 중장기 사업전략 교육, 당사 R&D 현황 및 전략 교육, 그리고 ESG와 밸류업 프로그램 등 사외이사 전문성 보완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였습니다. 상세한 교육 현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표 : 공시대상기간 사외이사 교육 제공현황
|
Y(O)
|
당사는 사외이사진이 보다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고 균형과 견제의 역할을 이행할 수 있도록 사외이사들만 참여하는 회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회의 내용은 본 보고서 내 표 5-3-1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표 5-3-1: 사외이사만으로 이루어진 회의 내역
정기/임시 | 개최일자 | 출석 사외이사(명) | 전체 사외이사(명) | 회의 사항 | 비고 | |
---|---|---|---|---|---|---|
'24년-1회차 | 임시(EGM) | 2024-06-28 | 6 | 6 | 사외이사회의 운영방향 논의 석유화학 산업 및 BSM제도 이해 |
- |
'24년-2회차 | 임시(EGM) | 2024-09-25 | 5 | 6 | 경영현안 청취 및 논의 이사의 역할 논의(상법 개정(안) 관련) |
- |
'25년-1회차 | 임시(EGM) | 2025-02-07 | 6 | 6 | 경영현황 논의 | - |
'25년-2회차 | 임시(EGM) | 2025-04-09 | 6 | 6 | 사외이사회의 운영방향 논의 서울모빌리티쇼 참관 |
- |
당사는 사외이사 직무수행에 있어서 주요 의안에 대한 사전 보고 등 직무수행을 위한 정기적, 비정기적 업무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의 경영 이해를 높이고 전문성 제고를 위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사외이사로만 구성된 별도의 회의 역시 진행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앞으로도 사외이사가 독립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및 자원을 지속적이고 충실히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사외이사회의 소집 및 회의 주재 등을 회사차원에서 적극지원하여 당사 사외이사진이 보다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306000] (핵심원칙 6) 사외이사의 적극적인 직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들의 활동내용은 공정하게 평가되어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수지급 및 재선임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306100] (세부원칙 6-1) - 사외이사의 평가는 개별실적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결과는 재선임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6-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기업지배구조 헌장 제11조(평가 및 보상)에 근거하여 인사부서를 평가 주체로 사외이사 개별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습니다. 먼저 정량평가는 사외이사의 이사회 참석률, 의안 심의횟수 등 객관적인 활동 지표를 기준으로 하고, 정성평가는 각 사외이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자문 역량, 경영 전반에 대한 의사결정 역량과 이슈 해결에 대한 기여도, 대내외 영향력, 사외이사 직무의 적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사외이사 평가 등급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그 외 별도의 자기평가, 사외이사 상호평가, 직원평가, 외부평가는 실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
당사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1조는 이사회의 경영활동을 공정하게 평가하며, 사외이사에 대한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성평가의 경우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이사회, 위원회 및 관련 유관 부서의 사외이사 활동에 대한 의견을 다각도로 청취하여 객관성과 균형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1조는 이사회의 경영활동을 공정하게 평가하며, 사외이사에 대한 평가를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성평가의 경우 공정성을 높이기 위해 이사회, 위원회 및 관련 유관 부서의 사외이사 활동에 대한 의견을 다각도로 청취하여 객관성과 균형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당사 기업지배구조 헌장을 바탕으로 명문화하고 인사부서를 주체로 내부 프로세스를 통한 사외이사 개별평가를 진행하고 있고 이를 활용하여 재선임 결정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실효성 있는 사외이사 평가를 통하여 당사의 사외이사들이 적극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하여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이익에 부합하고 경영진에 대한 감독, 견제장치가 작동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306200] (세부원칙 6-2) - 사외이사의 보수는 평가 결과,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6-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투입 시간, 동종업계 보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의 보수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당사 사외이사의 보수는 정관 제43조, 이사회 규정 제12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서 승인된 이사 보수한도 내에서 사외이사의 역할, 경영환경, 경영성과, 동종·유사업계의 보수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의 보수는 모두 동일한 금액으로 지급하나, 감사위원회 위원의 경우 감사 업무의 특수성과 감사 업무에 수반되는 법적 책임 및 시간과 노력을 감안하여 보상위원회에서 정한 한도 내에서 별도의 업무수행비를 추가로 지급합니다. |
N(X)
|
N(X)
|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에게 별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
현재 당사는 사외이사 보수 관련하여 별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지 않고, 평가결과와 보수를 연동하고 있지 않습니다. 사외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 보수한도 내에서 회사의 규모 및 동종업계 보수 수준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보수를 지급하고 있고, 평가 결과에 따라 보수에 차등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결정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
향후에도 사외이사 보수가 객관적 기준을 근거로 주주의 장기적인 이해와 합리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307000] (핵심원칙 7)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의 이익을 위한 최선의 경영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307100] (세부원칙 7-1) - 이사회는 원칙적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되어야 하며,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이사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7-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Y(O)
|
당사는 이사회 운영의 체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이사회를 개최하고, 관련 규정을 통해 이사회 운영 기준을 명확히 정립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규정 제6조(회의)에 근거하여 3개월에 1회 이상 개최하되 필요 시 수시로 개최가능 하도록 근거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이사회의 중요성과 경영 현안의 시의적 대응을 고려하여 매월 1회 개최하고 있습니다. 연간 이사회 일정은 연초 이사회에서 공지하며, 매 이사회마다 이사회 일정을 사전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규정 제7조(소집권자)에 의거하여 이사회는 의장 또는 이사회가 별도로 정하는 이사가 소집하고 있으며, 이사회 개최일이 확정되면 이사들에게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최소 1일 전까지 안건과 주요 경영정보 등 관련 자료를 서면, 구두 또는 전자문서로 제공하여 이사들이 충분히 사전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정기 이사회는 16회 개최되었으며, 임시 이사회 개최는 없었습니다. 평균 이사회 이사 참석률은 97%이고, 이사회 개최와 안건 통지의 기간은 평균 6일로, 사전에 정보를 제공하여 원활한 이사회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습니다. |
표 7-1-1: 이사회 개최 내역
개최횟수 | 평균 안건통지-개최간 기간(일) | 이사 평균 출석률 (%) | |
---|---|---|---|
정기 | 16 | 6 | 97 |
임시 |
Y(O)
|
Y(O)
|
당사는 「상법」 제388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의 결의로 승인된 이사의 보수한도 내에서 임원보수규정에 근거하여 보수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의 보수는 직급별 테이블에 기초한 기본급, 개인별 평가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업적급, 직책에 따른 역할을 반영한 직책급으로 구성된 기본연봉과 회사의 연간 경영 성과와 리더쉽, 기타 회사기여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변동급, 그리고 기타소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외이사의 보수는 모두 동일한 금액으로 지급하되 감사위원회 위원은 감사위원의 법적 책임 및 시간과 노력을 감안하여 별도의 업무수행비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의 보수는 대표이사가 개별 임원에 대해 수행한 종합적인 평가결과와 연동되어 있으나, 사외이사는 평가 결과에 따른 보수에 차등 지급이 발생하는 경우, 의사결정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평가 결과와 보수를 연동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임원보수정책을 명문화하고 사업보고서를 통하여 보수지급기준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임원의 직무수행과 관련한 법률상 손해에 대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임원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고 1년 단위로 계약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임원배상책임보험의 대상자는 롯데케미칼 소속 임원(등기/미등기포함)으로, 보험계약기간 중 신규 선임된 임원과 퇴임한 임원을 포함합니다. 이 보험으로 보상하는 손해는 피보험자의 법률상 손해배상금, 주주대표 소송 및 고용배상책임까지 담보됩니다. 다만, 임원의 범죄 행위, 의도적 불법행위, 대주주(발행주식총수 15%이상)에 의한 손해배상 청구는 보험 보상 범위에서 제외되어 있어, 회사는 별도의 남용 방지 장치를 마련하고 있지 않지만 해당 보험 자체적으로 충분히 방지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이해관계자의 이익과 권리보호를 위하여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4조(이해관계자의 권리보호)에 이해관리자 권리보호에 관한 사항을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고객, 임직원 파트너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가치를 나누고 성장하여야 하며, 근로자의 권리를 존중하고 파트너와의 협력관계를 소중히 여기기 위해 공정거래 법률 준수를 통한 공정한 시장질서의 확립을 촉진, 이를 통해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을 도모합니다. 또한, 채권자의 지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합병, 감자, 분할 등의 사항에 대해 채권자 보호절차를 준수하고, 이해관계자가 주주의 지위를 겸하는 경우에 주주로서의 권리까지 두루 보호합니다. 마지막으로 회사는 법령 및 제3자와의 계약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이해관계자의 권리보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해관계자의 관련 정보 접근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하여 당사는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 이익에 영향을 주는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고려하고, 이를 명문화하여 실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이사회 규정 제7조에 의거하여 매 분기 1회 이사회를 개최를 명문화하고 있으며, 중요성을 고려하여 매월 1회 개최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공시대상기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동안 총 16회 이사회를 개최하였으며 평균 6일전에 소집통지를 하여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있습니다. |
당사는 앞으로도 정기적으로 이사회를 개최하고,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이사회 소집통지를 하여 원활한 이사회가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307200] (세부원칙 7-2) - 이사회는 매 회의마다 의사록을 상세하게 작성하고,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7-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이사회 규정 제15조(의사록)에 근거하여, 이사회 회의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는 녹취록을 바탕으로 의사록을 작성하고 보존하고 있습니다. 작성된 의사록은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의사결정 결과를 확정하고 있습니다. |
Y(O)
|
이사회 의사록에는 개별 이사의 의견을 기록하고, 반대의견이 있는 경우 반대하는 자와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있습니다. |
최근 3년간(2022년~2024년) 개최된 이사회에 참석한 개별이사의 이사회 평균 출석률은 95%이고, 찬성률은 평균 100%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 7-2-1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표 7-2-1: 최근 3년간 이사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구분 | 이사회 재직기간 | 출석률 (%) | 찬성률 (%) | |||||||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
신동빈 | 사내이사(Inside) | 2011.03.18. ~ 현재 | 74 | 82 | 73 | 69 | 100 | 100 | 100 | 100 |
이영준 | 사내이사(Inside) | 2020.03.25.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이훈기 | 사내이사(Inside) | 2024.03.26. ~ 2024.12.01. | 100 | 100 | 100 | 100 | ||||
김교현 | 사내이사(Inside) | 2017.03.24. ~ 2023.12.11.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황진구 | 사내이사(Inside) | 2021.03.27. ~ 2024.12.01. | 97 | 100 | 91 | 100 | 100 | 100 | 100 | 100 |
성낙선 | 사내이사(Inside) | 2024.03.26.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
강종원 | 사내이사(Inside) | 2023.03.29. ~ 2024.01.10 | 100 | 100 | 100 | 100 | ||||
남혜정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1.03.23. ~ 2025.03.25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조운행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03.24.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차경환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3.29. ~ 2025.03.25.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오윤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6.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
손병혁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6.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
박지순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6. ~ 현재 | 88 | 88 | 100 | 100 | ||||
최현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4.03.26. | 96 | 100 | 91 | 100 | 100 | 100 | 100 | 100 |
전운배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4.03.26 | 93 | 100 | 91 | 92 | 100 | 100 | 100 | 100 |
강정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4.03.26 | 96 | 100 | 91 | 100 | 100 | 100 | 100 | 100 |
이금로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2.09.30. | 89 | 100 | 100 | 100 | ||||
정중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03.25. ~ 2022.03.24 | 100 | 100 | 100 | 100 | ||||
이훈기(비상무)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1.03.23. ~ 2023.03.29 | 94 | 100 | 92 | 100 | 100 | 100 |
Y(O)
|
당사는 정기공시(사업보고서 등) 외 이사회 개최 현황, 개별이사의 참석 현황 및 안건 가결 여부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이사회 규정에 근거하여 이사회 개최 시 의사록 기록을 작성 및 보존하며, 개별이사별 활동 내역을 사업보고서 등 정기공시와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
앞으로도 이사회 개최 시 의사록 및 개별이사의 활동 내용을 공개하여 주주와 이해관계자에게 의사결정의 투명성을 유지하겠습니다. |
[308000] (핵심원칙 8) 이사회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그 내부에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한다.
[308100] (세부원칙 8-1) - 이사회 내 위원회는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되 감사위원회와 보상(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8-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의 이사회 내 5개 위원회 모두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특히,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SG위원회의 경우 총 위원 5인 중 4인이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장은 사외이사가 맡고 있습니다. 상세한 각 위원회 내 구성은 표 4-1-3-2: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Y(O)
|
당사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감사위원회 및 보상위원회 총 3인은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이사회 내 5개 위원회 모두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으며, 특히,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높이고 경영 감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2024년 7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위원회가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심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모든 위원회는 과반수 이상의 사외이사로 구성하도록 하겠습니다. |
[308200] (세부원칙 8-2) - 모든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에 대하여는 명문으로 규정하여야 하며, 위원회는 결의한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8-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정관 제39조 및 이사회 규정 제13조에 따라 이사회 내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보상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각 위원회의 설치목적, 권한과 책임, 구성 및 자격과 임면 등에 대한 사항을 위원회 규정을 통해 명문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1조 제1항 및 제2항에 사외이사의 활동 및 성과평가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명문화된 규정은 당사 홈페이지와 본 보고서 기타 공개 첨부서류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감사위원회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고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개정 상법에 따라 감사위원 1인의 경우 분리 선출을 통해 선임하고 있으며, 3인 이상의 이사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감사위원회 직무와 권한 및 구성에 대해서는 감사위원회 규정에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후보에 대한 적격성과 주요 경력 및 당사와의 이해관계를 확인하여 후보 추천에 관하여 검토하고 주주총회에 후보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2인 이상의 이사와 과반수의 사외이사로 구성되도록 하여야 하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대한 직무와 권한 및 구성에 대해서는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에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3) 투명경영위원회(내부거래위원회) 투명경영위원회는 계열사 등 내부거래 관련 의안을 심의하고 있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사외이사는 전체 위원 수 중 3분의 2이상 구성하도록 하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투명경영위원회 운영 규정을 통하여 위원회의 설치 목적, 권한과 책임(제3조, 제4조, 제11조, 제12조), 구성 및 자격 임면(제5조, 제6조) 등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위원의 활동 및 성과평가에 대해서는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1조 제1항 및 제2항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4) 보상위원회 당사 보상위원회는 임원 보상 관련 사항에 대한 심의 및 의결과 기타 이사회에서 위임한 사항의 심의 및 의결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상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 및 사외이사의 수가 총 위원 수의 3분의 2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하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상위원회의 직무와 권한 및 구성 등에 대해서는 보상위원회 규정으로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5) ESG위원회 ESG위원회는 ESG 관점에서의 사업 의사결정 적합성 및 실행 타당성 의결, 심의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ESG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며,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할 수 있고, 보고서 제출일 현재 4인의 사외이사와 1인의 사내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SG위원회의 직무와 권한 및 구성 등에 대해서는 ESG위원회 규정에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이사회 규정 제12조 제2항에 의하여 이사회 내 위원회에 위임한 사항에 대해서 각 위원회별 규정에 따라 결의사항에 대한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위원회 규정에도 이를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규정 제11조, 투명경영위원회 규정 제3조, 보상위원회 규정 제12조, ESG위원회 규정 제3조 등)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각 이사회내 위원회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현황은 아래 표 8-2-1, 8-2-3 및 '(4) 기타 이사회 내 위원회' 항목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표 8-2-1은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이며, 표 8-2-2의 리스크관리위원회는 별도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표 8-2-3 내부거래위원회의 경우 '투명경영위원회'로 명칭하고 있습니다. |
표 8-2-1: 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24년 이사-1차 | 1호 | 2024-03-04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 가결(Approved) | O |
25년 이사-1차 | 1호 | 2025-03-05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 가결(Approved) | O |
25년 이사-2차 | 1호 | 2025-04-24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Approved) | O |
표 8-2-2: 리스크관리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표 8-2-3: 내부거래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24년 내부-1차 | 1호 | 2024-10-23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SK에너루트 유상 증자 참여(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24년 내부-2차 | 1호 | 2024-11-28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물산 제공 담보의 수령(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24년 내부-3차 | 1호 | 2024-12-17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물산 제공 담보 수수료 지급(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2호 | 2024-12-17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베르살리스 엘라스토머스 유상 증자 참여(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
3호 | 2024-12-17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GS화학과 인프라 공급 계약 체결(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
4호 | 2024-12-17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지주와의 브랜드 사용 계약 체결(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
5호 | 2024-12-17 | 3 | 3 | 결의(Resolution) | '25년 정보 시스템 업무 종합 관리 운영 계약 체결(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
25년 내부-1차 | 1호 | 2025-03-06 | 3 | 3 | 결의(Resolution) | LCI 주가수익스왑(PRS) 계약 관련 내부거래(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2호 | 2025-03-06 | 3 | 3 | 결의(Resolution) | 롯데GS화학 관련 주식 근질권 설정 계약 변경(안)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O |
표 8-2-4: 보상위원회 개최 내역
표 8-2-5: 감사위원회 개최 내역
표 8-2-6: ESG위원회 개최 내역
|
당사는 이사회 내 위원회 운영 등 관련 규정을 명문화하고 있으며, 결의사항은 모두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으므로 해당 원칙이 잘 준수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앞으로도 위원회 운영 등에 있어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결의사항은 이사회에 보고할 계획입니다. |
[400000] 4. 감사기구
[409000] (핵심원칙 9)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경영진 및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성실하게 감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내부감사기구의 주요 활동내역은 공시되어야 한다.
[409100] (세부원칙 9-1)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9-1을 준수하고 있지 않습니다. |
Y(O)
|
당사는 「상법」 제415조의2 및 제542조의11, 정관 제45조, 이사회 규정 제13조에 따라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표 9-1-1: 내부감사 기구의 구성
구성 | 감사업무 관련 경력 및 자격 | 비고 | ||
---|---|---|---|---|
직책 | 구분 | |||
조운행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기본자격 : 우리은행 등 회계 재무 관련 검토 업무 근무기간 : 경력 18년이상 (2002. 06 ~ 2020. 03) |
금융기관ㆍ정부ㆍ증권유관기관등 경력자(4호 유형) |
오윤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
서휘원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Y(O)
|
당사 감사위원회는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에서 정하는 재무, 회계 전문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원장인 조운행 사외이사는 「상법」 시행령 제37조 제2항 제4호에 부합하는 회계·재무전문가로, 관련 기관에서 5년 이상 회계 또는 재무 관련 업무 및 감독 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있어 전문가로서의 충분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운영 목표와 조직, 권한과 책임 등을 규율하고 감사업무를 적정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감사위원회 규정을 마련하고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감사위원회 규정 중 선임 및 구성과 권한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3조 직무와 권한 ① 위원회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위원회는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② 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2항 외에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과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제4조 구성 ① 위원회 위원(이하 “위원”이라 한다)은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한 후 선임된 이사 중에서 선임하여야 한다. 다만, 감사위원회 위원 중 1명은 주주총회 결의로 다른 이사들과 분리하여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이사로 선임하여야 한다. ② 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며, 전원 사외이사로 한다. ③ 위원 중 1인 이상은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에서 정하는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이어야 한다. ④ 위원이 사임·사망 등의 사유로 인하여 제2항 내지 제3항의 위원 수에 미달하게 된 때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후 최초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위원회의 구성요건에 충족되도록 하여야 한다. 제6조 위원장 ① 위원회는 제10조 규정에 의한 결의로 위원회를 대표할 위원장을 선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수인의 위원이 공동으로 위원회를 대표할 것을 정할 수 있다. ② 위원장은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하며 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위원 별 업무를 분장할 수 있다. ③ 위원장의 유고 시에는 위원회에서 정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 위원의 전문성 강화를 통한 충실한 역할 수행이 가능하도록 연 1회 이상 교육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관련 법령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회사의 경영 현황, 내부통제 점검 및 외부감사인 회계감사 결과, 관련 최신 이슈 공유 등 다각적인 정보를 활용한 실질적인 감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공시 대상 기간 중 교육 실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9-1-2 :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 (2024. 1. 1. ~ 2024. 12. 31.)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가 직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규정 제12조에 의거하여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 등에게 자문 등의 도움을 요구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이사에 대한 영업 보고 요구 및 회사 재산상태 조사 권한도 부여받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는 외부 전문가 자문 지원 등을 실제로 진행한 이력은 없습니다. 그러나 향후 필요 시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적극 활용하여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입니다. |
Y(O)
|
당사는 경영진의 부정행위 발생 시 독립적이고 효과적인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감사위원회 규정 및 기업지배구조헌장에 관련 절차와 권한을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우선, 감사위원회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및 감사위원회 규정에 따라 외부감사인으로부터 회사의 회계처리 기준 위반 사실 및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을 보고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이 확인될 경우 위원회 안건으로 부의하여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2조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이사와 경영진의 업무 활동에 대한 적법성 검사와 회사 재무 활동의 건전성, 타당성 등을 감사할 수 있으며, 필요 시 회사의 장부기록 및 서류를 열람, 복사하고 이사에 대해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업무 및 재산상태를 직접 조사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감사위원회 규정 제12조에 의거하여 조사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관계 임직원 및 감사인을 회의에 출석시켜 의견을 청취할 수 있으며,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요구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사항은 본 보고서에 첨부된 감사위원회 규정 및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3조 및 기업지배구조헌장 제1조에 따라 언제든지 회계에 관한 장부기록과 서류를 열람 또는 복사할 수 있으며,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21조에 따라 감사위원회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경영개선팀에서 지원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경영개선팀은 감사위원회 보고 및 심의안건 자료 준비, 위원회 운영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보고서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 지원 조직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표 9-1-3 :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2025. 5. 31. 기준)
|
N(X)
|
당사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21조에 감사위원회 지원조직의 부서장 인사이동 시 감사위원회 동의와 관련한 내용을 명문화하고 있으나, 보고서 제출일 현재 구성원(팀원)에 대해서 별도 인사 조치권한은 명문화하고 있지 않습니다. |
Y(O)
|
모든 사외이사의 보수는 동일한 금액으로 지급하되 감사위원회의 위원의 경우, 감사위원의 법적 책임 및 시간과 노력을 감안하여 보상위원회에서 별도로 정한 업무수행비를 지급합니다. |
1.07 |
2024년도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보수 지급 현황은 아래와 같고 사업보고서 등 정기공시를 통하여 공개하고 있습니다. 표 9-1-3 :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 보수 지급 현황
(주1) 1인당 평균 지급액은 ‘24년 실 보수 지급 인원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에서 정하는 재무, 회계 전문가를 포함하고 있으며, 별도 결격 사유가 없고, 당사 및 계열회사와의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로 전원 구성함으로써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내부감사기구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감사위원회 지원조직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 규정 제21조에 따라 지원조직의 부서장의 인사는 감사위원회의 동의를 얻게끔 명문화하고 있으나, 구성원(팀원)에 대한 별도 인사 조치권한은 명문화하지 않고 있습니다. |
앞으로 당사의 감사위원회가 독립성과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적격한 자를 임면하고, 내부감사기구의 접근성을 높여 경영의 건전성과 투명성을 확보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내부감사기구 지원 조직에 관한 인사 조치 동의권으로 확대를 검토하여 내부감사기구의 독립성을 더욱 확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409200] (세부원칙 9-2)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정기적 회의 개최 등 감사 관련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9-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 규정 제7조에 따라 분기에 1회 이상 개최하고 있으며, 위원회의 소집은 위원장이 주관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 내 표 8-2-5에 기재한 바와 같이, 2024년에 총 5회의 감사위원회를 개최하여 총 20건의 안건(결의안건 7건, 보고사항 13건)을 논의하였으며, 2025년에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총 3회의 감사위원회를 개최하여 총 12건의 안건(결의안건 5건, 보고사항 7건)을 논의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는 경영진으로부터 분 반기 및 기말 재무제표에 대한 보고와 외부감사인의 검토 및 감사 결과에 대한 보고를 받고 재무제표 및 동 부속명세서를 검토하였고, 법령 및 정관에 적합하게 작성되어 회사의 재무상태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확보 및 감사품질 제고 등을 위해 주기적 지정제가 2019년 11월부터 시행되었습니다. 당사는 금융감독원 주기적 감사인 지정 예외 항목에 해당되어 자유선임 절차에 따라 감사인 선임을 진행하였습니다. 2022년 11월에는 관련 법령 및 내부 업무 절차에 규정된 기준에 따라 외부감사인 후보를 평가하여 EY한영회계법인을 2023년부터 향후 3개 사업연도 간의 새로운 외부감사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는 대표이사로부터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해 보고를 받았으며, 이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이사회에 보고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는 2024년말 기준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 규준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그 결과를 사업보고서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
당사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규정 제20조에 따라 의사록, 감사 기록을 작성하고 보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11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을 위원회에서 결의하고 그 결과를 주주총회에서 보고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제11조 부의사항 ① 위원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1)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청구 (2) 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진술 *위원회에서 매 사업연도 감사보고서 결의 후, 위원장이 주주총회에서 보고 제13조 의사록 ① 위원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한다.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한다. 제20조 감사록의 작성 ① 위원회는 감사에 관하여 감사록을 작성 및 보존하여야 한다. ② 감사록에는 감사의 실시 절차와 그 결과를 기재하고 감사를 실시한 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당사의 감사위원회 회의 개최 내역은 아래 표(8-2-5에도 동일기재)와 같고, 개별 이사 출석 내역 및 최근 3개 사업연도 별 개별이사 출석률은 아래 표 9-2-1과 같습니다. 표 8-2-5: 감사위원회 개최 내역(2024. 1. 1. ~ 2025. 5. 31)
|
표 9-2-1: 최근 3개년 개별이사 감사위원회 출석률
구분 | 출석률 (%) | ||||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
남혜정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100 |
조운행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100 |
오윤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
최현민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
정중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당사 감사위원회는 매 분기 1회 이상 정기적으로 개최되었고, 감사위원회 위원들의 출석률은 최근 3개년 평균 100%로, 감사활동,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등의 감사위원회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관련 법령, 정관 및 규정에 따른 절차를 준수하며 관리 및 보고를 수행함으로써 회사 경영의 건전성, 투명성 및 운영 효율성 향상과 주주의 권익 보호라는 감사위원회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향후에도 감사위원회가 성실한 감사활동을 통하여 회사의 건전성, 투명성을 강화하고 주주와 이해관계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습니다. |
[410000] (핵심원칙 10)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주 등 그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외부감사인은 감사대상기업과 그 경영진 및 지배주주 등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410100] (세부원칙 10-1)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0-1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N(X)
|
당사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감사위원회 규정 제14조에 감사인 선정 기준과 절차를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감사인 선임 지침 및 요령을 별도로 마련하여 감사인 선임과 관련한 세부적인 절차를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비감사용역이 발생할 경우, 사전에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훼손 여부를 검토하고 독립성 훼손의 소지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감사위원회의 사전 승인을 거쳐 용역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독립성 훼손 우려가 낮은 용역의 경우에도 비감사용역 협의서를 작성하여 서면으로 감사위원회의 사전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며, 모든 비감사용역 실적은 반기마다 실적을 취합하여 감사위원회에 그 실적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외부 감사인의 독립성을 훼손하거나 훼손 우려가 발생한 상황은 없었습니다. 감사위원회 규정 제14조 선정 등 ① 위원회는 감사인을 선정하여야 한다. 단, 증권선물위원회의 감사인 선임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선임절차를 적용하지 않는다. ② 감사인을 선임하는 때에는 연속하는 매 3개 사업연도의 감사인을 동일 감사인으로 선임하여야 한다. ③ 회사가 감사인을 선임하는 때에는 감사인의 감사보수 및 감사시간에 관하여 미리 위원회와 협의하여야 한다. ④ 회사가 전기에 선임된 감사인을 변경하거나 해임한 경우, 전기 감사인의 의견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구술 또는 서면에 의한 의견진술 기회를 부여하여야 한다. ⑤ 위원회는 감사인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에 관한 사항을 문서로 정하여야 한다. ⑥ 위원회는 감사인의 선정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된 기준과 절차를 사전에 마련하여야 한다. |
당사는 2022년 11월 감사위원회를 개최하여 2023년 ~ 2025년 3개 회계연도의 외부감사인 후보 평가 및 외부감사인 선정을 진행하였습니다. 감사위원들은 대면회의를 통해 감사시간, 감사보수, 감사인력, 감사계획 등의 상세 항목에 대한 질의응답을 진행하였고, 외부감사인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구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따라 한영회계법인을 감사인으로 선정하였습니다. |
감사위원회는 매년 감사보고서를 제출 받은 후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과 감사위원회 규정에 따라 외부감사인 선임 시 정했던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의 준수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개최된 감사위원회에서는 전기 감사인인 한영회계법인이 2023년 회계연도의 감사계획에 따라 감사활동을 충실하게 수행하였는지 확인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감사 보수, 감사 시간, 감사에 투입한 인력에 대하여 계획 대비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시간과 주요 감사내용 등 세부적인 외부감사 실시내용은 당사의 사업보고서를 통해서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
공시대상기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가 외부감사인 및 그 계열사를 통해 컨설팅 또는 비감사용역을 제공받은 내역은 없습니다. |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관련 내용을 내부 규정에 명문화하고 있으며, 매년 사업보고서 제출 이후 실제 감사 활동에 대한 사후 점검을 면밀하게 수행하고 있습니다. |
향후에도 외부감사인 선임 시 운영 정책을 준수하고 외부감사인 독립성 훼손우려 상황의 유무를 파악하여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410200] (세부원칙 10-2)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기 세부원칙 10-2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 진행 스케줄 내 경영진 참석 없는 커뮤니케이션 시간을 별도로 배정하여, 외부감사와 관련한 주요 사항에 대하여 내부감사기구와 분기별 1회 이상 외부감사인과의 유기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총 5회의 경영진 참석 없는 커뮤니케이션을 실시하였습니다 |
표 10-2-1: 외부감사인과 소통내역
개최일자 | 분기 | 내용 | |
---|---|---|---|
24년-1차 | 2024-03-05 | 1분기(1Q) | 감사 진행상황 주요 이슈사항 등 기말 감사결과 핵심감사사항 커뮤니케이션 |
24년-2차 | 2024-03-18 | 1분기(1Q) | 검토 또는 감사에서의 유의적인 발견된 사항에 대한 논의 |
24년-3차 | 2024-05-07 | 2분기(2Q) | 감사 진행상황 주요 이슈사항 등 1분기 감사결과 핵심감사사항 커뮤니케이션 |
24년-4차 | 2024-08-08 | 3분기(3Q) | 감사 진행상황 주요 이슈사항 등 반기 감사결과 핵심감사사항 커뮤니케이션 |
24년-5차 | 2024-11-12 | 4분기(4Q) | 감사 진행상황 주요 이슈사항 등 3분기 감사결과 핵심감사사항 커뮤니케이션 |
당사는 분기별 최소 1회 이상 외부감사인과 감사 진행사항과 매 분기 재무제표 검토 결과, 이외 핵심감사사항에 대하여 협의하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은 감사과정 중 회사의 재무정보, 회계처리, 내부통제 등에 있어 중요사항이나 우려사항이 확인될 경우, 이를 감사위원회에 즉시 보고하도록 되어있으며(기업지배구조헌장 제13조 제6항),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에게 중요사항을 보고받을 경우 즉시 이사 및 경영진 등에게 조사보고를 요구하거나 직접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필요 시 내부 감사업무에 반영하여 조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계에 관한 장부와 관련 서류에 대한 추가 검토를 요청하고,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감사위원회와 외부 감사인의 주요 협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현금창출단위 손상검사: 올레핀사업부 및 아로마틱사업부, LC Titan (2) 종속기업투자 손상검사: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주) (3) 영업권 손상검사: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주) |
외부감사인은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22조 및 당사 내부 규정에 따라, 감사 과정 중 회사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 및 회사가 회계처리기준을 위반 등 중대한 사항을 인지할 경우 감사위원회에 직접 보고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에게 이러한 중요사항을 보고받는 즉시, 법령에 따라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 전문가를 선임하여 위반 사실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도록 할 수 있으며, 관련 이사 및 경영진 등에게 관련 자료 제공을 요구하거나 직접 조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필요한 경우 감사위원회는 해당 사실과 관련하여, 회계법인에게 회계에 관한 장부와 관련 서류에 대한 추가 검토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보고 받을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6조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따라, 법령 상 정해진 기간 내 외부감사인에게 재무제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2024년 사업연도 감사전 별도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는 2025년 3월 26일에 개최한 제 49기 정기주주총회 6주 이전인 2025년 2월 7일에 외부감사인인 한영회계법인에 제공하였고, 2023년 사업연도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는 각각 2024년 2월 2일과 2024년 2월 7일 외부감사인인 한영회계법인에 제공하였습니다. |
표 10-2-2: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제공 내역
정기주총일 | 재무제표 제공일자 | 연결재무제표 제공일자 | 제공대상 | |
---|---|---|---|---|
제49기(2024년) | 2025-03-25 | 2025-02-07 | 2025-02-07 | 한영회계법인 |
제48기(2024년) | 2024-03-26 | 2024-02-02 | 2024-02-07 | 한영회계법인 |
외부감사인은 분기별 1회 이상 대면회의를 통해 감사의 주요사항을 보고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진행 스케줄 내 경영진 참석 없는 커뮤니케이션 시간을 별도로 배정하여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 간에 유기적인 의사소통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향후에도 경영진 참석 없이 내부감사기구와 외부감사인과의 의사소통을 지속하여, 독립성을 확보하고 면밀하게 감사 관련 업무를 진행하겠습니다. |
[500000] 5. 기타사항
N(X)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기업가치 제고계획을 공시하지 않았습니다. |
당사는 최근 3년간 별도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기업가치 제고계획 수립 및 공시 과정에 이사회가 참여한 사례도 없습니다. 다만, 당사는 업황 및 경영환경을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업황이 회복되고 시장과 공유할 수 있을 정도로 중장기 기업가치 제고 계획의 실현 가능성이 확보되는 시점에 이사회 심의를 거쳐 기업가치 제고계획 공시를 적극 검토할 예정입니다. |
표 11-1 :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이사회 참여 여부
공시일자 | 이사회 참여 여부 | 관련 이사회 일자 | 주요 논의 내용 | |
---|---|---|---|---|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별도로 공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주주 및 시장참여자와의 공식적인 소통 실적은 없습니다. 다만, 당사는 분기별 실적발표회, 국내외 기관투자자 대상 NDR, 개별 IR 미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경영현황과 향후 전략 방향성에 대해 시장과 소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 중장기 전략 및 기업가치 제고 계획이 수립되는 경우 주주 및 시장참여자와 적극적으로 공유할 계획입니다. |
표 11-2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소통 현황
일자 | 소통 대상 | 소통 채널 | 임원 참여 여부 | 주요 소통 내용 | |
---|---|---|---|---|---|
[임직원 윤리경영 등] 당사는 CEO 직속의 준법경영부문를 통해 회사 전체에 투명한 윤리 문화를 정착시키고 있으며, 임직원 대상으로 윤리 의식을 고취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내외 이해관계자가 당사 임직원의 비윤리 활동을 제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보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월별 온라인 컨텐츠 교육, 분기별 준법 웹툰 배포 및 비정기적 오프라인 교육을 통해 윤리경영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이사회 내 위원회인 감사위원회와 내부회계관리제도를 통해 회계 및 업무 프로세스에 관해 확인하고 점검하는 절차를 정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첨부1. 정관 첨부2. 기업지배구조 헌장 첨부3. 롯데인의 행동강령 첨부4. 이사회 운영규정 첨부5. 감사위원회 운영 규정 첨부6.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운영 규정 첨부7. 투명경영위원회 운영 규정 첨부8. 보상위원회 운영 규정 첨부9. ESG위원회 운영 규정 첨부10. 내부회계관리정책 첨부11. 공시정보관리규정 첨부12. Board Skills Matri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