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000001]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신고서
![]() |
[000002] I. 기업개요
주식회사 케이티스카이라이프 |
2024-01-01 |
2024-12-31 |
2025-05-30 |
2-1. 당기~전전기 회계연도 기간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회계기간 시작일 | 2024-01-01 | 2023-01-01 | 2022-01-01 |
회계기간 종료일 | 2024-12-31 | 2023-12-31 | 2022-12-31 |
3. 기업지배구조보고서 작성 담당자
공시 책임자 | 실무자 | ||
---|---|---|---|
성명 : | 성명 : | ||
직급 : | 직급 : | ||
부서 : | 부서 : | ||
전화번호 : | 전화번호 : | ||
이메일 : | 이메일 : |
4. 표 1-0-0 : 기업개요
최대주주 등 | 주식회사 케이티 | 최대주주등의 지분율(%) | 50.31 |
---|---|---|---|
소액주주 지분율(%) | 37.27 | ||
업종 | 비금융(Non-financial) | 주요 제품 | 위성방송 |
공정거래법상 기업집단 해당 여부 | O | 공공기관운영법 적용대상 여부 | X |
기업집단명 | 케이티 | ||
요약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연결) 매출액 | 1,022,927 | 1,025,595 | 1,013,677 |
(연결) 영업이익 | -1,076 | 14,067 | 63,196 |
(연결) 당기순이익 | -156,079 | -113,745 | 23,086 |
(연결) 자산총액 | 1,040,241 | 1,215,698 | 1,361,298 |
별도 자산총액 | 880,153 | 1,024,659 | 1,160,021 |
[000003]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66.7 |
5. 지배구조핵심지표 준수 현황
핵심지표 |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 (직전 공시대상기간)준수여부 | 비고 |
---|---|---|---|
주주총회 4주 전에 소집공고 실시 | X | X | (주1) |
전자투표 실시 | O | O | (주2) |
주주총회의 집중일 이외 개최 | O | O | (주3) |
현금 배당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 X | X | (주4) |
배당정책 및 배당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통지 | O | O | (주5) |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마련 및 운영 | X | X | (주6) |
위험관리 등 내부통제정책 마련 및 운영 | O | O | (주7) |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인지 여부 | X | X | (주8) |
집중투표제 채택 | X | X | (주9) |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한 정책 수립 여부 | O | O | (주10) |
이사회 구성원 모두 단일성(性)이 아님 | O | O | (주11) |
독립적인 내부감사부서 (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의 설치 | O | O | (주12) |
내부감사기구에 회계 또는 재무 전문가 존재 여부 | O | O | (주13) |
내부감사기구가 분기별 1회 이상 경영진 참석 없이 외부감사인과 회의 개최 | O | O | (주14) |
경영 관련 중요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는 절차 마련 여부 | O | O | (주15) |
(주1) 당사는 주총소집공고에 감사보고서를 포함한 제무제표를 제출하고자 제24기 주주총회 22일전에 소집 공고를 공시하였으며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에서 제시하는 '주주총회 4주전 통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2) 당사는 주주의 의결권 행사 편의를 위해 제17기 정기주주총회부터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주3) 당사는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따라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정기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을 피하여 개최하였습니다. (주4)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 통과되어 이익배당 및 중간배당 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하도록 개선 완료하였으며, 제25기 배당부터 시행하고자 합니다. (주5) 사업보고서를 통해 배당정책을 공시하고 현금·현물 배당공시 및 실적발표 컨퍼런스콜과 수시IR을 통해 배당실시계획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주6) 최고경영자 선임 프로세스에 대한 명문화된 정책은 없으나 적합한 자를 후보 추천하고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선임하고 있습니다. (주7) 내부통제를 위해 리스크관리, 준법경영, 컴플라이언스제도, 내부회계관리제도, 공시정보관리지침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주8) 사내이사가 이사회 의장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9) 당사는 정관 제26조 제3항에 따라 집중투표제를 배제하였습니다. (주10) 임원 선임 시 결격검토 프로세스 및 사외이사 책임 및 경영임원관리규정을 통한 채용결격사유 및 체크리스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11) 당사의 현재 이사회는 남성 7인, 여성 2인으로 구성되어 단일성이 아닙니다. (주12) 내부감사업무 지원 조직으로 감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13)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상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부합하는 전문가 1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14)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과 외부감사 결과에 대해 경영진 참석 없이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의 및 간담회를 통해 핵심감사사항과 연간 감사계획 등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나누고 있습니다. (주15) 경영관련 중요 정보에 내부감사기구가 접근할 수 있도록 감사위원회운영규정에 해당 권한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000004] II. 기업지배구조 현황
[100000] 1. 기업지배구조 일반정책
당사는 견제와 균형을 기반으로 한 투명하고 독립적인 지배구조를 확립함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경영환경과 조직문화를 구축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기업지배구조 모범규준 권고안을 채택하고 전문경영인에 의한 책임경영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사회는 회사의 기업가치 향상과 주주의 이익보호를 위해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이사를 선임하여, 회사의 중대 사항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ESG기준원(KCGS)의 ‘지배구조’ 평가에서 2024년 B+ 등급을 획득하는 등 지속적으로 지배구조 개선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이사회는 효율적인 견제와 투명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외이사 비율을 과반수(55.6%)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는 대표이사의 경영계약과 평가, 대표이사와 사내이사의 보수 및 지급 방법에 대한 결정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이사가 되는 사내이사는 이사회가 추천한 자를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선임하며, 대표이사를 제외한 사내이사는 회사의 경영임원 중에서 대표이사가 이사회의 동의를 얻어 주주총회에 추천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의 경우, 이사회의 다양성(BOD Diversity)과 직무성/상보성(Complementary of Skills)을 고려하여 분야별 최고의 전문가 중 법령상 결격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며 특정 이해관계가 없는 중립적인 후보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심도 있게 심사하여 주주총회에 추천하고 있습니다. 특히, 사외이사 중 한 명은 공공성 강화를 위해 별도로 이사 추천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적정한 후보를 추천 받은 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재심사하여 최종적으로 주주총회에 추천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투명한 지배구조의 원칙과 기준이 반영된 정관, 이사회, 이사회 내 위원회 규정은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되어 있으며, 법령에 따라 공개 의무가 있는 이사회 관련 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이사회의 투명성과 독립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이사회 권한 강화, 이사회 공공성/투명성/전문성 제고,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목소리가 회사경영에 반영되도록 하고, 경영진이 최선의 경영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5년은 이사회가 ESG 측면에서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중장기적인 기업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사회의 역할을 더욱 충실히 할 계획입니다. 또한, 앞으로도 당사는 투명하고 안정적인 지배구조 확립을 위해 주주 및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주주 및 투자자들에게 지배구조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며, 장기적으로 기업가치 증대와 이익 향상을 위해 노력할 계획입니다. |
①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 구성 당사 이사회는 9명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외이사는 5명(사외이사 비율 55.6%)으로 당사는 상법상 사외이사 과반수 요건이 필수 요건이 아님에도 공공성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사외이사를 과반수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모든 위원회에 사외이사가 포함되어 있으며, 감사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의사결정의 객관성과 독립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② 이사회 내 위원회 중심의 운영 이사회는 주주를 대표하여 회사의 중대한 의사결정을 하는 기관으로서 다수의 핵심적인 업무를 집중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이사회 내에 관련 분야별 위원회를 설치하고, 해당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보유한 이사를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 이사회 내 위원회는 총 5개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감사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가 있습니다. 이 중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및 감사위원회는 상법상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님에도 설치하여 경영의 투명성을 강화하였고, 나머지 3개 위원회도 이사회의 독립성, 효율성 및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이사회가 자율적으로 판단하여 설치한 것입니다. 특히 사회공헌위원회는 ESG 측면에서 공공성을 강화하고자 2021년부터 신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③ 이사회 내 위원회의 전문성 강화 당사 이사회는 분야별로 이사회 내 위원회를 두어 해당 분야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이사들이 이사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을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각 이사회 내 위원회는 최소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의 경우 감사업무에 관한 전문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감사위원 전원은 감사와 관련된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하고 있습니다. ④ 이사회의 사업 지원 역할 강화 당사는 10억원 이상의 투자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받는 등 외부 제휴 협력 및 전략적 투자 결정 등 사업 진행에 있어 사전 승인을 통해 신규 성장동력을 발굴/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성장 사업에 대한 이사진과 경영진간의 활발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여 경쟁우위를 조기에 확보하고, 미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하고 있습니다. ⑤ 감사위원회 독립성 제고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효율적이고 독립적인 감사 업무 수행을 위해 내부감사부서로 감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해당 부서는 감사위원회가 승인한 연간 감사계획에 따라 감사 결과를 정기적으로 보고하고, 감사위원회가 별도로 요구하는 사안에 대해서도 감사/조치 결과를 즉각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에 외부감사인 선임 및 변경, 해임 건의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내부감사부서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201000] (핵심원칙1) 주주는 권리행사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제공받고, 적절한 절차에 의해 자신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
[201100] (세부원칙 1-1) - 기업은 주주에게 주주총회의 일시, 장소 및 의안 등에 관한 충분한 정보를 충분한 기간 전에 제공하여야 한다.
주주총회 개최 시 정관에 따라 이사회 결의 후 주주총회 일시, 장소 및 의안을 주총 최소 2주 전에 당사 홈페이지와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하여 주주들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총회 개최 시 정관에 따라 이사회에서 주주총회 소집안을 결의하고 주주총회 일시, 장소 및 의안 등을 주주총회일 최소 2주 전에 기업 홈페이지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이를 공고하여 주주에게 주주총회 참석을 안내하고 있으며, 발행주식 총수의 1% 초과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들에 대해서는 주주총회 2주전까지 주주총회 소집통지서를 서면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의결권 행사의 편의성 제고 및 주주 참여 확대를 위하여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해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당사는 2025년 3월 26일 오전 10시 본점 소재지인 DDMC빌딩 스라클라스룸에서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주주총회 의안으로는 제 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이 상정되었으며, 모두 원안대로 승인되었습니다. 해당 보고서의 공시대상기간 중 총 2회의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였으며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임시주주총회 개최 내역은 없습니다. |
표 1-1-1: 주주총회 개최 정보
2025년 제24기 정기 주주총회 | 2024년 제23기 정기 주주총회 | ||
정기 주총 여부 | O | O | |
소집결의일 | 2025-03-04 | 2024-03-12 | |
소집공고일 | 2025-03-04 | 2024-03-12 | |
주주총회개최일 | 2025-03-26 | 2024-03-28 | |
공고일과 주주총회일 사이 기간 | 22 | 16 | |
개최장소 | DDMC 스라클라스룸 | DDMC 스라클라스룸 | |
주주총회 관련사항 주주통보 방법 | 자사 홈페이지 공지, 소집통지서 발송 (1% 초과 주주 대상),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 | 자사 홈페이지 공지, 소집통지서 발송 (1% 초과 주주 대상), 금감원 및 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 | |
외국인 주주가 이해가능한 소집통지 | 실시 여부 | O | O |
통지방법 | 한국예탁결제원 외국인 의결권행사 위임을 통해 진행 (외국인 주주의 상임 대리인에게 통지 및 의결권 결과 취합) | 한국예탁결제원 외국인 의결권행사 위임을 통해 진행 (외국인 주주의 상임 대리인에게 통지 및 의결권 결과 취합) | |
세부사항 | 이사회 구성원 출석 현황 | 9인 중 2인 참석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1인 (감사위원장) |
8인 중 1인 참석 사외이사 1인 (감사위원장) |
감사 또는 감사위원 출석 현황 | 3인 중 1인 참석 | 3인 중 1인 참석 | |
주주발언 주요 내용 | 1) 발언주주: 7인 (개인 7인) 2) 발언내용: 안건에 대한 찬성 및 질의, 경영활동에 대한 제언 |
1) 발언주주: 6인 (개인 6인) 2) 발언내용: 안건에 대한 찬성 및 경영활동에 대한 제언 |
당사는 상법상 주주총회 소집공고 기한을 준수하여, 제24기 정기 주주총회일 개최일 22일 전 당사 홈페이지 및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기업공시 채널(http://kind.krx.co.kr) 등에 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사항을 공고하였습니다. 이는 기업지배구조모범규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주주총회 4주 전 소집공고'를 준수하지 못한 것이지만, 주주총회 소집공고 시에 감사보고서가 포함된 재무제표를 제출하여 주주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입니다. |
당사는 앞으로도 주주들이 주주총회 의안에 대해 충분히 검토 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201200] (세부원칙 1-2) - 주주총회에 주주가 최대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주주가 주주총회에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및 전자투표를 시행하여 최대한 많은 주주가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소액주주들의 총회 참여를 제고시키기 위해 시행되는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따라, 2024년(제23기 정기주주총회), 2025년(제24기 정기주주총회) 각각 정기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을 피하여 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다만, 2023년(제22기 정기 주주총회)의 경우, 2022년 연결 결산 확정 및 대내외 일정을 고려하여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 등을 위해 불가피하게 정기주주총회 집중일에 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당사는 서면투표를 도입하지 않았으며, 2018년 제17기 정기 주주총회부터 의결권 행사의 편의성 제고 및 주주 참여 확대를 위하여 전자투표 제도를 도입해 주주들이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주주총회 소집 공고 및 통지서를 통해 상세히 안내하였습니다. |
표 1-2-1: 정기 주주총회 의결권 행사 접근성
구분 | 2025년 제24기 정기 주주총회 | 2024년 제23기 정기 주주총회 | 2023년 제22기 정기 주주총회 |
---|---|---|---|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 2025.03.21(금) 2025.03.27(목) 2025.03.28(금) |
2024.03.22(금) 2024.03.27(수) 2024.03.29(금) |
2023.03.24(금) 2023.03.30(목) 2023.03.31(금) |
정기주주총회일 | 2025-03-26 | 2024-03-28 | 2023-03-31 |
정기주주총회 집중일 회피 여부 | O | O | X |
서면투표 실시 여부 | X | X | X |
전자투표 실시 여부 | O | O | O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여부 | O | O | O |
2025년 제24기 정기 주주총회의 참석 주식수는 총 32,421,206주로, 이중 2,317,069주는 전자투표, 29,925,089주는 의결권 대리행사를 통해, 165,716주는 우리사주조합의 의결권 행사를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2024년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의 참석 주식수는 총 33,277,027주로, 이중 2,585,743주는 전자투표, 30,520,324주는 의결권 대리행사를 통해, 170,960주는 우리사주조합의 의결권 행사를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였습니다. 2025년 3월 26일에 개최된 제24기 정기 주주총회 및 2024년 3월 28일에 개최된 제23기 정기 주주총회의 안건별 세부 찬반 현황은 아래 [표 1-2-2]와 같으며, 2024년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임시 주주총회는 별도로 개최된 바 없습니다. |
표 1-2-2: 주주총회 의결 내용
결의 구분 | 회의 목적사항 | 가결 여부 |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1) | (1) 중 의결권 행사 주식수 | 찬성주식수 | 찬성 주식 비율 (%) | 반대 기권 등 주식수 | 반대 기권 등 주식 비율 (%) | ||
---|---|---|---|---|---|---|---|---|---|---|
제24기 주주총회 | 제1호 의안 | 보통(Ordinary) | 제2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298,782 | 96.5 | 1,122,424 | 3.5 |
제2-1호 의안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목적사업 수정 및 추가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488,929 | 97.1 | 932,277 | 2.9 | |
제2-2호 의안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익배당 기준일 변경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526,423 | 97.2 | 894,783 | 2.8 | |
제2-3호 의안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중간배당 기준일 변경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514,011 | 97.2 | 907,195 | 2.8 | |
제3-1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후보 김채희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354,587 | 96.7 | 1,066,619 | 3.3 | |
제3-2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후보 민필규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349,143 | 96.7 | 1,072,063 | 3.3 | |
제4-1호 의안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의사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의사 후보 이종수 |
가결(Approved) | 47,522,955 | 8,110,956 | 7,150,238 | 88.2 | 960,718 | 11.8 | |
제5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7,522,955 | 32,421,206 | 31,364,578 | 96.7 | 1,056,628 | 3.3 | |
제23기 주주총회 | 제1호 의안 | 보통(Ordinary) |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845,455 | 98.7 | 431,572 | 1.3 |
제2-1호 의안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목적사업 추가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1,738,063 | 95.4 | 1,538,964 | 4.6 | |
제2-2호 의안 | 특별(Extraordinary)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용어 명확화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3,107,896 | 99.5 | 169,131 | 0.5 | |
제3-1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후보 최영범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47,893 | 99.0 | 329,134 | 1.0 | |
제3-2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후보 전괄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99,424 | 99.2 | 277,603 | 0.8 | |
제3-3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후보 조영임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88,224 | 99.1 | 288,803 | 0.9 | |
제3-4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후보 김대희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98,075 | 99.2 | 278,952 | 0.8 | |
제3-5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사외이사 후보 김관규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98,075 | 99.2 | 278,952 | 0.8 | |
제3-6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후보 김훈배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578,148 | 97.9 | 698,879 | 2.1 | |
제3-7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후보 임현규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87,471 | 99.1 | 289,556 | 0.9 | |
제3-8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후보 이춘호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87,817 | 99.1 | 289,210 | 0.9 | |
제4-1호 의안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 전괄 |
가결(Approved) | 47,522,955 | 8,966,447 | 8,716,913 | 97.2 | 249,534 | 2.8 | |
제4-2호 의안 | 보통(Ordinary) |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후보 김대희 |
가결(Approved) | 47,522,955 | 8,966,447 | 8,699,646 | 97.0 | 266,801 | 3.0 | |
제5호 의안 | 보통(Ordinary) | 임원보수 및 퇴직금규정 일부 변경의 건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920,826 | 98.9 | 356,201 | 1.1 | |
제6호 의안 | 보통(Ordinary)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Approved) | 47,522,955 | 33,277,027 | 32,292,815 | 97.0 | 984,212 | 3.0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제22기 주주총회 당시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3년 3월 31일 주주총회를 개최한 이력이 있습니다. 당시 2022년 연결 결산 확정 및 대내외 일정을 고려하여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 등을 위해 불가피하게 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였습니다. |
제23기, 제24기 주주총회는 주주총회 집중일을 회피하여 개최하였으며, 향후에도 '주총 분산 자율프로그램'에 동참하여 주주들의 원활한 주주총회 참여를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또한, 주주가 주주총회에 최대한 참석하여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참여를 독려하고 있습니다. 매년 주주에게 의결권 대리행사를 적극 권유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 의결권 행사의 편의성 제고 및 주주 참여 확대를 위해 전자투표를 시행하여 주주의 의결권 행사 편의성을 더욱 제고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주주친화 정책의 일환으로 주주와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발굴하겠습니다. |
[201300] (세부원칙 1-3) - 기업은 주주가 주주총회의 의안을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게 하여야 하며, 주주총회에서 주주제안 의안에 대하여 자유롭게 질의하고 설명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는 주주가 상법 및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권리를 적극 행사할 수 있도록 절차를 따르고 있으며 주주총회에서 해당 의안을 설명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주주는 상법 제363조의 2에 따라 일정 수 이상의 의결권이 있는 주식을 가진 경우 이사에게 주주총회일 6주 전에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으며, 이사는 이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이사회는 주주제안의 내용이 법령 또는 정관을 위반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를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해야 합니다. 당사는 홈페이지와 사업보고서 공시를 통해 주주 담당자의 연락처와 IR용 이메일을 안내하고 있으며, 관련 문의가 있는 경우 직접 안내를 통해 주주의 제안에 대한 의견을 접수받고 있습니다. 주주제안이 있는 경우 해당 의안의 주요 내용도 소집통지서에 기재되며, 주주총회에서 당해 의안을 설명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가 상법 제363조의 2, 제542조의 6에 의거하여 해당 요건을 갖춰 주주제안을 하는 경우, 이사는 이를 이사회에 보고하고 이사회는 상법 제362조, 이사회 규정 제6조 제1항 제31호에 따라 주주제안 내용을 포함한 주주총회 보고 사항 및 의결사항 심의를 통해 최종 주주총회 소집안을 의결합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감사위원회는 운영규정 제9조 제1항에 따라 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를 조사하여 법령 또는 정관을 위반하거나 현저하게 부당한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에 관하여 주주총회에 그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위 절차에 따라 주주제안을 처리하며 해당 의안의 주요 내용은 소집통지서에 기재되고 주주총회에서 당해 의안을 설명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2024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주주 제안 내역이 없습니다. |
표 1-3-1: 주주 제안 현황
제안 일자 | 제안주체 | 구분 | 주요 내용 | 처리 및 이행 상황 | 가결 여부 | 찬성률 (%) | 반대율 (%) | |
---|---|---|---|---|---|---|---|---|
- | - | - | - |
N(X)
|
당사는 2024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수탁자 책임 이행 활동의 일환으로 기관투자자의 공개서한을 받은 바 없습니다. |
표 1-3-2: 공개서한 현황
발송일자 | 주체 | 주요 내용 | 회신 일자 | 수용 여부 | 회신 주요 내용 | |
---|---|---|---|---|---|---|
- | - | - | - |
당사는 상법상 보장된 주주제안권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하고 있으나, 주주제안 사례가 많지 않아 주주제안 절차를 별도로 안내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당사는 주주총회에서 회의 목적사항이 공정하고 효율적으로 심의되고 적법하게 결의되어 주주총회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하기 위해 각 의안을 설명한 후 주주에게 발언 및 질의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 위원장을 주주총회에 참석하도록 하여 주주들의 질문이 있는 경우에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직무범위 내에서 성실히 답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향후 주주가 상법 및 관련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권리를 적극 행사할 수 있도록 홈페이지에 관련 절차를 게재하는 것을 검토하겠습니다. |
[201400] (세부원칙 1-4) - 기업은 배당을 포함한 중장기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을 마련하고 주주들에게 배당관련 예측가능성을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지속적인 결산 배당을 통해 주주환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 통과되어 배당 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하도록 개선 완료했습니다. |
당사는 정관에 따라 금전과 주식으로 이익의 배당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업연도 중 이사회의 결의로 금전으로 중간배당을 할 수 있습니다. 제24기 정기주주총회(2025.03.26.)에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 통과됨에 따라, 배당은 회사가 이사회 결의로 정한 기준일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 지급하도록 하고 있으며, 제25기 배당부터 배당액 결정 이후로 기준일을 결정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이사회에서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배당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2017년부터 지속적으로 주당 350원 배당을 시행하고 있으며, 배당정책의 변경이 있을 경우 수시공시(공정공시)를 통해 시장에 안내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회사의 주가 및 자금여력을 고려하여 필요 시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Y(O)
|
Y(O)
|
당사는 배당 및 주주환원과 관련된 중요한 의사결정에 관해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및 기업공시채널(http://kind.krx.co.kr)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말 배당 관련 정보는 주주총회 약 6주 전 ‘현금·현물배당결정’ 공시를 통해 안내하고 있으며 수시로 IR 활동을 통해 주주환원 정책 및 계획 등을 주요 주주들에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외국인 투자자를 위해 배당 관련 의사결정을 'Decision on Cash Dividends and Dividends in Kind'로 금융감독원의 영문전자공시시스템(http://englishdart.fss.or.kr)에 공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제24기 정기주주총회(2025.03.26.)에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 통과되어, 이익배당 및 중간배당 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하도록 개선 완료했습니다. 이에 따라, 제25기 배당부터 기준일을 배당액 결정 이후로 정하고자 합니다. |
표 1-4-1: 배당기준일과 배당액 확정일
결산월 | 결산배당 여부 | 배당기준일 | 배당액 확정일 | 현금배당 관련 예측가능성 제공 여부 | |
---|---|---|---|---|---|
제23기 결산 배당 | 12월(Dec) | O | 2023-12-31 | 2024-03-28 | X |
제24기 결산 배당 | 12월(Dec) | O | 2024-12-31 | 2025-03-26 | X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회사의 성과에 기반한 안정적인 배당과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주주환원 정책을 기본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배당을 포함한 주주환원 정책은 주주 총회 및 IR, 공시 등을 통해 주주에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다만, 제24기 결산 배당 관련 의사결정은 영문공시를 진행하지 못하여 외국인 투자자 대상 안내가 부족했습니다. |
향후 결산 배당 의사결정을 포함하여 주주환원 정책에 중요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영문공시를 통해 외국인 투자자 대상 안내에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201500] (세부원칙 1-5) - 주주환원정책 및 향후 계획 등에 근거하여 적절한 수준의 배당 등을 받을 주주의 권리는 존중되어야 한다.
당사는 배당정책에 근거하여 결산 배당을 유지하며 주주환원을 하고 있으며, 배당 외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주주가치를 제고하였습니다. |
당사의 최근 3개 사업연도별 배당 내역은 아래 [표 1-5-1-1]과 같으며, 하기 정보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 내 'Ⅲ. 재무에 관한 사항 中 6. 배당에 관한 사항'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발행되었던 우선주가 2011년 모두 보통주로 전환됨에 따라 현재 유통되는 우선주는 없습니다. 따라서 차등배당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또한, 분기배당 및 중간배당을 실시한 내역은 없으며 정관 제41조의 2에 중간배당에 관한 근거조항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
표 1-5-1-1: 최근 3개 사업연도 주주환원 현황
일반현황 | 주식배당 | 현금배당(단위 : 원) | ||||||
---|---|---|---|---|---|---|---|---|
연도 | 결산월 | 배당가능 이익 | 총 배당금 | 주당 배당금 | 시가 배당률 (%) | |||
당기 | 보통주 | 2024년 | 12월(Dec) | - | 259,037,136,048 | 16,553,546,100 | 350 | 7.07 |
종류주 | ||||||||
전기 | 보통주 | 2023년 | 12월(Dec) | - | 399,193,642,812 | 16,551,617,600 | 350 | 5.75 |
종류주 | ||||||||
전전기 | 보통주 | 2022년 | 12월(Dec) | - | 501,289,710,013 | 16,654,335,950 | 350 | 4.08 |
종류주 |
표 1-5-1-2: 최근 3개 사업연도 현금배당 성향
구분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연결기준 (%) | 74.46 | ||
개별기준 (%) | 48.52 |
공시 대상 기간에는 해당 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주당 350원 배당정책에 근거하여 2017년부터 꾸준히 주주환원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 중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진행하여 주주가치를 제고하였기에 미진한 부분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
당사는 주주환원과 주주의 권리가 존중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니다. |
[202000] (핵심원칙 2) 주주는 보유주식의 종류 및 수에 따라 공평한 의결권을 부여받아야 하고,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공평하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노력을 해야 한다.
[202100] (세부원칙 2-1) - 기업은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주주에게 기업정보를 적시에, 충분히 그리고 공평하게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보통주를 발행 및 유통하여 주주가 공평하게 의결권을 부여 받게 하였으며, 국내외 주주에게 공평하게 정보가 제공되도록 국문 및 영문 공시 IR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정관상 발행 가능한 주식의 총수는 240,000,000주이며, 현재까지 당사가 발행한 주식의 총수는 144,430,196주입니다. 이 중 회사는 주식 상장을 위한 재무구조 개선 및 자본 효율 제고를 위해 2009년 감자를 결정하고, 보통주 84,916,537주와 상환전환우선주 14,000,000주를 80%, 상환우선주 11,875,000주를 100% 무상소각 하였고, 보통주와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해 2배수 주식 액면분할을 실시하였습니다. 2011년에는 최대주주인 KT가 보유한 상환전환우선주 5,600,000주를 보통주로 전환 완료하여 현재 유통되는 우선주는 없습니다. 2023년에는 배당가능이익 내 신탁계약을 통해 취득한 자사주 299,011주를 소각하여 현재 총 발행주식수는 47,522,955주이며, 자사주는 총 227,109주이고 자사주를 제외한 유통주식수는 47,295,846주입니다. |
표 2-1-1-1: 발행가능 주식총수(주)
보통주 | 종류주 | 발행가능 주식전체 |
---|---|---|
181,100,000 | 58,900,000 | 240,000,000 |
표 2-1-1-2: 주식발행 현황 세부내용
발행주식수(주) | 발행비율 (%) | 비고 | |
---|---|---|---|
보통주 | 47,522,955 | 19.8 | - |
당사는 현재 발행되어 유통되고 있는 종류주식이 없습니다. |
당사의 유통주식은 모두 공평한 의결권이 부여된 보통주식입니다. |
당사의 유통주식은 모두 공평한 의결권이 부여된 보통주식입니다. 향후 주주의 의결권이 침해되지 않으며 공평하게 의결권이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당사는 매 분기 결산 이후 2월, 5월, 8월, 11월초 분기, 반기,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개최하고, 연이어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들을 대상으로 기업설명회(NDR)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3월, 7월, 12월 기관투자자들과의 컨퍼런스콜 및 대면 기업탐방(기업설명회), 6월 주요 애널리스트 대상 간담회, 7월 kt 그룹 Corporate Day, 8월 해외 기관투자자와의 컨퍼런스콜 등 주요 IR 행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시로 애널리스트 대상 설명회, 경영진 간담회 등을 통해 시장과 활발하게 소통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소액주주를 대상으로 한 별도 행사를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적발표 및 IR 관련 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및 회사 홈페이지(http://corp.skylife.co.kr)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시 및 주식 담당자의 전화번호를 공시에 표시하고 회사 홈페이지에 IR 전용 이메일을 게시하여 적극적으로 소액주주와의 소통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매 월 가입자 실적을 홈페이지에 영문으로 게시하고 있으며, 분기 실적발표 자료도 영문으로 게시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해외 주주 중 회사의 경영현황에 대해 추가적인 설명을 원하는 주주에 대해서는 화상회의(MS Teams)와 이메일을 통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2024년 3월, 해외 기관투자자와 정기주주총회 안건 관련 이메일 질의응답, 8월 2분기 실적 및 경영 전략 관련 화상회의, 9월 해외 기관투자자 Letter에 대한 경영진 회신, 11월 3분기 실적발표 관련 이메일 질의응답 등을 진행했습니다. |
Y(O)
|
당사 홈페이지(국/영문) 투자정보 내 IR 뉴스 게시판에 게재되어 있는 실적발표 안내문 자료에 IR 담당부서의 전화번호와 fax 번호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별도 IR 담당부서의 이메일 주소는 기업 홈페이지의 Contact us 메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corp.skylife.co.kr/invester/contactus.do). |
8.5 |
당사는 회사 홈페이지 [투자정보IR] - [IR Room] 메뉴에서 영문 탭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http://www.ktskylife.co.kr/invester/irroomEng.do). 해당 게시판에 매 월 가입자 실적을 영문으로 게시하고 있으며, 분기 실적발표 자료도 영문으로 게시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IR 연락처를 홈페이지에 영문으로 게시하고 있으며 (https://corp.skylife.co.kr/invester/contactus.do), 2023년부터 한국거래소 영문공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당 공시 내역은 한국거래소 영문 기업공시 채널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engkind.krx.co.kr). |
N(X)
|
당사는 2024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 받은 바 없습니다. |
표 2-1-3: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내역
불성실 공시유형 | 지정일 | 지정사유 | 부과벌점 | 제재금(단위 : 원) | 지정 후 개선노력 등 | |
---|---|---|---|---|---|---|
- | - | - |
당사는 주주에게 적시에 공평하게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 뿐만 아니라 당사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다만, 당사는 의무 영문공시 대상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주주에게 공평하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2023년부터 영문공시를 시행하였으나, 현재 영문공시의 비율이 8.5%로 저조합니다. |
향후 당사는 외국인 주주의 정보 접근 편의성과 공평성을 위해 한국거래소 국문 공시에 대한 영문공시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겠습니다. 영문 공시는 금융감독원 영문 전자공시시스템(https://englishdart.fss.or.kr/)을 통해 확인 가능하며, 당사의 가입자 정보와 분기 실적발표 자료는 영문 번역하여 기업 홈페이지에 제공하고 있습니다. |
[202200] (세부원칙 2-2) - 기업은 지배주주 등 다른 주주의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운영하여야 한다.
당사는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한 내부통제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이사회 및 내부거래위원회의 의결을 통해 정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경영진 또는 지배주주의 사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내부통제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사회규정 제6조 제1항 제29호에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의 대규모 내부거래에 관한 승인을 이사회 의결사항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자발적으로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된 내부거래위원회를 설치하여 상법상 회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과의 대규모 내부거래에 대하여 동 위원회에서 사전 심의하고 이사회 의결사항으로 최종 승인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거래 발생시 관련 내역에 대해서 이사회 승인 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정기 주주총회에 해당 거래 목적, 상대방, 거래내용, 금액 등을 상세하게 보고할 계획입니다. |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9 및 동법 시행령 제35조 '주요주주 등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규정에 따라 해당 사업연도 중 계열회사와의 예상 거래 총액이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5%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해당 예상 거래 총액에 대해 미리 이사회의 승인을 받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현재까지 이사회 및 내부거래위원회에서 자회사 케이티이엔에이(구, 스카이라이프티브이)와의 유상증자 참여 관련 안건 총 1건을 승인했습니다. <계열회사 유상증자 참여 내역> - 출자대상자: (주)스카이라이프티브이 - 이사회 의결일: 2024.05.03 - 출자 일자: 2024.05.16 - 출자 주식: 보통주 37,614,373주 - 출자 금액: 18,807백만원 |
당사는 대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자산양수도에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대주주 및 특수관계자와의 영업거래 내역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된 사업보고서의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에서 상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은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향후 부당한 내부거래 및 자기거래로부터 주주를 보호하기 위해 내부통제 관련 규범을 따르며 알맞은 내부통제장치를 갖추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 |
[202300] (세부원칙 2-3) - 기업은 주주간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정책에 있어 주주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소액주주 의견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당사는 공시 등을 통해 주주에게 회사 현황 관련 소통을 하고 있으나, 소액주주의 의견수렴 및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한 명문화된 정책이 부재하며 수립 검토 중입니다. |
당사는 기업의 소유구조 또는 주요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영업양수도, 분할,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에 대한 결정시 소액주주 의견 수렴, 반대주주 권리보호 등 주주보호를 위한 별도의 명문화된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는 않으나, '이사회 운영규정 제6조(부의사항) 5. 해산, 합병, 분할합병 등 조직의 중요한 변경'에 따라 주요 사항 발생 시 사외이사가 과반수로 구성되어있는 이사회에서 심의·의결하도록 명문화하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기업이 소유구조 또는 사업의 변동과 관련한 결정을 하는 경우 소액주주의 보호를 위하여 상법 제360조의3과 제360조의16에서 주식의 교환과 이전에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요구하고 있으며, 상법 제374조에서 영업의 양도, 양수, 임대 등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 상법 제522조에서 합병에 대하여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서 승인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결정에 반대하는 주주의 권리보호를 위하여 상법 제374조의2에서 제374조에 따른 주주총회의 결의사항에 반대하는 주주는 사전에 서면으로 반대의사를 통지한 경우에 반대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매수해 줄 것을 회사에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법 제522조의3에서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별도의 명문화된 정책은 없으나, 소액주주의 문의 창구로 공시 및 주식 담당자의 연락처를 공개하고 있으며 회사 홈페이지에 IR 문의 전용 이메일 주소를 게시하여 손쉽게 문의하고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기업의 변화에 대해 주주에게 정보를 제공하고자 분기별 실적발표와 주요사항보고서 공시 및 자율공시 등을 이행하고 있으며, 위와 같이 주주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노력 중입니다. 향후 회사의 중대한 결정을 하는 경우 관련 법과 규정을 준수하고 해당 내용을 공시로서 모든 주주 및 투자자들에게 알려 소액주주 및 반대주주의 권리가 최대한 보장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N(X)
|
당사는 2024년부터 보고서 제출일인 현재까지 소유구조 또는 주요사업에 중대한 변화를 초래하는 합병, 중요한 영업양수도, 분할(물적분할 포함) 및 주식의 포괄적 교환 및 이전 등의 사안이 발생하지 않았고, 이러한 사안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 않습니다. 향후 이러한 사안을 진행하는 경우 사전에 주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반대주주 권리 보호를 위하여 여러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겠습니다. |
N(X)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현재 소액주주의 의견수렴 및 반대주주 권리보호를 위해 명문화된 정책이 없습니다. 공시대상 기간동안 당사의 소유 구조 또는 주요 사업의 변동 및 자본조달 등의 사안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사안이 발생 시 상법 및 이사회운영규정에 따라 소액주주 및 반대주주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향후 주주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소액주주의 의견을 기업의 주요 활동에 반영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것이며, 구체적인 정책 수립에 대해서도 중장기적으로 검토하겠습니다. |
[300000] 3. 이사회
[303000] (핵심원칙 3)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이익을 위하여 기업의 경영목표와 전략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감독하여야 한다.
[303100] (세부원칙 3-1) - 이사회는 경영의사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당사 이사회는 정관 제6장 및 이사회운영규정 제6조에 기반하여, 의결 및 보고 사항 검토를 통해 경영 목표 및 방침 결정, 경영 감독, 리스크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이사회는 법령, 정관, 이사회 규정 등에서 정하고 있는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고 있습니다. ( i ) 정관 또는 이사회 규정으로 정하고 있는 이사회의 심의·의결사항 - 주주총회 소집 - 연도사업계획 및 예산승인 -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 - 지점의 설치, 이전 및 폐지 - 해산, 합병, 분할합병 등 조직의 중요한 변경 - 자본금의 증가, 감소 및 신주의 발행 배정, 실권주의 처리 - 주식매입선택권의 부여 및 취소 - 사채발행, 장기차입(1년이상), 자기자본의 100분의 5이상의 당해연도 단기차입 -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부권사채 발행사항의 결정 - 주식연계채권의 발행 - 자기자본 0.5% 이상의 타법인출자 (단, 경영권 취득이 수반되는 경우는 금액에 상관없이 의결) 및 자기자본 0.5% 이상의 타법인 지분매각 (단, 경영권이양이 수반되는 경우와 출자원금이 자기자본 0.5% 이상인 경우는 금액에 상관없이 의결) - 자기자본 0.5% 이상의 토지와 건물의 취득 및 처분 - 5천만원을 초과하는 출연 또는 기부 - 정관의 변경 - 아래 사규의 제정 및 개정 · 이사회규정 · 소위원회운영규정 · 직제규정 · 인사규정 · 보수 및 복리후생규정 · 회계규정 · 내부회계관리규정 · 취업규칙 · 전문임원관리규정 · 경영임원관리규정 · 준법통제기준 - 소위원회의 설치, 운영 및 폐지 - 감사위원회 위원 추천. 감사위원회의 위원을 제외한 소위원회의 위원 선임, 해임 - 감사위원회를 제외한 이사회 내 소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한 재결의 -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 주식배당 결정 - 준비금의 자본전입 -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면책 - 이사와 회사간의 거래의 승인 - 주식의 액면미달 발행 - 자기주식의 취득?처분 - 자기주식의 소각 - 자기자본 0.5% 이상의 자산의 취득, 처분 및 양도 - 중장기 경영계획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의 대규모 내부거래 중 다음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 · 가지급금 또는 대여금 등의 자금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 주식 또는 회사채 등의 유가증권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 부동산 또는 무체재산권 등의 자산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 10억원 이상의 지급보증 또는 담보제공 - 기타 주주총회에 부의할 안건 - 10억원 이상의 투자를 수반하는 신규사업 추진 - 이사의 보수 및 퇴직금 지급에 관한 사항 - 경영임원의 수와 보수의 변경 - 이사 및 경영임원 법무 지원제도 도입 및 변경 - 기타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 주총위임 사항, 이사회 또는 사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ii ) 이사회 심의 및 의결사항 중 관련법상 의무화된 사항 이외의 사항의 존재 여부(심의 및 의결사항의 자율적 추가 또는 기준금액 강화 등), 주요 내용 및 효과 당사는 관련법상 의무화된 사항 이외의 회사 주요 경영사항에 대해 이사회에서 의결할 수 있도록 아래 항목을 이사회 부의사항으로 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투명한 경영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연도 사업계획 - 예산의 승인 - 자기자본 0.5% 이상의 타법인출자 - 자기자본 0.5% 이상의 타법인 지분매각 - 자기자본 0.5% 이상의 토지나 건물의 취득 및 처분 - 5천만원을 초과하는 출연 또는 기부 - 이사회관련규정의 제정 및 개정 - 경영임원의 수와 보수 및 경영임원관리규정 - 법에 의해 정해진 이사회 부의사항 - 이사 및 경영임원 법무 지원제도 도입 및 변경 |
정관 제37조 및 이사회운영규정 제11조의 2에 의거 이사회 부의사항 중 특정분야의 사항을 심의 또는 의결하기 위해 이사회 내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각 위원회는 회의의 심의 또는 의결 결과를 각 이사에게 통지하고 있으며, 이사회는 법령상 위원회의 고유권한으로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 다시 의결할 수 있습니다. 이사회 내 각 위원회에 대한 위인 관련 사항은 [표 4-1-3-1] '이사회내 위원회 현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정관 제33조 제2항에 따라 의사회는 그 권한 중 일정한 범위를 정하여 대표이사에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 i ) 소위원회의 종류와 의결사항 등 - 소위원회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보상위원회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내부거래위원회 · 감사위원회 · 기타 필요시 이사회는 관련 위원회를 운영할 수 있다. - 소위원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제외한 사항에 대해 이사회의 윈임을 받아 심의 및 의결할 수 있다. ·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 위원회의 설치와 그 위원의 선임 및 해임 · 정관에서 정하는 사항 ·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 이사회는 소위원회가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결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위원회의 결의와 이사회의 결의가 다른 때에는 후자의 결의에 의한다. - 소위원회의 세부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다. |
당사 이사회는 위 규정에 따라 경영의사 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당사 이사회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회사와 주주의 이익을 위해서 회사의 경영목표와 전략을 결정하고 경영진을 효과적으로 감독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이사회가 이사들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경영의사 결정 기능과 경영감독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303200] (세부원칙 3-2) - 이사회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현재 당사는 최고경영자 승계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지는 않으나 향후 안정적인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 선임 프로세스 정립을 검토하고자 합니다. |
N(X)
|
당사는 안정적이고 투명한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 선임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운영할 계획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대표이사 선임 과정에서의 독립성과 경영 연속성 확보를 위해 전체 선임 프로세스의 수립 및 운영을 정관 제26조 및 이사회운영규정 제15조의 2에 의거하여 주요주주와 협의를 통해 대표이사 후보자군을 조사 및 구성하고 심사를 거친 후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를 확정하여 주주총회에 추천하는 방식으로 선임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 대표이사의 후보(집단) 선정, 관리와 관련하여 정관에 명시하고 있는 사항은 없으나 회사를 이끌어나가는데 적합한 자를 선임하기 위해 아래 기준을 감안하여 대표이사후보 심사기준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 경영 및 경제에 관한 지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경력 및 학위 등 - 기업 경영 경험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과거 경영 실적, 경영 기간 등 - 기타 최고경영자로서 자질과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 등 상기 사항을 바탕으로 주요주주 협의를 통해 이사회는 대표이사 후보를 확정하고 주주총회에 추천하며, 추천된 후보는 주주총회 결의에 의해 최종적으로 선임됩니다. 당사는 대표이사의 유고 및 임기 만료 이외의 사유로 인한 퇴임의 경우, 정관 제29조 제2항에 따라 연속성 있게 대표이사 직을 수행할 자에 관한 규정을 명문화 하여 업무 공백을 최소화 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해당 규정은 대표이사를 보좌하여 회사의 업무를 분장 집행하는 사내이사 중 직제규정이 정하는 순서에 따라 해당 사내이사가 그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또한 대표이사 선임절차에 관하여는 기존 대표이사 선임절차와 동일 과정으로 진행하되, Fast Track으로 선임 프로세스를 진행하게 됩니다. |
Y(O)
|
당사는 산업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대내·외 경쟁력을 보유한 차세대 최고 경영자 후보군을 육성하기 위하여 교육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별 소관분야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경영, IT 등의 교육부터 임원진으로서의 기본 소양을 철저히 다지기 위한 직장 내 괴롭힘 예방 교육 프로그램 등을 통해 조직관리부터 직무 전문성, 기본 소양까지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24년 주요 과정>
|
당사는 최고경영자 선임 프로세스 마련을 위해 대표이사 후보 심사 기준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고경영자 후보군 육성을 위해 최근 경영 환경과 트렌드에 맞는 교육 과정을 매년 보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현재 최고경영자 승계정책 관련 명문화된 규정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대표이사의 선임 과정의 독립성과 경영 연속성 확보를 위해 정관 및 이사회운영규정에 의거 주요주주와 협의를 통해 대표이사 후보군을 구성하며 해당 대표이사 후보들의 전문성 및 경력 등의 자질과 능력을 평가하여 심사를 거친 후 이사회에서 최종 후보를 확정하여 주주총회 시 사내이사 후보자를 추천하는 프로세스로 선임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향후 안정적인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최고경영자 선임 프로세스 정립을 검토하고자 합니다. 대표이사로 적합한 자를 선임하기 위해 전문성, 경력, 리더십 등 자질 등의 기준을 포함하여 심사기준을 마련하고 후보 선정, 관리, 교육 등 내용을 포함한 명문화된 최고경영자 선임(승계)정책을 갖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303300] (세부원칙 3-3) - 이사회는 회사의 위험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도록 내부통제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개선·보완하여야 한다.
당사는 <전사 리스크 관리 지침>, <내부회계관리규정>, <준법통제기준>, <공시정보관리지침>에 의거하여 내부통제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주요 사업/서비스 추진 과정의 리스크 관리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2023년 8월 <전사 리스크 관리 지침>을 사규로 제정, 시행하고 있으며 2024년 4월에는 전담 조직 ‘리스크관리팀’을 신설하였습니다. 리스크관리팀은 내부통제 강화를 통한 리스크 적시 파악 및 대응으로 경영상의 위기를 사전에 방지하고, 리스크 관리 중요성에 대한 임직원 인식 개선을 목표로 전사 리스크 관리체계 수립 및 운영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 해당 업무는 회계팀으로 이관되었습니다.) |
Y(O)
|
당사는 법령을 준수함으로써 공정하고 투명한 업무수행을 도모하고 회사의 건전한 발전과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하여 2020년 9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준법통제기준을 사규로 제정, 시행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법무컴플라이언스팀을 신설하였습니다 (2024년에는 각 부서의 법무지원을 강화하고자 컴플라이언스 직무를 유지하며 법무지원팀으로, 보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으로는 법무팀으로 팀명을 변경하였습니다).
법무팀은 사업운영과 관련한 제반 법규의 준수 여부를 진단/점검하여 위법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고, 각종 법적 위험에 대응하고 있으며, 매년 컴플라이언스 실행계획을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컴플라이언스 체계 도입을 추진하였습니다. 컴플라이언스 8대 분야를 설정하고, 해당 분야를 중점으로 팀별 컴플라이언스 담당자를 지정함으로써,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인식과 체계가 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매 분기마다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경영진이 포함된 자리에서 회사에 발생가능한 리스크를 공유하고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Compliance Day’ 제도를 도입하였고, 각 부서별 자율 점검을 실시하도록 하였으며, 임직원들의 인식제고를 위하여 8대 분야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2022년에는 컴플라이언스 시스템의 안정적 정착을 추진하였습니다. 2021년에 도입한 Compliance Day와 자율 점검 시스템을 유지하면서, 8대 중점관리분야 외 이용자보호 분야를 추가하여 9대 중점관리분야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 특히,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대응하여 현장 단위별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하고, 사업장 내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통한 안전한 근무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임직원들이 접대성 비용이나 유가증권, 물품 구매, 법인카드 사용 시 법 위반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컴플라이언스 재원운영기준」을 마련하고, 해당 가이드를 토대로 전임직원들에게 교육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컴플라이언스 교육, 팝업, CEO 메시지, 퀴즈 등 컴플라이언스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부패방지와 정보보호 분야에 대한 체계 정비 및 점검을 집중 시행하였습니다. ‘부패방지 행동강령’을 사규로 제정하여 회사의 부패방지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 의지를 명확히 하고, 협력사 등 제3자에 대한 부패리스크 예방을 위하여 ‘제3자 위험평가 및 준법실사 프로세스’를 도입하였으며,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 실태 점검 등의 점검활동도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당사가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면서 발생가능한 법적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핵심사업 준법리스크 사전점검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사업기획 단계부터 준법리스크에 대한 점검을 실시하여 법 위반 예방에 힘쓰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강화된 준법경영을 운영하기 위하여 모회사와 협약하여 준법통제 활동 결과, 타법인출증자, 타법인과의 사업 양수도 등 중요한 사항을 모회사에 공유하고 의견을 공유받도록 하는 준법경영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그리고 산업안전 체계와 현장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계약 업무 수행 시 사내 지침을 준수하고 있는지, 외부 사람의 민감정보를 수집/관리하고 있는 사항은 없는지 등을 점검하여 각 사업부서에게 리스크를 주지시키고 스스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25년에는 기 마련된 준법경영시스템(기준, 가이드 등)이 잘 작동되고 있는지 점검하여 부족한 점을 개선하고, 인식제고 활동 등을 통하여 강화된 준법경영 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
Y(O)
|
당사는 재무제표 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제8조 및 동법 시행령 제9조,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6조가 정하는 바에 따라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하고, 내부회계관리 제도를 설계·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표이사와 내부회계관리자는 내부회계관리규정 제13조에 따라 매년마다 내부회계관리제도의 효과성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감사위원회와 이사회 및 주주총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8년 11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에 대해 대표이사, 감사위원회, 외부감사인의 역할 및 책임,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보고 및 평가 등을 반영하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규정을 2019년 3월 개정하였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매년 대표이사, 내부회계관리자, 감사위원회 및 회계정보를 작성, 공시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이해에 필요한 교육계획을 수립하고,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현황> 당사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매년 내부회계관리 통제활동에 대하여 외부 회계법인과 함께 설계와 평가를 진행하고 이의 운영실태 보고서를 작성·공시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매년 외부감사인에 의해 내부회계제도의 설계 및 운영의 효과성에 대해 재무적 정보 및 IT시스템을 점검하여 실질적인 감독과 통제절차를 검증합니다.
|
Y(O)
|
당사는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따라 공시책임자 1인, 공시담당자 2인을 지정하여 거래소와 금융감독원 공시 및 공정거래위원회 공시업무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확하고 시의 적절한 공시를 위하여 사업보고서의 경우 공시 내용 관련 책임부서장의 확인을 받아 공시의 정확성 및 완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시공시의 경우 담당부서와 소통하여 사전에 공시 여부를 검토하고 있으며, 이사회의 모든 결정사항에 대해 공시 담당부서가 공시 관련 사항을 검토함으로써 적시에 정확한 정보가 공시되도록 공시 업무 수행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상기 내부 지침을 철저히 운영함과 동시에, 신사업 추진, 신규 투자 등 중요 사안 발생 시 투자심의위원회, 경영회의, 이사회 등 내부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통해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엄격하게 통제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4년 KT 그룹 내 주요 투자 및 M&A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위원회가 설치됨에 따라 당사 역시 타법인출증자, 타법인과의 사업 양수도, 타법인 지분매각 등 주요 의결 사항에 대하여 더욱 면밀하게 검토할 예정입니다. 컴플라이언스 위원회에서는 외부의 청탁 여부 등 컴플라이언스 준수 여부, 투자 대상의 Valuation 적정성, 회계/세무/법무/사업 실사 등을 통해 파악한 리스크와 그 헷지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합니다. |
당사는 회사 규모에 맞는 내부통제 정책을 지속적으로 개선 및 보완함으로써 미진한 부분 없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요 사업/서비스 추진 과정의 리스크 관리 중요성을 인지하고 2024년 전담조직 '리스크관리팀'을 신설하여 전사 리스크의 사전 파악 및 리스크 발생시 빠른 조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내 내부통제 인식개선을 위해 전사 리스크 관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관련 교육을 추가로 시행할 예정이며, KT 그룹의 컴플라이언스 위원회가 신설됨에 따라 내부 통제 정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
[304000] (핵심원칙 4) 이사회는 효율적으로 의사를 결정하고 경영진을 감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이사는 다양한 주주의견을 폭넓게 반영할 수 있는 투명한 절차를 통하여 선임되어야 한다.
[304100] (세부원칙 4-1) - 이사회는 회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중요 사항에 대하여 효과적이고 신중한 토의 및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수의 사외이사를 두어야 한다.
당사는 정관 제25조에 의거하여 총 9인의 이사 중 과반 이상인 5인을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경영진과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이사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 |
당사는 정관 제25조에 따라 11인 이하의 이사를 선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관상 사외이사는 1/4 이상 구성하게 되어있으나 사외이사 중심의 이사회를 활성화하기 위해 사외이사의 수를 과반수로 하여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현재 기준으로 당사 이사회는 사내이사 1인, 기타비상무이사 3인, 사외이사 5인의 총 9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외이사 비율은 55.6%입니다. 사외이사 연임과 관련하여 당사는 이사회운영규정 제19조 제2항에 ‘사외이사의 총 재임기간은 6년을 초과할 수 없다’는 사항을 명문화하여, 장기간 재직하며 사외이사로서 독립성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총 5인의 사외이사 중 연임 내역은 없습니다. 구성원의 연령 및 성별 등 세부 내용은 아래 [표 4-1-2]와 같습니다. |
표 4-1-2: 이사회 구성 현황
구분 | 성별 | 나이(滿) | 직책 | 이사 총 재직기간(월) | 임기만료예정일 | 전문 분야 | 주요 경력 | |
---|---|---|---|---|---|---|---|---|
전괄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6 | 감사위원회 위원장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
15 | 2026-03-26 | 재무/회계 | - (전)삼도회계법인 품질관리실 고문 - (전)딜로이트안진회계법인 품질관리실장 - (전)한국회계기준원 비상임위원 |
조영임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61 | 사회공헌위원회 위원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
15 | 2026-03-26 | 기술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
- (현)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 (현)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심의위 전문위원 - (현) 한국인공지능학회 학술이사 |
김대희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5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감사위원회 위원 |
15 | 2026-03-26 | 정보통신 | - (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빙연구원 - (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 - (전)가천대학교 석좌교수 |
김관규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61 | 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보상위원회 위원 |
15 | 2026-03-26 | 대외협력 (미디어) | - (현)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교수 - (전) 동국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 |
이종수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52 | 감사위원회 위원 | 3 | 2027-03-26 | 기술/경영 | - (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 - (전) 서울대학교 기획처 기획부처장 - (전) 한국중부발전 비상임이사 |
임현규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60 | 보상위원회 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
15 | 2026-03-26 | 미디어/경영 | - (현) kt 경영지원부문장 - (전) 왓칭인사이트 대표이사 - (전) kt 비즈니스서비스추진실장 |
김채희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여(Female) | 51 | 보상위원회 위원 | 3 | 2026-03-26 | 미디어/콘텐츠 | - (현) kt 미디어부문장 - (전) kt 경영기획부문 전략기획실장 - (전) kt AI/DC 융합사업부문 AI/BigData 사업본부장 |
민필규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56 |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사회공헌위원회 위원 |
3 | 2026-03-26 | 경영정책/미디어 | - (현) KBS 전략기획실장 - (전) KBS 이사회사무국장 - (전) KBS 보도본부 통합뉴스룸 라디오제작부장 |
최영범 | 사내이사(Inside) | 남(Male) | 64 | 이사회 의장 | 15 | 2026-03-26 | 기업경영 | - (현 )kt skylife 대표이사 - (전) 대통령비서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 (전)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 |
당사 이사회 내 위원회는 보상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감사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로 총 5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5년 5월 현재 기준, 위원회의 주요 역할, 총원, 코드는 아래 [표 4-1-3-1], 구성원은 [표 4-1-3-2]과 같습니다. |
표 4-1-3-1: 이사회내 위원회 현황
이사회내 위원회 주요 역할 | 위원회 총원(명) | 위원회 코드 | 비고 | |
---|---|---|---|---|
보상위원회 | - 대표이사 및 사내이사의 보수기준과 지급방법 설정 - 대표이사 경영목표 설정 및 변경 - 대표이사 성과 평가 및 평가결과에 의한 성과급 지급 기준 설정 - 사내이사에 대한 업적평가 - 대표이사 성과평가 및 사내이사 업적평가에 대해 이사진에 통지 |
3 | A | - |
내부거래위원회 | - 대규모 내부거래(자본총계 또는 자본금 중 큰 금액의 5% 이상이거나 50억원 이상인 거래행위)에 대한 심사 및 승인 - 가지급금 또는 대여금 등의 자금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 주식 또는 회사채 등의 유가증권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 부동산 또는 무체재산권 등의 자산을 제공 또는 거래하는 행위 |
3 | B |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주총에서 선임할 사외이사후보의 추천 | 3 | C | - |
감사위원회 | - 회사의 회계와 업무 감사 - 외부감사인 후보의 승인 및 감사결과 시정사항에 대한 조치 확인 - 기타 회사의 감사에 관련한 업무 및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 처리 |
3 | D | - |
사회공헌위원회 | - 회사의 연간 사회공헌 활동 계획의 수립 및 승인 - 5천만원을 초과하는 출연 또는 기부 의결 - 전분기 사회공헌 이행 실적 및 성과 보고 - 전분기 5천만원 이하의 출연 또는 기부 보고 |
3 | E | - |
표 4-1-3-2: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
직책 | 구분 | 성별 | 겸임 | ||
---|---|---|---|---|---|
보상위원회 | 임현규 | 위원장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C |
김채희 | 위원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여(Female) | - | |
김관규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C, E | |
내부거래위원회 | 민필규 | 위원장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E |
전괄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D | |
조영임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E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김대희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D |
김관규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E | |
임현규 | 위원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A | |
감사위원회 | 전괄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B |
김대희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C | |
이종수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 | |
사회공헌위원회 | 김관규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남(Male) | A, C |
조영임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여(Female) | B | |
민필규 | 위원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남(Male) | B |
N(X)
|
당사는 ESG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하고 있지는 않지만 내부거래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가 ESG 기능의 일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이사회 의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고 있지는 않으나, 경영의 투명성 및 건전성 제고를 위해 전체 이사 중 사외이사를 과반수 이상으로 구성하는 등 이사회의 독립성 강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
N(X)
|
N(X)
|
당사는 선임 사외이사 제도 및 집행임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정관에서 정한 기준보다 높은 수준의 사외이사 구성 및 사외이사 중심의 소위원회 구성, 운영으로 독립된 입장에서 경영 감독 중입니다. 그러나, 사내 경영 환경에 따라 ESG 위원회,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 선임, 선임 사외이사 제도 및 집행임원 제도는 시행하지 않고 있습니다. |
당사는 향후 사외이사의 이사회 의장 선임, 선임 사외이사 제도, 집행임원 제도 등의 도입에 대해 검토하고자 합니다. 빠른 도입이 어려운 경우 제도화하지 않더라도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정립하는 등의 노력을 하겠습니다. |
[304200] (세부원칙 4-2) - 이사회는 기업경영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지식 및 경력 등에 있어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 및 책임성을 지닌 유능한 자로 구성하여야 한다.
당사 이사회는 미디어·정책, 경영, 법무, 재무·회계, AI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 지식과 경력을 보유한 이사들로 구성되어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N(X)
|
Y(O)
|
당사는 상법 및 관계법령에서 요구하는 이사 자격요건을 포함하여 전문성, 투철한 책임의식, 다양성, 독립성, 직무공정성, 윤리성 등의 요건을 충족하는 방향으로 이사회를 구성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관점과 경험을 기반으로 경영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이사 선임 시 성별, 연령 등 이사회의 다양성(BOD diversity)과 직무, 경험, 전문지식, 교육배경 등의 이사회의 직무적 상보성(Complementarity of Skills)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구성원별 운영 현황> [사외이사] 전괄 사외이사는 금융위원회 회계제도심의위원, 한국공인회계사회 감사기준위원,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품질관리실장, 삼도회계법인 품질관리실 고문을 역임하여 회계/재무 분야 전문가로서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투명한 경영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조영임 사외이사는 여성 이사로서 대통령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 특위위원,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심의위원회 전문위원, 가천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로서 정보-통신 관련 분야의 충분한 경험 및 지식을 갖추고 있어 회사의 지속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대희 사외이사는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빙연구원 등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가로서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통신, 미디어 사업자로서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관규 사외이사는 언론정보학회 총무이사, 언론과학연구 편집위원, 계명대 신문방송학과 조교수, 동국대 사회과학대학 교수 등을 역임하며 오랜 기간 미디어 분야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아울러 해당 이사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이사추천자문위원회의 추천을 받아 사외이사로 선임된 바, 회사의 공공적 역할 수행에 중점적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종수 사외이사는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 에너지분과 위원, 한국중부발전 비상임이사, 한국중부발전 ESG 경영위원회 위원, 한국자산관리공사 ESG 경영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기술경영경제정책대학원 교수 등을 역임하며 전기·전력 분야 및 ESG 경영 전문가로서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회사의 ESG 경영 강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 개진을 통해 의사결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기타비상무이사] 임현규 기타비상무이사는 신문방송학 박사로 미디어 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으며 KT 경영지원부문장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시너지 창출 등 당사 경영에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김채희 기타비상무이사는 KT그룹 미디어부문장으로서 당사가 미디어, 콘텐츠 사업을 영위함에 있어 KT와의 전략적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민필규 기타비상무이사는 KBS 전략기획실장으로서 당사의 지속 가능 성장을 위한 KBS와의 전략적 시너지 및 미디어/콘텐츠 사업 관련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사내이사] 최영범 대표이사는 2024년 3월 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습니다. SBS 경영지원본부장, 효성그룹 커뮤니케이션실 부사장, 대통령비서실 홍보수석 및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을 역임하면서 오랜 기간 언론/방송 분야의 탁월한 노하우 및 전문 경영인으로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미디어 플랫폼 관련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현안 해결 및 비전 수립 등 기업/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2024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은 아래 [표 4-2-1]과 같습니다. |
표 4-2-1: 이사 선임 및 변동 내역
구분 | 최초선임일 | 임기만료(예정)일 | 변동일 | 변동사유 | 현재 재직 여부 | |
---|---|---|---|---|---|---|
이종수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5-03-26 | 2027-03-26 | 2025-03-26 | 선임(Appoint) | 재직 |
전괄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8 | 2026-03-26 | 2024-03-28 | 선임(Appoint) | 재직 |
조영임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8 | 2026-03-26 | 2024-03-28 | 선임(Appoint) | 재직 |
김대희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8 | 2026-03-26 | 2024-03-28 | 선임(Appoint) | 재직 |
김관규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03-28 | 2026-03-26 | 2024-03-28 | 선임(Appoint) | 재직 |
윤명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03-31 | 2025-03-26 | 2025-03-26 | 만료(Expire) | 퇴직 |
김용수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03-29 | 2024-03-28 | 2024-03-28 | 만료(Expire) | 퇴직 |
유승남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03-29 | 2024-03-28 | 2024-03-28 | 만료(Expire) | 퇴직 |
정영무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03-29 | 2024-03-28 | 2024-03-28 | 만료(Expire) | 퇴직 |
황인이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03-29 | 2024-03-28 | 2024-03-28 | 만료(Expire) | 퇴직 |
김채희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5-03-26 | 2026-03-26 | 2025-03-26 | 선임(Appoint) | 재직 |
민필규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5-03-26 | 2026-03-26 | 2025-03-26 | 선임(Appoint) | 재직 |
이춘호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4-03-28 | 2025-03-26 | 2025-03-26 | 사임(Resign) | 퇴직 |
임현규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4-03-28 | 2026-03-28 | 2024-03-28 | 선임(Appoint) | 재직 |
김훈배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1-03-31 | 2025-03-26 | 2025-03-26 | 사임(Resign) | 퇴직 |
최선욱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2-03-29 | 2024-03-28 | 2024-03-28 | 만료(Expire) | 퇴직 |
최영범 | 사내이사(Inside) | 2024-03-28 | 2026-03-26 | 2024-03-28 | 선임(Appoint) | 재직 |
양춘식 | 사내이사(Inside) | 2023-03-31 | 2024-03-28 | 2024-03-28 | 만료(Expire) | 퇴직 |
당사의 이사회는 미디어사업에 관한 정책, 경영, 재무, 회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어 구성상 미흡한 점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
당사는 앞으로도 이사회가 전문성, 다양성, 책임성 관점에서 뿐만 아니라 공공성 관점에서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을 유지해 나가겠습니다. |
[304300] (세부원칙 4-3) -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당사, 특히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상법, 정관, 이사회 내 규정을 준수하여 이사 후보를 추천하고 선임함에 따라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Y(O)
|
66.7 |
당사는 회사와 전체 주주의 장기적인 이익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이사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천/선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독립성 있는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선임하기 위해 상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이사회 내 위원회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동 위원회 구성 현황은 상기 이사회 구성 내 [표 4-1-3-2] 이사회 내 위원회 구성을 참고하여 주십시오. 또한 사내이사와 기타비상무이사의 경우 별도로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나, 사외이사가 과반수 이상으로 구성된 이사회의 동의를 얻어 주주총회에 추천 및 선임하는 과정에서 공정성과 독립성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모든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되도록 정관 제5장 제26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모든 선임 과정은 상법 및 기타 관련 법령에서 요구하는 이사의 결격요건에 해당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업가치 훼손 및 주주 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가 이사로 선임되지 않도록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및 이사회에서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후보의 자격요건(이사회운영규정 제15조)> - 경영분야의 지식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의 전문가 - 경영환경을 이해하고 지식과 경험을 체계적으로 소유한 자 - 방송분야의 전문지식과 경험을 보유하고 사회활동이 왕성한 자 - 기타 이사로서 자질과 능력이 있다고 객관적으로 검증된 자
특히 사외이사 선임과 관련하여 당사는 독립성 있는 사외이사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천하기 위해 이사회운영규정(제15조) 및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제3조 제2항) 규정에 사외이사 후보추천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후보 추천 절차> - 회사 및 주주 등의 이익에 부합하는 자를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에 따라 사외이사 후보 추천 - 사외이사 후보군 발굴시 필요할 경우 주주, 이해관계자 및 외부 전문기관 등의 추천을 최대한 활용 - 사외이사 후보자가 상법, 기타 관련 법령 및 규정에서 정하는 자격요건을 충족하는지 공정하게 검증한 후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 - 상기 사항이 검증된 자 중에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인선한 자를 사외이사 후보로 확정하여 주주총회에 추천
특히, 당사의 경우 ‘19년 국회 및 과기부의 가이드에 따라 위성방송의 공적 책무를 강화하기 위해 공공성 사외이사를 두기로 하였으며, 공공성 대표 사외이사를 추천하기 위해서 별도의 이사 추천 자문위원회를 구성, 운영함으로써 공공성 강화에 적합한 후보를 심사, 추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2025년 정기주주총회에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기 위해 활동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3월, 사외이사 2인과 기타비상무이사 1인으로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사외이사 비율 67%)하고 김대희 사외이사를 위원장으로 선임하였습니다. 또한 위원회는 후보군을 발굴한 후 상법, 정관 및 관련 규정에 따라 결격 및 자격요건 검토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후보 1인으로 이종수 후보를 2025년도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 추천하기로 결정하였고, 주주총회에서 이종수 후보가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로 최종 선임되었습니다. |
당사는 주주에게 이사 후보에 대한 정보를 상법 542조의4 제1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주총회 소집 공고 기한인 주주총회일 2주 이내보다 앞서 제공함으로써 주주들이 이사 후보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이사의 상세 정보제공 내역 관련 2025.03.04. 주주총회소집공고 및 2025.05.15.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표 4-3-1: 이사 후보 관련 정보제공 내역
정보제공일(1) | 주주총회일(2) | 사전 정보제공기간(일)((2)-(1)) | 이사 후보 구분 | 정보제공 내역 | 비고 | ||
---|---|---|---|---|---|---|---|
2025년 제24기 정기주주총회 | 이종수 | 2025-03-04 | 2025-03-26 | 22 | 사외이사(Independent)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김채희 | 2025-03-04 | 2025-03-26 | 22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민필규 | 2025-03-04 | 2025-03-26 | 22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2024년 제23기 정기주주총회 | 최영범 | 2024-03-12 | 2024-03-28 | 16 | 사내이사(Inside)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전괄 | 2024-03-12 | 2024-03-28 | 16 | 사외이사(Independent)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조영임 | 2024-03-12 | 2024-03-28 | 16 | 사외이사(Independent)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김대희 | 2024-03-12 | 2024-03-28 | 16 | 사외이사(Independent)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김관규 | 2024-03-12 | 2024-03-28 | 16 | 사외이사(Independent)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임현규 | 2024-03-12 | 2024-03-28 | 16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김훈배 | 2024-03-12 | 2024-03-28 | 16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
이춘호 | 2024-03-12 | 2024-03-28 | 16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 이사 상세 이력 -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독립성(이해관계) 여부 - 겸직 현황 등 |
- |
Y(O)
|
재선임 이사 후보의 과거 이사회 활동 내역은 분·반기, 사업보고서를 통해 상세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재선임 이사 후보의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활동 내역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근 상장회사 공시규정 개정에 따라 이사회 회차별 참석 현황과 안건별 찬반 현황 기재 대상이 '사외이사'에서 '사내이사를 포함한 각 이사'로 변경되어, 올해 공시된 사업보고서와 분기보고서에 사내이사의 이사회 활동 내역도 기재되어 있습니다. |
N(X)
|
당사는 집중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으나, 향후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소수주주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합니다.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 및 운영하고 있으며 그중 공공성 이사를 선임하기 위해서 별도의 공공성 이사 추천 자문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공정하고 독립적인 절차를 통해 이사 후보를 추천, 선임하고 있어 특별히 부족한 사항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
향후 기업경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소수주주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합니다. |
[304400] (세부원칙 4-4) - 기업가치의 훼손 또는 주주권익의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를 임원으로 선임하지 않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법과 상장회사 특례조항에 따라 사외이사 후보의 결격여부를 검토하고, 내부 경영임원관리규정 및 인사규정에 결격사유를 명시해 임원 선임 및 채용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
표 4-4-1: 등기 임원현황
성별 | 직위 | 상근 여부 | 담당업무 | |
---|---|---|---|---|
최영범 | 남(Male) | 사내이사 | O | 대표이사 |
전괄 | 남(Male) | 사외이사 | X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
조영임 | 여(Female) | 사외이사 | X | 사외이사 내부거래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 |
김대희 | 남(Male) | 사외이사 | X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김관규 | 남(Male) | 사외이사 | X | 사외이사 사회공헌위원회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이종수 | 남(Male) | 사외이사 | X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
임현규 | 남(Male) | 기타비상무이사 | X | 기타비상무이사 보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김채희 | 여(Female) | 기타비상무이사 | X | 기타비상무이사 보상위원회 |
민필규 | 남(Male) | 기타비상무이사 | X | 기타비상무이사 내부거래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 |
<보고서 제출일 현재(2025년 5월 30일) 기준>
|
당사는 기업가치의 훼손 및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이 있는 자의 임원 선임을 방지하기 위해 당사 내부규정인 경영임원관리규정 제2장 선임 및 퇴임 제9조 ‘당연면직’ 및 인사규정 제4장 채용 제14조 ‘채용결격사유’에 총 10가지 결격사유를 명시하여 임원 선임 및 채용에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사외이사의 선임에 대해서는 3.2. 이사회 구성 내 ③ 이사 후보 추천 및 선임 프로세스의 가. 사내·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현황 및 활동 내역 및 3.3 사외이사의 책임 내 ① 사외이사의 독립성 관련의 가. 사외이사와 당사와의 이해관계 전반에 관한 사항 ( iv ) 사외이사 결격검토 절차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인사규정 제14조 채용결격사유> ① 성년후견, 한정후견 또는 특정후견이 개시된 자 (개정 전 민법상 금치산자 및 한정치산자 포함) ② 파산된 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③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이 종료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5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④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집행유예의 기간이 만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⑤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유예 기간중에 있는 자 ⑥ 징계에 의하여 파면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5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나, 해임처분을 받은 날로부터 3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⑦ 법원의 판결 또는 다른 법률에 의하여 자격이 상실 또는 정지된자 ⑧ 병역법에 의한 병역 기피자 ⑨ 채용후보자로서 임용권자의 지시에 불응한 자 ⑩ 신체검사결과 직무를 감당할 수 없는 것으로 확정된 자 |
당사는 상법 제382조와 제524조의 8(상장회사 특례조항)에 따라 사외이사 후보의 결격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고, 내부규정인 경영임원관리규정 및 인사규정에 따라 상기 ‘결격사유’ 총 10가지에 해당하는 경우 임원 선임 및 채용에 제한을 두고 있어, 현재 재직중인 임원의 경우 당사 및 이전 직장에서 받은 징계 처분을 포함하여 과거 횡령 및 배임으로 확정 판결을 받은 임원은 없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상법과 상장회사 특례조항에 따라 사외이사 후보의 결격여부를 검토하고, 내부 경영임원관리규정 및 인사규정에 결격사유를 명시해 임원 선임 및 채용에 제한을 둠으로써 기업가치 훼손 또는 주주권익 침해에 책임 있는 자가 임원으로 선임되지 않도록 하고 있기에 미진한 부분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
향후에도 임원 선임 시 관련 법령과 규정에 따라 결격 사유를 면밀히 검토하겠습니다. |
[305000] (핵심원칙 5) 사외이사는 독립적으로 중요한 기업경영정책의 결정에 참여하고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경영진을 감독ㆍ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305100] (세부원칙 5-1) - 사외이사는 해당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어야 하며, 기업은 선임단계에서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한 사외이사 선임자격 배제요건을 준수하고 있으며, 당사와 사외이사의 이해관계 여부를 사전 검토할 수 있도록 결격사유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
당사의 사외이사 5인 전원은 과거 당사 및 계열회사에 재직한 경력이 없습니다. |
표 5-1-1: 보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 재직기간
당사 재직기간(월) | 계열회사 포함 시 재직기간(월) | |
---|---|---|
전괄 | 15 | 15 |
조영임 | 15 | 15 |
김대희 | 15 | 15 |
김관규 | 15 | 15 |
이종수 | 3 | 3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 중인 사외이사 5인 모두 최근 3년 동안 당사 및 계열회사와의 거래내역은 없습니다. 또한 당사는 거래내역을 포함한 이해관계 내역의 유무를 주주총회 소집공고를 통해 상세히 안내하는 등 사외이사가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주주와 회사의 이익을 위해 그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 내역을 철저히 검증하고 있습니다.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 중인 사외이사 5인이 임직원으로 재직하고 있는 회사와 당사 및 계열회사간 최근 3년 동안의 거래내역은 없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의 독립성 제고를 위해 상법 제382조와 제524조의 8(상장회사 특례조항)에 따라 사외이사 후보의 결격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사외이사 결격사유를 정리하고 체크리스트를 마련하여 사외이사 후보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외이사 결격사유 체크리스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사외이사 결격사유 체크리스트>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사외이사 선임 시 상법 등의 관련 법령과 정관 등의 규정에 따라 사외이사 결격요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결격요건 등을 사전에 철저히 검토하여 당사와 이해관계가 없는 자를 사외이사로 선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 검토 결과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 전달하여 후보자 검토 단계부터 이해관계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주주총회 소집공고문에도 해당 내용을 포함하여 공시함으로써 이해관계가 없는 후보자가 최종 선임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는 바 기업과 중대한 이해관계가 없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기 위한 노력에 부족한 부분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
향후에도 상법 및 기타 법령에 따라 이해관계가 없는 자를 사외이사로 선임할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305200] (세부원칙 5-2) - 사외이사는 충실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야 한다.
당사의 사외이사로 재직하고 있는 이사는 이사회 자격 관련 규정을 준수하고 있으며,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여 직무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사외이사 겸직 제한 요건을 별도로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지 않으나 상법 제542조의8 제2항, 상법 시행령 제34조 제5항 제3호에 의거하여 사외이사가 직무수행을 위해 충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사외이사 임용 시 사전에 겸직 현황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직 중인 사외이사의 겸직 현황은 아래 [표 5-2-1]과 같습니다. |
표 5-2-1: 사외이사 겸직 현황
감사위원 여부 | 최초선임일 | 임기만료예정일 | 현직 | 겸직 현황 | ||||
---|---|---|---|---|---|---|---|---|
겸직기관 | 겸직업무 | 겸직기관 근무시작월 | 겸직기관 상장 여부 | |||||
조영임 | X | 2024-03-28 | 2026-03-26 | 가천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 한국신용정보원 | 사외이사 | ‘24.02 | - |
전괄 | O | 2024-03-28 | 2026-03-26 | - | - | - | - | - |
김대희 | O | 2024-03-28 | 2026-03-26 | - | - | - | - | - |
김관규 | X | 2024-03-28 | 2026-03-26 | 동국대 사회과학대학 교수 | - | - | - | - |
이종수 | O | 2025-03-26 | 2027-03-26 |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 - | - | - | - |
당사는 사외이사 임용 시 사전에 겸직 현황을 파악하여 이사로서의 직무 수행에 충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입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외이사의 타기업 겸직 허용과 관련된 내부 기준은 마련되어 있지 않습니다. |
향후 사외이사의 타기업 겸직 허용 관련 내부 기준 마련을 검토하여, 사외이사로서의 직무 수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
[305300] (세부원칙 5-3) - 기업은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여야 한다.
당사는 사외이사의 업무지원을 전담하는 팀을 설치하여 관련 규정에 따라 직무수행을 지원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 자원 등을 충분히 제공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의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정기적/비정기적으로 경영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매 분기 1회 이상 재무 및 경영실적을 보고하고 있고 이 외에도 이사회 안건, 이사회 내 위원회 안건, 기타 주요 경영 현안 등을 회의 개최 전 송부하여 안건에 대해 충분한 사전 검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운영규정 제19조 제1항’에 사외이사 지원 등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 사외이사가 필요한 경우, 임직원이나 외부 전문가 등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이사회 운영을 위해 경영기획총괄 전략기획실 내 이사회 담당 팀(경영전략팀)에서 이사회가 요청한 정보를 적기 제공하여, 사외이사가 원활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담당은 부사장 1인을 포함하여 실장 1인, 팀장 1인, 팀원 2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사외이사의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4.10.29.에 사외이사 전원을 대상으로 삼정회계법인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
N(X)
|
당사는 사외이사들만 참여하는 회의를 개최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외이사 개별 간담회를 비정기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부터는 신임 이사 대상으로 회사 설명회를 개최하여, 당사와 그룹사의 경영현황에 대해 보고 하여 사외이사가 직무수행에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본회의 개최 전 사전 안건 공유를 통해 사외이사들이 안건을 충분히 검토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경영 현안 등 주요사항에 대해 사외이사를 대상으로 별도 보고하고 있으며, 논의결과를 이사회 운영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
표 5-3-1: 사외이사만으로 이루어진 회의 내역
정기/임시 | 개최일자 | 출석 사외이사(명) | 전체 사외이사(명) | 회의 사항 | 비고 | |
---|---|---|---|---|---|---|
- | - | - |
당사는 사외이사 별도 회의체를 운영하고 있지 않은데, 이의 필요성에 관한 사외이사간의 공감대가 아직 없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
향후 사외이사의 별도 회의 필요성 여부에 대해 의견을 확인하는 등 검토하고자 합니다. |
[306000] (핵심원칙 6) 사외이사의 적극적인 직무수행을 유도하기 위하여 이들의 활동내용은 공정하게 평가되어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보수지급 및 재선임 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306100] (세부원칙 6-1) - 사외이사의 평가는 개별실적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평가결과는 재선임 결정에 반영되어야 한다.
당사는 사외이사의 개별 평가를 실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임기만료 사외이사에 대해 재선임 여부를 고려할 때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이사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 평가방안 및 관련규정을 마련하고 있지 않으나, 이사회를 더욱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겠습니다. |
당사는 사외이사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있지는 않으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임기만료 이사에 대해 재선임 여부를 고려할 때, 해당 사외이사들의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활동 내역, 전문지식, 직업윤리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제안, 이사회에서의 역할과 참여도, 적극성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이사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사외이사 평가를 시행하고 있지 않아 평가결과를 재선임 여부에 반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별도로 사외이사 평가를 위한 정량적 지표는 마련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가 결과를 재선임 여부에 반영하고 있지 않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사회와 각 위원회의 연간 활동을 자체적으로 평가하여 관련 법령, 정관, 이사회 규정 및 위원회 규정에 위배되거나 미비한 점이 없는지 점검하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임기만료 이사에 대해 재선임 여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 평가방안 및 관련규정을 마련하고 있지 않으나, 이사회를 더욱 효율적이고 원활하게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겠습니다. |
[306200] (세부원칙 6-2) - 사외이사의 보수는 평가 결과,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준에서 결정되어야 한다.
당사는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한 사외이사 보수 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사회 평가를 별도 시행하지 않아 평가 결과를 보수 산정에는 활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
Y(O)
|
당사의 사외이사 보수 한도는 정관에 따라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하고 있으며, 고정급과 참석경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정관에 따라 필요 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N(X)
|
N(X)
|
당사는 정관 제10조에 따라 임원 또는 직원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이내의 범위에서 주식매수선택권을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해 부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외이사에 대해 스톡옵션을 부여한 내역은 없습니다. 참고로 사내이사 및 기타비상무이사, 미등기임원 및 직원에 대해서도 스톡옵션을 부여한 내역은 없습니다. |
당사는 정관에 따라 사외이사 보수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사외이사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는 임원의 해당 및 제외 조건을 명시하여 회사의 경영에 기여하였는지 또는 기여할 능력을 갖추었는지 등을 평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부여한 내역은 없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직무수행의 책임과 위험성 등을 고려한 사외이사 보수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사회 평가를 별도로 시행하지 않아 평가 결과를 적정한 수준의 보수 산정에는 활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당사는 현재 사외이사에 대한 보수 내역 등을 연간 사업보고서를 통해 투명하게 공시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사외이사가 회사의 발전과 주주의 이익 보호를 위해 기여할 수 있도록 적정 수준의 보수를 지급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307000] (핵심원칙 7) 이사회는 기업과 주주의 이익을 위한 최선의 경영의사를 결정할 수 있도록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307100] (세부원칙 7-1) - 이사회는 원칙적으로 정기적으로 개최되어야 하며,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절차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한 이사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의 권한과 책임, 운영절차 등을 정한 ‘이사회 운영 규정’에 따라 이사회를 정기적으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
Y(O)
|
Y(O)
|
당사는 이사회운영규정 제5조에 따라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나누어 정기이사회는 매분기 1회 개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임시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소집 통지에 관한 규정 및 현황> 당사는 이사회운영규정 제5조에 따라 대표이사 또는 의장이 이사회를 소집하며, 다른 이사가 요구하는 경우 대표이사 또는 의장은 이를 받아들여 이사회를 소집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사회를 소집할 때에는 회의일 7일전까지 회의 개최 일시, 장소를 각 이사에게 통지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경우 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위 규정을 준용하여, 이사회 주관부서에서 최소 1개월 전까지 이사회 일정에 대해 이사회와 충분히 사전에 논의하여 정하고 있으며, 이사회 안건은 회의일 기준 최소 7일전까지 통지하여 안건에 대해 면밀히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2024년 1월 1일 ~ 2025년 5월 30일)의 정기 및 임시 이사회 개최 정보는 아래 [표 7-1-1]과 같습니다. |
표 7-1-1: 이사회 개최 내역
개최횟수 | 평균 안건통지-개최간 기간(일) | 이사 평균 출석률 (%) | |
---|---|---|---|
정기 | 8 | 7 | 100 |
임시 | 5 | 7 | 91 |
N(X)
|
N(X)
|
당사는 정관에 따라 이사 보수 한도액 등 보수 산정 기준은 마련하고 있으나, 개별 이사에 대해 정량적 평가를 진행하지 않아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보수는 산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아래와 같이 임원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고 있으며, 사외이사 부담금 등 추가 조건은 별도로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1) 가입사: AIG손해보험 주식회사 (2) 가입기간: 2025.01.01. ~ 2026.01.01. (3) 보험료: 35,000,000원 (4) 보험금: 10,000,000,000원 (5) 계약 조건: 계약기간(2025.01.01. ~ 2026.01.01.) 동안 회사 임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당행위나 태만, 실수 등으로 회사 및 제3자에 대해 법률상의 손해배상 책임을 지게 됨에 따라 입게 되는 손해를 보상함 |
Y(O)
|
당사 이사회운영규정 제5조 제2항에 따라 이사회는 분기 1회 이상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상법 제447조의3에 의거 주주총회 6주 전의 재무제표의 감사에 제출하고 이사회 승인, 주주총회 승인 안건에 대하여 이사회 사전승인과 매 사업년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정기주주총회 소집 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정기적 이사회 승인 사항이 발생할 경우 수시로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매 이사회는 이사회 규정 제5조 제3항에 따라 이사회 의장의 직권 또는 대표이사 또는 재직이사 4분의 1 이상의 요구에 의하여 소집하며, 제5조 제4항에 따라 적어도 개최 7일 전 회의 개최 일시, 장소를 각 이사에게 통지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는 이사회운영규정에 의거 정기 이사회 이외 필요에 따른 임시 이사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이사회 개최시에는 최소 7일 전까지 소집을 통지하며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두고 있습니다. |
[307200] (세부원칙 7-2) - 이사회는 매 회의마다 의사록을 상세하게 작성하고,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공개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회의마다 의사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개별이사의 이사회 출석률과 안건에 대한 찬반여부 등 활동내역을 정기보고서를 통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이사회운영규정 제10조에 따라 간사가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 안건의 경과와 결과 및 반대하는 자와 반대 이유를 기록한 의사록을 작성하고 있으며, 출석한 이사의 기명날인 또는 서명을 받아 비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과 지시사항 등은 별도로 정리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각 이사의 참석 내역, 찬반 제시 내역 등을 정기보고서를 통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에서 논의된 주요 토의 내용과 결의 사항, 지시 사항 등은 별도로 정리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이사회 본 회의 전 안건 사전 공유를 통해 상정 안건에 대해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전 검토 의견을 개별 안건에 최종 수정하여 반영하고 있어 각 이사회 및 위원회의 안건 찬성률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 아래 [표 7-2-1]의 최근 3개년은 2022년~2024년 기준입니다. |
표 7-2-1: 최근 3년간 이사 출석률 및 안건 찬성률
구분 | 이사회 재직기간 | 출석률 (%) | 찬성률 (%) | |||||||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
김철수 | 사내이사(Inside) | 2020.3.17. ~ 2023.3.31.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양춘식 | 사내이사(Inside) | 2023.3.31. ~ 2024.3.28. | 67 | 33 | 100 | 100 | 100 | 100 | ||
최영범 | 사내이사(Inside) | 2024.3.28.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
김영우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1.3.31. ~ 2022.3.29. | 100 | 100 | 100 | 100 | ||||
김훈배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1.3.31. ~ 2025.3.26.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윤경림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2.3.29. ~ 2023.3.31. | 75 | 50 | 100 | 100 | 100 | 100 | ||
최선욱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2.3.29. ~ 2024.3.28. | 80 | 100 | 73 | 66 | 100 | 100 | 100 | 100 |
임현규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4.03.28. ~ 현재 | 83 | 83 | 100 | 100 | ||||
이춘호 | 기타비상무이사(Other non-executive) | 2024.03.28. ~ 2025.3.26. | 83 | 83 | 100 | 100 | ||||
권행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16.3.23. ~ 2022.3.29. | ||||||||
김택환 | 사외이사(Independent) | 2019.3.27. ~ 2022.3.29. | 100 | 100 | 100 | 100 | ||||
김태용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3.17. ~ 2022.3.29. | 100 | 100 | 100 | 100 | ||||
국은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0.3.17. ~ 2022.3.29. | 100 | 100 | 100 | 100 | ||||
한상익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1.3.31. ~ 2023.3.31. | 88 | 75 | 100 | 100 | 100 | 100 | ||
김용수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3.29. ~ 2024.3.28.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정영무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3.29. ~ 2024.3.28.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유승남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3.29. ~ 2024.3.28.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황인이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2.3.29. ~ 2024.3.28.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윤명근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3.3.31. ~ 2025.3.26.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전괄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3.28. ~ 현재 | 83 | 83 | 100 | 100 | ||||
조영임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3.28.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
김대희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3.28.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
김관규 | 사외이사(Independent) | 2024.3.28. ~ 현재 | 100 | 100 | 100 | 100 |
N(X)
|
개별이사들의 활동 내역은 공시 중이며, 그 외의 다른 방법으로 공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개별이사들의 활동 내역은 공시 중이며, 그 외의 다른 방법으로 공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당사는 현재와 같이 이사의 찬반 여부 및 의견을 포함한 의사록을 작성하고 보존하며, 공시를 통해 이사들의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
[308000] (핵심원칙 8) 이사회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그 내부에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한다.
[308100] (세부원칙 8-1) - 이사회 내 위원회는 과반수를 사외이사로 구성하되 감사위원회와 보상(보수)위원회는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하여야 한다.
당사의 이사회는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이사회 내에 일부의 이사들로 구성되는 총 5개의 위원회를 설치하여 특정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이사회 내 총 5개의 위원회를 운영 중인데 그 중 보상위원회를 제외한 4개의 위원회(감사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독립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외이사를 과반수로 구성하여 운영 중이고, 보상위원회와 내부거래위원회를 제외한 모든 위원회는 위원장을 사외이사로 선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N(X)
|
독립성이 요구되는 감사위원회는 전원을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으나, 보상위원회는 업무의 성격을 감안하여 사내이사를 제외한 기타비상무이사 2인과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
당사 보상위원회운영규정 제3조(구성)에서는 '보상위원회의 위원은 사내이사를 제외한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며, 이 중 1인 이상은 사외이사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부 규정에 의거하여 당사는 기타비상무이사 2인과 사외이사 1인으로 보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나,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해야 한다는 세부 원칙 달성에는 미진한 부분이 있습니다. |
당사 보상위원회가 더욱 독립적이고 공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겠습니다. |
[308200] (세부원칙 8-2) - 모든 위원회의 조직, 운영 및 권한에 대하여는 명문으로 규정하여야 하며, 위원회는 결의한 사항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당사는 이사회 내 전문위원회를 5개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고 각 위원회별로 운영규정이 제정되어 있으며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에 대해 위원회 결의 사항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의 각 위원회는 설치목적, 적용범위, 구성, 권한 등의 내용을 포함한 운영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로부터 경영의사결정의 권한을 위임 받은 각 위원회는 이사회와 마찬가지로 결의내용, 위원별 찬반 등의 활동내역을 의사록에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 위원회 운영규정에 명시되어 있으며, 당사 홈페이지에서 상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
Y(O)
|
당사는 위원회에서 심의 또는 의결한 내용을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명문화하고 있지 않으나,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및 경영상 중요한 업무 집행에 관한 사항에 해당되는 내용은 이사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원회 중 ‘보상위원회’와 ‘사회공헌위원회’의 경우 각 위원회 운영규정 내 ‘회의결과를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고 명문화되어 있어 준수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는 회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므로 각 이사에게 회의 결과를 보고하고 있지 않습니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 시점까지 각 이사회내 위원회 결의사항의 이사회 보고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 8-2-1: 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2024년 이사-1차 |
제1호 | 2024-02-16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출 - 김훈배 | 가결(Approved) | X |
제2호 | 2024-02-16 | 3 | 3 | 결의(Resolution) | 공공성 대표 이사 후보 추천 자문기구 구성 | 가결(Approved) | X | |
2024년 이사-2차 |
제1호 | 2024-03-12 | 3 | 3 | 보고(Report) | 공공성 강화를 위한 이사 추천자문위원회 개최 결과 | 기타(Other) | O |
제2호 | 2024-03-12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 후보 추천 | 가결(Approved) | O | |
2025년 이사-1차 |
제1호 | 2025-03-04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출 - 김대희 | 가결(Approved) | X |
제2호 | 2025-03-04 | 3 | 3 | 결의(Resolution) | 사외이사 후보 추천 | 가결(Approved) | O |
표 8-2-2: 리스크관리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 | - | - |
표 8-2-3: 내부거래위원회 개최 내역
개최일자 | 출석 인원 | 정원 | 안건 | 가결 여부 | 이사회 보고 여부 | |||
---|---|---|---|---|---|---|---|---|
구분 | 내용 | |||||||
2024년 내부-1차 |
제1호 | 2024-05-03 | 3 | 3 | 결의(Resolution) |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선임(안) - 이춘호 | 가결(Approved) | X |
제2호 | 2024-05-03 | 3 | 3 | 결의(Resolution) | (주)스카이라이프티브이 유상증자 참여(안) | 가결(Approved) | O |
<보상위원회>
<사회공헌위원회>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향후 이사회 내 위원회의 운영을 더욱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선진 사례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합니다. |
[400000] 4. 감사기구
[409000] (핵심원칙 9)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경영진 및 지배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성실하게 감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며, 내부감사기구의 주요 활동내역은 공시되어야 한다.
[409100] (세부원칙 9-1)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당사는 상법 및 정관 제7장 제37조 2에 의거하여 3인의 사외이사로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위원회 운영규정을 마련하여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는 3명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는 상법 제415조의 2 제2항에 명기된 ‘감사위원회는 3명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 2 이상이어야 한다’는 규정 요건을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더불어 당사는 상장회사로서 상법 및 관계법령에서 정한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로 전괄 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전괄 이사는 한국회계기준원 비상임위원 및 삼도회계법인 품질관리실 고문('21~'22)을 역임한 사람으로서 재무/회계 전문가의 요건을 갖추었습니다. 김대희 이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빙연구원으로서 방송, 통신 분야의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보유하고 있으며, 윤명근 이사는 금융보안원 자문위원 및 국민대학교 인공지능연구소 소장과 교수를 겸임하여, 이사들 모두 경영 투명성 강화 및 주주들의 권익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2025년 3월 윤명근 이사의 임기만료에 따라 이종수 이사가 감사위원으로 선임되었습니다. 이종수 이사는 경영 및 정책 전문가로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가 적절하고 적법하게 집행되고 있는지 공정하게 감독하고, 경영 투명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2025년 5월 현재 기준, 당사의 감사위원회 구성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 9-1-1: 내부감사 기구의 구성
구성 | 감사업무 관련 경력 및 자격 | 비고 | ||
---|---|---|---|---|
직책 | 구분 | |||
전괄 | 위원장 | 사외이사(Independent) | - 삼도회계법인 품질관리실 고문 ('21~'22) - 선명회계법인 품질관리실장 ('19~'21) - 한국회계기준원 비상임위원 ('10~'13) |
상법 시행령 제37조(감사위원회)에서 요구하는 재무/회계 전문가 자격을 갖추었으며, 경영 투명성 강화 및 주주들의 권익보호와 ESG 경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김대희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초빙연구원 ('20~'24)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17~'20) - 가천대학교 석좌교수 ('16~'17) |
방송, 통신분야의 경험과 전문적 식견을 보유하고 경영 투명성 강화 및 주주 권익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이종수 | 위원 | 사외이사(Independent) | -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20~현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교수 ('14~'20) -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 에너지분과 위원 ('14~'18) |
경영 및 정책 전문가로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가 적절하고 적법하게 집행되고 있는지 공정하게 감독하고, 경영 투명성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Y(O)
|
당사의 정관은 감사위원회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감사위원회를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3분의 2 이상의 사외이사로 구성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감사위원 중 1인 이상은 상법에서 정하는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로 선임하고 있습니다. 상법은 사외이사를 감사위원장으로 두도록 하고 있는데, 당사는 위원 전원이 사외이사이므로 당연히 사외이사가 감사위원장으로 선임됩니다. 한편, 감사위원은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 등의 의결권 있는 주식의 합계가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3%를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므로, 감사위원 선출 절차상 최대주주 등으로부터 독립성이 보장됩니다.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구성된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를 통해 검증된 후보군 중에서 사외이사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의 후보자 검토 시 최대주주와의 관계, 당사 및 계열회사 재직 여부, 거래관계, 당사 주식보유 여부 등 당사와 이해관계가 있는지 철저히 검증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위원으로서 기본 자질이 되는 직무 충실성, 윤리성, 책임성 또한 중요한 기준으로 후보자 검토를 하고 있습니다. 운영에 관하여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3조에 ‘위원회와 위원은 회사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는 사항을 명시하여 감사위원회가 회사의 감사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정관 및 상법에 따라 감사위원회 결의에 대하여 이사회가 재결의 할 수 없도록 하여 감사위원회의 기능 및 활동 측면에서도 독립성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업무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안내하고 시행하여 감사위원회의 전문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감사위원회가 수시로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요청하는 경우, 당사는 해당분야 전문가를 통해 감사위원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4조에 따라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위원회는 이사에 대하여 그 업무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관련 법령, 정관 또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에서 정하여진 사항과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심의 및 의결하고 있습니다. 주요 심의·의결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청구 - 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진술 <이사 및 이사회에 관한 사항> - 이사회에 대한 보고의무 - 감사보고서의 작성, 제출 -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 청구 - 이사에 대한 영업보고 청구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및 보고 - 이사회에서 위임받은 사항 <감사에 관한 사항> - 업무, 재산 조사 - 자회사의 조사 - 이사의 보고수령 - 이사와 회사간의 소 대표 - 소수주주의 이사에 대한 제소 요청 시 소제기 결정여부 - 외부감사인 선임 및 변경, 해임 -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의 보고수령 - 외부감사인으로부터 회사가 회계처리 등에 관한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한 사실의 보고수령 - 감사규정 및 지침의 제, 개정 - 내부감시장치의 가동현황에 대한 평가의견 - 외부감사인의 합의사항 이행여부 종합평가 |
Y(O)
|
당사는 감사위원이 감사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회사가 속한 산업의 특성 및 경영환경의 변화, 법규 변경 등 중요한 이슈에 대하여 수시로 보고 및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감사위원회가 수시로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교육을 요청하는 경우, 교육내용에 따라 적합한 내·외부 전문가를 통해 감사위원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가 감사위원에게 제공한 교육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10조에 의거, 위원회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 외부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별도 외부 전문가 자문 시행을 하지는 않았습니다. |
Y(O)
|
당사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4조에 의거,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관 제37조의 3,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10조에 따라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경우 회사의 비용으로 외부전문가를 선임하여 자문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이 회의 개최 이전에 의사결정에 필요한 안건 정보를 사전 검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메일로 안건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을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4조에 명문화하였고, 그 외 위원회가 업무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 임직원 및 외부감사인을 감사위원회 회의에 참석하도록 요구할 수 있도록 동 규정 제10조에 명시하여 감사위원이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효율적인 감사업무 수행을 보좌하기 위하여 내부감사부서로서 감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감사부서 구성원은 감사규정 제12조에 따라, 감사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이 있다고 인정되는 직원 중에서 임명하며, 감사인은 법령위반 또는 그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지 아니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분상 불리한 처분을 받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정기적으로 관련 교육을 이수하고 있습니다. <내부감사부서의 구성 및 주요 활동> [2024년]
[2025년]
|
Y(O)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감사위원회가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하여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운영 규정에 감사위원회의 직무와 권한 등을 명시/보장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지원조직의 역할과 기능도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감사부서 구성원의 지위를 보장하기 위해 사규 인사고과지침 제36조(평가대상의 예외) 제4항에 의거 감사부서 소속직원의 경우 평가대상의 예외로 지정하고 전체 평균값의 평가 등급을 부여하고 있으며, 인사개편 시 내부감사부서인 감사실장과 협의 및 의견을 수용하여 구성원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
N(X)
|
당사는 임원보수및퇴직금규정 제14조 및 이사회운영규정 제18조에 따라 사외이사의 보수 및 필요경비를 지급하고 있으며, 감사위원은 이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이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별도 감사위원회 보수정책이 마련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사로서 수행하는 업무와 함께 감사위원회 업무를 추가로 수행하는 점을 고려하여 그에 적합한 수준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2024년 사외이사 평균보수액>
|
1.02 |
2024년 기준 비감사위원 대비 감사위원의 1인당 평균보수액은 약 1.02배입니다. |
당사는 상법, 정관, 위원회 운영규정에 따라 감사위원회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내부 감사조직 지원부서를 통해 이를 전적으로 지원하고 있기에 미진한 부분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
향후에도 현재와 같이 감사위원회가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역할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 조직 등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하겠습니다. |
당사는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있기에 해당사항 없습니다. |
[409200] (세부원칙 9-2) - 감사위원회, 감사 등 내부감사기구는 정기적 회의 개최 등 감사 관련 업무를 성실하게 수행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7조에 따라 매분기 1회 이상 정기회의를 개최할 수 있도록 규정을 명문화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2024년도에 총 8회 개최되었으며, 부의된 안건은 의결사항 11건, 보고 및 심의사항 18건으로 총 29건입니다. 2025년에는 5월 현재 기준 총 4회 개최되었으며, 부의된 안건은 의결사항 7건, 보고 및 심의사항 5건으로 총 12건입니다. 또한, 감사위원회에서 주요 현안에 대한 감사활동 및 기타 추가 보고를 요하는 사항에 대하여 수시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당사 외부 감사인이 감사위원회에 회계 감사 결과, 회계처리의 적정성, 회계처리 기준에 대한 타당성 등에 대해 직접 보고하고 감사위원과 충분히 논의하고 있습니다. |
당사 감사위원회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7조에 따라 위원장이 회의를 소집하여 개최하고 있습니다. 위원회를 소집할 때, 회의일 7일 전까지 회의개최 일시, 장소, 부의할 안건을 각 위원에게 문서로 통지하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재무보고, 회계기준의 타당성 평가, 내부통제시스템의 적정성 평가 등에 관한 안건을 보고 받고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8조에 따라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에 따라 안건을 결의합니다. 또한 위원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11조에 따라 의사록을 작성하고, 출석한 감사위원의 기명날인 또는 서명을 받아 이사회 사무국에서 보관하도록 하고 있으며, 동 규정 제13조에 따라 감사의 실시요령과 그 결과를 기재하고 감사를 실시한 위원의 기명날인 또는 서명을 받아 감사록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당사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매년 정기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주주에게 재무제표 및 동 부속명세서가 적정하게 작성되었는지 등에 관한 내용을 포함한 감사방법의 개요와 주주총회에 제출된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 결과를 포함한 감사의견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
<감사위원회 회의 개최 내역> [2024년]
[2025년]
<개별이사의 감사위원회 출석 내역> [2024년]
[2025년]
|
표 9-2-1: 최근 3개년 개별이사 감사위원회 출석률
구분 | 출석률 (%) | ||||
---|---|---|---|---|---|
최근 3개년 평균 | 최근 3개년 | ||||
당해연도 | 전년도 | 전전년도 | |||
권행민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
한상익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
국은주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
김용수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100 |
황인이 | 사외이사(Independent) | 90 | 66 | 100 | 100 |
윤명근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100 | |
전괄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
김대희 | 사외이사(Independent) | 100 | 100 |
해당사항 없습니다. |
향후에도 감사위원들이 성실하게 감사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기 회의를 개최하고 활동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겠습니다. |
[410000] (핵심원칙 10) 기업의 회계정보가 주주 등 그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외부감사인은 감사대상기업과 그 경영진 및 지배주주 등으로부터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410100] (세부원칙 10-1)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인 선임시 독립성,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당사는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제12조 1항에 의거하여, 내부감사부서가 선임한 외부감사인을 감사위원회가 승인하는 절차를 통해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Y(O)
|
N(X)
|
당사는 내부 절차에 따라 2022년~2025년(3년) 외부감사인으로 삼일회계법인을 선임하였습니다. 당사는 외부감사인 선임 이전에 감사위원회에 외부감사인 선임절차 및 평가기준 등 계획을 보고하고, 보고 결과에 따라 외부감사인 후보자들로부터 외부감사인 선임 제안에 대한 내용을 보고 받고, 외부감사인 후보자의 독립성과 전문성, 예상 감사시간, 감리지적 및 소송현황 등 양적 요소와 질적 요소를 모두 고려한 평가를 통해 가장 적합한 외부감사인을 최종 선정하는 등 독립성과 전문성을 확보한 외부감사인 선임 프로세스를 마련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관련 법령과 내부 절차에 따라 2025년~2027년(3년) 외부감사인으로 안진회계법인을 선정 및 선임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가 독립적으로 외부감사인 선정방안에 대해 의결하고, 이후 제한경쟁입찰 방식으로 후보자 RFP 심사 및 평가를 하고 감사위원 3인이 평가자로 채점한 점수 합계 최고득점자로 외부감사인을 선정, 회사가 보수 조건 등을 협의하여 최종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외부감사인 최종 선임 결과 등에 관해서는 2025년 2월 증권선물위원회에 정식 보고하였습니다. |
당사는 매 회계연도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제출 이후, 외부감사인 선임을 위해 회사의 감사위원회와 그 업무에 대하여 협의하고, 이해상충의 소지가 높은 업무에 대하여 감사위원회의 의견 및 동의 절차를 얻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 선임 관련 회의 내역>
|
당사는 매 회계연도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제출 이후, 외부감사인선임시 문서화한 항목인 외부감사인의 감사투입시간, 투입인력, 감사보수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감사위원회에 보고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에서는 그 결과의 적정성을 확인하였고, 확인 결과는 외부감사인의 차기 년도 감사보수 계약 및 신규 외감인 선임 등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외부감사인의 감사수행을 독려하고, 투명성을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외부감사인 평가 관련 회의 내역>
|
당사는 외부감사인(삼일회계법인)이 당사와 세무조정 용역에 대하여 감사위원회의 사전 승인을 득하고 진행하였습니다. 당사 설립 시점부터 외부감사인(삼일회계법인)이 당사의 외부 세무조정 법인이었으며, 과거 세무조사 대응법인으로 당사 사업구조 및 이슈사항에 대한 이해가 높아 해당 회사를 선정하였습니다. <비감사용역 제공 관련 비용 지급 내역>
2025년 5월 현재, 외부감사인인 안진회계법인으로부터 컨설팅 또는 비감사용역을 제공받은 내역은 없습니다.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외부감사인의 독립성 및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선임 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이 훼손되는 일이 없도록 관리하고 있어 미진한 부분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
당사는 향후에도 외부감사인이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주 등 기업 정보 이용자들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410200] (세부원칙 10-2) - 내부감사기구는 외부감사 실시 및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외부감사인과 주기적으로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당사는 외부감사인으로부터 부정행위 또는 회계처리 등에 관한 사실을 정기적으로 보고 받고 있고, 연간 감사 계획 등에 따라 주기적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습니다. |
Y(O)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과 외부감사 결과에 대해 경영진 참석 없이 커뮤니케이션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회의 및 간담회를 통해 핵심감사사항과 연간 감사계획 등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나누고 있습니다. 당사의 감사위원회가 외부감사인과 수시로 커뮤니케이션 한 내역은 아래 [표 10-2-1]과 같습니다. |
표 10-2-1: 외부감사인과 소통내역
개최일자 | 분기 | 내용 | |
---|---|---|---|
2024년 1분기 | 2024-03-12 | 1분기(1Q) | 감사 진행 단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2024년 2분기 | 2024-05-21 | 2분기(2Q) | 외부감사인 감사 진행 단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2024 회계연도 감사 계획 및 분기 검토 결과 보고) |
2024년 3분기 | 2024-09-24 | 3분기(3Q) | 2024년도 반기 검토결과 보고, 핵심감사사항 선정 논의 등 |
2024년 4분기 | 2024-12-10 | 4분기(4Q) | 2024년도 3분기 검토결과 보고, 핵심감사사항 등 |
2025년 1분기 | 2025-03-04 | 1분기(1Q) | 감사 종결 단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2025년 2분기 | 2025-05-09 | 2분기(2Q) | 외부감사인 감사 진행 단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
당사의 외부감사인은 매년 정기주주총회 이후, 감사위원회에 해당 회계연도의 연간 감사계획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연간 감사계획의 내용에는 핵심감사사항과 외부감사인의 독립성에 관한 사항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감사계획 보고 이후, 핵심감사사항 등 감사수행과정에서 중요한 사항들에 대하여 외부감사인과 감사위원회간 대면/비대면 회의 등의 방법으로 논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당사는 외부감사과정에서 외부감사인이 내부통제 및 회사 재무제표의 적정성 등에 관하여 의견을 제시한 경우, 감사위원회는 그 사항에 대해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에, 내부감사부서를 통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외부감사인에게 통보하여 향후 외부감사 절차 및 감사의견 형성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감사위원회 운영규정 제9조에 따라 감사위원회가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과 회사가 회계처리 등에 관한 회계처리 기준을 위반한 사실에 대해 보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외부감사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계획 및 절차와 결과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명문화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외부감사인이 정기적으로 감사위원회에 보고할 뿐만 아니라, 외부감사인이 경영진을 제외하고 감사위원회와 독립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여, 독립적인 입장에서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6조(재무제표의 작성 책임 및 제출) 및 동 시행령 제8조(재무제표의 작성 책임 및 제출) 제1항을 준수하여, 감사 전 재무제표를 정기주주총회 6주 전에, 연결기준 감사 전 재무제표를 정기주주총회 4주 전에 외부감사인에게 제출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은 감사보고서를 통해 공시되고 있습니다. |
표 10-2-2: 재무제표 외부감사인 제공 내역
정기주총일 | 재무제표 제공일자 | 연결재무제표 제공일자 | 제공대상 | |
---|---|---|---|---|
2024년 | 2024-03-28 | 2024-02-02 | 2024-02-02 | 삼일회계법인 한호성 파트너 |
2025년 | 2025-03-26 | 2025-02-03 | 2025-02-03 | 삼일회계법인 한호성 파트너 |
당사는 상기 기재한 내용과 같이, 외부감사 실시, 감사결과 보고 등 모든 단계에서 감사위원회와 외부감사인이 주기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어 미진한 부분이 없다고 판단됩니다. |
앞으로도 당사는 이를 준수하여, 당사의 외부감사인이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이고 공정하게 감사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
[500000] 5. 기타사항
N(X)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
표 11-1 :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 현황 및 이사회 참여 여부
공시일자 | 이사회 참여 여부 | 관련 이사회 일자 | 주요 논의 내용 | |
---|---|---|---|---|
공시대상기간 개시시점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를 진행하지 않았습니다. |
표 11-2 : 기업가치 제고 계획 소통 현황
일자 | 소통 대상 | 소통 채널 | 임원 참여 여부 | 주요 소통 내용 | |
---|---|---|---|---|---|
1. 지속가능경영 관련 당사는 국내 유일의 위성방송사업자로 사회적 역할과 공적인 책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속적인 ESG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이사회 내 ‘사회공헌위원회’를 운영하며 사회공헌사업과 ESG활동에 대한 의사결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회공헌위원회’는 연간 사회공헌 활동 계획에 대한 승인과 5천만원 초과 출연 또는 기부에 대한 의결 권한이 있으며, 전분기 사회공헌 이행 실적 및 성과를 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 임직원이 단원인 ‘사랑의 봉사단’을 2016년에 발족하여 장애인 영화관람 동행 봉사활동, 아동 그룹 홈 명절 기부 등의 봉사활동으로 직원들의 자발적인 사회공헌활동 참여를 유도했습니다. 위성방송의 공적 역할로 청각장애인의 위성방송 시청편의 증진을 위해 시청자가 수어 영상의 크기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 수어방송’ 송수신 환경을 구축했으며, 국가 재난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재난방송 온라인시스템을 연동하고 자동자막 송출시스템을 도입해 대국민 재난정보 전달의 신속성을 더욱 강화하였습니다. 위성방송은 북한지역에서도 안테나와 셋톱박스 등 간단한 수신설비만으로 방송시청이 가능한 특성을 활용해 통일대비 방송매체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로 구성된 ‘통일미디어위원회’를 개최해 남북 동향과 통일 관련 정책을 공유하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임직원 대상 통일 교육을 실시해 임직원들의 통일 의식을 고양하고, 향후 남북 방송교육협력 개시 즉시 대응하고자 북한 방송 표준방식(PAL)을 지원하는 수신기 2종을 개발했습니다. 2021년부터 ‘환경경영보고서’를 발간하여 국제 기준에 따른 환경정책과 환경경영 방침을 확정했으며, 한국품질보증원 인증을 통해 에너지사용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하고 대외에 공개하여 지속적인 에너지사용 절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사랑의 안테나’와 ‘난시청 지원사업’을 실시해 미디어 소외계층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안테나’는 도서산간, 오지 지역의 마을회관이나 복지시설 등에 UHD TV와 위성방송 평생 무료 시청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2015년부터 2024년 까지 총 1,545여 개소에 설치했습니다. ‘난시청 지원사업’은 KBS, 정부기관들과 연계하여 방송수신이 어려운 지역의 약 4.6만명 대상으로 위성방송 서비스를 무상으로 제공하는 사업으로 2009년부터 현재까지 지속 운영 중입니다. 또한 소외계층 대상 문화적 체험기회를 제공하고자 방송/미디어 시설 견학이나 문화/스포츠 체험행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3년과 2014년에는 보건복지부와 함께하는 ‘행복나눔N켐페인’을 통해 전국 아동복지시설에 방송 수신장비와 시청료를 지원하고, 2015년에는 망원청소년문화센터 내에 아이들을 위한 공부방을 건립하고 교육방송 시청을 위한 위성방송을 무상 지원하기도 했습니다. 어린이날에는 PP(Program Provider)사와 연계하여 아동, 청소년 복지시설과 어린이병원 등에 장난감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밖에 폐 방송장비를 수거하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이를 판매한 수익금으로 중증장애인과 희귀병 환자의 이동권 향상을 위해 맞춤형 휠체어를 제공하는 ‘Move with 스카이라이프’ 등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소외계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장애인들에게 일회성 지원이 아닌 지속적인 일자리 제공을 통해 자립 기반을 마련하고자 장애인 고용 카페 ‘I got everything’의 매장 임대료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성방송사업자인 스카이라이프만의 차별화된 ESG 활동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임직원이 함께 참여하는 사회공헌 활동을 보다 확대하며 명실상부한 ESG 선도 기업으로 거듭나고자 합니다. 2. 동반성장 관련 당사는 방송사업의 안정적 제공과 시청자 권익보호를 위해 협력업체와의 상생방안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대리점 종사자 대상 산업안전보건교육, 상품교육 등을 지원하고 맞춤형 육성 프로그램, 임차보증금 지원 등 대리점 인프라 지원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검진, 안전장비 등 현장 접점 직원 복지 향상을 위한 지원과 대리점과의 지속 가능한 상생체계 구축을 위한 정기 소통간담회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센터에 대해서는 위탁계약 시 직원 고용 안정화 보장 내용을 반영하고, 소통을 통한 애로사항 청취 및 우수 상담사 포상 시행으로 상생을 도모하며 직원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소 PP(Program Provider) 제작 지원 사업’을 통해 중소 PP사의 프로그램 제작비용을 지원하고 제작된 콘텐츠가 주요 MPP(Multiple Program Provider)에 편성되어 향후 해외수출도 모색할 수 있도록 협조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지원정책을 통해 협력사와의 상생을 적극적으로 도모하며, 동반자로서 함께 성장하는 구조를 만들어 나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첨부 1. 정관 첨부 2. 이사회운영규정 첨부 3. 감사위원회운영규정 첨부 4. 내부회계관리규정 첨부 5. 공시정보관리지침 첨부 6. 준법통제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