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3월 06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
대 표 이 사 : | 이돈행 | |
본 점 소 재 지 : | 인천광역시 연수구 벤처로 100번길 6 | |
(전 화) 032-454-4800 | ||
(홈페이지)http://www.nextbiomedical.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경영관리본부 이사 | (성 명) 이득춘 |
(전 화) 032-454-4800 | ||
(제11기 정기) |
주주님들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5조에 의거하여 제11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제11기 정기주주총회에 대한 소집통지와 관련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 4, 정관 제25조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다 음 -
1. 개최일시: 2025년 03월 24일(월) 오전 09시 00분
2. 장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벤처로100번길 6 (주)넥스트바이오메디컬 3층 대강당3. 회의목적 사항가. 보고사항1) 감사의 감사보고2) 영업보고3) 외부감사인 선임보고4) 내부회계관리제도에 관한 실태보고나. 의결사항제1호 의안: 제11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사내이사 강철중 선임의 건제3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5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 행사: 본인 신분증
- 대리 행사: 위임장, 위임인의 신분증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 신분증 미지참 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5. 기타 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http://dart.fss.or.kr)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 6일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대표이사 이 돈 행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정진환(출석률: 88%) | 박상우(출석률: 83%)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07 | 1. 제10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3.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2 | 2024.03.18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불참 | 불참 |
3 | 2024.05.17 |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찬성 | 찬성 |
4 | 2024.06.10 | 1. 코스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5 | 2024.06.19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6 | 2024.06.27 | 1. 코스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승인의 건(우리사주 추가) | 찬성 | 찬성 |
7 | 2024.12.23 | 1. 거래한도 승인의 건 | 찬성 | - |
8 | 2024.12.23 | 1. 인하대학교 의료원 연구기금 지급의 건 | 찬성 | - |
주) 기타비상무이사 박상우는 2024년 6월 임기만료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000,000 | 18,000,000 | 18,000,000 | 급여 |
기타비상무이사 | 1 | - | - | - |
* 상기 주총 승인 금액은 전체 이사에 대한 보수 한도액 승인 금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의료기기의 개요의료기기법 제2조에 따르면 ‘의료기기’란 사람 또는 동물에서 단독 또는 조합하여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해당하는 제품을 말합니다. 1.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구조 또는 기능을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다만, 약사법에 의한 의약품과 의약외품 및 『장애인복지법』 제65조에 따른 장애인보조기구 중 의지·보조기를 제외합니다. 다시 말해 질병의 진단·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대체 또는 변형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의료기기 분류체계는 크게 일반분류와 산업/시장 분류체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일반 분류는 법제화된 의료기기 분류, 과학기술분류상 의료기기 분야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산업/시장분류체계는 한국표준산업분류, 시장관점 유형분류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유형군은 24개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당사에서 개발한 내시경용 지혈재(Nexpowder™)는 체내에 직접 삽입하거나 부착하는 생체조직용접착제와 같은 체내삽입용 의료 용품(합성재료흡수성창상피복재)에 해당하며, 혈관색전 미립구(Nexsphere™, Nexsphere™-F)는 심장충격기, 심혈관용기계 기구 등과 같이 시술 시 필요한 재료, 기계 등에 해당되는 시술용기계기구(혈관내색전 촉진용보철재) 품목에 해당됩니다. (2) 의료기기의 산업의 특성
의료기기는 다양한 제품군으로 구성되며, 기술발전에 따라 점차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추세입니다. 의료기기는 제품설계 및 제조단계에서 임상의학, 전기·전자·기계·재료·광학 등 학제간 기술이 융합·응용되는 특성이 있으며 단순 소모품에서 최첨단 전자의료기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으로 구성됩니다. 의료기기는 주사기 등 소모품, 기초의료용품, MRI, CT, 의료용 로봇 및 수술기기 등 광범위한 기기와 장비를 포괄하며, 기술발전에 따라 점차 복잡화 및 다양화되는 추세입니다.
의료기기산업은 정부의 의료정책 및 관리제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습니다.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 등에 직간접적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부의 인허가 등 규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부는 의료기기 생산 및 제조, 임상시험 등 안전규제, 유통 및 판매 등 안정성·유효성 확보, 지적재산권 보장 등에 대하여 규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허가 측면에서 국가간 허가제도가 상이하여 국제 교역에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는 의료진단과 치료에 전문성을 가진 병원이 주요 수요처이며 건강, 보건과 관련되므로 제품의 안전성·신뢰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합니다.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가 매우 중요한 산업이며, 마케팅 장벽 및 충성도가 매우 높아 경기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3) 내시경용 지혈재위장관 출혈은 부위에 따라 식도, 위, 십이지장 등의 상부위장관 출혈과 소장, 대장의하부위장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으며, 출혈 부위에 따라 동맥성 출혈과 정맥성 출혈, 모세혈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위장관 출혈은 환자들이 응급실로 내원하는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5~10% 사망률을 보이는 위험한 질환입니다. 위장관 출혈의 1차 치료법은 내시경 지혈술이며 출혈의 80~90%가 내시경으로 지혈이 가능합니다. 내시경을 이용한 기존 지혈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클립으로 결찰하여 지혈하는 클립 지혈술( Clipping), 열프로브를 이용하여 혈관을 지져 지혈하는 접촉성 열치료 지혈술(Coagulation), 아르곤 플라즈마로 열을 일으켜 조직을 지져 지혈하는 비접촉성 열치료 지혈술(Argon Plasma Coagulation), 병변 주위에 약물을 주입하여 주변조직이 부어오르면서 혈관을 압박하게하며 Epinephrine이 혈관을 수축하여 지혈하는 주입치료 지혈술(Epinephrine Injection)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존 내시경 지혈술은 출혈 부위에 직접 적용(Targeting)하기 때문에 의사들의 숙련도에 따라 성공률의 편차가 크며, 정확한 출혈부위 확인이 필요하거나 다발성 출혈 시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에, 최근 주목받고 있는 지혈술은 시술자(User)의 숙련도와 상관없이 초보 임상의들도 쉽게 사용하고 조직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안전한 방법인 파우더를 분사하는 지혈술입니다. 파우더 지혈술은 수분 또는 혈액을 흡수하는 흡습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을 이용해 출혈 부위에 분사되어 병변에 물리적 방어벽을 형성하는 시술입니다.(4) 혈관 색전 미립구혈관색전술은 색전 물질을 이용해 특정 병변(종양 등)에 영양이나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카테터로 혈관을 막는 색전 물질을 주입해 종양 등을 괴사 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내고 있으며 색전술은 최소 침습성, 짧은 회복 시간, 최소의 감염 리스크, 무반흔 ( 색전의 부작용으로 피부 변색등이 있을 수 있는데 Nexsphere™ & Nexsphere™-F는 피부변색이 없음을 의미), 높은 성공률 등 기존의 다른 치료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혈관색전술로는 간세포암종의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간동맥화학색전술 등이 있으며 자궁근종, 근골격계 통증 감소 치료에도 색전술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고분자 및 약물전달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재를 개발하는 혁신형 바이오 솔루션 기업으로, 2014년 설립 이후 의료현장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제품을 개발하여 왔으며 국내 허가 및 신의료기술을 포함하여 미국 FDA, 유럽 CE-MDR 인증 등을 통해 제품의 기술성과 혁신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크게 점착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소화기 출혈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내시경용 지혈재”와 천연 고분자를 이용하여 체내 흡수 시간을 조절하거나 약물을 탑재하여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혈관 색전 치료재”가 있습니다.
내시경용 지혈재는 위장관 출혈 및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분말형태의 지혈재로 한국 미국, 유럽, 캐나다, 싱가포르 허가를 득하였고 현재 Medtronic이 유럽, 미국에서 해당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태웅메디컬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혈관색전 채료재는 비정상적인 혈관을 막아 다양한 질환(간암, 자궁근종, 근골격계 염증 등)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제품으로 전세계 최초 분해시간 조절이 가능한 미립구입니다. 본 제품은 한국과 유럽에서 허가를 획득하였으며, 현재 글로벌 기업과판권을 논의 중에 있으며 시판 후 임상시험을 한국과 유럽에서 진행중에 있습니다. 또한 미국 FDA 임상시험 계획(IDE) 승인을 획득하여 미국 허가용 임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표준산업분류코드 | 사업부문 |
27199 | 기타 의료기기 제조업 |
(2) 시장점유율
현재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내시경 예방 시장과 근골격계 통증 예방 시장은 신규 시장으로 공식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업계의 자료가 부재하여 당사 매출에 대한 시장 점유율을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세계 의료기기 시장세계 의료기기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은 고령화 추세,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및 웰빙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확산, 주요 국가들의 보건 의료 정책, BRLCs 등의 경제 성장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 등이 있습니다. Fortune Business Insights (2022년)에 의하면, 2021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약 4,890억 달러로 추정되며, 2029년까지 CAGR 5.5%로 7,189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합니다.
(나) 내시경 시술의 증가미국의 경우, 대장암 검진율을 높이기 위한 국가 대장암 검진 프로그램(Colorectal cancer screening program)을 시작하여 프로그램 참여가 증가함에 따라 수행되는 용종절제 시술 건수가 증가하였고 출혈 사례의 수도 함께 증가했습니다. 또한 EMR 및 ESD를 사용하여 위장관의 병변을 제거하고 수술 후 출혈을 방지할 수 있는 지혈 기기의 사용이 더 많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2018년 미국 암협회는 대장암 검진 지침을 업데이트하여 평균적인 CRC 위험이 있는 사람들이 50세 미만의 개인에서 증가된 CRC 발생률을 보여주는 최신 CRC 통계연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50세가 아닌 45세에 검진을 시작하도록 권장하였습니다. 이 권장사항에 따라 앞으로 대장내시경 검사 및 결장내시경 검사를 포함한 CRC 검사 절차의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장암 태스크포스는 CRC 환자에게 두번째 암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술 후 3~6개월, 1년, 4년, 9년 이내에 대장내시경을 받을 것을 권장하였고 이 권고 또한 미국에서 대장 내시경 수를 늘리게 되어 출혈 사례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내시경 절제술의 증가와 함께 연관된 가장 흔한 합병증은 출혈이며 내시경적 시술의 기술과 기기들이 개선되었지만 여전히 출혈은 가장 흔한 합병증으로 출혈의 빈도는 연구에 따라 1~45%까지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으나 평균적으로 10% 내외입니다. (다) 내시경 지혈재 시장내시경 검사 중 발생하는 출혈을 막는 내시경 지혈재의 시장은 조기암 발견을 위한 내시경 검사의 증가와 이에 따른 출혈 사례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내시경 검사 시간의 단축, 내시경 검사의 안전성 향상 등 기술적인 진보와 함께 내시경 지혈재 제품의 다양성과 성능 향상도 내시경 지혈재 시장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출혈 발생 가능성이 높은 일부 환자에서는 내시경 시술 시 출혈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출혈을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내시경 시술 전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더불어 과거 출혈 경험 여부와 기저질환 등을 확인하며, 특히 혈액응고 기능 평가와 출혈 위험 평가가 필요합니다. (라) 혈관 색전 물질 시장혈관색전술은 색전 물질을 이용해 특정 병변(종양 등)에 영양이나 산소를 공급하는 혈관을 인위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카테터로 혈관을 막는 색전 물질을 혈관에 주입해 종양 등을 괴사 시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내고 있으며 색전술은 낮은 침습성, 짧은 회복 시간, 최소의 감염 리스크, 무반흔, 높은 성공률 등 기존의 다른 치료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치료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간세포암종의 치료를 위해 시행하는 간동맥화학색전술 등이 있으며 자궁근종, 전립선비대증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 퇴행성 관절염 색전 시장
퇴행성 관절염 또한 혈관 색전 물질로 치료가 가능한 신규 시장으로, 최근 인구 증가와 함께 시장의 고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세계 주요 국가(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일본)에서 골관절염 시장은 2024년에 약 105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별 연평균 성장률은 동기간 미국이 9.2%, 일본이 6.1%, 유럽 5개국(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이 4.8%로 추정됩니다. 2026년 예상되는 퇴행성 관절염 시장은 미국이 75.5%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이 1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근골격질환 통증색전술(Transcatheter Arterial Micro-Embolization; TAME)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무릎 관절염, 오십견, 족저근막염, 테니스 엘보를 가진 만성 근골격통증 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비정상적인 말초동맥 신생혈관에 조영제와 색전물질을 주입하여 색전함으로서 만성통증을 감소 또는 소멸시키기 위한 기술로 수술적인 치료가 아닌 단 1회 시술로 당일 시술과 당일 퇴원이 가능하여 6개월간 통증이 감소하였다는 임상결과가 있습니다. 2013년 일본 Okuno Clinic에서 항생제 (imipenem/cilastatin)를 이용하여 혈관 색전을 시도한 논문이 최초로 보고되었고, 2015년에 관절염색전 사례가 논문으로 발표되었습니다. 항생제를 사용한 색전 원리는 항생제가 조영제와 혼합 시 미세 결정이 형성되어 약 30분 동안 혈관을 막고, 이때 막힌 혈관 주변의 신경세포가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괴사되어 통증이 완화되는 원리입니다. 2015년 관절염 색전 논문 보고 이후 아시아 국가에서는 항생제로 관절염색전을 시작하였고, 유럽과 미국에서는 항생제를 사용할 수 없어 비분해성 색전물질을 이용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19년 Interventional CIRSE(세계영상의학과학회)에서 관절염 색전치료가 골관절염 치료의 “Game Changer”가 될 것이라고 보고되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최종적인 목표는 단일 의약품, 의료기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약에 비해 신속한 허가가 가능한 두 개 이상의 허가된 제품을 결합하여 하나의 제품으로 구성된 의약품-의료기기 융복합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영역 확대를 하는 것입니다. 특히 점착성 고분자를 이용한 국소치료 기술과, 생체적합성 및 생분해성 특징을 갖는 고분자를 이용하여 국소 치료에 최적화된 약물탑재 내시경 지혈재, 약물탑재 혈관색전 미립구, 관절염 치료제 등 다양한 제품으로 사업 개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제1호의안: 제1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내용은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재 무 상 태 표 | |
제 11(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0(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단위: 원) |
과 목 | 주석 | 제 11(당) 기말 | 제 10(전) 기말 | ||
---|---|---|---|---|---|
자 산 | |||||
유동자산 | 46,887,765,119 | 17,968,388,811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5,7 | 4,950,368,220 | 3,901,874,133 | ||
매출채권 | 4,5,8 | 1,845,323,600 | 918,637,400 | ||
기타채권(유동) | 5,8 | 326,390,202 | 214,277,017 | ||
기타유동자산 | 9 | 449,486,361 | 293,150,567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8 | 15,892,184,996 | |||
단기금융상품 | 4,5,8 | 20,165,974,600 | 10,388,065,531 | ||
유동성장기금융상품 | 5,8 | 600,000,000 | - | ||
재고자산 | 10 | 2,581,094,690 | 2,168,979,403 | ||
당기법인세자산 | 76,942,450 | 83,404,760 | |||
비유동자산 | 11,956,636,187 | 11,675,003,490 | |||
기타채권(비유동) | 5,8 | 332,882,722 | 21,340,632 | ||
기타비유동자산 | 9 | 9,869,795 | 8,143,767 | ||
유형자산 | 11 | 11,223,985,971 | 11,342,057,699 | ||
무형자산 | 12 | 344,378,014 | 217,628,695 | ||
사용권자산 | 13 | 45,519,685 | 85,832,697 | ||
자 산 총 계 | 58,844,401,306 | 29,643,392,301 | |||
부 채 | |||||
유동부채 | 11,884,133,749 | 33,785,661,971 | |||
매입채무 | 4,5 | 13,372,700 | 58,155,240 | ||
기타금융부채(유동) | 4,5,15 | 785,425,690 | 815,220,446 | ||
단기차입부채 | 4,5,17 | 10,139,040,000 | 10,497,460,000 | ||
전환우선주부채 | 2,5,18 | - | 22,353,030,000 | ||
기타유동부채 | 16 | 919,925,329 | 20,287,080 | ||
리스부채(유동) | 4,5,13 | 26,370,030 | 41,509,205 | ||
비유동부채 | 1,768,873,590 | 1,758,730,081 | |||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4,5,15 | 235,349,428 | 218,839,369 | ||
장기차입부채 | 4,5,17 | 763,500,000 | 933,540,000 | ||
순확정급여부채 | 19 | 749,444,516 | 559,449,892 | ||
리스부채(비유동) | 4,5,13 | 20,579,646 | 46,900,820 | ||
부 채 총 계 | 13,653,007,339 | 35,544,392,052 | |||
자 본 | |||||
자본금 | 21 | 4,043,343,000 | 3,174,033,000 | ||
주식발행초과금 | 21 | 107,234,403,791 | 61,632,493,411 | ||
기타자본항목 | 22 | 4,094,822,313 | 2,276,943,731 | ||
결손금 | 23 | (70,181,175,137) | (72,984,469,893) | ||
자 본 총 계 | 45,191,393,967 | (5,900,999,751) | |||
자 본 및 부 채 총 계 | 58,844,401,306 | 29,643,392,301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11(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0(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넥스트바이오메디컬 | (단위: 원) |
과 목 | 주석 | 제 11(당)기 | 제 10(전)기 |
---|---|---|---|
매출액 | 32 | 9,542,630,855 | 4,882,232,877 |
매출원가 | 25 | 3,720,252,313 | 2,773,614,350 |
매출총이익 | 5,822,378,542 | 2,108,618,527 | |
판매비와관리비 | 24,25 | 9,397,109,788 | 7,335,118,050 |
영업손실 | (3,574,731,246) | (5,226,499,523) | |
기타수익 | 27 | 288,500,062 | 171,372,210 |
기타비용 | 27 | 174,161,339 | 148,051,777 |
금융수익 | 26 | 6,840,040,249 | 724,204,585 |
금융비용 | 26 | 520,089,262 | 3,042,538,586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2,859,558,464 | (7,521,513,091) | |
법인세비용 | 20 | - | - |
당기순손실 | 2,859,558,464 | (7,521,513,091) | |
기타포괄손익(법인세차감후) | (56,263,708) | (95,774,617)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9 | (56,263,708) | (95,774,617) |
당기총포괄손실 | 2,803,294,756 | (7,617,287,708) | |
기본주당손실 | 28 | 397 | (1,198) |
희석주당손실 | 28 | 397 | (1,198)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11(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10(당)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천원) |
과 목 |
당기 (처리예정일: 2025년 3월 24일) |
전기 (확정일: 2024년 3월 18일) |
||
---|---|---|---|---|
I. 미처리결손금 | (70,181,16) | (72,984,470) | ||
1.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72,984,470) | (65,367,182) | ||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56,264) | (95,775) | ||
3. 당기순손실 | 2,859,558 | (7,521,513) | ||
II. 차기이월 미처리결손금 | (70,181,176) | (72,984,470) |
※ 상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의내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https://www.coxem.com→투자정보→재무정보 및 공시정보)에 게재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상기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2호 의안: 사내이사 강철중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강철중 | 67.04.07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강철중 | - | 2021.04~2024.06 | 동아ST 의료기기기사업부 상무이사 | 없음 |
2016.05~2019.07 | 메드트로닉 코리아 상무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강철중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의료기기 관련 산업분야에서 축적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핵심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후보자로 추천함.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3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주요 인력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함으로써 높은 경영 성과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실질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2025년 2월 12일 이사회에서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을 보고하여 승인받고자 함.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강철중 | 전무이사 | CSO | 보통주 | 30,000주 |
총( 1 )명 | 총( 30,000 )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교부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식 30,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49,750원(2) 행사기간: 2027년 2월 12일~2032년 2월 11일 | - |
기타 조건의 개요 | 기타 조건은 부여계약서, 당사의 정관, 관계 법령에 의함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주식수 | 잔여주식수 |
---|---|---|---|---|
8,088,186 |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이사회 결의는 100분의 3) | 보통주 | 1,213,227(242,645) | 875,227(182,645)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종류 | 부여주식수 | 행사주식수 | 실효주식수 | 잔여주식수 |
---|---|---|---|---|---|---|---|
2024년 | 2024.03.18 | 7 | 보통주 | 4,500 | - | - | 4,500 |
2023년 | 2023.09.18 | 23 | 보통주 | 110,000 | - | - | 110,000 |
2023년(*1) | 2023.03.13 | 11 | 보통주 | 133,000 | - | 1,000 | 132,000 |
2022년 | - | - | - | - | - | - | - |
계 | 총(41)명 | 총(247,500)주 | 총(-)주 | 총(1,000)주 | 총(246,500)주 |
(*1) 2023년 2명 퇴사로 인한 취소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4호 의안: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95,349,880원 |
최고한도액 | 2,0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5호 의안: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8,000,000원 |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1주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이오니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2025년 3월 24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