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4일
회 사 명 :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김국배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947,B동 15층 1504호
(전 화) 02-6951-1311
(홈페이지) http://anymedi.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김국배
(전 화) 02-6951-131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9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 제9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주주 여러분께서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3월 31일(월요일) 오후 1시 2. 장소 : 경기도 하남시 하남대로947, 하남테크노밸리 유원센터 B동 1504호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영업보고 2) 감사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9기(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을 대신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상 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위임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14일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대표이사 김국배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정욱(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4.03.13 - 감사 선임 후보자 심의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목적 사항 결정의 건 참석 (찬성)
2 2024.03.28 - 본점 이전의 건 참석 (찬성)
3 2024.04.16 - 지점 설치의 건 참석 (찬성)
4 2024.08.22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참석 (찬성)
5 2024.12.12 - 기준일 설정 공고의 건 참석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 12,000 12,000 -

주1) 주총승인금액 (제8기 정기주주총회 승인)은 사내(외)이사를 포함한 이사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주2) 상기 지급총액은 2024년 지급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의료기기 산업의 특성 의료기기란 의료기기법 제2조에서 정의하는 것처럼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 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질병이나 상해의 진단, 치료, 경감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 대체 또는 변형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이러한 의료기기 제품의 설계 및 제조에 관련된 의료기기산업은 전기, 전자, 기계, 재료, 광학 등의 공학 분야와 임상의학 분야를 융합한 기술을 활용하여 의료기기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의료의 한 분야입니다.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은 2021년 4,70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5.4%의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북미/남미가 2,100억 달러, 서유럽이 1,100억 달러로 전체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시장은 글로벌 상위 20개 국가가 전체 시장의 90%가량을 차지하는 선진국 중심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70억 달러 규모로 글로벌 시장에서 2% 미만의 규모를 나타내고 있습니다(시장 규모는 Fortune Business Insights (2019) 추정치와 Fitch Solutions (2019) 추정치의 평균값으로 산출).

의료기기 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 등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정부의 인허가 등 규제가 적용됩니다. 정부는 의료기기 생산 및 제조, 임상시험, 유통 및 판매 등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법규를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별도의 품질관리 심사기관을 통해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ood Manufacturing Practice, GMP)을 설정하고 항상 일관된 양질의 제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즉, 의료기기의 개발에서부터 원자재의 구입, 제조, 검사, 포장, 설치, 보관, 출하 및 클레임이나 반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공정에서 품질 보증을 위해 지켜야 할 사항이규정되어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의료기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의료기기법」 제6조에 따라 제조업 허가를 받아야 하며, 제조하려는 의료기기에 대하여는 제조 허가(인증 또는 신고)를 받아야 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을 바탕으로 의료기기를 4개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의 등급과 분류 범위에 따라 신고, 인증, 허가 등의 대상이 구분되며, 1등급 의료기기 중 식약처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의료기기는 신고 대상, 2등급 의료기기 중 식약처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의료기기는 인증 대상, 3등급 및 4등급 의료기기는 허가 대상입니다. 잠재적 위해성은 1) 인체와 접촉하고 있는 기간, 2) 침습의 정도, 3) 약품이나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지 여부, 4) 환자에게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의료기기 등급과 당사 제품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의료기기 등급 기준 및 제품 예시]

등급 등급 설명 제품 예시
1등급

인체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제품

잠재적 위해성이 거의 없는 의료기기

비침습적으로 접촉하는 의료용 가이드(유방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 피부암 가이드 등)
2등급 인체에 직접 접촉되는 제품 중 기능장애 및 잠재적 위해성이 낮은 의료기기 침습적으로 접촉하는 의료용 가이드(신장암 가이드, 관절치환 수술 가이드 등
3등급

인체 내에 일정 기간 삽입되는 제품

중증도의 잠재적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

체내 삽입하는 재료(코 실리콘 보형물, 두개골 금속 보형물 등)
4등급

고도의 위해성을 가진 의료기기

안전성 검증이 필요한 원자재를 사용한 의료기기

임상적 검증이 필요한 의료기기

체내 삽입하는 재료 (유방 보형물 등)
의료기기 비해당 식품의약안전처에서 의료기기 정의에 부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제품

의사가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시뮬레이터(선천성 심장질환 시뮬레이터 등)

보형물을 재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주1)(대동맥 재건 가이드, 안와골절 임플란트 가이드 등

(주1) 국내에서는 비의료기기로 권고되었지만, 미국 FDA에서는 의료기기로 신고되어 있음 의료기기 산업은 대표적인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입니다. 저가 또는 일부 품목의 시장에서는 전문 중소기업이 시장을 주도하지만 고가의 첨단 제품은 기술력과 마케팅 능력을 보유한 소수의 다국적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Medtronic, Johnson & Johnson, Abbott Laboratories, General Electrics, Siemens 등 10대 기업이 세계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의료기기 산업은 디지털 헬스케어 패러다임 확대와 더불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핵심 기술들과 융합하면서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도 의료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진단 기기, 의료용 로봇과 수술 기기,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을 구현한 제품 등이 확대되고 있으며,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의료기기 산업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의료계에서는 정밀의료 패러다임이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그 적용 범위는 신약 치료재 뿐만 아니라 수술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환자 맞춤형 의료기술은 개별 환자의 상황에 따른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여, 수술 결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맞춤형 의료기기 시장은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 등의 높은 진입 장벽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필요가 높은 암, 심장, 뇌혈관 등을 대상으로 적용되는 기술로서 의료행위의 질과 의료 결과의 향상이 기대되는 경우에 신의료기술평가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 신의료기술평가 통과 후 보험 등재가 되면 상급종합병원에서 수술에 관한 비용 산정 코드를 생성(코드인)합니다. 이후, 임상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면 상급병원과 일반병원에서도 제품의 사용 빈도가 늘어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제품 개발 완료 후 매출이 확대되는 데는 3∼5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맞춤형 의료기기 산업은 진입 장벽은 높으나 매출이 발생이 시작하면 오랜 시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수술용 의료기기의 주요 수요처는 병원(외과의)으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중시하고 기존의 제품을 계속 사용하려는 보수적인 성향이 강합니다. 따라서, 시장 진입장벽은 높으며 가격 탄력성은 낮은 특성이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제품 및 기업에 대한 인지도와 브랜드가 매우 중요한 시장이며, 경기 민감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일부 고가의 치료비가 수반되는 수술의 경우 경기가 위축되면 환자들의 부담이 증가하여 수요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험적용 및 환자의 실비보험 가입이 확대됨에 따라 경기변동에 대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2) 의료시장의 미충족 수요

기존에는 의료영상 기반 진단 결과 및 종양 마진 등의 절제 계획을 수술장에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수술 현장에서는 환자의 영상을 참조하여 수술을 집도하고 있으나, 2차원 영상을 촬영하여 재구축한 영상은 수술환경에서 외과의가 접하는 모습과는 차이가 많습니다. 따라서, 외과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술이 진행되어 왔습니다. 특히, 환부까지의 접근 경로 및 방향, 가시범위는 매우 제한적이며 영상과의 대조가 어렵습니다. 또한, 그러한 대조를 위해 기계 장치나 설비를 수술장 내로 직접 들여오는 것도 물리적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인 시뮬레이터와 수술 가이드를 활용하면, 3차원 형태의 수술 계획을 정량적으로 미리 준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장 내에서 하드웨어 형태의 3D 프린팅된 시뮬레이터나 수술 가이드로 수술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량적으로 계획된 수술 보조를 통해 수술의 정확도를 높이고 수술 시간을 줄이고 있습니다.

더불어, 정량화된 수술 보조는 수술 절제 부위를 최소화하여 심미적 측면에서도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존 유방암 수술의 경우 종양 제거의 안전성을 위해 절개 위치를 종양의 위치와 근접한 곳을 선택해 수술 자국이 크게 발생하여 환자들은 수술 후 트라우마를 겪기도 합니다. 당사의 유방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를 적용하게 되면 유륜 주위의 지그재그 절개로 흉터가 거의 보이지 않아 환자의 심미적 만족도를 높이게 됩니다. 수술 가이드를 통해 환자가 원하는 미적 가치를 의사와 정량적으로 소통할 수 있고, 환자는 본인이 원하는 미적 형상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습니다.

공적 보험 측면에서는 재발률 감소, 입원 기간 단축 등의 보건 지표 개선으로 정부 차원의 보건 비용 절감이 필요합니다. 신의료기술은 질환의 재발률을 감소시키고 수술 정확도를 높여 입원 기간을 단축시킵니다. 더욱이 고령화로 인해 난이도가 높은 수술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어 수술 결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술 솔루션은 공적 보험 측면에서도 가치를 제공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16년 설립하여 의료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수술 솔루션을 삼차원 프린팅,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의 형태로 구현하는 기술벤처 기업입니다. 회사의 전신은 서울아산병원의 영상의학과ㆍ융합의학과의 의료영상지능실현연구실 (MI2RL)로, 임상중개연구를 기획하고 수술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가들 중심으로 서울아산병원 창업 규정에 따라 교원창업 및 기술이전으로 설립하였습니다.

당사는 디지털 헬스케어와 정밀의료 패러다임을 융합하여 수술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수술 솔루션(Surgical Solutions)’을 제공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에는 시뮬레이터, 수술 가이드, 보형물 등이 있습니다. 시뮬레이터는 환자의 병변이 포함된 장기를 삼차원 프린팅으로제작한 제품으로 수술 계획 수립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고 모의 수술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수술 가이드는 절개를 목적으로 환자의 특정 환부에 접촉하여 사용되는 의료기기로 측정 환경과 시술 환경의 차이를 극복하여 종양 제거율을 높이고 수술 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보형물은 재건이나 미용을 목적으로 인체에 삽입하는 의료기기입니다. 위 주요 제품군은 모두 환자맞춤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각 환자의 의료영상(CT 혹은 MRI 등)을 기반하여 진단 결과 및 수술계획을 제품에 적용하여 설계되며, 대부분 삼차원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 후 수술장에서 사용됩니다.

emb00000e843653.jpg [애니메디솔루션의 '맞춤형 수술 플랫폼' 모식도

(출처: 당사 작성)

당사는 의료영상 기반 맞춤형 설계 기술, 수술계획의 구현 기술, 가상수술 및 플랫폼 기술 등의 3가지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다양한 임상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수술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맞춤형 수술 플랫폼’을 구축하였습니다. 당사의 제품 중 선천성 심장질환 시뮬레이터는 환자 맞춤형 의료기술로서는 국내 최초로 신의료기술 등재를 획득하였습니다. 전세계적으로도 공적보험권에 등재된 첫 사례입니다. 이후 견관절 치환술 가이드, 하악골 재건술 가이드 등도 신의료기술로, 유방암 부분절제수술 가이드와 안와골절 임플란트 가이드는 혁신의료기술로 보험등재로 고시되었습니다. 신의료기술(혹은 혁신의료기술)로 고시된 제품들은 인정 비급여로 병원에 공식 등록되어 판매가 되며, 의료실비보험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까지 3,000건 이상의 임상적용을 진행하여 맞춤형 수술 자동 플랫폼 운영을 위한 임상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100편 이상의 SCI(E) 논문으로 임상 통계학적 결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당사의 2019년과 2020년의 매출은 약1억원으로 본격적인 매출이라기 보다는 연구개발과정에서의 시제품의 매출 등이 대부분으로 추후 성장을 위한 기술적 완성도 및 사업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성격의 매출이었습니다. 2021년에는 당사의 미용성형 보형물인 이노핏의 런칭 및 질환제품의 매출 증가로 약 3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2022년에는 당사 제품의 코드인 등록 병원의 증가에 따라 약 6.5억원의 매출을 달성 하였고, 2023년에는 당사의 미용성형 보형물인 이노핏 및 질환 제품 등 회사 주요 제품들의 전반적인 매출 증가로 인해 약 11.2억의 매출을 달성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부문(목표시장별)은 질환수술솔루션과 미용수술솔루션 부문으로 나뉘어 지며, 각 사업부문에서 제품군별로 나누면 시뮬레이터, 수술 가이드, 보형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수술 영역별로는 안면, 소화계, 흉부, 순환계, 근골격계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제품을 상용화 단계에 있거나 임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인 제품을 사업부문별(목표시장별), 제품군별, 수술 영역별로 도식화하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emb00000e843654.jpg [애니메디솔루션 사업부문별, 제품군별, 수술영역별 도식화]

(출처: 당사 작성)

현재 판매 중인 제품은 5종이며(코 수술 시뮬레이터, 코 실리콘 보형물,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뮬레이터, 선천성 심장질환 시뮬레이터, 견관절 치환술 가이드), 보험 등재가 완료되어 판매 예정인 제품은 6종(안와골절 임플란트 가이드, 하악골 재건술 가이드, 유방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 유방 에피테제, 두개골 금속 보형물, TMS 가이드)입니다. 언급된 11종 아이템 외에도 대동백 재건술 가이드, 척추 수술 가이드, 피부암 가이드, 신장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 골종양 절제술 가이드, 골교정 가이드, 간이식 스텐트, TAVI 시술 시뮬레이터, 판막 재건 시뮬레이터, TMS 가이드 제품을 대상으로도 임상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이 되고 있으며, 안면 실리콘 보형물 5종, 변형된 침습형 일회용 의료기기 가이드, 광대골 금속 보형물, 하악골 금속 보형물, 정형외과 금속 보형물, 금속 플레이트, 뇌 전기자극 기어, 플래닝 소프트웨어 등의 품목에 대하여도 인허가 준비 중에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수술 솔루션 시장은 신의료기술을 통과한 제품을 중심으로 새롭게 형성되는 시장으로 업체별 시장 점유율을 산정하는데 제약이 있습니다. 선천성 심장질환 수술 시뮬레이터는 당사가 최초로 신의료기술을 획득한 제품으로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시장입니다. 유방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도 2021년 혁신의료기술로 선정되면서 유방암 수술에서 새롭게 적용되는 제품입니다. 관절치환 수술 가이드와 하악골 재건술 가이드도 2021년 신의료기술로 선정되면서 2023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가 시작될 시장입니다. 두개골 금속 보형물은 기성품 형태의 제품이 공급되던 시장이었으나 환자 맞춤형 제품이 새롭게 도입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맞춤형 의료기기 솔루션 시장은 고령 인구의 증가와 미용 성형 인구의 증가로 그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국은 2018년 65세 이상인 인구가 14%가 넘는 고령사회(aged society)로 진입하였고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욕구에 의해 의료 지출 비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유방암, 피부암, 신장암 등의 경우 전(全)절제 수술을 받게 되면 남은 여생을 건강하게 보내는데 제약이 크므로, 수술 가이드를 이용한 최소 절제 방식의 수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선천성 심장질환 및 대동맥 재건이 필요한 질환의 경우, 수술의 난이도가 매우 높고 환자 사례가 적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수술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수술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의료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관절치료와 관련한 수술이 고령화와 함께 증가하면서 관절치환 수술 가이드 적용에 대한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관절은 수명이 10년 정도인데 기대여명이 늘어남에 따라 수술 후 인공관절 안정성에 대한 수요도 높아지고 있어 보다 정확한 수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성형 수술을 하는 인구층도 늘어나면서 미용 성형 시장도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은 인구 당 성형 외과 의사 수와 수술 건수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가이며, 이미 아시아권 내에서는 K-Beauty를 키워드로 한국의 미용 성형술 역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K-Pop의 영향으로 미주 및 유럽 지역의 K-Beauty 시장 규모도 성장하고 있으며, 디지털 의료행위도 디지털 덴티스트리 산업의 영향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덴티스트리 산업은 디지털 혹은 맞춤형 의료 행위를 보편적인 시장 트렌드로 변화시키며 대다수의 치과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노핏이라는 브랜드를 출시하여 환자 맞춤형 트렌드를 미용 시장에 접목하고, 한국의 발전된 미용 성형술을 해외 시장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치료 목적의 의료 수술의 경우에는 경기변동에 따른 수요 변화는 크지 않은 편이나, 일부 고가의 치료비가 요구되는 수술은 경기 위축에 따라 수요가 감소하기도 합니다.하지만 실비보험의 확대로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용 목적의 수술의 경우에는 비급여 대상으로 환자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있어,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존재합니다. 계절적 변동 요인은 크지 않은 편이나, 미용 목적의 수술의 경우 휴가철이나 방학 기간에 수요가 증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수술 시기를 선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염증이 발생하기 쉬운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수술하는 것을 선호하는 환자가 많은 편입니다.

대부분의 의료기기는 각종 시험 및 인허가를 통과하는데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획기적인 진보와 이에 대한 확실한 검증이 없이는 대체재를 수용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의료기기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긴 라이프사이클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보험 수가를 획득한 제품의 경우 다른 제품에 비해 월등히 긴 기간 동안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게 됩니다.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의 국내 외과의의 의술을 정량화하고 객체화 한 맞춤형 의료 솔루션은 최근에 신의료기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토콜은 AR, VR, 의료로봇, 메타버스 등을 통해 수술 현장에 제공되기 시작하였으며, 디지털 헬스케어와 정밀의료의 패러다임으로 새롭게시장을 열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 분야는 도입기 단계의 기술로 향후 성장기와 성숙기를 거치는 동안 장시간 시장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제품군은 질환 수술 솔루션과 미용 수술 솔루션으로 나뉘며, 각 솔루션의 시장인 의료기기 시장과 미용 성형 시장으로 구분해서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의료기기 시장은 상급종합병원이 주요 고객층으로 의료진이 제품을 선정하게 되며, 국내 인허가와 보험 등재가 필수적인 시장입니다. 반면, 미용 성형 시장은 개원병원을 중심으로 제품이 사용되며, 제품에 대한 선택도 환자 중심으로 결정됩니다. 미용 수술에 필요한 제품은 국내 인허가가 필수이나 보험 등재가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가) 질환 수술 솔루션 시장

질환 수술 솔루션 시장을 공식적으로 추정한 자료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의료기기 시장중 당사 제품의 의료기기 유형군이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하거나 삼차원 프린팅 의료기기 시장을 질환 수술 솔루션 시장 규모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먼저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의 규모는 Fortune Business Insights와 Fitch Solutions에서 추정한 수치의 평균값으로 산정하고,식품의약안전처의 의료기기 유형 중 생체현상 측정기, 체내삽입용 의료용품, 체외용 의료용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적용하였습니다. 따라서, 2021년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 4,788억 달러 중 해당 의료기기 유형이 속하는 시장은 1,776억 달러로 추산됩니다. 다음으로 Techavio(2021)에서 추정한 삼차원 프린팅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2021년 2,144억 달러로 확인되며, 연평균 17.8%의 높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글로벌 질환 수술 솔루션 시장은 2,000억 달러 안팎의 규모이며,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emb000039f44449.jpg [글로벌 질환 수술 솔루션 시장 규모]

(출처: Fortune Business Insights(2019), Medical Devices Market Size, Share, Trends; Fitch Solutions(2019), Worldwide Medical Market Forecasts; 식품의약품안전처(2019),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입 실적 통계 자료; Technavio(2021), 3D Printing Medical Devices Market by Application and Geography - Forecast and Analysis 2021-2025)

국내 의료기기 시장은 2021년 8.5조 원 규모로 매년 8% 수준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당사 제품군이 포함된 생체현상 측정기, 체내삽입용 의료용품, 체외용 의료용품 시장은 3.1조 원 규모입니다. 당사가 이미 상용화하여 판매하고 있는 품목과 상용화 준비 중인품목에 해당하는 수술 건수를 제품 단가와 곱해서 시장 규모를 추산하면 7,780억 원이며 매년 4% 이상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도 별 수술 통계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시스템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해당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의 경우 보험 수가가 취득된 진료 혹은 수술 행위만 포함되므로, 응급 수술 또는 일반 개원의에서 시술한 경우는 포함되지 않아 실제 시장 규모는 더 크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당사가 현재 개발 진행 중인 아이템은 80여 개로 매년 3개 이상의 제품을 추가로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판 가능한 제품 기반으로 추산한 시장 규모는 2025년 9,20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속적인 제품 상용화를 통해 수술 솔루션 판매 가능 시장을 4조원이상으로 확대해갈 계획입니다.

emb000039f4444a.jpg [국내 질환 수술 솔루션 시장 규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입 실적 통계 (2019), 해당 자료에 8% CAGR 적용)

정부는 혁신적 의료기술 중 건강보험 적용 요구가 높은 의료기술에 대하여 2019년 12월 ‘혁신적 의료기술의 요양급여여부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였고, 삼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의료기술이 해당 가이드라인에 포함되었습니다. 가이드라인에서는 삼차원 프린팅 이용 의료기기를 수술 시뮬레이터, 수술 가이드, 보형물, 보조기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수술 시뮬레이터는 삼차원 프린터를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모형을 제작하여 수술 계획, 모의 수술 등을 통해 진단 또는 치료 방법 결정 또는 수술용 측정자, 비접촉 가이드 등을 활용하는것으로 당사의 선천성 심장질환 시뮬레이터가 해당됩니다.수술 가이드는 수술이나 처치 시 정확한 길이, 각도를 유도하거나 정확한 부위 등을 절제하기 위한 것으로 당사의 유방암 수술 가이드, 대동맥 수술 가이드, 신장암 수술 가이드 등이 해당됩니다. 보형물은 인체 결손부위의 재건이나 보충을 하는 것으로 당사의 금속 두개골 보형물, 코 보형물, 안면 보형물 등이 포함됩니다. 마지막으로 보조기는 신체의 일부분을 압박 또는 고정하는 것으로 당사의 수술 부목이 해당합니다. 2020년부터 시행되는 「의료기기 규제혁신 및 산업육성방안」을 통해 해당 의료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맞춤형 수술 솔루션 제품은 구현하는 매체에 따라 하드웨어 타입과 소프트웨어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삼차원 프린팅으로 구현되는 제품은 하드웨어 타입에 속하고, 진단 및 의료에 필요한 임상 정보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또는 증강현실은 소프트웨어 타입에 속합니다. 당사는 선천성 심장질환 시뮬레이터를 가상현실로 옮겨서 구현하였고, 유방암 부분절제 수술 가이드를 증강현실로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해외 질환 수술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시뮬레이터와 수술가이드의 많은 비중을 가상현실·증강현실 형태의 제품으로 판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글로벌 가상현실·증강현실 의료 시장은 2021년 2.3조원 규모로 연평균 28%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종 사용자에 따라 병원, 클리닉 및 외과센터, 연구기관 및 제약회사, 연구 및 임상검사실, 정부 및 방위시설 등으로 분류되며, 특히 병원, 클리닉 및 외과센터의시장 규모는 2020년 42억 원에서 2025년 293억으로 연평균 47%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 2020년 가상현실 시장 430억 원, 증강현실 시장 633억 원으로 전체 1,066억 원 규모입니다. 연평균 40%가량의 성장률로 2025년 6천억 원 이상의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2018년 발간된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 분석 보고서」를 통하여소프트웨어 그 자체로서 의료기기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 독립형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독립형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는 스마트 기기의 증가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환자 중심 맞춤형 진단 및 치료의 증가로 높은 성장률로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서 다양한 임상적 판단이 필요할 때, 판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환자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 도입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미용 수술 솔루션 시장

글로벌 미용 성형 시장은 2021년 560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4%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외과적 성형 수술 총 건수는 2014년 924만건에서 2019년 1,043만 건(모발 이식 수술, 음경 확대 수술, 질 성형술 등 제외)으로 증가하였으며, 국가 별로는 미국 149만 건, 브라질 149만 건, 멕시코 52만 건 등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미용 성형 시장은 전 세계 수술 건수의 4.7%를 차지하며, 2019년 총 수술 건수는 48만 건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국내 미용 성형은 비급여항목으로 정확한 수술 건수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성형 외과 의사 수 또는 여러 부위를 한데 묶어 수술하는 패키지 할인 등의 특성을 고려할 때 국내의 수술 건수는 통계 수치보다 높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용 성형 외과 의사 수는 미국이 7,000명으로 가장 많고, 브라질 6,400명, 중국 3,000명, 일본 2,600명, 한국 2,300명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한국은 인구 당 성형 외과 의사 수와 수술 건수가 가장 높은 국가입니다.

emb000039f4444b.jpg [글로벌 미용 수술 솔루션 시장 규모]

(출처: Fortune Business Insights, 2019)

수술 부위별로는 글로벌 시장의 경우 유방 확대(17%), 지방 흡입(16%), 눈꺼풀 성형(12%) 순으로 비중이 높으나,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나타납니다. 미국, 브라질, 이탈리아, 아르헨티나 등은 유방 확대 수술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독일과 인도의 경우 지방 흡입 수술의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국내의 경우 눈꺼풀 성형(23%)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다음으로는코 수술(18%)의 비중이 높습니다.

[2019년 미용 성형 수술 건수]

글로벌 미용 성형 수술 건수 국내 미용 성형 수술 건수
수술 종류 건수 수술 종류 건수
유방 확대술 1,795,551 눈꺼풀 성형술 101,593
지방 흡입술 1,704,786 코수술 81,664
눈꺼풀 성형술 1,259,839 얼굴 지방 이식 수술 64,067
복부 성형술 924,031 유방 확대술 60,962
코수술 821,890 지방 흡입술 48,595
유방 거상술 741,284 안면거상술 30,641
유방 축소술 600,219 유방 거상술 11,723
얼굴 지방 이식 수술 598,823 복부 성형술 9,736
엉덩이 확대술 479,451 안면 윤곽 수술 8,165
안면거상술 448,485 귀 수술 7,399
기타 1,058,635 기타 24,355
합 계 10,432,994 합 계 448,900

(출처: Global Survey Report 2014~2019, ISAPS)

국내 미용 성형 시장은 2020년 3.1조원 규모로 추정되며, 연평균 3.6%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코 수술, 가슴 수술, 안면 윤곽 수술, 귀 수술 시장을 목표하고 있으며, 당사 제품군을 기반으로 추산한 시장 규모는 6,770억 원입니다. 당사는 코 수술 솔루션 제품을 출시하여 2021년 10월 기준 400건 이상의 수술에 적용되었습니다. 현재 유방 보형물과 유방 에피테제 제품에 대한 상용화를 위해서도 서울아산병원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mb000039f4444c.jpg [국내 미용 수술 솔루션 시장 규모]

(출처: Global Survey Report 2014 ~ 2019, ISAPS, 시장 규모는 성형외과 수 비율을 이용하여 추정)

미용 수술 솔루션 시장은 식약처 인허가를 획득하면 보험등재 없이 의료서비스로 판매가 가능합니다. 당사의 코 수술 보형물인 '이노핏'은 2020년 인허가를 획득하고 2021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노핏은 보형물 외에 수술용 가이드와 부목을 포함한 패키지 형태로 판매하고 있으며, 가상성형 소프트웨어를 출시하여 의료진과 환자 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발포 실리콘을 이용한 유방보형물과 실리콘을 이용한 유방 에피테제 등의 상용화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애니메디솔루션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의 "Ⅲ.경영참고사항 > 1.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당사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이전의 정보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재무제표와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 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9 (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8 (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
과 목 제 8 (당) 기말 제 7 (전) 기말
자산        
유동자산   897,420,826   2,616,564,199
현금및현금성자산 93,308,147   1,750,594,151  
매출채권및기타채권 321,384,285   302,849,121  
재고자산 351,437,268   403,170,341  
당기법인세자산 106,080   470,560  
기타유동금융자산 13,181,406   40,902,890  
기타유동자산 118,003,640   118,577,136  
비유동자산   4,479,602,238   4,857,365,164
유형자산 4,065,223,409   4,364,780,090  
무형자산 360,574,643   440,966,131  
사용권자산 38,466,725   26,354,348  
기타비유동금융자산 15,337,461   25,264,595  
자산 총계   5,377,023,064   7,473,929,363
부채        
유동부채   3,638,407,943   3,419,464,246
매입채무및기타채무 940,567,886   1,240,338,978  
유동성장기차입금 2,099,960,000   2,075,090,000  
단기차입금 557,614,271   1,955  
유동성리스부채 12,852,512   13,834,872  
기타유동부채 27,413,274   90198441  
비유동부채   426,468,795   520,384,573
장기기타채무 193,249,935   162,926,128  
장기차입금 124,950,000   224,910,000  
순확정급여부채 83,018,244   119,904,978  
리스부채 25,250,616   12,643,467  
부채 총계   4,064,876,738   3,939,848,819
자본        
자본금 6,078,747,500   6,078,747,500  
자본잉여금 29,596,392,096   29,596,392,096  
자본조정 402,753,236   207,871,678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6,355,750   4,312,320  
결손금 -34,792,102,256   -32,353,243,050  
자본 총계   1,312,146,326   3,534,080,544
부채와 자본 총계   5,377,023,064   7,473,929,363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9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
과 목 제 8 (당) 기 제 7 (전) 기
매출액   1,359,547,238   1,123,621,115
매출원가   (794,534,803)   (917,674,517)
매출총손실   565,012,435   205,946,598
판매비와관리비 (2,875,708,429)   (4,167,683,409)  
영업손실   (2,310,695,994)   (3,961,736,811)
금융수익 1,523,621   5,818,051  
금융비용 (123,134,956)   (116,190,087)  
기타영업외수익 10,651,114   68,347,039  
기타영업외비용 (17,202,991)   (415,610,458)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2,438,859,206)   (4,419,372,266)
법인세비용        
당기순손실   (2,438,859,206)   (4,419,372,266)
기타포괄손익   26,355,750   4,312,320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26,355,750   4,312,320  
총포괄손실   (2,412,503,456)   (4,415,059,946)
         
주당손익:        
기본 및 희석주당손실   (271)   (490)

자 본 변 동 표
제 9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단위: 원)
과 목 주 석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결손금 합 계
2023년 1월 1일(전기초)   5,772,997,500 27,460,564,996 101,935,760 26,653,953 (27,933,870,784) 5,428,281,425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실    - - -  - (4,419,372,266) (4,419,372,266)
주식보상비용 20  - - 105,935,918  - - 105,935,938
순확정급여부채재측정요소 25  -  -  - (22,341,633)  - (22,341,608)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유상증자(전환우선주) 18 250,000,000 1,746,784,000 -  - - 1,996,784,018
유상증자(보통주) 18 55,750,000 389,043,100 -  - - 444,793,118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    -  -  - - -  -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6,078,747,500 29,596,392,096 207,871,678 4,312,320 (32,353,243,050) 3,534,080,544
2024년 1월 1일(당기초)   6,078,747,500 29,596,392,096 207,871,678 4,312,320 (32,353,243,050) 3,534,080,544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실    -  -  -  - (2,438,859,206) (2,438,859,206)
주식보상비용 20  -  - 194,881,558  -  - 194,881,558
순확정급여부채재측정요소 25  -  -  - 22,043,430  - 22,043,430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유상증자(전환우선주) 18  -  -  -  -  -  -
유상증자(보통주) 18  -  -  -  -  -  -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    -  -  -  -  -  -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6,078,747,500 29,596,392,096 402,753,236 26,355,750 (34,792,102,256) 1,312,146,326

현 금 흐 름 표
제 9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애니메디솔루션 주식회사 (단위: 원)
과 목 주 석 제 8 (당) 기 제 7 (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170,920,129)   (3,336,089,290)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30 (2,056,318,166)   (3,231,379,605)  
이자의 수취   767,159   2,673,945  
이자의 지급   (115,839,682)   (107,798,160)  
법인세의 납부   470,560   414,53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8,764,714   (128,056,966)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3,956,298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임차보증금의 순감소   6,397,108      
유형자산의 처분 11 27,559,19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5,191,584)   (128,056,966)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  
임차보증금의 증가          
기타보증금의 증가       (3,897,108)  
유형자산의 취득 11     (14,225,702)  
사용권자산의 처분          
무형자산의 취득 12 (15,191,584)   (109,934,156)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94,869,411   2,350,813,6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585,600,316   2,446,001,955  
단기차입금의 증가   557,612,316   1,955  
장기차입금의 증가          
전환우선주 유상증자 18     2,000,000,000  
보통주 유상증자 18     446,000,000  
임차보증금의 증가   27,988,000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 18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90,730,905)   (95,188,355)  
차입금의 감소   (75,090,000)   -  
리스부채의 지급 13 (15,640,905)   (90,765,455)  
임대보증금의 감소   -   -  
주식발행비용       (4,422,900)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1,657,286,004)   (1,113,332,656)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1,750,594,151   2,863,926,807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93,308,147   1,750,594,151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9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8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구 분 당 기 전 기
처리예정일: 2024년 3월 28일 처리확정일: 2023년 3월 31일
Ⅰ. 미처리결손금 (32,353,243,050)   (32,353,243,050)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32,353,243,050) (27,933,870,784)  
당기순손실 (2,438,859,206)   (4,419,372,266)  
Ⅱ. 결손금처리액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34,792,102,256)   (32,353,243,050)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국배 1976.07.08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김남국 1971.07.01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김명환 1970.12.17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사항없음 이사회
총 ( 3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국배 애니메디솔루션 대표이사 2005~20062007~20082007~20142014~20162017~현재2016~현재

LBNL, UC Berkeley 연구소Research Scholar

포항공대 NCRC센터 포스닥

KIST 연구소 포스닥

서울아산병원 MI2RL 3D프린팅팀 팀장

대한3D융합의료학회 교육이사

애니메디솔루션㈜ 대표이사

없음
김남국 서울아산병원 교수 2000~20022004~20082008~20092009~20142014~20182018~현재2017~20172019~현재

㈜사이버메드 기술이사, 대표이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연구원/촉탁연구교수

Univ. of Utah Post-doc. Research Fellow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영상의학과 연구조교수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조교수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부교수

융합의학과/영상의학과 부교수

애니메디솔루션㈜ 사내이사

애니메디솔루션㈜ 기타비상무이사

없음
김명환 비엔에이치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1997~20002000~20102010~20122012~20132013~20152015~현재2022~현재

기술보증기금 기술평가센터 행원

KTB네트워크 벤처투자본부 팀장

삼호그린인베스트 투자본부 이사

360아이피코리아 투자본부 상무

이노폴리스파트너스 투자본부 상무

비엔에이치인베스트먼트 대표이사

애니메디솔루션(주) 기타비상무이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국배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김남국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김명환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해당사항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국배 사내이사 후보자 추천사유김국배 후보자는 애니메디솔루션 의 대표이사로 역임하면서 회사경영과 관리에 대한 폭넓은 경험과 높은 이해도를 보유하고 있음. 후보자가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와 이해관계자가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을 이끌어갈 것이라 판단하여 사내이사 후보자로 추천함.○ 김남국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 추천 사유김남국 후보자는 애니메디솔루션의 기타비상무이사로 역임하면서 기술과 관련된 전문적인 지식으로 기술자문의 도움을 주고 있음, 회사가 전문성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할것으로 판단하여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로 추천함.○ 김명환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 추천 사유김명환 후보자는 애니메디솔루션의 기타비상무이사로 역임하면서 다양한 경험과 노하우로 경영자문의 도움을 주고 있음.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을 이끌어갈 것이라 판단하여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로 추천함.

확인서 기타비상무이사 확인서_김명환 후보.jpeg 기타비상무이사 확인서_김명환 후보 기타비상무이사 확인서_김남국 후보.jpeg 기타비상무이사 확인서_김남국 후보 사내이사 확인서_김국배 후보.jpeg 사내이사 확인서_김국배 후보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42,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2,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1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 (https://www.anymedi.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