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3 월 13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대 표 이 사 : 이 창 우
본 점 소 재 지 :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 네패스로 42
(전 화) 043-240-0500
(홈페이지) http://www.nepesark.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팀 장 (성 명) 지 상 현
(전 화) 043-240-05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18조에 의거 제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18조에 의거,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3월 28일(금) 10:00

2. 장소 : 충북 괴산군 연풍면 수옥정길 175-1 웨스트오브가나안 회의실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보고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6기(2024년 1월 1일~2024년 12월 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이창우 선임의 건 (재선임)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이병우 선임의 건 (재선임) 제2-3호 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김지형 선임의 건(신규 선임) 제2-4호 의안 : 사외이사 박찬구 선임의 건 (신규 선임) ○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 상근감사 이경호 ) ○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 542조의 4 제3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사항을 당사의 홈페이지(www.nepesark.co.kr)에 게재하고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공시)하고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정기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 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또는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구분 개인 법인
직접행사 본인 신분증 대표이사(법인등기부등본, 본인 신분증)
간접행사 ①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② 주주의 신분증 사본③ 대리인의 신분증 ①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법인인감 날인)② 법인인감증명서(3개월 이내)③ 대리인의 신분증

☞ 주주가 미성년자의 경우 본인 신분증이 없으므로, 법정대리인의 동행 하에 법정대리인의 신분증 및 법정대리인과 미성년자인 주주와의 관계등을 증명하는 서류(성명, 주민등록번호는 반드시 표시) 제시※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 기타사항 안내

추후 주주총회의 일시 및 장소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승인권한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하였으며, 변경 결정 즉시 정정공시 등을 통해 안내할 예정입니다.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참석주주님들에 대해 별도의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기타 비상무이사 사외이사
이 덕 규(출석율:100%) 원 종 석(출석율:60%) 이 귀 로(출석율:100%) 한 정 화(출석율:100%)
1 2024.02.15 관계회사 자금 대여 승인의 건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
2 2024.03.13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
제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참석/찬성 참석/찬성 참석/찬성 -
3 2024.03.28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참석/찬성 - 참석/찬성
본점, 사업장 소재지 변경의 건 - 참석/찬성 - 참석/찬성
4 2024.04.26 시설자금 대출 차입의 건 - 불참 - 참석/찬성
5 2024.06.24 관계회사 자금 대여 승인의 건 - 불참 - 참석/반대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3,500 72 36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 전원의 보수한도 승인 금액임.주2) 상기 보수현황은 2024년도 지급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금전대여 ㈜네패스라웨(기타 특수관계자) 2024.01~2024.12 100 7.93%

(주1)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2023년) 매출총액(1,261억원)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 (주2) 금전대여 거래금액은 2024년 이사회에서 승인 받은 금액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네패스(최대주주) 매출 등 2024.01.01~2024.12.31 1,181 93.66
(주)네패스라웨(기타특수관계자) 금전대여 2024.01.01~2024.12.31 100 7.93%

(주1)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2023년) 매출총액(1,261억원) 대비 거래금액 비율입니다.(주2) 금전대여 거래금액은 2024년 이사회에서 승인 받은 금액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반도체 산업의 특성

반도체 산업 분야는 반도체 재료 및 반도체 전자회로소자의 제조·제작과 이들의 응용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며, 넓게는 반도체 소자 응용기기의 제작 및 이와 관련된 산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반도체 산업은 전자산업, 정보통신산업, 자동차산업, 항공우주산업, 바이오산업 등 다양한 첨단산업들을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최근 세계 반도체 시장은 디지털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자율주행차, 데이터센터 서버 등 응용제품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반도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T 경기 호조세, 개도국 중산층의 급증, 인터넷 게임시장의 성장 등도 반도체 시장 확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가) 반도체 산업의 분류 반도체의 종류는 크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와 정보저장 없이 연산이나 제어, 논리작업 등과 같은 정보 처리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비메모리반도체(논리회로소자)로 구분됩니다. 반도체는 부품이므로 용도별, 기술별, 집적도별, 제조공정별 등에 따라 각각 분류체계를 달리하고, 또한 국가별로도 분류를 다르게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메모리반도체를 주로 생산하고 있어, 메모리에 대한 분류는 구체화되고 있으나, 메모리가 아닌 반도체는 비메모리라고 칭하고 있습니다.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Processor, Logic, Analog IC 칩 등 시스템의 핵심기능을 하나의 칩에 집약해 시스템을 구현하는 기술인 시스템 반도체(SoC: System on Chip)와 개별소자를 포함한 기타 반도체의 비율이 약 4:1 정도로, 시스템반도체가 비메모리의 대부분을 차지함에 따라 통상 비메모리 반도체를 시스템 반도체로 지칭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분류]

구분

내용

메모리반도체

휘발성메모리

(전원이 끊기면 저장정보 소멸)

DRAM

(Dynamic RAM)

주로 PC용 주기억장치에 이용되며 저장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시간마다 Refresh동작이 필요한 단점이 있으나 고집적화에 유리

SRAM

(Static RAM)

소비전력이 적고 처리속도가 빨라 컴퓨터에 캐시, 전자오락기 등에 사용되며 DRAM에 비해 고집적화에 불리

비휘발성메모리

(전원이 끊겨도 저장정보 보존)

Mask ROM

제조 공정시 정보가 저장되며 수정이 불가능한 ROM으로 전자사전, 전자게임기 등에 사용

EP ROM

자외선을 이용하여 정보를 지우거나 저장이 가능하며 컴퓨터 CMOS 등에 사용

EEP ROM

(Electrically EP ROM)

EP ROM의 발전된 제품으로 전기적으로 정보의 수정이 가능하며, 비디오카드 등에 사용

Flash

Memory

RAM의 정보수정기능과 비휘발성의 장점을 모두 가진 제품으로 디지탈카메라, MP3플레이어, Tablet PC 등에 사용

비메모리반도체

시스템반도체

Micro

Component

컴퓨터를 제어하기 위한 핵심부품으로 MPU(Micro Processor Unit, CPU), MCU(Micro Controller Un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등.

Logic IC

(ASIC)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설계된 특정회로 반도체로 다품종 소량 생산체계에 적합

Analog IC

제반 신호의 처리를 연속적인 신호변환에 의해 인식하는 IC로 Audio/Video, 통신용, 신호변환용 IC에 사용

개별소자 (Discrete)

Diode, Transistor처럼 개별품목으로 단일기능을 갖는 제품을 의미하여 개별소자가 모여 IC가 됨.

기타 반도체

Photo Diode, LED등의 광학반도체(Optical Semiconductor)와 온도센서, 압력센서 등 각종 반도체 센서 등으로 구성

<자료 : 산업 연구원, '반도체 산업의 2020 비젼과 전략'> (나) 메모리 반도체 산업과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특성 비교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반도체 설계 및 생산서비스를 통해 수요기업이 원하는 융합 및 고부가가치 기능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지식집약 산업으로 메모리 반도체 산업과 특성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와 비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특성 비교]

구분

메모리 분야

비메모리 분야

제품성격

생산/설계 기술 지향

DRAM 등(현재는 다각화추세)

짧은 수명주기

PC시장 의존

설계기술지향

ASIC 등 용도별 품목 다양성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와의 조화

기계의 전자화로 수요 다양

사업특성

소품종 대량생산

대규모 투자집중 추구

공정의 극한기술 극복

대기업형 사업구조

다품종 소량생산

제품의 칩세트화 구축

시스템부문의 경쟁력 제고

중소벤처기업형 사업구조

경쟁구조

선행기술개발, 시장선점

중단없는 설비투자 관건

높은 위험부담

참여업체 제한

우수한 설계인력 및 지적재산 확보 관건

경쟁시스템과의 기능경쟁

낮은 위험부담

참여업체 다수 다양

주요제품

휘발성 메모리 (DRAM, S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 (MASKROM, EPROM, EEPROM 등)

시스템반도체 (Processor, Logic, Analog IC 등)

기타 (Discrete, Optical Devices 등)

<자료 : 산업 연구원, 반도체 산업의 투자로드맵>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대부분 설계에서 제품 생산까지 모두 수행하는 종합반도체업체(IDM)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규모의 경제를 통해 대량생산이 요구되는 반면,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는 다품종 소량생산 중심으로 거래처가 다변화되어 있고, 제품의 사용용도가 다양하여 큰 경기변동(리먼브라더스 사태와 같은 글로벌 이슈)을 제외하고는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가격이 안정적이고 부가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 반도체 후공정의 역할

(가) 반도체 공정 및 분업화 반도체 산업은 반도체 설계자산(IP, Intellectual Property) 만 전문 개발하는 IP 업체와 반도체 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업체, 외부업체의 위탁을 받아 칩 생산만을 전문으로 하는 파운드리(Foundry) 업체, 가공된 웨이퍼를 조립하거나 패키징 또는 테스트만을 전문으로 하는 패키징 & 테스트 업체, 마지막으로 설계부터 생산까지 전 과정을 수행하는 종합반도체 업체(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 공정에 따른 산업 분류]

구분

특징

주요 국내(해외)기업

종합반도체기업

(IDM)

설계, 가공, 조립, 마케팅을 일괄수행

대규모 R&D 및 설비투자 필요

삼성전자, 하이닉스(Intel)

전공정

설계전문기업

(Fabless)

칩의 설계만 담당(IP병행도 가능)

생산설비 없는 IC 디자인 전문회사

고위험의 거대투자 회피할 수 있으나 위탁제조비용부담 필요

창의적인 인력 및 기술력 필요

고도의 시장 예측 및 주문수량 최소화 필요

실리콘웍스, 실리콘마이터스, 동운아나텍, 텔레칩스, 코아로직 등(Qualcomm, Nvidia, Broadcom, NXP, Mediatek, XILINX)

제조전문기업

(Foundry)

Wafer 가공 및 Chip제조 전문기업

설계전문 업체로부터 위탁제조

대규모 설비투자 및 적정생산규모 필요

DB하이텍 등(TSMC, UMC, SMIC)

후공정

조립전문기업

(Packaging)

가공된 Wafer 조립/패키징 전문

축적된 경험 및 거래선 확보 필요

네패스, 하나마이크론,엘비세미콘 등(ASE, Amkor, JCET)

테스트 전문기업

(Testing)

검사장비가 고가이므로 테스트 전문업체에 위탁(특히 비메모리)

시스템 IC 중 전문화된 테스트 팹리스 업체 개발 시 개발지원 테스트 프로그램 개발

네패스아크, 테스나 등(KYEC, ASE TEST)

<자료: KIET, 산업연구원>

반도체 산업의 가치사슬.jpg 반도체 산업의 가치사슬

(나) 비메모리 반도체 분업화

1) 다품종 소량생산 시스템 반도체는 메모리 반도체에 비해 많은 종류의 제품을 소량생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시스템의 효율적 운영 및 구비를 위하여 분업화된 사업구조가 시장으로부터 요구되는 사업입니다. 메모리반도체 대비 경기 사이클을 덜 타는 사업구조 또한 분업의 효과를극대화할 수 있게 만드는 특징으로, 이는 이미 대만의 분화된 파운드리 비즈니스 생태계를 통하여 입증이 되고 있습니다. 2) 팹리스업체의 부상

1980년대 후반 반도체 제품의 주기 단축이 요구되고, R&D 및 설비투자 비용이 상승하면서 중소기업의 창의성과 민첩성을 기반으로 하는 설계 전문의 팹리스(Fabless)업체가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시설투자 없이 독보적인 설계기술만으로 시장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의 개척이 가능하여, 설계 엔지니어를 중심으로 현대인의 욕구 충족을 위한 다양한 설계 전문회사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세계 주요 팹리스 업체 중 하나인 Qualcomm은 CDMA 칩을 설계함으로써 여기서 얻는 로열티 수입에 기반하여 IDM 업체인 삼성을 뛰어 넘어 업계 2위를 기록 할 정도로 성장하였으며, 팹리스 시장 규모 증가율은 전체 반도체 시장 증가율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팹리스 회사들은 설계를 제외한 모든 공정에 대해서 외주위탁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전문 제조업체(Foundry)가 활성화 되는 계기가 마련되었으며, 연관사업인 패키지, 테스트 등 후공정 분야에서도 시장이 활성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 핵심능력의 강화(기술난이도의 증가)

디지털 전자제품의 광대역화, 컨버젼스화 경향이 두드러지면서 시스템과 반도체가 일체화되는 시스템 집적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게 되었으며, 소비자의 요구 또한 빠르게 변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스템반도체는 제품 수명주기단축, 가격경쟁 격화, 제조공정의 미세화에 따른 Fab 투자비용 증가 및 집적도 증가로 인해 제품의 비용 구조가 변하게 되었습니다.

시장의 요구에 빠르게 대응하고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설비투자를 늘려야 하지만, 소비자가 요구하는 제품이 다양하고 복잡해지면서 제품 수명 주기가 계속 짧아지고 있어 모든 분야에 집중하기 보다는 설계, 팹(Fab) 생산, 패키징(조립), 테스트의 분화를 통한 핵심 능력의 강화가 요구되었습니다. 또한 미세 공정을 적용하면서 그에 따른 수율 확대, 불량률 감소 노력이 증가함에 따라 테스트, 패키징 등의 후공정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대됨으로써 각 공정 별 핵심 능력을 강화해 나가며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는 산업구조가 형성되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 value chain.jpg 시스템 반도체 value chain

(다) 반도체 테스트 산업의 전문화 반도체테스트 하우스는 기본적으로 종합 반도체 제조사 또는 파운드리 업체에서 제조한 다양한 제품군에 대해 제품의 전기적 동작 여부를 검사하여 양품 및 불량품을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테스트 사업은 단순히 양품 및 불량품 선별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테스트 과정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율 분석이나 불량 원인 분석에 대해 Feed-back을 실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팹리스 업체나 종합반도체 제조사는 수율 개선이나 양산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고객이 다양한 제품을 요구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기능성 강화, 저전력 소모, 저비용 공급, 보다 작은 크기의 반도체를 요구함에 따라 테스트 하우스의 테스트 엔지니어링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비용 절감 노력도 테스트 하우스의 한 역할로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 하우스에서는 반도체 제조 공정 중 웨이퍼 단계의 테스트 (Wafer Test)와 패키징후 마지막 출하 전 테스트(Package Test)로 통상 2회의 테스틀 수행하게 됩니다. 웨이퍼 테스트는 웨이퍼에 형성된 IC 의 전기적 동작여부를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을 선별하여 설계사 및 제조사에 수율을 통보하고 설계 및 제조상의 문제점이 없는지 1차적인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패키지 테스트는 1차 검사가 마무리된 양품에 한해 다음 패키지 공정에서 각 제품별 특성 및 판매 방식에 따라 패키지를 진행한 후 최종 소비자에 출하하기 전에 다시 테스트를 통하여 양품을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도체 전공정 및 후공정.jpg 반도체 전공정 및 후공정

반도체 테스트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의 구분에 따라 요구되는 스펙이나 특성이 상이한 편입니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표준화된 제품으로 대량생산을 위한 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동시에 많은 수량의 테스트가 가능한 장비 개발 및 생산방법 위주로 발전되어 온 반면 시스템 반도체는 다품종의 제품에 대한 다양한 방법의 테스트를 요구하기 때문에 동일 장비로 얼마나 많은 종류의 칩을 테스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역량이 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장비는 메모리 반도체 테스트 장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지만 테스트 되는 제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테스트 장비의 종류가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제품에 대응이 가능한 테스트 장비의 구축과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전문 엔지니어의 확보, 운용 노하우가 매우 중요한 경쟁력으로 대규모의 투자와 더불어 테스트 엔지니어의 육성 및 확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반도체별 테스트 시장 특징 비교]

구분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방법

고정되고 일정한 패턴에 의한Cell 의 Read/Write 로 기능 확인

개별 제품 고유의 기능을 설계에 반영하여 제작된 칩에 대하여 별개 테스트 방법으로 기능 확인

테스트 종류

PKG 테스트만 외주 운용

Wafer 및 PKG 테스트 모두 외주 운용

투자

테스터 대당 가격 최소 10억~50억원

테스터 대당 가격 최소 3억~30억원

운용

소품종 대량 생산

다품종 소량 생산

고객

소수 / IDM 위주

다수 / IDM 및 팹리스 혼재

(3) 반도체 테스트 산업의 특성

(가) 장치 산업 테스트 산업은 장치산업에 속합니다. 고가의 테스트 장비에 대한 투자가 선행되어야 양산이 가능하며, 양산 능력의 조절도 추가적인 장비 투자에 의해 가능합니다. 테스트 장비 평균가격이 20억원 정도이며 이 장비를 주로 생산하는 업체는 아드반테스트, 테러다인 등이 있습니다. 장치 산업의 특성상 초기 투자가 필수적이며, 초기 투자 이후에도 전방산업의 변화에 맞춰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양산 투자가 필요 합니다.(나) 서비스업 테스트 산업은 종합 반도체 제조사나 팹리스 업체 등에서 웨이퍼나 반도체 칩을 제공받아 테스트하는 서비스업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가인 테스트 장비와 반도체 Clean Room 등을 기반으로 제조업과 같은 생산 체계를 보유하나 테스트 대상인 웨이퍼와 반도체 칩이 테스트 업체의 소유가 아니기 때문에 테스트 공정 서비스만 제공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원재료가 투입되지 아니하며, 발생하는 비용 대부분이 테스트 장비에 대한 감가상각비와 인건비로 구성되는 비용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 (다) 기술 집약적 산업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산업은 기술 집약적 산업으로 다양한 칩들에 대한 테스트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운용 능력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산업입니다. 따라서 엔지니어의 기술 및 경력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 특징이 있어 핵심 엔지니어 인력의 확보가 중요한 경쟁력으로 작용합니다. (라) 반도체 제조공정상의 중요성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테스트가 차지하는 비용은 파운드리와 패키징 공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지만 반도체 제품의 양ㆍ불량을 검증하는 단계인 만큼 중요한 공정입니다. 제품의 생산 및 개발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여도 제품의 검증 단계에서 테스트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완성된 제품의 수율 저하 및 불량 제품 발생으로 정상적인 제품 출하 및 영업이 진행 될 수 없습니다. (마) 반도체 테스트 산업의 기회 요인 테스트 하우스의 발전은 공정의 전문화 추세로 인한 종합 반도체 제조사의 외주 비중 확대 및 팹리스 업체의 급부상으로 전문적인 파운드리 회사가 설립되면서 본격화 되었습니다. 이는 반도체의 고집적화 소형화 추세, 소비자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제품 개발로 인하여 기술 난이도와 설비투자가 증가하면서 산업이 생성·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반도체 테스트 공정은 IDM 업체가 주도하고 있는 메모리반도체 시장보다는 팹리스 및 파운드리가 발전한 시스템반도체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팹리스의 실적 확대는 외주 산업을 보다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반도체 테스트 시장은 146억불 정도로 추산됩니다. (바) 높은 진입 장벽

반도체 산업의 특성상 제품의 라이프 싸이클이 매우 짧기 때문에 외주업체 변경시 높은 리스크를 부담하게 됩니다. 따라서 반도체 제조사들은 통상적으로 기존에 검증된 업체를 활용하여 위험 부담과 비용을 최소화 하고자 노력을 하고 있기 때문에 회사에서 정한 정한기술이나 수율, 품질 등의 수준을 유지하는 한 리스크를 부담하면서 외주사를 변경하지는 않으며 이로 인해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은 자연스럽게 제한되어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 상황 (가) 세계 반도체 시장 규모

전세계 반도체 시장은 막대한 자본력 및 풍부한 영업력을 바탕으로 한 글로벌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은 메모리반도체와 비메모리반도체로 나뉘어져 있으며, 2026년에는 약 7,54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 중 비메모리 반도체는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75%를 차지하는 중요한 시장입니다. 메모리반도체는 한국이 글로벌 1, 2위 업체를 보유하며 독점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시장이나, 비메모리반도체의 경우 국가 점유율이 5% 이하로 아직까지 영향력이 적은 편입니다.

global semi maket outlook.jpg global semi maket outlook

(나) 국내 반도체 시장 동향

한국 정부는 2030년까지 시스템반도체 관련 세계 시장 점유율을 팹리스는 10%, 파운드리는 35%까지 끌어 올리는 시스템반도체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시스템 반도체 전공정 기술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라는 것은, 후공정 관련 기업의 사업 확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지며, 이는 비메모리반도체로도 불리는 시스템반도체 사업이 메모리반도체와 다르게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기업)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모든 분야가 함께 성장해야 생태계가 커질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팹리스와 파운드리 등 전공정 기업과 관련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시스템반도체산업이 후공정 기업으로도 전반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민간 주도 팹리스 전용 펀드 신설,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지원 정책(펀드1조원, 차세대 기술투자, 세제 혜택 등) 확대 및 삼성전자의 시스템반도체 설비 연구에의 투자 및 생산 확대를 계획하고 있어 국내 시스템반도체 시장의 성장률은 글로벌 시장보다 높은 강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다) 경기 변동과의 관계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테스트 산업은 산업의 특성상 본질적으로 반도체 전체 시장의 경기변동과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은 실리콘 싸이클이라고 불리우는 경기 순환 싸이클에 따라 호황과 불황을 반복해왔으며 변동주기는 점차 단축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변동은 주로 IT 경기 변동에 가장 민감한 영향을 받았으며 시스템반도체 보다는 메모리반도체 시장이 더욱 민감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직접적인 전방산업인 시스템반도체의 경우 적용 범위가 광범위하며, 반도체가 각수요처에 적합하게 설계되고 적용되어야 하는 특성상 공급과잉의 우려가 낮아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편입니다.

따라서 시스템반도체 테스트 산업은 메모리반도체 테스트에 비해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전방시장과 동반하여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당사는 시스템반도체 후공정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반도체 제조 공정상 테스트는 반도체의 기능이 설계된 대로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으로 테스트 장비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electrical) 기능을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테스트는 공정에 따라 웨이퍼 테스트(Wafer Test)와 패키지 테스트(PKG Test)로 구분됩니다. 웨이퍼 테스트는 웨이퍼 제조 마지막 단계에서 웨이퍼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는 형태이며, 패키지 테스트는 개별 칩으로 패키징을 완료한 이후 출하 직전에 칩 상태에서 진행하는 테스트입니다.당사는 웨이퍼 테스트를 주력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가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하는 주요 제품군으로 ① 전력반도체(PMIC, Power Management IC), ②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Display Driver IC), ③ SoC(System on Chip/ex.Application Processor), ④ RF(Radio Frequency/ex.5G 모뎀 chip) 등이 있으며, 2021년 하반기, FOPLP(Fan-out Panel Level Package)공정으로 패키지된 제품의 테스트를 시작하였으며, 이미지센서(CIS, Cmos Image Sensor) 테스트로의 진입을 준비 중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반도체 제조관련 테스트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반도체 시험 생산업, 반도체 제품 도소매업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국내 반도체 후공정 산업인 테스트 사업은 소수의 업체들이 과점하고 있으나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되는 시장 점유율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각 경쟁회사의 공시자료에는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매출액 구분이 불명확한 경우가 있어 점유율을 산정하기가 어려우므로 시장점유율을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3) 시장의 특성

반도체 테스트 시장은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의 구분에 따라 요구되는 스펙이나 특성이 상이한 편입니다. 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표준화된 제품으로 대량생산을 위한 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동시에 많은 수량의 테스트가 가능한 장비 개발 및 생산방법 위주로 발전되어 온 반면 시스템 반도체는 다품종의 제품에 대한 다양한 방법의 테스트를 요구하기 때문에 동일 장비로 얼마나 많은 종류의 칩을 테스트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역량이 더 중요하게 여겨집니다.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장비는 메모리 반도체 테스트 장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이지만 테스트 되는 제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테스트 장비의 종류가 세분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반도체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제품에 대응이 가능한 테스트 장비의 구축과 이를 운용할 수 있는 전문 엔지니어의 확보, 운용 노하우가 매우 중요한 경쟁력으로 대규모의 투자와 더불어 테스트 엔지니어의 육성 및 확보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반도체별 테스트 시장 특징 비교]

구분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

테스트 방법

고정되고 일정한 패턴에 의한Cell 의 Read/Write 로 기능 확인

개별 제품 고유의 기능을 설계에 반영하여 제작된 칩에 대하여 별개 테스트 방법으로 기능 확인

테스트 종류

PKG 테스트만 외주 운용

Wafer 및 PKG 테스트 모두 외주 운용

투자

테스터 대당 가격 최소 10억~50억원

테스터 대당 가격 최소 3억~30억원

운용

소품종 대량 생산

다품종 소량 생산

고객

소수 / IDM 위주

다수 / IDM 및 팹리스 혼재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제출일 현재 신규로 계획하고 있는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네패스아크 조직도.jpg 네패스아크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무제표의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적용 작성된 감사전 재무제표 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일(2025.3.28) 1주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또는 한국거래소 전자공시 시스템(http://kind.krx.co.kr)에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6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5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 6(당) 기 제 5(전) 기
자 산
유동자산 75,675,925,898 82,599,550,491
현금및현금성자산 4,5,6 42,127,391,272 21,812,374,420
기타유동금융자산 4,5,6 - 30,000,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4,5,7,29 32,151,163,018 27,223,611,838
재고자산 8 750,891,608 1,143,586,599
당기법인세자산 371,031,150 595,487,590
기타유동자산 9 275,448,850 1,824,490,044
비유동자산 236,565,465,103 313,085,052,330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4,5,7,29 13,825,502,841 9,768,028,344
관계기업주식 10 109,043,775 85,901,581
유형자산 11 197,532,703,710 283,418,625,536
사용권자산 12,29 2,784,256,915 5,990,501,302
무형자산 13 788,124,739 1,196,002,356
이연법인세자산 27 18,968,864,579 12,625,993,211
기타비유동자산 9 2,556,968,544 -
자 산 총 계 312,241,391,001 395,684,602,821
부 채
유동부채 50,506,523,691 81,557,655,225
매입채무및기타채무 4,5,14,29 6,240,437,332 9,069,029,257
단기차입금 4,5,15 19,750,000,000 4,75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4,5,15 23,734,173,999 36,243,469,960
유동성사채 4,5,17 - 30,000,000,000
기타유동부채 16 105,495,248 117,415,432
유동리스부채 4,12,29 676,417,112 1,377,740,576
비유동부채 96,353,598,969 88,385,477,187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4,5,14 632,124,000 -
장기차입금 4,5,15,29 60,572,269,009 84,583,300,059
사채 4,5,17 30,000,000,000 -
기타비유동부채 16 274,696,669 245,524,797
퇴직급여부채 18 2,702,272,216 1,148,336,468
비유동리스부채 4,12,29 2,172,237,075 2,408,315,863
부 채 총 계 146,860,122,660 169,943,132,412
자 본
자본금 1,19 6,092,022,500 6,092,022,500
기타불입자본 21 165,744,519,745 195,742,164,00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21 96,712,335 -
기타자본구성요소 21 (519,749,569) -
이익잉여금 20 (6,032,236,670) 23,907,283,904
자 본 총 계 165,381,268,341 225,741,470,409
부채및자본총계 312,241,391,001 395,684,602,821
※ 상기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서 , 향후 정기주주총회(2024.03.28)에서 재무제표 승인 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6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5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단위 : 원)
과 목 주석 제 6(당) 기 제 5(전) 기
매출액 22,29 119,261,518,573 122,932,866,272
매출원가 24,29 112,310,743,861 114,802,213,521
매출총이익 6,950,774,712 8,130,652,751
판매비와관리비 23,24,29 9,584,676,326 7,446,782,172
영업이익(손실) (2,633,901,614) 683,870,579
영업외손익 (10,444,146,967) (25,026,403,796)
기타수익 25 2,268,390,799 393,369,353
기타비용 25 8,168,082,850 21,284,212,137
금융수익 26 1,938,675,709 3,243,898,198
금융비용 26,29 6,506,272,819 7,401,663,499
관계기업등 투자손익 10 23,142,194 22,204,28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13,078,048,581) (24,342,533,217)
법인세수익 27 (5,854,991,315) (1,626,344,222)
계속영업당기순손실 (7,223,057,266) (22,716,188,995)
중단영업당기순손실 33 (21,462,080,878) (7,599,662,291)
당기순손실 (28,685,138,144) (30,315,851,286)
기타포괄손익 (921,670,373) (203,022,434)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토지재평가손익 11 96,712,335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8 (1,018,382,708) (203,022,434)
당기총포괄이익 (29,606,808,517) (30,518,873,720)
주당손익 28
기본주당손익
계속영업기본주당손실 (655) (1,879)
중단영업기본주당손실 (1,761) (624)
희석주당손익
계속영업희석주당손실 (655) (1,879)
중단영업희석주당손실 (1,761) (624)
※ 상기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서 , 향후 정기주주총회(2024.03.28)에서 재무제표 승인 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6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5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기타불입자본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결손금) 총 계
2023년 01월 01일(전기초) 6,092,022,500 195,742,164,005 54,604,295,155 256,438,481,660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실 - - - - (30,315,851,286) (30,315,851,286)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203,022,434) (203,022,434)
소유주와의 거래 : -
신종자본증권의 이자 - - - - (178,137,531) (178,137,531)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6,092,022,500 195,742,164,005 - - 23,907,283,904 225,741,470,409
2024년 01월 01일(당기초) 6,092,022,500 195,742,164,005 - - 23,907,283,904 225,741,470,409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실 - - - - (28,685,138,144) (28,685,138,144)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1,018,382,708) (1,018,382,708)
유형자산재평가손익 - - 96,712,335 - - 96,712,335
소유주와의 거래 :
신종자본증권의 상환 - (29,997,644,260) - (519,749,569) - (30,517,393,829)
신종자본증권의 이자 - - - (235,999,722) (235,999,722)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6,092,022,500 165,744,519,745 96,712,335 (519,749,569) (6,032,236,670) 165,381,268,341
※ 상기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서 , 향후 정기주주총회(2024.03.28)에서 재무제표 승인 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6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5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단위 : 원)
과 목 제 6(당) 기 제 5(전) 기
영업활동 현금흐름 55,770,397,101 55,499,040,282
당기순손실 (28,685,138,144) (30,315,851,286)
당기순손실조정을 위한 가감 97,687,689,683 106,637,521,397
이자비용 6,506,272,819 7,401,663,499
퇴직급여 2,191,805,852 2,249,785,805
감가상각비 78,536,401,826 79,945,570,590
무형자산상각비 611,111,627 499,012,275
대손상각비 1,843,686,116 1,052,267,973
기타의대손상각비 5,966,017,987 20,352,578,368
유형자산감액손실 12,023,801,779 225,779,797
무형자산처분손실 7,041,535 -
외화환산손실 38,272 13,648,926
법인세수익 (5,854,991,315) (1,626,344,222)
이자수익 (1,938,675,709) (3,243,898,198)
유형자산처분이익 (2,180,674,743) (84,999,000)
외화환산이익 (839,829) (44,707,586)
사용권자산처분이익 (164,340) (80,632,541)
지분법이익 (23,142,194) (22,204,289)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7,766,078,929) (14,633,211,415)
매출채권의 증감 (7,788,179,145) (13,401,676,535)
기타채권의 증감 889,823,912 (636,562,358)
기타자산의 증감 553,281,927 496,425,254
재고자산의 증감 392,694,991 297,235,506
매입채무의 증감 (709,750,773) (947,917,546)
기타채무의 증감 804,130,912 1,603,831,763
기타부채의 증감 17,251,688 45,404,346
퇴직금의 지급 (1,044,453,450) (588,783,429)
사외적립자산의 증감 (880,878,991) (1,501,168,416)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61,236,472,610 61,688,458,696
이자의 수취 2,136,446,948 2,940,957,048
이자의 지급 (7,737,642,837) (6,236,306,862)
법인세의 환급(납부) 135,120,380 (2,894,068,600)
투자활동 현금흐름 18,092,728,259 (86,698,320,910)
보증금의 감소 65,000,000 62,500,000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60,000,000,000 -
정부보조금의 수취 270,118,500 2,172,663,619
유형자산의 처분 2,753,250,000 85,000,000
무형자산의 처분 84,545,455 -
대여금의 증가 (10,000,000,000) (20,000,000,000)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30,000,000,000) (30,00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2,647,646,316) (38,620,484,529)
무형자산의 취득 (294,821,000) (333,000,000)
보증금의 증가 (56,000,000) (65,000,000)
장기선급금의 증가 (2,081,718,380) -
재무활동 현금흐름 (53,548,948,337) (23,803,215,063)
단기차입금의 증가 30,000,000,000 -
장기차입금의 증가 34,000,000,000 16,000,000,000
단기차입금의 상환 (15,000,000,000) -
장기차입금의 상환 (24,500,000,067)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45,643,469,952) (36,243,516,643)
유동리스부채의 상환 (1,452,398,798) (3,334,492,945)
신종자본증권의 상환 (30,654,723,361) -
신종자본증권 이자지급 (298,356,159) (225,205,475)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839,829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20,315,016,852 (55,002,495,691)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21,812,374,420 76,814,870,111
※ 상기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서 , 향후 정기주주총회(2023.03.28)에서 재무제표 승인 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6(당) 기 제 5(전) 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6,032,236,670)   23,907,283,904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23,907,283,904   54,604,295,155  
2. 당기순이익(손실) (28,685,138,144)   (30,315,851,286)  
3.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018,382,708)   (203,022,434)  
4. 신종자본증권 이자비용 (235,999,722)   (178,137,531)  
Ⅱ. 임의적립금등 이입액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6,032,236,670)   23,907,283,904
※ 상기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승인전 재무제표'로서 , 향후 정기주주총회(202403.28)에서 재무제표 승인 관련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주석

제 6(당)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5(전)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네패스아크

1. 일반사항

주식회사 네패스아크(이하 "회사")는 2019년 4월 1일 주식회사 네패스의 반도체 테스트 사업부문이 물적분할하여 설립한 분할신설회사로서, 2020년 11월 17일자로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회사의 본사는 충북 괴산군 청안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반도체 제조관련 테스트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반도체 시험 생산업, 반도체 제품 도소매업 등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당기말 현재 자본금은 6,092백만원이며, 당기말 현재 주요 주주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주주명 당 기 말 전 기 말
주식수(주) 지분율(%) 주식수(주) 지분율(%)
보통주 ㈜네패스 6,111,586 50.16 6,711,586 55.09
기타 6,072,459 49.84 5,472,459 44.91
합계 12,184,045 100.00 12,184,045 100.00

2. 재무제표의 작성기준 및 중요한 회계정책

다음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 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특정 유형자산
- 확정급여제도와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사외적립자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2.2.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 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보고기간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 공시

공급자금융약정을 적용하는 경우,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그리고 유동성위험 익스포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를 후속적으로 측정할 때 판매자-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 사용권 관련 손익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으로 리스료나 수정리스료를 산정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가상자산 공시'

가상자산을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고객을 대신하여 보유하는 경우, 가상자산을 발행한 경우의 추가 공시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2.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 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은 2026 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현금흐름표': 원가법

2.3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회사는 회사 내 개별기업의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다만, 조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나 순투자의 위험회피의 효과적인 부분과 관련되거나 보고기업의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인 화폐성항목에서 생기는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금과 관련된 외환차이는 포괄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표시되며, 다른 외환차이는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에 표시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4 금융자산

(1) 분류

회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 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회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회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회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회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회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 및 리스채권에 대해 회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회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회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5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파생상품 계약 체결 시점에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되며 이후 공정가치로 재측정됩니다. 위험회피회계의 적용 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변동은 거래의 성격에 따라 '기타수익(비용)' 또는 '금융수익(비용)'으로 손익계산서에 인식됩니다.

2.6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공정가치로 인식할 때에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2.7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2.8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토지는 독립적인 외부평가인이 평가한 금액에 기초하여 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수행됩니다.

자산의 장부금액이 재평가로 인하여 증가된 경우에 그 증가액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되고 이연법인세를 차감하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과목으로 자본에 가산됩니다. 그러나 동일한 자산에 대하여 이전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재평가감소액이 있다면 그 금액을 한도로 재평가증가액만큼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자산의 장부금액이 재평가로 인하여 감소된 경우에 그 감소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되나, 그 자산에 대한 재평가잉여금의 잔액이 있다면 그 금액을 한도로 재평가감소액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유형자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건물 40년
기계장치 6년
공기구비품 5년
차량운반구 5년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 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9 차입원가

적격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발생한 차입원가는 해당 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간 동안 자본화되고,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특정 목적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당 회계기간 동안의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에서 차감됩니다. 기타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0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1 무형자산

영업권을 제외한 무형자산은 역사적 원가로 최초 인식되고,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한정된 내용연수를 가지는 다음의 무형자산은 추정내용연수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시설이용권 비한정
산업재산권 5년
소프트웨어 5년

2.12 비금융자산의 손상

영업권이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영업권 이외의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13 매입채무와 기타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회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았으나 지급되지 않은 부채입니다. 매입채무와 기타 채무는 지급기일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가 아니라면 유동부채로 표시되었습니다. 해당 채무들은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되고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됩니다.

2.14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 목적의 금융상품과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상품입니다. 단기매매 금융부채는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발행하는 금융부채와 위험회피회계의 대상이 아닌 파생상품이나 복합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입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상품은 회사가 발행한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구조화된금융부채입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및기타채무','차입금' 등으로 표시됩니다.

차입금은 공정가치에서 발생한 거래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 최초 인식하고 이후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받은 대가(거래원가 차감 후)와 상환금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한도를 제공받기 위해 지급한 수수료는 차입한도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probable) 범위까지는 차입금의 거래원가로 인식합니다. 이 경우 수수료는 차입을 실행할 때까지 이연합니다. 차입한도약정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없는 범위의 관련 수수료는 유동성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선급금으로서 자산으로 인식 후 관련된 차입한도기간에 걸쳐 상각합니다.

특정일에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우선주에 대한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비용은 다른 금융부채에서 인식한 이자비용과 함께 손익계산서 상 '금융비용'으로 인식됩니다.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15 금융보증계약

회사가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후속적으로는 다음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여 '기타금융부채'로 인식됩니다.

(1) 금융상품의 손상규정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
(2)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2.16 복합금융상품

회사가 발행한 복합금융상품은 보유자의 선택에 의해 지분상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사채입니다.

동 복합금융상품의 주계약인 부채요소는 최초에 동일한 조건의 전환권이 없는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로 인식되며, 후속적으로 전환일 또는 만기일까지 상각후원가로 인식됩니다. 전환권은 계약조건의 실질에 따라 금융부채 또는 자본으로 분류합니다. 금융부채로 분류된 전환권은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되며, 자본으로 분류된 전환권은 복합금융상품 전체의 공정가치에서 주계약인 부채요소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최초 인식됩니다. 복합금융상품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거래원가는 부채요소와 자본요소의 최초 인식금액에 비례하여 배분됩니다.

2.17 충당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가 존재하고, 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판매보증충당부채, 복구충당부채 및 소송충당부채 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8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측정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무당국이 불확실한 법인세 처리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합니다. 회사는법인세 측정 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금액 또는 기댓값 중 불확실성의 해소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19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회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로 구분됩니다.

확정기여제도는 연결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 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연결회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 주식기준보상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은 부여일에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가득기간에 걸쳐 종업원 급여비용으로 인식됩니다.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은 매 보고기간말에 비시장성과조건을 고려하여 재측정되며, 당초 추정치로부터의 변동액은 당기손익과 자본으로 인식됩니다.

주식선택권의 행사시점에 신주를 발행할 때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거래비용을 제외한순유입액은 자본금(명목가액)과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인식됩니다.

(3) 장기종업원급여

회사 내 일부 기업들은 장기 근속 임직원에게 장기종업원급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주로 10년 이상의 장기간 근무한 임직원에게 주어집니다. 기타장기종업원급여는 확정급여제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근무원가,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의 순이자 및 재측정요소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이러한 부채는 매년 독립적이고 적격한 보험계리사에 의해 평가됩니다.

2.20 수익인식

(1) 테스트 용역 수익

회사는 고객에게 반도체 제조관련 테스트 및 엔지니어링 서비스 용역을 제공하는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으며, 고객은 테스트 용역 자체에서 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서는 기업이 수행하여 만들어지거나 가치가 높아지는 대로 고객이 통제하는 자산(예: 재공품)을 기업이 만들거나 그 자산가치를 높이는 경우, 기간에걸쳐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반도체 제조관련 테스트 용역의 제공에 대한 수익을 투입법에 따른 진행률로 기간에 걸쳐 인식합니다.

계약이 변동대가를 포함한 경우에 회사는 고객에 약속한 재화를 이전하고 그 대가로 받을 금액을 추정합니다. 변동대가와 관련된 불확실성이 나중에 해소될 때, 이미 인식한 누적 수익 금액 중 유의적인 부분을 되돌리지(환원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정도까지만 변동대가를 계약의 개시 시점에 추정하고 거래가격에 포함합니다.

기준서 제1115호의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회사는 계약을 개시할 때 고객에게 약속한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는 시점과 고객이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는 시점 간의기간이 1년 이내일 것이라고 예상된다면 약속한 대가(금액)에 유의적인 금융요소의 영향을 반영하지 않습니다.

(2) 계약잔액

계약자산은 고객에게 이전한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그 대가를 받을 권리입니다. 고객이 대가를 지급하기 전이나 지급기일 전에 회사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는 경우 그 대가를 받을 기업의 권리로 그 권리에 시간의 경과 외의 조건이 있는 자산은 계약자산입니다.

수취채권은 무조건적인 회사의 권리를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시간만 경과하면 대가를 지급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계약부채는 회사가 고객에게서 이미 받은 대가(또는 지급기일이 된 대가)에 상응하여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기업의 의무입니다. 만약 회사가 재화나 용역을 고객에 이전하기 전에 고객이 대가를 지불한다면, 지급이 되었거나 지급기일 중이른 시점에 계약부채를 인식합니다. 계약부채는 회사가 계약에 따라 수행의무를 이행할 때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3) 장비 임대 수익

회사는 고객에게 장비 임대용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계약기간 동안 고객에게 임대용역을 제공한 기간에 걸쳐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2.21 리스

회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된 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회사는 사무실, 공장, 장비, 자동차를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에는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가 모두 포함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회사가 리스이용자인 부동산 리스의 경우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하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였습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회사는 리스된 자산을 사용할 수 있는 리스개시일에 사용권자산과 이에 대응하는 부채를 인식합니다.

회사는 계약이 집행가능한 기간 내에서 해지불능기간에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리스기간을 산정합니다. 회사는 리스이용자와 리스제공자가 각각 다른 당사자의 동의 없이 종료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경우 계약을 종료할 때 부담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집행가능한 기간을 산정합니다.

리스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는 최초에 현재가치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다음 리스료의 순현재가치를 포함합니다.

- 받을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
- 개시일 현재 지수나 요율을 사용하여 최초 측정한,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회사(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 회사(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 그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 리스기간이 회사(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그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회사는 유사신용등급을 보유한 기업이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할 이자율을 증분차입이자율로 적용하였습니다.

각 리스료는 리스부채의 상환과 금융원가로 배분합니다. 금융원가는 각 기간의 리스부채 잔액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이자율이 산출되도록 계산된 금액을 리스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다음 항목들로 구성된 원가로 측정합니다.

-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 받은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
-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
- 복구원가의 추정치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회사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사용권자산은 기초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합니다.

장비 및 부동산 단기리스와 모든 소액자산 리스와 관련된 리스료는 정액 기준에 따라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단기리스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이며, 소액리스자산은 IT기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연장선택권

회사는 부동산 및 시설장치 등의 리스계약에 연장선택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계약 관리 측면에서 운영상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2.22 영업부문

영업부문별 정보는 대표이사에게 내부적으로 보고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공시됩니다. 대표이사는 영업부문에 배부될 자원과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습니다. 회사의 영업부문은 반도체 테스트 사업으로 단일부문입니다.

2.23 재무제표 승인

회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13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 수정승인 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회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현금창출단위의 손상

현금창출단위의 손상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금액은 사용가치 및 순공정가치의 계산에 기초하여 결정됩니다(주석11 참조).

(2) 법인세

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다양한 국가의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주석27 참조).

(3) 금융상품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회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

(4) 순확정급여부채

순확정급여부채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히 할인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주석18 참조).

(5) 리스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회사는 유의적인 원가나 사업 중단 없이도 자산을 대체할 수 있으므로 차량운반구와 기숙사 리스에서 대부분의 연장선택권은 리스부채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선택권이 실제로 행사되거나 회사가 선택권을 행사할 의무를 부담하게 되는 경우에 리스기간을 다시 평가합니다. 리스이용자가 통제할수 있는 범위에 있고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만 회사는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의 판단을 변경합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3월 20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창우 1981.06.05 최대주주의 대표이사 이사회
이병우 1967.12.08 - 이사회
김지형 1973.11.25 최대주주의 비등기임원 이사회
박찬구 1954.03.12 -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창우 (주)네패스 대표이사(주)네패스아크 대표이사 2007.03~2009.022010.07~2019.042019.04 ~ 현재2022.11 ~ 현재2023.06 ~ 현재 - University of Saint Thomas Business- (前) (주)네패스- (現) (주)네패스아크 대표이사 - (現) (주)네패스 대표이사- (現) (주)네패스이앤씨 부회장 해당사항없음
이병우 (주)네패스아크 전무 1986.03~1990.021990.12~2005.072005.08~2008.032008.04~2019.032019.04 ~ 현재 - 경북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LG반도체/하이닉스반도체- 매그나칩반도체- (前) (주)네패스- (現) (주)네패스아크 전무 해당사항없음
김지형 (주)네패스 상무 1992.03 ~ 2000.082000.07 ~ 2006.062006.07 ~ 2019.032019.04 ~ 2020.012020.01 ~ 2020.012020.02 ~ 2024.012024.01 ~ 2025.022025.03 ~ 현재 -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주)명성- (주)네패스 이사- (주)네패스아크 이사- (주)네패스 이사- (주)네패스라웨 상무보- (주)네패스야하드 상무- (現) (주)네패스 상무 해당사항없음
박찬구 하강코칭센터 대표 1972 ~ 19791979 ~ 1982 1994 ~ 2004 2004 ~ 20052010 ~ 20132005 ~ 20132013 ~ 2014.032014.04 ~ 2018.092018.09 ~ 2019.092021.04 ~ 현재 - 인하대학교 전자공학과- 인하대학원 전자공학과 - Motorora 반도체사업부문 전무 - 주성엔지니어링 마케팅 담당 부사장- Fairchild Korea Semiconductor 공동대표이사- Fairchild Semiconductor 수석 부사장- IGL 고문, 파트너 코치- infineon Technologies Power Semitech 대표이사- infineon Technologies Korea 고문- 하강코칭센터 대표 해당사항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창우 없음 없음 없음
이병우 없음 없음 없음
김지형 없음 없음 없음
박찬구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박찬구 사외이사 후보자(신규선임)1. 전문성본 후보자는 반도체 판매 및 마케팅 분야에서 다양한 경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회사가 목표로 하는 Global Top tier 반도체 테스트 솔루션 기업을 실현함과 동시에 결과적으로 회사가 주주 및 고객 등 이해관계자와 함께 성장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2. 독립성본 후보자는 네패스아크와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계열회사 등과 거래가 전무하며, 이해발생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없고, 사외이사로의 책임과 의무를 준수하고, 그간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네패스아크의 이사회가 전체 주주와 회사 이해관계자들에게 장기적으로 이익이 되는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의견을 개진할 예정입니다.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창우 사내이사 후보자>상기 후보자(이창우)는 현재 네패스아크의 대표이사 및 최대주주인 네패스의 대표이사로 역임하여 경영전반에 풍부한 경험과 경륜으로 이사회를 안정적으로 이끌고 당사의 신규사업 추진 등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것으로 판단되어 이사회에서 사내이사로 추천합니다.

<이병우 사내이사 후보자>상기 후보자(이병우)는 현재 네패스아크의 제조기술본부장으로 역임하여 반도체Test 사업의 풍부한 경험과 경륜으로 이사회를 안정적으로 이끌고 당사의 신규사업 추진 등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사회에서 사내이사로 추천합니다.

< 김지형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상기 후보자(김지형)는 네패스의 관리회계팀의 담당 임원으로 역임하여 경력 및 업적을 활용하여 전문적인 식견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영 유지, 관리감독에 대한 통합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사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추천합니다

< 박찬구 사외이사 후보자>상기 후보자( 박찬구 )는 경력 및 업적을 활용하여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전문적 의견을 제시하고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자적으로 견제, 감시감독 역할을 수행하며 대안 제시를 통한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사회에서 사외이사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 이창우 사내이사.jpg 확인서 이창우 사내이사 확인서 이병우 사내이사.jpg 확인서 이병우 사내이사 확인서 김지형 기타비상무이사.jpg 확인서 김지형 기타비상무이사

확인서 박찬구 사외이사.jpg 확인서 박찬구 사외이사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경호 1957.05.25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경호 네패스아크 감사 2002.082004.07~2017.122012~ 20152022.03~ -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졸업- 사랑의교회 부목사- 백석대학교 신학대학교 강사- (現)네패스아크 감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경호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경호 감사 후보자>

상기 후보자(이경호)는 네패스아크의 상근감사로 역임하면서 그 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내부통제, 회계관리등 감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고 회사의 준법감시 및 경영투명성을 제고하고 회사발전에 기여할것으로 판단하여 이사회에서 감사로 추천합니다.

확인서 확인서 이경호 감사.jpg 확인서 이경호 감사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4,000 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13 백만원
최고한도액 3,500 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5
최고한도액 200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0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상법 시행령 제31조제4항4호에 따른 주주총회 전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당사 홈페이지(www.nepesark.co.kr)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2025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정기주주총회 개최일 관련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당사는 금번 주총분산 프로그램 발표 이후 가능한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결산 일정 및 정기주주총회 안건의 세부내용 확정,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과 감사보고서 예상 수령 일자 등을 다시 검토한 결과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2.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18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금융감독원 또한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는 전자적 방법으로 공고하여 갈음하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