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2 월 26 일 | ||
회 사 명 : | 알리코제약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이항구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27길 7-21 | |
(전 화)(080)585-0004 | ||
(홈페이지)http://www.arlico.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김동수 |
(전 화)02-520-6930 | ||
(제34기 정기) |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다음과 같이 제34기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1. 일시 : 2025년 3월 28일 (금) 오전 8시 30분2. 장소 : 충청북도 진천군 광혜원면 용소2길 21 알리코제약 GMP동 지하세미나실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 감사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재무제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 1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 - 제 2호 의안 : 이사 재선임의 건 (사내이사 1인) 제2-1호 : 사내이사 이항구 - 제 3호 의안 : 제34기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 처분(현금배당) 승인의 건 - 제 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본점과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실질주주의결권 대리행사
한국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되었습니다. 따라서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통지할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행사하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의 인감증명서
7.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3월 18일 9시 ~ 2025년 3월 27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8. 기타사항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하여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주주총회장에 출입자 명부를 비치할 예정이며, 당일 발열 및 기침 등 감염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주주총회장 입장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마스크 미착용 시 입장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의 성명 | ||
이문성(출석률:100%) | 윤경식(출석률:100%) | 시진국(출석률:100%) | ||||
찬 반 여 부 | 찬 반 여 부 | 찬 반 여 부 | ||||
24-01차 | 2024.02.08 | ▶제33기 감사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2차 | 2024.02.20 | ▶한도대출(10억) 거래기간 연장 진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3차 | 2024.02.22 | ▶제3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제33기 정기주주총회 전자투표 도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4차 | 2024.03.14 | ▶제33기 감사후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5차 | 2024.05.07 | ▶대출금 차입의 건▶차입금 갱신(기한연장)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6차 | 2024.08.05 | ▶기채에 관한 건 (수출성장자금대출)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7차 | 2024.08.13 | ▶기업운전자금대출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8차 | 2024.10.22 | ▶운전자금대출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09차 | 2024.11.13 | ▶한도대출 거래기간 연장 진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4-10차 | 2024.12.20 | ▶키메디(주) 주식 매각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윤경식이문성시진국 | 2024.02.08 | ▶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 가결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3,000,000,000 | 60,000,120 | 20,000,04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한 고부가가치 산업이자 지식기반 산업으로 원료 및 완제 의약품의 생산과 판매에서부터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첨단 부가가치산업이다. 또한, 타 업종에 비해 기술 집약도가 꽤 높은 편이며 고도의 전문성과 함께 긴 투 자기간과 높은 위험을 수반하지만, 글로벌 블록버스터급 신약 개발에 성공할 경우 막대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므로 미래 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세부적으로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주요 특징은 10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① 연구개발 비중이 높은 산업, ② 내수 완제품 생산 중심의 산업, ③ 상-하위 기업 간 양극화 심화 산업, ④ 시장 규모가 큰 고부가가치 산업, ⑤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 ⑥ 공급-유통 체계가 투명해야 하는 산업, ⑦ 공급자-수요자 간 정보 비대칭 산업, ⑧ 의약품 가격이 비탄력 적인 산업, ⑨ 지적재산권의 보호를 받는 산업, ⑩ 미래 먹거리로 부상하는 산업 의약품 정책의 기본방향은 안전하고 유효한 의약품 사용 환경 조성을 통해 건강 등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 증대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민들의 건강한 삶을 보 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의약품 불법 리베이트 근절을 위한 제도개선, 의약품 일련 번호 제도 운영 및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UR) 등을 통하여 의약품의 유통체계와 의약품 적정 사용을 관리하고 있다. 이 외에도 정부는 국내 보건산업 특히, 제약산업의 육성 및 혁신적인 발전을 도모 하기 관련 법률을 제정하거나 주요 시책에 대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92년 12월 설립되어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로서 ①의약품의 국내 판매, ②의약품 수탁생산 (CMO 사업), ③ 의약품 및 상품 해외수출, ④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 ⑤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의 개발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001년 반월공단에서 충북 진천군에 위치한 광혜원농공단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여 우수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2008년에는 C-GMP 시설 리모델링과 생산시설을 확충하였으며, 2017년에는 KGSP 물류 창고 신축을 통해 유통부문에서 한걸음 앞서 나가는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당사는 2020년 12월 중앙연구소를 판교에서 광교로 확장 이전하면서, 신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각종 첨단연구장비와 시설확충을 통한 제형차별화 품목과 개량신약의 제품개발에 더욱 전념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중점 경영 전략인 ①제품경쟁력 강화 (수익성 높은 전문 의약품 위주 제품 리뉴얼), ②다품목 소량생 산 및 대량생산 체계의 구축 (자체 생산 효율성 증대 및 우수 위탁업체 확보), ③CSO영업의 선점 및 제도 정착 (저비용 고효율의 영업망 구축)등 핵심경영목표의 성공적 달성으로 2012~2024년 CAGR(연평균매출성장율) 14.4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지배적 단일사업부문으로 영위하는 업체로서 공 시의 요건을 갖춘 별도의 사업부문이 없으므로 재무정보를 부문별로 구분하여 기재하지 않습니다.
(2) 시장점유율
상장회사 제약업종 업체 중 당사와 자산규모가 비슷한 7개사의 2023년 매출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업 체 명 | 2023년도 | 2022년도 |
알리코제약 | 187,155 | 167,737 |
안국약품 | 233,676 | 205,389 |
대한뉴팜 | 204,223 | 197,957 |
휴젤 | 319,697 | 281,675 |
경동제약 | 162,674 | 182,718 |
삼천당제약 | 192,667 | 177,335 |
파마리서치 | 260,837 | 194,759 |
현대약품 | 180,763 | 162,690 |
(3) 시장의 특성
제약산업은 의약품의 연구, 개발, 생산, 판매, 유통을 포함한 다양한 과정이 이루어지는 산업 분야로,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약산업은 생명과학, 화학, 생물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이 융합된 고도의 기술 산업입니다. 최신 기술은 새로운 약물 개발, 개인화된 의료, 데이터 분석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신약 개발과 바이오 기술이 제약산업의 미래를 이끌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앞으로 시행 예정인 해외약가 참조제를 포함한 정부의 지속적인 약가인하 정책, 강화 중인 품질 및 허가제도, 신고제에 따른 CSO 시장재편 등의 국내 제약 상황과 더불어 러-우 및 이-중동 전쟁 지속과 미 정권 교체로 인한 환율 상승 등의 국외 정세에 영향에 따른 개발비 상승으로 더욱 어려운 영업환경에 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는 의약품 수요의 증가를 예상할 수 있는 초고령 사회를 맞이한 국내 환경을 기회로 삼아 가치있는 전문/일반의약품을 지속 발굴하여 외적 성장과 수익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또한,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동물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미래의 수익 창출을 위한 신규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검토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작성기준일 현재 조직도 입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9조의3(주식의 상환에 관한 종류주식)
④ 상환주식을 회사의 선택으로 소각하는 경우에는 상환주식 전부를 일시에 또는 분할하여 상환할 수 있다. 이때 회사는 상환할 뜻 미 대상주식과 1개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주권을 회사에 제출할 것을 공고하고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와 질권자에게는 따로 통지를 하며 위 기간이 만료된 때에 강제 상환한다. 단 분할상환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법에 의하여 상환할 주식을 정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단주는 상환하지 아니한다.
제9조의4(주식의 전환상환에 관한 종류주식)
② 전환과 상관 에 관한 내용은 제9조의 내용을 준용한다.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4.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법인, 개인 등에게 전환사채를 발 행 하는 경우. 제21조(소집권자) ② 대표이사가 유고시에는 제37조 규정을 준용한다.
제25조(의장의 질서 유지권) ② 주주총회의 의장은 원활한 의사진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주 주 의 발언 시간과 회수를 제한할 수 있다.
제45조(감사의 임기와 보선) ② 감사 중 결원이 생긴 때에는 주주총회에서 이를 선임한다. 그러나 정관 제45조 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 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46조(감사의 직무) ③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 이유를 서면에 적어 이사(소집권자 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 집 을 청구할 수 있다.
제53조(이익배당) 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52조6항 에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정한다. |
제9조의3(주식의 상환에 관한 종류주식)
④ 상환주식을 회사의 선택으로 소각하는 경우에는 상환주식 전부를 일시에 또는 분할하여 상환할 수 있다. 이때 회사는 상환할 뜻 및 대상주식과 1개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주권을 회사에 제출할 것을 공고하고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와 질권자에게는 따로 통지를 하며 위 기간이 만료된 때에 강제 상환한다. 단 분할상환하는 경우에는 회사가 추첨 또는 안분비례의법에 의하여 상환할 주식을 정할 수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단주는 상환하지 아니한다.
제9조의4(주식의 전환상환에 관한 종류주식)
② 전환과 상환 에 관한 내용은 제9조의 내용을 준용한다. 제17조(전환사채의 발행) 4.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법인, 개인 등에게 전환사채를 발행 하는 경우.
제21조(소집권자) ② 대표이사가 유고시에는 제35조 규정을 준용한다.
제25조(의장의 질서 유지권) ② 주주총회의 의장은 원활한 의사진행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주주 의 발언 시간과 회수를 제한할 수 있다.
제45조(감사의 임기와 보선) ② 감사 중 결원이 생긴 때에는 주주총회에서 이를 선임한다. 그러나 정관 제43조 에서 정하는 원수를 결하지 아니하고 업무 수행상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제46조(감사의 직무) ③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 이유를 서면에 적어 이사(소집권자 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 을 청구할 수 있다.
제53조(이익배당) 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50조6항 에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정한다. |
오타 수정 |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항구 | 1961.01.05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본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항구 | 알리코제약(주) 사내이사 | 1984~1994 1994~19951995-현재 | - 경남제약(주) 영업본부장 - 알리코제약 영업본부장- 현) 알리코제약 대표이사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항구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항구 사내이사는 2019년 3월 29일 취임하여 남다른 리더쉽으로 취임기간동안 꾸준히 회사의 발전과 임직원 복지에 이바지하는 등 뚜렷한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에 이사회에서는 알리코제약 대표이사 이항구 사내이사를 재선임하는 것으로 추천하였습니다. |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1992년 12월 설립되어 의약품을 제조 및 판매하는 업체로서 ①의약품의 국내 판매, ②의약품 수탁생산 (CMO 사업), ③ 의약품 및 상품 해외수출, ④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 ⑤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품의 개발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2001년 반월공단에서 충북 진천군에 위치한 광혜원농공단지로 생산시설을 이전하여 우수의약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2008년에는 C-GMP 시설 리모델링과 생산시설을 확충하였으며, 2017년에는 KGSP 물류 창고 신축을 통해 유통부문에서 한걸음 앞서 나가는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당사는 2020년 12월 중앙연구소를 판교에서 광교로 확장 이전하면서, 신성장동력 마련을 위해 각종 첨단연구장비와 시설확충을 통한 제형차별화 품목과 개량신약의 제품개발에 더욱 전념하고 있습니다.특히 당사의 중점 경영 전략인 ①제품경쟁력 강화 (수익성 높은 전문 의약품 위주 제품 리뉴얼), ②다품목 소량생 산 및 대량생산 체계의 구축 (자체 생산 효율성 증대 및 우수 위탁업체 확보), ③CSO영업의 선점 및 제도 정착 (저비용 고효율의 영업망 구축)등 핵심경영목표의 성공적 달성으로 2012~2024년 CAGR(연평균매출성장율) 14.4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4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33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목 | 제 34 기 | 제 33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85,158,644,943 | 83,555,285,766 |
현금및현금성자산 | 15,483,963,136 | 19,066,181,326 |
단기금융자산 | 652,723,331 | 6,163,522,520 |
당기손익_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057,413,528 | 5,559,928,765 |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 31,320,043,791 | 23,306,688,281 |
재고자산 | 32,797,753,980 | 26,779,066,808 |
기타유동자산 | 1,729,417,425 | 2,208,273,220 |
파생상품자산유동 | 117,329,752 | 471,624,846 |
비유동자산 | 86,832,110,728 | 89,922,136,097 |
장기금융상품 | 1,690,883,757 | 1,762,980,254 |
기타수취채권 | 1,065,172,603 | 287,553,863 |
기타포괄손익_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7,624,300,947 | 8,374,258,386 |
유형자산 | 62,741,213,008 | 66,497,171,488 |
무형자산 | 7,147,975,160 | 7,013,465,485 |
투자부동산 | 793,849,449 | 805,587,921 |
사용권자산 | 410,647,006 | 242,446,318 |
이연법인세자산 | 5,968,404,575 | 4,365,366,250 |
순확정급여자산 | (610,335,777) | 573,306,132 |
자산총계 | 171,990,755,671 | 173,477,421,863 |
부채 | ||
유동부채 | 75,195,088,432 | 70,319,988,337 |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 24,227,220,015 | 24,649,621,759 |
단기차입부채 | 34,109,276,999 | 22,949,090,258 |
유동성장기부채 | 1,931,600,000 | - |
전환사채 | 7,427,559,381 | 16,380,417,017 |
파생상품부채 | 3,452,655,160 | 3,623,179,317 |
리스부채(유동) | 250,579,752 | 152,422,971 |
단기환불부채 | 2,080,772,110 | 1,732,317,238 |
기타유동부채 | 1,715,425,015 | 832,939,777 |
비유동부채 | 16,494,151,552 | 14,082,316,995 |
기타지급채무 | 23,000,000 | 27,355,019 |
장기차입부채 | 6,592,160,000 | 6,746,000,000 |
리스부채(비유동) | 145,649,428 | 61,197,981 |
장기환불부채 | 9,733,342,124 | 7,247,763,995 |
부채총계 | 91,689,239,984 | 84,402,305,332 |
자본 | ||
자본금 | 7,663,510,500 | 7,663,510,500 |
자본잉여금 | 40,142,643,861 | 40,142,643,861 |
자본조정 | (2,751,554,881) | (2,751,554,88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414,040,022) | 277,688,935 |
이익잉여금 | 35,660,956,229 | 43,742,828,116 |
자본총계 | 80,301,515,687 | 89,075,116,531 |
자본과부채총계 | 171,990,755,671 | 173,477,421,863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34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33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목 | 제 34 기 | 제 33 기 |
---|---|---|
매출액 | 190,435,818,369 | 187,154,507,589 |
매출원가 | 90,640,298,296 | 76,975,397,062 |
매출총이익 | 99,795,520,073 | 110,179,110,527 |
판매비와관리비 | 100,031,644,724 | 102,926,669,793 |
경상연구개발비 | 4,538,783,916 | 4,179,917,220 |
영업이익(손실) | (4,774,908,567) | 3,072,523,514 |
기타수익 | 931,467,149 | 76,745,279 |
기타비용 | 101,533,910 | 587,694,766 |
금융수익 | 2,326,972,872 | 3,331,722,237 |
금융비용 | 4,143,569,857 | 2,417,704,272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5,761,572,313) | 3,475,591,992 |
법인세비용 | (847,918,432) | 414,667,794 |
당기순이익(손실) | (4,913,653,881) | 3,060,924,198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없는 항목 | (1,908,206,133) | (580,185,714)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자산평가손익 | (691,728,957) | (57,455,712)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216,477,176) | (522,730,002) |
세후기타포괄손익 | (1,908,206,133) | (580,185,714) |
총포괄손익 | (6,821,860,014) | 2,480,738,484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327) | 204 |
희석주당이익(손실) | (327) | 104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34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33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34 기 | 제 33 기 | ||
---|---|---|---|---|
처분전 이익잉여금 | 34,774,849,446 | 43,051,895,416 | ||
전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40,904,980,503 | 40,513,701,220 | ||
순확정급여부채의재측정요소 | (1,216,477,176) | (522,730,002) | ||
당기순이익 | (4,913,653,881) | 3,060,924,198 | ||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 | - | - | ||
임의적립금 | - | - | ||
합계 | 34,774,849,446 | 43,051,895,416 | ||
이익잉여금 처분액 | (1,238,604,758) | (2,146,914,913) | ||
이익준비금 | (112,600,433) | (195,174,083) | ||
현금배당 | (1,126,004,325) | (1,951,740,830) | ||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33,536,244,689 | 40,904,980,503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 제34기 | 제33기 |
주당배당금 | 75원 | 130원 |
배당총액 | 1,126,004,325원 | 1,951,740,830원 |
시가배당율 | 2.14 | 2.26 |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3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12,831,460 |
최고한도액 | 3,000,000,000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인 2025년 3월 20일까지 사업보고서와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DART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