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10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디엔에프 | |
대 표 이 사 : | 신재호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 대덕구 대화로 132번길 142(대화동) | |
(전 화) 042-932-7939 | ||
(홈페이지) http://www.dnfsolution.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지원본부 본부장 | (성 명) 이정훈 |
(전 화) 042-932-7939 | ||
(제24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16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제2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 시 : 2025년 03월 26일(수) 오전 10시 00분2. 장 소 : 대전 대덕구 대전로1331번길 190 (주)디엔에프 대전 2캠퍼스 2층 대회의실3. 회의 목적사항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나. 부의안건
1) 제1호 의안 : 제24기(2024.1.1 ∼ 2024.12.31)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현금배당 주당 100원) 승인의 건 2)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상근감사 김진성) 4)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를 통해 귀중한 의결권을 행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1)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2)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 관리업무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03월 16일 9시 ~ 2025년 03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전자투표 행사
1)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시스템인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 참고사항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 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18조에 의거 본 전자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03월 10일 주식회사 디엔에프 대표이사 신 재 호 (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유환식(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13 | 제1호 의안 : 제23기 현금배당 결정의 건 | 찬성 |
2 | 2024.03.14 | 제1호 의안 : 제23기(2023.1.1 ∼ 2023.12.31) 재무제표 확정의 건제2호 의안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제3호 의안 : 전자투표 제도 이용의 건 | 찬성찬성찬성 |
3 | 2024.03.21 | 제1호 의안 : 이사회 결의에 의한 제23기 개별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4 | 2024.04.01 | 제1호 의안 : 대표이사 선임의 건 (신재호) | 찬성 |
5 | 2024.07.22 | 제1호 의안 : 하나은행 한도대출 오십억원 신규 신청에 대한 건 | 찬성 |
6 | 2024.12.20 | 제1호 의안 :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 | 36 | 36 | - |
- 주총승인금액은 전체 이사 보수한도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 5G 등의 첨단 기술 발전으로 반도체 소재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반도체 산업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특히, 고성능 컴퓨팅(HPC), 데이터 센터, 전기차(EV) 등 신성장 분야에서의 반도체 수요 확대는 산업 성장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칩의 소형화, 경량화, 저전력 소비, 고용량화, 고속화 등의 기술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업계는 공정, 장비, 소재 혁신을 지속하고 있으며, 선단 공정(Advanced Node)으로의 전환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증착(CVD/ALD) 공정에서 사용되는 고순도 반도체용 정밀화학 소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용 정밀화학 소재, 특히 증착용 소재 산업은 미국, 유럽, 일본의 소수 대기업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어 신규 기업의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따라서 국내 반도체 제조 업체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국산화 노력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2023년 메모리 수요 약세가 지속되어 고객사에서 생산량 조절을 하였습니다. 하반기에도 고객사의 감산 영향을 피할 수 없었지만, 2024년에는 메모리 수요가 전년 대비 회복세를 보이며 고객사의 생산량 조절 기조가 완화되었습니다. 상반기에는 여전히 보수적인 증산 정책이 유지되었으나, 하반기부터는 AI 및 고성능 반도체 시장의 확장에 힘입어 주요 고객사의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었습니다. 특히,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으로 고대역폭 메모리(HBM) 및 DDR5 등의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크게 증가하면서 메모리 산업 전체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 주력 제품의 매출 또한 함께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반도체 전자재료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구분 | 구체적용도 |
반도체 전자재료 | - DPT 제품 : DPT 제품(Double Patterning Tech.용 소재)- SiO/SiN 제품 : Low-Temp.용 절연재료- High-k 제품 : 캐패시터 유전막용 소재- ACL 제품 : 식각공정에 사용되는 하드마스크필름용 소재- 확산방지막 제품 : 확산방지막용의 소재 |
- 기타화학재료 (연구 제품: High-k, Low-k, Metal 소재 등) |
(2) 시장점유율
반도체용 증착소재는 일반적으로 CVD(Chemical Vapor Deposition)/ALD(Atomic Layer Deposition) 공정에 사용되는 소재를 말하며, 일부 공정은 Spin Coating 공정으로 적용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착소재의 국내시장 규모는 약 1조원 대로 추정되며, 해외 기업들이 약 50%를 점유하고, 당사는 약 7%를 점유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제품인 DPT, High-k, SiO/SiN 재료 등은 고객사의 벤더 이원화 정책에 의해 각 50% 이상의 점유율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글로벌 IT 시장조사업체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은 전년 대비 16.8% 증가하여 총 6,2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2023년에 38.8%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66.3% 성장하여 총 87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NAND 플래시 시장 역시 2023년에는 공급 과잉과 수요 부진으로 인해 38.8% 감소하며 354억 달러로 추정되었으나, 2024년에는 49.6% 증가하여 53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또한,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에 따르면 2025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024년 대비 1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시장 규모는 약 6,97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이러한 전망은 인공지능(AI) 기술의 확산과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인해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산업 전체 규모의 확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차세대 반도체 재료 트렌드에 맞춰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으며, 고객사 및 장비기업과의 다양한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 중입니다. 또한, 신규 수요처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기업 및 장비기업과의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신소재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 - 1.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참고사항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기 이전 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의견을 득한 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dnfsolution.com/)의 공시정보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
제 24 기 2024. 12. 31 현재 |
제 23 기 2023. 12. 31 현재 |
주식회사 디엔에프 (단위 : 원) |
과목 | 제24 (당)기말 | 제23 (전)기말 |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56,774,853,843 | 60,938,241,131 | ||
현금및현금성자산 | 5,417,763,623 | 6,240,868,369 | ||
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2,005,800,000 | ||
단기금융상품 | 10,000,000,000 | 5,000,000,000 | ||
매출채권 | 3,918,568,336 | 4,019,979,154 | ||
기타유동금융자산 | 2,041,150,905 | 152,405,983 | ||
재고자산 | 33,334,719,921 | 41,431,112,353 | ||
기타유동자산 | 2,025,670,289 | 1,726,376,749 | ||
당기법인세자산 | 36,980,769 | 361,698,523 | ||
Ⅱ. 비유동자산 | 105,141,580,025 | 104,648,849,623 | ||
비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6,223,621,087 | 6,860,769,228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236,530,492 | 1,990,530,858 | ||
유형자산 | 87,405,532,830 | 87,961,392,522 | ||
사용권자산 | 253,688,012 | 129,861,000 | ||
투자부동산 | 917,060,542 | 1,023,845,470 | ||
영업권이외의무형자산 | 1,061,981,962 | 854,573,390 | ||
이연법인세자산 | 3,901,320,817 | 2,335,035,024 | ||
기타비유동자산 | 4,141,844,283 | 3,492,842,131 | ||
자산총계 | 161,916,433,868 | 165,587,090,754 | ||
부채 | ||||
Ⅰ. 유동부채 | 7,908,019,132 | 10,052,310,661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6,409,461,071 | 2,435,606,001 | ||
단기차입금 | - | 6,000,000,000 | ||
기타유동부채 | 1,433,490,498 | 1,560,583,362 | ||
유동리스부채 | 65,067,563 | 56,121,298 | ||
Ⅱ. 비유동부채 | 857,353,750 | 525,164,878 | ||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26,331,333 | - | ||
기타비유동부채 | 554,885,065 | 460,056,863 | ||
비유동리스부채 | 176,137,352 | 65,108,015 | ||
부채총계 | 8,765,372,882 | 10,577,475,539 | ||
자본 | ||||
Ⅰ. 지배기업소유지분 | 153,151,060,986 | 155,009,615,215 | ||
자본금 | 5,785,929,000 | 5,785,929,000 | ||
주식발행초과금 | 47,976,096,560 | 47,976,096,560 | ||
기타자본항목 | 3,086,926,015 | 3,261,976,015 | ||
이익잉여금 | 96,302,109,411 | 97,985,613,640 | ||
Ⅱ. 비지배지분 | - | - | ||
자본총계 | 153,151,060,986 | 155,009,615,215 | ||
부채및자본총계 | 161,916,433,868 | 165,587,090,754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24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3 기 (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주식회사 디엔에프 (단위 : 원) |
과목 | 제 24(당)기 | 제 23(전)기 | ||
---|---|---|---|---|
I. 매출액 | 73,948,566,785 | 84,232,727,799 | ||
II. 매출원가 | (57,100,616,549) | (68,196,031,745) | ||
III. 매출총이익 | 16,847,950,236 | 16,036,696,054 | ||
판매비와관리비 | (17,866,872,806) | (18,899,325,627) | ||
IV. 영업손실 | (1,018,922,570) | (2,862,629,573) | ||
금융수익 | 1,201,664,334 | 800,905,323 | ||
금융비용 | (1,423,086,840) | (1,048,462,928) | ||
기타수익 | 634,043,739 | 11,907,628,960 | ||
기타비용 | (271,114,304) | (127,754,807) | ||
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877,415,641) | 8,669,686,975 | ||
VI. 법인세수익 | 1,508,283,012 | 5,578,059,816 | ||
VII. 계속사업이익 | 630,867,371 | 14,247,746,791 | ||
VIII. 중단사업손실 | - | (9,074,216,308) | ||
IX. 당기순이익 | 630,867,371 | 5,173,530,483 | ||
지배기업 소유지분 | 630,867,371 | 9,340,844,751 | ||
비지배지분 | - | (4,167,314,268) | ||
X. 기타포괄손익 | - | (425,782,167)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428,386,114) | ||
재측정요소 | - | (428,386,114)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 | 2,603,947 | ||
해외사업환산손익 | - | 2,603,947 | ||
XI. 총포괄이익 | 630,867,371 | 4,747,748,316 | ||
지배기업 소유지분 | 630,867,371 | 9,137,286,920 | ||
비지배지분 | - | (4,389,538,604) | ||
XII. 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계속영업이익 | 55 | 1,591 | ||
기본주당중단영업손실 | - | (784) | ||
희석주당계속영업이익 | 55 | 1,591 | ||
희석주당중단영업손실 | - | (784) |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 |
제24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23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디엔에프 | (단위 : 원) |
과 목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이익잉여금 | 비지배지분 | 총계 |
---|---|---|---|---|---|---|---|
2023.1.1 (전기초) | 5,785,929,000 | 47,958,611,560 | 5,889,151,770 | 19,447,345 | 91,163,943,214 | 6,951,109,831 | 157,768,192,720 |
당기순이익 | - | - | - | - | 9,340,844,751 | (4,167,314,268) | 5,173,530,483 |
배당금의 지급 | - | - | - | - | (2,314,371,600) | - | (2,314,371,600) |
지분율변동(23.05.16) | - | 17,485,000 | 86,154,938 | - | - | 182,219,662 | 285,859,600 |
재평가잉여금(보험수리적손실) | - | - | - | - | (204,802,725) | (223,583,389) | (428,386,114) |
주식매입선택권 | - | - | - | - | - | 27,165,000 | 27,165,000 |
환율변동 | - | - | - | 1,244,894 | - | 1,359,053 | 2,603,947 |
연결범위변동 | - | - | (2,713,330,693) | (20,692,239) | - | (2,770,955,889) | (5,504,978,821) |
2023.12.31 (전기말) | 5,785,929,000 | 47,976,096,560 | 3,261,976,015 | - | 97,985,613,640 | - | 155,009,615,215 |
2024.1.1 (당기초) | 5,785,929,000 | 47,976,096,560 | 3,261,976,015 | - | 97,985,613,640 | - | 155,009,615,215 |
당기순이익 | - | - | - | - | 630,867,371 | - | 630,867,371 |
배당금의 지급 | - | - | - | - | (2,314,371,600) | - | (2,314,371,600) |
자기주식의 취득 | - | - | (175,050,000) | - | - | - | (175,050,000) |
2024.12.31 (당기말) | 5,785,929,000 | 47,976,096,560 | 3,086,926,015 | - | 96,302,109,411 | - | 153,151,060,986 |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 |
제24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23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디엔에프 | (단위 : 원) |
과목 | 제 24(당)기 | 제 23(전)기 |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6,035,931,815 | 3,640,648,208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주석 35) | 15,249,047,799 | 2,328,063,300 | ||
당기순이익 | 630,867,371 | 5,173,530,483 | ||
조정 | 5,352,592,543 | 1,676,505,755 | ||
자산ㆍ부채의 증감 | 9,265,587,885 | (4,521,972,938) | ||
2. 이자의 지급 | (121,036,959) | (1,026,988,605) | ||
3. 이자의 수취 | 641,206,002 | 410,151,999 | ||
4. 법인세 환급액 | 266,714,973 | 1,929,421,514 |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430,929,334) | (2,101,845,508)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3,425,730,791 | 23,100,015,865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20,000,000,000 | 2,750,136,987 | ||
유형자산의 처분 | 30,541,500 | 25,323,882 | ||
무형자산의 처분 | 60,909,091 | 21,255,611 | ||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 | 11,754,203,885 | ||
비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202,500,000 | - | ||
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2,000,000,000 | 6,000,000,000 | ||
기타유동금융자산의 감소 | 198,591,000 | 189,058,000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 | 933,189,200 | 2,360,037,500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31,856,660,125) | (25,201,861,373) | ||
유형자산의 취득 | (5,941,406,197) | (17,988,796,471) | ||
무형자산의 취득 | (318,213,928) | (360,264,902)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25,000,000,000) | (5,800,000,000) | ||
비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100,000,000) | (500,000,000) |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 | (3,600,000) | ||
기타유동금융자산의 증가 | - | (25,000,000)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증가 | (497,040,000) | (524,200,000) |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428,107,227) | (3,218,190,554)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26,331,333 | 17,735,859,600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 | 16,950,000,000 | ||
장기차입금의 차입 | - | 500,000,000 | ||
정부보조금의 증가 | 126,331,333 | - | ||
유상증자 | - | 285,859,600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8,554,438,560) | (20,954,050,154)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6,000,000,000) | (17,710,000,000)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743,320,000) | ||
배당금 지급 | (2,314,371,600) | (2,314,371,600) | ||
자기주식의 취득 | (175,050,000) | - | ||
리스부채의 원금지급 | (65,016,960) | (186,358,554) | ||
IV. 현금의 감소(I+II+III) | (823,104,746) | (1,679,387,854) | ||
V. 기초의 현금 | 6,240,868,369 | 7,935,196,418 | ||
VI. 외화표시 현금의 환율변동효과 | - | (14,940,195) | ||
VII. 기말의 현금 | 5,417,763,623 | 6,240,868,369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제 24 (당)기 | 2024년 1월 1일부터 | 제 23 (전)기 | 2023년 1월 1일부터 |
2024년 12월 31일까지 |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처분예정일 | 2025년 3월 26일 | 처분확정일 | 2024년 3월 29일 |
(단위: 원) |
과목 | 제 24 (당)기 | 제 23 (전)기 | ||
---|---|---|---|---|
Ⅰ.미처분이익잉여금 | 94,225,561,971 | 96,140,503,360 | ||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93,594,694,600 | 91,071,251,824 | ||
2.지배기업소유지분 당기순이익 | 630,867,371 | 9,340,844,751 | ||
3.종속기업 처분으로 인한 변동 | - | (4,271,593,215) | ||
Ⅱ.이익잉여금처분액 | (1,271,254,380) | (2,545,808,760) | ||
1.이익준비금 | (115,568,580) | (231,437,160) | ||
2.배당금(주석 36) | (1,155,685,800) | (2,314,371,600) | ||
주당배당금(률) : 당기 : 100원(20%) 전기 : 200원(40%) | ||||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92,954,307,591 | 93,594,694,600 |
-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5년 3월 26일 주주총회에서 확정될 예정입니다(전기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9일).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2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①이 회사는 매년 1월 1일부터 1월 7일까지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한다.
②이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최종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③이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3개월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주주명부의 기재변경 정지와 기준일의 지정을 함께 할 수 있다. 회사는 이를 2주간 전에 공고하여야 한다 . |
제12조(기준일) ①삭제
①이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②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사회결의로 정한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주주명부 폐쇄기간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기준일 현재의 권리행사주주를 확정할 수 있음
1항 삭제로 2항을 1항으로 이동 및 문구 수정
3항을 2항으로 이동 및 표준정관 준용 |
제43조(이익배당) ①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금전 외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제1항의 배당은 매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④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41조제6항에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정한다. |
제43조(이익배당) 현행과 같음
②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각각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③회사는 제1항의 배당을 위하여 이사회결의로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여야 하며, 그 경우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현행과 같음 |
상법 관련 조항 및 표준정관 준용
결산배당기준일 정비 및 표준정관 준용 |
제43조의2(분기배당) ①이 회사는 사업년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 말일 현재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제1항의 분기배당은 이사회의 결의로 하되, 그 결의는 제1항의 각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
제43조의2(분기배당) ①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자본시장법 개정 반영 및 표준정관 준용
분기배당기준일 정비 및 표준정관 준용 |
신설 | 이 정관은 2025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신설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진성 | 1963.02.08 | 해당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진성 | - | 1989 ~ 2023 |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30년) 및파운드리사업부(4년) 근무 | 없음 |
2006 | 삼성전자 명예박사 | |||
2009 ~ 2023 | 삼성전자 경영임원(상무-전무-부사장) | |||
2024 ~ 현재 | 공급망안정화기금 심위위원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진성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30년 이상 삼성전자에서 제조 및 생산기술, 경영 전략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조직 운영 및 사업 관리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쌓아왔습니다. 이러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후보자는 감사로서의 역할을 엄격하고 공정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추천하는 바입니다. |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5.5억원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에는 제24기 사업연도 중 일신상의 사유로 중도 사임한 사내이사의 급여를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0.4억원 |
최고한도액 | 1억원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2025년 3월 18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dnfsolution.com) 공시정보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게재된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사항, 오기 등의 사유로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업데이트될 예정이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