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파이오링크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0일
회 사 명 : (주)파이오링크
대 표 이 사 : 조 영 철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98 IT캐슬 1동 401호
(전 화)02-2025-6900
(홈페이지)http://www.piolink.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엄재권
(전 화)02-2025-69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5기 정기)

주주님의 가정에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 20조에 의거 제 25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5년 3월 25일(화) 오전 11:00

2. 장 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98, IT캐슬 1동, 파이오링크 8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1) 감사보고2) 영업보고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 안건

제 1 호 의안 : 제25기(2024.1.1~2024.12.31)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현금배당(1주당 배당금 300원, 배당총액 1,987,328,100원)

제 2 호 의안 : 정관 변경의 건

제 3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3-1호 의안: 사내이사 이성민 재 선임의 건

3-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이현서 재 선임의 건

3-3호 의안: 사외이사 김홍진 신규 선임의 건

3-4호 의안: 사외이사 배시영 신규 선임의 건

제 4 호 의안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4-1호 의안: 감사위원 김홍진 신규 선임의 건

4-2호 의안: 감사위원 배시영 신규 선임의 건

제 5 호 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최광희 신규 선임의 건

제 6 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 7 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5년 3월 15일 09시 ~ 2025년 3월 24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6. 기타사항

- 상법 제542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사오니, 이점 양해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출석률: %) B(출석률: %) C(출석률: %) D(출석률: %)
찬 반 여 부
해당사항 없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해당사항 없음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당사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 개발 및 제조기업입니다. 데이터센터는 컴퓨터, 각종 저장장치, 네트워크 및 보안솔루션부터 전력공급 및 냉각기술에 이르기까지 현대 정보기술의 핵심 제품이 모두 집약되어 있는 하나의 거대한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데이터센터를 통해 현 인류가 누리는 정보기술의 모든 서비스와 혜택을 시간,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제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당사는 이러한 데이터센터의 주요 솔루션을 연구 개발하고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대용량의 네트워크 요구사항을 빠르게 처리하고,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 가치를 제공하며, 전송내용의 보안을 위한 다양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업영역은 보안장비, 애플리케이션 전송장치(ADC) 및 L2스위치, 데이터센터 인프라장비로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데이터센터의 구성은 외부의 다양한 고객들이 데이터센터 내부의 서버와 저장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유연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계층별로 다양한 목적의 네트워크 장비, 보안장비, 컴퓨팅장비, 저장장치 등으로 구성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데이터센터는 크게는 구글, 애플 등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 기업에서 단독으로 운영하는 IDC(Internet Data Center)부터, 학교, 기업, 관공서/공공기관, 병원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전산실이라는 영역까지 업종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됩니다. 데이터센터의 규모에 따라 도입장비의 용량, 수량 등에서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 및 목적은 동일합니다.

이와 함께 2015년에 시작한 보안관제 서비스는 각 기업들의 서비스에 대한 정보보안 침해/서비스 동향을 24시간 365일 모니터링하고, 사전 확인, 분석, 대응조치 등의 전반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18년 3월에는 보안컨설팅 사업부분을 양수하여 정보보안 전문기업으로서의 위상을 갖추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네트워크 장비 및 보안서비스 시장은 스마트폰/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확산, 다양한 영화/비디오/유튜브 등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멀티미디어 전송 서비스의 증가, 5G 6G 등 고속 이동통신 기술의 발달 등과 연계되며 이와 관련된 네트워크 및 보안시장은 꾸준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네트워크 및 보안서비스는 도로/항만/전기/수도와 같이 현대사회의 핵심 인프라이며, 전통적인 인프라 시장과 달리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시장입니다. 이에 따라 1회성의 투자 이후 침체/정체 된다거나, 경기변동에 따라 투자규모가 크게 흔들리지 않으며, 안정적이고 꾸준한 투자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당사 영위 사업은 완전 경쟁시장이며, 사업영역별로 1~2개의 국내기업과 다수의 글로벌 해외기업과의 경쟁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프라 솔루션은 제품의 품질문제가 서비스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어, 매우 높은 신뢰성과 안정성, 높은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합니다. 또한 다양한 최신의 네트워크 표준을 준수하며, 타 네트워크 솔루션과의 호환성을 보장해야 하는 등, 신규 기업이 접근하기에는 높은 수준의 기술력과, 제품 품질 및 안정성에 대한 시장의 오랜 신뢰구축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데이터센터 솔루션은 높은 부가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시장 특성은 전형적인 B2B 산업으로, 고객과 밀착된 SI/NI 사업자 및 다양한 네트워크/IT 전문 유통 파트너의 확보가 기업의 큰 경쟁력이 됩니다.

보안관제 및 보안컨설팅 사업 시장은 보안의 위협 증가 및 법적인 제도로 인해 수요가 공급보다 많은 시장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안관제 전문 서비스 기업', '정보보호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지정된 보안 기업들이 경쟁하는 시장으로 진입 장벽은 다소 높은 편입니다.

보안관제 서비스, 보안컨설팅 서비스 등이 주로 국내 주요 보안기업들과 경쟁을 하는 구조이기는 하지만, 한번 고객을 확보하게 되면 고객정보의 기밀성 및 정책의 일관성 이유로, 고객이 쉽게 경쟁사로 변경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받는 경향을 가집니다. 보안관제서비스, 보안컨설팅 서비스가 보안 인력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모델이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인건비 창출 외에도 보안ISP, 클라우드 보안 컨설팅, 각종 전문가 서비스, 보안솔루션과의 결합 등의 다양한 사업 시너지를 통해, 상당한 수준의 수익을 확보 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보안 Knowledge 확보에 재투자 하여, 고객에게 다시 양질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순환 구조가 가장 큰 경쟁력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제품은 데이터센터/전산실의 주요 구성요소 중 애플리케이션 전송장비(ADC), L2스위치, 보안장비(웹 방화벽) 등 입니다. 애플리케이션 전송장비는 트래픽의 증가에 따른 네트워크의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부하분산(로드밸런싱; Load Balancing) 기능과 함께 데이터의 빠른 전송을 위한 가속 기능 및 일부 보안기능까지 제공하는 등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핵심이라 할 수 있습니다. L2스위치는 PC 등의 단말장비가 네트워크에 접속하게 되는 영역에 위치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목적지로 전송하는 관문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웹 방화벽은 웹(Web)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에 대해 특화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전문 보안장비입니다.

당사의 정보보안 분야 제공서비스는 보안관제 서비스와 보안컨설팅 서비스입니다.

보안관제 서비스는 기업고객 및 일부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하는 당사의 관제센터를 통해 제공하는 원격관제와, 공공 및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적절한 보안 인력을 파견하여 고객의 보안관제 업무 전체를 수행하는 파견관제로 나누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보안컨설팅 서비스는 국가 주요시설 통신망을 보유한 고객 및 ISMS 인증을 준비하는 공공기관 및 기업 고객, 그리고 전국 주요 상급병원을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 진단, ISMS 인증 점검, 개인정보 컨설팅, 보안 마스터플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AD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ADC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중앙집중형 IT환경에서, 집중화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고, 처리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가속기술 및 전송내용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IT 인프라의 주요 핵심 솔루션입니다.

ADC의 대표적인 기능인 서버 부하 분산(Server Load Balancing-SLB)은 인터넷 트래픽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러 개의 서버들(서버 풀)에게 효율적으로 배분하여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켜주는 기능입니다. 서버 부하 분산 기능을 사용한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첫째, 서버 이용률과 네트워크 대역폭의 효율이 증가됩니다. 사용자의 세션 트래픽이서버 풀에 있는 현재 가용한 서버들 중에서 부하가 적은 서버를 통해 처리됩니다. 그러므로, 하나의 서버에 트래픽이 집중되는 것을 막아주고 서버의 트래픽 처리 지연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대역폭의 낭비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사용자에게 신뢰성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서버들에 의해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셋째, 서비스의 범용성(scalability)을 높일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늘어나고 서버들의처리 용량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 기존 서비스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서버를 서버 풀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ADC 제품에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ADC 전용의 운영체제(OS)인 PLOS가 탑재되어 있으며, 이 운영체제는 L2/3 영역의 스위칭 기능, L4/7영역의 부하분산 및 스위칭, 그리고 ADC로써 갖추어야 할 가속, 보안, 가상화 등의 기능을 모두 제공합니다.

2) 보안스위치 (TiFRONT)

보안스위치는 새로운 클라우드 보안스위치 컨셉이 다수의 레퍼런스 확보를 통해 고객의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한 바 있어, 클라우드 보안스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시장에서 클라우드 보안스위치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어, 일본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 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3) 웹방화벽 (Web Application Firewall)

인터넷 및 네트워크의 진화, IT 산업의 발전은 웹(Web)서비스를 기반으로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증가로 이어지며, 이러한 웹 애플리케이션의 증가는 보안위협 이라는 과제를 함께 동반하게 됩니다. 웹방화벽 (WAF, Web Application Firewall)은, 이러한 웹 서비스의 보안기능에 특화된 보안 솔루션으로, 고도화되고 복잡화된 웹 애플리케이션의 발전에 따라 필수 보안솔루션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

4) 보안서비스

보안관제 서비스는 기업의 IT 정보보안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보안전문가 또는 보안 전문 기업에게 업무 수행을 위탁하는 IT 서비스의 일종입니다. 고객의 보안 시스템 및 자산 정보를 기반으로 24시간 365일 보안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적절한 보안 대응 정책을 수립하며, 외부 공격자의 침입 시도에 대한 탐지, 분석, 대응 등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일련의 보안 업무를 위탁 받아 제공합니다.

현대 산업에서 보안 관제는 사업의 성패와 안정성, 수익성을 담보할 수 있는 기반 산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기업이 보안과 관련하여 대처가 미흡할 경우 서비스 손실 및 기업 가치 하락 등 실질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도 꾸준한 수요와 성장성 가치를 지닌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18년 3월 보안컨설팅 서비스 사업부분을 양수하였습니다. 정보보호 컨설팅 서비스는 정보보호 평가인증, 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개인정보보호 컨설팅, 정보감사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국내 보안 컴플라이언스와 관련해서 ISMS 의무화 및 공공기관 및 주요 통신기반시설을 보유한 고객들의 취약점 진단 대상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가) AD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

ADC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환경에서 서버 및 스토리지의 가상화와 이에 따른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증가, 애플리케이션 전송 효율성에 대한 요구 증가로 인해 그 역할에 대한 기대와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최적화의 핵심 솔루션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ADC는 시장규모, 기술 진입장벽 등의 요인으로 시장 참여에 사업참여자의 숫자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현재 글로벌시장에서는 F5네트웍스, 브로케이드, 라드웨어, 시트릭스 등이 활동하고 있으며, 국내기업으로는 파이오링크가 대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일본 및 중국시장에는 자국의 ADC 벤더가 일부 있으나 대부분 내수 시장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으며, 가트너 등의 시장조사 기관이 집계하는 의미 있는 시장경쟁력을 가진 ADC 벤더의 수는 10개 이내입니다.

국내에서는 당사가 40% 내외의 점유율로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외 외산 기업인 F5, 시트릭스, 라드웨어가 각 10~20% 수준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고, 기타 5%내외의 시장을 나머지 기업들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 보안스위치 (TiFRONT)

보안스위치 시장은 당사와 국내 기업인 한드림넷에서 보안기능 차별화를 통한 신규 시장 개척에 집중하며 기존 네트워크 스위치 시장 내에서의 점유율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업체는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등이 있으며 해외 업체로는 시스코, HP 등 전통적인 네트워크 사업자와의 경쟁도 함께 존재하고 있습니다.

국내 L2/3 스위치 시장은 시스코를 선두로 HP, 알카텔루슨트, 브로케이드, 델 등 주요 네트워크 메이저 기업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시장 혹은 제품 특성에 따라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 등 국내 업체들이 소규모의 점유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 웹방화벽 (WEBFRONT)

국내 웹방화벽 시장은 시장형성기에 다수의 업체가 경쟁하던 구도에서 파이오링크,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모니터랩 등의 국내 기업과 바라쿠다시스템즈, 임퍼바 등 외산 벤더가 일부의 시장을 점유하는 형태로 변화되었습니다. 이는 국내 보안시장의 특수성과 각종 규제 등에 외산 벤더들이 적극적으로 대처하지 못한 점과 빠른 기술대응/급변하는 보안환경에의 대응 등에 있어서 충분한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업체들의 자연스러운 도태와 상대적으로 우수한 제품이 시장에서 가치를 인정받는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시장에서는 당사 및 펜타시큐리티시스템, 모니터랩 등이 시장의 60~70% 수준의 점유율을 가져가고 있고 해외 기업 및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등의 시장이 나머지 20~30%를 점유하는 등 국내 기업이 전체 시장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라) 보안서비스국내 보안관제 사업은 이글루코퍼레이션, 인포섹, 안랩, 윈스 등이 선도 기업으로 시장을 이끌어가고 있으며, 이외 다양한 중소/중견 기업에서 각자 차별화 된 서비스를 통해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보안관제의 형태로는 원격 관제센터에서 고객의 보안 동향을 관제하는 원격관제 서비스와 고객사에 직접 전문관제인력을 파견하는 파견관제 서비스로 구분됩니다. 관제 시장은 전체적으로 국내 업체들의 전문 영역으로 외국 기업과의 경쟁 수준은 매우 낮은 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국내 보안컨설팅 시장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보호 서비스 전문기업' 지정을 받은 기업들 위주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보안 기업들 중에서 인포섹, 안랩, 윈스, 시큐아이 등이 주로 사업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상기 외 다수의 정보보안 컨설팅 기업들도, 시장영역이나 특화된 보안컨설팅 서비스를 내세워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공공기관 및 다수의 기업시장입니다. 네트워크 솔루션이지만, 특정한 통신서비스 사업자의 인프라 구축에 일괄 납품되어 설치되는 방식이 아니라, 대규모 데이터센터부터, 소규모 전산실까지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가 필요한 학교, PC방, 소규모에서 대규모 기업의 데이터센터, 병원, 공공기관의 대민서비스, 은행/증권 금융 등의 인터넷 서비스 등 다양한 데이터센터의 서비스를 위한 전송, 보안의 고객가치를 제공합니다.

이에 따라, 특정 고객의 투자계획 및 예산 변동에 따라 당사의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사업영위가 가능합니다. 새로운 서비스의 개시 및 꾸준히 증가하는 네트워크 수요에 대한 대응을 위해 신규구매 및 기존 장기운용 제품의 교체/업그레이드 수요가 꾸준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국내외 5,000여 고객사에서 이러한 신규수요 및 교체/재구매 수요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매출을 가능케 합니다.

보안서비스 시장의 경우 4차산업 혁명에서 보안서비스는 필수 요소로 작용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HCI (Hyper-Converged Infrastructure)-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

당사는 데이터센터 최적화 솔루션 시장 확대 및 성장 전략으로 하이퍼 컨버지드 인프라를 선정하고, 해당 기술 및 제품 개발, 시장 확대 등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하이퍼-컨버지드 인프라는 x86 서버만으로 분산 스토리지 및 고가용성 가상화 환경을 손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기존 네트워크 장치, 보안장치 중심의 사업 영역에서 데이터센터 솔루션의 핵심인 서버와 스토리지의 사업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HCI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확산과 함께 주목 받고 있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구축의 핵심 요소로 평가 받고 있으며, 클라우드로의 전환에 있어 필수적인 제품으로, 기존 당사의 네트워크 장치, 보안장치와 함께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시장에서의 성장 전략의 핵심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 1호 의안: 제25기(2024.1.1~2024.12.31)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참고사항 ※ 하기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로서 추후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최종 확정된 재무제표 및 주석은 향후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 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 25 기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4 기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파이오링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목 제25기 제24기
자산    
Ⅰ. 유동자산 70,667,204,222 70,826,704,098
현금및현금성자산 39,448,599,445 38,075,972,077
매출채권 14,767,741,610 13,711,045,440
단기금융상품 1,756,301,639 966,947,946
당기법인세자산 172,944,179 155,613,590
기타수취채권 960,641,634 1,116,887,881
재고자산 11,373,519,775 15,338,058,328
기타유동자산 1,281,821,693 655,060,721
계약자산 905,634,247 807,118,115
Ⅱ. 비유동자산 23,104,738,724 22,359,868,694
기타투자자산 5,073,292,400 5,820,192,400
기타수취채권(비유동) 876,143,962 1,049,578,096
유형자산 8,223,283,477 8,239,741,684
무형자산 3,087,379,185 3,084,710,526
이연법인세자산 5,567,094,087 4,049,924,784
기타비유동자산 277,545,613 115,721,204
자산총계 93,771,942,946 93,186,572,792
부채
Ⅰ. 유동부채 8,854,692,845 10,786,572,665
매입채무 1,537,563,848 2,606,672,322
당기법인세부채 143,247,633
기타지급채무(유동) 2,781,403,869 2,163,802,108
충당부채 235,483,783 298,567,588
단기리스부채 387,450,051 497,629,717
기타유동부채 3,769,543,661 5,219,900,930
Ⅱ. 비유동부채 2,111,893,579 1,817,888,302
충당부채(비유동) 68,417,865 60,060,417
장기리스부채 327,922,519 514,305,671
기타비유동부채 1,715,553,195 1,243,522,214
부채총계 10,966,586,424 12,604,460,967
Ⅰ.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82,776,402,574 80,582,111,825
자본금 3,428,165,000 3,428,165,000
자본잉여금 28,297,346,818 28,297,346,818
기타자본항목 (1,800,048,536) (1,335,862,246)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759,344,136) (1,013,598,432)
이익잉여금 54,610,283,428 51,206,060,685
Ⅱ. 비지배지분 28,953,948
자본총계 82,805,356,522 80,582,111,825
부채와자본총계 93,771,942,946 93,186,572,792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25기 제24기
매출 58,295,777,255 59,017,753,144
매출원가 34,590,649,376 30,940,498,618
매출총손익 23,705,127,879 28,077,254,526
판매비와관리비 21,113,113,500 19,073,078,713
영업이익 2,592,014,379 9,004,175,813
기타수익 183,548,927 781,588,626
기타비용 26,871,064 27,189,067
금융수익 1,646,656,695 1,533,566,431
금융원가 193,521,983 818,932,63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201,826,954 10,473,209,172
법인세비용 (1,196,299,928) (98,250,883)
당기순이익(손실) 5,398,126,882 10,571,460,055
지배기업 소유지분 5,408,255,443 10,571,460,055
비지배지분 (10,128,561)
기타포괄손익 (744,776,095) (545,619,490)
후속적 당기손익 재분류 항목
해외사업환산손익 2,123,905
후속적 당기손익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746,900,000) 423,500,00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969,119,490)
총포괄손익 4,653,350,787 10,025,840,565
지배기업 소유지분 4,662,509,739 10,025,840,565
비지배지분 (9,158,952)
기본주당순이익 811원 1,583원
희석주당순이익 811원 1,583원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구 분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비지배지분 총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합계
제24기 기초(2023.1.1) 3,428,165,000 28,297,346,818 (1,335,862,246) (1,437,098,432) 43,607,752,820 72,560,303,960 72,560,303,960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10,571,460,055 10,571,460,055 10,571,460,05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423,500,000 423,500,000 423,500,00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969,119,490) (969,119,490) (969,119,490)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현금배당 (2,004,032,700) (2,004,032,700) (2,004,032,700)
제24기 기말(2023.12.31) 3,428,165,000 28,297,346,818 (1,335,862,246) (1,013,598,432) 51,206,060,685 80,582,111,825 80,582,111,825
제25기 기초(2024.1.1) 3,428,165,000 28,297,346,818 (1,335,862,246) (1,013,598,432) 51,206,060,685 80,582,111,825 80,582,111,825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5,408,255,443 5,408,255,443 (10,128,561) 5,398,126,88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746,900,000) (746,900,000) (746,900,000)
해외사업환산손익 1,154,296 1,154,296 969,609 2,123,905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현금배당 (2,004,032,700) (2,004,032,700) (2,004,032,700)
자기주식 취득 (464,186,290) (464,186,290) (464,186,290)
비지배지분 38,112,900 38,112,900
제24기 기말(2023.12.31) 3,428,165,000 28,297,346,818 (1,800,048,536) (1,759,344,136) 54,610,283,428 82,776,402,574 28,953,948 82,805,356,522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구 분 제 25 기 제 24 기
I. 영업활동 현금흐름 6,064,969,981 (2,069,270,203)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5,230,864,980 (3,002,898,069)
(1) 당기순이익 5,398,126,882 10,571,460,055
(2) 조정사항 1,627,421,494 1,967,751,677
(3) 자산 및 부채의 증감 (1,794,683,396) (15,542,109,801)
2. 이자의 수취 933,027,568 1,250,036,414
3. 이자의 지급 (42,570,236) (50,091,019)
4. 배당금의 수취 138,600,000 138,600,000
5. 법인세의 납부 (194,952,331) (404,917,529)
II. 투자활동 현금흐름 (1,963,995,730) 18,217,736,184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8,646,801,160 27,734,159,995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7,966,947,946 26,948,192,839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345,671,938 294,491,940
임차보증금의 감소 245,800,000 257,225,545
기타투자자산의 감소 88,381,276 205,613,307
유형자산의 처분 28,636,364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0,610,796,890) (9,516,423,811)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8,756,301,639 6,444,941,732
임차보증금의 증가 162,700,000 396,542,360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390,000,000 299,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1,150,762,717 993,434,119
무형자산의 취득 151,032,534 1,382,505,600
III. 재무활동 현금흐름 (2,990,733,298) (2,512,404,667)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8,112,900
비지배지분의 증가 38,112,900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028,846,198) (2,512,404,667)
자기주식의 취득 464,186,290
리스부채의 상환 560,627,208 508,371,967
배당금의 지급 2,004,032,700 2,004,032,70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1,110,240,953 13,636,061,314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38,075,972,077 24,992,491,371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262,386,415 (552,580,608)
Ⅴ.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39,448,599,445 38,075,972,077

2) 별도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5 기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4 기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단위 : 원)
과목 제25기 제24기
자산
유동자산 70,499,322,745 70,826,704,098
현금및현금성자산 39,374,615,886 38,075,972,077
매출채권 14,767,741,610 13,711,045,440
단기금융상품 1,756,301,639 966,947,946
당기법인세자산 172,944,179 155,613,590
기타수취채권(유동) 960,641,634 1,116,887,881
재고자산 11,279,860,069 15,338,058,328
기타유동자산 1,281,583,481 655,060,721
계약자산 905,634,247 807,118,115
비유동자산 23,150,111,407 22,359,868,694
기타투자자산 5,073,292,400 5,820,192,400
종속기업투자주식 45,372,683
기타수취채권(비유동) 876,143,962 1,049,578,096
유형자산 8,223,283,477 8,239,741,684
무형자산 3,087,379,185 3,084,710,526
이연법인세자산 5,567,094,087 4,049,924,784
기타비유동자산 277,545,613 115,721,204
자산총계 93,649,434,152 93,186,572,792
부채
유동부채 8,750,234,485 10,786,572,665
매입채무 1,537,563,848 2,606,672,322
당기법인세부채 142,975,117
기타지급채무(유동) 2,780,587,989 2,163,802,108
충당부채 235,483,783 298,567,588
단기리스부채 387,450,051 497,629,717
기타유동부채 3,666,173,697 5,219,900,930
비유동부채 2,111,893,579 1,817,888,302
충당부채(비유동) 68,417,865 60,060,417
장기리스부채 327,922,519 514,305,671
기타비유동부채 1,715,553,195 1,243,522,214
부채총계 10,862,128,064 12,604,460,967
자본
자본금 3,428,165,000 3,428,165,000
자본잉여금 28,297,346,818 28,297,346,818
기타자본항목 (1,800,048,536) (1,335,862,246)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760,498,432) (1,013,598,432)
이익잉여금 54,622,341,238 51,206,060,685
자본총계 82,787,306,088 80,582,111,825
부채와자본총계 93,649,434,152 93,186,572,792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단위 : 원)
과 목 제 25 기 제 24 기
매출 58,295,777,255 59,017,753,144
매출원가 34,590,649,376 30,940,498,618
매출총손익 23,705,127,879 28,077,254,526
판매비와관리비 21,091,189,089 19,073,078,713
영업이익 2,613,938,790 9,004,175,813
기타수익 183,548,927 781,588,626
기타비용 26,871,064 27,189,067
금융수익 1,646,652,025 1,533,566,431
금융원가 193,521,983 818,932,63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223,746,695 10,473,209,172
법인세비용 (1,196,566,558) (98,250,883)
당기순이익(손실) 5,420,313,253 10,571,460,055
기타포괄손익 (746,900,000) (545,619,490)
후속적 당기손익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746,900,000) 423,500,00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969,119,490)
총포괄손익 4,673,413,253 10,025,840,565
기본주당순이익 812원 1,583원
희석주당순이익 812원 1,583원

자 본 변 동 표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단위 : 원)
구 분 지배기업 소유주 지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총계
제24기 기초(2023.1.1) 3,428,165,000 28,297,346,818 (1,335,862,246) (1,437,098,432) 43,607,752,820 72,560,303,960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10,571,460,055 10,571,460,05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423,500,000 423,500,00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969,119,490) (969,119,490)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현금배당 (2,004,032,700) (2,004,032,700)
제24기 기말(2023.12.31) 3,428,165,000 28,297,346,818 (1,335,862,246) (1,013,598,432) 51,206,060,685 80,582,111,825
제25기 기초(2024.1.1) 3,428,165,000 28,297,346,818 (1,335,862,246) (1,013,598,432) 51,206,060,685 80,582,111,825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5,420,313,253 5,420,313,25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746,900,000) (746,900,000)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등 :
현금배당 (2,004,032,700) (2,004,032,700)
자기주식 취득 (464,186,290) (464,186,290)
제25기 기말(2024.12.31) 3,428,165,000 28,297,346,818 (1,800,048,536) (1,760,498,432) 54,622,341,238 82,787,306,088

현 금 흐 름 표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단위 : 원)
구 분 제 25 기 제 24 기
I. 영업활동 현금흐름 6,076,595,910 (2,069,270,203)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5,242,501,465 (3,002,898,069)
(1) 당기순이익 5,420,313,253 10,571,460,055
(2) 조정사항 1,627,159,534 1,967,751,677
(3) 자산 및 부채의 증감 (1,804,971,322) (15,542,109,801)
2. 이자의 수취 933,022,898 1,250,036,414
3. 이자의 지급 (42,570,236) (50,091,019)
4. 배당금의 수취 138,600,000 138,600,000
5. 법인세의 납부 (194,958,217) (404,917,529)
II. 투자활동 현금흐름 (2,009,368,413) 18,217,736,184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8,646,801,160 27,734,159,995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7,966,947,946 26,948,192,839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345,671,938 294,491,940
임차보증금의 감소 245,800,000 257,225,545
기타투자자산의 감소 88,381,276 205,613,307
유형자산의 처분 28,636,364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0,656,169,573) (9,516,423,811)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8,756,301,639 6,444,941,732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주식의 취득 45,372,683
임차보증금의 증가 162,700,000 396,542,360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390,000,000 299,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1,150,762,717 993,434,119
무형자산의 취득 151,032,534 1,382,505,600
III. 재무활동 현금흐름 (3,028,846,198) (2,512,404,667)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3,028,846,198) (2,512,404,667)
자기주식의 취득 464,186,290 -
리스부채의 상환 560,627,208 508,371,967
배당금의 지급 2,004,032,700 2,004,032,700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1,038,381,299 13,636,061,314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38,075,972,077 24,992,491,371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260,262,510 (552,580,608)
Ⅴ.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39,374,615,886 38,075,972,077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25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4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이오링크 (단위 : 원)
구 분 25기 24기
처분예정일: 2025년 3월 25일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6일
미처분이익잉여금 53,816,677,558 50,600,800,275
전기이월이익잉여금 48,396,364,305 40,998,459,71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969,119,490)
당기순이익(손실) 5,420,313,253 10,571,460,055
이익잉여금 처분액 2,186,060,910 2,204,435,970
이익준비금 198,732,810 200,403,270
<현금배당> 주당배당금 보통주: 당기 300원, 전기 300원 1,987,328,100 2,004,032,700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51,630,616,648 48,396,364,305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제 2호 의안: 정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30조(이사의 원수)

회사의 이사는 3인 이상으로 하며, 사외이사를 둘 수 있다.

제30조(이사의 원수)

회사의 이사는 3인 이상으로 하며, 사외이사는 이사총수의 4분의 1 이상으로 한다.

사외이사의 수 구체화 및 상법반영

제36조(이사의 의무)

④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제36조(이사의 의무)

④ 이사는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위원회나 감사위원회위원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감사위원회 적용으로 인한 문구수정

제37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의일 3일 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④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제2항의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제37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의일 3일 전에 각 이사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제2항의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감사위원회 적용으로 인한 문구수정
<신설>

제37조의2(위원회)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이사회 내에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1. 감사위원회

2. 기타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위원회

② 각 위원회의 권한, 운영 등에 관하여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제39조 및 제40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감사위원회 신설

제40조(이사회의 의사록)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제40조(이사회의 의사록)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 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감사위원회 적용으로 인한 문구수정

제6장(감사)

제43조(감사)생략제44조(감사의 임기)생략제45조(감사의 보선)생략제46조(감사의 직무)생략제47조(감사의 감사록)생략제48조(감사의 보수와 퇴직금)생략

제6장( 감사위원회)

제43조( 감사위원회의 구성)

① 회사는 감사에 갈음하여 감사위원회를 둔다.

② 감사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되, 총 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사외이사로 한다.

③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④ 감사위원회위원의 해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⑤ 제3항, 제4항의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 또는 해임에는 의결권 있는 발 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최대주주인 경우에는 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회위원을 선임 또는 해임할 때에 그 의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 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를 합산한다)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제44조( 감사위원의 분리선임.해임)

① 제43조에 따라 구성하는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 중 1명은 주주총회 결의로 다른 이사들과 분리하여 감사위원회위원이 되는 이사로 선임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분리선임한 감사위원회위원을 해임하는 경우 이사와 감사위원회위원의 지위를 모두 상실한다.

제45조( 감사위원회 대표의 선임)

① 감사위원회는 그 결의로 위원회의 대 표를 선임하여야 한다.

제46조( 감사위원회의 직무 등)

①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감사위원회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 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③ 감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구할 수 있다.

④ 감사위원회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 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없이 보고를 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 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⑤ 감사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4항 외에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⑥ 감사위원회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 할 수 있다.

⑦ 제6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위원회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제47조( 감사록)

① 감사위원회는 감사의 실시요령과 결과를 감사록에 기재하고 감사를 실시한 감사위원회 위원이 기명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야 한다.제48조(삭제)

감사내용을 삭제하고 감사위원회 내용으로 대체

제50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과 비치 등)

② 대표이사는 정기주주총회 회의일의 6주간 전에 제1항의 서류를 감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③ 감사는 정기주주총회 일의 1주전까지 감사보고서를 대표이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⑥ 대표이사는 제5항의 규정에 의한 승인을 얻은 때에는 지체없이 대차대조표와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공고하여야 한다.

<신설><신설>

제50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의 작성과 비치 등)

② 대표이사는 정기주주총회 회의일의 6주간 전에 제1항의 서류를 감사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감사위원회는 정기주주총회 일의 1주전까지 감사보고서를 대표이사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⑥ 제5항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가 법령 및 정관에 따라 회사의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를 적정하게 표시하고 있다는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있고,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상법 제447조의 각 서류를 이사회 결의로 승인할 수 있다.

⑦ 제6항에 따라 승인받은 서류의 내용은 주주총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⑧ 대표이사는 제5항 또는 제6항의 규정에 의한 승인을 얻은 때에는 지체없이 대차대조표와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공고하여야 한다.

감사를 감사위원회로 수정

재무제표를 이사회에서 승인할 수 있는 조항 추가

□ 이사의 선임

제 3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3-1호 의안: 사내이사 이성민 재 선임의 건

3-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이현서 재 선임의 건 3-3호 의안: 사외이사 김홍진 신규 선임의 건 3-4호 의안: 사외이사 배시영 신규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성민 700826 사내이사 - - 이사회
이현서 710903 기타비상무이사 - 최대주주의 임원 이사회
김홍진 630226 사외이사 - 이사회
배시영 680127 사외이사 - 이사회
총 ( 4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성민 파이오링크 부사장 2022~現2012~2021 파이오링크 부사장파이오링크 영업본부장 해당사항 없음
이현서 이글루코퍼레이션 CFO 2000~現 이글루코퍼레이션 CFO 해당사항 없음
김홍진 OPA 의장 2022~現2019~20241990~2019 open cloud platform alliance 의장네이버 클라우드 기술총괄 전무IBM Korea CTO 해당사항 없음
배시영 일신회계법인 부대표 2002~現1997~20021991~1997 일신회계법인한국신용평가삼일회계법인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성민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현서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홍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배시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김홍진 사외이사 후보자(신규선임)본 후보자는 IBM에서 CTO를, 네이버 클라우드 사업부에서는 기술총괄 전무를 역임하였습니다. 현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의 open cloud platform alliance(OPA)의 의장직을 맡고 있습니다. 기술 분야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경영과 사업수행에 대한 전문적인 의견을 개진하여 회사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후보자는 상기와 같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할 것이며, 이사회 및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견제 및 감독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파이오링크의 정도경영 강화에 기여하고, 주주 가치 제고 및 이해관계자의 균형 있는 권익 증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배시영 사외이사 후보자(신규선임)

본 후보자는 한국공인회계사로서 삼일회계법인과 한국 신용평가에 근무하면서 다년간 회계감사 및 경영컨설팅 전반에 걸친 업무를 해왔으며 현재 일신회계법인에 재직중인 회계 분야 전문가입니다. 본 후보자는 상기와 같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할 것이며, 이사회 및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견제 및 감독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파이오링크의 정도경영 강화에 기여하고, 주주 가치 제고 및 이해관계자의 균형 있는 권익 증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이성민 사내이사 후보자(재선임)후보자는 LG반도체, LG텔레콤에서 자금 및 재무관리업무를 거친후, 2001년 당사에 입사하였습니다. 입사 후 관리 및 영업 전반에서 경력을 쌓으며 2022년 부사장으로 선임 되었습니다. 회사 초기부터 국내 및 해외 영업신장에 큰 기여를 해 왔기에 사내이사로 재 추천 하였습니다.

- 이현서 기타비상무이사 후보자(재선임)

후보자는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이글루코퍼레이션의 CFO로, 회사의 Risk관리 및 경영관리 등 큰 역할을 하고있으므로 기타비상무이사로 추천 하였습니다.

- 김홍진 사외이사 후보자(신규선임)후보자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로 사업적 기회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등 당사 사업확장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되기에 사외이사로 추천 하였습니다.- 배시영 사외이사 후보자(신규선임)후보자는 재무,회계분야의 전문가로 회사의 사업 운영과 투자 등 합리적인 재무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언과 방향성을 제공할 적임자라 판단되어 추천 하였습니다.

확인서 사내이사 이성민 선임의 건.jpg 사내이사 이성민 선임의 건 기타비상무이사 이현서 선임의 건.jpg 기타비상무이사 이현서 선임의 건 사외이사 김홍진 선임의 건.jpg 사외이사 김홍진 선임의 건 사외이사 배시영 선임의 건.jpg 사외이사 배시영 선임의 건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제 4호 의안: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4-1호 의안: 감사위원 김홍진 신규 선임의 건

4-2호 의안: 감사위원 배시영 신규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홍진 630226 사외이사 - - 이사회
배시영 680127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홍진 OPA 의장 2022~現2019~20241990~2019 open cloud platform alliance 의장네이버 클라우드 기술총괄 전무IBM Korea CTO 해당사항 없음
배시영 일신회계법인 부대표 2002~現1997~20021991~1997 일신회계법인한국신용평가삼일회계법인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홍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배시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홍진 후보자(신규선임)후보자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로 사업적 기회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등 당사 사업확장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되기에 추천 하였습니다.- 배시영 후보자(신규선임)후보자는 재무,회계분야의 전문가로 회사의 사업 운영과 투자 등 합리적인 재무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조언과 방항성을 제공할 적임자라 판단되어 추천 하였습니다.

제 5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최광희 신규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최광희 730311 사외이사 분리선출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최광희 법무법인 세종 고문 2025~現2024~現2023~現2021~2023 국가정보원 사이버보안 실태평가 위원법무법인 세종 고문동부지검 사이버범죄 중점수사 자문위원국방부 방위산업기술 보호위원회 위원고려대학교 인공지능사이버보안학과 겸임교수KISA 사이버침해대응본부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최광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최광희 후보자(신규선임)본 후보자는 현재 법무법인 세종의 고문으로 있으며, KISA(한국 정보보호 진흥원)에서 사이버침해대응 본부장, 디지털보안산업 본부장등을 역임하였습니다. 또한 국가정보원 사이버보안 실태평가 위원, 동부지검 사이버범죄 중점수사 자문위원, 국방부 방위산업기술 보호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고려대학교 인공지능 사이버보안학과 겸임교수를 맡고 있는 보안분야의 전문가 입니다. 보안 분야에 대한 다양하고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경영과 사업수행에 대한 전문적인 의견을 개진하여 회사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본 후보자는 상기와 같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투명하고 독립적인 의사결정 및 직무수행을 할 것이며, 이사회 및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견제 및 감독의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파이오링크의 정도경영 강화에 기여하고, 주주 가치 제고 및 이해관계자의 균형 있는 권익 증진을 위하여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최광희 후보자(신규선임)후보자는 보안분야의 전문가로 사업적 기회를 탐색하고, 개발하는 등 당사 사업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되기에 추천 하였습니다.

확인서 감사위원회 위원 김홍진 선임의 건.jpg 감사위원회 위원 김홍진 선임의 건 감사위원회 위원 배시영 선임의 건.jpg 감사위원회 위원 배시영 선임의 건 사외이사 최광희 선임의 건.jpg 사외이사 최광희 선임의 건 감사위원 위원 최광희 선임의 건.jpg 감사위원 위원 최광희 선임의 건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8( 3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0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918백만원
최고한도액 1,500백만원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8백만원
최고한도액 50백만원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03.17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 http://www.piolink.com (회사소개 - 뉴스.행사안내)-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 입니다.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 참고사항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2025년 3월 15일 09시 ~ 2025년 3월 24일 17시(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 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해당사항 없음- 당사는 2025년 주총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참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