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11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 |
대 표 이 사 : | 박 치 영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문터길 72-23 | |
(전 화) 031-350-4500 | ||
(홈페이지) http://www.ysfc.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무담당 | (성 명) 전 재 필 |
(전 화) 031-350-4500 | ||
(제25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2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25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28일(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문터길 72-23 ㈜윤성에프앤씨 본사 복지동 2층
3. 회의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감사의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2) 의결사항
제1호 의안 : 제25기 (2024.01.01.-2024.12.31)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현금배당의 건 (보통주 1주당 200원 / 시가배당률 : 0.55%)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 제③항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 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 대리행사 :
가. 개인주주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나. 법인주주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 대리인의 신분증
6. 전자투표제도에 관한 사항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 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 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 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관리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 수여기간 : 2025년 3월 18일 9시 ~ 2025년 3월 27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다. 시스템에 공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최종열(출석률:100%) | 김영철(출석률:100%) | 허승(출석률: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15 | 제 24 기 재무제표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4-02-23 | 제 24 이익잉여금처분(현금배당)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3 | 2024-02-23 | 경영투명성위원회 설치 종료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4-02-23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5 | 2024-02-23 |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4-04-12 | 신안은행 외화지급보증서 발급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7 | 2024-04-12 | 타법인(제이알 에너지 솔루션) 지분투자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8 | 2024-05-14 | 한국산업은행 대환 기간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9 | 2024-06-04 | 프로젝트 Direct Agreement 체결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0 | 2024-06-24 | 타법인 지분투자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1 | 2024-07-03 | 신규사업(태양광발전소운영) 사업성 심의 및 중요자산 취득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2 | 2024-09-23 | 국민은행 운전자금 차입의 건 | - | 찬성 | 찬성 |
13 | 2024-10-14 | 하나은행 운전자금 차입의 건 | - | 찬성 | 찬성 |
주) 최종열 사외이사는 2024년 7월 18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2,500 | 61 | 24 | - |
주1)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사외이사 전체의 이사보수 한도액 승인 금액입니다.주2) 지급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및 사임한 사외이사가 지급받은 보수를 합산한 금액입니다.주3) 최종열 사외이사는 2024년 7월 18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국내 이차전지 장비 산업 초기에는 국내 이차전지 주요 제조업체들이 Main Mixer는 외산장비, 일부 공정 및 주변장비는 국산장비를 사용했습니다. 2012년도 당사와 고객사의 공동개발로 Main Mixer를 내재화하여 세계최초이자 최대용량인 PD MIXER 1300L, 2300L를 개발하여 Main Mixer 양산화에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본격적으로 주요 제조업체의 활발한 투자가 진행되었고, 국산화가 진행된 덕분에 국내 이차전지 장비 산업은 빠르게 발전할 수 있었으며, 제조 수준 및 기술력도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게 되었습니다. 한국기계연구원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글로벌 이차전지 장비 시장은 2022년 14.5조원에서 2023년 17.5조원으로 성장하였으나 2024년 전기차 캐즘으로 인한 주요 배터리 제조사의 투자 축소로 성장세가 일부 정체된 바 있습니다. 이차전지 장비 시장은 한국 중국 일본이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점유율이 높은 상황입니다. 2023년 기준 중국은 전체 이차전지 장비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대한민국이 26%, 일본이 8% 수준으로 점유하고 있습니다. 이차전지 장비시장은 전극 공정, 조립 공정, 활성화 공정으로 구분되며, 전극 공정은 2035년까지 연평균성장률(CAGR) 15%를 보이며 이차전지 장비 시장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극공정장비는 믹싱, 코팅, 롤프레싱 등으로 구분되며 전극 공정 중 코팅 장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믹싱장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최근 이차전지 산업의 성장 가능성과 제조업체들의 본격적인 투자로 다수의 장비업체도 시장에 진입하고 있으나, 당사를 비롯한 국내 업체들과의 기술격차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설계근거에 대한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믹싱 전문 R&D 센터를 준공하여 관련된 원천 기술들을 연구하고 이를 자사의 제조 프로세스, 장비, 프로그램에 응용함으로써 고품질의 경쟁력있는 제품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대에 발맞춰 스마트팩토리 실현을 위해 IoT, AI, AR System을 활용한 제조 솔루션, 시스템 자동화 등 연구개발에 경주를 다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전극 공정 중 첫번째인 믹싱시스템을 턴키방식으로 공급하는 사업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의 주요 제품은 믹싱·분체 제작품, 믹싱시스템 및 믹싱라인 R&D(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차전지 장비 중 당사가 영위하는 믹싱 시스템은 미국과 유럽시장의 수요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면서 지속적인 장비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며, 전극 공정은 배터리 제조의 핵심 공정으로 타 공정 대비 기술진입장벽이 높은 공정입니다. 또한, 이차전지 제조사들은 지속적으로 제조장비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기존 장비의 대형화, 효율화 등을 요구하고 있어 당사는 이차전지 제조사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믹싱시스템의 대형화, 건식 믹싱시스템의 개발, 연속식 믹싱장비 등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타사와 기술적인 차별화를 위해 다양한 설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고객의 니즈에 맞는 강성설계 뿐만 아니라 장비의 세부적인 요인까지 검증하여 장비의 예방정비보전을 위한 라이프 사이클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 배터리 제조공정에 설치된 장비별로 라이프 사이클 시기에 맞춰 정기적으로 유지보수 시점을 고객에 리마인드 차원에서 공지를 해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믹싱시스템을 주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기에 단일사업부문에 해당되어 부문별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속해 있는 믹싱시스템의 시장점유율에 대한 공신력 있는 통계자료는 발표되지 않고 있으나, 전방산업인 전기차와 ESS 에너지 저장장치의 지속적인 수요 증대 및 전고체 배터리 개발로 인한 장비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당사가 속해 있는 믹싱시스템은 시장과 기술선점에 의한 학습효과와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분야입니다. 이차전지 시장의 특성상 고품질의 슬러리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까다로운 요구조건과 테스트를 거쳐야만 제품의 납품이 가능합니다. 현재 믹싱시스템은 당사를 주축으로 몇몇 업체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며, 신규업체가 이러한 시장상황을 대응하면서 진입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볼수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기술적 진입장벽이 있는 산업 이차전지 산업은 기술주도와 시장 선점을 위해 지속적인 R&D가 필요한 기술집약 산업입니다. 이차전지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고에너지, 고출력밀도, 고안정성 및 고수명의 이차전지 품질 확보에 필요한 공정기술확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차전지 제조장비는 고객의 Needs에 맞추어 고객과 공동으로 기술개발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차전지 제조업체인 고객은 원가절감을 위하여 대용량 생산이 가능한 설비를 요구하므로 이차전지 제조장비의 규모 및 운용효율이 높은 장비의 개발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따라서 고유 R&D 역량을 바탕으로 특정 이차전지 제조 고객과 장비 공급업체가 함께 연구개발 및 설비개선을 지속적으로 진행해야 하며, 수준 높은 장비 개발 역량이 요구되는 기술적 진입장벽이 있는 산업입니다. 나. 지속성장 산업 이차전지 산업은 전기차용 중대형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으며 소형전지는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양산공급이 지속될 전망이고 중대형전지는 한국, 중국, 일본시장과 미국 및 유럽의 독일을 비롯한 선진국의 시장 참여로 친환경 시장 구도가 가속화 될 전망입니다. 신기능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전동공구류 등의 소형전지 시장형성과 다양한 전기차종의 등장으로 고용량전지, 대면적 폴리머전지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증가로 인해 이차전지 산업은 지속하여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전동공구류, 전기이륜차 등의 신규시장의 높은 성장성과 향후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 등의 대용량 전지 시장 또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이차전지 및 장비 시장은 세계 각국의 선진국들이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친환경 정책을 펼침에 따라 질적, 양적인 면에서 지속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이차전지 믹싱시스템의 품질향상과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기술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R&D 센터에서는 기구개발/연구, 기구개발/설계, 제어개발, 공정개발, AI Solution개발 등 분야별 전문성 및 고도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최첨단 파일럿 설비 도입 등으로 차세대 믹싱 시스템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하여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책 과제 수행 및 2차전지, 바이오/제약, 식품 업종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공정 장비 및 품질 관리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IoT 기술을 접목한 슬러리 믹싱 시스템을 세계최초로 구현하여 믹싱 품질의 고도화라는 고객 니즈를 충족시킴은 물론, 연속식 슬러리 제조 시스템, 차세대 건식 믹싱 시스템 개발, 전고체용 믹싱 시스템 개발 사업화 추진을 통해 계속해서 변해가는 고객 수요에 대응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1) 주주총회 소집공고 재무제표(연결,별도)주주총회 소집공고에 작성된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 및 주주총회 승인결과에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2) 최종 재무제표 확인방법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1) 연결재무제표- 연결 재무상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25(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4(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 25(당) 기말 | 제 24(전) 기말 | ||
---|---|---|---|---|
자산 | ||||
I. 유동자산 | 202,540,286,705 | 264,251,004,697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5,443,216,027 | 53,764,382,199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12,780,002,463 | 105,107,540,699 | ||
기타유동금융자산 | 57,000,000 | 24,000,000 | ||
계약자산 | 16,555,308,655 | 9,977,716,584 | ||
기타유동자산 | 3,087,127,237 | 8,806,873,858 | ||
재고자산 | 54,617,632,323 | 86,570,491,357 | ||
II. 비유동자산 | 98,334,982,287 | 81,669,489,486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267,700,000 | 967,100,000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567,935,219 | 2,536,148,487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3,101,1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1,117,521,747 | 338,722,451 | ||
관계기업투자 | 6,922,463,333 | 3,974,159,942 | ||
유형자산 | 80,361,522,595 | 70,085,464,970 | ||
무형자산 | 2,407,349,708 | 1,298,979,063 | ||
투자부동산 | 266,941,890 | 273,344,738 | ||
사용권자산 | 230,009,664 | 1,768,107,313 | ||
이연법인세자산 | 1,092,438,131 | 427,462,522 | ||
자 산 총 계 | 300,875,268,992 | 345,920,494,183 | ||
부채 | ||||
I. 유동부채 | 94,157,445,014 | 163,506,429,215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46,765,962,983 | 93,764,874,642 | ||
계약부채 | 22,259,356,559 | 19,107,122,542 | ||
차입금 | 15,763,894,259 | 44,305,100,000 | ||
기타유동부채 | 260,590,207 | 241,263,080 | ||
기타충당부채 | 1,529,131,165 | 2,671,467,678 | ||
당기법인세부채 | 7,578,509,841 | 3,416,601,273 | ||
II. 비유동부채 | 9,463,385,975 | 21,224,399,223 | ||
장기차입금 | 9,192,810,000 | 20,482,030,000 | ||
기타비유동채무 | 46,900,667 | 559,642,268 | ||
기타비유동부채 | 223,675,308 | 182,726,955 | ||
부 채 총 계 | 103,620,830,989 | 184,730,828,438 | ||
자본 | ||||
I.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197,254,438,003 | 161,189,665,745 | ||
자본금 | 797,904,800 | 797,904,800 | ||
자본잉여금 | 87,247,215,607 | 87,247,215,607 | ||
기타자본항목 | 200,060,970 | 32,084,505 | ||
이익잉여금 | 109,009,256,626 | 73,112,460,833 | ||
II. 비지배지분 | - | |||
자본 총계 | 197,254,438,003 | 161,189,665,745 | ||
자본과 부채 총계 | 300,875,268,992 | 345,920,494,183 |
-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5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24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와 그 종속기업 | (단위: 원) |
과 목 | 제25(당) 기 | 제24(전) 기 |
---|---|---|
매출액 | 271,333,263,956 | 312,881,434,759 |
매출원가 | 202,652,356,144 | 259,346,461,701 |
매출총이익 | 68,680,907,812 | 53,534,973,058 |
판매비와관리비 | 36,766,855,045 | 27,061,021,662 |
영업이익 | 31,914,052,767 | 26,473,951,396 |
기타수익 | 216,196,677 | 175,442,658 |
기타비용 | 204,020,226 | 205,706,628 |
금융수익 | 21,029,890,455 | 11,645,345,837 |
금융비용 | 6,215,565,466 | 8,517,751,559 |
관계기업투자수익 | 386,484,528 | 350,504,673 |
관계기업투자비용 | - | 24,802,04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7,127,038,735 | 29,896,984,329 |
법인세비용 | 10,033,385,742 | 5,376,218,103 |
당기순이익 | 37,093,652,993 | 24,520,766,226 |
기타포괄손익 | 167,976,465 | 32,084,505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해외사업환산손익 | 167,976,465 | 32,084,505 |
총포괄손익 | 37,261,629,458 | 24,552,850,731 |
당기순이익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37,093,652,993 | 24,520,766,226 |
비지배지분 | - | |
총포괄이익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37,261,629,458 | 24,552,850,731 |
비지배지분 | - |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4,649 | 3,073 |
희석주당이익 | 4,649 | 3,073 |
(2) 별도재무제표
- 별도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25(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4(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 (단위 : 원) |
과 목 | 제 25(당) 기말 | 제 24(전) 기말 | ||
---|---|---|---|---|
자산 | ||||
I. 유동자산 | 200,955,700,429 | 263,172,353,256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3,940,771,946 | 52,749,116,344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12,697,860,268 | 105,044,155,113 | ||
기타유동금융자산 | 57,000,000 | 24,000,000 | ||
계약자산 | 16,555,308,655 | 9,977,716,584 | ||
기타유동자산 | 3,087,127,237 | 8,806,873,858 | ||
재고자산 | 54,617,632,323 | 86,570,491,357 | ||
II. 비유동자산 | 99,422,421,794 | 82,641,708,816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267,700,000 | 967,100,000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521,310,489 | 2,526,594,95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3,100,100,000 | |||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1,118,521,747 | 338,722,451 | ||
관계기업투자 | 6,922,463,333 | 3,974,159,942 | ||
종속기업투자 | 1,759,638,520 | 1,257,038,520 | ||
유형자산 | 79,735,948,312 | 69,810,199,308 | ||
무형자산 | 2,407,349,708 | 1,298,979,063 | ||
투자부동산 | 266,941,890 | 273,344,738 | ||
사용권자산 | 230,009,664 | 1,768,107,313 | ||
이연법인세자산 | 1,092,438,131 | 427,462,522 | ||
자 산 총 계 | 300,378,122,223 | 345,814,062,072 | ||
부채 | ||||
I. 유동부채 | 94,242,371,403 | 163,526,858,911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46,853,575,028 | 93,785,304,338 | ||
계약부채 | 22,259,356,559 | 19,107,122,542 | ||
차입금 | 15,763,440,000 | 44,305,100,000 | ||
기타유동부채 | 258,358,810 | 241,263,080 | ||
기타충당부채 | 1,529,131,165 | 2,671,467,678 | ||
당기법인세부채 | 7,578,509,841 | 3,416,601,273 | ||
II. 비유동부채 | 9,463,385,975 | 21,224,399,223 | ||
장기차입금 | 9,192,810,000 | 20,482,030,000 | ||
기타비유동채무 | 46,900,667 | 559,642,268 | ||
기타비유동부채 | 223,675,308 | 182,726,955 | ||
부 채 총 계 | 103,705,757,378 | 184,751,258,134 | ||
자본 | ||||
I. 자본금 | 797,904,800 | 797,904,800 | ||
II. 자본잉여금 | 87,166,757,460 | 87,166,757,460 | ||
III. 이익잉여금 | 108,707,702,585 | 73,098,141,678 | ||
자본 총계 | 196,672,364,845 | 161,062,803,938 | ||
자본과 부채 총계 | 300,378,122,223 | 345,814,062,072 |
- 별도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5 (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24 (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윤성에프앤씨 | (단위 : 원) |
과 목 | 제25(당) 기 | 제24(전) 기 |
---|---|---|
매출액 | 270,360,884,239 | 312,881,434,759 |
매출원가 | 202,652,356,144 | 259,346,461,701 |
매출총이익 | 67,708,528,095 | 53,534,973,058 |
판매비와관리비 | 36,195,035,067 | 27,046,869,265 |
영업이익 | 31,513,493,028 | 26,488,103,793 |
기타수익 | 207,354,910 | 109,351,972 |
기타비용 | 123,421,662 | 168,720,892 |
금융수익 | 21,010,011,138 | 11,644,994,956 |
금융비용 | 6,209,468,895 | 8,517,751,559 |
관계기업투자수익 | 386,484,528 | 350,504,673 |
관계기업투자비용 | - | 24,802,04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6,784,453,047 | 29,881,680,895 |
법인세비용 | 9,978,034,940 | 5,375,233,824 |
당기순이익 | 36,806,418,107 | 24,506,447,071 |
기타포괄손익 | - | - |
총포괄손익 | 36,806,418,107 | 24,506,447,071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4,613 | 3,071 |
희석주당이익 | 4,613 | 3,071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단위: 원) |
구 분 | 제 25(당)기 | 제 24(전)기 | ||
---|---|---|---|---|
처분예정일 2025년 3월 28일 |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9일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108,308,331,145 | 72,818,455,958 |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71,501,913,038 | 48,312,008,887 | ||
당기순이익 | 36,806,418,107 | 24,506,447,071 | ||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 |||
III. 합계 | 108,308,331,145 | 72,818,455,958 | ||
IV. 이익잉여금처분액 | (1,755,390,560) | (1,316,542,920) | ||
현금배당금 | 1,595,809,600 | 1,196,857,200 | ||
이익준비금 | 159,580,960 | 119,685,720 | ||
V.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06,552,940,585 | 71,501,913,038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과목 | 제25기 | 제24기 |
발행주식총수 | 7,979,048주 | 7,979,048주 |
배당주식수 | 7,979,048주 | 7,979,048주 |
주당배당금(원) | 200 | 150 |
시가배당률(%) | 0.55 | 0.13 |
총 배당금액(원) | 1,595,809,600 | 1,196,857,200 |
(*)당기(제25기) 배당계획은 최종확정된 내용이 아니며, 주주총회승인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5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1억원 |
최고한도액 | 25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8백만원 |
최고한도액 | 2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4호에 따른 주주총회일 1주전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 입니다. 주주총회에서 부결/수정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