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5일 | ||
회 사 명 : | (주)강원에너지 | |
대 표 이 사 : | 신진용, 유승주 | |
본 점 소 재 지 : | 전라북도 군산시 자유무역1길 60 (오식도동) | |
(전 화) 070-7467-9000 | ||
(홈페이지) http://www.kwenergy.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최윤성 |
(전 화) 070-7467-9000 | ||
(제51기 임시 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하여 제51기 임시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5년 04월 30일 (수) 오전 09시 30분2. 장 소 : 전라북도 군산시 자유무역1길 60, 대회의실3. 회의 목적 사항
가. 부의안건 1)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사업 목적사항 추가) 2) 제2호 의안 : 결손보전을 위한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본사 및 지점에 비치하고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wenergy.co.kr)에 게재하였으며, 한국예탁결제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당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2조 ⑤항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주주 총회에 참석 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 할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사항 - 2025년 4월 15일 주식회사 강원에너지 대표이사 신진용, 유승주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
강현주 | ||||
출석률100% | ||||
찬반여부 | ||||
1 | 2025.01.09 | 1. 임시주주총회를 위한 기준일 재설정의 건2. 임시주주총회 재소집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2 | 2025.01.24 | 1. 강원이솔루션 구매자금대출 연대보증 진행의 건 | 가결 | 찬성 |
3 | 2025.02.19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가결 | 찬성 |
4 | 2025.02.26 | 1. 제50기 내부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제5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5 | 2025.02.27 | 1. (주)강원이솔루션의 한국산업은행 운영자금 대출에 대한 연대보증입보의 건2. (주)강원이솔루션의 한국산업은행 마이너스 대출에 대한 연대보증입보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6 | 2025.03.13 | 1. 전자투표 도입 승인의 건2. 제50기 재무제표 수정사항 발생에 따른 변경 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가결 | 찬성찬성 |
7 | 2025.03.20 | 1.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대충(다모아플러스대출한도) 30억원 기한 연장의 건2. 임시주주총회를 위한 기준일 설정의 건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가결가결 | 찬성찬성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 | - | - | 승인금액은 사내이사 포함 금액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산업의 특성
1-1) 2차전지사업부문 2차전지 산업의 가치사슬은 [원자재 → 각 구성요소 제조업체 → 배터리 제조업체 → 최종사용자 → 재활용]으로 구성됩니다. 각 제조 공정에 따른 일련과정을 하나의 기업이 수행하는 경우보다는 각 단계별로 특정 기업에서 특정 기능만 담당하는 구조로 되어있고 특히 공급 산업은 이차전지 핵심소재(양극소재, 음극소재, 전해질, 분리막 등)를 공급하는 후방산업과 기타 부품 및 소재, 제조·자동화 설비 산업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1-2) 플랜트사업부문 주문생산형 산업 - 당사의 플랜트설비는 발주처의 기술적 요청에 따라 제작되는 주문생산형 설비로 비양산적이고 비범용적인 제품입니다. 설비가 설치되고 운영되는 지리적, 사회적 조건을 물리적 시스템 설계에 충분히 반영하여야 하기 때문에 동일한 시방에 의하여 제작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특정설비를 조건이 다른 타 지역에 동일하게 적용한다는것도 불가능합니다. 기술집약적 산업 - 하나의 플랜트설비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설계, 구매, 제조 및 시공, 감리 등 모든 분야의 구성원 참여가 필요하며 다양한 기술 집단의 통합이 필요한 기술집약적 산업입니다. 열역학, 유체역학, 구조공학, 연소공학 등 기계공학과 전기공학이 특히 중요하며, 필요한 기술력과 충분한 경력을 갖춘 설계 및 운영 엔지니어가 필요합니다. 당사는 오랜 경험으로 갖추어진 노하우와 전문인력을 바탕으로 일련의 구성을 모두 공급하는 일괄 공급체계(Turnkey System)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 사업의 성장성
2-1) 2차전지사업부문 당사의 전방산업 고객사는 국내외 양극재 제조기업들입니다. BMI 발표자료에 따르면 국내 대표적 양극재 제조 업체들인 에코프로비엠, LG화학, 포스코케미칼, 엘엔에프 등 양극재 4사는 전기차 배터리 수요 급증에 맞춰 미국과 유럽에 생산기지를 확장할 예정입니다. 이에, 전방산업의 확장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로 당사가 공급하는 설비에 대한 수요도 그만큼 높아질 것이라 예상됩니다. 종속회사 강원이솔루션의 소재 가공 공장을 2022년에 준공하였으며 당사의 자체개발 기술설비를 통하여 무수수산화리튬 가공 생산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2차전지 제조의 양극재 생산에 필요한 핵심 원료 소재인 수산화리튬, 무수수산화리튬, 탄산리튬, 첨가제 등을 생산, 가공, 납품 하고있으며, 고객의 요청에 맞춘 소재의 순도, 입도, 건조도 생산 및 업계 최상의 품질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2) 플랜트사업부문
당사가 설계 및 제작하는 플랜트설비는 전 세계시장 중 아시아와 중동지역에 집중 공급되고 있고 우리나라 정부의 해외건설 정책 기조에 맞춰 국내 EPC기업의 프로젝트에 참여, 수출국가의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세계경제의 침체와 플랜트설비 발주처에서의 수주저하 및 원가절감의 요구에 따른 수주금액 하락 등의 어려움은 있으나, 프로세스혁신과 기술혁신을 통해 원가를 절감하고 있으며, 다수의 장기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경제위기나 글로벌 경기하락 움직임에서도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확신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3-1) 2차전지사업부문
2차전지 사업은 화석연료 자동차에서 전기자동차로의 트렌드 변화가 명확하고,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수요의 증가하면서 2차전지 배터리의 수요가 계속되는 한 특별한 경기변동의 영향없이 꾸준한 성장의 기대가 가능합니다.
3-2) 플랜트사업부문
산업용증기발생기 산업은 대규모 자본이 투입되는 장치산업으로 기술집약적이고 경기 변동에 민감하며, 석유(원유)에 대한 가격 의존도가 높은 구조적인 특성과 유가변동에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가 경제활동의 원동력인 중간생산재(에너지)를 생산하는 기간 설비산업으로서의 그 투자규모가 거대하며 자본의 회수기간이 길어 전반적인 경기 상황, 기업의 설비투자 동향, 한 국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정책 등에 따라 수요 및 공급이 결정됩니다.
4) 경쟁요소 4-1) 2차전지사업부문 2차전지설비 및 소재가공사업은 각 설비 품목별 국내 제조사가 적어, 향후 예측되는 고객사의 생산 확대에 따른 설비 수요를 현재 경쟁업체들로서는 모두 충족시킬 수 없는 상태입니다. 당사는 플랜트산업내에서의 대규모 설비를 제작한 업력과 기술력으로 2차전지 각 제조 공정에서 고객의 운영 효율성과 비용 최적화를 제공할 설비를 제작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특허 및 지적재산권의 확보하여 시장내 경쟁력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4-2) 플랜트사업부문
국내의 플랜트 제조업체는 '내수'보다는 '수출'에 주력하고 있으며, 중동, 동남아 등지에서 업체간 경쟁적 요소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EPC기업의 설비발주 시 동일한 형태(증발량, 온도 및 압력)의 발주는 없는 편이며, 이는 발주자의 경제적 사용목적에 따라 필요한 증기의 온도 및 압력이 달라 설비 공급사들은 발주자의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할 수 있는 설비를 자체로 설계, 제작 할 수 있는 설계능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당사는 기본설계뿐 아니라 열설계, 상세설계 및 자체적인 엔지니어링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설계에서 제작, 시공, 시운전에 이르는 모든 공정을 소화할 수 있고 설비제작 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주요 원재료는 PLATE, TUBE, PIPE, 형강류, 내화재 등이 있으며, 대부분 국내기업에서 생산 공급받고 있으나 일부 국내생산이 불가한 원재료는 미국, 일본, 유럽 또는 중국 등 다양한 국외 수급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2차전지 소재 사업 2차전지 소재사업은 양극재의 필수 소재인 리튬을 구매, 가공하여 양극재 제조회사에 무수수산화리튬, 수산화리튬을 판매하는 사업입니다. 당사는 자체 개발하여 특허 출원한 전기히터건조기를 사용하고, 전공정의 설비 자동화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소재의 순도, 입도, 건조도를 맞춘 무수수산화리튬, 수산화리튬을 생산, 납품하고 있습니다.
2) 2차전지 설비 당사는 배터리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의 전체 제조공정(원료투입 및 혼합, 수세, 분쇄, 건조, 분급, 탙철, 포장)의 핵심설비에 대하여 엔지니어링 설계, 구매, 제작, 납품 후 시운전 등 시스템 전반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또한, 배터리셀 전극공정에 필요한 믹싱공정 설비 사업에 신규 진출하여 혼합,교반,분산을 통한 2차전지 양극 및 음극, 전극 Slurry를 제조하는 PD믹서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3) 산업용 증기발생기
산업용 증기발생기는 국내외 대규모 산업단지 등에 필요한 스팀(에너지) 및 온수를공급하는 핵심설비입니다. 당사는 스팀증기발생기를 단순 제작만하여 납품하는 생산방식이 아니라, 설계부터 시운전까지의 일괄 턴키방식으로 공급함으로써 앞으로도 해외 프로젝트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4) 화공 및 환경에너지설비 화공 및 환경에너지 설비에는 황회수설비, 폐열회수 증기발생기, 열매체 증기발생기 등이 있습니다.
① 황회수설비는 원유 또는 천연가스를 정제하는 공정중에서 발생하는 ACID GAS (일종의 폐가스)를 불완전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화학적 반응을 거쳐, 순도가 높은 황을 회수하는 석유화학 정제플랜트의 필수 핵심설비입니다.
② 폐열회수증기발생기는 기존의 산업 생산설비에서 사용 후 대기 중으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 재이용하여 원가절감, 대기오염 방지의 효과를 가지는 증기발생기 설비입니다.
③ 열매체증기발생기는 저압에서도 고온을 손쉽게 얻을 수 있고, 급격한 가열/냉각을자유롭게 조절이 가능하며, 83%이상의 높은 열효율이 지속되는 반영구적 증기발생기입니다. 화학공업, 유화, 방적, 플라스틱, 페인트 등 산업용 공정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당사는 입형열매체 증기발생기의 국내특허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사업부문의 구분
【주요사업의 내용】
사업부문 | 대상회사 | 사업내용 | |
2차전지사업부문 | 2차전지 소재 사업 | 강원이솔루션 | 리튬 가공, 첨가제 가공 |
2차전지 설비 | 2차전지 양극재 공정 설계 및 생산, 전극공정 생산 설비 등 | ||
강원에너지 | |||
플랜트사업부문 | 산업용증기발생기 | 수관식 스팀 증기발생기, 보조발전 증기발생기 등 | |
화공설비 | 황회수설비, 열매체 증기발생기 | ||
환경에너지설비 | 폐열회수 증기발생기, HRSG | ||
기타상품 | 기타 상품 등 |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주력 사업 및 제품은 2차전지 설비, 소재생산 및 대규모 플랜트사업으로 시장 규모에 대한 통계적 자료가 명확하지 않아 시장점유율을 수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2차전지사업부문 이차전지 시장에서 리튬이온전지는 2020년에 이미 납축전지의 순위를 역전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자동차와 에너지저장장치에 탑재되는 리튬이온전지 시장수요량은 2030년에 3,392GWh 규모로 증가할 전망으로, 2019년 수요량198GWh와 비교하면 현재 시장 수요량 대비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세계 완성차 업계가 이차전지 시장에 참여하고, 가장 큰 시장인 중국에서 정부보조금 지급 제한 규제가 일부 완화되며 전기차 이차전지 시장의 패권다툼이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플랜트사업부문
산유국을 중심으로 가스 및 석유화학플랜트 시장규모는 단순한 가스나 석유의자원 수출에 의존하는 모노컬처(Mono-Culture) 경제구조가 한계에 직면했기 때문에산유국들이 자국 내에서는 복합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는 흐름입니다.
중동지역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지역 등은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신규시장으로 손꼽고 있으며, 실질적인 희망 권역도 동남아시아, 중앙아시아, 중국 등의 순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경제위기와 같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일시적인 어려움을 극복하고, 정부차원의 지원과 투자를 지속함으로써 시장의 규모와 안정성은 더욱 확고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2차전지 및 기존 플랜트 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며 현재 신규사업의 내용이 없습니다.
(5) 조직도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사업 목적사항 추가)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 (목적)1~59. (생략)60. 위 각호와 관련된 부대사업61. 위 각호에 부대하는 설비의 제조 및 판매업62. 위 각호에 부대하는 무역 및 수출입업 | 제2조 (목적)1~59. (생략)60. 산업환경설비공사업61. 구조물 해체,비계 공사업62. (현행 60항과 같음)63. (현행 61항과 같음)64. (현행 62항과 같음) | 신규사업 추진으로 인한 사업목적 추가 |
제2호 의안 : 결손보전을 위한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승인의 건
가. 의안 제목 : 결손보전을 위한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 승인의 건
나. 의안의 요지
상법 제460조 및 동법 제461조의2에 의거 자본준비금의 결손금 보전 및 이익잉여금 전입을 통한 재무 건전성 확보- 재원 : 법정준비금(자본잉여금) - 미처리 결손금 : 2,750,042,019 (2024년말 기준)
자본잉여금 | 결손금 보전액 |
---|---|
24,352,370,457 | 4,700,000,000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본 총회는 임시주주총회임으로 사업보고서 등을 제출하지 아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