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03월 13일 |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 의결권대리행사권유 참고서류 |
|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5.03.13 |
| 3. 정정사항 |
| 항 목 | 정정요구ㆍ명령관련 여부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 해당사항 없음 | 단순 기재 오류 |
제49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⑤ 제9조2의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
제49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⑤ 제7조2의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
|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 |
| 2025 년 3 월 13 일 | |
| 권 유 자: | 성 명: 메디앙스 주식회사주 소: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64길 4, 5층전화번호: 02- 6283-6814 |
| 작 성 자: | 성 명: 손미정부서 및 직위: 재무회계팀 / 팀장전화번호: 02-6283-6814 |
|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 |||
| 가. 권유자 | 나. 회사와의 관계 | ||
| 다. 주총 소집공고일 | 라. 주주총회일 | ||
| 마. 권유 시작일 |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 ||
|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 |||
| 가. 권유취지 | |||
| 나. 전자위임장 여부 | (관리기관) | ||
| (인터넷 주소) | |||
|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 관리기관) | ||
|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 |||
|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
| 성명(회사명)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 소유비율 | 회사와의 관계 | 비고 |
|---|---|---|---|---|---|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 성명(회사명) | 권유자와의관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 소유 비율 | 회사와의관계 | 비고 |
|---|---|---|---|---|---|---|
| 계 | - | - | ||||
| 성명(회사명)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 회사와의관계 | 권유자와의관계 | 비고 |
|---|---|---|---|---|---|
| 성명(회사명) | 구분 | 주식의종류 | 주식소유수 | 회사와의관계 | 권유자와의관계 | 비고 |
|---|---|---|---|---|---|---|
| 주주총회소집공고일 | 권유 시작일 | 권유 종료일 | 주주총회일 |
|---|---|---|---|
|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
|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
| 전자위임장 수여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
|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
|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
|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
|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발행인에 한함) |
- 위임장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 홈페이지 명칭 | 인터넷 주소 | 비고 |
|---|---|---|
| 일 시 |
| 장 소 |
| 전자투표 가능 여부 |
| 전자투표 기간 |
| 전자투표 관리기관 |
|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 서면투표 가능 여부 |
| 서면투표 기간 |
| 서면투표 방법 |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1) 영업개황옳고 바른 제품만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아이를 올곧게 키울 수 있는 유아 환경조성에 앞장서 나아가겠다는 전사적 캠페인[올곧은 육아 캠페인]을 통하여 닥터아토, 퓨어가닉 제품을 시작으로 전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품질개선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관단체와 손잡고 범사회적 육아 프로모션으로 확대할 예정입니다.또한 2013년 4월에는 중국 천진 법인을 설립하여 신규성장동력을 모색함으로서 이전보다효과적으로 빠르게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글로벌 생활문화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 입니다.
1) 유아/생활사업부
당사의 스킨케어 제품군은 저자극 스킨케어의 지속적인 성장에 맞추어, Dr.ato, B&B 스킨케어 브랜드에 대한 품목군 및 카테고리, 타깃 확장을 통한 시장 점유율 확대를 도모하고 있습니다.특히 Dr.ato는 민감성 피부를 위한 브랜드로, 임상 실험을 통해 극도로 민감한 피부의 케어에 있어서 그 효능과 효과를 검증하였습니다. Dr.ato 3.5.7 브랜드는 피부 증상별, 피부 타입별로 건조하고 가려운 피부, 과민감성, 아토피성 피부의 피부 고민을 해결해 주는 고기능성 스킨케어이며, 최근에는 선스프레이를 필두로 다양한 선케어 라인이 시장에서 큰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생활용품군에서 B&B는 섬유 세제/유연제, 베이비 치약 등의 안정적인 M/S를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고객 충성도를 제고하는 동시에 제품 카테고리를 꾸준히 확대하고 있으며, 신제품 개발에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신제품 개발 결과 국내 최초로 유아 세제에 대하여 미국 FDA 기준 피부 자극 테스트를 완료하였으며, 이는 천연 원료, 피부 비자극, 인체 유해 성분 무첨가라는 기존 B&B 제품의 콘셉트를 더욱 강화한 것이 특징입니다.이러한 연구 개발을 바탕으로 섬유 유연제 부문에서는 국내 유일 화학물질 저감 우수제품 선정, 섬유 세제 부문에서는 유아 세제 중 유일하게 4년 연속 화학물질 저감 우수제품으로 선정되는 등 보다 안전한 생활용품으로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고 있습니다.이외에도 제지 부문에서는 업계 최초로 용도별, 기능별로 세분화된 기능성 물티슈(항균 손&입 티슈, 콧물 전용 티슈, 얼굴&눈가 전용 티슈)를 선보인 바 있으며, 최근 동 제품 분야에서 공격적인 시장 침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 패션/유통사업부문
전 세계적으로 사랑 받는 프랑스 명품 유아브랜드 타티네쇼콜라는 지난 2004년 메디앙스를 통해 국내에 첫 런칭 되었습니다.
브랜드 고유의 독보적 프리미엄 프렌치 감성의 명맥을 꾸준히 이어 나가고 있으며 아기의 의류부터 용품, 생활공간까지 전 상품을 아우르는 토탈코디네이션 브랜드 (Total Coordination Brand)를 지향합니다.
타티네 쇼콜라는 의류를 아기의 두 번째 피부로 생각하여 피부에 자극이 되지 않으면서 계절별,월령별 특성에 적합한 소재를 찾기 위해 노력합니다. 피부장벽이 약한 신생아에게 적합한 천연 실크 텐셀, 오가닉 코튼, 냄새와 세균번식을 억제하며 세탁 후 에도 향균력이 유지되는 기능성 프리미엄 원단을 사용합니다. 최근 타티네쇼콜라 만의 감성을 현대적으로 담아낸 트왈드주이 테마를 새롭게 선보이며 프렌치 정통감성에 트렌디함이 더해져 더욱 폭넓은 고객층으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전국 30여개의 백화점, 대리점 및 프리미엄 아울렛 매장 및 온라인 채널을 운영하고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구 분 | 분 류 기 준 | 주요재화 및 용역 |
| 모자생활 BU | 경영관리목적 | 스킨케어, 수유용품 등 |
| 패션 BU | 경영관리목적 | 유아동의류 |
(2) 시장점유율
| Category | Sub-Category | 22년점유율 | 21년점유율 | 20년점유율 |
| 스킨케어 | 유아기초 | 4% | 1% | 1% |
| 아토피 계열 | 5% | 8% | 6% | |
| 수유용품 | 젖병 | 3% | 3% | 2% |
| 젖꼭지 | 2% | 3% | 2% | |
| 수유기타 | 5% | 8% | 8% | |
| 생활용품 | 유아의류용 세제류 | 63% | 62% | 65% |
| 물티슈 | 12% | 12% | 14% | |
| 유아복 | 쇼콜라 | 7% | 7.2% | 9% |
※ 물티슈, 유아복 점유율은 시장규모대비 자사 매출규모 계산 Data 이용
(3) 시장의 특성
현재 극심한 경기침체로 인하여 성인남녀의 결혼기피 현상으로 혼인건수가 감소하고, 결혼을 했다고 하더라도 아이를 늦게 낳으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출산율의 지속적인 감소로 이어져 유아산업 전체 시장의 규모가 축소되고 있으나, 출산율의 저하로 한 가정에 한 명의 아이가 보편화 됨에 따라'내 아이만큼은 최고로 키우겠다' 는 엄마들의 기대수준 향상으로 시장에서 명품화 및 고급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시장이 급격한 상승세로 구매 패턴이 변하고 있어, 당사도 새로운 채널을 활용한 온라인 시장 경영정책을 수립하여 고객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신사업진출을 통한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반려동물사업 분야를 신사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본사업을 위해 영업, 마케팅, SCM의 핵심담당자로 구성된 Task Force가 운영 중이며, 사업의 안정적인 런칭을 위해서 동물용의약외품 OEM 생산을 먼저 진행하고 있습니다. OEM 비즈니스를 점차 확대하면서 당사가 가지고 있는 연구개발역량을 더해 단기간 내에 ODM 사업의 추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본사업과 관련하여 최대한 기존 설비의 활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체계의 안착을 위해서 소용량 조제탱크 및 자동충진기 등에 약 5.4억 투자할 계획입니다. 해당 투자금액에 대한 회수기간은 4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반려동물 연관산업 규모는 2020년 3조3753억원에서 2027년 6조55억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 인가구의 증가, 저출산, 고령화 등이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를 이끌고 있으며, 반려동물을 키우고 가족처럼 소증한 존재로 여기는 ‘펫팸(Pet + Family)’족 증가는 반려동물 양육가구 증가와 더불어 동물권에 대한 관심과 동물의 사회적 지위 상승 등으로 반려동물 연관산업의 시장은 확대 ·고급화되는 경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동물용의약외품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해 브랜드 이미지 제고와 재무성과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 ※ 아래의 재무제표는 회계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연결ㆍ별도 재무제표이며, 향후 회계감사 결과에 따라 변경/변동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연결 재무제표
- 연결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연 결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 제 46 기 2024. 12. 31 현재 |
| 제 45 기 2023. 12. 31 현재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46 (당) 기 | 제 45(전) 기 |
|---|---|---|
| 자산 | ||
| 유동자산 | 24,857,936,015 | 27,087,711,093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789,105,733 | 6,142,050,130 |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9,426,520,694 | 9,991,383,156 |
| 기타유동금융자산 | 1,508,794 | 3,233,478 |
| 재고자산 | 9,957,775,761 | 10,479,455,288 |
| 당기법인세자산 | 29,786,857 | 262,580 |
| 기타유동비금융자산 | 653,238,176 | 471,326,461 |
| 비유동자산 | 89,132,321,277 | 94,575,110,148 |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573,752,118 | 2,420,508,313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1,308,168,780 | 36,176,299,98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642,551,109 | 587,640,827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15,785,677 | 41,239,251 |
| 유형자산 | 33,981,958,428 | 34,816,244,434 |
| 사용권자산 | 447,491,254 | 116,545,198 |
| 투자부동산 | 18,017,739,687 | 18,069,615,677 |
| 무형자산 | 2,529,259,440 | 2,323,889,065 |
| 이연법인세자산 | 514,978,332 | 21,320,833 |
| 기타비유동비금융자산 | 636,452 | 1,806,570 |
| 자산총계 | 113,990,257,292 | 121,662,821,241 |
| 부채 | ||
| 유동부채 | 24,192,066,259 | 22,269,803,815 |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6,093,784,453 | 5,284,547,350 |
| 단기차입금 | 16,000,000,000 | 14,965,129,946 |
| 유동성리스부채 | 111,099,546 | 92,609,720 |
| 기타유동금융부채 | 867,281,673 | 959,513,098 |
| 당기법인세부채 | 106,963,763 | 127,265,203 |
| 기타유동비금융부채 | 783,546,869 | 564,340,119 |
| 유동충당부채 | 229,389,955 | 276,398,379 |
| 비유동부채 | 10,276,185,476 | 12,375,913,113 |
| 리스부채 | 323,562,851 | 27,605,466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3,243,772,500 | 3,465,672,500 |
| 확정급여채무 | 5,702,091,042 | 6,052,771,115 |
| 이연법인세부채 | 1,006,759,083 | 2,829,864,032 |
| 부채총계 | 34,468,251,735 | 34,645,716,928 |
| 자본 |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79,522,005,557 | 87,017,104,313 |
| 자본금 | 5,900,000,000 | 5,900,000,000 |
| 자본잉여금 | 2,750,339,984 | 2,750,339,984 |
| 자본조정 | (4,580,063,958) | (4,580,063,958)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357,661,097 | 971,208,698 |
| 이익잉여금 | 74,094,068,434 | 81,975,619,589 |
| 비지배지분 | - | - |
| 자본총계 | 79,522,005,557 | 87,017,104,313 |
| 자본과부채총계 | 113,990,257,292 | 121,662,821,241 |
- 연결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연 결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4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4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 Ⅰ. 매출액 | 48,985,993,990 | 66,023,045,995 |
| Ⅱ. 매출원가 | 25,386,538,799 | 33,603,848,108 |
| Ⅲ. 매출총이익 | 23,599,455,191 | 32,419,197,887 |
| 판매비와관리비 | 30,482,758,661 | 33,712,017,595 |
| Ⅳ. 영업이익(손실) | (6,883,303,470) | (1,292,819,708) |
| 기타영업외수익 | 1,089,017,243 | 1,455,821,301 |
| 기타영업외비용 | 142,347,060 | 678,806,298 |
| 금융수익 | 306,931,796 | 8,927,916,189 |
| 금융비용 | 5,579,637,528 | 625,170,405 |
| 지분법이익 | - | 14,082,075 |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1,209,339,019) | 7,801,023,154 |
| 법인세비용 | (3,264,969,396) | 808,547,113 |
| Ⅵ. 당기순이익 | (7,944,369,623) | 6,992,476,041 |
| Ⅶ. 기타포괄손익 | 449,270,867 | (940,279,272)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기타포괄손익 | 106,252,501 | (863,464,185)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62,818,468 | (911,758,145) |
|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43,434,033 | 48,293,960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기타포괄손익 | 343,018,366 | (76,815,087) |
|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 343,018,366 | (76,815,087) |
| Ⅷ. 총포괄손익 | (7,495,098,756) | 6,052,196,769 |
| Ⅸ. 당기순이익의 귀속 |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7,944,369,623) | 6,992,476,041 |
| 비지배지분 | - | - |
| Ⅹ. 총포괄손익의 귀속 | ||
| 지배기업소유주지분 | (7,495,098,756) | 6,052,196,769 |
| 비지배지분 | - | - |
| XI. 주당이익 | ||
| 기본주당순이익 | (701) | 619 |
<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 제 46 기 2024. 12. 31 현재 |
| 제 45 기 2023. 12. 31 현재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 자산 | ||
| 유동자산 | 23,205,761,184 | 23,498,360,692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542,627,095 | 4,032,874,877 |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0,649,238,316 | 10,284,138,461 |
| 재고자산 | 8,608,099,922 | 8,965,978,069 |
| 기타유동비금융자산 | 405,079,395 | 215,106,705 |
| 당기법인세자산 | 716,456 | 262,580 |
| 비유동자산 | 88,833,061,684 | 95,145,656,260 |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573,752,118 | 2,420,508,313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1,308,168,780 | 36,176,299,980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642,551,109 | 587,640,827 |
| 관계기업투자자산 | - | - |
| 종속기업투자자산 | 2,403,066,000 | 2,403,066,000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15,785,677 | 41,239,251 |
| 유형자산 | 33,969,860,536 | 34,802,332,916 |
| 사용권자산 | 293,351,042 | 86,247,028 |
| 투자부동산 | 18,017,739,687 | 18,069,615,677 |
| 무형자산 | 508,150,283 | 556,899,698 |
| 기타비유동비금융자산 | 636,452 | 1,806,570 |
| 자산총계 | 112,038,822,868 | 118,644,016,952 |
| 부채 | ||
| 유동부채 | 23,598,000,341 | 21,853,723,107 |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5,904,002,497 | 5,391,462,061 |
| 단기차입금 | 16,000,000,000 | 14,965,129,946 |
| 유동성장기차입금 | - | - |
| 유동성리스부채 | 73,174,697 | 60,837,488 |
| 기타유동금융부채 | 789,053,219 | 881,700,201 |
| 당기법인세부채 | 87,976,710 | - |
| 기타유동비금융부채 | 514,403,263 | 278,195,032 |
| 환불부채 | 229,389,955 | 276,398,379 |
| 비유동부채 | 10,129,039,152 | 12,432,500,371 |
| 리스부채 | 200,417,347 | 27,605,466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3,243,772,500 | 3,465,672,500 |
| 확정급여채무 | 5,343,220,946 | 5,737,507,608 |
| 이연법인세부채 | 1,341,628,359 | 3,201,714,797 |
| 부채총계 | 33,727,039,493 | 34,286,223,478 |
| 자본 | ||
| 자본금 | 5,900,000,000 | 5,900,000,000 |
| 자본잉여금 | 2,750,339,984 | 2,750,339,984 |
| 자본조정 | (4,580,063,958) | (4,580,063,958)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12,145,006 | 68,710,973 |
| 이익잉여금 | 74,129,362,343 | 80,218,806,475 |
| 자본총계 | 78,311,783,375 | 84,357,793,474 |
| 자본과부채총계 | 112,038,822,868 | 118,644,016,952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4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4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 Ⅰ. 매출액 | 46,508,292,477 | 63,818,870,170 |
| Ⅱ. 매출원가 | 24,242,017,800 | 32,719,665,866 |
| Ⅲ. 매출총이익 | 22,266,274,677 | 31,099,204,304 |
| 판매비와관리비 | 27,573,049,846 | 31,553,427,199 |
| Ⅳ. 영업이익(손실) | (5,306,775,169) | (454,222,895) |
| 기타영업외수익 | 1,071,032,781 | 959,841,979 |
| 기타영업외비용 | 122,452,605 | 641,876,300 |
| 금융수익 | 955,319,673 | 8,916,524,468 |
| 금융비용 | 5,570,058,289 | 621,939,456 |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8,972,933,609) | 8,158,327,796 |
| 법인세비용 | (2,829,788,664) | 895,852,682 |
| Ⅵ. 당기순이익 | (6,143,144,945) | 7,262,475,114 |
| Ⅶ. 기타포괄손익 | 97,134,846 | (850,451,556)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기타포괄손익 | 97,134,846 | (850,451,556)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53,700,813 | (898,745,516) |
|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43,434,033 | 48,293,960 |
| Ⅷ. 총포괄이익 | (6,046,010,099) | 6,412,023,558 |
| Ⅸ. 주당이익 | ||
| 기본주당순이익 | (542) | 643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리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 제 4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4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46(당) 기 | 제 45(전) 기 |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65,537,492,670 | 71,626,936,802 |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71,626,936,802 | 65,263,207,204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대체 | -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53,700,813 | (898,745,516) |
| 당기순이익 | (6,143,144,945) | 7,262,475,114 |
| II. 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 III.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65,537,492,670 | 71,626,936,802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배당 미지급에 따른 과거 배당이력 부재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제13조(주주명부의 폐쇄 및 기준일) ① 회사는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배당을 받을 자 기타주주 또는 질권자로서 권리를 행사할 자를 정하기 위하여 이사회 결의로 일정한 기간을 정하여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일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질권자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 또는 질권자로 볼 수 있다. ② 회사가 제1항의 기간 또는 날을 정하는 경우 3개월을 경과하지 아니하는 일정 한 기간을 정하여 권리에 관한 주주명부의 기재변경을 정지하거나, 3개월내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다. ③ 회사가 제1항의 기간 또는 날을 정한 때에는 그 기간 또는 날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제13조(기준일) ①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현재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 ② 회사는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정한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삭제> |
조문 정비 |
| <신설> |
제49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개월, 6개월 및 9개월 경과 후 45일 이내의 이사회 결의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금전으로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하는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⑤ 제7조2의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
신설 |
|
부칙 1.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4월 15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1. (시행일) 이 정관은 2025년 3월 28일부터 시행한다. |
부칙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
<권유시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 강성태 | 1961년 9월 14일 | - | 이사회 |
| 총 ( 1 ) 명 |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당해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 기간 | 내용 | |||
| 강성태 | 감사 | 1995.06~2012.01 | (주)롯데쇼핑 재경팀 팀장 | 없음 |
| 2012.02~2021.11 | (주)롯데호텔 재경담당 임원 | |||
| 2021.12~2023.12 | (주)롯데호텔 고문 | |||
다.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오랜 기간 롯데그룹에 근무하며 축적한 회계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감사의 전문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후보자로 추천함 |
<권유시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명) |
※ 기타 참고사항
-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 1 )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전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명( 1 )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369백만원 |
|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감사의 수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60백만원 |
(전 기)
| 감사의 수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4백만원 |
| 최고한도액 | 6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