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 결과)
투자 유의사항 - 임상시험 약물이 의약품으로 최종 허가받을 확률은 통계적으로 약 10% 수준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임상시험 및 품목허가 과정에서 기대에 상응하지 못하는 결과가 나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가 상업화 계획을 변경하거나 포기할 수 있는 가능성도 상존합니다.

- 투자자는 수시공시 및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공시된 투자 위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히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1. 제목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의 CordSTEM-ST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의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 수령
2. 주요내용 1) 임상시험명칭 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 동종 탯줄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회 투여, 제1상 임상시험
2) 임상시험단계 제1상
3) 임상시험승인기관 대한민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4) 임상시험실시국가 대한민국
5) 임상시험실시기관 차의과대학교 분당차병원
6) 대상질환 조기난소부전(Premature Ovarian Insufficiency, POI)
7) 신청일 2022-01-28
8) 승인일 2022-11-09
9) 등록번호 NCT06578039
{미국 임상등록 사이트(clinicaltrials.gov)에서 임상시험 진행경과 확인 가능}
10) 임상시험 목적 조기난소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CordSTEM-ST 단회 투여 후의 안전성(Safety) 및, 내약성을 평가하고, 최대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 MTD)을 확인하며, 잠재적 치료 효과를 평가한다.
11) 임상시험 방법 본 임상시험은 조기난소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용 의약품(CordSTEM-ST) 투여 후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단회 투여, 제1상 임상시험으로 설계되었다.

본 임상시험에 참여할 것을 자발적으로 서면 동의한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스크리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스크리닝 검사 결과, 선정/제외기준을 만족한 시험대상자에 한하여 본 임상시험에 등록되었다.

본 임상시험은 Traditional 3+3 design을 적용하여 선정/제외기준에 적합한 3명의 시험대상자를 순차적으로 등록하였으며 시험 계획서에 따라 첫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일부터 28일 동안 용량제한독성(Dose Limiting Toxicity, DLT)을 평가하였다. 용량제한독성(DLT)은 National Cancer Institute(NCI)-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CTCAE) Version 5.0의 Grade 3 이상의 약물이상반응(Adverse Drug Reaction, ADR) 발현으로 정의하였다.

시험군 1 또는 시험군 2에서 용량제한독성(DLT)이 발생한 경우 일차적으로 시험자의 판단 하에 시험대상자의 참여 지속 여부를 결정하며, 최대내약용량(MTD)은 동일 투여군에서 6명 중 2명 이상의 시험대상자에서 용량제한독성(DLT)이 발생한 용량의 이전 용량으로 정의하는 것으로 하였다.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와 관련하여 용량제한독성(DLT)이 발생한 시험대상자에 대해서는 발생한 용량제한독성(DLT)이 소실되거나, 베이스라인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또는 시험자가 판단하기에 더 이상의 치료나 추적관찰이 필요 없을 수준으로 회복될 때까지 적절한 치료 및 추적관찰을 계획하였다.

본 임상시험의 용량 증량 여부는 평가위원회(Steering Committee, SC)의 결정을 참고하여 의뢰자가 최종 결정하였다.

28일간의 용량제한독성(DLT) 평가기간이 완료된 시험대상자는 스크리닝, 베이스라인 방문을 포함하여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8주, 12주, 16주, 24주 시점까지 방문을 진행하였다.

임상시험 기간 동안 안전성 평가는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이상사례, 내약성 평가, 실험실 검사, 신체검진, 활력징후 및 심전도 검사로 수행하였다. 중도탈락/종료방문에 해당하는 검사를 모두 수행한 후에는 별도 계획서를 통하여 장기 안전성 평가를 위해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완료 후 5년의 장기추적조사를 실시할 것이다.
12) 1차 지표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2주, 4주, 8주, 12주, 16주, 24주 시점에 하기의 항목을 평가한다.
1) 이상반응
2) 실험실 검사
3) 신체검진
4) 활력징후
5) 심전도 검사
13) 임상시험기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 승인일로부터 12개월
14) 목표 시험대상자 수 6~12 명
3. 시험결과 1) 1차 지표 통계분석방법 1) 이상반응
본 임상시험의 모든 이상반응은 Medical Dictionary for Regulatory Activities(MedDRA) 최신 Version에 따라 System Organ Class(SOC) 및 Preferred Term(PT)으로 표준화한다. 각 투여군 별로 이상반응(AE), 약물이상반응(ADR), 중대한 이상반응(SAE) 및 중대한 약물이상반응(Serious Adverse Drug Reaction, SADR) 등이 발생한 시험대상자 수, 발현건수, 발현율 및 발현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제시한다. 각 시험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hi-square test 또는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한다.
또한, 임상시험에서 발생한 이상반응 및 약물이상반응은 각 투여군에 따라 SOC와 PT 기준으로 발현 시험대상자 수, 발현건수, 발현율 및 발현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제시하고, 중증도 별로 발현한 이상반응 및 약물이상반응에 대해서도 SOC와 PT 기준으로 발현 시험대상자 수, 발현건수, 발현율 및 발현율에 대한 95% 신뢰구간을 제시한다.
중대한 이상반응, 이상반응으로 인해 중도탈락한 시험대상자에 대한 목록을 제시한다.
본 임상시험 기간 중 발생한 악성 종양 발생 여부에 대해서,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종양 발생 여부를 제시한다.
본 임상시험 기간 중 발생한 사망에 대해서,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모든 방문 시점에 시험대상자의 사망 여부를 제시하고, 사망한 시험대상자에 대해 목록을 제시한다.
2) 실험실 검사
실험실 검사의 연속형 변수 항목은 모든 방문 시점에서 시점별 측정치 및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율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제시하고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변화에 대해 Paired t-test 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한다. 범주형 변수 항목은 모든 방문 시점에서 시점별 각 범주의 빈도 및 백분율을 제시하고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변화에 대해 McNemar's test로 분석한다. 각 시험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wo sample t-test 또는 Wilcoxon rank-sum test로 분석한다.
또한, 실험실 검사 결과를 각 임상시험 실시기관의 정상범위를 기준으로 정상(Normal),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비정상(Not Clinically Significant, NCS)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비정상(Clinically Significant, CS)으로 구분하여 시점별 각 범주의 빈도 및 백분율을 제시하고,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각 방문의 변화에 대해 shift-table을 제시하고 McNemar's test로 분석한다.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전에 정상(Normal)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비정상(NCS)이었으나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비정상(CS)으로 변화를 보인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목록을 제시한다.
3) 신체검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전에 정상(Normal)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비정상(NCS)이었으나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비정상(CS)으로 변화를 보인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목록을 제시한다.
4) 활력징후
각 방문 시점에서 시점별 측정치 및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율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제시하고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변화에 대해 Paired t-test 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한다. 각 시험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wo sample t-test 또는 Wilcoxon rank-sum test로 분석한다.
5) 심전도 검사
시점별 측정치 및 베이스라인 대비 변화율에 대한 기술통계량을 제시하고,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변화에 대해 Paired t-test 또는 Wilcoxon signed rank test로 분석한다. 각 시험군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two sample t-test 또는 Wilcoxon rank-sum test로 분석한다.
베이스라인 대비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각 방문 별 시험대상자의 변화를 정상(Normal),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비정상(NCS)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비정상(CS)으로 요약하여 shift-table로 제시하고 McNemar's test로 분석한다.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전에 정상(Normal)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비정상(NCS)이었으나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비정상(CS)으로 변화를 보인 시험대상자에 대하여 요약한다.
2) 결과값 본 임상시험 등록 후 임상시험용 의약품을 최소 한번 이상 투여 받고, 안전성 평가를 완료한 Safety Set 시험대상자 6명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총 6명 중 6명(100%)에서 21건의 이상사례가 발생하였으며, PT 기준으로 'Vaginal discharge' 2명(33.33%, 3건), 'Myalgia' 2명(33.33%, 2건), 'Abdominal pain lower'가 1명(16.67%, 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보고된 21건의 이상사례 모두 중증도는 Grade 2 이하였다.

임상시험용의약품과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약물이상반응(ADR)은 5명(83.33%)에서 17건 발생하였다. PT 기준으로 'Vaginal discharge' 2명(33.33%, 3건), 'Myalgia' 2명(33.33%, 2건), 'Breast discomfort', 'Non-cardiac chest pain', 'Temperature intolerance', 'Abdominal pain lower', 'Vomiting', 'Dizziness', 'Headache', 'Palpitations', 'Infusion related reaction', 'Cough', 'Acne', 'Hot flush'가 각 1명(16.67%, 1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Unexpected ADR) 은 2명(33.33%)에서 4건 발생하였으며, PT 기준으로 'Vaginal discharge' 2명(33.33%, 3건), 'Breast discomfort' 1명(16.67%, 1건)이었다. 보고된 4건의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의 중등도는 모두 Grade 1(Mild)이었으며, 취해진 처치 없이 회복되었다.

중대한 이상사례는 1명(16.67%)에서 1건 발생하였다. PT 기준으로 'Infusion related reaction'이었으며, 해당 SAE는 중대한 약물이상반응으로 보고되었다. 중등도는 Grade 1(Mild), 임상시험용 의약품과의 인과관계는 관련성이 의심됨(Possibly related)으로 치료약물 투여 후 회복되었다. 중대하고 예상하지 못한 약물이상반응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실 검사, 신체검진, 활력징후 및 심전도 검사 결과, 베이스라인에 정상 또는 임상적으로 의미없는 비정상(NCS) 이었으나, 임상시험용 의약품 투여 후 임상적으로 의미있는 비정상(CS)으로 변화를 보인 시험대상자는 없었다.
4. 사실발생(확인)일 2025-09-18
5. 향후계획 2029년까지 임상 참여 대상자에 대한 장기추적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며, 본 임상시험을 통해 확보한 결과는 글로벌 세포주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임.
6.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상기 '4. 사실발생(확인)일'은 당사가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로부터 임상시험결과보고서(CSR)를 전달받은 날짜입니다.

- 본 임상 결과는 당사의 IR자료 등으로 활용할 예정입니다.
※ 관련 공시 2025-05-28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임상시험 결과)(조기난소부전 환자에서의 CordSTEM-ST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평가하기 위한 임상시험의 Topline data 수령)
2022-11-09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조기난소부전(POI) 환자 대상 탯줄유래 줄기세포 치료의 제1상 임상시험 승인)
2022-01-28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조기난소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CBT210-POI' 치료제의 임상 제1/2a상 임상시험계획서 제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