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권 관련 사채권의 종류 | 전환사채권 | ||||
회차 | 6 | 종류 | 무기명식 무보증 담보부 이권부 사모 전환사채 | ||
2. 사채권 발행회사 | 회사명(국적) | 주식회사 씨지피머트리얼즈 | 대표이사 | 나병현, 박춘근(각자 대표이사) | |
자본금(원) | 319,995,000 | 회사와 관계 | 계열회사 | ||
발행주식총수(주) | 63,999 | 주요사업 | 반도체 소재 제조 및 판매 | ||
최근 6월 이내 제3자 배정에 의한 신주취득 여부 | 아니오 | ||||
3. 취득내역 |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원) | 7,000,000,000 | |||
취득금액(원) | 7,000,000,000 | ||||
자기자본(원) | 71,957,888,273 | ||||
자기자본대비(%) | 9.73 | ||||
대기업 여부 | 미해당 | ||||
4. 취득방법 | 현금취득 | ||||
5. 취득목적 | 종속회사의 경영정상화 및 사업목적 달성을 위해 추가 투자를 진행하여 반도체 소재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함 | ||||
6. 취득예정일자 | 2025-08-19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5-08-19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4 | |||
불참(명) | 0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8.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9. 풋옵션계약 등의 체결여부 | 예 | ||||
- 계약내용 | - 매도청구권(call option): 발행인 또는 발행인이 지정하는 자는 사채권자에게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는 날부터 만기일까지의 각 이자지급기일에 본 사채의 권면금액의 50%에 해당하는 전환사채권을 발행인 또는 발행인이 지정하는 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 사채권자에 의한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말한다)부터 전환사채권 만기일까지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 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 발행인의 2026년 연간 매출액이 금200억원(발행인이 영위하는 반도체 등 전자재료 소재관련 사업에서 발생한 매출로 한정함)에 미달하는 경우 기한이익 상실 사유에 해당하나, 사업의 장래성 등을 감안하여 그 실행여부 및 시기 등을 변경할 수 있다. |
||||
1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
- 상기 '2. 사채권 발행회사'의 '자본금(원)' 및 '발행주식총수(주)'는 공시제출일 기준입니다. - 상기 '3. 취득내역'의 '자기자본(원)'은 최근 사업연도말(2024년말) 자기자본에 공시제출일까지 자본금 및 자본잉여금 증감을 반영하였습니다. - 하기【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 】의 당해년도는 2024년말, 전년도는 2023년말, 전전년도는 2022년말 기준입니다. |
|||||
※ 관련공시 | 2024-03-26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 2024-03-26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결정(제2회차) 2024-06-28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 2024-07-31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 2024-08-30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주식회사 씨지피머트리얼즈와 투자계약 체결) 2024-09-09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결정(제2회차) 2024-09-24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결정 2025-01-24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주식회사 씨지피머트리얼즈와 투자계약 체결) 2025-02-28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주식회사 씨지피머트리얼즈와 투자계약 체결) 2025-03-25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주식회사 씨지피머트리얼즈와 투자계약 체결) 2025-03-25 주권 관련 사채권의 취득결정 2025-06-30 투자판단 관련 주요경영사항(주식회사 씨지피머트리얼즈와 투자계약 체결) |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당해년도 | 48,172 | 35,300 | 12,872 | 300 | 2,154 | -3,082 | 적정 | 삼일 회계법인 |
전년도 | 5,220 | 3,248 | 1,972 | 191 | 789 | -2,655 | 적정 | 회계법인 정연 |
전전년도 | 2,524 | 2,098 | 427 | 162 | 381 | -1,668 | 적정 | 회계법인 정연 |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1.0 | |
만기이자율(%) | 2.5 | ||
사채만기일 | 2030-08-19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100 | |
전환가액(원/주) | 650,000 | ||
전환가액 결정방법 | 기업가치평가에 의한 산정(평가회계법인: 현대회계법인) | ||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의 종류 | 발행회사의 기명식 보통주식 | ||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2025-08-20 | |
종료일 | 2030-07-19 | ||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가. 본 사채권을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본조의 전환가액, 이하 시가는 동일하게 적용함)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본 목에 따른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발행 시 전환가격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 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 한다. 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또는 자본의 감소 직전에 전액 전환되어 주식으로 발행되었더라면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혹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의 경우에는 각각 그 비율을 고려하여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의 기준일로 한다. 다.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액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액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액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라. 위 가.호 내지 다.호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하며, 각 전환사채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마. 본 호에 의한 조정후 전환가액 중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
||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사채원리금에 대한 담보: 발행인이 소유하게 되는 반도체 소재관련 사업부지(세종시 전의면 산단길 21-33(관정리 714번지))에 소재하는 토지 18,048.90㎡) 및 반도체 소재관련 사업부지 내 공장에 대하여 포괄담보권(공장근저당 방식 등, 상호 협의하여 후순위 담보권도 가능)을 설정한다. 담보권의 피담보채권은 채권액의 120%로 한다. 다만, 발행된 전환사채가 모두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씨지피엠이 금융권으로부터 시설자금을 대출받아 공장건설비용으로 사용하여야 되는 경우 등 법률상, 사업상 필요가 발생하면 상호 협의하여 담보권을 해지하거나 담보권을 설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