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03 월 13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피엔에이치테크 | |
대 표 이 사 : | 현 서용, 송 영권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중앙로16번길 16-25, 804호(중동, 대우프론티어밸리 Ⅰ단지) | |
(전 화) 031-8021-1890 | ||
(홈페이지)http://www.phtech.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이사 | (성 명) 최 석운 |
(전 화) 031-8021-1890 | ||
(제16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 여러분의 건승과 가정에 평안이 깃드시길 기원합니다.상법 제 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 22조에 의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5년 03월 31일(월) 오전 10시 00분
2. 장 소: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산수산단2로12 ㈜피엔에이치테크 진천공장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제16기(2024.01.01~2024.12.31)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
2-1호 의안: 감사 이 준엽 선임의 건
제 3호 의안: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한도금액 25억원)
제 4호 의안: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한도금액 1억원)
4. 경영참고사항
「상법」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 본사 및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하나은행(구 KEB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상법」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 ·전자위임장권유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2. 전자투표 행사 ·전자위임장 수여 기간:
2025년03월21일 오전 09시 ~ 2025년03월30일 오후 05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3. 본인 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4. 수정 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삼성증권 전자투표서비스 이용약관 제13조 제2항)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 행사: 주총참석장, 신분증
- 간접 행사: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및 인감증명서 첨부), 대리인 신분증
- 문 의 처: 031-8021-1890
2025년 03월 13일
주식회사 피엔에이치테크
대표이사 현서용, 송영권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이칠원(출석률: 71.4%)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09 |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대출 차입금 연장의 건 | - |
2 | 2024.01.31 | 제15기 결산 실적 승인의 건 | 찬성 |
3 | 2024.03.13 | 제1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목적 사항 결정 승인의 건 | 찬성 |
4 | 2024.03.29 | 제1회 무기명식 무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Call 옵션승인의 건 | 찬성 |
5 | 2024.05.24 | 에스더블유_WLP 신기술조합(SWWLP Fund)출자 승인의 건 | 찬성 |
6 | 2024.06.20 | 전환사채 콜옵션 행사분 양수도계약 건 | 찬성 |
7 | 2024.12.30 | 한국산업은행 산업운영자금대출 차입금 연장의 건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500,000,000 | 18,000,030 | 18,000,030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임종금전대여 | 특수관계인 | 2023.11.22~2026.11.21 | 5 | 자산총액 대비 0.70%매출총액 대비 1.49% |
주1) |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 이상인 모든 재산상의 거래로서, 비율은 현재 2024년 재무제표 자산총액 및 매출총액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주1) | 최근 사업연도 말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5% 이상인 모든 재산상의 거래로서, 비율은 현재 2024년 재무제표 자산총액 및 매출총액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OLED는 LCD에는 없는 얇은 박막형의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LCD는 광원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패널 후면에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을 배치하여 이로부터 발생한 빛이 액정의 변화와 편광판을 통하여 조절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구현합니다. 따라서 LCD는 후면의 백라이트 유닛 및 빛을 통과시키는 여러 부품들로 적층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반면, OLED패널은 이에 비해 훨씬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얇은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에 적합합니다.OLED 디스플레이 산업은 OLED 디스플레이 기술력과 생산 인프라를 바탕으로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OLED 산업 초기에는 OLED 소재에 대한 핵심 원천 기술 등이 해외의 대형 화학회사가 점유하고 있어 해외 의존도가 높았으나 당사를 비롯한 국내의 업체들의 기술 개발 및 양산대응 노력으로 기존 글로벌 유수의 업체들과의 경쟁을 통하여 점차 OLED 소재의 국산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OLED소재는 고순도 정제기술, 특정 불순물 제거공정 등 높은 기술력을 요하며, 주요 OLED Layer마다 각자 기술적인 차이가 존재하고 연구의 범위가 넓고 연구비용이 많이 투여됩니다. 이에 따라 OLED소재를 제조하는 회사들은 각 분야 Layer재료에 전문화하여 제조 및 판매를 하는 시장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OLED Layer 구조]
Cathode | ||
EIL(전자주입층 재료) | ||
n-doped ETL(전자수송층재료) | ||
Blue | Green | Red |
B' | G' | R' |
p-doped HTL(정공수송층 재료) | ||
HIL | ||
Anode |
주요사업으로는 OLED 특허소재개발사업과 공동기술개발 및 양산화 사업 그리고 OLED 원료공급사업이 있습니다. OLED 특허소재개발사업은 저굴절 CPL, 저굴절 HTL, 블루프라임, p-도판트 소재들을 순차적으로 개발 중입니다. 공동기술개발 및 양산화 사업으로 레드프라임 재료를 양산 공급 중이며, 현재 장수명블루호스트와 레드호스트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OLED 원료공급사업은 Pd촉매를 중심으로 사업 초창기부터 OLED 재료업체에 양산공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주요 매출 구성
(단위: 천원) |
매출 유형 | 제품명 | 2024년도 (제16기) | |
---|---|---|---|
매출액 | 비율 | ||
자사제품 | OLED 원료 | 534,010 | 2% |
OLED 소재 | 32,342,323 | 96% | |
상품 | 446,021 | 1% | |
기타 | 270,247 | 1% | |
매출 총계 | 33,592,601 | 100% | |
업종 코드 | (C20119)기타 기초유기화학물질 제조업 |
(2) 시장점유율
2021년 재료업체별 실적을 살펴보면 발광재료가 강한 미국의 UDC가 독보적으로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뒤로 한국의 덕산네오룩스가 2위, Dupont이 3위, 일본의 이데미츠코산이 위, 노바엘이디가 5위 순위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OLED 발광재료 Market share에서 2021년 약 20.2 US$ Million의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당사는 스마트폰용 재료를 공급하면서 시장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핸드폰재로에 비해 양이 많은 TV소재공급이 증가할것으로 예상됩니다. 고굴절 / 저굴절 CPL재료 연구개발 성과를 인정받아 고객사 A사로부터 양산채택되어 시장 점유율은 상승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미국의 다국적화학회사와 공동연구개발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레드프라임 재료의 양산, 장수명 블루호스트의 양산채택, 레드호스트의 양산채택 등을 통해 당사의 시장점유율은 지속 상승할 것으로 추정됩니다.(3) 시장의 특성
OLED 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하는 산업 가치사슬은 기존 부품 기반 산업으로서의 LCD 제조업과는 다르게 재료 및 소재 기반 산업의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LCD 디스플레이 제조 과정에서 필요했던 다양한 부품(백라이트 유닛, 컬러필터 등)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OLED 제조공정의 특성상 다양한 소재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OLED 재료시장은 전방시장인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OLED 패널의 다양한 layer마다 각기다른 경쟁자들이 존재하고 있고, 최종수요기업의 생산계획에 매출이 종속된다는 점에서, 영업환경은 최종 수요기업과의 관계가 결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의 패널 양산을 위한 양산시설투자 등이 소재의 수요에 선행한 선행지표라고 볼수 있습니다.
국내 패널업체들은 그 동안 뛰어난 기술역량을 가지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가져왔지만, 소재 분야는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했으며 일본과는 20년 이상의 업력 차이가 존재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2019년 일본은 이를 이용해 수출규제를 내걸었고, 이에 대하여 현재 정부, 업계 모두 촉각을 곤두세우고 대응책을 마련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OLED 시대의 지속발전 및 시장선점을 위해서는 OLED 소재부품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당면 시장에서의 급선무가 될 것입니다. 당사도 이에 발맞추어 연구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KEIT)의 기술개발 과제 지원을 받아 기존의 OLED용 유기소재 생산용 승화정제기가 지니고 있는 처리속도와 수용력을 개선시키는 장비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개발에 성공할 경우 OLED장비 관련 매출이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또한 고굴절/저굴절 융합형 HTL 및 P-dopant 재료 등 고부가 신규제품 연구개발을 통하여 제품 다양화와 기술 트랜드 적응, 기술 축적, 휴먼 인프라 구축을 하고 있어 시장 지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중 '1.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 중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하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6 기 2024. 12. 31 현재 |
제 15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16 기 | 제 15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41,767,297,760 | 40,701,591,117 |
현금및현금성자산 | 2,805,865,355 | 1,480,795,071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2,733,337,341 | 5,217,134,581 |
당기법인세자산 | 11,412,184 | 0 |
파생상품자산 | 0 | 882,464,809 |
기타유동금융자산 | 21,362,401,785 | 15,185,419,168 |
기타유동자산 | 147,683,993 | 80,907,542 |
재고자산 | 14,706,597,102 | 17,854,869,946 |
비유동자산 | 29,565,280,326 | 30,393,934,06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83,576,749 | 100,000,000 |
관계기업투자 | 1,480,582,642 | 0 |
투자부동산 | 325,577,741 | 331,869,765 |
유형자산 | 22,593,049,434 | 23,591,975,239 |
무형자산 | 621,251,518 | 325,826,520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579,314,404 | 3,198,665,813 |
이연법인세자산 | 3,581,927,838 | 2,845,596,724 |
자산총계 | 71,332,578,086 | 71,095,525,178 |
부채 | ||
유동부채 | 15,064,187,890 | 13,903,712,399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1,015,868,928 | 2,006,464,488 |
단기차입금 | 2,780,000,000 | 4,222,000,000 |
유동성장기부채 | 4,630,000,000 | 18,185,145 |
전환사채 | 4,387,042,257 | 3,452,325,797 |
파생상품부채 | 1,877,095,308 | 3,692,188,455 |
기타유동금융부채 | 212,119,466 | 126,651,591 |
유동성리스부채 | 59,661,551 | 61,090,607 |
기타 유동부채 | 102,400,380 | 122,435,600 |
당기법인세부채 | 0 | 202,370,716 |
비유동부채 | 4,002,477,180 | 7,296,708,475 |
장기차입금 | 0 | 4,672,602,068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360,060,974 | 253,676,882 |
비유동성리스부채 | 103,134,484 | 154,587,255 |
확정급여채무 | 3,330,784,595 | 2,045,871,555 |
기타비유동부채 | 208,497,127 | 169,970,715 |
부채총계 | 19,066,665,070 | 21,200,420,874 |
자본 | ||
자본금 | 4,967,877,500 | 4,967,877,500 |
주식발행초과금 | 49,210,878,262 | 49,210,878,262 |
기타자본구성요소 | 1,734,225,467 | 1,655,187,492 |
이익잉여금(결손금) | (3,647,068,213) | (5,938,838,950) |
자본총계 | 52,265,913,016 | 49,895,104,304 |
부채와자본총계 | 71,332,578,086 | 71,095,525,178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1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6 기 | 제 15 기 |
---|---|---|
매출액 | 33,592,601,051 | 40,181,180,331 |
매출원가 | 23,525,635,645 | 26,212,410,067 |
매출총이익 | 10,066,965,406 | 13,968,770,264 |
판매비와관리비 | 7,531,394,198 | 7,462,282,090 |
영업이익(손실) | 2,535,571,208 | 6,506,488,174 |
기타수익 | 312,028,253 | 484,966,667 |
기타비용 | 331,615,470 | 438,776,689 |
금융수익 | 2,451,148,343 | 1,668,723,066 |
금융비용 | 1,907,802,106 | 5,072,629,614 |
지분법손익 | (19,417,358) | 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039,912,870 | 3,148,771,604 |
법인세 비용 | (346,929,294) | (2,473,204,300) |
당기순이익(손실) | 3,386,842,164 | 5,621,975,904 |
기타포괄손익 | (1,095,071,427) | (299,711,519)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095,071,427) | (299,711,519) |
당기총포괄손익 | 2,291,770,737 | 5,322,264,385 |
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341 | 605 |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341 | 605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1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6 기 | 제 15 기 |
---|---|---|
미처리결손금 | 3,647,388,693 | 5,939,159,430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5,939,159,430 | 11,261,423,815 |
회계변경의 누적효과 | ||
전기오류수정이익 | ||
전기오류수정손실 | ||
중간배당금 | ||
당기순이익(손실) | 3,386,842,164 | 5,621,975,904 |
기타포괄손익(손실) | (1,095,071,427) | (299,711,519) |
결손금처리액 | ||
임의적립금이입액 | ||
기타법정적립금이입액 | ||
이익준비금이입액 | ||
재평가적립금이입액 | ||
이익잉여금처분액 | ||
이익준비금 | ||
기업합리화적립금 | ||
배당금 | ||
현금배당금 | ||
주식배당금 | ||
사업확장적립금 | ||
감채적립금 | ||
배당평균적립금 | ||
차이이월미처리결손금 | 3,647,388,693 | 5,939,159,430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이준엽 | 70.09.09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이준엽 | 대학교수 | 1999.11 ~ 2005.08 | 삼성SDI(주) 책임연구원 | - |
2005.09 ~ 2015.02 | 단국대학교 고분자공학과 교수 | |||
2015.03 ~ 현재 |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교수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이준엽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자격 기준에 부합하고 있으며,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에 추천함.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0(명)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5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35,361,372원 |
최고한도액 | 2,5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7,406,030원 |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2025년 3월 21일)까지 회사 홈페이지(http://www.phtech.co.kr)에 거재할 예정입니다.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이 있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