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3월 7일 | ||
회 사 명 : | (주)토탈소프트뱅크 | |
대 표 이 사 : | 최 장 수 | |
본 점 소 재 지 :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513번길 66-39 | |
(전 화) 070-4733-1000 | ||
(홈페이지)http://www.tsb.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 (성 명) 김 태 희 |
(전 화) 070-4733-1000 | ||
(제36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의 정관 제19조에 의하여 제3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19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6일 (수) 오전 9시
2. 장 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송로513번길 66-39, 본사 1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6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최장수)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 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7일 주식회사 토탈소프트뱅크 대표이사 최 장 수(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정낙천(출석률: 100%) | 안영환(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05 | 제35기 내부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2 | 2024.03.08 | 제3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찬성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1,000 | 16.4 | 8.2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전체 등기이사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매입 | Total Software Bank Viet Nam Co.,Ltd.(기타특수관계회사) | 2024.1.1~2024.12.31 | 14.6 | 7.0 |
매출 | Total Software Bank Viet Nam Co.,Ltd.(기타특수관계회사) | 2024.1.1~2024.12.31 | 4.2 | 2.1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PIT Co., Ltd.(조인트벤처투자회사) | 매출 | 2024.1.1~2024.12.31 | 5.7 | 2.7 |
(1) 산업의 특성
교통, 통신, 기술의 발전과 세계무역기구(WTO, World Trade Organization) 출범 이후 가속화되는 국제 무역의 세계화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경제활동은 국경을 초월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 환경에서 생산, 유통, 소비의 경제적 효율성과 편의성을 뒷받침할 물류의 역할은 한 나라의 경쟁력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잣대로써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특히, 1920년대 중반에 등장하여 197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무역 화물 수송에 활용하게 된 컨테이너 운송을 통해 국제 무역의 규모는 비약적으로 증가하여 전세계 교역량의 약 75%가 바다를 통해 운송되고 있으며, 매년 10%가량 해상 무역량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수입 화물은 99.7%가 해상으로 운송되고 있어 선박과 항만을 통한 국제물류산업은 다른 어떠한 분야보다도 중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 경기 침체로 인해 수급 불균형, 경쟁 심화를 겪으면서 해운 항만 산업의 주요 주체들은 전문 항만 물류 IT 솔루션의 도입을 통해 효율성과 경쟁력을 재고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비용을 절감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획기적으로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인 물류산업의 전산화 사업은 국가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산업인데, 당사는 주력 제품인 터미널운영시스템 (CATOS: Computer Automated Terminal Operating System, MOST: Multi-purpose Operating System for Terminals)과 항만 커뮤니티 시스템 (PLUS: Port Logistics Unifying System), 해운 선사의 화물 양적하 (화물을 선박 및 목적 장소에 싣고 내리는 업무) 계획 프로그램(CASP: Computer Automated Stowage Planning, CASP for RORO), 선박탑재용 컴퓨터 (TSB SUPERCARGO) 등의 산업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 납품함으로써 물류 산업의 자동화와 전산화를 가능하게 하고 최적화된 해운 항만 운영 및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 있습니다. 요컨대 당사가 참여중인 산업용 어플리케이션S/W개발업은 기업의 경쟁력을 포함한 국가 경쟁력과 관련된 산업재적 성격이 강합니다. 또한 항만운영시스템의 경우는 SOC(social overhead capital)사업체와 계약하고 시스템이 설치, 운영되는 관계로 해운항만업계의 보수성과 업무 분석 및 설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극소수의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참여자에 의해 운영되는 과점 시장의 특성이 있습니다. 제품 개발 및 공급 측면에서 최근 두드러지는 산업의 특징으로서 고객이 필요한 여러 개별 솔루션과 서비스 등을 각각의 업체들로부터 제공받기 보다 원스톱, 통합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과 규모를 갖춘 업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는데 이에 따라 업체간 인수 합병, 협업을 통해 경쟁력을 키워가는 업체들이 늘어 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전 세계적으로 해운물류 패키지 소프트웨어 산업이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1980년대 후반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급증하는 해운물동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업무의 전산화가 불가피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항만 업무와 각종 수출입 및 통관업무 등이 전산화 되기 시작하면서 해운물류부문도 전산화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항만은 주로 선박의 하역과 화물 운송만을 수행했던 제1세대 항만에서 항만이 지역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제조업, 포장업, 물류 등 다양한 산업과 연결되기 시작한 제2세대으로, 그리고 항만, 육상, 해상, 항공을 포함하는 다양한 교통수단을 통합하여, 국제 무역을 위한 중요한 물류 허브 역할을 했던 제3세대 항만으로, 수직적 및 수평적 통합 전략을 통해 지리적으로 분리된 항만들이 공통된 운영자나 관리기관을 통해 관리되어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를 위해 자동화, 디지털화, 스마트 기술이 도입되어 항만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모든 프로세스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제4세대 항만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이어서 IoT, 사이버 보안, 클라우드 컴퓨팅, 자율 운항 선박 및 로봇 등을 활용하여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안정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미래의 항만인 제5세대 항만으로 발전해 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선박의 대형화에 따른 화물처리 소요시간 증대 해소, 높은 인건비와 부족한 노동력 해결, 신속한 고객서비스 및 해상 운송비용 절감 요구 등에 부응하기 위하여 항만시설의 자동화 및 정보화에 세계 각국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추세에 따라 항만 운영의 자동화, 최적화를 위한 항만운영시스템의 시장은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의 주요 대상 고객인 항만 터미널, 선사 등에서 서비스 경쟁력 및 효율성 재고와 비용 절감에 대한 니즈와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시장 상황으로 인해 당사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항만물류 소프트웨어 산업은 제한적인 타겟 시장 및 요구되는 전문성으로 인해 배타적인 시장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과점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 중 당사와 같은 소수의 업계 메이저 기업들은 1980년대 후반 또는1990년대 초반에 설립되어 경험과 레퍼런스를 축적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그 외에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의 자회사로서의 이점과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후발업체, 특정 지역에 기반한 소규모 업체들이 시장 개척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당사와 같이 전세계에 걸쳐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은 약20여개로 집계되고 있으며(출처: World Cargo News), 정부나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의 자회사들을 중심으로 영향력을 늘려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수적인 시장의 특성으로 인해 주로 기술과 경험이 검증된 소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항만 운영사들로부터 국제입찰에 초청되어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그 중 당사는 항만운영시스템을 포함해서 선사, 해운물류, 시뮬레이터 등의 수직적이고 통합적인 제품군을 보유하여 고객의 종합적인 필요를 충족시키고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매우 유리하다고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의 대표 제품인 CATOS는 타 기업의 제품에 비해 최적화 및 자동화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 공급 방식 외에, 최근 IT 트렌드인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을 기반으로 당사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형태로 영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효율성이나 비용 절감 측면에서 고객의 관심과 필요에 대한 해답이 되는 것으로 확인이 되며 이 분야에서 시장을 선점하여 배타적인 해자를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항만물류 분야는 허브 항만과 주변 중소규모의 항만들, 즉 피더 항만들로 양분되는 운영 판도의 재편이 가속화되고 초대형 선박의 등장에 따른 물량 처리량의 집중화에 따라 허브 항만의 물량 처리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이에 각 국은 물량 증가에 비례하는 항만 간 치열한 경쟁에서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자동화 터미널 도입 및 터미널운영의 정보화에 투자를 소홀히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또한 컨테이너터미널이 점점 무인 이송장치와 무인자동화 하역장비 및 무인트럭을 도입한 완전자동화, 지능화, 친환경화, 무선화 항만으로 세대 변화를 가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환경적 요구와 다양한 정부와 산학연협력 연구개발을 적극 활용하여 영업에의 노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시장에서는 항만 물량 처리량의 60% 이상을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터미널 운영사들에 대한 중요성은 여전히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주요 터미널 운영사들의 니즈와 수요를 면밀히 파악하여 장기적인 파트너 계약 및 관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24년도 매출액 207억원, 영업이익 52억, 법인세차감전순이익 74억원, 당기순이익 61억을 기록하였습니다. 2023년도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29% , 영업이익 44%, 법인세차감전순이익 73%, 당기순이익 62%로 각각 증가하였습니다.매출액 및 손익구조의 주요변동 원인은 기존 사업부문의 수주 증가로 인해 매출증가와 프로젝트 생산성 향상에 따른 원가감소, 환율상승에 따른 환차익 증가에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시대상이 되는 사업부문의 구분은 되어있지 않으나, 당사 내부적으로 제품별 매출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매출액 |
비율 |
---|---|---|---|---|
Marine Terminal |
용역 |
CATOS |
15,991,099,519 | 77.2% |
용역 |
ATC Supervisor |
- | 0.0% | |
용역 |
MOST |
353,053,163 | 1.7% | |
Port Community |
용역 |
PLUS |
130,939,672 | 0.6% |
Shipping |
용역 |
CASP |
484,490,334 | 2.3% |
용역 |
TSB Supercargo |
1,221,371,353 | 5.9% | |
용역 |
CLOUD CASP |
1,120,227,227 | 5.4% | |
E-learning |
용역 |
E-learning |
723,926,000 | 3.5% |
기타 |
용역 |
기타 |
685,017,592 | 3.3% |
합계 |
- |
- |
20,710,124,860 | 100.0% |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참여하고 있는 시장의 공식 통계자료의 부재로 인해 구체적인 시장점유율을 파악하기가 어려움으로 생략함.
(3) 시장의 특성
항만물류 패키지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전문 시스템 개발 납품 업체들은 지역 시장 별로 각기 다른 양상의 우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경쟁업체는 북미지역에서 절대적 우위를 기반으로 전 세계에 걸쳐 진출해 있으며, 당사의 경우 일본, 중국, 대만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우세를 기반으로 2000년 이후부터 미국, 유럽, 아프리카, 중동 등으로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영업 활동을 뒷받침하기 위해 당사는 주요 거점 지역에 영업 컨설턴트를 상주시키고 있으며, 이외에도 스페인, 이집트, 대만, 태국 등에 서비스센터를 설치하여 고객들에게 근거리 서비스를 즉각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신규업체의 저가공세에 의한 시장진입은 매우 어려우며, 시장에서 꾸준히 신뢰를 쌓아 나가야만 업계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높은 시장입니다.
수요의 변동요인으로는 개별 국가들의 급격한 경제여건 변화, 해운 물동량의 급격한 증감, 해운물류 패키지 소프트웨어업계의 급격한 기술변화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항만 및 해운물류 산업은 국가의 기반산업으로써 개별 국가들의 경제여건이 급격히 악화되면 터미널에 대한 예산집행이 지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들이 항만의 건설 및 유지보수에 대한 예산을 장기적으로 책정하고 있으며, 이를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물류비 절감의 주요 수단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경제여건변화에 의해 수요가 감소하는 사례는 적은 편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나. 회사의 현황'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가 완료되기 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 사항은 향후 제출될 감사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36 (당) 기 2024.12.31 현재 |
제 35 (전) 기 2023.12.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36 (당) 기 말 | 제 35 (전) 기 말 |
---|---|---|
자 산 | ||
유동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0,505,808,857 | 7,502,797,729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7,631,440,184 | 2,498,337,358 |
미청구용역 | 1,436,037,709 | 3,225,074,493 |
재고자산 | 52,480,000 | 70,060,000 |
기타금융자산 | 11,956,373,699 | 9,957,976,987 |
기타유동자산 | 393,631,957 | 851,956,477 |
유동자산합계 | 31,975,772,406 | 24,106,203,044 |
비유동자산 | ||
공동기업투자지분 | 178,438,988 | 202,274,894 |
유형자산 | 8,603,243,097 | 8,865,797,016 |
무형자산 | 64,333,467 | 84,672,505 |
기타금융자산 | 541,141,127 | 581,006,380 |
이연법인세자산 | 1,406,635,325 | 1,132,784,531 |
비유동자산합계 | 10,793,792,004 | 10,866,535,326 |
자 산 총 계 | 42,769,564,410 | 34,972,738,370 |
부 채 | ||
유동부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515,179,906 | 957,681,581 |
초과청구용역 | 3,685,374,533 | 3,081,740,724 |
기타금융부채 | 1,654,012,000 | 1,233,912,000 |
기타유동부채 | 98,706,491 | 83,207,186 |
하자보수충당부채 | 52,230,000 | 202,939,388 |
이자부차입금 | 17,285,892 | 717,285,880 |
당기법인세부채 | 968,026,881 | 461,408,930 |
유동부채합계 | 7,990,815,703 | 6,738,175,689 |
비유동부채 | ||
이자부차입금 | 19,036,568 | 36,322,460 |
정부보조금 | 392,817,271 | 469,538,188 |
기타금융부채 | 182,340,000 | 458,784,000 |
퇴직급여부채 | 6,498,501,565 | 5,258,215,543 |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 238,447,753 | 160,647,760 |
비유동부채합계 | 7,331,143,157 | 6,383,507,951 |
부 채 총 계 | 15,321,958,860 | 13,121,683,640 |
자 본 | ||
자본금 | 4,279,020,000 | 4,279,020,000 |
자본잉여금 | 715,464,791 | 715,464,791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2,223,298) | (24,753,878) |
이익잉여금 | 22,475,344,057 | 16,881,323,817 |
자 본 총 계 | 27,447,605,550 | 21,851,054,730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42,769,564,410 | 34,972,738,370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6 (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35 (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36 (당) 기 | 제 35 (전) 기 |
---|---|---|
매출액 | 20,710,124,860 | 16,054,188,977 |
매출원가 | (11,363,907,823) | (8,683,833,812) |
매출총이익 | 9,346,217,037 | 7,370,355,165 |
판매비와관리비 | (4,177,254,207) | (3,764,352,297) |
영업이익 | 5,168,962,830 | 3,606,002,868 |
기타수익 | 1,822,627,953 | 454,332,942 |
기타비용 | (215,298,954) | (319,243,267) |
금융수익 | 612,555,363 | 541,593,636 |
금융비용 | (12,557,075) | (33,690,543) |
공동기업지분법이익 | 17,025,785 | 49,729,836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7,393,315,902 | 4,298,725,472 |
법인세비용 | 1,290,460,650 | 520,014,641 |
당기순이익 | 6,102,855,252 | 3,778,710,831 |
기타포괄손익: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508,835,012) | (738,879,828)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 되는 항목: | ||
지분법자본변동 | 2,530,580 | (6,199,661) |
기타포괄손익합계 | (506,304,432) | (745,079,489) |
총포괄이익 | 5,596,550,820 | 3,033,631,342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 및 희석주당이익 | 713 | 442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6 (당)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35 (전)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36 (당) 기 | 제 35 (전) 기 |
---|---|---|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 22,475,344,057 | 16,881,323,817 |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16,881,323,817 | 13,841,492,814 |
보험수리적손익의 대체 | (508,835,012) | (738,879,828) |
당기순이익(손실) | 6,102,855,252 | 3,778,710,831 |
결손금처리액 | - | - |
기타자본잉여금(자기주식처분이익) | - | - |
주식발행초과금 | - | - |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 22,475,344,057 | 16,881,323,81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최장수 | 1941.04.19 | 사내이사 | - | 본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최장수 | (주)토탈소프트뱅크 대표이사 | 1960-1965 | 중앙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 - |
1998-2021 | 부산외국어대학교 ICT창의융합학과 공학석사 졸업 | - | ||
1988~현재 | (주)토탈소프트뱅크 대표이사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최장수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사내이사 후보자는 (주)토탈소프트뱅크 대표이사으로서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전문적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회사의 미래성장을 이끌어 갈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로 추천함. |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06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0백만원 |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6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백만원 |
최고한도액 | 60백만원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당사 홈페이지: https://www.tsb.co.kr (한글 홈페이지 > News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및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으로 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