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사항보고서(유상증자결정) 6.1 (주)한중엔시에스 주요사항보고서 / 거래소 신고의무 사항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5년 09월 03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대 표 이 사 : 김 환 식
본 점 소 재 지 : 경북 영천시 영천산단로 379(채신동)
(전 화) 054-337-5050
(홈페이지) http://www.hjnc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이사 (성 명) 허 척
(전 화) 054-337-5050

유상증자 결정

-446,0545009,064,946-3,000,000,000---11,999,903,912-제3자배정증자
1. 신주의 종류와 수 보통주식 (주)
기타주식 (주)
2. 1주당 액면가액 (원)
3. 증자전 발행주식총수 (주) 보통주식 (주)
기타주식 (주)
4. 자금조달의 목적 시설자금 (원)
영업양수자금 (원)
운영자금 (원)
채무상환자금 (원)
타법인 증권취득자금 (원)
기타자금 (원)
5. 증자방식

※ 기타주식에 관한 사항

제9조(이익배당 우선주식의 내용과 수)

① 회사가 발행할 우선주식의 의결권 유무는 우선주 발행시 이사회 결의로 정하는 것으로 하며, 그 발행 한도는 제5조에서 정한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중 4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한다.

② 우선주식에 대하여는 발행금액을 기준으로 연 0% 이상 15% 이내에서 발행시에 이사회가 우선 배당률을 정한다.

③ 보통주식의 배당률이 우선주식의 배당률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분에 대하여는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참가적 또는 비참가적으로 정할 수 있다.

④ 우선주식에 대하여 어느 사업연도에 있어서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 다음 사업연도의 배당시에 누적적 또는 비 누적적인 것으로 정할 수 있다.

⑤ 무의결권 우선주식을 발행한 경우, 회사가 우선주에 대하여 소정의 배당을 하지 아니 한다는 결의가 있는 경우에는 그 결의가 있는 총회의 다음 총회부터 그 우선적 배당을 한다는 결의가 있는 총회의 종료시까지는 의결권이 있는 것으로 본다.

⑥ 우선주식의 존속기간은 발행일로부터 10년의 범위 내에서 우선주 발행시 이사회에서 정한다. 그러나 위 우선주 존속 기간 중 소정의 배당을 하지 못한 경우이거나 상환우선주에 대하여 상환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배당 또는 상환을 완료할 때까지 그 기간을 연장한다.

⑦ 회사는 이익배당우선주식 발행 시 이사회의 결의로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우선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⑧ 잔여재산분배 우선주식에 대하여는 발생 시 이사회의 결의로 발행가액에 연 30% 이내의 가산금액을 더한 가액의 범위 내에서 우선하여 분배 받을 수 있는 잔여재산의 범위를 정한다.

제9조의1(상환주식)

① 회사는 이익배당우선주식 발행 시 회사의 이익으로써 소각할 수 있는 상환 주식 및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상환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② 상환주식의 상환가액은 발행가액 또는 이에 가산금액을 더한 금액으로 하며 가산금액은 이자율, 시장상황 기타 상환주식의 발행에 관련된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상환주식의 발행 시에 이사회 결의로 한다.

③ 상환기간(또는 상환청구 기간)은 종류주식의 발행일 후 익일부터 10년이 되는 날의 범위 내에서 발행시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단, 다음 각 호의 1 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상환청구 기간은 연장될 수 있다.

1. 상환주식에 대하여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2. 회사의 이익이 부족하여 상환기간 내에 상환하지 못한 경우

④ 회사는 상환청구기간의 단축 및 조기상환에 따른 상환가액 등 이와 관련된 제반 사항 등을 이사회 결의로 정할 수 있다.

제9조의2(전환주식)

① 회사는 이익배당우선주식 발행시, 이사회의 결의로 우선주식을 주주가 보통주식으로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전환주식으로 발행할 수 있다.

② 우선주식의 보통주식으로의 전환비율은 원칙적으로 우선주식 1주당 보통 주식 1주로 한다. 단, 회사는 필요한 경우 발행 시에 이사회의 결의에 의해 보통주식의 액면가 이상의 범위 내에서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신주식의 발행가액 (발행가액결정의 계산방식을 규정하는 경우를 포함한다)을 달리 정할 수 있고, 전환비율 및 전환가격 조정사유(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 관련사채의 발행 , 주식배당 등) 등 전환에 필요한 사항을 별도로 정할 수 있다.

③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이하 “전환청구기간”)은 발행일 후 익일부터 10년이 되는 날의 범위에서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다만, 회사가 상환우선 주식 또는 배당우선주식 발행시 본조에 따른 전환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면 그 사유가 해소될 때까지 전환 청구 기간이 연장되며, 해당기간 동안에는 보통주식으로 전환되지 아니한다.

1. 상환청구기간내 상환이 완료되지 못한 경우

2. 우선적 배당이 완료되지 아니한 경우

④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하는 주식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정관 제10 조의2 규정을 준용한다.

제9조의3(상환전환 우선주식)

① 회사는 정관 제9조 규정에 의한 우선주식을 발행함에 있어 이를 전환주식인 동시에 상환주식인 것으로 정할 수 있다.

② 전환과 상환에 관한 내용은 제9조의1 및 제9조의 2를 준용한다 .

③ 본조 제1항 및 제2항에 불구하고 우선주식의 전환 및 상환과 관련하여 본 정관에서 규정하지 아니한 구체적 사항은 해당 주식을 발행할 당시의 이사회 결의에 따른다.

기명식 상환전환우선주식-
정관의 근거
주식의 내용
기타

발행회사는 본건 우선주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 (2027년 09월 19일)부터 존속기간 만료시까지 매 3개월마다 본건 우선주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인수인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건 우선주의 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참조

발행회사가 본건 우선주의 상환을 청구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상환일로부터 최소 2주 전 그 사실을 인수인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2027년 09월 19일 ~ 2030년 09월 19일--10033,628최초 전환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5-24조의2 및 제5-22조를 준용하여 본건 우선주 발행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하여 산정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으로써 원 단위 미만을 절상한 금액으로 한다.주식회사 한중엔시에스 기명식 보통주446,0544.692026년 09월 19일2030년 08월 19일

(a) 인수인이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본호에 따른 전환가격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조정 후 전환가격 = 조정 전 전환가격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 한다.

(b)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인수인이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발행회사가 이러한 조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인수인이 손해를 입은 경우 발행회사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회사는 인수인의 권리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방식으로 합병, 분할 및 영업양수도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계속 상장을 유지할 의무를 부담한다.

(c)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격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격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격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d) 위 (a)호 내지 (c)호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하며, 각 우선주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우선주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e) 본항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 중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2030년 09월 19일본건 우선주에 대하여는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함. 단, 본건 우선주에 배당을 하지 않는 때에는 의결권이 부활한다(이 경우에도 본건 우선주에 배당이 이루어질 경우 의결권은 소멸함).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매도청구권자”)는 본건 주식의 발행가액 총액(전자등록총액)의 35%(이하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의 범위 내에서 본건 주식의 발행일 이후 1년이 되는 날(2026년 09월 19일)부터 발행일 이후 2년이 되는 날 전일(2027년 09월 18일)까지의 기간 중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에 인수인에게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의 전자등록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본건 주식의 매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단,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가목에 따른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에 따른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와 함께 “최대주주 등”)이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최대주주 등 각자는 본건 주식의 발행 당시 자신이 보유(누구의 명의로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소유하는 경우를 말한다)한 주식 비율(이하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을 초과하여 발행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없는 조건으로 매도청구권을 행사하여야 하고, 최대주주 등이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더라도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를 초과하는 범위 내에서는 매도청구권 행사의 효력이 없으며, 인수인은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를 초과하는 범위의 본건 주식을 매도할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참조본건 우선주에 대한 우선배당률은 본건 우선주의 1주당 발행가액에 대하여 연 0.0%(이하 “우선배당률”)로 한다. 단, 본건 우선주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 우선배당률은 연 9.0%로 하고, 3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의 우선배당률은 직전 년도 우선배당률에 연 1.0%p를 가산한 아래 표와 같은 우선배당률을 매 1년마다 재산정하여 적용한다. 부연설명 하자면, 우선주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로부터 가장 빨리 도래하는 정기 주주총회인 2028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본건 우선주 1주당 발행가액에 대하여 연 9.0%에 해당하는 이익배당을 지급하는 안건을 상정하여 해당 안건이 승인되도록 하여야 한다.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참조-
상환에관한 사항 상환조건
상환방법
상환기간
주당 상환가액
1년 이내상환 예정인 경우
전환에관한 사항 전환비율(%)
전환가액(원/주)
전환가액결정방법
전환에 따라발행할 주식 종류
주식수
주식총수대비 비율(%)
전환청구기간 시작일
종료일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시가하락에따른전환가액조정 최저 조정가액(원)
최저 조정가액 근거
발행당시 전환가액의70%미만으로조정가능한잔여발행한도(원)
존속기간(우선주권리의 유효기간)
의결권에 관한 사항
옵션에 관한 사항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기타 약정사항(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33,628-31,475최소값[이사회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과거 1개월간ㆍ1주일간ㆍ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의 단순평균,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6.8376「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제2항을 준용하여 이사회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과거 1개월간의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간의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격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낮은 가격을 기준주가로 하고, 기준주가에 6.8376% 할증률을 적용하여 산정한 금액으로 하되 원단위 미만은 절상함정관 제10조 제2항 제6호2025년 09월 18일2025년 01월 01일2025년 10월 02일-아니오아니오해당없음---해당없음2025년 09월 03일21참석아니오1년간 의무보유(전매제한 조치)아니오--미해당
6. 신주 발행가액 보통주식 (원)
기타주식 (원)
7. 기준주가 보통주식 (원)
기타주식 (원)
7-1. 기준주가 산정방법
7-2. 기준주가에 대한 할인율 또는 할증율 (%)
7-3. 할인율(할증률) 산정 근거
8. 제3자배정에 대한 정관의 근거
9. 납입일
10. 신주의 배당기산일
11. 신주권교부예정일
12. 신주의 상장 예정일
13. 현물출자로 인한 우회상장 해당여부
- 현물출자가 있는지 여부
- 현물출자 재산 중 주권비상장법인주식이 있는지 여부
- 납입예정 주식의 현물출자 가액 현물출자가액(원)
당사 최근사업연도 자산총액 대비(%)
- 납입예정 주식수
14.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15.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사외이사 참석여부 참석 (명)
불참 (명)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16.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17.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18.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해당여부
시작일
종료일
19.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2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1. 배당에 관한 사항 (a) 본건 우선주에 대한 우선배당률은 본건 우선주의 1주당 발행가액에 대하여 연 0.0%(이하 “우선배당률”)로 한다. 단, 본건 우선주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 우선배당률은 연 9.0%로 하고, 3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의 우선배당률은 직전 년도 우선배당률에 연 1.0%p를 가산한 아래 표와 같은 우선배당률을 매 1년마다 재산정하여 적용한다. 부연설명 하자면, 우선주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로부터 가장 빨리 도래하는 정기 주주총회인 2028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본건 우선주 1주당 발행가액에 대하여 연 9.0%에 해당하는 이익배당을 지급하는 안건을 상정하여 해당 안건이 승인되도록 하여야 한다.

조정일 우선배당률
본건 우선주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 연 9.0%
본건 우선주의 발행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 연 10.0%
본건 우선주의 발행일로부터 4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 연 11.0%
그 이후 직전 조정일로부터 매 1년째 되는 날 직전 년도 우선배당률에 1.0%p 가산

(b) 본건 우선주 보유 주주는 본건 우선주를 보유하는 동안 보통주의 배당률이 우선배당률을 초과할 경우에는, 그 초과하는 부분에 대하여 보통주와 동일한 배당률로 함께 참가하여 배당을 받고(즉, 참가적 우선주), 우선배당률만큼 배당받지 못한 경우 누적된 미배당분을 다음 배당시 우선하여 배당받는다(즉, 누적적 우선주). 본 계약 제8조 제2항에 따른 위약벌 지급과 별도로 누적적 배당은 이루어진다. 발행회사는 본 조에 따른 우선 배당을 하기 전에 보통주에 대한 배당을 할 수 없다.

(c) 주식배당의 경우, 본건 우선주 보유 주주에 대한 주식배당률은 위 (a)와 같으며, 본건 우선주와 동일한 내용의 우선주를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단, 단주 발생시에는 현금 지급).

(d) 배당과 관련하여 본건 우선주는 발행일이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 영업연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e) 발행회사는 위 주주총회에서 배당을 결의 또는 승인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본건 우선주 보유 주주에게 배당금을 지급하여야 한다.

(2) 잔여재산: 회사의 해산사유가 발생한 경우, 본건 우선주 보유 주주는 잔여재산 분배에 관하여 보통주 주주에 우선하여 다음과 같이 우선적으로 잔여재산을 분배 받는다:

(a) 본건 우선주에 대하여 (i) 1주당 발행가액과 (ii) 잔여재산 분배일이 속한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까지 발생하였으나 미지급된 누적 배당액을 합산한 금액을 우선적으로 분배(이하 본 (a)에 따라 지급되는 분배액을 “우선분배액”).

(b) 잔여재산이 본건 우선주 보유 주주들에 대한 우선분배액을 전부 지급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각 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본건 우선주의 수에 비례하여 균등하게 분배.

(c) 우선주 보유 주주들에 대한 우선분배액을 지급하고도 잔여재산이 남는 경우에는 그 나머지 재산은 본건 우선주와 보통주가 동등한 자격으로 참가하여 분배.

2. 상환에 관한 사항

(1) 상환권자: 발행회사는 아래 (2)항 내지 (4)항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본건 우선주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인수인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건 우선주의 상환을 요구할 수 없다.

(2) 상환기간: 발행회사는 본건 우선주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 (2027년 09월 19일)부터 존속기간 만료시까지 매 3개월 마다 본건 우선주에 대한 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3) 상환가액: 본건 우선주의 발행가액에 본건 우선주 발행일로부터 상환하는 날까지 아래 표의 상환율을 적용하여 산정한 금액으로 한다.

구분 상환율
본건 우선주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 연 단위 복리 1.0%
본건 우선주 발행 후 2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 발행 후 3년이 되는 날 연 단위 복리 9.0%
본건 우선주 발행 후 3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 발행 후 4년이 되는 날 연 단위 복리 10.0%
본건 우선주 발행 후 4년이 되는 날의 다음날부터 발행 후 5년이 되는 날 연 단위 복리 11.0%
이후 존속기간이 연기되는 경우 직전 년도 상환율에 1.0%p 가산

(4) 상환재원: 상법 및 기타 법률에 따라 계산되고 주주총회 또는 이사회 결의에 따라 결정된 배당가능이익을 상환재원으로 한다.

(5) 상환방법: 발행회사가 본건 우선주의 상환을 청구하는 경우 발행회사는 상환일로부터 최소 2주 전 그 사실을 인수인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6) 상환재원 마련: 자본준비금이 충분할 경우 발행회사는 2026년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에 규정상 전입가능한 만큼 최대 금액을 전입하여야 한다. 또한, 정기보고서상 별도 재무제표 기준 상법상 배당가능이익이 200억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이후 2달내로 임시 주주총회를 개최하여 이익잉여금이 250억원이 되도록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또는 전입시점에는 이익결손금일 경우 이익결손금)에 전입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가능이익이 부족하여 본건 우선주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환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 상환되지 못한 주식에 대한 상환기일은 그 상환에 필요한 배당가능이익이 발생하는 시점까지 연기된다.

3. 전환에 관한 사항 본건 우선주 보유 주주는 그 선택에 따른 전환청구에 의하여 본건 우선주를 아래의 전환조건에 따라 회사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다.

(1) 전환비율 및 전환주식의 수: 전환비율은 본건 주식의 주당 발행가액을 전환 당시의 유효한 전환가액으로 나누어 결정된 수이다. 전환권이 행사된 주식의 수에 전환비율을 곱한 주식 수를 전환주식(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되는 보통주식)의 수로 한다. 명확히 하면, 최초의 전환비율은 1:1이고, 아래 (4)의 전환가액의 조정에 따라 전환비율이 조정될 수 있다.

(2)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의 종류: 발행회사의 기명식 보통주식

(3) 전환가액: 본건 우선주의 최초 전환가액은 금 33,628원이다. 전환가액은 아래 제4항에 기재된 바에 따라 조정된다. 최초 전환가액은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5-24조의2 및 제5-22조를 준용하여 본건 우선주 발행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하여 산정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으로써 원 단위 미만을 절상한 금액으로 한다.

(4) 전환가액의 조정: 관련법령상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본건 우선주의 전환가액은 다음과 같이 조정된다. 단, 조정 사유가 수차례 발생하는 경우 하나의 사유로 조정된 가액을 기준으로 다시 수차에 걸쳐 조정된다.

(a) 인수인이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본호에 따른 전환가격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조정 후 전환가격 = 조정 전 전환가격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로 한다.

(b)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인수인이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발행회사가 이러한 조치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인수인이 손해를 입은 경우 발행회사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회사는 인수인의 권리에 불리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방식으로 합병, 분할 및 영업양수도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되며, 계속 상장을 유지할 의무를 부담한다.

(c)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격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격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격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d) 위 (a)호 내지 (c)호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하며, 각 우선주의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우선주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e) 본항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 중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5) 전환청구 기간: 본건 우선주의 발행일로부터 1년이 되는 날(2026년 09월 19일)부터 존속기간 만료 1개월 전(2030년 08월 19일)까지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다.

(6) 전환청구를 받을 장소: 발행회사의 명의개서대행기관(주식회사 국민은행)

(7) 전환의 효력발생: 보통주로의 전환은 그 청구를 한 때에 효력이 생긴다. 다만, 이익이나 이자의 배당에 관하여는 그 청구를 한 때가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 영업년도말에 전환된 것으로 한다.

(8) 기타 전환에 관한 사항

(a) 전환청구 절차: 전환하고자 하는 본건 우선주가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거래하는 계좌관리기관을 통하여 한국예탁결제원에 전환청구하고, 자기계좌부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전환청구하면, 한국예탁결제원이 이를 취합하여 청구장소에 전환청구한다.

(b) 미발행 주식의 보유: 인수인이 전환청구를 할 수 있는 기간까지 발행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에 행사로 인하여 발행될 주식수를 미발행 주식수로 보유하여야 한다.

(c) 전환청구에 의한 증자등기: 전환청구일이 속한 월의 말일로부터 2주 이내에 한다.

(d) 전환청구로 발행된 주식의 교부 방법 및 장소: 전환청구로 발행되는 주식은 한국예탁결제원에 전자 등록 또는 예탁되므로 그 주권을 교부하지 아니한다. 단, 전환청구로 인하여 발행되는 주식은 명의개서 대행기관과 협의하여 전환청구일로부터 10영업일 이내에 추가 상장을 완료하여야 한다. 단, 한국예탁결제원의 사정으로 인한 지연, 천재지변 발생과 같은 불가피한 사유가 발생할 경우 이는 연기될 수 있다.

4.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1) 매도청구권: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매도청구권자”)는 본건 주식의 발행가액 총액(전자등록총액)의 35%(이하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의 범위 내에서 본건 주식의 발행일 이후 1년이 되는 날(2026년 09월 19일)부터 발행일 이후 2년이 되는 날 전일(2027년 09월 18일)까지의 기간 중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에 인수인에게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의 전자등록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본건 주식의 매도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이하 “매도청구권”)를 가진다. 단,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제2조 제6호 가목에 따른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같은 법 시행령 제3조 제1항에 따른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와 함께 “최대주주 등”)이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최대주주 등 각자는 본건 주식의 발행 당시 자신이 보유(누구의 명의로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소유하는 경우를 말한다)한 주식 비율(이하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을 초과하여 발행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수 없는 조건으로 매도청구권을 행사하여야 하고, 최대주주 등이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더라도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를 초과하는 범위 내에서는 매도청구권 행사의 효력이 없으며, 인수인은 최대주주 등 행사한도를 초과하는 범위의 본건 주식을 매도할 의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2) 매도청구권 행사 방법: 본건 주식의 발행일 이후 1년이 되는 날(2026년 09월 19일)부터 발행일 이후 2년이 되는 날 전일(2027년 09월 18일)까지의 기간 중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 중 하루(이하 문맥에 따라 “매도청구권 행사일” 또는 “매매대금 지급기일”)를 택하여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다.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려는 매도청구권자는 매매대금 지급기일로부터 32일전까지(이하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인수인에게 매도청구권자의 성명(상호), 매도청구권 행사 대상 본건 주식의 수량, 매매대금 지급기일 및 매도청구권 행사금액(이하 “매매대금”)을 서면으로 통지하는 방식으로 매도청구권 행사를 하며,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의 경우 발행회사가 해당 매도청구권자를 매도청구권자로 지정한 서면을 첨부하여야 한다(해당 서면에는 매도청구권자로 지정된 자가 본 계약의 조건을 확인 후 이에 구속됨에 동의하는 내용과 매도청구권자의 서명 또는 기명날인이 포함되어야 한다).(3) 매매대금: 매도청구권자의 매도청구권 행사금액, 즉 매매대금은 매도청구권 행사 대상 주식의 인수대금 및 이에 대하여 본건 주식의 발행일로부터 매매대금 지급기일(아래 표 참조)까지 매도청구수익률 연 단리 1.0%를 적용하여 산출한 금액을 합산한 금액으로 한다.

구분 매도청구권 행사기간(32일 전까지) 매매대금 지급기일 매도청구권 행사금액
1 2026-08-18 2026-09-19 101.0000%
2 2026-11-17 2026-12-19 101.2500%
3 2027-02-15 2027-03-19 101.5000%
4 2027-05-18 2027-06-19 101.7500%
5 2027-08-17 2027-09-18 102.0000%

(4) 매매대금 지급 및 주식의 이전: 매도청구권자가 (2)항에 따라 서면으로 매도청구권 행사 통지를 하는 경우, 당해 서면이 인수인에 도달한 날에 매도청구권자 및 인수인 사이에 매도청구권 행사 대상 주식에 관한 매매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보며, 그에 따른 매도청구권자의 매매대금 지급(인수인 지정하는 계좌로 즉시 인출 가능한 원화로 입금하는 것을 의미함) 및 인수인의 매도청구권 행사 대상 주식 이전(해당 주식을 계좌간 대체의 전자등록의 방식으로 계좌관리기관에 개설된 매도청구권자의 고객계좌로 이전하는 것을 의미함)은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동시 이행되어야 한다. 단, 매매대금 지급기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은행 영업일에 매매대금의 지급 및 주식 이전 절차를 이행하기로 하며, 의문의 여지를 피하기 위해 부연하자면 원래의 매매대금 지급기일 이후 그 다음 은행 영업일까지의 이자도 계산하기로 한다. 매도청구권자가 매도청구권의 행사에 따른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매매대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급하지 아니한 때에는 해당 매매대금 지급기일의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 동안 지급하지 아니한 매매대금에 대하여 연 단리 12.00%의 이자율을 적용하여 산정한 연체이자를 추가로 지급하여야 한다. 연체이자는 1년을 365일(윤년인 경우 1년을 366일)로 하여 1일 단위로 계산한다. 매도청구권자들이 복수인 경우 위 매매계약에 따른 매도청구권자의 의무나 책임은 매도청구권자들이 연대하여 그 의무나 책임을 부담한다. (5) 매도청구권 행사 대응을 위한 인수인의 본건 주식 보유의무: 본건 주식의 인수인은 매도청구권자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i) 마지막 매도청구권 행사일인 2027년 09월 18일(단, 최종 매도청구권 행사기간 종료일인 2027년 08월 17일까지 (2)항에 따른 매도청구권 행사 통지가 없는 경우, 그 종료일), (ii)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 전부에 대해 매도청구권 행사가 있는 경우 해당 매매대금 지급기일 중 먼저 도래하는 날까지 매도청구권 행사가능수량(본건 주식 인수대금의 35%)에 대하여 본건 주식인수계약 별지 제8조에 따른 본건 주식의 전환권을 행사할 수 없고, 제3자에게 본건 주식을 양도하는 경우에도 제3자가 양수한 본건 주식의 전자등록금액의 35%에 대하여 위 기간 동안 전환권을 행사하지 않을 의무를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매도청구권자의 매도청구권 행사를 보장하여야 한다. 인수인은 본건 주식의 양도에 관한 사항을 본건 주식의 양도일로부터 10일 내에 발행회사에 서면으로 통지하여야 한다. 인수인이 위와 같은 조건을 준수하여 본건 주식을 제3자에게 양도한 경우, 양도된 본건 주식의 범위에서 인수인의 본 계약상 매도청구권 보장에 대한 의무는 소멸한 것으로 본다.

5. 기타사항

(1) 상기 일정은 거래상대방과의 협의 등 제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금번 유상증자로 발행되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량에 대하여 의무보유등록일로부터 1년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될 예정임

▶기준주가로 최소값[이사회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과거 1개월간ㆍ1주일간ㆍ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의 단순평균,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이용시 다음표를 추가

(단위 : 주, 원)
5,924,654214,000,921,35036,120.41 684,82422,795,490,45033,286.64 96,380 3,033,588,27531,475.2933,627.4531,475.296.837633,628
구 분 거래량 거래대금 가중산술평균주가
과거 1개월간의 가중산술평균주가(A)
과거 1주일간의 가중산술평균주가(B)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C)
(A),(B),(C)의 산술평균주가(D)
기준주가 : (C)와(D)중 낮은 가액
할인율 또는 할증률 (%)
발행가액

【제3자배정 근거, 목적 등】

제10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상법」 제54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발행하는 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배정하는 경우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 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 및 개인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근로자복지기본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8. 주권을 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9.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10.「증권 인수업무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2에 의거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에 따라 주주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

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④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⑤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경영상의 목적(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 및 시설자금 용도)
제3자배정 근거가 되는 정관규정 제3자배정 증자의 목적

【제3자배정 조달자금의 구체적 사용목적】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ㆍ영업양수자금의 경우】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Hanjung America Co.Hanjung America Co.에너지저장장치 제조-
자금용도 거래상대방 증권발행회사* 증권 발행회사의사업내용(양수영업 주요내용) 취득가격산정근거**

* Hanjung America Co.는 당사의 100% 자회사이며 신주취득의 목적으로 자금이 사용될 예정입니다.

** Hanjung America Co.는 비상장사인 관계로 시가가 존재하지 않고, 당사는 본 증권 취득을 향후 진행할 예정이므로 현재 취득가격을 산정할 수 없습니다.

【시설자금의 경우】
(단위 : 원)
ESS 생산설비 구축2025.9.30~2026.2.283,000,000,000
세부내역* 투자기간 투자금액

【제3자배정 대상자별 선정경위, 거래내역, 배정내역 등】

(본건 펀드 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29,737-

(본건 펀드 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29,737-엘에스증권 주식회사-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29,737-한양증권 주식회사-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59,474-키움증권 주식회사-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59,474-주식회사 푸른이앤아이-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44,605-키움-프렌드 기후기술 펀드-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 44,605-라이프-JB우리 한중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회사의 경영상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금의 신속한 조달을 위해 투자자의 의향, 납입 능력, 시기 등을 고려함.제1회차 전환사채(2025년 9월 11일 발행) 150억원 인수 예정 148,685-
제3자배정 대상자 회사 또는최대주주와의 관계 선정경위 증자결정 전후 6월이내 거래내역 및 계획 배정주식수 (주) 비 고

약칭 펀드명
본건 펀드1 DB코스닥벤처일반사모증권투자신탁제5호[채권혼합]
본건 펀드2 아트만코스닥벤처일반사모투자신탁제7호

【제3자배정 대상자 중 법인 또는 단체가 포함된 경우】
(1) 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주)푸른이앤아이2이승철50--이승철50----이성수50
명 칭 출자자수(명) 대표이사(대표조합원)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최대주주(최대출자자)
성명 지분(%) 성명 지분(%) 성명 지분(%)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단위 : 백만원)
2025년7월7,0758582,9811,9864,094-463-
회계연도 결산기
자산총계 매출액
부채총계 당기순손익
자본총계 외부감사인
자본금 감사의견

【제3자배정 대상자 중 법인 또는 단체가 포함된 경우】
(1) 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키움-프렌드 기후기술 펀드7--키움증권(주)21성장금융 은행권 기후기술 일반 사모투자신탁1호40--프렌드투자파트너스(주)1--
명 칭 출자자수(명) 대표이사(대표조합원)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최대주주(최대출자자)
성명 지분(%) 성명 지분(%) 성명 지분(%)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결산기
자산총계 매출액
부채총계 당기순손익
자본총계 외부감사인
자본금 감사의견
조합 출자금기후기술기업 투자를 주목적으로 하는 정책펀드
조달방법 조성경위
(주1) '키움-프렌드 기후기술 펀드'는 2025년 중 설립되어 최근 결산기 재무제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제3자배정 대상자 중 법인 또는 단체가 포함된 경우】
(1) 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라이프-JB우리 한중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11라이프자산운용(주)2.33라이프자산운용(주)2.33제이비우리캐피탈(주)18.6제이비우리캐피탈(주)18.6제이비우리캐피탈(주)18.6제이비우리캐피탈(주)18.6
명 칭 출자자수(명) 대표이사(대표조합원)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최대주주(최대출자자)
성명 지분(%) 성명 지분(%) 성명 지분(%)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결산기
자산총계 매출액
부채총계 당기순손익
자본총계 외부감사인
자본금 감사의견
법인 및 개인조합원 출자금 납입신기술투자조합 결성
조달방법 조성경위
(주1) '라이프-JB우리 한중 신기술투자조합 제1호'는 2025년 중 설립되어 최근 결산기 재무제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