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년 8 월 20 일 |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노바렉스 | |
| 대 표 이 사 : | 권 석 형 | |
| 본 점 소 재 지 :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4로 80 | |
| (전 화) 070-4852-2213 | ||
| (홈페이지)http://www.novarex.co.kr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이사 | (성 명) 이 재 근 |
| (전 화) 070-4852-2213 | ||
| (제18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 여러분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제18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또한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2조제1항에 의거하여 의결권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 미만 소유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9월 4일(목요일) 오전 9시
2. 장 소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4로 80 본사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 회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 할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 표시를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6.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사오며, 총회의 개회 시간보다 늦게 참석하실 경우 회의장에 입장하실 수 없습니다. 주주님들의 양해 바랍니다.
2025년 8 월 20 일
주식회사 노 바 렉 스
대표이사 권 석 형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신호주(출석률:100%) | 손동주(출석률:100%) | 황태철(출석률:100%) | |||
| 찬반여부 | |||||
| 1 | 2025-02-05 | 감사 前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자기주식 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2025년 경영계획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2 | 2025-03-11 | 제17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제17기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의 건 | 참석 | 참석 | 참석 |
| 현금배당 결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3 | 2025-03-28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4 | 2025-04-23 | 임원보수 세부사항 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신한은행 100억원 차입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5 | 2025-05-28 | 수출입은행 차입연장에 관한 건 (수출성장자금대출) | 찬성 | 찬성 | 찬성 |
| 성과조건부주식 운영규정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6 | 2025-07-23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수출입은행 차입 약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7 | 2025-08-12 | 신한은행 일반자금대출 50억원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감사위원회 | 신호주(위원장)손동주황태철 | 2025-02-05 | 제1호 2024년 실적 보고의 건제2호 3개년도 (2025년 ~2027년)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 -가결 |
| 2025-03-11 | 제1호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의 건 | - | ||
| 2025-04-23 | 제1호 2025년 1분기 실적 보고의 건 | |||
| 2025-05-28 | 제1호 2025년 1~4월 실적 보고의 건 | - | ||
| 2025-07-23 | 제1호 2025년 반기 실적 보고의 건 | - | ||
| 투명경영위원회 | 황태철(위원장)손동주권수혜 | 2025-02-05 | 제1호 임원 법인카드 개수 및 한도 승인의 건제2호 누적 현금거래 검토의 건제3호 2024년 1월~12월 임원 보수 지급내역 승인의 건제4호 월별 최근 3개월 자금실적 추이 내역 검토의 건 | 가결-가결- |
| 2025-04-23 | 제1호 임원 법인카드 개수 및 한도 승인의 건제2호 누적 현금거래 검토의 건제3호 2025년 1월~3월 임원 보수 지급내역 승인의 건제4호 월별 최근 3개월 자금실적 추이 내역 검토의 건 | 가결-가결- | ||
| 2025-07-23 | 제1호 임원 법인카드 개수 및 한도 승인의 건제2호 누적 현금거래 검토의 건제3호 2025년 1월~6월 임원 보수 지급내역 승인의 건제4호 월별 최근 3개월 자금실적 추이 내역 검토의 건 | 가결-가결- | ||
| 보상위원회 | 손동주(위원장)황태철권수혜 | 2025-02-05 | 제1호 2024년 1월~12월 등기이사 보수지급내역 승인의 건제2호 2024년 인센티브 지급 및 2025년 인센티브 계획 승인의 건 | 가결가결 |
| 2025-04-23 | 제1호 2025년 1월~3월 등기이사 보수지급내역 승인의 건 | 가결 | ||
| 2025-07-23 | 제1호 2025년 1월~6월 등기이사 보수지급내역 승인의 건 | 가결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사외이사 | 3 | 7,000 | 54 | 18 | - |
| 주)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 등을 포함한 총 이사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주) 인원수, 지급총액, 1인당 평균지급액은 2025년 6월까지 지급 기준입니다. |
| (단위 : 백만원, %) |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매입 | (주)노바웰스(종속회사) | 2025.01.01~2025.06.30 | 3,465 | 1.83% |
※ 최근사업연도(2025년)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89,213백만원)대비 거래건입니다.
| (단위 : 백만원, %) |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 최근사업연도(2025년)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189,213백만원)대비 5%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특정인과의 거래 건은 없었습니다.
(1) 산업의 특성건강기능식품은 일상 식사에서 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해 가공·제조한 식품이며, 식품위생법상의 식품과는 달리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평가해 기능성 원료를 인정하고 인정된 기능성원료를 사용한 식품을 건강기능식품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생체기능의 활성화를 통해 질병 발생 위험을 감소시키거나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질병의 치료가 목적인 의약품과는 구분됩니다.
|
구분 |
식품 |
의약품 |
||
|
건강기능식품 |
건강식품, 건강보조식품, 식이보충제 |
의약외품 |
일반의약품 |
|
|
정의 |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 또는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 |
전통적으로 건강에 좋다고 여겨져 널리 섭취되어 온 식품. 식약처로부터 안전성과 기능성을 인증받지 않은 제품 |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것 |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 치료,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
|
관련법 |
건강기능식품법 |
식품위생법 축산물위생관리법 |
약사법 |
약사법 |
| 자료)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 |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식이에 의한 1차 예방의 중요성 증대,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 확산 등으로 면역력을 향상시켜주는 제품을 중심으로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 건강기능식품은 노년층과중,장년층을 위한 제품이라는 인식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바쁜 일상 속에서 건강 관리가 쉽지 않고,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 증대, 피부건강에 도움을 주는 제품들의 수요가 20~30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성장기 어린 자녀의 면역력 증진 및 영양 보충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부모들도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연령층의 수요와 맞물려 공급 측면에서도 규제 완화에 따른 양질의 제품 출시가 늘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4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6조 1,415억 원) 1.6% 감소한 6조 440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며 3년 연속 6조원대 규모를 유지하고 있으나, 2년 연속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구매경험율과 구매 총 가구수는 여전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건강기능식품 시장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경험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시장 확장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은 성별, 연령 등과 관계없이 단일 품목으로 출시되었지만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개인의 니즈가 세분화되면서 맞춤형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소비자의 니즈가 다양해지고 세분화되면서 건강기능식품 ODM/OEM 회사인 당사는 다양한 니즈에 부합하는 기능성 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개별인정을 받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렇게 발굴한 기능성 원료로 생산된 제품을 국내 유수의 건강기능식품 유통기업 등에 판매하는 B2B 사업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목표 시장은 제약회사, 식품회사, 네트워크판매회사 등 기업 고객층입니다. 하지만, 당사는 최종 수요자의 니즈를 파악하여 기능성 원료의 개발, 개별인정원료 등록 후 제품화까지하는 ODM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1차적으로는 기업 고객층을 통해 매출을 발생시키지만 최종 목표 시장은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건강기능식품을 소비하는 최종 소비자입니다. 따라서 Value Chain에서의 당사는 생산자의 위치이지만 소비자의 니즈의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제조하여 다양한 유통 채널을 이용하며 소비자를 만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규모 및 전망
2024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총 생산실적은 4조 131억원으로 전년 대비 다소 감소하였으며, 수입실적은 1조 4,417억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국내시장규모는 5조 746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감소하였습니다.
| [건강기능식품 국내 시장규모('20~'24)] |
| ('24.12.31.기준, 출처: 식약처) |
| 구분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
| 판매실적(억원) | 40,131 | 40,919 | 41,695 | 40,321 | 33,254 | |
| 전년대비성장률(%) | (1.9) | (1.9) | 3.4 | 21.3 | 12.7 | |
| 내수용(억원) | 36,330 | 37,677 | 38,914 | 38,015 | 30,990 | |
| 전년대비성장률(%) | (3.6) | (3.2) | 2.4 | 22.7 | 10.4 | |
| 수출용 | 원화기준(억원) | 3,802 | 3,242 | 2,781 | 2,306 | 2,264 |
| 전년대비성장률(%) | 17.3 | 16.6 | 20.6 | 1.9 | 58.7 | |
| 달러기준(만달러) | 27,864 | 24,834 | 21,522 | 20,149 | 19,189 | |
| 전년대비성장률(%) | 12.2 | 15.4 | 6.8 | 5.0 | 56.8 | |
| 수입 주2) | 원화기준(억원) | 14,417 | 13,951 | 15,010 | 12,568 | 10,763 |
| 전년대비성장률(%) | 3.3 | (7.1) | 19.4 | 16.8 | 17.3 | |
| 달러기준(만달러) | 105,701 | 106,906 | 116,178 | 109,861 | 91,214 | |
| 전년대비성장률(%) | (1.1) | (8.0) | 5.7 | 20.4 | 15.9 | |
| 국내시장규모(억원) 주3) | 50,746 | 51,628 | 53,924 | 50,583 | 41,753 | |
| 전년대비성장률(%) | (1.7) | (4.3) | 6.6 | 21.1 | 12.1 | |
| 주1)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자료 기준 |
| 주2) 건강기능식품 수입실적의 적합 제품만을 기준 |
| 주3) 국내시장규모 = 매출 - 수출 + 수입 |
| ※ 적용 환율: 1$=1,180(20), 1,144(21), 1,292(22), 1,305(23), 1,364(24) |
개별인정형제품의 성장률은 매년 트렌드에 따라 급변하고 있으며 2024년에 저분자콜라겐펩타이드, 풋사과추출물애플페논이 크게 성장하였으며 자일로올리고당분말, 황기추출물 등 복합물(HT042),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등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24년 개별인정형 품목별 생산실적 및 추이('20~'24)] |
| ('24.12.31.기준, 출처: 식약처, 단위 : 억원) |
| 순위 | 구분 | 2024 | 2023 | 2022 | 2021 | 2020 | ||
| 판매실적 | 점유율(%) | 증감율(%) | ||||||
| 계 | 6,903 | 100.0 | (6.8) | 7,409 | 8,511 | 8,741 | 6,543 | |
| 1 | 루테인지아잔틴복합추출물 | 873 | 12.6 | 4.9 | 832 | 815 | 810 | 279 |
| 2 | 헤모힘 당귀등 혼합추출물 | 859 | 12.4 | 1.1 | 850 | 996 | 1,382 | 1,195 |
| 3 | 자일로올리고당분말 | 741 | 10.7 | (11.3) | 835 | 956 | 198 | 109 |
| 4 | 황기추출물 등 복합물(HT042) | 344 | 5.0 | (33.6) | 518 | 469 | 619 | 461 |
| 5 | 미역 등 복합추출물(잔티젠) | 209 | 3.0 | (7.9) | 227 | 96 | 95 | 141 |
| 누계 (5품목) | 3,025 | 43.8 | (7.2) | 3,262 | 3,333 | 3,103 | 2,186 | |
| 6 | 저분자콜라겐펩타이드 | 203 | 2.9 | 37.2 | 148 | 321 | 331 | 278 |
| 7 | 헛개나무과병추출분말 | 149 | 2.2 | (79.2) | 715 | 687 | 813 | 821 |
| 8 | 풋사과추출물애플페논 | 143 | 2.1 | 64.4 | 87 | 217 | 132 | 62 |
| 9 | 초록입홍합추출오일복합물 | 118 | 1.7 | 10.3 | 107 | 213 | 314 | 22 |
| 10 | 리스펙타 프로바이오틱스 | 115 | 1.7 | (5.0) | 121 | 123 | 235 | 73 |
| 누계 (10품목) | 3,753 | 54.4 | (15.5) | 4,441 | 4,894 | 4,927 | 3,442 | |
| 11 | 기타품목 | 3,150 | 45.6 | 6.1 | 2,968 | 3,617 | 3,540 | 3,101 |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인구 증가와 건강에 대한 관심 확산으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수요층 또한 기존 중,장년층에서 20~30대로 확대되고 있으며, 다이어트와 피부건강, 눈건강 등의 기능성에 대한 부분도 확대되어 제품이 다양해지고 소비자들의 관심이 다양해져 다양한 개별인정형 제품의 출시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25년(당반기), 연결매출 1,89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반기수준의 실적(1,383억원)을 초과한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이 중, 해외사업은 성장기반을 공고히하며 전반기대비 82% 성장한 773억원을 기록하였고, 2분기에는 창사이래 최고의 매출을 달성하면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협력과 혁신으로 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여 연결순이익은 150억원을 달성하며 수익성도 개선한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건강기능식품과 그 주원료인 기능성원료(개별인정형원료)를 연구,개발,생산하는 건강기능식품 전문기업입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일상 식사에서결핍되기 쉬운 영양소나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진 원료나 성분(기능성원료)을 사용하여 제조한 식품으로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식품입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동물시험, 인체적용시험 등 과학적 근거를 평가하여 기능성 원료를 인정하고 있으며 이런 기능성원료를 가지고 만든 제품이 건강기능식품입니다.
|
|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규정에 따라 일정 절차를 거쳐 만들어지는 제품으로서 『건강기능식품』이라는 문구 또는 인증마크가 있으며, 식약처에 고시되거나 인정된 원료의 효능이나 기능을 제품에 표시하고 광고할 수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이 아닌 일반 '건강식품', '자연식품', '천연식품'과 같은 명칭의 제품은 효능이나 기능을 표시 혹은 광고할 수 없는 점에서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모든 건강기능식품에는 기능성원료의 『기능성』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의약품의 효과와 다릅니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의약품과 같이 질병의 직접적인 치료나 예방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 조절,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이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말합니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습니다.
|
기능성 구분 |
기능성 내용 |
|
영양소 기능 |
인체의 정상적인 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대한 영양소의 생리학적 작용 |
|
생리활성 기능 |
인체의 정상기능이나 생물학적 활동에 특별한 효과가 있어 건강상의 기여나 기능향상 또는 건강유지·개선을 나타내는 기능 |
|
질병발생 위험감소 기능 |
질병의 발생 또는 건강상태의 위험 감소와 관련한 기능 |
|
자료) 식품의약품안전처 |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당사는 건강기능식품전문제조기업으로 단일의 사업부문으로 되어있으며, 생명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철저한 검증과 인체적용시험을 통하여 신제품 및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를 개발, 생산하는 ODM/OEM기업입니다.당사의 주요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구 분 | 내 용 |
| ODM | 트렌드 및 시장동향 분석 기반으로 상품 기획부터 개발, 생산 그리고 출하까지 원스톱 토탈솔루션을 제공 |
| OEM | 고객의 니즈 기반으로 완제품을 생산하여 주문자 상표를 부착, 납품하는 서비스 제공 |
| 기능성원료 개발 | 생명과학연구소를 중심으로 철저한 검증과 인체적용시험을 통하여 신제품 및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를 개발 및 제조 |
(2) 시장점유율 2024년 식약처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통계자료에 나타난 국내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4조 131억원) 대비 당사의 2024년 생산액은 2,550억원을 나타내 전체 시장에서약 6.35%를 차지하였습니다.
| ['24년 건강기능식품 업체별 생산실적 현황('22~'24)] |
| ('24.12.31.기준, 출처: 식약처, 단위 : 억원) |
| 순위 | 업체명 | 2024 | 2023 | 2022 | |||
| 생산액 | 시장점유율 | 생산액 | 시장점유율 | 생산액 | 시장점유율 | ||
| 1 | (주)한국인삼공사 | 2,894 | 7.21% | 3,009 | 7.35% | 3,898 | 9.35% |
| 2 | 콜마비앤에이치(주) | 2,599 | 6.48% | 2,614 | 6.39% | 2,966 | 7.11% |
| 3 | 주식회사 노바렉스 | 2,550 | 6.35% | 2,661 | 6.50% | 2,406 | 5.77% |
| 4 | (주)에치와이 | 1,501 | 3.74% | 1,164 | 2.84% | 1,369 | 3.28% |
| 5 | 종근당건강㈜ | 1,342 | 3.34% | 1,171 | 2.86% | 1,073 | 2.57% |
| 6 | 코스맥스바이오(주) | 1,037 | 2.58% | 1,145 | 2.80% | 1,163 | 2.79% |
| 7 | 코스맥스엔비티㈜ | 1,021 | 2.54% | 961 | 2.35% | 965 | 2.31% |
| 8 | (주)서흥 | 910 | 2.27% | 924 | 2.26% | 1,602 | 3.84% |
| 9 | 고려은단 헬스케어㈜ | 653 | 1.63% | 546 | 1.33% | 509 | 1.22% |
| 10 | (주)알피바이오 | 538 | 1.34% | 697 | 1.70% | 671 | 1.61% |
| 기타 | 25,086 | 62.51% | 26,027 | 63.61% | 25,073 | 60.13% | |
| 총 생산액 | 40,131 | 100.00% | 40,919 | 100.00% | 41,695 | 100.00% | |
| 주) 업체순위는 2024년 생산액 기준입니다. |
(3) 시장의 특성 2024년 기준, 총 35가지 기능성이 인증되었는데 비교적 최근 인정된 수면의 질 개선기능성은 노바렉스의 개별인정원료인 락티움을 포함하여 5건의 원료가 인정받았으며 2024년 모발의 윤기, 탄력 기능성이 새롭게 추가되었습니다. 모발건강과 관련된 개별인정형원료로는 노바렉스 기장밀추출복합물 (Keranat™) 이 있습니다. 다양한 신규 기능성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원료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식약처 차원의 기술지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
|
자료) 2024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및 소비자 실태조사. 건강기능식품협회 |
식약처가 고시한 원료 또는 성분은 2024년 2월 기준 97종(영양소 28종, 기능성 원료 69종)이며, 2023년까지의 개별인정형 원료 누적 인정 건수는 총 760건으로 당해 44건을 인정받았고, 그 중 신규 원료 인정 건수는 29건으로 집계되었으며 2023년도에도 전년도와 비슷한 건수가 신규인정 받은 것으로 보았을 때 개별인정형 시장이 추후더 성장할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개별인정형 원료를 이용한 제품의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어 많은 업체들이 원료 인정을 위해 투자하고 있지만, 오랜 개발기간과 많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시형원료 대비 진입장벽이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
|
|
자료) 2024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및 소비자 실태조사. 건강기능식품협회 |
2023년 인정받은 기능성원료 44건 중 가장 많은 기능성 내용을 차지하는 것은 피부건강 11건이며, 다음으로 체지방 감소 10건, 근력 개선 5건, 면역기능 개선 3건 순으로 많이 인정받았습니다.
개별인정원료는 고시형 원료와 달리 기능성 원료를 등록하고자 하는 회사의 별도 신청 후 식약처의 심사를 통해 등록됩니다. 이 때 식약처는 기능성 원료의 심사는 표준화, 안전성, 기능성에 대한 심사를 통해 기능성 원료를 인정하게 되고 이는 개별인정원료가 됩니다. 자료를 제출한 후의 심사기간은 120일이나 심사를 위한 자료의 추가 요청 등으로 자료 제출 후 기능성 원료로 인정되기까지는 120일보다 더 긴 시간이 소요될 수도 있습니다.
|
|
|
자료) 2016 가공식품 세부 시장 현황-건강기능식품편. FIS식품산업통계정보 |
이와 같이 개별인정원료 등록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제조업자는 직접 원료를 수급하고 연구를 통해 원료의 기능성을 입증하여 식약처의 심사를 거쳐야만 등록이 되므로, 연구 및 개발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당사는 업계 내 가장 많은 개별인정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신규 기능성 원료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내 독점적인 시장지위를 견고히 하고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은 GMP규격에 부합하는 생산시설과 품질관리 능력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전문제조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생산자에서 소비자까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공급되고 있습니다. 유통사가 직접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하기도 하지만 당사 등 건강기능식품 전문제조업자의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제조업자개발생산방식) 또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상표부착생산방식)에 의해 제품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수의 개별인정원료를 독점적으로 확보하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최종 소비자에게 익숙한 브랜드를 보유한 유통회사에 체적으로 개발한 제품을 공급하여 유통하는 방식, 즉, ODM을 주요한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건강기능식품 업체 중 가장 많은 46건의(자회사 포함) 개별인정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신규 기능성 원료 개발을 통해 시장의 수요에 부합하는 개별인정원료의 수를 늘릴 계획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해당사항 없음
(5) 조직도
제1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가. 의안 제목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나. 의안의 요지
-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에 의거 자본준비금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함으로써 배당재원을 확대하는 것으로, 당사 주주환원정책의 일환입니다.-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환으로 증가하는 배당가능이익은 250억원이며, 관련법(*)에 의거하여 동 금액은 향후 배당소득에서 제외되는 배당(이하 '비과세 배당')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소득세법 시행령 제26조의3 제6항 및 법인세법 제18조 제8호- 개인 주주의 경우, 비과세 배당은 원천징수를 하지 않기 때문에 배당금의 100%를 수령하게 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 전입가능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
| (단위: 원) |
| 주식발행초과금(A) | 자본금(B) | 자본금의 1.5배(C) | 감액가능주식발행초과금 (A-C) |
| 49,329,696,995 | 9,377,424,000 | 14,066,136,000 | 35,263,560,995 |
*2025.06.30 결산 재무상태표 기준□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대상
| 구분 | 주요 재원 | 금액 | 비고 |
| 자본준비금 감액 | 주식발행초과금 | 금 250억원 감액(-)(25,000,000,000)원 | - |
| 이익잉여금 전입 | - | 금 250억원 전입(+)(25,000,000,000)원 | - |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