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3 월 7 일 | ||
회 사 명 : | 샘표식품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박 진 선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중구 충무로 2 | |
(전 화) 02-3393-5500 | ||
(홈페이지)http://www.sempi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 (성 명) 김 정 수 |
(전 화) 02-3393-5500 | ||
(제9기 정기) |
1. 일 시 : 2025년 3월 24일 (월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이섭대천로 58 샘표식품(주) 이천공장 강당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결의사항 제1호 의안 : 제9기 (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배당 예정 : 1주당 200원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선임) 제4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상근감사 1명 선임)
제5호 의안 : 임원 퇴직금 지급 규정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20억원)
제7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2억원)
4. 의결권 대리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주주총회 참석장에서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거나 위임장에 의거 간접 행사 - 전자투표방식을 통한 의결권 행사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3월 14일(금) 9시 ~ 2025년 3월 23일(일) 17시 - 첫날은 오전 9시부터 전자투표시스템 접속이 가능하며, 그 이후 기간 중에는 24시간 접속이 가능합니다. 단,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투표하실 수 있습 니다. 다. 시스템에서 본인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전자투표를 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 본인 인증 방법 : 범용/증권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 인증, PASS앱 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됩니다.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본인 참석 시)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대리인 참석 시) : 주주총회 참석장,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2025년 3월
서울특별시 중구 충무로 2
샘표식품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박 진 선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정명섭(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차 | 2024.02.05 | 1. 제8기 외부감사전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보고사항) 2. 제8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찬성 |
2차 | 2024.02.13 | 1. 제8기 외부감사전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보고사항) 2. 제8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 보고의 건3. 제8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및 부의안건 승인의 건4. 제8기 재무제표 승인 권한의 주주총회 위임 건5. 2024년 안전보건관리계획서 승인의 건 | 찬성찬성찬성찬성 |
3차 | 2024.03.07 | 한국수출입은행 수출성장자금대출 차입의 건(차입한도 : 100억원, 이자 납입 : 1개월마다 후 지급) | 찬성 |
4차 | 2024.03.19 | 1. 이사보수 결정의 건2. 감사보수 결정의 건 | 찬성찬성 |
5차 | 2024.06.21 | 우리은행 기업시설자금대출 차입의 건(차입 금액 : 100억원) | 찬성 |
6차 | 2024.07.16 | 우리은행 기업운전자금대출 차입의 건(차입 금액 : 5.72억원) | 찬성 |
7차 | 2024.08.12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정책자금 차입의 건(차입 금액 : 71.35억원) | 찬성 |
8차 | 2024.10.28 | 한국산업은행 앞 산업운영자금대출 300억원 신규 차입의 건(차입 금액 : 300억원) | 찬성 |
9차 | 2024.11.08 |
SFS (SEMPIO FOOD SERVICES, INC)에 대한 자금 대여 승인의 건 (대여 금액 : US$ 10,000,000) |
찬성 |
10차 | 2024.12.16 | 한국산업은행 앞 신규운영자금대출 100억원 신규 차입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 | 36 | 36 | - |
* 상기 주총승인 금액은 사내이사 3인을 포함한 모든 등기이사의 보수한도임** 인원수는 공시기준일 현재 인원수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샘표아이에스피(기타관계회사) | 매출입 | 2024.01~12 | 226 | 5.7% |
(*) 최근(2024년) 별도재무제표(K-IFRS)상의 매출총액(3,947.2억원)대비 비율임
o 간장
(산업의 성장성) 간장시장은 소스류시장의 성장, 외식 증가 등으로 인해서 서서히 양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계속되는 경기 침체로 간장시장의 매장 내 판촉 경쟁은 심화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소득수준 향상에 따라 건강지향, 웰빙 경향에 맞춰 간장시장에서도 원재료, 성분 등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트렌드가 확대됨에 따라 용도별/기능별로 세분화 된 간장 제품의 매출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70년 발효 명가 '샘표'는 국내 최장수 브랜드로 수십년간 간장 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할 만큼 국민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1987년 경기도 이천에 단일 간장공장으로는 세계 최대 생산능력인 연간 8만kl를 생산할 수 있는 간장공장을 건설하였습니다. 샘표 이천공장은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1998년, 2000년 각각 ISO 9001 및 ISO 14001 인증을 받았으며, 2002년에는 HACCP(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기준) 지정을 받았습니다. 2003년에는 부설 식품안전연구센터가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으로부터 국제공인시험기관(KOLAS)으로 지정되어 국제 기준에 따라 품질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샘표 간장은 뛰어난 발효기술을 바탕으로 2011년 세계일류상품에 선정되었습니다. 소비자의 편의추구 니즈에 부응하는 '샘표 조림 볶음용 맛간장', '샘표 국 찌개용 맛간장' 을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부터 국내최초 이중안심밀폐용기를 적용한 '회간장', '우리아이 순한간장', '계란이 맛있어지는 간장', '만두가 맛있어지는 간장' 등 다양한 용도의 제품을 출시했으며, 2023 년부터는 '장아찌간장', '만능게장간장'까지 라인업을 확대하여 다변화된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 하면서 리딩 브랜드로서 트렌드를 선도하고 시장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o 연두
(산업의 성장성) '요리 에센스 연두'는 맛내기 조미식품군에서 '요리 에센스'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창출한 제품입니다. '요리 에센스 연두'는 순식물성 콩발효 제품으로, 한식은 물론 서양식을 포함한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어 신규 카테고리로서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2015년 10월 100% 국산콩을 발효하고 국산야채를 사용한 프리미엄 제품'연두 우리콩'을 출시하였고, 2017년 4월 국산 청양고추를 우려낸 '연두 청양초' 출시, 2021년 9월 100% 유기농 콩과 유기농 야채를 사용한 '연두 유기농'을 출시하여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 3월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유기농·자연식품 박람회인 "애너하임 국제 자연식품박람회"에서 올해의 차세대 혁신제품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미국 시장에 Yondu Vegetable Umami를 공식 런칭하면서 글로벌 시장을 적극 공략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는 2020년 5월 미국FABI Award에서 올해의 혁신제품상 수상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2022년 8월 영국 '2022 그레이트 테이스트 어워즈(Great Taste Awards)' 최우수상 심사평에서는 '고기로 낸 육수를 대신해도 될 만큼 훌륭한 소스'로 극찬을 받기도 하는 등, 세계 무대에서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산업의 계절성) '요리 에센스 연두'는 가정의 요리 필수품으로서, 경기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콩을 발효한 순식물성의 연두는 재료의 참맛을 살려주어 요리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는 특징을 바탕으로 요리에센스라는 신규 카테고리를 창출하였고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두의 열풍으로 맛내기 시장은 분말 형태에서 액상 형태로 세대 교체되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큽니다.
최근 맛내기 조미식품군 중 육수 카테고리에서 코인육수 시장이 약 200억 이상으로 급성장함에 따라 연두에서도 2024년 2월 국물 맛의 핵심인 자연 재료를 한번 굽고 우려낸 '연두 비법육수링' 2종을 출시해 브랜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요리 에센스 연두'는 발효 명가 샘표의 콩발효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제품입니다. 콩에는 천연의 맛 성분인 주요 아미노산이 소고기, 멸치, 표고버섯보다 3배 이상 많고, 그 자체의 맛과 향이 강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콩 발효액에 파, 마늘, 무 등 갖은 양념 우린 물을 더해 만든 연두는 요리할 때 원재료의 맛을 해치지 않고 인공적이지 않아 자연스럽게 재료의 참맛을 살려주며 순식물성 재료만으로도 깊고 균형 잡힌 풍미가 매력적입니다. 전통적으로 장을 기반으로 맛을 내던 한국인에게 샘표의 핵심기술인 콩발효는 한식과 더 나아가 우리 식생활의 근본을 살려 삶을 풍요롭게 해줄 것입니다. 이러한 콩발효의 가치와 세계시장에서의 향후 성장가능성을 높이 평가 받은 요리에센스 연두는 산업통상자원부 주최의 2016년 차세대 세계일류상품으로 선정되었으며 2023년 비건 인증도 취득하였습니다.'요리에센스 연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트렌드에 부합할 뿐 아니라, 사회 활동 증가 등으로 요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비자들이 맛있고 건강한 요리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품으로 높은 경쟁력과 차별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건강하고 윤리적인 식품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순식물성 콩발효를 제품의 핵심 가치로 두고 있는 '요리에센스 연두'가 새롭게 주목 받고 있습니다.
o 된장/고추장/쌈장(산업의 성장성) 전체 장류 시장은 서서히 정체,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된장시장은 프리미엄 콩된장 및 용도 특화형 된장 시장의 확대로 매년 소폭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품질과 맛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준이 업그레이드 되면서, 기존 시판 된장과는 차별화된 프리미엄 된장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편의성을 추구하는 소비자 트렌드가 확대되면서 특정용도에 특화된 제품의 판매가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샘표는 2015년 기존 된장과 차별화 된 프리미엄 된장인 백일된장과 토장을 출시하며, 프리미엄 된장 시장의 시장 안착 및 성장을 주도하였습니다. 샘표는 2024년 현재 프리미엄 콩된장 시장 내에서 판매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된장과 더불어, 프리미엄 고추장 시장 공략을 위해 2023년 5월 매운조선고추장, 2024년 8월 국산조선고추장으로 라인업을 확장하였습니다.
o 폰타나
(산업의 특성) 서양식 식품 시장은 소비자들의 해외 경험과 관심이 증가하면서 수요가 확대 되고 있는 시장입니다. 서양소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지식과 정보가 향상 됨에 따라 직수입 되는 제품과 정통레시피를 구현한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성장하고 있는 시장 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식문화 발전에 따라 소비자들이 세계 각국의 이국적인 음식과 요리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외식 산업의 발달을 통해 다양하고 새로운 메뉴의 저변 확대도 이루어지고 있어 이러한 소비자 욕구를 반영한 제품들이 꾸준히 출시되고 있기 때문에 가구 내에서 조리해서 먹는 서양소스 부문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세계적인 원부자재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로 가정 식생활에서외식이 줄어 들것으로 보이며 평소 외식에서 즐기던 메뉴들을 가정에서 조리하는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그에 따라 맛과 품질력을 갖춘 제품의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식문화 발달에 따라 다양한 서양식 메뉴가 소개되고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그에 따라 수입업체를 통해 다양한 직수입제품들이 늘어나고 있고, 국내 식품대기업들도 한국인의 입맛에 맞춘 레시피로 서양식 제품군을 확대하며 시장을 성장시켜 가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우리회사는 '폰타나(Fontana)'라는 프리미엄 서양식 브랜드를 도입하여 엄선한 원료로 세계 각국의 정통 요리법을 구현하며 최고의 제품 개발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탈리아 지역별 특색을 살린 파스타소스, 풍부한 맛의 정통 유럽식 수프, 웰빙 식생활에 어울리는 지중해식 샐러드 드레싱, 유럽 직수입 건강 오일(올리브유, 포도씨유 등)과 발사믹식초, 나라별 정통 고기요리의 특색을 담은 고기소스를 판매하고 있으며 리조또나 스튜 등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제품 및 품목을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22년 10월부터 23년 1월까지 진행 한 폰타나 수프 광고의 성공적인 캠페인 전개로 액상수프 시장의 시장점유율 1위를 굳건히 하였으며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한 즉석수프 카테고리에서도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며 단숨에 시장에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였습니다. 폰타나는 서양식 전문 브랜드 및 서양식 HMR 시장을 리드하는 등 향후 지속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o 티아시아(T'Asia)
(산업의 특성, 성장성) 오랜시간 물가 상승을 겪은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경제적인 집밥을 선택하면서 관련 소스류에 대한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특히 가정 간편식과, 즉석 조리 식품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 되고 있습니다. 일본, 동남아 등 해외 여행 경험의 증가로 인하여 아시아 푸드에 대한 친숙함 및 경험의 증대로 관련 시장의 지속 성장이 기대됩니다. (국내시장 여건) 국내 시장은 카레, 소스류 등을 중심으로 소폭 성장하고 있습니다. 카레는 레토르트, 분말 모두 소폭 증가 추세이며, 이색 카레 이외에도 다양한 카레류가 출시되고 있어 지속 성장세를 이어나가는 모습입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독립브랜드 '티아시아'는 21년 3월 최초 커리 제품을 선보이며 프리미엄 커리 시장을 리드하고 있습니다. 다른 브랜드와 차별화된 컨셉과 맛으로 정통 커리를 국내 소비자의 입맛에 맞게 개발하여 선보였으며 전지현을 모델로 한 TVC, 디지털 마케팅, 활발한 제휴와 샘플링, 인스토어 커뮤니케이션 및 PPL을 통해 매출극대화를 위한 마케팅 활동을 써포트하였습니다. 티아시아는 커리 이후에 아시안 각국의 대표 메뉴들을 제품화하여 출시함으로써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아시아 푸드 전문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하며 성장,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o 차오차이
(산업의 특성, 성장성) 중화요리 외식 시장 규모는 약 7조 4000억 규모로 추산되며, 2021년 기준 4년간 15% 가량 성장하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서울 지역 짜장면 평균 가격이 7,069원으로 2022년 대비 22.5% 상승하는 등 중화요리를 포함한 외식업 물가의 상승으로 즉석조리식품 시장이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로 인해 '사먹는 집밥'으로 불리는 간편식 시장 규모가 5조원 대로 성장하고 있으며 식품업체들의 투자가 늘어나면서 상품이 다양해지고 고급화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중화요리의 간편식 시장 규모는 22년 기준 309억원으로 YoY 40% 증가한 수준이며, 레토르트 짜장은 23년 180억 규모였으나 차오차이 출시로 그 시장의 규모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요리프로그램에서 중화요리를 소개하는 경우가 많아져 기존의 짜장면, 짬뽕과 같은 대중적인 요리에서 벗어나 다양한 중화요리를 찾고 즐기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집에서는 중식당에서 먹는 맛을 내기 어려워 식품업체들이 제대로 된 맛을 내지 못하는 시장 환경이고 이로 인해 주로 냉동 HMR제품만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에 샘표식품은 집에서도 쉽게 중식당에서 먹는 중화요리 맛을 낼 수 있는 렌지업 8종, 요리소스 11종 등 총 19종의 신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물가 상승 및 경기 침체에 따라 경제적인 식생활 트렌드가 대세로 자리 잡으며 집밥에 대한 선호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맞게 차오차이는 다년간의 연구를 통해 집에서도 중식당의 맛을 낼 수 있는 스펙을 지속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 공정 중에서도 강한 불에 춘장을 쉬지 않고 볶아내는 조리법을 그대로 구현하였습니다. 또한 짜장, 마파두부의 원재료인 춘장, 고추장의 발효기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샘표의 정체성을 담아 맛에서도 우위를 갖추었습니다.
대표적으로 동파육은 고급 중식당에서나 맛볼 수 있는 요리이지만 차오차이 대표 제품인 '동파육 볶음 소스'를 이용하면 단 8분 만에 오향이 어우러진 동파육을 집에서도 쉽게 맛볼 수 있습니다. 차오차이 '130직화간짜장소스'는 130도 직화 솥에서 회전하며 볶아낸 춘장으로 집에서는 구현하기 힘든 중식당 불향의 맛을 살렸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모던 차이니즈 퀴진' 컨셉 아래 신제품 확대를 준비 중에 있어 더욱 다양한 중화 미식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또한, 2025년 1월부터 김혜수를 모델로 2차 TV 광고를 진행하여 차오차이 브랜드를 대중에게 알리는 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튜브 내 연예인들을 활용한 브랜디드 컨텐츠 및 다양한 온라인 광고까지 공격적인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o 백년동안 흑초
(산업의 특성, 성장성) 2005년에 시작된 식초음료 시장에서, 백년동안 흑초음료는 2009 년도에 성공적인 신제품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시장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웰빙 트렌드와 함께 CJ 제일제당, 대상, 샘표식품 등 메이저 식품 기업의 제품 출시로 식초음료 시장은 2010년 50%의 큰 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2012년 이후 시장은 조금씩 감소하고 있으나, 백년동안 흑초는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판매 활성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대부분의 식초음료는 물에 희석하여 마시는 건강음료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음료 매출이 증가하는 하절기에 백년동안의 희석용 흑초 제품도 매출이 집중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에 반해 백년동안 흑초 원액 제품은 계절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고 꾸준히 판매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우리회사는 생현미를 발효한 흑초 원액과 함께, 산머루복분자, 산수유석류, 블랙블루베리 등 다양한 과채를 더한 희석용 제품으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샘표식품뿐 아니라, 주요 제조사인 대상, CJ제일제당에서도 다양한 맛과 향을 가미한 희석용 제품을 출시 운영 중입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시중의 식초 음료는 대부분 과일을 발효하여 만들었으나, 백년동안 흑초는 샘표의 78년 발효기술로 통 알곡 현미를 3단계 자연 발효하여 만들었습니다. 단단한 현미 알곡이 발효과정을 통해 맑고 검은빛의 흑초로 변화하면서 현미의 건강 성분이 고스란히 담겨 필수 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일반 식초 대비 많습니다. 또한 특허 "항산화 물질이 풍부한 흑초의 제조법(특허번호10-1441790)" 등록을 완료하여 제조과정부터 소비자의 건강을 생각하며 만들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을 위해 식초음료를 마시는 소비자의 니즈를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백년동안 흑초는 원액 제품의 라인업 확장 등을 통해서, 음용식초 시장 내 백년동안만의 USP를 '건강'에 지속 집중할 계획입니다.
o 새미네부엌(산업의 성장성 / 국내시장 여건) 최근 가파른 외식물가 상승으로 집밥 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양한 소스류가 각광받고 있습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발간한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국내 소스류 생산액은년조억원에서년조억원으로년 만에늘었으며올해는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새미네부엌'은 새로운 요리법으로 누구나 쉽게 맛있는 요리를 완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김치양념', '요리소스', '딥소스'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소비자가 요리할 때 겪는 어려움을 고민하고 이를 해결해주는 제품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김치양념'은 기존 시장에는 없던 혁명적인제품으로 겉절이, 파김치, 오이소박이 등 라인업을 보유하며 시장 내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최근에는 SNS 인플루언서들과 협업하여 누구나 쉽게,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음을 직접 보여주는 커뮤니케이션 활동들을 적극적으로 진행하여 제품의 구매 경험율을 빠르게 늘려가고 있습니다. 새미네부엌은 향후에도 다양한 제품과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활동들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요리하는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만들고 누구나 쉽게 요리를 즐기는 문화를 만들어 나감으로써 자연스럽게 요리하면 떠오르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 하고자 합니다.
o HMR(통조림)
(산업의 특성) 통조림 시장은 성숙기 시장으로 매출 변동이 크지 않으며, 원물 제품들을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가공 반찬류 시장은 1~2인 가구가 늘어나는 인구 구조의 변화와 편의성 추구에 따라 성장하고 있으며 주요 식품회사들 또한 보관과 취식이 편리한 포장 반찬 신제품을 지속 출시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시장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지속적인 원물가 인상과 장기적인 경기불황 예상됨에 따라 외식소비는 줄어들고 가정 내 조리와 가성비 식품의 소비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물가에 따른 생활비 절감을 위해 낭비가 적은 소포장 반찬과 가격이 저렴하고 장기 보관이 가능한 통조림에 대한 수요도 일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시장 여건) 통조림 시장 내에서는 수산물 통조림이 가장 큰 시장이며 뒤이어 과일 통조림, 반찬 통조림 순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꽁치, 고등어 등 수산 원물 수급 이슈에 따른 원가 상승과 가격 인상으로 인하여 수산 통조림 시장 정체 중이며 생물 시장으로 수요 이동하기도 하였습니다.
(해외시장 여건) 전세계적으로 내식 수요가 증가하면서 간편성과 프리미엄한 맛을 동시에 제공하는 HMR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 통조림 시장은 부가가치를 높인 조미 통조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영향으로 안주와 집밥 요리용도의 통조림 신제품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우리회사는 반찬통조림, 요리전용통조림 품목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깻잎절임과 장조림, 기타 밑반찬 품목군으로 구성된 우리엄마 통조림을 2012년 출시하여 반찬통조림 시장을 최초로 형성, 선도하고 있으며, 김치, 파 등 부재료만 첨가하면 손쉽게 요리를 완성할 수 있는 '김치찌개전용 꽁치'와 '조림용 고등어' 등의 요리용 통조림에서도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가정에서 취식이 편한 소포장 반찬 파우치 제품을 출시하여 할인점, 편의점, 온라인 등 다양한 채널에서 판매 확대하고 있으며 실온 파우치 반찬의 대표 브랜드 지위 확보를 목표로 프로모션을 확대하고 신제품 출시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o 질러
(시장의 특성) 스낵-안주류 시장은 술안주 및 간식류 등을 포함하는 시장으로, 먹거리에 대한 관심(영양, 안전)이 높아지며 브랜드 또는 식품종합기업 제품의 종류 및 매출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스낵-안주류 시장 내에서 군소업체들은 특화된 분야(어포 및 견과류)에 집중하여 전문 영역 및 꾸준한 매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중 육포 시장은 약 1,263억(23년 12월 마켓링크 기준)의 안정적인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며, 샘표, 동원, 코주부 등의 다양한 브랜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할인점 중심으로 판육포 및 PB육포가 출시되고 종류도 다양해 지면서 소비자들의 선택 폭이 더욱 넓어졌습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2019년 이후 우리회사의 육포 매출은 (+)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8년부터는 손익 개선을 위해 행사 및 프로모션 횟수를 줄이고 부진한 카테고리를 단종하며, 매출은 유지하면서 내실을 다지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더불어 23년 2월 황태, 23년 대구껍질 신제품을 출시하여 신규 매출 창출 및 육포 외 카테고리 확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24년 6월 '블랙&레드페퍼육포'를 출시하여 기존 자사 제품 대비, 원가 경쟁력이 있는 신제품을 출시하여 적극적인 손익 구조 개선을 도모했습니다. 다양한 채널에서의 판매 전략을 통해 MS 1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습니다.또한 신제품 개발을 위해 시장 트렌드 분석 및 제품 기획에 좀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샘표는 종합식품회사 중에서는 최초로 충북 영동군에 최신 시설 및 HACCP 기준의 육포 생산 공장을 완공하여, 육포 사업의 전문성 향상에 힘을 쏟는 동시에, 안전한 먹거리를 공급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2011년에는 80여년 역사의 싱가폴 육포 브랜드 '비첸향'의 생산 업체인 CHC FOOD와 육포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체결, 2013년 4월에는 그 결과물로 질러 '직화육포'를 출시하였습니다. 이후에도 육포시장 내 다양한 제품군의 확대 및 질러 브랜드의 입지 강화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전문 연구인력과 최신 설비를 통한 부가가치가 높은 신제품의 개발 및 개선 또한 기대됩니다.
o 밸런스죽
(산업의 특성, 성장성) 죽을 포함한 즉석조리식품은 1인가구, 맞벌이 부부 증가 등의 사회 환경변화에 따른 수요확대와 냉장.냉동 택배 인프라의 확충에 따른 온라인 시장 성장으로 식품업체들의 투자가 늘어나면서 구성물이 다양해지고 고급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이후 가정에서 배달음식과 온라인 주문을 통해 외식을 대체하면서 편리함에 익숙해진 소비자들로 인하여 즉석조리식품 수요는 급격히 증가 하였습니다.
더불어, 원재료가격의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과 경기불황에 따른 소비위축으로 집밥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즉석조리식품 시장도 앞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즉석조리식품 시장 성장과 함께 즉석죽 시장도 일상식으로 활용되며 성장하였습니다. 주로 아플 때 죽을 찾던 소비자들이 아침대용식, 다이어트식, 간식 등 다양한 용도로 죽을 소비하고, 그런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춰 대용량 파우치 죽이 출시되면서 할인점과 온라인 시장이 크게 확대 되었습니다. 죽 시장은 계절 변화에 따른 매출변화가 뚜렷하진 않으나 여름에는 복날이슈로 삼계죽, 전복죽 등의 보양죽 제품이, 겨울 동지(12월)에는 팥죽 위주로 소비량이 일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시장 여건) 즉석죽은 기본적으로 다른 즉석식품들과 달리 영양을 위한 한끼 식사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이에 제조사들은 원료의 함량을 높이고, 재료를 고급화한 프리미엄죽이나 호박, 팥, 참깨 등 건강한 원료를 기반으로한 기호성 별미죽 출시를 통해 제품 다양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22년을 기점으로 즉석죽 시장의 성장세는 둔화되었으며, 오프라인 기준 24년에는 전년 대비 약 15% 정도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시장 점유율 상위 제조사인 CJ와 동원 모두 행사 강도를 키워가며 판촉활동에 집중, 시장 경쟁도 심화된 상황입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샘표 밸런스죽은 '간편죽' 시장 내에서 그 어느 브랜드보다도 품질력과 영양 면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밸런스죽의 가장 큰 차별점은 "한끼 단백질 100% 충족" 입니다.
일상식에서 부족할 수 있는 단백질을, 간편하게 죽 한그릇을 통해서 충분히 채울 수 있게 영양설계 하였습니다. 그리고 건더기가 부족했던 기존 죽들과 달리, 큼직한 건더기를 풍부하게 넣어 죽을 통해서도 든든함을 채울 수 있도록 만들었고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 차별점을 바탕으로 영양밸런스를 갖춘 대표적인 '건강죽' 이미지와 함께, 온라인과 소매점 채널등에서 밸런스죽의 입지와 성과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o 국수
(산업의 성장성) 일반적인 건면(소면)은 매출의 성장과 하락 변동이 적은 저성장형 시장이며, 면과 소스(스프)가 함께 갖춰진 편의면 시장은 1~2인 가족 확대 및 건강추구 트렌드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징) 건면 제품은 대표적인 저관여, 가격민감, 시즌성 상품으로서 경기의 영향보다는 매장 내 프로모션 등에 의한 변동이 큰 제품군입니다. (국내시장 여건) 라면을 제외한 국내 건면시장은 약 1,500억원 규모로 오뚜기가 시장점유율 약 6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1위 업체인 오뚜기와 후발주자인 CJ 제일제당 등 대기업들이 주로 가격/물량으로 경쟁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약한 중소업체들은 고전하고 있습니다. 편의면은 대부분의 식품 메이저 업체들이 냉장면 시장에 진출, 약 2,000억원의 시장 규모를 이루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면류 중소업체들이 진출한 상온 편의면은 약 625억원 규모로서, 아직은 작은 수준입니다. (라면 제외) 우리 회사는 상온 편의면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 여건) 일본 국수시장은 전체 국수 시장 규모의 변동이 없는 성숙기 시장입니다. 유통 채널 다변화 과정에서 신규 품목군(냉장류)이 활발해지며 전체 시장규모가 소폭 성장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성숙기입니다. 국내 국수 시장도 일본의 국수 시장처럼 급격한 매출 상승/하락보다는 꾸준하게 매출이 유지되는 성숙기 시장 형태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우리회사의 면류는 최근 건강 추구, 1인 가족 확대, 편의성 증대 등의 추세에 맞추어 기존의 건면보다는 쌀소면과 1인분 면과 스프가 함께 들어있는 편의면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쌀소면은 일반 소면처럼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과 밀가루가 전혀 들어가지 않은 건강 컨셉을 소구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기존 쌀소면에 이어 신규 라인업 현미쌀소면을 출시하여 브랜드 입지를 다졌습니다. 편의면은 튀기지 않은 우리의 건강한 면 요리를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편의성을 강화한 제품입니다. 2019년에는 편의성을 강화한 컵국수를 신규 출시하여 국수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조금씩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더불어, 2022년 12월 건강관리 관련 소비자 니즈를 반영하여 영양강화 컨셉의 고단백면을 건소면 형태 업계 최초 출시하였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우리회사는 '우리맛으로 세계인을 즐겁게'라는 비전의 실현을 위해 독보적인 발효기술을 이용한 제품 개발로 국내 시장을 선도하고,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 시장에서의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습니다.
간장은 2024년에도 시장점유율 60% 수준(판매액 기준)을 기록하며 시장의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1등 간장 기술력으로 4번 발효하고 2번 달여 저온숙성한 프리미엄 진간장 골드를 출시하였습니다. 된장은 프리미엄 된장 시장 1위를 이어가고 있으며, 고추장은 국산 고추장, 용도 고추장을 출시하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연두는 연두링을 출시하고 '자연' 이미지를 활용하여 요리의 맛을 완성해주는 다양한 카테고리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요리초보자가 편리하게 요리할 수 있는 새미네부엌은 요리소스를 중심으로 신제품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단백질 함량이 높은 건강지향 밸런스죽은 높은 재구매율을 바탕으로 온라인 판매가 2배 성장하였습니다.
쌀 소면, 현미 쌀소면 등의 건강면 시장에서도 5년 연속 시장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폰타나는 HMR 카테고리인 리조또, 스튜 등을 강화하여 서양식 전문 브랜드 기반을 확고하게 했습니다.
차오차이(超菜)는 중화 미식 전문 브랜드로서 레토르트와 요리용 소스 21종을 출시하여 6개월 만에 누적 판매량 1천만 개를 돌파했습니다. 티아시아는 아시아 전문 브랜드로서 밀(meal)과 소스류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질러는 시장 점유율 1위로 블랙&레드페퍼, 크리스피 황태스틱 와사비를 출시하여 건강간식 브랜드의 입지를 공고히 하였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B2C 온·오프라인 입점확대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완두간장, 김치앳홈 비건은 세계 3대 식품 박람회인 '시알 파리(SIAL Paris)'에서 '혁신 제품'으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습니다. 완두간장은 알레르기 걱정 없이 한국 고유의 맛을 즐길 수 있고, 김치앳홈 비건은 세계 가정에서 쉽고 맛있게 한국의 김치를 맛볼 수 있습니다.
또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수여하는 '수출탑 최우수상'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유럽 권역은 매출이 전년대비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향후에도 메인스트림 경로 확대, 제품 경쟁력 확보를 통해 해외 시장을 개척할 계획입니다.
표. 2024년 출시 신제품
구분 |
제품 |
---|---|
간장 |
o 진간장 골드, 만능게장간장 |
고추장 |
o 국산 100% 조선고추장, 초고추장 |
연두 |
o 연두링 멸치디포리, 다시마표고야채 |
즉석국 |
o 차돌양지 미역국, 황태대파 계랸국, 팽이버섯 미소된장국, 시골식 우거지된장국 |
폰타나 |
o 캐슈넛참깨드레싱 o 카르니아 베이컨&머쉬룸 스파이시 크림 파스타 소스, 시칠리아 페페론치노 아라비아따 파스타소스o 로스티드 치킨 토마토 스튜o 트러플&머쉬룸 크림 리조또 |
새미네부엌 |
o 메추리알 장조림, 수육보쌈소스 |
티아시아 |
o 리치 치즈 난 |
질러 |
o 블랙&레드페퍼 육포 o 크리스피 황태스틱 와사비 |
백년동안 | o 5년 항아리숙성 흑초 |
밸런스죽 |
o 검은콩흑임자죽 |
순작 | o 율무차, 밤마차, 통현미 검은콩 율무차 저당, 통현미 가득 밤마차 제로 |
차오차이 | o (레토르트) 130 직화간짜장, 특제옛날짜장, 비프유니짜장, 트러플고기짜장, 스파이시블랙페퍼짜장, 홍콩식 마파두부, 시추안식 마파두부, 마라샹궈o (요리용 소스) 130 직화간짜장, 특제짜장, 시추안 짜장, 홍콩식 마파두부, 시추안 마파두부, 동파육볶음, 고추잡채, 차오멘, 몽골리안비프, 마라샹궈, 마라훠궈, 즈마훠궈, 백탕훠궈 |
쓱싹쓱싹 |
o 고춧잎무말랭이, 양념깻잎, 견과류오징어채볶음 |
우리회사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범기업을 발굴해 존경받는 기업문화를 확산하고자 마련된 '명문장수기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주관하는 '명문장수기업 확인제도'는 업력이 45년 이상의 기업 중, 세대를 이어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만을 선정하기 때문에, 그 평가 기준이 아주 까다롭습니다. 78년간 간장시장 1위를 유지하고, 세계 최대 규모의 간장 공장을 설립하여, 전통 한식간장을 복원하고 글로벌 장(醬) 연두 등을 개발하여 국내 장류 산업을 선도한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우리회사는 식품 제조 단일 사업 부문으로 운영됩니다.
(2) 시장점유율
해당 사항 없음
(3) 시장의 특성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중 '가. 업계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 사항 없음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중 '나. 회사의 현황'의 '(1) 영업개황'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1) 연결 재무제표 - 연결대차대조표(연결재무상태표)
제 9(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8(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9(당)기말 | 제 8(전)기말 |
---|---|---|
자 산 | ||
I. 유동자산 | 167,430,456,632 | 163,554,809,982 |
현금및현금성자산 | 27,084,954,311 | 15,122,396,195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38,106,336,920 | 40,012,239,939 |
단기금융상품 | 30,000,000,000 | 36,289,400,000 |
재고자산 | 67,861,041,294 | 70,601,636,217 |
기타유동자산 | 4,378,124,107 | 1,529,137,631 |
II. 비유동자산 | 202,497,466,415 | 203,154,929,051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111,672,833 | 1,289,307,529 |
기타투자자산 | - | 532,814,564 |
유형자산 | 186,239,387,997 | 186,895,188,355 |
무형자산 | 501,012,116 | 438,838,852 |
이연법인세자산 | 5,317,041,590 | 4,874,579,308 |
기타비유동채권 | 9,300,730,936 | 8,885,758,776 |
기타비유동자산 | 27,620,943 | 238,441,667 |
자 산 총 계 | 369,927,923,047 | 366,709,739,033 |
부 채 | ||
I. 유동부채 | 118,681,821,703 | 124,555,006,100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36,976,943,666 | 41,167,569,394 |
단기차입금 | 67,135,000,000 | 47,135,000,000 |
유동성장기부채 | - | 23,994,000,000 |
당기법인세부채 | 907,163,265 | 536,638,740 |
충당부채(유동) | 3,063,950,516 | 2,202,551,521 |
리스부채(유동) | 2,025,139,296 | 2,166,941,531 |
기타유동부채 | 8,573,624,960 | 7,352,304,914 |
II. 비유동부채 | 5,262,562,361 | 5,679,357,411 |
장기차입금 | 1,440,085,561 | 773,640,000 |
퇴직급여부채 | 438,317,253 | - |
충당부채(비유동) | 821,895,177 | 1,459,642,856 |
리스부채(비유동) | 1,739,114,865 | 2,448,387,690 |
기타비유동부채 | 823,149,505 | 997,686,865 |
부 채 총 계 | 123,944,384,064 | 130,234,363,511 |
자 본 | ||
I. 자본금 | 2,284,143,000 | 2,284,143,000 |
II. 자본잉여금 | 96,614,542,269 | 96,614,542,269 |
III. 이익잉여금(결손금) | 146,975,592,474 | 138,228,522,373 |
IV. 기타자본구성요소 | 109,261,240 | (651,832,120) |
자 본 총 계 | 245,983,538,983 | 236,475,375,522 |
부채및자본총계 | 369,927,923,047 | 366,709,739,033 |
- 연결손익계산서(연결포괄손익계산서)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9(당)기 | 제 8(전)기 |
---|---|---|
I. 매출액 | 404,881,504,598 | 383,426,040,745 |
II. 매출원가 | 259,875,259,698 | 255,980,981,140 |
III. 매출총이익 | 145,006,244,900 | 127,445,059,605 |
IV. 판매비와관리비 | 138,545,728,247 | 117,598,607,545 |
V. 영업이익 | 6,460,516,653 | 9,846,452,060 |
금융수익 | 7,926,693,983 | 4,502,499,825 |
금융비용 | 3,644,096,621 | 3,320,203,165 |
기타수익 | 948,190,604 | 877,008,558 |
기타비용 | 465,235,085 | 349,371,566 |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1,226,069,534 | 11,556,385,712 |
VII. 법인세비용 | 1,164,217,551 | 1,128,042,726 |
VII. 당기순이익 | 10,061,851,983 | 10,428,342,986 |
IX. 기타포괄손익 | 359,630,678 | (394,454,731)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401,462,682) | (450,718,18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401,462,682) | (450,718,188)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761,093,360 | 56,263,457 |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세후기타포괄손익) | 761,093,360 | 56,263,457 |
X. 총포괄손익 | 10,421,482,661 | 10,033,888,255 |
XI.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익 | 2,203 | 2,284 |
* 위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사항은 2025년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재무제표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제 9(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8(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9(당)기말 | 제 8(전)기말 |
---|---|---|
자 산 | ||
I. 유동자산 | 159,635,345,437 | 156,683,234,025 |
현금및현금성자산 | 24,444,574,399 | 13,398,940,430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38,243,307,740 | 39,072,965,767 |
단기금융상품 | 30,000,000,000 | 36,289,400,000 |
재고자산 | 63,056,929,760 | 66,624,138,160 |
기타유동자산 | 3,890,533,538 | 1,297,789,668 |
II. 비유동자산 | 195,885,743,072 | 183,554,278,975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111,672,833 | 1,289,307,529 |
기타투자자산 | - | 532,814,564 |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5,307,034,341 | 4,442,185,017 |
유형자산 | 161,256,011,726 | 164,614,902,903 |
무형자산 | 501,012,116 | 438,838,852 |
이연법인세자산 | 3,830,455,477 | 3,231,193,879 |
기타비유동채권 | 23,875,297,126 | 8,766,594,564 |
기타비유동자산 | 4,259,453 | 238,441,667 |
자 산 총 계 | 355,521,088,509 | 340,237,513,000 |
부 채 | ||
I. 유동부채 | 118,160,247,066 | 111,339,143,536 |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 36,683,545,637 | 40,967,540,541 |
단기차입금 | 67,135,000,000 | 47,135,000,000 |
유동성장기차입금 | - | 11,100,000,000 |
당기법인세부채 | 878,809,465 | 517,779,650 |
충당부채(유동) | 3,063,950,516 | 2,202,551,521 |
리스부채(유동) | 2,002,365,292 | 2,156,658,914 |
기타유동부채 | 8,396,576,156 | 7,259,612,910 |
II. 비유동부채 | 4,316,370,775 | 4,878,335,494 |
장기차입금 | 572,000,000 | - |
퇴직급여부채 | 438,317,253 | - |
충당부채(비유동) | 821,895,177 | 1,459,642,856 |
리스부채(비유동) | 1,681,727,079 | 2,439,178,628 |
기타비유동부채 | 802,431,266 | 979,514,010 |
부 채 총 계 | 122,476,617,841 | 116,217,479,030 |
자 본 | ||
I. 자본금 | 2,284,143,000 | 2,284,143,000 |
II. 자본잉여금 | 96,614,542,269 | 96,614,542,269 |
III. 이익잉여금(결손금) | 134,015,053,454 | 125,777,552,200 |
IV. 기타자본구성요소 | 130,731,945 | (656,203,499) |
자 본 총 계 | 233,044,470,668 | 224,020,033,970 |
부채및자본총계 | 355,521,088,509 | 340,237,513,000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9(당)기 | 제 8(전)기 |
---|---|---|
I. 매출액 | 394,721,491,444 | 371,172,634,015 |
II. 매출원가 | 258,862,348,762 | 254,518,733,662 |
III. 매출총이익 | 135,859,142,682 | 116,653,900,353 |
IV. 판매비와관리비 | 128,750,910,725 | 109,418,718,590 |
V. 영업이익 | 7,108,231,957 | 7,235,181,763 |
금융수익 | 6,448,085,864 | 4,562,786,477 |
금융비용 | 3,406,942,676 | 3,061,815,742 |
기타수익 | 557,760,894 | 597,607,341 |
기타비용 | 465,099,492 | 338,442,825 |
종속기업투자손익 | 77,913,880 | 1,792,377,729 |
V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0,319,950,427 | 10,787,694,743 |
VII. 법인세비용 | 767,667,291 | 673,082,538 |
VII. 당기순이익 | 9,552,283,136 | 10,114,612,205 |
IX. 기타포괄손익 | 385,472,762 | (392,831,947)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401,462,682) | (450,718,18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
(401,462,682) | (450,718,188)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786,935,444 | 57,886,241 |
지분법 적용대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세후기타포괄손익) |
786,935,444 | 57,886,241 |
X. 총포괄손익 | 9,937,755,898 | 9,721,780,258 |
XI.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익 | 2,092 | 2,215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9(당)기 | 제 8(전)기 |
---|---|---|
처분예정일 : 2025년 3월 24일 | 처분일 : 2024년 3월 19일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9,234,398,094 | 9,688,228,760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83,577,640 | 24,334,743 |
2.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401,462,682) | (450,718,188) |
3 당기순이익 | 9,552,283,136 | 10,114,612,205 |
II.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 - |
III. 이익잉여금처분액 | 9,104,651,120 | 9,604,651,120 |
1. 임의적립금 | 8,100,000,000 | 8,600,000,000 |
2. 이익준비금 | 91,331,920 | 91,331,920 |
3. 현금배당 (주당배당금(율) 당기 : 200원(40%) 전기 : 200원(40%) | 913,319,200 | 913,319,200 |
IV.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29,746,974 | 83,577,640 |
* 위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및 주석사항은 2025년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참고)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3조(주주총회의 의장) ① 주주총회의 의장은 대표이사로 한다. ② 대표이사가 유고시에는 이사회에서 미리 정한 자가 의장직을 수행한다. |
제23조(주주총회의 의장 ) ① (좌 동)
② 대표이사 유고시에는 법령 또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 외에는 이사회에서 정한 순위에 따른다. |
상장회사협희회 표준정관 등을 반영하여 내용 정비 |
제44조(상담역 및 고문) 본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명예회장, 부회장, 상담역 또는 고문 약간명을 둘 수 있다. | (삭 제) | 회사의 업무 기준과 맞지 않은 조항 삭제 |
제48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배당은 제14조 제1항에서 정한 날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
제48조(이익배당) ① (좌 동)
② (좌 동)
③ 본 회사는 이사회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배당기준일을 배당결정일 이후의 날로 정할 수 있음에 따라, 배당기준일을 의결권 행사 기준일과 다른 날로 정할 수 있도록 함.. |
부 칙
1. (시행일) 본 정관은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 2021년 3월 22일부터 시행한다. 2~6. (좌 동) |
부 칙
1. (시행일) 본 정관은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 2025년 3월 24일부터 시행한다. 2~6. (좌 동) |
개정시기 반영 |
※ 기타 참고사항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박진선 | 1950.02.28 | 사내이사 | - |
최대주주 (샘표)의 대표이사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박진선 | 샘표식품 주식회사 대표이사 사장 | 1997.04 ~ 현재 | 샘표 주식회사 대표이사 사장 | 부동산 임대차41,184천원 |
2008.02 ~ 현재 |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부회장 | |||
2014.02 ~ 현재 |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부회장 | |||
2023.03 ~ 현재 | 한국식품산업협회 부회장 | |||
2016.07 ~ 현재 | 샘표식품 주식회사 대표이사 사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박진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박진선 : 본 후보자는 샘표식품 대표이사(샘표 주식회사 전신)로 취임한 지난 97년부터 탁월한 경영 능력을 발휘하여, 어려운 경영 환경 하에서도 샘표식품을 견실하게 성장시켜온 능력 있는 최고경영책임자입니다. 후보자의 사업 전반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전문지식, 검증된 경영능력을 바탕으로 회사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장병택 | 1948.12.22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장병택 | 샘표식품 주식회사 감사 (상근) | 2009 ~ 2015.03 | 영풍전자 주식회사 대표 | 없음 |
2016.07 ~ 현재 | 샘표식품 주식회사 감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장병택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당사 상근감사직을 다년간 수행하여 회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으며, 감사 업무에 대한 오랜 경력과 지식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자적으로 견제, 감시감독 역할을 수행하며, 대안 제시를 통한 회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추천합니다 |
※ 기타 참고사항
가. 의안 제목
임원 퇴직금 지급 규정 승인의 건
나. 의안의 요지 o 상법 제388조 및 정관 제43조에 의거하여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을 승인받고자 합니다.
o 규정의 목적 : 법인등기임원으로서 퇴임이 결정될 때에 퇴직금을 지급하고 또 퇴임 임원 중 공로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 공로금을 지급함을 목적으로 한다.
o 규정 적용 대상 : 법인등기임원을 대상으로 한다. 사외이사 및 등기임원이 아닌 업무이사에 대해서는 이 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o 규정 시행일 : 2025년 3월 24일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4억 4,167만원 |
최고한도액 | 2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8,700만원 |
최고한도액 | 2억원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1)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3)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회사 홈페이지(http://www.sempio.com/)의 공고 사항에 게재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