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식회사유니포인트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0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유니포인트
공 동 대 표 이 사 : 안국필, 정우천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 12길 117 D동 7,8층 (갈현동, 과천펜타원)
(전 화) 02-6676-5500
(홈페이지)http://www.unipoint.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책임 (성 명) 나웅지
(전 화) (02) 6676-55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8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9조에 의거 제2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2025년 03월25일(화요일) 오전11시

2. 장 소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12길117, 펜타원 D동 2층 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영업보고, 감사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제28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배당내역 : 해당없음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의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주주의 인감증명서 1부, 대리인의 신분증

※ 당사는 주주총회에서 기념품을 준비하지 않기로 하였습니다.

주주여러분의 깊은 이해를 바랍니다.

2025년 3월 10일 주식회사 유니포인트 공동대표이사 안 국 필, 정 우 천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도형(출석률:100%) B(출석률: %) C(출석률: %) D(출석률: %)
찬 반 여 부
1 2024. 1. 24. 제 2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 - -
2 2024. 3. 8.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제27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찬성 - - -
3 2024. 3. 26 제 2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찬성 - - -
4 2024. 6. 25 본점 이전의 건지정자문인 변경의 건 찬성 - - -
5 2025. 2. 3 제 2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500 23 23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출자지분 매입

(주)가이아

(최대주주 본인)

2024.12 22 5.32

※ 상기 거래금액은 연간 총 거래금액이며, 상기 비율은 직전 사업연도(2023년) 말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총액에 대한 비율임.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가이아

(최대주주 본인)

출자지분 매입 2024.12 22 5.32

※ 상기 거래금액은 연간 총 거래금액이며, 상기 비율은 직전 사업연도(2023년) 말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총액에 대한 비율임.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IT Service 산업은 일반적으로 최적의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조직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해당분야의 업무 및 사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여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산업과 융합화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산업입니다. 해당 산업 중 시스템통합사업은 HW적인 System Infra를 구축하고, 구축된 Infra에 사용자의 업무환경에 맞는 솔루션을 구현하는 것으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각종 장비(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와 장비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사업으로, 유형의 제품에 당사의 기술과 노하우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Product Servitization의 대표적인 사업에 해당합니다. SI사업의 범위에는 시스템의 설계, 최적의 하드웨어 선정에서 발주 및 조달, 사용자의 필요에 맞춘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시스템의 유지·보수 등이 포함되고 있습니다. SI 산업의 주요 사업자로는 장비제조회사, 정보처리 서비스회사, 소프트웨어 개발회사, 컨설턴트 회사 등이 진출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주)유니포인트는 국내 IT서비스 시장에서 솔루션 유통사업, 시스템통합(SI)사업, 유지·보수 사업, 보안인프라 SI을 영위하고 있으며 네 가지 사업 모두 통상적으로 수요처(고객)의 사업 발주에 대응하는 고객맞춤 수주형 사업형태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영업영위 조직으로는 시스템통합 및 유지보수, 솔루션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IT인프라 사업총괄을 담당하는 DX사업부문과 보안관련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플래폼사업부문, SI 관련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SI사업부문 위 3개의 주요 사업부문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솔루션 유통 사업은 정보시스템에 필수적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최적화된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달하여 구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초기에 이러한 솔루션 유통 사업을 중심으로 빠른 성장을 이루었으며, 현재는 솔루션 유통 사업을 확대한 시스템통합 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였습니다.

시스템통합(System Integration, SI) 사업은 하드웨어적인 시스템인프라(System Infra)를 구축하고 구축된 인프라에 사용자의 업무환경에 맞는 업무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때 사용자는 자체적으로 시스템 구축을 기획하여 설계하고 개별적으로 하드웨어를 조달하고 소프트웨어를 발주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정보기기가 다양해지고 더욱이 필요로 하는 정보시스템이 거대하고 복잡해지고 있어 사용자는 어떤 기기를 선택해야 하고 어떤 소프트웨어를 어떤 방법으로 만들어야 할 것인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스템통합은 바로 이와 같은 필요성에서 생겨난 서비스로, 그 서비스에는 시스템의 설계, 최적의 하드웨어 선정에서 발주 및 조달, 사용자의 필요에 맞춘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 시스템의 유지·보수 등을 포함합니다. 따라서 시스템통합 사업의 역량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사용자의 요구와 업무프로세스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컨설팅하며 응용개발까지 성취할 수 있는 우수한 인재와 다양한 요소기술을 가지고 있는 협력업체의 확보가 중요합니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에는 다양한 산업과 IT의 융합이 본격화되면서 사업/경쟁구도, 서비스 제공방법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서비스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공공 및 금융 부문에서의 법 개정 및 규제강화 작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이에 따른 시장변화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환경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설립초기부터 강점을 지녀온 시스템인프라 구축분야를 경쟁력의 기반으로 SI내 인프라공급자로서 지위를 확고히 하였고 업무응용솔루션(AP)까지 개발하는 시스템통합사업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유지·보수사업은 SI의 한 영역으로 시스템인프라 유지·보수사업(장비 유지보수)과 AP유지·보수사업(운영프로그램 유지보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스템인프라 유지·보수사업은 장비 유지·보수사업으로 시스템서버, 통신망, 보안,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및 백업 등 다양한 요소기술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작동하는 시스템인프라 장애발생에 대한 사전 점검 및 그에 따른 신속한 조치를 지원하는 ITO(IT아웃소싱) 형태의 사업입니다.

시스템인프라 유지보수의 세부 활동은 장비별 정상가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정기(수시)점검, 장애부품 교체, 소프트웨어 패치 및 업그레이드 등으로 구분됩니다. 당사는 다년간의 시스템인프라 구축을 해오면서 함께 수행한 장비 유지·보수 경험을 바탕으로 시스템인프라 유지·보수와 관련된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는 이러한 차별적인 서비스 역량을 통해 공공기관 및 금융기관의 대규모 장비시스템에 대한 통합 유지·보수 사업을 전개하고 있어 이를 통해 시스템 인프라분야에서 가치창출에 기여를 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AP 유지·보수사업은 고객사의 특수한 업무환경, 제도 및 정책 등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개발한 업무용 시스템(AP)을 환경적응, 오류수정, 성능향상, 업무내용A/S, 추가개발 등의 여러 가지 사유로 계속해서 수정· 보완하는 작업으로 기 구축된 시스템 운영에 관해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ITO (IT아웃소싱) 형태이며 시스템인프라 유지·보수보다 용역서비스 비중이 높은 고수익 사업으로 분류됩니다. 당사는 계약기간이 만료된 기 구축 프로젝트의 AP유지보수사업을 타깃으로 수주활동을 진행하고 있고 이를 위해 각 분야의 AP 개발 및 유지·보수에 특화된 프로젝트별 조직을 신설 운영하고 고급인력을 유입해 개발기술력의 내재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보안 사업은 정보보호 솔루션을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최적화된 시스템을 설계하고 이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조달하여 구축하는 방식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국내에 정보보호 관련 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설립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도 중반으로 이를 기준으로 하면 국내 정보보호 산업은 대략 30년 정도의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보안 사업 분야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많은 발전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수출도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 보안 솔루션, 컨설팅 및 구축 사업 과 암호화 전문 컨설팅 및 구축 사업, 네트워크 보안 SI사업, 계정관리 SI 및 컨설팅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제한적인 국내 시장을 극복하기 위해서 국내 IT 서비스 기업은 급변하는 ICT 산업 환경을 맞아 빅데이터, 클라우드, AI, 스마트팩토리 등 유망분야 비즈니스 아이템을 적극 발굴해 사업화를 추진함으로써 미래 성장 기반을 마련할 뿐 아니라, 중국, 동남아부터 중남미 등 세계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서 보다 넓은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과 경쟁하여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3) 시장의 특성

1) IT인프라 사업

① 제품과 기술이 결합된 Offering시스템통합사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적 요소기술이 결합되어 고객의 요구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특성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하드웨어적 인프라 기반에 필요한 업무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기술이 확보되어야만 여러 가지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축된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장애처리 및 유지보수는 이러한 기술적인 기반하에 고객의 업무 특성까지 정확하게 파악되어야만 차질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제품과 기술 및 관련 업무 지식까지 결합된 특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② 원가 변동 및 사업관리 위험

SI 사업을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는 막대한 연구개발 활동비에 대한 초기투자가 선행되는 제품으로, 실제 제품 생산을 위한 재료비 비중은 매우 낮은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초기투자비가 회수된 제품에 대해서는 정상시장가 보다 매우 낮은 가격에도 조달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때, 정상가격보다 낮은 할인가격은 공급자(Vendor사)와의 관계, 그리고 제품이 최종 납품되는 고객에 대한 사업적 이해관계에 따라 탄력적으로 정해지므로 Infra SI사업을 위해서는 Vendor와의 돈독한 협력관계와 최종고객에 대한 Ownership Power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역학관계에 따라 Infra SI사업자들의 원가경쟁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사업이 수행되는 기간 동안 발생하게 될 여러 가지 개발단계의 문제점과 고객요구사항의 변동, 시험 및 검수과정에서의 장애발생여부 등에 따라 사업수행기간의 연장 또는 투입인력의 증가와 같은 변수로 인해 SI사업의 사전/사후 수익성에 대한 변동 위험이 타 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대규모 사업은 주로 이런 위험을 Hedging할 수 있는 삼성 SDS, LG CNS, SK C&C 등 대기업 사업자들에게 편중되어 왔습니다.

③ Business Platform의 경쟁SI 사업을 위한 영업, 사업수행, 사후관리는 통상적으로 SI사업자를 둘러싸고 있는 사업적 이해관계자, 특히 사업적 협력관계가 있는 회사 간의 치밀한 사전기획, 역할분담 등과 같은 사업의 Eco-System적인 측면에서의 Platform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대규모 사업의 경우에는다수의 사업자가 참여하는 컨소시움 형태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Eco-System은 소위, 가치사슬이라는 개념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즉, 사업수행과 관련된 기획, 영업, 제품의 공급, 설계, 구축, 유지보수 등 각각의 기능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사업자간의 Network을 얼마나 넓고 깊게 확보하고 있느냐가 매우 중요하며, 특정 분야에서의 사업적 Hegemony를 가지고 있는 사업자를 중심으로 이러한 Eco-System이 구성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례로 대기업 SI기업의 경우, 전 분야에 걸친 우월적인 고객 접근력과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SI사업을 위해 컨설팅회사, 개발회사, Infra 구축회사, Vendor사 등이 포함된 자체적인 Eco-System을 구성하고 있고 축적된 사업수행 경험을 통해 이러한 Eco-System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가면서 SI사업자만의 특화된 Business Platform이 형성되게됩니다.

따라서 SI 사업은 전체적인 SI산업의 구조 안에서 어떤 사업자들과 어떤 Eco-System을 바탕으로 사업에 대한 강력한 Business Platform을 구성하고 있느냐에 따라서 산업 내에서의 경쟁력과 사업적인성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④ 업계內 양극(兩極)화

SI업계는 대형 3사(삼성SDS, LG CNS, SK C&C) 및 중소형 업체간의 실적 및 수익성 양극화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계열수요에 기반한 레퍼런스 및 업력 구축을 통한 시장지위상의 우위에 힘입어 대형 프로젝트의 대부분이 상위 업체에 집중되는 경향과 대형 업체의 수익성 위주의 경영전략으로 인해 중소형 업체는 상대적으로 저수익성 프로젝트를 수주하게 되는 시장구조가 고착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반면, 非계열 업체들의 성장률 및 매출규모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안정적인 계열매출의 확보여부가 성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계열매출의 비중이 높은 업체들은 그렇지 못한 업체보다 양호한 영업이익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경쟁강도가 높은 대외시장보다 계열사를 대상으로 수의계약 위주로 진행되는 대내시장의 수익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상위 3개사의 경우 그룹 내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는과정에서 경쟁력을 제고하여, 대외 프로젝트 수주로 수익창출력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⑤ 간접 유통 구조

고객에게 해당 솔루션이 전달되는 기본적인 유통구조는 Vendor → 총판 → 재판매자 → 고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허가된 총판이나 재판매자 이외에 고객에 대한 영업채널을 확보하고 있는 유통 업자를 통해서 최종적으로 제품이 공급되기도 합니다.

솔루션 제조업체(Vender)인 IBM, HP, Oracle, Hitachi 등 소수의 대형업체들은 세계 각국에 자체적인 영업망을 구축하기 보다는 각 국가별로 주요 유통사업자들과 총판계약을 하거나 재판매자계약을 통해 이들을 통해 자사의 솔루션을 유통시키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국가의 영업기반이없는 상태에서 손쉽게 영업망을 구축할 수 있고 영업 시 발생할 수 있는 과당경쟁과 부정행위에 대한 사업적인 위험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일부 대규모 사업에 대한 솔루션 공급의 경우, Vendor차원에서 영업을 하려고 하기도 합니다. 이 경우, 대규모 사업을 발주하고자 하는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국내 유통사업자와 전략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2) 정보보안사업의 특징

① 고부가가치를 가진 신성장 산업

정보보호산업은 성장발전 가능성이 높은 신성장 산업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중심의 정보보안과 CCTV, DVR, 무인경비서비스 등의 물리보안, 타산업 군에 보안기술이 적용되는 활용분야(융합보안)로 구분됩니다. 국내 정보보호산업 규모는23년 7조 437억원에서 24년 3.8% 성장한 7조 3,127억원으로 전망되며 향후 지능화된 보안 위협 및 자동차 안전 등 타 분야의 신규 보안이슈의 확대로 시장은 더 커질 것이라 전망됩니다.

② 국가의 안위와 치안을 맡고 있는 방위산업

정보보호산업은 국가의 안위를 지켜주는 방위산업입니다. 협의의 개념은 개인의 안전과 재산을 지켜주는 보안산업이며, 광의의 개념은 각종 테러와 보이지 않는 전쟁(사이버테러 및 정보화 전쟁)으로부터 국가의 안위를 지켜주는 방위산업입니다. 정보 보안산업은 밖으로는 금융기관의 IT보안 서비스, 국제범죄, 국제해커로부터의 침입차단 등 국가를 위험으로부터 지켜주고, 안으로는 주정차 차량 감시 CCTV등을 활용, 질서 확립 및 각종 범죄 예방 및 치안을 담당하므로 방위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③ IT를 기반으로 한 미래지향적 산업의 특성

최근 국내 IT산업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등 스마트 모바일 기기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및 클라우드 컴퓨팅 등 큰 변화가 있어왔습니다. 이에 정보보안 및 무선통신망의 안전성 강화에 대응해야 할 것이며, IT산업을 기반으로 한 미래 생활에 정보보호산업 기술이 포함되어 응용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블록체인과 RPA 사업 - 당사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는 분산원장 기술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한국예탁결제원 등에서 성공적으로 구축 완료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지고 있습니다. 향후 정부 공공기관과 금융기관, 제조,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강력한 보안성과 비즈니스의 신뢰성을 높이고, 분산화된 디지털 장부를 신속하게 거래하여 비용을 절감하고자 하는 요구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런 시대의 흐름과 시장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모델 발굴 및 컨설팅 서비스를 만들어 회사 이익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AI(인공지능)의 한분야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는 사람이 하는 업무 중 단순하고 반복되는 업무는 자동화 처리함으로써, 사람은 창의적 업무에 인력을 집중하게 하여 고부가 가치 업무로 전환을 가능하도록 합니다. 요즘 핫 이슈인 52시간 근무제로 인하여 대부분 기업에서 RPA 도입 을 검토하고 실제 적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카드, 미래에셋생명 등 금융권을 중심으로 제품 라이선스와 서비스 판매를 확대하고 있으며, 프로세스컨설팅 역량을 넓혀 시장을 선도하는 역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2) AICC (AI Contact Center) - 코로나19 이후 언택트를 이용한 고객들의 접점 이용 행태가 변화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에서 신속한 해결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의 니즈가 점점 커져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및 클라우드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콜센터 운영 솔루션과 종사자들의 업무환경과 운영 계획에도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시간에 구해 받지 않고 24시간 고객상담이 가능한 인공지능 고객센터 시스템으로 고객 편의성을 높임과 동시에 기존 상담 직원 상담원들의 인력 재배치를 통하여 상담 효율성을 대폭 높이는 등 사람과 인공지능이 함께 고객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격적인 AI 고객 센터의 개념입니다. 당사는 2020년 한화생명, 현대캐피 탈, KB국민은행, 신한금융투자 등의 다수의 금융권 회사들과 AICC(클라우드 기반)사업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3) 클라우드 MSA 사업 - IBM의 MSA 전환솔루션인M2M(MONO TO MICRO)에 자동전환 기능 보강을 위한 연계 솔루션인 MSA 자동전화 솔루션UMA를 필두로 하여 마이크로서비스 형태로의 구조전환에 있어 기존 시스템을 분석하여 MSA 구조전환 모델을 제시하고 코드까지 자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필두로 클래스 상속 문제, Cardinal, DB분리 등을 해결하며 MSA 전환에 있어 특화된 기능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수 사업체의 POC를 행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클라우드 MSP 사업자들과 협업 논의가 활발히 진행중에 있습니다.

(5) 조직도

202503_조직도.jpg 202503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로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세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http://dart.fss.or.kr) 또는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스템(http://kind.krx.co.kr)에 공시 예정인 당사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8(당) 기 2024. 12. 31
제 27(전) 기 2023. 12. 31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자 산
유동자산 24,376,896,375 18,536,149,263
현금및현금성자산 4,087,268,856 6,458,401,368
매출채권 14,856,921,703 9,594,082,096
계약자산 311,500,095 311,500,095
기타유동금융자산 471,238,881 966,283,427
재고자산 4,083,642,209 848,582,308
기타유동자산 555,722,321 336,368,429
당기법인세자산 10,602,310 20,931,540
비유동자산 4,625,723,582 3,885,424,37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549,200,443 535,653,47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459,181,850 1,683,679,525
기타비유동금융자산 525,901,823 50,467,000
유형자산 439,833,865 496,660,702
무형자산 15,483,050 14,914,739
사용권자산 670,119,107 250,169,460
이연법인세자산 966,003,444 853,879,474
자 산 총 계 29,002,619,957 22,421,573,634
부 채    
유동부채 21,515,510,750 15,613,661,047
매입채무 17,193,789,662 11,318,909,042
단기차입금 1,500,000,000 2,000,000,000
단기리스부채 396,759,250 199,213,728
기타유동금융부채 1,111,401,266 790,956,068
단기충당부채 548,972,705 581,767,409
기타유동부채 764,587,867 722,814,800
비유동부채 1,007,613,310 411,100,638
장기리스부채 234,599,204 70,651,203
순확정급여부채 724,527,672 318,201,551
장기종업원급여채무 33,029,680 22,247,884
장기충당부채 15,456,754
부 채 총 계 22,523,124,060 16,024,761,685
자 본    
자본금 2,990,835,000 2,990,835,000
자본잉여금 30,600,000 30,600,000
기타자본항목 (1,238,557,840) (1,238,557,84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581,508,768) (403,931,106)
이익잉여금 5,278,127,505 5,017,865,895
자 본 총 계 6,479,495,897 6,396,811,949
부채와 자본 총계 29,002,619,957 22,421,573,634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매출액 54,316,696,755 41,319,176,010
매출원가 46,815,124,589 35,450,341,592
매출총이익 7,501,572,166 5,868,834,418
판매비와관리비 7,290,812,689 7,275,327,998
영업이익 210,759,477 (1,406,493,580)
금융수익 170,603,959 215,488,471
금융비용 129,170,195 179,636,633
기타수익 89,678,514 362,111,664
기타비용 102,192,421 821,909,943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239,679,334 (1,830,440,021)
법인세수익 55,878,026 119,018,016
당기순이익 295,557,360 (1,711,422,005)
기타포괄손실 (212,873,412) (514,831,939)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재측정손실(이익) (35,295,750) (171,696,15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평가손실 (177,577,662) (343,135,786)
총포괄이익 82,683,948 (2,226,253,944)
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62 (357)

자 본 변 동 표
제 28(당) 기 2024년 1월 1 일부터 2024년 12월 31 일까지
제 27(전) 기 2023년 1월 1 일부터 2023년 12월 31 일까지
주식회사 유니포인트 (단위: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총계
2023.01.01(전기초) 2,990,835,000 30,600,000 (1,238,557,840) (60,795,320) 6,903,358,233 8,625,440,073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실 - - - - (1,711,422,005) (1,711,422,005)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171,696,153) (171,696,153)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 - - (345,509,966) - (345,509,966)
제거등으로 인한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재분류 - - - 2,374,180 (2,374,180) -
2023.12.31(전기말) 2,990,835,000 30,600,000 (1,238,557,840) (403,931,106) 5,017,865,895 6,396,811,949
2024.01.01(당기초) 2,990,835,000 30,600,000 (1,238,557,840) (403,931,106) 5,017,865,895 6,396,811,949
총포괄손익
당기순손실 - - - - 295,557,360 295,557,36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35,295,750) (35,295,750)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 - - (177,577,662) - (177,577,662)
2024.12.31(당기말) 2,990,835,000 30,600,000 (1,238,557,840) (581,508,768 5,278,127,505 6,479,495,897

현 금 흐 름 표
제 28(당) 기 2024년 1월 1 일부터 2024년 12월 31 일까지
제 27(전) 기 2023년 1월 1 일부터 2023년 12월 31 일까지
주식회사 유니포인트 (단위: 원)
과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664,254,817) 528,851,588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685,863,074) 491,293,299
이자의 수취 62,769,878 132,990,901
이자의 지급 (131,092,851) (183,185,828)
배당금의 수취 79,599,000 99,498,750
법인세의 납부 10,329,230 (11,745,534)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21,580,181 5,813,692,841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500,000,000 18,825,350,000
기타금융자산의 증가 - (13,5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 435,872,84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처분 - 1,225,82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취득 - (60,000,00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취득 - (282,830,491)
단기대여금의 증가 (180,000,000) (300,000,000)
단기대여금의 감소 480,000,000 -
유형자산의 처분 12,400,000 2,737,273
유형자산의 취득 (88,142,547) (20,580,000)
무형자산의 취득 (1,095,272) 716,579,092
보증금의 감소 10,020,000 24,288,305
보증금의 증가 (611,602,000) (28,950,00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828,653,219) (2,304,733,405)
차입금의 상환 (500,000,000) (2,05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328,653,219) (254,733,405)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 (2,371,327,855) 4,037,811,024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95,343 624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6,458,401,368 2,420,589,720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4,087,268,856 6,458,401,368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8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27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처분 예정일 2025년 3월 25 일 처분 확정일 2024년 3월 26 일
(단위 : 천원 )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Ⅰ.미처분이익잉여금 5,079,144 4,818,882
전기이월 이익잉여금 4,818,882 6,704,374
순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171,696,15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매각손익 - (2,374)
재측정요소 (35,295) (171,696)
당기순이익(손실) 295,557 (1,711,422)
Ⅱ.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Ⅲ.이익잉여금 처분액 - -
이익준비금 - -
배당금 - -
현금배당 - -
Ⅳ.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5,079,144 4,818,88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제28기(예정) 제27기
총발행주식수(배당주식수) 5,981,670주(4,799,840)자기주식(1,181,830)제외 5,981,670주(4,799,840)자기주식(1,181,830)제외
배당금총액(원)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액면배당률(%)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주당배당금(원)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억원
최고한도액 5억원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0.3억원
최고한도액 1억원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7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이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2)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3)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 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과 회사 홈페이지에 각각 공시 및 게재할 예정입니다.-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회사 홈페이지 : https://www.unipoint.co.kr

※ 참고사항

▶ 의결권 행사방법에 관한 사항 - 본인 또는 대리인의 참석에 의한 행사

주주님께서는 본인이 직접 정기주주총회에 참석하시거나 대리인을 대신 참석하게 하는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본인이 직접 의결권 행사 : 신분증

- 대리인을 통한 의결권 행사: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기명날인), 위임한 주주의 신분증, 대리인의 신분증.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실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