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케이비지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03월 07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케이비지
대 표 이 사 : 부삼열
본 점 소 재 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대흥신덕길 84-19
(전 화)041-523-6201
(홈페이지)http://www.kbgtech.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대표이사 (성 명)부삼열
(전 화)041-523-620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4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3조에 의거 제 24 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4일(월요일) 10시 00분

2. 장 소 : 충북 괴산군 사리면 사리로방축골길 44-86 제2공장 강당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4기(2024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

※ 배당예정 - 기명식 보통주 1주당 75원 현금배당

- 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별첨 1 참조)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부삼열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이상진 선임의 건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한국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되었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통지할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행사 하시거나 또는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에 전자적 방법으로 공고함으로써 소집통지를 갈음하였습니다.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인테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 비치하였고,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일 1주 전까지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으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3월 7일

주식회사 케이비지

대표이사 부 삼 열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용훈(출석률: 100%) 최경(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찬 반 여 부
1 2024.01.03 제1호의안 :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찬성 -
2 2024.01.23 제1호의안 :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의안 : 제23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찬성 -
3 2024.02.23 제1호의안 : 사외이사, 감사 후보 추천의 건제2호의안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제3호의안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상정 의안 승인의 건 찬성 -
4 2024.03.14 제1호의안 : 제2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찬성 -
5 2024.06.28 제1호의안 : 타법인 주식(출자증권) 취득결정의 건 - 찬성
6 2024.07.10 제1호의안 : 임원 겸직 승인의 건 - 찬성

※ 2024년 3월 25일 당사 정기주주총회를 통해 최경 사외이사가 선임되었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500 12 12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실리콘 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실리카 단열 소재 사업을 일부 영위하고 있습니다.실리콘은 그 구조에 기인하여 독특하고 우수한 성질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절연성, 내후성, 발수성, 난연성 등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산업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으며, 기초화학 산업뿐만 아니라 응용화학 산업에 있어서도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첨단 화학 산업입니다. 이러한 특징과 중요성으로 인하여 현재 당사에서 생산 중인 주요 제품인 실란모노머, 실리콘폴리머, 실리콘레진 등이 모든 산업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실리콘 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품 수는 6천여 종에 이르고 있어 산업의 분업화, 다양화 그리고 고도의 기술화에 수반하여 고기능성, 고품질 정밀재료 등 그 품목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가 더욱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다우 등 Global 실리콘 산업 Big 5 회사들은 금속 규소에서 실리콘 응용제품까지 모든 사업 영역을 영위하고 있으며 수 천억원 ~ 1조원 이상의 투자비가 필요한 사업입니다. 실리콘 응용 제품은 운송, 건축소재, 전자재료, 에너지, 화장품, 의료용, 산업공정, 접착제, 계면활성제 등 우리 생활에 많은 분야에서 사용됩니다.실리카 에어로젤 산업은 지속적인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개발 및 출시되고 있습니다. Blanket 형태의 실리카 에어로젤 단열 소재는 우수한 단열 성능과 함께 구조물 및 설비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편리성으로 인해 주요 산업군에서 표준화된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주요 제품인 기능성 실리콘소재는 silicon 금속에 염소를 붙여 만든 기초 반응성 소재인 염화실란(chlorosilane, 고체 상태의 silicon 금속에 염소가 결합 되어 액체로 변한 상태)을 원재료(주로 수입)로 사용하여 응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특성의 화학 반응기를 결합시켜서 만들고 이를 '유기반응성 실란'이라고 명명합니다. 이러한 '유기반응성 실란'들을 상호 결합하여 실리콘 고분자(실리콘폴리머, 실리콘레진), 점착제, LED 렌즈, 건축용 실란트 등에 응용하기도 하고 기존 플라스틱 석유화학 제품(탄소를 기본으로 하는 유기물)에 첨가하여 고강도, 내후성, 내열성, 내화학성 등의 무기물 특성을 부여하여 플라스틱 등의 물성을 향상 시키는데 이용 합니다. 당사는 현재 항공, 전자재료, 에너지, 접착제, 건축 시장에 실리콘 중간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 외형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실리콘 사업 부문 원재료는 대부분 실리콘 금속(silicon)을 출발물질로 제조하고 있으며 석유 화학 공업에서 유가의 등락 상황이 발생하는 것처럼 실리콘 메탈 기반의 원재료 역시 전세계 수요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는 중국 내 실리콘 금속 생산을 위한 전기 공급 상황과 실리콘 메탈의 글로벌 수요 공급에 따라 국제 시세가 동조하여 등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변동성에 대비하여 당사는 실리콘 원재료 보관에 필요한 동업계 최고 수준의 위험물 창고 Capa.를 운영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국제 시세 변동 상황이나 공급 불안 상황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주력사업인 실리콘 사업 부문과, 실리카 단열 소재 사업 부문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 용도
실란 모노머 건축소재 실란트 가교제
전자재료 LED/OLED 용 봉지재
실리콘 융합소재 항공소재 활주로용 소재
전자재료 디스플레이용 소재, 컨포멀 코팅재

실리콘 레진

&폴리머

전자재료 디스플레이용 소재, 충진재/봉지재, 레진 가교제
건축소재 변성실리콘, 비오염성
전기차소재 방열 소재
실리콘 기타 기타 촉매
실리카 단열소재 단열 석유화학, 해양 플랜트

(2) 시장점유율

당사는 기능성실리콘소재를 제조하는 업체로서 당사와 비슷한 경쟁회사는 국내에 없으며, 당사가 수행하고 있는 범주의 산업은 글로벌 메이져 업체들이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정확한 시장규모와 점유율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실리콘 소재 중 전자재료(디스플레이, LED/OLED, 반도체 등), 접착제/실란트 및 항공산업 등에 응용되는 실리콘 소재를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아래에 사업부분별 시장특성을 정리하였습니다.[디스플레이용 전자재료]

디스플레이 시장이 성장하면서 실리콘계 optical bonding과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감압점착제)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습니다. OCA(optical clear adhesive)와 OCR(optical clear resin)을 포함하는 optical bonding은 TSP(touch screen panel)를 장착한 IT 제품에 폭넓게 사용됩니다. 동 제품은 TSP를 LCD main 판넬에 접착하는 역할을 합니다. Optical bonding 제품은 피착 device에 도포 후 자외선, 열, 수분 등에 의해서 경화합니다. Optical bonding은 TSP와 LCD 판넬 사이의 air gap을 제거하고 반사방지 기능을 하여 디스플레이의 명암비와 시인성을 향상 시키는 등 광학적 특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능은 직사광선에 의해서 시인성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옥외 응용에서 특별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Optical bonding을 디스플레이에 적용시 광학특성 개선 이외에 유리판을 LCD 판넬에 접합해 줌으로서 디바이스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줍니다. 또한, 반사에 의한 광손실을 줄여 줌으로서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하여 줍니다.[디스플레이 LED 및 OLED용 절연 및 봉지재료]

LED(Light-Emitting Diode)는 반도체 고체 조명으로 환경친화적이고, 기존의 일반 조명 기구에 비하여 에너지 절약 효과가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반영구적인 긴 수명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국가적 관심 산업이 되어 정부에서도 국가적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생활 전반에 사용되기 시작하여 휴대폰의 액정 표지 소자, 옥외용 대형 디스플레이 전광판, 교통 신호등, 자동차 부품, TV를 중심으로 한 가전제품 등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LED 봉지재 시장에 핵심소재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실리콘 LED 봉지재(encapsulant)는 기본적으로 LED 칩을 보호하고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빛을 방출시키는 기능을 하고 기존의 에폭시에 비하여 청색이나 자외선에 내구성이 강하며 열적으로나 습기에도 매우 강한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OLED용 절연 및 투습방지용 소재의 경우, 반도체층 (Poly-Si층)과 전극사이를 분리하여, 절연 및 평탄화 기능 (기존 이중막 구조인 SiNx/Acryl계 고분자를 실리콘 고분자를 이용하여 단일막으로 대체 개발)과 OLED의 발광층을 수분과 산소로부터 보호하여 신뢰성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투습방지용 재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Conformal Coating용 전자재료]컨포멀 코팅재(conformal coating material)는 PCB(printed circuit board)의 윤곽을 유지하면서 부품들을 보호하는 얇은 고분자 필름이며, 전자회로를 수분, 염분, 먼지, 화학물질, 온도 변화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합니다. 실리콘 컨포멀 코팅재(conformal coating)는 넓은 범위의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전기적 절연체로서의 역할을 하며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충격과 진동 같은 스트레스를 흡수 및 완화 시키는 기능을 가집니다.

[실란트용 소재]

각종 접합부(joint)나 갈라진 틈(seam)에 대한 수밀,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충진되는 물질을 일반적으로 실링재라 말하며, 이는 어느 정도 강도 및 탄성을 가지고 부재를 고정시켜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진 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중 특히 탄성 실링재를 실란트(sealant)라고 합니다.

당사는 건축 산업에 적용되는 실란트의 핵심소재를 동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자동차산업용 실란트는 정부 R&D 지원사업으로 자체 개발 중에 있습니다. 건축용 실리콘 실란트는 주로 유리와 PVC 창호, 유리와 알루미늄 창호, 창호와 콘크리트, 석재와 다른 석재 등의 간격을 메워서 서로 다른 물성의 자재를 오랜 시간 파손 없이 연결시켜 주고 방수·방음·방풍 등의 역할을 하는 자재 입니다.실란트는 외부 바람과 육중한 유리 무게를 견디고 지탱해주기 때문에 실란트 기술은 곧 건축물이 긴 시간 동안 본래의 성능을 결정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당사는 항공산업용 실란트의 필수 기능인 신장율을 극대화 시키는 핵심소재를 동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항공산업용 실란트는 활주하는 항공기의 중량과 착륙할 때의 충격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가 필요하며 주로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됩니다. 활주로 콘크리트 평판 사이의 연결 부위는 실리콘 실란트의 탁월한 신축력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 있게 특별히 설계됩니다. 활주로에 시공된 실리콘 실란트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열팽창계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하고 항공기 이착륙시 콘크리트 평판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합니다.[Uitra Low Volatile급 실리콘 소재]자동차 배터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화장품등 산업 전방에 걸쳐 실리콘 제품의 저분자 실록산 함량 규제 수준을 강화되고 있는 상황에 맞추어 당사는 저분자 실록산 제거 설비인 TFE(Thin Film Evaporator) 운영기술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현재는 일반적인 규제 수준 1,000ppm을 초과하여 관련 시장 내 최고 수준인 300ppm 이하의 저분자 실록산 제거 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자동차 배터리 모듈내 방열 및 열폭주 소재, 산업용 RTV, 전기 전자용코팅 소재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로하는 저분자실록산제거(Ultra Low Volatile) 실리콘 원재료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저분자실록산 제거 기술로 만들어진 실리콘 제품들은 배터리 포함 각종 전기 전자 용도에서 전기 접점 오염에 따른 오동작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내 코팅 불량을 사전에 방지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현재 구체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업은 없고, 준비중에 있습니다.

(5)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 → (1) 영업개황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악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연결기준]

- 연결재무상태표

연결재무상태표
제 24 기 2024. 12. 31 현재
제 23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제 24 기

제 23 기

자산

   

Ⅰ. 유동자산

27,821,190,765 26,049,638,344

현금및현금성자산

4,707,977,442 3,312,955,547

단기금융상품

5,000,000,000 12,000,000,000

당기손익인식측정금융자산

1,016,443,349 -

매출채권

6,965,144,661 5,033,924,279

기타유동금융자산

85,107,591 205,443,151

재고자산

9,989,859,470 5,438,021,660

기타유동자산

56,658,252 59,293,707

Ⅱ. 비유동자산

23,818,123,920 19,902,354,001

장기금융상품

743,655,989 577,804,334

기타비유동금융자산

88,233,000 42,054,000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1,019,400,000 1,019,400,00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1,390,952,105 2,493,716,995

지분법적용투자주식

779,260,271 999,743,493

유형자산

17,265,613,077 13,232,341,662

무형자산

1,074,541,603 688,715,637

사용권자산

163,887,960 82,733,130

투자부동산

217,418,053 222,022,946
이연법인세자산 1,075,161,862 543,830,804

자산총계

51,639,314,685 45,951,992,345

부채

Ⅰ. 유동부채

5,587,189,325 3,383,822,944

매입채무

2,515,985,191 670,962,394
계약부채 71,431,206 -

기타유동금융부채

1,219,823,765 681,398,583

기타유동부채

65,928,835 50,342,050

충당부채

1,355,280,710 1,355,280,710

리스부채(유)

81,242,326 39,534,163

당기법인세부채

277,497,292 586,305,044

Ⅱ. 비유동부채

1,139,235,171 514,304,629

기타비유동금융부채

476,199,435 70,979,728

리스부채

88,463,969 45,758,281

순확정급여부채

574,571,767 397,566,620

부채총계

6,726,424,496 3,898,127,573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44,912,890,189 42,053,864,772

자본금

1,748,044,600 1,748,044,600

자본잉여금

20,529,094,360 20,529,094,360

기타자본구성요소

(632,831,731) (638,399,05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이익잉여금

23,268,582,960 20,415,124,862

비지배지분

- -

자본총계

44,912,890,189 42,053,864,772

자본과부채총계

51,639,314,685 45,951,992,345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제 24 기

제 23 기

Ⅰ. 매출

24,915,425,602

21,589,233,488

Ⅱ. 매출원가

17,010,537,102

14,339,789,501

Ⅲ. 매출총이익

7,904,888,500

7,249,443,987

판매비와관리비

4,747,659,229

2,939,502,362

Ⅳ. 영업이익

3,157,229,271

4,309,941,625

기타수익

923,735,416

54,610,789

기타비용

278,651,017

69,668,299

금융수익

970,369,139

2,296,059,704

금융비용

487,118,007

1,000,169,585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285,564,802

5,590,774,234

법인세비용

519,217,405

1,007,329,822

Ⅵ. 당기순이익

3,766,347,397

4,583,444,412

Ⅶ. 기타포괄손익

(42,953,199)

(119,371,72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42,953,199)

(119,371,727)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42,953,199)

(119,371,72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

Ⅷ. 총포괄이익

3,723,394,198

4,464,072,685

Ⅸ. 당기순이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3,766,347,397

4,583,444,412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

-

Ⅹ. 총포괄이익의 귀속

   

 포괄손익,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3,723,394,198

4,464,072,685

 포괄손익, 비지배지분

-

-

XI.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433

541

 희석주당이익

433

541

- 연결자본변동표

연결 자본변동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비지배지분

자본 합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Ⅰ. 2023.01.01 (전기초)

1,645,965,000

15,875,181,596

289,538,284

-

17,135,129,004

34,945,813,884

-

34,945,813,884

Ⅱ. 총포괄손익

1. 당기순이익

- - -  -

4,583,444,412

4,583,444,412

-

4,583,444,412

2.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119,371,727)

(119,371,727)

-

(119,371,727)

총포괄손익 합계 - - - - 4,464,072,685 4,464,072,685 - 4,464,072,685
Ⅲ.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1. 소유주에 대한 배분으로 인식된 배당금

- - -  -

(835,633,727)

(835,633,727)

-

(835,633,727)

2.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161,586,271

144,162,100

 -

(348,443,100)

(42,694,729)

-

(42,694,729)

3. 출자전환

102,079,600

4,492,326,493

(474,167,480)

 -

-

4,120,238,613

-

4,120,238,613

4. 전환사채재매입

- -

(619,099,361)

 -  -

(619,099,361)

-

(619,099,361)

5. 주식매수선택권의부여

 - -

21,167,407

 -  -

21,167,407

-

21,167,407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합계

102,079,600

4,653,912,764

(927,937,334)

 - (1,184,076,827) 2,643,978,203 - 2,643,978,203

Ⅳ. 2023.12.31 (전기말)

1,748,044,600

20,529,094,360

(638,399,050)

 -

20,415,124,862

42,053,864,772

-

42,053,864,772

Ⅰ. 2024.01.01 (당기초)

1,748,044,600

20,529,094,360

(638,399,050)

-

20,415,124,862

42,053,864,772

-

42,053,864,772

Ⅱ. 총포괄손익

1. 당기순이익

- - - -

3,766,347,397

3,766,347,397

-

3,766,347,397

2.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42,953,199)

(42,953,199)

-

(42,953,199)

총포괄손익 합계 - - - - 3,723,394,198 3,723,394,198 - 3,723,394,198
Ⅲ.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1. 소유주에 대한 배분으로 인식된 배당금

- - - -

(869,936,100)

(869,936,100)

-

(869,936,100)

2. 주식기준보상거래에 따른 증가(감소), 지분

- -

5,567,319

-

-

5,567,319

-

5,567,319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합계 - - 5,567,319 - (869,936,100) (864,368,781) - (864,368,781)

2024.12.31 (기말자본)

1,748,044,600

20,529,094,360

(632,831,731)

-

23,268,582,960

44,912,890,189

-

44,912,890,189

- 연결현금흐름표

연결 현금흐름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제 24 기

제 23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289,954,821

9,468,071,633

1. 영업에서창출된현금흐름 4,902,876,556 9,663,852,611
2. 이자의 수취 433,750,471 516,614,278
3. 이자의 지급 (6,368,454) (2,718,246)
4. 법인세의 납부 (1,040,303,752) (709,677,010)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019,367,547)

(6,028,816,715)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9,565,154,894 3,946,833,623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9,500,000,000 -
단기대여금의 감소 54,626,258 106,176,095
당기손익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2,611,257,528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1,027,500,000
유형자산의 처분 5,326,636 1,900,000
무형자산의 처분 - 200,000,000
보증금의 감소 5,202,000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1,584,522,441) (9,975,650,338)
단기대여금의 증가 51,800,000 98,905,818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2,500,000,000 6,000,000,000
당기손익인식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300,001,212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165,851,655 154,262,000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1,000,000,000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3,699,397,213 -
유형자산의 취득 5,078,092,573 2,215,481,308
무형자산의 취득 38,000,000 207,000,000
보증금의 증가 51,381,000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937,577,835)

(1,878,027,97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0,000,000 6,782,997
장기미지급금의 증가 - 6,782,997
임대보증금의 증가 10,000,000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947,577,835) (1,884,810,973)
배당금의 지급 869,936,100 835,633,727
리스부채의 상환 63,170,990 49,177,246
장기미지급금의 감소 4,470,745 -
임대보증금의 감소 10,000,000 -
전환사채의 재매입 - 1,000,000,000

Ⅳ. 현금의 증가(Ⅰ+Ⅱ+Ⅲ)

1,333,009,439

1,561,226,942

Ⅴ. 회화표시현금의 환율변동효과

62,012,456

(19,866,836)

Ⅵ. 기초의 현금

3,312,955,547

1,771,595,441

Ⅶ. 기말의 현금

4,707,977,442

3,312,955,547

[별도기준]

-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제 24 기 2024.12.31 현재

제 23 기 2023.12.31 현재

(단위 : 원)

 

제 24 기

제 23 기

자산

   

Ⅰ. 유동자산

17,644,069,165 26,049,638,344

현금및현금성자산

3,700,350,519 3,312,955,547

단기금융상품

2,500,000,000 12,000,000,000

당기손익인식측정금융자산

1,016,443,349 -

매출채권

5,653,554,842 5,033,924,279

기타유동금융자산

65,658,842 205,443,151

재고자산

4,675,472,784 5,438,021,660

기타유동자산

32,588,829 59,293,707

Ⅱ. 비유동자산

31,276,028,282 19,902,354,001

장기금융상품

743,655,989 577,804,334

기타비유동금융자산

68,233,000 42,054,000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1,019,400,000 1,019,400,00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1,390,952,105 2,493,716,995

지분법적용투자주식

779,260,271 999,743,493
종속기업투자자산 8,280,765,464 -

유형자산

17,245,743,074 13,232,341,662

무형자산

687,859,000 688,715,637

사용권자산

109,271,152 82,733,130

투자부동산

217,418,053 222,022,946
이연법인세자산 733,470,174 543,830,804

자산총계

48,920,097,447 45,951,992,345

부채

Ⅰ. 유동부채

3,329,456,769 3,383,822,944

매입채무

494,238,508 670,962,394
계약부채 4,464,000 -

기타유동금융부채

1,090,391,634 681,398,583

기타유동부채

54,495,390 50,342,050

충당부채

1,355,280,710 1,355,280,710

리스부채(유)

53,089,235 39,534,163

당기법인세부채

277,497,292 586,305,044

Ⅱ. 비유동부채

1,105,643,585 514,304,629

기타비유동금융부채

486,199,435 70,979,728

리스부채

60,060,513 45,758,281

순확정급여부채

559,383,637 397,566,620

부채총계

4,435,100,354 3,898,127,573

자본

   

자본금

1,748,044,600 1,748,044,600

자본잉여금

20,529,094,360 20,529,094,360

기타자본구성요소

(632,831,731) (638,399,050)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이익잉여금

22,840,689,864 20,415,124,862

자본총계

44,484,997,093 42,053,864,772

자본과부채총계

48,920,097,447 45,951,992,345

-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제 24 기

제 23 기

Ⅰ. 매출

23,140,357,548

21,589,233,488

Ⅱ. 매출원가

15,370,654,076

14,339,789,501

Ⅲ. 매출총이익

7,769,703,472

7,249,443,987

판매비와관리비

4,113,406,617

2,939,502,362

Ⅳ. 영업이익

3,656,296,855

4,309,941,625

기타수익

57,634,955

54,610,789

기타비용

264,661,463

69,668,299

금융수익

900,132,152

2,296,059,704

금융비용

456,905,750

1,000,169,585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3,892,496,749

5,590,774,234

법인세비용

547,109,486

1,007,329,822

Ⅵ. 당기순이익

3,345,387,263

4,583,444,412

Ⅶ. 기타포괄손익

(49,886,161)

(119,371,72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49,886,161)

(119,371,727)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49,886,161)

(119,371,727)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

-

Ⅷ. 총포괄이익

3,295,501,102

4,464,072,685

Ⅸ.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

385

541

 희석주당이익

385

541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Ⅰ. 2023.01.01 (전기초)

1,645,965,000

15,875,181,596

289,538,284

17,135,129,004

34,945,813,884

Ⅱ. 총포괄손익

1. 당기순이익

- - -

4,583,444,412

4,583,444,412

2.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119,371,727)

(119,371,727)

총포괄손익 합계 - - - 4,464,072,685 4,464,072,685
Ⅲ.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1. 소유주에 대한 배분으로 인식된 배당금

- - -

(1,184,076,827)

(1,184,076,827)

2.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161,586,271

144,162,100

-

305,748,371

3. 출자전환

102,079,600

4,492,326,493

(474,167,480)

-

4,120,238,613

4. 전환사채재매입

- -

(619,099,361)

 -

(619,099,361)

5. 주식매수선택권의부여

 - -

21,167,407

 -

21,167,407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합계

102,079,600

4,653,912,764

(927,937,334)

(1,184,076,827) 2,643,978,203

Ⅳ. 2023.12.31 (전기말)

1,748,044,600

20,529,094,360

(638,399,050)

20,415,124,862

42,053,864,772

Ⅰ. 2024.01.01 (당기초)

1,748,044,600

20,529,094,360

(638,399,050)

20,415,124,862

42,053,864,772

Ⅱ. 총포괄손익

1. 당기순이익

- - - 3,345,387,263 3,345,387,263

2. 기타포괄손익

순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49,886,161)

(49,886,161)

총포괄손익 합계 - - - 3,295,501,102 3,295,501,102
Ⅲ.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1. 소유주에 대한 배분으로 인식된 배당금

- - -

(869,936,100)

(869,936,100)

2. 주식기준보상거래에 따른 증가(감소), 지분

- -

5,567,319

-

5,567,319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합계 - - 5,567,319 (869,936,100) (864,368,781)

2024.12.31 (기말자본)

1,748,044,600

20,529,094,360

(632,831,731)

22,840,689,864 44,484,997,093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제 24 기

제 23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5,279,020,278

9,468,071,633

1. 영업에서창출된현금흐름 5,907,090,430 9,663,852,611
2. 이자의 수취 407,569,503 516,614,278
3. 이자의 지급 (3,264,093) (2,718,246)
4. 법인세의 납부 (1,032,375,562) (709,677,010)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028,664,798)

(6,028,816,715)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9,565,154,894 3,946,833,623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9,500,000,000 -
단기대여금의 감소 54,626,258 106,176,095
당기손익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2,611,257,528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1,027,500,000
유형자산의 처분 5,326,636 1,900,000
무형자산의 처분 - 200,000,000
보증금의 감소 5,202,000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3,593,819,692) (9,975,650,338)
단기대여금의 증가 51,800,000 98,905,818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6,000,000,000
당기손익인식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300,001,212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165,851,655 154,262,000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취득 8,280,765,464 1,00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5,064,021,573 2,215,481,308
무형자산의 취득 - 207,000,000
보증금의 증가 31,381,000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924,995,778)

(1,878,027,976)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0,000,000 6,782,997
장기미지급금의 증가 - 6,782,997
임대보증금의 증가 10,000,000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934,995,778) (1,884,810,973)
배당금의 지급 869,936,100 835,633,727
리스부채의 상환 50,588,933 49,177,246
장기미지급금의 감소 4,470,745 -
임대보증금의 감소 10,000,000 -
전환사채의 재매입 - 1,000,000,000

Ⅳ. 현금의 증가(Ⅰ+Ⅱ+Ⅲ)

325,359,702

1,561,226,942

Ⅴ. 회화표시현금의 환율변동효과

62,035,270

(19,866,836)

Ⅵ. 기초의 현금

3,312,955,547

1,771,595,441

Ⅶ. 기말의 현금

3,700,350,519

3,312,955,547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4 기 (2024.01.01 부터 2024.12.31 까지)
제 23 기 (2023.01.01 부터 2023.12.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4 기 제 23 기
처분예정일 : 2025년 3월 24일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5일
미처분이익잉여금 22,104,538,918 19,765,967,526
전기이월이익잉여금 18,809,037,816 15,301,894,841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49,886,161) (119,371,727)
당기순이익 3,345,387,263 4,583,444,412
이익잉여금 처분액 719,697,283 956,929,710
이익준비금 적립 65,245,208 86,993,610
배당금 지급 652,452,075 869,936,100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1,386,841,635 18,809,037,816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제 24 기 제 23 기
보통주 우선주 보통주 우선주
주식수 8,699,361 - 8,699,361 8,699,361 - 8,699,361
주당배당금 75 - 75 100 - 100
시가배당율 1.58% - 1.58% 1.24% - 1.24%
배당금 652,452,075 - 652,452,075 869,936,100 - 869,936,100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부삼열 1986.07.16 사내이사 - 이사회
이상진 1963.09.28 사내이사 -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부삼열 (주)케이비지 대표이사 2020.03 ~ 현재2012.03~2017.03.

㈜케이비지 대표이사

LG디스플레이 주임연구원

해당없음
이상진 (주)케이비지 부사장 2014.03~현재2007.04~2014.022001.12~2004.03

㈜케이비지 부사장

㈜원익큐브 실리콘사업부장

홍익대학교 연구교수

해당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부삼열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상진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자 부삼열 후보자는 유기고분자물질 석사학위 소지자로서 당사 대표이사로 재직하면서 향후 비젼 제시 및 성장 방향 설정에 충실히 역활을 수행하고 있으며 회사 발전 및 성장에 기여도가높을 것으로 판단되어 사내이사 후보자로 추전하였습니다.사내이사 후보자 이상진 후보자는 이학박사 학위 소지자로서 대학교수를 역임하여 풍부한 학식을 겸비하였고 관련 업종에서의 현장 경험이 풍부하여 당사의 연구개발 및 생산공정관리에 충분한 역할을기여 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내이사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확인서 확인서(부삼열).jpg 확인서(부삼열) 확인서(이상진).jpg 확인서(이상진)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52,530,000
최고한도액 1,5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2,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4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 전까지 당사 홈페이지(www.kbgtech.co.kr)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사유 : 해당사실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