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운영현황(안내공시)
1. 제목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CP)
2025년 상반기 주요 운영실적 및 2025년 하반기 운영계획
2. 주요내용 1. 2025년 상반기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운영실적

1) CP의 도입 및 운영 방침, 최고 경영진의 지원
① 2025년 "자율준수의 날" 운영(매년 4월1일)
- 대표이사 "윤리경영 메시지" 전파
- 전 임직원 "윤리경영 실천 서약" 실시
- 임직원 대상 CP문화 확산 Event 실시
(대표이사 윤리경영 메시지 內 O/X 퀴즈)
② 2025년 CP등급평가 실적보고서 작성 및 신청
- 평가항목(7개), 평가지표(17개), 세부측정지표(40개)
③ 한미약품 윤리경영 홍보영상 제작 및 배포(ver 25년)
- 대표이사 메시지, 윤리경영 대내외 활동 현황,
CP관련 운영 시스템, CP관련 수상 이력 등
④ 2024~25 ESG보고서 발간
- 윤리경영,준법경영 주요실적 및 자율준수의지 전파
⑤ 자율준수관리자 및 준법지원인 임명
- 컴플라이언스팀 유승현 이사
- 2025년 4월 ~ 2028년 4월(임기3년)

2) 자율준수편람
① 2025년 공정거래자율준수편람 보완
- 대표이사 메시지 및 운영조직 최신화
- CP등급평가 및 인센티브 기준 최신화
- 공정거래법 하도급법 관련 법령 및 심결례 정비
- 하도급대금 연동제, 부당특약 금지,
기술자료 유용 등 주요 지침 및 조항 반영

3) 교육훈련 프로그램
① 국내사업본부 전체 CP관련 교육(매월)
- CP모니터링 결과 및 사례 교육
- CP관련 법규, 규정 주요 개정 사항
- CP관련 동향 및 이슈
② 국내사업본부 CP앰버서더 간담회(2회)
- 현장의견 청취, 올바른 CP 문화 정착
③ CP 특성별 맞춤 교육(10회)
- 마케팅팀 파트별 CP 맞춤 교육
④ CP관리 위원회 위원 대상 CP교육(5회)
- 전체 교육 및 임상분과, 영업분과 맞춤 교육
⑤ 국내사업본부 임원 대상 CP교육(매월)
⑥ 신입사원 CP교육(3회)
⑦ 국내사업본부 전략마케팅 CP교육(1회)
⑧ 한미약품 관계사 CP교육(1회)
⑨ 국내사업본부 상반기 제재자 대상 CP재교육(1회)
⑩ 외부교육 및 세미나 참석
- 2025년 상반기 윤리경영 워크샵(KPBMA)
- 2025년 CP심포지엄(공정거래위원회)
⑪ 클린경영소식지/윤리경영소식지 발간 및 배포
- 2025 1Q, 2Q 임직원 및 협력업체 발간 및 배포
⑫ ISO 37301/37001 내부심사원 교육 (30명)

4) 사전감시체계 시스템
① 영업 및 마케팅 프로그램 사전 업무협의(4,044건)
② CP모니터링을 통한 Risk점검
- 식음료 제공 및 판촉물 구매 가맹점
③ 부서별 업무 리스크 도출 및 관리사항 점검
④ 부서별 비용 사용 점검 (전표&증빙)
⑤ CP관리위원회 정기회의 (3회)
⑥ 자율분쟁조정기구 개최 (1회, 2회차 정기회의)
- 하도급법 관련 지침 개정사항 공유
⑦ 공정거래협약 하도급거래 심의위원회 도입
- 조정원 컨설팅, 하도급거래 4대 실천사항 제정
- 하도급 심의위원회 운영 (1회)
⑧ K-휘슬 운영

5) 제재 및 인센티브 시스템
① CP규정 위반자 인사 제재
- 경고13명, 견책5명, 감급 이상 1명
② CP문화 확산 Event 시상 (100명)
③ CP관련 온라인 Test(2회)
- 약사법 개정 및 CP관련 주요 규정
- 지출보고서 규정 및 관리 항목
- 사내 CP 규정 및 프로세스
④ CP High Level Test 상반기 진행
- 국내사업본부 310명 응시, 100문항 Test 진행
- 시상 총 9명, (달성자 2명, 우수자 7명)

6)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와 개선
① 2025년 상반기 지출보고서 등록 현황 점검(매월)
② 지출보고서 등록 System 및 Process 보완
- 담당자 및 관리자 점검 Process 강화
③ 내부감사 실시
- 구매팀 운영 Process 및 준법 관련 점검
- 심포지엄, 제품설명회 운영 등 규약 준수여부
④ 특별감사 실시
- 기타 제보 내용의 사실관계확인 및 진단, 개선
⑤ K휘슬 운영
- 내부제보 접수 및 처리 결과 대표이사 보고

2. 2025년 하반기 공정거래 자율준수프로그램 운영계획

1) CP의 도입 및 운영 방침, 최고 경영진의 지원
① ISO 37301/37001 사후 심사 (10월)
- ISO 37301/37001 운영 현황 점검 및 보완
② 2025년 지출보고서 Data 점검(매월)
③ CP모니터링 및 System 고도화

2) 자율준수편람
① 2025년 공정거래자율준수편람 보완 및 배포
- 약사법 개정 및 사내 CP규정 개정 등 반영
- 영업부문 소책자 제작 및 배포
② 사내 인트라넷 'E-book' 배포

3) 교육훈련 프로그램
① 국내사업본부 CP관련 정기교육(매월, 온오프 병행)
② CSO 판촉영업자 교육 (영업, 마케팅 등 관련부서)
③ 국내사업본부 CP앰버서더 간담회
- 현장의견 청취, 올바른 CP 문화 정착
④ CP 특성별 맞춤 교육
- 지역, 년차, 부서별 컴플라이언스 교육
⑤ CP관리 위원회 위원 대상 CP교육
⑥ 국내사업본부 임원 대상 CP교육(매월)
⑦ 국내사업본부 상반기 제재자 대상 CP재교육
⑧ CP관리위원회 위원 대상 CP교육(3회)
⑨ 관계사 및 협력업체 CP교육
⑩ CP관련 외부 세미나 및 심포지엄 참석
⑪ 대내외 클린경영소식지 발간 및 배포(2회)

4) 사전감시체계 시스템
① 영업 및 마케팅 프로그램 사전 업무 협의
② 부서별 업무 Risk 도출 및 개선/관리사항 점검
③ 법인카드 사용 내역 모니터링
④ CP관리위원회 정기회의 개최(3회)
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사후 신고 현황 점검

5) 제재 및 인센티브 시스템
① CP규정 온라인 TEST
② CP규정 준수 우수지역 시상 및 위반자 제재
③ CP문화 확산 Event 시상
④ ISO 37301/37001 우수그룹 시상
⑤ CP High Level Test 우수자 시상

6)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와 개선
① 대내외 CP운영 효과성 평가
② 협력업체 CP운영 점검
③ 내부정기 감사
3. 결정일자 2025-08-01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관련공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