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본 사채를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를 하거나, 시가를 하회하는 행사가격으로 신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단, 기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는 제외한다)하거나, 준비금의 자본전입을 통하여 무상증자를 하거나, 주식배당을 통하여 주식을 발행하거나, 주식분할을 하거나, 시가를 하회하는 최초의 전환가액, 행사가액, 교환가액으로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등 주식연계증권을 발행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단, 유·무상증자를 병행 실시하는 경우, 유상증자의 1주당 발행가격(주식이 USD 또는 원화가 아닌 통화로 발행되는 경우에는 발행일 당일 서울외환중개 주식회사가 최초로 고시하는 해당 통화와 원화의 매매기준율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한 금액을 의미함.)이 시가를 상회하는 때에는 유상증자에 의한 신발행주식수는 전환가액 조정에 적용하지 아니하고 무상증자에 의한 신발행주식수만 적용한다. 본 목에 따른 전환가액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 발행일 또는 주식연계증권 발행일로 한다.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시가
2) 1)목에 따른 조정 후 전환가격은 다음에서 정한 바에 따라 산정한다.
i)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 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 발행회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한다.
ii)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배당ㆍ준비금의 자본전입의 경우 영(0)으로 한다.
iii) 1주당 발행가격은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당해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이 USD 또는 원화가 아닌 통화로 발행되는 경우에는 발행일 당일 서울외환중개 주식회사가 최초로 고시하는 해당 통화와 원화의 매매기준율 환율을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한 금액을 의미함.)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한다.
iv)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 (유상증자의 경우 확정발행가액 산정에 사용된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 단, 주식매수선택권 및 우리사주매수선택권 행사로 인한 경우에는 행사일의 가중산술평균주가)를 1주당으로 환산한 금액을 의미(발행회사의 경우 1주당 5 KDR이 발행되어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관계로 상장 단위 기준인 1 KDR에 5를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의미함)한다.
3)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또는 자본의 감소 직전에 전액 전환되어 주식으로 발행되었더라면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혹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의 경우에는 각각 그 비율을 고려하여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의 기준일로 한다.
4)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 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액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액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액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5) 위 1)목 내지 4)목과는 별도로, 본 사채의 발행일을 기준으로 매 7개월이 경과한 날(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전환가액 조정일로 하고, 각 전환가액 조정일 직전 거래일을 기준으로, 그 직전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직전 거래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직전 거래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격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전환가액보다 낮은 경우, 동 낮은 가격을 새로운 전환가액으로 한다. 단, 새로운 전환가액은 발행 당시 전환가액(조정일 이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이 조정된 경우에는 직전 조정된 전환가액을 기준으로 함)의 85% 이상이어야 한다.
6) 위 5)목에 따라 전환가액을 하향 조정한 이후, 위 5)목에 따라 산정한 시가산정액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전환가액보다 높은 경우, 동 높은 가격을 새로운 전환가액으로 한다. 단, 새로운 전환가액은 발행 당시 전환가액(신주의 할인발행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이 이미 조정된 경우에는 이를 반영한 가액) 보다 높을 수 없으며, 새로운 전환가액이 발행 당시 전환가액(신주의 할인발행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이 이미 조정된 경우에는 이를 반영한 가액) 보다 높은 경우 전환가액은 발행 당시 전환가액(신주의 할인발행 또는 감자 등의 사유로 전환가액이 이미 조정된 경우에는 이를 반영한 가액)으로 한다.
7) 본 항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발행회사의 보통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하고, 본건 사채에 부여된 전환권의 행사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격의 합계액은 본건 사채의 권면총액을 초과할 수 없다. 본 항에 따라 전환가격을 조정하여야 하는 사유가 수회 발생하는 경우, 각 사유별로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8) 본 호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액 중 원단위 미만은 상위 원단위로 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