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05일 | ||
회 사 명 : | (주)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 |
대 표 이 사 : | 김 영 관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발안공단로 25(향남읍) | |
(전 화) 031-831-4800 | ||
(홈페이지) http://www.polarisaipharma.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 (성 명) 강 의 성 |
(전 화) 02-3460-1036 | ||
(제26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25조에 의거 제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 542조의4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 아 래 -
1. 소집일시 : 2025년 03월 20일(목)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화성시 발안공단로 25(향남읍) 본사 1층 세미나실
3. 목적사항 :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0억원)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1억원) 제4호 의안 : 임원퇴직금 지급 규정 개정의 건 ※ 상기 주주총회의 제1호 의안인 '제2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은 당사 정관 및 상법, 관계법령에 따른 조건 충족 시 이사회 승인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주총회의 보고사항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448조, 상법 제542조의4 제3항 등에 의한 경영참고사항, 주주총회 소집통지 및 공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한국예탁결제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하고,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0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7.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당사는 이번 정기주주총회에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5년 03월 05일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대표이사 김 영 관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김종배(출석률:63%) | 김인(출석률: 75%)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05 | 임원성과보수 지급의 건 | ㅡ | 찬성 |
2 | 2024.02.22 | 25기(2023년) 결산이사회 | 찬성 | |
3 | 2024.02.29 | 유상증자 신주발행(제3자배정) | 불참 | |
4 | 2024.03.08 | 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 건 | 찬성 | |
5 | 2024.03.28 | 대표이사 신규 선임의 건 | 불참 | - |
6 | 2024.04.05 | 퇴직위로금 지급의 건 | 불참 | |
7 | 2024.08.13 | 무형자산 취득의 건 | 불참 | |
8 | 2024.09.25 | 임원관리 규정 제정의 건임원상여금 지급규정 폐기의 건 | 찬성 | - |
9 | 2024.09.25 | 임직원 대출의 건 | 찬성 | |
10 | 2024.09.25 | 유상증자 신주발행의 건(제3자배정) | 찬성 | |
11 | 2024.10.08 | 성과급 지급 결정의 건 | 찬성 | |
12 | 2024.10.16 | 임직원 대출의 건 | 찬성 |
주) 기존 김인 사외이사가 일신상의 사유로 사외이사직을 사임하고, 신규로 김종배 사외이사를 선임하였습니다.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4,000 | 26 | 13 | 주) |
주) 상기 인원수 및 지급총액에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년도에 퇴임한 이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오피스 | 2024.05.31 | 12.9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세원 | 2024.05.31 | 12.9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우노 | 2024.05.31 | 12.9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에이아이 | 2024.05.31 | 12.9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오피스 | 2024.10.04 | 12.5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세원 | 2024.10.04 | 12.5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우노 | 2024.10.04 | 12.5 | 1 |
유상증자 | (주)폴라리스에이아이 | 2024.10.04 | 12.5 | 1 |
주1) 상기 거래는 자산총액기준 1% 이상의 거래내역입니다.주2) 상기 거래내역의 비율은 외부감사인의 승인을 받은 직전 사업연도말(2023년) 별도 재무제표 자산총액 기준입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당사는 원료의약품 연구 및 생산과 관련하여 동일한 제약산업을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1) 산업의 특성 의약산업은 인간의 질병을 예방, 진단,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 및 의료기 기를 연구개발, 생산, 판매, 소비에 이르는 전 과정이 관련된 산업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할 것입니다. - 고도의 기술 집약적 첨단 산업
- 인간 생명을 연장하며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21세기 최첨단 친환경산업 의약산업은 이러한 특징과 함께 선진국을 중심으로 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바이오 신기술 개발과 이를 접목한 신 의약품 연구개발의 활성화로향후에도 지속적인 고성장이 예상됩니다. 세계의약품 시장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2023 제약바이오산업 DATABOOK'에 따르면, 세계 의약품 시장은 2022년 기준으로 1조3천억달러 규모를 형성, 최근 5년간(2017~2021년) 연평균 2.92%의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신약개발을 위해 장기간이 소요되고, 높은 투자비와 고위험 수반 되며, 글로벌 신약 개발 시 평균 1조~2조 원 상당의 막대한 개발 비용과 평균 10~15년 정도의 장기간의 개발기간 소요됩니다. 신약개발은 크게 후보물질 탐색, 전임상, 임상시험 단계로 구분되는데 특히 임상단계는 6~7년이 걸리고, 전문역량과 고비용이 요구되는 단계로 전체 신약개발 비용의 약 70% 소요됩니다. 타산업 대비 R&D 투자비중이 매우 높은 기술집약적 산업으로서, R&D 투자 상위기업 기준으로 매출액 대비 18% 수준이며, 신약 개발은 높은 위험을 수반하는 대신 성공할 경우 물질 특허 등을 통해 장기간 독점적으로 고수익 창출 가능하나, 신약개발 성공확률은 1/5,000 수준으로 매우 낮습니다. 또한 의약품 산업은 보건정책과 산업정책 측면에서 모두 중요하나, 상호충돌할 수 있어 양부문 정책간 조율 필요한 부분이 있습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시장(약 4,162억달러)이 가장 큽니다. 이어 중국(약 1,960억달러), 일본(약 935억달러), 독일(약 808백만달러), 영국(약 476억달러)순입니다.
국내원료의약품 시장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구 개발 중요성 국내 제약 산업은 신약개발 기반이 열악한 환경에서 제네릭(Generic,복제약)이라 불리는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의 복제약에 대한 연구개발이 중요한 시장입니다. 제네릭 의약품은 초기 연구개발 비용 낮고, 대량생산을 통한 원가 절감이 가능해 각국의 정부에서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원가경쟁력을 갖춘 인도, 중국 등의 신흥국의 성장을 기반으로 세계 원료의약품 시장 내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2) 수출 증대 국내 원료의약품의 수출은 2012년 10억달러를 처음 넘어선 이후 꾸준히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 완제의약품과 같이 성장하던 원료의약품이 더욱 성장한 이유는 약가 인하 정책 및 내수 경쟁 심화에 따라 일본, 동남아 시장에 적극적으로 수출을 진행한 결과로 앞으로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규제 등 정책 의존도 민감 제약 산업은 인간생명과 직결되는 산업으로 사회규제가 강한 산업입니다. 의약품의 개발, 생산, 유통과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처방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형태의 법적 절차가 적용되고 있으며, 의약품에 대한 사회적 규제 및 여론은 모든 허가 절차를 통과하여 제품을 출시한 후에도 강한 영향력을 미칩니다. 이런 이유로 단순 연구개발 뿐 아니라 제품개발에 있어서 고도의 문서화 작업을 포함한 품질보증 및법규준수 등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의약분야에서 최근 주목할 점은 고부가가치 상품인 특허가 만료되는 제네릭 의약품들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 진출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특히, 제네릭 의약품 중 광학활성 의약품은 전체 의약품 시장 중 60% 이상을 차지하며 매출액 상위품목 대부분이 광학활성 의약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광학활성 의약중간체 시장은 연간 1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FDA에서는 신약 개발단계부터 고순도 광학활성이성질체를 사용을 의무화하며, 라세믹 신약의 경우 각각의 광학활성이성질체에 대하여 개별적인 임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의약 전 범위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의약품 중간체의 비대칭 합성 기술은 저가 고순도 광학순도 키랄 중간체를 합성하기 이하여 비대칭 촉매 공정 기술, 생물 공정기법 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다양한 기술적 융합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법들이 연구되어 지고 있습니다. 원료의약품은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나누어 약효의 성분을 갖는 주성분(API: activepharmaceutical ingredient)과 약효를 나타내지 않는 보조성분(IPI: in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으로 분류되며, 약효 군별로는 크게 심혈관, 항균항생제, 위장관계,호흡기관계, 항암제 등으로 분류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우리나라 제약산업의 성장과정을 살펴보면, 1960년대 완제의약품의 국산화를 이루기위해 제제 개발에 주력하면서 완제의약품의 수입을 억제함으로써 국내 제약 산업을 활성화 시켰으며, 1970년대부터 항생제 등 원료의약품의 국산화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당시 국산화에 성공한 원료의약품의 수입을 금지하였습니다.1980년대 들어서 모방적단계에서 더 나아가 신공정개발에 상당한 기술력을 축적하였으며,1980년대말부터 물질특허제도의 도입과 함께 신약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1990년대는 신약개발 준비단계로 볼 수 있으며, '99년 7월에 국내 신약 1호(SK케미칼의 선플라주)가 탄생되어 본격적인 신약개발시대가 도래 하였습니다. 2000년대 의약 분업 이후 연간 계속 성장하던 제약산업은 2012년 약가 인하 이후 주춤하는듯 했으나 고령화 사회 진입 및 만성질환의 증가, 소득 증대에 따른 지출이 늘어남에 따라 계속 성장할 전망입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대형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 만료가 늘어남에 따라 제네릭 의약품의 출시가 활성화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따라 당사가 속한 원료의약품 산업 또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제약시장의 생산규모는 2022년의 경우 30.8조원으로 달성하였으며, 그 중 원료의약품의 규모는 3.1조원으로 전체 규모의 10.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의약품은 인간의 생명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어 다른 산업에 비해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치료제 중심의 병원용 약품은 경기변동의 영향이 크지 않으나, 일반 대중의약품은 경기 변동과 계절적 요인에 따른 약간의 영향을 받는다고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주로 생산하는 원료 의약품은 전문 의약품에 사용되고 있어서 경기 변동 또는 계절적 요인에 의한 영향력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4) 경쟁요소 제약 산업의 특성상 시장진입이 비교적 용이한 완전 경쟁시장이나 고도의 기술력을 가진 제품이 시장 내 우위를 차지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의약품 시장의 전면 개방으로 자금력을 앞세운 다국적 제약업체의 신규참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들의 제약 산업 참여도 진행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있습니다. 또한 의약분업 이후 제품력과 자금력을 구비한 외국회사에서 국내위탁제조 및 마케팅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국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의약분업 후 원개발사 제품의 투약 증가로 의료보험 재정에 어려움이 발생, 이의 해결방안으로 제네릭(Generic,복제약) 품목의 대체조제 인정 및 성분명 처방, 보험급여 우대등의 제도적 변화로 국내 제네릭(Generic) 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5)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제약산업은 약사법, 우수의약품제조 및 품질관리기준(KGMP), 우수의약품유통관리기준(KGSP) 우수의약품안전성시험관리기준(KGLP) 및 우수의약품임상시험관리기준(KGCP)등의 법령에 규제되고 있습니다. 또한, 의약품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한 원료의약품 신고제도 (DMF : Drug Master File)의 등록 및 허가가 필수적입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원료의약품산업은 인간의 생명을 담보로하는 사업인 만큼, 엄격한 품질관리와 기술력을 요구합니다. 따라서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생산시설만이 허용되며, 품질의 수준도 국내뿐 아니라 수출국의 까다로운 기준을 만족시켜야 합니다. 당사는 2008년 미국의약품생산설비 기준인 c-GMP 수준에 적합한 신공장을 경기도 화성에 준공하고 엄격한 품질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을 국내 외 완제 의약사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부문의 현황 -당사는 국내매출과 관련하여 품목 및 거래처의 다변화를 통해 성장율을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12년부터 시행된 정부의 보험약가 인하정책이 국내매출에 있어 부분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이에 따른 자구노력 등을 통하여 원가경쟁력 확보전략을 통해 공급량을 확대하여 향후 지속적인 매출의 증대가 가능하도록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 중에 있습니다.- 해외부분의 현황 - 알콜중독치료제, MRI조영제, 위궤양치료제 등 새로운 제품의 해외시장 본격 런칭(Launching)에 따라 향후 미국, 유럽, 중남미, 동남아등 신 시장에서의 매출이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위궤양치료제(RBM)는 2009년 2월 일본시장에 본격 수출이 개시됨에 따라 일본시장에서의 시장확대및 인지도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2012년에는 위궤양치료제(RBM)의 수출호조, 간질치료제(토피라메이트), 알콜중독치료제(아캄프로세이트)등의 유럽진출 등으로 수출부분의 상승은 지속되었습니다. 2011년 해외부문에서 미달러화 기준 3,700만불의 매출을 달성하여 3천만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이러한 성장세를 유지하면서 시장을 다변화하고, 새로운 제품을 계속 런칭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API*(원료의약품), CDMO** 등 기타 사업부문이 있습니다. 이중 사업의 목적에 따라 사업은 한개의 사업회사에서 별도의 사업담당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주요 제품 |
API | 제네릭(Generic drugs), 신약 원료 생산, 개량 신약 원료 생산 |
CDMO 등 | 주문자 맞춤 의약 원료, 중간체, 제형 개발 및 생산, 기타 |
*API: 원료의약품(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CDMO: 위탁 개발 및 생산(Contract Development Manufacturing Organization)[API(원료의약품) 사업] 당사의 주 영업대상은 완제 제약회사이며, 원료의약품 회사의 특성상 완제 제약회사와의 긴밀한 협력관계구축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타업계보다 한발 앞서 국제적 규모의 c-GMP(Current Good Manufacturing Practice) 수준의 신공장을 2008년 4월 경기도 화성에 준공 완료하였고, 2012년 11월 12일에는 증축 공사를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현재 60여종의 원료의약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외 100여군데의 고객사를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 매출은 인허가 절차가 까다로워 진입장벽이 높은 일본 시장의 비중이 높습니다. [CDMO 등 사업] 당사의 경쟁력 및 사업영역 확대를 위해서, 단순한 위탁 생산(CMO)를 넘어서 개발과 생산을 모두 포함하는 CDMO을 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CDMO 사업은 고객사들의 자체 생산역량 부족 및 의약품 R&D 역량 강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를 넘어서 글로벌 제약사에게 먼저 전문 개발까지 제안할 수 있는 영역으로수준을 높히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향후 당사 CDMO 부분의 성장에 따라 회사의 외형적인 성장 또한 기대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국내부문 - 당사의 주 영업대상은 완제 제약회사이며, 원료의약품 회사의 특성상 완제 제약회사와의 긴밀한 협력관계구축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출시, 시장진출, 마케팅등에 있어 공동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판매방식은 B2B방식으로 시장조사 → 연구 → 시제품 생산 → 제품출시 → 마케팅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제약산업의 특성상 개발에서 출시까지 장기간의 기간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동 기간동안 R&D부분에서 높은 투자가 요구되는 반면, 시장진입 후 안정기에 접어들면 매출이 안정적인 면을 보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해외부분 - 해외부문은 국내제약사들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입니다. 한미 FTA등 최근의 경제상황에 변화에 비추어 볼때, 제약사들의 능동적인 자세변화가 요구된다 할 것입니다. 한미 FTA의 타결은 국내 제약사들에게 단기적으로 어려움을 줄 것으로 예상되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쟁력제고, 시장진출기회증대, 성장성확대등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당사는 2005년 본격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여 3년만에 1,000만불이상의 매출과 2011년에는 3,700만불의 매출을 해외부분에서 달성하였으며, 계속적인 해외시장 개척과 현재의 성장율 증가 추이를 감안할 때, 향후 그 증가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입장에서 해외시장은 아직 일본시장 비중이 크지만, 미국, 유럽, 중남미, 중국등 미개척 시장으로의 진출 가능성이 높은만큼 성장율 면에서 빠른 증가를 기대할 수있습니다.(3) 회사의 경쟁우위요소당사는 2006년 국제적규모의 c-GMP수준의 신공장을 원료의약품업계의 타회사 보다 한발앞서 건설하기로 결정하고, 2008년 4월 경기도 화성에 준공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증가되는 제품수요를 예측하여 2011년에는 기존공장과 동일한 규모의 공장증축을 결정하였으며, 2012년 11월 12일 준공을 완료하였습니다. 원료의약품 산업은 타 산업과 마찬가지로 FTA 그리고 글로벌화로 산업에 있어 국가간경계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무한경쟁의 시대를 맞고 있습니다.향후 제약업계, 특히 원료 의약품업계는 이러한 변화를 간파하고 한발앞서 준비한 업체만이 경쟁력을 가지고 국제시장에서 외국의 유수 기업과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이러한 면에서 당사는 타 기업에 앞서 선진국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국내는 물론 해외시장에서 경쟁에 있어 다른 기업보다 우위에 있다고 판단하고 있습 니다.(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가) 해외네트워크 확장 당사는 중국식품약품감독관리국(NMPA)에 '록사티딘 아세테이트 염산염'의 원료의약품 등록을 완료함으로써 중국 원료의약품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또한, 2023년에 이어 연속으로 멕시코에 A원료의약품을 신규로 완제 등록하면서 일본시장에 집중되어 있던 해외네트워크를 전세계로 확대하고 있습니다.(나) 인공지능(AI) 사업당사는 2024년 03월 28일 폴라리스오피스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어 그룹사의 인적 자원 및 AI 기술에 대한 협업을 지원받음으로서 AI 신약 등 제약 ㆍ바이오업에서 지속적으로 영향력을 넒히고 있는 AI를 통한 의료업계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합니다. 당사는 그룹 계열사간의 협업을 통하여 인공지능 기술를 당사의 주된 사업(원료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폴라리스AI파마는 지난 30년간 원료의약품 연구 개발 및 생산에서 쌓아왔던 노하우를 인공지능(AI)에게 학습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 개발 과정 및 생산을 혁신하고, 이를 넘어서 이렇게 학습된 AI 서비스 자체를 파는 AI 기업으로 진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계열회사인 폴라리스오피스와 협력하여 AI를 활용한 논문특허 분석 서비스 '제약 Ask-Doc'을 공동개발 중에 있습니다. 논문과 특허 분석은 연구 개발의 첫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국, 일본, 대만, 중국, 미국 등 각 국의 등록된 특허를 분석하여 제약 도메인에 특화된 물질 정보 검색, 화학식 이미지 분석, 특허 문서 내용 요약 및 번역 등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상기 주주총회의 제1호 의안인 '제2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은 당사 정관 및 상법, 관계법령에 따른 조건 충족시 이사회 승인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주총회의 보고사항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업연도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재무제표이므로 검토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가 반영된 재무제표는 추후 제출된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길 바라며 감사보고서 제출 시 상기 내용의 변동사항이 발생할 경우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로 정정공시가 갈음됩니다.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등 자세한 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을 통해서 제26기 정기주주총회 1주간 전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다. 개별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26(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25(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 (단위 : 원) |
과목 | 제 26(당)기말 | 제 25(전)기말 |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78,217,331,669 | 64,341,814,083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6,690,890,274 | 22,776,703,320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4,316,536,015 | 16,273,273,536 | ||
재고자산 | 16,920,016,021 | 20,338,354,099 | ||
기타유동자산 | 289,889,359 | 276,061,211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4,677,421,917 | ||
Ⅱ. 비유동자산 | 56,233,556,475 | 57,556,923,831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73,102,000 | 449,794,000 | ||
확정급여자산 | 666,339,405 | 119,787,109 | ||
관계기업투자주식 | 9,654,611,913 | 16,744,473,451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2,838,452,739 | 1,903,325,288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4,454,177,644 | 4,151,632,125 | ||
유형자산 | 30,006,717,064 | 30,591,541,827 | ||
무형자산 | 3,299,794,977 | 881,258,160 | ||
이연법인세자산 | 2,840,360,733 | 2,715,111,871 | ||
자산 총계 | 134,450,888,144 | 121,898,737,914 | ||
부채 | ||||
Ⅰ. 유동부채 | 4,717,114,055 | 4,870,727,309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4,022,360,585 | 4,125,735,835 | ||
금융리스부채(유동) | 175,923,868 | 435,875,022 | ||
기타유동부채 | 518,829,602 | 257,813,998 | ||
당기법인세부채 | - | 51,302,454 | ||
Ⅱ. 비유동부채 | 1,151,114,156 | 1,395,283,254 | ||
금융리스부채(비유동) | 587,727,410 | 793,640,612 | ||
기타장기급여부채 | 563,386,746 | 601,642,642 | ||
부채 총계 | 5,868,228,211 | 6,266,010,563 | ||
자본 | ||||
Ⅰ. 자본금 | 6,750,803,500 | 5,949,131,500 | ||
Ⅱ. 자본잉여금 | 39,839,377,481 | 30,491,270,425 | ||
Ⅲ. 자본조정 | (1,876,705,183) | (1,876,705,183) | ||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973,491,225) | (2,212,804,731) | ||
Ⅴ. 이익잉여금 | 85,842,675,360 | 83,281,835,340 | ||
자본 총계 | 128,582,659,933 | 115,632,727,351 | ||
부채와 자본 총계 | 134,450,888,144 | 121,898,737,914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26(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25(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 (단위 : 원) |
과목 | 제 26(당)기 | 제 25(전)기 | ||
---|---|---|---|---|
Ⅰ. 매출액 | 59,602,371,962 | 64,214,830,710 | ||
Ⅱ. 매출원가 | (48,328,411,392) | (49,917,940,652) | ||
Ⅲ. 매출총이익 | 11,273,960,570 | 14,296,890,058 | ||
판매비와관리비 | (11,098,001,944) | (8,953,083,044) | ||
Ⅳ. 영업이익 | 175,958,626 | 5,343,807,014 | ||
기타수익 | 2,091,735,495 | 487,506,542 | ||
기타비용 | (1,044,191,989) | (299,407,825) | ||
금융수익 | 2,336,555,038 | 867,585,713 | ||
금융원가 | (84,949,732) | (2,662,636,352) | ||
지분법손익 | 732,866,515 | 737,962,500 |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4,207,973,953 | 4,474,817,592 | ||
법인세비용 | (260,111,942) | (651,174,897) | ||
Ⅵ. 당기순이익 | 3,947,862,011 | 3,823,642,695 | ||
Ⅶ. 기타포괄손익 | 20,292,115 | (3,112,031,769)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20,292,115 | (3,112,031,769) | ||
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219,021,391) | (811,819,254)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 | 239,313,506 | (2,300,212,515) | ||
Ⅷ. 총포괄손익 | 3,968,154,126 | 711,610,926 | ||
Ⅸ.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 | 320 | 327 | ||
희석주당이익 | 320 | 327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자 본 변 동 표 |
|
제 26(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25(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총 계 |
---|---|---|---|---|---|---|
2023년 01월 01일(전기초) | 5,949,131,500 | 30,491,270,425 | (1,876,705,183) | 87,407,784 | 81,438,012,499 | 116,089,117,025 |
당기순이익 | - | - | - | - | 3,823,642,695 | 3,823,642,695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 | - | (2,300,212,515) | - | (2,300,212,515) |
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 | - | - | - | (811,819,254) | (811,819,254) |
총포괄이익 | - | - | - | (2,300,212,515) | 3,011,823,441 | 711,610,926 |
연차배당 | - | - | - | - | (1,168,000,600) | (1,168,000,600) |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 5,949,131,500 | 30,491,270,425 | (1,876,705,183) | (2,212,804,731) | 83,281,835,340 | 115,632,727,351 |
2024년 01월 01일(당기초) | 5,949,131,500 | 30,491,270,425 | (1,876,705,183) | (2,212,804,731) | 83,281,835,340 | 115,632,727,351 |
당기순이익 | - | - | - | - | 3,947,862,011 | 3,947,862,011 |
기타포괄손익: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 | - | 239,313,506 | - | 239,313,506 |
확정급여채무의 재측정요소 | - | - | - | - | (219,021,391) | (219,021,391) |
총포괄이익 | - | - | - | 239,313,506 | 3,728,840,620 | 3,968,154,126 |
유상증자 | 801,672,000 | 9,348,107,056 | - | - | - | 10,149,779,056 |
연차배당 | - | - | - | - | (1,168,000,600) | (1,168,000,600) |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 6,750,803,500 | 39,839,377,481 | (1,876,705,183) | (1,973,491,225) | 85,842,675,360 | 128,582,659,933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현 금 흐 름 표 |
|
제 26(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25(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 (단위 : 원) |
과 목 | 제 26(당)기 | 제 25(전)기 | ||
---|---|---|---|---|
I. 영업활동현금흐름 | 7,931,451,702 | 4,788,691,325 | ||
1. 당기순이익 | 3,947,862,011 | 3,823,642,695 | ||
2. 비현금조정 | 2,232,124,463 | 3,980,372,366 | ||
3. 운전자본의 변동 | 2,193,490,119 | (2,408,128,956) | ||
4. 법인세의 납부 | (442,024,891) | (607,194,780) | ||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 7,442,244,547 | (11,079,477,950) | ||
1. 투자활동으로인한 현금유입액 | 15,009,036,746 | 14,063,706,291 | ||
이자의 수취 | 1,185,447,965 | 736,633,026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6,379,413,673 | 13,312,527,811 | ||
유형자산의 처분 | 13,818,182 | 14,545,454 | ||
보증금의 감소 | 692,000 | - | ||
무형자산의 처분 | 28,314,000 | -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986,923,965 | - | ||
주임종장기대여금의 감소 | 93,650,000 | -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처분 | 6,320,776,961 |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7,566,792,199) | (25,143,184,241)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 | 19,061,204,659 | ||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 - | 5,000,0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2,890,576,539 | 1,021,979,582 | ||
무형자산의 취득 | 2,558,565,660 | - | ||
주임종장기대여금의 증가 | 722,500,000 | - | ||
보증금의 증가 | 1,395,150,000 | 60,000,000 | ||
Ⅲ. 재무활동현금흐름 | 8,535,000,097 | (1,521,008,191)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0,149,779,056 | - | ||
유상증자 | 10,149,779,056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614,778,959) | (1,521,008,191) | ||
리스부채의 상환 | 446,778,359 | 353,007,591 | ||
배당금의 지급 | 1,168,000,600 | 1,168,000,600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23,908,696,346 | (7,811,794,816) |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22,776,703,320 | 30,589,771,475 | ||
Ⅵ. 환율변동효과 | 5,490,608 | (1,273,339) | ||
Ⅶ.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46,690,890,274 | 22,776,703,320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
제 26(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25(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 (단위: 원) |
과 목 | 제 26(당)기 | 제 25(전)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84,415,852,362 | 81,972,012,342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80,687,011,742 | 78,960,188,901 |
2. 당기순이익 | 3,947,862,011 | 3,823,642,695 |
3.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19,021,391) | (811,819,254)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 1,285,000,600 |
1. 이익준비금 | - | 117,000,000 |
2.현금배당금 | - | 1,168,000,600 |
보통주배당금(율) |
-원(-%) | 100원(20.00%)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84,415,852,362 | 80,687,011,742 |
상기 이익잉여금처분의 당기 처분 예정일은 2025년 03월 20일이며, 전기 처분 확정일은 2024년 03월 28일입니다.-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별도재무제표의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4,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8 (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051백만원 |
최고한도액 | 4,000백만원 |
주1) 상기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은 전기 중 퇴직한 등기이사의 보수를 포함한 금액입니다.주2) 상기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중 3,850백만원은 당사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거하여 집행 완료된 퇴직금이며, 동 규정은 상법 제388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친 규정임에 따라 해당 퇴직금은 상기 이사보수한도의 적용을 받지 않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3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9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주) 상기 인원수에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년도에 퇴임한 감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가. 의안 제목
임원퇴직금 지급 규정 개정의 건
나. 의안의 요지
[임원퇴직금 지급 규정]
현 행 | 개 정 | 비 고 |
---|---|---|
제1조 (목적) 본 규정은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의 임원 퇴직금 지급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제1조 (목적) 본 규정은 주식회사 폴라리스에이아이파마 (이하 '회사’라고 한다.) 의 정관 제40조에서 정하는 임원 에 대한 퇴직금 지급에 관한 기준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 |
제3조 (적용원칙) ① (생략) ② 임원이 본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퇴직한 경우 이사 회의 결의로써 본 규정에 의한 퇴직금의 지급을 유 보할 수 있다. ③ (신설) |
제3조 (적용원칙) ① (현행과 동일) ② 임원이 본인의 귀책사유로 인하여 주주총회의 해임 결의 또는 법원의 해임 판결을 받아 퇴임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써 본 규정에 의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임원이 업무와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거나 회사의 명예나 신용을 훼손하거나 손실을 초래하는 귀책사 유로 인하여 해임, 권고사직 또는 징계해고 상당의 결정통보를 받은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결의로써 관련법령이 규정하는 범위내에서 퇴직금을 감액 또는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
- |
제4조 ( 지급사유 ) 임원에 대한 퇴직금은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하였을 때 지급한다. ① 임기만료 퇴임 ② 사임 ③ 재임 중 사망 ④ 기타 이에 준하는 사유로 면직할 경우 |
제4조 ( 퇴직시기 ) 임원에 대한 퇴직금의 지급은 법인세법 및 관계법령에 따른 임원이 현실적으로 퇴직한 때로 한다. 단, 관계회사로 전출하는 경우에도 퇴직으로 간주한다. |
- |
제6조 ( 퇴직금 지급 ) ① (생략) ② 제4조의 퇴직금 지급사유가 발생하였을 때에서 제2 조 ②항의 평균임금에 아래에서 정한 임원의 퇴직금을 지급률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퇴직금으로 지급한다. 이 때 2019년 12월 31일까지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③ (생략) ④ (신설) |
제6조 ( 퇴직금 산출 및 운영방법 ) ① (현행과 동일) ② 제4조의 퇴직금 지급사유가 발생하였을 때에서 제2 조 ②항의 평균임금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에 아래지급률을 곱하여 산출한 금액을 퇴직금으로 지급한 다. 이 때 2019년 12월 31일까지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③ (현행과 동일) ④ 임원이 연임되었을 경우에는 연임 시 퇴직금 지급을 하지 않고, 현실적으로 퇴직한 때를 기준으로 퇴직금 을 계산 및 지급한다. |
- |
제7조 (특별공로금) 재임 중 특별한 공로가 있는 임원에 대하여는 제6조의②항에서 지급하기로 한 퇴직금 외에 특별공로금을 주주총회 의 결의를 얻어 지급할 수 있다. |
제7조 (특별공로금) 재임 중 특별한 공로가 있는 임원에 대하여는 제6조의②항에서 지급하기로 한 퇴직금 외에 특별공로금을 이사회 의 결의를 얻어 지급할 수 있다. |
- |
부칙 (신설)
|
부칙 제1조(시행일) 본 규정은 2025년 3월 20일부터 시행하되 본 규정의 적용에 있어 그 기산일은 2025년 1월 1일로 한다.
제2조(종전규정의 적용) 본 규정의 시행일이 2025년 1월 1일로 됨에 따라 그 이전 기간에 대한 퇴직금의 지급은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
-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상법시행령」제31조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http://www.polarisaipharma.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