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대성창업투자(주)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2일
회 사 명 : 대성창업투자(주)
대 표 이 사 : 김 영 훈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강남구 역삼로 165 해성빌딩 4층
(전 화) 02-559-2900
(홈페이지)http://www.daesungpe.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본부장 (성 명) 김 대 현
(전 화) 02-559-290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8기 정기)

당사의 제38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3월 27일 (목)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165 해성빌딩 4층 대성창업투자(주)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38기(2024.1.1 ~ 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한국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Shadow Voting)제도가 폐지됨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6.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 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주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7. 기타사항 - 주주총회 개최 전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사오니 주주님들의 양해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 한 (출석률: 100%)
찬반 여부
1 2024.02.28 제37기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보고사항제37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및 평가보고신용정보관리·보호인 업무 수행 실적 보고 건 가결-- 찬성참석참석
2 2024.02.28 제3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가결가결 찬성찬성
3 2024.12.16 주주명부 폐쇄 및 기준일 설정의 건 가결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명, 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350,000(상근이사 포함) 2,400 2,4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은 일반적으로 고도의 기술성과 장래성은 있으나 자본과 경영기반이 취약한 기업에 대하여 성공여부가 매우 불확실한 사업 초기단계에서 높은 위험을 벤처기업과 공동으로 부담하면서 자금, 경영관리, 기술지도 등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하고 높은 자본이득(capital gain)을 얻고자 하는 금융활동을 말합니다. 벤처캐피탈은 성장잠재력이 있는 신생벤처기업을 투자대상으로 선정하여 벤처기업의 성장, 발전을 도모함으로써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고용창출을 유발함으로써 국민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6년 5월 중소기업창업지원법의 제정, 시행과 함께 본격적인 벤처캐피탈산업의 영역이 구축되었습니다. 벤처캐피탈 산업의 특징은 ①창업 및 성장 단계의 벤처기업에 투자 ②창업에서 성장, 발전 단계까지의 자금, 기술, 영업지원 경영지도 등 기업 활동 전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③벤처기업의 증권유통시장 상장을 통한 지분매각 방식으로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을 주요 업무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벤처, 창업기업의 경우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한국벤처캐피탈협회(KVCA)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신규로 결성된 조합은 총 286개로 전년대비 4개가 감소하였으며, 조합결성 규모는 전년대비 1조 460억원 감소한 5조 7,571억원입니다. 2024년도 12월 말 기준 운용중인 조합재원은 60조 7,088억원으로 2023년 총 56조 6,210억원 대비 4조 878억원 증가하였습니다. 2024년 신규결성된 투자조합 출자자 비중은 모태펀드가 22.4%로 가장 높고, 금융기관이 18.1%, 일반법인이 17.9%를 차지했습니다. 2024년 4분기 누적 벤처투자는 2,494개사, 6조 6,315억원이 투자되어 전년 동기 대비 22.9%가 증가되었습니다. (전년 동기 : 2,281개사, 5조 3,977억원)

2024년 업종별 신규투자(비중)는 ICT서비스가 2조 741억원(31.3%)으로 가장 많이 투자되었으며, 바이오/의료에 1조 695억원(16.1%), 전기/기계/장비에 8,829억원(13.3%) 투자되었습니다. 2024년 코스닥 IPO 업체는 111개사이며, 이중 벤처캐피탈로부터 투자를 받은 업체 수는 70개사로, 전체 IPO수의 63.1%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국내 벤처투자시장이 지금의 회복세를 더욱 가속화할 수 있도록 2025년 중기부 모태펀드 출자예산 전액(1조원)을 1월에 공고하여 마중물을 조기에 공급하고, 창업초기ㆍ지방 등 정책분야 펀드 출자 규모를 대폭 확대하는 등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3) 경기변동의 특성 벤처캐피탈의 생태계는 벤처펀드 결성 등의 재원 조성, 벤처기업 투자, IPO 및 M&A등을 통한 회수 총 3개의 기본 축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정부의 벤처재원 조성 정책 방향 및 업계 현황에 따른 투자 트렌드, 투자회수시장 활성화 등에서 경기변동의 영향을 다양하게 받습니다. 특히 회수시장의 경우 기업 공개를 통한 주식매각이익이 벤처캐피탈의 주요 수입원 중 하나인 관계로 국내 주식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 편입니다. (4) 경쟁요소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2024년도 12월 말 기준 창업투자회사는 총 249개 사이며, 신규창투사는 10개사가 등록되었습니다. 2017년도 창업투자회사의 자유로운 진입을 위해 자본금 요건이 기존 50억원에서 20억원으로 낮아졌으며, 벤처펀드를 운용하는 유한책임회사(LLC : Limited Liability Company) 설립이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창업투자회사와 경쟁하게 되었습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벤처캐피탈은 주로 투자재원 마련을 위해 투자조합을 결성하고, 해당 조합의 조합원으로부터 자금을 출자받아 투자금을 집행합니다. 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서 발간한 KVCA Year Book에 따른 조합원 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합원 구분

상세분류

분류기준

정책금융

모태펀드

한국모태펀드

성장금융

한국성장금융

기타

정부, 지자체, 기금(국가재정법 제 5조에 따른 정부기금 등 공적 기금), 산업은행, 기타모펀드

민간출자

금융기관 (산은 제외)

은행법에 따른 은행(산업은행 제외), 보험회사(보험업법에 따라 보험업을 영위), 금융투자업자(자본시장법 제6조 및 제8조에 따른 금융투자업에 영위하는 자

연금/공제회

국민연금, 기업연금 등, 관련법령에 따른 공제회

벤처캐피탈(VC)

창투사, 신기술사, LLC, 창업기획자 등 업무집행조합원

일반법인

영리 목적의 법인

기타단체

협회, 학교법인, 종교단체, 재단, 민간모펀드(ex:KIF투자조합 등)

개인

개인 및 특정금전신탁

외국인

외국소재 개인 및 법인

(6) 관련 법령 외 벤처캐피탈 관련 법령으로는 중소기업창업지원법,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 조치법, 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등이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벤처캐피탈의 도입초기였던 1987년에 설립되어 중소기업창업자 및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와 창업투자조합의 결성 및 업무의 집행 등을 주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2010년도 3월 당사의 사명을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로 변경하여 대성그룹 계열사로서의 브랜드를 대외에 확고히 구축하고 대성그룹과의 협업을 통한 시너지 창출로 부품소재, 에너지, 환경, ICT산업 및 문화콘텐츠 등에 특화된 창업투자회사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2015년 8월에는 본점소재지를 마포구 상암동에서 강남구 역삼로 165 해성빌딩(TIPS 타운)으로 이전하였습니다. 당사는 2024년 12월 말 기준 벤처투자조합 및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포함하여 총 3,726억원의 조합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해 당 사 항 없 음

(2) 시장점유율 등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전자공시에 집계되어있는 조합재원(벤처투자조합) 기준 상위 10개 창투사의 현황은 다음과 같으며, 당사는 50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전자공시 집계 기준에서 당사의 2024년 12월 말 조합재원은 3,306억원(농림수산식품 투자조합 포함 시 3,726억원)입니다.

구분

창업투자회사

조합재원 (단위: 억원)

1 한국투자파트너스 26,953
2 케이비인베스트먼트 23,299
3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20,630
4 아이엠엠인베스트먼트 14,372
5 신한벤처투자 14,042
6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13,907
7 인터베스트 12,640
8 우리벤처파트너스 12,571
9 디에스씨인베스트먼트 12,565
10 에스비브이에이 12,250

163,229

자료 : 2024년 12월말 기준,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전자공시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2006년부터 중소기업진흥공단으로부터 창업보육센터를 위탁운영받아 광주에 지점을 설치하고 창업보육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창업자 및 중소벤처기업의 육성이라는 창업투자회사의 설립 목적과 정부의 벤처육성정책에 부합하며, 지방의 중소기업에 실질적 혜택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지방의 우수 기업 발굴, 투자를 통해 투자 수익도 거둘 계획입니다.

또한 운용펀드 규모를 대형화함으로써 중장기적으로는 Venture Investment부터 Private Equity를 아우르는 다양한 Deal을 다루는 투자회사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당사는 적극적으로 신규 펀드결성을 추진하고, 우리나라의 신성장동력이 될 문화콘텐츠와 에너지, 바이오, 환경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여 국가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 당사는 우수 투자대상 업체의 발굴에 심혈을 기울이는 한편, 금년과 내년 중 기업공개(IPO)를 준비중인 기업들의 경영을 지원함으로써 적절한 투자회수를 추진하여 이익 창출에 힘쓰고자 합니다. 당사의 중요 자산인 전문인력의 육성을 더욱 강화하여 투자의 질을 한층 높이는 등 국제경쟁력을 갖춘 투자시스템을 갖추도록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서 2006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를 도입하여 운영해왔고, 2011년부터 K-IFRS(한국국제회계기준)를 전면적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스템적인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국내외에 당사의 회계 투명성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대성창투_조직도.jpg 대성창투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당사는 2024년 사업연도에 영업수익 200.9억원, 영업이익 102.4억원, 당기순이익 138.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전년 대비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 증가의 주 원인은 공정가치금융자산 처분이익 증가 및 조합 성과보수 증가, IFRS 9 공정가치평가에 따른 당기 지분법이익 증가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12월 말 기준 벤처투자조합 및 농림수산식품투자조합 포함하여 총 3,726억원의 조합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K-IFRS 기준에 따라 작성된 개별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개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재무상태표

제 38 (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37 (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38 (당) 기 제 37 (전) 기
자산
Ⅰ.유동자산 59,096,114,188 39,216,753,520
(1)당좌자산 59,096,114,188 39,216,753,520
1.현금및현금성자산 7,362,426,689 2,865,111,780
2.단기금융상품 47,930,494,784 14,386,103,142
3.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66,632,160 45,987,700
4.미수금 1,201,841,864 2,410,996,916
5.미수수익 2,530,426,844 2,552,806,832
6.선급비용 4,291,847 3,740,574
7.상각후원가금융자산 - 16,952,006,576
Ⅱ.창업투자자산 37,648,257,339 43,222,931,373
(1)투자실적자산 631,406,209 1,837,265,633
1.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631,406,209 1,837,265,633
(2)경영지원자산 37,016,851,130 41,385,665,740
1.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822,544,844 2,481,402,884
2.관계기업투자 34,194,306,286 38,904,262,856
Ⅲ.비유동자산 3,736,339,483 3,882,277,867
(1)유형자산 279,920,149 548,766,366
1.임차점포시설물 658,750,000 689,250,000
감가상각누계액 (658,743,000) (689,240,000)
2.차량운반구 296,706,629 327,542,639
감가상각누계액 (141,260,394) (126,599,530)
3.비품 260,577,235 257,077,235
감가상각누계액 (243,392,781) (231,111,382)
4.사용권자산 107,282,460 321,847,404
(2)무형자산 277,390,000 277,390,000
1.회원권 277,381,000 277,381,000
2.기타의무형자산 9,000 9,000
(3)기타비유동자산 3,179,029,334 3,056,121,501
1.보증금 2,009,220,229 2,026,912,599
2.이연법인세자산 1,169,809,105 1,029,208,902
자산총계 100,480,711,010 86,321,962,760
부채
Ⅰ.유동부채 1,693,668,672 1,190,935,080
1.미지급금 289,700,774 68,702,359
2.선수금 10,000,000 10,000,000
3.예수금 169,089,975 171,647,343
4.미지급비용 186,112,365 157,704,550
5.리스부채(유동) 69,021,804 132,166,653
6.예수보증금 49,300,100 126,331,200
7.당기법인세부채 920,443,654 524,382,975
Ⅱ.비유동부채 7,629,000 197,600,604
1.예수보증금 7,629,000 128,578,800
2.리스부채(비유동) - 69,021,804
부채총계 1,701,297,672 1,388,535,684
자본
Ⅰ.자본금 27,000,000,000 27,000,000,000
1.보통주자본금 27,000,000,000 27,000,000,000
Ⅱ.자본잉여금 23,549,950,347 23,549,950,347
1.주식발행초과금 22,183,305,319 22,183,305,319
2.기타자본잉여금 1,366,645,028 1,366,645,028
Ⅲ.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1.지분법자본변동 - -
Ⅳ.이익잉여금 48,229,462,991 34,383,476,729
1.법정적립금 4,327,858,654

4,327,858,654

2.임의적립금 8,961,000,000

8,961,000,000

3.미처분이익잉여금 34,940,604,337 21,094,618,075
자본총계 98,779,413,338 84,933,427,076
부채및자본총계 100,480,711,010 86,321,962,760

포괄손익계산서

제 3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38 (당) 기 제 37 (전) 기
Ⅰ.영업수익 20,088,466,445 12,363,265,555
(1)투자수익 64,184,376 841,976,100
1.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투자) - -
2.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투자) 50,797,836 824,419,017
3.투자주식배당금 13,386,540 17,557,083
(2)투자조합수익 13,467,952,487 8,781,825,816
1.조합관리보수 4,832,815,414 5,041,104,467
2.조합성과보수 3,428,353,831 169,330,212
3.조합지분법이익 5,206,783,242 3,571,391,137
(3)운용투자수익 4,048,845,353 901,687,570
1.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경영) 1,130,649,247 584,090,000
2.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경영) 2,918,196,106 317,597,570
(4)기타의영업수익 2,507,484,229 1,837,776,069
1.배당금수익 - 4,592,400
2.이자수익 1,964,151,489 1,204,924,566
3.창업보육센터위탁운영수익 460,318,280 432,550,893
4.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유동) 20,644,460 6,840,803
5.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유동) - 57,287,407
6.창업보육센터위탁사업수익 62,370,000 131,580,000
Ⅱ.영업비용 9,850,013,605 10,310,705,890
(1)투자비용 685,560,000 1,496,269,000
1.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투자) 685,560,000 1,496,269,000
(2)투자조합비용 1,092,332,617 2,011,747,446
1.조합출자금처분손실 - 236,282,962
2.조합지분법손실 1,092,332,617 1,775,464,484
(3)운용투자비용 654,236,557 147,480,200
1.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경영) 654,236,557 147,480,200
(4)기타의영업비용 20,348,941 69,150,000
1.위탁운영비용 20,348,941 69,150,000
2.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유동) - -
(5)일반관리비 7,397,535,490 6,586,059,244
Ⅲ.영업이익(손실) 10,238,452,840 2,052,559,665
Ⅳ.기타수익 4,674,341,167 480,573,200
1.이자수익 82,307,630 52,822,848
2.외화환산이익 2,555,235,209 85,674,938
3.외환차익 2,031,759,119 336,505,381
4.유형자산처분이익 4,199,000 4,048,000
5.잡이익 840,209 1,522,033
Ⅴ.기타비용 8,237,784 7,547,147
1.이자비용 8,233,347 7,310,503
2.유형자산처분손실 3,000 -
3.잡손실 1,437 236,644
Ⅵ.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4,904,556,223 2,525,585,718
Ⅶ.법인세비용 1,058,569,961 347,334,920
Ⅷ.당기순이익(손실) 13,845,986,262 2,178,250,798
Ⅸ. 후속적으로당기손익으로재분류되지않는포괄손익 - -
Ⅹ.후속적으로당기손익으로분류되는포괄손익 - -
지분법자본변동 - -
ⅩⅠ.기타포괄손익 - -
ⅩⅡ.총포괄손익(손실) 13,845,986,262 2,178,250,798
ⅩⅢ.주당손익
1.기본주당순손익(손실) 256 46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3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당기 전기
잉여금처분예정(확정)일 2025년 03월 27일 2024년 03월 29일
Ⅰ.미처분이익잉여금 34,940,604,337 21,094,618,075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1,094,618,075 18,916,367,277
당기순이익(손실) 13,845,986,262 2,178,250,798
Ⅱ.이익잉여금처분액 - -
이익준비금전입 - -
현금배당 - -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34,940,604,337 21,094,618,075

자본변동표

제 3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자 본잉여금 이 익잉여금 총 계
2023.01.01(전기초) 20,000,000,000 7,323,950,347 32,205,225,931 59,529,176,278
유상증자 7,000,000,000 16,226,000,000 - 23,226,000,000
당기순이익 - - 2,178,250,798 2,178,250,798
2023.12.31(전기말) 27,000,000,000 23,549,950,347 34,383,476,729 84,933,427,076
2024.01.01(당기초) 27,000,000,000 23,549,950,347 34,383,476,729 84,933,427,076
당기순이익 - - 13,845,986,262 13,845,986,262
2024.12.31(당기말) 27,000,000,000 23,549,950,347 48,229,462,991 98,779,413,338

현금흐름표

제 3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대성창업투자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38 (당) 기 제 37 (전) 기
Ⅰ.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18,772,145,666 (5,972,435,336)
1.영업에서창출된현금흐름 17,137,363,572 (6,180,605,422)
가.당기순이익 13,845,986,262 2,178,250,798
나.조정 (10,175,073,060) (2,492,786,641)
조합출자금처분손실 - 236,282,962
조합지분법손실 1,092,332,617 1,775,464,484
감가상각비 272,342,217 228,317,059
이자비용(기타) 8,233,347 7,310,503
유형자산처분손실 3,000 -
법인세비용 1,058,569,961 347,334,920
조합지분법이익 (5,206,783,242) (3,571,391,137)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투자) 685,560,000 1,496,269,0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투자) (50,797,836) (824,419,017)
배당금수익(투자) (13,386,540) (17,557,083)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경영) (1,130,649,247) (584,090,0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경영) 654,236,557 147,480,2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경영) (2,918,196,106) (317,597,57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유동) - (57,287,407)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유동) (20,644,460) (6,840,803)
배당금수익 - (4,592,400)
이자수익 (1,964,151,489) (1,204,924,566)
이자수익(기타) (82,307,630) (52,822,848)
외화환산이익 (2,555,235,209) (85,674,938)
유형자산처분이익 (4,199,000) (4,048,000)
다.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부채의변동 13,466,450,370 (5,866,069,579)
미수금의증가 1,198,395,358 (4,213,317)
미수수익의증가 (427,213,868) (265,809,968)
선급비용의감소(증가) (551,273) (513,505)
조합출자금의감소(증가) 8,824,407,195 (8,302,465,723)
미지급금의증가(감소) 220,998,415 196,494
예수금의증가(감소) (2,557,368) (44,890,955)
미지급비용의증가(감소) 28,407,815 (137,676,13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투자)의감소 550,797,836 2,529,635,88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경영)의감소 3,073,766,260 359,667,640
2.이자의수취 2,424,505,039 792,967,548
3.배당금수입 13,386,540 22,149,483
4.법인세부담액 (803,109,485) (606,946,945)
Ⅱ.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13,936,449,857) (18,095,137,09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유동)의감소 - 370,336,007
상각후원가금융자산의감소 16,952,006,576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80,521,410,722 94,682,897,748
유형자산의처분 4,200,000 4,050,000
상각후원가금융자산의증가 - (16,851,826,638)
단기금융상품의증가 (111,510,567,155) (96,066,133,737)
유형자산의취득 (3,500,000) (234,460,475)
Ⅲ.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338,380,900) 23,103,095,600
유상증자 - 23,226,000,000
예수보증금의증가 36,876,500 111,952,100
예수보증금의감소 (234,857,400) (94,456,500)
리스부채의감소 (140,400,000) (140,400,000)
Ⅳ.현금의증가(감소)(Ⅰ+Ⅱ+Ⅲ) 4,497,314,909 (964,476,831)
Ⅴ.기초의현금 2,865,111,780 3,829,588,611
Ⅵ.기말의현금 7,362,426,689 2,865,111,780

※※ 상기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3,500백만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216백만원
최고한도액 3,5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2백만원
최고한도액 100백만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19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상법시행령 제31조 4항 4호에 따른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일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 (http://www.daesungpe.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오니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기타사항 - 주주총회 개최 전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당사는 주주총회 분산프로그램에 따른 집중일을 피해 주주총회를 개최하려 노력하였으나 당사에서 운용중인 투자조합의 지분법평가 및 결산일정과 회계법인의 감사일정 등을 고려하여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일에 불가피하게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주주총회 개최예정일은 2025년 3월 27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