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7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5월 15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
대 표 이 사 : | 이윤태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 |
(전 화) 02-6924-3114 | |
(홈페이지) https://www.lxsemicon.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경담당 (성 명) 이혁주 |
(전 화) 02-6924-3114 | |
회사의 개요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 (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회사의 연혁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 (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자본금 변동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주식의 총수 등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정관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당사는 팹리스 기업으로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의 설계 및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기업입니다.
Display Panel 구동 부품 중 자사는 Driver-IC, Timing Controller(T-Con),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PMIC)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신규 성장동력으로 MCU, 전력반도체, 방열기판 사업을 추진하여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패널을 구동하는 Driver-IC, T-Con 등이며, 주요 제품인 Driver-IC는 당분기 매출액의 90.17%(전분기 90.2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당분기 기준 매출액의 99.56%(전분기 99.14%) 입니다.
당사는 고객사에서 제품의 종류 및 사양에 대한 요청에 부합하도록 반도체를 설계하며, 설계된 반도체는 생산능력과 기술력이 충분한 파운드리 및 조립/패키징 전문업체에 위탁을 통해 생산하여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2025년 3월 31일]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품목 | 제품 설명 | 주요제품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반도체 | System IC | 패널 구동 IC 외 | Driver - IC | 4,294 | 90.17 | 16,724 | 89.64 | 17,485 | 91.96 |
Driver - IC 외 | 468 | 9.83 | 1,932 | 10.36 | 1,529 | 8.04 | |||
합계 | 4,762 | 100.00 | 18,656 | 100.00 | 19,014 | 100.00 |
가. 주요 원재료
[기준일: 2025년 3월 31일] | (단위 : 억원) |
원재료명 | 매입액 | 주요매입처 |
WAFER 외 | 2,131 | TSMC, SK hynix system ic(Wuxi), 엘지이노텍㈜ 등 |
가공비 외 | 903 | 엘비세미콘㈜, Chipbond 등 |
당사는 반도체 제조공정을 외주위탁 가공하는 팹리스(Fabless) 업체로 Wafer 매입 비용은 경영실적에 중요한 요소이며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에 Wafer 단가 및 가격 변동 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생산능력 및 설비 당사는 생산설비가 없는 팹리스(Fabless) 기업으로 반도체 설계 이후의 제조 공정은 외부공정업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품 생산을 위한 별도의 생산 및 설비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생산 및 설비에 관한 내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다. 외주생산에 관한 사항 당사는 반도체 설계 이후의 제조 공정은 외부공정업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외주공정은 크게 파운드리(Wafer 위탁생산), OSAT(테스트 & 패키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당사가 활용하는 외주공정업체는 장기간 당사와 거래 관계가 있는 기업으로,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제품 제조가 가능한 기업을 선정하여 위탁운영하고 있습니다.
가. 매출실적
[기준일: 2025년 3월 31일]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
반도체 | 제품 및 기타 | System IC | 수출 | 4,741 | 18,445 | 18,909 |
내수 | 21 | 211 | 105 | |||
합계 | 계 | 4,762 | 18,656 | 19,014 |
나. 판매 경로 및 방법, 전략, 주요 매출처 (1) 판매 및 양산 지원 조직 당사는 당분기말 현재 전략마케팅부문 산하에 TV/IA영업담당(TV/IT/AUTO)과 Mobile영업담당으로 구성된 영업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영업조직에서 국내외 판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2) 판매 경로 당사는 국내외 매출 모두 거래처 주문 시 제조 및 판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당사는 고객사의 요청에 맞춰 개발 단계에서부터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사양 및 특성에 맞게 제품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외주업체에서 생산하여 고객사로 납품되고 있습니다.
구분 | 판매 경로 |
국내매출 | 거래처 주문→㈜LX세미콘(외주생산→출고→납품) |
국외매출 |
주) 국내매출은 대한민국 내에서 판매되는 매출입니다. (3) 판매 전략 당사는 고객 기반 강화 및 신규 고객 확대를 위해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과 아울러 차별화된 고객지원을 통하여 시장 우위를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최적의 솔루션 제품을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장 지위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 주요 매출처 단일 외부고객으로부터의 매출액이 당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고객은 2개사(社)로 당분기와 전분기의 매출액은 각각 2,707억원(전분기 2,673억원), 1,487억원(전분기 1,237억원)입니다. 다. 수주 상황 당사가 생산하는 디스플레이용 구동칩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주요 패널업체 구매정책의 특성상 중장기적인 수주계약이 아닌 통상 10주 정도 주기로 필요한 물량의 발주가 이루어지며 수시로 추가 물량이 발주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노출되어 있는 위험에 대한 정보와 연결실체의 목표, 정책, 위험 평가 및 관리 절차 그리고 자본관리에 대해서는 주석사항에 공시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계량적 정보에 대해서도 본 연결재무제표 전반에 걸쳐서 공시되어 있습니다.
가. 신용위험관리 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 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연결실체가 재무손실을 입을 위험을 의미하며 주로 거래처에 대한 매출채권과 투자자산에서 발생합니다.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신용위험 노출 및 거래처의 신용등급을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신용등급이 높은 은행들에 대해서만 거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탁예금 등 신용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예금은 담당 임원의 승인을 득한 후에 신규 거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정도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그리고 기타채권을 포함해 최대 9,629억원 입니다.
나. 유동성 위험관리 회사에 있어서 적정 유동성 유지 및 관리는 경영상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당사는 현재 무차입 경영을 유지하고 있으며 적정한 현금 수준도 확보되어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필요 현금 수준 추정 및 수입, 지출 관리 등을 통하여 적정 유동성 유지 및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유동성위험에 대비하여 항상 조기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금융시장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으며 풍부한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금융기관으로부터 추가적인 차입한도 확보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다. 시장위험관리 시장위험이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1) 환위험
연결실체는 기능통화인 원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영업수익 및 영업비용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미국 달러(USD) 입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주된 통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USD | USD | |
외화자산 | 316,778.1 | 351,911.7 |
외화부채 | 160,121.4 | 153,316.7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외화에 대한 원화 환율변동이 손익(법인세반영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5% 변동시) | (5% 변동시) | |
USD | ±453.7 | ± 210.6 |
(2) 이자율위험 연결실체는 고정이자율 금융상품을 당기손익인식금융상품으로 처리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결실체의 수익 및 영업 현금흐름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적입니다.
라. 자본위험관리 연결실체의 자본관리는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을 유지하는 한편, 자본조달비용을 최소화하여 주주이익을 극대화하며 적정한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부채비율을 기초로 자본을 관리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재무상태표상 총부채를 자본으로 나누어 산출됩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46.6%의 적절한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 파생상품 거래 현황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화 자산의 공정가치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일부 외화 매출채권에 대하여 통화선도(Currency Forward) 계약을 체결하여 헷지하고 있습니다.2025년 1분기말 현재 당사는 미달러화(USD) 매출채권에 대하여 위험 회피 목적으로 통화선도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관련 자산ㆍ부채 장부금액 및 평가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계약처 | 계약금액(단위: 백만) | 계약환율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 만기일 | 계정과목 | 장부금액 | |
---|---|---|---|---|---|---|---|---|
자산 | 부채 | |||||||
통화선도 | 신한은행 외 1 | USD 113 | 1,420.82~1,461.25 | 2024.12.19 ~ 2025.03.25 | 2025.04.07 ~ 2025.08.07 | 기타금융자산/부채 | 12,379,399 | 2,319,726,537 |
합계 | 12,379,399 | 2,319,726,537 |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계정 | 장부금액 | 가치변동 |
---|---|---|---|
통화선도 | 매출채권 | 165,730,105,877 | 2,028,890,347 |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 원) |
구 분 | 파생상품가치변동 | 당기손익 인식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
통화선도 | (2,028,890,347) | 파생상품평가이익/손실 | 0 |
주) 해당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에서 발생한 손익은 위험회피대상 자산에서 발생한 손익과 위험회피회계 적용 범위 내에서 상쇄됩니다.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담당 조직
2) 연구개발 비용
(단위 : 억원) |
과 목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
연구개발비용 총계 | 537 | 2,317 | 2,198 | |
(정부보조금) | 0 | - | - | |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 537 | 2,317 | 2,198 | |
회계처리 | 판매비와 관리비 | 537 | 2,317 | 2,198 |
제조원가 | - |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11.3 | 12.4 | 11.6 |
주) 매출액비율은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 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3) 연구개발 실적 당사는 디스플레이용 부품 전문 회사로 노트북, 모니터, 태블릿 PC와 같은 IT용 부품부터 TV, 모바일 기기용 부품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제품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제품은 Driver-IC(D-IC), Timing Controller(T-CON),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PMIC)이며 Mobile향 P-OLED Display Driver IC(DDI), Touch Controller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매출성장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이외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영역으로의 기술력 확장을 통해 가전 및 전장용 시스템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가.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연결실체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5년 3월 31일 기준 누적으로 국내특허 1,355건, 해외특허 2,375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취득일 | 내용 | 근거법령 | 취득소요인력 / 기간 | 상용화 여부 |
특허권 | 2022.05.02 | 디스플레이, 터치 동시 구동에 대한 특허로 35년 6월 4일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5명 / 6년 9개월 | 상용화 단계 |
2021.09.21 | 이미지 인코딩 및 디코딩 알고리즘에 대한 특허로 37년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4년 3개월 | 상용화 예정 | |
2014.09.01 | 디스플레이 인트라 인터페이스 신호 복원에 대한 특허로 31년 11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2년 9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4.02.21 |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구동에 대한 특허로 31년 12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 2년 1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3.11.13 | 인셀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한 특허로 32년 12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11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1.05.23 | 디스플레이 구동부 모니터링에 대한 특허로 29년 3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2년 2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0.10.01 | 디스플레이 인트라 인터페이스 신호 전송에 대한 특허로 28년 10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2년 | 상용화 단계 |
연결실체는 상기의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TV, 모바일, IT 디스플레이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 사업 제품이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외에 Auto/가전용 MCU 등 관련 특허들은 디스플레이 외 신사업 진출 시 사업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코덱 특허 개발 중으로, 향후 표준특허 평가를 통해 수익화가 가능합니다.
나. 시스템반도체(System IC) 부문
(1) 산업의 특성 시스템반도체는 연산/제어 등 정보처리 기능을 하는 반도체로 가전, 모바일, 통신, 자동차 등 용도별로 특화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다품종 맞춤형 시장으로 수천여 종의 다양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설계와 생산이 분업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칩 구조가 복잡하여 우수 설계인력과 기술력이 요구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제품인 Display Driver IC(DDI)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입되는 핵심 부품으로 당사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업황에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은 LCD 패널에서 OLED 패널로 트렌드가 전환되고 있습니다. OLED에는 LCD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되며, 더 많은 부품의 투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전환이 이행되면 DDI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IT분야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제품을 시작으로 현재 TV, IT, Mobile 관련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규모 및 성장성
당사의 주요 제품인 DDI 시장의 경우, 중장기 패널 Form Factor 변화 등에 의한 신규 수요의 창출을 통한 점진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DDI 시장 규모]
(단위: 십억달러) | 2022 | 2023 | 2024 | 2025(E) | 2026(E) | 2027(E) | 2028(E) |
DDI | 10.3 | 8.8 | 8.6 | 8.8 | 8.9 | 8.9 | 9.1 |
출처: 자사 추정 당사의 전방 산업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중대형(TV/ IT/ 자동차) 패널은 고해상도(8K) LCD 및 OLED 등의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 확대로 질적인 성장과 함께 중국 패널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규모의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소형(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패널은 애플의 첫 P-OLED 폰 출시('17년)를 기점으로 중국 패널업체들의 P-OLED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어, 향후 P-OLED 제품 중심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중국 패널업체들의 급격한 성장과 패널의 세대 전환 추세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간 패널 판매 수량]
(Unit : M units) | 2022 | 2023 | 2024 | 2025(E) | 2026(E) | 2027(E) | 2028(E) |
TV | 261.9 | 241.2 | 242.5 | 237.2 | 241.5 | 243.0 | 244.7 |
Monitor | 159.3 | 149.1 | 152.6 | 148.3 | 151.3 | 152.9 | 154.3 |
Notebook | 217.2 | 189.1 | 195.7 | 197.7 | 198.3 | 204.4 | 208.6 |
Tablet | 256.4 | 244.4 | 255.5 | 263.4 | 265.5 | 264.6 | 270.1 |
Auto | 192.9 | 205.1 | 210.3 | 219.0 | 229.7 | 237.0 | 244.3 |
Large Panel Total | 1,087.6 | 1,028.7 | 1,056.5 | 1,065.6 | 1,086.3 | 1,101.9 | 1,122.0 |
Smartphone | 1,382.9 | 1,266.9 | 1,295.0 | 1,324.6 | 1,341.3 | 1,351.0 | 1,364.6 |
Smartwatch | 214.1 | 223.1 | 220.0 | 229.8 | 237.6 | 244.0 | 248.8 |
VR / AR | 12.8 | 10.7 | 9.8 | 9.8 | 12.5 | 15.7 | 21.9 |
Small Panel Total | 1,609.8 | 1,500.8 | 1,524.9 | 1,564.1 | 1,591.3 | 1,610.7 | 1,635.4 |
출처: 자사 추정
① 중대형(TV/ IT/ 자동차) Display IC
LCD TV용 Display IC 시장은 UHD 패널 비중 확대에 따른 패널당 소요 IC 개수 증가로 성장 중에 있습니다. 2025년 UHD TV 보급률은 글로벌 평균 약 70%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OLED TV용 Display IC 시장은 현재 OLED TV 패널을 양산 중인 업체가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밖에 없기 때문에 시장 규모는 작으나, 중국 패널업체들이 막대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하고 있어 향후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OLED TV용 Display IC는 LCD 제품과는 달리 구동 기술 외에 패널 보상 기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경쟁력을 보유한 업체들이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IT 제품은 일부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상도를 높이고 터치패널을 활용하는 등 새로운 기능을 더하는 방식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패널사들의 8.6세대 OLED 팹 투자와 함께 OLED로의 시장 전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4년 애플의 첫 OLED 태블릿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IT용 OLED 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소형(스마트폰/ 스마트워치) Display IC
스마트폰 시장은 성숙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스마트폰 패널 시장규모는 2022년은 약 14억 대 수준이었으나, 2023년 13억대 수준으로 감소하며 2028년까지 약 13억 대 수준의 시장규모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진국 스마트폰 시장의 경우 이머징 시장 대비 성장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머징 시장의 성장이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주요 글로벌 세트 업체들은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해 적극적인 Form Factor 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P-OLED 패널을 탑재한 스마트폰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패널업체와 중국 패널업체 간 기술격차로 P-OLED 시장은 국내 패널업체가 선도하고 있지만, 중국 패널업체들의 Capacity 확장에 따라 P-OLED 패널 시장 내 중국 업체의 점유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마트워치 시장은 2020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한 후, 매년 높은 수준의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IoT 등 여러 기기와 연계된 서비스를 통해 관련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경쟁요소
Display 부품 시장의 핵심 경쟁요소는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기술경쟁력을 강화함은 물론 Display의 발전과 더불어 초기 단계에서의 시장 진입입니다. 신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점유율을 확보함으로써 기술경쟁력을 통한 차별화를 통해 진입 장벽을 만드는 것입니다.
Display 산업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 특성과 규모의 경제가 동시에 필요한 분야로 기술적 완성도가 높아질수록 진입 장벽도 함께 높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과거 패널 생산 업체들 사이 치열한 경쟁을 통해 공급능력이 향상하였고 수요의 증가와 맞물려 Display 산업 전반에 걸쳐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장의 높은 성숙도와 제한적 수요로 인해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었으며 경기변동에 민감도가 높아 교체 수요가 크게 늘지 않는 모습입니다. 당사는 LCD에서 OLED로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Display 산업 전환에 경쟁사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시장점유율
시장 조사기관인 Omdia의 자료(Display Driver IC Market, 2025.04)에 따르면, 당사는 글로벌 Display Driver IC 업체 기준 Top 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매출 규모 자체보다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회사의 경쟁우위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당사는 패널 및 세트 고객사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OLED/ P-OLED 등 프리미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Display 외에도 가전, 자동차, 배터리 등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 확장을 지속적으로 꾀하고 있습니다.
(5) 회사의 강점
당사는 Display 시스템 반도체 핵심 부품을 Total Solution으로 제공함은 물론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제품들을 국산화하여 국내 전방업체들의 안정적인 부품 조달과 가격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객사 맞춤형 프리미엄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의 시장 선도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방업체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상생전략은 당사의 큰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제품 개발부터 공급에 이르기까지 타 업체보다 시장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 대응력을 확보해 왔습니다. 이에 당사는 독자적인 설계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사 확보를 통해 고객 다변화를 이루어 나가고 있습니다. 다. 신규사업 관련 내용과 전망 당사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모터 구동용 반도체 등 다양한 자동차 분야 제품을 육성하고 있으며, 전기차 등에 쓰이는 고강도 및 높은 방열 성능을 지원하는 방열기판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방열기판은 전력반도체의 동작 수명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는 핵심 소재로, 전력소자의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해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기판을 통칭하며 절연성 세라믹(알루미나,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기판에 Cu(구리)를 접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열기판 시장은 친환경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시장과 함께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23년~'30년 CAGR 13% 성장이 예상됩니다.MCU는 국내 가전용을 중심으로 수요를 확보하여 외판시장 확대 진입을 목표로 사업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의 성장으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자동차 분야의 제품을 육성 중이며,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 및 차별화된 기술 확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업 동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당사의 제27기 1분기 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았습니다. 비교표시된 제26기, 제25기 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2025년 3월 31일 |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2월 31일 | |
[유동자산] | 1,223,888 | 1,124,302 | 902,886 |
ㆍ당좌자산 | 1,021,518 | 912,862 | 566,995 |
ㆍ재고자산 | 202,370 | 211,440 | 335,891 |
[비유동자산] | 367,842 | 375,500 | 302,179 |
ㆍ유형자산 | 152,762 | 148,750 | 125,940 |
ㆍ무형자산 | 83,851 | 84,392 | 73,937 |
ㆍ기타비유동자산 | 131,229 | 142,358 | 102,302 |
자산총계 | 1,591,730 | 1,499,802 | 1,205,065 |
[유동부채] | 433,471 | 351,838 | 207,337 |
[비유동부채] | 72,155 | 68,377 | 20,964 |
부채총계 | 505,626 | 420,215 | 228,301 |
[자본금] | 8,132 | 8,132 | 8,132 |
[자본잉여금] | 76,343 | 76,343 | 76,343 |
[기타자본항목] | 352 | 152 | (1,073) |
[이익잉여금] | 1,001,277 | 994,960 | 893,362 |
[비지배지분] | - | - | - |
자본총계 | 1,086,104 | 1,079,587 | 976,764 |
(2025년 1월 1일~ 2025년 3월 31일) | (2024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 |
매출액 | 476,233 | 1,865,622 | 1,901,445 |
영업이익 | 59,691 | 167,077 | 129,036 |
분기순이익 | 45,357 | 130,509 | 101,204 |
ㆍ지배기업소유주지분 | 45,357 | 130,509 | 101,204 |
ㆍ비지배지분 | - | - | - |
기본주당순이익(원) | 2,789 | 8,024 | 6,222 |
희석주당순이익(원) | 2,789 | 8,024 | 6,222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4개 | 4개 | 3개 |
나. 요약재무정보 당사의 제27기 1분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았습니다. 비교표시된 제26기, 제25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2025년 3월 31일 |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2월 31일 | |
[유동자산] | 1,215,072 | 1,115,610 | 897,568 |
ㆍ당좌자산 | 1,012,702 | 904,170 | 561,677 |
ㆍ재고자산 | 202,370 | 211,440 | 335,891 |
[비유동자산] | 362,679 | 369,576 | 298,121 |
ㆍ유형자산 | 147,747 | 143,762 | 122,829 |
ㆍ무형자산 | 83,033 | 83,524 | 73,795 |
ㆍ기타비유동자산 | 131,899 | 142,290 | 101,497 |
자산총계 | 1,577,751 | 1,485,186 | 1,195,688 |
[유동부채] | 432,524 | 350,524 | 208,177 |
[비유동부채] | 70,688 | 66,787 | 19,894 |
부채총계 | 503,212 | 417,311 | 228,071 |
[자본금] | 8,132 | 8,132 | 8,132 |
[자본잉여금] | 76,343 | 76,343 | 76,343 |
[기타자본항목] | (381) | (381) | (381) |
[이익잉여금] | 990,445 | 983,781 | 883,523 |
자본총계 | 1,074,539 | 1,067,875 | 967,617 |
종속ㆍ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025년 1월 1일~ 2025년 3월 31일) | (2024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월 1일~ 2023년 12월 31일) | |
매출액 | 476,233 | 1,865,622 | 1,901,445 |
영업이익 | 58,934 | 164,117 | 126,624 |
분기순이익 | 45,704 | 129,169 | 97,316 |
기본주당순이익(원) | 2,810 | 7,942 | 5,983 |
희석주당순이익(원) | 2,810 | 7,942 | 5,983 |
제 27 기 1분기말 |
제 26 기말 |
|
---|---|---|
제 27 기 1분기 |
제 26 기 1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 27 기 1분기 |
제 26 기 1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부분 합계 |
|||
제 27 기 1분기 |
제 26 기 1분기 |
|
---|---|---|
주식회사 LX세미콘(이하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이하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을 일괄하여 "연결실체")의 일반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회사의 개요 (1) 지배기업의 개요 주식회사 LX세미콘은 FPD(Flat Panel Display) 반도체 IC 설계 및 제조를 목적으로 1999년 11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은 2001년 10월 19일에 한국산업기술진흥회로부터 기술개발촉진법 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1항에 의해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를 받았으며 2011년 10월 23일에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배기업은 2010년 6월 8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이후, 2021년 7월 1일 회사명을 주식회사 실리콘웍스에서 주식회사 LX세미콘으로 변경하였으며, 2022년 11월 3일자로 코스닥시장에서 상장 폐지하고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자본금은 8,132,150천원(발행주식수 16,264,300주, 수권주식수 50,000,000주)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 개요
당분기 중 신규로 연결에 포함되거나 연결에서 제외된 기업은 없습니다. (3)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요약 재무상태표와 각 회계기간의 요약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분기연결재무제표 작성기준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가 속하는 기간의 일부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를 적용하여 작성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요약중간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2024년 12월 31일자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를 함께 이용하여야 합니다. 중간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준서나 해석서의 도입과 관련된 영향 및 아래 3)에 기재된 내용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1) 당분기부터 새로 도입된 기준서 및 해석서와 그로 인한 회계정책 변경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으로 인한 연결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으로 인한 연결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3) 법인세비용 :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연결실체의 직전연도 전체 회계기간을 기준으로 한 연결매출액은 필라2 법인세의 매출액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당사는 필라2 적용제외조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필라2가 연결실체의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당분기에 인식한 당기법인세는 없습니다. |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경영진은 연결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판단을 하여야 하며(추정과 관련된 사항은 제외), 다른 자료로부터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을 하여야 합니다. 추정치와 관련 가정은 과거 경험 및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타 요인에 근거합니다. 또한 실제 결과는 이러한 추정치들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중간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연결실체의 회계정책의 적용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과 추정불확실성의 주요원천에 대한 내용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
주요고객A |
주요고객B |
|
---|---|---|
주요고객A |
주요고객B |
|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매출원가 |
|
---|---|
매출원가 |
|
---|---|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텔레칩스의 지분율은 유효지분율이며 보유한 지분율은 20% 미만이지만,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계약적 권리에 의하여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② 전분기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기타충당부채 |
설정(환입) |
지급 |
환율차이 |
기말 기타충당부채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기초 기타충당부채 |
설정(환입) |
지급 |
환율차이 |
기말 기타충당부채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초 부채 |
재무현금흐름,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그 밖의 변동,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말 부채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초 부채 |
재무현금흐름,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그 밖의 변동,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말 부채 |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특수관계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업비용 |
||||
---|---|---|---|---|
영업비용 |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거래상대방 |
|
서울보증보험 |
|
약정 금액 |
외화약정 금액 [USD, 일] |
||||||
---|---|---|---|---|---|---|---|
출자약정금액 |
출자금액 |
추가출자예정금액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파생상품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상품 |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상품 |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제 27 기 1분기말 |
제 26 기말 |
|
---|---|---|
제 27 기 1분기 |
제 26 기 1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 27 기 1분기 |
제 26 기 1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27 기 1분기 |
제 26 기 1분기 |
|
---|---|---|
주식회사 LX세미콘(이하 "당사")은 FPD(Flat Panel Display) 반도체 IC 설계 및 제조를 목적으로 1999년 11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1년 10월 19일에 한국산업기술진흥회로부터 기술개발촉진법 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1항에 의해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를 받았으며 2011년 10월 23일에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당사는 2010년 6월 8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이후, 2021년 7월 1일 회사명을 주식회사 실리콘웍스에서 주식회사 LX세미콘으로 변경하였으며, 2022년 11월 3일자로 코스닥시장에서 상장 폐지하고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자본금은 8,132,150천원(발행주식수 16,264,300주, 수권주식수 50,000,000주)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분기재무제표 작성기준 동 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가 속하는 기간의 일부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를 적용하여 작성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이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동 요약중간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2024년 12월 31일자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별도재무제표를 함께 이용하여야 합니다. 중간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준서나 해석서의 도입과 관련된 영향 및 아래 3)에 기재된 내용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1) 당분기부터 새로 도입된 기준서 및 해석서와 그로 인한 회계정책 변경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3) 법인세비용 :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당사의 직전연도 전체 회계기간을 기준으로 한 연결매출액은 필라2 법인세의 매출액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당사는 필라2 적용제외조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필라2가당사의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당분기에 인식한 당기법인세는 없습니다. |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경영진은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판단을 하여야 하며(추정과 관련된 사항은 제외), 다른 자료로부터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을 하여야 합니다. 추정치와 관련 가정은 과거 경험 및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타 요인에 근거합니다. 또한 실제 결과는 이러한 추정치들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중간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당사의 회계정책의 적용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과 추정불확실성의 주요원천에 대한 내용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매출원가 |
|
---|---|
매출원가 |
|
---|---|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주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텔레칩스의 지분율은 유효지분율이며 보유한 지분율이 20%미만이지만,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계약적 권리에 의하여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기타충당부채 |
설정(환입) |
지급 |
기말 기타충당부채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기초 기타충당부채 |
설정(환입) |
지급 |
기말 기타충당부채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초 부채 |
재무현금흐름,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그 밖의 변동,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말 부채 |
||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초 부채 |
재무현금흐름,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그 밖의 변동,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증가(감소) |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기말 부채 |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특수관계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업수익 |
영업비용 |
배당금수익 |
||||
---|---|---|---|---|---|---|
영업수익 |
영업비용 |
배당금수익 |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거래상대방 |
|
서울보증보험 |
|
약정 금액 |
외화약정 금액 [USD, 일] |
||||||
---|---|---|---|---|---|---|---|
출자약정금액 |
출자금액 |
추가출자예정금액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파생상품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상품 |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상품 |
|||
---|---|---|---|
파생상품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배당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나. 채무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1)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2)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3)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4)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5)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6)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공시서류작성대상기간 중 증권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실적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연결)재무제표를 재작성한 경우 재작성사유, 내용 및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감사보고서상 강조사항 및 핵심감사사항, 계속기업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관련 사항이 있는 경우가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용
[기준일 : 2025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제27기1분기 | 매출채권 | 439,363 | - | 0.0 |
기타채권 | 7,966 | - | 0.0 | |
비유동기타채권 | 9,221 | - | 0.0 | |
합계 | 456,550 | - | 0.0 | |
제26기 | 매출채권 | 448,799 | - | 0.0 |
기타채권 | 5,316 | - | 0.0 | |
비유동기타채권 | 9,483 | - | 0.0 | |
합계 | 463,598 | - | 0.0 | |
제25기 | 매출채권 | 204,969 | - | 0.0 |
기타채권 | 3,419 | - | 0.0 | |
비유동기타채권 | 12,769 | - | 0.0 | |
합계 | 221,157 | - | 0.0 |
주)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대손충당금 설정내역이 없습니다.
(2)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기중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1. 기초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 | - | -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 |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 | - | -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 | -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 | - | -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 합계 | - | - | - |
주)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대손충당금 변동내역이 없습니다. (3) 매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매출채권 등의 잔액에 대하여 개별적 분석 방법과 연령분석을 병행하여 대손 추정된 금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 채권연령분석 결과 1년이상 채권은 100% 대손 설정하였습니다. - 과거 3개년 평균채권잔액에 대한 실제 대손 발생액을 근거로 대손경험률을 산정하여 설정하였습니다.
(4) 당분기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기준일 : 2025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채권 발생 경과 기간 | 합계 | |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 ||
매출채권 | 439,363 | - | 439,363 |
합계 | 439,363 | - | 439,363 |
구성비율(%) | 100.00 | - | 100.00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기준일 : 2025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제27기 1분기 | 제26기 | 제25기 | 비고 |
System IC | 제품 | 75,925 | 69,071 | 102,921 | - |
상품 | 0 | 0 | 21 | - | |
재공품 | 126,445 | 142,369 | 232,949 | - | |
합 계 | 202,370 | 211,440 | 335,891 | -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12.7 | 14.1 | 27.9 | -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6.1 | 4.6 | 3.3 | - |
주) 당사의 사업은 System IC 단일사업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재고자산을 사업부문별로 구분하여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① 실사 일자 6월말 및 12월말 기준으로 매년 2회 재고자산 실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4년(제26기) 재고자산 실사일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4년 상반기 재고자산 실사일자: 2024년 6월 26일 - 2024년 하반기 재고자산 실사일자: 2024년 12월 12일, 26일 ② 실사 방법 전수조사 실시를 기본으로 하며, 일부 중요성이 작은 품목의 경우 Sample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은 재고실사를 입회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 합니다. ③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재고자산의 진부화 평가로 인한 손실을 판단하고 있으며, 2025년 3월 31일 기준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계정과목 | 취득원가 | 보유금액 | 평가충당금 | 당분기말잔액 |
재고자산 | 251,710 | 251,710 | -49,340 | 202,370 |
라. 수주계약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계약수익금액이 직전사업연도 재무제표상 매출액의 5% 이상인 계약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 | ||||
기타금융자산 | 6,000,000,000 | 6,000,000,000 |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 | ||||
매출채권 | 416,650,210,172 | (*2) | 423,875,255,010 | (*2) |
상각후원가 측정 항목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55,908,365,160 | (*2) | 238,812,527,045 | (*2) |
단기금융상품 | 150,439,950,000 | (*2) | 160,000,000,000 | (*2) |
매출채권 | 22,712,364,374 | (*2) | 24,923,491,653 | (*2) |
기타채권 | 17,186,887,923 | (*2) | 14,798,939,241 | (*2) |
소 계 | 546,247,567,457 | 438,534,957,939 |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
기타금융자산 | 12,379,399 | 12,379,399 | - | - |
합 계 | 968,910,157,028 | 862,410,212,949 | ||
금융부채: | ||||
상각후원가 측정 항목 | ||||
매입채무 | 244,798,128,420 | (*2) | 153,443,980,008 | (*2) |
기타채무(*1) | 124,000,124,594 | (*2) | 106,685,420,663 | (*2) |
소 계 | 368,798,253,014 | 260,129,400,671 |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
기타금융부채 | 2,319,726,537 | 2,319,726,537 | 13,642,987,958 | 13,642,987,958 |
기타 | ||||
리스부채 | 40,948,543,998 | (*3) | 37,127,708,092 | (*3) |
합 계 | 412,066,523,549 | 310,900,096,721 |
(*1) 금융부채에 포함되지 않는 종업원 관련 채무 등은 제외되어 있습니다.
(*2)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 등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라.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마. 종속회사 감사의견 모든 종속회사가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적정의견을 받았습니다.
바. 회계감사인의 변경
당사는 2020-2022년 지정감사 대상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감사위원회에서 삼일회계법인을 제25기-제27기 감사인으로 선임하였습니다.
사. 전ㆍ당기 재무제표 불일치 세부정보 및 의견불일치 조정협의회의 주요 협의내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전ㆍ 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전기 재무제표의 오류 여부 및 수정 등에 대한 사항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이사회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
실시여부 |
주1) 당사는 의결권대리행사권유제도를 실시하고 있으며, 위임방법에는 서면위임장을 직접 교부,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게시, 전자우편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습니다.주2) 집중투표제에 대해 상법 382조의2에 의거 발행주식총수의 3%에 해당하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가 집중투표의 방법으로 이사를 선임할 것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서면투표제에 관한 사항을 정관에정하고 있지 않으며, 이사회의 결의로 전자투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2021년 1월 27일에 제1차 이사회의 결의로 전자투표제 시행에 대해 승인받았습니다.
나. 소수주주권의 행사 공시대상기간 중 소수주주권이 행사된 경우가 없습니다. 다. 경영권 경쟁 공시대상기간 중 회사의 경영지배권에 관하여 경쟁이 있었던 경우가 없습니다. 라.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마. 주식사무
구분 | 내용 |
정관상신주인수권의 내용 |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65조의6의 규정에 의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일반 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 하는 경우 2.「상법」제542조의3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발행하는 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 배정하는 경우 4. 상법 제418조 제2항의 규정에 따라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5. 주권을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6. 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식 예탁증서(DR)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③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 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④ 제2항에 따라 주주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 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
결산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시기 | 매 사업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 폐쇄시기 | 매년 1월 1일 ∼ 1월 7일 (주주명부 폐쇄기준일: 매년 12월 31일) |
주권의 종류 |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10,000주권 (8권종) |
명의개서 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 /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금융로 40 부산국제금융센터(BIFC) / (Tel) 051-519-1500 |
공고방법 |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lxsemicon.com)에 한다.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특별시 내에서 발행하는 일간 매일경제신문에 한다. |
바.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 안건 | 주주제안안건 여부 | 주요논의내용 | 결의내용 |
제26기정기주주총회(2025.03.20) | 1. 제26기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이사 선임의 건 - 사외이사 김범3.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감사위원 김범4.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 | 재무제표 승인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보수한도 승인 | 가결가결가결가결 |
제25기정기주주총회(2024.03.21) | 1. 제25기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정관 변경 승인의 건3. 이사 선임의 건 3-1호 : 사내이사 이윤태 선임의 건 3-2호 : 기타비상무이사 노진서 선임의 건 3-3호 : 사외이사 한상범 선임의 건4.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 사외이사 김남수5.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 | 재무제표 승인배당절차 개선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보수한도 승인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제24기정기주주총회(2023.03.23) | 1. 제24기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정관 변경 승인의 건3. 이사 선임의 건 3-1호 : 사내이사 손보익 선임의 건 3-2호 : 사내이사 김훈 선임의 건 3-3호 : 사외이사 정성욱 선임의 건4.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사외이사 정성욱5.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해당사항 없음 | 재무제표 승인감사위원 선임결의요건 명시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등기이사 선임보수한도 승인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주) 상기 주주총회 진행과정에서 안건의 내용이 수정된 내역은 없습니다.
주주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임원의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주1) 미등기임원(나준호, 전현규)의 경우 우리사주(무상주) 배정분을 포함하였습니다.주2) 김훈 사내이사는 어드밴스드파워디바이스테크놀로지㈜의 이사직을 겸직하고 있습니다.주3) 나준호 부사장는 2025년 1월 1일자로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하였습니다. 주4) 윤호권 전무는 2025년 1월 1일자로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하였습니다.주5) 조장호 전무는 2025년 1월 1일자로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하였습니다.주6) 문용환 이사는 2025년 1월 1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주7) 박진우 이사는 2025년 1월 1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주8) 이종화 이사는 2025년 1월 1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9) 김범 이사는 2025년 3월 20일에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10) 위경우 이사는 2025년 3월 20일에 사외이사 임기가 만료되었습니다. 주11) 김언영 이사는 2025년 3월 31일에 퇴임하였습니다.주12) 황경하 이사는 2025년 3월 31일에 퇴임하였습니다. [임원의 겸직현황]
성명 | 직명 | 겸직현황 | 상근여부 |
노진서 | 기타비상무이사 | ㈜LX홀딩스 대표이사 | 상근 |
㈜LX하우시스 대표이사 | 상근 | ||
㈜LX엠엠에이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엠디아이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벤처스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글라스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나. 직원 등의 현황 직원 등의 현황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임원의 보수 등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제재현황 당사 또는 당사의 임직원이 공시대상기간에 회사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상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등 국내외 금융 및 조세 관련 법령을 위반하여 형사처벌 및 행정상의 조치를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한국거래소 등 금융감독당국으로부터 제재조치를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합병 등의 사후정보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녹색경영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계열회사 현황(상세)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타법인출자 현황(상세)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반기ㆍ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