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7 기)
사업연도 | 부터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5년 8월 14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
면제사유발생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
대 표 이 사 : | 이윤태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 |
(전 화) 02-6924-3114 | |
(홈페이지) https://www.lxsemicon.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경담당 (성 명) 이혁주 |
(전 화) 02-6924-3114 | |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비상장 | |||||
합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연결제외 |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는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이라 하며, 약칭으로 "주식회사 LX세미콘", 영문으로는 "LX Semicon Co., Ltd."로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당사는 1999년 11월 1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주 소 | : | (본사)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 |
전화번호 | : | 02-6924-3114 |
홈페이지 | : | https://www.lxsemicon.com |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반도체 설계 및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 기업으로 시스템반도체 설계,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신규 성장동력으로 MCU, 방열기판 사업을 추진하여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Ⅱ. 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회사는 최근 3년간 신용조회업이 아닌 등급 및 민평금리를 제시하는 국내외 신용평가업체로부터 신용등급을 의뢰하거나 부여받은 사항이 없습니다.
아.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주) 당사는 코스닥 시장(2010년 6월 8일 상장)에서 유가증권 시장으로 이전상장 하였습니다.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1999년 11월 11일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299 제일은행빌딩 4층2000년 12월 15일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229 세명회관빌딩 5층2005년 10월 04일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동 104-132011년 01월 31일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주) 경영진의 변동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Ⅷ.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최대주주의 변동 기존 최대주주였던 ㈜LG의 인적분할에 따라 최대주주가 ㈜LG에서 ㈜LX홀딩스로 변경되었으며, 최대주주 등의 변동에 관한 사항은 동 공시서류의『VII. 주주에 관한 사항.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라. 상호의 변경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변경 사유 |
2021.06.25 |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 주식회사 LX세미콘 | 지배구조 변경 및 반도체기업 이미지 제고 |
주1) 변경일자는 상호변경을 반영한 정관변경의 주주총회 승인일자입니다. 주2) 상호변경 효력 발생일자는 2021년 7월 1일입니다. 마. LX세미콘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 주요 연혁 (1) LX세미콘
일자 | 주 요 내 용 |
2021년 05월 | 최대주주 변경(㈜LG → ㈜LX홀딩스) |
2021년 06월 | 사명 변경(㈜실리콘웍스 → ㈜LX세미콘) |
2022년 08월 | 2022년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고용노동부) |
2022년 11월 | 유가증권시장 이전상장(코스닥 → 유가증권) |
2022년 12월 | 무역의 날 '10억불 수출의 탑' 수상(산업통상자원부) |
2022년 12월 | 가족친화 우수기업 '가족친화인증서' 획득(여성가족부) |
2023년 01월 |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AEO) 인증(관세청) |
2024년 03월 | 대표이사 변경(손보익 → 이윤태) |
2025년 04월 | 차량용 방열기판 양산 출하 |
(2) LX Semicon U.S.A., Inc
일자 | 주요내용 |
2021년 07월 | 사명 변경(SILICON WORKS, INC. → LX Semicon U.S.A., Inc) |
(3) LX Semicon China Co., Ltd.
일자 | 주 요 내 용 |
2021년 12월 | 사명 변경(Silicon Works China Co., Ltd. → LX Semicon China Co., Ltd.) |
(4) LX Semicon Japan Co., Ltd.
일자 | 주요내용 |
2021년 09월 | 법인설립(자본금 JPY 30,000,000) |
2022년 02월 | 유상증자(JPY 30,000,000 → JPY 60,000,000) |
2022년 05월 | 유상증자(JPY 60,000,000 → JPY 120,000,000) |
2022년 08월 | 사업장 이전(주소지 변경) |
(5) LX Semicon Taiwan Co., Ltd.
일자 | 주요내용 |
2024년 05월 | 법인설립(자본금 TWD 17,000,000) |
자본금 변동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발행주식의 총수는 보통주식 16,264,300주 입니다.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1. 감자 | |||||
2. 이익소각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4. 기타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
Ⅴ. 자기주식수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
Ⅶ. 자기주식 보유비율 |
주) 당사의 정관상 발행가능한 주식의 총수는 50,000,000주로 이 중 우선주식 발행한도는 7,000,000주 입니다.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현황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다. 자기주식 신탁계약 체결ㆍ해지 이행현황 자기주식 신탁계약 체결ㆍ해지 이행현황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라. 종류주식 발행현황 종류주식 발행현황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나. 사업목적 현황(1)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정관상 명시된 사업목적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사업목적 | 사업영위 여부 |
---|---|---|
(2) 사업목적 변경 내용
[내용]
구분 | 변경일 | 사업목적 | |
---|---|---|---|
변경 전 | 변경 후 | ||
[변경 사유]① 변경 취지 및 목적, 필요성 당사는 반도체, 설계용역, 제조 등 現사업의 목적을 구체화하고 향후 신사업 진출 등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정관상 사업목적을 상세화 및 명확화하였습니다. ② 사업목적 변경 제안 주체 해당 사업목적 변경은 2021년 4차 이사회('21.05.11.) 제안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③ 해당 사업목적 변경이 회사의 주된 사업에 미치는 영향 등사업목적 1. 반도체, 반도체 제조장비, 응용부품 등의 설계, 제조, 설계용역, 판매, 유지보수 및 관련 부가 서비스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의 설계 및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기업으로써 기존 사업에 대한 사업목적을 보강하고 향후 진행 가능한 신사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사업목적 변경 사업목적 2. 전자, 전기, 디스플레이, 기계기구 관련 소재, 부품, 모듈, 부속품 등의 설계, 제조, 설계용역, 판매, 유지보수 및 관련 부가 서비스 LCD 사업 분야를 넘어 OLED로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와 Display 산업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사업목적 변경 사업목적 5.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 부동산 매매 목적을 추가함으로써 향후 주된 사업 확장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사업목적 변경 사업목적 6. 위 각호에 부대하는 사업일체 및 투자 투자 목적을 추가함으로써 향후 주된 사업 확장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사업목적 변경 (3) 사업목적 추가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당사는 팹리스 기업으로 Display Panel을 구동하는 핵심부품의 설계 및 제조,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는 시스템 반도체 기업입니다.
Display Panel 구동 부품 중 자사는 Driver-IC, Timing Controller(T-Con),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PMIC)제품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신규 성장동력으로 MCU, 방열기판 사업을 추진하여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제품은 패널을 구동하는 Driver-IC, T-Con 등이며, 주요 제품인 Driver-IC는 당반기 매출액의 89.85%(전반기 89.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 중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당반기 기준 매출액의 99.04%(전반기 98.56%) 입니다.
당사는 고객사에서 제품의 종류 및 사양에 대한 요청에 부합하도록 반도체를 설계하며, 설계된 반도체는 생산능력과 기술력이 충분한 파운드리 및 조립/패키징 전문업체에 위탁을 통해 생산하여 고객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2025년 6월 30일]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품목 | 제품 설명 | 주요제품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반도체 | System IC | 패널 구동 IC 외 | Driver - IC | 7,680 | 89.85% | 16,724 | 89.64 | 17,485 | 91.96 |
Driver - IC 외 | 868 | 10.15% | 1,932 | 10.36 | 1,529 | 8.04 | |||
합계 | 8,548 | 100.00% | 18,656 | 100.00 | 19,014 | 100.00 |
가. 주요 원재료
[기준일: 2025년 6월 30일] | (단위 : 억원) |
원재료명 | 매입액 | 주요매입처 |
WAFER 외 | 4,114 | TSMC, SK hynix system ic(Wuxi), 엘지이노텍㈜ 등 |
가공비 외 | 1,676 | 엘비세미콘㈜, Chipbond 등 |
당사는 반도체 제조공정을 외주위탁 가공하는 팹리스(Fabless) 업체로 Wafer 매입 비용은 경영실적에 중요한 요소이며 민감한 정보이기 때문에 Wafer 단가 및 가격 변동 추이의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생산능력 및 설비 당사는 팹리스(Fabless) 기업으로 반도체 설계 이후의 제조 공정은 외부공정업체를 활용하고 있으며, 미래 성장사업으로 구축한 차량용 방열기판 사업은 당사 시흥캠퍼스(경기도 시흥시 소재)에 3천 평 규모의 방열기판 공장을 준공하여 25년 4월부터 방열기판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차량용 방열기판은 전력소자의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해 높은 열 전도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며, 전기차 시장과 함께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현재 방열기판 공장의 생산능력(CAPA, 캐파)은 연 25만장으로 추후 50만장으로 생산능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다. 외주생산에 관한 사항 당사는 반도체 설계 이후의 제조 공정은 외부공정업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외주공정은 크게 파운드리(Wafer 위탁생산), OSAT(테스트 & 패키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당사가 활용하는 외주공정업체는 장기간 당사와 거래 관계가 있는 기업으로, 안정적으로 고품질의 제품 제조가 가능한 기업을 선정하여 위탁운영하고 있습니다.
가. 매출실적
[기준일: 2025년 6월 30일]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
반도체 | 제품 및 기타 | System IC | 수출 | 8,466 | 18,445 | 18,909 |
내수 | 82 | 211 | 105 | |||
합계 | 계 | 8,548 | 18,656 | 19,014 |
나. 판매 경로 및 방법, 전략, 주요 매출처 (1) 판매 및 양산 지원 조직 당사는 당반기말 현재 전략마케팅부문 산하에 TV/IA영업담당(TV/IT/AUTO)과 Mobile영업담당으로 구성된 영업조직을 갖추고 있으며, 이들 영업조직에서 국내외 판매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2) 판매 경로 당사는 국내외 매출 모두 거래처 주문 시 제조 및 판매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당사는 고객사의 요청에 맞춰 개발 단계에서부터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사양 및 특성에 맞게 제품 개발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외주업체에서 생산하여 고객사로 납품되고 있습니다.
구분 | 판매 경로 |
국내매출 | 거래처 주문→㈜LX세미콘(외주생산→출고→납품) |
국외매출 |
주) 국내매출은 대한민국 내에서 판매되는 매출입니다. (3) 판매 전략 당사는 고객 기반 강화 및 신규 고객 확대를 위해 신제품 및 신기술 개발과 아울러 차별화된 고객지원을 통하여 시장 우위를 유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최적의 솔루션 제품을 고객 맞춤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시장 지위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4) 주요 매출처 단일 외부고객으로부터의 매출액이 당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고객은 2개사(社)로 당반기와 전반기의 매출액은 각각 4,552억원(전반기 5,318억원), 2,535억원(전반기 2,786억원)입니다. 다. 수주 상황 당사가 생산하는 디스플레이용 구동칩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 및 특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주요 패널업체 구매정책의 특성상 중장기적인 수주계약이 아닌 통상 10주 정도 주기로 필요한 물량의 발주가 이루어지며 수시로 추가 물량이 발주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노출되어 있는 위험에 대한 정보와 연결실체의 목표, 정책, 위험 평가 및 관리 절차 그리고 자본관리에 대해서는 주석사항에 공시하고 있으며 추가적인 계량적 정보에 대해서도 본 연결재무제표 전반에 걸쳐서 공시되어 있습니다.
가. 신용위험관리 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 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연결실체가 재무손실을 입을 위험을 의미하며 주로 거래처에 대한 매출채권과 투자자산에서 발생합니다.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신용위험 노출 및 거래처의 신용등급을 주기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신용등급이 높은 은행들에 대해서만 거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신탁예금 등 신용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은 예금은 담당 임원의 승인을 득한 후에 신규 거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반기말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정도는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단기금융상품, 매출채권, 그리고 기타채권을 포함해 최대 8,104억원 입니다.
나. 유동성 위험관리 회사에 있어서 적정 유동성 유지 및 관리는 경영상 매우 중요한 사항입니다. 당사는 현재 무차입 경영을 유지하고 있으며 적정한 현금 수준도 확보되어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필요 현금 수준 추정 및 수입, 지출 관리 등을 통하여 적정 유동성 유지 및 관리에 만전을 다하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유동성위험에 대비하여 항상 조기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금융시장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하고 있으며 풍부한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금융기관으로부터 추가적인 차입한도 확보 등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다. 시장위험관리 시장위험이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1) 환위험
연결실체는 기능통화인 원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영업수익 및 영업비용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미국 달러(USD) 입니다.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주된 통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USD | USD | |
외화자산 | 272,524.0 | 351,911.7 |
외화부채 | 130,093.2 | 153,316.7 |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외화에 대한 원화 환율변동이 손익(법인세반영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5% 변동시) | (5% 변동시) | |
USD | ±8.3 | ±210.6 |
(2) 이자율위험 연결실체는 고정이자율 금융상품을 당기손익인식금융상품으로 처리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연결실체의 수익 및 영업 현금흐름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적입니다.
라. 자본위험관리 연결실체의 자본관리는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을 유지하는 한편, 자본조달비용을 최소화하여 주주이익을 극대화하며 적정한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부채비율을 기초로 자본을 관리하고 있으며 부채비율은 재무상태표상 총부채를 자본으로 나누어 산출됩니다. 당반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32.6%의 적절한 부채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마. 파생상품 거래 현황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외화 자산의 공정가치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일부 외화 매출채권에 대하여 통화선도(Currency Forward) 계약을 체결하여 헷지하고 있습니다.2025년 반기말 현재 당사는 미달러화(USD) 매출채권에 대하여 위험 회피 목적으로 통화선도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관련 자산ㆍ부채 장부금액 및 평가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계약처 | 계약금액(단위: 백만) | 계약환율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 만기일 | 계정과목 | 장부금액 | |
---|---|---|---|---|---|---|---|---|
자산 | 부채 | |||||||
통화선도 | 신한은행 외 1 | USD 105 | 1,341.81~1,470.24 | 2025.2.24 ~ 2025.6.30 | 2025.7.7 ~ 2025.11.7 | 기타금융자산/부채 | 8,139,994,715 | 431,874 |
합계 | 8,139,994,715 | 431,874 |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계정 | 장부금액 | 가치변동 |
---|---|---|---|
통화선도 | 매출채권 | 142,597,568,170 | (8,139,562,841) |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 원) |
구 분 | 파생상품가치변동 | 당기손익 인식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
통화선도 | 8,139,562,841 | 파생상품평가이익/손실 | 0 |
주) 해당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에서 발생한 손익은 위험회피대상 자산에서 발생한 손익과 위험회피회계 적용 범위 내에서 상쇄됩니다.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 담당 조직
2) 연구개발 비용
(단위 : 백만원) |
과 목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
연구개발비용 총계 | 111,458 | 231,692 | 219,775 | |
(정부보조금) | -17 | 0 | 0 | |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 111,441 | 231,692 | 219,775 | |
회계처리 | 판매비와 관리비 | 111,441 | 231,692 | 219,775 |
제조원가 | - |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13.0 | 12.4 | 11.6 |
주) 매출액비율은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 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3) 연구개발 실적 당사는 디스플레이용 부품 전문 회사로 노트북, 모니터, 태블릿 PC와 같은 IT용 부품부터 TV, 모바일 기기용 부품에 이르기까지 디스플레이 전 영역에 걸쳐 다양한 제품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제품은 Driver-IC(D-IC), Timing Controller(T-CON),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PMIC)이며 Mobile향 P-OLED Display Driver IC(DDI), Touch Controller 등으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매출성장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디스플레이 이외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영역으로 기술력 확장을 통해 가전 및 전장용 시스템반도체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가.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연결실체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5년 6월 30일 기준 누적으로 국내특허 1,361건, 해외특허 2,417건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 취득일 | 내용 | 근거법령 | 취득소요인력 / 기간 | 상용화 여부 |
특허권 | 2022.05.02 | 디스플레이, 터치 동시 구동에 대한 특허로 35년 6월 4일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5명 / 6년 9개월 | 상용화 단계 |
2021.09.21 | 이미지 인코딩 및 디코딩 알고리즘에 대한 특허로 37년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4년 3개월 | 상용화 예정 | |
2014.09.01 | 디스플레이 인트라 인터페이스 신호 복원에 대한 특허로 31년 11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2년 9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4.02.21 | 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구동에 대한 특허로 31년 12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4명 / 2년 1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3.11.13 | 인셀 터치 디스플레이에 대한 특허로 32년 12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11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1.05.23 | 디스플레이 구동부 모니터링에 대한 특허로 29년 3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2년 2개월 | 상용화 단계 | |
2010.10.01 | 디스플레이 인트라 인터페이스 신호 전송에 대한 특허로 28년 10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 특허법 | 2명 / 2년 | 상용화 단계 |
연결실체는 상기의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TV, 모바일, IT 디스플레이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 사업 제품이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외에 Auto/가전용 MCU 등 관련 특허들은 디스플레이 외 신사업 진출 시 사업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비디오 코덱 특허 개발 중으로, 향후 표준특허 평가를 통해 수익화가 가능합니다.
나. 시스템반도체(System IC) 부문
(1) 산업의 특성 시스템반도체는 연산/제어 등 정보처리 기능을 하는 반도체로 가전, 모바일, 통신, 자동차 등 용도별로 특화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어 다품종 맞춤형 시장으로 수천여 종의 다양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설계와 생산이 분업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칩 구조가 복잡하여 우수 설계인력과 기술력이 요구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제품인 Display Driver IC(DDI)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투입되는 핵심 부품으로 당사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업황에 영향을 받습니다.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은 LCD 패널에서 OLED 패널로 트렌드가 전환되고 있습니다. OLED에는 LCD보다 높은 수준의 기술이 요구되며, 더 많은 부품의 투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패널 전환이 이행되면 DDI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IT분야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제품을 시작으로 현재 TV, IT, Mobile 관련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규모 및 성장성
당사의 주요 제품인 DDI 시장의 경우, 중장기 패널 Form Factor 변화 등에 의한 신규 수요의 창출을 통한 점진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DDI 시장 규모]
(단위: 십억달러) | 2022 | 2023 | 2024 | 2025(E) | 2026(E) | 2027(E) | 2028(E) |
DDI | 10.3 | 8.8 | 8.7 | 8.8 | 8.8 | 9.0 | 9.1 |
출처: 자사 추정 당사의 전방 산업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중대형(TV/ IT/ 자동차) 패널은 고해상도(8K) LCD 및 OLED 등의 프리미엄 제품의 비중 확대로 질적인 성장과 함께 중국 패널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규모의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소형(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패널은 애플의 첫 P-OLED 폰 출시('17년)를 기점으로 중국 패널업체들의 P-OLED 시장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어, 향후 P-OLED 제품 중심의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중국 패널업체들의 급격한 성장과 패널의 세대 전환 추세 등에 의해 디스플레이 산업은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연간 패널 판매 수량]
(Unit : M units) | 2022 | 2023 | 2024 | 2025(E) | 2026(E) | 2027(E) | 2028(E) |
TV | 261.9 | 241.2 | 242.5 | 236.9 | 241.5 | 243.0 | 244.7 |
Monitor | 159.3 | 149.1 | 152.6 | 148.3 | 151.3 | 152.9 | 154.3 |
Notebook | 217.2 | 189.1 | 195.7 | 197.7 | 198.3 | 204.4 | 208.6 |
Tablet | 256.4 | 244.4 | 255.8 | 263.4 | 265.5 | 268.0 | 269.1 |
Auto | 192.9 | 205.1 | 210.3 | 219.0 | 229.7 | 237.0 | 244.3 |
Large Panel Total | 1,087.6 | 1,028.7 | 1,056.8 | 1,065.3 | 1,086.3 | 1,105.3 | 1,121.0 |
Smartphone | 1,382.9 | 1,266.9 | 1,304.4 | 1,323.3 | 1,339.7 | 1,362.0 | 1,377.3 |
Smartwatch | 214.1 | 223.1 | 220.0 | 229.8 | 237.6 | 244.0 | 248.8 |
VR / AR | 12.8 | 10.7 | 9.8 | 9.8 | 12.5 | 15.7 | 21.9 |
Small Panel Total | 1,609.8 | 1,500.8 | 1,534.2 | 1,562.9 | 1,589.8 | 1,621.6 | 1,648.1 |
출처: 자사 추정
① 중대형(TV/ IT/ 자동차) Display IC
LCD TV용 Display IC 시장은 UHD 패널 비중 확대에 따른 패널당 소요 IC 개수 증가로 성장 중에 있습니다. 2025년 UHD TV 보급률은 글로벌 평균 약 70%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OLED TV용 Display IC 시장은 현재 OLED TV 패널을 양산 중인 업체가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밖에 없기 때문에 시장 규모는 작으나, 프리미엄 제품 시장을 지속 선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OLED TV용 Display IC는 LCD 제품과는 달리 구동 기술 외에 패널 보상 기술이 핵심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경쟁력을 보유한 업체들이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보입니다.
IT 제품은 일부 프리미엄 브랜드를 중심으로 해상도를 높이고 터치패널을 활용하는 등 새로운 기능을 더하는 방식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패널사들의 8.6세대 OLED 팹 투자와 함께 OLED로의 시장 전환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4년 애플의 첫 OLED 태블릿 제품 출시를 시작으로, IT용 OLED 시장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소형(스마트폰/ 스마트워치) Display IC
스마트폰 시장은 성숙화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스마트폰 패널 시장규모는 2022년은 약 14억 대 수준이었으나, 2023년 13억대 수준으로 감소하며 2028년까지 약 13억 대 수준의 시장규모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선진국 스마트폰 시장의 경우 이머징 시장 대비 성장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머징 시장의 성장이 전체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주요 글로벌 세트 업체들은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해 적극적인 Form Factor 진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어 P-OLED 패널을 탑재한 스마트폰 비중이 지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패널업체와 중국 패널업체 간 기술격차로 P-OLED 시장은 국내 패널업체가 선도하고 있지만, 중국 패널업체들의 Capacity 확장에 따라 P-OLED 패널 시장 내 중국 업체의 점유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스마트워치 시장은 2020년 큰 폭의 성장을 기록한 후,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며 향후 IoT 등 여러 기기와 연계된 서비스를 통해 관련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경쟁요소
Display 부품 시장의 핵심 경쟁요소는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기술경쟁력을 강화함은 물론 Display의 발전과 더불어 초기 단계에서의 시장 진입입니다. 신기술이 적용된 새로운 시장에서 의미 있는 점유율을 확보함으로써 기술경쟁력을 통한 차별화를 통해 진입 장벽을 만드는 것입니다.
Display 산업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 특성과 규모의 경제가 동시에 필요한 분야로 기술적 완성도가 높아질수록 진입 장벽도 함께 높아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과거 패널 생산 업체들 사이 치열한 경쟁을 통해 공급능력이 향상하였고 수요의 증가와 맞물려 Display 산업 전반에 걸쳐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시장의 높은 성숙도와 제한적 수요로 인해 저성장 국면으로 접어들었으며 경기변동에 민감도가 높아 교체 수요가 크게 늘지 않는 모습입니다. 당사는 LCD에서 OLED로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따라, 관련 기술 개발을 통해 Display 산업 전환에 경쟁사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시장점유율
시장 조사기관인 Omdia의 자료(Display Driver IC Market, 2025.07)에 따르면, 당사는 글로벌 Display Driver IC 업체 기준 Top 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매출 규모 자체보다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경쟁력 확보가 회사의 경쟁우위를 판가름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는 만큼, 당사는 패널 및 세트 고객사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OLED/P-OLED 등 프리미엄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고 있으며 Display 외에도 가전, 자동차 등 새로운 영역으로 사업 확장을 지속적으로 꾀하고 있습니다.
(5) 회사의 강점
당사는 Display 시스템 반도체 핵심 부품을 Total Solution으로 제공함은 물론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제품들을 국산화하여 국내 전방업체들의 안정적인 부품 조달과 가격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끊임없는 기술 개발을 통해 고객사 맞춤형 프리미엄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사의 시장 선도를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전방업체와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상생전략은 당사의 큰 경쟁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제품 개발부터 공급에 이르기까지 타 업체보다 시장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술 대응력을 확보해 왔습니다. 이에 당사는 독자적인 설계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고객사 확보를 통해 고객 다변화를 이루어 나가고 있습니다. 다. 신규사업 관련 내용과 전망 당사는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디스플레이용 반도체, 모터 구동용 반도체 등 다양한 자동차 분야 제품을 육성하고 있으며, 전기차 등에 쓰이는 고강도 및 높은 방열 성능을 지원하는 방열기판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방열기판은 전력반도체의 동작 수명 및 안정성에 큰 영향을 주는 핵심 소재로, 전력소자의 열을 외부로 확산시키기 위해 높은 열전도성을 갖는 기판을 통칭하며 절연성 세라믹(알루미나,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기판에 Cu(구리)를 접합한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열기판 시장은 친환경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시장과 함께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24년~'30년 CAGR 11% 성장이 예상됩니다.MCU는 국내 가전용을 중심으로 수요를 확보하여 외판시장 확대 진입을 목표로 사업기반을 구축하고 있으며,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의 성장으로 차량용 반도체 시장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자동차 분야의 제품을 육성 중이며, 신규 사업에 대한 투자 및 차별화된 기술 확보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사업 동력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당사의 제27기 반기 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았습니다. 비교표시된 제26기, 제25기 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2025년 6월 30일 |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2월 31일 | |
[유동자산] | 1,094,586 | 1,124,302 | 902,886 |
ㆍ당좌자산 | 873,706 | 912,862 | 566,995 |
ㆍ재고자산 | 220,880 | 211,440 | 335,891 |
[비유동자산] | 355,347 | 375,500 | 302,179 |
ㆍ유형자산 | 150,582 | 148,750 | 125,940 |
ㆍ무형자산 | 83,508 | 84,392 | 73,937 |
ㆍ기타비유동자산 | 121,257 | 142,358 | 102,302 |
자산총계 | 1,449,933 | 1,499,802 | 1,205,065 |
[유동부채] | 292,973 | 351,838 | 207,337 |
[비유동부채] | 63,661 | 68,377 | 20,964 |
부채총계 | 356,634 | 420,215 | 228,301 |
[자본금] | 8,132 | 8,132 | 8,132 |
[자본잉여금] | 76,343 | 76,343 | 76,343 |
[기타자본항목] | (785) | 152 | (1,073) |
[이익잉여금] | 1,009,609 | 994,960 | 893,362 |
[비지배지분] | - | - | - |
자본총계 | 1,093,299 | 1,079,587 | 976,764 |
(2025년 1월 1일~ 2025년 6월 30일) | (2024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 |
매출액 | 854,848 | 1,865,622 | 1,901,445 |
영업이익 | 69,920 | 167,077 | 129,036 |
반기순이익 | 53,676 | 130,509 | 101,204 |
ㆍ지배기업소유주지분 | 53,676 | 130,509 | 101,204 |
ㆍ비지배지분 | - | - | - |
기본주당순이익(원) | 3,300 | 8,024 | 6,222 |
희석주당순이익(원) | 3,300 | 8,024 | 6,222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4개 | 4개 | 3개 |
나. 요약재무정보 당사의 제27기 반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았습니다. 비교표시된 제26기, 제25기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2025년 6월 30일 |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2월 31일 | |
[유동자산] | 1,086,133 | 1,115,610 | 897,568 |
ㆍ당좌자산 | 865,253 | 904,170 | 561,677 |
ㆍ재고자산 | 220,880 | 211,440 | 335,891 |
[비유동자산] | 350,980 | 369,576 | 298,121 |
ㆍ유형자산 | 145,613 | 143,762 | 122,829 |
ㆍ무형자산 | 82,774 | 83,524 | 73,795 |
ㆍ기타비유동자산 | 122,593 | 142,290 | 101,497 |
자산총계 | 1,437,113 | 1,485,186 | 1,195,688 |
[유동부채] | 291,860 | 350,524 | 208,177 |
[비유동부채] | 62,485 | 66,787 | 19,894 |
부채총계 | 354,345 | 417,311 | 228,071 |
[자본금] | 8,132 | 8,132 | 8,132 |
[자본잉여금] | 76,343 | 76,343 | 76,343 |
[기타자본항목] | (381) | (381) | (381) |
[이익잉여금] | 998,674 | 983,781 | 883,523 |
자본총계 | 1,082,768 | 1,067,875 | 967,617 |
종속ㆍ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025년 1월 1일~ 2025년 6월 30일) | (2024년 1월 1일~ 2024년 12월 31일) | (2023년 1월 1일~ 2023년 12월 31일) | |
매출액 | 854,848 | 1,865,622 | 1,901,445 |
영업이익 | 68,349 | 164,117 | 126,624 |
반기순이익 | 53,920 | 129,169 | 97,316 |
기본주당순이익(원) | 3,315 | 7,942 | 5,983 |
희석주당순이익(원) | 3,315 | 7,942 | 5,983 |
제 27 기 반기말 |
제 26 기말 |
|
---|---|---|
제 27 기 반기 |
제 26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 27 기 반기 |
제 26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부분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이익잉여금 |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부분 합계 |
|||
제 27 기 반기 |
제 26 기 반기 |
|
---|---|---|
주식회사 LX세미콘(이하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이하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을 일괄하여 "연결실체")의 일반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회사의 개요 (1) 지배기업의 개요 지배기업은 FPD(Flat Panel Display) 반도체 IC 설계 및 제조를 목적으로 1999년 11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은 2001년 10월 19일에 한국산업기술진흥회로부터 기술개발촉진법 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1항에 의해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를 받았으며 2011년 10월 23일에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지배기업은 2010년 6월 8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이후, 2021년 7월 1일 회사명을 주식회사 실리콘웍스에서 주식회사 LX세미콘으로 변경하였으며, 2022년 11월 3일자로 코스닥시장에서 상장 폐지하고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자본금은 8,132,150천원(발행주식수 16,264,300주, 수권주식수 50,000,000주)입니다. 당반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 개요
당반기 중 신규로 연결에 포함되거나 연결에서 제외된 기업은 없습니다. (3)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요약재무상태표와 각 회계기간의 요약포괄손익계산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반기연결재무제표 작성기준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가 속하는 기간의 일부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를 적용하여 작성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요약중간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2024년 12월 31일자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를 함께 이용하여야 합니다. 중간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준서나 해석서의 도입과 관련된 영향 및 아래 3)에 기재된 내용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1) 당반기부터 새로 도입된 기준서 및 해석서와 그로 인한 회계정책 변경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으로 인한 연결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동 개정으로 인한 연결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3) 법인세비용 :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연결실체의 직전연도 전체 회계기간을 기준으로 한 연결매출액은 필라2 법인세의 매출액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연결실체는 필라2 적용제외 조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필라2가 연결실체의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당반기에 인식한 당기법인세는 없습니다. |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경영진은 연결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판단을 하여야 하며(추정과 관련된 사항은 제외), 다른 자료로부터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을 하여야 합니다. 추정치와 관련 가정은 과거 경험 및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타 요인에 근거합니다. 또한 실제 결과는 이러한 추정치들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중간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연결실체의 회계정책의 적용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과추정불확실성의 주요원천에 대한 내용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
주요고객A |
주요고객B |
|
---|---|---|
주요고객A |
주요고객B |
|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매출원가 |
|
---|---|
매출원가 |
|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텔레칩스의 지분율은 유효지분율이며 보유한 지분율이 20%미만이지만,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계약적 권리에 의하여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2) 당반기와 전반기 중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반기
② 전반기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
설정(환입) |
지급 |
환율차이 |
기말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기초 |
설정(환입) |
지급 |
환율차이 |
기말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
재무활동 현금흐름 |
비현금거래 |
기말 |
||
---|---|---|---|---|---|
기초 |
재무활동 현금흐름 |
비현금거래 |
기말 |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특수관계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업비용 |
|||||
---|---|---|---|---|---|
3개월 |
누적 |
||||
영업비용 |
|||||
---|---|---|---|---|---|
3개월 |
누적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배당금 수취 |
배당금 지급 |
|||
---|---|---|---|---|
배당금 수취 |
배당금 지급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거래상대방 |
|
서울보증보험 |
|
약정 금액 |
외화약정 금액 [USD, 일] |
||||||
---|---|---|---|---|---|---|---|
출자약정금액 |
출자금액 |
추가출자예정금액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파생상품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부채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부채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제 27 기 반기말 |
제 26 기말 |
|
---|---|---|
제 27 기 반기 |
제 26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 27 기 반기 |
제 26 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제 27 기 반기 |
제 26 기 반기 |
|
---|---|---|
1. 회사의 개요 주식회사 LX세미콘(이하 "당사")은 FPD(Flat Panel Display) 반도체 IC 설계 및 제조를 목적으로 1999년 11월 11일에 설립되었으며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2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1년 10월 19일에 한국산업기술진흥회로부터 기술개발촉진법 제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15조 제1항에 의해 기업부설연구소 인증서를 받았으며 2011년 10월 23일에 대덕연구개발특구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 제9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첨단기술기업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당사는 2010년 6월 8일에 주식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이후, 2021년 7월 1일 회사명을 주식회사 실리콘웍스에서 주식회사 LX세미콘으로 변경하였으며, 2022년 11월 3일자로 코스닥시장에서 상장 폐지하고 유가증권시장으로 이전상장하였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자본금은 8,132,150천원(발행주식수 16,264,300주, 수권주식수 50,000,000주)입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의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반기재무제표 작성기준 동 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가 속하는 기간의 일부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를 적용하여 작성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이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동 요약중간재무제표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된 2024년 12월 31일자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별도재무제표를 함께 이용하여야 합니다. 중간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준서나 해석서의 도입과 관련된 영향 및 아래 3)에 기재된 내용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1) 당반기부터 새로 도입된 기준서 및 해석서와 그로 인한 회계정책 변경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 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중에 있습니다.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결제일 전에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금융부채가 결제된 것으로(제거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도록 허용 ·금융자산이 원리금 지급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의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추가 지침을 명확히 하고 추가함.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이 노출되는 정도를 금융상품의 각 종류별로 공시 ·FVOCI 지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 공시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Volume 11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3) 법인세비용 :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당사의 직전연도 전체 회계기간을 기준으로 한 연결매출액은 필라2 법인세의 매출액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당사는 필라2 적용제외조건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필라2가당사의 법인세에 미치는 영향은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당반기에 인식한 당기법인세는 없습니다. |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경영진은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판단을 하여야 하며(추정과 관련된 사항은 제외), 다른 자료로부터 쉽게 식별할 수 없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을 하여야 합니다. 추정치와 관련 가정은 과거 경험 및 관련이 있다고 여겨지는 기타 요인에 근거합니다. 또한 실제 결과는 이러한 추정치들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 중간재무제표 작성을 위해 당사의 회계정책의 적용과정에서 내린 중요한 판단과 추정불확실성의 주요원천에 대한 내용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자산 |
금융자산,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금융부채 |
금융부채, 공정가치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이자수익(비용) |
기타손익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계약금액 [USD, 백만] |
계약환율 |
계정과목 |
위험회피시작일 |
위험회피종료일 |
위험회피수단, 자산 |
위험회피수단, 부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장부금액 |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
위험회피의 비효과적인 부분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 |
파생상품 가치변동(세전) |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금융상품 |
금융상품 합계 |
||
---|---|---|---|
파생상품 |
지분투자 |
||
선도계약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총장부금액 |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합계 |
|
---|---|---|---|
매출원가 |
|
---|---|
매출원가 |
|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주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텔레칩스의 지분율은 유효지분율이며 보유한 지분율이 20%미만이지만, 이사를 임명할 수 있는 계약적 권리에 의하여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3) 당반기 및 전반기 중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
설정(환입) |
지급 |
기말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기초 |
설정(환입) |
지급 |
기말 |
충당부채의 성격에 대한 기술 |
||
---|---|---|---|---|---|---|
보통주 |
|
---|---|
보통주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주식 |
||
---|---|---|
보통주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사외적립자산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퇴직연금확정급여제도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공시금액 |
|
---|---|
기초 |
재무활동 현금흐름 |
비현금거래 |
기말 |
||
---|---|---|---|---|---|
기초 |
재무활동 현금흐름 |
비현금거래 |
기말 |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금융자산, 분류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분류 |
|
기타채권 |
|
(1) 당반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특수관계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영업수익 |
영업비용 |
배당금수익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영업수익 |
영업비용 |
배당금수익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매출채권 등 |
매입채무 등 |
특수관계자거래의 채권,채무에 대하여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보증의 상세 내역에 대한 설명 |
||||
---|---|---|---|---|---|---|
배당금 수취 |
배당금 지급 |
현금출자 등 |
|||
---|---|---|---|---|---|
배당금 수취 |
배당금 지급 |
현금출자 등 |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장부금액 |
||
---|---|---|
공시금액 |
||
3개월 |
누적 |
|
지급보증의 구분 |
|
---|---|
제공받은 지급보증 |
|
거래상대방 |
|
서울보증보험 |
|
약정 금액 |
외화약정 금액 [USD, 일] |
||||||
---|---|---|---|---|---|---|---|
출자약정금액 |
출자금액 |
추가출자예정금액 |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
금융자산, 분류 |
금융자산,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파생상품자산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지분증권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부채, 분류 |
금융부채, 분류 합계 |
||||
---|---|---|---|---|---|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파생상품 금융부채 |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모든 수준 합계 |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1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 |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부채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금융부채,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과정에 대한 기술, 부채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부채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금융자산, 공정가치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평가기법에 대한 기술, 자산 |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대한 기술, 자산 |
||||
---|---|---|---|---|---|---|
배당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나. 채무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1)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여부 | 주관회사 |
---|---|---|---|---|---|---|---|---|---|
합 계 | - | - | - | - |
(2)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3)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30일이하 | 30일초과90일이하 | 90일초과180일이하 | 180일초과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4)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5)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15년이하 | 15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6)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2년이하 | 2년초과3년이하 | 3년초과4년이하 | 4년초과5년이하 | 5년초과10년이하 | 10년초과20년이하 | 20년초과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사모 | |||||||||||
합계 |
공시서류작성대상기간 중 증권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한 실적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연결)재무제표를 재작성한 경우 재작성사유, 내용 및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감사보고서상 강조사항 및 핵심감사사항, 계속기업관련 중요한 불확실성 관련 사항이 있는 경우가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계정과목 | 채권금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제27기반기 | 매출채권 | 373,376 | - | 0.0 |
기타채권 | 4,852 | - | 0.0 | |
비유동기타채권 | 8,838 | - | 0.0 | |
합계 | 387,066 | - | 0.0 | |
제26기 | 매출채권 | 448,799 | - | 0.0 |
기타채권 | 5,316 | - | 0.0 | |
비유동기타채권 | 9,483 | - | 0.0 | |
합계 | 463,598 | - | 0.0 | |
제25기 | 매출채권 | 204,969 | - | 0.0 |
기타채권 | 3,419 | - | 0.0 | |
비유동기타채권 | 12,769 | - | 0.0 | |
합계 | 221,157 | - | 0.0 |
주)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대손충당금 설정내역이 없습니다.
(2)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기중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1. 기초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 | - | -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 - |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 | - | -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 | - |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 | - | -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 합계 | - | - | - |
주)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대손충당금 변동내역이 없습니다. (3) 매출채권 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매출채권 등의 잔액에 대하여 개별적 분석 방법과 연령분석을 병행하여 대손 추정된 금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 채권연령분석 결과 1년이상 채권은 100% 대손 설정하였습니다. - 과거 3개년 평균채권잔액에 대한 실제 대손 발생액을 근거로 대손경험률을 산정하여 설정하였습니다.
(4) 당반기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채권 발생 경과 기간 | 합계 | |
6개월 이내 | 6개월 초과 | ||
매출채권 | 373,376 | - | 373,376 |
합계 | 373,376 | - | 373,376 |
구성비율(%) | 100.00 | - | 100.00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제27기 반기 | 제26기 | 제25기 | 비고 |
System IC | 제품 | 79,398 | 69,071 | 102,921 | - |
상품 | 0 | 0 | 21 | - | |
재공품 | 141,482 | 142,369 | 232,949 | - | |
합 계 | 220,880 | 211,440 | 335,891 | -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15.2 | 14.1 | 27.9 | -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5.3 | 4.6 | 3.3 | - |
주) 당사의 방열기판 사업 관련 총재고자산이 총자산액의 2% 미만이므로 주된 사업부문인 System IC로 통합하여 기재하였습니다.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① 실사 일자 6월말 및 12월말 기준으로 매년 2회 재고자산 실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5년(제27기) 재고자산 실사일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상반기 재고자산 실사일자: 2025년 6월 26일 ② 실사 방법 전수조사 실시를 기본으로 하며, 일부 중요성이 작은 품목의 경우 Sample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은 재고실사를 입회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 합니다. ③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재고자산의 진부화 평가로 인한 손실을 판단하고 있으며, 2025년 6월 30일 기준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계정과목 | 취득원가 | 보유금액 | 평가충당금 | 당반기말잔액 |
재고자산 | 269,169 | 269,169 | -48,289 | 220,880 |
④ 재고자산 담보제공여부 작성기준일 현재 재고자산의 담보제공 사실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수주계약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계약수익금액이 직전사업연도 재무제표상 매출액의 5% 이상인 계약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 | ||||
기타금융자산 | 6,000,000,000 | 6,000,000,000 | - |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항목 | ||||
매출채권 | 343,199,315,712 | (*2) | 423,875,255,010 | (*2) |
상각후원가 측정 항목 | ||||
현금및현금성자산 | 322,877,336,193 | (*2) | 238,812,527,045 | (*2) |
단기금융상품 | 100,410,768,053 | (*2) | 160,000,000,000 | (*2) |
매출채권 | 30,176,952,553 | (*2) | 24,923,491,653 | (*2) |
기타채권 | 13,689,822,120 | (*2) | 14,798,939,241 | (*2) |
소 계 | 467,154,878,919 | 438,534,957,939 |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
기타금융자산 | 8,139,994,715 | 8,139,994,715 | - | - |
합 계 | 824,494,189,346 | 862,410,212,949 | ||
금융부채: | ||||
상각후원가 측정 항목 | ||||
매입채무 | 166,513,113,286 | (*2) | 153,443,980,008 | (*2) |
기타채무(*1) | 74,861,129,792 | (*2) | 106,685,420,663 | (*2) |
소 계 | 241,374,243,078 | 260,129,400,671 | ||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
기타금융부채 | 431,874 | 431,874 | 13,642,987,958 | 13,642,987,958 |
기타 | ||||
리스부채 | 38,895,092,176 | (*3) | 37,127,708,092 | (*3) |
합 계 | 280,269,767,128 | 310,900,096,721 |
(*1) 금융부채에 포함되지 않은 종업원 관련 채무 등은 제외되어 있습니다.
(*2)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 등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감사의견 | 의견변형사유 | 계속기업 관련중요한 불확실성 | 강조사항 | 핵심감사사항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
감사보고서 | |||||||
연결감사보고서 |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라.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에 대해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마. 종속회사 감사의견 모든 종속회사가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적정의견을 받았습니다.
바. 회계감사인의 변경
당사는 2020-2022년 지정감사 대상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감사위원회에서 삼일회계법인을 제25기-제27기 감사인으로 선임하였습니다.
사. 전ㆍ당기 재무제표 불일치 세부정보 및 의견불일치 조정협의회의 주요 협의내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전ㆍ 감사인간 의견불일치로 전기 재무제표의 오류 여부 및 수정 등에 대한 사항이 없으므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내부통제 당사는 2025년 2월 18일 감사위원회의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평가에 따라 당사의 내부통제는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의견을 확인하였으므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나.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 실태 (1) 내부회계관리자가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문제점 또는 개선방안 등을 제시한 경우 그 내용 및 후속 대책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공시대상기간중 회계감사인이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하여 의견표명을 한 경우 그 의견, 중대한 취약점이 있다고 지적한 경우 그 내용 및 개선 대책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내부회계관리자가 보고한 내용]
사업연도 | 보고일자 | 보고내용 | 비고 |
제26기 | 2025.01.22 | 2024년 12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 |
제25기 | 2024.01.25 | 2023년 12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 |
제24기 | 2023.01.26 | 2022년 12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 |
[회계감사인이 감사보고서에 표명한 종합 의견 등]
사업연도 | 감사인 | 보고내용 | 지적사항 |
제26기 | 삼일회계법인 |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4년 12월 31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 |
제25기 | 삼일회계법인 |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 |
제24기 | 안진회계법인 |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2년 12월 31일 현재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 |
다. 내부통제구조의 평가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회계감사인으로부터 공시대상기간동안 내부회계관리제도 이외에 내부통제구조를 평가받은 경우가 없으므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내부회계관리제도 (1) 경영진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운영실태 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2) 감사(위원회)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효과성 평가 결과
사업연도 | 구분 | 평가보고서보고일자 | 평가 결론 | 중요한취약점 | 시정조치계획 등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3) 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검토결론)
사업연도 | 구분 | 감사인 | 유형(감사/검토) | 감사의견 또는검토결론 | 지적사항 | 회사의대응조치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
내부회계관리제도 | ||||||
연결내부회계관리제도 |
마. 내부회계관리ㆍ운영조직
(1) 내부회계관리·운영조직 인력 및 공인회계사 보유현황
소속기관또는 부서 | 총 원 | 내부회계담당인력의 공인회계사 자격증보유비율 | 내부회계담당인력의평균경력월수 | ||
---|---|---|---|---|---|
내부회계담당인력수(A) | 공인회계사자격증소지자수(B) | 비율(B/A*100) | |||
(2) 회계담당자의 경력 및 교육실적
직책(직위) | 성명 | 회계담당자등록여부 | 경력(단위:년, 개월) | 교육실적(단위:시간) | ||
---|---|---|---|---|---|---|
근무연수 | 회계관련경력 | 당기 | 누적 | |||
주) 회계담당자의 경력 및 교육실적은 2024년 12월 31일 기준입니다.
가. 이사회 구성 개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2명의 사내이사와 1명의 기타비상무이사 그리고 4명의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윤태 대표이사가 이사회 의장직을 겸직하고 있으며 당사의 이사회 규정 제5조에 의거하여 의장으로 선임되었습니다.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업무분장은『Ⅷ.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사회 내에는 감사위원회와 재무위원회, ESG위원회가 설치되어 운영 중입니다.
위원회명 | 구성 | 소속 이사명 | 설치목적과 권한 |
감사위원회 | 사외이사 3명 | 김범(위원장), 정성욱,김남수 | - 설치목적경영진에 대한 내부감시 기능 수행 및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함- 권한사항회사의 업무, 재산상태 조사 및 경영진에 대한 영업보고요구 등을 비롯한 감독권한 |
재무위원회 | 사내이사 2명 | 이윤태(위원장), 김훈 | - 설치목적이사회에서 위임한 사항, 이사회 부의를 위하여 사전에 검토가 필요한 사항 및 기타 일상적인 재무사항에 대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해 경영의 효율성 제고- 권한사항이사회에서 재무위원회에 위임한 사항 및 기타 일상적인 경영사항의 심의와 의결 |
ESG위원회 | 사내이사 1명사외이사 3명 | 이윤태, 정성욱(위원장), 김남수, 김범 |
- 설치목적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관한 ESG 경영 실현 및 내부거래에 대한 회사의 내부통제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실현 - 권한사항 ESG 경영 및 계열사 간 거래 등 내부거래 전반에 대한 심의, 의결 및 감독 |
주1) 김범 사외이사는 2025년 제3차 이사회에서 ESG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주) 김범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2025년도 제2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
나. 중요의결사항 등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이윤태 | 김훈 | 정성욱 | 김남수 | 위경우 | 노진서 | 한상범 |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5.01.22 | 보고 | 1.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및 2024년 연간실적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 | - | - |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3. 준법통제체제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승인 | 1. 2025년 사업계획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제26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배당기준일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4.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5. 산업 안전 및 보건 계획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 2025.02.18 | 보고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 | - | - |
승인 | 1. 제2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회의목적사항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이윤태 | 김훈 | 정성욱 | 김남수 | 김범 | 노진서 | 한상범 |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3 | 2025.03.20 | 승인 | 1. ESG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금융기관 여신한도 약정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집행임원 인사관리 규정 개정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4. 집행임원 성과인센티브 지급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5. 이사 보수 집행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 1. 자문역 계약 해지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 | - | - | ||
4 | 2025.04.25 | 보고 | 1.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 | - | - |
2. ESG위원회 개최 결과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다. 이사회내 위원회
(1) 이사회 내 위원회 구성 현황
위원회명 | 구성 | 소속 이사명 | 설치목적과 권한 |
재무위원회 | 사내이사 2명 | 이윤태(위원장), 김훈 | - 설치목적 이사회에서 위임한 사항, 이사회 부의를 위하여 사전에 검토가 필요한 사항 및 기타 일상적인 재무사항에 대한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해 경영의 효율성 제고 - 권한사항 이사회에서 재무위원회에 위임한 사항 및 기타 일상적인 경영사항의 심의와 의결 |
ESG위원회 | 사내이사 1명 사외이사 3명 | 이윤태, 정성욱(위원장), 김남수, 김범 |
- 설치목적 환경, 사회, 지배구조에 관한 ESG 경영 실현 및 내부거래에 대한 회사의 내부통제 강화를 통한 지속가능한 성장 실현 - 권한사항 ESG 경영 및 계열사 간 거래 등 내부거래 전반에 대한 심의, 의결 및 감독 |
주1) 감사위원회는 'VI-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주2) 김범 사외이사는 2025년 제3차 이사회에서 ESG위원회 위원으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2) 이사회 내 위원회 활동내역 [재무위원회]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이윤태 | 김훈 |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5.06.18 | 승인 | 1. 인도지점 사업장 이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ESG위원회]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의 성명 | ||||
이윤태 | 정성욱 | 김남수 | 김범 |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5.04.18 | 보고 | 1. '25년 ESG 중점 추진현황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2. 탄소중립 추진현황 보고의 건 | - | - | - | - | ||||
승인 | 1. ESG위원회 위원장 신규 선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라. 이사의 독립성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하며,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이사 후보자는 이사회 등이 선정하여 주주총회에 의안으로 제출하고 있습니다. 이사의 선임 관련하여 관련 법규에 의거한 주주 제안이 있는 경우, 이사회는 적법한 범위 내에서 이를 주주총회에 의안으로 제출하고 있습니다.당사는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자산총액이 2조원 미만이므로 사외이사 후보 추천위원회 설치 의무가 없으며 사외이사의 선임에 있어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엄격한 심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를 선임하게 됩니다.2025년 6월 30일 현재 이러한 절차에 따라 선임된 이사 7명과 각각의 추천인 및 선임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명 | 성명 | 선임배경 | 추천인 | 활동분야(담당업무)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와의 관계 | 임기 | 연임여부 (연임횟수) |
사내이사 | 이윤태 | 삼성전기㈜ 대표 재임 시에 과감한 투자와 전면적인 체질개선을 추진해 삼성전기㈜의 사상최고 실적을 이끌며 회사 성장에 크게 기여하였는바, 이러한 노하우를 통해서 대내외적으로 어려운 환경을 극복하고 지속 성장가능한 글로벌 반도체 팹리스 회사로 성장시켜 주주가치 극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이에 주력 사업의 경쟁력 강화, 미래 신사업 발굴 등 사업 구조 고도화를 지속 추진함과 동시에, 경영Risk에 대한 선제적 대응 및 ESG경영 추진 등 지속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할 수 있는 적입자라 판단되어 대표이사로 선임함. | 이사회 | 대표이사, 이사회의장 | 해당사항 없음 | 계열회사(㈜LX세미콘) 등기임원 | 3년 | - |
사내이사 | 김훈 | ㈜LG 및 ㈜LX인터내셔널 등에서 오랜기간 재무 및 경영관리 전반을 수행하였고, 2022년 당사의 CFO로 선임되어 경영전반에 다양한 경험을 토대로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회사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사내이사로 선임함. | 이사회 | CFO, 내부회계관리자 | 계열회사(㈜LX세미콘) 등기임원 | 3년 | - | |
기타비상무이사 | 노진서 | ㈜LG, LG전자㈜에서의 오랜기간 경영전략, 기획업무 경력을 바탕으로 회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LX그룹 내 계열사 간 시너지 창출을 위하여 Board Member 등과 논의 및 조율하는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여 줄 것으로 기대되어 기타비상무이사로 재선임함. | 이사회 | 전사 경영전반에 대한 업무 | 최대주주(㈜LX홀딩스) 등기임원 | 3년 | 연임 (1회) | |
사외이사 | 김범 | 현재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로 재무전문가 입장에서 경영 전반에 대한 조언 및 많은 경험들이 회사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어 사외이사로 선임함. | 이사회 | 전사 경영전반에 대한 업무, 감사위원장, ESG위원 | 해당사항 없음 | 3년 | - | |
사외이사 | 정성욱 |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에 재직중이며, 글로벌 유수의 반도체 기업들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한 실무경험과 반도체 산업 전반에 대한 뛰어난 전문성으로 회사 의사결정의 전문성 강화 및 당사의 사업 관련 자문 등 사외이사 역할을 적절히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사외이사로 선임함. | 이사회 | 전사 경영전반에 대한 업무, 감사위원, ESG위원장 | 해당사항 없음 | 3년 | - | |
사외이사 | 김남수 | KAIST 전기전자공학과 석/박사를 출신으로, 현재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고, 전기/전자 공학 전문가로서 자사의 제품이나 향후 미래의 사업방향 등을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로 선임함. | 이사회 | 전사 경영전반에 대한 업무, 감사위원, ESG위원 | 해당사항 없음 | 3년 | - | |
사외이사 | 한상범 | 수십년간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연구 및 개발에 힘써온 전문가로서, 자사가 추진하게 될 다양한 신규 투자 사항 들과 같이 중요한 의사결정에 대해서도 탁월한 전문성으로 개선점 및 취약점을 도출하는 등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로 선임함. | 이사회 | 전사 경영전반에 대한 업무 | 해당사항 없음 | 3년 | - |
주1) 이윤태 사내이사는 2024년도 제2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 주2) 김훈 사내이사는 2023년도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 주3) 정성욱 사외이사는 2023년도 제2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 주4) 김남수 사외이사는 2024년도 제2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주5) 한상범 사외이사는 2024년도 제2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주6) 김범 사외이사는 2025년도 제2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
■ 이사회의 권한 내용 1) 이사회는 정관 제5장에 따라 회사 업무의 중요사항을 결의함.2) 이사회는 상법 제393조의2에 의거 다음 각 호의 이사회 심의 및 의결을 거쳐야 함. -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 위원회의 설치와 그 위원의 선임 및 해임 - 정관에서 정하는 사항
마. 사외이사의 전문성
(1) 사외이사 직무수행 지원조직 - CFO 법무팀
- 주요 업무 : 이사회 운영 및 사외이사 직무수행 지원
- 소속팀 직원의 현황 : 8명
부서명 | 직원수 | 직위(근속연수) | 지원업무 담당기간 | 주요활동 내역 |
법무팀 | 8명 | 책임 6명, 선임 2명(평균 1.3년) | 평균 1.3년 | 사외이사에 대한 이사회 안건의 사전 설명,사외이사 직무수행에 필요한 요청사항에 대한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사외이사 워크샵, 세미나 교육 등 개최 및 일정 등 수립 |
주) 근속연수는 당사에 근무한 재직기간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2) 사외이사 대상 교육
[사외이사 교육 및 워크숍 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사외이사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가. 감사위원회
(1)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주1) 김남수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은 2024년도 제2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주2) 김범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2025년도 제26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는 3년입니다.
(2) 감사위원회 위원의 독립성
감사위원회 위원은 전원(3인)이 상법상 결격사유가 없는 사외이사로 구성하여 독립성을 견지하고 있으며, 감사위원 선임은 이사회의 엄격한 심사를 거친 후 주주총회에서 최종적으로 선임되었습니다.당사는 상법 등 관련 법령상의 절차를 준수하고 위원회의 구성, 권한 및 직무영역 등을 감사위원회 규정에 정의하여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선출기준의 주요내용 | 선출기준의 충족여부 | 관련 법령 등 |
3명의 이사로 구성 | 충족(3명) | 상법 제415조의2 제2항 |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 2 이상 | 충족(전원 사외이사) | |
위원 중 1명 이상은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 충족(김범 1인) |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
감사위원회의 대표는 사외이사 | 충족 | |
그 밖의 결격요건(최대주주의 특수관계자 등) | 충족(해당사항 없음) | 상법 제542조의11 제3항 |
감사위원 | 선임배경 | 추천인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와의 관계 |
김범 | 재무 및 회계 전문가로서 적임자로 판단되어 선임 | 이사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정성욱 | 반도체 전문가로서 적임자로 판단되어 선임 | 이사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남수 | 전기/전자 공학 전문가로서 적임자로 판단되어 선임 | 이사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3) 감사위원회의 활동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 비고 | |||
위경우 (출석률: 100%) | 정성욱 (출석률: 100%) | 신영수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1 | 2025.01.22 | 보고 | 1. 2024년 4분기 경영실적 및 2024년 연간실적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 - | |||||
3. 제26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보고의 건 | - | - | - | |||||
4. 외부감사인의 감사진행 상황보고의 건 | - | - | - | |||||
승인 | 1. 외부감사인의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에 관한 사항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2 | 2025.02.18 | 승인 |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평가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2.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평가의견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3.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 비고 | |||
김범 (출석률: 100%) | 정성욱 (출석률: 100%) | 김남수 (출석률: 100%) | ||||||
찬반여부 | ||||||||
3 | 2025.04.25 | 보고 | 1.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보고의 건 | 보고사항 | - | - | - | - |
2. 외부감사인의 연간 감사계획 및 감사진행 상황 보고의 건 | - | - | - | |||||
승인 |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 외부감사인 감사활동 확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감사위원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5)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나. 준법지원인에 관한 사항 (1) 준법지원인의 인적사항 및 주요경력
성 명 | 출생연월 | 주요경력 | 선임일 |
양희향 | 1981.09. | - 고려대학교 법학 학사 - 변호사(한국) - 법무법인 로드맵 변호사 - 새마을금고중앙회 법무팀 - ㈜LX세미콘 법무팀 | 2023.07.26 |
주) 양희향 준법지원인은 변호사로서, 상법 제542조의13 제5항에 따른 준법통제기준 및 준법지원인의 요건을 갖추었습니다.
(2) 준법지원인 등의 주요 활동내역 및 그 처리결과
당사의 준법통제기준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그 준수여부를 점검한 결과 당사의 준법통제기준은 다음과 같이 제반 법규 및 표준 준법통제기준에 따라 유효하게 작성되어 준수되고 있습니다.
점검 일시 | 주요 점검 내용 | 점검 결과 |
상시 | 상법에서 정하는 사항이 준법통제기준에 규정되어 있는지 확인 | 준법통제기준의 내용- 상법 및 표준 준법통제기준의 요구사항에 따라 적정하게 제정됨. |
준법통제 체제, 절차, 장치, 교육, 준법지원인 관련 사항 등이유효하게 구축되어 있는지 확인 | 법적 위험의 평가 및 관리체제- 법적 위험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세부적 점검 항목을 준비 중임. | |
준법지원인의 독립적 업무수행체제- 준법지원인은 이사회에서 선임되었으며, 임기가 보장되어 있음. | ||
위반행위에 대한 제재체제- 관련 내용이 취업규칙, 징계규정에 적정하게 반영됨. | ||
준법점검 및 보고체제- 관련 내용이 취업규칙, 징계규정에 적정하게 반영됨. | ||
위험 행위 유형화, 준법점검, 준법지원인 관련 사항 등이적절히 수행되고 있는지 확인 |
준법점검 및 보고체제- 연간 상시 준법점검 실시를 준비 중이고, 이사회에 보고하는 프로세스를 마련하여 운영함. |
(3)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투표제도, 소수주주권, 경영권 경쟁, 주식사무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
기타 법률에 의하여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 = A - B - C - D + E) | |||
나.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 안건 | 결의내용 |
제26기 정기주주총회 (2025.03.20) | 1. 제26기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이사 선임의 건 - 사외이사 김범 3.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감사위원 김범 4.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 |
제25기 정기주주총회 (2024.03.21) | 1. 제25기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변경 승인의 건 3. 이사 선임의 건 3-1호 : 사내이사 이윤태 선임의 건 3-2호 : 기타비상무이사 노진서 선임의 건 3-3호 : 사외이사 한상범 선임의 건 4.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 사외이사 김남수 5.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제24기 정기주주총회 (2023.03.23) | 1. 제24기 연결재무제표 및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변경 승인의 건 3. 이사 선임의 건 3-1호 : 사내이사 손보익 선임의 건 3-2호 : 사내이사 김훈 선임의 건 3-3호 : 사외이사 정성욱 선임의 건 4.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사외이사 정성욱 5.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가결 |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계 | |||||||
주) 이윤태 대표이사는 2024년 1월 23일 장내매수를 통해 2,500주를 신규취득 하였습니다.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최대주주와 관련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주) 출자자수는 2024년 12월 31일이며, 지분율은 보통주 기준입니다.
[법인 또는 단체의 대표이사, 업무집행자, 최대주주의 변동내역]
변동일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주1) 2021년 5월 3일 이사회를 통해 구본준, 송치호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2) 2021년 12월 14일 주식 장외매매로 최대주주가 구광모 ㈜LG 대표이사 회장에서 구본준 ㈜LX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주3) 2021년 12월 27일 구본준 ㈜LX홀딩스 대표이사 회장의 주식 증여로 지분율이 하락하였습니다.주4) 2022년 3월 29일 송치호 대표이사가 사임하였으며, 2022년 3월 29일 노진서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주5) 지분율은 보통주식 기준입니다.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당사 최대주주인 ㈜LX홀딩스의 2024년 12월말 기준 재무현황입니다.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
자산총계 | |
부채총계 | |
자본총계 | |
매출액 | |
영업이익 | |
당기순이익 |
주1) 2024년 12월말 별도재무제표 기준입니다.주2) 2025년 6월말 재무현황은 2025년 8월 내에 공시될 ㈜LX홀딩스 반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당사 최대주주인 ㈜LX홀딩스는 2021년 5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LG로부터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으며, 2021년 5월 27일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되었습니다. ㈜LX홀딩스는 2025년 6월말 현재 ㈜LX인터내셔널, ㈜LX하우시스, ㈜LX세미콘, ㈜LX엠엠에이, ㈜LX엠디아이, ㈜LX벤처스의 주식 소유를 통해 제반사업 내용을 지배하는 지주회사 입니다. ㈜LX홀딩스의 주 수입원은 배당수익, 상표권 사용수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 최대주주 변동내역
(기준일 : |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주1) 기존 최대주주였던 ㈜LG의 인적분할에 따라 최대주주가 ㈜LG에서 ㈜LX홀딩스로 변경되었습니다(분할등기일 2021년 5월 3일).주2) 상기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은 최대주주 변동일 당시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이 소유하고 있는 주식을 합산하였습니다.
주식의 분포,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사항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반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습니다.(사업보고서에 기재 예정)
가. 임원의 현황
(기준일 : | )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
의결권있는 주식 | 의결권없는 주식 | |||||||||||
주1) 미등기임원(나준호, 전현규, 문용환)의 경우 우리사주(무상주) 배정분을 포함하였습니다.주2) 김훈 사내이사는 어드밴스드파워디바이스테크놀로지㈜의 이사직을 겸직하고 있습니다.주3) 나준호 부사장는 2025년 1월 1일자로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하였습니다. 주4) 윤호권 전무는 2025년 1월 1일자로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하였습니다.주5) 조장호 전무는 2025년 1월 1일자로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하였습니다.주6) 문용환 이사는 2025년 1월 1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주7) 박진우 이사는 2025년 1월 1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주8) 이종화 이사는 2025년 1월 1일자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9) 김범 이사는 2025년 3월 20일에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10) 위경우 이사는 2025년 3월 20일에 사외이사 임기가 만료되었습니다. 주11) 김언영 이사는 2025년 3월 31일에 퇴임하였습니다.주12) 황경하 이사는 2025년 3월 31일에 퇴임하였습니다. [임원의 겸직현황]
성명 | 직명 | 겸직현황 | 상근여부 |
노진서 | 기타비상무이사 | ㈜LX홀딩스 대표이사 | 상근 |
㈜LX하우시스 대표이사 | 상근 | ||
㈜LX엠엠에이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엠디아이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벤처스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글라스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나. 직원 등의 현황
(기준일 : | ) |
직원 | 소속 외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근속연수 | 연간급여총 액 | 1인평균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없는 근로자 | 기간제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전체 | (단시간근로자) | ||||||||||
합 계 |
(1) 육아지원제도 사용 현황
구분 | 당반기(27기) | 전기(26기) | 전전기(25기) |
육아휴직 사용자수(남) | 12 | 11 | 12 |
육아휴직 사용자수(여) | 8 | 12 | 6 |
육아휴직 사용자수(전체) | 20 | 23 | 18 |
육아휴직 사용률(남) | 5% | 5% | 4% |
육아휴직 사용률(여) | 50% | 67% | 75% |
육아휴직 사용률(전체) | 17% | 19% | 9%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남) | 5 | 11 | 3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여) | 3 | 8 | 4 |
육아휴직 복귀 후12개월 이상 근속자(전체) | 8 | 19 | 7 |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수 | 3 | 8 | 8 |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수 | 25 | 35 | 51 |
주1) 육아휴직 사용자수: 당해 육아휴직을 시작한 근로자수주2) 육아휴직 사용률: 당해 출산자녀에 대해 육아휴직 사용한 근로자수/당해 출생자녀가 있는 근로자수주3) 육아기 단축근무제 사용자수: 당해 육아기 단축근무제를 시작한 근로자수주4) 배우자 출산휴가 사용자수: 당해 배우자출산휴가를 시작한 근로자수 (2) 유연근무제도 사용 현황
구분 | 당반기(27기) | 전기(26기) | 전전기(25기) |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 활용함 | 활용함 | 활용함 |
시차출퇴근제 사용자수 | 0 | 0 | 0 |
선택근무제 사용자수 | 1,465 | 1,460 | 1,543 |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 사용자수 | 439 | 834 | 513 |
주1) 선택근무제 사용자수: 당해 연말(공시서류작성기준일) 재직자수주2) 원격근무제(재택근무 포함) 사용자수: 당해 1회 이상 원격근무제(재택근무)를 시행한 근로자수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가.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 현황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주) 당사는 정관 제38조에 따라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친「임원 퇴직금 지급 규정」에 근거하여 이사의 퇴직금을 지급하므로, 상기 주주총회 승인 보수 한도에는 퇴직금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2) 보수지급금액
[이사ㆍ감사 전체]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주1) 인원수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으로, 기타비상무이사(노진서)를 제외하였습니다.주2) 보수총액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59조, 동법 시행령 제168조에 따라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또는 퇴임한 등기이사ㆍ사외이사ㆍ감사위원회 위원이 지급받은 소득세법상의 소득 금액입니다. 당해 사업연도 중 신규 선임 또는 퇴임한 이사의 미등기임원 재임 시 보수 금액을 포함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유형별]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감사위원회 위원 | ||||
감사 |
주1) 인원수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으로, 기타비상무이사(노진서)를 제외하였습니다.주2) 보수총액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59조, 동법 시행령 제168조에 따라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또는 퇴임한 등기이사ㆍ사외이사ㆍ감사위원회 위원이 지급받은 소득세법상의 소득 금액입니다. 당해 사업연도 중 신규 선임 또는 퇴임한 이사의 미등기임원 재임 시 보수 금액을 포함하여 산정하였습니다.주3) 감사위원회 위원 1인당 평균 지급액은 보수총액을 보고서 작성기준일 기준 인원수(4명)로 나누어 계산하였으며, 임기가 만료된 위경우 전 감사위원장의 보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보수지급기준] 이사ㆍ감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은 금액 내에서 해당 직위, 담당 직무 등을 감안하여 이사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집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 지급근거 | 보수체계 | 보수결정 시 평가항목 |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집행임원 인사관리 규정 | 기본연봉, 역할급, 임원 성과급 | - 기본연봉 : 물가상승률, 대외경쟁력, 재무성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 역할급 : 직책/직무 및 역할의 중요도를 종합적으로 고려 - 임원성과급 : 사업 및 개인 성과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사외이사 보수 지급기준 | 매월 정액 지급 | - 사외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은 한도 내에서 당사 경영실적, 대외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집행함. |
감사위원회 위원 | 사외이사 보수 지급기준 | 매월 정액 지급 | - 사외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은 한도 내에서 당사 경영실적, 대외 경쟁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이사회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집행함. |
나.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 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이윤태 | 근로소득 | 급여 | 575 |
1. 기본급 - 이사회에서 결정된 임원보수규정에 의거 직급 등을 고려하여 411백만원을 지급함. 2. 역할급 - 직무 및 역할의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64백만원을 지급함. |
상여 | 285 | - 임원보수규정 중 특별 상여금 규정에 따라 성과평가를 기준으로 이사회에서 결정함. - 전년도 회사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으로 구성된 계량 지표와 핵심과제 평가, 미래준비를 위한 중장기 중점추진과제 등 비계량지표를 평가하여, 상여금 285백만원을 산출 ㆍ 지급하였음.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 근로소득 | 8 | 사내규정에 따른 복리후생비 등으로 지급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이윤태 | 근로소득 | 급여 | 575 |
1. 기본급 - 이사회에서 결정된 임원보수규정에 의거 직급 등을 고려하여 411백만원을 지급함. 2. 역할급 - 직무 및 역할의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64백만원을 지급함. |
상여 | 285 | - 임원보수규정 중 특별 상여금 규정에 따라 성과평가를 기준으로 이사회에서 결정함. - 전년도 회사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으로 구성된 계량 지표와 핵심과제 평가, 미래 준비를 위한 중장기 중점추진과제 등 비계량지표를 평가하여, 상여금 285백만원을 산출 ㆍ 지급하였음.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 근로소득 | 8 | 사내규정에 따른 복리후생비 등으로 지급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구본준 | 근로소득 | 급여 | 591 |
1. 기본급 - 이사회에서 결정된 임원보수규정에 의거 직급 등을 고려하여 591백만원을 지급함. |
상여 | 244 | - 임원보수규정 중 특별 상여금 규정에 따라 성과평가를 기준으로 이사회에서 결정함. - 전년도 회사의 매출액, 영업이익 등으로 구성된 계량 지표와 핵심과제 평가, 미래 준비를 위한 중장기 중점추진과제 등 비계량지표를 평가하여, 상여금 244백만원을 산출ㆍ지급하였음.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 근로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퇴직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
기타소득 | - | 해당사항 없음 |
라.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해당 기업집단의 명칭 및 소속 회사의 명칭 가. 계열회사의 현황(요약) - 기업집단명 : 엘엑스- 소속회사명 : ㈜엘엑스세미콘 (법인등록번호 : 160111-0089395)당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의거, 엘엑스 계열에 속한 회사로 2024년 12월 31일 현재 엘엑스계열에는 총 17개의 국내 계열회사(상장사 4개사, 비상장사 13개사)가 있습니다.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나. 계열회사간의 지배ㆍ종속 및 출자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계통도
2. 계열회사 중 회사의 경영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회사명과 내용
회사명 | 내용 |
㈜LX홀딩스 | 지주회사 |
3. 회사와 계열회사 간 임원 겸직 현황
[기준일: 2025. 06. 30] |
성명 | 직위 | 겸직현황 | ||
겸직회사명 | 겸직회사 직위 | 상근여부 | ||
노진서 | 기타비상무이사 | ㈜LX홀딩스 | 대표이사 | 상근 |
㈜LX하우시스 | 대표이사 | 상근 | ||
㈜LX엠엠에이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엠디아이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벤처스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
㈜LX글라스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4.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일반투자 | |||||||
단순투자 | |||||||
계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가.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자세한 내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의 '5. 재무제표 주석' 중 '27. 특수관계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회사 또는 자회사 등이 소송 당사자로 되거나 회사 또는 자회사 등의 재산을 대상으로 소송이 제기된 경우로서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소송사건은 없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기준일 : 2025년 6월 30일) | (단위 : 매, 백만원) |
제 출 처 | 매 수 | 금 액 | 비 고 |
---|---|---|---|
은 행 | - | -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 | - |
법 인 | - | - | - |
기타(개인) | - | - | - |
다. 채무보증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그 밖의 우발채무 등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제재현황 당사 또는 당사의 임직원이 공시대상기간에 회사의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상법,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자본시장법),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외감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공정거래법) 등 국내외 금융 및 조세 관련 법령을 위반하여 형사처벌 및 행정상의 조치를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또한 금융위원회로부터 임원선임ㆍ재임 제한명령, 해임요구 등을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한국거래소 등 금융감독당국으로부터 제재조치를 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합병 등의 사후정보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녹색경영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회사 여부 |
---|---|---|---|---|---|---|
㈜LX홀딩스, ㈜LX인터내셔널, ㈜LX세미콘, ㈜LX하우시스 등 17개 회사는 2024년 12월 31일 현재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가. 국내법인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비상장 | |||
나. 해외법인
번호 | 계열회사명 | 소재국 |
1 | LX Hausys America,Inc. | 미국 |
2 | LX Hausys Europe GmbH | 독일 |
3 | LX Hausys India Private Limited | 인도 |
4 | LX Hausys RUS,LLC. | 러시아 |
5 | LX Hausys Tianjin Co., Ltd. | 중국 |
6 | LX Hausys (Wuxi) Co., Ltd. | 중국 |
7 | LX Hausys Canada, Inc. | 캐나다 |
8 | LX Hausys Mexico., Ltd. | 멕시코 |
9 | LX PANTOS LOGISTICS (BEIJING) CO., LTD. | 중국 |
10 | LX PANTOS SOLUTIONS INDIA PVT. LTD. | 인도 |
11 | LX PANTOS EGYPT, S.A.E. | 이집트 |
12 | LX PANTOS LOGISTICS (QINGDAO) CO., LTD. | 중국 |
13 | LX PANTOS LOGISTICS (SHANGHAI) CO., LTD. | 중국 |
14 | LX PANTOS LOGISTICS (HONGKONG) CO., LTD. | 중국 |
15 | LX PANTOS LOGISTICS TAIWAN CO., LTD. | 대만 |
16 | PT. LX PANTOS INDONESIA | 인도네시아 |
17 | PT. LX PANTOS JAKARTA | 인도네시아 |
18 | LX PANTOS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19 | LX PANTOS INDIA PVT. LTD. | 인도 |
20 | LX PANTOS (CAMBODIA) CO., LTD. | 캄보디아 |
21 | LX PANTOS AUSTRALIA PTY LTD. | 호주 |
22 | LX PANTOS HOLDINGS (THAILAND) CO., LTD. | 태국 |
23 | LX PANTOS U.K. LTD. | 영국 |
24 | LX PANTOS NETHERLANDS B.V. | 네덜란드 |
25 | LX PANTOS FRANCE S.A.R.L. | 프랑스 |
26 | LX PANTOS POLAND SP. Z O. O. | 폴란드 |
27 | LX PANTOS GERMANY GMBH | 독일 |
28 | LX PANTOS SPAIN, SLU | 스페인 |
29 | LX PANTOS TURKEY LOJISTIK VE TICARET LTD. STI. | 튀르키예 |
30 | LX PANTOS MEXICO S.A. DE C.V. | 멕시코 |
31 | LX PANTOS LOGISTICA DO BRASIL LTDA. | 브라질 |
32 | LX PANTOS COLOMBIA S.A.S | 콜롬비아 |
33 | LX PANTOS CHILE SPA | 칠레 |
34 | LX PANTOS PANAMA, S.A | 파나마 |
35 | LX PANTOS RUS LLC | 러시아 |
36 | PANTOS LOGISTICS KAZAKHSTAN LTD. | 카자흐스탄 |
37 | PANTOS LOGISTICS UKRAINE LTD. | 우크라이나 |
38 | PANTOS LOGISTICS L.L.C. (DUBAI) | 아랍에미리트 |
39 | LX PANTOS ARABIA CO., LTD. | 사우디아라비아 |
40 | LX PANTOS JAPAN INC. | 일본 |
41 | LX PANTOS AMERICA, INC. | 미국 |
42 | LX PANTOS SOLUCOES LOGISTICAS DO BRASIL LTDA. | 브라질 |
43 | LX PANTOS SWEDEN AB. | 스웨덴 |
44 | LX PANTOS HUNGARY KFT. | 헝가리 |
45 | LX PANTOS SINGAPORE PTE. LTD. | 싱가포르 |
46 | LX PANTOS VIETNAM CO., LTD. | 베트남 |
47 | LX PANTOS PHILIPPINES, INC. | 필리핀 |
48 | LX PANTOS LOGISTICS (NINGBO) CO., LTD. | 중국 |
49 | LX PANTOS LOGISTICS (SHENZHEN) CO., LTD. | 중국 |
50 | LX PANTOS ARGENTINA S.A. | 아르헨티나 |
51 | LX PANTOS (THAILAND) CO., LTD. | 태국 |
52 | LPIC TN LLC | 미국 |
53 | BOXLINKS LLC | 미국 |
54 | PT PELAYARAN PUTRA LINTAS MANDIRITAMA | 인도네시아 |
55 | PANTOS BUSINESS SERVICES (TIANJIN) CO., LTD. | 중국 |
56 | STARLINKS LLC | 미국 |
57 | NA INLAND VENTURES LLC | 미국 |
58 | BLUELINKS LLC | 미국 |
59 | BLUELINKS 342 LLC | 미국 |
60 | BLUELINKS 128 LLC | 미국 |
61 | PT. Global Investment Institusi | 인도네시아 |
62 | Korea Carbon International Co., Ltd. | 중국 |
63 | LX International Yakutsk LLC. | 러시아 |
64 | LX International (America), Inc. | 미국 |
65 | Bowen Investment (Australia) Pty Ltd | 호주 |
66 | LX International (Shanghai) Corp. | 중국 |
67 | LX International (Deutschland) GmbH | 독일 |
68 | LX International (HK) Ltd. | 중국 |
69 | LX International Japan Ltd. | 일본 |
70 | LX_International (Singapore) Pte.Ltd. | 싱가포르 |
71 | Philco Resources Limited | 말레이시아 |
72 | PT. Batubara Global Energy | 인도네시아 |
73 | PT. Green Global Lestari | 인도네시아 |
74 | PT. LX International Indonesia | 인도네시아 |
75 | Resources Investment (H.K.) Limited | 중국 |
76 | Steel Flower Electric & Machinery (Tianjin) Co., Ltd. | 중국 |
77 | Colmineral, S.A. de.C.V. | 멕시코 |
78 | PT. Ganda Alam Makmur | 인도네시아 |
79 | LX International India Private Limited | 인도 |
80 | Fertilizer Resources Investment Limited | 중국 |
81 | PT. Binsar Natorang Energi | 인도네시아 |
82 | Haiphong Steel Flower Electrical & Machinery Company Limited | 베트남 |
83 | PT. Tintin Boyok Sawit Makmur Dua | 인도네시아 |
84 | PT. Parna Agromas | 인도네시아 |
85 | PT. Grand Utama Mandiri | 인도네시아 |
86 | PT. Tintin Boyok Sawit Makmur | 인도네시아 |
87 | PT. Green Global Utama | 인도네시아 |
88 | PT. Energy Metal Indonesia | 인도네시아 |
89 | PT. Mega Global Energy | 인도네시아 |
90 | PT. Megaprima Persada | 인도네시아 |
91 | KM Resources Ltd.(Rapu-Rapu) | 말레이시아 |
92 | LHC Solar, LLC. | 미국 |
93 | Ordos Lezheng Trading Company Limited | 중국 |
94 | PT. Kinarya Prima Utama | 인도네시아 |
95 | PT. Energy Battery Indonesia | 인도네시아 |
96 | PT. Adhi Kartiko Pratama | 인도네시아 |
97 | PT. Terum Konawe Utara | 인도네시아 |
98 | PT. Trans Global Terminal | 인도네시아 |
99 | LX Semicon U.S.A., Inc | 미국 |
100 | LX Semicon China Co., Ltd. | 중국 |
101 | LX Semicon Japan Co., Ltd. | 일본 |
102 | LX Semicon Taiwan Co., Ltd. | 대만 |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합 계 |
주1) LX Semicon U.S.A., Inc 및 LX Semicon China Co., Ltd.와 LX Semicon Japan Co., Ltd.는 12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4년 12월 31일자 기준입니다.주2) LX Semicon Taiwan Co. Ltd.는 2024년 5월 신설된 12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4년 12월 31일자 기준입니다.주3) 어드밴스드파워디바이스테크놀로지㈜는 3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5년 3월 31일자 기준입니다.주4) FJ Composite Materials Co.,LTD는 5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5년 5월 31일자 기준입니다.주5) ㈜텔레칩스는 12월 결산법인으로 최근 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4년 12월 31일자 기준이며, 지분율은 보유주식수를 유통주식수로 나눈 유효지분율입니다.주6) 엘엑스벤처스신기술사업투자조합 1호는 12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4년 12월 31일자 기준입니다.주7) ㈜뉴라텍은 12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4년 12월 31일자 기준입니다.주8) 대덕인베스트먼트㈜는 12월 결산법인으로 최근사업연도의 총자산 및 당기순손익은 2024년 12월 31일자 기준입니다.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