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12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코셈 | |
대 표 이 사 : | 이준희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99, 201호 | |
(전 화)042-861-1685 | ||
(홈페이지)http://www.cox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경영지원본부장 | (성 명)김주봉 |
(전 화)042-861-1685 | ||
(제18기 정기) |
주주님들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제18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제18기 정기주주총회에 대한 소집통지와 관련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 4,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다 음 -
1. 개최일시: 2025년 03월 26일(수) 오전 09시 00분
2. 장소: 대전시 유성구 테크노9로 35 대전테크노파크 어울림프라자 대강당3. 회의목적 사항가. 보고사항 1)감사보고 2)영업보고 3)외부감사인 선임보고나. 의결사항제1호 의안 : 제18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4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액의 건
4.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 행사: 본인 신분증, 주주총회 참석장
- 대리 행사: 위임장, 위임인의 신분증사본, 대리인의 신분증
- 신분증 미지참 시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서면결의>- 당사 정관 제29조에 의거하여 정기주주총회 전일까지 서면결의서를 회신하시는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기타 참고사항
사업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금융감독원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최문기(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06 | 1.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모집 승인의 건 | 찬성 |
2 | 2024.02.26 | 1. 제1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임원퇴직금 규정 개정의 건3.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4.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5. 이사 선임의 건6. 사외이사 중임의 건7. 위임전결규정 개정의 건8. 제1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3 | 2024.03.29 | 1. 규정 개정의 건2. 신규 투자 검토의 건 | 찬성 |
4 | 2024.04.22 | 1. 신규투자 진행의 건 | 찬성 |
5 | 2024.10.11 | 1. 운전자금 차입의 건 | 찬성 |
6 | 2024.12.13 | 1. 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600,000,000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시장의 특성
가) SEM 시장최근 정보기기들의 극소화 추세뿐만 아니라 첨단 소재 분야에서도 극미세 기술의 산업화로 인해 미세구조물 또는 재료의 표면 형상에 대한 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전세계적으로 나노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나노물질의 구조와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주사전자현미경은 필수적으로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나노기술, 반도체, 재료과학 및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과 정부의 막대한 투자가 주사전자현미경에 대한 수요를 주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산업화 및 R&D 투자 또한 전세계적으로 주사전자현미경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연구용 전자현미경은 주로 바이오소재, 나노복합소재 등 재료연구에 사용되며 가장 큰 시장은 대학교와 기업연구소입니다. 산업용 전자현미경은 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이차전지 등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분석장비로 확용하고 있습니다.나)시료전처리 시장단면식각 제작장치의 활용은 반도체, 세라믹, 제지, 배터리, 폴리머, 자연과학, 미세입자의 내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적층 구조물의 상태나 내부 결함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전자현미경을 사용함에 있어서 얇은 상태의 시료를 만들기 위하여 TEM, STEM, EELS와 같은 시료 전처리 장비로 사용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단순 식각 방식이 아닌 대면적 식각방식을 접목하여 흔히 사용하는 Polisher와 동등하게 대면적으로 식각이 가능하고 더욱 정밀하게 식각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로써 재료 내부의 결정립 (Grain)과 결정립계 (Grain Boundary)를 관찰이 가능해짐으로써 EBSD측정을 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에 사용하는 곳에 필수적으로 이온밀링시스템 장비를 사용을 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관찰하고자 하는 시편의 기계적(전통적인 방식)인 폴리싱의 한계로 인하여 이온빔 시편 가공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이차전지, 커넥터의 코팅층, MLCC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의 연구개발에서 단면 관찰은 필수가 되었으며, 이를 정확히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이온빔을 통한 단면 가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2)산업의 연혁
광학현미경의 해상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과학자들은 가시광선보다 더 짧은 파장을 가진 파동을 광원으로 이용한 현미경을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1931년 독일의 물리학자 에른스트 러스카(Ernst Ruska)와 막스 크놀(Max Knoll)은 전자를 진공 속에서 가속시킴으로써 가시광선 파장의 10만분에 1에 이르는 짧은 파동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전자의 성질을 이용한 투과전자현미경(TEM)의 프로토 타입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러스카는 1933년 광학현미경의 성능을 뛰어넘는 투과전자현미경(12,000배)을 세상에 선보였고 이 업적을 인정받아 1986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후 러스카는 1939년 독일 Siemens사를 통해 전자현미경을 상용화시켜 많은 사람들이 연구개발에 전자현미경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투과전자현미경은 전자를 가속한 전자빔이 얇게 자른 시료를 통과하면서 형광 스크린에 상을 맺어 보여주는 원리로 100nm 수준의 얇은 시료만 관찰이 가능하다는 한계가 존재하였습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잘 관찰할 수 없는 두꺼운 시료를 관찰하고 싶었던 과학자인 벨기에의 만드레드 본아덴(Manfred von Ardenne)은 전자빔으로 시료의 표면을 쏘일 때 시료로부터 튕겨져 나온 전자를 측정할 수 있는 주사전자현미경(SEM)을 1937년에 개발하였습니다.
이후 영국의 Cambridge 학파가 설립한 Cambridge Science Instrument에서 1962년 “Steroscan”이라는 SEM을 처음 상용화하였고 1964년 미국의 Dupont에 설치되어 제품을 출시하였습니다. 1970년에는 3.0MV(hitachi HU-1000) 초고압 전자현미경이 개발되어 두꺼운 생물시료의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1972년에는 고분해능 주사전자현미경이라고 할 수 있는 FE-SEM이 개발(Hitachi HFS-2)되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세포의 내부구조 및 세포소기관의 관찰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1989년에는 SEM 뿐만이 아니라 TEM에서 적용이 가능한 FE-TEM이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근대에는 저진공으로 하여 시료의 Charge-up 현상을 방지함으로서 시료에 coating을 하지 않고도 관찰이 가능한 저진공 주사현미경(JEOL의 JSM-5400)이 개발되었습니다.
2017년에는 저온전자현미경 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스위스의 자크 뒤보셰와 미국의 요아힘 프랑크, 영국의 리처드 핸더슨이 공동으로 노벨화학상을 수상하는 등 현재에도 전자현미경은 다양한 측면에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구 및 산업 전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3)수요 변동요인
주사전자현미경의 수요는 최종 사용자가 속한 산업을 기반으로 크게 반도체 및 전자공학, 헬스케어 및 생명공학, 재료과학, 기타 분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나노기술, 반도체, 재료과학 및 생명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과 정부의 막대한 투자가 주사전자현미경에 대한 수요를 주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의 광범위한 산업화 및 R&D 투자 또한 전세계적으로 주사전자현미경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주사전자현미경 시장을 활용산업으로 분석한 결과, 반도체&전자공학 시장이 2022년 기준 7.41억 달러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다음은 헬스케어&생명공학 6.56억 달러 및 재료과학 3.62억 달러 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러나 추후 재료과학 분야에서 전분야 연평균 시장 성장률 6.2%을 상회하는 8.2% 성장이 예상되어 주사전자현미경 사용 범위가 더욱 확장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렇게 주사전자현미경의 사용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서 당사가 판매하고 있는 시료전처리 장비 및 융합SEM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주요사업은 나노 단위의 미세물 분석을 위한 주사전자현미경(SEM)과 그 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입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시료의 나노 수준까지 관찰할 수 있는 대표적인 측정 장비로써 최근 정보기기들의 극소화 추세뿐만 아니라 첨단 소재 분야에서도 극미세 기술의 산업화로 인해 미세구조물 또는 재료의 표면 형상에 대한 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어 사용 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 제품은 주사전자현미경(SEM), Tabletop 형태로 소형화한 주사전자현미경(Tabletop SEM) 및 전처리장비(이온밀러(IP), 이온코터(SPT))이며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제품으로는주사전자현미경 기술을 응용한 이온밀링 결합 주사전자현미경(IP-SEM), 대기압 주사전자현미경(A SEM) 등이 있습니다.대기업의 중앙연구소나 공동연구기관 등과 같이 전문가 수준의 사용자가 있어 전문적으로측정 관찰을 하는 형태가 아닌 개별화된 연구실, 전문가가 없는 산업현장에서 바로 사용할수 있도록 전자현미경의 소형화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당사는 2010년 초부터 이러한 트랜드를 파악하고 소형 전자현미경 시장에 집중하여 현재 Tabletop SEM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Tabletop SEM의 성능 향상과 확장성 및 편의성 증대는 Tabletop SEM이 기존의 보조적 역할에서 주력 전자현미경으로 활용되도록 변화하고 있습니다.당사는 Tabletop SEM 시장을 성공적으로 개척하며 Tabletop SEM의 핵심 플레이어로 자리잡은 이후 이를 발판 삼아 전자현미경의 기반 기술을 이용 다양한 기술을 전자현미경에 융합하고 있습니다. 이온밀러(IP)를 위한 고성능 이온건 기술을 연구를 통하여 기술을 내재화하였으며 2020년 이온밀러를 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SEM에 이온밀러를 통합하여 IP-SEM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공기 중에 위치하는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A SEM 기술은 SEM에서의 진공을 잡아야 하는 한계를 해결할 수 있어 더 범용적인 전자현미경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공지능에 의해 제어되는 AI-SEM 기술은 조작이 복잡하여 신규사용자에게 어려운 전자현미경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로 당사는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국내 영업은 직접판매 및 딜러를 통한 간접 판매를 병행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 수출의 경우 주요 24개 국가 17개 대리점 및 11개의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간접판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고객층은 전세계에 걸쳐 매우 다변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정 고객에 대한 의존성이 낮고 특정 지역의 경기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우리회사는 주사전자현미경(SEM)과 그 주변기기 제조 및 판매를 단일사업부분(기타측정, 시험, 항해, 제어 및 정밀기기 제조업(C27219))으로 영위하는 업체임. 따라서 공시대상의 요건을 갖춘 사업부문이 없으므로 사업의 내용을 부분별로 구분하여 표시하지 않습니다.
(2) 시장의 특성
가) Tabletop SEM당사의 주력 모델인 Tabletop SEM시장은 Normal SEM 수준의 높은 배율(수십만배)을 요구하지 않는 시장 수요를 기반으로 기획되어 개발되었습니다. 예전에는 Tabletop SEM이 일반적인 전자현미경의 업무 분산을 위해 사용되었다면, 최근에는 Normal SEM이 가지는 성능과 기능을 가지게됨으로써 Normal SEM의 시장 영역을 일부 대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사용자가 실제로 전자현미경을 사용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배율을 Tabletop SEM의 제공 배율 내에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경쟁사 대비 가장 높은 배율인 15만배를 제공하고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Tabletop SEM의 고사양화(높은 배율 요구, 빠른 스캔 속도 요구, 기능 자동화 요구) 및 높은 확장성(Normal SEM과 동등한 수준의 다양한 분석이 가능한 주변 장치 장착여부)의 요구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하고 있습니다.나) 시료전처리 시장
High-end 전자현미경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분야에서의 수요 증가와 현미경의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온밀링 시스템 시장이 주도되고 있습니다. 특히 식각에 많이 이용되는 FIB (Focused Ion Beam) 장비가 고가이기 때문에 나노 산업 발전과 더불어 저비용과 고효율을 얻을 수 있는 이온밀러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관찰하고자 하는 시편의 기계적(전통적인 방식)인 폴리싱의 한계로 인하여 이온빔 시편 가공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분야는 반도체 제조로써 반도체 제조 공정에는 식각, 리소그래피, 에칭, 도핑 및 적층이 포함되기 때문에 반도체 제고 공정 관리에 있어 계측 및 검사로써의 필수적입니다. 더불어 이차전지, 커넥터의 코팅층, MLCC 등과 같이 다양한 소재의 연구개발에서 단면 관찰은 필수가 되었으며, 이를 정확히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이온빔을 통한 단면 가공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우리회사는 당해 사업연도 또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결성된 구체화된 사업이 없습니다.
(4)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내용은 'III.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18(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7(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코셈과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주 석 | 제 18(당) 기말 | 제 17(전) 기말 | ||
---|---|---|---|---|---|
자 산 | |||||
I.유동자산 | 24,218,841,589 | 13,594,001,652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6,7 | 12,052,202,478 | 1,945,959,629 | ||
매출채권 | 4,6,8 | 3,374,374,599 | 2,405,344,341 | ||
기타금융자산 | 6,8 | 2,326,699,617 | 3,923,288,299 | ||
기타유동자산 | 12 | 307,657,990 | 304,938,369 | ||
당기법인세자산 | 19 | 50,875,935 | - | ||
재고자산 | 9 | 6,107,030,970 | 5,014,471,014 | ||
II.비유동자산 | 3,901,563,779 | 2,516,931,071 | |||
기타금융자산 | 6,8 | 652,958,824 | 629,740,328 | ||
유형자산 | 10,33 | 1,576,329,086 | 551,707,884 | ||
무형자산 | 11,13 | 383,581,768 | 160,123,943 | ||
기타비유동자산 | 12 | 80,116,920 | 49,800,000 | ||
이연법인세자산 | 19 | 1,208,577,181 | 1,125,558,916 | ||
자 산 총 계 | 28,120,405,368 | 16,110,932,723 | |||
부 채 | |||||
I.유동부채 | 3,530,013,606 | 2,827,010,211 | |||
매입채무 | 4,6,14 | 1,384,678,855 | 1,396,538,083 | ||
기타금융부채 | 4,6,14 | 142,365,131 | 134,207,971 | ||
유동성장기부채 | 4,6,15 | 944,000,000 | 450,000,000 | ||
리스부채 | 4,6,30,33 | 190,500,814 | 172,147,088 | ||
당기법인세부채 | 19 | - | 18,610,401 | ||
충당부채 | 18 | 275,208,879 | 216,013,315 | ||
기타유동부채 | 17 | 593,259,927 | 439,493,353 | ||
II.비유동부채 | 1,584,848,213 | 522,839,021 | |||
기타금융부채 | 4,6,14 | 164,106,145 | 137,873,456 | ||
장기차입금 | 4,6,15 | 450,000,000 | - | ||
리스부채 | 4,6,30,33 | 63,725,723 | 57,032,191 | ||
충당부채 | 18 | 9,718,017 | 9,153,832 | ||
순확정급여부채 | 16 | 801,132,279 | 254,475,224 | ||
기타비유동부채 | 17 | 80,320,660 | 64,304,318 | ||
이연법인세부채 | 15,845,389 | ||||
부 채 총 계 | 5,114,861,819 | 3,349,849,232 | |||
자 본 | |||||
I.자본금 | 20 | 2,847,485,000 | 2,521,985,000 | ||
II.주식발행초과금 | 20 | 17,622,871,577 | 8,734,344,977 | ||
III.이익잉여금(결손금) | 22 | 2,243,344,754 | 1,346,158,152 | ||
IV.기타자본항목 | 21,23 | 304,201,810 | 158,595,362 | ||
Ⅴ.비지배지분 | (12,359,592) | - | |||
자 본 총 계 | 23,005,543,549 | 12,761,083,491 | |||
부채 및 자본 총계 | 28,120,405,368 | 16,110,932,723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18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셈과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주 석 | 제 18(당) 기 | 제 17(전) 기 | ||
---|---|---|---|---|---|
Ⅰ.매출액 | 22 | 14,730,380,482 | 13,729,282,775 | ||
Ⅱ.매출원가 | 24 | 8,696,767,350 | 7,554,558,353 | ||
Ⅲ.매출총이익 | 6,033,613,132 | 6,174,724,422 | |||
Ⅳ.판매비와관리비 | 23,24 | 6,269,972,932 | 4,672,757,557 | ||
Ⅴ.영업이익 | (236,359,800) | 1,501,966,865 | |||
기타수익 | 25 | 674,563,656 | 255,507,341 | ||
기타비용 | 25 | 159,887,846 | 230,640,126 | ||
금융수익 | 6,25 | 447,358,142 | 178,261,964 | ||
금융비용 | 6,25 | 65,342,382 | 16,468,903 | ||
Ⅳ.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658,704,970 | 1,688,627,141 | |||
법인세비용 | 17 | 97,405,741 | 4,600,692 | ||
Ⅶ.당기순이익 | 561,299,229 | 1,684,026,449 | |||
Ⅷ.기타포괄손익 | (289,450,704) | (82,530,269)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16 | (289,450,704) | (82,530,269)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평가손익 | -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89,450,704) | (82,530,269) | |||
Ⅸ.총포괄이익 | 271,848,525 | 1,601,496,180 | |||
X.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100 | 337 | |||
희석주당이익(손실) | 100 | 336 |
연 결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안) | |||||
제 1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셈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2,243,344,754 | 1,346,158,152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346,158,152 | (337,868,297) | ||
2. 당기순이익(손실) | 897,186,602 | 1,684,026,449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 | ||
1. 자본잉여금 | - | - | ||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243,344,754 | 1,346,158,152 |
연 결 현 금 흐 름 표 | |||||
제 1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셈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구 분 | 주 석 | 제 18(당) 기 | 제 17(전) 기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20,914,222) | (142,005,443) |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883,401,771) | (216,411,593) | |||
(1) 당기순이익 | 561,299,229 | 1,684,026,449 | |||
(2) 수익ㆍ비용의 조정 | 30 | 752,482,571 | 646,588,307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30 | (2,197,183,571) | (2,547,026,349) | ||
2. 이자의 수취 | 479,182,027 | 105,807,837 | |||
3. 이자의 지급 | (8,926,201) | (7,214,990) | |||
4. 법인세의 환급(납부) | (7,768,277) | (24,186,697) | |||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126,159,602 | (1,547,755,616)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940,238,398 | 4,823,165,003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1,674,000,916 | 4,658,650,000 | |||
유동성장기대여금의 감소 | 54,182,493 | 42,940,004 | |||
장기대여금의 감소 | 140,442,543 | 81,574,999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30,000,000 | 40,000,000 | |||
유형자산의 처분 | 11,181,818 | ||||
무형자산의 처분 | 21,350,000 | - | |||
사업결합으로 인한 현금유입 | 9,080,628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814,078,796) | (6,370,920,619)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 | 5,991,474,748 | |||
장기대여금의 증가 | 245,550,007 | 138,200,000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18,000,000 | 20,5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510,167,600 | 157,937,275 | |||
무형자산의 취득 | 40,361,189 | 62,808,596 |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9,299,506,776 | 142,863,010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9,575,484,152 | 369,200,692 | |||
보통주의 발행 | 9,537,271,600 | 328,055,70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38,212,552 | 41,144,992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30 | (275,977,376) | (226,337,682) | ||
리스부채의 상환 | 275,977,376 | 226,337,682 | |||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Ⅰ+Ⅱ+Ⅲ) | 10,004,752,156 | (1,546,898,049) | |||
Ⅴ.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945,959,629 | 3,512,497,817 | |||
Ⅵ.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101,490,693 | (19,640,139) | |||
Ⅶ.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2,052,202,478 | 1,945,959,629 |
재 무 상 태 표 | |||||||
제 18(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17(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코셈 | (단위 : 원) |
과 목 | 주 석 | 제 18(당) 기말 | 제 17(전) 기말 | ||
---|---|---|---|---|---|
자 산 | |||||
I.유동자산 | 23,300,274,818 | 13,594,001,652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5,6,7 | 11,527,221,219 | 1,945,959,629 | ||
매출채권 | 4,5,6,8 | 3,314,374,599 | 2,405,344,341 | ||
기타금융자산 | 5,6,8 | 2,266,013,553 | 3,923,288,299 | ||
기타유동자산 | 14 | 300,777,897 | 304,938,369 | ||
당기법인세자산 | 21 | 50,875,935 | - | ||
재고자산 | 9 | 5,841,011,615 | 5,014,471,014 | ||
II.비유동자산 | 4,268,226,210 | 2,516,931,071 |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5,6,10 | 670,123,648 | |||
기타금융자산 | 5,6,8 | 627,958,824 | 629,740,328 | ||
유형자산 | 11,35 | 967,747,599 | 551,707,884 | ||
무형자산 | 12,15 | 163,273,038 | 160,123,943 | ||
종속기업, 공동기업과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 13 | 551,200,000 | - | ||
기타비유동자산 | 14 | 79,345,920 | 49,800,000 | ||
이연법인세자산 | 21 | 1,208,577,181 | 1,125,558,916 | ||
자 산 총 계 | 27,568,501,028 | 16,110,932,723 | |||
부 채 | |||||
I.유동부채 | 2,522,505,764 | 2,827,010,211 | |||
매입채무 | 4,5,6,16 | 1,376,232,453 | 1,396,538,083 | ||
기타금융부채 | 4,5,6,16 | 120,938,914 | 134,207,971 | ||
유동성장기부채 | 4,5,6,17 | - | 450,000,000 | ||
리스부채 | 4,5,6,32,35 | 178,080,521 | 172,147,088 | ||
당기법인세부채 | 21 | - | 18,610,401 | ||
충당부채 | 20 | 258,548,679 | 216,013,315 | ||
기타유동부채 | 19 | 588,705,197 | 439,493,353 | ||
II.비유동부채 | 1,435,652,814 | 522,839,021 | |||
장기차입금 | 4,5,6,17 | 450,000,000 | |||
기타금융부채 | 4,5,6,16 | 164,106,145 | 137,873,456 | ||
리스부채 | 4,5,6,32,35 | 63,725,723 | 57,032,191 | ||
충당부채 | 20 | 9,718,017 | 9,153,832 | ||
순확정급여부채 | 18 | 667,782,269 | 254,475,224 | ||
기타비유동부채 | 19 | 80,320,660 | 64,304,318 | ||
부 채 총 계 | 3,958,158,578 | 3,349,849,232 | |||
자 본 | |||||
I.자본금 | 22 | 2,847,485,000 | 2,521,985,000 | ||
II.주식발행초과금 | 22 | 17,623,404,777 | 8,734,344,977 | ||
III.이익잉여금 | 24 | 2,835,250,863 | 1,346,158,152 | ||
IV.기타자본항목 | 23,25 | 304,201,810 | 158,595,362 | ||
자 본 총 계 | 23,610,342,450 | 12,761,083,491 | |||
부채 및 자본 총계 | 27,568,501,028 | 16,110,932,723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18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셈 | (단위 : 원) |
과 목 | 주 석 | 제 18(당) 기 | 제 17(전) 기 | ||
---|---|---|---|---|---|
Ⅰ.매출액 | 24 | 14,104,675,357 | 13,729,282,775 | ||
Ⅱ.매출원가 | 26 | 7,775,260,180 | 7,554,558,353 | ||
Ⅲ.매출총이익 | 6,329,415,177 | 6,174,724,422 | |||
Ⅳ.판매비와관리비 | 25,26 | 5,980,636,223 | 4,672,757,557 | ||
Ⅴ.영업이익 | 348,778,954 | 1,501,966,865 | |||
기타수익 | 6,28 | 658,294,948 | 255,507,341 | ||
기타비용 | 6,28 | 156,776,056 | 230,640,126 | ||
금융수익 | 6,27 | 686,777,648 | 178,261,964 | ||
금융비용 | 6,27 | 28,614,395 | 16,468,903 | ||
Ⅳ.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1,508,461,099 | 1,688,627,141 | |||
법인세비용 | 21 | 19,368,388 | 4,600,692 | ||
Ⅶ.당기순이익 | 1,489,092,711 | 1,684,026,449 | |||
Ⅷ.기타포괄손익 | (289,450,704) | (82,530,269)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16,19 | (289,450,704) | (82,530,269)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289,450,704) | (82,530,269) | |||
Ⅸ.총포괄이익 | 1,199,642,007 | 1,601,496,180 | |||
X.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 | 31 | 266 | 337 | ||
희석주당이익 | 31 | 266 | 336 |
현 금 흐 름 표 | |||||
제 1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셈 | (단위 : 원) |
구 분 | 주 석 | 제 18(당) 기 | 제 17(전) 기 | ||
---|---|---|---|---|---|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5,551,947 | (142,005,443) |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340,205,970) | (216,411,593) | |||
(1) 당기순이익 | 1,489,092,711 | 1,684,026,449 | |||
(2) 수익ㆍ비용의 조정 | 30 | 353,347,529 | 646,588,307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30 | (2,182,646,210) | (2,547,026,349) | ||
2. 이자의 수취 | 481,901,995 | 105,807,837 | |||
3. 이자의 지급 | (10,750,478) | (7,214,990) | |||
4. 법인세의 환급(납부) | (95,393,600) | (24,186,697) | |||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32,078,974 | (1,547,755,616)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931,157,770 | 4,823,165,003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1,674,000,916 | 4,658,650,000 | |||
유동성장기대여금의 감소 | 54,182,493 | 42,940,004 | |||
장기대여금의 감소 | 140,442,543 | 81,574,999 | |||
임차보증금의 감소 | 30,000,000 | 40,000,000 | |||
유형자산의 처분 | 11,181,818 | - | |||
무형자산의 처분 | 21,350,000 | -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799,078,796) | (6,370,920,619)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 | 5,991,474,748 | |||
유동성장기대여금의 증가 | - | - | |||
장기대여금의 증가 | 245,550,007 | 138,200,000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3,000,000 | 20,500,000 |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448,800,000 | - | |||
종속기업,공동기업과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증가 | 551,200,000 | - | |||
유형자산의 취득 | 510,167,600 | 157,937,275 | |||
무형자산의 취득 | 40,361,189 | 62,808,596 | |||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9,312,139,976 | 142,863,010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0,026,017,352 | 369,200,692 | |||
보통주의 발행 | 9,537,804,800 | 328,055,70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38,212,552 | 41,144,992 | |||
장기차입금의 증가 | 450,000,000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30 | (713,877,376) | (226,337,682)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450,000,000 | - | |||
리스부채의 상환 | 263,877,376 | 226,337,682 | |||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Ⅰ+Ⅱ+Ⅲ) | 9,479,770,897 | (1,546,898,049) | |||
Ⅴ.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945,959,629 | 3,512,497,817 | |||
Ⅵ.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101,490,693 | (19,640,139) | |||
Ⅶ.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1,527,221,219 | 1,945,959,629 |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안) | |||||
제 18 (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17 (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코셈 | (단위 : 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2,835,250,863 | 1,346,158,152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346,158,152 | (337,868,297) | ||
2. 당기순이익(손실) | 1,489,092,711 | 1,684,026,449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 | ||
1. 자본잉여금 | - | - | ||
III.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835,250,863 | 1,346,158,152 |
※ 상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의내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https://www.coxem.com→투자정보→재무정보 및 공시정보)에 게재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6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01,792,064 |
최고한도액 | 1,6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0,0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2,000,000 |
최고한도액 | 3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가. 자본준비금 감액의 건
1)2024년 자본준비금: 17,623,404,777
2)근거법령: 상법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
3)전환가능금액: 13,352,177,277
4)전환금액: 6,500,000,000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상법 시행령 제31조제4항4호에 따른 주주총회일 1주전 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제출 및 당사 홈페이지(https://www.tovism.com)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