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현대위아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7월 24일
회 사 명 : 현대위아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권 오 현
본 점 소 재 지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 153
(전 화) 055-280-9114
(홈페이지) http://www.hyundai-wia.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재경본부장 (성 명) 권 오 현
(전 화) 031-8068-3506

주주총회 소집공고
(2025년 제2차 임시주주총회)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하여 현대위아 2025년 제2차 임시주주총회를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5년 8월 8일(금) 오전 10시 2. 장 소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 153 현대위아㈜ 본사 대강당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의결사항 -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권오성)

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 신분증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안내 주주총회 참석이 불가능한 경우, 당사 홈페이지 (투자정보-IR정보-경영실적)에 게재된 참고서류와 위임장 용지를 참고하여 위임장에 게재된 대리인으로 하여금 의결권을 대리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활용 중에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전자투표시스템 - 인터넷 주소 : http://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 http://evote.ksd.or.kr/m ○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5년 7월 29일 오전 9시 ~ 2025년 8월 7일 오후 5시 - 행사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민간인증서의 경우 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 또는 전자투표제도를 통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7. 기타사항 가. 상법 제542조 및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분들에 대해서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2025년 제출일 현재 기준)
구분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김은호(출석률:100%) 이동열(출석률:100%) 안성훈(출석률:100%) 이규진 (출석률:100%) 최우석(출석률:100%) 김찬우(출석률:100%)
정기1차 2025.01.24 결의 1) 제49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 2) 제49기 배당주주 확정 기준일 설정 3) 2025년 사업계획 승인 4) 인도법인 주권 전자증권 전환 승인 5) 준법지원인 선임 6) 자율준수관리자 선임 7) 2025년 안전보건활동 계획 승인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찬성 '25.3.20신규선임 '25.3.20신규선임
보고 1)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실태 2) 2025년 준법지원활동 계획 - - - -
임시1차 2025.02.17 결의 1) 제4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부의안건 승인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보고 1) 제49기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결과 - - - -
임시2차 2025.03.18 결의 1) 공작기계사업부문 매각 승인 2) 임시주주총회 소집 찬성찬성 찬성찬성 찬성찬성 찬성찬성
임시3차 2025.03.20 결의 1)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 선임 2) 이사 경업 승인 3) 자기주식 처분 승인 임기만료 찬성찬성찬성 임기만료 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
정기2차 2025.04.30 결의 1) 이사회 제규정 개정 2) 유럽지점 신규 설치 승인 찬성찬성 찬성찬성 찬성찬성 찬성찬성
보고 1)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2) 2025년 1분기 안전보건활동 실적 - - - -
임시4차 2025.06.02 결의 1) 분할종료보고 및 공고 승인 2) '공작기계사업부문 매각 승인' 일부 변경 찬성찬성 찬성찬성 찬성찬성 찬성찬성
임시5차 2025.07.01 결의 1) 대표이사 선임 2)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및 부의안건 승인 3) 주주확정 기준일 설정 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 찬성찬성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2025년 제출일 현재 기준)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김은호 이동열 이규진 2025.01.24 결의 1) 2025년 내부업무감사 계획 승인 가결
보고 1) 제49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2) 제49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
2025.02.17 결의 1) 제49기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 결과 승인 가결
보고 1) 제49기 기말 회계감사 결과 2) 2025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계획 -
최우석이동열김찬우이규진 2025.03.20 결의 1)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2025.04.30 보고 1) 2025년 연간 회계감사 계획 2) 2025년 1분기 회계감사 결과 3) 2025년 1분기 경영실적 4) 2025년 1분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적 5) 2025년 1분기 내부업무감사 결과 -
투명경영 위원회 이동열김은호안성훈이규진 2025.01.24 결의 1) 이사 등과 회사간의 거래 승인 2) 최대주주 등과의 거래한도 승인 3) 유형자산 처분 승인 (특수관계자간 거래) 가결
보고 1) 2025년 CP 운영 계획 2) 2025년 사회공헌활동 계획 3) 2025년 ESG 경영 계획 -
이동열최우석김찬우이규진 2025.04.10 결의 1) 멕시코법인 차입보증 승인 가결
2025.04.30 결의 1) 약관에 의한 금융거래 승인 가결
보수위원회 안성훈김은호김사원 2025.02.17 결의 1) 이사보수한도 승인 가결
김찬우최우석권오현 2025.03.20 결의 1) 보수위원회 위원장 선임 가결
사외이사 후보추천 위원회 이규진안성훈정재욱 2025.02.17 결의 1) 사외이사 후보 추천 승인 가결
이규진이동열정재욱 2025.03.20 결의 1)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 5,000 156 39 -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 보수한도 승인 금액이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사외이사에게 2025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지급된 금액 기준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2025년 1월 1일 ~ 2025년 3월 31일 기준)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현대자동차 (최대주주) 매출 및 매입 등 2025.01.01 ~ 2025.03.31 2,205 3.2%
기아 (계열회사) 9,159 13.2%

주1) 매출 및 매입 등 거래총액(별도 기준)이 2024년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69,381억원) 대비 5%를 초과하는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거래금액과 비율을 작성하였습니다. (비율 = 거래금액 / 별도기준 매출액)

주2) 현대자동차의 경우 최근사업연도 매출액의 5%를 초과하지 않는 거래를 하였으나, 중요성의 관점에서 그 거래 금액을 기재하였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모빌리티(차량부품)사업 1) 산업의 개요 자동차부품산업은 후방산업인 소재, 전기, 전자 산업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으로 수출, 경상수지, 고용 등에 이르기까지 국가 경제에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연관 산업으로의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고 산업의 총체적 수준을 나타내는 산업입니다. 이에 각국 정부는 자동차산업 부양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 세계 자동차산업은 우버 등으로 대표되는 공유경제의 확대로 자동차가 소유하는 재화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로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이에 따라 글로벌 완성차 수요 감소가 예상되는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아울러 자율주행 기술의 개발과 이에 따른 인포테인먼트/커넥티비티 기술 중요성 부각,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전동화의 흐름 등으로 전통적인 기계부품의 수요는 감소하고 전장, 소프트웨어 및 전동화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친환경차량 부품, 자율주행과 같은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을 통해 예상되는 수요 감소의 위기에 대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차량부품 산업의 성장성은 국내 및 해외 완성차 시장과 직결되어 있습니다.

① 완성차 시장 동향

○ 국내 자동차 생산 실적 2025년 1분기 국내 자동차 생산은 현대/기아 및 르노코리아의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한국지엠과 KG모빌리티 감소로 전년동기대비 1.1% 감소로 101만대를 기록하였습니다.

(단위 : 대, %)
구 분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율
현 대 생산대수 448,001 453,856 1.3%
점유율 43.7 44.8
기 아 생산대수 400,109 401,,143 0.3%
점유율 39.1 39.6
한국지엠 생산대수 123,433 112,712 -8.7%
점유율 12.0 11.1
르노코리아 생산대수 19,061 19,961 4.7%
점유율 1.9 2.0
KG 모빌리티 생산대수 31,620 24,006 -24.1%
점유율 3.1 2.4
타타대우 생산대수 2,219 1,807 -18.6%
점유율 0.2 0.2
합 계 생산대수 1,024,443 1,013,485 -1.1%
점유율 100.0 100.0

출처 :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 국내 자동차 내수 판매 2025년 1분기 누계 국내 자동차 내수 판매실적은 소비세 인하 및 노후차 교체 지원 (3.14~시행)등 정부 소비 진작책 시행으로 현대, 르노코리아의 실적이 개선되었으며, 전년동기대비 2.7% 증가한 39만대를 기록하였습니다.

(단위 : 대, %)
구 분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율
현 대 판매대수 160,277 166,360 3.8%
점유율 42.4 42.8
기 아 판매대수 137,863 134,563 -2.4%
점유율 36.4 34.7
한국지엠 판매대수 6,919 4,108 -40.6%
점유율 1.8 1.1
르노코리아 판매대수 5,491 13,598 147.6%
점유율 1.5 3.5
KG 모빌리티 판매대수 12,212 8,418 -33.0%
점유율 3.2 2.1
타타대우 판매대수 1,362 1.070 -24.1%
점유율 0.4 0.3
수입차 브랜드 판매대수 54,104 60,411 11.7%
점유율 14.3 15.6
합 계 판매대수 378,228 388,294 2.7%
점유율 100.0 100.0

출처 :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 국내 자동차 수출 실적 2025년 1분기 누계 국내 자동차 수출 실적은 전기차 감소와 한국지엠 북미 수출전략 모델 수요 감소, 르노코리아 선박일정 조정 등에 의한 선적물량 감소 등으로 전년동기 대비 2.2% 감소한 67만대 기록하였습니다.

(단위 : 대, %)
구 분 2024년 1분기 2025년 1분기 증감율
현 대 판매대수 284,800 283,090 -0.6%
점유율 41.4 42.0
기 아 판매대수 258,370 259,220 0.3%
점유율 37.5 38.5
한국지엠 판매대수 117,191 108,413 -7.5%
점유율 17.0 16.1
르노코리아 판매대수 10,390 4,574 -56.0%
점유율 1.5 0.7
KG 모빌리티 판매대수 17,114 17,405 1.7%
점유율 2.5 2.6
타타대우 판매대수 742 1,003 35.2%
점유율 1.5 0.1
합 계 판매대수 688,607 673,705 -2.2%
점유율 100.0 100.0

출처 :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 글로벌 자동차 생산실적 및 전망 2025년 자동차 산업은 주요국의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물가안정과 금리인하, 자동차 공급 정상화에 따른 재고 증가 등 코로나19 이전의 소비자 주도 시장으로 전환됨에 따라 제작사의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구매여건 개선으로 완만한 회복세가 전망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자국중심 보호주의 무역기조 강화 등으로 수출 확대 여건은 악화되고, 특히 국내 시장의 경우 대출기준 강화 및 고령화 등이 신규수요 창출의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여 내수 회복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대, %)
구분 2023 2024(F) 2025(F) 2026(F) 2027(F) 2028(F) 2029(F)
생산량 90.8 90.4 91.9 93.7 95.7 96.5 97.7
성장률 10.3% -0.4% 1.6% 2.0% 2.1% 0.9% 1.2%
global data_lmc ('24. 4분기).jpg 출처 : Global data_LMC ('24. 4분기)

② 자동차 부품시장 동향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매출구조는 크게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 주문자상표부착방식), A/S, 수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OEM은 완성차 업체나 1차 밴더 등에 납품하면서 발행하는 매출이며, A/S와 수출은 각각 운행 차량의 유지, 보수 관련 매출과 해외 완성차 업체에 대한 직수출 매출입니다. 부품업체의 총 매출 규모는 완성차 업체의 생산량 증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세를 실현해 왔으나, 아직까지는 수출보다는 OEM의 내수시장에 대한 매출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 국내 자동차부품 시장의 매출실적 분석

(단위 : 억원)
구 분 부품 매출실적 증감율(%)
OEM A/S 수출 합계
2021년 552,215 38,655 216,557 807,427 +10.7
2022년 559,350 41,955 250,674 891,979 +10.5
2023년 766,016 53,621 260,166 1,079,803 +21.0

※ 출처 :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24.5월) 주1) OEM : 자동차 6사(현대, 기아, 한국지엠,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타타대우)의 납품실적 주2) A/S : 1차 협력업체만을 대상으로 추정한 실적 (타이어, 배터리 등 별도의 유통구조를 가진 품목 제외) 주3) 수출 : 무역통계 자동차부품 실적 중 완성차회사의 보수용(A/S) 수출액과 KD 수출액을 제외

○ 세계 주요 자동차부품업체 현황

(단위 : 억USD)
순위 업체명 국적 매출액 주요부품
1 로버트 보쉬 독일 544 엔진시스템, 샤시, 전장부품
2 덴소 일본 479 파워트레인 제어 시스템, 공조
3 마그나 인터내셔널 캐나다 428 파워트레인, 내외장, 차체
4 ZF 프리드리히샤펜 독일 373 변속기, 조향장치, 서스펜션
5 넝더스다이(CATL) 중국 352 자동차용 베터리 및 저장기술
6 현대모비스 대한민국 330 샤시, 칵핏모듈, 브레이크, 조향
7 아이신 세이키 일본 309 변속기, 엔진부품, 차체
8 포비아 프랑스 282 시트, 칵핏모듈, 도어판넬
9 컨티넨탈 독일 265 타이어, 샤시, 전장, 시트 부품
10 레어 미국 233 시트, 계기판, 전장
31 현대트랜시스 대한민국 94 자동/수동변속, 시트
39 한온시스템 대한민국 73 공조장치
40 HL만도 대한민국 65 브레이크, 조향, 서스펜션 부품
45 현대위아 대한민국 59 엔진, 샤시모듈
97 현대케피코 대한민국 19 전자제어시스템

주) 2024년 글로벌 100대 부품기업(OEM판매기준) (출처 : Automotive News. '25.6) 3) 경쟁요소 세계 자동차 시장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 장기화와 환경규제 강화, 친환경차 투자 비용 증가 등으로 수요와 공급의 불확실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기동력차의 비중이 5%를 넘어서는 등 파워트레인 변화와 자율주행차 대응을 위한 구조개편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세계 주요 국가들은 배기가스 규제 등 환경규제를 급격히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며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가 수요 확대의 조건으로 떠오르고 있을 정도로 환경에 대한 규제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일부 주요국들은 연비규제의 강화를 통해 친환경차의 보급을 확대하고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2025년에서 2040년 사이에 대폭 감축하거나 중단할 계획을 수립중이며, 이에 따라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가 상당한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따라 자동차부품 업계는 차량 연비 개선 및 친환경자동차, 자율주행 차량과 관련된 부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패러다임의 전환에 선행한 기술력 확보가 앞으로의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경쟁 요소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성장세 둔화와 무역분쟁, 코로나19 팬데믹 등으로 인해 일부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경영위기에 처한 상태이며, 중국 자동차 부품사들은 미국과 유럽 등의 자동차 부품사의 인수합병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앞다투어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를 통해 향후 자동차부품 시장은 미국, 일본, 유럽의 3강 축에서 한국, 중국 등 신흥 부품업체들이 포함된 다각화된 경쟁구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앞으로의 시장 상황에서 높은 수준 품질과 가격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2) 모빌리티솔루션사업 1) 산업의 개요 모빌리티솔루션 관련 산업은 과거 내연기관 차량의 파워트레인 생산설비 및 라인을 공급하는 대표적인 기간산업으로 자리잡아 왔으나, 최근에는 전기차 부품 제조를 포함한 제조물류 자동화 수요 확대에 대응하여, 제조 현장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극대화하는 제조물류 자동화 솔루션 및 자율주행 기반 로봇 시스템을 제공하는 첨단 산업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율주행차, 로봇팔, 드론, 센서 등 다양한 로봇 및 자율주행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제조, 운송, 물류, 의료, 보안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로봇 및 자율주행 분야는 미래 산업의 핵심 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발전은 AMR/AGV, 스마트 제조물류 자동화, 지능형 물류 관제 시스템 등 융합형 자동화 솔루션의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모빌리티솔루션 산업은 설계부터 시뮬레이션, 제작, 설치, 시운전 및 A/S에 이르는 전 주기적 기술 역량을 요구하며, 단순한 설비 공급을 넘어 통합적 기술력과 실행 능력을 갖춘 기업만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모빌리티솔루션사업의 경우 2018년 이후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로 기존의 ICE(내연기관) 자동차에서 HEV(하이브리드) , EV(전기차), FCEV(수소연료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되는 추세이며, ICE 가공을 담당하던 가공기 사업은 신규공장 건설에 대한 투자는 축소되고 있지만, HEV 를 대응하기 위한 기존공장 내 신규설비 라인 및 기존설비 개조는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의 차체 조립을 담당하는 로보트/차체 지그 사업은 신차종 전환기간 단축 및 신규 전기차의 다양한 기종 출시로 지속적으로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언택트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산업계에는 로봇을 중심으로 지능화된 스마트팩토리가 시장에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 분야들은 인프라 개발, 자동화, 효율성 향상 등 경제적 이점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로봇 및 자율주행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3) 경쟁요소 대규모 자동화 시스템 신규 설비분야는 유럽, 일본 등 글로벌 업체와 경쟁중이며, 소규모 자동화 시스템이나 개조 분야는 국내업체와 경쟁을 하는 구도 입니다. 글로벌 업체 대비 가격 경쟁력과 업무 추진능력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업체에서 보유하지 못한 공법, A/S 등 고객 만족을 위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조직과 능력을 바탕으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로봇 및 자율주행 등의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요구되고 있으며, 시장 변화에 따른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3) 특수(방위)사업 1) 산업의 개요 특수(방위)사업의 주요 수요처는 국방부 및 해외 국방 관련기관과 주요 체계사입니다. 방위사업은 군 전투력 증강 및 전투력 유지라는 특성으로 인해 제품 수명주기(PLC : Product Life Cycle)가 매우 긴 편입니다. 방산물자로 지정된 제품은 정부의 정책결정에 따라 사업의 변동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개발, 양산, 창정비라는 순환 구조로 장기간 공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시장의 경우 북한 핵 문제로 인한 전력화 부대 구조 개편에 따른 전력화 소요가 지속적으로 군 전력증강 계획에 반영되고 있으며, 군 보유 전력의 노후 포열 교체시기 도래에 따른 포열 및 함정 건조 물량 증가에 따른 함포 생산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존하는 위협에 대비한 핵심전력 보강 등 안정적인 국방사업 추진과 군 전력 첨단화를 위한 정부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주로 첨단 전자기술이 접목된 감시 정찰과 지휘통제 통신분야에 집중적인 증강이 계획되어 있으며, 장비의 경량화, 무인화 등 미래전쟁에서 요구되는 특성화된 기술에 대한 사업 참여 및 기술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입니다. 해외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신 냉전시대의 도래에 따라 유럽, 중동,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및 동남아 등 여러 국가에서 한국산 지상 및 항공무기체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군수장비의 수출도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근 폴란드의 경우 대규모 한국산 무기를 도입하는 계약을 맺는 등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이 국내 방위산업의 기회이자 성장 동력으로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3) 경쟁요소 방위산업의 경우 장기간에 축적된 노하우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분야임에 따라 경쟁에 앞서나가기 위해서는 선제적 투자와 적극적 사업 추진이 필수 불가결한 선결 조건입니다. 이에 당사는 개량형 박격포를 국산 개발 완료, 중ㆍ소형 화포 및 함포류의 제품 국산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더불어 기존 사업의 확대를 통하여 체계사업으로 발전시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모빌리티(차량부품)사업 당사 차량부품 사업은 모듈, 엔진, 4WD 부품 및 등속조인트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대자동차ㆍ기아 뿐만 아니라 GM, 르노닛산, 포드 등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로 공급을 확대해 나가면서 글로벌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으로서 확고한 입지를 키워 나가고 있습니다. 모듈부품은 광주, 안산 공장에서 플랫폼ㆍ샤시모듈과 타이어모듈을 생산하여 현대자동차ㆍ기아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엔진의 경우 국내 평택 및 서산공장과 중국 산동법인, 멕시코법인에서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국내 평택공장에서는 소형 가솔린 엔진인 카파엔진을, 서산공장에서는 가솔린 엔진(카파, 세타 등) 및 디젤 엔진(A2, E 등) 등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산동법인에서는 2007년 3월 양산을 시작하여 현재는 감마 및 누우엔진을 현대자동차ㆍ기아 글로벌 공장으로 납품하고 있으며, 멕시코법인은 2016년 4월 양산을 시작으로 카파, 감마, 누우엔진을 멕시코 및 북미시장 등에 공급하면서 지속적으로 그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4WD 부품(PTU, 커플링, ATC, Axle), e-LSD 등의 부품은 창원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등속조인트(CVJ)는 창원, 중국, 인도, 멕시코공장에서 생산하여 현대자동차ㆍ기아 및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체에 공급ㆍ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한 친환경 자동차 시장이 급성장하는 시장 환경에 발맞추어 전기차 부품(통합열관리, 전동화 부품 등)의 신사업 기술 확보를 통해 관련 사업 확대를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냉각수모듈 제품은 2023년부터 고객사에 납품 중에 있습니다. 2) 모빌리티솔루션사업 사의 모빌리티솔루션사업은 제조물류분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파워트레인 가공설비, 차체조립 자동화 시스템, 전동화부품 제조설비 사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제조물류분야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스마트 제조물류 솔루션, 스마트 관제 시스템, 물류로봇(AMR/AGV), 유연생산셀, 다관절로봇(협동로봇/MPR), 주차로봇, 자동창고 시스템 등을 통해 공정 자 동화, 무인화를 넘어 데이터를 기반한 공정간, 공장간 수평적 통합과 자율 운영을 핵심으로 하는 미래형 스마트 팩토리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파워트레인 가공설비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 생산 설비 제작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성능 장비와 첨단 자동차 생산 라인을 공급하고 있으며, 차체조립 자동화 시스템은 최적의 공법 설계, 지그 제작, 차체조립, 로봇 용접 등 자동화에 대한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전동화 부품제조 설비 사업은 점진적인 전동화 차량으로의 전환에 발맞추어 EV 모터, 연료전지 생산을 위한 솔루션을 제공을 위해 2021년 헤어핀 모터 생산 성형라인 등 기술 확보 성공하여 사업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향후에는 배터리 셀, UAM 등 신사업 분야 추가적인 사업 확장 전개를 추진하고자 합니다. 3) 특수(방위)사업 당사는 대구경 화포, 함포 및 항공기 착륙장치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시장 뿐만 아니라 세계시장에서도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수출 확대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유일의 대구경 화포전문 생산업체로서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성능의 화포류를 생산하여 무기체계의 현대화와 자주국방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축적된 자체 설계능력 및 제조시설을 기반으로 전차포, 자주포의 양산 및 성능개량 사업등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세계최초 디지털 가늠자를 장착 및 경량화된 81mm 박격포 체계 개발, AI기반 전술차량형 지능형 원격사격통제체계(RCWS) 및 경량화 105mm 자주포 신속시범사업 수주 등의 성과를 기반으로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해상사업은 육상 화포생산을 통하여 축적된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구경의 함포사업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왔습니다. 5인치 함포, 76mm 함포 등을 제작, 납품하여 군으로부터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왔으며, 최근에는 신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를 지속 확대하여 근접방어무기체계 체계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등 향후 사업부문의 신성장동력으로서의 기반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항공사업은 군용 및 무인기 착륙장치 전문 제작업체로서 군의 전투력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수출사업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Urban Air Mobility) 시장에서 주요 핵심 구성품 개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난 30여년간 항공사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기술을 선도해 나갈 계획입니다.

(2) 시장점유율

1) 모빌리티(차량부품)사업 현재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은 정확한 통계치는 존재하지 않아 시장점유율을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만, 완성차 업체별 시장점유율을 바탕으로 각 완성차 업체에 납품하는 자동차부품 업체별 실적 비교를 통해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와 기아에 납품하는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생산실적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자동차부품 업체들의 시장점유율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4WD 부품 및 등속조인트(C.V.Joint) 제품에 있어서 국내 1위의 시장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엔진, 모듈 제품 등 기타 자동차부품 분야에서 상위권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모빌리티솔루션사업 모빌리티솔루션 사업은 해당 산업의 구체적인 통계자료는 존재하지 않아 정확한 시장점유율을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다만, 당사가 속한 현대자동차그룹의 캡티브 마켓에서 최적화된 설비 및 생산라인을 납품한 실적 등을 바탕으로 시장점유율을 가늠해볼 때 비중있는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파워트레인 가공설비는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보유한 다양한 종류의 가공설비를 제작 및 개조/운영 가능한 능력이 있으며, 차체조립 자동화 시스템은 설계 및 제작/시운전 분야에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전동화 부품제조 설비 분야는 당사가 신규사업으로 진행중인 사업으로 당 그룹 내 신규 공장과 관련한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PE(Power Electric) 제조관련 전 공정에 대한 대응 역량을 확보하였습니다. 스마트팩토리 / 로봇 / 제조물류 자동화 분야에서는 2020년 현대자동차그룹 싱가포르 글로벌혁신센터(HMGICs) 프로젝트 구축을 시작으로, 현재는 HMGMA(Hyundai Motor Group Meta plant America) 공장 프레스, 차체, 도장, 의장라인의 물류로봇 및 창고와 북미 모비스 배터리(앨라바마, 서배너)공장 물류로봇 공급 프로젝트를 수행을 통한 제조물류 레퍼런스를 구축 중입니다. 또한, 주차로봇은 외부 협업을 통한 국내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이후(24년), 적극적인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특수(방위)사업 방위사업의 경우 국가 안보와 관련된 사항으로 시장점유율 산정이 어렵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제품의 혁신과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미래가치 창출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에 따라 전기차 부품을 개발 및 상용화를 통하여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스마트팩토리, 미래형 무기 등 미래가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선제적으로 추진하면서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1) 모빌리티(차량부품)사업

○ 통합 열관리 시스템

현재 전기차는 공조시스템 가동시 주행 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며, 내연기관 대비 열관리 필요 부품이 증가하여 제어 복잡성이 증가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당사는 열관리 부품들의 기능적 모듈화를 통하여 효율을 향상시키는 통합 열관리 모듈을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열관리 3영역(전동 부품, 배터리, 실내 냉ㆍ난방)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통합 열관리 시스템을 개발 중이며, 통합 열관리 시장을 선점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친환경 자동차 전용 열관리시스템 중 하나인 '냉각수 분배ㆍ공급 통합 모듈'을 국내 자동차부품 업계 최초로 개발하였고, 현대차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적용하는 EV9과 코나EV에 탑재되어 2023년 5월부터 양산을 시작하였으며, 매출은 2029년까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모듈은 구동 부품과 배터리 냉각을 별도장치가 담당하던 기존 방식을 기능적으로 통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부품을 최소화하고 엔진룸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한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냉각수 허브 모듈 외에 냉매/공조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25년 중 첫 냉매 모듈 및 공조시스템 양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중장기적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까지 공급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전동화 액슬 (ev-TVTC : electric vehicle - Torque Vectoring by Twin Clutch)당사는 내연기관 4WD 전문회사로, 기존 내연기관용 기계식 액슬을 전동화 액슬로 전환하여 4WD 전동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2019년 친환경 4WD 시스템인 일체형 e-액슬 시스템의 선행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기존 4WD 시스템의 전/후륜 동력배분에 그치지 않고 좌/우륜 동력배분을 통해 전동화 차량의 다이나믹한 주행 성능을 구현하여 차량 안전성 향상과 전비 개선에 따른 주행거리 향상 효과를 실현하였습니다. 2020년부터 전기차량에 적용하여 기구부 및 제어로직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현대차 아이오닉6의 고성능 컨셉카 RN22e에 적용하여 향후 고성능 전기차의 신기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2024년 선행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향후 전기차를 시작으로 고급/고성능 차량에 확대 전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모빌리티솔루션사업

○ 스마트 제조/물류/주차 로봇

당사는 스마트팩토리의 핵심인 지능형 로봇 제품군을 개발 및 상용화 단계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별도 가이드 없이 자율적으로 물류를 이송하는 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을 2022년 선행개발을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 하였고, 현재 다양한 고객 요구사항 수렴 및 구현을 통해 사용화 검증 단계를 진행하여 2024년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및 현대모비스 북미 공장 양산 라인에 공급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핵심 솔루션으로 주차로봇 제품군을 개발 및 상용화 단계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2024년 기술 이전을 통해 주차로봇 핵심기술을 확보하였고, 현재는 해당 기술의 자체 내재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25년에는 HMGMA(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자동화 공장에 주차로봇 공급 및 현재는 일반 상업용 주차 빌딩을 대상으로 다양한 PoC(Proof of Concept)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제품의 적용성과 확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통합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이용한 부품 이적재 및 부품조립 자동화 로봇 (MPR, Mobile Picking Robot), 안전망 없이 사람과 함께 협업하는 인간 친화적 협동로봇(Collaborative Robot) 등 다양한 스마트 제조/물류 로봇을 개발하였고, 양산라인 적용 테스트 단계에 진입하였습니다. 당사는 축적된 로봇 개발 기술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제품군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 AI 물류 로봇 관제 솔루션

당사는 제조 유연성 및 수익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록 물류 로봇 관제 솔루션을 제품화 하였습니다. 고객 시스템과 물류 시스템을 연결하고 다종/다수 로봇의 물류 운영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모바일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을 2021년 하반기 개발완료 하였습니다. 또한 물류 로봇의 작업 스케줄링 및 군집관리(Fleet Management)가 가능한 '물류로봇 제어시스템(ACS)'을 2023년 하반기 개발 완료하였으며, 양산라인에 적용 하였습니다. 또한, 주차로봇의 제어 및 무인 주차장 운영이 가능한 '주차관제 시스템'은 2021년 하반기 제품화 개발 완료하였으며 '모바일 로봇 통합관제 시스템'과 더불어 현대자동차그룹의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 공급 완료하였습니다. 앞으로 당사는 스마트 제조/물류 로봇과 AI 기반의 다양한 관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 제품화 할 것이며 이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스마트 제조/물류 환경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셀 생산방식 스마트팩토리 구축 당사는 협동로봇, 산업용로봇, 3D 머신 비전 등을 적용하여 다품종 소량 유연 생산에적합한 셀 생산 방식의 제조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더 나아가 AMR/AGV를 연계한 스마트 물류 시스템으로 고객에게 가장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 제공을 목표로 하고있습니다. 당사는 생산/조립/물류 3D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고객의 니즈에 맞는 생산 시스템과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2023년 준공된 현대자동차그룹의 싱가포르 글로벌 혁신센터(HMGICs)에 최초의 '셀 생산 방식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구현하였으며, 미래형 제조방식 구축을 위해 AMPR (Automonous Mobile Picking Robot)을 기반으로 물류로봇과 협동로봇간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적용을 통해 생산, 물류를 통합하는 혁신적 제조 물류 로봇을 연구 개발 중이며 상용화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후 글로벌 제조현장으로 공급을 확대하며 '글로벌 제조물류 통합 솔루션 공급자(Global Manufacturing Logistics Integrated Solution Provider)'의 입지를 다져나갈 계획입니다.

○ 전동화 부품생산 제조설비

당사는 전기차 구동모터의 핵심 부품인 헤어핀 모터 스테이터 생산에 필요한 핵심설비 개발을 바탕으로 전동화 차량의 부품을 생산하는 설비 시장에 신규 진출하였습니다. 전기차 전/후륜 모터 감속기 생산라인 설비 & 제조기술 내재화 및 실적 확보를 바탕으로 2023년부터 스테이터, 모터 감속기라인을 포함한 PE시스템(Power Electric System) 생산설비의 사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또한, 캡티브마켓을 중심으로 수주 및 사업수행을 기반으로 레퍼런스를 확보 중이며 대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수주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3) 특수사업 ○ 차세대 화포 개발 기술 현대위아는 수년간 화포의 대구경 무장분야 설계 기술과 제작 노하우로 일군 노력의 성과로 최근 K-방산의 핫 이슈인 K2전차 및 K-9자주포의 무장조립체 부분 생산으로 수출성과에 일조를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화포분야의 선두주자로서 미래 전장환경의 변화와 요구에 따라 차세대 전차 무장 개발, 초장사정 자주포 무장 개발, 저반동 전차 무장을 개발하고 있으며 체계장비는 차량 탑재형 경량화 자주포와 자주박격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전차 무장과 초장사정 자주포 무장은 핵심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저반동 전차 무장은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무장은 단계적 개발 절차에 따라 개발 완료 후 양산을 통하여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차량 탑재형 경량화 자주포는 신속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군 시범운용 후 정부규정과 절차에 따라 양산이 진행될 것입니다. 자주박격포는 무기체계 개조개발을 통하여 기본모델 개발을 완료하였으며 이후 국내요구사항과 해외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경미한 성능개량, 추가개발 등을 통하여 양산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 원격사격통제체계 (RCWS, Remote Control Weapon System) 현대위아는 2010년 GP 과학화 시범사업에 원격사격통제체계를 국내 최초로 적용하여 시범 운영하였습니다. 2011년 본격적으로 자체 연구개발을 시작하여 대한민국 육군에 최적화된 원격사격통제체계를 2016년 전력화 하였으며 현재까지 휴전선 일대에서 북한 도발 시 즉각 대응하는 무기체계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2023년 AI 표적탐지 추적기술 등 신기술을 적용한 RCWS 개발을 착수하였으며, 신속시범획득사업 수주를 통해 육군 및 공군에 납품하여 시범운영 중에 있습니다. 현대위아는 RCWS 플랫폼 및 부품 공용화를 통해 RCWS 시리즈화 중이며, 2026년부터 전투차량 성능개량 및 유.무인 체계, 전술차량 등의 체계 플랫폼에 RCWS를 탑재하는 사업을 수행 할 예정입니다. ○ 근접방어 무기체계 (CIWS-Ⅱ, Close-In Weapon System -Ⅱ) 최근 대한민국 해군은 고성능 대함 유도탄 및 적 항공기와 소형 고속 수상함정의 공격으로부터 자함의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한 근접방어 무기체계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2022년 해외업체와의 협업을 통하여 근접방어 무기체계의 사격 기능 및 포탑구동을 담당하는 핵심장비인 함포체계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함포체계를 지난 2022년에 기본설계 및 상세설계를 완료하였고2024년에 최종 조립 및 공장수락검사를 마치고 사격 시험을 완료하여 체계업체인 LIG넥스원에 성공적으로 납품하였습니다. 아울러, 신형 근접방어 무기체계의 성공적인 개발로 현 운용장비 대비 최신화된 기술이 대거 적용되어 해군 전력을 대폭 증강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 도심 항공 모빌리티 (UAM, Urban Air Mobility) 사업 모빌리티 시장의 게임 체인저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가 주목받으면서, 기술선점과 시장 주도권을 놓고 글로벌 기업간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당사는 재편되는 항공시장을 준비하기 위해,30년간의 항공분야 구성품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안락하고 안전한 운항 그리고 친환경적인 UAM 운용 환경에 맞는 착륙장치 및 전동화 핵심 구성품 개발에 선두주자 역할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년 착륙장치 개발을 착수하여 기본설계를 완료하고 현재 상세 설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괄목할만한 점은 착륙장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 국내 최초로 적용되며,이는 UAM 사업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안정성과 경제성 분야에서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4) 조직도

현대위아 조직도_1.jpg 현대위아 조직도_1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권오성)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권오성 1970.8.14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계열회사 임원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권오성 현대위아 부사장 2025.07~현재 (현) 현대위아 부사장 해당사항 없음
2024.01~2025.06 (전) 현대자동차 연구개발지원사업부장
2023.06~2023.12 (전) 현대자동차 MLV시험센터장
2023.01~2023.06 (전) 현대자동차 현가시스템개발실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권오성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권오성 사내이사 후보권오성 사내이사 후보자는 현재 현대위아의 부사장으로 재직 중에 있으며, 오랜 기간 현대자동차의 중역으로 연구개발지원사업부장, MLV시험센터장 등을 역임하였습니다. 후보자는 R&D, 경영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탁월한 리더십과 실행력을 입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산업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은 당사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중장기적 기업가치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이사회는 권오성 후보자를 사내이사로 선임하고자 합니다.

확인서 이사후보자 사실확인서_권오성(증발공규정)_1.jpg 이사후보자 사실확인서_권오성(증발공규정)_1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금번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음.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임시주주총회 소집통지 안내 당사는 상법 제542조 및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분들에 대해서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활용 중에 있으며, 이에 대한 관리 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 시스템 - 인터넷 주소: https://evote.ksd.or.kr -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2) 전자투표 행사 기간: 2025년 7월 29일 오전 9시~ 2025년 8월 7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3) 인증서를 이용하여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