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분할 결정
1. 분할방법 |
<회사분할 내용>
- 분할되는 회사(존속회사)
회사명: 주식회사 엔케이
사업부문: 분할대상 사업부문을 제외한 사업부문
- 분할 신설회사
회사명: 주식회사 엔케이 에더먼트
사업부문:
특수기기 사업부문
(*)분할신설회사의 상호는 분할계획서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또는 분할신설회사 창립총회를 갈음하는 이사회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1)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분할회사의 출자만으로 설립하는 물적분할의 방법으로 분할하되, 위의 표와 같이 분할대상 사업부문을 분할하여 분할신설회사를 설립하고, 분할회사는 존속하여 분할대상 사업부문 이외의 사업부문을 영위하게 된다.
(2)
분할기일은 2025년 5월 1일(0시)로 한다. 다만, 분할회사의 이사회 결의로 분할기일을 변경할 수 있다.
(3)
상법 제530조의3 제1항 및 제2항의 규정에 의거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해 분할하며, 동법 제530조의9 제2항에 의거 분할신설회사는 분할회사의 분할 전 채무(책임을 포함함. 이하 본 항에서 같음) 중에서 분할신설회사로 이전되는 채무만을 부담하고, 분할신설회사에 이전되지 아니하는 채무에 대하여는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한다. 또한분할회사는 분할 전 채무 중에서 분할신설회사로 이전되지 아니하는 채무만을 부담하고, 분할신설회사로 이전되는 채무에 대하여는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법 제530조의 9 및 제527조의 5 규정에 의거 분할회사는 채권자 이의 제출을 공고하고, 이미 알고 있는 채권자에 대해서는 최고하며, 이의제출 기간은 1개월 이상을 두어 동 규정에 따른 채권자 보호에 대해 만전을 기한다.
(4) 분할로 인하여 이전하는 재산은 본 분할계획서 제3조 제(7)항 및 본조 제(5)항 내지 제(9)항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를 결정한다.
(5)
본 분할계획서에서 달리 정하지 아니하는 한, 본조 제(6)항 내지 제(7)항을 전제로,
분할회사의 일체의 적극ㆍ소극재산과 공법상의 권리ㆍ의무를 포함한 기타의 권리, 의무 및 재산적 가치 있는 사실관계(인허가, 근로관계, 계약관계, 소송 등을 모두 포함한다)는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신설회사에게, 나머지는 분할회사에게 각각 귀속되는 것을원칙으로 한다.
(6) 분할회사의 사업과 관련하여 분할기일 이전의 행위 또는 사실로 인하여 분할기일 이후에 발생ㆍ확정되는 채무 또는 분할기일 이전에 이미 발생ㆍ확정되었으나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등의 여하한 사정에 의하여 분할기일에 분할신설회사의 채무로 인식되지 못한 채무(공ㆍ사법상의 우발채무 기타 일체의 채무를 포함한다)에 대해서는 그 원인이 되는 행위 또는 사실이 (i)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신설회사에게, (ii) 분할대상 사업부문 이외의 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회사에게, (iii) 분할대상 사업부문 및 그 이외의 부문과 모두 관련되는 경우에는 (a) 분할신설회사와 분할회사에 각 관련되는 부분이 구분 가능한 경우에는 그러한 구분에 따라, (b) 구분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는 본건 분할에 의해 분할되는 순자산가액의 비율에 따라 분할회사 및 분할신설회사에게 각각 귀속된다.
또한, 본 항에 따른 공ㆍ사법상 우발채무의 귀속규정과 달리 분할회사 또는 분할신설회사가 공ㆍ사법상 우발채무를 이행하게 되는 경우, 본 항에 따라 원래 공ㆍ사법상의 우발채무를 부담하여야 할 회사가 상대 회사에게 상대 회사가 위와 같이 부담한 공ㆍ사법상의 우발채무 이행액 및 관련 비용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상대 회사를 면책해야 한다.
(7)
분할회사의 사업과 관련하여 분할기일 이전의 행위 또는 사실로 인하여 분할기일 이후에 취득하는
채권
기타 권리 또는 분할기일 이전에 이미 취득하였으나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등의 여하한 사정에 의하여
분할기일에 분할신설회사의 자산으로 인식되지 못한
채권 기타 권리(공ㆍ사법상의 우발채권 기타 일체의 채권을 포함한다)에 대해서는 그 원인이 되는행위 또는 사실이 (i)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신설회사에게, (ii)
분할대상 사업부문 이외의 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회사에게
,
(iii)
분할대상 사업부문 및 그 이외의 부문과 모두 관련되는 경우에는 (a) 분할신설회사와 분할회사에각 관련되는 부분이 구분 가능한 경우에는 그러한 구분에 따라, (b) 구분이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는 본건 분할에 의해 분할되는 순자산가액의 비율에 따라 분할회사 및 분할신설회사에게 각각 귀속된다
. 또한, 본 항에 따른 공사법상 권리의 귀속규정과 달리 분할회사 또는 분할신설회사에 해당 권리가 귀속되는 경우, 해당 권리를 보유하게 된 회사가 본 항에 따라 원래 해당 권리를 보유해야 할 상대 회사에게 자신이 보유한 권리를 이전해 주어야 한다.
(8)
분할기일 이전에 분할회사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은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신설회사에게, 분할대상 사업부문 이외의 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회사에 각각 귀속한다.
(9) 본조 제(3)항에 따른 연대책임의 배제나 기타 본 분할계획서상 채무의 배분 및 귀속 원칙에도 불구하고 어떤 이유로든 그에 반하여, 분할회사가 본 분할계획서에 따라 분할신설회사가 승계한 채무를 변제하거나 분할회사의 기타 출재로 공동면책이 된 때에는 분할회사가 분할신설회사에 대하여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고, 분할신설회사가 본 분할계획서에 따라 분할회사에 귀속된 채무를 변제하거나 분할신설회사의 기타 출재로 공동면책이 된 때에는 분할신설회사는 분할회사에 대하여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다.
2. 분할목적 |
(1) 분할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중 분할대상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해당 사업부문이 독립적으로 고유사업에 전념토록 하여,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사업영역에 사업부문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경영위험의 분산, 각 부문별 지속성장을 위한 전문성 강화 등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한다.
(2) 경영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경영효율화를 도모하고 객관적인 성과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책임 경영체제를 정착시키고자 한다.
(3) 상기와 같은 체제 변경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제고하고자 한다.
3. 분할의 중요영향 및 효과 |
본건 분할은상법 제530조의2 내지 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단순ㆍ물적분할방식으로 진행됨. 이에 따라 본건 분할 전ㆍ후 분할되는 회사의 최대주주 소유주식 및 지분율의 변동은 없다.또한, 본건 분할은 단순ㆍ물적분할방식으로 진행되므로 분할 자체로는 연결재무제표상에 미치는 영향이 없다.
4. 분할비율 |
본건 분할은 단순·물적분할로서 분할신설회사가 설립 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가 분할되는 회사에 배정되므로 분할비율을 산정하지 않는다
5. 분할로 이전할 사업 및 재산의 내용 |
(1)
분할회사는 분할계획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속하는 일체의 적극ㆍ소극재산과 공법상의 권리ㆍ의무를 포함한 기타의 권리, 의무 및 재산적 가치 있는 사실관계(인허가, 근로관계, 계약관계, 소송 등을 모두 포함하며, 이하 “
이전대상재산
”이라 함)를 분할신설회사에 이전한다. 다만,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속하는 권리나 의무 중 법률상 또는 성질상 분할에 의하여 이전이 금지되는 것은 분할회사에 잔류하는 것으로 보고(분할에 의한 이전에 정부기관의 승인, 인허가, 신고수리 등이 필요함에도 이를 받을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한다), 분할에 의해 이전된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본 분할계획서 제2조 가. 제(6)항 제(7)항 및 제(9)항에 규정된 채무의 면책 및 권리의 이전 등 포함).
(2)
분할로 인한 이전대상재산은 원칙적으로 2024년 12월 31일자 재무상태표를 기초로 하여 작성된 [첨부1] 분할재무상태표와 [첨부2] 승계대상 재산목록에 기재된 바에 의하되, 분할기일 전까지 발생한 재산의 증감사항을 분할계획서상의 분할재무상태표와 승계대상 재산목록에서 가감하는 것으로 한다.
(3)
전항에 의한 이전대상재산의 세부항목별 최종가액은 필요한 경우 공신력 있는 감정평가법인의 평가 또는 공인회계사의 검토를 받아 최종 확정할 수 있다.
(4)
분할기일 전까지 분할대상 사업부문의 영업 또는 재무적 활동 또는 계획의 이행, 관련법령 또는 회계기준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분할대상 사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에 변동이 발생하거나, 승계대상 재산목록에 누락되거나 또는 잘못 포함된 자산 또는 부채가 발견되거나, 그 밖에 자산 및 부채의 가액이 변동되거나, 승계대상 재산목록에 부정확하게 기재된 것이 발견된 경우에는 이를 정정 또는 추가하 여 기재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변경사항은 [첨부1] 분할재무상태표와 [첨부2] 승계대상 재산목록에서 가감하는 것으로 한다.
(5)
본건 분할 전 분할회사를 당사자로 하는 소송 중 분할대상 사업부문과 관련된 소송은 [첨부3] 승계대상 소송 목록에 기재하고, 위 목록에 누락되거나 잘못 기재된 소송이 발견된 경우에는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신설회사에게, 분할대상 사업부문 이외의 부문에 관한 것이면 분할회사에게 각각 귀속된다.
(6)분할대상 사업부문으로 인하여 발생한 계약관계(이전대상재산과 관련하여 발생한 계약관계 포함)와 그에 따른 권리ㆍ의무관계를 담보하기 위하여 설정된 근저당권, 질권, 또는 관련 계약관계에 따른 매출채권, 미수금, 매입채무, 미지급금 등의 채권, 채무는 분할신설회사에 귀속된다.
6. 분할 후 존속회사 |
회사명 |
주식회사 엔케이
분할후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192,339,031,080
부채총계 |
18,385,140,212
자본총계 |
173,953,890,868
자본금 |
39,991,676,000
2024년 12월 31일
현재기준 |
존속사업부문 최근 사업연도매출액(원) |
70,362,460,428
주요사업 |
분할신설회사에 이전되는 사업부문을 제외한 기존 사업 일체
분할 후 상장유지 여부 |
예
7. 분할설립회사 |
회사명 |
주식회사 엔케이 에더먼트
설립시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17,460,802,450
부채총계 |
5,411,599,633
자본총계 |
12,049,202,817
자본금 |
1,100,000,000
2024년 12월 31일
현재기준 |
신설사업부문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원) |
14,289,349,142
주요사업 |
군수용 장비 설비,부품 등 군수제품 설계, 제조 및 판매업
재상장신청 여부 |
아니오
8. 감자에 관한 사항 |
감자비율(%) |
-
구주권제출기간 |
시작일 |
-
종료일 |
-
매매거래정지 예정기간 |
시작일 |
-
종료일 |
-
신주배정조건 |
-
- 주주 주식수 비례여부 및 사유 |
-
신주배정기준일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신주의 상장예정일 |
-
9. 분할일정 |
이사회결의일 |
2025년 02월 26일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1
불참(명)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주주확정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주주명부폐쇄기간 |
시작일 |
-
종료일 |
-
분할반대의사통지 접수기간 |
시작일 |
2025년 02월 26일
종료일 |
2025년 03월 26일
주주총회예정일자 |
2025년 03월 27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
시작일 |
2025년 03월 27일
종료일 |
2025년 04월 16일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
시작일 |
2025년 03월 27일
종료일 |
2025년 04월 27일
분할기일 |
2025년 05월 01일
종료보고 총회일 |
2025년 05월 08일
분할등기예정일자 |
2025년 05월 15일
10.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
행사요건 |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2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제165조의5 및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7 제1항 제2호에 의거, 주주확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가 분할에 관한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여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까지 당사에 서면으로 그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경우에는 주주총회 결의일부터 20일 이내에 당사에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을 제출하여 매수를 청구할 수 있으며, 소유 주식 중 일부에 대한 매수 청구도 가능합니다.
단, 매수 청구가 가능한 주식에는 반대의사를 통지한 주주가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하였음을 증명한 주식과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이후에 취득하였지만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날의 다음날까지 해당 주식의 취득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해당함을 증명하는 주식만 해당합니다.
한편, 주식매수청구권은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일까지 계속 보유한 주주에 한하여 부여되며, 동 기간 내에 매각 후 재취득한 주식에 대해서는 매수청구권이 상실되며,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한 이후에는 취소할 수 없습니다. 또한, 사전에 서면으로 분할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주주가 주주총회에서 분할에 찬성한 경우에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분할하는 회사인 주식회사 엔케이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법인이며, 그 청구에 대하여 주식매수청구기간이 종료하는 날부터 1개월 이내에 당해 주식을 매수하여야 합니다.
매수예정가격 |
920
행사절차, 방법, 기간, 장소 |
(1) 행사절차: 주주명부 기준일 현재 당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는 주주총회 전일까지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분할에 관한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단, 주권을 증권회사에 위탁하고 있는 실질주주의 경우에는 당해 증권회사에 통지하여야 합니다. 이때, 반대의사 표시는 주주총회 결의일 3영업일 전까지 하여야 합니다. 증권회사에서는 실질주주의 반대의사 표시를 취합하여 주주총회 결의일 2영업일 전까지 예탁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 통보하여야 합니다. 한국예탁결제원에서는 주주총회 결의일 전에 실질주주를 대신하여 당해 회사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합니다.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하였음을 증명한 주식과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이후에 취득하였지만 이사회 결의 사실이 공시된 날의 다음날까지 해당주식의 취득계약이 체결된 경우에 해당함을 증명할 경우에 한하여 반대의사표시할 주주는 주주총회 결의일 전까지 회사에 통지하여야 합니다.(2) 행사방법: 상기의 반대의사 통지를 한 주주는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과 함께 보유하고 있는 주권을 제출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 주권을 증권회사에 위탁하고 있는 실질주주의 경우에는 당해 증권회사에 위탁 및 보유하고 있는 주식수에 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신청서를 작성하여 당해 증권회사에 제출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실질주주는 주식매수청구기간 종료일의 2영업일 전까지 거래 증권회사에 주식 매수를 청구하면 예탁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이를 대신 신청합니다.
회사로 반대의사를 통지한 주주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신청서를 작성하여 주식매수청구기간 종료일 전까지 회사로 청구할 수 있습니다.(3) 행사기간: 주주총회 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분할에 관한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주주는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주식매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4) 행사장소
가.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
부산광역시 강서구 과학산단로 194-11
나. 주권을 증권회사에 위탁하고 있는 실질주주: 해당 증권회사
지급예정시기, 지급방법 |
(1) 지급예정시기: 주식매수청구기간이 종료하는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될 예정입니다.
(2) 지급방법현금 지급 또는 주주의 신고계좌로 이체
주식매수청구권 제한 관련 내용 |
상기 기재한 '10.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 행사요건 및 행사절차, 방법, 기간, 장소' 등 행사의 요건을 구비하였을 시 주식매수청구권이 제한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계약에 미치는 효력 |
본건 분할은 상법 제530조의 2 내지 제530조의 12의 규정에 의거 단순·물적분할 방식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5의 규정에 의거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된다.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중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5 제3항의 규정에 의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주주와 분할회사 간 주식매수가격에 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의 ‘매수가격’은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 7 제3항 제1호 규정에 의거 아래 각 목의 방법에 따라 산정된 가격의 산술평균가격(원 이하 절상)으로 한다.
① 이사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 2개월(같은 기간 중 배당락 또는 권리락으로 인하여 매매기준가격의 조정이 있는 경우로서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은 날부터 이사회 결의일 전일까지의 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기간)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
② 이사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 1개월(같은 기간 중 배당락 또는 권리락으로 인하여 매매기준가격의 조정이 있는 경우로서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은 날부터 이사회 결의일 전일까지의 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기간)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
③ 이사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 1주일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
본건 분할에 반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이 행사된 주식에 대한 주식매수가액의 합계액이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만료시점을 기준으로 금 육십억원(\6,000,000,000)을 초과하는 경우(주식매수가액에 관하여 주주와 매수가액이 합의되지 않더라도 매수예상가액의 합계액을 포함하여 합산한 금액이 금 육십억원(\6,000,000,000)을 초과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경우를 포함), 분할회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본건 분할의 진행을 중지하고 본건 분할 결정을 철회할 수 있으며, 이미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 승인을 결의하였을 경우 분할계획서 승인 철회를 위한 별도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한다. 본건 분할 결정을 철회하는 이사회 결의가 이루어질 경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에 관한 절차 역시 중단되는 것으로서 분할회사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에 따른 주식매수대금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11.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계약내용 |
-
12.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단순·물적분할
해당사항 없음.
14. 물적분할의 경우 물적분할 추진에 대한 검토내용 |
분할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중 분할대상 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 방식으로 분할하여 해당 사업부문이 독립적으로 고유사업에 전념토록 하여, 사업부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사업영역에 사업부문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경영위험의 분산, 각 부문별 지속성장을 위한 전문성 강화 등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하고자 합니다.경영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사업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경영효율화를 도모하고 객관적인 성과평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책임 경영체제를 정착시키고자 하고자 합니다.
분할 대상사업의 독립적 전문 경영에 따른 사업의 전문성과 경쟁력을 강화하여 이익을 극대화하고 주주총회 등 주주와의 소통을 통해 분할 관련 의견을 폭 넓게 수렴하여 주주의 권익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할 예정입니다.
(1) 분할계획서의 수정 및 변경
분할계획서는 영업의 변동, 분할회사의 계획 및 사정, 관계기관과의 협의과정이나 관계법령에 따라서 분할계획서의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전에 이사회 또는 대표이사에 의해 일부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고,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분할계획서는 임시주주총회의 승인을 얻을 경우 분할등기일 전까지 주주총회의 추가승인 없이도 아래 항목에 대해 (i) 그 수정 또는 변경이 합리적으로 필요한
경우로서
그 수정 또는 변경으로 인해 분할회사 또는 분할신설회사의 주주에게 중대한 불이익이 없는 경우, (ii) 분할대상 사업부문의 영업 또는 재무적 활동 또는 계획의 이행, 관계법령 및 회계기준의 변경 등으로 인하여 분할대상 사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에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 (iii) 승계대상 재산, 소송, 계약목록에서 누락되거나 잘못 포함되거나 그 가액이 부정확하게 기재된 자산 또는 부채가 발견된 경우, (iv) 본 분할계획서 자체에서 변경이 가능하거나추후 확정되는 것으로 예정하고 있는 경우 등에는 분할회사의 이사회 또는 이사회결의로 위임을 받은 대표이사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① 분할일정
② 분할로 인하여 이전할 재산과 그 가액
③ 분할 전후의 재무구조
④ 분할신설회사의 이사 및 감사에 관한 사항
⑤ 분할회사 및 분할신설회사의 회사명, 본점 주소, 공고방법 등
⑥ 분할 당시 분할신설회사가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
⑦ 분할신설회사 및 분할회사의 정관
⑧ 본 분할계획서 각 첨부 기재사항(승계대상 재산 목록 포함)
⑨ 기타 본건 분할의 세부사항
(2) 이
분할계획서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으로서 분할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이 있는 때에는 분할계획서의 취
지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할회사의 이사회의 위임에 따라 대표이사가 결정하여 집행한다.
(3)
분할보고총회
및 창립총회는 이사회결의 및 공고로 갈음할 수 있다.
(4)
회사간에
인수ㆍ인계가 필요한 사항
분할계획서의 시행과 관련하여 분할회사와 분할신설회사 간에 인수ㆍ인계가 필요한 사항(문서, 데이터 등 분할대상 사업부문과 관련된 각종 자료 및 사실관계 포함)은 분할회사와 분할신설회사간의 별도 합의에
따른다
.
(5)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본건 분할은 상법 제530조의 2 내지 제530조의 12의 규정에 의거 단순·물적분할 방식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5의 규정에 의거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된다.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중 자본시장법 제165조의 5 제3항의 규정에 의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주주와 분할회사 간 주식매수가격에 관한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의 ‘매수가격’은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 7 제3항 제1호 규정에 의거 아래 각 목의 방법에 따라 산정된 가격의 산술평균가격(원 이하 절상)으로 한다.
① 이사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 2개월(같은 기간 중 배당락 또는 권리락으로 인하여 매매기준가격의 조정이 있는 경우로서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은 날부터 이사회 결의일 전일까지의 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기간)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
② 이사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 1개월(같은 기간 중 배당락 또는 권리락으로 인하여 매매기준가격의 조정이 있는 경우로서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은 날부터 이사회 결의일 전일까지의 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기간)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
③ 이사회 결의일 전일부터 과거 1주일간 공표된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
본건 분할에 반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이 행사된 주식에 대한 주식매수가액의 합계액이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만료시점을 기준으로 금 육십억원(\6,000,000,000)을 초과하는 경우(주식매수가액에 관하여 주주와 매수가액이 합의되지 않더라도 매수예상가액의 합계액을 포함하여 합산한 금액이 금 육십억원(\6,000,000,000)을 초과할 것으로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경우를 포함), 분할회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본건 분할의 진행을 중지하고 본건 분할 결정을 철회할 수 있으며, 이미 주주총회에서 분할계획서 승인을 결의하였을 경우 분할계획서 승인 철회를 위한 별도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한다. 본건 분할 결정을 철회하는 이사회 결의가 이루어질 경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에 관한 절차 역시 중단되는 것으로서 분할회사는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에 따른 주식매수대금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6) 채권자보호절차
분할회사와 분할신설회사는 분할 전의 분할회사 채무에 관하여 연대책임을 부담하지 않으므로 본 분할계획서 제2조 제(3)항에서 정한 바에 따라 채권자보호절차를 진행합니다.
(7)
근로계약관계
승계와 퇴직금
분할신설회사는
분할기일 현재 분할대상 사업부문에서 근무하고 분할신설회사로의 이전에 동의한 모든 종업원의 고용 및 관련 법률관계(퇴직금, 대여금 등 포함)를 승계한다.
(8)
개인정보의
이전
분할회사 및 분할신설회사는 본건 분할로 인한 개인정보의 이전에 관한 통지 등 관련 법령의 기한 내에 요구되는 절차를 취한다.
(9) 주식매수청구권의 예정가격 산정 내역
일자 |
종가(원) |
거래량 |
종가*거래량(원) |
2025/02/25 |
887 |
185,931 |
164,920,797 |
2025/02/24 |
897 |
386,201 |
346,422,297 |
2025/02/21 |
893 |
148,401 |
132,522,093 |
2025/02/20 |
900 |
245,573 |
221,015,700 |
2025/02/19 |
926 |
275,935 |
255,515,810 |
2025/02/18 |
923 |
321,358 |
296,613,434 |
2025/02/17 |
885 |
183,691 |
162,566,535 |
2025/02/14 |
885 |
261,360 |
231,303,600 |
2025/02/13 |
895 |
224,414 |
200,850,530 |
2025/02/12 |
885 |
287,889 |
254,781,765 |
2025/02/11 |
901 |
584,099 |
526,273,199 |
2025/02/10 |
901 |
271,239 |
244,386,339 |
2025/02/07 |
927 |
419,425 |
388,806,975 |
2025/02/06 |
955 |
213,142 |
203,550,610 |
2025/02/05 |
966 |
341,126 |
329,527,716 |
2025/02/04 |
973 |
545,282 |
530,559,386 |
2025/02/03 |
937 |
443,544 |
415,600,728 |
2025/01/31 |
973 |
371,054 |
361,035,542 |
2025/01/24 |
962 |
384,643 |
370,026,566 |
2025/01/23 |
941 |
317,860 |
299,106,260 |
2025/01/22 |
960 |
438,472 |
420,933,120 |
2025/01/21 |
1001 |
547,456 |
548,003,456 |
2025/01/20 |
966 |
602,384 |
581,902,944 |
2025/01/17 |
947 |
853,771 |
808,521,137 |
2025/01/16 |
1000 |
409,785 |
409,785,000 |
2025/01/15 |
1019 |
789,000 |
803,991,000 |
2025/01/14 |
1016 |
1,337,095 |
1,358,488,520 |
2025/01/13 |
1007 |
2,062,709 |
2,077,147,963 |
2025/01/10 |
959 |
331,455 |
317,865,345 |
2025/01/09 |
956 |
428,384 |
409,535,104 |
2025/01/08 |
951 |
568,759 |
540,889,809 |
2025/01/07 |
923 |
424,770 |
392,062,710 |
2025/01/06 |
932 |
567,456 |
528,868,992 |
2025/01/03 |
907 |
501,374 |
454,746,218 |
2025/01/02 |
900 |
981,607 |
883,446,300 |
2024/12/30 |
862 |
1,278,285 |
1,101,881,670 |
2024/12/27 |
812 |
645,648 |
524,266,176 |
2024/12/26 |
792 |
888,068 |
703,349,856 |
A. 2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
937 |
B.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
922 |
C.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
902 |
D. 산술평균가격 [(A+B+C)/3] |
920 |
※ 관련공시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