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주)홈센타홀딩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6월 12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홈센타홀딩스
대 표 이 사 : 박 병 윤
본 점 소 재 지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로 139-6
(전 화)053-210-5140
(홈페이지)http://www.homecenterholding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부사장 (성 명)석 희 인
(전 화)053-210-5140

주주총회 소집공고
(임시주주총회)

임시주주총회 소집 통지(공고)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 정관 제17조에 의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또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해서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6월 27일 (금) 오전 09시

2. 장 소 :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로 139-6 회의실 (Tel: 053-210-5140)

3. 회의목적사항《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정관일부 변경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우리 회사의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 할 수 있습니다.

6.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ㆍ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6월 17일 오전 9시 ~ 2025년 6월 26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단, 마감일은 오후 5시까지 가능)

다. 전자투표시스템에서 본인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본인 인증 방법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련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6월 12일

주식회사 홈 센 타 홀 딩 스

대표이사 박 병 윤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손우권

(출석률: 33.3%)

양창열

(출석률: 10.0%)

이수진

(출석률: 0%)

찬 반 여 부
2025-01 2025.01.03.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보고 - - -
2025-02 2025.01.20. 사채권 소각의 건 - - -
2025-03 2025.02.24. 2024년도 제37기 결산(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 -
2025-04 2025.03.11. 제37기(2024년도)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 -
2025-05 2025.03.12. (주)홈센타홀딩스 신규대출의 건 찬성 - -
2025-06 2025.03.13.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 - -
2025-07 2025.03.13. (주)홈센타홀딩스 신규대출의 건 찬성 - -
2025-08 2025.03.14. 신탁계약 체결 등 관련의 건 찬성 찬성 -
2025-09 2025.03.17. 감사의 평가보고서 건 - - -
2025-10 2025.03.24. (주)홈센타홀딩스 대출 연장의 건 찬성 - -
2025-11 2025.03.31.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 - -
2025-12 2025.05.08. 임시주주총회 소집, 기준이 설정의 건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내부거래위원회 손우권, 이수진, 박제훈 2025.03.31.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선임 및 사임의 건 3/3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5,000,000,000 - - -

주) 주총승인금액은 이사총수에 대한 승인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단기차입금(자금차입)

(주)보광산업

(종속기업)

2025.01.14 ~ 2026.01.13 4,000,000,000 1.88%
단기차입금(자금차입)

(주)보광산업

(종속기업)

2025.02.28 ~ 2026.02.27 3,000,000,000 1.41%
단기차입금(자금차입)

(주)동화주택

(종속기업)

2025.04.21 ~ 2026.04.20 2,500,000,000 1.18%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주) 비율은 2024년도 별도 자산총액 215,256,890,928원 기준임.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당사는 사업지주회사로서 타일, 위생도기, 위생금구 등을 판매하는 건축자재 도소매업과 사우나(온천), 헬스클럽, 수영장 등의 레져스포츠 및 근린생활시설 운영과 임대업을 영위하는 지주회사입니다. 종속회사에서는 건설현장의 기초재료인 골재, 레미콘과 아스콘을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석유류 제품인 휘발유, 등유, 경유, AP유 등을 판매하는 유류도매업과 물류운송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지주회사 및 종속회사 사업요약

구분 회사명 주요사업 비고
지주회사 (주)홈센타홀딩스 건축자재 도소매, 레져스포츠사업 -
레미콘제조업 (주)보광산업 레미콘제조 및 토사석 채취 -
(주)홈센타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보광레미콘 레미콘 제조 -
(주)에이치씨대동산업 레미콘 제조 -
(주)에이치씨보광알엠씨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황재레미콘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제일레미콘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보광콘크리트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군위산업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의성산업 레미콘제조 -
(주)에이치씨의성레미콘 레미콘제조 주1)
(주)에이치씨경산산업 레미콘제조 주2)
(주)에이치씨홈센타동부레미콘 레미콘제조 주3)
아스콘제조업 (주)에이치씨보광아스콘 아스콘제조 -
유류도매업 (주)에이치씨대하에너지 휘발유, 등유, 경유, AP유 -
물류,운송업 (주)에이치씨물류 물류, 운송 -
건설업 (주)동화주택 아파트건설업 주4)

주1) (주)에이치씨의성레미콘은 2023.04.07. 이사회결의를 통해 신규로 취득한 신설법인임. (주)에이치씨의성산업개발에서 2024.03.11. 에이치씨의성레미콘으로 상호 변경.

주2) (주)에이치씨경산산업은 2023.12.11. 이사회결의를 통해 신규로 취득한 신설법인임.

주3) (주)에이치씨홈센타동부레미콘은 2024.06.19. 이사회결의를 통해 신규로 취득한 신설법인임 .

주4) (주)동화주택은 2024.09.11. 이사회결의를 통해 타법인 주식취득한 법인으로 2025.03.17. 대금지급 완료.

◆지배회사-(주)홈센타홀딩스 [비금융지주업]

지주회사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회사이며 단순히 주식을 소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법적기준 이상으로 해당회사의 주식(의결권)을 보유함으로써 그 회사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는 것을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우리나라에서는 경제력 집중 및 산업의 독점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주회사 제도를 법률로 금지하여 왔으나 IMF금융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공정거래법」상 엄격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에 한하여 지주회사 설립 및 전환을 허용하고 있습니다.지주회사의 장점으로는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증대시켜 시장으로부터 적정한 기업가치를 평가 받음으로써 주주의 가치를 높이고, 독립적인 경영 및 객관적인 성과평가를 가능케 함으로써 책임경영을 정착시키며, 사업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체제를 확립하여 사업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사업역량에 기업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경영위험의 분산 등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지주회사는 「공정거래법」 제8조의2 제2항 규정에 의거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됩니다.① 자본총액의 2배를 초과하는 부채액을 보유하는 행위② 자회사의 주식을 그 자회사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40(자회사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주권상장법인 또는 협회등록법인이거나 공동출자법인인 경우 또는 벤처지주회사의 자회사인 경우에는 100분의 20) 미만으로 소유하는 행위③ 계열회사가 아닌 국내회사의 주식을 당해 회사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를 초과하여 소유하는 행위(소유하고 있는 계열회사가 아닌 국내회사의 주식가액의 합계액이 자회사의 주식가액의 합계액의 100분의 15 미만인 지주회사에 대하여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또는 자회사 외의 국내계열회사의 주식을 소유하는 행위④ 금융업 또는 보험업을 영위하는 자회사의 주식을 소유하는 지주회사(이하 "금융지주회사"라 한다)인 경우 금융업 또는 보험업을 영위하는 회사외의 국내회사의 주식을 소유하는 행위.

⑤ 금융지주회사외의 지주회사(이하 "일반지주회사"라 한다)인 경우 금융업 또는 보험업을 영위하는 국내회사의 주식을 소유하는 행위.

[레져스포츠 및 임대사업]사우나(온천), 찜질방, 수영장, 헬스클럽 등의 레저스포츠 및 근린생활시설 운영과 임대를 영위하는 사업으로서 시대의 새로운 흐름인 보다 풍요롭고 참된 삶을 위한 웰빙 트랜드에 맞춘 휘트니스센터로서 최고의 강사진과 최고의 시설, 새롭고 차별화된 서비스를 기반으로 적극적인 영업을 통한 고객유치 및 관리로 지속적이고 안정된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건설업] - 건축자재 및 설비 산업(건축자재도ㆍ소매업)1) 산업의 특성건축자재 및 설비 산업은 전반적인 경제 동향 및 건설경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있습니다. 건설업은 특정한 발주자의 주문에 의한 수주산업으로 고객의 욕구변화, 특히 수요 패턴의 변화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건설자재 및 제품의 규격화, 표준화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기에 생산성 확보가 중요합니다.또한, 경기 및 수요예측이 어려운 특성을 지니고 있어, 경기변동이나 건설수요의 패턴변화를 항상 주시, 예견하여 이에 사전적으로 대응하여야 합니다. 경제성장 및 고용증대, 관련 산업의 경기부양과 기술발전의 유도 등 국민 경제와 밀접한 연관관계를가지며, 타 산업의 경제활동 수준 및 건설수요의 증대에 의해 생산활동이 파생되는 산업으로 생산, 고용, 부가가치 등의 경제적 유발효과가 매우 높은 경기 선도적인 산업이기도 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건설산업 전반에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여전한 가운데, 건설사업의 자금조달 및 생산과정에서의 고금리와 높은 원자재가, 인건비 인상 등 공사원가 상승요인은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상황으로 건설사업의 수익성은 현저히 저하되었습니다. 지난 2년 동안 지속 상승했던 공사비가 높은 수준에서 고착화됨에 따라서 건설공사의 착공 지연 및 시공 중인 현장의 공기 지연이 지속 발생하고 있으며, 분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증가하였습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발표하는 건설공사비 지수는 2020년 100에서 2023년 127.9로 3년간 27.9% 뛰었으며 최근 다소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여전히 2020년 대비하면 높은 수준입니다. 실제로 2024 년 8월 공사비지수는 129.7로 지난 2020년 8월 99.4보다 30.4% 오른 것으로 나타나, 2023년 말 150에 비하면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에 있습니다. 부동산시장의 장기 침체와 공사비 상승의 영향으로 전반적인 건설시장의 물량 감소에 따른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2023년 건설수주는 2022년 대비 16.8%의 큰 폭의 감소가 나타난 데 이어, 2024년 1~8월까지도 2023년 대비 1.4% 감소된 상황입니다. 건설투자도 정부의 공공공사의 조기발주 영향으로 상반기 다소 개선되었으나,하반기 들어 큰 폭의 감소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당초 정부는 2024년 SOC 예산을 2023년 대비 6.4% 증액 편성하였고, 정부가 공공예산의 조기 집행을 추진해왔으나, 민간시장의 위축을 만회할 수준이 되지 않고, 조기 집행으로 하반기 물량 부족이 심화되었습니다. SOC 증액에도 불구하고, 주택 등 민간시장의 위축에 따라 건설물량 부족 현상이 지속 심화 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당초 정부는 2024년 SOC 예산을 2023년 대비 6.4% 증액 편성하였고, 정부가 공공예산의 조기 집행을 추진해왔으나, 민간시장의 위축을 만회할 수준이 되지 않고, 조기 집행으로 하반기 공공 공사의 물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지표상으로는 건설수주와 건축착공면적이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지난해 큰 폭의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분석되며, 지속 감소하고 있는 건설기성을 볼 때, 전체적으로 물량 부족이 심화 되었습니다. 2025년에도 건설산업을 둘러싼 환경은 최근 국내외 경제환경과 건설ㆍ부동산 시장 및 사업환 경을 고려할 때, 크게 호전되기를 기대하기 힘든 상황입니다. 금리 인하 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나, 여전한 부동산시장의 과열 가능성과 지속적인 가계부채 증가 등 부동산시장이 불안한 상황입니다. 정부의 급격한 금리 인하 가능성은 다소 낮고, 부동산 규제가 여전한 상황으로 주택시장의 호전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최근 글로벌 경제환경을 고려할 때, 지난 3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 왔던 공사비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여, 건설기업의 경영여건이 급격히 좋아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 정부가 공사비 안정화 방안을 발표하였고, 건설기업들도 지난 2~3년간 자재비, 인건비 등 비용에 철저한 관리 등으로 공사비 인상이 다소 진정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제2중동전쟁 가능성이 여전한 가운데, 세계 경제의 저성 장세가 계속되고 있어 유가, 원자재가격의 불안이 해소되기는 어려운 상황이고, 현재 수행 중인 공사들이 이미 공사비 상승이 반영된 공사들이라는 점에서 볼 때, 공사비 인상의 영향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공공건설시장의 물량 침체도 우려되는 상황으로 2025년도 SOC 예산은 2024년 대비 3.6% 감소한 25.5조원으로 책정됩니다. 이에 따라 공공건설시장은 더욱 위축될 것으로 예측되어, 당 분간 건설시장의 물량 부족 현상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최근 정국의 혼란으로 인하여 재정정책의 안정성이 우려되는 가운데, 금융시장의 불안요소가 계속 가중됨에 따라 공공부문의 재정적 지출이 당분간 확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으로 공공건설투자의 감소가 우려됩니다. 해외건설시장의 성장이 예상되나,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해외건설시장의 경쟁 상황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글로벌 인프라 투자가 증가세에 있어 해외건설시장의 성장이 예상되나, 날로 치열해지는 해외건설 시장의 경쟁환경에 적응하고, 새로운 시장 루트의 개발과 해외사업의 수익성 제고 등의 숙제가 여 전해 단기적으로 시장을 크게 확대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국내 시장여건

2024년 건설경기 주요흐름에서 건설수주 전년 대비 16.8%하락, 주택은 11.5%증가하였습니다. 건설수주는 2022년 최고 기록을 달성했고 2023년에는 전년 대비 16.8% 하락했습니다. 2024년 8월까지 누적 수주는 122.4조원으로 2023년 대비 1.4% 감소했습니다. 2024년 하반기부터는 건설수주량이 전년과 비교해 회복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공공 수주량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반면 민간은 1.5% 감소했으며 주택관련 수주는 11.5% 증가했지만 비주택건축은 16.2% 감소했습니다. 건축 착공 면적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가파르게 하락하는 중입니다. 건설기성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지만 2024년 9월까지 누적 건설기성은 126.7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9% 줄었다. 주택 미분양은 2024년 6월 7.4만호를 기록한 이후 감소하여 8월 기준 6.7만호를 달성했으나 최근 10년 평균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입니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2024년 2분기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서면서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건설업 취업자수는 2024년 9월 205.7만명으로 전년 9월 215.7만명 대비 3.6% 감소하며 5개월째 감소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편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과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건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세전, 순이익률, 매출액, 영업이익률, 이자보상 비율 등이 전년 동기 대비 악화됐다. 또한 건설업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높은 수준으로, 중소기업 대출 업종별 연체율도 지방은행과 4대 시중은행 모두에서 건설업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국내 건설수주 추이.jpg 국내 건설수주 추이

2025년 건설수주 전망치.jpg 2025년 건설수주 전망치

건설시장 전망에서 2025년 건설수주는 전년대비 2.2% 증가한 210.4조원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2025년 건설수주는 2024년 대비 상승세로 반전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전체적으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정부 기업 가계의 투자 여력이 크지 않은 가운데 공사비가 여전히 높지만, 점진적 금리 인하 효과가 시장에 나타나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공공주택은 정부의 공급 확대 노력으로 인해서 수주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공공 외 주택은 재정 기조로 수주가 부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민간주택은 여전히 높은 공사비가 발목을 잡고 있지만 하반기에 3기 신도시 관련 수주가 발생하고 정비 사업이 활성화되면서 전년 대비 수주가 증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2025년 건설투자는 전년 대비 2.1% 하락한 295.3조원 수준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건설산업을 둘러싼 2024년 국내외 경제여건은 다른 어느 때보다 불확실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기에 2023년 하반기 이후 지속되고 있는 국내 건설산업의 위축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4년 주택시장현황은 지방과 수도권 가격 비동조화입니다. 2024년 주택 부동산 시장은 지방과 수도권의 비동조화가 뚜렷한 한해였습니다. 2022년 말부터 진행된 수도권과 지방부동산의 격차 확대가 2024년에도 이어졌습니다. 매매시장을 살펴보면 수도권과 지방부동산의 격차 뿐만아니라 서울과 경기 인천 간에도 격차가 확대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서울에서도 일부 구(강남 서초구)의 경우만 매매가 비율이 높아지는 등 특정 지역의 부동산 집중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뚜렷했습니다. 전 월세시장은 주택유형을 가리지 않고 월세거래 비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2 3년 전부터 시작된 비아파트 시장 및 전세사기에 대한 두려움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한때 월세비중이 월간 임대차 거래 중 60%에 육박하기도 했습니다. 아파트 전세시장을 살펴보면 수도권 아파트 전세가는 상승했으나, 지방 아파트 전세가는 수도권만큼 오르지 않는 모습이 나타나 매매시장과 비슷한 현상을 보였습니다.

주택공급 물량추이를 살펴보면 2024년 9월 기준 아파트 누적 인허가는 전년 동월대비 21% 감소했으며, 비아파트는 34% 감소했습니다. 당해연도 주택인허가대비 착공비율 또한 60%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착공과 준공이 전년동월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향후 주택시장의 선행지표인 인허가 물량의 감소와 떨어지고 있는 초기분양률, 준공후 미분양이 증가하는 상황 등을 볼 때 주택건설업계에 호의적인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택 동산시장 공급부분 전망에 대해 2025년 주택 인허가는 2023년 수준인 44만호 가량이 예상됩니다. 2024년도 하반기 들어 매매시장을 중심으로 다소 회복되는 모습이 공급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부실 PF사업장 정리 등 인허가물량 상승에 방해되는 요소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습니다. 공공부문의 2차 장기 주택종합계획상의 10만호 이상 공급 또한 공공택지 확보상황 등을 고려할 때 목표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주택 공급전망.jpg 2025년 주택 공급전망

주택부문 전망에서 2025년 주택 분양은 29만호로 2022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소비자들의 신축에 대한 수요는 높으나, 각종 건설 제반비용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기대만큼 낮은 분양가 책정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분양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상품은 경쟁률이 낮아 분양경기의 획기적인 회복에는 한계가 있어 보입니다. 지역적으로는 2024년도와 같이 수도권시장이 우위를 점할 것으로 예측되며, 지방에서도 위치나 가격 등이 우월한 사업장에는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5년 주택 분양전망.jpg 2025년 주택 분양전망

건설자재 시장은 2021~2022년 역대 최고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최근에는 안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코로나 팬더믹 이후 유동성 증가, 환율 급등, 러ㆍ우 전쟁 등의 복합적 요인에 의해 원자재 가격 급등했으며 이는 건설자재가격 폭등으로 이어져 공사비가 크게 증가함으로 건설시장의 상당한 리스크로 작용하였습니다. 건설자재비는 공사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31.2%(2022년 기준)로 투입 비중이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팬더믹 이후 건살자재가격은 3년간 36.0% 올랐으며 건설공사비지수는 26.3% 상승하였으나 2023년 자재가격 상승률은 0.6%, 2024년 3분기까지 0.7%로 하향 안정화 추세이나 전기요금 인상 등 변수는 존재하고 있습니다.

건설용 중간재 공급물가지수 상승률 추이, 건설공사비지수 상승률 추이.jpg 건설용 중간재 공급물가지수 상승률 추이, 건설공사비지수 상승률 추이

개별 건설자재 중 건설공사 투입비중이 가장 높은 레미콘은 2022년 이후 최근까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시멘트 가격 역시 레미콘 가격과 유사하며, 시멘트 가격 상승이 레미콘, 콘크리트파일 등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철근 가격은 2021년과 2022년 큰 폭으로 상승했으나 2023년 이후 가격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금속, 철강재 가격은 하향세를 보이며 비금속광물은 여전히 오름세가 지속 중인 상황입니다.

주요 건설자재 가격상승률 추이.jpg 주요 건설자재 가격상승률 추이

[레미콘제조] ◆ 종속회사 - (주)에이치씨보광레미콘, (주)에이치씨대동산업, (주)에이치씨보광알엠씨,(주)홈센타, (주)보광산업, (주)에이치씨황재레미콘, (주)에이치씨제일레미콘, (주)에이치씨물류, (주)에이치씨보광콘크리트, (주)에이치씨의성레미콘, (주)에이치씨군위산업, (주)에이치씨의성산업, (주)에이치씨경산산업, (주)에이치씨홈센타동부레미콘

1) 산업의 특성

레미콘(REMICON)이란 Ready Mixed Concreate의 약자로서 완벽한 콘크리트제조설비를 갖춘 공장에서 시멘트, 골재(모래,자갈), 물, 혼화재의 재료를 이용 KSF4009의 규정된 제조방법, 품질검사 등에 준하여 제조한 후 트럭믹서(Truck Mixer)또는 에지테이터 트럭(Agitator Truck)을 이용하여 공사현장까지 운반되는 굳어지지 않은 유연한 콘크리트를 말합니다.

레미콘산업은 지역형산업으로 제품생산 후 레미콘 트럭은 90분, 덤프트럭은 6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까지가 영업권으로 국한됩니다. 레미콘제품이 한시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일반적으로 제품생산 후 90분 이내에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제품의 시장권역을 형성하므로 지역형 산업의 특성을 아주 강하게 가집니다. 레미콘은 주문형산업으로 한시적, 무재고의 제품특성으로 인하여 주문에 의한 생산ㆍ공급하는 주문형산업의 성격을 가집니다. 수요에 대하여 공급이 비탄력성 산업입니다. 또한 건설공사의 발주가 대부분 인구가 집중된 도심에서 발생하므로 도시집중형 산업의 특성을 띄고 있습니다. 2) 레미콘 산업의 발전과정한국 레미콘 산업은 1965년 7월에 준공된 대한 양회공업㈜ 서빙고 공장(후에 쌍용양회공업㈜로 합병)으로서, 생산 능력은 500㎥/일(180천㎥/년)이었으며, 운반장비는 일본에서 수입한 Truck Mixer 15대였다.이후 1970년대 후반에 들어 시멘트업계 및 골재업계에서도 원료의 자가소비 수단 및판로확대를 목적으로 참여하기 시작하였는데, 시멘트의 경우는 유통 및 소비구조합리화를 위한 벌크시멘트의 소비 확충을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이 강하였다. 1980년대들어서는 해외 건설경기의 퇴조에 따른 국내 건설경기의 활성화에 힘입어 주로 시멘트 2차 가공업체를 비롯한 중소업체의 참여가 지방 중소도시를 중심으로 본격화되어연평균 20%이상의 급격한 수요 증가현상을 보였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로는 정부의 200만호 주택건설,사회간접자본확충, 서해안개발, 지하철건설, 88올림픽 특수등으로 인하여 신규업체의 참여가 지속되어 연간 100여개의 공장이 증설되었다. 1990년대 이후 5개지역 신도시 건설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주택건설, 사회간접자본의 확대로 레미콘 파동이라는 기현상까지 나타났으나 IMF위기로 인한 급격한 경기침체와 건설투자 감소로 레미콘산업 전반에 걸쳐 한동안 침체가 가중되었으나 이후 월드컵의 특수와 경기회복에 힘입어 크나큰 성장세를 이룩하였다.최근 지역내 꾸준한 주택 수요 증가와 사회간접자본 확충으로 인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지속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3) 성장성

- 최근 5년간 레미콘산업 성장추이

(단위 : 천㎥)
연도별 업체수 공장수 생산능력 출하실적
2023년 955 1,079 633,600 135,832
2022년 955 1,082 630,502 141,342
2021년 954 1,085 631,622 145,913
2020년 940 1,085 638,300 138,854
2019년 925 1,083 632,540 147,153

주1)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에서 매년 발행하는 레미콘통계년보의 연도별 레미콘산업성장추이를 바탕으로 산출[생산능력은 년간 250일, 1일 8시간 가동 기준임]주2) 자료 작성 협회 기준별로 출하실적에 차이가 있음

- 2022년, 2023년 수급실적

(단위 : 천㎥, %)
구분 2021년도 2022년도 2023년도
상반기 하반기 전년대비 상반기 하반기 전년대비
출하량 145,913 69,150 72,191 141,342 -3.1 71,230 64,602 135,832 -3.8

(출처 :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레미콘 통계연보)

2022년 레미콘 출하실적은 2021년 145,913천㎥ 대비 3.1% 감소한 141,342천㎥으로 증가하였으며 2023년 세계 경제의 저성장이 지속되고 국내적으로 고물가의 장기화와 고금리 등으로 인한 시장상황 불투명성으로 2023년 레미콘 출하는 2022년 대비 3.9% 감소한 135,832천㎥를 출하하였습니다.

4) 경기 변동의 특성

계절형 산업으로, 레미콘은 수요처인 건설산업의 동향에 지대한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건설활동이 활발한 봄과 가을에는 수요가 급증하고 겨울철과 장마철에는 수요가 급락하여 성수기와 비수기가 확연히 구분되는 계절적 특성을 지닙니다. 보통 비수기는 1~2월, 7~8월 장마기간이며, 그 외 기간은 성수기로 불 수 있는데, 특히 4~6월, 추석 전 20일이 최고 성수기를 이룹니다.

5) 경쟁요인 및 회사의 경쟁 우위요소

레미콘 생산 프로세스가 비교적 단순하고 설비투자 규모가 작으며 소비의 시간적 제약으로 인한 진입장벽이 낮은 특성으로 인하여, 1980년대 중반 이후 경제발전에 따른 투자 기대감 및 사업전망이 밝다고 판단한 중소업체의 대거 참여로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던 레미콘 공장이 전국적으로 확산하였습니다. 이러한 산업 진입에는 독자적인 신규 참여업체 이외에도 기존의 콘크리트파일, 흄관, 아스콘, 벽돌, 블럭 등의 시멘트가공업체 및 골재업체, 건설업체 등 유사관련 업체가 원료의 자가 소비수단 및 사세확장 방안으로서 참여가 용이한 점을 큰 이유로 들 수 있습니다.

6) 자원조달의 특성

원자재가 레미콘 제품의 매출구성에 있어서 6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원자재의 조달은 레미콘 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자재는 시멘트, 모래, 자갈로 구성됩니다. 시멘트는 생산설비 자체가 초기 투자비가 막대한 시설을 필요한 제품이라 대기업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회사는 동양, 쌍용 등 10개사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시멘트의 대부분은 국내에서 생산된 제품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모래 및 자갈은 1970년대까지 주종을 이루던 강모래, 강자갈이 1980년대 이후점차 고갈되기 시작하여 쇄석골재, 육골재, 해안골재등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골재원이 점차 원거리화되어 운반비가 증가하여 조달단가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레미콘사별로는 원가절감 및 원재료 조달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골재채취업을 겸하고 있는 업체도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당사에서는 골재채취업을 영위하는 계열회사((주)보광산업, (주)에이치씨홀딩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7)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및 지원

①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지식경제부-공업입지기준고시): 레미콘공장의 입지선정, 생산설비 설치 및 등록에 관한 규정

② 「대기환경보전법」, 「수질환경보전법」, 「소음진동규제법」(환경부):레미콘의 제조, 유통 등에서 대기,수질 및 소음진동에 관한 사항 규제 8) 시장점유율

-제조(레미콘)시장점유율(종속회사의 시장점유율)

(단위 : ㎥)
사업부문 년도 전체출하실적 당사출하실적 시장점유율
제조(레미콘) 2023년 135,832,491 1,734,230 1.28%
2022년 141,342,219 2,030,095 1.44%
2021년 145,913,497 1,797,012 1.23%
2020년 138,854,426 1,540,061 0.99%
2019년 147,153,888 1,355,609 0.92%

[자료 : 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주1) 202년 출하실적 및 점유율은 종속회사 중 대구지역에 소재한 회사(5개사)만 포함된 수치임주2) 자료 작성 협회 기준별로 전체 레미콘 출하 실적에 차이가 있음

[ 시장점유율 ]
(단위 : %)
구 분 '23 대구지역시장점유율 '22 대구지역시장점유율 '21 대구지역시장점유율 '20 대구지역시장점유율
(주)보광산업 9.56 9.45 8.60 8.46
(주)홈센타 9.81 9.74 8.12 7.37
(주)에이치씨보광레미콘 7.29 7.00 7.17 7.56
(주)에이치씨대동산업 6.51 6.81 6.00 4.83
(주)에이치씨보광알엠씨 2.39 2.29 2.78 2.11
한일시멘트(주) 10.56 11.21 12.14 11.05
(주)영빈산업 5.20 4.90 6.62 7.86
(주)영진레미콘 6.55 6.47 6.52 7.70
(주)대왕레미콘 7.26 7.64 7.12 7.49
(출처:한국레미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에서 발간되는 '레미콘통계연보' 참조)

주1) 상기 시장점유율은 대구지역 2023년 총 출하량(4,875,544㎥) 기준임

[아스콘 제조]종속회사 - (주)에이치씨보광아스콘 1) 산업의 특성 건설공사 토목공사의 기초 원재료들로 매출액 대비 저장비용 및 운반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며 생산지와 소비지가 원거리일수록 수송비가 증가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집니다. 이에 따라 수송비용의 절감을 위한 근거리 공급체계의 구축이 필수적이며,목표시장에서 원거리에 소재한 업체가 해당 지역의 시장점유율을 높이기에는 어려운 환경입니다. 따라서, 당사가 대구경북 이외의 시장에 진입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나, 반대로 타지역의 경쟁사가 대구경북지역 시장에 진입하기도 어려운 전형적인 지역산업의 형태를 보이는 사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단위 : 천ton)
구분 2020년도 2021년도 2022년도 2023년도 2024년도
일반아스콘 18,843 16,682 15,641 16,206 15,536
순환아스콘 4,672 4,519 4,168 4,424 4,531
합계 23,515 21,201 19,809 20,630 20,067

(출처 : 한국아스콘공업협동조합연합회 통계자료)

- 수요 및 공급 모두 전년 대비 하향될 것으로 예상됨.

급변하는 국내 건설 부동산시장 상황 및 국제정세 혼란으로 인한 시장상황 불투명성으로 하향될 것으로 예상됨.

3) 경기변동의 특성 건축자재 수요는 건설경기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건설경기는 산업구조 및 경제환경의 변화와 정부의 정책, 건축 순환주기의도래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큰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서, 소비자의 주문생산이 아닌 불확실한 수요에 의해 건설되고 있어 경기 호황시에는 투기적 가수요가 존재하는 반면 불황시에는 개발중단 및 건축 미분양 사태등의 발생으로 건축, 토목 산업이 부진해지는 등 불안한 시장구조를 지니고 있습니다. 그 중 당사의 모든 제품군은 건설산업의 기초 원재료들로 저장비용 및 운반비가 크기 때문에 거시경제지표의 변화보다는 사업지가 속한 특정지역의 경제상황과 건설경기에 더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4) 계절성 기후의 변화에 따라 매출에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지리적으로도 중위도 온대성 기후대에 위치하여 사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 연중 건설공사는 봄과 가을에 집중되고 여름과 겨울은 우기와 혹한으로 비수기가 되는 등 계절과일기의 상태에 따라 건자재의 소비도 변동합니다. 따라서 당사의 실적도 봄과 가을에 호실적이 이어지는 계절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우기에는 골재의 경우 설비가동률이 떨어지게 되며, 아스콘의 경우는 온도에 민감하기 때문에 한겨울에는 매출이 감소합니다. [유류 도소매]◆종속회사 - (주)에이치씨대하에너지

1) 업계의 현황 최근 석유류 유통업계는 국내외적으로 환경규제정책및 대체에너지연구개발로 화석연료소비가 감소추세에 있으며 국내 경제악화로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석유류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며 정부의 과도한 석유류가격 인상억제 정책등으로 인하여 거래처 선점등 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과당경쟁 으로 석유류 유통질서가 극도로 문란함은 물론 석유류 유통마진축소로 인한 수익구조 악화를 초래하여 일반대리점의 경영위축이 가속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업계는 유통마진확대등 제도개선및 시장감시 활동을 통한 석유유통질서를 확립하고 원가 절감을 통한 경쟁력을 계속 유지 강화하여야 할것입니다.

2)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당사는 1990년 3월 법인 설립하여 1999년 11월 30일부터 (주)대하상사로 상호 변경 후 석유류 제품인 휘발유, 등유, 경유, 액화석유가스 등을 S-Oil주식회사로부터 매입하여 대구경북지역에 판매하는 석유류 도.소매업체로서 그 동안 내실있는 경영과 경영 합리화로 회사발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동업자간에 가장 근실한 기업으로 성장하여 왔습니다 당사는 석유류 유통구조 변화와 급변하는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새로히 구상하고 자체 역량을 배양하여 경영성과를 높이고자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등

[대구, 경북지역 액체연료 및 관련제품 도매업 매출액 및 순위]
(단위 : 백만원)
기업명 2022년 2023년 2024년
금액 순위 금액 순위 금액 순위
케이케이(주) 347,578 1 281,107 1 252,886 1
(주)에이치씨대하에너지 225,605 2 199,256 2 203,897 2
흥구석유(주) 146,717 3 126,695 3 116,852 3
한국광유(주) 135,549 4 123,174 4 104,439 4
(주)신기석유 128,229 5 69,046 5 45,612 6
(주)태산이앤엘 66,289 6 58,704 6 56,642 5

(전자공시시스템 감사보고서 참조)

(3) 시장의 특성

동종업체간의 과당가격경쟁.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레미콘 사업부문(종속회사) 레미콘 사업부문은 기존 레미콘 사업의 노하우와 최신 설비를 기반으로 개발한 슈퍼레미콘 제품을 판매하는 사업부문입니다. 슈퍼레미콘은 낙동강(자연사)의 입도 불량한 모래를 부순모래와 혼합하여 KS규정에 적합한 입도를 맞추어 사용한 고강도성, 고내구성, 고유통성을 추구한 고성능 콘크리트로 ㈜홈센타에서는 골재의 입형이 편형에서 입방형으로 개선된 골재를 원료로 25mm까지 공극이 없는 균일하고 완벽한 입도를 가진 제품을 생산합니다.- 세부 제품 및 주요 판매처 ① 슈퍼레미콘(Super Remicon) 고급형, 보급형 : 건설회사, 관급현장

② 슈퍼레미탈(Super Remital) : 건설회사

2) 건축자재 도·소매 사업부문 건축자재 도·소매 사업부문은 건축 마감자재 중 타일, 위생도기, 수전금구, 가스보일러, 씽크대 등을 아파트, 오피스 빌딩, 일반주택 신축 및 리모델링 현장이나, 설비, 완성 건설업체에 직접 납품, 설치하며, 소비자에게도 직접 판매하는 사업부문입니다.- 세부 제품 및 주요 판매처 ① 타일 : 동서산업, 극동요업, 대림요업, 삼영요업

② 수전금구(세면기 등) : 대림통상, 로얄동도금속, 다다, 아메리칸스텐다드

③ 위생도기(양변기 등) : 대림요업, 동서산업

3) 레져 사업부문 레져 사업부문은 홈스파월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스파월드는 로하스적인 삶을 실현하기 위해 지하 4층, 지상 5층으로 총 4천평 규모의 지역유일의 도심온천입니다.내부 자재와 시설이 친환경적인 자재로 처리를 하여 건강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세부 제품

① 휘트니스센터 (헬스, 요가, 밸리댄스)

② 수영장 (수영, 아쿠아로빅)

③ 바데풀

④ 가족스파/스파

⑤ GX DECK

⑥ 찜질방/휴게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도.소매부문:건축용 마감재(타일, 위생도기, 수전금구) ◈ 레져사업 및 임대:사우나(온천), 찜질방, 레저스포츠 및 근린생활시설 운영사업 ◈ 비금융지주업

(2) 시장의 특성

우리나라의 건설시장 구조는 수요계층이 공공부문보다는 민간부문위주로 형성되어 있고 공사종류 또한 토목 공사보다는 건축공사가, 건축공사 중에서도 아파트를 중심으로 주거용 건물위주의 시장구조이기 때문에 건설경기는 상당 부분 주택경기의 변동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타 산업에 비해 계절적 경기변동의 정도가 심한 편인데 동절기보다는 하절기가 성수기이므로 전반기보다는 후반기에 매출이증가하는 특성이 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신규로 추진하고 있는 사업이 없음으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4) 조직도

조직도.jpg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조(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홈센타홀딩스라 한다. 영문으로는 Home Center Holdings Co.,Ltd 라 한다.) 제1조(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에이치씨홈센타라 한다. 영문으로는 HC HomeCenter Co.,Ltd 라 한다.) - 상호변경
제7장 부칙 제1조(시행일)이 정관은 2024년 11월 25일부터 시행한다. 제7장 부칙제1조(시행일)이 정관은 2025년 6월 27일부터 시행한다. - 정관 개정으로 인한 부칙 조문 정리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ㆍ전자위임장권유관리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6월 17일 오전 9시 ~ 2025년 6월 26일 오후 5시-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단, 마감일은 오후 5시까지 가능)

다. 전자투표시스템에서 본인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본인 인증 방법 :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련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