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 |
대 표 이 사 : | 박 광 훈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70(문래동3가, 우리벤처타운Ⅱ) 509호 | |
(전 화) 02-2636-3084 | ||
(홈페이지)http://www.walkbot.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 (성 명) 이 재 용 |
(전 화) 02-2636-3084 | ||
(제22기 정기주주총회) |
안녕하십니까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가 상법 및 정관에 의거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단,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28조(소집통지 및 공고)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소집 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3월 28일(금) 오전 10시2. 장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선유로70(문래동3가, 우리벤처타운Ⅱ) 피앤에스미캐닉스 1301호 회의실3. 회의목적사항 <보고사항>-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부의안건>제1호 의안 : 제22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배당금 : 1주당 50원)제2호 의안 : 사내이사 정원기 재선임의 건제3호 의안 : 사외이사 박지형 재선임의 건제4호 의안 : 감사 이두희 재선임의 건제5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제6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 행사 : *본인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 위 서류만 신분등으로 인정되며, 미지참시 주주총회장 입장이 불가능합니다. - 대리 행사 : *위임장 및 대리인 신분증 * 위임장에는 아래의 내용들이 필수로 기재되어 있어야 합니다. ① 위임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법인의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②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③ 위임인의 인감도장 날인 ④ 위임인의 인감증명서(주총일로부터 3개월 이내 발행) ※ 주주가 미성년일 경우 의결권 위임받은 자가 위임장에 대리로 인감날인 하고, 대리인의 인감증명서 및 미성년자인 주주의 법정대리인임을 증명 하는 서류를 추가로 제출하여야 함 2025년 3월 13일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대표이사 박 광 훈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박광훈(출석률: 100%) | 이동찬(출석률: 100%) | 이경환(출석률: 100%) | 이재용(출석률: 100%) | 정원기(출석률: 100%) | 박지형(사외이사)(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19 | 1. 정기주주총회 개최 소집의 건 2. 2023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4-04-19 | 1. 임원보수규정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3 | 2024-05-30 | 1.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4-11-19 | 1.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해당 사항 없습니다.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지급액 | 비 고 |
---|---|---|---|---|---|
사내이사 | 5 | 3,000,000,000 | 747,828,000 | 149,565,600 | (주1,2,3) |
사외이사 | 1 | - | - | - |
(주1) 주주총회 승인금액은 제2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되었으며 사내이사, 사외이사를 모두 포함한 이사보수한도금액으로 퇴직금은 포함하지 않은 금액입니다. (주2) 인원수 및 지급 총액은 2024년 12월 31일 기준입니다.(주3) 2024년 1월~12월 사이에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인원의 변동사항은 없습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산업의 특성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 다양한 신경질환, 산업재해, 교통사고 등으로 인하여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보건복지부의 보도 자료를 보면, 2021년 12월말 기준 우리나라 장애 인구는 약 264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약 5.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4년 대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의 가장 큰 문제는 장애 인구의 초고령화 시대가 시작되었다는 점인데, 등록된 장애 인구 중 65세 이상의 비율은 2010년 37.1%에서 2021년 51.3%로 약 14.2% 이상 증가하였습니다.우리나라는 2015년에 이미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14%를 차지함으로써 고령화 사회에 본격 진입하였고 2022년에는 고령 인구 비중이 17.5%를 차지하였으며, 2030년에는 전체 인구의 25%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령화 사회로 인한 노인 인구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혈압, 뇌졸중, 관절염 등 만성 질환 환자 수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 인구도 초고령화 시대에 진입케 함으로써 국가와 의료계에 많은 부담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재활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활 로봇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관련 기술의 발전사회적 환경과 사람들의 욕구 변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신기술을 접목한 환자 맞춤형정밀의료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특히, 재활의료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을 시작으로 로봇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재활의료 기술이 가장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재활로봇활용 이전에는 전문치료사의 노동집약적 치료가 장기간 필수적으로 투입되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재활로봇의 활용을 통해 전문치료사의 노동력 감소, 돌봄 비용 절감, 단순 반복적 작업에 대한 인적자원 투입 경감, 의료 현장에서 작업의 정밀성 향상 및 재활 활동 강화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재활로봇에 대한 수요는 급속히 증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형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서만 국한적으로 사용되어 온 재활로봇이 최근에는 중·소형 병원으로 확대되어 적극적으로 재활치료에 활용되고 있으며, 환자들의 만족도 또한 커지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 내에서만 재활로봇을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일상생활에서도 적극 활용함으로써 재활치료의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보이며 환자의 기능장애 회복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외래 재활 치료의 수요 증가의료 시설은 병원에서의 전통적인 재활에서 가정에서의 재활로 패러다임 전환을 겪고 있습니다. 외래 환자 재활 치료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 수년에 걸쳐 추진되어 왔습니다. 외래 재활 치료는 비용, 상호 작용 양식, 임상 효과 및 편의성 측면에서 수술 및 입원 재활에 비해 이점이 있습니다. 특히, 재활치료 후 가정 및 사회 복귀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활의 전 과정을 꾸준히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외래 재활에 대한 선호도 증가와 함께 외골격 및 치료 재활 로봇과 같은 재활 로봇에 대한 수요가 촉진될 전망입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현재 영업영역은 보행재활로봇 Walkbot의 판매 및 서비스이며 영업업무는 국내영업팀과 해외사업부에서 담당하고 있습니다.국내영업팀은 국내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곳으로 각종 입찰 및 영업기획을 수행하며 의료장비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전문가를 최전선에 배치하여 활발하게 영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제약회사와의 업무 협업 및 전문 의료기 판매업체와의 협업으로 판매를 극대화 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외사업부는 다양한 해외전시, 학술대회, 행사 참여를 통해 당사의 제품을 알리고 있으며, 세계 22개국 30개 대리점 전문의료장비 대리점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수출의 경우 장비의 특성상 고가로 인해 원칙적으로 선수금을 수령후 출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또한, 고객에게 제품의 사용법 및 활용법을 데모, 교육하며 고객지원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품질보증실은 최고의 엔지니어로 구성하여 최고의 서비스를 고객에게 전달함으로써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통해 고객 만족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유지보수 매출의 기반이 되는 부서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2024년까지 보행재활로봇 Walkbot에 기반한 보행재활로봇 사업을 수행하였으며 2025년부터 상지재활로봇 Healerbot 사업을 추가할 계획입니다.
(2) 글로벌 시장 규모시장조사기관 TechNavio의 "Global Rehabilitation Robots Market 2023-2027"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글로벌 재활로봇 전체 시장은 840.44milion USD이며 이 중 하지재활로봇 시장은 235.58milion USD 규모입니다. 보고서는 향후 재활로봇시장을 2027년까지 연평균 27.15% 확대하는 것으로 예상하면서 전체 시장은 2,739.49milion USD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해당보고서의 2023년 하지재활로봇 시장 예측금액은 299.94milion USD입니다.
(3) 시장의 특성
보행재활훈련 로봇시스템은 환자의 보행 손상 정도에 따라 치료 목적을 분리하여 착용형 외골격, 엔드이펙터, 웨어러블 타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인간의 보행기능은 독립된 생활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기능이기 때문에 다양한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로봇들을 개발하고 있으며, 임상에서도 이미 1990년대 후반부터보행로봇치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Walkbot은 착용형 외골격 방식의 재활로봇에 해당하며, 착용형 외골격 방식은 손상 초기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지 관절의 구축을 방지하고 운동 조절 능력의 회복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Walkbot은 트레드밀 보행훈련을 기반으로 부분적 체중지지가 가능하고 최소한의 치료인력으로 집중적인 과제 지향 훈련(Task-orientation training)이 가능하며, 가상현실을 이용한 시각적 피드백을 적용하여 실제 일상환경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환자들의 재활치료의 동기를 높이고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Walkbot과 구조가 다른 보행재활훈련 로봇시스템으로 엔드이펙터형이 있습니다. 착용형 외골결 보행재활훈련 로봇시스템은 환자의 하지에 착용하여 환자의 관절을 직접 운동시켜주는 형태이지만 엔드이펙터 타입은 대상자의 다리 말단 부위인 발을 발판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지면의 움직임을 통해 무릎, 허벅지, 골반을 간접적으로 운동시키는 방식의 재활훈련 로봇시스템입니다. 엔드이펙터형 운동의 경우 계단보행과 같은 특별한 형태의 운동기능을 제공하지만 근력이 부족하고 보행을 위한 기립능력과 균형능력을 상실한 병증초기 환자들에게 적합하지 않으며 직접적인 땅짚기 훈련 측면에서 취약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전세계 의료시장에서는 착용형 외골격 타입의 보행재활훈련 로봇시스템을 선호하는 추세입니다.재활훈련을 목적으로 하는 또 다른 형태의 로봇으로 이동형 웨어러블 로봇이 있습니다. 웨어러블 로봇의 특징은 척수손상에 의한 양하지 마비환자에게 특화되어 있는보행보조 로봇이기 때문에 뇌질환 재활훈련을 위한 뇌신경 재활 분야에는 쓸 수 없습니다. 즉, 고령층 및 중증 환자가 일상생활에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을 보조해주는 자립지원 로봇에 속합니다. 위에 언급한 국가들에서 생산하고 있는 이동형 재활로봇의 구조는 공통적으로 배터리를 등에 메고 허리나 관절에 있는 센서와 엑추에이터에 의해 운동이 제어됩니다. 또한 가장 큰 특징은 보행시 넘어짐 방지를 위한 로프스트랜트(Lofstrand, 전완을 함께 지지해주는 지팡이) 지팡이를 이용하여야 하는 점입니다. 즉, 양쪽 상지 기능에 장애가 없어야 하고 환자는 스스로 체중을 어느정도 지탱할 수 있어야 하며 전정기능이나 인지기능에 문제가 없고 걷고자 하는 의욕과 의지가 높은 환자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뇌졸중 환자들에게서 상지와 하지의 마비증상을 동반하는 편마비나 사지마비 증상이 나타나고, 하지마비로 인해 기립을 위해서 반드시 치료사나 보호자의 도움이 필요하고, 불안정한 균형감각 증상과 인지기능의 저하로 인한 의지력 약화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이동형 재활로봇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신체적 문제점이 없는 경증 환자라 하여도 이동형 웨어러블 로봇을 탑승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로봇을 동작시키는 특별한 방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집중적인 트레이닝 코스를 학습하고 난 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환자가 로봇재활 훈련을 통해 학습을 추구하는 임상적 재활훈련 컨셉과 상반됩니다. 즉, 환자의 신체능력 회복 목적보다 하지 신체기능을 상실한 환자들을 위한 이동보조 목적으로 적합한 로봇시스템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상지재활훈련 로봇시스템(이하 Healerbot)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Healerbot은재활훈련로봇시스템 플렛폼 기술에 기반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다양한 재활훈련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수동/능동/저항운동기능 및 증강현실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재활훈련로봇시스템입니다. Helerbot 시스템은 재활의학과에서 요구하는 과제(목표)지향훈련, 강도훈련, 반복훈련 기반의 몰입형 뇌 신경가소성 재활훈련기능을지원할 뿐만 아니라 정형외과분야에서 요구하는 환자맞춤형 관절 보조 운동기능을 제공합니다.당사는 Healerbot을 가정용 및 병원용 두 가지 버전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경량화, 소형화, 모바일 연동 자가관리시스템을 갖춘 가정용 Healerbot을 2025년에 먼저 선보일 예정입니다. 재활훈련 기능이 강화된 병원용 Healerbot도 개발 중에 있으며 관련 인증 및 임상 실험을 마친뒤 차례로 출시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2 기 2024. 12. 31 현재 |
제 21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2024-12-31 | 2023-12-31 |
---|---|---|
자산 | ||
유동자산 | 38,824,979,630 | 7,013,042,771 |
현금및현금성자산 | 34,386,846,023 | 4,987,984,606 |
단기금융상품 | 800,000,000 | 0 |
매출채권 | 2,063,443,806 | 786,656,265 |
재고자산 | 1,230,086,976 | 1,191,348,705 |
유동금융자산 | 270,811,640 | 15,432,512 |
기타유동자산 | 73,791,185 | 31,620,683 |
비유동자산 | 2,506,640,211 | 2,159,318,865 |
유형자산 | 1,536,680,265 | 1,593,836,602 |
사용권자산 | 386,414,241 | 228,731,808 |
무형자산 | 37,435,950 | 46,999,551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12,344,672 | 79,698,605 |
기타비유동자산 | 100,000 | 100,000 |
이연법인세자산 | 433,665,083 | 209,952,299 |
자산총계 | 41,331,619,841 | 9,172,361,636 |
부채 | ||
유동부채 | 1,064,560,765 | 1,290,755,214 |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 231,278,310 | 208,849,487 |
단기차입금 | 10,000,000 | 550,000,000 |
당기법인세부채 | 155,110,534 | 57,503,349 |
리스부채(유동) | 72,969,923 | 53,641,828 |
기타유동부채 | 559,976,918 | 390,566,567 |
충당부채 | 35,225,080 | 30,193,983 |
비유동부채 | 310,883,326 | 178,080,658 |
리스부채(비유동) | 310,883,326 | 178,080,658 |
부채총계 | 1,375,444,091 | 1,468,835,872 |
자본 | ||
자본금 | 3,235,870,000 | 2,540,620,000 |
주식발행초과금 | 30,308,984,321 | 1,595,919,321 |
기타자본항목 | 826,585,217 | 304,692,747 |
이익잉여금 | 5,584,736,212 | 3,262,293,696 |
자본총계 | 39,956,175,750 | 7,703,525,764 |
부채 및 자본총계 | 41,331,619,841 | 9,172,361,636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목 | 제22기 | 제21기 |
---|---|---|
매출액 | 7,105,295,087 | 6,009,352,447 |
매출원가 | 2,527,488,116 | 2,312,534,676 |
매출총이익 | 4,577,806,971 | 3,696,817,771 |
판관비와 관리비 | 2,961,039,672 | 2,377,062,434 |
영업이익(손실) | 1,616,767,299 | 1,319,755,337 |
기타수익 | 11,356,867 | 46,531,802 |
기타비용 | 340,298 | 10,046 |
금융수익 | 944,406,193 | 167,186,103 |
금융원가 | 23,918,842 | 53,245,798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548,271,219 | 1,480,217,398 |
법인세비용(수익) | 225,828,703 | 69,747,612 |
당기순이익(손실) | 2,322,442,516 | 1,410,469,786 |
당기 총포괄손익 | 2,322,442,516 | 1,410,469,786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단위:원) | 409.87 | 277.58 |
희석주당이익(단위:원) | 394.00 | 270.00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22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제 21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단위 : 천원) |
과 목 | 제 22 기 | 제 21 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5,584,736 | 3,220,681 |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3,262,294 | 1,810,211 |
2. 당기순이익 | 2,322,443 | 1,410,470 |
Ⅱ. 이익잉여금이입액 | - | 41,613 |
1. 법정적립금 | - | 41 |
2. 임의적립금 | - | 41,572 |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 355,946 | 3,262,294 |
1. 법정적립금 | 32,359 | - |
2. 배당금(주당50원) | 323,587 | - |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5,228,790 | 3,262,294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단위 : 원, 주)
과 목 | 제22(당)기 | 제21(전)기 |
발행주식수 | 6,471,740 | 5,081,240 |
1주당 배당금 | 50 | - |
배당금총액(원) | 323,587,000 | - |
당기순이익 | 2,322,442,516 | 1,410,469,786 |
배당성향 | 13.9% | -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2025년 3월 13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합니다. 제22기 정기주주총회 이후 해당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에 변경된 사항이 있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된 정정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