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사채권 발행결정
1. 사채의 종류 |
회차 |
4
종류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무담보 사모 전환사채
2.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 (원) |
16,500,000,000
2-1. 정관상 잔여 발행한도 (원) |
70,500,000,000
2-2. (해외발행) |
권면(전자등록)총액(통화단위) |
-
-
기준환율등 |
-
발행지역 |
-
해외상장시 시장의 명칭 |
-
3. 자금조달의 목적 |
시설자금 (원) |
8,200,000,000
영업양수자금 (원) |
-
운영자금 (원) |
8,300,000,000
채무상환자금 (원) |
-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원) |
-
기타자금 (원) |
-
4.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
0.0
만기이자율 (%) |
1.0
5. 사채만기일 |
2030년 07월 31일
6. 이자지급방법 |
본 사채의 표면이자는 0.0%이며, 별도의 이자지급기일은 없는 것으로 한다.
7. 원금상환방법 |
만기까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원금에 대하여는 만기일인 2030년 7월 31일에 전자등록금액의 105.1234%(소수점 넷째자리 미만 절사)에 해당하는 금액을 일시에 상환한다. 단 만기일이 은행영업일(공휴일이 아닌 날로서 서울에서 은행들이 일상적인 업무를 영위하는 날을 말하며, 일부 은행 또는 은행의 일부 점포만 영업하는 날은 제외한다, 이하 ‘영업일’이라 한다)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원금 만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8. 사채발행방법 |
사모
9.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비율 (%) |
100
전환가액 (원/주) |
10,214
전환가액 결정방법 |
본 사채 발행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 전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으로 기준주가로 하여, 기준주가의 100%를 최초 전환가액으로 하되,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전환에 따라발행할 주식 |
종류 |
주식회사 마이크로디지탈 기명식 보통주식
주식수 |
1,615,429
주식총수 대비비율(%) |
8.03
전환청구기간 |
시작일 |
2026년 07월 31일
종료일 |
2030년 06월 30일
전환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가.
본 사채권을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단
, 기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한 경우는 제외한다
. 이하 같다
), 무상증자
,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행사가액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을 신규 부여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 본 목에 따른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 주식배당
,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조정 후 전환가격
= 조정 전 전환가격 ×
[{A+(B×
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
주당 발행가격
D:
시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격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격 또는 행사가격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는 조정사유 발생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계산한 기준주가) 또는 권리락 주가로 한다.
나.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격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합병 또는 자본의 감소 직전에 전액 전환되어 주식으로 발행되었더라면 본 사채권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혹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의 경우에는 각각 그 비율을 고려하여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전환가액의 조정일은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의 기준일로 한다.
다.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라 한다)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전환가액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전환가액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전환가액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라. 위 가목 내지 다목에 의하여 조정된 전환가격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전환가격으로 하며, 각 전환사채에 부여된 전환청구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전환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마. 본 목에 의한 조정 후 전환가격 중 원단위 미만은 절상한다.
시가하락에따른전환가액조정 |
최저 조정가액 (원) |
-
최저 조정가액 근거 |
-
발행당시 전환가액의70% 미만으로조정가능한 잔여발행한도 (원) |
-
9-1. 옵션에 관한 사항 |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2027년 7월 31일 및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조기상환수익률을 가산한 금액의 전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조기상환수익률은 분기 단위 연 복리 1.0%로 한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매수인”)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2026년 7월31일)부터 24개월이 되는 날(2027년 7월 31일)까지 매 3개월이 되는 날 (이하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규정된 한도 내에서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일부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이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세부내용은 "22.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 합병 관련 사항 |
-
11. 청약일 |
2025년 07월 31일
12. 납입일 |
2025년 07월 31일
13. 납입방법 |
현금
14. 대표주관회사 |
-
15. 보증기관 |
-
16. 담보제공에 관한 사항 |
-
1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5년 07월 23일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 (명) |
1
불참 (명) |
0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18.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19.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사모발행 (사채발행일로부터 1년간 전환권 행사 금지 및 거래단위 분할/병합 금지)
20. 당해 사채의 해외발행과 연계된 대차거래 내역 - 목적, 주식수, 대여자 및 차입자 인적사항,예정처분시기, 대차조건(기간, 상환조건, 이율),상환방식, 당해 전환사채 발행과의 연계성, 수수료 등 |
-
2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2027년 7월 31일 및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에 조기상환수익률을 가산한 금액의 전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다. (조기상환수익률은 분기 단위 연 복리 1.0%로 한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1) 조기상환 청구장소: 발행회사의 본점
(2) 조기상환 지급장소: 하나은행 야탑역금융센터
(3) 조기상환 청구기간: 사채권자는 조기상환지급일 60일전부터 30일전까지(이하 ‘조기상환 청구기간’이라 한다) 발행회사에게 서면통지로 조기상환 청구를 하여야 하며, 조기상환 의사가 있는 경우 즉시 발행회사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청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구분 |
조기상환청구기간 |
조기상환지급일 |
조기상환율 |
FROM |
TO |
1차 |
2027-06-01 |
2027-07-01 |
2027-07-31 |
102.0203% |
2차 |
2027-09-01 |
2027-10-01 |
2027-10-31 |
102.2726% |
3차 |
2027-12-02 |
2028-01-03 |
2028-01-31 |
102.5283% |
4차 |
2028-03-01 |
2028-03-31 |
2028-04-30 |
102.7846% |
5차 |
2028-06-01 |
2028-07-03 |
2028-07-31 |
103.0444% |
6차 |
2028-09-01 |
2028-10-06 |
2028-10-31 |
103.2991% |
7차 |
2028-12-02 |
2029-01-02 |
2029-01-31 |
103.5574% |
8차 |
2029-03-01 |
2029-04-02 |
2029-04-30 |
103.8163% |
9차 |
2029-06-01 |
2029-07-02 |
2029-07-31 |
104.0787% |
10차 |
2029-09-01 |
2029-10-01 |
2029-10-31 |
104.3360% |
11차 |
2029-12-02 |
2030-01-02 |
2030-01-31 |
104.5969% |
12차 |
2030-03-01 |
2030-04-01 |
2030-04-30 |
104.8584% |
(4) 조기상환 청구절차: 사채권자가 고객계좌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거래하는 계좌관리기관을 통하여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고 자기계좌에 전자등록된 경우에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조기상환을 청구하면 한국예탁결제원이 이를 취합하여 청구장소에 조기상환 청구한다.[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1. 매도청구권: ‘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매수인”)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2026년 7월31일)부터 24개월이 되는 날(2027년 7월 31일)까지 매3개월이 되는 날 (이하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아래 제2.항에 규정된 한도 내에서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일부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이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1) 매도청구권 행사 방법: 매도청구권을 행사하려는 매수인은 매매대금 지급기일(아래 제 (2)호에서 정하는 날)로부터 90일 전부터 61일 전까지, 사채권자에게 매수대상 사채의 수량, 매매대금 지급기일 및 매매대금을 서면으로 통지하는 방식으로 매도청구권 행사를 하며, 본 매도청구권 행사에 따른 매매계약은 매수인의 매도청구가 사채권자에게 도달한 시점에 체결된 것으로 본다. 단, 매도청구기간의 종료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까지로 한다. (2) 매매대금: 매도청구의 대상이 되는 본 사채의 매매대금은 매도청구권행사금액에 분기 단위 연 복리 1.0%의 이율을 적용하여 계산한 아래의 매도청구권상환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매매대금 지급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매매대금 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하며, 1년 365일로 하여 1일 단위로 계산한다.
구분 |
매도청구권행사기간 |
매도청구권행사에 의한매매대금 지급기일 |
매도청구권 상환율 |
FROM |
TO |
1 차 |
2026-05-02 |
2026-06-01 |
2026-07-31 |
101.0065% |
2 차 |
2026-08-02 |
2026-09-01 |
2026-10-31 |
101.2562% |
3 차 |
2026-11-02 |
2026-12-02 |
2027-01-31 |
101.5094% |
4 차 |
2027-01-30 |
2027-03-02 |
2027-04-30 |
101.7631% |
5 차 |
2027-05-02 |
2027-06-01 |
2027-07-31 |
102.0203% |
(3) 대금지급 및 사채의 인도: 매수인은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사채권자에게 사채권자가 지정하는 방식으로 매매대금을 지급하고, 사채권자는 위 금액을 지급받음과 동시에 매수인에게 매도청구권 대상 채권을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하는 방법으로 인도한다. 단, 매매대금 지급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지급하고 매매대금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매수인이 본 매도청구권의 행사에 따른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매매대금을 지급하지 아니한 때에는 해당 매매대금 지급기일의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 해당 매매대금에 대하여 산정한 연체이자를 추가로 지급하며, 이에 대하여는 본 계약 제4조 제13항을 준용한다.
2. 매도청구권 행사 범위: 매수인은 각 사채권자에 대하여 각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 발행가액의 30%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부연하면, 매도청구권 행사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및 그 특수관계인(이하 “최대주주 등”)이 대상 사채 발행 당시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으며, 발행회사가 매도청구권 행사로 취득한 대상사채를 최대주주 등에게 매도하는 경우 최대주주 등은 대상사채 발행 당시 해당 최대주주 등의 각 지분율을 초과하여 주식을 취득할 수 없다.
3. 사채권자의 본 사채 의무 보유: 사채권자는 본 협약에 따른 “발행회사의 매도청구권”의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위 제1.항 제 나.호에 규정된 동 매도청구권의 행사기간 종료일까지 본 계약 제3조에 따른 발행 당시 인수금액의 30%에 해당하는 본 사채를 미행사 상태로 보유하여야 한다. 단, 본 계약 제4조 24. 발행회사의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4. 사채 양도시 매도청구권 행사 보장 및 면책 :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계약 제 4조의 사채의 전매 및 분할, 병합금지에도 불구하고 본 사채를 양도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의 양수인에 대하여 본 협약에 의한 “매도청구권”의 행사 및 “의무보유”가 보장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한다. 사채권자는 이러한 방식으로 제3자에게 본 사채를 양도한 경우, 양도한 범위에서 본 협약상 사채권자의 의무(매수인의 콜옵션을 보장하고 이에 응하여야 하는 의무 포함)는 소멸한 것으로 본다.
발행 대상자명 |
회사 또는최대주주와의관계 |
선정경위 |
발행결정 전후6월이내거래내역 및계획 |
발행권면(전자등록)총액(원) |
비고 |
한국투자 바이오 소부장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
회사 경영상 필요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
-
15,000,000,000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본건 펀드 1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 경영상 필요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
-
500,000,000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본건 펀드 2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 경영상 필요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
-
500,000,000
-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본건 펀드 3의 신탁업자 지위에서)
-
회사 경영상 필요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투자자의 납입능력 및 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정
-
500,000,000
-
구 분 |
집합투자기구 |
집합투자업자 |
신탁업자 |
본건 펀드 1 |
한국밸류 the One 일반사모증권투자신탁 제2호 |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주식회사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
본건 펀드 2 |
한국밸류 코스닥벤처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 |
한국투자밸류자산운용 주식회사 |
케이비증권 주식회사 |
본건 펀드 3 |
진 코스닥벤처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 |
주식회사 자산운용진 |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
【사채발행 대상 법인 또는 단체가 권리 행사로 주주가 되는 경우】 |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최대출자자)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한국투자 바이오 소부장 신기술사업투자조합 제1호
9
한국투자증권(주)
19.35
한국투자증권(주)
19.35
한국투자증권(주)
19.35
-
-
-
-
(주)아이비케이캐피탈
19.35
(2) 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주요 재무사항 |
(단위 : 백만원) |
회계연도 |
2025년 1분기
결산기 |
54기
자산총계 |
93,805,425
매출액 |
4,973,052
부채총계 |
83,920,111
당기순손익 |
448,213
자본총계 |
9,885,313
외부감사인 |
-
자본금 |
175,917
감사의견 |
-
자금용도 |
세부내역* |
연도별 사용 예정 금액 |
'25년
'26년
-
합계 |
운영자금
인도 및 미국 현지 생산 및 운용자금 투자(인건비, 원자재 등)
1,500
6,800
-
8,300
세부내역* |
투자기간 |
투자금액 |
일회용 2D Bag 생산시설 및 BM 제품 최종 생산 시설 구축
2025년 3분기~2026년
8,200
전환(행사)가능주식 |
기발행미상환사채권 |
종류 |
잔액(원) |
전환(행사)가액(원) |
전환(행사)가능주식수(주) |
전환(행사)가능기간 |
비고 |
제2회 무기명식 무보증 전환사채
1,495,636,000
5,370
278,516
2025.03.20 ~ 2029.02.20
-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전환사채
8,500,000,000
9,691
877,102
2025.09.09 ~ 2029.08.09
-
소계 |
9,995,636,000
-
(A) |
1,155,618
- |
-
신규 발행 사채권 |
16,500,000,000
10,214
(B) |
1,615,429
2026.07.31 ~ 2030.06.30
-
합계 |
26,495,636,000
-
2,771,047
- |
-
기발행주식 총수(주) (C) |
18,504,613
기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 (D=(A+B)/C) |
1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