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권 관련 사채권의 종류 | 신주인수권부사채권 | ||||
회차 | 제5회차 | 종류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신주인수권부사채 | ||
2. 사채권 발행회사 | 회사명(국적) | 주식회사 심텍 | 대표이사 | 전영선, 김영구 | |
자본금(원) | 17,079,214,000 | 회사와 관계 | 자회사 | ||
발행주식총수(주) | 32,028,632 | 주요사업 | 반도체용 인쇄회로기판 제조업 | ||
최근 6월 이내 제3자 배정에 의한 신주취득 여부 | 아니오 | ||||
3. 취득내역 | 사채의 권면(전자등록)총액(원) | 20,000,000,000 | |||
취득금액(원) | 6,699,620,400 | ||||
자기자본(원) | 25,798,206,500 | ||||
자기자본대비(%) | 26.0 | ||||
대기업 여부 | 해당 | ||||
4. 취득방법 | 현금취득 | ||||
5. 취득목적 | 자회사가 발행한 사채권 취득을 통한 지주회사 경영효율성 증대 | ||||
6. 취득예정일자 | 2025-09-12 | ||||
7.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5-08-07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1 | |||
불참(명) | 0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8.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9. 풋옵션계약 등의 체결여부 | 예 | ||||
- 계약내용 | [조기상환청구권(Put Option)에 관한 사항] 본 사채의 사채권자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인 2026년 03월 12일(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말함) 및 그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이라 한다)에 본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만기 전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이 경우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전자등록금액과 함께 전자등록금액에 대하여 조기상환지급일까지 조기상환수익율 연 1.0%(3개월 단위 복리계산)을 가산한 금액을 조기상환지급일에 지급하여야 한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매도청구권(Call Option)에 관한 사항] 발행회사와 인수인들은 주식회사 심텍홀딩스(이하 "매수인")를 매도청구권의 행사자로 지정한다. 매수인은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년이 되는 2025년 03월 12일부터 2026년 03월 12일까지 2025년 03월 12일을 포함하여 이 때부터 매 3개월(총 5회)에 해당하는 날(이하 "매매대금 지급기일")에 각 인수인(인수인 또는 인수인으로부터 사채를 전매 받아 보유하고 있는 자를 의미한다, 이하 동일)이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일부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각 인수인은 이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동등한 비율로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 한다. 단, 매수인은 본 사채 발행가액의 33%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다. |
||||
10.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
1. 상기 '3. 취득내역의 취득금액(원)은 매도청구의 대상이 되는 "콜옵션 대상 사채"의 전자등록금액(6,600,000,000원)에 대하여 연 1.0%(3개월 단위 복리)의 이율을 적용한 금액입니다. 2. 상기 '3. 취득내역의 자기자본(원)'은 ㈜심텍홀딩스의 2025년 03월 31일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3. 하기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은 ㈜심텍의 2024년(당해년도), 2023년(전년도), 2022년(전전년도)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4. 하기 [상대방에 관한 사항]은 상기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인수인이 4개사이므로 그 중 한국투자증권에 대한 내용으로 갈음합니다. |
|||||
※ 관련공시 | 2024-03-08 신주인수권부사채권발행결정(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 |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당해년도 | 1,443,279 | 994,804 | 448,475 | 17,079 | 1,231,421 | -31,045 | 적정 | 삼일회계법인 |
전년도 | 1,176,061 | 705,623 | 470,438 | 17,079 | 1,041,896 | -115,144 | 적정 | 삼일회계법인 |
전전년도 | 1,266,333 | 653,732 | 612,602 | 17,079 | 1,697,452 | 246,101 | 적정 | 삼일회계법인 |
1. 인적사항 | |||
- 기본사항 | |||
성명(명칭) | 국적 | 주소(본점소재지)[읍ㆍ면ㆍ동까지만 기재] | 생년월일(사업자등록번호 등) |
한국투자증권 | 대한민국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 116-81-04504 |
직업(사업내용) | 증권 중개업 | ||
- 최대주주ㆍ대표이사ㆍ대표집행임원 현황 및 재무상황 등(상대방이 법인인 경우) | |||
구분 | 성명 | 주식수 | 지분율(%) |
최대주주 | 한국투자금융지주(주) | 35,183,340 | 100 |
대표이사 | 김성환 | - | - |
(단위 : 백만원) | |||
해당 사업연도 | 2024년 | 결산기 | 제53기 |
자산총계 | 90,721,389 | 자본금 | 175,917 |
부채총계 | 81,455,334 | 매출액 | 19,579,635 |
자본총계 | 9,266,055 | 당기순손익 | 1,118,919 |
외부감사인 | 한영회계법인 | 휴업 여부 | 아니오 |
감사의견 | 적정 | 폐업 여부 | 아니오 |
2. 상대방과의 관계 | |||
1. 회사와 상대방과의 관계 | - | ||
2. 회사의 최대주주ㆍ임원과 상대방과의 관계 | 성명 | 상대방과의 관계 | |
최대주주 | 전세호 | - | |
대표이사 | 박광준 | - | |
3. 최근 3년간 거래내역(일상적 거래 제외) | |||
구분 | 거래 내역 | ||
당해년도 | - | ||
전년도 | - | ||
전전년도 | - |
사채의 이율 | 표면이자율(%) | 0.0 | |
만기이자율(%) | 연1% (3개월 단위 복리) | ||
사채만기일 | 2029-03-12 |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행사비율(%) | 100.0 | |
행사가액(원/주) | 21,194 | ||
행사가액 결정방법 | 본 사채 발행을 위한 이사회결의일 전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청약일전(청약일이 없는 경우는 납입일) 제3거래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하여, 기준주가의 100%를 최초 행사가액으로 하되, 원단위 미만은 원단위로 절상한다. | ||
사채와 인수권의 분리여부 | 비분리 | ||
신주대금 납입방법 | 대용납입 | ||
인수권행사에 따라 발행할 주식의 종류 | 발행회사의 기명식 보통주식 | ||
권리행사기간 | 시작일 | 2025-03-12 | |
종료일 | 2029-02-12 | ||
행사가액 조정에 관한 사항 | 1) 주식의 소각, 분할 또는 병합, 발행회사의 합병, 분할, 분할합병, 포괄적 주식교환, 포괄적 주식 이전 또는 자본의 감소 등에 의하여 행사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본건 사채가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당해 사유 발생 직후에 주주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가 행사주식수가 되도록 행사가액을 조정한다. 본조에 따른 행사가액 조정일은 분할,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주식 액면 변경 등의 기준일로 한다. 2) 본건 사채를 소유한 자가 신주인수권 행사를 청구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유상증자, 주식배당 및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을 함으로써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행사가액을 조정한다. 본 목에 따른 행사가액의 조정일은 유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으로 인한 신주발행일 또는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일로 한다. 단, 본건 사채의 발행일 이전에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주식이 발행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조정 후 행사가액 = 조정 전 행사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격 D: 기준가 다만, 위 산식 중 “기발행주식수”는 당해 조정사유가 발생하기 직전일 현재의 발행주식 총수로 하며,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신발행주식수”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액으로 전부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당해 사채 발행 시 행사가액으로 신주인수권이 전부 행사될 경우 발행될 주식의 수로 한다. 또한, 위 산식 중 “1주당 발행가격”은 주식분할, 무상증자,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영(0)으로 하고,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할 경우에는 당해 사채 발행 시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하며, 위 산식에서 “시가”라 함은 발행가격 산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주가(“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에서 정하는 기준주가, 유상증자의 경우 확정발행가액 산정 시 사용한 기준주가로 함) 또는 권리락주가(유상증자 이외의 경우에 적용함)로 한다. 3) 본 항 제 1)호에도 불구하고,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행사가액을 조정한다. 단, 감자 및 주식병합 등을 위한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증권의 발행 및 공시등에 관한 규정 제 5-22조 제1항 본문의 규정에 의하여 산정(제3호는 제외한다)한 가액(이하 “산정가액”)이 액면가액 미만이면서 기산일 전에 행사가액을 액면가액으로 이미 조정한 경우(행사가액을 액면가액 미만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경우는 제외한다)에는 조정 후 행사가액은 산정가액을 기준으로 감자 및 주식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 조정한 가액 이상으로 조정한다. 4) 위 1) 내지 3)과는 별도로 본건 사채 발행 후 매 [7]개월이 경과한 날(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행사가액 조정일로 하고, 각 행사가액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격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행사가액보다 낮은 경우 동 낮은 가격을 새로운 행사가액으로 한다. 단, 새로운 행사가액은 발행 당시 행사가액(단, 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의 사유로 행사가액을 이미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다)의 70% 이상이어야 한다. 5) 위 1) 내지 3)과는 별도로 4)에 이어 본건 사채 발행 후 매 [7]개월이 경과한 날(해당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익영업일)을 행사가액 조정일로 하고, 각 행사가액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한 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격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행사가액보다 높은 경우 동 높은 가격을 새로운 행사가액으로 한다. 단, 상향조정의 의한 새로운 행사가액이 발행 당시 행사가액의 100%(단, 조정일 전에 신주의 할인발행 등의 사유로 행사가격을 이미 조정한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산정한다, 이하 본 항에서 같음)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행 당시 행사가액의 100%에 해당하는 가액을 새로운 행사가액으로 한다. 6) 위 1) 내지 5)에 의해 조정된 행사가액이 주식의 액면가 이하일 경우에는 액면가를 행사가액으로 하며, 각 신주인수권부사채의 행사 청구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발행가액의 합계액은 각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가액을 초과할 수 없다. 7) 본 항에 의한 조정 후 행사가액 중 원단위 미만은 원단위로 절상한다. |
||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