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9 월 8 일 | ||
회 사 명 : | 세종텔레콤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김형진, 안종석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 7길 12 (갈현동) 세종빌딩 | |
(전 화) 02.3415.4935 | ||
(홈페이지)http://www.sejongtelecom.net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관리본부장 | (성 명) 최대수 |
(전 화) 02.3415.4935 | ||
(임시주주총회) |
2025년 제2회 임시주주총회를 당사 정관 제17조 규정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며,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 총수의 1% 이하를 소유하는 주주에게는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9월 23일 (화) 오전 9시
2. 장소 : 경기도 과천시 과천대로 7길 12 (갈현동, 세종빌딩) 지하1층 강당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나. 의결사항
- 제1호 의안 : 자본감소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 제3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소집통보 및 공고사항을 당사 본점 및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고, 전자공시시스템에 게재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사항
주주총회 의결사항 제1호 의안(자본감소의 건)은 당사가 2025년 8월 1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기공시한 주요사항보고서(감자결정)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정환(출석률:100%) | 박종문(출석률:100%) | 전성배(출석률:100%) | |||
찬 반 여 부 | |||||
1 | 25-01-02 | 자본감소의 건임원퇴직위로금지급규정 개정의 건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2 | 2025-01-02 | 경영임원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3 | 2025-01-24 | 지급보증보험증권 기간 연장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4 | 2025-02-03 | 제9회 교환사채 양수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5 | 2025-02-03 |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5-03-10 | 자회사 설립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7 | 2025-03-10 | 자기거래 사전 승인의 건영업양수도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8 | 2025-03-10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9 | 2025-03-10 | 제33기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정관 개정의 건주식병합 결정의 건제3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0 | 2025-03-10 | 건설공제조합 출자지분 반환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1 | 2025-03-10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12 | 2025-03-26 | 이사회 의장 선임의 건대표이사(각자 대표이사)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 |
13 | 2025-03-26 | 사내이사 겸직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 |
14 | 2025-03-26 | 예탁증권 담보대출 약정 체결의 건 | 찬성 | 찬성 | - |
15 | 2025-04-07 | 이사회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16 | 2025-05-26 | 이음 5G 영업양수도계약 체결의 건 | 찬성 | 찬성 | - |
17 | 2025-06-02 |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보고의 건 | 찬성 | 찬성 | - |
18 | 2025-06-23 | 전기공사공제조합 업무거래 약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19 | 2025-06-30 | 콘텐츠캐리어 지분 매각의 건 | 찬성 | 찬성 | - |
20 | 2025-07-07 | 전문건설공제조합 업무거래약정(보증) 체결의 건 | 찬성 | 찬성 | - |
21 | 2025-07-07 | 자기거래 사전 승인의 건자금대여의 건 | 찬성 | 찬성 | - |
22 | 2025-08-04 | 괌 합작법인 지분 양도의 건 | 찬성 | 찬성 | - |
22 | 2025-08-04 | 부산지점 폐지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 |
23 | 2025-08-11 | 자본감소의 건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500 | 36 | 18 | - |
※ 상기 주총승인 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보수한도 총액임※ 상기 보수현황은 2025년 1월 1일~ 2025년 6월 30일까지 지급총액임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전기공사부문
(산업의 특성)
전기공사는 국가 기간산업의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필수적인 산업으로 송전 설비, 변전 설비, 배전 설비, 전기 철도 ㆍ 항공등화 설비, 도로 및 터널 전기 설비, 산업단지 전력 공급 설비, 건축물 전기 설비 등 다양한 세부 공종으로 구성됩니다.
전기공사는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핵심 역할을 수행하며, 일반 건설업과 마찬가지로 수주 기반 산업으로서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을 중심으로 사업이 운영됩니다.
특히, 고압 송전 공사, 전기철도 신호 및 전차선 공사, 공항 항공등화 등은 높은 기술력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특수 전기공사 분야로 분류되며, 정부 및 공공기관 발주 프로젝트, 대형 건설사와의 협업을 통한 민간 프로젝트 수주가 주요 사업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스마트 인프라 구축과 전력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스마트그리드,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및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도입 확대, 신재생 에너지 연계형 전력망 구축 등 IT기술이 융합된 전기공사 분야가 새로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전기 ㆍ 통신 ㆍ 소방공사 시장은 도시화, 전력 인프라 노후화 개선, 전기차 및 신재생 에너지 확대 등의 요인으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국내외적으로는 도시 인프라 확충 및 친환경 전력 인프라 구축을 위한 정부 및 민간 부문의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망 자동화 및 스마트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기공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고속철도망 확충, 전기차 충전소 및 태양광 발전소 전력 설비 공사,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인프라 구축 등의 프로젝트가 증가하면서 특수 전기공사 시장의 성장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기존의 전력망에서 스마트그리드로의 전환, 데이터센터의 대규모 전력 수요 증가,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 연계 전력 인프라 구축 확대 등의 변화에 따라 전기공사 산업은 첨단 기술과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을 융합한 인프라 구축 역량이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전기공사업은 정부의 인프라 투자 정책, 민간 건설 경기, 전력 수요 변화에 따라 수주 물량과 매출이 변동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경기 호황기에는 신도시 개발, 산업단지 조성, SOC(사회간접자본) 사업 등이 활발해지면서 전기공사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 경기 침체기에는 건설 경기 둔화에 따라 수주 경쟁이 심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송전 ㆍ 변전, 전기철도, 항공등화, 대형 발전소 및 전력 플랜트와 같은 특수 전기공사 분야는 필수 인프라 투자 항목으로 분류되어 경기 변동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 안정적인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부가 가치 특수 전기공사 프로젝트 수주를 확대하여 경기 변동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시장환경)
국내 전기공사 시장은 정부의 신재생 에너지 전환 정책,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 전기철도 ㆍ 항공 ㆍ 도로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의 요인으로 인해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압 송전선로 구축, 전기철도 전력설비 및 신호 시스템, 대심도 터널 및 지하철 전력망 구축, 공항 항공등화 시스템 구축 등 특수 전기공사 시장의 성장 속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력 인프라 수요가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신도시 및 산업단지 개발 프로젝트로 확장되면서 해외 전력 인프라 구축 사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도별 전기공사금액 현황]
구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공사금액(억원) | 191,554 | 202,992 | 218,580 | 243,611 | 241,207 | 276,539 | 290,607 | 313,036 | 322,900 | 313,481 | 337,950 | 366,030 | 392,848 |
자료 : 한국전기공사협회 홈페이지(http://www.keca.or.kr), 실적제출업체 기준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전력 플랜트, 공공 인프라, 다목적 시설, 생산 시설, 해외 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풍부한 공사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송전 공사, 전기철도 전력설비, 항공등화 시스템 구축 등 특수 전기공사 분야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부 및 공공 기관이 발주하는 대형 관급공사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신뢰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국내외 전력 인프라 확충을 위한 민간 프로젝트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전기공사 시장 내 시공능력평가 30위권을 유지하며, 특수 실적 확보를 위한 입찰 경쟁력 강화 전략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력 플랜트 부문에서는 대형 발전소 및 송배전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공공 인프라 부문에서는 전기철도, 도로, 터널 등 국가 기반 시설의 전력 및 신호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내외 인프라 확충을 통한 공공 프로젝트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거시설 및 다목적 시설 부문에서는 아파트, 복합 시설, 상업시설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정밀한 전력 설비 시공 경험을 축적하고 있으며, 생산시설 부문에서는 반도체 공장, 산업단지, 대규모 제조시설 등 하이테크 산업의 전력 설비 구축을 통해 첨단 산업과 동반 성장하는 전력 인프라 구축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는 몽골 국제공항 전기설비 공사, 적도기니 국제공항 전력망 구축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국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지 기술자 교육 및 전력 인프라 최적화 솔루션 제공을 통해 개발도상국 전력망구축 사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며, 지속적인 해외 시장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통신부문(산업의 특성) 통신사업은 유선전화, 무선전화, 전용회선, 인터넷서비스, 인터넷데이터센터, 플랫폼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어 정부의 규제 강도가 높은 편입니다. 이로 인하여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통제하는 산업특성으로 인해 규제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또한 통신산업은 인프라 구축 산업으로써 대규모 자금이 선투자되고 장기간에 걸쳐 투자비가 회수되며, 가입자가 증가할수록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와 투자된 설비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수록 비용이 분산되는 범위의 경제가 나타나는 특성이 있어, 공격적 선발투자와 가입자 선점이 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요인입니다. 이러한 통신서비스는 타사업에 비하여 지식집약적 사업으로서 최근 급격한 기술발전 및 신규서비스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국민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공공재적 성격이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산업의 성장성) 우리나라 통신서비스 시장 규모는 유무선 통신서비스의 보급률이 포화단계에 도달함에 따라 매출 및 가입자수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통신 기술 및 기기의 디지털화로 유선과 무선, 통신과 방송 간의 경계가 사라지고, 더욱 빠른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술이 진화하면서 경쟁 강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경기변동의 특성) 통신서비스 산업은 국민생활의 필수 소비재로서 타업종 대비 일반경기 변동의 영향은 미약한 편입니다.(시장환경) 국내 통신시장을 크게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유선통신시장은 무선통신서비스의 급속한 확산으로 가입자수가 정체되는 한편, 경쟁심화로 인한 요금 하락, 저가형 인터넷전화의 보급 등으로 매출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습니다. 이에 비해 B2B사업 중심의 전용회선서비스와 초고속인터넷 시장은 KT와 LG유플러스의 복점체제로 운영되었으나, 이후 통신산업 경쟁체제 도입 정책에 따라 당사를 비롯한 다수의 사업자가 전용회선사업자 허가를 득하여 시장에 진입하여 과점체제의 경쟁구도 하에서 비교적 양호한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IDC(Internet Data Center)는 인터넷 사업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수요가 많이 늘고 있으며 최근에는 기본 서비스뿐만 아니라 시스템컨설팅에서 호스팅, 보안, 시스템 운영까지 일괄적으로 처리해주는 IT 아웃소싱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당사는 통신사업 부문의 전문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4 년 4월 유선 통신사업(국가 기간통신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세종네트웍스㈜를 신설하였습니다 . 이를 통해 신설법인 세종네트웍스(주)는 자가망(BACKBONE)을 보유한 통신전문 사업자로 전국에 설치된 13,911km(임차망 2,334km포함)의 광케이블의 통신인프라를 확보하여 대규모 설비투자와 마케팅비용 투입이 선행되고, 일정 규모 이상의 가입자 기반을 확보해야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유선통신시장에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통신사업의 전문성을 높이고 시장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선통신서비스와 더불어 보유중인 번호자원을 활용하여 이종산업과의 결합을 통하여 안심번호서비스, AI 클로바 케어콜, AI 케어콜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모델을 제공 중입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전기ㆍ통신ㆍ소방ㆍ토목공사를 중심으로 국가 기간산업의 핵심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공사업 부문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며 전력 플랜트, 공공 인프라, 주거시설, 다목적 시설, 생산 시설, 해외 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과 시공경험을 기반으로 실적을 확보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통신사업 부문의 전문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24년 4월 유선 통신사업(국가 기간통신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세종네트웍스㈜를 신설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통신사업의 전문성을 높이고, 독립적인 운영체계를 구축해 사업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블록체인, AI, 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기존산업과 융합하여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하고, DX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기 위하여 당사는 세종디엑스(주)(Sejong DX)'를 당반기 설립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자회사를 통해 중고 휴대폰 유통, 유통, 방송 기술 사업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9년 세종큐비즈㈜ 인수를 통해 중고 휴대폰 유통 시장에 진출했고, 2021년 3월 디지털 방송 솔루션 기술 개발 및 공급 부문 국내 1위 기업 ㈜에어코드의 지분 53.52%를 인수하고 T커머스, 클라우드UI/RBI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전기ㆍ통신ㆍ소방공사 분야에서의 핵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디지털 기술 융합을 통해 미래 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주요 사업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주요 사업내용 | 회사 |
전기공사 | 전기공사, 소방시설공사, 정보통신공사 | 세종텔레콤(주), SejongTelecom Vina Co.LTD,JYNECS Mongolia |
통신사업 | 국제전화, 시외전화, 시내전화부가, 별정통신, MVNO(스노우맨 알뜰폰), 국제전용회선, 국내전용회선, 데이터센터, 블록체인, 이음5G, 중고휴대폰 유통, T-commerce 서비스 및 클라우드 솔루션, 디지털 방송 EPG 및 송출 시스템, 기타 | 세종텔레콤(주), Sejong Telecom America. Inc,세종네트웍스(주), 세종큐비즈(주), (주)에어코드,세종디엑스(주) |
사업부문별 영업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제34기(2025년 당반기) | 제33기(2024년 전기) | 제32기(2023년 전전기) |
기공사 | 공사 | 전기/통신 공사 | 38,037 | 94,789 | 66,340 |
전기/임대 | - | - | 7 | ||
통신 | 용역 | 회선임대 | 18,486 | 35,579 | 30,290 |
인터넷 | 14,895 | 24,692 | 20,616 | ||
시내부가통신 | 28,009 | 59,297 | 55,888 | ||
국제전화 | 109 | 275 | 375 | ||
시외전화 | 1,412 | 2,807 | 3,225 | ||
별정통신 | 5,645 | 9,852 | 9,669 | ||
MVNO | 8,348 | 29,008 | 23,866 | ||
상품매출 | 24,404 | 104,165 | 111,902 | ||
임대수익 | 587 | 603 | 2,358 | ||
기타 | 4,698 | 10,322 | 14,765 | ||
합 계 | 144,630 | 371,391 | 339,301 |
(2)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신규사업 필요성
당사는 유무선 통신 서비스를 비롯해 다양한 ICT 솔루션을 제공해왔으나, 최근 에너지 산업의 중요성 증대와 디지털 전환 시대의 흐름에 발맞춰 사업 영역을 재정비 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당사 유보자금은 신규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선제적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2) 신규사업 추진계획
당사는 사업 다각화 및 신성장 동력 확보 전략을 추진하며, 특히 디지털 전환(DX) 가속화와 커넥티비티 서비스 확산에 맞춘 블록체인 및 AI 융합사업 추진을 위하여 자회사 세종디엑스(주)를 당반기에 설립 하였습니다.
세종텔레콤은 2020년 7월 부산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 사업자로 선정되어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집합투자 및 수익 배분 서비스'인 비브릭(BBRIC)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토큰증권 발행 과 '블록체인 기반 의료 마이데이터 비대면 플랫폼 서비스' '비헬씨(B-healthy)를 개발, 운영 중입니다. 또한 '24년 출시한 AI 기반 분실물 찾기 서비스 ‘파인딩올(FindingAll)’ 까지 다양한 융합 기술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전환을 선도해왔습니다.
위와 같은 서비스를 중심으로 세종디엑스(주)는 블록체인,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간 경계를 허물고 기존의 틀을 깨며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사업에 역량을 집중해, 지속 가능한 미래 가치를 창출할 것입니다.
(3) 조직도
제1호 의안 : 자본감소의 건
가. 자본의 감소를 하는 사유
- 자본금 규모의 적정화 및 주주가치 제고
나. 자본감소의 방법
- 자기주식 14,336주(100.00%) : 무상감자- 자기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 19,985,664주 중 9,985,664(49.96%) : 유상감자- 유상소각대금 : 1주당 6,000원- 유상소각대금 지급 예정일 : 2025년 11월 12일
다. 자본감소의 목적인 주식의 종류와 수, 감소비율 및 기준일
감자주식의종류 | 감자주식수 | 감자비율 | 감자기준일 | 감자전자본금(발행주식수) | 감자후자본금(발행주식수) |
---|---|---|---|---|---|
보통주식 | 10,000,000 | 50.00% | 2025.10.24 | 110,000,000,000(20,000,000) | 60,000,000,000(1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 감자주식의 수, 감자 전후의 자본금, 감자 전후의 발행주식수 등은 소각과정에서 단수주처리에 따라 그 수량, 금액 등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본 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사업보고서 등을 제출하지 않습니다.
-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