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0일 | ||
회 사 명 : | 에이치엘비사이언스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윤 종 선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 66, 6층 | |
(전 화) 02-6925-0379 | ||
(홈페이지) http://www.hlbscienc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대표이사 | (성 명) 윤 종 선 |
(전 화) 02-6925-0379 | ||
(제9기 정기) |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리며, 주주 여러분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 22조에 의거하여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 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래-
1. 일 시 : 2025년 3월 25일(화) 오전 10시
2. 장 소 : 서울 성동구 아차산로 66, 6층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
- 영업보고
- 감사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 안건
- 제 1 호 의안 : 제 9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 2 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 3 호 의안 : 이사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윤종선 선임의 건(재선임)
제3-2호 의안 : 사내이사 남경숙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3-3호 의안 : 사내이사 장영순 선임의 건(신규선임)
- 제 4 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승인의 건(4억원)
- 제 5 호 의안 : 감사보수한도승인의 건(1억원)
- 제 6 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제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 금융위원회, 국민은행증권대행부 및 한국거래소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주주 본인: 본인 신분증(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대리인: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 위임인(주주)의 성명,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 주민등록번호는 중복주주 판별을 위하여 현장에서 육안 확인 후 즉시 삭제하며, 별도 수집 및 보관하지 않습니다. - 위임인(주주)의 날인 또는 서명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출석률: %) | B(출석률: %) | C(출석률: %) | D(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신약개발은 후보물질의 발굴에서부터 완제의약품의시장 판매까지 통상적으로 10년 이상의 긴 시간이 소요되며, 후보물질의 발굴뿐만 아니라 개발 과정에서 임상 시험을 통하여 약물의 효능과 안정성을 충분히 입증하여야 합니다. 후보물질 발굴까지의 연구단계, 비임상시험부터 임상시험까지의 개발단계, 그리고 최종 제품으로 판매되기 위한 허가 및 생산, 마케팅 단계가 모두 완료되기까지 성공확률은 낮은 수준이며 이와 함께 오랜 시간과 대규모 비용이 소요됩니다.
임상시험은 시판 허가 전의 3 단계와 시판 후 임상시험(PMS)을 포함하여 총 4 단계로 구분합니다. 특히 인체를 그 시험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을 진행하고자 할 때에는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각 국가의 정부 규제가 엄격하여, 인체에 대한 임상시험 이전 단계부터 엄격한 규제에 의해 축적된 다양한 데이터를 각 국가의 규제당국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바이오신약 개발 사업은 그 전방산업인 세계 전문의약품 시장은 매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제약시장 조사기관인 EvaluatePharma에 따르면, 세계 전문의약품 시장규모는 2021년 7,940억 달러에서 2026년까지 6.4% 성장하여 매출액 1조 400억달러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급격한 성장 배경은 최근 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영향으로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성, 만성질환에 대한 치료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고, 삶의 질 향상으로 건강증진 및 유지를 위한 의료분야의 지출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글로벌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 의약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증가 추세이며, 매출 비중은 2012년 20% 에서 2019년 29%로 급증하였습니다. 그 성장세는 지속되어 2026년에는 바이오 의약품의 시장 내 비중이 65% 정도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며, 시장규모는 5,050억 달러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최근 경제수준 향상에 따른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새로운 신약개발에 따른 의약품 수요 증가로 글로벌 의약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높은 비율로 확대되는 인구고령화 및 만성질환으로 인해 의약품 시장의 성장 및 의료비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감염 및 면역학 전문가로서 감염성 질환 (박테리아 감염성 패혈증, 감염으로 인한 알츠하이머성 치매)과 면역항암제 전달기술 및 백신효력 증강제 중심의 연구결과물을 혁신신약으로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6년 4월 창업한 벤처기업으로 패혈증 치료제 개발 등 다수의 국가연구과제를 우수하게 수행하였으며, 중소기업벤처기업부의 창업아이템 사업화과제로 내독소 제거용 시약을 개발하였고, 제품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펩타이드 기반 패혈증 치료제는 미국 임상 1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패혈증 치료제>
패혈증 (Sepsis)은 다양한 병원균 감염에 의해 과도한 면역반응 촉진으로 인한 신체장기 손상 유발 후 생명을 위협하는 무서운 감염 질병입니다. 2019년 미국과 유럽 기준으로, 패혈증 감염 후 치사율은 30% 이상으로 높으며, 이는 폐암, 전립선암, 유방암 및 HIV/AIDS에 의한 치사율을 모두 합친 비율보다도 높은 수준입니다. (Sepsis Fact Sheet from World Federation of Pediatric Intensive & Critical Care Societies, www.wfpiccs.org/projects/sepsis-initiative/)
패혈증 치료에 소요되는 비용은 입원기간 연장, 집중치료실 (ICU) 입원, 광범위한 테스트 및 환자 모니터링 등 관련 제반비용이 포함되며, 미국에서만 연간 240억 달러를 초과하여 병원에서 치료되는 단일질병 중 치료비용이 가장 비싼 질병입니다. 또한, 2019년 보고 (Sepsis Alliance. “Fact Sheet 2018.” Sepsis.org. Accessed 6 Mar. 2019) 기준으로 전 세계의 패혈증의 발병률은 연간 1.5%의 비율로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 인구의 증가와 항생제 내성 병원체 감염의 증가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패혈증 치료제가 없어 패혈증 환자가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요법은 항균제 및 보조치료 기법에 의한 치료가 전부이기 때문에 효력이 우수하고 저독성인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입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뇌 손상에 의한 인지기능의 저하로 일상생활에 장애를 유발하는 질병입니다. 2019년 기준, 60세 이상 환자 중에서 약 73%가 치매환자로 보고되어 있으며 이들의 관리비용으로 약 16조 원이 소비되고 있습니다. 국내 사망원인 7위이며 환자 1인당 치료비가 337만원으로 사회경제적 측면 뿐만 아니라, 가계의 막대한 금전적 부담을 초래하는 질병입니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치매질환 중에서도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전체 치매관련 질환 중 약 60~70%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런 사회적 문제로 인해 최근 많은 연구자나 제약회사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뚜렷한 근본적인 치매치료제는 없는 실정입니다.
<면역항암제 전달기술>
다양한 항암면역치료제 및 감염성 질환 예방/치료용 의약품 등이 개발되고 있지만 인체 내에서의 다양한 독성 문제 등으로 많은 부작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독성을 유발하지 않고 체내에서 장시간에 걸쳐서 방출되어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개량신약의 개발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항암작용 및 면역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다양한 약물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약물들의 전달효능 및 생체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전달체로 리포좀 소재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단일리포좀 (Single liposome) 소재를 이용한 기능 낮은 로딩 효율과 생체 내에서의 불안정성이 큰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면역항암제와 병용투여하는 치료법이 항암치료의 새로운 표준으로 사용되는 현대 항암치료분야에서 다양한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약물의 전달 효능 및 생체 내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약물전달 플랫폼의 개발이 매우 중요한 실정입니다.
<백신면역증강제>
전세계적으로 백신개발은 특정바이러스 및 암 항원 개발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백신 아주번트 개발연구는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 이외에는 전무한 실정으로 한정된 상용화 백신 아주번트를 대상으로한 맞춤형 항암백신 개발에 실패하는 사례가 많은 실정입니다.
때문에 최근 연구자들은 기존 항암백신의 고질적인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세포성 면역활성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신규 백신 아주번트 개발 연구를 위주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몇몇 기업을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신규 백신 아주번트 개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및 시장의 특성
<패혈증 치료제>
패혈증 및 패혈증성 쇼크 치료제 개발 파이프라인에서 활발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최근 수년간 시장에 도달한 새로운 치료제는 없는 상황입니다. 글로벌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패혈증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39.4억 달러로 추산되며 2025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6.18%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패혈증 신약개발 현황을 살펴보면, 지금까지 허가된 유일한 패혈증 치료제인 Eli Lilly사의 Xigris (Human recombinant activated protein C)는 임상 3상을 통과 후 2001년부터 패혈증 치료제로서 10여년간 판매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10여년간의 치료 효율을 Eli Lilly사에서 자체 분석 결과, 위약 대조군인 플라세보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혈액응고 저해 등의 부작용 주의에 의해 2011년에 철수되었습니다. Xigris 철수 후에도 많은 후보 약물들이 임상시험을 진행하였지만, 현재까지 패혈증 치료제로서 치료 효능을 검증한 약물이 전혀 없는 상황입니다.
유일한 패혈증 치료제였던 Xigris와 현재 개발 시도되고 있는 치료제들의 한계를 분석해보면, 접적으로 병원균을 제어하기보다는 숙주의 면역체계 조절을 통해 병원균에 대한 면역반응 조절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면역반응 조절은 병원균 감염 후의 면역반응 제어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병원균도 제어하며, 병원균에서 유리되는 독소에 의한 면역반응을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념의 치료제 개발이 시급합니다.
글로벌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514억 달러에서 2030년에 약707억 달러로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 (CAGR)은 3.5%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일하게 박테리아도 제어할 수 있고, 유리되는 독소도 제어할 수 있는 항생제인 Colistin의 경우, 박테리아의 내독소와 결합하여 항균작용을 보일 뿐만 아니라, 면역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는 가장 이상적인 치료제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Colistin은 신경 및 신장독성 문제로 인하여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혈액투석기를 처치해야 하는 등 임상에서 실제 사용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이러한 부작용이 우려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의 치료가 불가능한 패혈증 중증 이상의 환자에게 사용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의 출현으로 인해 그 사용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많은 제약회사 및 연구자들이 독성이 감소된 Colistin 개발에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현재 Colistin을 대체할 만한 항생제 및 패혈증 치료제의 개발은 미진한 상태이며, 실제로 근본적인 패혈증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박테리아뿐만 아니라 박테리아에서 유리된 독소를 제어할 수 있는 저독성의 치료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알츠하이머성 치매 치료제 개발 현황은 2024년 1월 1일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127개 신약후보 물질을 대상으로 총 164건의 임상시험 평가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파이프라인과 비교했을 때, 시험이 적고 (164건 대 187건), 약물이 적고 (127건 대 141건), 새로운 화학 물질이 적고 (88건 대 101건), 재활용 제제가 비슷한 수입니다 (39건 대 40건). 특히, 임상 3상을 진행중인 약물은 대부분 아밀로이드 베타를 타겟으로 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임상 3상에서 실패를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바이오젠과 에자이의 아두카누맙과 레카네맙은 베타-아밀로이드를 타겟으로 하는 항체의약품으로 FDA의 승인을 받았으나 아밀로이드관련 영상이상 (ARIA)인 뇌부종과 미세출혈 등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며 고가의 치료비용 등 제한점이 있습니다.
기존의 임상시험이 베타-아밀로이드 가설에 기반한 베타-아밀로이드 타겟 위주였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타우 단백질, 염증, 대사, 신경보호, 혈관인자 및 신경재생 등으로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외에도 2019년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의 체내에 존재하는 비정상적인 장내미생물의 다양성을 리모델링하여 말초의 전신염증 반응을 감소시키고 뇌 내의 염증반응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 병리를 억제하여 인지기능 장애를 완화시키는 작용기전을 가진 그린벨리 (Green velly)사의 GV-971이 중국의 국가약품감독관리국 (NMPA)의 조건부 승인을 받아 시판되고 있으며, 그람음성 구강균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가 분비하는 진지페인 (Gingipain) 효소를 억제하여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치료하고자 하는 라이트하우스파마 (Lighthouse Pharma)의 LHP588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면역항암제전달기술>
최근의 암 치료는 기존에 각광을 받던 표적항암치료에서 면역치료제로 ‘패러다임 시프트’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수지상세포 기반 암 백신 기술, T 세포기반 치료 (CAR-T, Engineered T cell 포함) 기술, 자연살해세포 기반 치료 (CAR-NK 포함)기술 등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지만 낮은 치료효율과 고가의 치료비용이 문제점으로 인식되어, 효과적인 종양 항원 인식 기술과 아주번트와의 조합을 통한 면역세포 활성화 기술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또한 다국적 제약사들은 PD-1, PD-L1 (L2), CTLA-4, LAG-3, TIM-3 등의 면역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blockade) 또는 OX40, CD137, CD27, CD40 등 보조활성인자 (Co-stimulatory factors) 약물 개발에 집중하고 있지만 종양의 종양미세환경 (Tumor microenvironment) 내 다양한 면역억제 세포 (Immune regulatory cells)들의 활성과 이에 의한 면역억제 작용으로 인해 그 치료효율이 30% 이내로 낮은 실정입니다. 따라서, 항암 백신이나 T 세포의 활성에 의해 암세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면역억제인자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약물을 지속적이며 안정적으로 종양조직내에 공급할 수 있는 약물전달기술의 개발이 매우 필요합니다.
<백신면역증강제>
현재 Novartis, GSK 및 Sanofi 등 다국적 제약회사를 중심으로 다양한 감염성 질환 및 항암면역치료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는 신규 면역증강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GSK에서는 alum과 톨유사수용체4 (Toll-like receptor 4; TLR4)의 리간드인 MPLA을 혼합한 ASO4 아주번트를 제조하여 자궁경부암 백신으로 상용화한 예가 있습니다.
또한, 리포좀 및 나노에멀젼 외부에 MPLA와 사포닌계열인 QS21을 코팅한 AS01 과 AS02를 개발하여 Malaria, Tuberculosis, Cancer 등의 백신 아주번트로서 임상시험 (Phase 3) 중에 있으며, Zoster백신 아주번트로는 2018년 최종 승인되어 제품화 되어있습니다. 또한, 세포성 면역을 유도하기 위하여 다른 기업에서는 CpG, Saponin, Poly(I:C), 양이온성 리피드 등을 활용한 나노리피드, 마이셀, 이온 복합체 등 다양한 제형 개발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4)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9(당) 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 8(전) 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목 | 제9(당)기 | 제8(전)기 |
자산 | ||
I.유동자산 | 4,106,914,123 | 3,126,217,712 |
현금및현금성자산 | 1,042,248,932 | 276,549,002 |
단기금융상품 | 3,000,000,000 | 2,770,000,000 |
매출채권및기타수취채권 | 48,988,178 | 60,550,426 |
기타유동자산 | 1,039,073 | 1,356,554 |
당기법인세자산 | 14,637,940 | 17,761,730 |
II.비유동자산 | 796,205,232 | 824,096,518 |
장기금융상품 | 20,000,000 | - |
유형자산 | 53,152,626 | 108,656,137 |
무형자산 | 470,192,848 | 381,300,546 |
사용권자산 | 43,444,327 | 50,630,742 |
장기기타수취채권 | 209,415,431 | 283,509,093 |
자산총계 | 4,903,119,355 | 3,950,314,230 |
부채 | ||
I.유동부채 | 2,269,909,249 | 512,390,552 |
매입채무및기타지급채무 | 273,417,407 | 362,721,091 |
기타유동부채 | 30,793,168 | 42,620,398 |
단기차입부채 | 1,175,514,068 | 47,713,746 |
파생상품부채 | 739,403,748 | 2,863,185 |
리스부채(유동) | 50,780,858 | 56,472,132 |
II.비유동부채 | 47,160,000 | 1,817,193,806 |
확정급여부채 | - | 45,314,827 |
장기차입부채 | - | 1,000,860,635 |
파생상품부채(비유동) | - | 719,924,870 |
리스부채(비유동) | - | 3,933,474 |
복구충당부채 | 47,160,000 | 47,160,000 |
부채총계 | 2,317,069,249 | 2,329,584,358 |
자본 | ||
자본금 | 8,920,905,500 | 8,160,682,500 |
자본잉여금 | 15,912,656,765 | 13,394,990,336 |
기타자본구성요소 | 3,442,094,744 | 3,455,054,823 |
이익잉여금 | (25,689,606,903) | (23,389,997,787) |
자본총계 | 2,586,050,106 | 1,620,729,872 |
부채및자본총계 | 4,903,119,355 | 3,950,314,230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단위 : 원) |
과목 | 제9(당)기 | 제8(전)기 |
Ⅰ. 매출액 | - | - |
Ⅱ. 매출원가 | - | - |
Ⅲ. 매출총이익 | - | - |
판매비와관리비 | 2,122,440,465 | 2,680,564,187 |
Ⅳ. 영업손실 | (2,122,440,465) | (2,680,564,187) |
금융수익 | 91,564,077 | 1,207,970,931 |
금융비용 | (240,310,440) | (1,344,231,731) |
기타영업외수익 | 17,668,421 | 37,375,452 |
기타영업외비용 | (46,090,709) | (18,909,038) |
Ⅴ.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2,299,609,116) | (2,798,358,573) |
법인세비용 | - | - |
Ⅵ. 당기순이익(손실) | (2,299,609,116) | (2,798,358,573) |
Ⅶ. 기타포괄손익 | - | 45,013,044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45,013,044 |
Ⅷ. 당기총포괄이익(손실) | (2,299,609,116) | (2,753,345,529) |
Ⅸ.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137) | (205) |
희석주당이익(손실) | (137) | (205) |
자 본 변 동 표 | |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단위: 원) |
구 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자본구성요소 | 이익잉여금 | 총계 |
2023년 1월 1일(전기초) | 5,780,581,500 | 6,573,665,138 | 2,973,965,983 | (20,636,652,258) | (5,308,439,637)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이익 | - | - | - | (2,798,358,573) | (2,798,358,573)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45,013,044 | 45,013,044 |
소유주와의 거래: | - | ||||
유상증자 | 2,334,731,500 | 6,651,453,055 | - | - | 8,986,184,555 |
주식보상비용 | - | - | 66,004,273 | - | 66,004,273 |
주식선택권의 행사 | 34,500,000 | 116,276,700 | (48,610,500) | - | 102,166,200 |
전환사채의 발행 | - | - | 506,335,987 | - | 506,335,987 |
전환사채의 전환 | 10,869,500 | 53,595,443 | (16,070,273) | - | 48,394,670 |
전환사채의 상환 | - | - | (26,570,647) | - | (26,570,647) |
2023년 12월 31일(전기말) | 8,160,682,500 | 13,394,990,336 | 3,455,054,823 | (23,389,997,787) | 1,620,729,872 |
2024년 1월 1일(당기초) | 8,160,682,500 | 13,394,990,336 | 3,455,054,823 | (23,389,997,787) | 1,620,729,872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 | - | - | - | (2,299,609,116) | (2,299,609,116)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696,702,000 | 2,298,915,452 | - | - | 2,995,617,452 |
주식보상비용 | - | - | 72,855,693 | - | 72,855,693 |
주식선택권의 행사 | 49,500,000 | 166,974,300 | (69,745,500) | - | 146,728,800 |
전환사채의 전환 | 14,021,000 | 51,776,677 | (16,070,272) | - | 49,727,405 |
2024년 12월 31일(당기말) | 8,920,905,500 | 15,912,656,765 | 3,442,094,744 | (25,689,606,903) | 2,586,050,106 |
현 금 흐 름 표 | |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단위: 원) |
구분 | 당기 | 전기 |
Ⅰ. 영업활동 현금흐름 | (1,935,111,090) | (3,036,655,411) |
당기순이익 | (2,299,609,116) | (2,798,358,573) |
손익조정 | 528,112,349 | 533,936,129 |
운전자본의 증감 | (208,181,974) | (802,025,627) |
이자수취(영업) | 84,577,162 | 115,345,356 |
이자지급(영업) | (40,009,511) | (85,552,696) |
법인세납부(환급) | - | - |
Ⅱ. 투자활동 현금흐름 | (299,626,202) | (2,801,957,743)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 2,230,000,000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230,000,000) | (5,000,000,000) |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 - | 20,0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20,000,000) | - |
유형자산의 취득 | (6,900,000) | (17,368,745) |
장기기타수취채권의 증감 | - | (34,588,998) |
Ⅲ. 재무활동 현금흐름 | 3,000,437,222 | 1,885,613,275 |
유상증자 | 2,999,998,812 | 9,000,000,445 |
주식선택권 행사 | 148,500,000 | 103,500,000 |
전환사채의 발행 | - | 2,000,000,000 |
전환사채의 상환 | - | (9,077,884,504) |
리스부채의 상환 | (141,362,590) | (124,456,536) |
유상증자 비용 | (4,381,360) | (13,815,890) |
전환사채 전환비용 | (546,440) | (396,440) |
주식선택권 행사비용 | (1,771,200) | (1,333,800)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 765,699,930 | (3,952,999,879) |
Ⅴ.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276,549,002 | 4,229,548,881 |
Ⅵ.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1,042,248,932 | 276,549,002 |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 |
제 9(당)기: 2024년 1월 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 |
제 8(전)기: 2023년 1월 1일 부터 2023년 12월 31일 까지 | |
(단위: 원) |
구 분 | 당기(처리예정일: 2025년 3월 25일) | 전기(처리확정일: 2024년 3월 26일) |
Ⅰ. 미처리결손금 | 25,721,223,241 | 23,421,614,125 |
전기이월처리전결손금 | 23,421,614,125 | 20,623,255,552 |
당기손손실 | 2,299,609,116 | 2,798,358,573 |
Ⅱ. 결손금처리액 | - |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25,721,223,241 | 23,421,614,125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없음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1조 (주식매수선택권) ⑥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 1.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사임 또는 사직한 경우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3. 회사의 파산 등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4. 기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⑦ 회사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다음 각 호의 1에서 정한 방법으로 부여한다. 1.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보통주식(또는 종류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방법 2.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보통주식(또는 종류주식)의 자기주식을 교부하는 방법 3.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방법 ⑧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7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 내에 사망하거나 그 밖에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 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 |
제11조 (주식매수선택권) ⑥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를 취소할 수 있다. 1.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사임 또는 사직한 경우 2.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회사에 중대한 손해를 입힌 경우 3. 회사의 파산 등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에 응할 수 없는 경우 4. 기타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에서 정한 취소사유가 발생한 경우 ⑦ 회사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다음 각 호의 1에서 정한 방법으로 부여한다. 1.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보통주식(또는 종류주식)을 발행하여 교부하는 방법 2.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보통주식(또는 종류주식)의 자기주식을 교부하는 방법 3.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방법 ⑧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7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단, 이경우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관련 법령이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문의 규정에 의한 결의일로부터 2년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이를 행사할 수 있다. |
법령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재직기간동안 행사가능함을 명확히 하고자 함 |
※ 기타 참고사항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Jong SunYoon (윤종선) |
1965.11.30 | 부 | 부 | 계열사 임원 | 이사회 |
남경숙 | 1976.05.13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장영순 | 1976.06.28 | 부 | 부 | 없음 | 이사회 |
총 ( 3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Jong SunYoon (윤종선) |
HLB사이언스 대표이사 | 2022.03 ~ 현재2019 ~ 2022 2008 ~ 2013 | HLB사이언스 대표이사Access Health & Community, Admin officer하이쎌 대표이사 | 해당사항 없음 |
남경숙 | HLB 바이오전략기획팀 팀장/상무 | 2024.07 ~ 현재 2023.02 ~ 2024.06 2020.08 ~ 2023.012008.03 ~ 2020.08 |
HLB 바이오전략기획팀 팀장/상무 LB생명과학R&D 기획팀 팀장/이사 넥스트젠바이오사이언스 전략기획실 실장/이사 대웅제약 전략기획팀 팀장 |
해당사항 없음 |
장영순 | HLB사이언스 경영기획본부본부장/부장 | 2022.12 ~ 현재2021.06 ~ 2022.042010.07 ~ 2019.02 | HLB사이언스 경영기획본부장/부장(주)스마트나우 경영관리팀 팀장캡콤엔터테인먼트코리아 경영관리실 실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Jong SunYoon (윤종선) |
부 | 부 | 무 |
남경숙 | 부 | 부 | 무 |
장영순 | 부 | 부 | 무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들은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하여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함 |
※ 기타 참고사항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0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400,000,000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0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3,000,000원 |
최고한도액 | 4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0원 |
최고한도액 | 1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주주가치의 향상과 개인보상을 연계하여 임직원들의 공헌의지를 제고하고 계속근무 유인을 제공하고자 부여함.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Jong Sun Yoon (윤종선) |
대표이사 | - | 보통주 | 100,000 |
남경숙 | 임원 | - | 보통주 | 20,000 |
000 | 직원 | - | 보통주 | 8,000 |
총(3)명 | - | 총(128,000)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교부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기명식 보통주 128,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 주주총회일 전일(2025년 3월 24일)로부터 과거 2개월간, 과거 1개월간, 과거 1주일간 각 거래량가중산술평균가격의 산술평균가격2) 행사기간 : 2027.03.26 ~ 2032.03.25 | - |
기타 조건의 개요 | 상기외 기타사항은 정관, 부여계약서 및 관계법령등의 규정에 따름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주식수 | 잔여주식수 |
---|---|---|---|---|
17,841,811 |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 | 보통주식 | 2,676,272 | 1,160,272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종류 | 부여주식수 | 행사주식수 | 실효주식수 | 잔여주식수 |
---|---|---|---|---|---|---|---|
2023년 | 2023.03.28 | 12 | 보통주 | 98,000 | 0 | 9,000 | 89,000 |
2020년 | 2020.01.29 | 9 | 보통주 | 848,000 | 222,000 | 586,000 | 40,000 |
2019년 | 2019.05.30 | 16 | 보통주 | 570,000 | 390,000 | 150,000 | 30,000 |
계 | - | 총(37)명 | - | 총(1,516,000)주 | 총(612,000)주 | 총(745,000)주 | 총(159,000)주 |
※ 기타 참고사항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상법 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개최 1주 전까지 회사 홈페이지(http://www.hlbscience.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