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년 9 월 11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나우로보틱스 | |
대 표 이 사 : | 이종주 | |
본 점 소 재 지 : | 인천광역시 남동구 앵고개로 449번길42 | |
(전 화) 032)719-7040 | ||
(홈페이지) http://www.naurobo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부사장 | (성 명)손봉식 |
(전 화)032)719-7040 | ||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1조에 의거 2025년도 제1회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며, 상법 제542조의4 및 우리회사 정관 제21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9월 26일(월) 10:002. 장 소 : 인천 연수구 센트럴로 123 송도컨벤시아 202호3. 회의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목적사업/발행예정주식수 추가, 이사의 책임경감)
제2호 의안 : 감사 안상선 선임 제3호 의안: 사외이사 정태윤 선임 제4호 의안: 사외이사 이규빈 선임 제5호 의안: 사내이사 손봉식 선임 제6호 의안 : 사내이사 오세훈 재선임 나. 보고사항 (1) 유형자산양수(제2공장) 진행사항 보고 (2) 우리사주매수선택권 행사내역 보고 (3)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내역 보고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을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하고, 당사 본점과 KB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 수여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ㆍ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인터넷/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ㆍ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2025년 09월 16일 9시 ~ 2025년 09월 25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나. 대리행사 : 주주총회참석장 또는 주주신분증 사본과 위임장(주주 인적사항 기재 , 인장날인 또는 자필사인,법인 주주의 경우 법인인감 날인 및 법인인감증명서 첨부) 및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사항
주주답례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5년 9 월 11일
주식회사 나우로보틱스 대표이사 이 종 주 (직인생략)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김정원(출석률: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5.01.20 |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한 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2 | 2025.01.23 | 보수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3 | 2025.01.31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외 | 찬성 |
4 | 2025.02.14 | 코스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승인의 건 | 찬성 |
5 | 2025.02.24 |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6 | 2025.03.28 | 이사의 직급부여 및 업무분장의 건 외 | 찬성 |
7 | 2025.05.20 | 부동산 신규 취득의 건(유형자산양수) | 찬성 |
8 | 2025.06.10 | 장기대출금 차입의 건 외 | 찬성 |
9 | 2025.08.08 |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10 | 2025.09.03 | 상장주관사 신주발행의 건 | 찬성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500,000,000 | 6,000,000 | 6,000,000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제9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의 보수한도 총액이며, 지급총액은 2025년 1월~제출일 현재까지 지급된 금액입니다.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1. 산업의 특성
당사는 산업용 로봇 및 서비스용 로봇인 자율주행 물류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 제조 및 공급하는 기업으로서, 해당 산업은 다음과 같은 요인으로 인해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제조업의 인력 부족 및 생산 비용 상승으로 인해 산업 전반에서 자동화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팩토리 구축 및 공장 자동화 시스템 도입이 가속화되면서 산업용 로봇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둘째, 로봇 기술의 발전과 맞물려 다양한 산업에서 로봇 도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동차, 전자, 반도체, 의료기기, 식품가공 등 전방산업 전반에 걸쳐 로봇 자동화의 도입이 확대되며 특정 산업의 경기 변동에 대한 의존성이 낮아지는 추세입니다.
셋째, 고정밀 생산 및 품질 향상이 요구되는 제조 환경에서 로봇 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생산성 증대와 품질 안정성 확보를 위한 맞춤형 로봇 솔루션 도입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넷째, 제조공정에서의 자율주행 물류로봇(AMR)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조업체들은 생산 공정 내 물류 자동화를 통해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AGV에서 AMR로 전환되는 과도기에 있습니다. 이에 따라 AMR 도입 트렌드는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스마트팩토리 구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실시간 물류 이동과 자동화된 공급망 최적화가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충족하기 위해 제조공정 내 AMR 활용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IFR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약 32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연평균 13.44%로 성장하여 약 5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출처: 미래에셋증권, Industry Report, 글로벌 로보틱스). 2021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로봇 시장 규모(주요 7대 분야)는 약 9조5600억원 규모이며, 2019-2021년 연평균 증가율 2.71%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에는 약 10조9300억원으로 추산 가능합니다.(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실태조사, 2021).
(단위 : 억달러, 백억원)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CAGR |
세계 시장 | 320 | 360 | 410 | 460 | 530 | 600 | 13.44% |
국내 시장 | 956 | 982 | 1,009 | 1,036 | 1,064 | 1,093 | 2.71% |
(주1) ‘26연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25연도 세계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13.44%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주2) ‘22~’26연도 국내 로봇 시장 규모는 ‘21연도 국내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2.71%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가)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 및 성장성
IFR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16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었으며, 2025년에는 약 23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출처: 미래에셋증권, Industry Report, 글로벌 로보틱스).
2022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제조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2조 9,747억 원이며, 이는 전년대비 3.5% 규모가 증가함을 나타냅니다. 해당 자료를 바탕으로 증가율을 3.5%로 고려하였을 때 2026년에는 약 3조 4,169억원으로 추정 가능합니다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실태조사, 2022.)
[해외시장 정책 현황]
국가 | 내용 |
미국 | - 올해 미국 위생협회(NSF), 미국 항공우주국(NASA), 미국 국립보건원(NIH), 미국 농무부(USDA) 등 여러 부처가 참여하는 NRI 3.0을 론칭했으며, 1.0, 2.0은 협동로봇에 중점을 두었다면 3.0은 로봇 기술의 인테그레이션(융합)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유럽 | - 제조업용 로봇의 공급 및 수요에 있어 이미 세계 시장의 약 25%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로봇산업을 차세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선정하고, 기존의 제조업용 로봇 분야 뿐 아니라 차세대 지능형 로봇산업 분야로의 확대를 목표 |
동아시아 |
- 일본은 2020년 개호, 재해, 농업, 제조 등 4대 로봇 분야에 1천억엔 지원 - 중국은 로봇 굴기를 선포하며 자국 로봇 산업 경쟁력 강화를 범국가적으로 지원 |
동남아 |
- 태국은 태국 4.0 정책에 따라 혁신 경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정보 차원에서 디지털, 창조경제, 바이오, 로봇 등 최첨단 기술 산업에 투자 - 인도네시아 정부는 ‘메이킹 인도네시아 4.0(Making Indonesia 4.0)’ 정책을 수립하고, 생산, 헬스케어, 금융/교통 등 여러산업군에서 |
동유럽 |
- 폴란드는 기업들이 산업용 로봇을 구매할 경우 구매 투자 비용의 50%를 과세표준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를 현재 시행 중 - 헝가리는 인더스트리 4.0을 추구하면서 AMR 또는 제한된 로봇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물류 프로세스 자동화에 도입중 |
[국내시장 정책 현황]
대한민국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5년 단위로 1~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통해서 로봇 분야 집중 육성하고 로봇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음
2020년도 대비 54% 증가한 2,170억원을 지능형 로봇 연구개발 및 보급에 투자중
3차 기본계획에 따라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 산업 생태계 기초쳬력 강화 실행 추진중
(단위: 억달러, 백억원 %)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CAGR |
세계 시장 | 160 | 180 | 190 | 210 | 230 | 250 | 9.50% |
국내 시장 | 287 | 297 | 307 | 318 | 329 | 341 | 3.5 |
(주1) ‘26연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5연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9.50%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주2) ‘22~’26연도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2도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3.5%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나) 물류 로봇 시장 규모 및 성장성
세계 물류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141억 달러였으며, 향후 연평균 58.0%성장해 1,388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내 물류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181억 원이였으며, 향후 연평균 25.2% 성장해 557억 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중소벤처기업부, 하나증권]
(다) 자동화시스템 시장 규모 및 성장성
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 로봇 시스템(공장 자동화) 시장은 2021년 2,629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80%로 증가하여 2025년 3,68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출처: NIPA글로벌ICT포털, 품목별 ICT 시장동향, 스마트팩토리). 2021년 기준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는 약 1조5500억원 규모이며, 2019-2021년 연평균 증가율 0.1%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까지 계속하여 약 1조5600억원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추산 가능합니다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실태조사, 2021).
(단위: 억달러, 백억원 %)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CAGR |
세계 시장 | 2,629 | 2,860 | 3,112 | 3,386 | 3,684 | 4,008 | 8.80% |
국내 시장 | 155 | 155 | 155 | 156 | 156 | 156 | 0.10% |
(주1) ‘22~’26연도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는 ‘21연도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0.1%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라) 대체 시장의 존재 여부 및 향후 전망
현재 제출일 기준 당사 사업모델애 대한 대체 시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향후 당사의 사업은 AI로 인해 당사의 사업 분야의 다양성과 성능 발전에 큰 영향을 줄것으로 전망됩니다.
AI 기술의 발전이 로봇 기구 자체 성능을 기존보다 향상시키게 될 것이고, 또 이 성능을 극대화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AI와 결합된 로봇 시스템은 알고리즘으로 기존보다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보여줄 것입니다. AI기반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산업의 제품 생산 시간인 사이클 타임을 크게 감소시키고, 노동의 효율성을 가져와 산업 전반의 운영 효율성을 높여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미래에 대비해 당사는 지속적인 AI 기술 발전과 도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당사의 주요 사업인 산업용 로봇 및 로봇 자동화 시스템은 제조업의 설비 투자(CAPEX)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글로벌 경기 변동의 영향을 받습니다. 경기가 활성화되면 기업들은 생산성 향상 및 자동화 확대를 위해 설비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로봇 수요 증가로 이어집니다. 반면, 경기가 둔화되면 기업들의 투자가 신중해지면서 로봇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은행 등 주요 기관들의 경제 성장률 전망은 산업 전반의 투자 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이들 기관의 최신 전망에 따르면, 2025년과 2026년 세계 및 국내 경제성장률은 이전 전망치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경제 전망은 기업의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경제는 무역 갈등, 지정학적 불안정성, 원자재 가격 변동, 인플레이션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기업의 투자 환경에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투자 결정에 있어 신중한 태도를 취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산업용 로봇 시장은 경기 변동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구조적인 성장 동력을 바탕으로 꾸준히 확장될 전망입니다. 경기 순환의 단기적인 영향을 넘어선, 로봇 산업의 본질적인 성장 특성은 다음 세가지를 꼽을수 있습니다.첫째,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 가능 인구 감소는 전 세계적인 현상이며, 이는 제조업 생산성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로봇 도입을 필수적인 선택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로봇은 인력난을 해소하고 생산 공정의 안정성을 높이는 핵심 역할을 할 것입니다.둘째, 제조업의 스마트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로봇은 단순 자동화를 넘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솔루션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자율 주행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은 로봇의 활용 범위를 더욱 넓힐 것으로 예상 됩니다. 셋째, 로봇 도입은 불량률 감소, 원가 절감, 그리고 고온, 소음 등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하는 인력을 대체하여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등의 분석에 따르면, 로봇은 기업의 경쟁력을 근본적으로 강화하는 수단입니다.결론적으로, 당사의 사업은 단기적으로 글로벌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로봇 산업을 견인하는 구조적인 성장 요인들 덕분에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당사는 이러한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직교로봇, 스카라로봇, 다관절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을 통해 시장 수요를 선점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4. 경쟁요소산업용 로봇 시장은 글로벌과 국내 시장에서 서로 다른 경쟁 양상을 보입니다.글로벌 산업용 로봇 시장은 일본, 스위스, 독일 등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에 기반을 둔 소수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으로 Fanuc(일본), Yaskawa(일본), ABB(스위스) 등 상위 3개 기업이 전체 시장 점유율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과점 상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국내 시장은 특정 기업이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지 않는 완전 경쟁 시장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2022)에 따르면, 국내 로봇 산업은 98.4%가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출 규모 측면에서도 소수 기업에 매출이 집중되지 않는 특징을 보입니다.산업용 로봇 시장은 높은 진입 장벽이 존재합니다. 로봇 개발 및 생산에 필요한 높은 초기 투자 비용, 전문 인력 부족, 기술력 격차, 그리고 규모의 경제는 신규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하는 데 큰 장애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국내 대부분의 로봇 기업들은 업력이 짧고 자본력이 약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당사는 이러한 경쟁 환경 속에서 기술력 우위를 통해 시장 입지를 강화하고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고속·고정밀 서보제어, 로봇 모션 제어, 자율주행 물류 로봇(AMR) 제어 기술 등 자체 개발한 핵심 기술을 적용하여 높은 정밀도와 생산성을 제공하고 자체 개발한 로봇 제어 소프트웨어와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해 고난이도 공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며, 모듈화된 설계를 통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신속하게 제공합니다.아울러 소형부터 대형 로봇까지 폭넓은 제품 라인업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고 있으며, 다관절 로봇, 협동 로봇, 스카라 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 등 다양한 로봇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로봇 핵심 기술은 협동 로봇, 양팔 로봇, 휴머노이드 로봇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으로 확장 가능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a. 시장의 특성
(a)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
2021년 기준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약 32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있으며, 2026년까지 연평균 13.44%로 성장하여 약 6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1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로봇 시장 규모(주요 7대 분야)는 약 9조5600억원 규모이며, 2019-2021년 연평균 증가율 2.71%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에는 약 10조9300억원으로 추산 가능합니다.
2021년 기준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16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었으며, 연평균 9.50%로 성장하여 2026년에는 약 25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국내 제조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2조8700억원 규모이며, 2015-2020년 연평균 증가율 0.6%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에는 약 2조9600억원으로 추산 가능합니다.
세계 로봇 시스템(공장 자동화) 시장은 2021년 2,629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80%로 증가하여 2026년 4,00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1년 기준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는 약 1조5500억원 규모이며, 2019-2021년 연평균 증가율 0.1%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까지 계속하여 약 1조5600억원 규모를 유지할 것으 로 추산 가능합니다.
통계청에서는 신성장·융복합 산업인 로봇산업에 대하여 특수분류 체계를 사용 중이며, 당사가 공급하는 산업용 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에 해당하는 분류는 각각 제조업용 로봇(코드 1000), 전문 서비스용 로봇(코드 2000), 로봇 시스템(코드 5000)에 해당합니다. 또한, 당사가 개발하는 협동로봇은 사람과의 안전한 협업을 가능하게 하는 로봇으로, 협동로봇(코드 3000)에 해당합니다.
[주요 목표시장의 정의 및 관련 제품]
분류 | 정의 | 품목 | 주요 제품명 |
제조업용 로봇 | 각 산업 제조 현장에서 제품 생산에서 출하까지 공정 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으로 자동제어 되고, 재프로그램이 가능하고 다목적인 3축 또는 그 이상의 축을 가진 자동조정 장치 | 산업용 로봇(직교 로봇, 다관절 로봇, 스카라 로봇) |
NURO, NURO-II, NURO-X, NUCA, E.O.A.T |
전문 서비스용 로봇 | 불특정 다수를 위한 서비스 제공 및 전문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 | 자율주행 물류 로봇 | NUGO-J, NUGO-P |
로봇 시스템 | 로봇을 포함하여 기계, 장치 등을 조합하여 필요한 기능을 실현한 집합체 | 로봇 자동화 시스템 |
제조 공정용 로봇 자동화 시스템 |
(b) 산업의 연혁
제조업용 로봇 산업은 1960년대에 제네럴 모터스(GM)가 뉴저지 공장 생산라인에 최초로 산업용 로봇인 유니메이트(Unimate)를 도입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이후 1970년대 중반에는 전기모터가 도입되면서 산업용 로봇의 성능과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1980년대에는 산업용 로봇이 자동차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도입되었으며, 생산 자동화와 효율성 향상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1990년대에는 로봇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다양한 제조업 분야로 확산되었고, 특히 일본과 유럽에서 로봇 사용이 급증했습니다.최근에는 협동 로봇이 등장하여 사람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협동 로봇은 안전 펜스 없이도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안전하지만, 산업용 로봇에 비해 느린 속도 및 낮은 반복 정밀도로 인해서 산업용 로봇의 수요를 완전히 대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IFR에 따르면, 로봇 산업은 최근 5년간 연평균 9%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성장기에 있어 향후 상당기간 동안 제품의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산업용 로봇시장 8%, 서비스용 로봇시장 10%). 특히 한국의 제조업 로봇밀도는 전 세계 1위로(노동자 1만명당 로봇 932대) 전세계에서 로봇 수요가 가장 높은 최대 시장에 해당합니다.
로봇신문에 의한 코스닥 상장 로봇기업 26개사의 ‘22년도 실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매출액은 2조 9,676억원으로 ’21년도 대비 16% 성장하였으며,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1,406억원과 1,453억원으로 흑자 전환되면서 강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로봇 산업은 기술 발전으로 로봇 대당 단가가 낮아지고 전 세계적인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과 인건비 상승의 영향으로 제2의 고속 성장기를 보이고 있습니다.
(c) 수요 변동 요인
당사의 산업용 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의 주요 수요 변동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산업 자동화와 생산성 향상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인건비가 상승하고 숙련된 노동력이 부족해지면서, 제조업체들은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로봇 자동화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와 경쟁 심화로 인해 자동화 기술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둘째, 기술 발전과 비용 효율성입니다.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등 혁신 기술의 발전은 로봇 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로봇 도입의 경제성을 강화해 기업들이 자동화에 대한 투자를 늘리도록 하고 있습니다.
셋째, 환경 규제 강화로 인해 에너지 효율적인 로봇 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생산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전기 기반 로봇과 자율주행 물류 로봇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부품 가격 상승과 같은 요인은 로봇의 공급 가격을 높여 구매자의 투자 회수 기간을 길게 만들 수 있어 수요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로봇 기술의 발전과 자동화 수요 증가는 이 같은 제한적인 요인을 상쇄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d) 규제환경
2023년 12월 정부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로봇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고자 “첨단로봇 산업 비전과 전략”을 발표하였습니다. 정부는 로봇산업 친화적 인프라기반 구축을 주요 과제로 하고, 지능형로봇법을 전면 개편하여 기술진보와 로봇산업 변화에 맞게 지원할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새롭게 갖추기로 하였습니다.
정부는 단계별 규제혁신 로드맵을 구축하고 선제적 규제를 통해서 로봇 산업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0년 10월에 발표된 “로봇산업 선제적 규제 혁신 로드맵”은 로봇의 기술발전과 상용화 단계를 예측하고, 로봇 활용 비즈니스 모델에 대응하는 단계별 규제혁신 로드맵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규제 혁신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 3월까지 산학연관 협업 체계를 마련하고, 로봇의 역할 및 수행 업무의 난이도에 따라 단순 보조, 인간 협업, 자율 수행의 3단계로 분류하여 기술 변화상을 도출하고, 경직된 규제, 적정규제 부재, 지원제도 부족으로 구분하여 맞춤형 개선방향을 도출하기로 하였습니다. 발전단계 시나리오에 따라 로봇 활용 영역 및 공통 영역별로 예상 가능한 규제 이슈를 발굴하고, 발굴된 규제 이슈를 상용화 시기를 고려하여 로봇 기술발전 및 표준화 단계별로 배치하여 로드맵이 작성될 계획입니다.
정부는 2023년 3월부터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을 마련하여 로봇 신 비즈니스 창출을 지원하기로 하였습니다. 해외 주요국의 로봇 정책 및 규제개선 동향에 따라 1) 신 비즈니스와 관련한 로봇 핵심분야를 중심으로 개선 과제 확대, 2) 개선 수요를 반영한 과제를 주기적으로 추가, 예측가능하게 조속 완료, 3) 효과적인 규제개선 실행을 위한 민관협의체 주기적 가동을 기본 방향으로 두고, 모빌리티, 세이프티, 협업·보조, 인프라의 4대 영역을 중심으로 51개 과제 규제개선을 추진하기로 하였습니다.
[첨단로봇 규제혁신 방안]
국가 | 주요 로봇정책 | 주요 로봇규제 개선 |
미국 |
- ‘21년 국가로봇계획 3.0 발표(’21) - 인간효용 중심의 로봇융합 연구 확대 * ’22~‘26년까지 290억불 투자 |
- (물류로봇) PDDA(개인배달장치법)에 주별 실증기준 마련 - (건설로봇) 산업용 기계에 로봇이 결합된 제품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 - (의료로봇) 모바일앱 의료기기 등 원격진료 관련 법제 주별 마련 |
일본 |
- 로봇기반 사회변혁추진계획」(’19) - 파괴적 혁신을 달성한 문샷형 연구 개발방식으로 AI와 로봇 지원 * ’50년까지 인간과 상생하는 AI로봇 실현을 목표 |
- (물류로봇) Lv. 4 수준의 자동운전 실현을 위한 도로교통법 개정 * 원격조작 허용, 통행장소 지정 등 - (의료로봇) 원격진료법상 만성질환 환자에 대해 제한적 원격진료 가능 * 의료취약 지역은 조건 없이 원격진료 가능 - (규제 샌드박스) 국가전략특구 지정 으로 미래기술의 실증 실험 지원 |
독일 |
- 하이테크 전략 2025? (‘18) - 인간-로봇 협업, 인간 지원을 위한 외골격 로봇 등의 개발 촉진 - 서비스로봇, 물류 등 로봇 대중화 프 로젝트 추진 |
- (물류로봇) 특정구간내 무인 자율주행차 운행을 허용하는 법안 하원 통과 - (협동로봇) 안전 펜스 없이 협동 로봇 사용이 가능하도록 표준제정 |
영국 |
- 영국 로보틱스 전략(RAS 2020)? 추진 - ‘25년까지 세계 로봇시장의 10% 점유 목표 * ’UK디지털 전략‘(’22년)과 연계, AI와 로봇 융합 추진 |
- (물류로봇)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지정, - 200대 로봇에 대해 원격제어/자율 운행에 의한 배송 실증 허용 - (규제 샌드박스) 혁신 상품·서비스 실험의 장 제공을 위해 금융행위 규제기구(FCA) 주도로 도입 |
중국 |
- (14차) 로봇산업 발전 계획(’21) - ’25년까지 중국 로봇산업 매출액 연평균 20% 증대 - 산업 혁신역량 제고, 산업발전 기반강화, 첨단제품 공급 확대 등 5대 전략과제 추진 * 스마트 제조 발전 계획과 연계 추진 |
- (AI실증) ‘22년부터 선전특별경제 구역에서 저위험 AI 기술 실증 허용 - 상하이 AI 규제 명문화 - (AI표준) 스마트로봇을 포함한 차세대 인공지능 표준체계 구축 지침 발표 |
b. 시장 규모 및 전망
IFR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약 32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연평균 13.44%로 성장하여 약 5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출처: 미래에셋증권, Industry Report, 글로벌 로보틱스). 2021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국내 로봇 시장 규모(주요 7대 분야)는 약 9조5600억원 규모이며, 2019-2021년 연평균 증가율 2.71%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에는 약 10조9300억원으로 추산 가능합니다.(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실태조사, 2021).
(단위 : 억달러, 백억원)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CAGR |
세계 시장 | 320 | 360 | 410 | 460 | 530 | 600 | 13.44% |
국내 시장 | 956 | 982 | 1,009 | 1,036 | 1,064 | 1,093 | 2.71% |
(주1) ‘26연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는 ‘25연도 세계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13.44%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주2) ‘22~’26연도 국내 로봇 시장 규모는 ‘21연도 국내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2.71%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a)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 및 성장성
IFR 자료에 의하면, 2021년 기준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16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었으며, 2025년에는 약 23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출처: 미래에셋증권, Industry Report, 글로벌 로보틱스).
2022 로봇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제조용 로봇 시장 규모는 약 2조 9,747억 원이며, 이는 전년대비 3.5% 규모가 증가함을 나타냅니다. 해당 자료를 바탕으로 증가율을 3.5%로 고려하였을 때 2026년에는 약 3조 4,169억원으로 추정 가능합니다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실태조사, 2022.)
[해외시장 정책 현황]
국가 | 내용 |
미국 | - 올해 미국 위생협회(NSF), 미국 항공우주국(NASA), 미국 국립보건원(NIH), 미국 농무부(USDA) 등 여러 부처가 참여하는 NRI 3.0을 론칭했으며, 1.0, 2.0은 협동로봇에 중점을 두었다면 3.0은 로봇 기술의 인테그레이션(융합)에 중점을 두고 있음 |
유럽 | - 제조업용 로봇의 공급 및 수요에 있어 이미 세계 시장의 약 25%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유럽연합은 로봇산업을 차세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선정하고, 기존의 제조업용 로봇 분야 뿐 아니라 차세대 지능형 로봇산업 분야로의 확대를 목표 |
동아시아 |
- 일본은 2020년 개호, 재해, 농업, 제조 등 4대 로봇 분야에 1천억엔 지원 - 중국은 로봇 굴기를 선포하며 자국 로봇 산업 경쟁력 강화를 범국가적으로 지원 |
동남아 |
- 태국은 태국 4.0 정책에 따라 혁신 경제로 변화시키기 위해 정보 차원에서 디지털, 창조경제, 바이오, 로봇 등 최첨단 기술 산업에 투자 - 인도네시아 정부는 ‘메이킹 인도네시아 4.0(Making Indonesia 4.0)’ 정책을 수립하고, 생산, 헬스케어, 금융/교통 등 여러산업군에서 |
동유럽 |
- 폴란드는 기업들이 산업용 로봇을 구매할 경우 구매 투자 비용의 50%를 과세표준에서 공제해 주는 제도를 현재 시행 중 - 헝가리는 인더스트리 4.0을 추구하면서 AMR 또는 제한된 로봇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물류 프로세스 자동화에 도입중 |
[국내시장 정책 현황]
대한민국은 2009년부터 현재까지 5년 단위로 1~3차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을 통해서 로봇 분야 집중 육성하고 로봇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하고 있음
2020년도 대비 54% 증가한 2,170억원을 지능형 로봇 연구개발 및 보급에 투자중
3차 기본계획에 따라 3대 제조업 중심 제조 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 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 산업 생태계 기초쳬력 강화 실행 추진중
(단위: 억달러, 백억원 %)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CAGR |
세계 시장 | 160 | 180 | 190 | 210 | 230 | 250 | 9.50% |
국내 시장 | 287 | 297 | 307 | 318 | 329 | 341 | 3.5 |
(주1) ‘26연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5연도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9.50%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주2) ‘22~’26연도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는 ‘22도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3.5%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b) 물류 로봇 시장 규모 및 성장성
세계 물류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141억 달러였으며, 향후 연평균 58.0%성장해 1,388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국내 물류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181억 원이였으며, 향후 연평균 25.2% 성장해 557억 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자료: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중소벤처기업부, 하나증권]
(c) 자동화시스템 시장 규모 및 성장성
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 로봇 시스템(공장 자동화) 시장은 2021년 2,629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80%로 증가하여 2025년 3,684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출처: NIPA글로벌ICT포털, 품목별 ICT 시장동향, 스마트팩토리). 2021년 기준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는 약 1조5500억원 규모이며, 2019-2021년 연평균 증가율 0.1%을 고려하였을 때 2026년까지 계속하여 약 1조5600억원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추산 가능합니다
(한국로봇산업협회, 로봇산업실태조사, 2021).
(단위: 억달러, 백억원 %) |
구분 | ‘21 | ‘22 | ‘23 | ‘24 | ‘25 | ‘26 | CAGR |
세계 시장 | 2,629 | 2,860 | 3,112 | 3,386 | 3,684 | 4,008 | 8.80% |
국내 시장 | 155 | 155 | 155 | 156 | 156 | 156 | 0.10% |
(주1) ‘22~’26연도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는 ‘21연도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 규모에 연평균 성장률 0.1%를 적용하여 추정하였습니다.
(d) 대체 시장의 존재 여부 및 향후 전망
현재 제출일 기준 당사 사업모델애 대한 대체 시장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향후 당사의 사업은 AI로 인해 당사의 사업 분야의 다양성과 성능 발전에 큰 영향을 줄것으로 전망됩니다.
AI 기술의 발전이 로봇 기구 자체 성능을 기존보다 향상시키게 될 것이고, 또 이 성능을 극대화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특히 AI와 결합된 로봇 시스템은 알고리즘으로 기존보다 높은 생산성과 효율성을 보여줄 것입니다. AI기반의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산업의 제품 생산 시간인 사이클 타임을 크게 감소시키고, 노동의 효율성을 가져와 산업 전반의 운영 효율성을 높여 기업에게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미래에 대비해 당사는 지속적인 AI 기술 발전과 도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c. 경쟁 현황
(a) 경쟁 상황
ⓐ 경쟁 형태
산업용 로봇 세계 시장은 몇몇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의 세계 시장의 경우 일본, 스위스, 독일 등 소수의 전통 제조업 강국 기업이 자리잡고 있으며, 2020년 기준 Fanuc(일본, 28%), Yaskawa(일본, 21%), ABB(스위스, 17%) 등 상위 3개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6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 출처: KB증권, 2022.10.11, Industry Report, 로봇, 메가트렌드의 중심
자율주행 물류 로봇 시장은 초기 시장 형성 단계입니다. 자율주행 물류 로봇이 속하는 서비스용 로봇은 세부 응용 분야에 따라 가사지원, 교육용, 개인엔터테인먼트, 실버케어 등 개인서비스용 로봇과 전문 청소, 검사 및 유지 보수, 건설 및 철거, 물류, 의료, 국방 등으로 전문서비스용 로봇으로 나뉩니다.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한 분야인 물류 로봇은 다시 제조환경과 비제조환경으로 분류됩니다. 제조용 물류 로봇의 세계 시장의 주요 기업으로는 2015년에 설립된 Geek+(중국)가 있습니다.
이에 반해 국내 로봇 시장은 완전 경쟁 시장 형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로봇 시장의 경우 시장지배력이 있는 기업이 존재하지 않고, 현재까지 다수의 기업이 경쟁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2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로봇 산업은 중소기업(2,470개사, 98.4%)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제조업용 로봇, 전문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 모든 부문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성입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국내 대표적인 로봇 기업인 현대로보틱스의 매출액은 1,727억원으로 국내 로봇 시장 전체 매출액인 5조8,933억원의 3% 수준에 불과합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50억원~100억원 미만의 매출을 기록한 곳은 180개사이고,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곳은 144개사로서 몇몇 주요 기업들이 매출 지배 현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내 로봇 시스템의 시장의 경우도 국내 로봇 시장과 마찬가지로 완전 경쟁 시장 형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로봇 시스템 시장의 경우 일정 규모 이상의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시장 참여가 더욱 적습니다. 2022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대기업 2개사, 중견기업 5개사만이 로봇 시스템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진입장벽
제조용 로봇 시장에서 상당한 수준의 제품화 및 제품 혁신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개발 비용 투자가 필요하며, 이는 연구개발 전문 인력 및 설비가 부족한 신규 진입자들에게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진입 장벽으로는 로봇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높은 초기 투자 비용, 고도의 로봇 기술을 다룰 수 있는 전문 인력의 부족,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기 위한 기술력의 격차, 대규모 생산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규모의 경제 등이 있습니다. 국내 로봇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약 2,500개의 사업체의 대부분은 업력이 짧고 자본력이 약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매출액 규모가 50억원 미만인 기업이 92.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진입장벽으로 인하여 제조용 로봇 시장으로 신규 진입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최근 3개년 간 제조업용 로봇의 사업체는 558개사에서 568개사로 소폭 증가했고, 전문서비스용 로봇의 사업체는 331개사에서 360개사로 연평균 약 4% 증가했습니다.
(b) 경쟁업체 현황
ⓐ 주요 경쟁업체 현황 및 기술수준
㉠ 산업용 로봇 주요 경쟁업체 현황
산업용 로봇의 경쟁업체는 국내 기업의 경우 현대로보틱스, 한화정밀기계, 로보스타, 휴림로봇, 제우스, 유일로보틱스 등이 있고, 해외 기업의 경우 FANUC, Yaskawa, ABB 등이 있으나, 당사와 유사한 직교 로봇, 다관절 로봇, 스카라 로봇 등의 산업용 로봇 제품 라인업을 보유하고 있는 주요 경쟁업체를 중심으로 본다면 현대로보틱스, 로보스타, 유일로보틱스가 이에 해당합니다.
주요 경쟁업체명 | 주요제품 | 주요 시장 |
현대로보틱스 |
수직다관절 로봇/LCD반송로봇 (스폿용접, 핸들링용) |
자동차, LCD |
로보스타 |
직각좌표로봇, 리니어로봇, 수평다관절로봇, 데스크탑로봇, LCD 및 웨이퍼 반송용 로봇, 시스템장비, 정밀 스테이지 |
반도체, LCD, 자동차, 전기전자 |
유일로보틱스 | 수직다관절 로봇, 직교로봇, 협동로봇 | 제조용 로봇 및 스마트 팩토리 |
㉡ 자율주행 물류 로봇 주요 경쟁업체 현황
자율주행 물류 로봇의 국내 시장의 경우 80~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당사가 목표하고 있는 제조업용 자율주행 물류 로봇 AMR 시장은 AGV 시장에서 넘어오는 시장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시장에서 직접적인 비교 대상이 되는 주요 경쟁업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로봇 자동화 시스템 주요 경쟁업체 현황
로봇 자동화 시스템의 국내 시장의 경우 소규모의 로봇 시스템 통합(SI) 업체들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어 시장에서 직접적인 비교 대상이 되는 주요 경쟁업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 시장 경쟁력
㉠ 주요 제품의 기술적 차별점당사의 산업용 로봇 및 자동화 시스템은 고속·고정밀 서보제어 기술, 로봇 모션 제어 기술, 자율주행 물류로봇의 주행 제어 최적화 기술, 로봇 HW 설계 기술 등 차별화된 핵심 기술을 적용하여 높은 정밀도와 생산성을 제공합니다. 특히, 당사가 개발한 로봇 제어 소프트웨어 및 최적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고난이도 공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며,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표준화 및 모듈화된 설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로봇의 구조적 경량화 및 효율적인 동력 전달 시스템을 구현하여 에너지 효율성과 내구성을 극대화하였습니다.㉡ 제품 개발 능력당사는 소형 로봇부터 대형 로봇까지 다양한 로봇 제품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완제품 로봇 제조를 위한 로봇 HW 설계 기술과 로봇 모션 제어 SW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 맞춤형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모듈형 로봇 플랫폼을 개발하여 신속한 제품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다관절 로봇, 협동 로봇, 스카라 로봇, 자율주행 물류 로봇(AMR) 등 다양한 산업용 로봇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로봇 핵심 기술은 다양한 형태의 로봇 개발로 확장이 가능한 기술로써, 협동로봇, 양팔로봇, 휴머노이드 로봇등으로 확장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우수한 개발 인력당사의 기업부설연구소는 20~30년 이상의 업계 경험을 보유한 핵심 엔지니어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로봇 기구(HW) 설계, 제어 시스템 개발, 소프트웨어 개발, 자동화 시스템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연구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최신 기술 트렌드에 맞는 차세대 로봇 기술을 신속하게 연구·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로봇의 성능과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턴키 제공 및 로봇 제작 기술당사는 로봇 제품뿐만 아니라 완전한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턴키(Turn-key)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설계(Design) → 개발(Development) → 구축(Implementation) → 유지보수(Maintenance)까지 고객 맞춤형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산업용 로봇 및 자율주행 물류 로봇을 기반으로 한 공정 자동화, 검사 자동화, 물류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의 프로젝트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의 생산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자동화 시스템을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 해외 진출 계획당사는 동유럽 지사를 설립하여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향후 북미, 동남아, 멕시코 등 주요 해외 시장으로의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현지 에이전트(Agent) 및 유통 네트워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신속한 고객 대응 및 서비스 제공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전시회 및 로봇·자동화 산업 박람회 참가를 통해 해외 시장에서의 브랜드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ODM/OEM 기반의 글로벌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해외 대형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으며, 해외산업 맞춤형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향후에도 당사는 차별화된 기술력과 강력한 연구개발 역량을 기반으로 글로벌 로봇 및 자동화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해외 진출을 통해 글로벌 로봇 기업으로 도약할 계획입니다.
목표시장(국가명) | 목표시장선정근거 | 단계 | 세부전략 |
중남미/북미 멕시코, 미국 | 자동차/가전 산업 국내 제조 기업 다수 진출로 영업활동 및 현지 로컬 기업으로 확장에 유리 함. | 단기 (~'25) | 멕시코 몬테레이 연락사무소 설립 , 영업/엔지니어 겸직 주재원 1명 파견 추진 미국 디트로이트 연락사무소 설립, 영업 및 CS 각 1명 현지인 채용 현지 인프라를 활용하여 영업 활성화를 통한 매출 확대 |
중기 ('26~'27) | 북미 연락사무소 기반 각 주에 Local Agent 발굴 및 Local Sales 확대 멕시코 연락사무소 기반 Local Agent 발굴 및 Local Sales 확대 께레따로,티후아나 추가 사무소 설립 영업,엔지니어 현지인 각 1명씩 채용 후 영업 및 사후관리 확대에 따른 매출 확대 미국 알라바마 연락사무소 추가 설립 및 영업, 엔지니어 현지인 각 1명씩 채용 후 영업 및 사후관리 확대에 따른 매출 확대 | ||
장기 ('28~'27) | 멕시코 및 북미 연락사무소의 지사 전환 및 매출 , 이익 확대 남미 (브라질) Local Agent 발굴 및 Local Sales 확대 | ||
유럽 (슬로바키아,폴란드) | 국내 자동차 부품 제조 1, 2차 고객사 확보 | 단기 (~'25) | 폴란드 연락사무소 기반 각 국가별 Local Agent 발굴 및 Local Sales 확대 현지인 C/S 직원 1명 충원 예정 영업 및 사후관리 확대에 따른 매출 확대 |
중기 ('26~'27) | 폴란드 연락사무소의 지사 전환 및 매출 , 이익 확대 현지인 영업, C/S, 관리직 각 1명씩 충원 예정 | ||
장기 ('28~'27) | 헝가리, 이탈리아, 슬로바키아 연락사무소 설립 현지인 영업, C/S 직원 각 1명씩 충원 예정 | ||
동남아 (베트남,인도네시아,태국) | 삼성 및 자동차 1,2차 고객사 확보 | 단기 (~'25) | 베트남 연락사무소 설립 주재원 1명 , C/S 현지인 1명 충원 영업 및 사후관리 강화로 매출 확대 |
중기 ('26~'27) | 베트남 연락사무소 기반 각 주에 Local Agent 발굴 및 Local Sales 확대 태국 연락사무소 설립, 주재원 1명 CS 현지인 1명 충원 인도네시아 연락사무소 설립, 주재원 1명 CS 현지인 1명 충원 | ||
장기 ('28~'27) | 베트남, 태국 지사 전환 및 매출 , 이익 확대 태국 및 인도네시아 Local Agent 발굴 및 Local Sales 확대 |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당사의 정관상 사업 목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관상 사업 목적 |
1. 산업용 로봇 제조업 2. 산업용 로봇부품 제조업 3. 자동화장비 제조업 4. 산업용 로봇, 산업용 로봇 부품, 자동화장비 등 도.소매업 5. 위 각호와 관련된 컨설팅 및 관련 서비스업 6. 위 각호와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7. 소프트웨어 개발업 및 판매업, 관련 전자상거래업 8. 각 호에 부대하는 사업 9. 위 각호와 관련된 통신판매업, 전자상거래업(현재 미영위) |
(2) 시장점유율
로봇시장은 시장이 초기 성장기로 아직 시장의 정확한 규모나 시장 참여자들의 사업범위가 명확하지 않습니다. 특히 당사는 국내 유일의 로봇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입니다. 정확한 시장점유율 추정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산업용 로봇 시장은 현재 과점 상태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산업용 로봇의 시장의 경우 일본, 스위스, 독일 등 소수의 전통 제조업 강국 기업이 자리잡고 있으며, 일부 주요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서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Fanuc(일본, 28%), Yaskawa(일본, 21%), ABB(스위스, 17%) 등 상위 3개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6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은 완전 경쟁 시장 형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의 경우, 시장지배력이 있는 기업이 존재하지 않고, 현재까지 다수의 기업이 경쟁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2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 보고서(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로봇 산업은 중소기업(2,470개사, 98.4%)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제조업용 로봇, 전문서비스용 로봇,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 모든 부문에서 일관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성입니다. 2022년을 기준으로 산업용 로봇 업체 중 50억원~100억원 미만의 매출을 기록한 곳은 180개사이고, 10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곳은 144개사로서 몇몇 주요 기업들의 매출 지배 현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경쟁 시장에서 시장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로봇 프레임워크 및 제어엔진, 서보제어 기반 초정밀 로봇제어 기술, 로봇 운영 SW 플랫폼 기술, 매니퓰레이터(하드웨어) 설계/개발 기술 등의 자체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기술경쟁력을 기반으로 다수의 레퍼런스를 구축하고 있으며, 완전경쟁시장인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에서 시장 입지를 공고히 유지해오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당사는 직교로봇, 스카라로봇, 다관절로봇 등 산업용 로봇과 서비스 로봇인 제조공정용 자율주행 물류로봇, 로봇을 활용한 로봇 자동화시스템을 주요 제품으로 개발 및 생산하고 있으며, 제조업 공정 산업 전 분야의 산업용 로봇 및 물류로봇, 로봇 자동화 시스템 등 제조자동화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또한,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정관상 사업목적 외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대한 계획은 없습니다.
(5) 조직도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해당사항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2조(목적)본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산업용 로봇 제조업 1. 산업용 로봇 부품 제조업 1. 자동화 장비 제조업 1. 산업용 로봇, 산업용 로봇 부품, 자동화 장비 등 도,소매업 1. 위 각호에 관련된 컨설팅 및 관련 서비스업 1. 위 각호에 관련된 통신판매업, 전자상거래업 1.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1. 소프트웨어 개발업 및 판매업 관련 전자상거래업 1. 각 호에 부대하는 사업 |
제2조(목적)본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산업용로봇 제조 및 판매업 2. 지능형(AI)로봇 제조 및 판매업 3. 직교로봇 제조 및 판매업 4. 협동로봇 제조 및 판매업 5. 다관절로봇 제조 및 판매업 6. 스카라로봇 제조 및 판매업 7. 모바일 로봇 제조 및 판매업 8. 물류로봇(AGV, AMR) 제조 및 판매업 9. 휴머노이드로봇 제조 및 판매업 10. 로봇 부품 제조 및 판매업 11. 로봇 자동화 기계, 설비 제조 및 판매업 12. 로봇공유서비스,로봇렌탈 및 로봇구독서비스 13. 로봇 및 실험장비 시스템 개발 및 판매업 14. 자동화 장비 및 부품,주변기기의 제조 및 판매업 15. 산업용 컨텐츠 개발 및 판매업 16. 산업용 기계 제작, 장비 운영 및 수리업 17. 스마트팩토리 개발, 자문, 공급, 판매업 18. 소프트웨어, 서버시스템 개발, 자문, 공급, 판매업 19. 아이오티(IoT) 디바이스 개발, 자문, 서비스, 공급, 판매업 20. SMART MODULE 제조 및 판매업 21.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제조,유통 및 판매업 22. 통신기기,전자제품,전자부품 개발, 생산, 판매업 23. 이차전지 자동화 장비 제조 및 판매업 24. 스타트업 등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및 지분참여 25. 임대업(부동산 및 위 각호에 관련된 임대업) 26. 위 각호에 관련된 무역업 및 무역 알선업 27. 위 각호에 관련된 컨설팅 및 관련 서비스업 28. 위 각호에 관련된 도ㆍ소매업, 전자상거래업, 라이선스업 , 통신판매업, 쇼핑몰운영업 29.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
1. 목적사업의 호순체번
2. 목적사업 추가 ( 파란색 밑줄 항목 )
3. 목적사업의 세분화
4. 목적사업 문구조정 |
제5조(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50,000,000주 |
제5조(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100,000,000 주 |
향후 증자 등에 대비 |
(신설) | 제36조의2(이사의 책임경감)상법 제399조에 따른 이사의 책임은 이사가 그 행위를 한 날 이전 최근 1년간의 보수액(상여금과 주식매수선택권 및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한 이익을 포함한다.)의 6배(사외이사는 3배)를 초과하는 금액에 대하여 면제한다. 다만, 이사가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와 상법 제397조, 제397조의2 및 제398조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표준정관에 따름 |
(신설) | 부칙8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주주총회 결의일부터 시행한다. | 시행일 추가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안상선 | 1955.07.05 | 타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안상선 | 경영인 |
- 1982 - 1983~2012 - 2012~2016 - 2017 |
고려대학교 경제학 학사 신한은행 기업금융센터장 삼환기업 CRO, 상임감사 방송대학 MBA(석사)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안상선 | 해당 없음 |
회생기업인 ㈜삼환기업의 CRO로서 기업회생 성사후상임감사로 근무함 |
해당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이사회는 후보자가 기업과 금융의 분야에서 다년간 축적한 전문성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내부통제 및 감사 업무의 독립성과 투명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판단하여 감사 후보자로 추천하였습니다. |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태윤 | 1957.01.17 | 사외이사 | - | 타인 | 이사회 |
이규빈 | 1976.03.01 | 사외이사 | - | 타인 | 이사회 |
손봉식 | 1957.01.17 | 사내이사 | - | 미등기 임원 | 이사회 |
오세훈 | 1974.09.17 | 사내이사 | - | 등기 임원 | 이사회 |
총 ( 4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태윤 | 경영인 |
- 1981 - 1992~2010 - 1993 - 2010~2013 - 2016~2018 |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사장George Washington Univ. (MBA) STX 지주사 상임고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강사 |
해당 없음 |
이규빈 | 대학교수 |
- 2008 - 2008~2011 - 2012~2017 - 2018~현재 |
KAIST 기계공학 박사 KIST 신경과학센터 연구원 삼성종합기술원전문연구원 GIST AI융합과학과 교수 |
해당 없음 |
손봉식 | 경영인 |
- 1982 - 1982~1989- 1989~1998 - 1998~2019 - 2019~2022 - 2023~현재 |
고려대학교 경제학사 한국수출입은행 심사역 대동은행 지점장 ㈜윌비스 CFO/부사장 ㈜솔라테크 CFO/부사장 ㈜나우로보틱스 CFO/부사장(미등기) |
해당 없음 |
오세훈 | 대학교수 |
- 2005 - 2010~2011 - 2013~2015 - 2015~현재 - 2021~2024 - 2022~2023 - 2021~현재 |
동경대 전기기계공학 박사 텍사스주립대 객원연구원 서강대기계공학과연구교수 DGIST 로봇공학부 교수 엔젤로보틱스 사외이사 독일항공우주국객원연구원 ㈜나우로보틱스 사내이사 |
해당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태윤 | 해당사항 없음 | ||
이규빈 | 해당사항 없음 | ||
손봉식 | 해당사항 없음 | ||
오세훈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 정태윤>본인은 회사의 투명한 경영을 감시하고,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겠습니다. 아울러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적 자문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아울러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주주를 비롯한 모든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균형 있게 대변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사외이사 후보 이규빈> 저는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돕는 한편, 이사회 활동에 있어 독립성과 객관성을 견지하여 투명한 경영에 기여하고, 준법 및 윤리 경영이 정착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후보 정태윤>경영 전문성 및 전략 자문 능력을 갖춘 정태윤 후보는 한국무역보험공사 부사장과 STX지주사 상임고문을 역임하며 쌓은 풍부한 기업 경영 경험을 바탕으로, 당사의 사업 전략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독립적이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경영 전반을 감시하고 견제하여, 주주 가치 제고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됩니다.<사외이사 후보 이규빈>이규빈 후보는 GIST 교수로 KAIST 기계공학 박사와 KIST 및 삼성종합기술원 연구원을 거치며 쌓은 탁월한 기술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문성은 당사의 제품 연구는 물론, AI 휴머노이드 개발 및 로봇융합 발전과 같은 신규 사업에 대한 핵심적인 자문을 제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학자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독립적인 경영 견제와 자문을 통해 당사의 향후 비전을 실행하는데 있어 적임자로 판단됩니다.<사내이사 후보 손봉식>2023년 3월 경영고문으로 당사에 합류한 손봉식 후보는, 성공적인 코스닥 상장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습니다. 이후 부사장, CFO로서 안정적인 조직 운영 및 관리 능력을 증명했으며, 상장 이후에는 공시 책임자로서 대외적인 정보 전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왔습니다. 이에 당사의 이사회에 합류하여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에 합리성과 투명성을 더해줄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로 신규선임 하고자 본 후보를 추천합니다.<사내이사 후보 오세훈>오세훈 후보는 DGIST로봇공학부 교수로서 회사의 사업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전문성과 원활한 소통을 바탕으로 2021년 10월 임시주총에서 신규 선임된 이래로 지난 3년여간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회사의 성장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앞으로도 변함없이 회사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고, 이사회의 전문성, 독립성, 투명성을 한층 더 강화할 적임자로 판단되어 사내이사 재선임을 추천합니다. |
가. 의안 제목
1) 유형자산양수(제2공장) 진행사항 보고2) 우리사주매수선택권 행사내역 보고3)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내역 보고
나. 의안의 요지
1) 유형자산양수(제2공장) 진행사항 보고
- 자산명 : 제2공장 (인천시 남동구 고잔동 718-10)
- 양수목적 : 현 공장의 생산능력 확충을 위한 제2공장 양수후 수선 및 증축사용
- 자산규모 : 공장용지 3,284.5m2, 철골조 공장 1,806m2
- 거래대금 : 금8,800백만원(토지 7,920백만원, 건물 880백만원)
- 이사회 결의일자 : 2025.05.20(동일자 DART공시 완료)
- 거래완료일자 : 2025.06.10
- 현재 대수선 공사 진행중
2) 우리사주매수선택권 행사내역 보고
회차 | 부여일자 | 부여주식수 | 행사가격 | 행사주식수 | 취소주식수* |
행사가능 주식수 |
비고 |
1차 | 24.03.27 | 193,650 | 3,400 | 140,850 | 34,500 | 18,300 | - |
- 행사일자 : 2025.06.27
- 취소사유 : 자진퇴사에 따른 취소
3) 주식매수선택권 행사내역 보고
회차 | 부여일자 | 부여주식수 | 행사가격 | 행사주식수 | 취소주식수* |
행사가능 주식수 |
비고 |
1차 | 23.06.05 | 312,000 | 3,400 | 62,000 | 45,000 | 205,000 | - |
2차 | 25.04.01 | 98,000 | 3,400 | - | - | 98,000 | |
합 계 | 410,000 | 62,000 | 45,000 | 303,000 |
- 행사일자 : 2025.06.27
- 취소사유 : 자진퇴사에 따른 취소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음.
-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으며,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