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년 03 월 13 일 |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한켐 | |
| 대 표 이 사 : | 이상조 |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11로 55-11(탑립동) | |
| (전 화) 042-931-2640 | ||
| (홈페이지)http:// hanchem.net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서명준 |
| (전 화) 042-931-2640 | ||
| (제26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5조와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제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3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신문에 공고하거나 전자공시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3월 28일(금), 오전 09시 30분
2. 장 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9로 35 대전테크노파크 어울림플라자 1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세부사항은 별첨자료 참조)
가. 보고 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 안건(1) 제1호 의안 : 제26기(2024.01.01 ~ 2024.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포함) 승인의 건(2)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3)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및 KB국민은행 증권대행사업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주주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공적 증명서류)지참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위임인 인감증명서,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03월 13일 주식회사 한켐 대표이사 이 상 조 (직인생략)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민철기(출석률: 100%) | ||||
| 찬 반 여 부 | ||||
| 24-01 | 2024.01.23 | 제 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계획 및 안건상정 승인의 건 - 부의안건 - 제1호의안 제25기 재무제표승인의 건 제2호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의안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의안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의안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개정의 건 제6호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 24-02 | 2024.04.30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 24-03 | 2024.05.27 | 시설자금 차입의 건 | 가결 | 찬성 |
| 24-04 | 2024.05.31 | 임시주주총회 소집계획 및 안건상정 승인의 건 - 부의안건 - 제1호의안 감사 선임의 건(신규선임) | 가결 | 찬성 |
| 24-05 | 2024.08.20 | 제1호의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모집의 건 제2호의안 신주인수권 부여에 관한 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 24-06 | 2024.10.01 | 임직원 우리사주매입대금 대여에 관한 건 | 가결 | 찬성 |
| 24-07 | 2024.12.17 | 신규공장 증설 및 설비투자에 관한 건 | 가결 | 찬성 |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사외이사 | 1 | 1,000 | 3 | 3 | - |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총 이사 4명(사내이사 3명,사외이사 1명)에 대한 보수한도승인금액 입니다. 주2) 상기 지급총액은 2024.12.31 누적 기준입니다.
| (단위 : 억원) |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 (단위 : 억원) |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당사는 국내 유기화합물 신소재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을 목표로 1999년 설립되어 현재까지 약 25년간 OLED소재, 촉매소재, 의약소재 등의 유기화합물을 CRO(Custom Research Organization)/CDMO(Custom Development Manufacturing Organization) 방식으로 생산하는 전문기업으로서 국내외 대기업들과 구축된 신뢰와 경쟁력을 기반으로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1) 산업의 개요
당사의 주요 고객은 디스플레이/반도체/에너지 및 의약재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원천소재 개발사들입니다. 이러한 원천소재 개발사들은 신규 소재 개발을 위해 시장에서 구할 수 없는 신물질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신물질 개발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도의 화합물 합성기술이 요구되어, 원천소재 개발업체들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개발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초 부터 원천소재 개발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신물질을 제조하여 공급하는 신물질 제조 전문업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렇게 하여 형성된 것이 CRO/CDMO 시장입니다.
국내 CRO/CDMO 시장은 2000년대 초 부터 국내 유수의 화학, 전자산업 분야의 업체들이 세계시장의 중심부에 진입하면서부터 독자적인 신규 원천소재의 본격적인 개발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2010년대 이후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디스플레이, 반도체, 에너지 등 첨단 소재 분야에서 세계시장을 리드하는 국내 기업들의 추세를 고려하면 향후에도 잠재력이 높은 분야입니다. 당 사의 주요 사업분야인 OLED 소재 분야는 디스플레이 구현 방식에 따라 CRT, LCD, PDP, OLED 등으로 구분되며, 품목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부품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TV, 스마트폰 등 Application의 발전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는 LCD와 OLED가 시장을 양분하는 구조입니다. 스마트폰, 스마트워치에서 시작된 OLED 전환은 TV, PC 등 중대형 IT기기로 이어지고 있으며, 전자제품 제조사의 Application 포트폴리오 변화가 OLED 패널사 및 소재사의 수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조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2) 경쟁 현황(1) 경쟁 형태
전자소재 분야의 CDMO 산업의 본질은 소재의 신속한 개발과 높은 순도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은 고객사와의 장기적인 신뢰 관계와 직결되어 있으며, 고객사와 긴밀히 협력하여 제품을 신속하게 시장에 출시함으로써 경쟁사들과의 경쟁우위 요소로 작용합니다.
OLED 소재시장은 OLED 디스플레이 완제품 점유율과는 달리, 시장 점유율이 여러 소재업체들에 의해 나누어져 있습니다. OLED 구조는 각층의 역할 및 특성이 각기 다른 10-15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보조층 포함시), 각각의 층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공급사도 최소 1개에서 최대 4-5개 정도로, 전형적인 다품종 소량 생산 시장이입니다. 또한 애플, 삼성, LG 등 최종 사용자들은 소재 업체들의 독점을 방지하기 위해, 소재 회사간의 경쟁을 유도하는 supply chain 정책을 펴고 있어, OLED 소재시장은 여러 소재 업체들에 의해 조금씩 나누어 점유되어 있습니다.한편, OLED 소재시장에서 후발업체였던 국내 소재 업체들은 기술개발 장벽이 높지 않은 ETL/HTL 소재 등, 주변층 소재를 시작으로 시장에 진입한 이후, 발광층 호스트(Host) 소재 등 핵심층 소재개발에 연이어 성공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장해 나가고 있으며, OLED 소재시장에서 중추적인 입지를 구축해 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가) 경기 변동과의 관계
OLED용 소재는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산업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제품의 최종 사용처가 국내의 대형 디스플레이 업체로써 원천소재 업체와 디스플레이 업체의 매출과도 상당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전방 산업인 스마트폰, TV 등의 시장 등의 업황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시장 내 OLED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신규로 적용되는 사업(VR,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프리미엄 스마트폰 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애플도 스마트폰 시장 추세에 맞추어 기존에는 아이폰에 OLED와 LCD를 혼용하였으나 차기 아이폰의 전기종에 OLED를 탑재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따라 전세계적으로 OLED 기술을 견인하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의 영향력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나) 계절적 요인
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최종 완제품의 판매 증감과, 해당 시장의 경기변동에 따라 대형, 중소형 OLED 수요는 영향을 받습니다. 일반적으로 대형 OLED 디스플레이 수요는 연초 CES 등 대형 가전 전시회에서 출시하는 신제품, 월드컵 올림픽과 같은 대형 스포츠 이벤트 및 연말 정기 할인시즌(블랙프라이데이)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중소형 OLED 디스플레이는 신규 스마트폰 및 IT기기의 출시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OLED 소재업체는 신제품이 출시되기 약 3개월에서 5개월 전에 매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신제품 IT 기기가 출시되기 약 1분기 이전 디스플레이를 양산하는 생산 스케줄상 나타나는 업종 특성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형 OLED 패널의 대표적 사용처인 OLED TV의 연간 월별 출하량을 분석해 보았을 때, 매년 4분기 출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OLED 소재 업체 또한 직전 혹은 이전 분기에 매출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또한 최근 주요 스마트폰은 전년도에 걸쳐 생산을 하고 있지만, 플래그쉽 신제품 출시는 주로 3~4월경과 9~10월경 두차례에 나누어서 진행을 합니다.
4) 진입장벽 및 규제환경
화합물 CDMO 사업은 효율적인 공정설계, 불순물 관리능력 등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사의 까다로운 요구에 맞춰 생산해야 합니다. 이에 더해 제품의 적시 제공, 기술적 지원, 가격 경쟁력 등의 부분에 있어 수요자들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하는 바, 후발업체에 대한 진입 장벽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가 생산하는 OLED 공정용 화학재료는 제품의 생산 및 취급과정에서 다양한 국내 환경 법규(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위험물안전관리법 등)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사업 개요 당사는 고객사의 특정 요구에 맞추어 화합물 소재를 연구, 개발, 생산하며, 최적화된 제조 공정과 순도 높은 최종 제품을 제공하여 고객의 제품 개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CRO 및 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화합물 중에서도 OLED 소재를 현재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 외에도 반도체용 소재, 촉매 소재, 의약품 소재 등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OLED 디스플레이 시장은 기초화학물질 생산업체, CDMO 업체, 원천소재 개발업체, OLED 패널 제조업체, IT 제조업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사는 이 중 CDMO 업체에 해당합니다. 당사는 중국, 캐나다 등에 위치한 기초화학물질 생산업체로부터 원료를 구입한 뒤, OLED 제조에 필요한 소재를 연구개발 및 생산하여 원천소재 개발업체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OLED 소재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직접 발광을 담당하는 발광층(각 색깔별 호스트(Host), 도판트, Prime)과 이를 보조하는 공통층(EIL, ETL, aETL, HIL, p-도판트)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당사는 점차 발광층 소재의 매출비중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정밀화학제품 제조 및 도소매를 주요 영업으로 수행하고 있으며, 당사의 이사회는 회사 전체를 단일 영업부문으로 파악하여 영업부문 정보를 검토하고 있습니다.(2) 시장의 특성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은 OLED 패널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발광 소재 중간체 및 완성품 시장입니다. 당사의 주요제품인 Green 호스트(Host)(G/H), Blue 호스트(Host)(B/H)는 국내외 발광재료 제조업체들을 목표 시장으로 하고 있으며, 당사 주요 활동 시장 규모는 글로벌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의 가동률 및 생산량에 따라 변동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밸류체인의 최종 Application을 차지하는 Set Maker들의 트렌드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들의 가동률은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스마트폰 기술 진보에 따라 출시된 폴더블 폰은 스마트폰 패널의 크기를 늘려 OLED 소재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존의 LCD TV에서 OLED TV로의 전환 역시 OLED 소재 사용량을 큰 폭으로 확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의 주력 제품인 OLED 발광 소재는 전방 산업인 OLED 패널 업체의 Item 및 Trend 변화에 따라 수요의 증감이 결정되며, OLED 패널 업체는 최종 Application인 스마트폰, OLED TV 등 IT 제품의 수요에 따라 좌우됩니다. 최근 북미향 IT OLED 양산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스마트폰의 OLED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OLED 산업의 Up-cycle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기존 스마트폰, TV를 포함하여 모니터, 노트북, 테블릿 등에서의 OLED 전환이 진행되면서 OLED 패널/소재/부품 업체에 수혜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OLED와 미니 LED TV 등을 포함한 전체 프리미엄 TV 출하량은 2023~2027년 CAGR + 9% 성장해 2027년 3000만대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이중 OLED TV의 출하량은 CAGR + 13% 성장해 2027년 920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OLED 패널과 소재에 대한 개발이 지속되면서 고부가가치 OLED 소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는 시장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부가가치 OLED 소재인 중수소치환 장수명 소재와 p-도판트 소재 제품 포트폴리오를 늘리고자 계획하고 있습니다. 특히 OLED 소재 중 고부가가치 소재 중 하나인 p-도판트 소재의 제품단가는 약 270달러/g 수준이며, 발광층 도판트 소재의 제품단가는 Green이 340달러/g, Red가 260달러/g, Blue가 220달러/g으로 발광층 호스트(Host) 소재 대비 약 10배의 단가차이가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소재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판매 증가를 판매할수록 당사의 매출과 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또한, 화합물 승화정제 시장은 첨단 기술 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고순도의 소재가 필요한 반도체, OLED 디스플레이, 그리고 의약품 산업에서의 수요 증가는 이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승화정제는 순도가 높은 물질을 얻기 위한 과정으로, 고성능 소재의 필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의존도가 커지고 있으며, 이는 시장의 확대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OLED 소재 시장에서는 제품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높은 순도의 소재가 필수적입니다. 승화정제는 이러한 고순도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OLED 패널의 발광 효율, 색상 표현, 수명과 같은 핵심 성능 지표들이 순도에 크게 의존합니다. 따라서 OLED 디스플레이 기술의 발전과 소비자들의 높은 품질 기대감은 승화정제 공정의 발전을 촉진하고, 이 시장의 성장을 더욱 가속화할 것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얻어진 고순도 OLED 소재는 선명한 화질과 향상된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여, 최종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결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원천소재 업체의 경우 중간체를 납품하는 것보다 승화정제가 완료된 최종화합물을 납품받고 싶어하는 경향에 따라 승화정제공정 단계의 완제품을 판매할 경우 신규 거래처를 확보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됩니다.
(4) 조직도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ㆍ자본변동표ㆍ현금흐름표
※ 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이전의 재무자료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정기주주총회의 승인 과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확정된 재무제표 및 상세한 주석사항은 주주총회 1주 전까지 공시예정인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www.hanchem.net)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 제 26 기 2024. 12. 31 현재 |
| 제 25 기 2023. 12. 31 현재 |
| (단위 : 원) |
| 과 목 | 제 26(당)기말 | 제 25(전)기말 |
|---|---|---|
| 자 산 | ||
| I. 유동자산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2,834,616,337 | 1,871,298,376 |
| 단기금융상품 | 23,820,000,000 | 3,560,000,000 |
| 매출채권 | 3,251,098,750 | 3,649,001,299 |
| 기타수취채권(유동) | 796,018,811 | 23,052,903 |
| 기타자산 | 211,528,840 | 92,092,641 |
| 재고자산 | 9,795,194,573 | 10,785,524,220 |
| 유동자산 계 | 50,708,457,311 | 19,980,969,439 |
| II. 비유동자산 | ||
| 장기금융상품 | 19,078,418 | 8,556,214 |
| 유형자산 | 12,210,218,097 | 10,853,638,848 |
| 무형자산 | 5,683,334 | 64,323,334 |
| 기타수취채권(비유동) | 14,000,000 | 9,000,000 |
| 이연법인세자산(비유동) | 32,557,930 | - |
| 비유동자산 계 | 12,281,537,779 | 10,935,518,396 |
| 자 산 총 계 | 62,989,995,090 | 30,916,487,835 |
| 부 채 | ||
| I. 유동부채 | ||
| 매입채무 | 902,121,750 | 1,671,964,911 |
| 기타금융부채(유동) | 823,232,816 | 798,363,919 |
| 단기차입금 | 3,000,000,000 | 2,300,000,000 |
| 유동성장기부채 | - | 700,000,000 |
| 기타부채 | 318,714,414 | 82,389,268 |
| 충당부채 | 13,627,199 | 13,627,199 |
| 당기법인세부채 | 856,129,925 | 614,769,655 |
| 유동부채 계 | 5,913,826,104 | 6,181,114,952 |
| II. 비유동부채 | ||
| 장기차입금 | 2,000,000,000 | 4,000,000,000 |
| 이연법인세부채(비유동) | - | 30,914,678 |
| 비유동부채 계 | 2,000,000,000 | 4,030,914,678 |
| 부 채 총 계 | 7,913,826,104 | 10,212,029,630 |
| 자 본 | ||
| I. 자본금 | 4,013,567,000 | 3,189,567,000 |
| II. 자본잉여금 | 27,408,595,018 | 56,884,218 |
| III. 자본조정 | 478,955,489 | (75,196) |
| IV. 이익잉여금 | 23,175,051,479 | 17,458,082,183 |
| 자 본 총 계 | 55,076,168,986 | 20,704,458,205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62,989,995,090 | 30,916,487,83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 2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2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26(당)기 | 제 25(전)기 |
|---|---|---|
| I.매출액 | 36,697,456,129 | 26,940,818,816 |
| II.매출원가 | 27,842,998,191 | 20,210,906,837 |
| III.매출총이익 | 8,854,457,938 | 6,729,911,979 |
| 판매비와관리비 | 2,285,962,833 | 1,709,478,540 |
| 대손상각비 | 31,438,718 | (650,265) |
| IV.영업이익 | 6,537,056,387 | 5,021,083,704 |
| 금융수익 | 729,664,180 | 155,308,328 |
| 금융비용 | 403,743,817 | 371,019,646 |
| 기타수익 | 28,388,267 | 23,009,216 |
| 기타비용 | 2,096 | 341,967 |
| V.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6,891,362,921 | 4,828,039,635 |
| 법인세비용 | 1,174,393,625 | 667,066,735 |
| VI.당기순이익 | 5,716,969,296 | 4,160,972,900 |
| VII.기타포괄손익 | - | - |
| VIII.총포괄이익 | 5,716,969,296 | 4,160,972,900 |
| IX. 주당이익 | - | - |
| 기본주당이익 | 848 | 674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 제 2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2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제 26 기 | 제 25 기 |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23,175,051,479 | 17,458,082,183 |
|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7,458,082,183 | 13,297,109,283 |
| 2. 당기순이익 | 5,716,969,296 | 4,160,972,900 |
| Ⅱ.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23,175,051,479 | 17,458,082,183 |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 제 2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2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단위 : 원 ) |
| 과 목 | 자 본 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 | 자본총계 |
|---|---|---|---|---|---|
| 2023.01.01(전기초) | 790,190,000 | 470,420,848 | - | 13,297,109,283 | 14,557,720,131 |
| 총포괄이익(손실)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4,160,972,900 | 4,160,972,900 | |
| 기타포괄손익 | - | - | - | ||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 |
| 기타포괄손익 계 | - | - | - | - | - |
| 총포괄이익(손실) 계 | - | - | - | 4,160,972,900 | 4,160,972,900 |
| 유상증자 | 51,033,000 | 1,948,201,320 | - | - | 1,999,234,320 |
| 무상증자 | 2,348,344,000 | (2,361,737,950) | - | - | (13,393,950) |
|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 | - | (75,196) | - | (75,196) |
| 2023.12.31(전기말) | 3,189,567,000 | 56,884,218 | (75,196) | 17,458,082,183 | 20,704,458,205 |
| 2024.01.01(당기초) | 3,189,567,000 | 56,884,218 | (75,196) | 17,458,082,183 | 20,704,458,205 |
| 총포괄이익(손실)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5,716,969,296 | 5,716,969,296 | |
| 기타포괄손익 | |||||
| - 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 |
| 기타포괄손익 계 | - | - | - | - | - |
| 총포괄이익(손실) 계 | - | - | - | 5,716,969,296 | 26,421,427,501 |
| 유상증자 | 824,000,000 | 27,351,710,800 | - | - | 28,175,710,800 |
| 주식매수선택권 | - | - | 479,030,685 | - | 479,030,685 |
| 2024.12.31(당기말) | 4,013,567,000 | 27,408,595,018 | 478,955,489 | 23,175,051,479 | 55,076,168,986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 제 2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
| 제 2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
| 과 목 | 제 26(당) 기 | 제 25(전) 기 |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110,252,848 | 865,318,220 |
|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 9,179,528,826 | 1,554,961,659 |
| 당기순이익 | 5,716,969,296 | 4,160,972,900 |
| 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 2,784,274,820 | 2,394,059,475 |
| 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 678,284,710 | (5,000,070,716) |
| 이자의 수취 | 249,759,509 | 95,529,070 |
| 법인세의 환급(납부) | (996,505,963) | (481,525,098) |
| 이자의 지급 | (322,529,524) | (303,647,411) |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544,729,284) | (1,268,045,509)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45,807,402,075 | 3,848,872,818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45,735,674,803 | 3,840,000,000 |
| 유형자산의 처분 | 14,727,272 | 8,872,818 |
| 무형자산의 처분 | 55,000,000 | - |
| 주임종단기채권의 감소 | 2,000,000 | - |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69,352,131,359) | (5,116,918,327)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65,995,674,803 | 4,450,000,000 |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10,522,204 | 5,060,673 |
| 유형자산의 취득 | 2,711,334,352 | 656,857,654 |
| 임차보증금의 증가 | 5,000,000 | 5,000,000 |
| 주임종단기채권의 증가 | 629,600,000 | - |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6,205,710,800 | 2,014,265,174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29,905,710,800 | 2,027,734,320 |
| 국고보조금의 수령 | 30,000,000 | 28,500,000 |
| 단기차입금의 증가 | 700,000,000 | - |
| 장기차입금의 증가 | 1,000,000,000 | - |
| 유상증자 | 28,175,710,800 | 1,999,234,320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3,700,000,000) | (13,469,146)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1,300,000,000 | -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2,400,000,000 | - |
| 무상증자 | - | 13,393,950 |
| 자기주식의 취득 | - | 75,196 |
| IV. 외화환산으로 인한 차이 | 192,083,597 | (12,918,078) |
| V.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 | 10,963,317,961 | 1,598,619,807 |
| VI.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871,298,376 | 272,678,569 |
| VII.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12,834,616,337 | 1,871,298,376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 1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2억원 |
(전 기)
|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 1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01백만원 |
| 최고한도액 | 10억원 |
※ 기타 참고사항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 감사의 수 | 1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억원 |
(전 기)
| 감사의 수 | 1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3백만원 |
| 최고한도액 | 1억원 |
※ 기타 참고사항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상법시행령」제31조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5년 3월 20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참고로,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주소 : http://dart.fss.or.kr
2) 주식회사 한켐 홈페이지 주소 : http://www.hanchem.net (IR/PR→전자공고, 공시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