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7월 14일 |
회 사 명 : | 뉴로핏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빈준길, 김동현 |
본 점 소 재 지 : | |
(전 화) 02-6954-7971 | |
(홈페이지) http://https://www.neurophet.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 (성 명) 이광민 |
(전 화) 02-6954-7971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5월 29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2,0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28,000,000,000원
4. 정정사유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5. 정정사항 금번 정정에 따른 변동사항은 투자자의 편의를 위해 ' 굵은 보라색 '으로 표시하였습니다.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
공통 정정사항 |
- 모집(매출)가액(예정): 11,400원 ~ 14,000원- 모집(매출)총액(예정): 22,800,000,000원 ~ 28,000,000,000원- 우리사주조합 배정주식수: 30,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500,000주 ~ 600,000주-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370,000주 ~1,470,000주- 우리사주조합 배정비율: 1.5%-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30.0%-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68.5% ~ 73.5% |
- 모집(매출)가액(예정): 14,000원- 모집(매출)총액(예정):28,000,000,000원- 우리사주조합 배정주식수: 30,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500,000주-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470,000주- 우리사주조합 배정비율: 1.5%-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3.5% |
요약정보 | 요약정보의 모든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주1) | (주1) |
2. 공모방법 | (주2) | (주2)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주3) | (주3)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4) | (주4)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주5) | (주5) |
III. 투자위험요소 | ||
2. 회사위험 - 아. 최대주주 지분율 악화에 따른 경영권 변동 위험 | (주6) | (주6) |
3. 회사위험 - 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불확실성 및 현금흐름 위험 | (주7) | (주7) |
3. 기타위험 - 자.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 (주8) | (주8) |
VI.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가. 평가결과 | (주9) | (주9)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 (주10) | (주10) |
V. 자금의 사용목적 |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 (주11) | (주11) |
2. 자금의 사용목적 | (주12) | (주12) |
(주1) 정정 전
1. 공모개요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기명식보통주 | 2,000,000 | 1,000 | 11,400 | 22,80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대표주관회사 | 미래에셋증권 | 기명식 보통주 | 2,000,000 | 22,800,000,000 | 1,026,000,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년 7월 15일 ~ 2025년 7월 16일 | 2025년 7월 18일 | 2025년 7월 15일 | 2025년 7월 18일 | - |
주1) | 모집(매출) 예정가(이하 "공모희망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의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주당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인수대가 등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인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하단)인 11,400원 기준입니다. 참고로, 공모희망가액의 최고가액(상단)인 14,000원 기준 모집(매출)총액은 28,000,000,000원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발행회사인 뉴로핏㈜이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시 정정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 2025년 07월 15일(화) (1일간) - 기관투자자 청약일 :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2일간)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2일간) 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와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할 수 있습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른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8) | 본 주식은 한국거래소 내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5년 02월 21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5월 08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공모 후에 심사가 가능한 상장주식수 및 주식의 분산요건을 제외한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0%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의 최저가액 기준이며,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은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미래에셋증권㈜는 공모물량의 3.0%(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당해 모집(매출)하는 가액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기 취득분은 모집ㆍ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5. 인수 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11)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60,0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1) 정정 후
1. 공모개요
(단위 : 원, 주) |
증권의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기명식보통주 | 2,000,000 | 1,000 | 14,000 | 28,00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대표주관회사 | 미래에셋증권 | 기명식 보통주 | 2,000,000 | 28,000,000,000 | 1,297,800,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년 7월 15일 ~ 2025년 7월 16일 | 2025년 7월 18일 | 2025년 7월 15일 | 2025년 7월 18일 | - |
주1) | 모집(매출) 예정가(이하 "공모희망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의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주당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인수대가 등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발행회사인 ㈜인투셀이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4,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공모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우리사주조합 청약일 : 2025년 07월 15일(화) (1일간) - 기관투자자 청약일 :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2일간)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2일간) 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와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할 수 있습니다. | ||||||||||
주7)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른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한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8) | 본 주식은 한국거래소 내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2025년 02월 21일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하여 2025년 05월 08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신규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습니다. 공모 후에 심사가 가능한 상장주식수 및 주식의 분산요건을 제외한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확정공모가액 14,000원 기준으로 산정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다만,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미래에셋증권㈜는 공모물량의 3.0%(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당해 모집(매출)하는 가액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기 취득분은 모집ㆍ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5. 인수 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11)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60,0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2) 정정 전
2. 공모방법
금번 뉴로핏㈜의 코스닥시장 장공모는 신주모집 2,000,000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공모방법: 일반공모】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1,970,000주 | 98.5% | 일반청약자,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포함)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우선배정 |
합계 | 2,000,000주 | 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30,000주(1.5%)를 배정하였습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11,400원(주1) | 342,000,000원 | - |
일반청약자 | 500,000주~ 600,000주 | 25.0%~30.0% | 5,700,000,000원~ 6,840,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370,000주~ 1,470,000주 | 68.5%~73.5% | 15,618,000,000원~ 16,758,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2,000,000주 | 100.0% | 22,80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공모희망가액인 11,400원 ~ 14,000원중 최저가액인 11,4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30,000주(1.5%)를 우선 배정하였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근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근거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7호에 근거하여 주2)~주4)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모집방법 : 일반공모】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970,000주 | 98.5% | 일반청약자,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포함) |
합계 | 2,000,000주 | 100.0% | - |
【모집의 세부내역】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11,400원 (주1) | 342,000,000원 | - |
일반청약자 | 500,000주~ 600,000주 | 25.0%~30.0% | 5,700,000,000원~ 6,840,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370,000주~ 1,470,000주 | 68.5%~73.5% | 15,618,000,000원~ 16,758,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2,000,000주 | 100.0% | 22,800,000,000원 | - |
주1) | 모집대상 주식에 대한 인수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주2)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모집물량은 아래와 같이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을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관리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3-1)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3-2)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4-1)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4-2)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5)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 ④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⑥「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⑦ ⑥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 기준으로,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7)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8) | 금번 공모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금번 뉴로핏㈜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는 10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매출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상장 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미래에셋증권㈜ | 60,000주 | 11,400원 | 684,0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1,400원 ~ 14,0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11,4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2) 정정 후
2. 공모방법
금번 뉴로핏㈜의 코스닥시장 장공모는 신주모집 2,000,000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공모방법: 일반공모】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1,970,000주 | 98.5% | 일반청약자,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포함)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우선배정 |
합계 | 2,000,000주 | 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에서는 30,000주(1.5%)를 배정하였습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14,000원(주1) | 420,000,000원 | - |
일반청약자 | 500,000주 | 25.0% | 7,000,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470,000주 | 73.5% | 20,58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2,000,000주 | 100.0% | 28,00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우리사주조합에 30,000주(1.5%)를 우선 배정하였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근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근거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7호에 근거하여 주2)~주4)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모집방법 : 일반공모】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우선배정 |
일반공모 | 1,970,000주 | 98.5% | 일반청약자,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포함) |
합계 | 2,000,000주 | 100.0% | - |
【모집의 세부내역】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우리사주조합 | 30,000주 | 1.5% | 14,000원 (주1) | 420,000,000원 | - |
일반청약자 | 500,000주 | 25.0% | 7,000,000,000원 | - | |
기관투자자 | 1,470,000주 | 73.5% | 20,58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물량 포함 | |
합계 | 2,000,000주 | 100.0% | 28,000,000,000원 | - |
주1) | 모집대상 주식에 대한 인수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주2)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모집물량은 아래와 같이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을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관리공단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3-1)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3-2)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4-1)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4-2)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5)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3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⑤ ④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⑥「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⑦ ⑥에도 불구하고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모집가액 및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 기준으로,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7)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8) | 금번 공모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금번 뉴로핏㈜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는 10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매출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상장 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미래에셋증권㈜ | 60,000주 | 14,000원 | 840,0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4,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3) 정정 전 [중략]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1,400원 ~ 14,0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1) | 상기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뉴로핏㈜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상기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1) 수요예측 공고 및 수요예측 일시
구 분 | 내 용 | 비 고 |
---|---|---|
공고 일시 | 2025년 7월 4일(금) | (주1) |
기업 IR | 2025년 6월 27일(금) ~ 2025년 7월 8일(화) | (주2) |
수요예측 일시 | 2025년 7월 4일(금) ~ 2025년 7월 10일(목) | (주3) |
공모가액 확정공고 | 2025년 7월 14일(월) | -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7월 4일(금)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https://securities.miraeasset.com) 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본 공모와 관련하여 기업 IR은 국내 및 해외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주3) | 수요예측 마감시각은 한국시간 기준 2025년 7월 10일(목) 17:00 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요예측 마감시각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 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오니 접수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4)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 참가자격
(가)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기관투자자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집합투자회사등(「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를 말한다)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합니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금융투자업규정」제4-19조제8호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청약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해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합니다.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 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고려할 시,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 |
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 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확인대상 및 확인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준방법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1호)】 |
구분 | 내용 | ||
---|---|---|---|
확인대상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재산에 따라 ① 고유재산은 자기자본, ② 위탁재산은 참여 건(계좌)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인합니다.① 고유재산 : 자기자본을 기준으로 하며,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입니다.② 위탁재산 : 수요예측 참여 건(계좌)별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입니다.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합니다. | ||
확인방법 | 기관투자자는 '확인대상'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약서(*)에 기재하여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의 서명 또는 기명날인을 받은 후 주관회사에 제출하고,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기준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합니다. | ||
|
다만,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제정한 내부지침에 근거하여 미래에셋증권㈜의 One-AsiaEquitySales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다음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방법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2호)] |
구분 | 내용 | ||||
---|---|---|---|---|---|
확인대상 | 미래에셋증권㈜의 One-AsiaEquitySales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①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QIB)에 해당하거나 ②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는 경우 주금납입능력을 USD100,000,000으로 간주합니다. ③ QIB 및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지 않거나 QIB 및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더라도 USD100,000,000 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고유재산은 자기자본, 위탁재산은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인합니다. | ||||
확인방법 | ① 미국 증권거래법 144A에 따른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이하 "QIB"라 한다)의 지위에 있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주금납입능력은 USD 100,000,000으로 간주하고, One-AsiaEquitySales본부는 외국인 기관투자자 본인이 QIB임을 확인한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대체확약서는 제출일이 속한 분기말까지 유효한 효력을 가집니다.②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의사를 받은 경우, 제1호의 QIB에 준하여 주금납입능력을 USD 100,000,000으로 간주합니다.③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지 않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이거나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중 USD 100,000,000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또는 직전 분기(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 3개월간 일평균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하고, One-AsiaEquitySales본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대체확약서는 제출일이 속한 분기말까지 유효한 효력을 가집니다. | ||||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중략)⑦ 제3항제1호를 적용할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만기일 전 3개월 및 설정일ㆍ설립일 후 3개월은 같은 호 전단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본다. |
주1) |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 |
주2) |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 (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을 말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자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제16조(벤처투자조합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① 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의 100분의 10(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의 경우에는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 중 3천만원 이하분은 100분의 100, 3천만원 초과분부터 5천만원 이하분까지는 100분의 70, 5천만원 초과분은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의 100분의 50을 한도로 한다)을 그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제3항의 경우에는 제1항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따른 기업에 해당하게 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를 말한다)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거주자가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1과세연도를 선택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시기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한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다만, 타인의 출자지분이나 투자지분 또는 수익증권을 양수하는 방법으로 출자하거나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벤처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또는 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의 수익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3.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 금액을 벤처기업 또는 이에 준하는 창업 후 3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이하 이 조 및 제16조의5에서 "벤처기업등"이라 한다)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하는 경우 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벤처기업등에 투자하는 경우 5.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하는 경우 6.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7조의10에 따라 온라인소액투자중개의 방법으로 모집하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의 지분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14조(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등에의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①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다음 각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을 말한다. 1.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2.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3.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추가)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4.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집계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참여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투자일임회사 등] |
제5조의 2(투자일임회사 등의 수요예측등 참여조건)①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호 및 제4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1.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2. 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3.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4.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1.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2.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③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재산 또는 고유재산으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경우 각각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건이 모두 충족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 및 이를 증빙하기 위하여 대표주관회사가 요구하는 서류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④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⑤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신탁회사에 준용한다. 이 경우 "투자일임회사"는 "신탁회사"로, "투자일임계약"은 "신탁계약"으로, "투자일임재산"은 "신탁재산"으로 본다.⑥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에 준용한다. 이 경우 "투자일임회사"는 "집합투자회사"로, "투자일임업"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으로, "투자일임재산"은 "집합투자재산"으로 본다.⑦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은 제2조제18호가목을,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은 제2조제18호나목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
[투자일임회사 등의 투자일임재산으로의 수요예측 참여 조건] |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 등의 고유재산으로의 수요예측 참여 조건] |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 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투자일임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동 서류와 관련하여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신탁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사목에 따른 신탁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동 서류와 관련하여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2항에 따른 요건충족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집합투자재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집계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청약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나) 수요예측 참여 제외대상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제5항 및 제7항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7항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① |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
② |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하며,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함) |
③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
④ |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
⑤ | 대표주관회사가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⑥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4항에 의거 금번 공모 이전에 실시한 공모에서 수요예측일 현재 한국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분류되어 제재기간 중에 있는 기관투자자 |
⑦ | 금번 공모 시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따른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음에 따라,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서 정의하는 창업투자회사등은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⑧ |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7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제10조의3(환매청구권)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한 후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4항에 의거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는 경우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요예측의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제한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 제1항 및 2항에 따라 다음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① 기업공개 또는 무보증사채 공모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행위로 본다.1.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주식 또는 무보증사채를 배정받은 후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청약 후 주금 또는 무보증사채의 납입금을 납입하지 아니한 경우2. 기업공개시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의무보유를 확약하고 주식을 배정받은 후 의무보유기간 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이 경우 의무보유기간 확약의 준수여부는 해당기간 중 일별 잔고를 기준으로 확인한다.가. 해당 주식을 매도 등 처분하는 행위나. 해당 주식을 대여하거나, 담보로 제공 또는 대용증권으로 지정하는 행위다. 해당 주식의 종목에 대하여 법 제180조제1항제2호에 따른 공매도를 하는 행위. 이 경우 일별 잔고는 공매도 수량을 차감하여 산정한다.(이하 이 항 및 <별표 1>에서 같다)라. 그 밖에 경제적 실질이 가목부터 다목에 준하는 일체의 행위3. 수요예측에 참여하면서 관련 정보를 허위로 작성ㆍ제출하는 경우4.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을 투자자에게 매도함으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1조를 위반한 경우5.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가 제5조의2 제1항부터 제11항까지를 위반하여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경우 6.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신탁계약이 설정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탁계약이 해지(신탁계약기간이 3년 이상인 집합투자기구의 신탁계약기간 종료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7. 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이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후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내에 환매되는 경우8.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설정일·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지(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만기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9.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② 제15조의2에 따라 투자자 재산 운용업무가 이관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제1항제2호에서 정하는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행위를 한 것으로 본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의무보유기간 준수를 위하여 상당한 주의를 하였음을 증명한 경우 그러하지 아니하다.1. 이관회사가 제15조의2제2항을 위반하고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이관회사이관회사가 제15조의2제2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 관련 정보를 충실히 전달하였음에도 22. 불구하고 수관회사가 제15조의2제3항을 위반하여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수관회사 |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의 정보관리에 관한 사항『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2에 의거 미래에셋증권㈜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한국금융투자협회에 통보하며 한국금융투자협회는 협회 정관 제41조에 따라 설치된 자율규제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하고,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단을 협회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다만, 한국금융투자협회는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에 따른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이 3개월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행위를 한 자에게 협회 정관 제45조 제1항 제4호의 제재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한국금융투자협회의 회원이 아닌 자로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된 자가 금전의 납부의사를 표명하는 경우 자율규제위원회가 이를 승인하면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유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을 병과한 경우는 그러지 아니합니다. 또한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대한 정보 및 제재사항 등을 기재한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등록부를 작성하여 관리합니다.1. 사업자등록번호 및 외국인투자등록번호2.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칭3. 해당 사유가 발생한 종목4. 해당 사유5. 해당 사유의 발생일6. 기타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 제재사항】 |
---|
불성실수요예측등 참여 행위의 동기 및 그 결과를 고려하여 일정기간 수요예측 등 참여 제재(미청약, 미납입과 의무보유 확약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기준을 분리, 적용) |
적용 대상 | 위반금액 | 수요예측 참여제한기간 | |
---|---|---|---|
정의 | 규모 | ||
미청약ㆍ미납입 | 미청약ㆍ미납입주식수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5천만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24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의무보유확약위반 | 의무보유 확약위반주식수 주1)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참여금액의주금납입능력 초과 | (배정받은 주식수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참여제한 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정보 허위 작성ㆍ제출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법 제11조 위반대리청약 | 대리청약 처분이익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투자일임회사등수요예측등 참여조건 위반 | 신청한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미납입과 동일(참여제한기간 상한 : 6개월) | |
벤처기업투자신탁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환매금지 위반 | 12개월 X 환매비율 주2)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기타 인수질서 문란행위 | 6개월 이내 금지 |
주1) | 의무보유 확약위반 주식수: 의무보유확약 주식수와 의무보유확약 기간 중 보유주식수가 가장 적은 날의 주식수와의 차이 | |||||||||||||||||||||||||||||||||||||||||||||||||||||||||||||
주2)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 환매비율: 환매금액 누계/(설정액 누계 - 환매외 출금액 누계) | |||||||||||||||||||||||||||||||||||||||||||||||||||||||||||||
주3) |
가중:
|
|||||||||||||||||||||||||||||||||||||||||||||||||||||||||||||
주4) |
감면:
|
|||||||||||||||||||||||||||||||||||||||||||||||||||||||||||||
주5) |
제재 규모 산정 방법:
|
|||||||||||||||||||||||||||||||||||||||||||||||||||||||||||||
주6) | 가중ㆍ감경 사유가 경합된 때에는 가중 적용 후 감경을 적용(다만, 주4)의 감면 2)에 따른 감경은 다른 가중·감경 보다 우선 적용)하고 감경적용 후 월 단위 미만의 참여제한기간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 |||||||||||||||||||||||||||||||||||||||||||||||||||||||||||||
주7)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를 같은 날에 개최되는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경우 참여제한기간이 가장 긴 기간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기준으로 가중을 적용하고 해당 사유 발생일은 최근일을 기준으로 함 | |||||||||||||||||||||||||||||||||||||||||||||||||||||||||||||
주8)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 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에 대하여 일부 건에 대한 제재를 위원회에서 의결하고, 해당 의결일 이전에 발생한 나머지 건에 대한 제재를 이후에 의결하는 경우 제재의 합은 주7)의 기준에 따라 산정된 제재와 동일하여야 함 |
(3) 수요예측 대상 주식에 관한 사항
구분 | 주식수 | 비율 | 비고 |
---|---|---|---|
기관투자자 | 1,370,000주~ 1,470,000주 | 68.5%~ 73.5%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
주2) | 상기 비율은 총 공모주식수(2,0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500,000주 ~ 600,000주(25.0% ~ 30.0%) 및 우리사주조합 배정분 30,000주는 수요예측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후략]
(주3) 정정 후 [중략]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1,400원 ~ 14,000원 |
확정 공모가액 | 14,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
주1) | 상기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뉴로핏㈜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상기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4,000원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1) 수요예측 공고 및 수요예측 일시
구 분 | 내 용 | 비 고 |
---|---|---|
공고 일시 | 2025년 7월 4일(금) | (주1) |
기업 IR | 2025년 6월 27일(금) ~ 2025년 7월 8일(화) | (주2) |
수요예측 일시 | 2025년 7월 4일(금) ~ 2025년 7월 10일(목) | (주3) |
공모가액 확정공고 | 2025년 7월 14일(월) | -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7월 4일(금)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https://securities.miraeasset.com) 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본 공모와 관련하여 기업 IR은 국내 및 해외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주3) | 수요예측 마감시각은 한국시간 기준 2025년 7월 10일(목) 17:00 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요예측 마감시각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 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오니 접수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4)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 참가자격
(가)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기관투자자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집합투자회사등(「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를 말한다)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 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금융투자업규정」제4-19조제8호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청약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해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합니다.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 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고려할 시,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 |
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 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확인대상 및 확인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표준방법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1호)】 |
구분 | 내용 | ||
---|---|---|---|
확인대상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재산에 따라 ① 고유재산은 자기자본, ② 위탁재산은 참여 건(계좌)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인합니다. ① 고유재산 : 자기자본을 기준으로 하며,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입니다. ② 위탁재산 : 수요예측 참여 건(계좌)별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입니다.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합니다. | ||
확인방법 | 기관투자자는 '확인대상'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약서(*)에 기재하여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의 서명 또는 기명날인을 받은 후 주관회사에 제출하고,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기준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합니다. | ||
|
다만,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제정한 내부지침에 근거하여 미래에셋증권㈜의 One-AsiaEquitySales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다음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체방법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 제1항 제2호)] |
구분 | 내용 | ||||
---|---|---|---|---|---|
확인대상 | 미래에셋증권㈜의 One-AsiaEquitySales본부를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①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QIB)에 해당하거나 ②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는 경우 주금납입능력을 USD100,000,000으로 간주합니다. ③ QIB 및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지 않거나 QIB 및 해외 국부펀드에 해당하더라도 USD100,000,000 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고유재산은 자기자본, 위탁재산은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확인합니다. | ||||
확인방법 | ① 미국 증권거래법 144A에 따른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이하 "QIB"라 한다)의 지위에 있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주금납입능력은 USD 100,000,000으로 간주하고, One-AsiaEquitySales본부는 외국인 기관투자자 본인이 QIB임을 확인한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대체확약서는 제출일이 속한 분기말까지 유효한 효력을 가집니다. ② 해외 국부펀드(**)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의사를 받은 경우, 제1호의 QIB에 준하여 주금납입능력을 USD 100,000,000으로 간주합니다. ③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지 않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이거나 제1항 및 제2항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중 USD 100,000,000이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직전 분기말(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말 기준) 또는 직전 분기(자료가 없다면 그 전 분기) 3개월간 일평균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을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하고, One-AsiaEquitySales본부는 대체확약서(*)를 수령하여 확인합니다. 대체확약서는 제출일이 속한 분기말까지 유효한 효력을 가집니다. | ||||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 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 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
『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 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 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 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 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중략) ⑦ 제3항제1호를 적용할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만기일 전 3개월 및 설정일ㆍ설립일 후 3개월은 같은 호 전단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본다. |
주1) |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 |
주2) |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 (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을 말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자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벤처투자조합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 ① 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의 100분의 10(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의 경우에는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 중 3천만원 이하분은 100분의 100, 3천만원 초과분부터 5천만원 이하분까지는 100분의 70, 5천만원 초과분은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의 100분의 50을 한도로 한다)을 그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제3항의 경우에는 제1항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따른 기업에 해당하게 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를 말한다)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거주자가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1과세연도를 선택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시기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한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다만, 타인의 출자지분이나 투자지분 또는 수익증권을 양수하는 방법으로 출자하거나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벤처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또는 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의 수익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3.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 금액을 벤처기업 또는 이에 준하는 창업 후 3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이하 이 조 및 제16조의5에서 "벤처기업등"이라 한다)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하는 경우 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벤처기업등에 투자하는 경우 5.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하는 경우 6.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7조의10에 따라 온라인소액투자중개의 방법으로 모집하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의 지분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4조(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등에의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 ①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다음 각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을 말한다. 1.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2.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3.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추가)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4.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집계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참여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투자일임회사 등] |
제5조의 2(투자일임회사 등의 수요예측등 참여조건) ①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호 및 제4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2. 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3.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4.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1.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2.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③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재산 또는 고유재산으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경우 각각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건이 모두 충족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 및 이를 증빙하기 위하여 대표주관회사가 요구하는 서류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 ④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⑤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신탁회사에 준용한다. 이 경우 "투자일임회사"는 "신탁회사"로, "투자일임계약"은 "신탁계약"으로, "투자일임재산"은 "신탁재산"으로 본다. ⑥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에 준용한다. 이 경우 "투자일임회사"는 "집합투자회사"로, "투자일임업"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으로, "투자일임재산"은 "집합투자재산"으로 본다. ⑦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은 제2조제18호가목을,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은 제2조제18호나목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
[투자일임회사 등의 투자일임재산으로의 수요예측 참여 조건] |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 등의 고유재산으로의 수요예측 참여 조건] |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 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투자일임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동 서류와 관련하여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신탁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사목에 따른 신탁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동 서류와 관련하여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2항에 따른 요건충족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집합투자재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집계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청약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나) 수요예측 참여 제외대상 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다만 제5항 및 제7항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7항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① |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
② |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하며,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함) |
③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
④ |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
⑤ | 대표주관회사가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⑥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4항에 의거 금번 공모 이전에 실시한 공모에서 수요예측일 현재 한국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분류되어 제재기간 중에 있는 기관투자자 |
⑦ | 금번 공모 시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따른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음에 따라,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서 정의하는 창업투자회사등은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⑧ |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7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제10조의3(환매청구권)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한 후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4항에 의거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는 경우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수요예측의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제한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 제1항 및 2항에 따라 다음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① 기업공개 또는 무보증사채 공모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행위로 본다. 1.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주식 또는 무보증사채를 배정받은 후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청약 후 주금 또는 무보증사채의 납입금을 납입하지 아니한 경우 2. 기업공개시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의무보유를 확약하고 주식을 배정받은 후 의무보유기간 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이 경우 의무보유기간 확약의 준수여부는 해당기간 중 일별 잔고를 기준으로 확인한다. 가. 해당 주식을 매도 등 처분하는 행위 나. 해당 주식을 대여하거나, 담보로 제공 또는 대용증권으로 지정하는 행위 다. 해당 주식의 종목에 대하여 법 제180조제1항제2호에 따른 공매도를 하는 행위. 이 경우 일별 잔고는 공매도 수량을 차감하여 산정한다.(이하 이 항 및 <별표 1>에서 같다) 라. 그 밖에 경제적 실질이 가목부터 다목에 준하는 일체의 행위 3. 수요예측에 참여하면서 관련 정보를 허위로 작성ㆍ제출하는 경우 4.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을 투자자에게 매도함으로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1조를 위반한 경우 5.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가 제5조의2 제1항부터 제11항까지를 위반하여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경우 6.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신탁계약이 설정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탁계약이 해지(신탁계약기간이 3년 이상인 집합투자기구의 신탁계약기간 종료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 7. 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이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후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내에 환매되는 경우 8.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설정일·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지(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만기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 9.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8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② 제15조의2에 따라 투자자 재산 운용업무가 이관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제1항제2호에서 정하는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행위를 한 것으로 본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의무보유기간 준수를 위하여 상당한 주의를 하였음을 증명한 경우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이관회사가 제15조의2제2항을 위반하고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이관회사 이관회사가 제15조의2제2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 관련 정보를 충실히 전달하였음에도 22. 불구하고 수관회사가 제15조의2제3항을 위반하여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수관회사 |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의 정보관리에 관한 사항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2에 의거 미래에셋증권㈜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한국금융투자협회에 통보하며 한국금융투자협회는 협회 정관 제41조에 따라 설치된 자율규제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하고,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단을 협회 홈페이지에 게시합니다. 다만, 한국금융투자협회는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기준"에 따른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이 3개월 이하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행위를 한 자에게 협회 정관 제45조 제1항 제4호의 제재금을 부과할 수 있으며, 한국금융투자협회의 회원이 아닌 자로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된 자가 금전의 납부의사를 표명하는 경우 자율규제위원회가 이를 승인하면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유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제한을 병과한 경우는 그러지 아니합니다. 또한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대한 정보 및 제재사항 등을 기재한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등록부를 작성하여 관리합니다. 1. 사업자등록번호 및 외국인투자등록번호 2.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칭 3. 해당 사유가 발생한 종목 4. 해당 사유 5. 해당 사유의 발생일 6. 기타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 제재사항】 |
---|
불성실수요예측등 참여 행위의 동기 및 그 결과를 고려하여 일정기간 수요예측 등 참여 제재(미청약, 미납입과 의무보유 확약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기준을 분리, 적용) |
적용 대상 | 위반금액 | 수요예측 참여제한기간 | |
---|---|---|---|
정의 | 규모 | ||
미청약ㆍ미납입 | 미청약ㆍ미납입 주식수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5천만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24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의무보유 확약위반 | 의무보유 확약위반 주식수 주1)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 초과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 (참여제한 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 정보 허위 작성ㆍ제출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법 제11조 위반 대리청약 | 대리청약 처분이익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투자일임회사등 수요예측등 참여조건 위반 | 신청한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미납입과 동일 (참여제한기간 상한 : 6개월) | |
벤처기업투자신탁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환매금지 위반 | 12개월 X 환매비율 주2)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기타 인수질서 문란행위 | 6개월 이내 금지 |
주1) | 의무보유 확약위반 주식수: 의무보유확약 주식수와 의무보유확약 기간 중 보유주식수가 가장 적은 날의 주식수와의 차이 | |||||||||||||||||||||||||||||||||||||||||||||||||||||||||||||
주2)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 환매비율: 환매금액 누계/(설정액 누계 - 환매외 출금액 누계) | |||||||||||||||||||||||||||||||||||||||||||||||||||||||||||||
주3) |
가중:
|
|||||||||||||||||||||||||||||||||||||||||||||||||||||||||||||
주4) |
감면:
|
|||||||||||||||||||||||||||||||||||||||||||||||||||||||||||||
주5) |
제재 규모 산정 방법:
|
|||||||||||||||||||||||||||||||||||||||||||||||||||||||||||||
주6) |
가중ㆍ감경 사유가 경합된 때에는 가중 적용 후 감경을 적용(다만, 주4)의 감면 2)에 따른 감경은 다른 가중·감경 보다 우선 적용)하고 감경적용 후 월 단위 미만의 참여제한기간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
|||||||||||||||||||||||||||||||||||||||||||||||||||||||||||||
주7)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를 같은 날에 개최되는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경우 참여제한기간이 가장 긴 기간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기준으로 가중을 적용하고 해당 사유 발생일은 최근일을 기준으로 함 | |||||||||||||||||||||||||||||||||||||||||||||||||||||||||||||
주8)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 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에 대하여 일부 건에 대한 제재를 위원회에서 의결하고, 해당 의결일 이전에 발생한 나머지 건에 대한 제재를 이후에 의결하는 경우 제재의 합은 주7)의 기준에 따라 산정된 제재와 동일하여야 함 |
(3) 수요예측 대상 주식에 관한 사항
구분 | 주식수 | 비율 | 비고 |
---|---|---|---|
기관투자자 | 1,470,000주 | 73.5%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
주2) | 상기 비율은 총 공모주식수(2,0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500,000주(25.0%) 및 우리사주조합 배정분 30,000주는 수요예측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중략]
(13) 수요예측 결과
(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건, 주) |
구 분 | 국내 기관투자자 | 해외 기관투자자 | 합 계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거래실적 유 주)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30 | 363 | 302 | 401 | 42 | 243 | 944 | 81 | 38 | 2,444 |
수량 | 41,489,000 | 388,777,000 | 142,692,000 | 274,529,000 | 58,641,000 | 36,777,000 | 551,192,000 | 52,068,000 | 52,663,000 | 1,598,828,000 |
경쟁률 | 28.2 | 264.5 | 97.1 | 186.8 | 39.9 | 25.0 | 375.0 | 35.4 | 35.8 | 1087.6 |
주)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
공모 | 사모 | 거래실적 유 주1)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 상단 초과 | 1 | 643,000 | 24 | 24,227,000 | 26 | 12,972,000 | 12 | 6,790,000 | 9 | 13,230,000 | 11 | 1,839,000 | 48 | 32,727,000 | 16 | 23,050,000 | 18 | 7,817,000 | 165 | 123,295,000 |
밴드 상단 | 26 | 36,436,000 | 333 | 359,166,000 | 276 | 129,720,000 | 383 | 260,744,000 | 33 | 45,411,000 | 232 | 34,938,000 | 889 | 513,540,000 | 22 | 29,613,000 | 63 | 44,251,000 | 2,257 | 1,453,819,000 |
밴드 상위 75% 초과 ~ 100%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 ~ 7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 초과 ~ 5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초과 ~ 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이상 ~ 중간값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50% 이상 ~ 25%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75% 이상 ~ 50%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100% 초과 ~ 75%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단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제시 | 3 | 4,410,000 | 6 | 5,384,000 | - | - | 6 | 6,995,000 | - | - | - | - | 7 | 4,925,000 | - | - | - | - | 22 | 21,714,000 |
합계 | 30 | 41,489,000 | 363 | 388,777,000 | 302 | 142,692,000 | 401 | 274,529,000 | 42 | 58,641,000 | 243 | 36,777,000 | 944 | 551,192,000 | 38 | 52,663,000 | 81 | 52,068,000 | 2,444 | 1,598,828,000 |
주1)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기관투자자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과거 양식으로 작성한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건, 주) |
구분 | 참여건수 기준 | 신청수량 기준 | ||
참여건수(건) | 비율 | 신청수량(주) | 비율 | |
가격 미제시 | 22 | 0.9% | 21,714,000 | 1.4% |
14,000원(상단) 초과 | 165 | 6.8% | 123,295,000 | 7.7% |
14,000원(상단) | 2,257 | 92.3% | 1,453,819,000 | 90.9% |
합계 | 2,444 | 100.0% | 1,598,828,000 | 100.0% |
(다) 의무보유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내역
구분 | 운용사(집합) 공모 | 운용사(집합) 사모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 기타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15일 확약 | - | - | - | 9 | 9,722,000 | 14,000 | 7 | 4,316,000 | 14,286 | 8 | 3,045,000 | 14,000 | 4 | 5880000 | 14,500 | 5 | 297,000 | 14,000 | 23 | 18,934,000 | 14,087 |
1개월 확약 | - | - | - | 8 | 7,408,000 | 14,125 | 8 | 2,425,000 | 14,500 | 4 | 3,246,000 | 14,000 | 5 | 7350000 | 15,200 | 4 | 448,000 | 14,250 | 22 | 10,511,000 | 14,045 |
3개월 확약 | - | - | - | 15 | 16,217,000 | 16,700 | 2 | 660,000 | 14,000 | 1 | 27,000 | 18,000 | - | - | - | 1 | 15,000 | 14,000 | 38 | 28,791,000 | 16,447 |
6개월 확약 | 1 | 1,470,000 | 14,000 | 3 | 3,384,000 | 14,000 | 2 | 349,000 | 14,000 | 4 | 4,051,000 | 14,250 | - | - | - | 4 | 1,287,000 | 14,250 | 13 | 10,862,000 | 14,154 |
미확약 | 29 | 40,019,000 | 14,138 | 328 | 352,046,000 | 14,096 | 283 | 134,942,000 | 19,298 | 384 | 264,160,000 | 14,076 | 33 | 45,411,000 | 14,103 | 229 | 34,730,000 | 14,121 | 848 | 482,094,000 | 14,058 |
합 계 | 30 | 41,489,000 | 14,133 | 363 | 388,777,000 | 14,201 | 302 | 142,692,000 | 18,984 | 401 | 274,529,000 | 14,085 | 42 | 58,641,000 | 14,271 | 243 | 36,777,000 | 14,122 | 944 | 551,192,000 | 14,156 |
구분 | 외국 기관투자자(거래실적 유) 주) | 외국 기관투자자(거래실적 무) | 합계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개월 확약 | 1 | 47,000 | 14,500 | 3 | 4,410,000 | 15,000 | 60 | 46,651,000 | 14,158 |
3개월 확약 | - | - | - | 14 | 20,110,000 | 16,785 | 65 | 51,498,000 | 14,800 |
1개월 확약 | - | - | - | 19 | 2,7930,000 | 14,000 | 76 | 73,640,000 | 15,809 |
15일 확약 | - | - | - | - | - | - | 27 | 21,403,000 | 14,148 |
미확약 | 80 | 52,021,000 | 32,696 | 2 | 213,000 | 14,000 | 2,216 | 1,405,636,000 | 15,417 |
합 계 | 81 | 52,068,000 | 32,472 | 38 | 52,663,000 | 15,105 | 2,444 | 1,598,828,000 | 15,368 |
주)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라) 주당 확정 공모가액의 결정
상기와 같은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뉴로핏㈜과 대표주관회사가 합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4,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1주당 확정공모가액 14,000원 이상 가격 제시자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4)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2,0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1,400원 주1) | |
확정가액 | -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22,800,000,0000원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주2) | ||
청약기일주3) | 우리사주조합 | 개시일 | 2025년 07월 15일(화) |
종료일 | 2025년 07월 15일(화) | ||
기관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7월 15일(화) | |
종료일 | 2025년 07월 16일(수) | ||
일반청약자 | 개시일 | 2025년 07월 15일(화) | |
종료일 | 2025년 07월 16일(수) | ||
청약증거금주4) | 기관투자자 | 0% | |
일반청약자 | 50% | ||
납 입 기 일 | 2025년 7월 18일(금) |
주1) | 주당 모집 또는 매출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발행회사인 뉴로핏㈜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입니다.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뉴로핏㈜이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2) |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본·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5)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10) 대표주관회사 미래에셋증권㈜의 수요예측 기준, 절차 및 배정방법』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청약기일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4) | 청약증거금① 우리사주조합과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③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7월 18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는 경우 청약처를 통하여 추가납입을 하여야 하며,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그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체결한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한 인수비율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초과청약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금납입기일(2025년 07월 18일)에 반환하며,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우선청약 및 추가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7월 18일 08:00 ~ 13:00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① 기관투자자 : 미래에셋증권㈜ 본ㆍ지점② 일반청약자 : 미래에셋증권㈜ 본ㆍ지점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 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되지 않으며,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나. 모집 또는 매출의 절차(1) 공고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일 자 | 신 문 |
---|---|---|
수요예측 안내공고 | 2025년 07월 04일(금) | 인터넷 공고 (주1) |
모집(매출)가액 확정공고 | 2025년 07월 14일(월) | 인터넷 공고 (주2) |
청약공고 | 2025년 07월 15일(화) | 인터넷 공고 |
배정공고 | 2025년 07월 18일(금) | 인터넷 공고 (주3)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07월 04일(금) 대 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모집(매출)가액 확정공고는 2025년 07월 14일(월) 정 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함으로써 갈음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securities.miraeasset.com)에 게시합니다. |
주3) |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공고는 2025년 07월 18일 (금) 대표 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 의 홈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4)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2025년 07월 18일(금)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단,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7월 17일(목)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참고로 상기의 납입일 2025년 07월 18일(금) 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일자임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5)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청약방법(1) 청약의 개요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 일반청약자의 청약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은 불가합니다.※ 청약사무취급처: 미래에셋증권㈜,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청약사무취급처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합니다.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 참가 자격] |
구분 | 청약한도 |
배정 비율 |
자격요건 | 증거금율 | 청약수수료 |
---|---|---|---|---|---|
우대 | 200% | 100% | 온라인 매체 청약(HTS, MTS, Web, ARS) | 50% | 0원(단, Bronze 등급 2,000원) |
일반 | 100% | 영업점 청약(내점/유선) | 50% | 건당 5,000원 | |
제한사항 | 청약 기간 내 영업점 창구 개설 계좌 청약 불가※ 비대면, 은행다이렉트, 온라인 개설 계좌 청약 (온라인/내점/유선) 가능 |
주1) | 고객센터를 통한 유선 청약은 영업점 청약과 동일합니다. |
주2) | 서비스 등급 Diamond, Platinum에 한하여 영업점 청약 시 우대 반영합니다. |
주3) | 개인, 법인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
주4) | 비대면, 은행다이렉트 개설 불가 요건: 대리인, 미성년자, 재외국인, 외국인, 법인계좌 개설 불가 |
주5) | 온라인 개설: 당사에 보유한 기존 계좌정보를 근거로 개설 가능 |
주6) | 청약수수료: 청약 증거금 환불 시 징수함 |
주7) | 청약증거금이 최종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청약수수료 면제됩니다. |
주8) | 청약 미배정 시 청약수수료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
주9) | 청약수수료는 청약시점의 서비스 등급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일반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 의 각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물량, 최고 청약한도, 청약증거금 및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미래에셋증권㈜ | 500,000주~ 600,000주 | 주) | 50% |
주) |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50,000주 ~ 60,000주 (200%)□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25,000주 ~ 30,000주 (100%)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4)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래에셋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2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25,000주 이하 | 1,000주 |
25,000주 초과 | 2,500주 |
(5)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에 대하여 청약일인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08:00 ~ 16: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대표주관회사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청약의사를 표시(청약증거금율 0%)하여야 하며,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인 2025년 07월 18일(금) 08:00 ~ 13: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미래에셋증권㈜의 본ㆍ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미래에셋증권㈜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의 청약방법】 |
① 홈페이지 접속: 'securities.miraeasset.com' 접속 → 뱅킹 → 뱅킹/대출/청약 → 청약 → 기관청약 → 청약신청② Log in: 사업자등록번호, 미래에셋증권㈜ 위탁계좌번호 및 동계좌의 비밀번호 입력(단, 배정받을 시 해당 주식의 입고를 희망하는 계좌번호로 Log in을 하시기 바랍니다.)③ 납입방법(미래에셋증권㈜ 입금계좌, 청약수량, 청약금액, 청약수수료, 납입금액, 기관투자자의 출금은행(또는 수탁회사), 수탁회사의 납입담당자, 납입담당자 연락처) 입력 |
또한,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납입 전까지 기관투자자는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배정합니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기관투자자의 추가 청약수요예측에 참가한 기관투자자 중 기관투자자의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수요예측 결과 배정받은 물량을 초과하여 청약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범위 내에서 추가 청약이 가능합니다.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또한,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납입일 전까지 기관투자자는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7) 청약이 제한되는 자
아래『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4호 및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8) 기타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총 공모주식의 1.5% (30,000주)를 배정합니다.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68.5% ~ 73.5%(1,370,000주 ~ 1,470,000주)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 ~ 30%( 500,000주 ~ 600,000주)를 배정합니다④ 상기 ①, ②, ③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합니다.⑤ 단,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와 뉴로핏㈜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③ 금번 IPO는 일반청약자에게 500,000주 ~ 600,000주를 배정할 예정으로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50,000주 ~ 300,000주 이상이며, 균등방식의 세부 방법은 일괄청약방식입니다.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청약자 배정은 전부 비례방식으로 배정이 이루어집니다.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인수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⑤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까지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⑥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숫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숫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청약등급 등을 고려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 후 배정받은 물량 범위 내에서 우선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추가납입의 기한 및 추가납입 미이행 물량의 처리 방식에 대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절차는 하기와 같습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미래에셋증권: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7월 18일(금)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7월 17일(목) 오후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3) 배정결과의 통지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각 청약자에 대한 배정내용 및 초과청약금의 환불 또는 미달청약금에 대한 추가납입은 2025년 07월 18일(금)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https://securities.miraeasset.com/)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기관투자자등의 경우에는 수요예측을 통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내역과 청약내역이 다른 경우에 한하여 개별통지합니다.
[후략](주4)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 목 | 내 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2,0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1,400원 | |
확정가액 | 14,000원 주1)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28,000,000,000원 | |
확정가액 | - | ||
청 약 단 위 | 주2) | ||
청약기일 주3) | 우리사주조합 | 개시일 | 2025년 07월 15일(화) |
종료일 | 2025년 07월 15일(화) | ||
기관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7월 15일(화) | |
종료일 | 2025년 07월 16일(수) | ||
일반청약자 | 개시일 | 2025년 07월 15일(화) | |
종료일 | 2025년 07월 16일(수) | ||
청약 증거금 주4) | 기관투자자 | 0% | |
일반청약자 | 50% | ||
납 입 기 일 | 2025년 7월 18일(금) |
주1) | 주당 모집 또는 매출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발행회사인 뉴로핏㈜이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14,000원 기준 입니다.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가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 동 수요예측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뉴로핏㈜이 협의하여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14,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
주2) |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본·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5)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세부적인 내용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10) 대표주관회사 미래에셋증권㈜의 수요예측 기준, 절차 및 배정방법』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청약기일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의 경우 납입 이전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4) | 청약증거금 ① 우리사주조합과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 ② 기관투자자의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7월 18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는 경우 청약처를 통하여 추가납입을 하여야 하며,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그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체결한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한 인수비율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초과청약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금납입기일(2025년 07월 18일)에 반환하며,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우선청약 및 추가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7월 18일 08:00 ~ 13:00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미래에셋증권㈜ 본ㆍ지점 ② 일반청약자 : 미래에셋증권㈜ 본ㆍ지점 |
주6) | 분산요건 미 충족 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 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상장을 못할 경우,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되지 않으며,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나. 모집 또는 매출의 절차 (1) 공고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일 자 | 신 문 |
---|---|---|
수요예측 안내공고 | 2025년 07월 04일(금) | 인터넷 공고 (주1) |
모집(매출)가액 확정공고 | 2025년 07월 14일(월) | 인터넷 공고 (주2) |
청약공고 | 2025년 07월 15일(화) | 인터넷 공고 |
배정공고 | 2025년 07월 18일(금) | 인터넷 공고 (주3)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07월 04일(금) 대 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모집(매출)가액 확정공고는 2025년 07월 14일(월) 정 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함으로써 갈음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securities.miraeasset.com)에 게시합니다. |
주3) |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공고는 2025년 07월 18일 (금) 대표 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 의 홈페이지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4)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2025년 07월 18일(금)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7월 17일(목)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참고로 상기의 납입일 2025년 07월 18일(금) 은 공모청약자금이 발행회사로 납입되는 일자임에 유념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5)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3. 공모가격 결정방법』-『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청약방법 (1) 청약의 개요 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 일반청약자의 청약 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은 불가합니다. ※ 청약사무취급처: 미래에셋증권㈜,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청약사무취급처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합니다.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 참가 자격] |
구분 | 청약 한도 |
배정 비율 |
자격요건 | 증거금율 | 청약수수료 |
---|---|---|---|---|---|
우대 | 200% | 100% | 온라인 매체 청약 (HTS, MTS, Web, ARS) | 50% | 0원 (단, Bronze 등급 2,000원) |
일반 | 100% | 영업점 청약 (내점/유선) | 50% | 건당 5,000원 | |
제한사항 | 청약 기간 내 영업점 창구 개설 계좌 청약 불가 ※ 비대면, 은행다이렉트, 온라인 개설 계좌 청약 (온라인/내점/유선) 가능 |
주1) | 고객센터를 통한 유선 청약은 영업점 청약과 동일합니다. |
주2) | 서비스 등급 Diamond, Platinum에 한하여 영업점 청약 시 우대 반영합니다. |
주3) | 개인, 법인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
주4) | 비대면, 은행다이렉트 개설 불가 요건: 대리인, 미성년자, 재외국인, 외국인, 법인계좌 개설 불가 |
주5) | 온라인 개설: 당사에 보유한 기존 계좌정보를 근거로 개설 가능 |
주6) | 청약수수료: 청약 증거금 환불 시 징수함 |
주7) | 청약증거금이 최종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청약수수료 면제됩니다. |
주8) | 청약 미배정 시 청약수수료는 부과되지 않습니다. |
주9) | 청약수수료는 청약시점의 서비스 등급 기준으로 부과됩니다. |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일반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 의 각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물량, 최고 청약한도, 청약증거금 및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미래에셋증권㈜ | 500,000주 | 주) | 50% |
주) | 미래에셋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50,000주 (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25,000주 (100%) 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4)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미래에셋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2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25,000주 이하 | 1,000주 |
25,000주 초과 | 2,500주 |
(5)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에 대하여 청약일인 2025년 07월 15일(화) ~ 2025년 07월 16일(수) 08:00 ~ 16: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대표주관회사 미래에셋증권㈜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청약의사를 표시(청약증거금율 0%)하여야 하며,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인 2025년 07월 18일(금) 08:00 ~ 13: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미래에셋증권㈜의 본ㆍ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미래에셋증권㈜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의 청약방법】 |
① 홈페이지 접속: 'securities.miraeasset.com' 접속 → 뱅킹 → 뱅킹/대출/청약 → 청약 → 기관청약 → 청약신청 ② Log in: 사업자등록번호, 미래에셋증권㈜ 위탁계좌번호 및 동계좌의 비밀번호 입력 (단, 배정받을 시 해당 주식의 입고를 희망하는 계좌번호로 Log in을 하시기 바랍니다.) ③ 납입방법(미래에셋증권㈜ 입금계좌, 청약수량, 청약금액, 청약수수료, 납입금액, 기관투자자의 출금은행(또는 수탁회사), 수탁회사의 납입담당자, 납입담당자 연락처) 입력 |
또한,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납입 전까지 기관투자자는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배정합니다. ※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기관투자자의 추가 청약 수요예측에 참가한 기관투자자 중 기관투자자의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수요예측 결과 배정받은 물량을 초과하여 청약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범위 내에서 추가 청약이 가능합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납입일 전까지 기관투자자는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7) 청약이 제한되는 자
아래『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4호 및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8) 기타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총 공모주식의 1.5% (30,000주)를 배정합니다. 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3.5%(1,470,000주)를 배정합니다. 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500,000주) 를 배정합니다 ④ 상기 ①, ②, ③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합니다. ⑤ 단,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에 용역을 제공하거나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와 뉴로핏㈜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③ 금번 IPO는 일반청약자에게 500,000주를 배정할 예정으로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50,000주 이상이며, 균등방식의 세부 방법은 일괄청약방식입니다.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청약자 배정은 전부 비례방식으로 배정이 이루어집니다. 배정 후 잔여주식이 발생하는 경우 인수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이를 인수하거나, 추첨 등 합리적인 방식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⑤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다만,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까지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⑥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숫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숫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청약등급 등을 고려하여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 후 배정받은 물량 범위 내에서 우선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추가납입의 기한 및 추가납입 미이행 물량의 처리 방식에 대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절차는 하기와 같습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미래에셋증권: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2025년 07월 18일(금)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7월 17일(목) 오후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3) 배정결과의 통지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각 청약자에 대한 배정내용 및 초과청약금의 환불 또는 미달청약금에 대한 추가납입은 2025년 07월 18일(금) 대 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의 홈페이지(https://securities.miraeasset.com/)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기관투자자등의 경우에는 수요예측을 통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내역과 청약내역이 다른 경우에 한하여 개별통지합니다.
[후략] (주5) 정정 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총액인수】 | (단위: 원) |
인수인 | 인수주식의종류 및 수량 | 인수금액 | 인수조건 | ||
---|---|---|---|---|---|
구분 | 명칭 | 주소 | |||
대표주관회사 | 미래에셋증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 | 기명식 보통주2,000,000주(100.0%) | 22,80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 기준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수료 제외) | 미래에셋증권 | 1,026,000,000 | 인수금액 4.5% | 납입 이후 5영업일이내 | 인수계약서참조 | - | - | 주1)주3)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성과수수료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인 11,4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주3) | 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 주관사 의무인수분 60,000주에 대한 수수료 4.5%를 적용한 총 기본 인수수수료는 1,056,780,000원 입니다.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뉴로핏㈜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하는 주식의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 고 |
미래에셋증권㈜ 상장주선인의의무인수분 | 보통주 | 60,000주 | 684,00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의무인수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
주2) | 상기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발행회사인 뉴로핏㈜과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1,400원 ~ 14,000원의 최저가액인 11,400원 기준입니다. |
주3)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60,0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1.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
[후략](주5)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총액인수】 | (단위: 원)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 수량 | 인수금액 | 인수 조건 | ||
---|---|---|---|---|---|
구분 | 명칭 | 주소 | |||
대표주관회사 | 미래에셋증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 | 기명식 보통주 2,000,000주(100.0%) | 28,00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수료 제외) | 미래에셋증권 | 1,297,800,000 | 인수금액 4.5% | 납입 이후 5영업일 이내 | 인수계약서참조 | - | - | 주1)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성과수수료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뉴로핏㈜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하는 주식의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 고 |
미래에셋증권㈜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 | 보통주 | 60,000주 | 840,00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의무인수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
주2) | 상기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발행회사인 뉴로핏㈜과 협의하여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입니다. |
주3)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60,000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관련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
제13조(상장주선인의 의무) ⑤상장주선인은 상장예비심사신청 이후 신규상장신청일까지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수량의 상장신청인의 주식을 모집·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기간까지 보유하여야 한다. 이 경우 주식의 취득 방법과 취득 수량의 산정기준 등은 세칙으로 정한다. 1.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국내소재외국지주회사를 제외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라 의무보유할 것 가.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25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25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6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다만, 제31조제1항제3호마목 또는 바목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의 경우에는 해당 수량을 상장일부터 1년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하고, 상장일부터 6개월이 경과하면 매 1개월마다 최초에 취득한 주식의 100분의 5에 해당하는 수량까지 매각할 수 있다. 나. 가목 이외의 국내기업: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으로 한다)을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할 것 |
[후략] (주6) 정정 전
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관련 위험 당사는 딥러닝 기반의 뇌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뇌질환의 진단, 치료설계, 치료 의료기기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위해 설립 초기부터 수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재무안전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연구개발비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동안 타 산업 대비 막대한 자금 소요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최근 3개년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유동비율 107.39%, 부채비율 378.52%, 당좌비율 107.26%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종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3년말 누적 결손금의 경우 (-)40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전환상환우선주의 부채인식에 따라 2023년과 2024년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2025년 1분기에 완료되어 자본으로 재분류 됨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 수치는 개선되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하여 22,398백만원(공모가 11,400원 기준)의 현금이 유입되고, 2025년 Neurophet AQUA AD 영업수익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해외매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영업현금흐름이 과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어 추가적인 재무안정성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추후 자본 확충 계획 및 사업적인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을 고려하더라도 현재 당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사유로 인한 자금 소요, 수익성 악화, 이에 다른 추가 차입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는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딥러닝 기반의 뇌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뇌질환의 진단, 치료설계, 치료 의료기기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위해 설립 초기부터 수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재무안전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재무안전성 관련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3개년 안전성 지표] |
재무비율 |
2021년도 (제6기) |
2022년도 (제7기) |
2023년도 (제8기) |
2024년도 (제9기) |
2025년 (제10기 1분기) |
|
---|---|---|---|---|---|---|
회사 | 평균 | |||||
유동비율 | 3,174.14% | 1,555.95% | 48.66% | 152.13% | 11.52% | 107.39% |
부채비율 | 2.94% | 5.66% | n/a | 83.25% | n/a | 378.52% |
자본잠식율 | n/a | n/a | 100.00% | n/a | 100.00% | n/a |
이자보상배율 | n/a | n/a | n/a | 46.38 | n/a | n/a |
당좌비율 | 3,126.21% | 1,501.71% | 48.42% | 147.72% | 11.50% | 107.26% |
출처: 당사 제공 |
주) 업종평균 회전율은 한국은행에서 2024년 11월 발표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 자료 중 J58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평균임. 주2) 최근 2023년과 및 2024년 완전자본잠식 상태로 부채비율을 산출하지 아니하였습니다 |
당사는 2019년 60억원, 2020년 30억원, 2021년 190억원, 2023년 204억원의 지속적인 유상증자를 통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으나 2025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유동비율 107.39%, 부채비율 378.52%, 당좌비율 107.26%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종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3년말 누적 결손금의 경우 (-)40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전환상환우선주의 부채인식에 따라 2023년과 2024년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2025년 1분기에 완료되어 자본으로 재분류 됨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 수치는 개선되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하여 22,398백만원(공모가 11,400원 기준)이 유입되고 2025년 Neurophet AQUA AD 영업수익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해외매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영업현금흐름이 과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어 추가적인 재무안정성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추후 자본 확충 계획 및 사업적인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을 고려하더라도 현재 당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사유로 인한 자금 소요, 수익성 악화, 이에 다른 추가 차입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는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주6) 정정 후
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관련 위험 당사는 딥러닝 기반의 뇌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뇌질환의 진단, 치료설계, 치료 의료기기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위해 설립 초기부터 수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재무안전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연구개발비로 인해 적자가 누적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업은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 절차 진행 과정이 필요하며, 제품 개발기간 동안 타 산업 대비 막대한 자금 소요와 시간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최근 3개년 영업손실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025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유동비율 107.39%, 부채비율 378.52%, 당좌비율 107.26%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종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3년말 누적 결손금의 경우 (-)40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전환상환우선주의 부채인식에 따라 2023년과 2024년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2025년 1분기에 완료되어 자본으로 재분류 됨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 수치는 개선되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하여 27,482백만원(공모가 14,000원 기준)의 현금이 유입되고, 2025년 Neurophet AQUA AD 영업수익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해외매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영업현금흐름이 과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어 추가적인 재무안정성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추후 자본 확충 계획 및 사업적인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을 고려하더라도 현재 당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사유로 인한 자금 소요, 수익성 악화, 이에 다른 추가 차입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는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딥러닝 기반의 뇌영상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뇌질환의 진단, 치료설계, 치료 의료기기 솔루션을 개발하는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활발한 연구개발을 위해 설립 초기부터 수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여 재무안전성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재무안전성 관련지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최근3개년 안전성 지표] |
재무비율 |
2021년도 (제6기) |
2022년도 (제7기) |
2023년도 (제8기) |
2024년도 (제9기) |
2025년 (제10기 1분기) |
|
---|---|---|---|---|---|---|
회사 | 평균 | |||||
유동비율 | 3,174.14% | 1,555.95% | 48.66% | 152.13% | 11.52% | 107.39% |
부채비율 | 2.94% | 5.66% | n/a | 83.25% | n/a | 378.52% |
자본잠식율 | n/a | n/a | 100.00% | n/a | 100.00% | n/a |
이자보상배율 | n/a | n/a | n/a | 46.38 | n/a | n/a |
당좌비율 | 3,126.21% | 1,501.71% | 48.42% | 147.72% | 11.50% | 107.26% |
출처: 당사 제공 |
주) 업종평균 회전율은 한국은행에서 2024년 11월 발표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 자료 중 J582.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평균임. 주2) 최근 2023년과 및 2024년 완전자본잠식 상태로 부채비율을 산출하지 아니하였습니다 |
당사는 2019년 60억원, 2020년 30억원, 2021년 190억원, 2023년 204억원의 지속적인 유상증자를 통하여 재무구조를 개선하고자 노력하였으나 2025년 1분기말 기준 당사는 유동비율 107.39%, 부채비율 378.52%, 당좌비율 107.26%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종업종 평균 대비 열위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2023년말 누적 결손금의 경우 (-)407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전환상환우선주의 부채인식에 따라 2023년과 2024년 완전자본잠식 상태를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2025년 1분기에 완료되어 자본으로 재분류 됨에 따라 당사의 재무안정성 수치는 개선되었습니다. 더불어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하여 27,482백만원(공모가 14,000원 기준)이 유입되고 2025년 Neurophet AQUA AD 영업수익 본격적으로 발생하고, 해외매출이 본격화됨에 따라 영업현금흐름이 과거 대비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어 추가적인 재무안정성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추후 자본 확충 계획 및 사업적인 성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날 것을 고려하더라도 현재 당사가 예상하지 못하는 사유로 인한 자금 소요, 수익성 악화, 이에 다른 추가 차입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 및 유동성 지표는 악화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금번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전
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불확실성 및 현금흐름 위험 당사는 사업 확대 추진 및 연구개발 투자로 인하여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업 및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최근 3개년 기준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부(-)의 금액을 나타냄에 따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결손금은 2022년 19,605백만원에서 2025년 1분기말 60,694백만원으로 더욱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3개년 간의 통상적인 영업활동현금흐름의 유출 규모(3개년 평균 9,839,502천원), 금번 공모자금이 유입되기 전 기준으로 향후 현금 부족으로 인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금번 공모자금으로 인해 약 22,378,332천원(공모가 11,400원 기준)의 현금이 신규로 유입될 예정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연구개발비를 포함한 운영자금 등에 사용되어 금번 공모 이후 유동성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공모자금 대비 부족한 자금 유입, 고객유지율 하락 등으로 이익률 개선이 지연되거나 현재 당사가 예측할 수 없는 사유로 현금흐름이 악화되어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 등 회사의 지속성에 대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투자에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 |
당사는 사업 확대 추진 및 연구개발 투자로 인하여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업 및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사업 특성상 관련 연구개발 진행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결손금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기술 경쟁력 제고, 시장 점유율 확대, 파트너사와의 전략적 제휴 관계를 통한 영업 확대 등의 전략으로 매출 확장과 동시에 고객 유지율을 높여 재무구조를 개선시켜나갈 예정입니다. 다만, 신규 경쟁사의 시장 진입, 영업 상황 악화 등 현재 당사가 예측할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고객 유지율이 하락될 경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위협을 받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 3개년 연구개발비와 기타판관비 추이]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영업수익 | 534 | 100.00% | 2,216 | 100.00% | 1,562 | 100.00% | 697 | 100.00% |
연구개발비용 | 1,517 | 284.08% | 5,987 | 270.17% | 5,648 | 361.59% | 3,817 | 547.63% |
기타 영업비용 | 3,612 | 676.40% | 10,878 | 490.88% | 7,678 | 491.55% | 5,516 | 791.39% |
영업이익 | (4,595) | -860.49% | -14,649 | -661.06% | (11,764) | -753.14% | (8,636) | -1239.02% |
당기순이익 | (4,834) | -905.13% | -15,101 | -681.41% | 5,263 | 336.90% | (8,449) | -1211.48% |
출처: 당사 제공 | |
주1) | 비중은 영업수익 대비 산출함. |
주2) | 연구개발비용은 총 연구개발비용에서 정부보조금을 제한 금액으로 작성 |
당사는 최근 3개년 기준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부(-)의 금액을 나타냄에 따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결손금은 2022년 19,605백만원에서 2025년 1분기말 60,694백만원으로 더욱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한편, 당사의 유동자산은 2025년 1분기 말 기준 7,992백만원이며 현금및현금성자산 1,721백만원 및 단기금융상품 5,000백만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최근 3개년 재무상태 현황 ]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GAAP |
[유동자산] | 7,992,830 | 6,887,802 | 19,545,366 | 9,142,373 |
현금및현금성자산 | 1,721,963 | 3,017,366 | 6,669,274 | 1,823,898 |
[비유동자산] | 2,764,482 | 2,972,448 | 3,591,959 | 1,834,296 |
자산총계 | 10,757,312 | 9,860,249 | 23,137,325 | 10,976,669 |
[유동부채] | 7,442,545 | 59,775,946 | 40,169,818 | 587,575 |
단기차입금 | - | - | - | - |
[비유동부채] | 1,066,724 | 1,281,300 | 19,615,368 | - |
부채총계 | 8,509,269 | 61,057,246 | 59,785,186 | 587,575 |
[자본금] | 9,416,035 | 3,691,077 | 3,691,077 | 176,486 |
[자본잉여금] | 52,477,143 | 105,014 | 105,014 | 29,818,552 |
[기타자본항목] | 1,049,423 | 867,156 | 314,888 | |
[이월결손금(잉여금)] | (60,694,558) | (55,860,243) | (40,758,840) | (19,605,944) |
자본총계 | 2,248,043 | (51,196,997) | (36,647,861) | 10,389,094 |
출처: 당사 제공 |
당사는 상술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를 위하여 지속적인 영업 확대, 기술 고도화, 코스닥 시장 상장 추진 등의 대처방안을 통해 지속 가능한 영업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경상연구개발비 발생으로 인한 자금유출, 상장 후 자금 조달의 어려움, 영업 상황 악화 등으로 추가적인 자금 유입 및 이익률 개선이 지연될 경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3개년 간의 통상적인 영업활동현금흐름의 유출 규모(3개년 평균 9,839,502천원), 금번 공모자금이 유입되기 전 기준으로 향후 현금 부족으로 인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최근 3개년 요약 현금흐름표]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영업활동현금흐름 | (4,066,112) | (12,612,907) | (8,974,331) | (7,931,269) |
투자활동현금흐름 | (2,042,290) | 8,617,872 | (5,933,742) | 7,255,882 |
재무활동현금흐름 | 4,812,814 | 342,209 | 19,753,448 | 263,713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1,295,589) | (3,652,826) | 4,845,375 | (411,674)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3,017,366 | 6,669,274 | 1,823,898 | 2,235,573 |
환율변동효과 | 186 | 918 | - | -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1,721,963 | 3,017,366 | 6,669,274 | 1,823,898 |
금번 공모자금으로 인해 약 22,398 백만원(공모가 11,400원 기준)의 현금이 신규로 유입될 예정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연구개발비를 포함한 운영자금 등에 사용되어 금번 공모 이후 유동성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공모자금 대비 부족한 자금 유입, 고객유지율 하락 등으로 이익률 개선이 지연되거나 현재 당사가 예측할 수 없는 사유로 현금흐름이 악화되어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 등 회사의 지속성에 대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투자에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후
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 불확실성 및 현금흐름 위험 당사는 사업 확대 추진 및 연구개발 투자로 인하여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업 및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최근 3개년 기준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부(-)의 금액을 나타냄에 따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결손금은 2022년 19,605백만원에서 2025년 1분기말 60,694백만원으로 더욱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3개년 간의 통상적인 영업활동현금흐름의 유출 규모(3개년 평균 9,839,502천원), 금번 공모자금이 유입되기 전 기준으로 향후 현금 부족으로 인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금번 공모자금으로 인해 약 27,482백만원(공모가 14,000원 기준) 의 현금이 신규로 유입될 예정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연구개발비를 포함한 운영자금 등에 사용되어 금번 공모 이후 유동성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공모자금 대비 부족한 자금 유입, 고객유지율 하락 등으로 이익률 개선이 지연되거나 현재 당사가 예측할 수 없는 사유로 현금흐름이 악화되어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 등 회사의 지속성에 대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투자에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 |
당사는 사업 확대 추진 및 연구개발 투자로 인하여 지속적인 적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영업 및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사업 특성상 관련 연구개발 진행에 따른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결손금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당사는 기술 경쟁력 제고, 시장 점유율 확대, 파트너사와의 전략적 제휴 관계를 통한 영업 확대 등의 전략으로 매출 확장과 동시에 고객 유지율을 높여 재무구조를 개선시켜나갈 예정입니다. 다만, 신규 경쟁사의 시장 진입, 영업 상황 악화 등 현재 당사가 예측할 수 없는 사유로 인하여 고객 유지율이 하락될 경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위협을 받을 수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최근 3개년 연구개발비와 기타판관비 추이]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영업수익 | 534 | 100.00% | 2,216 | 100.00% | 1,562 | 100.00% | 697 | 100.00% |
연구개발비용 | 1,517 | 284.08% | 5,987 | 270.17% | 5,648 | 361.59% | 3,817 | 547.63% |
기타 영업비용 | 3,612 | 676.40% | 10,878 | 490.88% | 7,678 | 491.55% | 5,516 | 791.39% |
영업이익 | (4,595) | -860.49% | -14,649 | -661.06% | (11,764) | -753.14% | (8,636) | -1239.02% |
당기순이익 | (4,834) | -905.13% | -15,101 | -681.41% | 5,263 | 336.90% | (8,449) | -1211.48% |
출처: 당사 제공 | |
주1) | 비중은 영업수익 대비 산출함. |
주2) | 연구개발비용은 총 연구개발비용에서 정부보조금을 제한 금액으로 작성 |
당사는 최근 3개년 기준 지속적인 영업손실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부(-)의 금액을 나타냄에 따라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의 결손금은 2022년 19,605백만원에서 2025년 1분기말 60,694백만원으로 더욱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한편, 당사의 유동자산은 2025년 1분기 말 기준 7,992백만원이며 현금및현금성자산 1,721백만원 및 단기금융상품 5,000백만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최근 3개년 재무상태 현황 ]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GAAP |
[유동자산] | 7,992,830 | 6,887,802 | 19,545,366 | 9,142,373 |
현금및현금성자산 | 1,721,963 | 3,017,366 | 6,669,274 | 1,823,898 |
[비유동자산] | 2,764,482 | 2,972,448 | 3,591,959 | 1,834,296 |
자산총계 | 10,757,312 | 9,860,249 | 23,137,325 | 10,976,669 |
[유동부채] | 7,442,545 | 59,775,946 | 40,169,818 | 587,575 |
단기차입금 | - | - | - | - |
[비유동부채] | 1,066,724 | 1,281,300 | 19,615,368 | - |
부채총계 | 8,509,269 | 61,057,246 | 59,785,186 | 587,575 |
[자본금] | 9,416,035 | 3,691,077 | 3,691,077 | 176,486 |
[자본잉여금] | 52,477,143 | 105,014 | 105,014 | 29,818,552 |
[기타자본항목] | 1,049,423 | 867,156 | 314,888 | |
[이월결손금(잉여금)] | (60,694,558) | (55,860,243) | (40,758,840) | (19,605,944) |
자본총계 | 2,248,043 | (51,196,997) | (36,647,861) | 10,389,094 |
출처: 당사 제공 |
당사는 상술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 해소를 위하여 지속적인 영업 확대, 기술 고도화, 코스닥 시장 상장 추진 등의 대처방안을 통해 지속 가능한 영업환경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경상연구개발비 발생으로 인한 자금유출, 상장 후 자금 조달의 어려움, 영업 상황 악화 등으로 추가적인 자금 유입 및 이익률 개선이 지연될 경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3개년 간의 통상적인 영업활동현금흐름의 유출 규모(3개년 평균 9,839,502천원), 금번 공모자금이 유입되기 전 기준으로 향후 현금 부족으로 인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최근 3개년 요약 현금흐름표] |
(단위: 천원) |
구분 | 2025년(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영업활동현금흐름 | (4,066,112) | (12,612,907) | (8,974,331) | (7,931,269) |
투자활동현금흐름 | (2,042,290) | 8,617,872 | (5,933,742) | 7,255,882 |
재무활동현금흐름 | 4,812,814 | 342,209 | 19,753,448 | 263,713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1,295,589) | (3,652,826) | 4,845,375 | (411,674)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3,017,366 | 6,669,274 | 1,823,898 | 2,235,573 |
환율변동효과 | 186 | 918 | - | -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1,721,963 | 3,017,366 | 6,669,274 | 1,823,898 |
금번 공모자금으로 인해 약 27,482 백만원(공모가 14,000원 기준)의 현금이 신규로 유입될 예정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연구개발비를 포함한 운영자금 등에 사용되어 금번 공모 이후 유동성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사료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획된 공모자금 대비 부족한 자금 유입, 고객유지율 하락 등으로 이익률 개선이 지연되거나 현재 당사가 예측할 수 없는 사유로 현금흐름이 악화되어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감사의견 거절로 인한 상장폐지 가능성 등 회사의 지속성에 대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투자에 고려해주시기 바랍니다.
(주8) 정정 전
아. 최대주주 지분율 약화에 따른 경영권 변동 위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신청회사 최대주주등 지분율은 31.48%입니다. (김동현 공동대표이사 18.89%, 빈준길 공동대표이사 12.59%) 공모주식수 2,000,0000주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 수 60,000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공모 후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은 25.83%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FI 등에게 지분율이 분산되어 있으며, 두 공동대표이사간 대학 시절 및 창업 시절부터 함께해온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최대주주의 변경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적대적 M&A 및 외부의 경영권 취득 시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최대주주의 변경가능성 등에 의한 경영권의 안정성 저하 및 당사의 신뢰도 하락을 유발할 수 있는 등 당사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신청회사 최대주주등 지분율은 31.48%입니다. (김동현 공동대표이사 18.89%, 빈준길 공동대표이사 12.59%) 공모주식수 2,000,0000주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 수 60,000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공모 후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은 25.83%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FI 등에게 지분율이 분산되어 있고, 두 공동대표이사간 대학원 시절 및 창업 시절부터 함께해온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최대주주의 변경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적대적 M&A 및 외부의 경영권 취득 시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최대주주의 변경가능성 등에 의한 경영권의 안정성 저하 및 당사의 신뢰도 하락을 유발할 수 있는 등 당사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모 전/후 지분율 표 삽입]
성명 | 주식수 | 공모전 지분율 | 공모후 지분율(상장시 보통주 기준) | 공모후 지분율(CB 등 희석 가정) | 관계 |
---|---|---|---|---|---|
김동현 | 1,778,400 | 18.89% | 10.33% | 9.30% | 최대주주 본인 |
빈준길 | 1,185,600 | 12.59% | 15.50% | 13.95% | 등기임원, 사내이사 |
합계 | 2,964,000 | 31.48% | 25.83% | 23.25% | - |
주)공모후 지분율(CB 등 희석 가정)은 주식매수선택권(840,799주), 전환사채 전환권(431,031주) 희석 가정
(주8) 정정 후
아. 최대주주 지분율 약화에 따른 경영권 변동 위험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신청회사 최대주주등 지분율은 31.48%입니다. (김동현 공동대표이사 18.89%, 빈준길 공동대표이사 12.59%) 공모주식수 2,000,0000주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 수 60,000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공모 후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은 25.83%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FI 등에게 지분율이 분산되어 있으며, 두 공동대표이사간 대학 시절 및 창업 시절부터 함께해온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최대주주의 변경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적대적 M&A 및 외부의 경영권 취득 시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최대주주의 변경가능성 등에 의한 경영권의 안정성 저하 및 당사의 신뢰도 하락을 유발할 수 있는 등 당사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신청회사 최대주주등 지분율은 31.48%입니다. (김동현 공동대표이사 18.89%, 빈준길 공동대표이사 12.59%) 공모주식수 2,000,0000주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 수 60,000주를 기준으로 산정한 공모 후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은 25.83%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FI 등에게 지분율이 분산되어 있고, 두 공동대표이사간 대학원 시절 및 창업 시절부터 함께해온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았을 때 최대주주의 변경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적대적 M&A 및 외부의 경영권 취득 시도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최대주주의 변경가능성 등에 의한 경영권의 안정성 저하 및 당사의 신뢰도 하락을 유발할 수 있는 등 당사의 장기적인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공모 전/후 지분율 표 삽입]
성명 | 주식수 | 공모전 지분율 | 공모후 지분율(상장시 보통주 기준) | 공모후 지분율(CB 등 희석 가정) | 관계 |
---|---|---|---|---|---|
김동현 | 1,778,400 | 18.89% | 15.50% | 13.95% | 최대주주 본인 |
빈준길 | 1,185,600 | 12.59% | 10.33% | 9.30% | 등기임원, 사내이사 |
합계 | 2,964,000 | 31.48% | 25.83% | 23.25% | - |
주)공모후 지분율(CB 등 희석 가정)은 주식매수선택권(840,799주), 전환사채 전환권(431,031주) 희석 가정
(주9) 정정 전
자.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미래에셋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상장주선인이 인수하는 60,000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 미래에셋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내역]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후 의무보유기간 |
---|---|---|---|---|
미래에셋증권㈜ | 보통주 | 60,000주 | 684,000,000원 | 상장 후 3개월 |
주1) 상기 취득금액은 공모희망가액인 11,400원 ~14,000원 중 최저가액인 11,400원 기준입니다. |
주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
상장주선인이 사모의 방식으로 인수하는 60,000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9) 정정 후
자.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인 미래에셋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상장주선인이 인수하는 60,000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 미래에셋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내역]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후 의무보유기간 |
---|---|---|---|---|
미래에셋증권㈜ | 보통주 | 60,000주 | 840,000,000원 | 상장 후 3개월 |
주1) 상기 취득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입니다. |
주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의 상장주선인으로서 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라 위와 같이 발행된 추가 발행된 주식을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보유하여야 합니다. |
상장주선인이 사모의 방식으로 인수하는 60,000주는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한 이후 매도가 가능하게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 시장에 출회될 예정이며, 해당 기간동안 추가 유통물량 증가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주10) 정정 전 [중략]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뉴로핏㈜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
희망공모가액 | 11,400 원 ~ 14,0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뉴로핏㈜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뉴로핏㈜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와 발행회사인 뉴로핏㈜과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후략] (주10) 정정 후 [중략]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뉴로핏㈜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
희망공모가액 | 11,400 원 ~ 14,000원 |
확정 공모가액 | 14,000원 |
확정공모가액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뉴로핏㈜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뉴로핏㈜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1주당 14,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후략] (주11) 정정 전 [중략]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뉴로핏㈜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뉴로핏㈜의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분 | 내용 |
주당 평가가액 | 18,608 원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8.74% ~ 24.76%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1,400원 ~ 14,000원 |
확정 주당 공모가액 | 주1) |
주1)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
주2) |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뉴로핏㈜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38.74%~24.76%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뉴로핏㈜의 공모희망가액 할인율인 38.74% ~ 24.76% 는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술평가기업들의 평균 할인율인 38.89% ~ 26.09%과 하단은 유사, 상단은 조금 낮은 수준입니다. 뉴로핏㈜의 공모가액 산출을 위해 사용된 유사기업(비트컴퓨터, 이지케어텍)들은 의료정보시스템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속해있는 산업의 특성, 연혁, 라이프사이클 내 위치 등에 있어 뉴로핏㈜이 속해있는 산업인 뇌질환 특화 의료 AI 산업과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의료정보시스템은 진료기록의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에서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 병원 업무 전반의 전자문서화 및 디지털화를 주도하고 현재는 의료진의 진료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였으며 성숙기에 있는 산업입니다. 반면 뉴로핏이 속한 의료 AI사업, 그 중에서도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진단, 관련 치료제 부작용 검사, 치료효과 분석 등 서비스의 경우 2023년대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산업으로서 초기 단계에 속해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의 특성, 연혁, 라이프사이클 등 전반적으로 유사기업과 차이가 존재하며 훨씬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사기업 대비 현저히 높은 성장성을 반영하기 위해 해당 유사기업들이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배수에서 할인을 통상적인 수준 보다 낮은 수준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최종적으로 38.74% ~ 24.76%의 할인율을 적용하였습니다.
[후략] (주11) 정정 후 [중략]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뉴로핏㈜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뉴로핏㈜의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분 | 내용 |
주당 평가가액 | 18,608 원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8.74% ~ 24.76%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1,400원 ~ 14,000원 |
확정 주당공모가액 | 14,000원 |
확정 주당 공모가액 | 주1) |
주1)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14,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
주2) |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술성장기업의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은 뉴로핏㈜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하여 38.74%~24.76%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공모희망가액을 제시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뉴로핏㈜의 공모희망가액 할인율인 38.74% ~ 24.76% 는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기술평가기업들의 평균 할인율인 38.89% ~ 26.09%과 하단은 유사, 상단은 조금 낮은 수준입니다. 뉴로핏㈜의 공모가액 산출을 위해 사용된 유사기업(비트컴퓨터, 이지케어텍)들은 의료정보시스템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속해있는 산업의 특성, 연혁, 라이프사이클 내 위치 등에 있어 뉴로핏㈜이 속해있는 산업인 뇌질환 특화 의료 AI 산업과는 차이가 존재합니다. 의료정보시스템은 진료기록의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에서 시작하여 2000년대 초반 병원 업무 전반의 전자문서화 및 디지털화를 주도하고 현재는 의료진의 진료활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발전하였으며 성숙기에 있는 산업입니다. 반면 뉴로핏이 속한 의료 AI사업, 그 중에서도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알츠하이머 진단, 관련 치료제 부작용 검사, 치료효과 분석 등 서비스의 경우 2023년대 알츠하이머 치료제가 등장하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산업으로서 초기 단계에 속해 있습니다. 따라서 산업의 특성, 연혁, 라이프사이클 등 전반적으로 유사기업과 차이가 존재하며 훨씬 높은 성장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사기업 대비 현저히 높은 성장성을 반영하기 위해 해당 유사기업들이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배수에서 할인을 통상적인 수준 보다 낮은 수준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으며 이에 최종적으로 38.74% ~ 24.76%의 할인율을 적용하였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미래에셋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등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1주당 14,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후략] (주12)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22,80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684,000,000 |
발행제비용 (3) | 1,085,888,000 |
순수입금 [(1) + (2) - (3)] | 22,398,112,000 |
주1) | 상기 금액은 최저 희망공모가액 11,400원 기준이며, 추후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 산 근 거 |
---|---|---|
인수수수료 | 1,026,000,000 | 총 공모금액의 4.5% |
상장심사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등록세 | 8,240,000 | 자본금 증가액의 0.4% |
교육세 | 1,648,000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50,000,000 | IR비용, 회계법인용역비, 인쇄비, 광고비 등 |
합 계 | 1,085,888,000 | - |
주1) | 상기 금액은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11,400원 기준이며, 추후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위 인수 수수료는 주관사 의무인수분에 대한 인수수수료를 제외한 공모금액에 대한 이수수수료이며, 주관사 의무인수분 하단 기준 11,400원 기준 총 기본 인수수수료는1,056,780,000원 입니다. |
(주12)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단위: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 (1) | 28,00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 (2) | 840,000,000 |
발행제비용 (3) | 1,357,688,000 |
순수입금 [(1) + (2) - (3)] | 27,482,312,000 |
주1)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14,000원 기준이며, 추후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 산 근 거 |
---|---|---|
인수수수료 | 1,297,800,000 | 총 공모금액의 4.5% |
상장심사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상장수수료 | - | 규정 제2조 제1항 제39호 "기술성장기업"에 해당하여 면제 |
등록세 | 8,240,000 | 자본금 증가액의 0.4% |
교육세 | 1,648,000 | 등록세의 20% |
기타비용 | 50,000,000 | IR비용, 회계법인용역비, 인쇄비, 광고비 등 |
합 계 | 1,357,688,000 | - |
주1)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기준이며, 추후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3) 정정 전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 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하기 투자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 | 2025.05.29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19,639 | - | - | 2,759 | 22,398 |
주1) | 제품고도화와 신규제품개발에 따른 연구개발비용은 운영자금으로분류하였습니다. |
주2) | 영업채널확대와 마케팅강화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비용은 기타자금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주3) | 금번 공모 순수입금을 초과하는 자금은 자체 보유 현금을 통하여 집행할 계획에 있습니다.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을 납입 이후 자금사용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공모자금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25년 하반기 이후의 연구개발비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의 보유 기간동안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금융상품에 자금을 예치할 계획이며,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보통예금 계좌 등에 일시 예치하여 운용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최저 희망공모가액인 11,400원으 로 계산한 공모자금은 약 23,484백만원(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 포함) 입니다.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취득에 따른 유입금액 포함) 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약 22,398 백만원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고도화와 신규제품개발에 따른 연구개발비용으로 19,639백만원, 영업채널확대와 마케팅강화를 위한 비용으로 2,759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1) 연구개발 자금연구 개발에 필요한 인건비, 연구용 경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유지하기 위해 핵심 인력의 확보와 연구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개발 자금 사용 계획] |
(단위: 백만원) |
목 적 (주2) | 세부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합계 |
---|---|---|---|---|---|---|
- Neurophet AQUA 고도화 - Neurophet SCALE PET 고도화 - Neurophet AQUA AD 고도화 - SCALE MRA (뇌동맥류 검출 기술) 개발 - SCALE CTP (뇌관류 분석 기술) 개발- 뇌자극치료(뉴로모듈레이션) 솔루션 고도화 |
인건비 (주3) | 1,681 | 6,079 | 6,640 | 1,551 | 15,951 |
연구용경비 및 재료비 등 (주3) | 424 | 1,554 | 1,710 | - | 3,688 | |
합 계 | 2,105 | 7,633 | 8,350 | 1,551 | 19,639 |
(주1) | 해당 자금 사용 계획은 2025년 하반기부터 집행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주2) |
연구개발 목적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Neurophet AQUA 고도화AQUA의 경우 영상판독시 판된될수 있는 시각 평가의 자동화, 다발성 경화증의 기술개발 이외에는 대부분 진입국가의 판매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임상근거들을 주요하게 확보하는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현재 AQUA가 인허가되어 판매되고 있는 주요진입국가인 일본, 미국, 그리고 곧 사업확장이 예정되어있는 중국에 대하여 제품을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임상연구를 통하여 각 국가별로 수행하여 해당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진입국의 사업실적을 극대화 하려고 하며, 이와 병행하여 최근 개정된 다발셩 경화증의 진단기준을 대응하여 개정된 진단기준을 적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 할 계획입니다. 큰 방향으로 보면 아시아 국가인 일본과 미국은 뇌영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치매의심환자를 의료진이 대할 때 AQUA가 줄 수 있는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는 연구를 진행하려고 하며, 미국, 유럽 등에서는 큰 시장인 다발성 경화증의 개성된 기준을 개발하며, 이를 통한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Neurophet SCALE PET 고도화SCALE PET의 경우 Tau, FP-CIT PET에 대한 분석 도고화 및 이를 통한 유용성 근거 확보 등에 대하여 주요하게 연구개발할 계획입니다. Tau 영상 분석기술의 경우 자사가 내부적으로 개발한 일부 표준화 기술을 제품에 탑제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려고 하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근거확보 연구를 통하여 유럽 CE-MDR 획득을 수행하려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FP-CIT PET에 대한 검증, 기능확장에 대한 분석고도화를 수행하여 알츠하이머 병 영상 분석 이외에 다른 적응증(파킨슨)에 대해서도 비즈니스 확장을 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진행 할 계획입니다. - Neurophet AQUA AD 고도화AQUA AD의 경우 치매 DMT처방에 대한 대응 솔루션으로 국내외 몇 안되는 회사만이 해당 기술을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사는 이러한 경쟁상황에 대하여 전략적인 우위를 가져가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 고도화, 검증, 임상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우선 다수의 국가에 대한 허가사항을 부작용 모니터링에 더 적합하게 다양한 허가용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AQUA AD에서 분석하는 영상은 국가별로 세부 파라메터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모두 호환성있게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검증 및 기 개발 알고리즘 고도화를 수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검증 및 고도화는 국내외 다양한 국가의 KOL혹은 핵심 연구진들과 같이 진행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이를 통한 임상적인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또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환자군들이 미래적으로는 혈액 바이오마커로 스크리닝 되어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기 영상분석기술과 혈액바이오마커 기술을 조합하여 안정적인 스크리닝 기술을 정의하고 개발 할 계획입니다. - SCALE MRA (뇌동맥류 검출 기술) 개발SCALE MRA의 경우 한국 및 일본 에서 주요하게 비즈니스를 진행하려고 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 및 일본에서의 인허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주요하게 진행하려고 합니다. 한국의 경우 본격적인 임상시험은 25년 말부터 준비과정들이 진행될 것이며, 임상시험이 끝나고 난 뒤에는 의료기기 시판 후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한국에서의 임상 근거의 전부 혹은 일부를 이용하여 일본시장에 대한 인허가도 병행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당 제품 또한 각 진입국의 판매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검증 연구 및 임상유용성 연구들을 다수 출간할 계획입니다. - SCALE CTP (뇌관류 분석 기술) 개발SCALE CTP의 경우 현재 초기 버전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기기에 대한 호환성 개선 및, 신규기능의 개선에 집중하는 계획입니다. 현재 CT perfusion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기기 및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의료기기 시판후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기술 안정화를 위한 성능 개선점을 확인하여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MR perfusion 영상에 대한 신규 분석 기능을 개발하고, 이러한 제품의 기능들이 사용자(의로진) 관점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 편의성 관점의 제품 기술 개발을 추가적으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뇌자극치료(뉴로모듈레이션) 솔루션 고도화 뉴로모듈레이션 솔루션은 현재 혁신의료기술 선정(뇌졸중 상지 손가락기능 개선)이후 다양한 적응증 확장 및 기술도고화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첫번째로 기존의 적등증 확장을 위한 탐색/확증 임상시험을 계속해서 진행하려고 합니다. 자사는 연하장애, 의식장애,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탐색임상시험을 진행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뇌자극치료 솔루션의 적응증 향상을 실제적으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또한 치료설계를 위하여 영상 모달리티의 호환성 및 분석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개발을 진행하려고 하며, 마지막으로 치료기기 자 환자의 두피에 부착이 되어 치료가 진행되는 환자의 편의성 혹은 시술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착용 기구물을 개선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재택치료가 가능한 수준의 솔루션을 구축 할 계획입니다. |
||||||||||||||||||||||||||||||||||||||||||||||||||||||||||||||||||||||||||
(주3) |
대부분의 기술개발 및 연구에 대하여 자사 연구진이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연구개발시 진행하는 인력에 대한 인건비는 자사의 연구진에 대한 인건비 입니다. '인건비'의 경우 연구인력에 대한 급여와 퇴직급여로 사용할 계획입니다.'연구용경비 및 재료비 등'은 경상연구개발비 중 급여와 퇴직급여를 제외한 기타경상연구개발비 성격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기관(국내외 병원 및 국가연구소)와의 연구진행을 위한 연구용역비로 대부분 사용되며, 해외와의 연구의 경우 데이터 구매 업체를 통한 데이터 수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구매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2025연도의 경우 자금유입시점을 고려하여 2025년 연간 추정치의 30%를 적용하였고, 2028년도의 경우 자금조달액 사용 후 남은 자금을 연구인력에 대한 인건비(급여)로 사용할 계획입니다.연구개발인력의 연도별 추정 인원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상연구개발비는 ㉮연구직 급여, ㉯연구직 퇴직급여, ㉰기타경상연구개발비(컨설팅비용, 임상데이터 구매와 관리비용 등으로 구성됨)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습니다.
㉮ 연구직 급여의 추정은 '[연구직 연간 평균인원수] x [급여인상율 3%가 반영된 연도별 평균급여]'로직에 따라 산출되었습니다.㉯ 연구직 퇴직급여의 추정은 '[연구직군 급여] x [1/12]'로직에 따라 산출되었습니다.㉰ 기타경상연구개발비의 추정은 연간10% 상승률을 반영하여 산출되었습니다. |
(2) 영업 및 마케팅비용2025년 하반기부터 해외사업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영업망을 보유하고 있는 협력사 및 대리점과의 협력증진 및 마케팅활동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 영업 및 마케팅비용 사용 계획] |
(단위: 백만원) |
목 적 | 세부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계 |
---|---|---|---|---|---|
영업채널확대 | 국내 및 해외 협력사, 대리점 등 판매 및 기술지원 채널 확대 | 120 | 400 | 400 | 920 |
마케팅강화 | 국내외 영업을 위한 마케팅활동추진, 국내 및 해외 주요 Conference 참석 등 | 183 | 742 | 914 | 1,839 |
합 계 | 303 | 1,142 | 1,314 | 2,759 |
주1) | 해당 자금 사용 계획은 2025년 하반기부터 집행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3) 공모자금의 유입이 예상액을 하회할 경우의 계획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당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1,400원 ~ 14,000원 중 최저가액인 11,400원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금번 당사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확정공모가액이 현재 작성된 공모금액을 하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당사가 예상하는 수준보다 낮은 공모가액이 유입될 경우, 우선적으로 연구개발비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두 번째 우선순위로 영업 및 마케팅비용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와 별개로 향후 물가의 상승이나 환율의 변동, 경쟁 구도의 변화 등으로 연구개발비나, 운전자금이 당사가 증권신고서 제출 현재 예상한 금액을 초과하거나, 공모자금의 유입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자금이 필요할 경우, 현재 보유 중인 자금 및 추후 발생이 예상되는 영업현금흐름을 활용하여 충당할 계획입니다. 공모자금 납입 시점과 집행까지 일부 시간이 소요될 것을 감안하여, 실제 자금집행 전까지 안정성이 높은 단기금융상품 투자 및 금융기관에 자금을 예치할 예정입니다. 다. 공모자금 유입의 경제적 효과
유입된 공모자금은 연구개발 및 영업 및 마케팅활동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먼저 당사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196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여 기존 주요제품인 Neurophet AQUA, Neurophet SCALE PET 및 Neurophet AQUA AD의 고도화 그리고 SCALE MRA(뇌동맥류 검출 기술), SCALE CTP(뇌관류 분석 기술) 개발 및 뇌자극치료 솔루션(뉴로모듈레이션)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대표적으로 항아밀로이드 치료제의 핵심 개발사 중 하나인 글로벌 빅파마 등을 통해 확보된 대규모 ARIA 데이터셋을 통해 검증 및 고도화 추진하고 이를 통해 항아밀로이드 치료제 영상 분석 솔루션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며 이러한 고도화를 위해 연구개발비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향후 3년간 28억원을 투입하여 영업채널 확대, 해외마케팅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세계 헬스케어 시장에서 한국은 2%정도에 불과하며, 미국은 40~50%, 유럽 30%, 일본 10% 기타 국가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첨단기술의료기술과 치매 치료제 신약 개발은 글로벌제약사와 Scanner 회사들이 미국에 R&D센터를 두고 신기술, 신제품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에서는 제품 해외 인허가 획득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해외진출을 통하여 해외 시장 대상 제품 판매 확대와 글로벌 제약사/의료기기사 파트너쉽을 확대하여 당사 기술의 가치를 높여 사업성과로 연결하고자 합니다.
안정적이고 선제적인 연구 개발은 회사를 지속 성장시켜 나갈 것입니다. 의료AI분야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하여 지속성장을 해 나가는데 공모자금이 요긴하게 쓰일 것입니다. 그리고 국내 및 해외 마케팅활동은 매출 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라. 연도별 미사용 자금 운영계획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상기에 명시한 목적 및 계획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계획이며, 집행 전 자금 및 나머지 여유자금의 보유기간에는 제1금융권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현재 당사는 자금의 집행과 운용을 위임 전결 규정에 따라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자금 또한 동일한 내부 규정 및 통제 절차에 따라 집행 및 운용할 계획입니다.또한, 금번 공모자금의 사용 내역을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목적에 부합하게 집행되었는지 검토할 예정이며, 상장 후 공모자금의 사용에 대해서 분/반기보고서와 사업보고서에 내역을 상세하게 기재할 예정입니다.
(주13) 정정 후 가. 자금의 사용 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하기 투자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 | 2025.05.29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 | - | 24,723 | - | - | 2,759 | 27,482 |
주1) | 제품고도화와 신규제품개발에 따른 연구개발비용은 운영자금으로분류하였습니다. |
주2) | 영업채널확대와 마케팅강화를 위한 영업 및 마케팅비용은 기타자금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주3) | 금번 공모 순수입금을 초과하는 자금은 자체 보유 현금을 통하여 집행할 계획에 있습니다. |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을 납입 이후 자금사용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공모자금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25년 하반기 이후의 연구개발비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의 보유 기간동안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금융상품에 자금을 예치할 계획이며,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보통예금 계좌 등에 일시 예치하여 운용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으 로 계산한 공모자금은 약 28,840 백만원(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 포함) 입니다.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취득에 따른 유입금액 포함) 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약 27,482 백만원을 다음과 같이 사용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품고도화와 신규제품개발에 따른 연구개발비용으로 24,723 백만원, 영업채널확대와 마케팅강화를 위한 비용으로 2,759 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1) 연구개발 자금연구 개발에 필요한 인건비, 연구용 경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차별화된 기술력을 유지하기 위해 핵심 인력의 확보와 연구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주요 항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구개발 자금 사용 계획] |
(단위: 백만원) |
목 적 (주2) | 세부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2028년 | 합계 |
---|---|---|---|---|---|---|
- Neurophet AQUA 고도화 - Neurophet SCALE PET 고도화 - Neurophet AQUA AD 고도화 - SCALE MRA (뇌동맥류 검출 기술) 개발 - SCALE CTP (뇌관류 분석 기술) 개발- 뇌자극치료(뉴로모듈레이션) 솔루션 고도화 |
인건비 (주3) | 1,681 | 6,079 | 6,640 | 6,635 | 21,035 |
연구용경비 및 재료비 등 (주3) | 424 | 1,554 | 1,710 | - | 3,688 | |
합 계 | 2,105 | 7,633 | 8,350 | 6,635 | 24,723 |
(주1) | 해당 자금 사용 계획은 2025년 하반기부터 집행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
(주2) |
연구개발 목적별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Neurophet AQUA 고도화AQUA의 경우 영상판독시 판된될수 있는 시각 평가의 자동화, 다발성 경화증의 기술개발 이외에는 대부분 진입국가의 판매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임상근거들을 주요하게 확보하는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현재 AQUA가 인허가되어 판매되고 있는 주요진입국가인 일본, 미국, 그리고 곧 사업확장이 예정되어있는 중국에 대하여 제품을 사용할 때 얻을 수 있는 이득을 임상연구를 통하여 각 국가별로 수행하여 해당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진입국의 사업실적을 극대화 하려고 하며, 이와 병행하여 최근 개정된 다발셩 경화증의 진단기준을 대응하여 개정된 진단기준을 적용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지속적으로 고도화 할 계획입니다. 큰 방향으로 보면 아시아 국가인 일본과 미국은 뇌영상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치매의심환자를 의료진이 대할 때 AQUA가 줄 수 있는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는 연구를 진행하려고 하며, 미국, 유럽 등에서는 큰 시장인 다발성 경화증의 개성된 기준을 개발하며, 이를 통한 임상적 가치를 증명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입니다. - Neurophet SCALE PET 고도화SCALE PET의 경우 Tau, FP-CIT PET에 대한 분석 도고화 및 이를 통한 유용성 근거 확보 등에 대하여 주요하게 연구개발할 계획입니다. Tau 영상 분석기술의 경우 자사가 내부적으로 개발한 일부 표준화 기술을 제품에 탑제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려고 하며, 현재 진행하고 있는 근거확보 연구를 통하여 유럽 CE-MDR 획득을 수행하려고 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FP-CIT PET에 대한 검증, 기능확장에 대한 분석고도화를 수행하여 알츠하이머 병 영상 분석 이외에 다른 적응증(파킨슨)에 대해서도 비즈니스 확장을 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진행 할 계획입니다. - Neurophet AQUA AD 고도화AQUA AD의 경우 치매 DMT처방에 대한 대응 솔루션으로 국내외 몇 안되는 회사만이 해당 기술을 만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자사는 이러한 경쟁상황에 대하여 전략적인 우위를 가져가기 위하여 다양한 기술 고도화, 검증, 임상연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우선 다수의 국가에 대한 허가사항을 부작용 모니터링에 더 적합하게 다양한 허가용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AQUA AD에서 분석하는 영상은 국가별로 세부 파라메터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모두 호환성있게 대응하기 위하여 기술검증 및 기 개발 알고리즘 고도화를 수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검증 및 고도화는 국내외 다양한 국가의 KOL혹은 핵심 연구진들과 같이 진행할 예정입니다. 추가적으로 이를 통한 임상적인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또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환자군들이 미래적으로는 혈액 바이오마커로 스크리닝 되어서 들어올 수 있기 때문에 기 영상분석기술과 혈액바이오마커 기술을 조합하여 안정적인 스크리닝 기술을 정의하고 개발 할 계획입니다. - SCALE MRA (뇌동맥류 검출 기술) 개발SCALE MRA의 경우 한국 및 일본 에서 주요하게 비즈니스를 진행하려고 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국 및 일본에서의 인허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주요하게 진행하려고 합니다. 한국의 경우 본격적인 임상시험은 25년 말부터 준비과정들이 진행될 것이며, 임상시험이 끝나고 난 뒤에는 의료기기 시판 후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한국에서의 임상 근거의 전부 혹은 일부를 이용하여 일본시장에 대한 인허가도 병행하여 진행할 예정입니다. 해당 제품 또한 각 진입국의 판매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검증 연구 및 임상유용성 연구들을 다수 출간할 계획입니다. - SCALE CTP (뇌관류 분석 기술) 개발SCALE CTP의 경우 현재 초기 버전이 개발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기기에 대한 호환성 개선 및, 신규기능의 개선에 집중하는 계획입니다. 현재 CT perfusion 영상에 대하여 다양한 기기 및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고 검증하는 의료기기 시판후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기술 안정화를 위한 성능 개선점을 확인하여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MR perfusion 영상에 대한 신규 분석 기능을 개발하고, 이러한 제품의 기능들이 사용자(의로진) 관점에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사용 편의성 관점의 제품 기술 개발을 추가적으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뇌자극치료(뉴로모듈레이션) 솔루션 고도화 뉴로모듈레이션 솔루션은 현재 혁신의료기술 선정(뇌졸중 상지 손가락기능 개선)이후 다양한 적응증 확장 및 기술도고화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첫번째로 기존의 적등증 확장을 위한 탐색/확증 임상시험을 계속해서 진행하려고 합니다. 자사는 연하장애, 의식장애,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탐색임상시험을 진행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뇌자극치료 솔루션의 적응증 향상을 실제적으로 진행 할 계획입니다. 또한 치료설계를 위하여 영상 모달리티의 호환성 및 분석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개발을 진행하려고 하며, 마지막으로 치료기기 자 환자의 두피에 부착이 되어 치료가 진행되는 환자의 편의성 혹은 시술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착용 기구물을 개선하려고 합니다.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는 재택치료가 가능한 수준의 솔루션을 구축 할 계획입니다. |
||||||||||||||||||||||||||||||||||||||||||||||||||||||||||||||||||||||||||
(주3) |
대부분의 기술개발 및 연구에 대하여 자사 연구진이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위의 연구개발시 진행하는 인력에 대한 인건비는 자사의 연구진에 대한 인건비 입니다. '인건비'의 경우 연구인력에 대한 급여와 퇴직급여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연구용경비 및 재료비 등'은 경상연구개발비 중 급여와 퇴직급여를 제외한 기타경상연구개발비 성격으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연구기관(국내외 병원 및 국가연구소)와의 연구진행을 위한 연구용역비로 대부분 사용되며, 해외와의 연구의 경우 데이터 구매 업체를 통한 데이터 수급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구매비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2025연도의 경우 자금유입시점을 고려하여 2025년 연간 추정치의 30%를 적용하였고, 2028년도의 경우 자금조달액 사용 후 남은 자금을 연구인력에 대한 인건비(급여)로 사용할 계획입니다.연구개발인력의 연도별 추정 인원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상연구개발비는 ㉮연구직 급여, ㉯연구직 퇴직급여, ㉰기타경상연구개발비(컨설팅비용, 임상데이터 구매와 관리비용 등으로 구성됨)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습니다.
㉮ 연구직 급여의 추정은 '[연구직 연간 평균인원수] x [급여인상율 3%가 반영된 연도별 평균급여]'로직에 따라 산출되었습니다.㉯ 연구직 퇴직급여의 추정은 '[연구직군 급여] x [1/12]'로직에 따라 산출되었습니다.㉰ 기타경상연구개발비의 추정은 연간10% 상승률을 반영하여 산출되었습니다. |
(2) 영업 및 마케팅비용2025년 하반기부터 해외사업 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영업망을 보유하고 있는 협력사 및 대리점과의 협력증진 및 마케팅활동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 영업 및 마케팅비용 사용 계획] |
(단위: 백만원) |
목 적 | 세부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계 |
---|---|---|---|---|---|
영업채널확대 | 국내 및 해외 협력사, 대리점 등 판매 및 기술지원 채널 확대 | 120 | 400 | 400 | 920 |
마케팅강화 |
국내외 영업을 위한 마케팅활동추진, 국내 및 해외 주요 Conference 참석 등 |
183 | 742 | 914 | 1,839 |
합 계 | 303 | 1,142 | 1,314 | 2,759 |
주1) | 해당 자금 사용 계획은 2025년 하반기부터 집행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3) 공모자금의 유입이 예상액을 하회할 경우의 계획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당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확정공모가액인 14,000원 을 기준으로 하여 작성되었습니다. 금번 당사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수요예측의 결과에 따라 확정공모가액이 현재 작성된 공모금액을 하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당사가 예상하는 수준보다 낮은 공모가액이 유입될 경우, 우선적으로 연구개발비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며 두 번째 우선순위로 영업 및 마케팅비용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와 별개로 향후 물가의 상승이나 환율의 변동, 경쟁 구도의 변화 등으로 연구개발비나, 운전자금이 당사가 증권신고서 제출 현재 예상한 금액을 초과하거나, 공모자금의 유입이 부족하여 추가적인 자금이 필요할 경우, 현재 보유 중인 자금 및 추후 발생이 예상되는 영업현금흐름을 활용하여 충당할 계획입니다. 공모자금 납입 시점과 집행까지 일부 시간이 소요될 것을 감안하여, 실제 자금집행 전까지 안정성이 높은 단기금융상품 투자 및 금융기관에 자금을 예치할 예정입니다. 다. 공모자금 유입의 경제적 효과
유입된 공모자금은 연구개발 및 영업 및 마케팅활동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먼저 당사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247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하여 기존 주요제품인 Neurophet AQUA, Neurophet SCALE PET 및 Neurophet AQUA AD의 고도화 그리고 SCALE MRA(뇌동맥류 검출 기술), SCALE CTP(뇌관류 분석 기술) 개발 및 뇌자극치료 솔루션(뉴로모듈레이션)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대표적으로 항아밀로이드 치료제의 핵심 개발사 중 하나인 글로벌 빅파마 등을 통해 확보된 대규모 ARIA 데이터셋을 통해 검증 및 고도화 추진하고 이를 통해 항아밀로이드 치료제 영상 분석 솔루션 시장을 선점하고자 하며 이러한 고도화를 위해 연구개발비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는 향후 3년간 28억원을 투입하여 영업채널 확대, 해외마케팅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세계 헬스케어 시장에서 한국은 2%정도에 불과하며, 미국은 40~50%, 유럽 30%, 일본 10% 기타 국가 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AI 첨단기술의료기술과 치매 치료제 신약 개발은 글로벌제약사와 Scanner 회사들이 미국에 R&D센터를 두고 신기술, 신제품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에서는 제품 해외 인허가 획득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해외진출을 통하여 해외 시장 대상 제품 판매 확대와 글로벌 제약사/의료기기사 파트너쉽을 확대하여 당사 기술의 가치를 높여 사업성과로 연결하고자 합니다.
안정적이고 선제적인 연구 개발은 회사를 지속 성장시켜 나갈 것입니다. 의료AI분야에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하여 지속성장을 해 나가는데 공모자금이 요긴하게 쓰일 것입니다. 그리고 국내 및 해외 마케팅활동은 매출 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라. 연도별 미사용 자금 운영계획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상기에 명시한 목적 및 계획에 따라 자금을 집행할 계획이며, 집행 전 자금 및 나머지 여유자금의 보유기간에는 제1금융권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현재 당사는 자금의 집행과 운용을 위임 전결 규정에 따라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모자금 또한 동일한 내부 규정 및 통제 절차에 따라 집행 및 운용할 계획입니다.또한, 금번 공모자금의 사용 내역을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자금의 사용목적에 부합하게 집행되었는지 검토할 예정이며, 상장 후 공모자금의 사용에 대해서 분/반기보고서와 사업보고서에 내역을 상세하게 기재할 예정입니다.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7월 2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