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13일 | |
( 발 행 회 사 명 )키스트론 주식회사 | |
( 증권의 종목과 발행증권수 )기명식 보통주 6,300,000주 | |
( 모 집 또는 매 출 총 액 )19,530,000,000원 ~ 22,680,000,000원 | |
1.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일 : | 2025년 05월 13일 |
2. 모집가액 : | 3,100원 ~ 3,600원 |
3. 청약기간 : | 2025년 5월 22일(목) ~ 2025년 5월 23일(금) |
4. 납입기일 : | 2025년 5월 27일(화) |
5.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의 열람장소 | |
가. 증권신고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나. 일괄신고 추가서류 : | 해당사항 없음 |
다. 투자설명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서면문서 : 1) 한국거래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76 2) 키스트론 주식회사: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 68번길 37(원시동) 3) 신한투자증권 ㈜: 서 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
6. 안정조작 또는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 |
해당사항 없음 |
이 투자설명서에 대한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이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대 표 주 관 회 사 명 )신한투자증권 (주) |
[투자자 유의사항] |
투자자의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결정에 있어 당사는 오직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서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의 책임을 부담합니다.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 내용과 다른 내용의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할 권한을 누구에게도 부여한 사실이 없으며,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이외의 내용에 대하여 당사는 어떠한 책임도 부담하지 않습니다. 투자자는 본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공모주식 및 당사에 관한 내용 및 본건 공모의 조건과 관련한 위험 등에 대하여 독자적으로 조사하고, 자기 책임하에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를 작성ㆍ교부하였다고 해서 당사가 투자자에게 본건 공모주식에의 투자 여부에 관한 자문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투자자의 투자에 따른 결과에 대해 책임을 부담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은 아닙니다. 투자자는 본건 공모주식에의 투자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 스스로 별도의 독립된 자문을 받아야 하며, 이에 따른 투자의 결과에 대하여는 투자자가 책임을 부담합니다.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되어 있는 시장 또는 산업에 관한 정보 중 제3자의 간행물 또는 일반적으로 공개된 자료를 인용한 부분의 경우 그 정확성과 완전함의 여부에 대하여는 당사가 독립적으로 조사, 확인하지는 않았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정보는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가 투자자에게 제공되는 날 또는 투자자가 본건의 공모주식을 취득하는 날에 상관 없이 표지에 기재된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만 유효한 것입니다.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당사의 영업성과, 재무상황 등은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 이후에 기재 내용과는 다르게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건 공모주식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건 공모주식에 대한 투자는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구체적인 공모 절차에 관해서는 "제1부 I.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예측정보에 관한 유의사항]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증권신고서에는 매출규모, 이익규모 등 발행인의 영업실적 기타 경영성과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 자본금 규모, 자금흐름 등 발행인의 재무상태에 대한 예측 또는 전망에 관한 사항, 특정한 사실의 발생 또는 특정한 계획의 수립으로 인한 발행인의 경영성과 또는 재무상태의 변동 및 일정 시점에서의 목표수준에 관한 사항, 기타 위와 같은 예측정보에 관한 평가사항 등의 예측정보를 기재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에서 "전망", "전망입니다", "예상", "예상입니다", "추정", "추정됩니다", "E(estimate)", "기대", "기대됩니다", "계획", "계획입니다", "목표", "예정", "예정입니다"와 같은 단어나 문장으로 표현되거나, 기타 발행인의 미래의 재무상태나 영업실적 등에 관한 내용을 기재한 부분이 예측정보에 관한 부분입니다. 예측정보는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 당사의 미래의 재무상태 또는 영업실적에 관한 당사 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합리적 가정 및 예상에 기초한 것일 뿐이므로,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본 증권신고서 "제1부 Ⅲ. 투자위험요소"에 열거된 사항 및 기타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애초에 예측했던 것과는 중요한 점에서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측정보에 관한 내용은 오직 본 증권신고서 작성일을 기준으로만 유효하므로, 당사는 본 증권신고서 제출 이후 예측정보의 기초가 된 정보의 변경에 대해 이를 다시 투자자에게 알려 줄의무를 부담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예측정보가 오직 현재를 기준으로 당사의 전망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기재된 것일 뿐이므로, 투자결정을 함에 있어서 예측정보에만 의존하여 판단하여서는 안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
[기타 공지사항] |
"당사", "동사", "회사", "키스트론㈜", "키스트론 주식회사" 또는 "발행회사"라 함은 본건 공모에 있어서의 발행회사인 키스트론 주식회사를 말합니다. "대표주관회사"라 함은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 업무를 맡고 있는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를 말하며, "신한투자증권" 또는 "신한투자증권㈜"는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를 말합니다. "인수회사"라 함은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를 말합니다. "코스닥", "코스닥시장"이라 함은 한국거래소 내 코스닥시장을 말합니다. |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망
본 사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의사당대로 96 TP Tower |
고객지원센터 | 1588-0365 |
홈 페 이 지 | www.shinhansec.com |
지점명 | 주 소 | 전화번호 |
강남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329 삼흥빌딩 2층,3층 | (02)538-0707 |
도곡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2806 군인공제회관 25층 | (02)2057-0707 |
청담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443 이유덕빌딩 1~3층 | (02)2096-5450 |
마곡역 |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 195 힐스테이트에코동익오피스텔 2층 | (02)887-0809 |
광진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광진구 능동로 110 스타시티 영존빌딩 B동 2층 | (02)2254-4090 |
구로 | 서울특별시 구로구 가마산로 263 뉴월드빌딩 3층 | (02)857-8600 |
강남대로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43(서초동) 신덕빌딩 2층 | (02)6354-5300 |
반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로 24 반포자이프라자 3층 | (02)533-1851 |
목동 | 서울특별시 양천구 오목로 300 목동현대하이페리온 2차 206동 201호 | (02)2653-0844 |
본사 영업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TP타워 41층 | (02)3772-1200 |
센트럴 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통일로 134 (평동) 디타워 돈의문 3층 | (02)718-0900 |
광화문센터 |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76 콘코디언빌딩 17층 | (02)2096-5400 |
남대문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태평로2가) 신한은행 지하1층 | (02)757-0707 |
서울금융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54 신한은행 광교빌딩 1층 | (02)739-7155 |
강릉 | 강원도 강릉시 경강로 2110 동아빌딩 2층 | (033)642-1777 |
분당금융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258번길 37 흥국생명빌딩 3층 | (031)712-0109 |
수원 금융센터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권광로195 학산빌딩 4층 | (031)246-0606 |
안산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당곡로 17 2층 | (031)485-4481 |
의정부 | 경기도 의정부시 행복로8 (의정부동) 신한은행빌딩 3층 | (031)848-9100 |
평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안로 126 (호계동) 신한은행빌딩 3층 | (031)381-8686 |
판교 | 경기도 성남시 분당내곡로 117 그레이츠판교 3층 | (031) 8016-0266 |
창원금융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60 1층 | (055)285-5500 |
구미 | 경상북도 구미시 송원동로 5 신한투자증권빌딩 1층 | (054)451-0707 |
광주금융센터 |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방울대로 342 국선빌딩 2층 | (062)956-0707 |
대구금융센터 | 대구광역시 수성구 동대구로 334 한국교직원공제회관 6층 | (053)423-7700 |
대전금융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29 명화빌딩 2층 | (042)484-9090 |
동래금융센터 |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로 18 세종빌딩 2층 | (051)505-6400 |
부산금융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새싹로 6 신한은행 부산서면지점 사옥 7층 | (051)818-0100 |
울산금융센터 | 울산광역시 남구 삼산로 227 4층 | (052)273-8700 |
인천금융센터 | 인천광역시 남동구 인주대로 617 용진빌딩 2층 | (032)819-0110 |
광양 금융센터 | 전라남도 광양시 광장로 148-3 (중동) 신한투자증권빌딩 2층 | (061)791-8020 |
전북금융센터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194 2층 | (063)286-9911 |
제주금융센터 | 제주도 제주시 연북로 17(노형동) 전문건설공제조합2층 | (064)743-9011 |
청주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사직대로 343 신한은행 충북영업부 금융센터 | (043)296-5600 |
신한PWM 강남파이낸스 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52(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 20층 | (02)2052-5511 |
신한PWM 압구정중앙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853(신사동) 3층 | (02)547-0202 |
신한PWM 압구정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로 152 (신사동) 극동스포츠빌딩 2층 | (02)541-5566 |
신한 PWM PIB 강남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40 (대치동) 포스코센터 서관 15층 | (02)559-3399 |
신한PWM 도곡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30길 39 (도곡동) SEI빌딩 10 층 | (02)554-6556 |
신한PWM 강남센터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32 (대치동) 동부금융센터 25층 | (02)508-2210 |
신한PWM 서교센터 |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45 메세나폴리스 몰 제2층 제201~203호 | (02)335-6600 |
신한PWM 패밀리오피스 반포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35 (반포동) 반포빌딩 12층 | (02)3478-2400 |
신한PWM 서초센터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54 오퓨런스 16층 1602호 | (02)532-6181 |
신한PWM 잠실센터 |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69 (신천동) 롯데캐슬골드 2층 | (02)2143-0800 |
신한PWM 목동센터 |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59-1 CBS 방송국 본사 18층 | (02)2649-0101 |
신한PWM 여의도센터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96, TP타워 27층 | (02)782-8331 |
신한PWM 이촌동센터 |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293 (이촌동) 3,4층 | (02)3785-2536 |
신한PWM 한남동센터 | 서울특별시 용산구 독서당로 111 THE ZOOM 아트센터 1층 | (02)749-6175 |
신한PWM 패밀리오피스 서울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 (남대문로 4가) 상공회의소 9층 | (02)6050-8100 |
신한PWM 태평로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길 20 (태평로 2가) 신한은행 본점 2층 | (02)317-9100 |
신한PWM 서울파이낸스센터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36 (무교동, 태평로 1가) 서울파이낸스 25층 | (02)778-9600 |
신한PWM 분당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248 (정자동) 파크뷰 오피스타워 21층 | (031)717-0280 |
신한PWM판교센터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152 알파돔타워 지상 3층 (백현동) | (031)718-5015 |
신한PWM 일산센터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중앙로 1311 | (031)906-3891 |
신한PWM 광주센터 | 광주광역시 북구 금남로 133 (북동) 2층 | (062) 524-8452 |
신한PWM 대구센터 | 대구광역시 중구 달구벌대로 2125 9층 | (053)252-3560 |
신한PWM 대전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04 | (042) 489-7904 |
신한PWM 부산센터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72 롯데호텔 16층 | (051)819-9011 |
신한PWM 인천센터 |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동대로 776 (구월동) 신한은행빌딩 2층 | (032)464-0707 |
주) | 신한투자증권㈜ 지점에 방문하시기를 원하는 투자자께서는, 지점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니 방문 전 지점의 위치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1. 핵심투자위험
하단의 핵심투자위험은 증권신고서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중 중요한 항목만을 투자자의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간단ㆍ명료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자세한 투자위험요소는 "본문-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구 분 | 내 용 |
사업위험 |
가. 국내외 경기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 관련 위험 2025년 03월 17일 OECD에서 발간한 'OEC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세계 GDP 성장률은 2025년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 12월 전망한 3.3%대비 0.2%p 하향한 수치이며, 2026년 성장률도 3.0%로 지난 12월 대비 0.3%p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미국의 무역 정책 변경으로 2025년 4월부터 보편관세가 부과될 경우 인플레이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통화정책 예측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의 성장률의 경우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으며, OECD는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이 크게 강화되면서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트럼프 2기 행정부 집권 후 관세 부과 조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관세 부과 발표와 연기 등이 반복되면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동사의 주요 제품은 철선에 동도금을 한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으로 철강 및 알루미늄의 파생 상품으로서 철강, 알루미늄에 제품에 부과되는 25%의 관세율을 적용 받습니다. 2024년 기준 동사의 수출 대상국 2위에 해당하는 국가가 미국인 점을 고려할 때 관세 정책 시행으로 동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번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 전 한국은 철강 수출에 대해 쿼터제 기반면세 혜택을 받았으나, 이번 관세 부과 조치 이후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은 관세 부과 전과 대비해서 약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급변하는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한 타 국가로 수출 매출처를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한편, 한국은행이 2025년 2월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2026년은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성장률은 지난2024년 11월 전망치 대비 0.2%p 하향 조정된 수치로, 그 배경으로 미국의 통상정책 강화 및 정치적 불확실성 심화에 따른 수출과 내수의 동반 약세를 지목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국내경제가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와 내수부진으로 기존 전망 대비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통상환경 악화와 정치적 리스크를 주요 변수로 지목했습니다.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와이어 산업은 국내외 거시경제의 변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경기 침체, 보호무역주의 확산, 소비심리 위축, 가계 구매력 감소 등은 당사 매출 실적 및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유럽 및 중남미의 정치·경제 불안정성,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 복합적인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당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산업 전반에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국내외 경기전망, 글로벌 정세 변화, 주요국의 정책 기조에 따라 동사의 영업과 재무 전반에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에 따른 위험 당사 와이어 제품은 동도금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이며, 용도에 따라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로 구분하고있습니다.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전자기기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자삽되는 캐퍼시터용 리드탭 부품인 리드와이어 제작에 사용되며,주로 캐퍼시터용 리드탭 제조업체로 납품하고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방 캐퍼시터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캐퍼시터 시장규모는 24년 약 389억 1,000만 달러에서 2034년 약 694억 2,000만 달러로 연평균 5.96%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케이블용 와이어는 크게 건설과 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 인프라 산업 분야에 납품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건설 현장 발파를 위한 폭약뇌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디토네이터와 지하에 매설된관의 위치를 찾기 위해 함께 매설된 케이블인 트레이스, 발전소의 피뢰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접지용연선으로 나뉩니다. 디토네이터의 시장 규모는 24년 12억달러에서 31년 13.9억 달러까지 연평균 2.36%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트레이스의시장규모는 22년 1.67억달러에서 28년 2.1억달러까지연평균 3.92%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접지용연선은 22년 19.52억 달러에서 30년 26.5억달러까지 연평균 3.9%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의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의 긍정적인 중장기 성장이 전망되나, 글로벌 경기의 급격한 변동 또는 소비 심리 악화, 정책 변동으로 인한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 감소 등에 따라 와이어 수요가 감소할 경우 당사의 영업, 재무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산업 내 경쟁 심화 위험 당사가 영위하는 와이어 제조 산업은 납품을 위한 높은 내구도와 정밀도가 요구되며, 적절한 규모의 설비 능력을 갖추고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규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고객사는 품질에 대해 오랜 기간 까다롭게 검증하고 있기 때문에 신규 업체의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이와 같은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사가 거래선을 변경하거나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 등으로 인해 시장 내 경쟁구도의 변화 가능성, 현재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시장 경쟁상황은 달라질 수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사업과 영업,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를 바랍니다. 라. 대체재, 신기술 출현에 따른 위험 당사가 속한 와이어 산업은 전도성, 내구성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정밀한 기술력과 품질이 요구되며, 공정의 복잡성, 산업 및 국가별로 다양한 규격의 인증을 충족하여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기술적인 진입장벽과 신기술 개발 난이도가 높은 산업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산업의 속성으로 인해 신소재나 신기술의 도입은 정밀한 성능 검증과 산업안전기준 충족이라는 필수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기술 대체가 단기간 내 가능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대부분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이며, 철선의 강도와 구리의 전도성이라는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산업 환경이 변화하고 신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와 고객사의 요구사항이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에 당사는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대체재 또는 신기술 출현에 따른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강구하고 있습니다.현재 동복강선의 전통적인 대체재는 순동(Copper)과 알루미늄(Aluminum)입니다. 순동은 우수한 전기성과 전도성을 제공하며, 고급 전자 장비 및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나, 가격이 높고 무게가 무거워 경량화가 필요한 산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알루미늄의 경우 경량성과 가격경쟁력으로 인해 대형 송전시스템 및 건축용 전선으로 사용이 많이 되고 있으나, 구리보다 낮은 전도율로 동일 전력 전송 시 더 큰 전선 단면적이 필요합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은 경량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경제성과 적절한 성능을 보유해 단기간 내 대체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최근 디토네이터 영역에서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무선 디토네이터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신기술 개발 동향은 무선 디토네이터이며, 무선 디토네이터는 원격 폭파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폭발 작업은 안전성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데, 무선 디토네이터는 전파 간섭에서 자유롭지 못 하는 등 기술적완전성이 확보되지 못 한 상태이므로 단기간 내 무선 기술이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발파 현장의 특성에 따라 유선 디토네이터와 무선 디토네이터 중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게 되며, 두 방식은 특정 상황에 따라 병행 또는 선택적으로사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상대적인 우월성에 따라 일방적으로 대체되기 보다는 병행 사용되거나 구분되어 활용됩니다.트레이스 와이어의 경우 지표투과 레이더(GRP) 기술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표투과 레이더 방식은 탐지 정확도의 범위가 ±0.3m인데 반해 트레이서 와이어 방식은 ±0.1m 이하의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며, 토양 조건이나 외부 간섭에도 영향을 적게 받아 신뢰도가 높습니다. 또한, 장비 및 운영 비용도 GPR 등 대체 기술보다 낮고, 데이터 해석이 간단하여 전문 인력 없이도 운용이가능한 점 등에서 실용성과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이처럼 당사의 제품과 관련된 대체기술 및 신기술은 지속해서 출현하고 있지만 기존 기술의 성능과 신뢰성, 비용 대비 효율성, 기술의 발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단기간 내 대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당사는 기술 변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신소재 개발 및 기존 기술의 고도화 등을 통해 노력을 다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술 변화나 트렌드등 다양한 변화에 당사가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 할 경우 당사의 사업 및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마. 주요 원재료 수급 관련 위험 당사는 와이어 제조에 필요한 주요 원재료인 전기동, 알루미늄, 주석, 철선 등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당사 구매팀은 원재료 수급 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고정 매입처를 통해 안정적인 조달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제품별 정확한 수요 예측을 통해 필요 수량을 협의하고 발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동향을 파악해 원자재 수급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공급처와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급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이스라엘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코로나 19와 같은 예상치 못한 대외적 변수로 인해 원재료 가격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원재료 조달 경쟁이 심화 되거나 영업 네트워크 약화로 주요매입처와의 거래 중단, 신규 매입처 발굴 실패 등의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영업 및 재무실적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환경 규제 관련 위험 당사 와이어 제품은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으로, 선재에 동도금 공정이 필수적이며,동도금 공정에서는 유해 화학물질 및 중금속을포함한 폐수와 폐기물이 발생해 법적기준에따른 철저한 관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 도금시설을 설치할 경우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악취방지법, 위험물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등을 적용받고 있습니다.최근 화학물질 안정성 이슈가 제기되면서 화재, 폭발, 누출사고 및유해물질 배출 시 안전성 평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규제당국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당사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에게 관련 규제 및 법령을 숙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취급자 교육 및 관리자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자체기준을 강화하여 제품 생산 시 안전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하여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생산 공정에서 임직원이 정해진 업무 매뉴얼 이행을 소홀히 하거나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생산시설 내 환경 훼손, 자산 및 설비의 파손,인명피해 등으로 이어져 당사의 영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환경 관련 규제가 더욱 강화되어 엄격한 시설관리 기준, 폐기물 관리 기준, 추가 배출 방지시설 등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규 사업 추진에 따른 위험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 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다만,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 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는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은 현재 고객사와 기술 개발을 논의하며,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은 고객사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계획의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환율 변동 위험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86.98%, 2022년 82.92%, 2023년 79.44%, 2024년 82.44%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출의존도를 보이고 있고, 향후 이와 유사한 비중 또는 더 높은 비중의 해외 수출 비중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매출과 손익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향후 거시경제의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환율 변동 위험이 지속적으로 존재합니다. 동사는 환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망에 근거하여 수출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수출규모가 증가하면서 결제대금으로 받은외화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보유 중에 있다가 필요 시 해당 외화로 결제하는 소극적 헷지 전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환율 변동 위험의 경우는 미래 달러(USD), 유로(EUR), 엔화(JPY) 수요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완전 헤지가 불가능하며, 완전 헤지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환율 상승이 물가 상승을 야기하여 동사의 수익성에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동사는 별도의 환 헷지를 위한 통화선도계약을체결하고 있지 않아 미/중 무역전쟁,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등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대내외 산업환경 변화 등 부정적인 외부적인 요인으로 위안화 및 달러 가치 변동성이 지속될 경우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및 사업장 안전 관련 위험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상시근로자가 5명 이상인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확보를 위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피해를 발생시킨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 등의 처벌 등을 규정한 법으로 2021년 1월 26일에 공포되었으며, 공포 1년 후인 2022년 1월 27일 시행되었습니다. 동사는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해 당사의 경영책임자가 벌금또는 징역에 처한 이력이 없으며,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관리프로세스인안전보건관리체계를 운영중입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안전검사를 수행하고 분기마다 회사 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사적인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매뉴얼에 따라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해 분기마다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을 위한 사항을 협의하고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위하는 사업의 특성상 예기치 못한 사고위험이 존재할 수 있음에 따라 향후 산업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사고의 발생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제재 시 당사가 영위중인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회사위험 |
가. 실적 하락 및 수익성 악화 위험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 함에 따라 와이어사업 부문을 본격적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주요제품인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는 동사 매출총액의 약 91.00%로 당사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제품의 매출총액 대비 비중은 "전자부품용 와이어"가 46.84%, "케이블용 와이어"가 45.26%를 차지하고 있어, 당사의 실적 및 수익성은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의 매출, 수익성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2021년 동사의 매출은 약 4,540백만원 수준이었으나, 2021년 12월구 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면서 2022년 매출은 약 66,267백만원으로 1,359.63%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2023년 매출은 약 55,936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5.59%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요 거래처인 일본 "K"사가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물류 대란과 공급망 불안에 대비해 대량 발주한 재고를 2023년 상반기까지 소진하며 추가 주문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광업, 수자원 배관, 발전소 등 다양한 인프라 산업에서 꾸준히 활용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4년은 Covid-19 팬데믹에 따른 기저효과 이후 당사의 매출액은 약 68,955백만원으로전년 대비 23.27%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2022년 영업이익 7,341백만원, 당기순이익 7,833백만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11.08%, 당기순이익률 11.82%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 Covid-19에로 인한 기저효과에 따른 매출액 감소로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각각 3,732백만원, 2,371백만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영업이익률 및 당기순이익률은 각각 6.67%, 4.24%로 수익성 지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2024년 당사의 매출액은 Covid-19 기저효과 이전 수준을 회복였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 5,901백만원, 당기순이익 8,777백만원으로 영업이익률 8.56%, 당기순이익률 12.73%를 기록하였습니다.상기 내용과 같이, 동사의 매출 및 수익성은 주력 제품인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의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케이블용 와이어"는 다양한 인프라 산업에서 활용되면서 매출 및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프라 산업은 각국의 정부 정책과 글로벌 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경기 침체, 고금리 지속, 정책적 불확실성이 심화될 경우, 인프라 투자 감소로 인해 케이블용 와이어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매출성장성과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또한, 최근 3년간 당기순이익이 영업이익을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환차익 증가 및 관계회사 배당수익에 기인합입니다. 그러나 향후 환율 하락, 관계회사 지분 매각 등의 요인으로 금융 수익이 감소할 경우 당기순이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신중한투자 판단을 부탁드립니다. 나. 특정 제품군 또는 매출처 편중 위험 동사의 주요 제품은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와이어이며, 2024년 기준 매출의 약 67.19%는 55개의 거래처 중 상위 10개 거래처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상위10개 매출처별 매출 비중은 2.36% ~ 21.83%로, 거래처별로 다변화된 매출을 시현하고 있어특정 거래처에 대한 매출 편중 위험은 제한적이나, 일부 매출처의 경우 매출 비중이 10% 이상으로 일정 수준의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동사 매출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K사는 2022년 팬데믹으로 인한 물류 대란 및 공급망 교란 우려로 인해 재고 비축 목적으로 대량 발주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한 기저효과로 2023년 상반기까지 신규 물량을 발주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2023년 당사의 K사 매출은 9,903백만 원으로, 전년(18,155백만원) 대비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전체 매출 또한 2023년 55,936백만 원으로 전년(66,267백만원) 대비 하락하였습니다. 이처럼 동사는 매출 비중이 다소 높은 일부 거래처의사업 환경 및 수요 변화에 따라 당사 실적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편, 동사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거래처 편중 위험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신규 사업의 성장이 지연되거나, 기존 거래처와의 계약 종료 및 거래량 감소, 고객사의 수요 변동 및 납품 연기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복잡한 지배구조 관련 위험 현재 동사 지배구조는 최대주주일가와 계열회사가 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계열사간 복잡한 순환출자로 얽혀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계열사간 주식을 상호 소유하고 있습니다.순환출자는 적은 지분으로도 여러 계열사가 서로 돌아가며 지분보유해 적은 지분으로도 계열 전체를 지배할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주주는 실질적인 지분율보다 더 많은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지배력과 소유권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된 지배구조는 소액주주의 권리를 침해해 경영권을 부당하게 행사할 수 있어,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초래합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기업의 재무상태가 영업환경 악화 등으로 부실해질 경우 연쇄적으로 위험을 떠안을 가능성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습니다.주식의 상호 소유(상호주)는 상법 제369조에서 규제하고 있으며 상호주는 기업간 서로 지분을 보유하는 구조로, 대주주가 계열 내 지배권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기업 경영의 독립성을 저해해 경영의사 결정이 왜곡되어 비효율적인 경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상호출자와 마찬가지로 한 기업의 부실이 전이될 가능성이 있으며, 소액주주의 권리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어 전체적인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동사는 상호주와 순환출자 구조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으며, 상장예비심사 신청 전 동사가 보유했던 홍덕산업(주) 지분 1.75%(78,193주)를 제3자에게 매각해 홍덕산업(주)와 상호주 관계를 해소했습니다. 이 밖에 고려제강(주)가 보유한 동사 지분 6.53%(866,120주)는 금번 상장 시 구주매출을 통해 고려제강(주)와의 상호주 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또한, 홍덕산업(주)가 보유한 동사 주식 3,167,130주 중 1,033,880주도 금번 상장 시 구주매출을 통해 일부 매각할 계획입니다.한편, 2024년 10월 18일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후 2024년 12월 19일까지 예비심사를받는 과정에서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를 위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①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3,301,212주는 향후 5년 내 단계적으로 시장에서 매각할 것 ②상장 이후 홍덕산업(주)가 보유하게 되는 동사 잔여 주식 2,133,250주는 2년에 걸쳐 매각할 것. 동사는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상기 2가지 이행 계획을 담은 확약서를 제출한대로 단계적인 지분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행 과정에서 시장과 충분하게 소통하고 처분 전 공시를 통해 투자자의 권익을 해하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동사는 순환출자와 상호주 관계의 완벽한 해소를 통한 복잡한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기업의사결정의 투명성과 경영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확약사항이 미이행될 경우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 등 조치를 받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수 없습니다. 또한, 최대주주등이 회사 전체에 대한 이익 보다는 개인의 사익을 중시하거나, 윤리적 기준 또는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할 경우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주의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이 점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재무안전성 관련 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말 동사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부채비율 30.33%, 차입금의존도 9.6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차입금 상환을 통해 총차입금 규모가 2021년 대비 12,320백만원 감소함에 따라 부채비율 20.32%, 차입금의존도 3.90%수준으로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2023년 지속적인 차입금 상환으로동사의 부채비율은 19.93%, 차입금의존도는 3.56%로 재무안정성 개선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4년말 기준 동사의 부채비율은 18.41% 2023년 대비 1.52%p. 감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3.7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각에 따른 자산총계 감소에 따라 2023년 대비 0.16%p로 소폭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동사의 총차입금은 2021년 19,318백만원에서 2022년 일부 차입금을 상환함에 따라 6,998백만원으로 감소하였으며, 2024년 현재 6,704백만원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차입금은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어 만기도래 시 만기연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말 기준 당사 보유 현금성 자산 16,428백만원을 고려 시 단기간내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기존 사업부문 강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목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글로벌 매출처 확장을 위한 고순도 알루미늄 해외 생산공장 설립 또한 검토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및 고정비용 증가로 인한 재무안정성 하락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전방산업 부진 및 영업환경 악화 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매출채권 회수 지연 및 미회수에 따른 위험 매출채권 회전율은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순조롭게 회수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대로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매출채권의 회수기간이 길어져 현금 유동성 악화 및 대손 발생의 위험이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당사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4.85회, 2023년 5.21회, 2024년 6.94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기준 업종평균인 5.80회를 상회하는 수치로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지연 가능성은 업종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사는 약 60개의 매출거래처와 거래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거래처와는 오랜 거래 관계를 이어오고 있어 전방 산업의 영업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또한, 매출처 편중 위험 역시 제한적인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매출채권의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규 매출처 거래시 고객사의 규모와 재무건전성, 당사와의 거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매출채권 결제 조건을 설정하고 있으며, 매출 발생 이후 영업팀에서 주기적으로 고객사와 소통하여 매출채권 회수를 관리하고, 재무팀에서는 수시로 매출채권 회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지연 및 미회수에 따른 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영업환경 악화, 매출처의 영업부진으로 인하여 매출채권이 정상적으로 회수되지 않을 경우 당사의 현금흐름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재고자산 관련 위험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재고자산이 얼마나 빠르게 판매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판매되어 현금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고자산의 가치가 하락 위험이 낮아지게 됩니다. 동사의 재고자산회전율은 2022년 3.55회, 2023년 3.31회, 2024년 3.79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동사는 2024년 거래처 주문 확보 및예상 매출 증가에 대비하여 사전에 재고를 선매입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고자산 규모가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매출액 감소로 인해 재고자산 회전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하였으나, 2024년 매출 증가에 따라 회전율이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동사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3년 업종 평균(8.47회)을 하회하는 수준입니다. 이는 당사의 제품이 고객 주문에 따라 생산되는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이므로, 주문 대응을 위해 일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낮은 재고자산 회전율은 재고자산의 부식 또는 재고 평가 손실로 인해 영업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동사의 재고자산은 유효기간이 존재하는 품목이 아니므로 진부화될 가능성은 적다고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거나 동사의 기대와 달리 주요매출처의 영업환경 악화, 생산공정상 차질, 화재나 예상치 못한 도난등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 평가손실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상황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으로 인한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현금흐름 및 재무수치가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현금흐름 관련 위험 동사의 최근 3개년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15,056백만원, 2023년 8,438백만원,2024년 6,484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당사의 당기순이익은 2023년 대비 높은 8,777백만원을 기록하였으나 영업현금흐름은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등 운전자본의 증가로 인한 영업창출 현금흐름의 감소가 주된 사유이며, 예상 매출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재고 확보에 따른 재고자산 규모의 증가, 매출 증가에 따른 채권 확대에 기인합니다. 최근 3개년 기준 투자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12,365백만원, 2023년 (-)3,617백만원, 2024년 4,849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음의 투자활동현금흐름을 시현한 이유는 유형자산 취득(기계장치 및 태양광 발전 설비) 4,231백만원에 기인합니다. 그 외 재무활동현금흐름의 경우 2022년 (-)25,743백만원, 2023년 (-)2,418백만원, 2024년 (-)1,908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2021년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여 차입금이 크게 증가였으며, 2022년부터 매년 단기차입금을 감소시켜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대비 현금유출액이 다소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나, 지속적으로 개선된 재무활동현금흐름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지속적인 (+)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고려할 경우 현금흐름과 관련된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시장 성장성 둔화와 수요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수익성 악화, 고객사의 대금납기 지연 등이 발생할 시 현금흐름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 사업 확장을 위한 연구개발 목적의 투자를 고려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증가에 따른 현금흐름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신용도 하락 및 자본조달 비용의 증가, 생산 및 판매활동의 둔화 등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관련 위험 당사는 최근 3년간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인 홍덕산업(주)와 매출 및 매입 거래가 존재하였습니다. 당사와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는 타 고객사와의 거래조건 등을 비교하였을 때 적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의 이해관계자와의 매입 및 매출 거래의 비중은 동사 전체 매입 및 매출 거래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으로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를 통한 이익전가 가능성은낮다고 판단됩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1월 1일 "특수관계자거래 규정"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으며, 동 규정은 이해관계자와와의 거래는 원칙적으로제한하고, 부득이하게 필요한 이해관계자 거래에 대해서는 그 거래의 당위성, 목적, 조건 등을 이사회에 보고 및 승인을 얻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특수관계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특성상 이해상충의 여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거래의 발생 및 거래시 내부통제 절차 진행 상의 미흡한 점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바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소요에 따른 위험 동사는 전자제품용 원자재인 Lead Wire, 전기통신용 원자재인 케이블 도체, 접지극용 연선 및 소선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동사는 전기, 전자, 통신 원자재 제조를 위해 고탄소강, 저탄소강, 동선, 무산소동, 알루미늄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으며, 고객사 요구물성에 따라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Cu, Ni, Ag, Sn 등의 도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품종 제품 생산의 효율성을 갖추기 위해 제품의 기능별, 외관별, 제조사별 표준화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담당 조직을 구성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신규 사업 진출 등을 위해 전기자동차 시트열선용 탄소섬유 금속도금(MCF) 기술개발, 고효율 구동 모터용 소재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기 서술한 당사의 기술경쟁력 및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소요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기술 경쟁력이 경쟁사 혹은 후발업체에게 뒤쳐지는 등 악화될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회사사업계획의 변경, 새로운 제품개발 결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품상용화 및 양산화에실패할 경우 비용이 상승하여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해외 판매 관련 위험 당사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22년 82.92%, 2023년 79.44%, 2024년82.44%으로 당사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 사업인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의 주요 고객사는 캐패시터용 리드탭 제조회사와 전자식뇌관 제조 업체이며, 일본 K사와 O사입니다. 해당 업체들과 장기간 거래관계를 고려할 때 계속적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현재 글로벌 주요 고객들과 우호적인 협력관계 속에서 수년 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국가에서의 정치, 경제적 변동 또는 환율 변동 위험 등으로 인하여 고객사의 생산계획이 변경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당사의 해외 판매 활동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최대주주 등의 높은 지분율에 따른 이해관계 상충 위험 공모 후 당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63.64%의 지분을 소유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통상적인 소액주주들의 주주총회 출석여부를 고려하였을 때 주주의 승인을 요구하는 모든 사안에 대한 통제권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으며, 보유지분 매각, 경영권 변경 등 타 주주들의 이해관계와 상충되는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당사에 대한 지배지분을 매각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다른 주주에게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동사 또는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에게 투자하는 투자자를 포함한 동사의 다른 주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높은 지분율은 당사 보통주의 시장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타. 고객사 및 원재료 조달처와의 교섭력 약화에 따른 위험 동사는 와이어 제조 전문업체로서, 원재료 공급업체로부터 와이어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공급받아 생산한 후, 국내외 전자 부품 회사 및 케이블 제조사에 납품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와이어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의 경우, 고객사 및 원재료 조달처와의 단가 교섭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동사는 고객사와 교섭력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할 경우, 저가 수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요 원재료의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제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동사는 안정적인 생산 활동을 유지하고 원가 변동성 리스크를최소화하기 위해, 주요 원재료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수급 다변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동사가 납품하는 제품은 고정밀성과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기술 민감도가 높은 품목으로, 고객사로부터 까다로운 협력사 승인절차를 거쳐야 공급이 가능한 특성이 있습니다. 동사의 매출처는 국가별로 다변화 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고객 기반 안정성은, 불확실한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도 동사의 사업 지속성과 수익 안정성 확보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특정 국가의 수입 규제, 통관 지연, 환율 변동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동사의 수출입 활동에 일정 수준의 영향이 발생하거나, 원재료 가격의 급등에도불구하고 이를 제품 판매 가격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와 같이 동사가 통제할 수 없는 부정적인 외부 요인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내부통제 관련 위험 당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회계의 부정과 오류를 예방하고 적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회계시스템을 관리ㆍ통제하며, 회사의 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 및 공시 여부에 대한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회계 관리제도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당사는 내부통제를 위한 규정 및 조직을 구축하여 우발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회계 관리조직이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거나 혹은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 관리 운영실태를 감사한 결과 중요한 취약점이 발견될 시에는 각종 제재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내부정보 관리 미흡 위험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공시의무사항 및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발생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적시에 공개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공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하며, 불공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당사는 관련규정 구비 및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공시 책임자 및 담당자는 공시전문교육을 이수하였습니다. 상장 후에는 전체 임직원 대상 교육 실시, 공시 의무 준수확약서 및 불공정거래행위 규제 준수 확약서 등을 징구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유들로 인해 중요한 사항이 적시에 공시되지 못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거. 분쟁 등 우발채무에 관한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소송 및 법률위반사항 등 우발채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제품 생산차질에 따른 납기지연, 제품 자체의 하자와 그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에 따른 우발채무가 발생할 가능성에 노출되어있습니다. 법률 분쟁은 통상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사안에 따라 매우 큰 규모의 분쟁이 될 경우 큰 규모의 소송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법률위반으로 인한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지속적으로 회사의 영업활동에 관련된 법률검토 및 법률자문을 받고 있으며 담당 임직원에 대한 법률적 내부통제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너. 임직원의 위법행위 발생 가능성 위험 당사는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 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있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보장할 수는 없으므로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투자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 시 동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7,848,110주 중 35.30%에 해당하는 6,300,000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입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3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06%에 해당하는 189,000주, 6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7.66%에 해당하는 3,152,636주, 12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22.93%에 해당하는 4,093,156주, 18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21.28%에 해당하는 3,797,858주 그리고 24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77%에 해당하는 315,460주가 추가적으로 의무보유기간 만료에 따라 매도 가능 물량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이 매도 가능 물량으로 인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증권신고서 효력발생 의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내용의 변경 가능성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 심사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다. 투자자의 독자적 판단요구 투자자께서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 판단을 해서는 안 됩니다.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의 투자위험요소를 검토하시어 투자자 여러분의 독자적인 투자 판단을 해야 함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공모가격 이하 매각 시 투자손실 위험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적이 없으며 금번 상장을 통해 최초 거래되는 것입니다. 또한,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된 동 주식의 공모가격은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 시장에서 거래된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아니며, 금번 공모 이후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은 하락할 수 있고, 상장 후 공모가격이하로 매각 할 시, 투자자는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재매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 관련 사항 2009년 02월 04일 부로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에 의거, 일반투자자들은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 받아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바. 공모가 산정 및 결정 방식의 한계에 따른 위험 동사의 희망 공모가액은 유사회사의 PER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지만,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최 종 선정된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주요 판매 제품의 종류 및 비중, 주요 사업지역, 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성장성 등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 시 활용된 변수들은 별도 외부전문기관의 평가 등을 받지 아니한 당사의 자체적인 추정이며, 그 완결성이 보장되지 아니합니다. 동사는 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총 3개사를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3개사가 동사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매출 구성 측면에서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그 외에 비교기업 최고경영자의 경영능력 및 주가관리 의지, 매출의 안정성 및 기타 거래계약, 결제 조건 등 기타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주식의 공모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가격결정이 가능합니다.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청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할 주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아. 환매청구권 및 초과배정옵션 미부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일반청약자에게 "공모가격의 90% 이상에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Back Option)"가 부여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번 공모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않기 때문에 이에 따른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 "초과배정옵션"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에 따른 일반청약자 배정분 변경 위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 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서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의 변경에 따른 위험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방안"에 의거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 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일반청약자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 해당 청약방식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청약자가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약증거금 50% 징수에 따라 추가 납입 및 청약증거금의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 기준 변경에 따른 위험 2023년 04월 27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 초과 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 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타. 미래 예측 진술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는 향후 사건에 대한 당사 경영진의 현재 시점(내지 별도 시점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시점)의 예상을 담은 미래 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 예측 진술은 실제로는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요인 및 불확실성에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망 수치들은 시장의 추세 및 당사의 영업환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기타 불확실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의 작성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미래 예측적 서술에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파. 상장요건 일부 미충족시 거래 제약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모의 방법으로 실시됩니다. 금번 공모 후 동사가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필요한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매매를 개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월 이내인 2025년 06월 18일까지 신규상장신청 미완료 등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동사의 주식을 취득하는 투자자는 주식의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동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거. 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189,000주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너. 집단소송위험 증권 관련 집단소송을 허용하는 국내 법규로 인해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동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 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5월 22일(목) ~ 2025년 05월 23일(금)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러.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홍영철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11,359,110주(상장예정주식수의 63.64%)를 보유 하게 됩니다.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동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의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머. 신규상장종목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 미적용에 대한 위험 2021년 10월 18일부터 신규상장종목 상장일에 변동성완화장치(VI)를 적용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버. 증권신고서 정정 위험 본 증권신고서(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 (이하 "투자설명서"))의 효력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습니다 . 또한, 본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상의 발행 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 발생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서. 수요예측에 참여 가능한 기관투자자 범위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 시 「증권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기관투자자만 참여가 가능하므로 투자자께서는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어.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 가능성 동사는 금번 공모 시 산업 및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기준 등을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비교 참고회사 선정기준의 임의성 및 기타 증권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해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저. 수요예측에 따른 공모가격 결정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처. 공모주식수 변경 위험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효력발생시기의 특례 등) 제2항제1호에 따라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커. 신규상장일 기준가 산정방식 및 가격제한폭 변경 2023년 06월 26일부터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종목의 신규상장일 기준가격이 기존 '공모가격의 90~200% 내에서 호가를 접수하여 결정된 시가'에서 '공모가격'으로 변경되어, 신규상장일 가격제한폭은 기존 '기준가격 대비 ±30%'에서 '기준가격(공모가격)의 60~400%'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일 당사 주식의 장중 가격 변동이 기준가격 대비 60%~400% 수준까지 발생할 수 있음에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터. 투자위험요소 기재내용 이외 위험요소 존재 위험 동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과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과 중국간 갈등 심화, 트럼프 정부 취임 후 보호무역 주의 강화 등 여러 위기 요소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2024년 12월 3일 계엄 후 정치적 불확실성 세계 경제 및 국내외 정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이 존재 하는 바,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퍼. 상장폐지 관련 위험 당사의 주권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 및 제56조의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허. 결산일 이후 최근 재무정보 관련 위험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발행회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으로 판단되나, 발행회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해서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0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 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동사는 2024년 온기 회계기간에 대한 재무제표의 감사 이후, 감사(검토) 받지 않은 동사 자체결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월에 매출액 4,794(백만원), 영업이익 446(백만원)을 시현했고, 2025년 2월에 매출액 5,928(백만원), 영업이익 597(백만원)을 시현했고, 2025년 3월에 매출액 6,378(백만원), 영업이익 770(백만원)을 시현했습니다. 다만, 상기 자체 결산 실적은 향후 감사(검토) 과정에서 확정 실적과의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동사의 실적 악화에 따른 주가 하락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가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한 사항 외에 당사가 인지하고 있는 당사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전까지 당사의 재무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영업환경 변동 전망에 관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고. 소수주주권 행사로 인한 소송위험 소수주주의 소수주주권 행사로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노. 재무제표 심사 진행관련 위험 동사는 한국공인회계사로부터 2024년 12월 5일자로 제32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에 대한 심사 착수 관련 안내를 받았으며, 2025년 2월 26일 기준 해당재무제표 심사는 종결되었습니다. 당사는 재무제표 심사 과정에서 발견된 특이사항이 없으며, 타당한 근거에 의해 그 이유가 소명되어 심사업무가 종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재무제표 심사 종결이 당사의재무제표의 재무정보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 가액 | 모집(매출) 총액 | 모집(매출) 방법 |
---|---|---|---|---|---|
보통주 | 6,300,000 | 500 | 3,100 | 19,53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주선) 여부 | 지분증권 등 상장을 위한 공모여부 | ||
---|---|---|---|
인수 | 예 | 코스닥시장 | 신규상장 |
인수(주선)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6,300,000 | 19,530,000,000 | 804,636,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년 05월 22일 ~ 2025년 05월 23일 | 2025년 05월 27일 | 2025년 05월 22일 | 2025년 05월 27일 | - |
청약이 금지되는 공매도 거래 기간 | |
---|---|
시작일 | 종료일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시설자금 | 6,116,527,928 |
운영자금(연구개발) | 7,178,442,472 |
발행제비용 | 930,929,600 |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 ||
---|---|---|
행사대상증권 | 행사가격 | 행사기간 |
- | -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고려제강(주) | 관계회사 | 866,120 | 866,120 | - |
홍덕산업(주) | 관계회사 | 3,167,130 | 1,033,880 | 2,133,250 |
일반청약자 환매청구권 | ||||
---|---|---|---|---|
부여사유 | 행사가능 투자자 | 부여수량 | 행사기간 | 행사가격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기 타】 | - |
주1) | 단위당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인수대가는 키스트론㈜의 제시 공모희망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 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단위: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6,300,000 | 500 | 3,100 | 19,53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6,300,000 | 19,530,000,000 | 804,636,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05.22 ~ 2025.05.23 | 2025.05.27 | 2025.05.22 | 2025.05.27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참고 목적으로 희망공모가액 최고가액인 3,600원 기준 금번 공모의 모집(매출)총액은 22,680,000,000원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과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4년 10월 18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4년 12월 19일 )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 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금번 키스트론 주식회사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4,400,000주(공모주식의 69.84%), 구주매출 1,900,000주(공모주식의 30.16%)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공 모 대 상 | 주식수 (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6,3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6,300,000주(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자 유형군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1,575,000 ~ 1,890,000 | 25.0% ~30.0% | 3,100원 | 4,882,500,000원 ~ 5,859,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4,410,000 ~ 4,725,000 | 70.0% ~ 75.0% | 13,671,000,000원 ~ 14,647,5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6,300,000 | 100.0% | 19,53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하는 경우 공모주식의 20%에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수량을 제외한 주식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모 집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4,4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4,400,000주(100.0%) | - |
【모집 세부내역】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 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1,100,000 ~ 1,320,000 | 25.0% ~30.0% | 3,100원 | 3,410,000,000원 ~ 4,092,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3,080,000 ~ 3,300,000 | 70.0% ~75.0% | 9,548,000,000원 ~ 10,23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4,400,000 | 100.0% | 13,640,000,000원 | - |
주1)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 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 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 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3,100원으로서 청약일 전에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그리고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7)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매출방법 : 일반공모】 |
매 출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1,9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1,900,000주(100.0%) | - |
【매출 세부내역】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매출 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475,000 ~ 570,000 | 25.0% ~30.0% | 3,100원 | 1,472,500,000원 ~ 1,767,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1,330,000 ~ 1,425,000 | 70.0% ~75.0% | 4,123,000,000원 ~ 4,417,5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900,000 | 100.0% | 5,890,000,000원 | - |
주1) | 금번 매출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2) | 금번 매출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 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 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매출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3,100원으로서 청약일 전에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그리고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7) | 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 위탁의 내용 및 조건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 |
---|---|---|---|
키스트론(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 | 매출 주주 고려제강㈜ 의 보유주식 866,120 주를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866,120주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 |
매출 주주 홍덕산업㈜의 보유주식 1,033,880주를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1,033,880주 | ||
합계 | 1,900,000주 |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단위: 주)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증권의 종류 | 매출 전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주1) | 매출후보유증권수 |
---|---|---|---|---|---|
고려제강 ㈜ | 관계회사 | 기명식보통주 | 866,120 | 866,120 | - |
홍덕산업 ㈜ | 관계회사 | 기명식보통주 | 3,167,130 | 1,033,880 | 2,133,250 |
합 계 | 4,033,250 | 1,900,000 | 2,133,250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상장주선인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189,000주 | 3,100원 | 585,900,000원 | - |
합계 | 189,000주 | 585,9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 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격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통하여 개별 통보(부득이한 경우 유선 Fax 및 E-mail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는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공모희망가액 | 3,100원 ~ 3,6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결정할 예정입니다. |
수요예측 결과 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상기 도표에서 제시한 주당 공모희망가액 범위는 키스트론㈜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공모희망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공모희망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1) 수요예측 공고 및 수요예측 일시
구 분 | 내 용 | 비 고 |
공고 일시 | 2025년 05월 12일 (월) | 인터넷 공고 (주1) |
기업 IR |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 (주2) |
수요예측 일시 |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 - |
문의처 | - 신한투자증권㈜ (☎ 02-3772-4167, 4072) | -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05월 12일(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본 공모와 관련한 기업 IR 시간 및 장소는 추후 통지할 예정입니다. |
주3) | 수요예측 마감시각은 한국시간 기준 2025년 05월 16일(금) 17:00 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수요예측 마감시각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 정정 및 취소가 불가능하오니 접수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4)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일정에 따라서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 참가자격(가) 기관투자자"기관투자자"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의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① 집합투자회사등(「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를 말한다)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 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 제8호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에 따르면,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의 청약자의 주금 납입능력 확인 절차가 필요하며, 이는 확약서를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수요예측 등에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 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는 점을 고려할 시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을 수행함에 있어「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3제1항 제1호 및 제2호의 방법을 활용하여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 수요예측을 진행할 예정이며, 주금납입능력 확인 방법은 하기와 같습니다..
[제5조의3 (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 |
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 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 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 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 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 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 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 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시 제1항 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 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 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 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 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 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기관투자자 주금납입능력 확인방법] |
주관사 | 구분 | 내용 |
---|---|---|
신한투자증권 |
국내기관투자자 해외기관투자자 (표준방법) |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의 재산에 따라 고유재산은 자기자본(직전 분기말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 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 금액), 위탁재산은 참여 건(계좌)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을 확인 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가 '확인대상'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수요예측 참여 화면에 입력.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한 참여금액으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없도록 전산 상 제한되어 있음 2.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참여 프로세스 내 '주금납입능력 확인 등 관련 확약서'를 출력하여 대표이사 서명 또는 기명날인 후 주관회사 메일로 제출 3.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 확인 등 관련 확약서에 기재된 자기자본 또는 자산총액 합계액을 기준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 |
해외기관투자자 (대체방법) |
신한투자증권㈜의 기관고객그룹(S&T 그룹)을 통해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비거주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는 자기자본과 위탁재산이 구분 공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수요예측 참여 의사결정자와 서명권자가 상이한 지역에 근무하여 시차에 따른 업무 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다음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한다. 1. 미 증권거래법 144A에 따른 Qualified Institutional Buyer(이하.QIB)의 지위에 있는 투자자인 경우 해당 내역을 증빙하는 확약서 수취 시, 위탁자산에 한하여 당해 분기의 주금납입능력을 USD 1억불로 간주한다. 2. 주요 해외 국부펀드 등으로부터 직접 수요예측 참여의사를 받은 경우, 1호의 QIB에 준하여 별도의 서명날인 없이 주금납입능력을 USD 1억불로 간주한다. 3. 1호와 2호에 해당하지 않거나, USD 1억불 이상으로 수요예측 참여를 희망하는 비거주외국인 투자자의 위탁자산의 경우, 직전분기 말 기준 기관투자자의 총 운용자산의 합계를(AUM) 확약서에 기재하고 이를 당해 분기의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한다. 4. QIB를 포함한 비거주 외국인 투자자의 자기자본분 참여의 경우 최근 분기 납입자본금을 당해분기 주금납입능력으로 간주한다. 5. 1호와 3호 또는 4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수요예측 참여자 혹은 적법한 서명권자가 유관부서에서 제시하는 양식에 서명한 대체확약서(*)에 기재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6. 해외국부펀드 리스트는 기관고객그룹(S&T 그룹)과 GIB 그룹의 협의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대체확약서"란 외국인 기관투자자 본인이 QIB의 지위 여부, 고유재산의 경우 자기자본, 위탁재산의 경우 총 운용자산(Asset Under Management) 등을 기재하여 본인의 주금납입 확인하고, 적법한 서명권한을 가진 의사결정자가 서명한 후 제출한 서류입니다.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 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24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해당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은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3조(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에 대한 과세특례) 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요건을 갖출 것 가. 공모집합투자기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8항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중 같은 조 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인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 2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사채 중 같은 법 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에 해당하는 사채(이하 이 조에서 “단기사채”라 한다)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나. 공모집합투자기구가 아닌 투자신탁등의 경우: 신용등급이 A+, A 또는 A-(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2+, A2 또는 A2-)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15 이상이고, 신용등급이 BBB+ 이하(단기사채의 경우에는 A3+ 이하)인 사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일 것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 주1)제91조의15(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① 거주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 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을 일정 비율 이상 편입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에 2017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하는 경우 1명당 투자금액 3천만원(모든 금융회사에 투자한 투자신탁 등의 합계액을 말한다) 이하인 투자신탁 등에서 받는 이자소득 또는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소득세법」 제14조제2항에 따른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하지 아니한다.「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주2)제93조(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대한 과세특례) ①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채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35조의3에 따라 신용평가업인가를 받은 자(이하 이 조에서 "신용평가업자"라 한다) 2명 이상이 평가한 신용등급 중 낮은 신용등급이 BBB+ 이하[「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59조에 따른 단기사채등(같은 법 제2조제1호나목에 따른 권리에 한정한다.)의 경우 A3+ 이하]인 사채권(이하 이 조에서 "비우량채권"이라 한다)을 말한다. ②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주권"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제2항에 따른 코넥스시장에 상장된 주권(이하 이 조에서 "코넥스 상장주식"이라 한다)을 말한다. ③ 법 제91조의15제1항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투자신탁 등"이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이하 이 조에서 "투자신탁등"이라 한다)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한다. 1. 해당 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부터 매 3개월마다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일 것. 이 경우 "평균보유비율"은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 국내채권 각각의 평가액이 투자신탁등의 평가액에서 차지하는 매일의 비율(이하 이 조에서 "일일보유비율"이라 한다)을 3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로한다. 2. 국내 자산에만 투자할 것 |
주1) |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 참고 |
주2) |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 참고 |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제1항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이하 같다)을 말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제1항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자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 |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벤처투자조합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 ① 거주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를 하는 경우에는 2022년 12월 31일까지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의 100분의 10(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해당하는 출자 또는 투자의 경우에는 출자 또는 투자한 금액 중 3천만원 이하분은 100분의 100, 3천만원 초과분부터 5천만원 이하분까지는 100분의 70, 5천만원 초과분은 100분의 30)에 상당하는 금액(해당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의 100분의 50을 한도로 한다)을 그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제3항의 경우에는 제1항제3호ㆍ제4호 또는 제6호에 따른 기업에 해당하게 된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를 말한다)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거주자가 출자일 또는 투자일이 속하는 과세연도부터 출자 또는 투자 후 2년이 되는 날이 속하는 과세연도까지 1과세연도를 선택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공제시기 변경을 신청하는 경우에는 신청한 과세연도의 종합소득금액에서 공제)한다. 다만, 타인의 출자지분이나 투자지분 또는 수익증권을 양수하는 방법으로 출자하거나 투자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벤처투자조합, 신기술사업투자조합 또는 전문투자조합에 출자하는 경우 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의 수익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3. 개인투자조합에 출자한 금액을 벤처기업 또는 이에 준하는 창업 후 3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이하 이 조 및 제16조의5에서 “벤처기업등”이라 한다)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투자하는 경우 4.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벤처기업등에 투자하는 경우 5.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투자하는 경우 6.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7조의10에 따라 온라인소액투자중개의 방법으로 모집하는 창업 후 7년 이내의 중소기업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업의 지분증권에 투자하는 경우)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14조(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등에의 출자 등에 대한 소득공제) ①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다음 각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이하 이 조에서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 한다)을 말한다. 1.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2.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3.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추가)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제1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않은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4.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참여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투자일임회사 등]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2(투자일임회사 등의 수요예측등 참여 조건) ①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다만,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제1호 및 제4호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1.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2.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3.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5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4.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1.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2.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③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재산 또는 고유재산으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경우 각각 제1항 또는 제2항의 조건이 모두 충족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 및 이를 증빙하기 위하여 대표주관회사가 요구하는 서류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 ④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다. ⑤ 제1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신탁회사에 준용한다. 이 경우 "투자일임회사"는 "신탁회사"로, "투자일임계약"은 "신탁계약"으로, "투자일임재산"은 "신탁재산"으로 본다. ⑥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에 준용한다. 이 경우 "투자일임회사"는 "집합투자회사"로, "투자일임업"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으로, "투자일임재산"은 "집합투자재산"으로 본다. ⑦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제2조제18호의 요건이 모두 충족됨을 확인하여야 한다 |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마목, 사목 및 아목에 따른 투자자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동 서류와 관련하여 추가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청약금액의 1%)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나) 참여 제외대상다음에 해당하는 자는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①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의한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 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②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규정에 의한이해관계인을 말하며, 동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은 제외한다.③ 본 건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④ 대표주관회사가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로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4항에 의거 금번 공모 이전에 실시한 공모에서 아래와 같은 사유로 수요예측일 현재 한국금융투자협회 홈페이지에 "불성실 수요예측참여자"로 분류되어 제재기간 중에 있는 기관투자자⑥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⑦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항부터 제6항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제10조의3(환매청구권)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한 후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4항에 의거"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는 경우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수요예측의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제한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1항 및 2항에 따라 다음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불성실 수요 예측참여자] |
제17조의2(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관리) ① 기업공개 또는 무보증사채 공모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로 본다. 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식 또는 무보증사채를 배정받은 후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청약 후 주금 또는 무보증사채의 납입금을 납입하지 아니한 경우. 2. 기업공개시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의무보유를 확약하고 주식을 배정받은 후 의무보유기간 내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이 경우 의무보유기간 확약의 준수여부는 해당기간 중 일별 잔고를 기준으로 확인하며, 의무보유 확약의 준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대표주관회사의 자료 제출 요구에 허위자료를 제출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불응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기간 확약을 준수하지 않은 것으로 본다. 가. 해당 주식을 매도 등 처분하는 행위 나. 해당 주식을 대여하거나, 담보로 제공 또는 대용증권으로 지정하는 행위 다. 해당 주식의 종목에 대하여 법 제180조제1항제2호에 따른 공매도를 하는 행위. 이 경우 일별 잔고는 공매도 수량을 차감하여 산정한다.(이하 이 항 및 <별표 1>에서 같다) 라. 그 밖에 경제적 실질이 가목부터 다목에 준하는 일체의 행위 3.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면서 관련정보를 허위로 작성ㆍ제출하는 경우 4.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주식을 투자자에게 매도함으로써 법 제11조를 위반한 경우 5.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 부동산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가 제5조의2 제1항부터 제6항까지를 위반하여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경우 6.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신탁계약이 설정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탁계약이 해지(신탁계약기간이 3년 이상인 집합투자기구의 신탁계약기간 종료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 7. 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이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후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내에 환매되는 경우 8.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1년 이내에 해지되거나, 공모주식을 배정받은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지(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만기일 전 3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되는 경우 9. 기업공개시 수요예측등참여금액이 제5조의3제1항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10. 그 밖에 인수질서를 문란하게 한 행위로서 제1호부터 제9호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 ② 제15조의2에 따라 투자자 재산 운용업무가 이관된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제1항제2호에서 정하는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행위를 한 것으로 본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의무보유기간 준수를 위하여 상당한 주의를 하였음을 증명한 경우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이관회사가 제15조의2제2항을 위반하고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이관회사 2. 이관회사가 제15조의2제2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 관련 정보를 충실히 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수관회사가 제15조의2제3항을 위반하여 의무보유기간 내에 제1항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경우 그 수관회사 |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의 정보관리에 관한 사항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2에 의거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불성실 수요예측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한국금융투자협회에 통보하며(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 제1항 제4호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해당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에 대한 정보 및 제재사항 등을 기재한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등록부를 작성하여 관리하고 신한투자증권㈜의 인터넷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 다음 각호의 내용을 게시할 수 있습니다. 1. 사업자등록번호 및 외국인투자등록번호 2.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의 명칭 3. 해당 사유가 발생한 종목 4. 해당 사유 5. 해당 사유의 발생일 6. 기타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
【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 제재사항 】 |
---|
불성실수요예측등 참여 행위의 동기 및 그 결과를 고려하여 일정기간 수요예측 등 참여 제재(미청약ㆍ미납입과 의무보유 확약위반 행위에 대한 제재기준을 분리ㆍ적용) |
적용 대상 | 위반금액 | 수요예측 참여제한기간 | |
---|---|---|---|
정의 | 규모 | ||
미청약ㆍ미납입 | 미청약ㆍ미납입 주식수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5천만원 당 1개월씩 가산 * 참여제한기간 상한 : 24개월 |
1억원이하 | 6개월 | ||
의무보유 확약위반 | 의무보유 확약위반 주식수 주1)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 *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 초과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1억원 초과 | 6개월 + 1억원을 초과하는 위반금액 1.5억원 당 1개월씩 가산 * 참여제한 기간 상한 : 12개월 |
1억원 이하 | 6개월 | ||
수요예측등 정보 허위 작성ㆍ제출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법 제11조 위반 대리청약 | 대리청약 처분이익 |
미청약ㆍ미납입과 동일 * 참여제한기간 상한 : 12개월 |
|
투자일임회사등 수요예측등 참여조건 위반 | 배정받은 주식수 X 공모가격 | 미청약,미납입과 동일 * 참여제한기간 상한 : 6개월 | |
벤처기업투자신탁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환매금지 위반 | 12개월 X 환매비율 주2) |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해지금지 위반 | 12개월 이내 금지 | ||
기타 인수질서 문란행위 | 6개월 이내 금지 |
주1) | 의무보유 확약위반 주식수: 의무보유확약 주식수와 의무보유확약 기간 중 보유주식수가 가장 적은 날의 주식수와의 차이 | ||||||||||||||||
주2) | 사모 벤처기업투자신탁 환매비율: 환매금액 누계/(설정액 누계 - 환매외 출금액 누계) | ||||||||||||||||
주3) | 가중: 해당 사유발생일 직전 2년 이내에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된 사실이 있는 자에 대하여는 100분의 200 범위 내 가중할 수 있으며,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 지정횟수(종목수 기준이며, 해당 지정심의건을 포함)가 2회인 경우 100분의 50, 3회 및 4회인 경우 100분의 100, 5회 이상인 경우 100분의 200을 가중할 수 있음. 다만 수요예측등 참여제한 기간은 미청약·미납입 및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의 주금납입능력 초과의 경우 36개월, 기타의 경우 24개월을 초과할 수 없음 | ||||||||||||||||
주4) |
감면:
|
||||||||||||||||
주5) |
제재금 산정기준:
|
||||||||||||||||
주6) | 가중ㆍ감경 사유가 경합된 때에는 가중 적용 후 감경을 적용(다만, 주4)의 2)에 따른 감경은 다른 가중ㆍ감경 보다 우선 적용)하고 감경적용 후 월 단위 미만의 참여제한기간은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함 | ||||||||||||||||
주7)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를 같은 날에 개최되는 위원회에서 심의하는 경우 참여제한기간이 가장 긴 기간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기준으로 가중을 적용하고 해당 사유 발생일은 최근일을 기준으로 함 | ||||||||||||||||
주8) | 동일인에 의한 두 건(종목 수 기준) 이상의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행위에 대하여 일부 건에 대한 제재를 위원회에서 의결하고, 해당 의결일 이전에 발생한 나머지 건에 대한 제재를 이후에 의결하는 경우 제재의 합은 주7)의 기준에 따라 산정된 제재와 동일하여야 함 |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기관투자자 | 4,410,000주 ~ 4,725,000주 | 70.0%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6,3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2) | 일반청약자 배정분 1,575,000주~1,890,000주(25.0%~30.0%) 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4) 수요예측 참가 신청수량 최고 및 최저한도
수요예측 참여자 | 최고한도 | 최저한도 |
기관 투자자 |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신청 가격으로 나눈주식수 및 4,725,000주 (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적은 수량 | 1,000주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는 물량 배정시 '참여가격, 참여시점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투자성향, 공모 참여실적, 의무보유 확약여부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물량 배정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해서는 최대 수요예측 참여수량 전체에 해당하는 물량이 배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 참여시 이러한 사항을 각별히 유의하여 반드시 각 수요예측 참여자는 소화할수 있는 실수요량 범위 내에서 수요예측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을 확약할 수 있습니다. |
주3)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최고한도는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이 75.0%인 경우를 가정한 주식수입니다. |
(5) 수요예측 참가 수량단위 및 가격단위
구 분 | 내 용 |
수량단위 | 1,000주 |
가격단위 | 100원 |
주1) | 금번 수요예측 시,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수량 혹은 총 참여금액만 제시하는 참여방법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가격, 수량 및 참여금액을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
(6) 수요예측 참여방법
구 분 | 내 용 |
접수기간 |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
접수시간 | 09 : 00 ~ 17 : 00 (한국시간기준) |
접수장소 |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www.shinhansec.com) |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 |
문 의 처 | 신한투자증권(주) (☎ 02-3772-4167, 4072) |
주1)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해 인터넷 접수를 받으며, 서면으로는 접수 받지 않습니다. 다만,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 문제로 인해 인터넷 접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보완적으로 fax, e-mail 등의 방법에 의해 접수를 받습니다. |
주2)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인터넷 접수 관련한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인터넷 접수방법 】 |
① 홈페이지 접속: www.shinhansec.com⇒GIB⇒ECM⇒IPO⇒수요예측⇒수요예측 참여 ② Log in: 사업자등록번호(해외기관투자자의 경우 투자등록번호) 신한투자증권㈜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입력 ③ 참여기관투자자 기본정보 입력(또는 확인) 후 수요예측 참여 ④ 수요예측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참여 이전까지 신한투자증권㈜에 본인 명의의 위탁계좌가 개설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집합투자재산과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 신탁재산을 구분하여 접수해야하며, 접수 시 각각 개별 계좌로 참여해야 합니다. ⑤ 수요예측 참여 내역은 수요예측 마감시간 이전까지 정정 또는 취소가 가능하며, 최종 접수된 참여내역만을 유효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⑥ 집합투자회사의 경우 집합투자재산과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 신탁재산을 구분하여 접수하셔야 하며, 집합투자재산의 경우 펀드별 참여내역을 통합하여 참여하셔야 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후 물량배정시 당해 집합투자재산과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 신탁재산을 구분하여 배정하며, 집합투자재산의 펀드별 물량 배정은 각각의 집합투자회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기준에 의해 자율적으로 배정하여야합니다. ⑦ 기관투자자가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정하는 소정의 양식에 의한 "수요예측참여 집계표" 파일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의 2항에 따른 요건충족을 확약하는 확약서" 파일을 수요예측전산시스템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email address인 ipo@shinhan.com으로 수요예측 종료일까지 추가적으로 송부해야 합니다. ※ 파일 제목 형식 : 키스트론_기관투자자명_접수날짜 ⑧ 기관투자자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수요예측 전산시스템에서 확약서 등의 대표주관회사가 정하는 소정의 양식(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라는 확약서)을 수요예측 전산시스템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e-mail 주소인 ipo@shinhan.com으로 수요예측 종료일까지 추가적으로 송부해야 합니다. ※ 파일 제목 형식 : 키스트론_기관투자자명_접수날짜 ⑨ 기관투자자가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수요예측 전산시스템에서 확약서 등의 대표주관회사가 정하는 소정의 양식(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이라는 확약서)을 수요예측 전산시스템에서 다운로드 후 작성 및 날인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e-mail 주소인 ipo@shinhan.com으로 수요예측 종료일까지 추가적으로 송부해야 합니다. ※ 파일 제목 형식 : 키스트론_기관투자자명_접수날짜 ⑩ 기관투자자가 투자일임회사의 일임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한 수요예측 참여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1항의 각호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임을 입증할 수 있는 "투자자명, 투자자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 및 "투자일임회사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e-mail 주소인 ipo@shinhan.com으로 수요예측 종료일까지 추가적으로 송부해야 합니다. ※ 파일 제목 형식 : 키스트론_기관투자자명_접수날짜 ⑪ 기관투자자가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한 수요예측 참여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2항의 각호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임을 입증할 수 있는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e-mail 주소인 ipo@shinhan.com으로 수요예측 종료일까지 추가적으로 송부해야 합니다. ※ 파일 제목 형식 : 키스트론_기관투자자명_접수날짜 ⑫ 신탁회사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를 통한 수요예측 참여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 제1항의 각호에 해당하는 신탁회사임을 입증할 수 있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명, 신탁명, 신탁설정금액, 신탁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 및 "신탁회사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e-mail 주소인 ipo@shinhan.com으로 수요예측 종료일까지 추가적으로 송부해야 합니다. ※ 파일 제목 형식 : 키스트론_기관투자자명_접수날짜 ⑬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7) 수요예측 접수일시 및 방법
[국내외 기관투자자] |
구 분 | 내 용 |
---|---|
접수기간 |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
접수시간 | 09 : 00 ~ 17 : 00(한국시간기준) |
접수장소 |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www.shinhansec.com) |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도 동일) |
문의처 | 신한투자증권㈜ (☎ 02-3772-4167, 4072)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을 확약할 수 있습니다. |
주2) | 수요예측 마감시각은 한국시간 기준 오후 5시임을 염두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3) | 상기 일정은 추후 공모 및 상장 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8) 기타 수요예측 참여와 관련한 유의사항 ① 수요예측 마감시간 이후에는 수요예측 참여/정정/취소가 불가하오니 접수 마감시간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② 모든 수요예측 참가자는 수요예측 인터넷 참여 이전까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 본인 명의의 위탁 계좌를 개설하여야 합니다. ③ 참가신청금액이 각 수요예측참여자별 최고 한도를 초과할 때에는 최고 한도로 참가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④ 수요예측 참여 시 입력(또는 확인)된 참여기관의 기본정보에 허위의 내용이 있을 경우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하며,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관리합니다. 다만, 불성실 수요예측 등 참여 행위의 원인이 단순 착오나 오류에 기인하거나 금융투자협회 정관 제41조에 따라 설치된 자율규제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에게 제재금 또는 금전의 납부를 부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의 고유재산에 한하여 수요예측 참여 제한기간을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투자신탁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는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투자신탁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는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⑤ 집합투자회사가 통합신청하는 각 펀드의 경우 수요예측일 현재 약관승인 및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 한합니다. 또한, 동일한 집합투자업자의 경우 각 펀드별 수요를 취합하여 1건으로 통합신청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한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펀드별 참여내역을 기관투자자 명의 1건으로 통합하여 참여하여야 하며, 동일한 가격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합니다. 해당 펀드의 종목별 편입한도, 만기일 등은 사전에 자체적으로 확인한 후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해당 투자신탁의 가입자가 인수회사 또는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인지 여부를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투자신탁이 공모주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도록 조치하여야 합니다. ⑦ 수요예측 인터넷 접수를 위한 "사업자(투자)등록번호, 위탁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관리의 책임은 전적으로 기관투자자 본인에게 있으며, "사업자(투자)등록번호, 위탁 계좌번호 및 계좌 비밀번호" 관리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에 대한 책임은 당해 기관투자자에게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⑧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가격을 제시하지 않고, 수량 혹은 총 참여금액만 제시하는 참여방법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가격, 수량 및 참여금액을 반드시 제시하여야 합니다. 다만,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⑨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에 대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 바목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투자신탁 등에 대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18호 및 제19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가 투자일임재산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 여부, 제9조제4항에 따른 이해관계인 여부,수요예측 참여일 현재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 여부와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 경과여부 및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투자일임회사가 고유재산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 경과 및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인지 여부 또는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이 300억원 이상인 지를 해당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확약서 등의 소정의 양식에 의거하여 판단합니다. 동 사항에 대해 허위 및 과실로 제출하였을 경우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에 해당 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⑩ 기관투자자 또는 일반청약자 대상 배정물량 중 미청약된 배정물량에 대해서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받기 희망하는 기관투자자가 있는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 중 추가청약할 수 있습니다. 상기 배정의 결과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정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판단하여 배정에 대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⑪ 수요예측 참가 시 의무보유 확약기간을 미확약,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로 제시가 가능합니다. ⑫ 수요예측 참가시 의무보유 확약을 한 기관투자자의는 의무보유확약기간 종료 후 1주일 이내에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 의무보유확약 기간 동안 동 주식의 거래가 없었음을 증명하여야 합니다. 이때 제출하지 않은 기관투자자는 '불성실수요예측참여자'로 지정되어 일정기간(불성실 수요예측 발생일 이후 6개월부터 12개월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또한 펀드만기가 의무보유확약기간에 미치지 못해 매도를 하는 경우에도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하오니 기관투자자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전에 해당 펀드의 만기를 확인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바랍니다. ⑬ 의무보유 확약기간은 결제일 기준이 아니므로 의무보유 확약기간 종료일 익일부터 매매가 가능하며, 잔고증명서 및 매매내역서는 동 기준에 근거하여 제출하시길 바랍니다. ⑭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청약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 수수료를 수요예측을 접수한 신한투자증권㈜ 에 입금해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⑮ 대표주관회사는 주식시장 상황, 수요예측 참여현황, 수요예측 참여방법 및 절차 준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부 수요예측 운영기준에 따라 배정기준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상세 내용은 수요예측참가 안내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6> 금번 공모시에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수요예측 시 동 규정 제2조 제8항에 따른 기관투자자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9)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합니다.
구분 | 주요내용 |
수요예측 결과 반영 여부 | 수요예측 참여기관의 참여가격 및 신청수량, 참여기관의 성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참고자료로 활용 |
공모가격 결정 협의절차 |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에 수요예측 결과를 제시하고,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공모가격에 대해 협의함 |
공모가격 최종결정 | 발행회사의 대표이사, 재무담당 임원과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함 |
주1) |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의 성향 및 가격평가능력 등을 감안하여 공모가격 결정 시 가중치를 달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참여가격은 공모가격 결정 시 배제하거나 낮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으며, 가격을 제시하지 않은 수요예측 참여자는 공모가격 결정시 제외됩니다. |
(10) 수량배정방법 확정공모가액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수요예측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참여가격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및 가격분석능력, 투자 및 매매 성향, 의무보유 확약기간, 공모 참여실적 등 수요예측에 대한 기여도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배정물량을 결정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는 집합투자회사에 대하여 물량 배정 시 집합투자재산, 고유재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투자일임재산, 벤처기업투자신탁, 신탁재산을 각각 구분하여 배정하며, 집합투자재산의 펀드별 물량 배정은 각각의 집합투자회사가 자체적으로 마련한 기준에 의해 자율적으로 배정하여야 합니다. 금번 수요예측시「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하며, 대표주관회사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자산총액의 20% 범위(자산총액은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하는 자료를 기준으로 함)내에서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참여시점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투자성향, 공모 참여실적, 의무보유 확약여부, 자기자본 규모 신뢰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대표주관회사가 가중치를 부여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합니다. 단,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7항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 ⑦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제4호 및 제2항제3호·제6호가목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매입 희망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이고,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동일한 경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별 배정 수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배정금액이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20(공모의 방법으로 설정·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은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이 경우 자산총액 및 순자산은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제4호 및 제2항제3호ㆍ제6호가목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매입 희망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이고, 의무보유확약기간이 동일한 경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별 배정 수량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하여야 하며, 배정금액이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20(공모의 방법으로 설정ㆍ설립된 고수익고위험투자신탁은 100분의 10)을 초과하여서는 아니된다. 이 경우 자산총액 및 순자산은 해당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1. 수요예측에 참여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순자산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2. 제1호의 방법에 따라 결정된 수량에 공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은 110%의 가중치를, 사모의 방법으로 설립된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투자일임재산 및 신탁재산을 포함한다)은 100%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수량을 산출한 후, 해당 조정수량의 크기에 비례하여 결정하는 방법 |
또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경우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환매가 금지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을 말한다)에 공모주식의 25%이상을 배정하며, 해당 투자신탁 자산총액의 100분의 10 이내 범위에서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참여시점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투자성향,공모 참여실적, 의무보유 확약여부, 자기자본 규모 신뢰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대표주관회사가 가중치를 부여하여 공모 주식을 배정합니다. 이 경우 자산총액은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제출한 자료를 기준으로 합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한편, 대표주관회사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 제1항에 따른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합니다.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 |
①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②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③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
(11) 수요예측대상 주식의 배정결과 통보 (가) 대표주관회사는 최종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을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 (www.shinhansec.com)에 게시합니다. (나) 기관별 배정물량은 수요예측 참여기관이 개별적으로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www.shinhansec.com 접속 ⇒ GIB ⇒ ECM ⇒ IPO ⇒ 수요예측 ⇒ 배정결과조회 」에 접속한 후 배정물량을 직접 확인하여야 하며, 이를 개별 통보에 갈음합니다. (12) 기타 수요예측 실시에 관한 유의사항 ①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② 상기와 같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추가 청약 후 잔여물량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③ 상기 배정의 결과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정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판단하여 배정에 대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④ 수요예측 참가 시 참가신청서를 허위로 작성 또는 제출된 참가신청서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하는 경우 수요예측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합니다.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보통주 6,3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3,100원 | |
확정가액 | 주1)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19,530,000,000원 | |
확정가액 | 주1) | ||
청약단위 | 주2)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5월 22일 (목) |
종료일 | 2025년 05월 23일 (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5월 22일 (목) | |
종료일 | 2025년 05월 23일 (금)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5월 27일 (화) |
주1) | 주당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과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2) |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4)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한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 2025년 05월 23일 (금) |
주4) | 청약증거금 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②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③ 일반청약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2025년 05월 27일)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2025년 05월 27일)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2025년 05월 27일)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5월 27일)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그 납입방식을 달리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 1) 기관투자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2) 일반청약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투자자(청약자)는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나. 모집 또는 매출의 절차 (1) 공 고 의 일자 및 방법
구 분 | 일 자 | 공고방법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2025년 05월 12일(월) | 인터넷 공고 주1) |
모집 또는 매출가액 확정의 공고 | 2025년 05월 20일(화) | 인터넷 공고 주2) |
청 약 공 고 | 2025년 05월 22일(목) | 인터넷 공고 주3) |
배 정 공 고 | 2025년 05월 27일(화) | 인터넷 공고 주4) |
주1) | 수요예측 안내공고는 2025년 05월 12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2) | 공모가액 확정공고는 2025년 05월 20일 정정 증권신고서 제출 및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홈페이지(http://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3) | 청약공고는 2025년 05월 22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4) | 배정공고는 2025년 05월 27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 게시함으로써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
주5) |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납 입일(2025년 05월 27일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마감일의 익영업일인 2025년 05월 26일 16:00 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 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되며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
주6) |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회사 및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청약 방법 (1) 청약의 개요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 일반청약자의 청약
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은 불가합니다. ※ 청약사무취급처: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대표주관회사의 일반투자자(청약자)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대표주관회사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 분 | 내 용 | ||||||||||||||||||
---|---|---|---|---|---|---|---|---|---|---|---|---|---|---|---|---|---|---|---|
청약자격 | - 청약일 초일의 전일까지 계좌를 개설한 고객 (청약기간내 영업점 창구 계좌개설 후 청약불가) - 비대면 개설 및 은행 제휴계좌는 청약일 종일까지 개설할 경우 청약가능 | ||||||||||||||||||
최고 청약한도 | - 일반고객(100%): 청약한도의 100% | ||||||||||||||||||
- 우대고객(2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00% | |||||||||||||||||||
- 우대고객(3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300% | |||||||||||||||||||
청약한도 우대기준 |
일반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청약한도의 100%, 우대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200% 또는300% 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청약 수수료 및 청약방법 |
- 청약수수료
- 신한 Tops Club은 3개월 총자산 평잔을 기준으로 4단계 등급으로 구분 (프리미어: 총자산 1억원 이상, 에이스 : 총자산 6,000만원 이상, 베스트 : 총자산 4,000만원 이상, 클래식 : 총자산 2,500만원 이상, 일반 : 2,500만원 미만)- 상기 청약수수료에 관한 등급은 신한투자증권 Tops Club 등급 뿐 아니라 신한금융그룹 슈퍼SOL 멤버십 등급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 경우 프리미어 이상 등급은 프리미어 등급과 같이 청약수수료가 면제됩니다.- 이전 3개월 주식(선물/옵션포함) 매매수수료 금액이 12만원 이상인 계좌 면제 * 계좌별 환불계좌 기준으로 환불일에 적용함. |
||||||||||||||||||
청약채널 구분 |
|
||||||||||||||||||
청약결과 배정방법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 (2) 배정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1) | 금번 청약은 중복청약 및 이중청약이 불가합니다. |
주2) | 신한투자증권㈜를 통해 청약하는 일반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납입일 (2025년 05월 27일)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5월 26일 오후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4)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신한투자증권㈜ | 1,575,000 ~ 1,890,000 | 주) | 50%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56,000주 ~ 186,000주(300%) 104,000주 ~ 124,000주(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52,000주 ~ 62,000주(100%) 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방법-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신한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50주 이상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200주 |
2,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50,000주 이하 | 1,000주 |
50,000주 초과 ~ | 2,000주 |
(5) 기관투자자의 청약
수요예측에 참가하여 주식을 배정받은 기관투자자는 배정받은 주식에 대한 청약(이하 "우선배정 청약" 이라 함)은 청약일인 2025년 05 월 22일 (목) ~ 2025년 05월 23일 (금) 양일간에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www.shinhansec.com)에서 청약하여야 하며,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인 2025년 05월 27일 (화) 08:00 ~ 12:00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수요예측에 참가한 기관투자자 중 수요예측 결과 배정받은 물량을 초과하여 청약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전체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 범위 내에서 추가 청약이 가능합니다. 또한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확정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 등은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또한, 청약일 종료 후 미청약된 물량에 대해서 배정전까지 기관투자자는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으며, 추가 청약된 물량의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청약사무 취급처
① 기관투자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② 일반투자자(청약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7) 청약이 제한되는 자
아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제4호 및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배정) ④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삭제)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8) 기타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 ~ 75.0% (4,410,000주 ~ 4,725,000주)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 ~ 30.0% (1,575,000주 ~ 1,890,000주)를 배정합니다. 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인수단 및 인수단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⑥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인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해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1,575,000주 이상 1,890,000주 이하를 배정할 예정으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787,500주에서 945,000주 이상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⑥ 비례배정 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수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수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수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3) 배정결과의 통지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각 청약자에 대한 배정내용 및 초과청약금의 환불 또는 미달청약금에 대한 추가납입은 2025년 05월 27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홈페이지(www.shinhansec.com) 공고로 개별통지에 갈음합니다. 기관투자자 및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등의 경우에는 수요예측을 통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내역과 청약내역이 다른 경우에 한하여 개별통지합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에 관한 사항 (1) 투자설명서의 교부 및 청약방법 2009년 2월 4일부로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4조에 의하면 누구든지 증권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아래에서 언급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함)에게 동법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본 주식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아야 합니다. 다만, (i) 동법 제9조 제5항의 전문투자자, (ii) 동법 시행령 제132조에 규정된 회계법인, 신용평가업자 등, (iii)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ㆍ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ㆍ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밖에 금융위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는 투자설명서의 교부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 (2) 투자설명서의 교부 방법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가 있는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32조에 의하여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투자자에게 동법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청약 전 교부할 예정입니다. 투자설명서 교부 후 투자자는 투자설명서 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청약기간에 각각의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① 본 청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은 후 교부확인서에 서명하여야 하며,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지 않고자 할 경우, 투자설명서 수령거부 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여야 합니다.② 투자설명서 교부를 받지 않거나, 수령거부 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 본 청약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가)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원하는 경우
[신한투자증권㈜ 투자설명서 교부 방법] |
청약방법 | 투자설명서 교부형태 |
지점내방 청약 | 주식청약서를 통한 투자설명서 수령확인서 작성(투자설명서 수령 혹은 거부 확인)후 청약 가능합니다. |
MTS/HTS/홈페이지 청약 | 공인인증서로 로그인 후 전자문서 수령절차에 따라 온라인 투자설명서 다운로드 확인 후 청약이 가능합니다 |
ARS/유선 청약 | 영업점 내방 및 홈페이지(www.shinhansec.com)를 통한 투자설명서 수령(다운로드) 후 청약가능합니다 |
(나)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32조 및 「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 제2-5조 제2항에 의거 투자설명서 교부를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인수단에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 전신,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의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하여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3)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의 주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거 금번 청약에 대한 투자설명서 교부 의무는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에 있습니다. 다만, 투자설명서 교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실제 투자설명서 교부는 청약취급처인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의 본/지점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합니다.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4조 (정당한 투자설명서의 사용) ①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한다)에게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집합투자증권의경우 투자자가 제123조에 따른 투자설명서의 교부를 별도로 요청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항제3호에 따른 간이투자설명서를 말한다. 이하 이 항 및 제132조에서 같다)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경우 투자설명서가 제436조에 따른 전자문서의 방법에 따르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 이를 교부한 것으로 본다. 1. 전자문서에 의하여 투자설명서를 받는 것을 전자문서를 받을 자(이하 "전자문서수신자"라 한다)가 동의할 것 2. 전자문서수신자가 전자문서를 받을 전자전달매체의 종류와 장소를 지정할 것 3. 전자문서수신자가 그 전자문서를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것 4.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면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동일할 것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32조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법 제1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1. 제11조제1항제1호다목부터 바목까지 및 같은 항 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1의2. 제11조제2항제2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자 2.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전신·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 3. 이미 취득한 것과 같은 집합투자증권을 계속하여 추가로 취득하려는 자. 다만, 해당 집합투자증권의 투자설명서의 내용이 직전에 교부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같은 경우만 해당한다. □ 금융투자회사의 영업 및 업무에 관한 규정 제2-5조(설명의무 등) 1. (생략) 2. 금융투자회사는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투자권유를 하는 경우에는 해당 일반투자자가 서명 또는 기명날인의 방법으로 설명서(제안서, 계약서, 설명서 등 명칭을 불문하며, 법 제123조제1항에 따른 투자설명서 및 집합투자증권의 경우 법 제124조제2항제3호에 따른 간이투자설명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의 수령을 거부(법 제123조제1항에 따른 투자설명서 및 법 제124조제2항제3호에 따른 간이투자설명서의 경우 영 제132조제2호의 방법으로 거부하는 경우를 포함한다)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투자설명사항을 명시한 설명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이하생략) |
바. 청약증거금의 대체, 반환 및 납입에 관한 사항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5월 27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 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대표주관회사 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주금납입기일(2025년 05월 27일)에 환불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2025년 05월 27일 08:00 ~ 12:00 사이에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 납입하여야 하며, 동 납입금액은 주금납입기일(2025년 05월 27일)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됩니다. ※ 국내 기관투자자 및 해외 기관투자자는 납입일에 배정된 금액의 1.0%에 해당하는청약수수료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 입금하여야 합니다. 청약수수료를 입금하지 않는 경우 미납입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대표주관회사는 청약자의 주금납입금을 납입기일에 납입합니다. 신주모집분에 대한 납입금은 신한은행 명동금융센터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사. 기타의 사항 (1) 신주의 배당기산일 본 공모에 의해 발행되는 신주의 배당기산일은 2025년 01월 01일 입니다. (2)주권교부에 관한 사항① 주권교부예정일 : 청약 결과 주식배정 확정시 대표주관회사에서 공고합니다.②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증권법')」이 2019년 9월 16일 시행되었으며, 전자증권법 시행 이후에는 상장법인의 상장 주식에 대한 실물 주권발행이 금지됩니다. 이에 당사는 금번 공모로 발행하는 주식의 실물 주권을 발행하는대신 전자등록기관에 주식의 권리를 전자등록하는 방법으로 주식을 발행할 예정입니다.따라서 주금을 납입한 청약자 또는 인수인은 계좌관리기관 또는 전자등록기관에 전자등록계좌를 개설하여야 하며, 해당 계좌에 주식이 전자등록되는 방법으로 주식이 발행될 예정입니다. 전자증권법 제35조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자는 해당 주식에 대하여 전자등록된 권리를 적법하게 가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3) 전자등록된 주식 양도의 효력에 관한 사항「전자증권법」 제35조 제2항에 따라 전자등록주식을 양도하는 경우 동법 제30조에 따른계좌간 대체에 대한 전자등록을 하여야 그 효력이 발생합니다. (4) 신주인수권증서에 관한 사항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기존 주주의 신주인수권을 배제한 일반공모 방식이므로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지 않습니다. (5) 정보이용제한 및 비밀유지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는 총액인수계약의 이행과 관련하여 입수한 정보 등을 제3자에게 누설하거나 발행회사의 경영개선 이외의 목적에 이용하여서는 아니됩니다. (6) 주권의 매매개시일주권의 신규상장 및 매매개시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일정이 확정되는 대로 한국거래소 시장공시시스템을 통하여 안내할 예정입니다.
(7)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 신청 승인에 관한 사항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4년 10월 18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4년 12월 19일 )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완료 후,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8) 환매청구권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환매청구권)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9) 기타 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효력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또는 예비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당해 유가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본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 중 일부가 청약일전까지 변경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
(단위: 주, 원)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 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 주1) | 인수조건 | |
명칭 | 주소 |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 의사당대로96 (여의도동, TP타워) | 기명식 보통주 6,300,000주(100.0%) | 19,53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3,100원~3,6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수료 제외) | 신한투자증권 | 804,636,000 | 인수금액 4.0% | 납입 이후 5영업일 이내 | 주3) | - | - | 주1)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성과수수료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2) |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
주3) |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상장주선인으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신한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189,000주 | 585,90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확정공모가격에 따라 의무인수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라. 환매청구권당사는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제1항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3(환매청구권)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 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공모예정금액(공모가격에 공모예정주식수를 곱한 금액)이 50억원 이상이고, 공모가격을 제5조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정하는 경우2.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3. 금융감독원의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공모가격 산정근거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4.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39호나목에 따른 사업모델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5.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41호의 요건을 충족하는 기업(이하 "이익미실현 기업"이라 한다)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② 인수회사가 일반청약자에게 제1항의 환매청구권을 부여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환매청구권 행사가능기간가. 제1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 상장일부터 1개월까지나. 제1항제4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6개월까지다. 제1항제5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2. 인수회사의 매수가격 : 공모가격의 90%이상. 다만,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 이상. 이 경우, 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또는 발행회사가 속한 산업별주가지수 중 대표주관회사가 정한 주가지수를 말한다.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③ 제1항제5호에도 불구하고 이익미실현 기업(외국 기업을 제외한다)의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을 주관하는 주관회사가 해당 이익미실현 기업의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3년 이내에 다른 이익미실현 기업의 코스닥시장 신규 상장을 주관한 실적이 있고, 자신이 상장을 주관한 이익미실현 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일부터 3개월간 종가가 제2항제2호에서 정하는 가격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는 경우 해당 주관회사는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아니할 수 있다.④ 제1항제5호에도 불구하고 상장예비심사신청일 이전 6개월간 코넥스시장에서의 일평균 거래량이 1,000주 이상이고,「코넥스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제22조제2항제2호나목에서 정하는 거래형성률이 80% 이상인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외국 기업을 제외한다)의 코스닥시장 이전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인수회사는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아니할 수 있다. |
마. 기타의 사항 (1) 회사와 인수인 간 특약사항당사는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와 체결한 총액인수계약일로부터 코스닥시장 상장 후 6개월 동안 대표주관회사의 사전 서면동의 없이는 주식 또는 전환사채 등 주식과 연계된 증권을 발행하거나 직ㆍ간접적으로 매수 또는 매도를 하지 않습니다.또한 당사의 최대주주 등 보호예수 대상자는 기제출한 계속보유확약서에 의거하여, 그 소유 주식을 계속보유확약한 기간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하며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인수, 합병 등 한국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이외에는 그 주식을 인출하거나 매각할 수 없으며, 보관 인출 또는 매각의 방법 및 절차 등에 관하여는 위 확약서에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2) 회사와 주관회사 간 중요한 이해관계 대표주관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6조(공동주관회사) 제1항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6조(공동주관회사)① 금융투자회사는 자신과 자신의 이해관계인이 합하여 100분의 5(제15조제4항제2호 단서의 경우에는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다른 금융투자회사(해당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에 해당하지 아니하면서 해당 발행회사의 주식등을 보유하고 있지 아니한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와 공동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기업의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2021. 6. 17> 1. 기업인수목적회사 2. 외국 기업(한국거래소의「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8호 및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조제1항제23호에 따른 외국기업과 주식등의 보유를 통하여 해당 외국 기업의 사업활동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국내법인을 말한다. 이하 같다) <개정 2018. 4. 19, 2018. 8. 31, 2022. 2. 24> ②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관하여는 법 시행규칙 제14조제1항을 준용한다. ③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에 따라 취득하는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코스닥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 및 「코넥스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지정자문인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계약의 효력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취득하는 코넥스시장 상장법인(코넥스시장 상장예정법인을 포함한다)이 발행하는 주식은 제1항에 따른 주식등의 보유비율 산정에 있어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한다. <개정 2022. 2. 24> ④ 제2항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또는 집합투자기구(이하 이항에서 “조합등”이라 한다)의 경우 출자자 또는 수익자가 해당 조합등에 출자 또는 투자한 비율만큼 조합등에서 보유한 주식등을 보유한 것으로 본다. <개정 2018. 8. 31, 2019. 8. 14> 1.「중소기업창업지원법」제2조제5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 2.「여신전문금융업법」제41조제3항에 따른 신기술사업투자조합 3.「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제4조의3에 따른 한국벤처투자조합 4. 법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사모집합투자기구 중 환매가 금지된 집합투자기구 <개정 2018. 8. 31, 2019. 8. 14> ⑤ 제2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발행회사의 주식등 중 다음 각 호의요건을 충족하는 주식등은 금융투자회사가 보유한 것으로 보지 아니 한다. 1. 기업공개의 경우 : 주식등의 취득일이 상장예비심사신청일 이전이고, 해당 주식등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하겠다는 확약서(<별지 제1호 서식>)를 협회에 제출한 경우 <개정 2019. 9. 11, 2022. 2. 24> 2. 장외법인공모의 경우 : 주식등의 취득일이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대표주관계약체결일 이전이고, 해당 주식등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등록(또는 보호예수)하겠다는 확약서(<별지 제1호 서식>)를 협회에 제출한 경우 <신설 2015. 12. 15, 개정 2019. 9. 11> ⑥ 금융투자회사는 제5항의 확약서를 대표주관계약 체결일(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한 이후 주식등을 취득한 경우에는 취득일)로부터 5 영업일 이내에 협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 이전에 해당 확약내용에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협회에 지체없이 신고하여야 한다. <신설 2015. 12. 15> ⑦ 제5항의 주식등을 발행한 발행회사의 기업공개 또는 장외법인공모를 위한 주관회사 업무를 수행하는 금융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기간동안 한국예탁결제원에 해당 주식등을 지체없이 의무보유등록(또는 보호예수)하고, 한국예탁결제원이 발행한 증명서를 의무보유등록일(또는 보호예수일)로부터 10 영업일 이내에 협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1. 기업공개의 경우 : 한국거래소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2. 장외법인공모의 경우 : 장외법인공모 주식의 발행일로부터 6개월간 <신설 2015. 12. 15, 개정 2019. 9. 11> ⑧ 제7항에 불구하고 금융투자회사는 법령상의 의무 이행 등을 위하여 협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의무보유등록을 취소하거나 보호예수된 주식등을 인출할 수 있다. <신설 2015. 12. 15, 개정 2019. 9. 11> [전문개정 2013. 11. 29] |
(3) 초과배정옵션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는 "초과배정 옵션 계약"을 체결하지않았습니다. (4) 기타 공모 관련 서비스 내역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기타 인수인이 아닌 자로부터 인수회사 탐색 중개, 모집 또는 매출의 주선, 공모가격 또는 공모조건에 대한 컨설팅,증권신고서 작성 등과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받은 사실이 없습니다.
금번 당사 공모 주식은 상법에서 정하는 액면가액 500원의 기명식 보통주로서, 동 증권의 주요 권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액면금액 정관 제 6조(1주의 금액) 당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1주의 금액은 금 500원으로 한다 2. 주식에 관한 사항 정관 제5조(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로 한다. 정관 제7조(회사의 설립 시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 당 회사는 100,000주(1주의 금액 5,000원 기준)의 주식을 발행하기로 한다. 정관 제8조(주식의 종류)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기명식 보통주식으로 한다. 정관 제9조(주식 등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제2조 제1호에 따른 주식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다만, 회사가 법령에 따른 등록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주식등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할 수 있다. 3. 신주인수권에 관한 사항 정관 제11조(신주인수권) ① 당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발행가격 등을 정하여 제1 호 외의 방법으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당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항 외의 방법으로 특정한 자(당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를 배정하기 위하여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항 외의 방법으로 불특정다수인(당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 다)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고 이에 따라 청약을 한 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③ 제2항 제2호의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여야 한다. 1. 신주인수의 청약 할 기회를 부여하는 자의 유형을 분류하지 아니하고 불특정 다수의 청약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2. 관계 법령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까지 포함하여 불특정다수인에게 신 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3. 주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이 있는 경우 이를 불 특정 다수인에게 신주를 배정받을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4.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인수인 또는 주선인으로서 마련한 수요예측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합리적인 기 준에 따라 특정한 유형의 자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7. 주권을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8.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④ 제2항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의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 기일의 2주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 수 있다. ⑤ 당 회사가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⑥ 당 회사는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그 기일까지 신주인수의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그 가액을 납입하지 아니한 주식이 발 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발행가액의 적정성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⑦ 당 회사는 신주를 배정하면서 발생하는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⑧ 당 회사는 제1항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4. 배당에 관한 사항 정관 제12조(신주의 동등배당) 당 회사가 정한 배당기준일 현재 발행(전환된 경우를 포함한다)된 동종 주식에 대하여는 발행일에 관계 없이 모두 동등하게 배당한다. 정관 제49조(이익금의 처분) 당 회사는 매사업연도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1. 이익준비금 (상법상의 이익준비금) 2. 기타의 법정적립금 3. 배당금 4. 임의적립금 5. 기타의 이익잉여금처분액 정관 제50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 주식 및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이익배당에 대하여는 이자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② 당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제1항의 배당을 받을 주주를 확정하기 위한 기준일을 정할 수 있으며, 기준일을 정한 경우 그 기준일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③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47조 제4항에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하되, 주식으로 배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관 제54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분기배당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5. 의결권에 관한 사항 정관 제22조(주주의 의결권) 주주의 의결권은 1주마다 1개로 한다.
정관 제23조(상호주에 대한 의결권 제한) 당 회사, 모회사 및 자회사 또는 자회사가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의 총수의 10분의 1을 초과하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 그 다른 회사가 가지고 있는 당 회사 또는 모회사의 주식은 의결권이 없다.
정관 제24조(의결권의 불통일행사) ① 2 이상의 의결권을 가지고 있는 주주가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회일의 3일전에 당 회사에 대하여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그 뜻과 이유를 통지하여야 한다. ② 당 회사는 주주의 의결권의 불통일행사를 거부할 수 있다. 그러나 주주가 주식의 신탁을 인수하였거나 기타 타인을 위하 여 주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정관 제25조(주주총회의 결의방법) 주주총회의 결의는 법령 또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와 발행주식총수의4분의 1 이상의 수로써 하여야 한다. 정관 제26조(의결권의 대리행사) ① 주주는 대리인으로 하여금 그 의결권을 행사하게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대리인은 주주총회 개시 전에 그 대리권을 증명하는 서면(위임장)을 제출하여야 한다. |
※ 용어의 정리
구분 | 용어 | 설명 |
---|---|---|
와이어 제조 |
동복강선 | 철선에 구리(동)를 입힌 선 |
CP와이어 | Copper Plating와이어의 약자로 철선에 구리층을 전기적으로 도금하는 방법으로 제작한 동복강선 | |
CCS | Copper Clad Steel의 약자로 철선에 구리를 물리적으로 압착하여 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작한 동복강선 | |
연강선재 | 탄소함량이 0.22%미만인 저탄소강(鋼) | |
경강선재 | 탄소함량이 0.22%이상인 고탄소강(鋼) | |
도체 | 전기 및 열(熱)이 잘 통하는 도전성 물질 | |
전도율 | 도전율이라고도하며, 물질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전기를 전달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전기손실이 없이 전달이 가능함 | |
IACS | 상온에서 가공한 구리선을 약 600℃의 가열로에서 열처리하여 서서히 식혀 만든 연동(annealed copper)의 20℃에서의 전도율 58 MS/m를 100% IACS로 정하고, 다른 전도체의 전도성을 상대 비교하기 위해 % IACS 단위로 나타낸 것 | |
연신율 | 금속이 끊어지지 않고 최대로 늘어나는 비율임. 최대로 늘어난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를 원래 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냄. | |
전해액 | 이온의 흐름으로 전기를 이동시키는 액체 상태의 물질 | |
전자부품용 와이어 | PCB 기판을 연결함으로써 각종 전자부품의(캐패시터, 인덕터, 저항, 다이오드 등) 원활한 기능을 위한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갖춘 인입선 | |
PCB (Printed Circuit Board) | 반도체와 전자 기기가 PCB 상에 부착되고 서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지원하는 역할 | |
케이블용 와이어 | 철선에 구리도금을 한 동복강선으로, 통신, Detonator, Trace wire의 도체로 사용되며, 접지용으로도 사용 | |
디토네이터 (Detonator) |
뇌관이라고도 부르며, 본 화약에 점화, 기폭시키는 장치로 당사 Detonator용 와이어는, 이 뇌관을 발파시키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는 도화선의 용도로 사용. |
|
트레이서(Tracer) | 지하에 매설된 가스관, 수도관, 통신선 등을 추적하기 위해 함께 매설하는 Wire의 도체로, 신호전송이 주 목적임. | |
접지 | 누설전류를 안전하게 지하로 전송하는 것으로 주로 건물 등의 구조물을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 | |
리드선(인입선) | 전원부와 전력수요부품을 연결한 선으로 전원부의 전력을 전력수요부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선 | |
GPR | Ground Penetrating Rader의 약자로, 지표투과레이더를 지칭하며, 지반 및구조물의 내부를 관측 가능 | |
용융도금선 | Whisker-free 특성과 함께 강한 내열성을 가지고, 도금두께가 균일한 제품 | |
휘스커 (Whisker) |
금속 표면에 금속 단결정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주석(Sn) 도금에서 발생. 휘스커라는 단어가 고양이나 쥐 등의 수염을 의미하듯 금속 결정이 바늘 형상 형상으로 성장하여, 전자부품의 단락(쇼트)을 유발하여 고장의 원인이 됨. | |
세물신선 | 내열성, 내구성, 전자파 차단능력이 탁월하여 자동차의 시그널 케이블을 비롯 우주항공, 자동화 등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0.1mm) 제품 | |
캐퍼시터(콘덴서) | 전기를 축적하거나, 직류 신호를 차단하고 교류 신호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지닌 전자부품 | |
수동부품 | 전기 장치 내에 특정한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도 특유의 동작을 하는 부품으로 저항, 캐패시터, 인덕터 등이 있음. 능동부품인 증폭기, 다이오드 등에 상대되는 개념 | |
권선(Magnet Wire) | 전류를 흘려 자속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결합하도록 설계된 코일 | |
CCA | Copper Clad Aluminum의 약자로 알루미늄 중심선 주위에 동박을 입힌 선재 제품으로 모터용으로 사용 | |
점적율 (Fill factor) |
권선 슬롯 면적에 대한 도체 단면적 비율로, 점적율이 높을수록 자기력이 커져 모터의 효율이 증가함 | |
유전체 |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지니게 하여 전기를 잘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물질로 절연체라고도 불림 | |
신선공정 | 인발(Drawing)이라고도 하며, 재료를 당겨서 가늘고 길게 만드는 공정 | |
피복 | 어느 재료를 다른 재료로 덮어 씌운 얇은 층 | |
내식성 | 금속 부식에 대한 저항력 | |
전기동 | 전기분해를 통해 정련된 순도99.98% 이상의 구리로 전기도금을 할 때 양극으로 사용됨 | |
동도금 모선 (철선 + 동도금) |
철선에 전기도금을 한 와이어로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 모두 사용 | |
LME | 런던금속거래소(London Metal Exchange)의 약자로 LME의여기서 정해지는 금속시세가 전세계 금속 거래 가격의 기준이됨 | |
스크랩동 | 재활용 동 | |
MCF | 금속도금탄소섬유(Metal Coated Carbon Fiber)로, 구리 도체 대비 가볍고 소비전력과 화재위험성이 적음. 자동차 시트 열선용, 신호전선으로 적용분야 확대 | |
태양광 발전 |
태양광 모듈 | 태양전지인 셀을 여러 개 모아놓은 태양전지판 |
PCS(인버터) | 태양전지 패널에서 발생한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 한국전력의 송전계통에 연결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 | |
계통연계형 발전 | 독립형 발전시스템(off-grid solar)과 상대되는 개념으로 온그리드솔라(on-grid solar)라고도 불리며, 한국전력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으로 보낼 수 있음 | |
SMP | 전력수요와 전력공급이 교차하는 전기시장가격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시간대별 전기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단가가 낮은 발전기(원전, 석탄, LNG, 유류 순)부터 순차적으로 투입 시 최종 투입되는 발전기의 변동비 값 | |
공급인증서 (REC) |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한 사실을 증명하는 인증서 | |
현물거래 | 전력거래소에서 정해지는 가격(시장가격)으로 거래하는 것 | |
전력수급계약 (PPA) |
전력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거래지침에 따라 발전사업자와 한전(또는 전력거래소)간 전력계약을 체결하여 발전설비를 건설하고 계약에서 정한 내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제도 중 하나 | |
고정가격계약 입찰제도 | REC를 거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력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한국에너지공단에서 주관하는 고정가격계약 입찰제도를 이용하여 수요기관과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제도 | |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제도) | 특정 발전사업자의 총 발전량 중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REC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구매한 REC의 용량만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충족하는 것으로 인정해 줌 |
가. 국내외 경기 변동에 따른 불확실성 관련 위험 2025년 03월 17일 OECD에서 발간한 'OEC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세계 GDP 성장률은 2025년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 12월 전망한 3.3% 대비 0.2%p 하향한 수치이며, 2026년 성장률도 3.0%로 지난12월 대비 0.3%p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미국의 무역 정책 변경으로 2025년 4월부터 보편관세가 부과될 경우 인플레이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 예측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의 성장률의 경우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으며, OECD는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최근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이 크게 강화되면서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집권 후 관세 부과 조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관세 부과 발표와 연기등이 반복되면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동사의 주요 제품은 철선에 동도금을 한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으로 철강 및 알루미늄의 파생 상품으로서 철강, 알루미늄에 제품에 부과되는 25%의 관세율을 적용 받습니다. 2024년 기준 동사의 수출 대상국 2위에 해당하는 국가가 미국인 점을 고려할 때 관세 정책 시행으로 동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번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 전 한국은 철강 수출에 대해 쿼터제 기반 면세 혜택을 받았으나, 이번 관세 부과 조치 이후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은 관세 부과 전과 대비해서 약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급변하는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한 타 국가로 수출 매출처를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한편, 한국은행이 2025년 2월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2026년은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성장률은 지난 2024년 11월 전망치 대비 0.2%p 하향 조정된 수치로, 그 배경으로 미국의 통상정책 강화 및 정치적 불확실성 심화에 따른 수출과 내수의 동반 약세를 지목하였습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국내경제가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와 내수부진으로 기존 전망 대비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통상환경 악화와 정치적 리스크를 주요 변수로 지목했습니다.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와이어 산업은 국내외 거시경제의 변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경기 침체, 보호무역주의 확산, 소비심리 위축, 가계 구매력 감소 등은 당사 매출 실적 및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유럽 및 중남미의 정치·경제 불안정성,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 복합적인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당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산업 전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국내외 경기전망, 글로벌 정세 변화, 주요국의 정책 기조에 따라 동사의 영업과 재무 전반에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글로벌 경기 동향
2025년 03월 17일 OECD에서 발간한 'OEC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세계 GDP 성장률은 2025년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 12월 전망한 3.3% 대비 0.2%p 하향한 수치이며, 2026년 성장률도 3.0%로 지난 12월 대비 0.3%p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미국의 무역 정책 변경으로 2025년 4월부터 보편관세가 부과될 경우 인플레이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 예측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의 성장률의 경우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으며, OECD는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국가별로 G20의 2025년 GDP 성장률은 3.1%로 지난 12월 전망 대비 0.2%p 낮추었으며, 유로존은 지난해 대비 0.3%p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대한민국의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은 지난 12월 대비 0.6%p 하향하였습니다. 2025년 3월 OECD의 세계 GDP 성장률 전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년 03월 OECD 세계 GDP 성장률 전망] |
(단위: %, %p) |
구 분 | 2024년 | 2025년(E) | 2026년(E) | ||||
2024년 12월 전망 |
2025년 03월 전망 |
조정폭 |
2024년 12월 전망 |
2025년 03월 전망 |
조정폭 | ||
(A) | (B) | (B-A) | (C) | (D) | (D-C) | ||
세계 | 3.2 | 3.3 | 3.1 | (-)0.2 | 3.3 | 3.0 | (-)0.3 |
G20 | 3.3 | 3.3 | 3.1 | (-)0.2 | 3.2 | 2.9 | (-)0.3 |
한국 | 2.1 | 2.1 | 1.5 | (-)0.6 | 2.1 | 2.2 | (+)0.1 |
미국 | 2.8 | 2.4 | 2.2 | (-)0.2 | 2.1 | 1.6 | (-)0.5 |
유로존 | 0.7 | 1.3 | 1.0 | (-)0.3 | 1.5 | 1.2 | (-)0.3 |
영국 | 0.9 | 1.7 | 1.4 | (-)0.3 | 1.3 | 1.2 | (-)0.1 |
일본 | 0.1 | 1.5 | 1.1 | (-)0.4 | 0.6 | 0.2 | (-)0.4 |
중국 | 5.0 | 4.7 | 4.8 | (+)0.1 | 4.4 | 4.4 | - |
러시아 | 4.1 | 1.1 | 1.3 | (+)0.2 | 0.7 | 0.9 | - |
출처: | OECD(OECD Economic Outlook, 2025년 03월 17일) |
동사의 2024년 기준 수출 비중은 82.44%로 일본 29.96%, 미국 17.16%, 남아공 12.72% 등 국가로부터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수출 매출 비중이 높은 동사는 각 국가의 관세정책 및 국제정세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수출비중이 2번째로 높은 미국의 관세정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등은 동사의 매출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이 크게 강화되면서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집권 후 관세 부과 조치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으며, 관세 부과 발표와 연기 등이 반복되면서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관세 조치 현황 (2025년 4월 15일 기준)] |
종류 | 내용 |
보편관세 | - 모든 수입품 대상 10% 추가 관세 미국 현지시각 2025년 04월 05일 정식 발효 |
상호관세 | -2025년 04월 02일 발표. 2025년 04월 09일 발효 예정-해당 국가별 무역 적자 규모에 따라 부과되는 관세로 국가별 관세율은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한 평균 관세율에 환율 조작과 무역장벽, 비금전적 혜택 등 고려- 2025년 04월 09일 재발표를 통해 관세 보복조치를 시행한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 대상으로 상호관세 90일간 유예 발표 - 유예기간 동안에는 일시적으로 일괄 10% 상호관세 적용하며, 90일간 국가별 협상 가능성 시사 |
철강, 알루미늄 | 모든 철강, 알루미늄 제품 대상 25% 관세. 미국 현지시각 2025년 3월 12일 발효 |
완성차자동차 부품 | - 완성차 대상 25% 관세 미국 현지시각 2025년 4월 3일 발표- 자동차 부품 대상 25% 관세 미국 현지시각 2025년 5월 3일 발효 |
특정국 관세 | - 2025년 03월 04일 발효된 캐나다, 멕시코 수입품 대상 25% 추가 관세- 2025년 04월 09일부터 중국 전품목에 대하여 125% 관세 발효 했으나, 2025년 04월 10일부터 중국 관세율 145%로 발표 |
출처: 국내 언론종합, 표 상의 날짜는 모두 미국 현지시각 기준 |
동사의 주요 제품은 철선에 동도금을 한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으로 철강 및 알루미늄의 파생 상품으로서 철강, 알루미늄에 제품에 부과되는 25%의 관세율을 적용 받습니다. 2024년 기준 동사의 수출 대상국 2위에 해당하는 국가가 미국인 점을 고려할 때 관세 정책 시행으로 동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번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25%의 관세 부과 전 한국은 철강 수출에 대해 쿼터제에 기반한 면세 혜택을 받았으나, 이번 관세 부과 조치 이후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은 관세 부과 전과 대비해서 약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급변하는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한 타 국가로 수출 매출처를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현재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은 빈번한 행정명령의 서명과 발효 이후 유예 등의 사례가 반복되어 정책의 연속성이 불확실한 상황으로 금번 정정증권신고서 제출 이후에도 관세 정책의 전면적인 변경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바랍니다.
(2) 국내 경기 동향
한국은행은 매 3개월 마다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경제전망보고서를 통해 국내 경제성장률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025년 2월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2026년은 1.8%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특히, 2025년 성장률은 지난 2024년 11월 전망치 대비 0.2%p 하향 조정된 수치로, 그 배경으로 미국의 통상정책 강화 및 정치적 불확실성 심화에 따른 수출과 내수의 동반 약세를 지목하였습니다.
【한국은행 국내 경제성장 전망】 |
(단위 : %) |
구분 | 2023 | 2024(E) | 2025(E) | 2026(E) | ||||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연간 | |
GDP | 1.4 | 2.8 | 1.6 | 2.2 | 0.8 | 2.2 | 1.5 | 1.8 |
민간소비 | 1.8 | 1 | 1.4 | 1.2 | 1 | 1.7 | 1.4 | 1.8 |
건설투자 | 1.5 | 0.4 | △2.9 | △1.3 | △6.7 | 1.1 | △2.8 | 2.5 |
설비투자 | 1.1 | △1.8 | 4.9 | 1.5 | 5.7 | △0.2 | 2.6 | 2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1.7 | 1.5 | △0.1 | 0.7 | 2.5 | 4.9 | 3.7 | 3.1 |
재화수출 | 2.9 | 8.4 | 4.3 | 6.3 | 0.7 | 1.2 | 0.9 | 0.8 |
재화수입 | △0.3 | △1.3 | 3.6 | 1.1 | 2 | 0.2 | 1.1 | 1.9 |
(출처: 한국은행(경제전망보고서, 2025.02)) |
한국은행은 올해 각 부문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전망하고 있습니다. 민간소비는 예상치 못한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와 소득 개선세 둔화로 증가세가 크게 약화되었으나,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금융여건이 개선되면서 점차 회복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건설투자는 수주 및 착공 위축의 영향으로 감소세를 보이겠으나, 하반기 이후 지난해 선행지표 개선 효과와 금융여건 완화의 영향으로 낮은 수준에서 점진적으로 회복될 전망입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장비 투자를 중심으로, 대기업의 AI 및 첨단 공정, 생산라인 고도화 관련 투자가 지속되면서 완만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재화 수출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미국의 통상 압력 강화 등을 고려할 때, 이전 전망보다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국은행은 2025년 국내경제가 글로벌 무역환경 악화와 내수부진으로 기존 전망 대비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통상환경 악화와 정치적 리스크를 주요 변수로 지목했습니다.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와이어 산업은 국내외 거시경제의 변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산업으로, 경기 침체, 보호무역주의 확산, 소비심리 위축, 가계 구매력 감소 등은 당사 매출 실적 및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세계 경제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유럽 및 중남미의 정치·경제 불안정성,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등 복합적인 불확실성에 직면해 있으며, 이러한 환경은 당사를 포함한 전반적인 산업 전반에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향후 국내외 경기전망, 글로벌 정세 변화, 주요국의 정책 기조에 따라 동사의 영업과 재무 전반에 불확실성이 확대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에 따른 위험
당사 와이어 제품은 동도금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이며, 용도에 따라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로 구분하고있습니다.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전자기기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자삽되는 캐퍼시터용 리드탭 부품인 리드와이어 제작에 사용되며, 주로 캐퍼시터용 리드탭 제조업체로 납품하고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방 캐퍼시터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캐퍼시터 시장규모는 24년 약 389억 1,000만 달러에서 2034년 약 694억 2,000만 달러로 연평균5.96%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케이블용 와이어는 크게 건설과 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 인프라 산업 분야에 납품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건설 현장 발파를 위한 폭약뇌관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디토네이터와 지하에 매설된관의 위치를 찾기 위해 함께 매설된 케이블인 트레이스, 발전소의 피뢰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접지용연선으로 나뉩니다. 디토네이터의 시장 규모는 24년 12억달러에서 31년 13.9억 달러까지 연평균 2.36%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트레이스의시장규모는 22년 1.67억 달러에서 28년 2.1억달러까지 연평균 3.92%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접지용연선은 22년 19.52억 달러에서 30년 26.5억달러까지 연평균 3.9%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의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의 긍정적인 중장기 성장이 전망되나, 글로벌 경기의 급격한 변동 또는 소비 심리 악화, 정책 변동으로 인한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 감소 등에 따라 와이어 수요가 감소할 경우 당사의 영업, 재무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전자제품용 와이어]
동사가 생산하는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전자기기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자삽되는 캐퍼시터용 리드탭 부품인 리드와이어 제작에 \사용되며, 주로 캐퍼시터용 리드탭 제조업체인 일본의 K사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방 캐퍼시터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동사의 국가별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으며, 2024년 기준 일본 매출 비중은 29.96%입니다.
【키스트론 국가별 매출 비중】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제품매출 | 일본 | 25,593 | 38.62% | 14,961 | 26.75% | 20,658 | 29.96% |
미국 | 8,795 | 13.27% | 9,011 | 16.11% | 11,831 | 17.16% | |
남아공 | 4,964 | 7.49% | 5,818 | 10.40% | 8,769 | 12.72% | |
한국 | 7,175 | 10.83% | 6,809 | 12.17% | 8,021 | 11.63% | |
중국 | 1,568 | 2.37% | 2,562 | 4.58% | 3,138 | 4.55% | |
독일 | 1,671 | 2.52% | 1,993 | 3.56% | 3,077 | 4.46% | |
말레이시아 | 2,726 | 4.11% | 2,915 | 5.21% | 2,553 | 3.70% | |
싱가포르 | 2,275 | 3.43% | 2,149 | 3.84% | 1,630 | 2.36% | |
태국 | 1,964 | 2.96% | 1,105 | 1.98% | 1,304 | 1.89% | |
브라질 | 1,262 | 1.90% | 1,012 | 1.81% | 596 | 0.86% | |
기타 | 1,665 | 2.51% | 1,295 | 2.32% | 1,171 | 1.70% | |
제품매출 소계 | 59,658 | 90.03% | 49,631 | 88.73% | 62,747 | 91.00% | |
상품매출 | 한국 | 384 | 0.58% | 376 | 0.67% | 159 | 0.23% |
기타매출 | 502 | 0.76% | 273 | 0.49% | 383 | 0.56% | |
전력매출 | 4,550 | 6.87% | 4,440 | 7.94% | 4,405 | 6.39% | |
임대매출 | 1,173 | 1.77% | 1,216 | 2.17% | 1,261 | 1.83% | |
합계 | 66,267 | 100.00% | 55,936 | 100.00% | 68,955 | 100.00% |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관세부과 조치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조치로, 국내에서 일본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직접적인 관세가 부과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다만, 글로벌 무역질서 불안정 등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시장조사 기관인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캐퍼시터 시장규모는 24년약 389억 1,000만 달러에서 2034년 약 694억 2,000만 달러로 연평균 5.96%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자기기 사용의 복잡성과 다양성 증가, 그리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가 캐퍼시터 시장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 전자기기의 수요 증가가 커패시터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전동화로 인한 인포테인먼트 장비, 차량 프레임, 파워트레인 구성 요소와 같은 자동차 전장 부품에서도 캐퍼시터 사용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캐퍼시터 시장규모】 |
출처: Capacitor Market Size, Precedence Research, (2024.11) |
Precedence Research는 캐나다-인도 기반의 기관으로, 전략적 시장 인사이트 제공 업체입니다. 이들은 산업별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정의 가능한 연구 보고서, 일반 보고서 및 전문가 상담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캐퍼시터는 다음과 같이 필름 캐퍼시터, 세라믹캐퍼시터, 알루미늄 전해 캐퍼시터, 탄탈 캐퍼시터로 분류될 수 있으며, 캐퍼시터는 전력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 뿐 아니라 전력 변환과 안정화,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역할도 함께 수행합니다. 대부분의 전자기기(가전기기, 스마트폰와 컴퓨터 등 IT기기 등)와 자동차 전장부품, 재생 에너지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부품입니다.
【캐퍼시터의 종류 및 특징】 |
종류 | 사진 | 특징 | 사용처 |
필름 캐퍼시터 |
|
-유전체로 PE, PP 필름을 사용해 전극 사이에 끼운 구조 -같은 용량대비 크기 축소가 가능해 소형화에 유리 |
디지털 가전기기, 휴대기기 |
세라믹 캐퍼시터 |
|
-무극성, 무기질로 온도 및 고주파 특성이 좋아 회로의 노이즈 제어에 사용 -극성이 없어 기판장착에 유리하고 소형화 가능 |
PC, TV배터리, 전기회로 등 디지털 가전분야 |
알루미늄 전해 캐퍼시터 |
|
-가장 많이 사용 -고용량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
일반 아날로그 전자제품 및 전기회로용, 자동차용 전장부품에 사용 확대 |
탄탈 캐퍼시터 |
|
-전극에 탄탈륨을 사용하며 소형으로 고용량 제공 -원재료 대부분이 일본 수입이며 시장이 적음 |
고주파 회로, 초소형 전자기기 |
출처: 키스트론 당사 |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동사가 제조하는 전자제품용 리드와이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캐퍼시터의 부품으로 캐퍼시티 업황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전방 시장의 중장기 성장 전망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기의 급격한 변동 또는 소비 심리 악화, 정책 변동으로 인한 산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감소될 경우 캐퍼시터에 대한 수요가 감소될 수 있으며, 당사의 영업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케이블용 와이어]
동사의 케이블용 와이어는 '디토네이터(Detonator)', '트레이스(Trace)', '접지용연선'으로 나뉘며, 주로 건설과 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 인프라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해당 산업에 영향을 받는 제품군입니다.'디토네이터'는 광업과 건설 공사현장 등에서 널리 쓰이며, 기폭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해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의 도체입니다. 디토네이터의 제품 유형은 충격관 뇌관(Shock Tube Detonators), 동사의 케이블용 와이어 중 디토네이터용 와이어는 남아공의 전자식 뇌관 업체인 S사와 E그룹을 통해 글로벌 전자식뇌관 업체인 O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국가별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으며, 2024년 기준 남아공 매출 비중은 12.72%입니다.
【키스트론 국가별 매출 비중】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제품매출 | 일본 | 25,593 | 38.62% | 14,961 | 26.75% | 20,658 | 29.96% |
미국 | 8,795 | 13.27% | 9,011 | 16.11% | 11,831 | 17.16% | |
남아공 | 4,964 | 7.49% | 5,818 | 10.40% | 8,769 | 12.72% | |
한국 | 7,175 | 10.83% | 6,809 | 12.17% | 8,021 | 11.63% | |
중국 | 1,568 | 2.37% | 2,562 | 4.58% | 3,138 | 4.55% | |
독일 | 1,671 | 2.52% | 1,993 | 3.56% | 3,077 | 4.46% | |
말레이시아 | 2,726 | 4.11% | 2,915 | 5.21% | 2,553 | 3.70% | |
싱가포르 | 2,275 | 3.43% | 2,149 | 3.84% | 1,630 | 2.36% | |
태국 | 1,964 | 2.96% | 1,105 | 1.98% | 1,304 | 1.89% | |
브라질 | 1,262 | 1.90% | 1,012 | 1.81% | 596 | 0.86% | |
기타 | 1,665 | 2.51% | 1,295 | 2.32% | 1,171 | 1.70% | |
제품매출 소계 | 59,658 | 90.03% | 49,631 | 88.73% | 62,747 | 91.00% | |
상품매출 | 한국 | 384 | 0.58% | 376 | 0.67% | 159 | 0.23% |
기타매출 | 502 | 0.76% | 273 | 0.49% | 383 | 0.56% | |
전력매출 | 4,550 | 6.87% | 4,440 | 7.94% | 4,405 | 6.39% | |
임대매출 | 1,173 | 1.77% | 1,216 | 2.17% | 1,261 | 1.83% | |
합계 | 66,267 | 100.00% | 55,936 | 100.00% | 68,955 | 100.00% |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관세부과 조치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조치로, 국내에서 남아공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직접적인 관세가 부과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다만, 글로벌 무역질서 불안정 등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시장조사 기관 MA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디토네이터 시장 규모는 2022년 11억 1,300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2.36%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1년에는 세계 시장 규모가 13억 9,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있습니다. 건설업에서는 도시화 및 인프라 개발로 인해 폭발물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광물 자원의 수요 증가로 광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어 디토네이터 수요 증가가 예상 됩니다. MA Research는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시장 조사 및 데이터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입니다. 주로 경제, 산업, 등 여러 분야의 시장조사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 대한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최근 각국 정부는 환경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폭발물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뇌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전자뇌관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2년 64.47%에서 2031년 94.12%까지 연평균 4.29%의점유율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토네이터 시장규모】 |
출처: 2023-2031 Report on Global Detonator Market , MA Research (2024.02) |
'트레이스'는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나 케이블의 위치를 추적하고 식별하기 위한 특수 전선입니다. 가스나 수자원 배관,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등 다양한 매설 설비와 함께 설치되며, 유지보수 시 그 위치를 쉽게 탑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입니다. 당사의 트레이스는 미국에 소재한 트레이스 케이블 제조업체인 K사와 A사에 주로 납품 중입니다. 동사의 2024년 기준 미국 매출 비중은 17.16%입니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관세부과 조치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조치로 미국에 수출하는 트레이스 와이어는 철강, 알루미늄에 제품에 부과되는 25%의 관세율을 적용 받습니다. 미국은 2024년 기준 동사의 수출 대상국 2위에 해당하는 국가로 관세 정책 시행으로 동사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가능성이 높아졌고, 관세 부과 조치 이후 가격 경쟁력과 수익성은 관세 부과 전과 대비해서 약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급변하는 정책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미국을 제외한 타 국가로 수출 매출처를 다변화할 계획입니다. Maia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 규모는 2022년 1.67억 달러로 평가되며,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3.03%의 성장을 통해 2028년에는 세계 시장 규모가 2.1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Maia Research는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국제 시장 조사 및 컨설팅 업체입니다. 이 회사는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소비자 및 산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북미, 유럽, 중동, 남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다양한 시장 조사를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에 대한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규모】 |
출처: Global Tracer Wire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 , Maia Research (2022. 10) |
지역별로는 2023년 기준 북미 지역이 33.11%의 시장 점유율로 가장 큰 시장이며, 유럽과 중국이 각각 23.06%과 19.56%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규모 (지역별) 】 |
출처: Global Tracer Wire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 , Maia Research (2022. 10) |
현재 미국에서는 노후 전력망 교체를 중점을 둔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사가 집중하고 있는 미국 내 트레이스 시장은 정책의 수혜로 인한 건설 활동 증대가 트레이스 시장을 성장시킬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접지용연선'은 건물 등 구조물을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케이블이며, 주로 발전소의 피뢰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접지용연선은 현재 필리핀의 민간 전력유통회사인 M사에 주로 납품하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 남아공 등에도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관세부과 조치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상품에 부과되는 조치로, 국내에서 필리핀, 아랍에미리트, 남아공으로 수출하는 기업의 직접적인 관세가 부과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다만, 글로벌 무역질서 불안정 등 간접적인 경로를 통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Quince Market Insights은 2022년 글로벌 접지선 시장 규모를 19.52억 달러로 평가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3.9%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0년에는 전 세계 시장 규모가 26억 5,0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접지용연선 시장규모 (지역별) 】 |
출처: GLOBAL EARTHNG WIRE MARKET, Quince Market Insights (2021) |
특히, 예측기간(2021년-2030년)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중국과 인도의 인프라 개발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확대로 연평균 5.0%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북미 지역은 기존 전력망의 현대화로 인해 3.1%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2022년 12월 전기용 연질 동피복 강연선 KS표준을 제정하였으며, 현재 건설현장 등의 지침서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동피복 강연선을 접지연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반영하기 위한 개정을 추진 중으로 개정 완료 시 국내 접지용연선 시장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Quince Market Insights는 인도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시장 조사 및 컨설팅 회사로, 다양한 산업에 대한 시장 조사 및 연구 보고서를 전문으로 합니다. 이 회사는 시장 동향, 성장 기회, 경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광업, 수자원 배관, 발전소 등 다양한 인프라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전망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인프라 산업은 각국 정부 정책, 글로벌 경제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고있습니다. 실물 경기 회복과 금리 인하 지연, 정책의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인프라 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가 감소할 경우 케이블용 와이어 수요가 감소해 당사의 영업, 재무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이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산업 내 경쟁 심화 위험
당사가 영위하는 와이어 제조 산업은 납품을 위한 높은 내구도와 정밀도가 요구되며, 적절한 규모의 설비 능력을 갖추고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규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고객사는 품질에 대해 오랜 기간 까다롭게 검증하고 있기 때문에 신규 업체의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이와 같은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객사가 거래선을 변경하거나 신규 업체의 시장 진입 등으로 인해 시장 내 경쟁구도의 변화 가능성, 현재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시장 경쟁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사업과 영업,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를 바랍니다. |
당사는 와이어 산업 내 오랜 경험, 고품질의 제조기술을 바탕으로 제품의 변형 발생률을 최소화한 결과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고객사의 높은 품질 기준과 까다로운 승인과정을 통과해 장기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소량 주문 및 단기 납기 등 고객사가 요구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긴밀한 고객 대응으로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고객 대응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고려제강 계열로 신규 해외 거래선 개발 시 계열사 네트워크를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사업과 관련한 당국의 환경규제에 대해 높은 대응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와이어 제품 생산 공정 중 도금 공정은 필연적으로 폐수와 폐기물을 배출하게 돼 이와 관련한 규제를 준수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당사는 폐수와 폐기물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과 설비를 갖추어 환경 규제를 준수하고 있으며 현재 환경 규제로 인해 신규 사업자가 대규모 처리 설비를 설치하기 어렵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는 영위하는 와이어 제조 산업은 납품을 위한 높은 내구도와 정밀도가요구되며, 적절한 규모의 설비 능력을 갖추고 고객사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종류와 규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고객사는 품질에 대해 오랜 기간 까다롭게 검증하고 있어 신규 업체의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국내에는전자제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를 제조하는 동사와 비교할 수 있는 실질적인 경쟁사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시장조사기관 Verified Market Reports에 따르면, 글로벌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시장규모는 2024년 270억 달러에서 2032년 380억 달러로 연평균 4.36%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으며, Fortune Business Insights는 글로벌 케이블용 와이어 시장규모를 2024년 2,200억 달러에서 2032년 3,573억 달러로 연평균 6.25%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편, 해외의 경쟁업체를 살펴보면 일본, 미국, 독일, 중국 등지에 당사와 유사한 제품을 생산하는 다음과 같은 업체들이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해외 경쟁업체의 2024년 매출 현황】 |
(단위 : 억원) |
회사명 | 주요 제품 | 국가 | 매출액 (백만U$) | 매출액 (억원) |
Orient Electric Special Leadwires (M) Sdn Bhd. | 리드와이어 | 말레이시아 | 3.2 | 45 |
Riken Electric Wire | 리드와이어 | 일본 요코하마 | 2 | 28 |
Sumitomo Electric | 와이어 하네스, 자동차용 전장부품, 전력케이블 등 | 일본 오사카 | 322 | 44,800 |
Feindrahtwerk Adolf Edelhoff GmbH & Co. KG | 스틸와이어 | 독일 이저론 | 27 | 370 |
HONGYANG | 리드와이어 | 중국 남통 | 32 | 450 |
Huifeng | 접지선, 케이블용 와이어 | 중국 남통 | 8 | 112 |
Copperweld Bimetallics LLC | 케이블용 와이어 | 미국 테네시 | 20 | 280 |
출처: 키스트론 |
상기 업체 중 상당수는 비상장기업 또는 비공시기업으로, 공신력 있는 출처를 통한 정확한 매출 규모, 제품별 점유율, 글로벌 시장 내 위치 등에 대한 정량적 정보 확보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재된 경쟁업체 관련 정보는 각 사 웹사이트, 유관 업계에서 통용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기재한 내용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까지 확인된 바에 따르면 전 세계에 400여개 이상의 자회사와 계열사를 두고 있는 Sumitomo Electric사를 제외한 해외 업체는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영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며, 당사의 국내외 경쟁구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해외 경쟁업체의 기술 고도화, 가격경쟁력 강화, 또는 국내 시장 진출 확대 등의 요인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시장점유율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주 고객사가 거래선을 변경하거나, 신규 경쟁업체의 출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시장 내 경쟁구도의 변화 가능성, 현재 예측하기 어려운 외부 요인 등으로 인해 시장 경쟁 상황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사업과 영업,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도 존재해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를 바랍니다.
라. 대체재, 신기술 출현에 따른 위험 당사가 속한 와이어 산업은 전도성, 내구성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정밀한 기술력과 품질이 요구되며, 공정의 복잡성, 산업 및 국가별로 다양한 규격의 인증을 충족하여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기술적인 진입장벽과 신기술 개발 난이도가 높은 산업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산업의 속성으로 인해 신소재나 신기술의 도입은 정밀한 성능 검증과 산업안전기준 충족이라는 필수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기술 대체가 단기간 내 가능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대부분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이며, 철선의 강도와 구리의 전도성이라는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산업 환경이 변화하고 신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와 고객사의 요구사항이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에 당사는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대체재 또는 신기술 출현에 따른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복강선의 전통적인 대체재는 순동(Copper)과 알루미늄(Aluminum)입니다. 순동은 우수한 전기성과 전도성을 제공하며, 고급 전자 장비 및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나, 가격이 높고 무게가 무거워 경량화가 필요한 산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알루미늄의 경우 경량성과 가격경쟁력으로 인해 대형 송전시스템 및 건축용 전선으로 사용이 많이 되고 있으나, 구리보다 낮은 전도율로 동일 전력 전송 시 더 큰 전선 단면적이 필요합니다.당사가 제조하는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은 경량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경제성과 적절한 성능을 보유해 단기간 내 대체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최근 디토네이터 영역에서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무선 디토네이터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신기술 개발 동향은 무선 디토네이터이며, 무선 디토네이터는 원격 폭파를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폭발 작업은 안전성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한데, 무선 디토네이터는 전파 간섭에서 자유롭지 못 하는 등 기술적 완전성이 확보되지 못 한 상태이므로 단기간 내 무선 기술이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발파 현장의 특성에 따라 유선 디토네이터와 무선 디토네이터 중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게 되며, 두 방식은 특정 상황에 따라 병행 또는 선택적으로사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상대적인 우월성에 따라 일방적으로 대체되기 보다는 병행 사용되거나 구분되어 활용됩니다.트레이스 와이어의 경우 지표투과 레이더(GRP) 기술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다만, 지표투과 레이더 방식은 탐지 정확도의 범위가 ±0.3m인데 반해 트레이서 와이어 방식은 ±0.1m 이하의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며, 토양 조건이나 외부 간섭에도 영향을 적게 받아 신뢰도가 높습니다. 또한, 장비 및 운영 비용도 GPR 등 대체 기술보다 낮고, 데이터 해석이 간단하여 전문 인력 없이도 운용이가능한 점 등에서 실용성과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의 제품과 관련된 대체기술 및 신기술은 지속해서 출현하고 있지만 기존 기술의 성능과 신뢰성, 비용 대비 효율성, 기술의 발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단기간 내 대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당사는 기술 변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신소재 개발 및 기존 기술의 고도화 등을 통해 노력을 다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술 변화나 트렌드등 다양한 변화에 당사가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 할 경우 당사의 사업 및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당사가 속한 와이어 산업은 전도성, 내구성 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정밀한 기술력과 품질이 요구되며, 공정의 복잡성, 산업 및 국가별로 다양한 규격의 인증을 충족하여 신뢰성을 확보해야 하는 특성으로 인해 기술적인 진입장벽과 신기술 개발 난이도가 높은 산업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산업의 속성으로 인해 신소재나 신기술의 도입은 정밀한 성능 검증과 산업안전기준 충족이라는 필수적인 과정을 거쳐야하므로, 기술 대체가 단기간 내 가능할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대부분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이며, 철선의 강도와 구리의 전도성이라는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산업 환경이 변화하고 신기술이 출현함에 따라 사용되는 소재와 고객사의 요구사항이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하며, 이에 당사는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대체재 또는 신기술 출현에 따른 가능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동복강선의 전통적인 대체재는 순동(Copper)과 알루미늄(Aluminum)입니다. 순동은 우수한 전기성과 전도성을 제공하며, 고급 전자 장비 및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나, 가격이 높고 무게가 무거워 경량화가 필요한 산업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알루미늄의 경우 경량성과 가격경쟁력으로 인해 대형 송전시스템 및 건축용 전선으로 사용이 많이 되고 있으나, 구리보다 낮은 전도율로 동일 전력 전송 시 더 큰 전선 단면적이 필요합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은 경량성과 전도성을 동시에 갖고 있으며, 경제성과 적절한 성능을 보유해 단기간 내 대체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편, 디토네이터 영역에서는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는 무선 디토네이터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무선 디토네이터는 원격 폭파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폭발 작업은 안전성과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며, 무선 디토네이터는 전파 간섭, 신호 차단 등 기술적 완전성이 확보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단기간 내 무선 기술이 유선 방식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당사의 유선 디토네이터는 물리적 연결을 통한 신호 전달로 인해 전파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아 무선 디토네이터 대비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며, 외부에서 신호를 무단 수신하거나 조작하기 어려워 보안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무선 장비 대비 초기 투자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이 낮아 경제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전파가 차단되는 지하나 수중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대체 가능성은 제한적입니다. 또한, 발파 현장의 특성에 따라 유선 디토네이터와 무선 디토네이터 중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게 되며, 두 방식은 특정 상황에 따라 병행 또는 선택적으로사용되는 것으로, 반드시 상대적인 우월성에 따라 일방적으로 대체되기 보다는병행 사용되거나 구분되어 활용됩니다. 또한, 트레이스 와이어의 경우 지표투과 레이더(GRP) 기술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들도 도로의 건설과 가스관, 전력선 탐지 등 유틸리티 산업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트레이스의 경우 무선 및 GPS기능을 갖춘 신형 트레이스 와이어 시스템을 통해 기술적으로 강화되고 있어 단기간 내 대체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지표투과 레이더 방식은 탐지 정확도의 범위가 ±0.3m인데 반해 트레이서 와이어 방식은 ±0.1m 이하의 높은 위치 정확도를 제공하며, 토양 조건이나 외부 간섭에도 영향을 적게 받아 신뢰도가 높습니다. 또한, 장비 및 운영 비용도 GPR 등 대체 기술보다 낮고, 데이터 해석이 간단하여 전문 인력 없이도 운용이 가능한 점 등에서 실용성과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 강점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의 제품과 관련된 대체기술 및 신기술은 지속해서 출현하고 있지만 기존 기술의 성능과 신뢰성, 비용 대비 효율성, 기술의 발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단기간 내 대체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당사는 기술 변화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신소재 개발 및 기존 기술의 고도화 등을 통해 노력을 다할 예정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술 변화나 트렌드 등 다양한 변화에 당사가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 할 경우 당사의 사업 및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마. 주요 원재료 수급 관련 위험 당사는 와이어 제조에 필요한 주요 원재료인 전기동, 알루미늄, 주석, 철선 등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당사 구매팀은 원자료 수급 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신뢰할 수 있는 고정 매입처를 통해 안정적인 조달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제품별 정확한 수요 예측을 통해 필요 수량을 협의하고 발주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동향을 파악해 원자재 수급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공급처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공급망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이스라엘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코로나19와 같은 예상치 못한 대외적 변수로 인해 원재료 가격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원재료 조달 경쟁이 심화 되거나 영업 네트워크 약화로 주요매입처와의 거래 중단, 신규 매입처 발굴 실패 등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영업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와이어 제조에 필요한 주요 원재료인 전기동, 알루미늄, 주석, 철선 등을 매입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당해연도 원재료 매입 현황과 주요 원재료의가격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재료 매입 현황】 |
(단위 : 백만원) |
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2021년도 주1)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제30기) | (舊 키스트론) | ||||
와이어 부문 | 원재료 | 전기동 | 국내 | 10,024 | 9,658 | 8,170 | - | 8,461 |
AL (INGOT + ROD) | 국내 | 953 | 710 | 963 | - | 1,042 | ||
수입 (뉴질랜드) | 5,214 | 5,460 | 7,815 | - | 8,094 | |||
소계 | 6,167 | 6,170 | 8,779 | - | 9,136 | |||
주석 | 국내 | 4,855 | 3,474 | 7,362 | - | 8,244 | ||
철선 | 국내 | 4,504 | 4,023 | 4,224 | - | 4,012 | ||
수입 (호주) | 518 | 708 | 548 | - | 292 | |||
소계 | 5,022 | 4,731 | 4,772 | - | 4,304 | |||
일반동선 | 국내 | 3,050 | 3,237 | 3,321 | - | 4,159 | ||
동도금 모선 주2) | 수입 (중국) | 7,914 | 1,500 | 455 | - | 69 | ||
무산소동선 | 국내 | 1,803 | 1,165 | 2,359 | - | 3,243 | ||
CAAB WIRE | 국내 | 661 | 642 | 623 | - | 713 | ||
은양극 | 국내 | 678 | 441 | 637 | - | 1,020 | ||
기타 원재료 | 국내 | 173 | 294 | 882 | - | 253 | ||
원재료 합계 | 국내 | 26,700 | 23,644 | 28,542 | - | 31,147 | ||
수입 | 13,646 | 7,668 | 8,818 | - | 8,455 | |||
합계 | 40,346 | 31,312 | 37,360 | - | 39,602 | |||
외주가공비 | 금속 임가공 | 국내 | 243 | 281 | 286 | - | 308 | |
외주가공비 합계 | 국내 | 243 | 281 | 286 | - | 308 | ||
외주용역비 | 인력도급 | 국내 | - | - | 125 | - | 215 | |
기타 외주용역 | 국내 | - | - | 32 | - | 64 | ||
외주용역비 합계 | - | - | 157 | - | 280 | |||
상품 | TDA, AL ROD | 국내 | 154 | 328 | 384 | - | 166 | |
수입(호주) | - | 55 | - | - | - | |||
상품 합계 | 합계 | 154 | 383 | 384 | - | 166 | ||
와이어부문 합계 | 국내 | 27,098 | 24,253 | 29,369 | - | 31,901 | ||
수입 | 13,646 | 7,723 | 8,818 | - | 8,455 | |||
합계 | 40,744 | 31,976 | 38,187 | - | 40,356 | |||
기타 부문 | 외주용역비 | 태양광 시설 관리운용 | 국내 | 352 | 319 | 291 | 286 | - |
외주용역비 | 건물관리 | 국내 | 191 | 186 | 177 | 173 | - | |
기타부문 합계 | 국내 | 543 | 505 | 468 | 459 | - |
주1) | 동사의 주력 사업인 와이어 사업부문은 2021년에 흡수합병한 舊 키스트론이 영위하던 사업을 모태로 하고 있습니다. 2021년 12월31일 상호변경 전 석천㈜)의 원재료 매입액은 없으며, 舊 키스트론의 원재료 제품별 비중만으로 기재했습니다. |
주2) | 2021년부터 동사는 원재료 조달처 다변화 및 품질 테스트 목적으로 중국 소재 업체로부터 외주모선을 매입하여 왔으며, 2024년에는 자사 CP공정(동도금 공정)의 대수선으로 인한 일시적인 공정 중단에 따라 중국산 외주모선의 매입 비중이 일시적으로 확대된 바 있습니다. |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 |
(단위 : 원) |
품 목 | 구 분 | 2024 | 2023 | 2022 | 2021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 구 키스트론 ) | ||
전기동 | 국내 | 12,569 | 11,395 | 11,721 | 10,940 |
AL (INGOT + ROD) | 수입 | 3,772 | 3,517 | 4,004 | 3,211 |
소계 | 4,464 | 3,974 | 4,498 | 3,624 | |
주석 | 국내 | 42,224 | 34,728 | 48,817 | 38,299 |
철선 | 국내 | 1,256 | 1,256 | 1,245 | 1,021 |
수입 | 945 | 948 | 1,065 | 802 | |
소계 | 1,215 | 1,197 | 1,221 | 1,003 | |
일반동선 | 국내 | 12,996 | 11,696 | 11,798 | 11,061 |
동도금 모선(철선 + 동도금) | 수입 | 4,099 | 3,845 | 4,302 | 3,861 |
무산소동선 | 국내 | 13,721 | 12,325 | 12,937 | 11,654 |
CAAB WIRE | 국내 | 11,033 | 10,248 | 10,971 | 9,702 |
은양극 | 국내 | 1,345,767 | 1,008,854 | 939,435 | 974,312 |
기타(Bi , 니켈 , 은입동선 외) | 내수 | 28,774 | 34,586 | 16,985 | 15,459 |
주1) | 2021년도 키스트론㈜ (2021년 12월 31일 상호변경 전 석천㈜)의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는 없습니다. |
주2) | 상기 단가는 해당 품목의 총 매입금액에서 총 매입수량을 나누어 산정했습니다. 다만 2021년 전기동 산정시에는 단가 변동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동 절단항목은 제외했습니다. |
주3) | 당사 주요 원재료는 비철금속으로서 LME 시세,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
당사가 사용하는 원재료는 주로 구리, 철, 알루미늄, 주석과 같은 광물자원을 제련/제강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국제적인 수급과 가격에 영향을 받으며, 구매가격과 연동하여 판매가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당사 구매팀은 원자재의 수급 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입니다. 각 원자재별로 신뢰할 수 있는 고정 매입처를 통해 안정적인 조달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재료의 세부 설명 및 매입처】 |
구분 | 세부내용 | 매입처 |
---|---|---|
전기동 |
전기분해를 통해 정련된 순도99.98% 이상의 구리로 전기도금을 할 때 양극으로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에 모두 사용. 동도금 두께에 따라 도전율을 조정 가능 |
㈜이산인터내셔널, 엘에스엠엔엠㈜ |
AL (INGOT + ROD) |
잉곳 및 로드 형태의 알루미늄으로 순도 99.94% 이상의 알루미늄 사용 전자부품용 와이어(전해 캐퍼시터)에 사용 |
일진전기㈜, RIO TINTO |
주석 |
잉곳 형태로 순도가 99.90% 이상으로 전기도금을 할 때 양극으로 사용되며, 전자부품용 와이어(전해캐패시터)에 사용 |
㈜메탈게이트 |
철선 |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에 모두 사용되는 소재로 제련한 직경 5.5mm 와이어 형태를 매입 | ㈜포스코, 청도강철 |
일반동선 | 구리를 제외한 산화물의 비율을 낮춰 만든 고순도(99.9%이상) 동선 | ㈜이산인터내셔널, 엘에스전선㈜ |
동도금 모선 (철선 + 동도금) |
철선에 전기도금을 한 와이어로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 모두 사용 | DONGGUAN CHENXI TRADING, DONGGUAN TUOTENG TRADING |
무산소동선 | 구리를 제외한 산화물 및 산소비율을 낮춰 만든 고순도(99.9%이상) 동선 | ㈜이산인터내셔널, ㈜삼동 |
CAAB WIRE | 고순도 알루미늄에 동판재를 입혀 가볍고 고도전율의 특성이 있는 소재로(도전율 70%이상) 전자부품용 와이어에 사용 | ㈜에스에이치엠 |
은양극 |
전기분해를 통해 정련된 순도 99.99% 이상의 은으로 전기도금을 할 때 양극으로 사용. 전자부품용 와이어에 사용됨 |
대성금속㈜, 신영금속㈜, ㈜토리컴 |
기타 (Bi , 니켈 , 은입동선 외) | BI, 니켈외 잉곳 형태로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도금 시 사용되는 99.9%이상 고순도 양극 | (주)한진금속 외 |
두 번째는 제품별 정확한 수요 예측 및 선제적인 대응 강화입니다. 당사는 국내외 전기, 전자업계의 급격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사와 실시간으로 소통하며, 제품별 수요량을 면밀히 예측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객사의 Forecast(FCST) 데이터를 기반으로 필요 수량을 협의하고 발주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는 시장동향 및 공급리스크 모니터링입니다. 시장 변동성과 고객사의 생산능력 변화를 실시간으로 점검해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수요 변동성에 대비해 생산 주기(TAT)에 맞추어 단기(1개월)부터 장기(2년)까지의 수급 계획을 수립해 예측가능성을 높이고, 일부 원자재를 재고로 보유하는 등 사전에 발생 할 수 있는 원자재 수급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공급망 안정성 및 협력 강화 입니다. 주요 원자재 공급처와 긴밀한 협력 및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구매 일정 차질을 예방하고, 고객사의 생산계획을 사전에 점검해 공급망의 신뢰성과 유연성을 확보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 구매팀은 위와 같이 안정적인 조달체계의 구축, 정확한 수요 예측과 시장동향 대응, 원자재 공급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주요 원재료 수급 리스크를 해소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란-이스라엘 전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그리고 코로나19와 같은 예상치 못한 대외적 변수로 인해 원재료 가격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원재료 조달 경쟁이 심화 되거나 영업 네트워크 약화로 주요매입처와의 거래 중단, 신규 매입처 발굴 실패 등의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영업 및 재무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환경 규제 관련 위험 당사 와이어 제품은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으로, 선재에 동도금 공정이 필수적이며,동도금 공정에서는 유해 화학물질 및 중금속을 포함한 폐수와 폐기물이 발생해 법적기준에따른 철저한 관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 도금시설을 설치할 경우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악취방지법, 위험물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등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최근 화학물질 안정성 이슈가 제기되면서 화재, 폭발, 누출사고 및 유해물질 배출 시 안전성 평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규제당국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당사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에게 관련 규제 및 법령을 숙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취급자 교육 및 관리자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자체기준을 강화하여 제품 생산 시 안전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하여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생산 공정에서 임직원이 정해진 업무 매뉴얼 이행을 소홀히 하거나 예상치 못한안전사고 등이 발생할 경우 생산시설 내 환경 훼손, 자산 및 설비의 파손, 인명피해 등으로 이어져 당사의 영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환경 관련 규제가 더욱 강화되어 엄격한 시설관리 기준, 폐기물 관리 기준, 추가 배출 방지시설 등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 와이어 제품은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으로, 선재에 동도금 공정이 필수적이며, 동도금 공정에서는 유해 화학물질 및 중금속을 포함한 폐수와 폐기물이 발생해 법적기준에 따른 철저한 관리와 처리가 요구됩니다.도금시설을 설치할 경우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악취방지법, 위험물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등을 적용받고 있습니다.화학물질관리법은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화학물질을 적절하게 관리해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화학물질로부터 모든 국민의 생명과 재산 또는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률입니다. 당사는 유해 화학물질 관리 및 폐수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화학사고 예방 교육 및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은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를 제공하는 사람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ㆍ증진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에 당사는 정기적인 작업환경 측정 및 유해인자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근로자 대상 산업안전 및 보건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안전의식을 고취하고 있습니다. 또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유해 위험요소 개선 및 보호장비 지급을 통해 안전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그 밖에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대기 및 수질 오염 예방, 폐기물 친환경 처리 등을 실천하며, 악취방지법에 따른 저감시설 운영으로 지역사회 환경 보호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 화학물질 안정성 이슈가 제기되면서 화재, 폭발, 누출사고 및 유해물질 배출 시 안전성 평가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규제당국도 관련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에 당사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들에게 관련 규제 및 법령을 숙지하고 이행할 수 있도록 취급자 교육 및 관리자 교육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 자체기준을 강화하여 제품 생산 시 안전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하여 사고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환경 규제를 준수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생산 공정에서 임직원이 정해진 업무 매뉴얼 이행을 소홀히 하거나 예상치 못한 안전사고 등이 발생할경우 생산시설 내 환경 훼손, 자산 및 설비의 파손, 인명피해 등으로 이어져 당사의 영업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환경 관련 규제가 더욱 강화되어 엄격한 시설관리 기준, 폐기물 관리 기준, 추가 배출 방지시설 등을 구축해야 하는 경우 당사의 영업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거나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규 사업 추진에 따른 위험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 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다만,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 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는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은 현재 고객사와 기술 개발을 논의하며,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은 고객사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계획의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 발 ④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동사는 금번 상장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연구개발을 위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다음과 같이 공모자금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 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베트남에 고율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동사는 베트남 공장 설립을 전면 재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동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101 | - | - | 101 |
인허가 및 사업설계 | 101 | - | - | 101 | ||
설비 도입(용해로, 용탕로, 압연) 및 부대시설 공사 | - | 4,547 | - | 4,547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 | - | 800 | 800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400 | 400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168 | 168 | ||
소계 | 202 | 4,547 | 1,368 | 6,117 | ||
운영자금 (연구개발)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개발 | 증착설비 구매 (25년 1대, 26년 2대, 27년 3대) | 511 | 1,023 | 1,534 | 3,068 |
소계 | 511 | 1,023 | 1,534 | 3,068 | ||
기타 연구개발 투자 | FE-SEM 구매 (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 511 | - | - | 511 | |
공초점 현미경 구매, 연구인력 채용, 재료비 등 | - | 511 | - | 511 | ||
인장시험기 구매 연구인력 채용 등 | - | - | 512 | 512 | ||
소계 | 511 | 511 | 512 | 1,534 | ||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 | - | 53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100 | - | - | 100 | ||
검사, 평가 설비 고도화 | - | 100 | 100 | 200 | ||
양산 설비 구축 | - | 405 | 200 | 605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205 | 205 | ||
소계 | 303 | 505 | 505 | 1,313 |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55 | - | 108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50 | - | - | 50 | ||
양산 설비 구축 | - | 450 | 304 | 754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100 | 100 | ||
성능개선 및 신뢰성 테스트 | - | - | 101 | 101 | ||
소계 | 253 | 505 | 505 | 1,263 | ||
합 계 | 1,780 | 7,091 | 4,424 | 13,295 |
주)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①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 자동차 산업에서 알루미늄의 수요는 차량 경량화와 온실가스 감축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컨설팅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 6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고강도 경량소재인 알루미늄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철 대비 1/3 수준의 가벼운 무게와 뛰어난 내식성, 열전도성 등 우수한 물성을 지니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어 차량 부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동사는 신규 사업으로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제품(선재, 봉재, 형재) 제조를 추진하며, 이를 위해 베트남 현지에 법인 형태의 공장 설립을 계획 중 입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동사의 알루미늄 제품 원재료로 사용하고, 다양한 합금제품은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하여 매출 확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 본 사업을 위해 공모자금 중 6,117백만원을 베트남 공장 설립 및 생산설비 구축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베트남은 한국 대비 전기요금이 절반 수준으로, 알루미늄 가공 시 주요 원가요소인 전력비 절감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건비도 중국이나 태국보다 저렴하여 운영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추세에 따라, 당사는 이러한 베트남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신규 판로를 개척하고 다양한 합금제품을 공급함으로써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약 베트남 공장설립을 전면 재검토하게 될 경우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제조에 활용할 공모자금은 다음과 같이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모터/변압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 활용 방안]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주요 내용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구리 스크랩 기반 동로드및 가공제품 (모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수립 - 국내외 권선용 동로드 및 전선케이블 시장 수요 분석 - 구리 원자재가격 및 수급 동향 조사 |
500 | - | - | 500 |
스크랩 구리 가공을 위한 용해 및 전처리 설비 도입 - 용해로 2기 구축 - 전처리, 선별 설비 구축 | - | 2,200 | - | 2,200 | ||
동로드 및 권선용 설비 도입 및 검사설비 도입 - 동로드 압연, 권선용 가공 설비 도입 - 공정 자동화 및 검사 설비 도입, 신뢰성 시험센터 구축 | - | - | 3,417 | 3,417 | ||
소계 | 500 | 2,200 | 3,417 | 6,117 |
②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자동차 부품 경량화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구리합금 도체를 대체할 신규제품인 MCF(Metal Coated Carbon Fiber)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 MCF는 직경 약7마이크로미터의 탄소섬유 다발에 금속을 코팅한 첨단 융복합 소재로, 경량성과 높은 전자파 차폐 성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구리도체 대비 가볍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화재 위험성 감소,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및 항균·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동사는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자금 3,068백만원을 투자하여,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현대자동차의 투싼 모델에 대한 요구사양을 확보하여 시제품 실증평가를 진행 중입니다. 실증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기존 구리-주석 열선을 대체하는 MCF 도체의 양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당사는 전기차 부품의 경량화, 저전력 고기능 발열선 개발, 전자파 차폐 하네스 개발, 비금속 기반의 고기능 복합소재 코팅 기술 확보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자동차 시트 열선용 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고, 2026~2027년에는 자동차 신호전선 분야로 확대 적용하여 제품 개발 및 양산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입니다. ③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발 전기자동차 모터의 고효율화 및 경량화 수요가 증가함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구리선을 대체할 신규 소재인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CCA는 알루미늄 코어에 구리를 표면 도금한 소재로, 구리보다 가볍고 저렴하면서도우수한 전도성을 지니고 있어, 전기차 모터의 권선소재로 적합한 소재입니다.본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자금 중 1,313백만원을 투자하여, CCA 각선의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초기 단계이나, 보그워너(BorgWarner)의 한국지사 및 포항소재 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CCA 기반의 단면 각형 헤어핀 도체를 개발을 통해, 전기차 모터 경량화와 원가 절감, 고효율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소재로의 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 모터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용접소재 분야에서, 동사는 현대기아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기반의 이형 용접 와이어 가공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모터 회전자 내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브릿지부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부 돌출에 따른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현대기아차는 니켈합금 용접소재의 적용을 통해용접부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당사와 함께 해당 용접 와이어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 재료를 니켈 합금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사업 진행 단계는 초기 논의 단계로서 동사는 현대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이형 용접 와이어의 가공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을 위해 공모자금 1,263백만원을 투자하여현대차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본 과제를 통해 당사는 고효율·고정밀 전동화 부품 제조에 대응 가능한 핵심 용접 소재 기술력을 확보하고, 관련 기술의 전기차용 모터 부품 적용 및 양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밖에 동사는 향후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인력 확충과연구 환경 개선, 외부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연구 기회 창출 등에 1,534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 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환율 변동 위험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86.98%, 2022년 82.92%, 2023년 79.44%, 2024년 82.44%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출의존도를 보이고 있고, 향후 이와 유사한 비중 또는 더 높은 비중의 해외 수출 비중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매출과 손익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향후 거시경제의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환율 변동 위험이 지속적으로 존재합니다. 동사는 환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망에 근거하여 수출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수출규모가 증가하면서 결제대금으로 받은 외화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보유 중에 있다가 필요 시 해당 외화로 결제하는 소극적 헷지 전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환율 변동 위험의 경우는 미래 달러(USD), 유로(EUR), 엔화(JPY), 위안화(CNH) 수요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완전 헤지가 불가능하며, 완전 헤지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환율 상승이 물가 상승을 야기하여 동사의 수익성에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동사는 별도의 환 헷지를 위한 통화선도계약을체결하고 있지 않아 미/중 무역전쟁,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등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대내외 산업환경 변화 등 부정적인 외부적인 요인으로 위안화 및 달러 가치 변동성이 지속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중국, 말레이시아, 일본 등의 국가에 수출하고 있으며, 케이블용 와이어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독일 등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최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매출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년 86.98%, 2022년 82.92%, 2023년 79.44%, 2024년 82.44%로 전반적으로 높은 수출의존도를보이고 있고, 향후 이와 유사한 비중 또는 더 높은 비중의 해외 수출 비중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동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매출과 손익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향후 거시경제의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환율 변동 위험이 지속적으로 존재합니다.
【최 근 3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내수/수출 비중】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내수 | 7,175 | 12,198 | 11,798 | 12,865 |
내수 비중 | 13.02% | 18.41% | 21.09% | 18.66% |
수출 | 47,928 | 54,946 | 44,438 | 56,848 |
수출 비중 | 86.98% | 82.92% | 79.44% | 82.44% |
조정 | - | (877) | (300) | (758) |
매출액 합계 | 55,103 | 66,267 | 55,936 | 68,955 |
주) 2021년은 구 키스트론의 매출액과 내수, 수출 비중을 기재하였습니다. |
한편, 동사는 내부적으로 환율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각 결산일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과 화폐성부채를 대상으로,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할 때 합리적인 범위에서 가능한 환율변동이 당사 세전순이익과 자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화 환율 10% 변동 시 영향 】 |
(단위: 천원) |
구분 | 2024연도 | 2023연도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원/미국달러 | 799,572 | (799,572) | 714,181 | (714,181) |
원/유로 | 111,229 | (111,229) | 39,288 | (39,288) |
원/엔화 | 23,519 | (23,519) | 14,529 | (14,529) |
동사는 환율 변동에 대하여 헷지파생상품 계약을 체결하고 있지 않으며, 따라서 외화거래 과정에서 환율변동으로 인한 외화자산 및 부채에 대한 외환차손과 같은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최근 4사업연도 및 당해연도 외화 관련 손익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1연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
외환차익 | 17 | 2,113 | 906 | 1,385 |
외화환산이익 | - | 311 | 11 | 390 |
외환차손 | 2 | 945 | 718 | 769 |
외화환산손실 | - | 506 | 153 | 35 |
외화 관련 손익 | 15 | 973 | 46 | 972 |
동사가 환율의 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주요 통화 미국달러(USD)와 유로(EUR), 엔화(JPY)의 최근 4사업연도 및 당해연도의 평균환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원/USD 평균환율 | 원/EUR 평균환율 | 원/JPY 평균환율 (100엔) |
---|---|---|---|
2021년 | 1,144.42 | 1,352.79 | 1,041.45 |
2022년 | 1,291.95 | 1,357.38 | 983.44 |
2023년 | 1,305.41 | 1,412.36 | 931.24 |
2024년 | 1,363.98 | 1,475.05 | 900.36 |
출처: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당사는 이러한 환율 변동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환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전망에 근거하여 수출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 소극적 환헷지(Hedge)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적극적 환헷지(예시: 선물환계약 등)는 거래비용이 수반되고 전담 전문인력이 필요하며, 별도 파생상품자산/부채, 평가손익 등이 발생하는 등 비용 대비 큰 효익이 없어 건설업, 중공업 등 대규모 결제가 필요한 업종이 아니라면 소극적 환헷지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여기서 소극적 환헷지란, 결제대금으로 받은 외화를 원화로 환전하지 않고 보유중에 있다가 필요 시 해당 외화로 결제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사의 환율 변동 위험의 경우는 미래 달러(USD), 유로(EUR), 엔화(JPY), 위안화(CNH) 수요량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 점에서 완전 헤지가 불가능하며, 완전 헤지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환율 상승이 물가 상승을 야기하여 동사의 수익성에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동사는 별도의 환 헷지를 위한 통화선도계약을체결하고 있지 않아 미/중 무역전쟁,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등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대내외 산업환경 변화 등 부정적인 외부적인 요인으로 위안화 및 달러 가치 변동성이 지속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및 사업장 안전 관련 위험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상시근로자가 5명 이상인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보건 확보를 위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피해를 발생시킨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 등의 처벌 등을 규정한 법으로 2021년 1월 26일에 공포되었으며, 공포 1년 후인 2022년 1월 27일 시행되었습니다.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해 당사의 경영책임자가 벌금또는 징역에 처한 이력이 없으며,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관리프로세스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운영중입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안전검사를 수행하고 분기마다 회사 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사적인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매뉴얼에 따라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해 분기마다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을 위한 사항을 협의하고있습니다. 이러한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위하는 사업의 특성상 예기치 못한 사고위험이 존재할 수 있음에 따라 향후 산업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제재 시 당사가 영위중인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은 상시근로자가 5명 이상인 사업 또는 사업장, 공중이용시설 및 공중교통수단을 운영하거나 인체에 해로운 원료나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 보건 확보를 위하여 요구되는 다양한 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않음으로 인해 피해를 발생시킨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 등의 처벌 등을 규정한 법으로 2021년 1월 26일에 공포되었으며, 공포 1년 후인 2022년 1월 27일 시행되었습니다.
중대재해는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로 구분되며, 중대산업재해란 1)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2)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 3)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결과를 야기한 재해를 의미합니다.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ㆍ보건 조치의무를 위반하여 사망사고 발생 시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에게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고 부상사고 발생 시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는 등 대표이사의 책임이 가중되었습니다. 아울러, 제7조(중대산업재해의 양벌규정)에 의거하여 법인 또는 기관의 경영책임자 등이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해당 법인 또는 기관에도 사망사고는 50억원 이하의 벌금, 부상사고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
제2조(정의)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중대재해”란 “중대산업재해”와 “중대시민재해”를 말한다. 2. “중대산업재해”란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제1호에 따른 산업재해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과를 야기한 재해를 말한다. 가.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나. 동일한 사고로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 다. 동일한 유해요인으로 급성중독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 3. “중대시민재해”란 특정 원료 또는 제조물, 공중이용시설 또는 공중교통수단의 설계, 제조, 설치, 관리상의 결함을 원인으로 하여 발생한 재해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결과를 야기한 재해를 말한다. 다만, 중대산업재해에 해당하는 재해는 제외한다. 가.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 나. 동일한 사고로 2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10명 이상 발생 다. 동일한 원인으로 3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질병자가 10명 이상 발생(중략) 제6조(중대산업재해 사업주와 경영책임자등의 처벌)① 제4조 또는 제5조를 위반하여 제2조제2호가목의 중대산업재해에 이르게 한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은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 경우 징역과 벌금을 병과할 수 있다. ② 제4조 또는 제5조를 위반하여 제2조제2호나목 또는 다목의 중대산업재해에 이르게 한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등은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③ 제1항 또는 제2항의 죄로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이 확정된 후 5년 이내에 다시 제1항 또는 제2항의 죄를 저지른 자는 각 항에서 정한 형의 2분의 1까지 가중한다. 제7조(중대산업재해의 양벌규정)법인 또는 기관의 경영책임자등이 그 법인 또는 기관의 업무에 관하여 제6조에 해당하는위반행위를 하면 그 행위자를 벌하는 외에 그 법인 또는 기관에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벌금형을 과(科)한다. 다만, 법인 또는 기관이 그 위반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업무에 관하여 상당한 주의와 감독을 게을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제6조제1항의 경우: 50억원 이하의 벌금 2. 제6조제2항의 경우: 10억원 이하의 벌금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중대재해처벌법으로 인해 당사의 경영책임자가 벌금또는 징역에 처한 이력이 없으며,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관리프로세스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운영중입니다.
【당사 안전보건 관리 규정】 |
안전보건총괄책임자 | 안전보건 전담조직 | 주요 업무 |
정민호 대표이사 | 유환문 외 8인 | -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 안전보건교육- 작업환경의 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의 수립- 안전보건관리 예산편성 및 집행 |
또한, 정기적으로 안전검사를 수행하고 분기마다 회사 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전사적인 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매뉴얼에 따라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설치해 분기마다 산업재해 예방과 안전을 위한 사항을 협의하고있습니다.이러한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영위하는 사업의 특성상 예기치 못한 사고위험이 존재할 수 있음에 따라 향후 산업재해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으로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한 제재 시 당사가 영위중인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실적 하락 및 수익성 악화 위험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 함에 따라 와이어사업 부문을 본격적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주요제품인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는 동사 매출총액의 약 91.00%로 당사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제품의 매출 총액 대비 비중은 "전자부품용 와이어"가 46.84%, "케이블용 와이어"가 45.26%를 차지하고 있어, 당사의 실적 및 수익성은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의 매출, 수익성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2021년 동사의 매출은 약 4,540백만원 수준이었으나, 2021년 12월 구 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면서 2022년 매출은 약 66,267백만원으로 1,359.63%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2023년 매출은 약 55,936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5.59%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요 거래처인 일본 "K"사가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물류 대란과 공급망 불안에 대비해 대량 발주한 재고를 2023년 상반기까지 소진하며 추가 주문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광업, 수자원 배관, 발전소 등 다양한 인프라 산업에서 꾸준히 활용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4년은 Covid-19 팬데믹에 따른 기저효과 이후 당사의 매출액은 약 68,955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23.27%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2022년 영업이익 7,341백만원, 당기순이익 7,833백만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11.08%, 당기순이익률 11.82%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 Covid-19에로 인한 기저효과에 따른 매출액 감소로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각각 3,732백만원, 2,371백만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영업이익률 및 당기순이익률은 각각 6.67%, 4.24%로 수익성 지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2024년 당사의 매출액은 Covid-19 기저효과 이전 수준을 회복였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 5,901백만원, 당기순이익 8,777백만원으로 영업이익률 8.56%, 당기순이익률 12.73%를 기록하였습니다.상기 내용과 같이, 동사의 매출 및 수익성은 주력 제품인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의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케이블용 와이어"는 다양한 인프라 산업에서 활용되면서 매출 및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인프라 산업은 각국의 정부 정책과 글로벌 경제 상황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경기 침체, 고금리 지속, 정책적 불확실성이 심화될 경우, 인프라 투자 감소로 인해 케이블용 와이어 수요가 줄어들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매출 성장성과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또한, 최근 3년간 당기순이익이 영업이익을 상회하고 있으며, 이는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외환차익 증가 및 관계회사 배당수익에 기인합입니다. 그러나 향후 환율 하락, 관계회사 지분 매각 등의 요인으로 금융 수익이 감소할 경우 당기순이익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외부 환경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신중한 투자 판단을 부탁드립니다. |
동사는 와이어 제조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기타 태양광 발전, 임대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와이어 품목은 제품의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제품군을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로 구분하고 있으며,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각종 가전기기부터 자동차 전장까지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전자부품용 와이어" 는 전자기판(PCB)에 삽입되는 각종 전자부품의 리드선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주요 제품으로는 동복강선(동도금 선재), 알루미늄 선재, 기타 특수선재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리드선은 전자부품과 PCB 기판을 연결하여 전자기기의 원활한 작동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케이블용 와이어"는 동복강선으로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갖춘 케이블 도체로 용도에 따라 디토네이터(Detonator), 트레이스(Trace), 접지용 연선, 세물신선 등으로 분류됩니다. 디토네이터(Detonator)는 건물, 광산 등을 폭파시키는 도구로 당사의 케이블은 폭파원과 폭파 신호기를 연결시키는 와이어이며, 트레이스(Trace)는 도로 및 건물 아래 매설된 각종 관, 케이블 등의 위치를 찾기 위해 함께 매설되는 케이블입니다. 접지용 연선은 발전소, 건물 등이 번개에 노출되었을 때 피뢰침으로 모아진 번개를 안전하게 지반으로 연결시키는 도구로, 당사 와이어는 피뢰침부터 지반에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키스트론 제품 유형별 매출액 추이 - 연결 기준] |
(단위: 백만원) |
매출유형 | 제 품 명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와이어부문 | 제품매출 | 전자부품용 | 32,295 | 46.84% | 26,897 | 48.09% | 37,747 | 56.96% | - | - |
케이블용 | 31,209 | 45.26% | 23,034 | 41.18% | 22,787 | 34.39% | - | - | ||
반품부채 | (758) | (1.10%) | (74) | (0.13%) | (279) | (0.42%) | - | - | ||
내부거래제거 | - | 0.00% | (227) | (0.41%) | (598) | (0.90%) | - | - | ||
소계 | 62,747 | 91.00% | 49,631 | 88.73% | 59,658 | 90.03% | - | - | ||
상품매출 | TDA 등 | 159 | 0.23% | 376 | 0.67% | 384 | 0.58% | - | - | |
기타매출 | 부산물 | 383 | 0.55% | 273 | 0.49% | 502 | 0.76% | - | - | |
소계 | 63,288 | 91.78% | 50,280 | 89.89% | 60,544 | 91.36% | - | - | ||
기타 | 전력매출 | 태양광 발전 | 4,405 | 6.39% | 4,440 | 7.94% | 4,550 | 6.87% | 3,372 | 74.28% |
임대매출 | 반포,망미점 | 1,261 | 1.83% | 1,216 | 2.17% | 1,173 | 1.77% | 1,168 | 25.72% | |
소계 | 5,666 | 8.22% | 5,656 | 10.11% | 5,723 | 8.64% | 4,540 | 100% | ||
하청매출 | - | 0.00% | - | - | - | - | - | - | ||
매출총계 | 68,955 | 100.00% | 55,936 | 100.00% | 66,267 | 100.00% | 4,540 | 100% |
출처: 키스트론(주) |
주1)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1년 및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 함에 따라 와이어사업 부문을 본격적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주요제품인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는 당사 매출총액의 약 91.00%로 당사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각제품의 매출 총액 대비 비중은 "전자부품용 와이어"가 46.84%, "케이블용 와이어"가 45.26%를 차지하고 있어, 당사의 실적 및 수익성은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의 매출, 수익성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2021년 동사의 매출은 약 4,540백만원 수준이었으나, 2021년 12월 구 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면서 2022년 매출은 약 66,267백만원으로 1,359.63%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2023년 매출은 약 55,936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5.59% 감소하였는데, 이는 주요 거래처인 일본 "K"사가 2022년 코로나19로 인한 물류 대란과 공급망 불안에 대비해 대량 발주한 재고를 2023년 상반기까지 소진하며 추가 주문을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광업, 수자원 배관, 발전소 등 다양한 인프라 산업에서 꾸준히 활용되며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24년은 Covid-19 팬데믹에 따른 기저효과 이후 당사의 매출액은 약 68,955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23.27%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키스트론 매출 및 수익성 지표 추이 - 연결 기준]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
매출액 | 68,955 | 55,936 | 66,267 | 4,540 |
매출총이익 | 12,513 | 9,476 | 12,470 | 2,095 |
매출총이익률 | 18.15% | 16.94% | 18.82% | 46.15% |
영업이익 | 5,901 | 3,733 | 7,341 | 1,237 |
영업이익률 | 8.56% | 6.67% | 11.08% | 27.25% |
당기순이익 | 8,777 | 2,371 | 7,833 | 16,168 |
당기순이익률 | 12.73% | 4.24% | 11.82% | 356.12% |
매출액 증가율 | 23.27% | (15.59%) | 1,359.63% | - |
영업이익 증가율 | 58.08% | (49.15%) | 493.45% | - |
당기순이익 증가율 | 270.18% | (69.73%) | (51.55%) | - |
주1)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1년 및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2022년 영업이익 7,341백만원, 당기순이익 7,833백만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11.08%, 당기순이익률 11.82%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 Covid-19에로 인한 기저효과에 따른 매출액 감소로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각각 3,733백만원, 2,371백만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영업이익률 및 당기순이익률은 각각 6.67%, 4.24%로 수익성 지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2024년 당사의 매출액은 Covid-19 기저효과 이전 수준을 회복였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 5,901백만원, 당기순이익 8,777백만원으로 영업이익률 8.56%, 당기순이익률 12.73%를 기록하였습니다. 한 편, 동사의 최근 3개년간 당사의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 보다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당사의 금융수익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당사의 최근 3개년간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키스트론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상세내역 - 연결 기준] |
(단위: 천원) |
구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
금융수익 | 4,147,622 | 3,166,227 | 4,462,996 |
이자수익 | 464,455 | 214,537 | 153,000 |
배당금수익 | 1,430,424 | 1,322,173 | 1,618,111 |
외환차익 | 1,385,434 | 906,152 | 2,112,842 |
외화환산이익 | 390,029 | 10,684 | 310,846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250,164 | 77,993 | 268,197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227,117 | 634,688 | - |
금융비용 | 1,259,568 | 1,363,680 | 2,766,742 |
이자비용 | 455,971 | 470,819 | 627,880 |
외환차손 | 768,552 | 717,920 | 945,291 |
외화환산손실 | 35,014 | 153,296 | 560,034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31 | 21,645 | 85,091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 - | - | 548,446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1년 및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의 주요 매출처는 대부분 해외기업이며, 수출 매출의 대금 수취를 달러화, 엔화, 유로화 등 외화로 수취하고 있습니다. 2022년 미국의 급격한 금리 인상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당사는 외환차익 약 2,113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이후에도 원/달러 환율은 높은 변동성을 보이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2023년 및 2024년에도 외환차익 906백만원, 1,385백만원을 기록하며 높은 수준의 외환차익을 지속적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또한, 동사는 관계회사인 홍덕산업(주)와 고려제강(주)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매년 관계회사로부터 배당금을 수취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최근 3개년간 배당금 수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배당금 수익 내역]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홍덕산업㈜ | 117 | 117 | 391 |
고려제강㈜ | 1,236 | 974 | 975 |
기타 | 77 | 231 | 252 |
배당금 수익 합계 | 1,430 | 1,322 | 1,618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는 관계회사인 홍덕산업(주)로부터 2022년 391백만원, 2023년 117백만원, 2024년 117백만원의 배당금을 수취하였으며, 고려제강(주)로부터 2022년 975백만원, 2023년 974백만원, 2024년 1,236백만원의 배당금을 수취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의 배당금 수익은 2022년 1,618백만원, 2023년 1,322백만원, 2024년 1,430백만원으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관계회사로부터 배당금 수익은 당사 배당금 수익의 약 80% 수준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상기와 같은 외환차익 및 배당금 수익에 따라 동사의 금융 수익은 2022년 4,463백만원, 2023년 3,166백만원, 2024년 4,148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당기순이익 증가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한편, 동사는 2024년 10월 당사가 보유한 홍덕산업(주) 지분 전량을 매각함에 따라 2025년부터 홍덕산업(주)로부터의 배당금 수익 으로 수취할 금액은 없으며, 이에 따른 금융수익 감소가 예상됩니다. 또한, 동사가 보유한 고려제강(주) 주식 3,301,212주는 한국거래소와 확약한 사항에 따라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고려제강(주)로부터 수령할 배당금은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동사의 전체 배당금 수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2024년 기준 동사가 수취한 배당금 총액은 1,430백만원이며, 이 중 86.43%에 해당하는 1,236백만원이 고려제강(주)로부터 수취한 배당금입니다. 고려제강(주) 주식의 점진적인 처분에 따라 향후 동사의 배당금 수익 구조에서 고려제강(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하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 배당금 수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와 같은 홍덕산업(주)의 지분 매각 및 고려제강(주)의 단계적 처분 계획에 따라, 향후 동사가 수령할 배당금 규모는 축소될 것으로전망됩니다. 관련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 다. 복잡한 지배구조 관련 위험」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동사의 매출 및 수익성은 주력 제품인 "전자기기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의 매출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케이블용 와이어"는 다양한 인프라 산업에 활용됨에 따라 매출 및 매출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전방산업인 인프라 산업은 각국 정부 정책, 글로벌 경제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이에 경기침체 우려 및 고금리 지속, 대내외 정책적 불확실성은 인한 인프라 산업 전반에 대한 투자 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전방산업인 인프라의 침체 시 당사의 케이블용 와이어 수요 감소로 매출 성장성 및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는 최근 3개년간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차익 증가 및 관계회사로 부터의 배당금으로 인하여 높은 금융수익을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향후 급격한 대외정세 및 금융환경 변화 등에 따른 환율 하락 및 관계회사 지분 매각에 따른 금융수익 감소 시 동사 당기순이익의 하락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특정 제품군 또는 매출처 편중 위험 동사의 주요 제품은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와이어이며, 2024년 기준 매출의 약 67.19%는 55개의 거래처 중 상위 10개 거래처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상위10개 매출처별 매출 비중은 2.36% ~ 21.83%로, 거래처별로 다변화된 매출을 시현하고 있어특정 거래처에 대한 매출 편중 위험은 제한적이나, 일부 매출처의 경우 매출 비중이 10% 이상으로 일정 수준의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동사 매출처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K사는 2022년 팬데믹으로 인한 물류 대란 및 공급망 교란 우려로 인해 재고 비축 목적으로 대량 발주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한 기저효과로 2023년 상반기까지 신규 물량을 발주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2023년 당사의 K사 매출은 9,903백만 원으로, 전년(18,155백만 원)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하였으며, 전체 매출 또한 2023년 55,936백만 원으로 전년(66,267백만 원) 대비 하락하였습니다. 이처럼 동사는 매출 비중이 다소 높은 일부 거래처의사업 환경 및 수요 변화에 따라 당사 실적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편, 동사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거래처 편중 위험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신규 사업의 성장이 지연되거나, 기존 거래처와의 계약 종료 및 거래량 감소, 고객사의 수요 변동 및 납품 연기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의 주요 제품은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이며, 2024년 기준 매출의 약 67.19%는 55개의 거래처 중 상위 10개 거래처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상위10개 매출처별 매출 비중은 2.36% ~ 21.83%로, 거래처별로 다변화된 매출을 시현하고 있어 특정 거래처에 대한 매출 편중 위험은 제한적이나, 일부 매출처의 경우 매출 비중이 10% 이상으로 일정 수준의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매출비중 상위 10개 매출처 현황] |
(단위: 백만원) |
매출처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매출액 | 비중 | |
일본 K 계열 | 15,051 | 21.83% | 9,903 | 17.70% | 18,155 | 27.40% |
S사 | 8,769 | 12.72% | 5,804 | 10.38% | 4,964 | 7.49% |
K 사 | 5,202 | 7.54% | 3,387 | 6.05% | 1,635 | 2.47% |
A사 | 5,712 | 8.28% | 3,300 | 5.90% | 4,774 | 7.20% |
E사 | 577 | 0.84% | 219 | 0.39% | 417 | 0.63% |
E사 | 3,055 | 4.43% | 1,903 | 3.40% | 1,621 | 2.45% |
T사 | 2,553 | 3.70% | 2,915 | 5.21% | 2,726 | 4.11% |
한국중부발전 | 1,875 | 2.72% | 1,794 | 3.21% | 1,843 | 2.78% |
한국전력공사 | 1,911 | 2.77% | 1,795 | 3.21% | 1,915 | 2.89% |
S사 | 1,630 | 2.36% | 2,149 | 3.84% | 2,275 | 3.43% |
상위10개 매출처 | 46,334 | 67.19% | 33,169 | 59.30% | 40,325 | 60.85% |
매출액 합계 | 68,955 | 100.00% | 55,936 | 100.00% | 66,267 | 100.00% |
출처: 키스트론(주) 내부자료 |
2024년 기준 일본 K계열에 대한 동사의 매출 비중은 21.83% 수준으로 가장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가 생산하는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주로 캐패시터용 리드탭 제조회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2023년 기준 K사는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용 리드탭 분야의 글로벌 점유율 상위에 해당하는 업체입니다. 동사 와이어 사업부문의 전신인 舊)키스트론 주식회사 설립 이후 현재까지 K사에 전자부품용 와이어를 납품해왔습니다.
한편, 동사의 케이블용 와이어 중 디토네이터용 와이어는 남아공의 전자식 뇌관 업체인 S사와 E그룹을 통해 글로벌 전자식뇌관 업체인 O사에 납품하고 있습니다.상기와 같이 동사는 일부 매출처에 대한 10% 이상의 매출 비중으로 일정 수준의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 매출처 중 가장 비중이 높은 K사는 2022년 Covid-19에 따른 물류대란 및 공급망 교란 우려에 따라 재고 비축을 위한 물량을 대량 발주하였으며, 이에 따른 기저효과로 2023년 상반기 까지 신규 물량을 발주하지 않았습니다. 신규 물량 발주 감소에 따라 2023년 당사의 코호쿠공업에 대한 매출금액은 9,903백만원으로 전년 18,155백만원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동사 전체 매출금액 또한 2023년 55,936백만원으로 2022년 66,267백만원 대비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동사는 매출 비중이 높은 일부 매출처의 사업환경 및 수요 변화에 따른실적 변동이 일부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만, 주요 거래처와 장기간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사업 및 거래처 확장 목적의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구리 대체재 분야인 디토네이터(Detonator)와 트레이스(Trace)의 도체 와이어, 접지선(건물/전기 설비 낙뢰 보호)를 성공적으로개발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였습니다. 또한,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확장, 노후 송전선 교체 등 증가하는 구리 수요와 강화되는 탄소 저감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재생구리를 사용한 원소재의 생산과 이를 이용한 전력 및 통신케이블 제조 체계를 갖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 성능 향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모터용 구리 코팅 알루미늄 권선 와이어(CCA), 모터코어용 용접 와이어, 금속 코팅 탄소 섬유(MCF)등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순도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사업도 검토하고 있고, 이를 제조하기 위한 생산기지로 베트남 현지에 법인형태의 공장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한편, 동사는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상용화에 성공할 경우 거래처 편중 위험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신규 사업의 성장이 지연되거나, 기존 거래처와의 계약 종료 및 거래량 감소, 고객사의 수요 변동 및 납품 연기 등의 상황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복잡한 지배구조 관련 위험 현재 동사 지배구조는 최대주주일가와 계열회사가 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계열사간 복잡한 순환출자로 얽혀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계열사간 주식을 상호 소유하고 있습니다.순환출자는 적은 지분으로도 여러 계열사가 서로 돌아가며 지분율 보유해 적은 지분으로도 계열 전체를 지배할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주주는 실질적인 지분율보다 더 많은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지배력과 소유권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된 지배구조는 소액주주의 권리를 침해해 경영권을 부당하게 행사할 수 있어,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초래합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기업의 재무상태가 영업환경 악화 등으로 부실해질 경우 연쇄적으로 위험을 떠안을 가능성 등 많은 문제점들을 갖고 있습니다.주식의 상호 소유(상호주)는 상법 제369조에서 규제하고 있으며 상호주는 기업간 서로 지분을 보유하는 구조로, 대주주가 계열 내 지배권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기업 경영의 독립성을 저해해 경영의사 결정이 왜곡되어 비효율적인 경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상호출자와 마찬가지로 한 기업의 부실이 전이될 가능성이 있으며, 소액주주의 권리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어 전체적인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동사는 상호주와 순환출자 구조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왔으며, 상장예비심사 신청 전 동사가 보유했던 홍덕산업(주) 지분 1.75%(78,193주)를 제3자에게 매각해 홍덕산업(주)와 상호주 관계를 해소했습니다. 이 밖에 고려제강(주)가 보유한 동사 지분 6.53%(866,120주)는 금번 상장 시 구주매출을 통해 고려제강(주)와의 상호주 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또한, 홍덕산업(주)가 보유한 동사 주식 3,167,130주 중 1,033,880주도 금번 상장 시 구주매출을 통해 일부 매각할 계획입니다.한편, 2024년 10월 18일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후 2024년 12월 19일까지 예비심사를받는 과정에서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를 위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①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3,301,212주는 향후 5년 내 단계적으로 시장에서 매각할 것 ②상장 이후 홍덕산업(주)가 보유하게 되는 동사 잔여 주식 2,133,250주는 2년에 걸쳐 매각할 것. 동사는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상기 2가지 이행 계획을 담은 확약서를 제출한대로 단계적인 지분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행 과정에서 시장과 충분하게 소통하고 처분 전 공시를 통해 투자자의 권익을 해하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동사는 순환출자와 상호주 관계의 완벽한 해소를 통한 복잡한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기업의사결정의 투명성과 경영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확약사항이 미이행될 경우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 등 조치를 받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최대주주등이 회사 전체에 대한 이익 보다는 개인의 사익을 중시하거나, 윤리적 기준 또는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할 경우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주의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이 점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
동사의 지배구조는 계열회사간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계열회사간 지분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현재 주요 계열사간 지분도] |
출처: 키스트론(주) |
현재 동사 지배구조는 최대주주일가와 계열회사가 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계열사간 복잡한 순환출자로 얽혀있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계열사간 주식을 상호 소유하고 있습니다.순환출자는 적은 지분으로도 여러 계열사가 서로 돌아가며 지분을 보유해 계열 전체를 지배할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주주는 실질적인 지분율보다 더 많은 의결권을 행사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지배력과 소유권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왜곡된 지배구조는 소액주주의 권리를 침해해 경영권을 부당하게 행사할 수 있어,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특정 기업의 재무상태가 영업환경 악화 등으로 부실해질 경우 연쇄적으로 위험을 떠안을 가능성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어, 공정거래법 제 22조에서 규제하고 있습니다.주식의 상호 소유(상호주)는 상법 제369조 제3항에서 규제하고 있으며, 상호주는 기업간 서로 지분을 보유하는 구조로, 대주주가 계열 내 지배권을 강화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기업 경영의 독립성을 저해해 경영의사 결정이 왜곡되어 비효율적인 경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상호출자와 마찬가지로 한 기업의 부실이 전이될 가능성이 있으며, 소액주주의 권리가 침해될 가능성이 있어 전체적인 기업 지배구조의 불투명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열회사인 고려제강(주)와 주식을 상호 소유하고 있고, 홍덕산업(주)는 동사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보유 지분율 주) | 보유 주식수 | 비고 |
당사 → 고려제강(주) | 13.20% | 3,301,212 | - |
고려제강(주) → 당사 | 6.53% | 866,120 | - |
홍덕산업(주) → 당사 | 23.89% | 3,167,130 | - |
주) 보유지분율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입니다. |
주 1) 키스트론(주)이 보유했던 홍덕산업(주) 주식 78,193주는 2024년 10월 제3자에게 전량 매각하여 해소했으며, 상기 지분도상 지분율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
주2) 홍덕산업(주)이 보유한 키스트론(주) 주식은 총 3,167,130주로 금번 상장을 통해 1,033,880주는 구주매출을 통해 해소할 예정입니다. 잔여주식 2,133,250주 중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나머지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시장 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과 2026년 총 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하여 지분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3) 키스트론(주)가 보유한 고려제강(주) 주식은 향후 시장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해 지분 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4) 고려제강(주)가 보유한 키스트론(주) 주식은 총 866,120주로 금번 상장을 통해 구주매출을 통해 전량 해소할 예정입니다. |
공정거래법 제31조에 제1항 따라 상호출자제한기업 집단은 국내총생산(GDP)의 0.5%(24년도 기준 10.4조원이상)이며, 당사가 속한 계열사 자산 총액은 이 기준에 미달해 동사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아니나, 순환출자와 상호주는 의결권 행사 및 지배구조의 왜곡 등 경영 불투명성을 야기해 소액주주의 권리를 침해하는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먼저 상장예비심사신청일 전 동사 보유하고 있는 홍덕산업(주) 지분 1.75%를 제3자에게 매각함으로써 홍덕산업(주)와 상호주 관계를 해소했으며, 고려제강(주) 보유 동사 지분 6.53%는 구주매출을 통해 정리할 예정으로 고려제강(주)와 상호주 관계를 해소할 계획입니다. 한편, 2024년 10월 18일 상장예비심사 신청서 제출 후 2024년 12월 19일까지 예비심사를받는 과정에서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를 위해 한국거래소에 확약서를 제출한 바 있습니다. ①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3,301,212주는 향후 5년 내 단계적으로 시장에서 매각할 것 ②상장 이후 홍덕산업(주)가 보유하게 되는 동사 잔여 주식 2,133,250주는 2년에 걸쳐 매각할 것. 동사는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상기 2가지 이행 계획을 담은 확약서를 제출한대로 단계적인 지분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며,이행 과정에서 시장과 충분하게 소통하고 처분 전 공시를 통해 투자자의 권익을 해하는 일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동사가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확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 확약 사항] |
순번 | 내용 | 확약사항 |
1 | 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매각 계획 | 키스트론(주)가 보유하고 있는 고려제강 주식 3,301,212주는향후 5년내 모두 매각(1) 2025년: 연간 660,000주 (2) 2026년: 연간 660,000주(3) 2027년: 연간 660,000주(4) 2028년: 연간 660,000주(5) 2029년: 연간 661,212주 |
2 | 홍덕산업(주) 보유 동사 주식 매각 계획 | 상장 이후 홍덕산업(주)이 보유하게 되는 키스트론(주) 잔여 주식 2,133,250주는 향후 2년 내 매각(1) 2025년: 연간 1,066,625주 (2) 2026년: 연간 1,066,625주 |
홍덕산업㈜이 보유한 동사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 26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총 보유주식 2,133,250주 중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나머지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의무보유 할 예정입니다. 의무보유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한국거래소와 확약한 대로 시장 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과 2026년 총 2년에 걸쳐 각각 1,066,625주씩 단계적으로 매각해 지분 관계를 해소할 계획입니다. 동사가 보유한 고려제강㈜ 주식 3,301,212주는 한국거래소와 확약한 대로 향후 시장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방안을 강구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해 지분 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동사는 현재 보유 중인 고려제강㈜의 주식을 향후 5년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할 계획입니다. 이에 따라, 고려제강㈜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취해온 배당금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동사의 전체 배당금 수익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입니다. 실제 2024년 기준 동사가 수취한 배당금 총액은 1,430백만 원이며, 이 중 86.43%에 해당하는 1,236백만 원이 고려제강㈜로부터의 수취한 배당금입니다. 고려제강㈜ 주식의 점진적인 처분에 따라 향후 동사의 배당금 수익 구조에서 고려제강이 차지하는 비중은 하락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체 배당금 수익이 감소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동사는 순환출자와 상호주 관계의 완벽한 해소를 통한 복잡한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기업의사결정의 투명성과 경영 효율성 및 효과성을 제고할 계획입니다. 다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한국거래소에 제출한 확약사항이 미이행될 경우 한국거래소로부터 제재 등 조치를 받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최대주주등이 회사 전체에 대한 이익 보다는 개인의 사익을 중시하거나, 윤리적 기준 또는 사회적 책임을 소홀히 할 경우 기업지배구조 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주주의 손해가 발생할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이 점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재무안전성 관련 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말 동사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부채비율 30.33%, 차입금의존도 9.6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차입금 상환을 통해 총차입금 규모가 2021년 대비 12,320백만원 감소함에 따라 부채비율 20.32%, 차입금의존도 3.90%수준으로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2023년 지속적인 차입금 상환으로동사의 부채비율은 19.93%, 차입금의존도는 3.56%로 재무안정성 개선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2024년말 기준 동사의 부채비율은 18.41% 2023년 대비 1.52%p. 감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3.7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각에 따른 자산총계 감소에 따라 2023년 대비 0.16%p로 소폭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동사의 총차입금은 2021년 19,318백만원에서 2022년 일부 차입금을 상환함에 따라 6,998백만원으로 감소하였으며, 2024년 현재 6,704백만원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차입금은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어 만기도래 시 만기연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말 기준 당사 보유 현금성 자산 16,428백만원을 고려 시 단기간내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기존사업부문 강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목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글로벌 매출처 확장을 위한 고순도 알루미늄 해외 생산공장 설립 또한 검토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및 고정비용 증가로 인한 재무안정성 하락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전방산업 부진 및 영업환경 악화 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2024년말 기준 자산총계 179,890백만원, 부채총계 27,975백만원, 자본총계 151,916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23년말 동사의 자산총계 189,946백만원, 부채총계 31,570백만원, 자본총계 158,375백만원 대비 각 5.29%, 11.39%, 4.08% 감소한 수준입니다. 재무안전성 관련 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말 당사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부채비율 30.33%, 차입금의존도 9.6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차입금 상환을 통해 총차입금 규모가 2021년 대비 12,320백만원이 감소함에 따라 부채비율 20.32%, 차입금의존도 3.90% 수준으로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2023년 지속적인 차입금 상환으로 동사의 부채비율은 19.93%, 차입금의존도는 3.56%로 재무안정성 개선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2024년말 기준 동사의 부채비율은 18.41% 2023년 대비 1.52%p. 감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3.73%으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각에 따른 자산총계 감소에 따라 2023년 대비 0.16%p로 소폭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최근 4개년 재무안정성 지표 추이]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자산총계 | 179,890 | 189,946 | 179,259 | 201,062 |
부채총계 | 27,975 | 31,570 | 30,272 | 46,788 |
자본총계 | 151,916 | 158,375 | 148,987 | 154,274 |
총차입금 | 6,704 | 6,770 | 6,998 | 19,318 |
현금성자산 | 16,428 | 7,002 | 4,601 | 2,922 |
순차입금(순현금) | (9,724) | (232) | 2,397 | 16,396 |
부채비율 | 18.41% | 19.93% | 20.32% | 30.33% |
차입금의존도 | 3.73% | 3.56% | 3.90% | 9.61%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 및 2021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의 총차입금은 2021년 19,318백만원에서 2022년 일부 차입금을 상환함에 따라 6,998백만원으로 감소하였으며, 2024년 현재 6,704백만원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및 2024년 말 기준 당사의 차입금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 차입금의 대부분은 운영자금 목적의 중소기업자금대출과 무역어음대출, 유산스 L/C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차입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자금대출의경우 당사의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어 만기도래 시 만기연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말 기준 당사 보유 현금성 자산 16,428백만원을 고려 시 단기간내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차입금 상세내역] |
(단위: 천원)) |
차입금 종류 | 차입처 | 최장만기일 | 이자율 |
2024년도 (제33기) |
2023년도 (제32기) |
상환방법 |
---|---|---|---|---|---|---|
중소기업자금대출(*1) | 기업은행 | 2025-12-11 | 3.55% | 6,000,000 | 6,000,000 | 만기일시상환 |
무역어음대출 | 기업은행 | 2025-05-31 | 0.40% | 50,916 | 115,980 | 만기일시상환 |
KEB하나은행 | 2025-05-13 | 6.38% | 652,772 | 645,985 | 만기일시상환 | |
담보부 차입(*2) | 기업은행 | - | - | - | 7,892 | 만기일시상환 |
합 계 | 6,703,688 | 6,769,857 |
(*1) | 당사의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
(*2) |
당사는 외화매출채권을 금융기관 등에 매각하였으며, 이중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가 은행에 해당 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는 소구권이 있는 거래에 대해서는 담보부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 6,9 참조). |
[차입금 관련 담보제공 자산] |
(단위: 백만원, USD) |
구 분 | 담보설정액 | 채무내용 | 채권자 | |||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토지, 건물 | 11,040 | 22,922 | 22,922 | 22,922 | 차입금담보 | 기업은행 |
- | USD 150,000 | USD 150,000 | USD 150,000 | |||
토지, 건물 | - | - | - | 1,896 | 차입금담보 | 신한은행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상장 이후 공모자금이 유입될 경우 최근 결산일 기준 재무안정성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모가 하단 기준으로 동사에 유입될 순수입금은 13,295백만원, 상단 기준으로 16,326백만원입니다. 공모자금 유입 직후 유동비율은 367.10%에서 공모가 하단 기준 으로 469.63%로 증가하여 2023년 업종평균 139.23%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채비율의 경우 18.41%에서 16.93%로 감소하여 업종평균 대비 양호합니다. 차입금의존도의 경우 3.73%에서 3.47%로 감소하여 업종평균인 30.07% 대비 양호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모 전후 재무안정성 비율] |
구분 | 2024년 | 공모자금 유입 후 | 실제 집행 자금 50% 증가 | 2023년 | ||
하단 | 상단 | 하단 | 상단 | 업종평균 | ||
유동비율 | 367.08% | 469.63% | 493.00% | 344.34% | 341.16% | 139.23 |
부채비율 | 18.41% | 16.93% | 16.63% | 20.96% | 21.48% | 133.06 |
차입금의존도 | 3.73% | 3.47% | 3.42% | 6.68% | 7.27% | 30.07 |
한편,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V. 자금의 사용목적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에서 제시된 소요자금 대비 실제 집행 자금이 50% 이상 증가하여 초과 자금을 단기차입으로 조달하는 상황을 가정할 경우, 동사의 유동비율,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다음과 같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공모가 하단 기준으로 유동비율은 367.08%에서 344.34%로 감소하고, 부채비율은 18.41%에서 21.48%로 증가하며, 차입금의존도는 3.73%에서 6.68%로 상승하여 전반적인 재무안정성 지표는 다소 저하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시나리오를 고려하더라도, 동사는 여전히 충분한 단기 유동성과 지급능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동비율은 여전히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며,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증가폭 또한 동사의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동사는 예상치 못한 자금 소요 발생 시 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일부 재무안정성 지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의 재무 상태,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재무적인 위험은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동사는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FC(금속도금탄소섬유),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발,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 등기존사업부문 강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목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글로벌 매출처 확장을 위한 고순도 알루미늄 해외 생산공장 설립 또한 검토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및 고정비용 증가로 인한 재무안정성 하락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전방산업 부진 및 영업환경 악화 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매출채권 회수 지연 및 미회수에 따른 위험 매출채권 회전율은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순조롭게 회수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대로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매출채권의 회수기간이 길어져 현금 유동성 악화 및 대손 발생의 위험이 증가함을 의미합니다. 당사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4.85회, 2023년 5.21회, 2024년 6.94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기준 업종평균인 5.80회를 상회하는 수치로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지연 가능성은 업종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됩니다.당사는 약 60개의 매출거래처와 거래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거래처와는 오랜 거래 관계를 이어오고 있어 전방 산업의 영업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또한, 매출처 편중 위험 역시 제한적인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매출채권의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규 매출처 거래시 고객사의 규모와 재무건전성, 당사와의 거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매출채권 결제 조건을 설정하고 있으며, 매출 발생 이후 영업팀에서 주기적으로 고객사와 소통하여 매출채권 회수를 관리하고, 재무팀에서는 수시로 매출채권 회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이에 따라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지연 및 미회수에 따른 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영업환경 악화, 매출처의 영업부진으로 인하여 매출채권이 정상적으로 회수되지 않을 경우 당사의 현금흐름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매출채권 회전율은 매출채권의 현금화 속도를 측정하는 지표로서, 매출채권 회전율이 높다는 것은 매출채권이 순조롭게 회수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반대로 회전율이 낮다는 것은 매출채권의 회수기간이 길어져 현금 유동성 악화 및 대손 발생의 위험이증가함을 의미합니다. 동사의 매출채권 회전율은 2022년 4.85회, 2023년 5.21회, 2024년 6.94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는 2023년 기준 업종평균인 5.80회를 상회하는수치로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지연 가능성은 업종평균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파악됩니다.한편, 2023년말 매출채권회전율이 2022년말 대비 낮아진 원인은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매출액이 전년 대비 상대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매출액이 전년 대비 -15.95% 감소한데 기인한 것으로 확인됩니다. 2024년 당사의 매출채권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매출액이 전년대비 23.27% 증가함에 따라 매출채권회전율은 전년 대비 1.73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매출채권 회전율 추이] |
(단위: 백만원, 회) |
재 무 비 율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회사 | 업종평균 | 회사 | 업종평균 | ||
평균 매출채권 | 9,943 | 10,736 | 13,643 | ||
매출액 | 68,955 | 55,936 | - | 66,267 | - |
매출채권회전율 | 6.94 | 5.21 | 5.80 | 4.85 | 5.60 |
주1) | 업종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2년 및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종합 C283(절연선 및 케이블)의 업종 비율을 참조하였습니다. |
주2)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의 최근 3개년 매출채권의 연령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채권 연령 분석] |
(단위: 천원) |
구분 | 매출채권 | ||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연체되지 않은 채권 | 10,339,828 | 8,865,327 | 12,130,351 |
연체되었으나 개별적으로손상되지 않은 채권(*1) | |||
3개월 이하 | 121,685 | 327,239 | 29,265 |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 | 183 | 124,395 | - |
6개월 초과 | 387,990 | - | |
개별손상채권(*2) | - | 3,958 | 14,482 |
합계 | 10,849,686 | 9,320,919 | 12,174,098 |
주1) | 연체되었으나 손상되지 않은 채권은 최근 부도 기록이 없는 여러 독립된 거래처들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
주2) |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은 주로 예측하지 못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거래처와 관련된 채권입니다. |
또한 2024년말 기준 6개월을 초과하여 연체된 매출채권의 비중은 전체 매출채권 대비 3.58%로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채권은 대부분 3개월 미만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채권회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동사는 2023년 K-IFRS 회계기준 도입 이후 과거의 매출채권 대손율을 현재 매출채권 에 적용하는 방식(Rollrate)으로 대손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으며, 당분기와 전기 중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 및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변동내역] |
(단위: 천원) |
구 분 | 2024년 | |||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 |
유동성 매출채권 | 10,849,686 | (278,658) | - | 10,571,028 |
구 분 | 2023년 | |||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 |
유동성 매출채권 | 9,320,919 | (6,855) | - | 9,314,064 |
[ 매출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비중 현황] |
(단위: 천원) |
구 분 | 2024년 | 2023년 |
---|---|---|
매출채권 |
10,849,686 |
9,320,919 |
대손충당금 | 278,658 | 6,855 |
대손충당금 비중 | 2.57% | 0.07% |
주1) | 위 수치는 K-IFRS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2023년 말의 경우 매출채권 대비 대손충당금의 비중이 약 0.07%를 기록하였으나, 2024년 말에는 그 비중이 2.57% 수준으로 증가하였습 니다. 동사는 채권연령표 자료를 기반으로 채권전이율 및 대손율을 산정한 후 기대신용손실모형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계산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에 거래처 'T사'에 납품한 제품관련 채권 회수와 입금이 지연되어 대손충당금이 증가했습니다.
한편, 당사는 약 60여 개의 매출채권 거래처와 거래를 유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거래처와는 오랜 거래 관계를 이어오고 있어 전방 산업의 영업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비교적 낮은 편입니다. 또한, 매출처 편중 위험 역시 제한적인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부실징후가 존재하는 채권에 대해서는 개별평가를 진행하며, 3개월 이상 채권은 정상채권 제외 장기채권으로 분류하여 매월 장기채권에 대한 연령분석을 실시하고 해당 내용 보고 및 추심 절차에 들어가게 됩니다. 또한, 매출채권 결제조건은 거래처와 별로 다소 상이하지만, 통상 30일에서 60일 사이의 여신기한을 가져가고 있으며 특수 거래처의 경우 별도 계약을 통해 여신기간을 180일까지 늘리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의 건전성을 강화하기 위해 신규 매출처 거래시 고객사의 규모와 재무건전성, 당사와의 거래 규모 등을 고려하여 매출채권 결제 조건을 지정하고 있으며, 매출 후에는 당사 영업팀에서 주기적으로 고객사와 소통하여 매출채권 회수를 진행하고, 재무팀에서는 수시로 매출채권 회수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위와 같이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 지연 및 미회수에 따른 위험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향후 영업환경 악화, 매출처의 영업부진으로 인하여 매출채권이 정상적으로 회수되지 않는 경우 당사의 현금흐름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바. 재고자산 관련 위험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재고자산이 얼마나 빠르게 판매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판매되어 현금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고자산의 가치가 하락 위험이 낮아지게 됩니다. 동사의 재고자산회전율은 2022년 3.55회, 2023년 3.31회, 2024년 3.79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동사는 2024년 거래처 주문 확보 및예상 매출 증가에 대비하여 사전에 재고를 선매입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고자산 규모가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매출액 감소로 인해 재고자산 회전율이 일시적으로 하락하였으나, 2024년 매출 증가에 따라 회전율이 다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동사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3년 업종 평균(8.47회)을 하회하는 수준입니다. 이는 당사의 제품이 고객 주문에 따라 생산되는 다품종 소량 생산 방식이므로, 주문 대응을 위해 일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낮은 재고자산 회전율은 재고자산의 부식 또는 재고 평가 손실로 인해 영업 실적이 악화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동사의 재고자산은 유효기간이 존재하는 품목이 아니므로 진부화될 가능성은 적다고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거나 동사의 기대와 달리 주요매출처의 영업환경 악화, 생산공정상 차질, 화재나 예상치 못한 도난등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 평가손실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으로 인한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현금흐름 및 재무수치가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재고자산회전율은 기업의 재고자산이 얼마나 빠르게 판매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판매되어 현금화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재고자산의 가치 하락 위험이 낮아지게 됩니다. 동사의 재고자산회전율은 2022년 3.55회, 2023년 3.31회, 2024년 3.79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당사는 2024년 거래처주문 확보 및 예상 매출 증가에 재고 선매입으로 재고자산 규모가 증가하였고, 매출액 감소에 따라 재고자산 회전율이 감소하였으나, 2024년 매출액 증가에 따라 재고자산 회전율은 다시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반면, 동사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2023년 기준 업종평균(8.47회)을 하회하는 수치이며 , 이와 같은 낮은 재고자산 회전율로 인하여 재고자산의 부식 또는 재고 평가손실에 따른 영업실적 악화 위험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다만, 동사는 고객의 주문에 적시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수준이상의 재고를 보유하고 있는 정책으로 회전율은 업종 평균 대비 낮게 산출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 회전율 추이] |
(단위: 백만원, 회) |
재 무 비 율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
회사 | 업종평균 | 회사 | 업종평균 | ||
평균 재고자산 | 18,155 | 16,915 | 18,691 | ||
매출액 | 68,955 | 55,936 | - | 66,267 | - |
재고자산 회전율 | 3.79 | 3.31 | 8.47 | 3.55 | 9.17 |
주1) | 업종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2년 및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종합 C283(절연선 및 케이블)의 업종 비율을 참조하였습니다. |
주2)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의 2024년말과 2023년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 및 재고자산 평가손실충당금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재고자산 평가손실충당금 현황] |
(단위: 천원) |
구 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제품 및 상품 | 4,581,708 | 2,849,674 | 3,614,860 |
제품 및 상품 평가충당금 | (139,600) | (83,377) | (52,863) |
재공품 | 3,949,953 | 2,944,352 | 2,343,157 |
재공품 평가충당금 | (42,887) | (35,013) | (31,656) |
원재료 | 9,781,755 | 9,872,396 | 10,372,845 |
원재료 평가충당금 | (129,844) | (54,449) | (134,882) |
저장품 | 296,085 | 192,685 | 113,314 |
미착품 | 1,469,703 | 856,764 | 1,061,169 |
합 계 | 19,766,873 | 16,543,032 | 17,285,944 |
주2)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는 매년 1회 생산팀 재고실사 담당자의 입회하에 재고실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장부와 실제 재고의 차이내역은 재무팀에 보고하고, 차이 원인에 대한 후속조치(폐기, 손망실 기표)를 수행하고 관리부문장과 생산부문장의 검토와 승인을 받고 있습니다. 장기체화된 재고, 가치가 훼손되어 순실현가능가치가 하락한 재고를 분기별로 연령 평가를 수행 후 기간별로 손실률 산출내역을 문서화 후 이를 근거로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고자산 품목별 연령 분석 및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고자산 품목별 연령 분석] |
(단위: 백만원) |
[2023년] |
품 목 |
재고자산 (A) (2023년) |
연령분석(2023년말) |
평가충당금 (2023년) |
소진현황(B) | 잔액 | |||||||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합계 | (A-B) | |||
(제품) Steel Wire | 2,162 | 2,082 | 48 | 32 | - | 20 | 2,162 | - | - | - | 2,162 | - |
(원재료)전기동 | 3,565 | 1,935 | 1,630 | - | - | 31 | 2,651 | 914 | - | - | 3,565 | - |
(원재료)주석 | 2,361 | 565 | 815 | 981 | - | 24 | 1,105 | 1,209 | 47 | - | 2,361 | - |
(원재료)AL INGOT | 1,901 | 908 | 992 | - | - | - | 1,391 | 510 | - | - | 1,901 | - |
기타 | 6,727 | 5,704 | 453 | 293 | 277 | 98 | 5,579 | 670 | 280 | 1 | 6,529 | 197 |
합계 | 16,716 | 11,194 | 3,939 | 1,306 | 277 | 173 | 12,887 | 3,304 | 327 | 1 | 16,519 | 197 |
[2024년] |
품 목 |
재고자산 (A) (2024년) |
연령분석(2024년말) |
평가충당금 (2024년도) |
소진현황(B) | 잔액 | |||||||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3월내 | 3~6월 | 6~12월 | 1년이상 | 합계 | (A-B) | |||
(제품) Steel Wire | 3,533 | 3,149 | 217 | 161 | 6 | 140 | 3,149 | - | - | - | 3,149 | 385 |
(원재료)전기동 | 3,214 | 1,956 | 1,258 | - | - | 53 | 1,727 | - | - | - | 1,727 | 1,487 |
(원재료)주석 | 1,926 | 914 | 1,013 | - | - | 77 | 750 | - | - | - | 750 | 1,176 |
(원재료)AL INGOT | 1,440 | 1,440 | - | - | - | - | 305 | - | - | - | 305 | 1,135 |
기타 | 9,966 | 7,797 | 1,222 | 750 | 198 | 43 | 7,985 | - | - | - | 7,985 | 1,981 |
합계 | 20,079 | 15,255 | 3,710 | 911 | 204 | 312 | 13,917 | - | - | - | 13,917 | 6,163 |
동사의 제품은 고객의 주문에 의해 주문생산(다품종 소량생산)되고 있어 고객의 주문에 대응하기 위한 적정 재고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재고자산을 확보함에 따라 재고자산 중 원재료가 가장 높은 비중을 구성하고 있으며, 재공품이 그 다음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 소재의 특성상 유통기한이 존재하지 않아 부패나 변질로 인한 폐기가 없어, 재고자산에 대한 손상이 발생할 위험은 타 산업에 비하여 낮은 편입니다.
이처럼 당사는 적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하고 있으며, 당사의 재고자산은 유효기간이 존재하는 품목이 아니므로 진부화될 가능성은 적다고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거나 동사의 기대와 달리 주요매출처의 영업환경 악화, 생산공정상 차질, 화재나 예상치 못한 도난등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 평가손실을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재고자산으로 인한 비용 증가로 인해 영업현금흐름 및 재무수치가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현금흐름 관련 위험 동사의 최근 3개년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15,056백만원, 2023년 8,438백만원,2024년 6,484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당사의 당기순이익은 2023년 대비 높은 8,777백만원을 기록하였으나 영업현금흐름은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등 운전자본의 증가로 인한 영업창출 현금흐름의 감소가 주된 사유이며, 예상 매출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재고 확보에 따른 재고자산 규모의 증가, 매출 증가에 따른 채권 확대에 기인합니다. 최근 3개년 기준 투자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12,365백만원, 2023년 (-)3,617백만원, 2024년 4,849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음의 투자활동현금흐름을 시현한 이유는 유형자산 취득(기계장치 및 태양광 발전 설비) 4,231백만원에 기인합니다. 그 외 재무활동현금흐름의 경우 2022년 (-)25,743백만원, 2023년 (-)2,418백만원, 2024년 (-)1,908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2021년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여 차입금이 크게 증가였으며, 2022년부터 매년 단기차입금을 감소시켜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대비 현금유출액이 다소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나, 지속적으로 개선된 재무활동현금흐름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지속적인 (+)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고려할 경우 현금흐름과 관련된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시장 성장성 둔화와 수요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수익성 악화, 고객사의 대금납기 지연 등이 발생할 시 현금흐름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신규 사업 확장을 위한 연구개발 목적의 투자를 고려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증가에 따른 현금흐름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신용도 하락 및 자본조달 비용의 증가, 생산 및 판매활동의 둔화 등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최근 3개년 동안 현금흐름 추이는 아래 표와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요약 연결현금흐름표] |
(단위 : 백만원) |
과 목 | 2024년 | 2023년 | 2022년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484 | 8,438 | 15,056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5,611 | 9,507 | 16,026 |
2. 이자의 수취 | 476 | 190 | 303 |
3. 이자의 지급 | (286) | (468) | (479) |
4. 법인세의 납부 | (747) | (2,113) | (2,412) |
5. 배당금의 수령 | 1,430 | 1,322 | 1,618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849 | (3,617) | 12,365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908) | (2,418) | (25,743) |
Ⅳ. 현금의 증가(감소)(Ⅰ+Ⅱ+Ⅲ) | 9,426 | 2,402 | 1,678 |
Ⅴ. 기초의 현금 | 7,002 | 4,601 | 2,922 |
Ⅵ. 환율변동효과 | 0 | (1) | 0 |
Ⅶ. 기말의 현금(Ⅳ+Ⅴ+Ⅵ) | 16,428 | 7,002 | 4,601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의 최근 3개년 기준 영업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15,056백만원, 2023년 8,438백만원, 2024년 6,484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4년 당사의 당기순이익은 2023년 대비 높은 8,777백만원을 기록하였으나 영업현금흐름은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등 운전자본의 증가로 인한 영업창출 현금흐름의 감소가 주된 사유이며, 예상 매출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인 재고 확보에 따른 재고자산 규모의 증가, 매출 증가에 따른 채권 확대에 기인합니다. 동사의 최근 3개년 동안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단위 : 천원) |
구 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당기순이익 | 8,777,259 | 2,371,113 | 7,833,271 |
조정항목: | |||
퇴직급여 | 692,954 | 739,839 | 607,595 |
감가상각비 | 3,514,127 | 3,355,673 | 3,308,172 |
사용권자산 감가상각비 | 286,004 | 266,578 | 244,032 |
유형자산처분손실 | 44,607 | 493,794 | 17,530 |
외화환산손실 | 35,014 | 153,296 | 970,409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258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39,492 | (46,561) | (226,472)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250,164) | (77,993) | (268,197)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227,117) | (634,688) | - |
유형자산처분이익 | (8,193) | - | (4,686) |
이자수익 | (464,455) | (215,623) | (154,408) |
이자비용 | 455,971 | 470,818 | 646,928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31 | 21,644 | 85,091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 - | - | 548,446 |
법인세비용(수익) | 1,920,239 | 215,876 | (942,694) |
배당금수익 | (1,430,424) | (1,322,174) | (1,618,111) |
외화환산이익 | (390,029) | (10,684) | (310,846) |
종속기업처분이익 | (1,862,364) | - | - |
기타 | (125,488) | 2,919 | 229,013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
매출채권의 증감 | (1,138,813) | 2,707,276 | 2,311,710 |
미수금의 증감 | (40,723) | 200,032 | 345,732 |
선급금의 증감 | 109,077 | 196,122 | 590,493 |
선급비용의 증감 | (6,897) | (23,822) | 5,650 |
재고자산의 증감 | (3,363,333) | 789,473 | 3,035,636 |
장기매출채권의 증감 | - | - | 348,839 |
매입채무의 증감 | (279,961) | 427,457 | (1,236,066) |
미지급금의 증감 | (41,604) | (69,596) | (156,153) |
미지급비용의 증감 | 26,171 | 138,847 | 80,298 |
예수금의 증감 | (1,538) | (18,752) | (13,485) |
선수금의 증감 | (432,405) | 184,522 | 427,950 |
선수수익의 증감 | 20,454 | 281,526 | 12,663 |
기타보증금의 증감 | - | - | 20,000 |
퇴직금의 지급 | (366,700) | (708,712) | (267,082) |
퇴직연금운용자산의 증가 | (300,000) | (347,132) | (454,238) |
퇴직보험예치금의 증가 | - | - | (38) |
반품제품회수권의 증감 | (139,302) | 67,930 | (27,188) |
반품충당부채의 증감 | 187,434 | (93,120) | 36,220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5,611,126 | 9,506,796 | 16,026,272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최근 3개년 기준 투자활동현금흐름은 2022년 12,365백만원, 2023년 (-)3,617백만원, 2024년 4,849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3년 음의 투자활동현금흐름을 시현한 이유는 유형자산 취득 4,231백만원에 기인하며, 이는 기계장치 취득과 태양광발전설비 취득 때문입니다. 그 외 재무활동현금흐름의 경우 2022년 (-)25,743백만원, 2023년 (-)2,418백만원, 2024년 (-)1,908백만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는 2021년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여 차입금이 크게 증가였으며, 2022년부터 매년 단기차입금을 감소시켜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대비 현금유출액이 다소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으나, 지속적으로 개선된 재무활동현금흐름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당사의 현금 기말현금은 (-)의 재무활동현금흐름에도 불구하고, 영업활동 현금흐름 및 투자활동 현금흐름의 증가에 따라 2023년 대비 9,426백만원 증가한 16,428백만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지속적인 (+)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고려할 경우 현금흐름과 관련된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향후 시장 성장성 둔화와 수요 감소로 인한 매출 감소, 수익성 악화, 고객사의 대금납기 지연 등이 발생할 시 당사의 현금흐름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기존사업부문 강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목적의 투자를 검토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증가에 따른 현금흐름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의 신용도 하락 및 자본조달 비용의 증가, 생산 및 판매활동의 둔화 등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아.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관련 위험 당사는 최근 3년간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인 홍덕산업(주)와 매출 및 매입 거래가 존재하였습니다. 당사와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는 타 고객사와의 거래조건 등을 비교하였을 때 적정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의 이해관계자와의 매입 및 매출 거래의 비중은 동사 전체 매입 및 매출 거래에 비하여 미미한 수준으로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를 통한 이익전가 가능성은낮다고 판단됩니다. 한편, 당사는 2024년 1월 1일 "특수관계자거래 규정"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으며, 동 규정은 이해관계자와와의 거래는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부득이하게 필요한 이해관계자 거래에 대해서는 그 거래의 당위성, 목적, 조건 등을 이사회에 보고 및 승인을 얻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특수관계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특성상 이해상충의 여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거래의 발생 및 거래 시 내부통제 절차 진행 상의 미흡한 점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바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3년간 당사의 이해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별 이해관계자 현황>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전기초 |
종속회사 | - | KISTRON(DONGGUAN) | KISTRON(DONGGUAN)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홍덕산업㈜ | 홍덕산업㈜ |
키스와이어홀딩스㈜ | 키스와이어홀딩스㈜ | 키스와이어홀딩스㈜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고려제강㈜ | 고려제강㈜ |
고려강선㈜ | 고려강선㈜ | 고려강선㈜ | |
KAT㈜ | KAT㈜ | KAT㈜ | |
홍덕섬유(주) | - | - | |
서울청과㈜ | 서울청과㈜ | 서울청과㈜ | |
케이랩㈜ | 케이랩㈜ | 케이랩㈜ |
최근 3개년 당사 이해관계자와의 매출ㆍ매입 등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 니다.
[이해관계자와의 매출ㆍ매입 등 거래 내역] |
(단위: 천원) |
<2024년>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유형자산 취득 | 사용권자산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67,856 | 117,498 | - | 7,844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3,461 | - | 20,004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56,255 | 133,194 | - | 96,094 | 1,235,924 |
고려강선㈜ | - | - | 100,218 | - | 258,457 | - | |
KAT㈜ | - | - | 5,712 | - | 47,527 | - | |
홍덕섬유㈜ | - | - | 1,206 | - | 32,247 | - | |
서울청과㈜ | - | - | 1,658 | - | - | - | |
합 계 | - | 124,111 | 362,947 | - | 462,173 | 1,353,214 |
<2023년>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유형자산 취득 | 사용권자산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3,516 | 412,754 | 71,285 | 52,650 | -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305 | - | -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 | 123,867 | - | 46,895 | 974,589 |
고려강선㈜ | - | - | 45,716 | 38,610 | 29,335 | - | |
KAT㈜ | - | - | 1,305 | - | - | - | |
서울청과㈜ | - | - | 1,423 | - | - | - | |
합 계 | 3,516 | 412,754 | 244,901 | 91,260 | 76,230 | 1,091,879 |
<2022년>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유형자산 취득 | 사용권자산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129,318 | 64,106 | - | 182,808 | 390,965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432 | - | -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 | 116,894 | 20,475 | 21,002 | 974,588 |
고려강선㈜ | - | - | 42,711 | - | - | - | |
KAT㈜ | - | - | 1,432 | - | - | - | |
서울청과㈜ | - | - | 1,450 | - | - | - | |
합 계 | - | 129,318 | 228,025 | 20,475 | 203,810 | 1,365,553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당사는 최근 3년간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인 홍덕산업(주)와 매출 및 매입 거래가 존재하였습니다. KISTRON(DONGGUAN)은 舊)키스트론이 본사의 중간선을 원재료로 하여 완제품을 만들어 중국 현지 시장 및 주요 거래처인 일본 코호쿠공업의 중국 동관공장에 판매할 목적으로 지분 100%를 출자하여 2005년 11월 설립하였으나, 당 사가 프리미엄 시장에 집중하기 위한 사업전략의 변경으로 2023년 3월 이사회 결의를 통해 KISTRON(DONGGUAN) 지분 전량을 매각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23년 7월 28일 동관시 흥창환경보호바이오텍유한공사에 매각 계약을 진행해 최종적으로 2024년 5월 8일에 매각을 완료했습니다. 이에 따라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KISTRON(DONGGUAN) 등 당사의 이해관계자에서 제외되었습니다. KISTRON(DONGGUAN) 의 최근 3개년 요약재무제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KISTRON(DONGGUAN) 최근 3개년 요약재무제표>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총자산 | 917 | 5,961 | 9,133 |
자본금 | 15,015 | 15,015 | 15,015 |
자본총계 | (904) | 1,482 | 3,627 |
부채총계 | 1,821 | 4,479 | 5,505 |
매출액 | 1,753 | 6,823 | 10,279 |
영업이익 | (2,270) | (1,733) | 128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 (2,979) | (2,166) | 210 |
당기순이익 | (2,979) | (2,166) | 205 |
본사 매출액 | 227 | 148 | 657 |
본사 매입액 | 80 | 503 | 93 |
기타 거래 | - | - | - |
주) | KISTRON(DONGGUAN)은 2024년 5월 매각하여 2024년도 상반기 기준 재무수치는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홍덕산업(주)는 철강 선재 제조업을 주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당사의 주요제품인 와이어의 원재료인 철선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에 홍덕산업과의 거래내역은 홍덕산업으로부터의 철선 구입 및 철선 신선 임가공 거래가 주된 구성요소였습니다. 홍덕산업(주) 개황 및 재무상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홍덕산업(주) 개황 및 최근 3개년 재무상황> |
(단위: 백만원) |
회 사 개 황 | 재 무 상 황 | 대주주 | |||||||
년도 |
자산총액 |
자본금 |
자기자본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배당율 | 주주명 | 지분 | |
회사명 홍덕산업주식회사 대표자 이주철 설립일 2012-05-01 결산기 매년 1월 1일~12월 31일 업종 제철업, 강선삭제조업 및 신선업 등 주제품 W/R GAC, S/W, PC 강연선, B/W 등 회사와의 관계 기업집단소속회사 |
2023 | 892,228 | 22,402 | 795,659 | 328,569 | 19,400 | 30.00% |
고려제강㈜ 홍영철 키스와이어홀딩스㈜ |
32.04% 29.06% 19.54% |
2022 | 774,122 | 22,402 | 700,017 | 412,442 | -6,547 | 30.0% |
고려제강㈜ 홍영철 키스와이어홀딩스㈜ |
32.04% 29.06% 19.54% |
|
2021 | 805,676 | 22,402 | 730,672 | 371,713 | 41,605 | 100.0% |
고려제강㈜ 홍영철 키스와이어홀딩스㈜ |
32.04% 29.06% 19.54% |
주) | 당사 내부자료 |
한편, 최근 3개년 당사 이해관계자와의 채권ㆍ채무 주요 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이해관계자와의 채권ㆍ채무 잔액] |
(단위: 천원) |
<2024년> |
구 분 | 회사명 | 채 무 | |
---|---|---|---|
매입채무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448,326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29,191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4,400 | 518,939 |
고려강선㈜ | - | 536,968 | |
KAT㈜ | - | 56,186 | |
홍덕섬유㈜ | - | 32,287 | |
서울청과㈜ | - | 12,976 | |
합 계 | 4,400 | 1,634,873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3년> |
구 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3,867 | - | 502,792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0,782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3,135 | 472,223 |
고려강선㈜ | - | - | 329,945 | |
KAT㈜ | - | - | 10,782 | |
서울청과㈜ | - | - | 13,241 | |
합 계 | 3,867 | 3,135 | 1,339,765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2년> |
구 분 | 회사명 | 매출채권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558,426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11,967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489,614 |
고려강선㈜ | - | 342,671 | |
KAT㈜ | - | 11,967 | |
서울청과㈜ | - | 13,475 | |
합 계 | - | 1,428,120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2)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한편, 동사는 2024년 1월 1일 "특수관계자거래 규정"을 제정하고 시행하고 있으며, 동 규정은 이해관계자와와의 거래는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부득이하게 필요한 이해관계자 거래에 대해서는 그 거래의 당위성, 목적, 조건 등을 이사회에 보고 및 승인을얻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해당 이사의 의결권을 제한하는 규정을 구비하여, 내부통제 장치를 마련하였습니다. 규정의 세부 내용은 하기와같습니다.
[ 특수관계자거래 규정 주요 내용] |
관련규정 | 세부내용 |
---|---|
제 1조 (목적) |
이 규정은 회사와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에 관하여 사전심의 및 적정성 확보를 통해 투명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제 2조 (적용범위) |
이 규정은 회사가 상법,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및 기타 관련 법령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 대상인, 회사와 특수한 관계가 있는 자(특수관계인, 이해관계자 등 각 관련 법령에 따른 명칭을 불문하며, 이하 "특수관계자"라 한다)를 거래상대방으로 하거나 특수관계자를 위한 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이 경우 특수관계자의 범위는 회사가 수행하고자 하는 거래에 적용되는 법령에 규정된 바에 따른다. |
제 3조 (거래의 범위) |
특수관계자 거래의 유형은 다음의 각 호와 같으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매출/매입 거래 2. 부동산 구입/처분 3. 용역 거래 4. 대리 및 임대차 협약 5. 연구개발의 이전 6. 면허 약정 7. 대여와 출자를 포함하는 금융거래 8. 담보/보증 9. 경영계약 및 기타의 거래 |
제4조 (신용공여의 금지) |
회사가 특수관계자를 상대방으로 하거나 그를 위하여 신용공여(금전 등 경제적 가치가 있는 재산의 대여, 채무이행의 보증, 자금 지원적 성격의 증권 매입, 그 밖에 거래상의 신용위험이 따르는 직접적ㆍ간접적 거래로서 상법 시행령 제35조가 정하는 거래를 의미한다)를 하여서는 안된다. 다만, 상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허용되는 신용공여로서, 회사가 불가피하게 해당 신용공여를 하여야 하는 사유가 존재하는 경우는 예외로 하되, (i) 사전에 이사회를 소집하여 이사회 의장이 신용공여의 당위성과 주요조건을 밝힌 후 이사회 구성원 전원의 만장일치에 의한 결의를 하여야 하고, (ii) 이사회 결의 직후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서 해당 신용공여의 내용을 보고해야 하며, (iii) 기타 관련 법령이 정한 요건과 절차(공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를 준수하여야 한다. |
제5조 (이사회 승인) |
1. 특수관계자를 상대방으로 하거나 특수관계자를 위한 거래로서 다음 각 호의 해당하는 거래에 대해서는 사전에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1) 단일 거래규모가 회사의 최근 사업년도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 이상인 거래 2) 당해 사업년도 중에 당해 거래를 포함한 당해 특수관계자와의 거래총액이 회사의 최근사업년도말 현재의 자산총액 또는 매출총액의 1% 이상인 거래 3) 관련 법령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이 요구되는 거래 4) 거래상대방, 거래규모, 기타 거래조건에 비추어 이사회의 승인이 필요한 것으로 합리적으로 판단되는 거래 5) 본 조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을 받은 거래의 계약기간을 갱신하거나 그 거래조건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2. 이사회 의장은 제1항의 거래를 승인하기 위한 이사회 결의에 앞서 (i) 특수관계의 성격(거래에 관련된 특수관계자의 명단을 포함한다), (ii) 거래명세(대가가 없거나 소액의 거래라도 해당 거래의 재무제표에 대한 영향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및 (iii) 거래가격, 결제조건 등 기타 주요 거래조건(기존 거래조건이 변경되는 경우 그 내용 및 영향을 포함한다)을 이사들에게 상세히 설명하여야 한다. 3.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의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하되, 해당 거래에 적용되는 법령에 가중된 결의요건이 규정된 경우에는 해당 결의요건에 따른다. 이사회의 결의에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4. 회사가 제1항 제1호 또는 제2호의 거래에 대한 이사회 결의를 한 경우, 그 결의 후 최초로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서 당해 거래와 관련하여 거래의 목적, 거래의 상대방, 거래의 내용/일자/기간 및 조건, 그리고 당해 사업년도 중 거래상대방과의 거래유형별 총 거래금액 및 거래잔액을 보고하여야 한다. |
제6조 (거래조건의 적정성) |
회사가 특수관계자를 상대방으로 하거나 특수관계자를 위한 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거래의 거래가격 기타 거래조건은 회사와 특수관계가 없는 독립된 제3자와의 거래에서 형성되었을 거래조건으로 정하여야 하고, 이러한 거래조건의 결정을 위하여 이사회는 회계법인 등 외부평가기관을 선정하여 그 평가결과를 감안하여 거래조건을 정할 수 있다. |
제7조 (관련법령 준수) |
회사가 특수관계자를 상대방으로 하거나 특수관계자를 위한 거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련 법령 이 정한 요건과 절차(공시를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아니한다)를 준수하여야 한다. |
이처럼 당사는 이해관계자와의 거래가 발생하는 구조이나, 절차적 강화를 통하여 이해관계자 간 거래는 철저한 내부통제 절차를 거쳐 이뤄지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 당사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목적 및 내역 등을 고려할 때 제3자와의 거래가격 차이, 이익의 전가의 발생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이러한 당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향후 특수관계자 및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특성상 이해상충의 여지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거래의 발생 및 거래 시 내부통제 절차 진행 상 미흡한 점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바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소요에 따른 위험 동사는 전자제품용 원자재인 Lead Wire, 전기통신용 원자재인 케이블 도체, 접지극용 연선 및 소선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동사는 전기, 전자, 통신 원자재 제조를 위해 고탄소강, 저탄소강, 동선, 무산소동, 알루미늄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으며, 고객사 요구물성에 따라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Cu, Ni, Ag, Sn 등의 도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품종 제품 생산의 효율성을 갖추기 위해 제품의 기능별, 외관별, 제조사별 표준화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담당 조직을 구성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습니다. 신규 사업 진출 등을 위해 전기자동차 시트열선용 탄소섬유 금속도금(MCF) 기술개발, 고효율 구동 모터용 소재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기 서술한 당사의 기술경쟁력 및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소요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기술 경쟁력이 경쟁사 혹은 후발업체에게 뒤쳐지는 등 악화될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회사 사업계획의 변경, 새로운 제품개발 결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품상용화 및 양산화에실패할 경우 비용이 상승하여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전자제품용 원자재인 Lead Wire, 전기통신용 원자재인 케이블 도체, 접지극용 연선 및 소선을 제조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당사는 전기, 전자, 통신 원자재 제조를 위해 고탄소강, 저탄소강, 동선, 무산소동, 알루미늄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으며, 고객사 요구물성에 따라 자체 기술개발을 통해 Cu, Ni, Ag, Sn 등의 도금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품종 제품 생산의 효율성을 갖추기 위해 제품의 기능별, 외관별,제조사별 표준화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함으로써 싼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제공하 여 시장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 담당 조직을 구성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으 며, 도금기술 경쟁력 및 원가절감을 위한 대체 소재 개발 등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였습니다.(1) 도금기술 경쟁력전기도금은 일정 수준 이상의 과전위를 인가함으로써 도전성 소재 표면에 금속 및 비금속층을 형성하는 기술로, 제품 표면의 전기전도성·내식성·용접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자체적인 설비 개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도금 용액에서부터 도금설비, 제조운영 기술까지 기술 개발능력을 갖추어 전기도금의 경우 700㎛ 수준까지의 두껍지만 우수한 밀착성과 균일한 도금 두께를 갖는 높은 품질의 제품 생산이 가능합니다. 또한, 용융도금의 경우 일반적으로 휘스커 방지 및 내열성에 강한 특징이 있으나 편심이 많은 단점으로 인해 당사에서는 버티컬 타입으로 핫에어를 통해 편심을 제어하여 균일한 도금이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2) 원가절감을 위한 대체 소재 개발동사에서는 기존 값비싼 구리선을 철선에 동도금을 한 CP 제품으로 대체한 제품들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디토네이터 와이어의 경우 광산업 등의 공사현장에서널리 쓰이는 기폭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도체이며, 전기뇌관에서 전자뇌관으로 변화로 인한 신호전송의 목적을 갖고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고탄소강에 두꺼운 동도금을 함으로써 높은 강도를 갖으면서 높은 연신율까지 확보한 제품을 개발하여 Orica 1차 밴더 Silcom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외에 건물 등의 구조물을 서지(과도한 전압 및 전류) 및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접지 및 피뢰용 소재의 경우도 원가절감을 위해 동피복 강연선으로 대체하여 판매중에 있으며, 국내판로 확대를 위해 KS인증을 위한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기술 경쟁력 및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연구소를 개설하고, 선행개발,공정개발, 공정분석, 공정설계로 구성된 기술연구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술연구조직의 주요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개발 실적 주요 내용] |
연구과제 | 연구기관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상품화 | 비고 |
---|---|---|---|---|
40%IACS 동피복연강선을 활용한 접지극용 소재개발 | 키스트론㈜L사, S사공동연구 |
- 연동선과 유사한 인장강도로 우수한 전연성 확보하여 편리한 시공성 - 접착방식에 있어서 Cu와 철선간의 밀착성이 우수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박리가 발생하지 않음 - 기존 동연성 대비 약 30%의 원가 절감, 10% 경량화 |
S사양산라인 | - |
자동차 신호 케이블용 1000MPa·63%IACS급 0.08SQ 구리 합금선재 개발 | 당사, RIST,순천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K사 공동연구 |
- 국내의 독자적인 자동차 전선용 고강도 구리합금 전선 개발에 관한 기술 확보 - 고특성 전선용 구리 합금 선재를 개발함으로써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자동차 부품의 수명 및 안전 여유도를 제고- 소재 부품의 국산화에 따른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시제품 개발 완료 | - |
눌림불량 개선을 위한 광택도금 기술개발 | 당사, M사공동연구 |
- 광택도금을 통해 제품의 표면 조도를 조밀하게 하여 제품 강도를 미량 올리는 등 표면개선 - 광택도금 적용 시 기존 skinpass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Dies 비용을 절감 |
L사양산라인 | 주 |
구리 도금액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 양극 소재 개발 | 키스트론,포항산업과학연구원공동연구 |
- 구리도금 후 발생하는 도금 폐액 재활용을 위해 사용되는 양극 소재의 수명을 증가시켜 공정비용을 감축 - 소재 대체를 통해 기존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 문제 개선 |
제조 공정에 적용 중 | - |
한편, 당사의 최근 3사업연도 연구개발 비용은 하기와 같습니다. 당사는 매 사업연도연구개발비로 매출액 대비 약 0.5% 수준을 지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연구개발비용을 자산처리하여 인식하지 않고, 전액 비용 처리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 연 구개발 실적 주요 내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
자산처리 | 원재료비 | - | - | - |
인건비 | - | - | - | |
감가상각비 | - | - | - | |
위탁용역비 | - | - | - | |
기타 경비 | - | - | - | |
소 계 | - | - | - | |
비용처리 | 제조원가 | - | - | - |
판관비 | 323 | 292 | 331 | |
판관비 | - | - | 13 | |
(정부과제) | ||||
소 계 | 323 | 292 | 344 | |
합 계(매출액 대비 비율) | 323(0.47%) | 292(0.52%) | 344(0.51%) |
동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지출을 통해 향후 고객사의 요구 수준과 기술발전에 대응하여 당사의 기술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동사 제품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규 사업 진출 등을 위해 전기자동차 시트열선용 탄소섬유 금속도금(MCF) 기술개발, 고효율 구동 모터용 소재개발 등의 연구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연구개발 계획중인 연구과제 및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연구개발 계획] |
연구과제 | 연구기관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소요자금 (백만원) | 재원조달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개발 | 당사, L사, I사 | [진행현황] 1) 자동차 시트열선 MCF 포함 규격 및 품질 표준 입수 2) 습식/건식 샘플 제조하여 개발 가능성 확인 3) 친환경적인 건식 방식으로 설비 개발 4) 시트 열선 실증 평가 시제품 제조 진행중[상용화 시 기대 매출] 1) 양산차량 적용 시 : 64만대(24년기준) x 13,800원(대당 MCF 단가) x 90% = 79억원 2) 수출용, 고급차종 우선 적용후, 내수 확대 예정[추가 기대효과] 열선 시트용 도체 외 가벼운 무게 유연성으로 인한 배선 용이성 등으로 신호선 확대 적용 기대 | 3,068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기타 연구개발투자 | RIST, POSTECH, 순천대 |
[연구환경 개선] 분석 장비 최신화: FE-SEM(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XRF(X선형광분석기), 공초점 레이져현미경(조도 분석), 유니 버셜 인장시험기(피로/압축/항복강도 측정 등) 도입[공통/위탁 연구] 1) 전동 모터 도체(권선) 시장 진입을 위한 절연코팅 기술 등의 신규 기술 개발 2) 변압기 권선 시장 집입을 위한 이형 압연 기술 개발 등[연구인력 확충] 석사 이상 연구 인력 충원 |
1,534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모터권선용 CCA 각선 개발 | 당사, 포항 소재연구원, B사 | [진행현황 - 초기 논의 단계] 1) 기존 동소재 헤어핀에서 CCA 대체 시 가격과 무게 측면에 유리 2) B사, 포항소재 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을 의논하고 있는 단계로, 3x1.4mm의 치수(안)이 도출 및 샘플 제작하여 양산 가능성 확인[상용화 시 기대 매출] 1) 모터당 매출 : 70m x 500원/m = 35,000원 2) 친환경차 적용시 연간 매출 : (24년 기준)EV 12만대 x 2ea = 84억원[추가 기대효과] 고효율, 고출력이 필요한 전기차 등 활용 기대 | 1,313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당사, 포항 소재연구원, H사 | [진행현황 - 초기 논의 단계] 1) 모터 성능 향상을 위해 Fe-Ni 이형합금 용접 와이어 필요 2) 기술 적용시 2~4% 향상의 실증 평가 진행중[상용화 시 기대 매출] 1) 모터당 매출 : 10m x 1,500원/m = 15,000원 2) 친환경차 적용시 연간 매출 : (24년 기준)EV 12만대 x 2ea + HEV 22만대 x 1ea = 69억원[추가 기대효과] 고효율, 고출력이 필요한 전기차 등 활용 기대 | 1,263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다만, 상기 서술한 당사의 기술경쟁력 및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비 소요에도 불구하고, 당사의 기술 경쟁력이 경쟁사 혹은 후발업체에게 뒤쳐지는 등 악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또한, 회사 사업계획의 변경, 새로운 제품개발 결정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하여 연구개발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제품상용화 및 양산화에 실패할 경우 비용이 상승하여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가능성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 해외 판매 관련 위험 당사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22년 82.92%, 2023년 79.44%, 2024년 82.44%으로 당사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 사업인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의 주요 고객사는 캐패시터용 리드탭 제조회사와 전자식뇌관 제조 업체이며, 일본 K사와 O사입니다. 해당 업체들과 장기간 거래관계를 고려할 때 계속적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현재 글로벌 주요 고객들과 우호적인 협력관계 속에서 수년 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국가에서의 정치, 경제적 변동 또는 환율 변동 위험 등으로 인하여 고객사의 생산 계획이 변경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당사의 해외 판매 활동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3개년 기준 당사의 국내 및 해외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3개년 기준 당사의 국내 및 해외 매출 비중]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금액 | 비중 | |
내수 | 12,865 | 18.66% | 11,798 | 21.09% | 12,198 | 18.41% |
수출 | 56,848 | 82.44% | 44,438 | 79.44% | 54,946 | 82.92% |
조정 | (758) | (1.10%) | (300) | (0.54%) | (877) | (1.32%) |
합계 | 68,955 | 100% | 55,936 | 100.00% | 66,267 | 100.00% |
주) | 위 수치는 K-IFRS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수치입니다. |
동사의 해외 매출 비중은 2022년 82.92%, 2023년 79.44%, 2024년 82.44%으로 당사 매출의 대부분이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의 주력 사업인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의 주요 고객사는 캐패시터용 리드탭 제조회사와 전자식뇌관 제조 업체이며, 일본 K사 와 O사입니다. 해당 업체들과 장기간 거래관계를 고려할 때 계속적으로 해외 매출 비중이 상당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동사는 상기 업체 뿐만 아니라 글로벌 여러 국가의 기업들과 거래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당사의 해외 주요 고객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글로벌 주요 고객사 현황] |
당사는 오래전부터 일본, 말레이시아, 중국 등에 진출하여 전자부품용 와이어를 판매하였으며, 독일의 E사와도 디토네이터 거래를 해왔습니다. 독일 E사에 대한 디토네이터 판매를 바탕으로 이후 2011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S사에도 디토네이터용 와이어를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통신용 케이블은 2007년부터 브라질에 판매를 시작했고, 2010년은 파키스탄에 판매를 시작했으나, 무선통신의 발달과 저가품의 공세로, 해당 제품은 현재 해당국으로 수출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후 2013년 미국의 트레이스용 와이어 시장에 진출하여 현재 견고한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뒤이어 2014년 태국의 접지용연선 판매를 시작으로 같은 해 미국 시장에도 진출을 했으며, 2018년부터 필리핀 시장에도 동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영국, 폴란드, 러시아, 칠레 등에 진출하고자 코트라 지사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신규 거래처 확보 및 신규사업 진행여부에 따라 신규 국가에 진출할 가능성도 있으나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확정된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상기와 같이 당사는 현재 글로벌 주요 고객들과 우호적인 협력관계 속에서 수년 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국가에서의 정치,경제적 변동 또는 환율 변동 위험 등으로 인하여 고객사의 생산 계획이 변경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당사의 해외 판매 활동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당사의 높은 해외 매출 비중에 따른 환율 변동과 관련한 위험은 「III. 투자위험요소」- 「1. 사업위험」 중 「아. 환율 변동 위험」을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카. 최대주주 등의 높은 지분율에 따른 이해관계 상충 위험 공모 후 당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63.64%의 지분을 소유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통상적인 소액주주들의 주주총회 출석여부를 고려하였을 때 주주의 승인을 요구하는 모든 사안에 대한 통제권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으며, 보유지분 매각, 경영권 변경 등 타 주주들의 이해관계와 상충되는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당사에 대한 지배지분을 매각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다른 주주에게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당사 또는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에게 투자하는 투자자를 포함한 당사의 다른 주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높은 지분율은 당사 보통주의 시장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공모 전/후 주식 보유 현황] |
(단위: 주, %) |
구분 | 주주 | 관계회사 | 종류 | 공모 전 | 공모 후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 등 | 홍영철 | 최대주주 | 보통주 | 3,752,520 | 28.30% | 3,752,520 | 21.02% |
홍석표 | 최대주주의 자녀 | 보통주 | 3,200,850 | 24.14% | 3,200,850 | 17.93% | |
홍덕산업㈜ | 관계회사 | 보통주 | 3,167,130 | 23.89% | 2,133,250 | 11.95% | |
고려제강㈜ | 관계회사 | 보통주 | 866,120 | 6.53% | - | - | |
키스와이어홀딩스㈜ | 관계회사 | 보통주 | 940,520 | 7.09% | 940,520 | 5.27% | |
홍희연 | 최대주주의 자녀 | 보통주 | 1,016,510 | 7.67% | 1,016,510 | 5.70% | |
신재명 | 최대주주의 사위 | 보통주 | 315,460 | 2.38% | 315,460 | 1.77% | |
소계 | 13,259,110 | 100.00% | 11,359,110 | 63.64% | |||
공모주주 | 신주모집 | 보통주 | - | - | 4,400,000 | 24.65% | |
구주매출 | 보통주 | - | - | 1,900,000 | 10.65% | ||
사모인수 | 주관사의무인수분 | 보통주 | - | - | 189,000 | 1.06% | |
합계 | 13,259,110 | 100.00% | 17,848,110 | 100.00% |
공모 후 당사의 최대주주는 21.02%의 지분을 보유하게 되며, 최대주주의 자녀 및 관계회사 등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63.64%의 지분을 소유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당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통상적인 소액주주들의 주주총회 출석여부를 고려하였을 때 주주의 승인을 요구하는 모든 사안에 대한 통제권을 보유할 가능성이 있으며, 보유지분 매각, 경영권 변경 등 타 주주들의 이해관계와 상충되는 의사결정이 가능합니다.
상기의 통제권 및 영향력에 따라 다른 주주가 선호하는 조치가 지연, 제지 또는 저지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이러한 당사의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과 외부주주의 이해관계는 서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다른 주주에게 이익이 될 것이라 간주되는 투자, 인수 또는 합병을 지연하거나 저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 또는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에게 투자하는 투자자를 포함한 당사의 다른 주주에게는 최선이 아닐 수도 있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은 회사 경영권의 변경 또는 이사회 구성의 변경을 유발하거나 저지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당사에 대한 지배지분을 매각하고자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다른 주주에게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당사 또는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에게 투자하는 투자자를 포함한 당사의 다른 주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높은 지분율은 당사 보통주의 시장가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분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타. 고객사 및 원재료 조달처와의 교섭력 약화에 따른 위험 동사는 와이어 제조 전문업체로서, 원재료 공급업체로부터 와이어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공급받아 생산한 후, 국내외 전자 부품 회사 및 케이블 제조사에 납품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와이어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의 경우, 고객사 및 원재료 조달처와의 단가 교섭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동사는 고객사와 교섭력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할 경우, 저가 수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요 원재료의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제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동사는 안정적인 생산 활동을 유지하고 원가 변동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요 원재료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수급 다변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동사가 납품하는 제품은 고정밀성과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기술 민감도가 높은 품목으로, 고객사로부터 까다로운 협력사 승인 절차를 거쳐야 공급이 가능한 특성이 있습니다. 동사의 매출처는 국가별로 다변화 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고객 기반 안정성은, 불확실한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도 동사의 사업 지속성과 수익 안정성 확보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향후 특정 국가의 수입 규제, 통관 지연, 환율 변동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동사의 수출입 활동에 일정 수준의 영향이 발생하거나, 원재료 가격의 급등에도불구하고 이를 제품 판매 가격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와 같이 동사가 통제할 수 없는 부정적인 외부 요인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와이어 제조 전문업체로서, 원재료 공급업체로부터 와이어 제조에 필요한 원재료를 공급받아 생산한 후, 국내외 전자 부품 회사 및 케이블 제조사에 납품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와이어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의 경우, 고객사 및 원재료 조달처와의 단가 교섭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동사는 고객사와 교섭력에서 우위를 점하지 못할 경우, 저가 수주로 인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주요 원재료의 수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제품 공급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동사는 안정적인 생산 활동을 유지하고 원가 변동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주요 원재료에 대한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과 수급 다변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동사의 구매 전략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첫째, 안정적인 공급처 확보입니다. 당사는 주요 원재료에 대해 오랜 거래 이력을 보유한 신뢰도 높은 고정 거래선을 통해 조달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수급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둘째, 정확한 수요 예측과 선제적 대응 강화입니다. 전기·전자 산업 전반의 급변하는 수요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사와의 긴밀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Forecast(FCST) 데이터를 실시간 공유받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적정 발주 시기와 수량을 사전에 조율하고 있습니다. 셋째, 시장 동향 및 공급 리스크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여, 고객사의 생산능력 변화 및 시장 내 가격 변동성 등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기(1개월)부터 장기(최대 2년)에 이르는 수급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립하고 있으며,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전략적 재고를 확보해 공급 공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넷째, 공급망 안정성과 협력 강화 측면에서 주요 공급처와의 정기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상호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생산 계획에 맞춘 납기 조율을 통해 공급망의 유연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통합적인 구매 및 수급 전략을 통해 당사는 주요 원재료의 수급 리스크를 완화하고 있으며, 원재료 공급처와의 교섭력 약화로 인한 구조적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5년 2월 중국 상무부와 세관총서는 텅스텐(W), 텔루륨(Te), 비스무트(Bi), 몰리브덴(Mo), 인듐(In) 등 5개 핵심 광물에 대해 수출통제를 시행하며, 해당 품목의 수출 시 별도 허가를 요구하는 규제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동도금 모선은 위 수출통제 품목에 해당되지않아 해당 규제 조치로 인해 당사의 원재료 구매 교섭력이 실질적으로 약화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중국 원자재에 대한 수입 의존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와이어부문 원재료 매입 중 중국 비중]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중국 (동도금모선) | 7,914 | 19.62% | 1,500 | 4.79% | 455 | 1.22% | 69 | 0.17% |
와이어부문 전체 매입 | 40,346 | 100.00% | 31,312 | 100.00% | 37,360 | 100.00% | 39,602 | 100.00% |
동사는 동복강선 제조에 필요한 주요 원재료로 철선 및 구리동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동도금이 완료된 반제품 형태의 동도금 모선을 외부에서 매입하여 생산 효율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2021년부터 당사는 원재료 조달처 다변화 및 품질 검증을 목적으로 중국 소재 공급업체로부터 외주모선을 일정 비율 매입해왔으며, 2024년에는 자사 동도금 공정(CP공정)의 정기 대수선에 따른 일시적인 가동 중단으로 인해 중국산 외주모선 매입 비중이 일시적으로 19.62%까지 증가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비중은 특수한 설비 정비 상황에 따른 일시적 현상일 뿐이며, 이를 제외한 연도에는 중국산 외주모선의 매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해 왔습니다. 또한, 중국산 외주모선은 품질 측면에서 국내 제조사 제품 대비 열위에 있고, 최근 원재료 단가 상승으로 가격 경쟁력도 저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울러, 미·중 무역갈등 심화와 미국 중심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흐름을 고려할 때, 특정 국가에 대한 공급 의존도를 줄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판단 하에, 당사는 국내 주요 제조사(예: 포스코사)를 중심으로 조달 비중을 확대하고 있으며, 중국산 외주모선에 대해서는 2025년 상반기 내 거래를 중단할 계획입니다.이와 같이 동사는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고, 품질 및 공급 안정성이 확보된 국내 거래선을 중심으로 공급망을 재편함으로써 원재료 수급 리스크를 최소화하고자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동사가 납품하는 제품은 고정밀성과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기술 민감도가 높은 품목으로, 고객사로부터 까다로운 협력사 승인 절차를 거쳐야 공급이 가능한 특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은 단기간 내 신규 경쟁사의 진입을 어렵게 만들며, 당사가 주요 고객사와 오랜 기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해온 기반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고객사의 일방적인 단가 인하 요구가 발생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편, 최근 미·중 간 무역 갈등의 심화, 지정학적 분쟁의 확대, 미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 등으로 인해 일부 산업 분야에서는 국지적인 통상 마찰 및 공급망 차질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정 지역 의존도가 높은 기업의 경우 이로 인한 매출 안정성 저하 리스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동사는 2024년 기준 일본(29.96%), 미국(17.16%), 남아공(12.72%), 한국(11.63%), 중국(4.55%), 독일(4.46%), 말레이시아(3.70%), 싱가포르(2.36%), 태국(1.89%), 브라질(0.86%) 등 주요 지역에 매출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 특정 국가의 통상 규제나 공급망 재편에 따른 영향이 단일 시장 의존도가 높은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별 매출처 다변화와 장기적인 고객 기반 안정성은 불확실한 글로벌 통상 환경 속에서도 당사의 사업 지속성과 수익 안정성 확보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키스트론 국가별 매출 비중]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2연도 | 2023연도 | 2024연도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제품매출 | 일본 | 25,593 | 38.62% | 14,961 | 26.75% | 20,658 | 29.96% |
미국 | 8,795 | 13.27% | 9,011 | 16.11% | 11,831 | 17.16% | |
남아공 | 4,964 | 7.49% | 5,818 | 10.40% | 8,769 | 12.72% | |
한국 | 7,175 | 10.83% | 6,809 | 12.17% | 8,021 | 11.63% | |
중국 | 1,568 | 2.37% | 2,562 | 4.58% | 3,138 | 4.55% | |
독일 | 1,671 | 2.52% | 1,993 | 3.56% | 3,077 | 4.46% | |
말레이시아 | 2,726 | 4.11% | 2,915 | 5.21% | 2,553 | 3.70% | |
싱가포르 | 2,275 | 3.43% | 2,149 | 3.84% | 1,630 | 2.36% | |
태국 | 1,964 | 2.96% | 1,105 | 1.98% | 1,304 | 1.89% | |
브라질 | 1,262 | 1.90% | 1,012 | 1.81% | 596 | 0.86% | |
기타 | 1,665 | 2.51% | 1,295 | 2.32% | 1,171 | 1.70% | |
제품매출 소계 | 59,658 | 90.03% | 49,631 | 88.73% | 62,747 | 91.00% | |
상품매출 | 한국 | 384 | 0.58% | 376 | 0.67% | 159 | 0.23% |
기타매출 | 502 | 0.76% | 273 | 0.49% | 383 | 0.56% | |
전력매출 | 4,550 | 6.87% | 4,440 | 7.94% | 4,405 | 6.39% | |
임대매출 | 1,173 | 1.77% | 1,216 | 2.17% | 1,261 | 1.83% | |
합계 | 66,267 | 100.00% | 55,936 | 100.00% | 68,955 | 100.00% |
다만, 일본과 미국, 남아공 3개 국가에 대한 매출 의존도는 59.84%로 높은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별 편중된 수출 구조는 특정 국가의 경기 둔화, 무역규제 강화, 환율 변동, 고객사 구매 전략 변화 등 외부 요인에 따라 매출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고객사와의 교섭력에도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이에 따라 당사는 중장기적으로 매출처 다변화 및 신규 시장 개척, 글로벌 수요처 확대를 위한 전략적 영업 강화 등을 통해 고객 포트폴리오의 균형을 제고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단기간 내 개선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또한, 향후 특정 국가의 수입 규제, 통관 지연, 환율 변동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 당사의 수출입 활동에 일정 수준의 영향이 발생하거나, 원재료 가격의 급등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품 판매 가격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와 같이 동사가 통제할 수 없는 부정적인 외부 요인이 발생할 경우, 동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파.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내부통제 관련 위험 당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회계의 부정과 오류를 예방하고 적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회계시스템을 관리ㆍ통제하며, 회사의 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 및 공시 여부에 대한 합리적 확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내부회계 관리제도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당사는 내부통제를 위한 규정 및 조직을 구축하여 우발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회계 관리조직이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거나 혹은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 관리 운영실태를 감사한 결과 중요한 취약점이 발견될 시에는 각종 제재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삼정회계법인과 2022년 8월 내부회계관리제도 구축 자문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용역수행을 통해 내부회계관리제도 시스템을 구축하여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경과와 유효성 평가 수행 등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를 보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습니다.
[내부회계관리제도 조직도] |
[당사 내부회계 관리자의 인적사항] |
직책 | 성명(생년월일) | 학력 및 주요경력 |
---|---|---|
이사 |
김상수 (68.12.15) |
- 1984.03~1987.02 마산상고 졸업 - 1990.06 고려제강 경리팀 입사 - 2008.11~2019.01 키스트론 재무팀장 - 2019.02~현재 키스트론 관리부문장 |
(출처: 당사 내부자료) |
또한, 2023년 12월 이사회 결의로 내부회계관리규정을 제정하고 내부회계관리자를 선임하는 등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을 위한 내부환경을 정비하였으며, 상장 이후 본격적인 운영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회계 관리조직이 적절하게 운영되지 않거나 혹은 외부감사인의 내부회계 관리 운영실태를 감사한 결과 중요한 취약점이 발견될 시에는 각종 제재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하. 내부정보 관리 미흡 위험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은 공시의무사항 및 투자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사항 발생시 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적시에 공개할 수 있는 관련 규정 및 공시 체계를 정비하여야 하며, 불공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당사는 관련규정 구비 및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공시 책임자 및 담당자는 공시전문교육을 이수하였습니다. 상장 후에는 전체 임직원 대상 교육 실시, 공시 의무 준수확약서 및 불공정거래행위 규제 준수 확약서 등을 징구할 계획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사유들로 인해 중요한 사항이 적시에 공시되지 못할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상장 이후 공시규정 등 관련 규정에서 정하고 있는 주요한 사항들을 적시에 공시 가능하도록 공시 조직을 구축하였으며,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는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및 동규정 시행세칙에서 정하는 공시전문교육을 이수하였습니다.또한, 당사는 주요 정보의 공시 및 임직원의 내부자거래 방지를 위하여 공시정보관리규정을 제정하였으며, 상장 이후 거래소 및 금융감독원에 정기공시, 수시공시 및 공정공시 등의 의무를 성실하게 준수하기 위해 공시 전담조직을 체계적으로 갖추었습니다.
당사는 공시의무의 성실한 이행을 위해 공시담당 임직원에 대해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제2장 공시의무 제1절 주요 경영사항 신고 및 공시" 등 관련 법률 및 제규정을 충분히 숙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공시책임자와 공시담당자(정, 부) 2인으로 하여금 공시업무에 대해 상호 점검 및 보완할 수 있는 업무프로세스를 갖추고 있습니다. 전자공시와 관련하여 변경된 사항이나 교육에 필요한 사항은 자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향후 신속하고 정확한 공시를 위해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관련기관에서 실시하는 주요 공시관련 교육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그러나 당사의 상기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공시 위반이나 불공정거래 등의 발생,그리고 예상치 못한 관리인력 이탈에 따른 위험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거. 분쟁 등 우발채무에 관한 위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소송 및 법률위반사항 등 우발채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제품 생산차질에 따른 납기지연, 제품 자체의 하자와 그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에 따른 우발채무가 발생할 가능성에 노출되어있습니다. 법률 분쟁은 통상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사안에 따라 매우 큰 규모의 분쟁이 될 경우 큰 규모의 소송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법률위반으로 인한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지속적으로 회사의 영업활동에 관련된 법률검토 및 법률자문을 받고 있으며 담당 임직원에 대한 법률적 내부통제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소송 및 법률 위반사항등 우발채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제품 생산차질에 따른 납기지연, 제품 자체의 하자와 그에 따른 손해배상, 소송에 따른 우발채무가 발생할 가능성에 노출되어있습니다.법률 분쟁은 통상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사안에 따라 매우 큰 규모의 분쟁이 될 경우 큰 규모의 소송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법률위반으로 인한 리스크를 회피하고자 지속적으로 회사의 영업활동에 관련된 법률검토 및 법률자문을 받고 있으며, 담당 임직원에 대한 법률적 내부통제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소송이나 분쟁, 예상치 못한 법률적 리스크가 발생할 경우 당사의 영업 및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고 투자에 임하시길 바랍니다.
(1) 2024년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이 금융기관과 체결 중인 차입 약정사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금융기관 | 구 분 | 한 도 액 | 실 행 액 |
---|---|---|---|
기업은행 | 무역어음대출 | 3,000,000 | 50,916 |
중소기업자금대출 | 6,000,000 | 6,000,000 | |
KEB하나은행 | 무역어음대출 | 3,675,000 | 652,772 |
(2) 2024년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차입금과 관련하여 제공한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USD) |
구 분 | 담보설정액 | 채무내용 | 채권자 | |
---|---|---|---|---|
당기말 | 전기말 | |||
토지, 건물 | 11,040,000 | 22,922,150 | 차입금담보 | 기업은행 |
- | USD 150,000 |
(3) 당사의 토지와 건물에 대하여 50,000천원의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4) 2024년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사용이 제한된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은행명 | 당기말 | 전기말 |
---|---|---|---|
장기금융상품 | 기업은행 | 2,000 | 2,000 |
(5) 당사는 당기말 현재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101,670천원(전기말: 101,670천원 ) 계약이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너. 임직원의 위법행위 발생 가능성 위험
당사는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사전에 감지하거나 방지하지 못 함으로써 이러한 위법행위가 당사의 평판에 상당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또한 향후 당사의조직 문화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상태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보장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임직원등의 위법행위는 당사의 법규 위반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당사에 대한 제재 및 소송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당사의 평판 훼손 혹은 재무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위법행위는 영업 중 거짓된 정보의 제공 또는 사기 행위, 비인가 또는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은폐, 고지되지 않거나 관리되지 않는 위험 또는 당사의 평판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가져오는 행위, 또는 법령, 규정 및 절차를 준수하지 않는 행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위와 같은 위법행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윤리강령 등 각종 규정 제정, 임직원 위법행위 예방 교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임직원으로 하여금 법규를 위반하는 행위를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직원 등의 위법행위를 항상 사전에 방지할 수는 없으며,예상하지 못하는 사유로 임직원이 법규를 위반할 경우 당사는 감독기관의 제재 또는 외부기관으로부터의 소송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당사의 사업, 영업성과 또는 재무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 시 동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7,848,110주 중 35.30% 에 해당하는 6,300,000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입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로부터 3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06%에 해당하는 189,000주, 6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7.66%에 해당하는 3,152,636주, 12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22.93%에 해당하는 4,093,156주, 18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21.28%에 해당하는 3,797,858주 그리고 24개월 후 발행주식 총수의 1.77%에 해당하는 315,460주가 추가적으로 의무보유기간 만료에 따라 매도 가능 물량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이 매도 가능 물량으로 인해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상주식수 17,848,110주 중 동사의 최대주주인 홍영철의 공모 후 보유 주식 3,752,52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과 12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30%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30%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 상장일로부터 40%는 18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동사 최대주주 홍영철의 자인 홍석표의 공모 후 보유 주식 3,200,85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과 12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30%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30%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 상장일로부터 40%는 18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동사 최대주주 홍영철의 녀인 홍희연의 공모 후 보유 주식 1,016,51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12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18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동사 최대주주 홍영철의 사위인 신재명의 공모 후 보유 주식 315,46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18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4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동사의 관계회사인 홍덕산업㈜의 공모 후 보유 주식 2,133,25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50%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50%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한편, 동사는 한국거래소 심사 과정 중 일부 주식에 대하여 의무보유 확약 및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 확약을 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련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3. 기타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과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 다. 복잡한 지배구조 관련 위험」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 확약 사항] |
순번 | 내용 | 확약사항 |
1 | 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매각 계획 | 키스트론(주)가 보유하고 있는 고려제강 주식 3,301,212주는향후 5년내 모두 매각 (1) 2025년: 연간 660,000주 (2) 2026년: 연간 660,000주 (3) 2027년: 연간 660,000주 (4) 2028년: 연간 660,000주 (5) 2029년: 연간 661,212주 |
2 | 홍덕산업(주) 보유 동사 주식 매각 계획 | 상장 이후 홍덕산업(주)이 보유하게 되는 키스트론(주) 잔여 주식 2,133,250주는 향후 2년 내 매각 (1) 2025년: 연간 1,066,625주 (2) 2026년: 연간 1,066,625주 |
먼저 홍덕산업(주)가 보유한 동사 주식 매각 계획과 관련해서는 키스트론㈜의 주요 주주인 홍덕산업㈜은 현재 동사 지분 23.89%(3,167,13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금번 상장을 통해 이 중 1,033,880주가 구주매출로 출회될 예정입니다. 구주매출 이후 잔여 주식 2,133,250주 중 50%(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나머지 50%(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의무보유 예정입니다. 홍덕산업㈜은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지분 구조의 합리화 및 계열사 간 이해상충 해소를 목적으로, 상장 후 잔여 주식을 의무보유 해제 이후 2025년 및 2026년 두 차례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할 계획임을 확약했으며, 시장참여자와의 충분한 사전 소통, 공시 절차의 철저한 이행, 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각 방식 강구 등을 병행할 예정입니다. 다만, 홍덕산업(주)의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홍덕산업이 보유한 동사의 잔여 주식이 시장에 출회 예정인 점은 2025년과 2026년 사이 동사 주가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는 현재 고려제강(주) 주식 3,301,212주(지분율 13.20%)를 보유하고 있으며, 한국거래소와의 확약 사항에 따라 전량을 향후 5년 내 단계적으로 매각할 예정입니다. 매각 과정에서 시장참여자와의 충분한 소통, 공시절차의 철저한 준수, 시장 충격 최소화를 위한 방안 강구 등을 병행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다만, 고려제강(주) 주식이 매년 약 66만주(지분율 약 2.64%)가 시장에 출회 예정인 점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고려제강(주)의 주가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동사의 관계회사인 키스와이어홀딩스㈜의 공모 후 보유 주식 940,52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을 추가하여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상장주선인 신한투자증권㈜은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거 공모주식의 3% 혹은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189,000주(상장예정주식수의 1.06%)를 확정공모가액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합니다. 상장 후 3개월 후에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인 1.06%(상장예정주식수 기준)에 해당하는 189,000주에 대하여 계속보유의무가 없습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한 의무보유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각이 제한됩니다. 동사의 상장 이후 유통가능물량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상장 후 유통가능 및 매각제한 물량] |
(단위: 주) |
구분 | 주주명 | 관계 | 주식종류 | 공모 전 | 공모 후 | 유통가능 물량 | 매각제한 물량 | 상장 후 매각제한기간 | 비고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등 | 홍영철 | 최대주주 본인 | 보통주 | 3,752,520 | 28.30% | 1,125,756 | 6.31% | - | - | 1,125,756 | 6.31% | 6개월 | 주1) |
1,125,756 | 6.31% | - | - | 1,125,756 | 6.31% | 12개월 | |||||||
1,501,008 | 8.41% | - | - | 1,501,008 | 8.41% | 18개월 | |||||||
소계 | 3,752,520 | 28.30% | 3,752,520 | 21.02% | - | - | 3,752,520 | 21.02% | |||||
홍석표 | 최대주주의 자 | 보통주 | 3,200,850 | 24.14% | 960,255 | 5.38% | - | - | 960,255 | 5.38% | 6개월 | 주2) | |
960,255 | 5.38% | - | - | 960,255 | 5.38% | 12개월 | |||||||
1,280,340 | 7.17% | - | - | 1,280,340 | 7.17% | 18개월 | |||||||
소계 | 3,200,850 | 24.14% | 3,200,850 | 17.93% | - | - | 3,200,850 | 17.93% | |||||
홍희연 | 최대주주의 녀 | 보통주 | 1,016,510 | 7.67% | 1,016,510 | 5.70% | - | - | 1,016,510 | 5.70% | 18개월 | 주3) | |
신재명 | 최대주주의 사위 | 보통주 | 315,460 | 2.38% | 315,460 | 1.77% | - | - | 315,460 | 1.77% | 24개월 | 주4) | |
홍덕산업㈜ | 관계회사 | 보통주 | 3,167,130 | 23.89% | 1,066,625 | 5.98% | - | - | 1,066,625 | 5.98% | 6개월 | 주5) | |
1,066,625 | 5.98% | - | - | 1,066,625 | 5.98% | 12개월 | |||||||
소계 | 3,167,130 | 23.89% | 2,133,250 | 11.95% | - | - | 2,133,250 | 11.95% | |||||
키스와이어홀딩스㈜ | 관계회사 | 보통주 | 940,520 | 7.09% | 940,520 | 5.27% | - | - | 940,520 | 5.27% | 12개월 | 주6) | |
고려제강㈜ | 관계회사 | 보통주 | 866,120 | 6.53% | - | 0.00% | - | - | - | - | - | ||
소계 | 보통주 | 13,259,110 | 100.00% | 11,359,110 | 63.64% | - | - | 11,359,110 | 63.64% | ||||
공모주식 | 신주모집 | 보통주 | - | - | 4,400,000 | 24.65% | 4,400,000 | 24.65% | - | - | - | - | |
구주매출 | 보통주 | - | - | 1,900,000 | 10.65% | 1,900,000 | 10.65% | - | - | 주7) | |||
소계 | - | - | - | 6,300,000 | 35.30% | 6,300,000 | 35.30% | - | - | ||||
의무인수 |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 | 보통주 | - | - | 189,000 | 1.06% | 189,000 | 1.06% | 3개월 | 주8) | |||
합계 | - | 13,259,110 | 100.00% | 17,848,110 | 100.00% | 6,300,000 | 35.30% | 11,548,110 | 64.70% |
주1) | 동사의 최대주주인 홍영철의 공모 후 보유 주식 3,752,52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과 12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30%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30%는 상장일로부터12개월, 상장일로부터 40%는 18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2) | 동사 최대주주 홍영철의 자인 홍석표의 공모 후 보유 주식 3,200,85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과 12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30%는 상장일로부터6개월, 30%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 상장일로부터 40%는 18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3) | 동사 최대주주 홍영철의 녀인 홍희연의 공모 후 보유 주식 1,016,51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12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18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4) | 동사 최대주주 홍영철의 사위인 신재명의 공모 후 보유 주식 315,46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18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4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5) | 동사의 관계회사인 홍덕산업㈜의 공모 후 보유 주식 2,133,25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을 추가하여 보유주식의 50%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50%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6) | 동사의 관계회사인 키스와이어홀딩스㈜의 공모 후 보유 주식 940,52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해 의무보유기간을 6개월을 추가하여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7) | 공모주식 중 구주매출분은 관계회사인 홍덕산업㈜ 1,033,880주와 고려제강㈜ 866,120주로, 해당 자금은 회사로 유입되지 않습니다. |
주8) | 상장주선인 신한투자증권(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의거 공모주식의 3%에 해당하는 의무인수분 189,000주(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물량)를 인수하여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상장 이후 시점별 유통가능 주식수]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구분 | 주식수(주) |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상장일 유통가능 | 6,300,000 | 35.30% |
상장후 3개월 뒤 유통가능 | 6,489,000 | 36.36% |
상장후 6개월 뒤 유통가능 | 9,641,636 | 54.02% |
상장후 12개월 뒤 유통가능 | 13,734,792 | 76.95% |
상장후 18개월 뒤 유통가능 | 17,532,650 | 98.23% |
상장후 24개월뒤 유통가능 | 17,848,110 | 100.00% |
상기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이 단기간 내 급격하게 출회될 경우 동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의무보유기간 종료 후 주요 주주 등의 소유주식 매각은 당동사의 사업성, 성장성 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으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나. 증권신고서 효력발생 의미,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 내용의 변경 가능성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 심사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 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신고서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증권신고서는 공시심사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정정될 수 있으며 투자판단과밀접하게 연관된 주요 내용이 변경될 시 혹은 관계기관의 업무진행 과정에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본 증권신고서상 기재사항 및 발행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증권신고서 수리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께서는 투자 시 이러한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라며 상기 제반사항을 고려하시어 투자자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다. 투자자의 독자적 판단요구 투자자께서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 판단을 해서는 안 됩니다.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의 투자위험요소를 검토하시어 투자자 여러분의 독자적인 투자 판단을 해야 함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공모주식을 청약하고자 하는 투자자들은 투자 결정을 하기 전 본 증권신고서의 투자위험요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험요소를 주의 깊게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적인 투자 판단을 해야 합니다. 다만, 당사가 현재 인지하고 있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이라 하더라도 당사의 사업 영위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투자자께서는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 판단을 하여서는 안 되며, 투자자 본인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야 합니다.만일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가 실제로 발생하는 경우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영업실적 등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자자께서는 금번 공모 과정에서 취득하게 되는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이 하락하여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잃게 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본건 공모를 위한 분석 중에는 일부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당초 예측했던 것과 다를수 있다는 점 역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라. 공모가격 이하 매각 시 투자손실 위험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적이 없으며 금번 상장을 통해 최초 거래되는 것입니다. 또한,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합의를 통해 결정된 동 주식의 공모가격은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 시장에서 거래된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아니며, 금번 공모 이후 당사 주식의 시장가격은 하락할 수 있고, 상장 후 공모가격이하로 매각 할 시, 투자자는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재매각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된 적이 없으며,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이외의 기타 다른 주식 거래 시장에 상장할 것을 구체적으로 계획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이후 당사의 주식에 대한 매매가 원활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요예측을 거쳐 당사와 대표주관회사의 협의를 통해 결정된 동 주식의 공모가격이 기업공개 이후 시장에서 거래되는 시장가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금번 공모 이후 당사 보통주의 시장가는 시장에 의해 결정될 것이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당사 재무 실적 |
- 당사 및 당사가 속한 산업의 연혁 및 향후 전망 |
- 당사 경영에 대한 평가, 과거 및 현재의 영업상태, 향후 시기별 매출 전망, 그리고 현재 및 향후의 비용 구조 전망 |
- 당사와 유사한 사업활동을 영위하는 상장회사들에 대한 가치평가 |
- 기존 주주 또는 당사에 의한 향후 당사의 보통주 매도 |
- 국내외 증시 변동성 |
따라서 투자자는 공모가격 이하로 매각 할 시, 공모가격이나 그 이상의 가격으로 주식을 재매각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투자금액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마. 투자설명서 교부 관련 사항 2009년 02월 04일 부로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에 의거, 일반투자자들은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 받아야 청약이 가능합니다. |
2009년 02월 04일 부로 시행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24조에 의거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자 (전문투자자, 그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함) 에게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안됩니다. 다만, 동법 시행령 제132조에 의거하여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으로 표시한 자는 투자설명서의 교부 없이 청약이 가능합니다.이에, 금번 공모주 청약 시 일반투자자들은 사전에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아 회사 현황 및 투자위험요소 등을 검토하신 후 청약 여부를 결정하시길 바라며, 투자설명서 교부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마. 투자설명서 교부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바. 공모가 산정 및 결정 방식의 한계에 따른 위험 동사의 희망 공모가액은 유사회사의 PER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지만,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최종 선정된 비교기업들은 당사와 주요 판매 제품의 종류 및 비중, 주요 사업지역, 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성장성 등 측면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희망공모가액 산출 시 활용된 변수들은 별도 외부전문기관의 평가 등을 받지 아니한 당사의 자체적인 추정이며, 그 완결성이 보장되지 아니합니다. 동사는 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총 3개사를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3개사가 동사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매출 구성 측면에서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그 외에 비교기업 최고경영자의 경영능력 및 주가관리 의지, 매출의 안정성 및 기타 거래계약, 결제 조건 등 기타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주식의 공모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가격결정이 가능합니다.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의 희망공모가액은 유사회사의 PER을 적용하여 산출되었지만, 희망공모가액 범위가 당사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PER 평가방식과 같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적용에 필요한 유사회사의 선정 과정에서 평가자(기관)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의 오류(기업가치의 저평가 혹은 고평가)등에 기인한 기업가치 평가의 오류 발생 가능성은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PER 방식의 희망공모가액 선정방법의 한계] |
구분 | 한계 |
PER가치평가 | PER는 기업의 수익성에 기반한 수치로 비교대상회사에서 적자(-)가 발생한 경우 적용할 수 없습니다. |
PER 결정요인은 일정 시점의 주가와 주당 경상이익뿐만 아니라 배당성향및 할인율, 성장율 등 다양합니다. 따라서 경상이익 규모, 현금창출 능력, 유보율, 자본금 등 여러요인이 완벽하게 일치하는 동업종 회사가 아닌 이상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PER 가치평가는 추정 실적만을 고려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연구인력의 유출 및 영입 여부, 제품의 경쟁 현황, 정부 정책 변화, 생산시설 활용 등 실적 외 주가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고려하지 않는 한계점이 있습니다. | |
비교대상회사가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각 회사에 고유한 사업구성, 시장점유율 추이, 인력수준, 재무위험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이는계량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업종 소속회사의 비율을 적용하여 비교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일정 시점의 주가 수준은 과거 실적보다는 미래 예상이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비교 평가회사의 과거 재무제표에 의거한 비교분석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 |
당기순이익은 영업활동에 의한 수익창출 외에 영업외손익 등이 반영된 최종 결과물이므로 PER를 적용한 비교가치는 기업이 창출한 이익의 질을 온전히 파악할 수 없으며, 회계처리 등에 의해 순이익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 |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력 사업으로 철선위에 동도금을 한 동복강선을 활용하여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를 생산하고 있으며, 한국표준산업분류상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C28302)에 속해 있습니다. 이에 따른 적정한 비교기업 선정을 위해 동사의 사업구조, 영업능력, 시장 내 지위, 경영성과 및 재무현황, 회사가 속한 산업의 특성, 시장의 규모, 비교기업의 경영성과 및 주가 수준 등 기타 사용 가능한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그 결과 동사는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총 3개사를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상기 기준에 따라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3개사가 당사와 사업의 연관성이 존재하고, 매출 구성 측면에서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하여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기업규모의 차이 및 부문별 매출 비중의 상이성, 선정 기준의 임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최종 선정된 기업들이 반드시 적합한 비교기업의 선정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으며,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차이점이 존재함에 따라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식의 공모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가격결정이 가능합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3.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일정가격(이하"최저공모가격"이라 한다) 이상의 입찰에 대해 해당 입찰자가 제출한 가격으로 정하는 방법4.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산정한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사. 청 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할 주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금번 총 공모주식 6,300,000주의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은 일반청약자 1,575,000주~1,890,000주(공모주식의 25.0%~30.0%), 기관투자자 4,410,000주~4,725,000주(공모주식의 70.0%~75.0%)입니다. 기관투자자 배정주식4,410,000주~4,725,000주를 대상으로 2025년 05월 12일부터 05월 16일까지 수요예측을 실시하여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2025년 0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양일간 실시되는 청약결과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자기분으로 인수 또는 추첨에 의한 재배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청약자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초과 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과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아. 환매청구권 및 초과배정옵션 미부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으로 일반청약자에게 "공모가격의 90% 이상에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Back Option)"가 부여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번 공모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않기 때문에 이에 따른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또한 당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 "초과배정옵션"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07년 6월 18일부터 시행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제11조 일반투자자의 권리 및 인수회사의 의무(Put-Back Option) 조항이 삭제됨에 따라 이와 관련해서 투자자께서는 해당 권리를 행사할 수 없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금번 공모의 경우 2016년 12월 13일 개정되어 2017년 1월 1일부로 시행되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환매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동사는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에서 주식에 대한 초과 청약이 있을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발행사로부터 추가로 공모주식을 취득할 수 있는 초과배정옵션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지 않았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10조의3(환매청구권) ① 기업공개(국내외 동시상장공모를 위한 기업공개는 제외한다)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이라 한다)를 부여하고 일반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증권시장 밖에서 이를 매수하여야 한다. 다만, 일반청약자가 해당 주식을 매도하거나 배정받은 계좌에서 인출하는 경우 또는 타인으로부터 양도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공모예정금액(공모가격에 공모예정주식수를 곱한 금액)이 50억원 이상이고, 공모가격 을 제5조 제1항 제1호의 방법으로 정하는 경우 2.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에 따라 창업투자회사등을 수요예측등에 참여시킨 경우 3. 금융감독원의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공모가격 산정근거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지 않은 경우 4.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7항 제1호에 따른 기술성장기업의 상장을 위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5.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7항 제2호에 따른 기업의 상장을 위 하여 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② 인수회사가 일반청약자에게 제1항의 환매청구권을 부여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 1. 환매청구권 행사가능기간 가. 제1항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경우 : 상장일부터 1개월까지 나. 제1항 제4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6개월까지 다. 제1항 제5호의 경우 : 상장일부터 3개월까지 2. 인수회사의 매수가격 : 공모가격의 90% 이상. 다만,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가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에 비하여 10%를 초과하여 하락한 경우에는 다음 산식에 의하여 산출한 조정가격 이상. 이 경우, 주가지수는 한국거래소가 발표하는 코스피지수, 코스닥지수 또는 발행회사가 속한 산업별주가지수 중 대표주관회사가 정한 주가지수를 말한다. 조정가격 = 공모가격의 90% × [1.1 + (일반 청약자가 환매청구권을 행사한 날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상장일 직전 매매거래일의 주가지수] |
자.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개정에 따른 일반청약자 배정분 변경 위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 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서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3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또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의 개정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은 25%를 초과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9조(주식의 배정)①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는 공모주식을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해당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여야 한다.1.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에게 「근로복지기본법」 제38조제1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20%를 배정한다. 다만, 외국법인등의 기업공개의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2. 코스닥시장 또는 코넥스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에게 「근로복지기본법」 제38조제2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20%를 배정할 수 있다.3.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한다.4.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상법」제469조제2항제3호에 따른 사채로서 법 제4조제7항제1호에 해당하는 증권(이하 이 조에서 "파생결합사채"라 한다)을 제외한 고위험고수익채권의 평균보유비율이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인 경우에 한하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파생결합사채를 제외한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산한 평균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인 경우에 한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공모주식의 5% 이상을 배정한다. 다만,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에는 10% 이상을 배정한다.5.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기업공개의 경우 벤처기업투자신탁(사모의 방법으로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의 경우 최초 설정일로부터 1년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환매가 금지된 벤처기업투자신탁을 말한다)에 공모주식의 30% 이상을 배정한다.6. 제1호 또는 제2호에도 불구하고 우리사주 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하는 경우 공모주식의 20%에서 우리사주 조합원의 청약수량을 제외한 주식(이하 "우리사주 잔여주식"이라 한다)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우리사주 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한 사유 등을 감안하여 발행인과 협의하여야 한다.7. 제1호부터 제6호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은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한다. |
부칙제2호(적용례)① 제9조제1항제6호, 제9조제11항부터 제13항까지의 개정규정은 2020년 12월 1일 이후 증권신고서를 최초로 제출한 기업공개부터 적용한다.② 제9조제1항제3호, 제9조제1항제4호, 제9조제2항제3호, 제9조제2항제6호가목 및 제9조제6항은 2021년 1월 1일 이후 증권신고서를 최초로 제출한 기업공개 또는 공모증자부터 적용한다. |
차.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의 변경에 따른 위험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방안"에 의거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 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일반청약자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 해당 청약방식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 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청약자가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약증거금 50% 징수에 따라 추가 납입 및 청약증거금의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0년 11월 19일 금융위원회에서 고시한 "공모주 일반청약자 참여기회 확대 방안"에 의거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절반 이상에 대해 균등방식을 도입하여배정합니다. 또한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중 일괄청약방식을 적용합니다.
[금융위원회가 고시한 적용가능한 균등방식 예시] |
1. 일괄청약방식 (금번 공모에서 적용)(청약) 현행과 마찬가지로 각자 원하는 수량을 청약(배정)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의 절반을 모든 청약자에 대해 균등배정*한 후 남은 절반을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수요가 일정물량에 미달하는 청약자에 대해서는 해당 수요만큼 배정 |
2. 분리청약방식(청약)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을 절반씩 A군과 B군으로 나누고 청약자는 A군과 B군을 선택하여 청약(배정) A군에 대해서는 추첨, 균등배정(1/n)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당첨자간 동일한 물량*을 배정하고, B군에 대해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증거금 부담을 감안하여 청약자별 최대 배정가능 수량을 설정ㆍ안내할 필요 |
3. 다중청약방식(청약) 분리청약방식의 A군에서 청약자의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A군 청약접수 시 사전에 정해진 복수의 수요량을 청약자가 선택하며, B군 청약자는 A군 수요량을 초과하는 첨위에서 원하는 수량을 청약*(배정) A군의 각 그룹내에서 추첨, 균등배정(1/n) 등으로 물량배정, B군에서는 현재와 마찬가지로 청약수요 기준으로 비례배정* (예시) A군(10주, 20주, 30주), B군(30주이상(직접입력)) 중 하나를 선택 |
이에 따라 일반청약자는 기존 청약방식대로 원하는 수량을 청약하고 균등배정 수량과 비례배정 수량을 최종 배정받게 됩니다. 청약 배정 방법은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중 1/2 이상으로 일반청약자 인원수로 나눈 몫을 청약자 전원에게 동일하게 배정(전원 균등)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비례 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이에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되는 주식수는 청약 시에 보여지는 청약 경쟁률과 상이할 수 있으며, 일반청약자가 예상한 배정주식수보다 많은 주식이 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약증거금 50% 징수에 따라 추가 납입 및 청약증거금의 환불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에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주식의 배정) 개정사항] |
⑪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가 제1항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는 경우에는 자신이 인수한 공모주식 중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 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하여야 한다⑫ 제11항에도 불구하고 균등방식 배정 또는 비례방식 배정의 배정수량 보다 해당 배정방식을 선택한 일반청약자의 청약수량이 적은 경우 다음 각 호에 따라 배정하여야 한다.1.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 중 어느 한쪽의 청약수량은 배정수량에 미달하고 다른 한쪽의 청약수량은 배정수량을 초과하는 경우 청약수량이 미달한 쪽의 잔여주식을 초과한 쪽에 배정하도록 할 것2.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 모두 청약수량이 배정수량에 미달하는 경우 각각의 청약수량까지 배정하고 잔여주식을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하거나 인수회사가 취득할 것⑬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인수회사는 제11항에 따른 균등방식 배정의 방법과 수량을 준법감시인의 사전승인을 받아 결정하여야 하며, 인수회사가 복수인 경우 대표주관회사는 인수회사간 균등방식 배정의 방법이 동일하도록 하여야 한다. |
카.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참여 기준 변경에 따른 위험 2023년 04월 27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 초과 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 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
2023년 04월 27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신설에 따라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 등 참여를 위해 참여금액이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 등 참여금액이 주금납입 능력 초과 시에 해당 참여건에 대한 공모주를 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주금납입능력에 근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해야 하며, 이에 따라 수요예측 경쟁률 등 기관투자자의 참여형태가 이전과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청약경쟁률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의3] (2023년 04월 27일 신설) |
제5조의3(허수성 수요예측등 참여 금지)① 금융투자업규정 제4-19조제8호에서 "협회가 정하는 바"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법을 말한다.1.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고유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자기자본을, 위탁재산으로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등 참여 건별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개별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의 합계액을 주금납입능력으로 정하고 이를 주관회사(명칭의 여하에 불문하고 수요예측등을 행하는 금융투자회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가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고유재산의 자기자본은 직전 분기말(해당 자료가 없는 경우, 그 전 분기말로 한다) 개별재무제표상의 금액으로 하고, 위탁재산들의 자산총액은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위탁재산의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 또는 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의 일평균 평가액으로 한다. 2. 주관회사가 대표이사(외국 금융투자회사의 지점, 그 밖의 영업소의 경우 지점장 등 국내대표자를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또는 준법감시인의 사전 승인을 받아 자체적으로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내부규정 또는 지침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방법 ②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1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시 제1항제1호에 따른 주금납입능력을 대표이사 또는 준법감시인이 서명 또는 기명날인한 확약서에 기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하며, 주관회사는 동 확약서 상의 금액을 기준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여야 한다. ③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제1항제2호의 방법으로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는 경우, 주관회사는 주금납입능력에 대한 기준 및 확인방법을 증권신고서에 기재하여야 한다. ④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수요예측등 참여금액(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주관회사에 제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등에 참여하여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매입희망 물량에 공모희망 가격 상단을 곱한 금액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제1항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여서는 아니 된다. ⑤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의 수요예측등 참여금액이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수요예측등 참여 건에 대하여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⑥ 기업공개를 위한 주관회사가 둘 이상인 경우에는 기관투자자의 주금납입능력을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1항 각 호의 방법 중 어느하나를 주관회사별로 달리 정할 수 있다. |
타. 미래 예측 진술에 관한 위험 본 증권신고서는 향후 사건에 대한 당사 경영진의 현재 시점(내지 별도 시점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해당 시점)의 예상을 담은 미래 예측 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 예측 진술은 실제로는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요인 및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전망 수치들은 시장의 추세 및 당사의 영업환경 등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기타 불확실한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은 수치입니다. 투자자께서는 본 증권신고서의 작성 시점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미래 예측적 서술에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실제 실적은 본 공시서류에 포함된 여러 미래 예측적 서술과는 실질적으로 상이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투자계획 및 금번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등과 관련한 미래 예측적 서술도 해당됩니다. 한편, 이러한 차이의 원인은 당사 사업과 관련하여 앞서 서술한 위험요소와 다음과 같은 기타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며, 아래 사항에 반드시 국한되지는 않습니다.
- 일반적인 경제, 사업 및 정치 상황 |
- 당사가 발표한 사업계획 지연 또는 취소 |
- 당사 제품ㆍ서비스 관련 시장 상황 및 사업 전망 |
- COVID-19와 같이 광범위하게 전파될 수 있는 기타 유형의 감염병 |
- 원자재 가격 변동 |
- 규제, 입법 및 사업 관련 상황의 부정적 동향 |
- 금리 및 환율 변동 |
- 당사의 차입 및 채무 상환력 |
- 국내외 금융시장 상황 |
- 러우전쟁 등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
앞서 언급하였던 위험요소 및 다른 위험요소와 관련한 일부 기업정보 공시는 추정에 기반할 뿐이며, 하나 이상의 불확실성 또는 리스크가 발현할 시 실제 결과는 추정, 예상 또는 추산했던 것 뿐만이 아니라 과거 경험치와도 크게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매출액 감소, 비용 증가, 자본비용 증가, 자본투자 지연, 실적 개선 예상치 달성실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향후 예상 자료들은 본 공시서류 기준일자 현 시점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에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법률이 요구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정보 취득, 미래 사건 발생 등과 관계 없이 미래 예측 자료를 갱신 또는 수정할 어떠한 의무도 없으며, 이와 같은 의무를 명시적으로 부인하는 바입니다. 향후 당사 또는 당사 대리인이 제공하는 모든 추정재무자료는 본 공시서류에 기재된 유의사항이 적용되는 바, 투자자께서는 본 공시서류의 공개일자 기준으로 작성된 미래예측 진술에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s://dart.fss.or.kr)에는 당사의 감사보고서가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 결정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파. 상장요건 일부 미충족시 거래 제약에 따른 위험 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모의 방법으로 실시됩니다. 금번 공모 후 동사가 신규상장 신청일까지 필요한 요건을 모두 충족하면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매매를 개시하게 됩니다. 그러나,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월 이내인 2025년 06월 18일까지 신규상장신청 미완료 등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동사의 주식을 취득하는 투자자는 주식의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공모하는 것으로 당사는 2024년 10월 18일 상장예비심사 신청서를 제출하여 2024년 12월 19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지 받았습니다. 금번 공모는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에 필요한 주식의 분산요건을 충족할 목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라 모집 및 매출을 통해 공모하는 것입니다. 당사는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상장예비심사결과를 통보받은 날로부터 6월 이내인 2025년 06월 18일까지 신규상장 신청을 완료하여야 합니다.당사가 금번 공모 일정 연기, 공모 철회, 그 외 사유 등으로 인하여 2025년 06월 18일까지 신규상장신청 미완료 시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9조제1항에 의거, 한국거래소는 시장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당사의 상장예비심사결과에 대하여 그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습니다.한국거래소의 상장예비심사 결과 당사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7조에서 정하는 신규상장신청일(모집완료일)까지 주식의 분산(「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8조제1항제1호)요건을 구비하여야 하며, 당사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8조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어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국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에는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아니하며, 이 경우 재심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본 주식은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유가증권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습니다. 주식의 코스닥 상장일 이후 신주를 배정받은 신규 주주 및 기존 주주는 당사 주식의 매매개시일 이후에 코스닥 시장을 통하여 당사의 주식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 주권의 상장 및 매매개시일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며, 향후 일정이 확정 되는대로 코스닥시장지 등을 통하여 공고될 예정입니다.
당사가 한국거래소로부터 수령한 공문에 따르면, 공모 후에 심사가 가능한 상장주식수 및 주식의 분산요건을 제외한 모든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장 전 하기와 같은 사유가 발생하고 한국거래소가 판단하기에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한국거래소는 상장예비심사 승인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청구서를 다시 제출하여 심사를 받아야 할 수도 있으며, 당사 주식의 상장 연기 혹은 상장 취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건 공모 후 신규상장신청 제출일까지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거나 상장재심사 사유에 해당되어 재심사 승인을 받지 못할 경우 코스닥 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예비심사 결과] |
1. 상장예비심사결과
□키스트론㈜가 상장주선인을 통하여 제출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 및 동 첨부서류를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이하 “상장규정”이라한다) 제6조(상장예비심사등)에 의거하여 심사('24. 12. 19)한 결과, 사후 이행사항을 제외하고 신규상장 심사요건을 구비하였기에 다음의 조건으로 승인함
- 다 음 - - 청구법인은 상장규정 제27조에서 정하는 신규상장신청일(모집 또는 매출의 주금납입기일)까지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 (주식의 분산)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함- 만약 청구법인이 신규상장 신청일에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조 제1항제38호에서 정하는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동 규정 제28조의 벤처기업 요건이 적용되지 아니하고 일반기업 상장요건을 구비하여야 함 2. 상장예비심사결과의 효력 불인정□ 청구법인이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8조제1항에서 정하는 다음 각 호의 사유에 해당되어, 상장예비심사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국거래소(이하 “거래소”라 한다)가 판단하는 경우, 시장위원회의 심의 ·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1) 상장규정 제5조제2호에서 정하는 경영상 중대한 사실(발행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합병, 소송의 제기, 영업활동의 중지, 주요자산의 변동 등)이 발생한 경우2) 상장예비심사신청서 또는 첨부서류를 거짓으로 기재하거나 중요한 사항을 빠뜨린 사실이 확인된 경우3) 상장규정 제6조제3항 전단에 따른 재무서류에 대한 재무제표 감리 결과 증권선물위원회가 증권 발행제한, 검찰 고발, 검찰 통보 또는 과징금 부과 조치(금융위원회의 과징금 부과조치를 포함)를 의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4)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2조에 따른 정정 신고서의 정정내용이 중요한 경우5) 상장예비심사 결과를 통보받은 날부터 6개월 이내에 상장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다만, 해당 법인이 코스닥시장의 상황 급변 등 불가피한 사유로 상장신청서 제출기한 연장을 신청하여 거래소가 승인하는 경우에는 6개월 이내에서 제출기한을 연장할 수 있음6) 상장을 신청할 때 제출한 재무내용 등이 상장예비심사신청 시에 제출한 내용 등과 현저하게 다르거나 중대한 변경이 발견된 경우7) 그 밖에 상장예비심사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상장규정시행세칙 제13조에서 정하는 경우□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6조제3항 전단에 따른 재무서류(최근 사업연도의 개별·연결재무제표 및 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 보고서 등)에 대한 재무제표 감리 결과 증권선물위원회가 상장 신청인에 대하여 임원(상법 제408조의2에 따른 집행임원을 포함)의 해임·면직 권고, 임원의 직무정지 또는 감사인 지정조치를 의결한 사실이 확인된 경우, 거래소는 상장 심사요건에 따라 심사하여 심사의 효력이 불인정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는 때에는 시장 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상장예비심사 결과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있음 3. 기타 신규상장에 필요한 사항□ 상장신청인은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5조에서 정하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상장주선인을 통하여 거래소에 신고하여야 함1) 증권에 관한 사항에 대한 이사회나 주주총회의 결의 2) 발행한 어음이나 수표의 부도, 합병(상법 제522조, 제527조의2,제527조의3에 따른 합병을 말함), 소송의 제기, 영업활동의 중지, 주요자산의 변동 등 경영상 중대한 사실3) 모집 또는 매출의 신고. 이 경우 투자설명서(예비투자설명서 포함)와 그 기재내용의 정정사항을 포함하여 제출하여야 함4) 상장신청인이 국내기업이고, 당해 사업연도 반기종료 후 45일이 경과한 경우, 반기재무제표와 그에 대한 감사인의 검토보고서5) 최근 사업연도의 결산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 개최(상법 제 449조의2제1항에 따라 이사회결의로 재무제표를 승인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개최). 이 경우 최근 사업연도의 재무제표와 그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보고서를 같이 제출하여야 함 |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동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동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공모가 하단 기준 13,295백만원(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또는 당사 주주에게 유리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동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연구개발)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상세 내역은「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동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할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거. 상장주선인의 주식 취득 관련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189,000주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189,000주를 추가로 인수하게 되며,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 전ㆍ후 주식수] |
(단위: 주) |
구분 | 주식 종류 | 상장 전 | 상장 후 | ||
---|---|---|---|---|---|
주식수 | 비율 | 주식수 | 비율 | ||
공모전 주식수(구주매출 주식수 포함) | 보통주 | 13,259,110 | 100.00% | 13,259,110 | 63.64% |
신주모집 주식수 | 보통주 | - | - | 4,400,000 | 24.65% |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보통주 | - | - | 189,000 | 1.06% |
합계 | 보통주 | 13,250,110 | 100.00% | 17,848,110 | 100.00%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15조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189,000주 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
너. 집단소송위험 증권 관련 집단소송을 허용하는 국내 법규로 인해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관련 집단소송법」은 2005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국내 상장기업 주식을 집단적으로 0.01%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기업이 발행한 증권과 관련하여자본시장 거래에서 피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는 투자자 집단을 대표하여 1인 이상의 대표성 있는 원고가 집단 소송을 제기할 수 있도록 허용합니다.증권 관련 집단소송에서 인정되는 소인으로는 증권신고서 또는 투자설명서에 기재된호도적 정보, 호도적인 사업보고서의 공시, 내부자/불공정 거래, 시세조작 등으로 인해 발생한 피해에 대한 청구, 회계부정으로 유발된 피해에 대해 외부회계법인을 대상으로 제기한 청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당사가 미래에 집단소송의 피고가 되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있는 근거는 없으며, 당사가 이러한 집단소송의 피고로 지목되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당사 경영진이 핵심 사업에 전념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상법」상 상장회사 특례 규정인 제542조의6(소수주주권)에 따라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제외하고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소집청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법원에 검사인 선임을 청구할 수 있고, 1.0%(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또한, 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 감사 등의 해임을 요구할 수 있고, 0.1%(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의 회계장부를 열람 청구할 수 있습니다. 0.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여 이로 인하여 회사에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회사를 위하여 이사에 대하여 그 행위를 유지할 것을 청구할 수 있고, 0.01%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를 대신하여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회사의 소액주주들과 이사회 및 주요주주들과의 이해관계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소액주주들이 법적 행동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를 상대로 상기와 같은 소송 또는 법원명령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전략 시행이 방해받을 수 있으며 사업과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영자원이 핵심사업에 집중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더. 수요예측 경쟁률에 관한 주의사항 동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 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5월 22일(목) ~ 2025년 05월 23일(금)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동사의 수요예측 예정일은 2025년 05월 12일(월) ~ 2025년 05월 16일(금) 입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투자자들은 가격확정 후 실투자 여부를 결정하여 청약 예정일인 2025년 05월 22일(목) ~ 2025년 05월 23일(금)에 일반 투자자와 함께 청약을 실시하게 됩니다. 따라서 청약일 전에 발표되는 수요예측 경쟁률이 기관투자자의 실제 투자 수요를 보여주는 지표는 아니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러. 지배주주와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위험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홍영철을 포함한 최대주주등은 보통주 11,359,110주(상장예정주식수의 63.64%)를 보유하게 됩니다.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동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의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 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어 투자에 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본 공모 후 최대주주인 홍영철을 포함한 특수관계인은 보통주 11,359,110주(상장예정주식수의 63.64%)를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지배주주는 이사의 선임을 비롯한 당사 주주총회에 상정되는 대부분 사안을 결정할 때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 할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또한, 지배주주는 정관 변경 요구, 합병 제안, 자산 매각 제안, 또는 기타 주요 거래 등에 대한 투표 결과를 통제하거나 주요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당사 지배주주의이해관계와 투자자의 이해관계는 상충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해상충은 당사에 대한 투자자나 다른 주주들의 이해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머. 신규상장종목 상장일 변동성완화장치(VI) 미적용에 대한 위험 2021년 10월 18일부터 신규상장종목 상장일에 변동성완화장치(VI)를 적용하지 않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1년 10월 18일부터 신규상장종목 상장일에 변동성완화장치(VI)가 적용되지 않으며, 상장 익일부터 적용됩니다. 다만, 변동성완화장치가 없더라도 가격 변동은 기준가의 가격제한폭(60~400%) 내로 제한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참고하시어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버. 증권신고서 정정 위험 본 증권신고서(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 (이하 "투자설명서"))의 효력발생은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본 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본증권신고서(투자설명서)상의 발행 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 발생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증권신고서(예비투자설명서 또는 투자설명서(이하 "투자설명서"))에 대하여 정부 또는 금융위원회가 본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당사에 대한 투자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또한, 본 주권은 정부 및 금융기관이 보증한 것이 아니며, 투자위험 역시 투자자에게 귀속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관계기관의 조정 또는 증권신고서 수리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서. 수요예측에 참여 가능한 기관투자자 범위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 시 「증권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따른기관투자자만 참여가 가능하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16년 12월 15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2조제8호에도 불구하고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에 따라 창업투자회사 등도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그러나,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을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 조항에 따른 창업투자회사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으며, 동 규정 제2조제8호에서 규정하는 기관투자자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어. 비교기업 선정의 부적합성 가능성 동사는 금번 공모 시 산업 및 사업의 유사성, 재무적 기준 등을 고려하여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 그러나 비교 참고회사 선정기준의 임의성 및 기타 증권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의 차이점으로 인해 비교회사 선정의 부적합성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 시 동사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산업 및 사업 유사성, 영업성과 시현, 일반기준, 평가결과 유의성 검토 등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최종 비교기업을 선정하여 공모가액 산출에 적용하였습니다.상기 기준에 따라, 총 3개사(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를 당사의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상기 기준에 따른 비교회사의 선정은 비교회사의 사업 내용이 일정 부분 동사의 사업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기업가치 평가요소의 공통점이 있고, 일정 수준의 질적요건을 충족하는 비교회사를 선정함으로써 본 지분증권 평가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선정된 비교기업이 주력 제품 및 관련 시장, 영업 환경, 성장성 등에 있어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적합한 비교기업 선정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비교참고 정보를토대로 투자의사 결정 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따라서, 기업규모의 차이 및 부문별 매출 비중의 상이성, 선정 기준의 임의성 등을 고려하였을 때, 최종 선정된 기업들이 반드시 적합한 비교기업의 선정이라고 판단할 수는 없으며,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 전략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따라 차이가 존재합니다.
기준주가는 시장의 일시적 급변 등 단기변동성을 배제하기 위해 2025년 3월 21일을 분석기준일로 하여 1개월 간(2025년 2월 21일 ~ 2025년 3월 21일, 20영업일)종가의산술평균, 1주일 간(2025년 3월 17일 ~ 2025년 3월 21일, 5영업일) 종가의 산술평균, 분석기준일 (2025년 3월 21일) 종가 중 가장 낮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적용하였습니다.
저. 수요예측에 따른 공모가격 결정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
2016년 12월 13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5조제 1항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통한 가격결정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ㆍ운용하는 법인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3.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일정가격(이하"최저공모가격"이라 한다) 이상의 입찰에 대해 해당 입찰자가 제출한 가격으로 정하는 방법4. 대표주관회사가 사전에 정한 방법에 따라 기관투자자로부터 경매의 방식으로 입찰가격과 수량을 제출받은 후 산정한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번 공모를 위한 가격 결정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으로 가격결정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단, 금번 공모 시 동 규정 제5호 제1항 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2016년 12월 13일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개정으로 인하여 동 규정 제2조제8호에도 불구하고 동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에 따라 창업투자회사 등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그러나 금번 공모를 위한 수요예측 시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호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을 적용하지 않음에 따라, 동 조항에 따른 창업투자회사 등은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없으며, 동 규정 제2호 제8호에서 규정하는 기관투자자만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처. 공모주식수 변경 위험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효력발생시기의 특례 등) 제2항제1호에 따라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증권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지분증권을 모집 또는 매출하는 경우로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 수를 당초에 제출한 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하는 경우 정정신고서를 제출시, 당초의 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금번 공모의 경우 수요예측 실시 후, 증권신고서 효력 발생일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신고서 제출일 현재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공모주식수가 변경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커. 신규상장일 기준가 산정방식 및 가격제한폭 변경 2023년 06월 26일부터 유가증권 및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종목의 신규상장일 기준가격이 기존 '공모가격의 90~200% 내에서 호가를 접수하여 결정된 시가'에서 '공모가격'으로 변경되어, 신규상장일 가격제한폭은 기존 '기준가격 대비 ±30%'에서 '기준가격(공모가격)의 60~400%'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상장일 당사 주식의 장중 가격 변동이 기준가격 대비 60%~400% 수준까지 발생할 수 있음에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한국거래소는 신규상장종목의 기준가격 결정방법을 개선하고 가격제한폭을 확대함으로써 신규상장일 당일 신속한 균형가격 발견기능을 제고할 목적으로 2023년 04월 12일「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을 개정하였습니다.금번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의 주요 개정내용은, 1) 신규상장종목의 최초 가격 결정을 시가기준가 방식에 따르지 않고, 발행가액 자체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으로변경하는 것과 2) 신규상장종목의 가격제한폭을 신규상장일 기준가격 대비 60~400%로 상한가 및 하한가를 확대하여 적용하는 것으로서,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신규상장종목의 상장일 기준가격 및 가격 변동 범위] |
구분 | 기존 | 변경 |
---|---|---|
상장일 기준가격 | 시가(공모가의 90% ~ 200%) | 공모가격(별도의 가격결정 절차 없음) |
상장일 가격제한폭 | 기준가격의 70% ~ 130% | 기준가격의 60% ~ 400% |
주1) | 대상시장: 유가 및 코스닥 시장(코넥스는 미적용) |
주2) | 대상증권 및 종목 : 신규상장종목(주권, 외국주식예탁증권, 외국주권, 투자회사, 부동산투자회사, 사회간접투융자회사, 선박투자회사) |
주3) | 적용시간 : 신규상장일의 정규시장 및 장종료 후 시간외시장 |
한편, 상기 코스닥시장 업무규정 시행세칙은 2023년 06월 26일 부로 시행되었으며, 당사의 상장매매개시 예정일은 개정안의 시행일 이후임에 따라 개정된 규정을 적용 받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변경된 기준가격 결정방법에 유의하여 주시길 바랍니다.
터. 투자위험요소 기재내용 이외 위험요소 존재 위험 동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과같은 지정학적 리스크, 미국과 중국간 갈등 심화, 트럼프 정부 취임 후 보호무역 주의 강화 등 여러 위기 요소가 남아있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은 2024년 12월 3일 계엄 후 정치적 불확실성 세계 경제 및 국내외 정치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이 존재하는 바,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몇 년간 글로벌 경제 상황이 일반적으로 안정화되고 개선되었지만, 글로벌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하며 세계 각 국의 영토/무역 분쟁, 외교 정책 등으로 인해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의 악화는 당사의 사업, 재정 상태 및 운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염병인 COVID-19를 포함하여, 자연 재해 또는 인공 재해가 발생하여 소비심리가 악화되는 등 글로벌 경제는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많은 요소의 영향을 받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퍼. 상장폐지 관련 위험 당사의 주권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 및 제56조의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4조 및 제56조의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 당사 주권은 상장폐지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들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관리종목 지정에 관한 위험에 대해서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53조(관리종목)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허. 결산일 이후 최근 재무정보 관련 위험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발행회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으로 판단되나, 발행회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해서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0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 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동사는 2024년 온기 회계기간에 대한 재무제표의 감사 이후, 감사(검토) 받지 않은 동사 자체 결산 재무제표 기준 2025년 1월에 매출액 4,794(백만원), 영업이익 446(백만원)을 시현했고, 2025년 2월에 매출액 5,928(백만원), 영업이익 597(백만원)을 시현했고, 2025년 3월에 매출액 6,378(백만원), 영업이익 770(백만원)을 시현했습니다. 다만, 상기 자체 결산 실적은 향후 감사(검토) 과정에서 확정 실적과의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동사의 실적 악화에 따른 주가 하락 등의 위험이 존재합니다. 한편,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가 투자위험요소에 기재한 사항 외에 당사가 인지하고 있는 당사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 전까지 당사의 재무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추가적인 영업환경 변동 전망에 관한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증권신고서 작성지침에 따라 증권신고서에 기재하는 "재무에 관한 사항"은 최근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 말을 기준으로 감사인의 감사 또는 검토를 받은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발행회사는 신뢰성 있는 재무정보를 생산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으로 판단되나, 발행회사의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인 회계처리 오류의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바, 감사인의 감사 혹은 검토를 받은 재무 수치를 기준으로 증권신고서를 작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을 축소할 수 있으리라 사료됩니다.
[증권신고서 작성 지침] |
II. 공시서류작성기준일 및 공시대상기간 1. 증권신고서의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로 한다. 다만,「발행인에 관한 사항」중 '재무에 관한 사항',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부속명세서' 등 회사의 회계처리 또는 감사와 관련된 사항과 사업의 내용 중 사업연도별로 비교표시하는 사항 등(이하 "재무에 관한 사항 등")은 제출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최근 사업연도(또는 반기, 분기)말을 공시서류작성기준일로 한다. 2. 증권신고서에 적용되는 공시대상기간은 최근 3사업연도로 한다. 최근 3사업연도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사업연도를 포함한 최근 3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를 말하며,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분기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가 제출되었거나 분기보고서 또는 반기보고서에 기재될 내용을 포함하는 경우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사업연도를 포함한 최근 2사업연도의 개시일로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로 한다. 3. 위 1, 2에서 정한 사항에도 불구하고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및 서식에서 별도로 공시서류작성기준일 또는 공시대상기간을 정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르며, 공시대상기간의 적용은 위 2의 방식을 준용한다. 투자자의 오해를 방지하기 위한 경우 등으로서 회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공시대상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서 공시대상기간을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 게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로 정하는 경우, 직전 사업연도의 사업보고서가 제출되지 않은 때에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공시서류작성기준일'까지의 내용을 기재한다. |
출처: 증권신고서(지분증권) 작성 시 기재상의 주의 |
그러나, 이러한 기재방식은 회계처리 오류의 가능성은 축소할 수 있으나, 결산일 이후 회사의 손익 추이에 관해서 투자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이에, 금융감독원에서는 2024년 01월 23일 "기업 공시역량 제고를 위한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개정 및 2023년도 주요 정정요구 사례 공개" 보도자료 배포를 통해, IPO 기업의 최근 재무정보 공시방안 관련 기재 요령을 구체화한 바 있습니다.
[투자위험요소 기재요령 안내서 개정 주요 내용] |
동사의 2024년 온기 감사 이후 2025년 3 월까지의 잠정 매출액 및 영업손익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잠정 실적은 동사의 가결산 기준 재무수치로서 향후 감사(검토)받은 확정실적과 차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당사의 실적 악화에 따라 주가하락 등의 투자위험이 존재하는 점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3년 온기 (감사의견 적정) |
2024년 온기 (감사의견 적정) |
2025년 1월 (가결산) | 2025년 2월 (가결산) | 2025년 3월 (가결산) |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
매출액 | 55,936 | 68,955 | 4,794 | 5,929 | 6,378 |
매출원가 | 46,460 | 56,441 | 3,786 | 4,692 | 5,152 |
매출총이익 | 9,476 | 12,513 | 1,008 | 1,237 | 1,226 |
판관비 | 5,743 | 6,613 | 562 | 640 | 456 |
영업이익 | 3,733 | 5,901 | 446 | 597 | 770 |
당기순이익 | 2,371 | 8,777 | 237 | 440 | 840 |
주) | 2025년 1분기(1월 ~3월)의 재무수치는 가결산 자료입니다. 상기 가결산 자료는 검토 받지않은 숫자로 향후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고. 소수주주권 행사로 인한 소송위험 소수주주의 소수주주권 행사로 당사는 추가적인 소송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본건 공모 이후 당사의 주식은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에 상장될 예정입니다. 상법상 상장회사 특례 규정인 제542조의6(소수주주권)에 따라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제외하고 회사의 발행주식총수의 1.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주주총회 소집청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법원에 검사인 선임을 청구할 수 있고, 1.0%(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5%)에 해당하는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일정한 사항을 주주총회의 목적사항으로 할 것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또한 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 감사 등의 해임을 요구할 수 있고, 0.1%(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의 회계장부를 열람청구할 수 있습니다. 0.05%(회사의 자본금이 1,000억원 이상인 경우 0.025%)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이사가 법령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여 이로 인하여 회사에 회복할 수 없는 손해가 생길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회사를 위하여 이사에 대하여 그 행위를 유지할 것을 청구할 수 있고, 0.01%에 해당하는 주식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소수주주는 회사를 대신하여 주주대표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회사의 소액주주들과 이사회 및 주요주주들과의 이해관계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액주주들이 법적 행동을 통해 그들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향후 당사를 상대로 상기와 같은 소송 또는 법원명령이 발생할경우, 당사의 효율적이고 적절한 전략 시행이 방해 받을 수 있으며 사업과 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영자원이 핵심사업에 집중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노. 재무제표 심사 진행관련 위험 동사는 한국공인회계사로부터 2024년 12월 5일자로 제32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에 대한 심사 착수 관련 안내를 받았으며, 2025년 2월 26일 기준 해당재무제표 심사는 종결되었습니다. 당사는 재무제표 심사 과정에서 발견된 특이사항이 없으며, 타당한 근거에 의해 그 이유가 소명되어 심사업무가 종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재무제표 심사 종결이 당사의재무제표의 재무정보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에 의거 '재무제표 심사' 대상으로선정되었으며, 한국공인회계사회로부터 2024년 12월 5일자로 제32기(2023.1.1~2023.12.31) 재무제표에 대한 심사 착수 통지를 받았습니다. 이후 2025년 2월 26일 기준 동사의 2023 회계연도 재무제표(연결재무제표) 심사업무는 종결되었습니다.
재무제표 심사 업무는 회계정보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이해관계인의 보호와 기업의 건전한 경영에 기여하고자 하는 목적이며, 회사의 재무제표 등에 회계처리기준 위반이 있는지 검토하여 발견된 특이사항에 대한 회사의 소명을 들은 후, 회계처리기준 위반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재무제표의 수정을 권하는 업무로 처리절차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 한국공인회계사회
【한국공인회계사회 2024.12.05. 공문】 |
1. 한국공인회계사회(이하 '한공회')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26조제1항과 제38조제2항, 동법 시행령 제44조제4항에 따라 비상장회사에 대한 심사ㆍ감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2. 귀 사는 위 법규 및 한공회의 「감리조사 업무규정」 제8조제1항에 따라 '재무제표 심사'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한공회 감리조사위원회는 2024년 12월 5일자로 귀 사의 제32기(2023.1.1~2023.12.31)재무제표(연결재무제표 포함) 심사에 착수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
당사는 제무제표 심사에 성실히 응하였으며, 2025년 2월 26일 기준 해당 재무제표 심사는 종결되었습니다. 재무제표 심사 과정에서 발견된 특이사항은 없으며, 타당한 근거에 의해 그 이유가 소명되어 심사업무가 종결되었습니다.
【 한국공인회계사회 2025.02.26. 재무제표 심사 종결 안내】 |
1. 귀사의 2023년 12월말 회계연도 재무제표에 대하여「주식 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26조와 동법 시행령 제44조제4항 및 본회 내규인「감리조사업무규정」제9조에 따라 실시한 재무제표 심사 결과 발견된 특이사항이 없거나, 타당한 근거에 의해 그 이유가 소명되어 심사업무를 종결(종결일자: 2025년 2월 26일)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러나 본 문서가 귀사의 심사대상 재무제표의 재무정보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오니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중략) |
재무제표 심사 과정에서 회계위반이 발견된 경우 감독기관은 수정권고를 하며,수정을 이행할 경우 증권선물위원회 경조치로 종결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수정을 미이행하거나 고의, 중과실로 인한 회계위반인 경우 감리가 실시되게 됩니다. 조치기준은 위법동기(고의/중과실/과실)와 재무제표에 미치는 형태(주1) 및 중요도(기준금액 대비 배수, I~V단계)에 따라 아래 조치기준표에서 정하는 기본조치가 결정되며 가중, 감경 사유를 고려하여 조치가 결정됩니다.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 [별표1] 심사,감리 양정조치기준] |
요도 | 기본조치 | ||
---|---|---|---|
고의 | 중과실 | 과실 | |
가중시 최대 | 고의Ⅰ단계와 동일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10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3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증권발행제한 6월 / 감사인지정 2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Ⅰ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12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3년 / 대표이사 및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회사(임직원 포함) 검찰고발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8월(회사)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2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증권발행제한 4월 감사인지정 2년 |
Ⅱ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11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3년 /. 대표이사 및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회사(임직원 포함) 검찰고발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6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2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증권발행제한 2월
감사인지정 1년 |
Ⅲ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10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3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회사(임직원 포함) 검찰통보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4월(회사)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2년 |
경고 |
Ⅳ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8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 감사인지정 2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감사(감사위원) 해임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회사(임직원 포함) 검찰통보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2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1년 |
주의 |
Ⅴ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6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 감사인지정 2년 / 담당임원 해임(면직)권고 / 직무정지 6월 이내 / 회사(임직원 포함) 검찰통보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1월(회사)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1년 |
주의 |
감경시최소 |
과징금 또는 증권발행제한 4월(회사) / 과징금(회사 관계자) 감사인지정 2년 / |
증권발행제한 1월 | 조치없음 |
(주1) 위법행위의 유형(위법행위 형태) |
유형 | 위반행위의 내용 |
---|---|
A | 당기손익 또는 자기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B | 당기손익이나 자기자본에는 영향이 없으나, 자산.부채의 과대.과소계상, 수익.비용의 과대.과소계상,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의 과대·과소계상, 영업·비영업손익간 계정재분류, 유동·비유동항목간 계정재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
C | 다음 각 항목과 관련한 주석사항인 경우① 특수관계자 거래② 타인을 위한 담보제공, 질권설정, 지급보증 등으로 인하여 발생가능한 자산의 사용이나 처분의 제한 또는 우발부채(다만, 관련 채무잔액의 130% 이내 금액에 한하고, 관련 채무잔액의 130% 초과금액 또는 자신을 위하여 담보제공, 질권설정, 지급보증 등과 관련한 금액은 제외)③ 진행 중인 소송사건 등으로 발생가능한 우발부채 |
D | 계정과목 재분류 등 위에서 열거한 항목 이외에서 발생한 경우 |
당사는 재무제표 심사 과정에서 발견된 특이사항이 없으며, 타당한 근거에 의해 그 이유가 소명되어 심사업무가 종결되었습니다. 그러나 재무제표 심사 종결이 당사의 재무제표의 재무정보가 정확하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본 장은 「자본시장법」 제119조 제1항 및 동법 시행령 제125조 제1항 제2호 마목에 의거, 금번 공모주식의 인수인이 공모주식에 대한 의견을 기재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본 장의 작성 주체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이므로 문장의 주어를 "당사", "신한투자증권㈜"으로 기재하였습니다.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의 경우에는 "동사", "회사"로 기재하였습니다.■ 본 장에 기재된 평가의견은 금번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금번 공모주식의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에 대한 기업실사 과정을 통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로부터 제공받거나 취득한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하여 코스닥시장 상장법인으로서의 조건 충족여부 및 상장과정에서의 공모희망가액 제시범위(공모가 밴드)산정논리와 적정성에 대한 판단범위로 한정됩니다.■ 즉, 본 장의 평가의견은 금번 공모주식의 키스트론㈜에 대한 기업 실사과정 중에 있어서 동사의 코스닥시장 상장 및 공모주식의 가치평가를 검토 및 산정하기 위해 제공받은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하여 인수인이 합리적 추정 및 판단의 가정하에 제시하는 주관적인 의견입니다.■ 그러므로, 본 증권신고서의 당해 기재내용이 금번 공모주식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투자자에게 투자의사결정 여부, 이와 관련한 동사의 영업, 경영관리, 재무, 기술 등 전반적인 사업개황을 평가한 후의 조언 및 자문, 이에 상응하는 청약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인수인의 분석의견 제시가 본 증권신고서, 예비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 기재내용의 고의적인 허위기재사실 이외 진실성, 정확성과 관련하여 자본시장법 상에서의 모든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장에 기재된 인수인의 분석의견 중에는 투자자에게 회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기재된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결과는 여러 가지 내/외부 요인들의 변화에 의해 기재된 예측정보와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투자자는 유의하셔야 합니다. 예측정보와 관련하여 투자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본 신고서의 서두에 기재된"예측정보에 관한 유의사항"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 | |||
적용산식 |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 (①) x 유사기업의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주1) | 6,915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② | 유사기업의 PER | 11.55배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나) 유사기업 PER 산출 | |
③ | 주식수 | 17,848,11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주당 평가 가액 | 4,470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31.00% ~ 20.0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 |
공모가 산정 결과 | 3,100원 ~ 3,6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1) | 적용 당기순이익은 2024년 기 준 계속영업당기순이익에 해당합니다. | ||||||||||||||||||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분 | 내용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3,100원 ~ 3,6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키스트론㈜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1) 평가모형의 개요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절대가치 평가방법과 상대가치 평가방법이 있습니다.절대가치 평가방법으로는 대표적으로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할인모형(DCF: Discounted Cash Flow Method)과 본질가치 평가방법이 있으며,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할인모형(DCF)은 미래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의 연도별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에 적정한 할인율(가중평균자본비용(WAC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 기업의 자본조달 원천별 가중치를 곱하여 산출한 자기자본비용과 타인자본비용의 합)을 적용하여 현재가치를 산정하는 평가방법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 5년 이상의 미래 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추정하여야 하며, 비교회사와 비교하기 위해서는 비교회사의 미래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추정해야만 상호비교가 가능한 모형으로, 이러한 미래 현금흐름 및 적정 할인율을 산정함에 있어 객관적인 기준이 명확하지가 않고 평가자의 주관이 개입될 경우 평가 지표로서 유의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습니다.본질가치평가방법은 2002년 8월 "유가증권인수업무에 관한 규칙" 개정 이전에 공모주식의 평가를 위해 사용하던 규정상의 평가방법으로 최근 사업연도의 자산가치와 향후 2개년 추정실적을 기준으로 한 수익가치를 1과 1.5의 가중치를 두어 산출하는 절대가치 평가방법의 한 기법입니다. 그러나 본질가치를 구성하는 자산가치는 역사적 가치로서 기업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과거 실적을 중요시 한다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합니다. 또한, 이를 보완하는 향후 2개년간 추정손익에 의해 산정되는 수익가치는 손익 추정 시 평가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추정기간의 불충분성 및 자본환원율로 인한 기업가치의 고평가 가능성 등은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상대가치 평가방법(PER 비교, EV/EBITDA 비교, PSR 비교, PBR 비교 등)은 주식시장에 분석대상 기업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품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비교가능성이 높은 유사 기업들이 존재하고, 주식시장은 이런 기업들의 가치를 평균적으로 올바르고 적정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분석대상기업과 비교기업을 비교ㆍ평가하는 방법으로서 그 평가방법이 간단하고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유용한 기업가치 평가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습니다.그러나, 비교기업 선정 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 개입 가능성과 시장의 오류(기업가치의 저평가 혹은 고평가)등에 기인한 기업가치 평가의 오류 발생가능성은 여전히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한계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상대가치 평가방법(PER 비교, EV/EBITDA 비교, PSR 비교, PBR 비교 등)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비교대상 회사들이 일정한 재무적 요건을 충족하여야 합니다. 또한 사업적, 기술적, 관련 시장 성장성, 주요 제품군 등 질적 측면에서 일정 부분 평가대상 회사와 유사성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2) 평가모형의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금번 공모를 위한 키스트론㈜의 주당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상기 평가방법 중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에 기상장된 비교기업 지표를 적용한 상대가치 평가법을 이용하였습니다.
[키스트론㈜ 비교가치 산정 시 PER 적용사유] |
적용 투자지표 | 투자지표의 적합성 |
---|---|
PER | PER(Price/Earning Ratio)는 해당 기업의 주가와 주당순이익(EPS)의 관계를 규명하는 비율로서 기업의 영업활동을 통한 수익력에 대한 시장의 평가, 성장성, 영업활동의 위험성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된 지표입니다. 또한, 개념이 명확하고 계산의 용이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자지표이기도 합니다. PER는 순이익을 기준으로 비교가치를 산정하므로 개별 기업의 수익성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에 대한 향후 미래의 성장성이 반영되어 개별 기업의 PER가 형성되므로, PER를 적용할 경우 특정 산업에 속한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고 산업 고유위험에 대한 Risk 요인도 주가를 통해 반영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의 금번 공모주식에 대한 평가에 있어 상대가치 평가방법 중 가장 보편적이고 소속 업종 및 해당기업의 성장, 수익, 위험을 반영할 수 있는 모형인 PER를 활용하였습니다. |
[키스트론㈜ 비교가치 산정시 PBR, PSR, EV/EBITDA 제외사유] |
제외 투자지표 | 투자지표의 부적합성 |
---|---|
PBR | PBR(주가순자산비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BPS(주당순자산)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엄격한 회계기준이 적용되고, 자산건전성을 중요시하는 금융기관의 평가나 고정자산의 비중이 큰 장치산업의 경우 주로 사용되는 지표입니다.동사의 경우 금융기관이 아니며, 고정자산 비중이 크지 않아 순자산가치가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가치평가의 한계성을 내포하고 있어 가치산정 시 제외하였습니다. |
PSR | PSR(주가매출액비율)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SPS(주당매출액)의 몇 배인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비교기업의 이익이 적자(-)일 경우 사용하는 보조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PSR이 적합한 투자지표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비교기업간에 매출액 대비 수익률이 유사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기업마다 매출액 대비 수익률(ROS)은 상이하며, 단순히 매출액과 관련하여 주가 비교 시 수익성을 배제한 외형적 크기만을 비교하여 왜곡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가치산정 시 제외하였습니다. |
EV/EBITDA | EV/EBITDA는 기업가치(EV)와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이익(EBITDA)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지표로 기업이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의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EBITDA는 유형자산이나 기계장비에 대한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이많은 산업에 유용한 지표로서 동사 가치를 나타내는 데에는 적정한 지표로 사용되기 어렵다는판단하에 가치산정 시 제외하였습니다. |
(3) 평가모형의 한계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동사의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PER 배수를 적용하여 산출한 상대적 성격의 비교가치로서 동사의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 절대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 상황의 변동및 동사가 속한 산업의 성장성 및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등이 계량화되어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동사의 비교대상회사의 기준주가를 특정시점에서 산정하였으므로 향후 발생할수 있는 비교대상회사의 주가변동에 따라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금번 평가의 결과로 산출된 동사의 평가가치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그 가치를 보증하거나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예측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4) 비교기업 선정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은 동사의 업종, 사업, 재무 및 일반 유사성을 고려하여 총 3개사를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으며, 상세 선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최종 선정된 비교기업은 동사와 유사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주요 사업 및 매출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또한 사업전략, 영업환경, 시장 내 위치 등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비교참고 정보를 토대로 한 투자의사 결정 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 비교기업 선정 요약
[키스트론 주식회사비교기업 선정 기준표] |
구분 | 선정기준 | 세부 검토기준 | 선정회사 |
1차 | 업종 유사성 | [국내]한국표준산업분류상 동사와 동일 분류에 속하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기업 ①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C28302) 한국표준산업분류상 다음 중 하나에 속하는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 상장기업① 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C26299) ② 철강선 제조업 (C24123) ③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 제조업 (C28123) ④ 전자축전기 제조업 (C26291) ⑤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C24221)[해외]BICS (Bloomberg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Level 4 분류상 다음 산업분류에 속하는 글로벌 상장기업 중 코스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5조에서 정한 적격시장에 상장된 기업① Steel Producers② Electronics Components③ Electrical Components④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국내]총 97개사[해외]총 327개사 |
2차 | 재무 유사성 | [국내] ① 2023년 기준 영업이익과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기업② 2024년 기준 영업이익과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기업③ 12월말 결산 법인일 것[해외]① 2023년 사업연도의 재무수치가 공개되고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기업② 2024년말 기준 직전 12개월간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기업 | [국내]총 48개사[해외]총 162개사 |
3차 | 사업 유사성 |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는 동사의 사업 내용을 고려하여 아래의 사업유사성을 만족하는 기업① 전력 송배전용 전선이 아닌 단순 전기적 신호 전송용 전선을 제조하는 기업② 철강선 및 로프 등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며, 관련 매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 | [국내] 총 1개사[해외]총 2개사 |
4차 | 일반 유사성 | ①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이 적정인 기업② 기준일 현재 상장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기업③ 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내 인수, 합병, 분할, 양수도, 최대주주 변경 등 기업가치에 중대한 영향을미치는 사건이 없는 기업④ 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내 한국거래소로부터 투자위험종목, 관리종목, 불성실공시법인 등 지정 또는 기업회계기준 위반 사실이 없는 기업⑤ 비경상적 Multiple(PER 50배 초과, 5미만)에 해당되지 않는 기업 | [국내]총 1개사[해외]총 2개사 |
(나) 비교기업 선정 세부내역 1) 1차 비교기업 선정 기준: 업종 유사성 동사는 전자부품용 및 케이블용 와이어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한국표준산업분류상 (C28302)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에 속해있습니다. 동사가 속한 산업분류 뿐 아니라 동사와 비교할 수 있는 (C26299) 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C24123) 철강선 제조업, (C28123)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 제조업, (C26291) 전자축전기 제조업, (C24221) 동 압연,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에 포함되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 상장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해외 상장기업의 경우 블룸버그(Bloomberg)의 BICS (Bloomberg Industry Classification Standard) Level 4 분류상 다음 산업분류에 속하는 글로벌 상장기업 중 코스닥 상장규정 시행세칙 제5조에서 정한 적격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국가(지역) | 증시명 |
미국 | NYSE, NASDAQ |
유럽 | 유로넥스트(Euronext) |
일본 | 동경증권거래소(Tokyo Stock Exchange) |
영국 | 런던증권거래소(London Stock Exchange) |
독일 | 독일거래소(Deutche Borerse AG) |
홍콩 | 홍콩거래소(Hongkong Exchanges and clearing) |
싱가폴 | 싱가폴거래소(Singapore Exchange) |
호주 | 호주증권거래소(Australian Securities Exhange) |
캐나다 | 토론토증권거래소(Toronto Stock Exchange) |
상기 기준으로 분류된 1차 유사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1차 모집단 선정 내역][국내 - 총 97개사]
한국표준산업분류 | 해당 회사 |
(C28302)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
[총 5개사] 일진전기, 대원전선, 대한전선, 가온전선, 센서뷰 |
(C26299) 그 외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 [총 66개사] 해성디에스, 솔루엠, 삼화전자, 한솔테크닉스, 삼성전기, LG이노텍, 써니전자, 한화시스템, 드림텍, 파인엠텍, 바이오로그디바이스, 위츠, 이녹스첨단소재, 엑스페릭스, 이랜시스, 유티아이, 샘씨엔에스, 에이텀, 알에스오토메이션, 탑런토탈솔루션, 라온텍, 와이솔, 아이씨에이치, 액트로, 덕산네오룩스, 아모센스, 세경하이테크, 대주전자재료, KH바텍, 에이치엔에스하이텍, 풍원정밀, 제이앤티씨, 지오엘리먼트, 다산솔루에타, 아모그린텍, 와이팜, 아이엠, 나무가, 링크드, 리노공업, S&K폴리텍, 엠케이전자, 티에프이, HLB이노베이션, RF머트리얼즈,씨엔플러스, 상신전자, 하이소닉, 나노씨엠에스, 알엔투테크놀로지, 아이티엠반도체, 삼영에스앤씨, 오킨스전자, 월덱스, 기가레인, 파버나인,성우테크론, 파트론,시노펙스, 제이엠티, 동일기연, 아모텍, 캠시스, 덕우전자, 한국컴퓨터, 코칩 |
(C24123) 철강선 제조업 |
[총 7개사]영흥, DSR제강, 만호제강, 고려제강, 원일특강, 한국선재, 대호특수강 |
(C28123) 배전반 및 전기 자동제어반 제조업 |
[총 7개사] 선도전기, 광명전기, 지투파워, 비츠로시스, 우리기술, 서전기전, 피앤씨테크 |
(C26291) 전자축전기 제조업 |
[총 7개사] 성문전자, 삼영전자, 삼화콘덴서, 삼화전기, LS머트리얼즈, 비나텍, 성호전자 |
(C24221) 동 압연,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총 5개사]풍산, 대창, 이구산업, KBI메탈, 국일신동 |
출처: Kisline |
[해외 - 총 327개사]
BICS 분류 | 해당 회사 |
Steel Producers | [총 74개사] AICHI STEEL CORP, ALGOMA STEEL GROUP INC, APERAM, ARAYA INDUSTRIAL CO LTD, ARCELORMITTAL, ATI INC, BISALLOY STEEL GROUP LTD, BLUESCOPE STEEL LTD, BOSA TECHNOLOGY HOLDINGS LTD, CARPENTER TECHNOLOGY, CHINA ORIENTAL GROUP CO LTD, CHONGQING IRON & STEEL CO-H, CHU KONG, PETROLEUM & NATURAL, CHUBU STEEL PLATE CO LTD, CLEVELAND-CLIFFS INC, COMMERCIAL METALS CO, DA MING INTERNATIONAL HOLD, DAIDO STEEL CO LTD, EISEN UND HUETTENWERKE AG, EVRAZ PLC, FRIEDMAN INDUSTRIES, GODO STEEL LTD, HG METAL MANUFACTURING LTD, HONG KONG SHANGHAI ALLIANCE, HONGLI GROUP INC, HUADI INTERNATIONAL GROUP CO, HUAJIN INTERNATIONAL HOLDING, INNO HOLDINGS INC, JFE HOLDINGS INC, KANGLI INTERNATIONAL HOLDING, KLOECKNER & CO SE, KOBE STEEL LTD, KOBELCO WIRE CO LTD, KYOEI STEEL LTD, MAIKE TUBE INDUSTRY HOLDINGS, MARUICHI STEEL TUBE LTD, MAYER HOLDINGS LTD, METALLUS INC, MITSUBISHI STEEL MFG CO LTD, MORY INDUSTRIES INC, NAKAYAMA STEEL WORKS LTD, NIPPON CHUTETSUKAN KK, NIPPON KINZOKU CO LTD, NIPPON KOSHUHA STEEL CO LTD, NIPPON SEISEN CO LTD, NIPPON STEEL CORP, NIPPON YAKIN KOGYO CO LTD, NORTHWEST PIPE CO, NUCOR CORP, OSAKA STEEL CO LTD, OSAKA TITANIUM TECHNOLOGIES, RAMADA INVESTIMENTOS E INDUS, SALZGITTER AG, SANYO SPECIAL STEEL CO LTD, SANYU CO LTD, SHINHOKOKU MATERIAL CORP, STEEL DYNAMICS INC, TAKASAGO TEKKO KK, TERNIUM SA-SPONSORED ADR, THYSSENKRUPP AG, TOAMI CORP, TOKYO ROPE MFG CO LTD, TOKYO STEEL MFG CO LTD, TOKYO TEKKO CO LTD, TOPY INDUSTRIES LTDTREE ISLAND STEEL LTD, UNION STEEL HOLDINGS LTD, UNITED STATES STEEL CORP, VALLOUREC SA, VULCAN STEEL LTD, XIWANG SPECIAL STEEL CO LTD, YAMATO KOGYO CO LTD, YODOGAWA STEEL WORKS LTD, ZK INTERNATIONAL GROUP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총 103개사] AAC TECHNOLOGIES HOLDINGS IN, AEM HOLDINGS LTD, AIMECHATEC LTD, ALPS ALPINE CO LTD, APPLIED OPTOELECTRONICS INC, AVAL DATA CORP, AVIAT NETWORKS INC, BARCO N.V., BYD ELECTRONIC INTL CO LTD, CERAGON NETWORKS LTD, CHINA ELECTRONICS HUADA TECH, CHINA SHUIFA SINGYES NEW MAT, CHINA SILVER TECHNOLOGY HOLD, CHIYODA INTEGRE CO LTD, CMK CORP, COMBA TELECOM SYSTEMS HOLDIN, COMTECH TELECOMMUNICATIONS, CONCURRENT, TECHNOLOGIES PLC, CONFIDENCE INTELLIGENCE HOLD, COWELL E HOLDINGS INC, CTS CORP, DATA MODUL AG, DATAVAULT AI INC, DKK CO LTD, EBRAINS INC, ELTEK LTD, ENOVIX CORP, FIRAN TECHNOLOGY GROUP CORP, FIT HON TENG LTD, FORSEE POWER SACA, FUTABA CORP, GELION PLC, HAMMOND MANUFACTURING -CL A, IBIDEN CO LTD, ICAPE HOLDING SA, ILIKA PLC, INTEGRATED MEDIA TECHNOLOGY, INTERLINK ELECTRONICS INC, ISHII HYOKI CO LTD, JAPAN DISPLAY INC, JAPAN RESISTOR MFG CO LTD, JU TENG INTERNATIONAL HLDGS, JUBILEE INDUSTRIES HOLDINGS, KARRIE INTL HLDGS LTD, KK DI-NIKKO ENGINEERING, KNOWLES CORP, KOA CORP, KOPIN CORP, KURODA GROUP CO LTD, KYOCERA CORP, KYOSHA CO LTD, LI-S ENERGY LTD, MABUCHI MOTOR CO LTD, MARUWA CO LTD, MEIKO ELECTRONICS CO LTD, MICROVISION INC, MINEBEA MITSUMI INC, MOBI DEVELOPMENT CO LTD,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TO SEIKO CO, NCXX GROUP INC, NEONODE INC, NIDEC CORP,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NIPPON KODOSHI CORP, NISSHA CO LTD, OSTIN TECHNOLOGY GROUP CO LTD, PARAGON GMBH & CO KGAA, PC PARTNER GROUP LTD, PERFECT OPTRONICS LTD, PULSTEC INDUSTRIAL CO LTD, RISECOMM GROUP HOLDINGS LTD, SANKO CO LTD, SATORI ELECTRIC CO LTD, SEMILUX INTERNATIONAL LTD, SHANAYA LTD, SHIRAI ELECTRONICS IND CO, SIGMA KOKI CO LTD, SMIT HOLDINGS LTD, SMK CORP, SOLID STATE PLC, SRT MARINE SYSTEMS PLC, SUNCALL CORP, TAIYO HOLDINGS CO LTD, TAIYO TECHNOLEX CO LTD, TAIYO YUDEN CO LTD, TDK CORP, TIANLI HOLDINGS GROUP LTD, TONGDA GROUP HOLDINGS LTD, TONGDA HONG TAI HOLDINGS LTD, TRAKM8 HOLDINGS PLC, TRULY INTERNATIONAL HOLDINGS, TTM TECHNOLOGIES, UMC ELECTRONICS CO LTD, VARTA AG, VERTICAL INTERNATIONAL HOLDI, VESON HOLDINGS LTD, VICOR CORP, WACOM CO LTD, WETOUCH TECHNOLOGY INC, WISDOM WEALTH RESOURCES INVE, YAN TAT GROUP HOLDINGS LTD, ZHEJIANG RUIYUAN INTELLIGE-H |
Electrical Components |
[총 121개사]ADCAPITAL AG, ADVANCED ENERGY INDUSTRIES, ALTHEORA SA, AMPHENOL CORP-CL A, ATKORE INC, ATMUS FILTRATION TECHNOLOGIE, BEL FUSE INC-CL A, BELDEN INC, BH GLOBAL CORP LTD, CABLERIE D'EUPEN - AUC, CANARE ELECTRIC CO LTD, CANON ELECTRONICS INC, CENTURY ENERGY INTERNATIONAL, CHENGDU SIWI SCIENCE AND TEC, CHINA SAFTOWER INTERNATIONAL, CHONGQING MACHINERY AND EL-H, COGNEX CORP, COSEL CO LTD, DAIHEN CORP, DAISHINKU CORP, DESWELL INDUSTRIES INC, DEXERIALS CORP, EAVS, ECHO INTERNATIONAL HOLDINGS, ENOMOTO CO LTD, ESPEY MFG & ELECTRONICS CORP, EXCELSIOR CAPITAL LTD, FRENCKEN GROUP LTD, FUJI ELECTRIC INDUSTRY CO, FUJIPREAM CORP, FURUKAWA, ELECTRIC CO LTD, FURUYA METAL CO LTD, HAMMOND POWER SOLUTIONS INC, HELIOS TECHNO HOLDING CO LTD, HENGXIN TECHNOLOGY LTD, HIRAKAWA HEWTECH CORP, HIROSE ELECTRIC CO LTD, HOKURIKU ELECTRIC INDUSTRY, HOSIDEN CORP, HUBBELL INC, IDEC CORP, INTICA SYSTEMS SE, I-PEX INC, IRISO ELECTRONICS CO LTD, ITALY INNOVAZIONI, JAPAN AVIATION ELECTRONICS, JMACS JAPAN CO LTD, KANADEN CORP, KAWADEN CORP, KEEN OCEAN INTERNATIONAL HOL, KEL CORP, KIMBALL ELECTRONICS INC, KOHOKU KOGYO CO LTD, LACROIX GROUP, LGL GROUP INC/THE, LINKERS INDUSTRIES LTD-A, LITTELFUSE INC, LPA GROUP PLC, LUCECO PLC, MAN YUE TECHNOLOGY HOLDINGS, MARUMAE CO LTD, MATSUO ELECTRIC CO LTD, MITSUBOSHI CO LTD, MITSUI HIGH-TEC INC, M-TRON INDUSTRIES INC, NEXANS SA, NICHICON CORP, NIHON DEMPA KOGYO CO LTD, NITTOKU CO LTD, NKK SWITCHES CO LTD, NLIGHT INC, NORTECH SYSTEMS INC, NORTH ASIA STRATEGIC HOLDING, NOVANTA INC, NOVATECH INDUSTRIES, NPC INC, NVENT ELECTRIC PLC, ONAMBA CO LTD, PANGAEA CONNECTIVITY TECHNOL, PARAZERO TECHNOLOGIES LTD, PERENNIAL INTERNATIONAL LTD, PETARDS GROUP PLC, PREFORMED LINE PRODUCTS CO, PUTIAN COMMUNICATION GROUP L, R STAHL AG, REM GROUP HOLDINGS LTD, RENISHAW PLC, RF INDUSTRIES LTD, RIVER ELETEC CORP, RUIXIN INTERNATIONAL HOLDING, SANSHA ELECTRIC MANUF CO LTD, SENSATA TECHNOLOGIES HOLDING, SHIBAURA ELECTRONICS CO LTD, SHOWA SHINKU CO LTD, SKYX PLATFORMS CORP, SOLARTECH INTL HLDG LTD, SUKEGAWA ELECTRIC CO LTD, SUMIDA CORP, SUN KING TECHNOLOGY GROUP LT, SUZUKI CO LTD, SWCC CORP, TAI SIN ELECTRIC LTD, TAKAOKA TOKO CO LTD, TAMAGAWA HOLDINGS CO LTD, TAMURA CORP, TE CONNECTIVITY PLC, TECNISCO LTD,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TEKMAR GROUP PLC, TIME INTERCONNECT TECHNOLOGY, TKH GROUP NV-DUTCH CERT, TOMITA ELECTRIC CO LTD, TRIGIANT GROUP LTD, TRIO INDUSTRIAL ELECTRONICS, VALUETRONICS HOLDINGS LTD, VOLEX PLC, WAKA MANUFACTURING CO LTD, XCHG LTD, XP POWER LTD, YAMAICHIELECTRONICS CO LTD, ZIMI LTD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총 29개사] ALGONQUIN POWER & UTILITIES, ATCO LTD -CLASS I, BROOKFIELD INFRASTRUCTURE PA, CARIBBEAN UTILITIES CO LTD-A, CONSOLIDATED EDISON INC, E.ON SE, EARTH INFINITY CO LTD, EENERGY GROUP PLC, ELIA GROUP SA/NV, ENERGY POWER CO LTD, EVERSOURCE ENERGY, EXELON CORP, FORTIS INC, GREMZ INC, HK ELECTRIC INVESTMENTS -SS, HYDRO ONE LTD, JERSEY ELECTRICITY PLC, LOCALITY PLANNING ENERGY HOL, MAINOVA AG, MGE ENERGY INC, NATIONAL GRID PLC, OPG POWER VENTURES PLC, OTTER TAIL CORP, REDES ENERGETICAS NACIONAIS, REZIL INC, SEMPRA, SEO 1/5 PRIV, TIANJIN DEVELOPMENT HLDGS LT, UNITIL CORP |
2) 2차 비교기업 선정 기준: 재무 유사성 1차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국내 97개, 해외 327개 기업 중 다음 재무 유사성 기준에 따라 2차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선정기준 | 재무유사성 기준 |
---|---|
재무유사성 | [국내] ① 2023년 기준 영업이익과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기업② 2024년 기준 영업이익과 (지배지분)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기업③ 12월말 결산 법인일 것[해외]① 2023년 사업연도의 재무수치가 공개되고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회사② 2024년말 기준 직전 12개월간 당기순이익을 시현한 회사 |
[2차 모집단 선정 내역][국내 - 48개사]
【2차 비교기업 선정 - 국내】 |
(단위: 백만원) |
회사명 | ① 2023년 기준 영업이익과 (지배지분)당기순이익 시현 | ② 2024년 기준 영업이익과 (지배지분)당기순이익 시현 | 선정여부 | ||||
매출액 | 영업이익 | (지배지분) 당기순이익 | 매출액 | 영업이익 | (지배지분) 당기순이익 | ||
해성디에스 | 672,245 | 102,512 | 84,426 | 602,993 | 56,870 | 58,697 | O |
솔루엠 | 1,951,088 | 154,516 | 120,358 | 1,594,442 | 69,087 | 37,688 | O |
삼화전자 | 41,907 | -5,003 | -6,024 | 33,397 | -7,273 | -7,746 | X |
한솔테크닉스 | 1,302,679 | 48,937 | 43,233 | 1,199,483 | 33,355 | 23,177 | O |
삼성전기 | 8,892,412 | 660,544 | 422,957 | 10,294,103 | 735,006 | 703,216 | O |
LG이노텍 | 20,605,290 | 830,824 | 565,201 | 21,200,755 | 706,043 | 449,274 | O |
써니전자 | 12,760 | 902 | 3,864 | 12,810 | 2,576 | 4,398 | O |
한화시스템 | 2,452,495 | 122,575 | 349,221 | 2,803,686 | 219,345 | 445,379 | O |
드림텍 | 1,030,381 | 34,046 | 15,320 | 1,172,681 | 23,554 | 12,740 | O |
파인엠텍 | 380,030 | 20,334 | 10,512 | 382,168 | -7,910 | -15,761 | X |
바이오로그디바이스 | 123,469 | -3,262 | -11,810 | 135,706 | -3,415 | -9,611 | X |
위츠 | 99,534 | 10,254 | 7,612 | 90,764 | 2,176 | 1,548 | O |
이녹스첨단소재 | 387,003 | 42,162 | 32,774 | 422,809 | 86,804 | 70,056 | O |
엑스페릭스 | 11,909 | -4,184 | -3,644 | 14,747 | -3,248 | -3,364 | X |
이랜시스 | 68,449 | 5,448 | 4,983 | 71,558 | 5,855 | 4,986 | O |
유티아이 | 19,361 | -19,732 | -29,550 | 18,560 | -32,244 | -22,739 | X |
샘씨엔에스 | 30,935 | -2,912 | -1,310 | 53,316 | 5,201 | 3,318 | X |
에이텀 주1) | 47,971 | -5,923 | -7,897 | 38,503 | -4,149 | -4,500 | X |
알에스오토메이션 | 79,748 | -3,198 | -5,917 | 76,768 | -3,713 | -9,078 | X |
탑런토탈솔루션 | 513,877 | 29,680 | 22,653 | 519,654 | 26,040 | 19,887 | O |
라온텍 | 10,744 | -2,153 | -7,078 | 8,903 | -6,968 | -6,477 | X |
와이솔 | 369,736 | 13,485 | 13,209 | 374,992 | 461 | 10,999 | O |
아이씨에이치 | 43,193 | -10,061 | -10,646 | 64,568 | -3,229 | -12,840 | X |
액트로 | 156,846 | 4,692 | 5,746 | 203,084 | 2,417 | 1,485 | O |
덕산네오룩스 | 163,702 | 32,920 | 35,805 | 212,252 | 52,472 | 45,761 | O |
아모센스 | 87,454 | 796 | -1,423 | 134,155 | 7,163 | 1,739 | X |
세경하이테크 | 304,477 | 36,183 | 34,946 | 320,333 | 31,496 | 41,295 | O |
대주전자재료 | 184,989 | 6,209 | 695 | 219,316 | 29,354 | 36,394 | O |
KH바텍 | 363,572 | 33,608 | 30,935 | 311,012 | 21,858 | 21,313 | O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80,552 | 13,956 | 30,139 | 76,161 | 13,370 | 14,667 | O |
풍원정밀 | 43,054 | -21,932 | -21,842 | 49,263 | -18,248 | -30,132 | X |
제이앤티씨 | 323,437 | 28,539 | 17,748 | 273,239 | -46,091 | -33,401 | X |
지오엘리먼트 | 17,811 | 761 | 2,227 | 44,777 | 5,314 | 3,100 | O |
다산솔루에타 | 158,770 | -149 | 24,991 | 35,436 | 1,995 | -19,319 | X |
아모그린텍 | 147,600 | 12,287 | 13,021 | 128,566 | 4,471 | 2,120 | O |
와이팜 | 68,149 | 6,424 | 19,293 | 87597 | 9892 | -7,052 | X |
아이엠 주2) | 124,305 | -1,063 | -23,336 | - | - | - | X |
나무가 | 365,609 | 22,725 | 23,522 | 450,363 | 20,949 | 26,116 | O |
링크드 | 20,171 | -4,429 | -12,552 | 14,084 | -6,060 | -17,648 | X |
리노공업 | 255,573 | 114,378 | 110,923 | 278,186 | 124,201 | 113,279 | O |
S&K폴리텍 | 251,085 | 2,840 | -5,876 | 330,070 | 15,224 | 15,721 | X |
엠케이전자 | 1,116,975 | 46,451 | -35,235 | 1,170,600 | 56,076 | -37,684 | X |
티에프이 | 80,325 | 9,224 | 11,111 | 73,627 | 4,391 | 1,452 | O |
HLB이노베이션 | 20,581 | -938 | -755 | 25,356 | -11,883 | -12,370 | X |
RF머트리얼즈 | 47,912 | -35 | -669 | 44,497 | -1,453 | -7,583 | X |
씨엔플러스 주3) | 36,261 | 961 | 392 | - | - | - | X |
상신전자 | 109,704 | 1,544 | 2,238 | 124,972 | 2,128 | 2,405 | O |
하이소닉 | 4,994 | -3,682 | -11,289 | 13224 | -3,737 | -4,558 | X |
나노씨엠에스 | 4,583 | -3,162 | -4,135 | 4,650 | -8,858 | -8,843 | X |
알엔투테크놀로지 | 14,687 | -1,450 | -3,686 | 14,303 | -2,688 | -1,719 | X |
아이티엠반도체 | 580,535 | -14,880 | -33,002 | 647,910 | 2,403 | 1,221 | X |
삼영에스앤씨 | 11,647 | -3,539 | -2,759 | 12,394 | -3,121 | -3,362 | X |
오킨스전자 | 56,850 | 374 | 1,071 | 66,680 | 1,904 | -5,235 | X |
월덱스 | 288,087 | 64,829 | 53,850 | 306,791 | 70,305 | 65,037 | O |
기가레인 | 44,295 | -11,774 | -11,237 | 41689 | -7,351 | -6,116 | X |
파버나인 | 120,685 | 1,692 | 146 | 132,825 | 8,126 | 7,033 | O |
성우테크론 | 33,776 | -808 | -1,045 | 41,687 | 1,184 | 2,250 | X |
파트론 | 1,172,405 | 41,681 | 28,836 | 1,486,422 | 61,707 | 53,448 | O |
시노펙스 | 262,173 | 24,177 | 14,601 | 238,339 | 21,229 | 28,003 | O |
제이엠티 | 122,737 | 14,827 | 22,549 | 164,020 | 5,284 | 10,590 | O |
동일기연 | 25,235 | 423 | 2,229 | 24,110 | 192 | 776 | O |
아모텍 | 186,814 | -25,973 | -14,683 | 229,445 | -23900 | -19,787 | X |
캠시스 | 500,586 | 6,862 | -14,106 | 378,187 | -11,728 | -19,617 | X |
덕우전자 | 165,129 | -9,935 | -8,549 | 160950 | -991 | -483 | X |
한국컴퓨터 | 371,743 | 23,802 | 21,695 | 421,025 | 12,158 | 13,593 | O |
코칩 | 32,912 | 4,189 | 4,800 | 33,371 | 2,899 | 3,230 | O |
일진전기 | 1,246,732 | 60,757 | 34,540 | 1,577,247 | 79,742 | 46,193 | O |
대원전선 | 515,402 | 13,130 | 9,613 | 552,777 | 14,339 | 6,794 | O |
대한전선 | 2,843,980 | 79,824 | 70,616 | 3,282,034 | 114,613 | 69,305 | O |
가온전선 | 1,498,607 | 43,720 | 17,898 | 1,727,104 | 45,012 | 25,355 | O |
센서뷰 | 8,463 | -18,044 | -18,332 | 15,602 | -15,786 | -17,824 | X |
영흥 | 500,011 | 1,252 | -6,401 | 482,568 | 3,302 | -12,538 | X |
DSR제강 | 212,954 | 23,495 | 12,944 | 215,582 | 19,511 | -28,299 | X |
만호제강 주4) | 219,340 | -12,394 | -4,139 | 179,904 | -30,795 | -44,355 | X |
고려제강 | 1,788,878 | 56,317 | 71,450 | 1,739,609 | 26,107 | 33,680 | O |
원일특강 | 379,986 | 13,441 | 7,997 | 379,300 | 11,978 | 6,652 | O |
한국선재 | 248,448 | 5,122 | -2,326 | 223,448 | 6,030 | 483 | X |
대호특수강 | 300,560 | 1,661 | -3,556 | 296,391 | 2,668 | -12,647 | X |
선도전기 | 41,642 | -7,214 | -16,421 | 24,119 | -5,617 | 9,922 | X |
광명전기 | 161,220 | -2,273 | 10,440 | 142,406 | -2,259 | -33,481 | X |
지투파워 | 49,413 | -945 | 671 | 55,423 | 3,670 | 4,211 | X |
비츠로시스 | 19,553 | -7,057 | -6,342 | 25,653 | 6,143 | -10,293 | X |
우리기술 | 63,166 | 6,679 | 5,029 | 71,250 | 554 | -3,573 | X |
서전기전 | 43,269 | -3,459 | -3,742 | 63,336 | 612 | 1083 | X |
피앤씨테크 | 20,683 | 2,716 | 3,643 | 34,734 | 1792 | 2236 | O |
성문전자 | 45,064 | 514 | -1,648 | 48,478 | 1103 | 2707 | X |
삼영전자 | 177,290 | 6,457 | 13,836 | 162,978 | 7,300 | 11,112 | O |
삼화콘덴서 | 280,769 | 23,693 | 20,810 | 295,412 | 17,842 | 21,825 | O |
삼화전기 | 202,451 | 7,829 | 5,557 | 233,116 | 24,789 | 19,624 | O |
LS머트리얼즈 | 136,885 | 13,568 | 12,159 | 142,076 | 6,197 | 5,691 | O |
비나텍 | 54,964 | 3,036 | 1,977 | 59,592 | -8,068 | -9,092 | X |
성호전자 | 208,061 | 25,857 | 17,692 | 207326 | 6,311 | 7,677 | O |
풍산 | 4,125,264 | 228,636 | 156,440 | 4,554,411 | 323,769 | 236,046 | O |
대창 | 1,323,046 | -9,266 | -19,410 | 1,336,871 | 31,349 | 3,597 | X |
이구산업 | 433,373 | 10,213 | 656 | 472,292 | 25,163 | 12,607 | O |
KBI메탈 | 685,035 | 7,819 | 63 | 702,692 | 17,495 | 809 | O |
국일신동 | 19,640 | -2,192 | -1,221 | 31,398 | -1,696 | -3,353 | X |
출처: 각 사 사업보고서 (DART공시) |
주1) 6월말 결산 법인으로 23년(2022.07.01~2023.06.30), 24년(2023.07.01~2024.06.30) 재무수치 기재 |
주2) 사업보고서 미공시 |
주3) 사업보고서 미공시 |
주4) 6월말 결산 법인으로 23년(2022.07.01~2023.06.30), 24년(2023.07.01~2024.06.30) 재무수치 기재 |
[해외 - 총 162개사]
【2차 비교기업 선정 - 해외】 |
(단위: 1,000 USD) |
구분 | ① 2023년 사업연도의 재무수치가 공개되고 당기순이익 시현 | ② 2024년 기준 직전 12개월간 당기순이익 시현 | 선정여부 | |||||
회사명 | BICS 분류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매출액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 |
AICHI STEEL CORP | Steel Producers | 2,109,149 | 24,114 | 11,909 | 2,155,553 | 83,509 | 53,244 | O |
ALGOMA STEEL GROUP INC | Steel Producers | 2,101,717 | 219,740 | 225,792 | 2,115,445 | 138,747 | 43,296 | O |
APERAM | Steel Producers | 7,129,474 | 96,257 | 219,551 | 6,867,145 | 60,267 | 314,879 | O |
ARAYA INDUSTRIAL CO LTD | Steel Producers | 343,407 | 34,233 | 22,634 | 323,454 | 17,826 | 15,061 | O |
ARCELORMITTAL | Steel Producers | 68,274,999 | 2,340,000 | 919,000 | 62,279,001 | 801,000 | -1,237,000 | X |
ATI INC | Steel Producers | 4,173,700 | 466,400 | 410,800 | 4,253,400 | 508,300 | 376,400 | O |
BISALLOY STEEL GROUP LTD | Steel Producers | 103,078 | 11,722 | 8,613 | - | - | - | X |
BLUESCOPE STEEL LTD | Steel Producers | 12,255,058 | 972,427 | 679,292 | - | - | - | X |
BOSA TECHNOLOGY HOLDINGS LTD | Steel Producers | 13,615 | 3,074 | 2,653 | 10,152 | 2,252 | 2,076 | O |
CARPENTER TECHNOLOGY | Steel Producers | 2,550,300 | 133,100 | 56,400 | 2,719,100 | 277,600 | 131,300 | O |
CHINA ORIENTAL GROUP CO LTD | Steel Producers | 6,532,630 | -46,115 | -22,551 | - | - | - | X |
CHONGQING IRON & STEEL CO-H | Steel Producers | 5,552,364 | -215,966 | -211,036 | 4,149,531 | -342,470 | -312,666 | X |
CHU KONG PETROLEUM & NATURAL | Steel Producers | 374,344 | 6,574 | 25,952 | - | - | - | X |
CHUBU STEEL PLATE CO LTD | Steel Producers | 564,529 | 90,693 | 63,443 | 491,124 | 76,345 | 52,960 | O |
CLEVELAND-CLIFFS INC | Steel Producers | 21,995,999 | 677,000 | 399,000 | 19,972,000 | -391,000 | -462,000 | X |
COMMERCIAL METALS CO | Steel Producers | 8,799,533 | 1,162,094 | 859,760 | 8,139,051 | 783,839 | 565,726 | O |
DA MING INTERNATIONAL HOLD | Steel Producers | 7,139,906 | 3,005 | -30,936 | - | - | - | X |
DAIDO STEEL CO LTD | Steel Producers | 4,282,880 | 373,482 | 268,514 | 4,151,220 | 334,408 | 260,937 | O |
EISEN UND HUETTENWERKE AG | Steel Producers | 12,582 | 11,556 | 11,361 | - | - | - | X |
EVRAZ PLC | Steel Producers | - | - | - | - | - | - | X |
FRIEDMAN INDUSTRIES | Steel Producers | 547,542 | 21,074 | 21,344 | 508,205 | 24,839 | 18,698 | O |
GODO STEEL LTD | Steel Producers | 1,741,126 | 102,868 | 92,520 | 1,624,158 | 132,328 | 116,709 | O |
HG METAL MANUFACTURING LTD | Steel Producers | 111,525 | 287 | -758 | - | - | - | X |
HONG KONG SHANGHAI ALLIANCE | Steel Producers | 339,148 | 23,673 | 10,569 | - | - | - | X |
HONGLI GROUP INC | Steel Producers | 15,998 | 1,020 | 865 | - | - | - | X |
HUADI INTERNATIONAL GROUP CO | Steel Producers | 84,332 | - | 3,258 | - | - | - | X |
HUAJIN INTERNATIONAL HOLDING | Steel Producers | 930,602 | 25,082 | 12,096 | - | - | - | X |
INNO HOLDINGS INC | Steel Producers | 800 | -3,984 | -3,896 | 395 | -3,078 | -2,927 | X |
JFE HOLDINGS INC | Steel Producers | 38,972,553 | 1,386,098 | 1,202,885 | 37,287,583 | 1,249,887 | 1,281,974 | O |
KANGLI INTERNATIONAL HOLDING | Steel Producers | 272,322 | 14,741 | 10,937 | - | - | - | X |
KLOECKNER & CO SE | Steel Producers | 7,523,809 | 79,268 | -206,133 | 6,653,360 | 23,721 | -288,052 | X |
KOBE STEEL LTD | Steel Producers | 18,288,807 | 638,830 | 536,761 | 18,285,173 | 1,207,812 | 953,324 | O |
KOBELCO WIRE CO LTD | Steel Producers | 231,374 | 6,938 | 6,154 | 229,436 | 6,721 | 5,742 | O |
KYOEI STEEL LTD | Steel Producers | 2,631,175 | 109,614 | 96,958 | 2,296,199 | 146,386 | 133,159 | O |
MAIKE TUBE INDUSTRY HOLDINGS | Steel Producers | 309,397 | 25,667 | 21,709 | - | - | - | X |
MARUICHI STEEL TUBE LTD | Steel Producers | 2,022,421 | 222,046 | 178,738 | 1,917,408 | 237,956 | 178,973 | O |
MAYER HOLDINGS LTD | Steel Producers | - | - | - | - | - | - | X |
METALLUS INC | Steel Producers | 1,362,400 | 89,300 | 69,400 | 1,171,600 | 23,000 | 24,000 | O |
MITSUBISHI STEEL MFG CO LTD | Steel Producers | 1,261,439 | 41,030 | 16,199 | 1,213,691 | 39,768 | 3,551 | O |
MORY INDUSTRIES INC | Steel Producers | 360,316 | 49,810 | 39,129 | 348,048 | 43,508 | 35,044 | O |
NAKAYAMA STEEL WORKS LTD | Steel Producers | 1,394,412 | 100,923 | 75,648 | 1,323,132 | 84,547 | 59,335 | O |
NIPPON CHUTETSUKAN KK | Steel Producers | 127,877 | 3,854 | 2,678 | 120,288 | 5,519 | 3,090 | O |
NIPPON KINZOKU CO LTD | Steel Producers | 388,824 | 9,416 | 6,776 | 364,782 | -6,289 | 15,321 | O |
NIPPON KOSHUHA STEEL CO LTD | Steel Producers | 329,538 | 6,073 | -1,110 | 274,639 | -9,141 | 46,514 | X |
NIPPON SEISEN CO LTD | Steel Producers | 362,853 | 30,911 | 22,827 | 320,979 | 22,362 | 16,986 | O |
NIPPON STEEL CORP | Steel Producers | 58,994,326 | 5,370,878 | 5,133,542 | 61,632,036 | 4,104,768 | 4,429,992 | O |
NIPPON YAKIN KOGYO CO LTD | Steel Producers | 1,474,372 | 216,403 | 145,740 | 1,336,872 | 158,588 | 107,618 | O |
NORTHWEST PIPE CO | Steel Producers | 444,355 | 33,858 | 21,072 | 483,085 | 46,372 | 29,554 | O |
NUCOR CORP | Steel Producers | 34,713,502 | 6,230,342 | 4,524,801 | 31,362,946 | 3,493,604 | 2,525,367 | O |
OSAKA STEEL CO LTD | Steel Producers | 866,476 | 43,900 | 21,473 | 843,137 | 45,604 | 21,800 | O |
OSAKA TITANIUM TECHNOLOGIES | Steel Producers | 318,613 | 35,357 | 32,457 | 379,635 | 60,376 | 57,108 | O |
RAMADA INVESTIMENTOS E INDUS | Steel Producers | 151,672 | 15,410 | 11,262 | 73,665 | 7,698 | 8,014 | O |
SALZGITTER AG | Steel Producers | 11,670,295 | 110,641 | 216,415 | 10,964,057 | -371,922 | -210,665 | X |
SANYO SPECIAL STEEL CO LTD | Steel Producers | 2,913,203 | 210,751 | 153,433 | 2,635,928 | 123,692 | 90,297 | O |
SANYU CO LTD | Steel Producers | 177,048 | 7,147 | 4,778 | 174,521 | 4,421 | 2,921 | O |
SHINHOKOKU MATERIAL CORP | Steel Producers | 46,238 | 4,480 | 3,395 | 41,757 | 3,995 | 2,998 | O |
STEEL DYNAMICS INC | Steel Producers | 18,795,315 | 3,151,181 | 2,450,882 | 17,901,675 | 2,224,071 | 1,754,111 | O |
TAKASAGO TEKKO KK | Steel Producers | 90,508 | 5,733 | 3,869 | 88,809 | 2,955 | 2,136 | O |
TERNIUM SA-SPONSORED ADR | Steel Producers | 17,610,093 | 2,198,014 | 676,043 | 18,703,804 | 1,802,875 | 79,475 | O |
THYSSENKRUPP AG | Steel Producers | 40,085,746 | -1,555,971 | -2,212,747 | 37,909,144 | -2,052,047 | -2,665,875 | X |
TOAMI CORP | Steel Producers | 114,019 | -791 | -534 | 123,565 | 1,573 | 953 | X |
TOKYO ROPE MFG CO LTD | Steel Producers | 496,588 | 24,447 | 27,982 | 463,675 | 24,888 | 28,143 | O |
TOKYO STEEL MFG CO LTD | Steel Producers | 2,672,080 | 281,547 | 228,178 | 2,609,673 | 248,609 | 166,442 | O |
TOKYO TEKKO CO LTD | Steel Producers | 586,046 | 32,213 | 27,050 | 556,967 | 63,083 | 47,590 | O |
TOPY INDUSTRIES LTD | Steel Producers | 2,474,222 | 53,073 | 46,756 | 2,436,653 | 75,626 | 42,651 | O |
TREE ISLAND STEEL LTD | Steel Producers | 177,562 | 12,380 | 5,594 | 154,017 | 974 | -1,836 | X |
UNION STEEL HOLDINGS LTD | Steel Producers | 78,689 | 10,718 | 8,069 | - | - | - | X |
UNITED STATES STEEL CORP | Steel Producers | 18,052,999 | 799,000 | 895,000 | 16,275,000 | 160,000 | 393,000 | O |
VALLOUREC SA | Steel Producers | 5,530,662 | 928,916 | 536,344 | 4,598,108 | 646,938 | 426,675 | O |
VULCAN STEEL LTD | Steel Producers | 767,145 | 100,717 | 54,169 | - | - | - | X |
XIWANG SPECIAL STEEL CO LTD | Steel Producers | - | - | - | - | - | - | X |
YAMATO KOGYO CO LTD | Steel Producers | 1,334,675 | 124,363 | 483,141 | 1,166,824 | 113,605 | 455,119 | O |
YODOGAWA STEEL WORKS LTD | Steel Producers | 1,629,633 | 93,681 | 78,355 | 1,440,815 | 76,684 | 69,962 | O |
ZK INTERNATIONAL GROUP CO LT | Steel Producers | 111,600 | -60,444 | -61,061 | - | - | - | X |
AAC TECHNOLOGIES HOLDINGS IN | Electronics Components | 2,883,506 | 140,056 | 104,552 | - | - | - | X |
AEM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358,419 | 11,600 | -921 | - | - | - | X |
AIMECHATEC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12,712 | 4,236 | 8,697 | 115,984 | 4,658 | 1,858 | O |
ALPS ALPINE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6,902,118 | 248,498 | 84,842 | 6,884,617 | 133,804 | -210,720 | X |
APPLIED OPTOELECTRONICS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217,646 | -41,349 | -56,048 | 209,547 | -68,968 | -80,900 | X |
AVAL DATA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106,446 | 17,728 | 31,589 | 93,920 | 16,695 | 37,370 | O |
AVIAT NETWORKS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344,433 | 24,620 | 10,169 | 383,317 | 19,631 | 12,530 | O |
BARCO N.V. | Electronics Components | 1,135,759 | 98,739 | 86,704 | 1,037,126 | - | - | X |
BYD ELECTRONIC INTL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8,352,049 | 603,347 | 570,708 | 22,203,637 | - | 564,088 | O |
CERAGON NETWORK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347,179 | 21,210 | 6,220 | 377,617 | 33,377 | 19,250 | O |
CHINA ELECTRONICS HUADA TECH | Electronics Components | 385,641 | 92,325 | 87,680 | - | - | - | X |
CHINA SHUIFA SINGYES NEW MAT | Electronics Components | 12,053 | -6,969 | -5,617 | 3,715 | -6,923 | -5,638 | X |
CHINA SILVER TECHNOLOGY HOLD | Electronics Components | 33,483 | -2,051 | -3,965 | - | - | - | X |
CHIYODA INTEGRE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281,079 | 21,807 | 18,227 | 274,301 | 24,318 | 18,767 | O |
CMK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620,153 | 19,269 | 11,746 | 628,265 | 18,020 | 10,517 | O |
COMBA TELECOM SYSTEMS HOLDIN | Electronics Components | 764,095 | 11,390 | 855 | - | - | - | X |
COMTECH TELECOMMUNICATIONS | Electronics Components | 549,994 | -14,660 | -26,899 | 563,026 | 2,710 | -12,740 | X |
CONCURRENT TECHNOLOGIES PLC | Electronics Components | 39,378 | 4,586 | 4,818 | - | - | - | X |
CONFIDENCE INTELLIGENCE HOLD | Electronics Components | 37,346 | -2,381 | -3,367 | - | - | - | X |
COWELL E HOLDINGS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923,846 | 47,416 | 46,589 | - | - | - | X |
CTS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550,422 | 75,051 | 60,532 | 513,030 | 70,031 | 59,829 | O |
DATA MODUL AG | Electronics Components | 306,328 | 24,114 | 15,668 | 264,182 | 13,684 | 8,221 | O |
DATAVAULT AI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2,083 | -21,457 | -25,081 | 2,192 | -19,429 | -57,773 | X |
DKK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235,339 | -11,169 | -8,736 | 220,800 | -12,824 | -17,075 | X |
EBRAINS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31,498 | 4,854 | 3,153 | 29,900 | 4,191 | 2,791 | O |
ELTEK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46,695 | 7,295 | 6,353 | 48,090 | 6,036 | 5,533 | O |
ENOVIX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7,644 | -230,255 | -214,071 | 20,738 | -272,930 | -244,753 | X |
FIRAN TECHNOLOGY GROUP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100,097 | 10,871 | 8,604 | 115,230 | 10,730 | 7,475 | O |
FIT HON TENG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4,195,550 | 201,901 | 128,969 | - | - | - | X |
FORSEE POWER SACA | Electronics Components | 185,200 | -25,043 | -30,242 | - | - | - | X |
FUTABA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446,223 | -17,656 | -25,882 | 410,058 | -12,198 | -30,176 | X |
GELION PLC | Electronics Components | - | -9,103 | -8,922 | - | - | - | X |
HAMMOND MANUFACTURING -CL A | Electronics Components | 176,609 | 20,818 | 13,905 | 176,737 | 20,521 | 13,700 | O |
IBIDEN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3,088,553 | 535,252 | 386,020 | 2,720,944 | 341,194 | 252,201 | O |
ICAPE HOLDING SA | Electronics Components | 194,180 | 9,269 | 4,847 | - | - | - | X |
ILIKA PLC | Electronics Components | 843 | -10,797 | -8,765 | - | - | - | X |
INTEGRATED MEDIA TECHNOLOGY | Electronics Components | - | - | - | - | - | - | X |
INTERLINK ELECTRONICS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13,940 | -439 | -383 | 12,231 | -2,120 | -2,019 | X |
ISHII HYOKI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37,935 | 15,260 | 12,413 | 129,624 | 13,872 | 11,763 | O |
JAPAN DISPLAY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2,002,671 | -328,317 | -190,972 | 1,731,962 | -361,776 | -329,565 | X |
JAPAN RESISTOR MFG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51,174 | 715 | 601 | 43,762 | -698 | -498 | X |
JU TENG INTERNATIONAL HLDGS | Electronics Components | 885,963 | 2,529 | -29,483 | - | - | - | X |
JUBILEE INDUSTRIES HOLDINGS | Electronics Components | 3,635 | -2,587 | -6,919 | - | - | - | X |
KARRIE INTL HLD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393,139 | 24,991 | 49,265 | - | - | - | X |
KK DI-NIKKO ENGINEERING | Electronics Components | 279,560 | 4,164 | 2,492 | 262,817 | 5,045 | 3,355 | O |
KNOWLES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456,800 | 43,400 | 72,400 | 682,800 | -201,300 | -208,900 | X |
KOA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555,297 | 75,611 | 54,493 | 478,522 | 32,957 | 26,851 | O |
KOPIN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40,394 | -17,178 | -19,748 | 44,266 | -47,686 | -48,420 | X |
KURODA GROUP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030,198 | 35,490 | 19,210 | - | - | - | X |
KYOCERA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14,981,106 | 950,623 | 946,710 | 14,194,136 | 668,399 | 703,190 | O |
KYOSHA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80,942 | 4,963 | -3,587 | 178,482 | 8,145 | -2,368 | X |
LI-S ENERGY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 | -3,067 | -2,245 | - | - | - | X |
MABUCHI MOTOR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274,061 | 110,789 | 138,457 | 1,302,471 | 150,980 | 100,134 | O |
MARUWA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434,965 | 148,988 | 111,101 | 421,087 | 131,002 | 97,135 | O |
MEIKO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237,318 | 70,825 | 65,440 | 1,249,353 | 69,464 | 66,628 | O |
MICROVISION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7,259 | -88,875 | -82,842 | 8,147 | -86,936 | -85,497 | X |
MINEBEA MITSUMI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9,558,251 | 720,196 | 541,095 | 9,903,365 | 604,432 | 473,917 | O |
MOBI DEVELOPMENT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90,498 | -6,775 | -8,359 | - | - | - | X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2,477,001 | 2,205,974 | 1,804,435 | 11,340,331 | 1,640,151 | 1,453,321 | O |
MUTO SEIKO CO | Electronics Components | 193,575 | 12,919 | 9,619 | 186,177 | 13,315 | 11,176 | O |
NCXX GROUP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5,751 | -1,517 | -4,716 | 8,687 | -2,031 | -6,250 | X |
NEONODE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4,449 | -10,744 | -10,123 | 4,269 | -11,374 | -10,791 | X |
NIDEC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16,495,207 | 665,148 | 273,551 | 16,296,260 | 979,915 | 563,936 | O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996,518 | -74,306 | -186,749 | 1,983,899 | 4,141 | 136,561 | X |
NIPPON KODOSHI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130,087 | 24,611 | 18,258 | 109,738 | 14,821 | 11,824 | O |
NISSHA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196,068 | -22,527 | -21,308 | 1,278,343 | 24,891 | 4,682 | X |
OSTIN TECHNOLOGY GROUP CO LT | Electronics Components | - | - | - | - | - | - | X |
PARAGON GMBH & CO KGAA | Electronics Components | 174,827 | -752 | -4,123 | 158,100 | -2,383 | -9,894 | X |
PC PARTNER GROUP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170,955 | 16,139 | 7,772 | - | - | - | X |
PERFECT OPTRONIC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5,871 | -2,658 | -2,440 | 3,924 | -1,118 | -998 | X |
PULSTEC INDUSTRIAL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8,113 | 2,232 | 1,797 | 16,936 | 2,183 | 1,827 | O |
RISECOMM GROUP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3,397 | -11,655 | -19,560 | - | - | - | X |
SANKO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15,944 | 3,655 | 3,111 | 121,231 | 5,346 | 4,600 | O |
SATORI ELECTRIC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071,533 | 27,759 | 16,527 | 1,023,183 | 28,440 | 14,785 | O |
SEMILUX INTERNATIONAL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 | - | - | - | - | - | X |
SHANAYA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5,949 | -363 | -810 | - | - | - | X |
SHIRAI ELECTRONICS IND CO | Electronics Components | 243,091 | 20,955 | 15,260 | 205,801 | 16,965 | 10,785 | O |
SIGMA KOKI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83,238 | 11,015 | 10,935 | 78,577 | 8,812 | 8,754 | O |
SMIT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22,471 | 6,838 | -13,897 | - | - | - | X |
SMK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405,659 | 8,344 | 9,867 | 335,529 | -6,558 | -10,233 | X |
SOLID STATE PLC | Electronics Components | 152,499 | 11,341 | 8,068 | - | - | - | X |
SRT MARINE SYSTEMS PLC | Electronics Components | 36,775 | 380 | 83 | - | - | - | X |
SUNCALL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394,985 | 2,249 | 4,120 | 364,092 | -21,203 | -29,078 | X |
TAIYO HOLDINGS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719,996 | 118,143 | 84,361 | 699,934 | 111,982 | 79,074 | O |
TAIYO TECHNOLEX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24,377 | -1,014 | -904 | 24,385 | -36 | 23 | X |
TAIYO YUDEN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2,363,328 | 236,552 | 171,726 | 2,233,874 | 16,803 | -1,766 | X |
TDK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16,131,207 | 1,248,790 | 844,626 | 14,864,879 | 926,556 | 650,804 | O |
TIANLI HOLDINGS GROUP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68,916 | -22,888 | -31,371 | - | - | - | X |
TONGDA GROUP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833,065 | -123,397 | -157,068 | - | - | - | X |
TONGDA HONG TAI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1,657 | -2,024 | -4,834 | - | - | - | X |
TRAKM8 HOLDINGS PLC | Electronics Components | 24,347 | -715 | -944 | - | - | - | X |
TRULY INTERNATIONAL HOLDINGS | Electronics Components | 1,991,119 | 65,437 | 33,568 | - | - | - | X |
TTM TECHNOLOGIES | Electronics Components | 2,232,567 | 42,316 | -18,718 | 2,360,827 | 141,593 | 68,467 | X |
UMC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1,196,117 | 16,436 | 4,712 | 974,064 | 12,470 | -1,730 | X |
VARTA AG | Electronics Components | - | - | - | - | - | - | X |
VERTICAL INTERNATIONAL HOLDI | Electronics Components | 10,763 | -1,457 | -1,557 | 2,794 | -683 | -659 | X |
VESON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867,806 | 9,949 | 2,840 | - | - | - | X |
VICOR CORP | Electronics Components | 405,059 | 51,358 | 53,595 | 355,544 | -3,166 | 4,551 | O |
WACOM CO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833,845 | 14,892 | 13,256 | 837,455 | 19,084 | 20,203 | O |
WETOUCH TECHNOLOGY INC | Electronics Components | 39,706 | 12,650 | 8,264 | 41,024 | 7,483 | 3,860 | O |
WISDOM WEALTH RESOURCES INVE | Electronics Components | - | - | - | - | - | - | X |
YAN TAT GROUP HOLDINGS LTD | Electronics Components | 80,399 | 9,605 | 9,591 | - | - | - | X |
ZHEJIANG RUIYUAN INTELLIGE-H | Electronics Components | 3,076 | -174 | -496 | 733 | -80 | -80 | X |
ADCAPITAL AG | Electrical Components | 178,582 | 3,221 | -2,675 | - | - | - | X |
ADVANCED ENERGY INDUSTRIES | Electrical Components | 1,655,810 | 113,694 | 128,284 | 1,471,910 | 16,367 | 42,842 | O |
ALTHEORA SA | Electrical Components | 44,705 | -981 | -2,180 | 32,049 | - | - | X |
AMPHENOL CORP-CL A | Electrical Components | 12,554,700 | 2,559,600 | 1,928,000 | 14,232,300 | 2,893,100 | 2,192,400 | O |
ATKORE INC | Electrical Components | 3,518,761 | 893,491 | 689,899 | 3,283,645 | 712,150 | 540,678 | O |
ATMUS FILTRATION TECHNOLOGIE | Electrical Components | 1,628,100 | 214,800 | 171,300 | 1,662,600 | 241,100 | 180,300 | O |
BEL FUSE INC-CL A | Electrical Components | 639,813 | 87,976 | 73,831 | 524,943 | 68,391 | 54,796 | O |
BELDEN INC | Electrical Components | 2,512,084 | 317,518 | 242,759 | 2,346,180 | 241,236 | 178,516 | O |
BH GLOBAL CORP LTD | Electrical Components | 44,053 | 2,789 | 2,574 | - | - | - | X |
CABLERIE D'EUPEN - AUC | Electrical Components | - | - | - | - | - | - | X |
CANAR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91,794 | 11,897 | 8,475 | 85,286 | 10,589 | 7,743 | O |
CANON ELECTRONICS INC | Electrical Components | 686,873 | 65,192 | 46,823 | 650,619 | 85,304 | 50,143 | O |
CENTURY ENERGY INTERNATIONAL | Electrical Components | 76,942 | -3,341 | -3,922 | 58,771 | -3,303 | -3,587 | X |
CHENGDU SIWI SCIENCE AND TEC | Electrical Components | 57,001 | -1,130 | 391 | - | - | - | X |
CHINA SAFTOWER INTERNATIONAL | Electrical Components | 34,554 | -7,343 | -8,479 | 10,876 | -3,638 | -5,109 | X |
CHONGQING MACHINERY AND EL-H | Electrical Components | 1,137,997 | 21,136 | 42,877 | - | - | - | X |
COGNEX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837,547 | 130,702 | 113,234 | 881,501 | 96,954 | 89,054 | O |
COSEL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58,908 | 36,167 | 23,218 | 290,950 | 52,483 | 36,700 | O |
DAIHEN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370,550 | 122,551 | 97,587 | 1,324,431 | 94,518 | 109,778 | O |
DAISHINKU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284,269 | 31,141 | 23,735 | 273,892 | 15,026 | 11,214 | O |
DESWELL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mponents | 77,337 | 2,887 | 2,059 | - | - | - | X |
DEXERIALS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785,303 | 238,830 | 153,004 | 704,457 | 205,612 | 143,454 | O |
EAVS | Electrical Components | - | - | - | - | - | - | X |
ECHO INTERNATIONAL HOLDINGS | Electrical Components | 7,053 | -1,453 | -1,845 | 5,611 | -11 | -1,280 | X |
ENOMOTO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16,472 | 11,548 | 9,387 | 183,852 | 2,052 | 1,274 | O |
ESPEY MFG & ELECTRONICS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35,592 | 4,300 | 3,677 | 35,468 | 5,390 | 4,817 | O |
EXCELSIOR CAPITAL LTD | Electrical Components | - | - | - | - | - | - | X |
FRENCKEN GROUP LTD | Electrical Components | 553,219 | 34,506 | 24,185 | - | - | - | X |
FUJI ELECTRIC INDUSTRY CO | Electrical Components | 28,062 | 2,657 | 1,987 | 26,354 | 2,734 | 2,533 | O |
FUJIPREAM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21,456 | 6,322 | 5,231 | 100,127 | 5,601 | 4,716 | O |
FURUKAWA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887,469 | 114,215 | 132,485 | 7,463,592 | 65,643 | -4,008 | X |
FURUYA METAL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50,751 | 83,724 | 68,568 | 309,881 | 56,638 | 50,123 | O |
HAMMOND POWER SOLUTIONS INC | Electrical Components | 526,276 | 64,275 | 46,989 | 563,612 | 68,750 | 49,718 | O |
HELIOS TECHNO HOLDING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59,083 | 3,122 | 2,006 | 54,157 | 2,259 | 9,915 | O |
HENGXIN TECHNOLOGY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18,570 | 18,924 | 9,843 | - | - | - | X |
HIRAKAWA HEWTECH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238,357 | 22,952 | 21,858 | 212,886 | 14,726 | 11,627 | O |
HIROSE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1,355,283 | 345,811 | 256,287 | 1,184,518 | 243,695 | 185,209 | O |
HOKURIKU ELECTRIC INDUSTRY | Electrical Components | 336,254 | 21,754 | 4,786 | 302,596 | 16,808 | 2,444 | O |
HOSIDEN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2,050,736 | 116,501 | 93,474 | 1,778,739 | 97,345 | 87,528 | O |
HUBBELL INC | Electrical Components | 5,372,900 | 1,038,500 | 759,800 | 5,640,000 | 1,059,100 | 751,800 | O |
IDEC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620,368 | 104,000 | 75,034 | 529,398 | 52,551 | 40,480 | O |
INTICA SYSTEMS SE | Electrical Components | 93,959 | 3 | -1,220 | 80,980 | -791 | -2,376 | X |
I-PEX INC | Electrical Components | 420,834 | -5,412 | -9,049 | 420,955 | 13,129 | 1,014 | X |
IRISO ELECTRONICS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91,316 | 51,334 | 40,986 | 388,344 | 46,115 | 38,993 | O |
ITALY INNOVAZIONI | Electrical Components | - | - | - | - | - | - | X |
JAPAN AVIATION ELECTRONICS | Electrical Components | 1,744,654 | 129,904 | 108,283 | 1,589,239 | 89,917 | 84,039 | O |
JMACS JAPAN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7,862 | 1,277 | 1,544 | 36,636 | -1 | 222 | O |
KANADEN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787,167 | 29,343 | 21,421 | 833,749 | 31,956 | 23,412 | O |
KAWADEN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45,455 | 3,766 | 2,370 | 154,880 | 9,283 | 5,888 | O |
KEEN OCEAN INTERNATIONAL HOL | Electrical Components | 41,732 | 2,546 | 2,195 | 6,035 | 192 | 246 | O |
KEL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07,255 | 17,754 | 12,766 | 92,663 | 10,251 | 7,596 | O |
KIMBALL ELECTRONICS INC | Electrical Components | 1,823,429 | 87,729 | 55,831 | 1,780,493 | 61,118 | 32,170 | O |
KOHOKU KOGYO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96,070 | 20,053 | 13,578 | 101,380 | 24,481 | 15,856 | O |
LACROIX GROUP | Electrical Components | 823,245 | 4,067 | 4,615 | 767,240 | - | - | X |
LGL GROUP INC/THE | Electrical Components | 3,678 | 646 | 317 | 3,593 | 246 | 364 | O |
LINKERS INDUSTRIES LTD-A | Electrical Components | 7,634 | 55 | 41 | - | - | - | X |
LITTELFUSE INC | Electrical Components | 2,362,657 | 360,862 | 259,485 | 2,195,071 | 272,802 | 194,857 | O |
LPA GROUP PLC | Electrical Components | 26,645 | 868 | 1,054 | - | - | - | X |
LUCECO PLC | Electrical Components | 259,978 | 27,615 | 20,773 | - | - | - | X |
MAN YUE TECHNOLOGY HOLDINGS | Electrical Components | 187,889 | 8,486 | 521 | - | - | - | X |
MARUMAE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49,648 | 6,213 | 5,107 | 32,746 | 751 | 1,027 | O |
MATSUO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4,392 | 4,045 | 2,268 | 31,107 | 2,682 | 1,173 | O |
MITSUBOSHI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3,575 | 1,151 | -505 | 72,220 | 433 | 1,080 | X |
MITSUI HIGH-TEC INC | Electrical Components | 1,321,762 | 170,967 | 133,081 | 1,350,122 | 123,321 | 88,401 | O |
M-TRON INDUSTRIES INC | Electrical Components | 41,168 | 4,299 | 3,489 | 46,980 | 6,757 | 5,570 | O |
NEXANS SA | Electrical Components | 8,425,152 | 404,494 | 239,019 | 3,984,824 | - | - | X |
NICHICON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366,386 | 93,763 | 57,799 | 1,327,874 | 77,953 | 67,567 | O |
NIHON DEMPA KOGYO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88,395 | 61,594 | 45,720 | 356,021 | 35,049 | 21,133 | O |
NITTOKU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17,919 | 22,901 | 16,451 | 195,031 | 22,209 | 15,220 | O |
NKK SWITCHES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6,400 | 6,576 | 6,112 | 70,008 | 2,872 | 1,754 | O |
NLIGHT INC | Electrical Components | 209,921 | -46,766 | -41,670 | 203,059 | -53,549 | -49,068 | X |
NORTECH SYSTEMS INC | Electrical Components | 139,332 | 5,953 | 6,874 | 135,567 | 3,709 | 4,535 | O |
NORTH ASIA STRATEGIC HOLDING | Electrical Components | 289,161 | 369 | 139 | 217,041 | 1,064 | 1,647 | O |
NOVANTA INC | Electrical Components | 881,662 | 110,496 | 72,878 | 922,754 | 105,554 | 60,134 | O |
NOVATECH INDUSTRIES | Electrical Components | 69,784 | 3,520 | 2,230 | - | - | - | X |
NPC INC | Electrical Components | 67,373 | 7,062 | 7,179 | 60,942 | 10,079 | 8,927 | O |
NVENT ELECTRIC PLC | Electrical Components | 2,668,900 | 462,700 | 567,100 | 3,227,400 | 577,700 | 576,000 | O |
ONAMBA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19,176 | 17,628 | 14,151 | 297,879 | 12,045 | 15,990 | O |
PANGAEA CONNECTIVITY TECHNOL | Electrical Components | 152,896 | 2,412 | -4,006 | - | - | - | X |
PARAZERO TECHNOLOGIES LTD | Electrical Components | 621 | -2,800 | -3,771 | - | - | - | X |
PERENNIAL INTERNATIONAL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8,770 | 2,583 | 2,011 | - | - | - | X |
PETARDS GROUP PLC | Electrical Components | 11,723 | -1,474 | -1,306 | - | - | - | X |
PREFORMED LINE PRODUCTS CO | Electrical Components | 669,679 | 84,154 | 63,332 | 572,200 | 40,189 | 32,974 | O |
PUTIAN COMMUNICATION GROUP L | Electrical Components | 86,919 | 6,601 | 1,080 | - | - | - | X |
R STAHL AG | Electrical Components | 357,516 | 22,249 | 211 | 380,781 | 18,483 | -4,394 | X |
REM GROUP HOLDINGS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1,304 | 820 | 894 | - | - | - | X |
RENISHAW PLC | Electrical Components | 829,445 | 162,003 | 139,855 | 426,905 | - | - | X |
RF INDUSTRIES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2,168 | -3,797 | -3,078 | 62,278 | -4,026 | -7,212 | X |
RIVER ELETEC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50,712 | 8,322 | 6,613 | 37,629 | 656 | 216 | O |
RUIXIN INTERNATIONAL HOLDING | Electrical Components | 9,456 | -6,955 | -9,569 | - | - | - | X |
SANSHA ELECTRIC MANUF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07,763 | 12,049 | 9,180 | 227,002 | 30,619 | 23,764 | O |
SENSATA TECHNOLOGIES HOLDING | Electrical Components | 4,054,083 | 181,676 | -3,909 | 4,017,568 | -125,927 | -79,548 | X |
SHIBAURA ELECTRONICS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45,524 | 40,387 | 28,330 | 233,847 | 37,873 | 26,998 | O |
SHOWA SHINKU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4,914 | 7,529 | 5,768 | 53,166 | 1,199 | 954 | O |
SKYX PLATFORMS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58,786 | -37,825 | -39,733 | 84,767 | -34,542 | -38,071 | X |
SOLARTECH INTL HLDG LTD | Electrical Components | 47,763 | -7,849 | -22,489 | - | - | - | X |
SUKEGAWA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3,009 | 4,253 | 2,869 | 32,251 | 6,017 | 4,297 | O |
SUMIDA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053,061 | 61,071 | 36,112 | 973,907 | 35,030 | 13,049 | O |
SUN KING TECHNOLOGY GROUP LT | Electrical Components | 148,941 | 5,174 | 4,455 | - | - | - | X |
SUZUKI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192,265 | 22,973 | 14,264 | 183,887 | 20,644 | 13,259 | O |
SWCC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1,546,766 | 77,475 | 69,604 | 1,491,009 | 90,148 | 66,380 | O |
TAI SIN ELECTRIC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09,284 | 16,473 | 12,228 | - | - | - | X |
TAKAOKA TOKO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23,058 | 35,853 | 21,591 | 743,252 | 44,986 | 25,867 | O |
TAMAGAWA HOLDINGS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4,369 | -3,234 | -3,571 | 27,251 | -1,536 | -2,976 | X |
TAMURA CORP | Electrical Components | 798,810 | 35,719 | 15,141 | 774,916 | 35,032 | 5,511 | O |
TE CONNECTIVITY PLC | Electrical Components | 16,034,000 | 2,304,000 | 1,910,000 | 15,812,000 | 2,780,000 | 3,469,000 | O |
TECNIS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8,979 | 1,991 | 1,621 | 34,299 | -1,908 | -961 | X |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122,001 | 11,848 | 10,248 | 112,952 | 9,268 | 9,494 | O |
TEKMAR GROUP PLC | Electrical Components | 48,976 | -11,401 | -12,424 | - | - | - | X |
TIME INTERCONNECT TECHNOLOGY | Electrical Components | 735,434 | 39,316 | 27,446 | - | - | - | X |
TKH GROUP NV-DUTCH CERT | Electrical Components | 1,998,169 | 188,694 | 179,215 | 456,942 | - | - | X |
TOMITA ELECTRIC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15,171 | 1,087 | 722 | 11,181 | -508 | -341 | X |
TRIGIANT GROUP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53,855 | 2,396 | -3,184 | - | - | - | X |
TRIO INDUSTRIAL ELECTRONICS | Electrical Components | 148,197 | 7,978 | 6,022 | - | - | - | X |
VALUETRONICS HOLDINGS LTD | Electrical Components | 256,891 | 13,884 | 15,690 | - | - | - | X |
VOLEX PLC | Electrical Components | 722,800 | 53,800 | 36,800 | - | - | - | X |
WAKA MANUFACTURING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7,625 | -9 | 246 | - | - | - | X |
XCHG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8,512 | -6,518 | -8,084 | 20,150 | -4 | -218 | X |
XP POWER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93,574 | 30,476 | -11,444 | - | - | - | X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Electrical Components | 347,545 | 67,566 | 53,350 | 263,863 | 23,171 | 19,821 | O |
ZIMI LTD | Electrical Components | 148 | -3,592 | -3,614 | - | - | - | X |
ALGONQUIN POWER & UTILITIES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2,698,015 | 474,238 | 28,674 | 2,575,704 | 447,803 | -1,007,764 | X |
ATCO LTD -CLASS I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3,513,871 | 1,108,044 | 320,184 | 3,509,758 | 1,015,698 | 284,984 | O |
BROOKFIELD INFRASTRUCTURE PA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7,931,000 | 4,048,000 | 432,000 | 20,565,000 | 4,900,000 | 105,000 | O |
CARIBBEAN UTILITIES CO LTD-A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287,225 | 38,417 | 38,660 | 294,853 | 38,773 | 40,240 | O |
CONSOLIDATED EDISON IN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4,663,000 | 3,196,000 | 2,519,000 | 15,036,000 | 2,644,000 | 1,845,000 | O |
E.ON SE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01,324,613 | 926,875 | 559,153 | 87,469,817 | 3,872,988 | 1,941,174 | O |
EARTH INFINITY CO LTD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38,117 | 4,312 | 2,808 | 32,285 | 1,279 | 453 | O |
EENERGY GROUP PL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39,943 | 2,572 | 732 | - | - | - | X |
ELIA GROUP SA/NV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4,155,903 | 804,661 | 458,787 | - | - | - | X |
ENERGY POWER CO LTD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 | - | - | - | - | - | X |
EVERSOURCE ENERGY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1,910,705 | 2,399,335 | -442,240 | 11,623,559 | 2,619,418 | -549,353 | X |
EXELON CORP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21,727,001 | 4,023,000 | 2,328,000 | 22,927,000 | 4,316,000 | 2,430,000 | O |
FORTIS IN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8,536,015 | 2,285,758 | 1,165,855 | 8,414,643 | 2,358,069 | 1,223,040 | O |
GREMZ IN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232,203 | 26,634 | 18,235 | 218,885 | 38,995 | 26,558 | O |
HK ELECTRIC INVESTMENTS -SS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456,922 | 629,979 | 379,367 | - | - | - | X |
HYDRO ONE LTD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5,813,710 | 1,365,229 | 804,166 | 6,151,580 | 1,421,430 | 835,667 | O |
JERSEY ELECTRICITY PL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53,498 | 17,822 | 13,843 | - | - | - | X |
LOCALITY PLANNING ENERGY HOL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25,970 | -5,751 | -8,094 | - | - | - | X |
MAINOVA AG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4,979,505 | 133,950 | 143,279 | - | - | - | X |
MGE ENERGY IN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690,285 | 146,239 | 117,699 | 670,035 | 142,643 | 118,630 | O |
NATIONAL GRID PL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26,109,942 | 5,881,638 | 9,399,290 | - | - | - | X |
OPG POWER VENTURES PL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70,742 | 12,588 | 8,743 | - | - | - | X |
OTTER TAIL CORP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349,166 | 377,919 | 294,191 | 1,341,750 | 383,507 | 304,578 | O |
REDES ENERGETICAS NACIONAIS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704,901 | 271,328 | 161,403 | 690,639 | 255,315 | 148,524 | O |
REZIL INC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 | - | - | 207,608 | 18,410 | 12,942 | O |
SEMPRA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16,720,000 | 3,716,000 | 3,075,000 | 12,918,000 | 2,597,000 | 2,934,000 | O |
SEO 1/5 PRIV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36,638 | -3,696 | 4,979 | - | - | - | X |
TIANJIN DEVELOPMENT HLDGS LT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426,427 | 50,208 | 81,191 | - | - | - | X |
UNITIL CORP | Electric Transmission & Distribution | 557,100 | 87,100 | 45,200 | 496,900 | 90,200 | 47,000 | O |
출처: Bloomberg |
3) 3차 비교기업 선정 기준: 사업 유사성 2차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국내 48개, 해외 162개 기업 중 다음 사업 유사성 기준에 따라 비교기업을 선정하였습니다.
선정기준 | 사업 유사성 기준 |
사업 유사성 | [국내, 해외]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는 동사의 사업 내용을 고려하여 아래의 사업유사성을 만족하는 기업① 전력 송배전용 전선이 아닌 단순 전기적 신호 전송용 전선을 제조하는 기업② 철강선 및 로프 등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며, 관련 매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 |
[국내 - 총 1개사]
【3차 비교기업의 선정 - 국 내】 |
회사 | 매출 비중 | 와이어 제조 여부 | 선정 여부 |
해성디에스 | 반도체 리드프레임 70.02%, Package Substrate 29.98% | X | X |
솔루엠 | 파워모듈, 3IN1 보드 72.64%, ESL, IoT 제품 27.36% | X | X |
한솔테크닉스 | TV 및 가전부품 파워보드 44.7%, 스마트폰 EMS 26.3% | X | X |
삼성전기 | 수동소자(MLCC, Inductor, Chip Resistor 등) 43.33%, 카메라모듈 37.63% | X | X |
LG이노텍 | Camera Module 등 82.6% | X | X |
써니전자 | TV, 컴퓨터, 모니터, 통신기기, 계측기 등의 핵심부품 100% | X | X |
한화시스템 | 군수장비 71.77% | X | X |
드림텍 | IT&Mobile Communications 40.4%, Compact Camera Module 39.3% | X | X |
위츠 | 스마트폰 및 웨어러블 관련 무선충전모듈 및 세트 98.51% | X | X |
이녹스첨단소재 | 디스플레이용 OLED 소재 57.59%, 회로 소재 33.46%, 반도체 PKG용 소재 8.95% | X | X |
이랜시스 | 생활 및 청정가전용 모터 및 부품 69.6% | X | X |
탑런토탈솔루션 | 차량 Cluster CID용 Display Back light 유닛 37.78%, TV 제품 패킹용 스티로폼 20.95% | X | X |
와이솔 | 휴대폰 통신 용 모듈 부품(SAW Filter, Duplexer, GLM Module) 100% | X | X |
액트로 | 고사양 카메라 모듈용 Actuator 98.8% | X | X |
덕산네오룩스 | 디스플레이 소재 100% | X | X |
세경하이테크 | 광학필름 44.81%, Protect & 사출필름 16.83%, Deco 필름 37.12% | X | X |
대주전자재료 | 전도성 페이스트(IT 모바일, 디스플레이,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자부품용 전극재료) 44.1%, 이차전지용 음극재 23.8% | X | X |
KH바텍 | 폴더블 힌지, 스마트폰 내외장재 79% | X | X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ACF 75.94% | X | X |
지오엘리먼트 | 반도체 박막증착 공정 솔루션 70.91% | X | X |
아모그린텍 | 첨단소재(고효율 자성 소재, 나노멤브레인, 방열소재) 69.91% | X | X |
나무가 | 카메라 모듈 99.88% | X | X |
리노공업 | 반도체(메모리 및 비메모리) 테스트 PACKAGE용 장비의 소모성 부품 60.17%, 반도체나 인쇄회로기판의 전기적 불량여부를 체크하는 소모성 부품 28.40% | X | X |
티에프이 | 반도체 테스트 COK 35.25%, 신뢰성 테스트 번인 보드 40.93% | X | X |
상신전자 | 노이즈필터 57.9%, 코일 24.0% | X | X |
월덱스 | 반도체용 장비재료: 실리콘 72.4%, 쿼츠 16.6%, 알루미나 외 11.0% | X | X |
파버나인 | 디지털샤이니지 28.3%, X-ray 18.3%, TV프레임 스탠드 17% | X | X |
파트론 | 카메라모듈, Actuator, Lens, 모터 67.3%, 지문인식센서, 심박센서, 온도센서, Touch Pad Module, LED 21.5% | X | X |
시노펙스 | 핸드폰용 FPCB 88.43% | X | X |
제이엠티 | PBA(태블릿, QD TV 모듈) 44.1%, 기록매체복제 14.5% | X | X |
동일기연 | 전자파 제거 등 제품 85.68% | X | X |
한국컴퓨터 | Smart Phone, Tablet-PC 등 OLED PBA 58.7% | X | X |
코칩 | 슈퍼커패시터(칩셀카본, ChipCell Carbon) 71.37%, MLCC 27.83% | X | X |
일진전기 | 전력케이블, 전력기기 및 동 관련 제품의 제조, 판매 및 유지보수 동나선 및 알미늄 나선(전력선,통신선,권선 등의 도체용 및 전기기기에 사용)51.91% 전력 및 절연선(발전소 배전선) 22.05% | X | X |
대원전선 | 절연전선(전원의 배선용) 51% 전력전선(전력송배전) 41% | X | X |
대한전선 | 나선 및 권선 52.9%, 전력 및 절연선 22.4% | X | X |
가온전선 | 절연선, 전력선, 소재(Cu-Rod) 등 제품 58.22% (전력 송배전 및 기계제어용) 절연선, 전력선 케이블 류 29.21% (전력 송배전 및 기계제어용) | X | X |
고려제강 | 선박,크레인,건설용 와이어로프 제조 37.6% 자동차 타이어용 스틸와이어, 비드와이어 54.8% | O | O |
원일특강 | 금형강 72.3% | X | X |
피앤씨테크 | 배전화 자동화 단말장치 40.1%, 디지털보호계전기 17.4% | X | X |
삼영전자 | 콘덴서 및 콘덴서 자재 100% | X | X |
삼화콘덴서 | 콘덴서 제조 100% | X | X |
삼화전기 | 전해콘덴서 58.9% | X | X |
LS머트리얼즈 | 울트라커패시터 21%, 자동차용 알루미늄 코팅튜브 69% | X | X |
성호전자 | PSU 73.4%, 필름콘덴서 25.9% | X | X |
풍산 | 군용탄, 스포츠탄 31.1%, 산업용소재 54.8% | X | X |
이구산업 | 동 47.1%, 황동 41.56% | X | X |
KBI메탈 | 재생동로드 제품 88.12%, 전선제조 7.12% | X | X |
출처: 각 사 사업보고서 및 분기 보고서(DART공시) |
[해외 - 총 2개사]
회사명 | Company Description(기업 개요) | 와이어 제조여부 | 매출 비중 (2023년) | 선정여부 | 비고 |
AVIAT NETWORKS INC | Aviat Networks, Inc. provides IP solutions to wireless public and private telecommunication operators. The Company designs and installs microwave routers, switches, antenna stabilization systems, and network management tools, as well as offers network optimization, lifecycle support, and managed network services. Aviat Networks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CERAGON NETWORKS LTD | Ceragon Networks Ltd develops, manufactures, and sells wireless networking systems. The Company's systems enable global communications service providers to high-capacity broadband infrastructures in metropolitan areas. Ceragon's customers include new and existing competitive local exchange carriers and Internet service providers. | - | - | - | - |
AMPHENOL CORP-CL A | Amphenol Corporation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electrical, electronic and fiber optic connectors, interconnect systems, and coaxial and flat-ribbon cable.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in a variety of industries, including telephone, wireless, and data communications systems, cable television systems, and commercial and military aerospace electronics. | - | - | - | - |
KOBELCO WIRE CO LTD | Kobelco Wire Co., Ltd. manufactures and produces steel products. The Company produces steel wires, steel ropes, titanium and foam aluminum wires, and other products. Kobelco Wire supplies its products in computer, automobile, fishing, construction, and other industries. | 와이어 제조 O(Steel Wire) | Steel Wire 49%Wire Rope 34% | O | 주1) |
NIPPON SEISEN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secondary products of stainless steel wir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screws, springs, and metal nets for consumer electronics and automobiles. Nippon Seisen also produces metal fibers, welding rods, and diamond tools. | 와이어 제조 O (Stain less Steel Wire) | Wires & Fibers 100% | O | 주2) |
IRISO ELECTRONICS CO LTD | IRISO ELECTRONICS CO., LTD. produces precision metal pins and high-technology connectors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ed in a range of electrical equipment. The Company also sells electrical lead wires. | 와이어 제조 O (Lead Wire) | Automotive Connector 86.52% | X | 주3) |
AICHI STEEL CORP | AICHI STEEL CORPORATION is a manufacturer of specialty steel.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rolled steel and forged products. Aichi Steel jointly works with Toyota Motors to develop automobile parts. The Company also makes magnetic and electronic parts, including plastic magnets. | - | - | - | - |
ALGOMA STEEL GROUP INC | Algoma Steel Group Inc. operates as a steel producer. The Company offers wide range of hot and cold rolled steel sheet and plate products, as well as light gauge steel. Algoma Steel Group serves customers in North America. | - | - | - | - |
APERAM | Aperam S.A. manufactures specialty steel. The Company produces stainless and grain-oriented and non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and nickel alloys. APERAM markets its products around the world. | - | - | - | - |
ARAYA INDUSTRIAL CO LTD | Araya Industrial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bicycles, bicycle rims, and related parts. The Company also produces construction materials including steel pipes. | - | - | - | - |
ATI INC | ATI Inc. produces specialty materials. The Company offers products include titanium, stainless, specialty steel, titanium, nickel-based alloys, and superalloys, zirconium, hafnium and niobium, and grain-oriented electrical steel, tungsten-based materials, cutting tools, carbon alloy impression die forgings, and large grey and ductile iron. ATI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BOSA TECHNOLOGY HOLDINGS LTD | Bosa Technology Holdings Limited operates as a holding company. The Company, through its subsidiaries, manufactures steel coiled, chamfered, deformed bars, and other products. Bosa Technology Holdings serves customers in Hong Kong. | - | - | - | - |
CARPENTER TECHNOLOGY | Carpenter Technology Corporation manufactures, fabricates, and distributes stainless steels, titanium, and specialty metal alloys. Carpenter processes basic metal alloying elements into finished products such as billets, bars, rods, and various special shape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engineered products such as ceramics, and metal injected molded designs. | - | - | - | - |
CHUBU STEEL PLATE CO LTD | Chubu Steel Plate Co., Ltd., based in Nagoya, manufactures electric furnace steel plate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artificial bone materials and operates chemical waste treatment business. | - | - | - | - |
COMMERCIAL METALS CO | Commercial Metals Company manufactures recycles, and markets steel. The Company provides primary and secondary metals, steel, ores,concentrates, industrial minerals, ferroalloys, chemicals, and other materials. Commercial Metals serves customers in the United States. | - | - | - | - |
DAIDO STEEL CO LTD | DAIDO STEEL CO.,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specialty steel products for automobiles, electronics, and construction use. The Company also provides engineering services for industrial furnaces and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develops various types of alloy metals. | - | - | - | - |
FRIEDMAN INDUSTRIES | Friedman Industries, Incorporated processes and distributes steel. The Company processes steel coils into steel sheet and plate. Friedman also manufactures, processes and markets tubular steel products. | - | - | - | - |
GODO STEEL LTD | Godo Steel, Ltd. manufactures steel products including wire rods, H-beams, I-beams, steel bars and other shaped steel products. The Company also operates construction and real estate businesses. | - | - | - | - |
JFE HOLDINGS INC | JFE Holdings, Inc. operates as a holding company which established through the merger of NKK Corp and Kawasaki Steel Corp. The Company manages and conducts its subsidiaries' business, which conducts steel production and integrated engineering businesses. JFE Holdings conducts businesses in Japan. | - | - | - | - |
KOBE STEEL LTD | Kobe Steel, Ltd. is a supplier of aluminum and copper product including core products. The Company also operates other businesses such as welding consumables, urban infrastructure, plant engineering, and industrial and construction machinery. Kobe Steel has operating offices in the US, Europe, and Asia. | - | - | - | - |
KYOEI STEEL LTD | KYOEI STEEL LTD. manufactures and sells specialty steel products for construction use.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deformed steel bar, structural steel bar, flat steel bar, and angle bar. KYOEI also operates medical and industrial waste management | - | - | - | - |
MARUICHI STEEL TUBE LTD | Maruichi Steel Tube Ltd. produces welded steel pipes, structural tubes, and conduit tubes. The Company's products range from industrial and construction use to office and home use. Maruichi Steel Tube has operations in North America and Asia. | - | - | - | - |
METALLUS INC | Metallus Inc. manufactures and markets specialty metals for the industrial, automotive, aerospace and defense, and energy markets. The Company produces steel bars and billets, mechanical tubing products, and manufactured components. Metallus serves customers in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 - | - | - | - |
MITSUBISHI STEEL MFG CO LTD | Mitsubishi Steel Mfg. Co., Ltd. produces a variety of steel products. The Company manufactures springs, cast and forged steel products, environmental equipment, and special steel products. | - | - | - | - |
MORY INDUSTRIES INC | Mory Industries Inc. manufactures and distribute stainless steel products. The Company produces stainless steel pipes and bars, processed stainless steel products, and other products. Mory Industries also produces pipe cutting machines. | - | - | - | - |
NAKAYAMA STEEL WORKS LTD | Nakayama Steel Works Ltd.. manufactures steel products in various shapes. The Company's product lines include wire rods, steel bars, and C-shaped steel products. The Company also distributes electricity and undertakes construction works. | - | - | - | - |
NIPPON CHUTETSUKAN KK | Nippon Chutetsukan K.K. manufactures and sells iron pipes. The Company produces cast iron pipes, iron covers, plastic pipes, and related accessories for water, sewerage, and gas. Nippon Chutetsukan also operates warehousing, road freight transportation, and other businesses. | - | - | - | - |
NIPPON KINZOKU CO LTD | NIPPON KINZOKU Co., Ltd. manufactures stainless steel products including cold rolled stainless steel, processed stainless steel, and steel strip hoop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precision pipes for VCR decks and other electronics. | - | - | - | - |
NIPPON STEEL CORP | Nippon Steel Corporation manufactures steel products. The Company mainly produces and sells steel plates, steel pipes, structural steel, and more. Nippon Steel also offers chemicals, new materials, and other products. | - | - | - | - |
NIPPON YAKIN KOGYO CO LTD | Nippon Yakin Kogyo Co., Ltd. is a stainless steel producer. The Company also produces super alloy, alloyed metal for electronic materials, and stainless processed products. | - | - | - | - |
NORTHWEST PIPE CO | Northwest Pipe Company manufactures and markets welded steel pipe. The Company makes large diameter, high pressure steel pipe products used for water transmission. Northwest Pipe also makes smaller diameter, electric resistance welded pipe for a wide range of construction, energy, agricultural, industrial, and mechanical applications. | - | - | - | - |
NUCOR CORP | Nucor Corporation manufactures steel produc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carbon and alloy steel, steel joints, steel deck, cold finished steel, steel grinding balls, steel bearing products, and metal building systems. Nucor also brokers ferrous and nonferrous metals, pig iron, HBI, and DRI, supplies ferro-alloys, processes ferrous, and nonferrous scrap. | - | - | - | - |
OSAKA STEEL CO LTD | OSAKA STEEL CO., LTD. is an Osaka based electric furnace steelmaker. The Company is affiliated with Nippon Steel. Osaka Steel makes shaped steel, nets, and other processed wire-rod products. | - | - | - | - |
OSAKA TITANIUM TECHNOLOGIES | OSAKA Titanium technologies Co., Ltd. produces and sells non-ferrous metals such as titanium.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sponge and powdered titanium, titanium ingots, and high-purity titanium as well as non-metal products such as silicon processed materials and polycrystalline silicon utilized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 - | - | - | - |
RAMADA INVESTIMENTOS E INDUS | Ramada Investimentos E Industria S.A provides steel solutions. The Company offers storage systems, tools for wood cutting activities, construction of machines and component, plastic moulds, domestic appliance, and electronics goods. Ramada Investimentos E Industria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SANYO SPECIAL STEEL CO LTD | Sanyo Special Steel Co., Ltd. is a manufacturer of specialty steel products such as bearings, motor shafts, stainless steel, and processed stainless steel sheets and pipes. The Company is a member of Nippon Steel group. | - | - | - | - |
SANYU CO LTD | SANYU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cold rolled steel bars and wires. The Company also processes and sells steel products. | - | - | - | - |
SHINHOKOKU MATERIAL CORP | Shinhokoku Material Corp. manufactures, sells, and processes steel products. The Company produces seamless steel pipes, metal wires, casting alloys, and other metal products. Shinhokoku Material also produces metalworking machinery equipment. | - | - | - | - |
STEEL DYNAMICS INC | Steel Dynamics, Inc. is a diversified carbon-steel producer and metals recycler in the United States. The Company's operating segments include steel operations, metals recycling and ferrous resources operations, and steel fabrication operations. Steel Dynamics products include flat rolled steel sheet, engineered bar special-bar-quality, and structural beams. | - | - | - | - |
TAKASAGO TEKKO KK | TAKASAGO TEKKO K.K., affiliated with Nippon Steel, manufactures stainless hoops and strip hoop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rolled iron core, chains, and rims through its subsidiary. | - | - | - | - |
TERNIUM SA-SPONSORED ADR | Ternium S.A. operates as a flat and long steel producer. The Company offers a broad range of steel products for customers active in industries such as automotive, home appliances, HVAC, and construction through their manufacturing facilities, service center and distribution network. Ternium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TOKYO ROPE MFG CO LTD | Tokyo Rope Manufacturing Co Ltd manufactures wires and rope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for automobile tires, ski lifts, bridges, cranes, mattresses, and elevators. | - | - | - | - |
TOKYO STEEL MFG CO LTD | TOKYO STEEL MANUFACTURING CO., LTD. is an electric furnace steel manufacturer. The Company manufactures and sells steel bars, varieties of steel materials, and specialized steel products, including H beams, universal plates, and I beams. | - | - | - | - |
TOKYO TEKKO CO LTD | TOKYO TEKKO CO., LTD. produces rolling steel bars. The Company also sells processed steel bars and provides civil engineering works. | - | - | - | - |
TOPY INDUSTRIES LTD | TOPY INDUSTRIES, LIMITED manufactures steel and steel products using electric arc furnac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steel strips, motor vehicle wheels, and parts for construction machinery. Topy also provides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services for structural steel works. | - | - | - | - |
UNITED STATES STEEL CORP |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operates as an integrated steel producer. The Company manufactures flat-rolled and tubular products with production operations in North America and Europe. United States Steel serves the automotive, appliance, container, industrial machinery, construction, and oil and gas industries. | - | - | - | - |
VALLOUREC SA | Vallourec provides tubular solutions. The Company offers tubes and other related components. Vallourec serves refineries, hydraulic cylinders, machine tools, automobiles, construction, and oil and gas industries worldwide. | - | - | - | - |
YAMATO KOGYO CO LTD | YAMATO KOGYO CO., LTD. manufactures, processes, and markets a wide variety of railroad related and steel products. The Company also provides heavy industry processing for shipbuilding and plant engineering. Yamato Kogyo has operations through joint-ventures and subsidiaries in the United States, Thailand, and the Bahamas. | - | - | - | - |
YODOGAWA STEEL WORKS LTD | Yodogawa Steel Works,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surface-treated steel sheets and plates, and also produces steel rolls and ingots. The Company also maintains buildings, office spaces, golf resorts and parking lots. Yodogawa Steel has a subsidiary in Taiwan, Thailand and China. | - | - | - | - |
AIMECHATEC LTD | AIMECHATEC,Ltd.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any produces semiconductor package manufacturing equipment, panel manufacturing equipment, liquid crystal panels, and other products. AIMECHATEC markets its products throughout Japan. | - | - | - | - |
AVAL DATA CORP | AVAL DATA CORPORATION develops and manufactures computer support equipment, microprocessor applied systems, and logic products. The Company manufactures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image processing modules, and automatic control devices. | - | - | - | - |
BYD ELECTRONIC INTL CO LTD | BYD Electronic International Co., Ltd. researches, develops, manufactures handset components such as handset casings and handset keypads and modules for handset manufacturers. The Company also provides assembly services comprising assembly service and PCB assembly service to global handset manufacturers. | - | - | - | - |
CHIYODA INTEGRE CO LTD | CHIYODA INTEGRE CO.,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primarily used for audio visual products and office equipment. The Company also makes parts used in the fields of automobiles, telecommunication, and household appliances. The Company has overseas production facilities. | - | - | - | - |
CMK CORP | CMK CORPORATION develops, manufactures, and markets printed circuit boards (PCB) and modul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build-up multilayer PCB, interstitial via hole multilayer PCB, multilayer PCB, double-sided through hole PCB, silver paste through hole PCB, single-sided PCB, and substrate for semiconductor packages. | - | - | - | - |
CTS CORP | CTS Corporation designs and manufactures electronic components and sensors to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s in the automotive, communications, medical, defense and aerospace, industrial, and computer markets. | - | - | - | - |
DATA MODUL AG | Data Modul AG manufactures electronic displays and systems technology devices. The Company produces flat panel LCD and plasma screens ranging from large information boards in airports to small displays on medical and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Data Modul also produces electromechanical components, micro-printers, and identification technology devices. | - | - | - | - |
EBRAINS INC | Ebrains, Inc. designs,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electronic components and equipment. The Company produces communication equipment, ultrasonic diagnostic equipment, blood analysis equipment,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 traffic related equipment, and other products. Ebrains markets its products throughout Japan. | - | - | - | - |
ELTEK LTD | Eltek Ltd. manufactures printed circuit boards, primarily multi-layer and flex- rigid board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as the core circuitry in sophisticated and compact electronic products. | - | - | - | - |
FIRAN TECHNOLOGY GROUP CORP | Firan Technology Group Corporation manufactures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The Company's products are incorporated into medical testing equipment, satellites,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equipment, digital cameras, and regional jets. Firan Technology's circuit boards are sold to avionics, satellite, defense, telecommunications, and computer industries. | - | - | - | - |
HAMMOND MANUFACTURING -CL A | Hammond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manufactures a broad rang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nclosures, electrical and electronic racks, electronic transformers, outlet strips, and surge suppressors. The Company offers a range of standard products and modification services and technical support to electrical and electronic manufacturers, utilities, and institutions. | - | - | - | - |
IBIDEN CO LTD | IBIDEN Co., Ltd. develops, produces, and markets ceramics, housing materials, and electronics. The Company manufactures printed circuit boards (PCB), graphite specialties, integrated circuit (IC) packages, ceramic fibers, melamine decorative high-pressure laminates, and pre-cut structural materials. IBIDEN also produces ceramic products and other products. | - | - | - | - |
ISHII HYOKI CO LTD | Ishii Notation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equipment to produce printed circuit boards and electronic system control device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grinders and machine for processing printed circuit board. | - | - | - | - |
KK DI-NIKKO ENGINEERING | Di-Nikko Engineering Co.,Ltd. provides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 for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any produces electronic circuits, electronic modules, optical devices, and provides assembly services. Di-Nikko Engineering serves customers across worldwide. | - | - | - | - |
KOA CORP | KOA CORPORATION manufactures various type of electronic resistors and electronic par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thermistors, inductors, fuses, hybrid integrated circuits (IC), and magnetic discs. | - | - | - | - |
KYOCERA CORP | Kyocera Corporation manufacturers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onen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telecommunication equipment, information equipment, optical equipment, ceramic products, semiconductor parts, chips, hybrid integrated circuits, thermal printheads, image sensors, liquid crystal displays, and connectors. Kyocera operates worldwide. | - | - | - | - |
MABUCHI MOTOR CO LTD | MABUCHI MOTOR CO.,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small digital camera motors. The Company markets its products to a wide range of users, from audio-visual makers, automobile parts makers, consumer electronics makers, office automation equipment makers, precision machine makers to radio controlled-model cars and video game makers. Mabuchi's products are produced primarily in China. | - | - | - | - |
MARUWA CO LTD | MARUWA CO., LTD. develops, manufactures, and sells electronic ceramic components, resistors, and hybrid integrated circuits (IC). The Company operates production facilities in Malaysia. | - | - | - | - |
MEIKO ELECTRONICS CO LTD | Meiko Electronics Co., Ltd.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printed circuit boards. The Company also produces populated boards, board testing devices, and multi-video processors. | - | - | - | - |
MINEBEA MITSUMI INC | MINEBEA MITSUMI Inc. manufactures and markets semiconductor devices. The Company produces semiconductor devices, optical devices, mechanical parts, power supply parts, and smart products. MINEBEA MITSUMI also manufactures ball bearings, rod end bearings, backlights for displays and sensing devices, automotive parts, and other products. | - | - | - | -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electronic modules and components. The Company produces communication modules, power supply modules, multilayer ceramic capacitors, noise countermeasure components, timing devices, sensor devices, high frequency components, batteries, and other products. Murata Manufacturing markets its products across worldwide. | - | - | - | - |
MUTO SEIKO CO | MUTO SEIKO CO. manufactures and markets plastic molded parts for video cameras, audio equipments, and some household products. The Company sells its products to producers of electronics such as Sony Corp. and its subsidiaries. | - | - | - | - |
NIDEC CORP | Nidec Corporation operates as a world's leading manufacturer of motors. The Company produces small precision motors, automotive motors, home appliance motors, commercial and industrial motors, machinery motors, electronic and optical components, and other related products. Nidec supplies its products in home appliances, automotive markets, and other fields. | - | - | - | - |
NIPPON KODOSHI CORP | NIPPON KODOSHI CORPORATION manufactures and sells electrical insulating paper for electrolytic capacitors and batteries. The Company exports its products mainly to Asian countries. | - | - | - | - |
PULSTEC INDUSTRIAL CO LTD | PULSTEC INDUSTRIAL CO., LTD. designs, develops, manufactures and markets optical disc testing equipment and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 equipment. The Company also assembles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s. | - | - | - | - |
SANKO CO LTD | SANKO CO., LTD. manufactures, assembles, and markets metal molding, press, and mechatronics products. The Company also makes electronic power tools, precision parts for automobiles, air-conditioning units, and plastic moldings. | - | - | - | - |
SATORI ELECTRIC CO LTD | SATORI ELECTRIC CO., LTD. is a trading firm specializing in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integrated circuits, semiconductors, and other general electronic parts. The Company also handles personal computers, telecommunication systems, and factory automation systems. Satori Electric has subsidiaries in Asia,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 - | - | - | - |
SHIRAI ELECTRONICS IND CO | Shirai Electronics Industrial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printed circuit boards and 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equipment. The Company also provides development support and maintenance services for its products. | - | - | - | - |
SIGMA KOKI CO LTD | SIGMA KOKI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laser equipment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purpos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laser marking and laser controlled auto-positioning devices, as well as optical instruments. | - | - | - | - |
TAIYO HOLDINGS CO LTD | TAIYO HOLDINGS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resist inks for printed circuit boards. The Company markets the products overseas through its sales and manufacturing subsidiaries in US, Taiwan, Korea, Singapore, and China. | - | - | - | - |
TDK CORP | TDK Corporation manufactures electronics components such as magnetic tapes and ferrite cores. The Company also sells power supplies, inductors, transformers, ceramic capacitors, magnets, LAN (Local Area Network) components, sensors, and semiconductors. TDK markets its products worldwide. | - | - | - | - |
VICOR CORP | Vicor Corporation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modular power components and complete power system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in electronic products to convert power from a primary power source into the direct current required by electronic circuits. Vicor sells its products in North and South America, as well as internationally through independent distributors. | - | - | - | - |
WACOM CO LTD | Wacom Co., Ltd. manufactures pen tablets utilizing electronic pen and multitouch technologies. The Company's pen tablets are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film making, industrial design, medical, education and financials. Wacom also manufactures components for smart phones and tablets. Additionally, it is involved in developing software. | - | - | - | - |
WETOUCH TECHNOLOGY INC | Wetouch Technology Inc. provides touchscreen products. The Company specializes in the busines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touchscreen displays. Wetouch Technology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ADVANCED ENERGY INDUSTRIES | Advanced Energy Industries, Inc. provides engineered precision power conversion, measurement, and control solutions. The Company designs, manufactures, sells, and supports power conversion products and solutions that transform power into various usable forms in a variety of applications ranging from manufacturing and industrial processes to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 - | - | - | - |
ATKORE INC | Atkore Inc manufactures and supplies metal products and electrical raceway solutions. The Company offers steel tubes and pipes, electrical conduit, armored wire and cable, cable trays, metal framing systems, and building components. Atkore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ATMUS FILTRATION TECHNOLOGIE | Atmus Filtration Technologies Inc. manufactures industrial filtration solutions. The Company offers products include fuel and lube, air, crankcase ventilation, hydraulic filters, and coolants filtration products for on-highway commercial and off-highway agriculture, construction, mining, and power generation vehicles. Atmus Filtration Technologies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BEL FUSE INC-CL A | Bel Fuse Inc. provides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any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a broad array of products that power, protect, and connect electronic circuits which are used in the telecommunications, networking, computing, general industrial, high-speed data transmission, military, commercial aerospace, transportation, and e-mobility industries. | - | - | - | - |
BELDEN INC | Belden Inc.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cable, connectivity, and networking products. The Company produces and sells a portfolio of cable, connectivity, and networking products into a variety of end markets, including industrial, enterprise, broadcast, and consumer electronics. | - | - | - | - |
CANARE ELECTRIC CO LTD | Canare Electric Co., Ltd.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cables and connector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for telecommunication,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The Company has sales offices in the US, Hong Kong, and South Korea. | - | - | - | - |
CANON ELECTRONICS INC | CANON ELECTRONICS INC. produces camera units, magnetic heads, and office machinery. The products include magnetic heads for OA (Office Automation) equipment, document scanners, document recorders, micrographics, and laser printers. | - | - | - | - |
COGNEX CORP | Cognex Corporation designs, develops, manufactures, and markets machine vision systems. The Company's systems are used to automate the manufacture of a variety of discrete items and to assure their quality. Cognex has regional offices located throughout North America, Japan, Europe, and Southeast Asia. | - | - | - | - |
COSEL CO LTD | COSEL CO., LTD.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industry use switching power supply products. The Company's products also include on-board type, unit type, rugged printed circuit board (PCB) type, and power module type. COSEL sells its products through special agents. | - | - | - | - |
DAIHEN CORP | DAIHEN Corporation manufactures and repairs a diverse line of transformers,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welding machines, industrial robots,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The Company also produces other energy- related equipment such as generators and power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 - | - | - | - |
DAISHINKU CORP | DAISHINKU CORP. manufactures and markets crystal units used for watch, communication equipment, and electronic component.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monolithic crystal filters, crystal oscillators, and piezoelectric ceramic components. | - | - | - | - |
DEXERIALS CORP | Dexerials Corporation manufactures and sells optical materials, electronic parts and adhesive materials. The Company produces optical disks, magnetic tapes, magnetic devices, optical film, and touch panel. Dexerials conducts businesses across worldwide. | - | - | - | - |
ENOMOTO CO LTD | ENOMOTO Co.,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lead frames for semiconductors and electronic parts such as connectors and relays. The Company also develops, designs, and produces precision metal molding and automatic machines. | - | - | - | - |
ESPEY MFG & ELECTRONICS CORP | Espey Manufacturing & Electronics Corp. designs, develops, produces, and sells specialized military and industrial electronic equipment. The Company sells power supplies, transformers, radar transmitters, and antennas. | - | - | - | - |
FUJI ELECTRIC INDUSTRY CO | FUJI ELECTRIC INDUSTRY CO.,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electronic devic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control switches, connecting devices, indicators, lamps, displayers, and other electronic equipment. | - | - | - | - |
FUJIPREAM CORP | Fujipream Corporation mainly manufactures and markets polarizing films f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as well as optical filters for plasma display panels (PDP). | - | - | - | - |
FURUYA METAL CO LTD | FURUYA METAL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precious metal products such as platinum and iridium for industrial use.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and sells thin-film components used for LSI (Large Scale Integrated Circuits) and displays of smartphones. FURUYA METAL produces temperature sensors used in semiconductor industry. | - | - | - | - |
HAMMOND POWER SOLUTIONS INC | Hammond Power Solutions Inc. (HPS) enables electrification through dry-type transformers, power quality products, and magnetics. The Company provides standard and custom-designed products in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through end-user applications. HPS operates manufacturing plants in Canada, the United States, Mexico, and India, as well as sells its products worldwide. | - | - | - | - |
HELIOS TECHNO HOLDING CO LTD | Helios Techno Holding Co., Ltd. produces industrial manufacturing equipment. The Company manufactures and sells orientation film printing devices, specialized printers, esting and measuring equipment, and more. Helios Techno Holding also produces lamps for projectors, halogen lamps for general lighting, LED (light emitting diode) lamps, and other products. | - | - | - | - |
HIRAKAWA HEWTECH CORP | HIRAKAWA HEWTECH CORP. manufactures and sells electronic wires and equipment. The Company produces power supply cords, wiring harness,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equipment, and variety of tubes for medical use. | - | - | - | - |
HIROSE ELECTRIC CO LTD | HIROSE ELECTRIC CO., LTD. develops and sells electronic equipment, specializing in connector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circular, rectangular and ribbon cables, printed circuit boards, integrated circuits, PC cards, nylon boards, and board connectors. | - | - | - | - |
HOKURIKU ELECTRIC INDUSTRY | HOKURIKU ELECTRIC INDUSTRY CO., LTD. develops, manufactures, and markets electronic components and sensors. The Company's product include resistors, hybrid integrated circuits (IC), printed resistor circuits, crystal products, pressure and acceleration sensors, thermistors, and varistors. | - | - | - | - |
HOSIDEN CORP | Hosiden Corporation develops, manufactures, and markets electronic and electric parts, and automobile par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connectors, sockets, jacks, switches keyboards, small motors, solenoids, receiver units, microphone units, and liquid crystal display (LCD) elements. | - | - | - | - |
HUBBELL INC | Hubbell Incorporated manufactures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for commercial, industrial, utility,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plugs, receptacles, connectors, lighting fixtures, high voltage test and measurement equipment, and voice and data signal processing components. Hubbell operates in the United States and overseas. | - | - | - | - |
IDEC CORP | IDEC CORPORATION manufactures and markets controlling devices such as switches, display lights, relays, and timers. The Company has manufacturing bases in Japan, Taiwan and US, and markets its products worldwide through its sales subsidiaries in Canada, Australia, Germany, UK, Singapore, Taiwan, and US. | - | - | - | - |
JAPAN AVIATION ELECTRONICS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manufactures and markets electronic devices and parts such as connectors, switches, system equipment, fiber optic devices, and aerospace electronic devic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PC cards, sockets, fiber optic couplers, Liquid Crystal Displays (LCD), and acceleration sensors. | - | - | - | - |
JMACS JAPAN CO LTD | JMACS Japan Co., Ltd. manufactures electric wires for fire prevention, control and regulation, and communications. The Company's wires are used in products such as computers, signaling devices, fire alarms, fire fighting equipment, and interphone and radio systems. | - | - | - | - |
KANADEN CORP | KANADEN CORPORATION, an affiliate of Mitsubishi Electric, sells electronics components and devices, and industrial machines. The Company also sells factory automation products and computers for office use. Kanaden also forms a special sales contract with Mitsubishi Electric, Yokoga Electric, and Japan Aviation Electronics. | - | - | - | - |
KAWADEN CORP | KAWADEN CORPORATION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industrial power control equipment.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switchboards, load centers, distribution panels, control panels, and monitoring systems. | - | - | - | - |
KEEN OCEAN INTERNATIONAL HOL | Keen Ocean International Holding Ltd manufactures electrical equipment. The Company manufacturers a variety of equipment including transformers, power supply, coils, inductors, and more. | - | - | - | - |
KEL CORP | KEL CORPORATION designs, develops, manufactures, and markets various types of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electronic connectors, rack, and sockets, which are used for integrated circuits. | - | - | - | - |
KIMBALL ELECTRONICS INC | Kimball Electronics Inc. offers contract 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s. The Company designs and manufactures durable electronics for the automotive, industrial, medical, and public safety industries. Kimball Electronics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KOHOKU KOGYO CO LTD | Kohoku Kogyo Co., Ltd.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electrical components. The Company produces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s, optical communication components, and other products. Kohoku Kogyo also produces precision components. | - | - | - | - |
LGL GROUP INC/THE | The LGL Group Inc is a global producer of industrial and commercial electronic components and subsystem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in infrastructure equipment for the telecommunications and network equipment markets, as well as in electronic systems for military, avionics, earth-orbiting satellites, medical devices, instrumentation, industrial devices and global-positioning systems. | - | - | - | - |
LITTELFUSE INC | Littelfuse, Inc. manufactures and sells fuses and other circuit protection devices for use in the automotive, electronic, and general industrial markets. The Company also makes relays, switches, circuit breakers, and indicator lights. Littelfuse sells its products around the world. | - | - | - | - |
MARUMAE CO LTD | Marumae Co.,Ltd. manufactures and markets parts f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manufacturing machines.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parts for equipment used to produce semiconductors and solar batteries. | - | - | - | - |
MATSUO ELECTRIC CO LTD | MATSUO ELECTRIC CO., LTD. manufactures and markets tantalum and film capacitors used for computers, automobiles, and communications fields. The Company also makes circuit protection components. | - | - | - | - |
MITSUI HIGH-TEC INC | Mitsui High-tec, Inc. produces integrated circuit leadframes, assembly parts, and related equipment. The Company also manufactures and sells precision machine tools, such as metal molds for presses and machine tools. Mitsui High-tec also operates a real estate business. | - | - | - | - |
M-TRON INDUSTRIES INC | M-tron Industries, Inc. manufactures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any provides microwave, crystal resonators, power amplifiers, oscillators, and millimeter wave filters. M-tron Industries serves customers worldwide. | - | - | - | - |
NICHICON CORP | NICHICON CORPORATION manufactures and markets various capacitors, including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s, tantalum electrolytic capacitors, and plastic film capacitors. The Company also makes hybrid integrated circuits (IC) and thermistors. | - | - | - | - |
NIHON DEMPA KOGYO CO LTD | NIHON DEMPA KOGYO CO., LTD. manufactures quartz crystals products used for telecommunication and industrial equipment.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quartz resonators, oscillators, saw devices, crystal filters, artificial quartz. Nihon Dempa Kogyo operates overseas production facilities in Malaysia and China. | - | - | - | - |
NITTOKU CO LTD | Nittoku Co., Ltd. manufactures automatic winding machines, soldering and taping machines, and machinery for factory automation. The Company specializes in fully-automatic machines for the comprehensive production of coils, transformers, and motors. Nittoku also produces medical appliances, semiconductor devices, and integrated circuit (IC) cards. | - | - | - | - |
NKK SWITCHES CO LTD | NKK Switches Co Ltd manufactures large, small, and ultra small switches for industrial use. The Company has sales agent networks in Europe, North America, and Southeast Asia. | - | - | - | - |
NORTECH SYSTEMS INC | Nortech Systems Incorporated manufactures wire harnesses, cable and electromechanical assemblies,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and higher-level assemblies for a wide range of commercial and defense industries. The Company also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display monitors for medical imaging, document imaging, radar, and industrial applications. | - | - | - | - |
NORTH ASIA STRATEGIC HOLDING | North Asia Strategic Holdings Limited is an investment holding company. The Company, through its subsidiaries, trades surface mount technology assembly equipment, develops and operates fast food restaurants in Hong Kong and Macau, processes and sells fishmeal and fish oil, and manufactures and sells feed products. | - | - | - | - |
NOVANTA INC | Novanta, Inc. designs, develops, manufactures, and sells precision photonics and motion control components and subsystems. The Company offers its products to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s in the medical equipment and advanced industrial technology markets. | - | - | - | - |
NPC INC | NPC Incorporated mainly develops, manufactures, and sells solar cell manufacturing equipment and vacuum packaging machines. The Company also provides maintenance and installation services. | - | - | - | - |
NVENT ELECTRIC PLC | nVent Electric plc operates as an electrical contractor. The Company offers electronic packaging, concrete reinforcing steel connections, data center and networking solutions, and other electric products. | - | - | - | - |
ONAMBA CO LTD | Onamba Co., Ltd. manufactures electronic components. The Company produces wire harnesses, and communication cables for consumer electronic devices, information office equipment, industrial electronic devices. Onamba also develops remote solar power plant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storage batter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s, and other systems. | - | - | - | - |
PREFORMED LINE PRODUCTS CO |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designs and manufactures systems used in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networks for the energy, communications, cable provider, and information industries. The Company's products support, protect, connect, terminate, and secure cables and wires. Preformed Line Products also manufactures products serving the voice and data transmission markets. | - | - | - | - |
RIVER ELETEC CORP | RIVER ELETEC CORPORATION develops and produces electronic parts such as quartz crystal units, crystal oscillators, and resistor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for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digital cameras, DVD players, cellular phones, and watches. | - | - | - | - |
SANSHA ELECTRIC MANUF CO LTD | Sansha Electric Manufacturing Co., Ltd. designs, manufactures, and sells electric power supply units and semiconductor device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power modules, converters, and diodes. Sansha provides power supply maintenance services with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 - | - | - | - |
SHIBAURA ELECTRONICS CO LTD | SHIBAURA ELECTRONICS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thermistor elements, sensors, measuring devices, and control equipment.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temperature sensors, air flow sensors, liquid level sensors, gas sensors, digital thermometers, temperature controllers, anemometers, digital hygrometers, and humidity controllers. | - | - | - | - |
SHOWA SHINKU CO LTD | SHOWA SHINKU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vacuum evaporation equipment for quartz crystal and optical films. The Company also makes semiconductor equipment and flat panels displays. Showa's products include sputtering equipment, iron plating equipment, vacuum metallurgic equipment, vacuum exhaust equipment, oil-sealed rotary vacuum pumps, and oil diffusion pumps. | - | - | - | - |
SUKEGAWA ELECTRIC CO LTD | SUKEGAWA ELECTRIC CO., LTD. is a comprehensive engineering firm specializing in heat temperature measurement instruments. The Company also makes nuclear power related products, cables, welding equipment, vacuum products, and nutrition products. | - | - | - | - |
SUMIDA CORP | Sumida Corporation manufactures coils and related parts for electronic equipment.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for audio/video, office automation, data processing, cellular phones, and automobiles. Sumida Corporation has its subsidiaries in Hong Kong, Malaysia, Taiwan, the US, and China | - | - | - | - |
SUZUKI CO LTD | SUZUKI CO., LTD. manufactures electronic component for communication devices, office automation equipment, and Integrated Circuits.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connector contacts, lead frames, and precision press dies. Suzuki has its associated company in China. | - | - | - | - |
SWCC CORP | SWCC Corporation manufactures and distributes wires and cables. The Company produces power cables, optical fiber cables, combined wires, and other products. SWCC also produces anti vibration products, anti shock devices, noise reduction and mute products, and other products. | - | - | - | - |
TAKAOKA TOKO CO LTD | Takaoka Toko Co., Ltd. holds companies that manufacture electric products for the power utility industry and electric related construction. | - | - | - | - |
TAMURA CORP | TAMURA CORPORATION manufactures electronic components for industrial and consumer use. The Company's products include various type of transformers and power sources, automatic soldering equipment, hybrid Integrated Circuits (IC), and electronic materials. | - | - | - | - |
TE CONNECTIVITY PLC | TE Connectivity Public Limited Company provides industrial technology solutions. The Company offers a broad range of connectivity and sensor solutions that enable the distribution of power, signal, and data for transportation, renewable energy, data centers, medical technology, and automated factories. TE Connectivity serves clients worldwide. | - | - | - | - |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manufactures and sells electronics parts such as switches, resistors, and tuners. The Company's products are used for consumer appliances, communication equipment, automobiles, electronic inspection instruments, and industrial machinery. | - | - | - | -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designs, manufactures, and markets integrated circuits (IC) sockets and pressure welding connectors. The Company also makes ceramic sensors. | - | - | - | - |
ATCO LTD -CLASS I | ATCO Ltd. generates, transmits, and distributes electric power to customers in Canada, and owns and operates power projects in Canada, Great Britain, and Australia. The Company also gathers, stores, transmits, and distributes natural gas in Alberta, Canada. In addition, ATCO manufactures and sells industrial workforce housing, provides technical services, and conducts other operations. | - | - | - | - |
BROOKFIELD INFRASTRUCTURE PA | Brookfield Infrastructure Partners LP owns and operates infrastructure assets. The Company operates utilities, transport, energy, and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assets in North and South America, Australia, and Europe. | - | - | - | - |
CARIBBEAN UTILITIES CO LTD-A | Caribbean Utilities Company Ltd. generates and distributes electricity in the Cayman Islands. | - | - | - | - |
CONSOLIDATED EDISON INC | Consolidated Edison, Inc., through its subsidiaries, provides a variety of energy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The Company supplies electric service in New York, parts of New Jersey, and Pennsylvania as well as supplies electricity to wholesale customers. | - | - | - | - |
E.ON SE | E.ON is one of Europe's largest operators of energy networks and energy infrastructure and a provider of innovative customer solutions for some 51 million customers. The company's operations are energy networks and customer solutions. | - | - | - | - |
EARTH INFINITY CO LTD | Earth Infinity Co. Ltd. offers power supply services. The Company provides electricity and gas sales, power transmission, power system management, power network maintenance, and other services. Earth Infinity provides its services throughout Japan. | - | - | - | - |
EXELON CORP | Exelon Corporation is a utility services holding company. The Company, through its subsidiaries, distributes electricity to customers in Illinois and Pennsylvania. Exelon also distributes gas to customers in the Philadelphia area. | - | - | - | - |
FORTIS INC | Fortis, Inc. operates as a gas and electric distribution company. The Company offers regulated utilities comprised of electric and gas as well as engages in non-regulated hydroelectric operations. Fortis serves customers across Canada and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aribbean. | - | - | - | - |
GREMZ INC | gremz,Inc. provides energy cost reducing consultation. The Company offers electric cost-effective products and services. Ubiquitous Energy provides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lting services. | - | - | - | - |
HYDRO ONE LTD | Hydro One Limited is an electrical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utility in Ontario. The company delivers electricity safely and reliably to customers across the province, and to large industrial customers and municipal utilities. Hydro One owns and operates Ontario's transmission and low-voltage distribution network. | - | - | - | - |
MGE ENERGY INC | MGE Energy, Inc. is a public utility holding company. The Company's principal subsidiary generates and distributes electricity to customers in Dane County, Wisconsin. MGE also purchases, transports, and distributes natural gas in several Wisconsin counties. | - | - | - | - |
OTTER TAIL CORP | Otter Tail Corporation, through its utility business units, provides electricity and energy services to customers in Minnesota, North Dakota, and South Dakota. The Company expands its scope to include interest in manufacturing and plastics businesses. Otter Tail Corporation serve customers primarily in the United States. | - | - | - | - |
REDES ENERGETICAS NACIONAIS | REN - Redes Energeticas Nacionais SGPS SA transmits electricity for EDP-Energias de Portugal and also operates gas pipelines. The Company electricity network is located in Portugal. | - | - | - | - |
REZIL INC | - | - | - | - | - |
SEMPRA | Sempra is an energy infrastructure company. The Company focuses on delivering sustainable energy to consumers, as well as invests in, develops, and operat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infrastructures. Sempra serves customers in North America. | - | - | - | - |
UNITIL CORP | Unitil Corporation, a public utility holding company, conducts a combination electric and gas utility distribution operation in north central Massachusetts and electric utility distribution operations in the seacoast and capital city areas of New Hampshire. The Company is also involved in energy planning, procurement, marketing, and consulting activities. | - | - | - | - |
출처: Bloomberg |
주) 사업의 유사성에 따라 선정된 기업의 사업 내용
구분 | 기업명 | 사업 내용 |
주1) | KOBELCO WIRE CO LTD | KOBELCO WIRE CO LTD의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으며, 해외 비교기업 선정 시(사업유사성) 포함하였습니다.1. Steel Wire (49%): PC Steel Products, Steel Wire, Stainless Steel Wires2. Wire Rope (34%) |
주2) | NIPPON SEISEN CO LTD | NIPPON SEISEN CO LTD의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으며, 해외 비교기업 선정 시(사업유사성) 포함하였습니다.1. Stainless Steel Wire(100%): Spring Wires, Micro Wires, Cold Heading Wires, Shaft Wires |
주3) | IRISO ELECTRONICS CO LTD | IRISO ELECTRONICS CO LTD의 주요 제품군은 다음과 같으며, 해외 비교기업 선정 시(사업유사성) 제외하였습니다.1. Automotive Connector (87%) |
4) 4차 비교기업 선정 기준 : 일반 유사성 3차 비교기업으로 선정된 3개 기업 중 일반 유사성 기준에 따라 아래 3개 기업을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선정기준 | 일반 유사성 기준 |
일반유사성 | ①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이 적정인 기업② 기준일 현재 상장 후 6개월 이상 경과한 기업③ 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내 인수, 합병, 분할, 양수도, 최대주주 변경 등 기업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없는 기업④ 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내 한국거래소로부터 투자위험종목, 관리종목, 불성실공시법인 등 지정 또는 기업회계기준 위반 사실이 없는 기업⑤ 비경상적 Multiple(PER 50배 초과, 5미만)에 해당되지 않는 기업 |
【4차 비교기업의 선정 】 |
회사명 |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 적정 | 상장 후 6개월 이상 경과 | 기준일 현재 최근 6개월 내 인수, 합병, 분할, 양수도, 최대주주 변경 등 기업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건이 없는 기업 | 최근 6개월 내 투자위험종목, 관리종목, 불성실공시법인 등 지정 또는 기업회계기준 위반 사실이 없는 기업 | 비경상적 Multiple(PER 5배 미만, 50배 초과) 에 해당되지 않는 기업 | 최종 선정 |
고려제강(주) | O | O | O | O | 14.04 | O |
KOBELCO WIRE CO LTD | O | O | O | O | 8.06 | O |
NIPPON SEISEN CO LTD | O | O | O | O | 12.55 | O |
상기와 같이 최종 비교기업은 고려제강(한국), KOBELCO WIRE CO LTD(일본), NIPPON SEISEN CO LTD(일본) 총 3개사가 선정되었습니다.
[최종 비교기업 선정 결과] |
최종 비교기업 - 총 3 개사 |
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
(다) 비교기업 선정 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선정기준을 충족하는 최종적으로 총 3개 기업(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을 최종 비교기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그러나, 동사와 선정된 비교기업 간 재무 및 사업적 연관성이 존재하고 비교 가능성이 일정 수준 존재한다 하더라도 상대가치 평가방법의 특성상 사업 유사성, 재무 유사성 및 일반요건 등 측면에서 완전히 동일한 비교기업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재 가용한 정보를 바탕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사성을 갖춘 비교회사를 선정하는 합리적인 비교회사 선정 및 과정인 경우에도, 그 완전성을 보장할 수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수준에서 합리적인 판단 과정을 통해 선정한 비교기업의 경우에도, 사업 구조, 시장점유율, 밸류체인 내 지위, 개발인력 수준, 재무 안전성, 지배구조, 경영진, 경영전략 등 주식의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들에 있어 동사와 차이점이 존재하거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희망공모가액은 선정 비교기업의 기준 주가를 특정 시점에서 적용하였기에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비교기업의 주가 변동에 따라서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비교기업의 기준 주가가 향후 예상 경영성과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동사의 주당 평가가액은 동사와 비교기업의 과거 경영실적을 활용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평가방법으로서 완전성을 보장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4) 유사기업 기준 주가
(라) 비교기업 기준주가 기준주가는 시장의 일시적 급변 등 단기변동성을 배제하기 위해 2025년 3월 21일을 분석기준일로 하여 1개월 간(2025년 2월 21일 ~ 2025년 3월 21일, 20영업일)종가의산술평균, 1주일 간(2025년 3월 17일 ~ 2025년 3월 21일, 5영업일) 종가의 산술평균, 분석기준일 (2025년 3월 21일) 종가 중 가장 낮은 가액을 기준주가로 적용하였습니다.
[ 비교기업 기준주가 산정 내역 ] |
(단위 : 원, JPY) |
일자 | 고려제강 | KOBELCO WIRE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
기준 통화 | 원 | JPY | JPY |
2025/03/21 | 17,510 | 1,372 | 1,373 |
2025/03/20 | 17,800 | ||
2025/03/19 | 17,660 | 1,387 | 1,388 |
2025/03/18 | 17,700 | 1,390 | 1,378 |
2025/03/17 | 17,750 | 1,374 | 1,367 |
2025/03/14 | 17,770 | 1,370 | 1,355 |
2025/03/13 | 17,770 | 1,366 | 1,370 |
2025/03/12 | 18,050 | 1,384 | 1,357 |
2025/03/11 | 17,970 | 1,380 | 1,333 |
2025/03/10 | 18,300 | 1,375 | 1,355 |
2025/03/07 | 18,670 | 1,381 | 1,358 |
2025/03/06 | 18,140 | 1,376 | 1,362 |
2025/03/05 | 17,800 | 1,380 | 1,341 |
2025/03/04 | 17,630 | 1,394 | 1,328 |
2025/03/03 | - | 1,389 | 1,344 |
2025/02/28 | 17,690 | 1,358 | 1,304 |
2025/02/27 | 17,980 | 1,360 | 1,318 |
2025/02/26 | 18,130 | 1,355 | 1,307 |
2025/02/25 | 18,120 | 1,349 | 1,295 |
2025/02/24 | 18,030 | - | - |
2025/02/21 | 18,170 | 1,359 | 1,301 |
분석기준일 종가(A) | 17,510 | 1,372 | 1,373 |
1주일 평균 종가(B) | 17,684 | 1,381 | 1,377 |
1개월 평균 종가(C) | 17,932 | 1,374 | 1,344 |
기준주가 | 17,510 | 1,372 | 1,344 |
(Min[(A),(B),(C)]) | |||
발행주식총수(주) | 27,000,000 | 5,912,999 | 31,265,190 |
기준시가총액(백만원, 백만JPY) | 472,770 | 8,113 | 42,017 |
(출처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Bloomberg) |
(마) 상장예비심사 시 경쟁기업 제외 사유 한편 한국거래소 상장예비심사시 동사가 상장예비심사 신청서에 경쟁기업으로 기재하여 제출하였던 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
구분 | 가온전선 | 피앤씨테크 |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제74기) | (제75기) | (제76기) | (제77기) | (제23기) | (제24기) | (제25기) | (제26기) | |
(K-IFRS 연결) | (K-IFRS 개별) | |||||||
설립일 | 1947년 09월 24일 | 1993년 03월 04일 | ||||||
매출액 (매출원가율) | 1,070,383 | 1,416,454 | 1,498,607 | 1,727,104 | 21,709 | 21,998 | 20,683 | 37,734 |
94.23% | 93.75% | 92.48% | 93.25% | 78.12% | 74.90% | 71.37% | 73.51% | |
영업이익 (영업이익률) | 16,572 | 28,463 | 43,720 | 45,012 | 1,971 | 2,385 | 2,716 | 1,792 |
1.55% | 2.01% | 2.92% | 2.61% | 9.08% | 10.84% | 13.13% | 4.75% | |
당기순이익 (순이익률) | 5,854 | 10,464 | 17,898 | 25,355 | 332 | 2,945 | 3,643 | 2,237 |
0.55% | 0.74% | 1.19% | 1.47% | 1.53% | 13.39% | 17.61% | 5.93% | |
자산총계 | 658,966 | 752,332 | 801,805 | 1,042,884 | 73,749 | 77,730 | 94,089 | 97,287 |
부채총계 | 390,851 | 449,262 | 470,794 | 589,179 | 8,236 | 9,014 | 22,287 | 29,388 |
자본총계 | 268,115 | 303,070 | 331,011 | 453,705 | 65,513 | 68,716 | 71,802 | 67,899 |
상장여부 (상장일) | 코스닥시장 상장 (1987년 6월 8일) | 코스닥시장 상장 (2016년 7월 4일) | ||||||
주요제품 (매출비중) 주3) | 절연선, 전력선 소재(Cu-Rod) 등 60.32% 절연선, 전력선 케이블류 28.66% | 배전자동화단말장치 42.6% 전자식전력량계 20.9% |
주1) 주요 제품 매출비중은 2024년 온기 회계기간을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
상기의 기업들은 모두 이번 비교기업 선정과정 "1차 - 업종유사성", "2차 -재무유사성"에 포함되었으나, 최종 선정 과정에서는 제외되었으며, 제외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명 | 제외단계 | 기준 | 제외사유 |
---|---|---|---|
가온전선 | 3차 -사업유사성 |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는 동사의 사업 내용을 고려하여 아래의 사업유사성을 만족하는 기업① 전력 송배전용 전선이 아닌 단순 전기적 신호 전송용 전선을 제조하는 기업② 철강선 및 로프 등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며, 관련 매출 비중이 50% 이상인 기업 | 세부적인 사업유사성을 검토한 결과 3차- 사업유사성 단계에서 제외하였습니다. ① 가온전선은 전력사업부문에서 전력의 송배전용 전선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입니다.② 가온전선은 전기적 신호전송용 와이어가 아닌 송배전용 전선을 제조하고 있으며, 해당 사업부문의 2024년 매출 비중은 88.5%입니다. |
피앤씨테크 | 세부적인 사업유사성을 검토한 결과 3차- 사업유사성 단계에서 제외하였습니다. ① 피앤씨테크는 배전 자동화 및 전력계측과 제어시스템을 제조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② 피엔씨테크는 와이어 제품을 제조하고 있지 않으며, 2024년 주요 제품별 매출 비중은 배전자동화단말장치 42.6%, 디지털보호계전기 18.6%, 전자식전력량계 20.9%입니다. |
다. 희망 공모가액 산출
키스트론㈜의 주당가치를 평가함에 있어, 상장기업 중에서 유사회사를 선정하여 이들 회사와 비교평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평가방법은 PER을 적용하여 산출한 기업가치를 산술평균하였습니다.
(1) PER 평가방법을 통한 상대가치 산출
[PER 평가방법 적용 상대가치 산출 의의, 방법 및 한계점] |
① 의의PER은 해당 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이익(EPS)의 몇 배인지를 나타내는 수치로, 수익성을 중시하는 대표적 지표입니다. PER은 대부분의 기업에 적용하여 계산이 간단하고 자료 수집이 용이하며 산업 및 기업 특성에 따른위험, 성장율을 반영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② 산출 방법PER 평가방법을 적용한 상대가치는 2024년 실적 을 기준으로 산출한 비교기업들의 산술평균 PER 배수를 동사의 2024년 온기 기준으 로 계산된 주당 당기순이익에 적용하여 산출하였습니다.※ PER를 이용한 비교가치 = 비교기업 PER 배수 X 주당 순이익-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비교가치 산정시 비교기업의 주식수는 상장주식수를 반영하였으며, 발행사의 발행주식수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발행주식총수에 신주모집주식수, 희석화가능주식수를 포함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적용주식수:비교기업 : 분석기준일 현재 상장주식수발행회사 : 신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수 + 신주모집 주식수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주식수※ 비교기업의 재무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각사의 사업보고서 및 분기보고서를 참조하였습니다.③ 한계점- 순손실 시현 기업의 경우 PER를 비교할 수 없습니다.- 현재의 주가수준은 과거의 실적보다 미래의 예상이익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과거 재무제표에 의거한 비교분석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비교기업이 동일 업종, 사업분야를 영위하여도 각 회사의 고유한 사업 구조, 매출 구성, 시장점유율, 인력 수준, 재무안정성, 경영진, 경영 전략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동일 기업을 비교분석하는 데에도 한계점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 배수 결정 요인에는 주당순이익 이외에도 배당 성향 및 할인율, 기업 성장율 등이 있으므로 동일 업종에 속한다고 해도 순이익 규모, 현금창출 능력, 내부유보율, 자본금 규모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할 경우 비교에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비교기업간의 적용회계기준 및 연결 대상 기준 차이점 등으로 비교기업간 PER의 비교에 제약사항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2) 비교기업 PER 산출
[비교기업 PER 산출] |
(단위 : 백만원, 백만JPY, 배) |
구분 | 고려제강 | KOBELCO WIRE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
기준 시가총액(A) | 472,770 | 8,113 | 42,017 |
적용 당기순이익(B) | 33,680 | 1,007 | 3,347 |
PER배수(C = (A) / (B)) | 14.04 | 8.06 | 12.55 |
평균 PER | 11.55 |
주1) | 적용 당기순이익: 2024년 기준 지배주주 당기순이익 |
주2) | 적용 주식수는 분석기준일(2025년 3월 21일) 현재 상장주식 총수 |
주3) | 기준주가는 분석기준일(2025년 3월 21일)의 Min[1개월(2025년 2월 21일 ~ 2025년 3월 21일)종가 산술평균,1주일(2025년 3월 17일 ~ 2025년 3월 21일, 5영업일)종가 산술평균, 분석기준일 (2025년 3월 21일) 종가] |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PER에 의한 키스트론㈜ 의 평가가치] |
(단위 : 원) |
구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고 |
적용 당기순이익 | (A) | 6,914,894,248원 | 주1 |
적용주식수 | (B) | 17,848,110주 | 주2 |
적용 주당 순이익 | (C) = (A) ÷ (B) | 387.43원 | - |
적용 PER | (D) | 11.55배 | - |
주당 평가가액 | (E) = (C) X (D) | 4,470원 | - |
주1) | 적용 당기순이익은 2024년 기 준 계속영업당기순이익에 해당합니다. | ||||||||||||||||||
|
주2) | 적용주식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목 | 주식수 | 비고 |
발행주식총수 (a) | 13,259,110주 | 기발행 보통주 |
신주발행(공모) (b) | 4,400,000주 | IPO 신주발행(공모) 주식수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c) | 189,000주 | 공모가 하단 기준 |
합계 (d) = (a) + (b) + (c) | 17,848,110주 | - |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회사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회사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으로서, 향후 동사가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때의 미래가치를 반영한 적정주가라고는 볼 수는 없습니다.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키스트론㈜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정공모가액은 향후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 분 | 내 용 | 비고 |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 4,470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1.00%~20.00%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3,100원 ~ 3,600원 | - |
확정공모가액 | - | 주2) |
주1) |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과거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2024년 이후 코스닥 신규 일반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상장일 | 회사명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상단 | 하단 | ||
2025-03-20 | 한텍 | 43.00% | 51.50% |
2025-03-20 | 티엑스알로보틱스 | 25.49% | 36.53% |
2025-03-07 | 엠디바이스 | 40.11% | 48.36% |
2025-03-06 | 대진첨단소재 | 30.11% | 41.40% |
2025-02-25 | 엘케이켐 | 29.73% | 39.76% |
2025-02-24 | 위너스 | 22.09% | 33.48% |
2025-02-20 | 모티브링크 | 17.53% | 29.88% |
2025-02-04 | 피아이이 | 23.96% | 39.17% |
2025-02-03 | 삼양엔씨켐 | 17.70% | 26.90% |
2024-12-20 | 듀켐바이오 | 30.99% | 39.80% |
2024-12-16 | 벡트 | 23.70% | 31.53% |
2024-11-20 | 위츠 | 14.76% | 29.41% |
2024-11-19 | 사이냅소프트 | 27.98% | 38.26% |
2024-11-18 | 엠오티 | 6.48% | 19.84% |
2024-11-18 | 에스켐 | 21.83% | 30.39% |
2024-11-13 | 닷밀 | 20.91% | 33.08% |
2024-11-12 | 노머스 | 24.70% | 32.20% |
2024-11-01 | 탑런토탈솔루션 | 37.80% | 46.70% |
2024-11-01 | 에이럭스 | 13.41% | 26.24% |
2024-10-30 | 성우 | 14.03% | 25.89% |
2024-10-25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19.37% | 31.78% |
2024-10-22 | 한켐 | 18.90% | 30.08% |
2024-10-18 | 인스피언 | 16.38% | 33.10% |
2024-10-18 | 와이제이링크 | 22.92% | 32.36% |
2024-09-30 | 제닉스 | 23.44% | 36.95% |
2024-08-30 | 아이스크림미디어 | 9.41% | 27.89% |
2024-08-22 | M83 | 33.63% | 43.84% |
2024-08-21 | 티디에스팜 | 11.86% | 21.75% |
2024-08-16 | 유라클 | 22.74% | 33.78% |
2024-06-27 | 하이젠알앤엠 | 33.83% | 19.13% |
2024-06-14 | 그리드위즈 | 43.11% | 51.65% |
2024-05-24 | 노브랜드 | 14.45% | 32.34% |
2024-05-07 | 코칩 | 9.08% | 28.57% |
2024-03-13 | 오상헬스케어 | 39.89% | 47.91% |
2024-02-06 | 스튜디오삼익 | 19.62% | 29.36% |
2024-02-01 | 이닉스 | 21.93% | 34.71% |
2024-01-29 | 포스뱅크 | 17.23% | 28.26% |
2024-01-26 | 현대힘스 | 24.20% | 39.84% |
2024-01-25 | HB인베스트먼트 | 26.62% | 37.10% |
2024-01-24 | 우진엔텍 | 14.87% | 25.30% |
평균 | 23.24% | 34.15% |
주1) |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주2) | DART, 분석기준일: 2025년 3월 21일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비교기업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1.00% ~ 20.00%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3,100원 ~ 3,6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4년 이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기업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기업과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라. 기 상장기업과의 비교참고 정보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지분증권 평가를 위하여 산업 및 사업유사성, 영업성과 시현, 일반기준, 평가결과 유의성 검토 등을 통해 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 총 3개사를 최종 유사회사로 선정하였습니다. 다만, 상기의 유사기업들은 일정수준의 사업구조, 시장점유율, 인력수준, 재무안정성, 소속 기업집단 내 지배구조 차이, 경영진, 경영전략 등에서 키스트론(주)과 차이가 존재할 수 있으며, 투자자들께서는 비교 참고정보를 토대로 투자의사 결정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비교기업의 주요 재무 현황
[동사 및 유사기업 2024년 기준 요약 재무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동사 | 고려제강 | KOBELCO WIRE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
---|---|---|---|---|
회계기준 | K-IFRS 개별 | K-IFRS 연결 | J-GAAP | J-GAAP |
[유동자산] | 47,592 | 1,170,234 | 228,576 | 349,007 |
[비유동자산] | 132,298 | 1,438,744 | 181,331 | 167,330 |
자산총계 | 179,890 | 2,608,978 | 409,907 | 516,338 |
[유동부채] | 12,965 | 469,146 | 101,112 | 83,749 |
[비유동부채] | 15,010 | 212,724 | 91,457 | 47,498 |
부채총계 | 27,975 | 681,870 | 192,568 | 131,248 |
[자본금] | 6,630 | 25,000 | 75,499 | 46,824 |
자본총계 | 151,916 | 1,927,108 | 217,338 | 385,090 |
매출액 | 68,955 | 1,739,609 | 307,179 | 423,745 |
영업이익 | 5,901 | 26,107 | 10,894 | 42,497 |
당기순이익 | 8,777 | 32,914 | 9,067 | 30,135 |
자료) | Bloomberg, DART |
주1) | 환율: 서울외국환중개 발표 2024.01.01 ~ 2024.12.31 환율을 적용하였습니다. |
표시 | 기말 환율 | 기간 평균환율 |
JPY(100) | 936.48 | 900.36 |
[동사 및 유사기업 2023년 기준 요약 재무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동사 | 고려제강 | KOBELCO WIRE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
---|---|---|---|---|
회계기준 | K-IFRS 연결 | K-IFRS 연결 | J-GAAP | J-GAAP |
[유동자산] | 34,211 | 1,075,550 | 212,002 | 328,320 |
[비유동자산] | 155,735 | 1,375,731 | 174,355 | 162,298 |
자산총계 | 189,946 | 2,451,281 | 386,356 | 490,619 |
[유동부채] | 13,872 | 446,167 | 87,561 | 94,898 |
[비유동부채] | 17,698 | 209,903 | 96,295 | 50,078 |
부채총계 | 31,570 | 656,070 | 183,855 | 144,976 |
[자본금] | 6,630 | 25,000 | 73,579 | 45,633 |
자본총계 | 158,375 | 1,795,211 | 202,501 | 345,643 |
매출액 | 55,936 | 1,788,878 | 299,924 | 418,900 |
영업이익 | 3,733 | 56,317 | 8,959 | 29,101 |
당기순이익 | 2,371 | 64,527 | 7,664 | 22,061 |
자료) | Bloomberg, DART |
주1) | 환율: 서울외국환중개 발표 2023.01.01 ~ 2023.12.31 환율을 적용하였습니다. |
표시 | 기말 환율 | 기간 평균환율 |
JPY(100) | 912.66 | 931.24 |
(2) 비교기업의 주요 재무비율
[동사 및 유사기업 2024년 주요 재무비율] |
구 분 | 동사 | 고려제강 | KOBELCO WIRE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 |
---|---|---|---|---|---|
성장성 비율 | 매출액증가율 | 23.27% | (2.75%) | 4.62% | (8.82%) |
영업이익증가율 | 58.08% | (53.64%) | 9.06% | (15.36%) | |
당기순이익증가율 | 270.18% | (48.99%) | 8.89% | (16.01%) | |
총자산증가율 | (5.29%) | 6.43% | 2.84% | (1.21%) | |
활동성 비율 | 총자산회전율 | 0.37 | 0.69 | 0.77 | 0.83 |
재고자산회전율 | 3.80 | 4.42 | 2.41 | 3.5 | |
매출채권회전율 | 6.94 | 3.81 | 3.73 | 4.5 | |
수익성 비율 | 매출액영업이익률 | 8.56% | 1.50% | 3.13% | 7.91% |
매출액순이익률 | 12.73% | 1.89% | 2.77% | 5.80% | |
총자산순이익률 | 4.75% | 1.30% | 2.13% | 4.82% | |
자기자본순이익률 | 5.66% | 1.77% | 4.07% | 6.83% | |
안정성 비율 | 부채비율 | 18.41% | 35.38% | 44.58% | 1.16% |
차입금의존도 | 4.41% | 11.11% | 47.10% | 0.88% | |
유동비율 | 367.08% | 249.44% | 2.27% | 4.02% |
(자료) | Bloomberg, DART |
주1) | 연결재무제표 작성 법인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결법인의 당기순이익은 지배지분순이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3) | 성장성 지표, 활동성 지표 및 총자산 순이익율, 자기자본 순이익율은 2024년 3분기(누적) 기준 재무수치를 연환산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주4) | 환율: 서울외국환중개 발표 2024.01.01 ~ 2024.12.31 환율을 적용하였습니다. |
표시 | 기말 환율 | 기간 평균환율 |
JPY(100) | 936.48 | 900.36 |
[동사 및 유사기업 2023년 주요 재무비율] |
구 분 | 동사 | 고려제강 | KOBELCO WIRE CO LTD | NIPPON SEISEN CO LTD | |
---|---|---|---|---|---|
성장성 비율 | 매출액증가율 | (15.59%) | (13.69%) | 4.62% | 9.51% |
영업이익증가율 | (49.15%) | (57.82%) | 9.06% | (9.07%) | |
당기순이익증가율 | (69.73%) | (30.11%) | 8.89% | (2.86%) | |
총자산증가율 | 5.96% | (3.22%) | 1.03% | 5.51% | |
활동성 비율 | 총자산회전율 | 0.30 | 0.18 | 0.75 | 0.93 |
재고자산회전율 | 3.31 | 1.19 | 2.57 | 4.13 | |
매출채권회전율 | 5.21 | 0.95 | 3.33 | 4.87 | |
수익성 비율 | 매출액영업이익률 | 6.67% | 3.15% | 3.00% | 7.91% |
매출액순이익률 | 4.24% | 3.61% | 2.66% | 6.29% | |
총자산순이익률 | 1.28% | 2.59% | 1.99% | 5.86% | |
자기자본순이익률 | 1.54% | 3.66% | 3.89% | 8.57% | |
안정성 비율 | 부채비율 | 19.93% | 36.55% | 46.81% | 1.78% |
차입금의존도 | 4.27% | 10.68% | 47.80% | 1.58% | |
유동비율 | 246.62% | 241.06% | 1.94% | 3.30% |
(자료) | Bloomberg, DART |
주1) | 연결재무제표 작성 법인의 경우 연결재무제표 수치를 기준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연결법인의 당기순이익은 지배지분순이익을 적용하였습니다. |
주3) | 성장성 지표, 활동성 지표 및 총자산 순이익율, 자기자본 순이익율은 2024년 3분기(누적) 기준 재무수치를 연환산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주4) | 환율: 서울외국환중개 발표 2023.01.01 ~ 2023.12.31 환율을 적용하였습니다. |
표시 | 기말 환율 | 기간 평균환율 |
JPY(100) | 912.66 | 931.24 |
※ 주요 재무비율 산식
【 재무비율 산정방법 】 |
구 분 | 산 식 | 설 명 |
[안정성 비율] | ||
유동비율 | 당기말 유동자산 ──────── ×100당기말 유동부채 | 유동비율은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비율, 즉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여신취급시 수신자의 단기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은행가비율(Banker's ratio)이라고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부채비율 | 당기말 총부채 ──────── ×100당기말 자기자본 | 타인자본과 자기자본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지표로서 일반적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은 여신자 측에서 채권회수의 안정성만을 고려한 것이며 기업경영의 측면에서는 단기적 채무변제의 압박을 받지않는 한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면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차입금의존도 | 당기말 차입금 등 ──────── ×100당기말 총자본 | 총자본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차입금의존도가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정성도 낮아지게 됩니다. |
[수익성 비율] | ||
매출액 영업이익률 | 당기 영업이익 ─────── ×100당기 매출액 | 기업의 주된 영업활동에 의한 성과를 판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제조 및 판매활동과 직접 관계가 없는 영업외손익을 제외한 순수한 영업이익만을 매출액과 대비한것으로 영업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이 지표가 높을수록 매출액이 증가할 때의 영업이익의 증가폭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영업의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납니다. |
매출액 순이익률 | 당기 당기순이익 ──────── ×100당기 매출액 | 매출액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지표 또한 영업으로 인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매출총이익률, 매출 경상이익률과 비교하여 기타 영업외 자금조달이나 부수활동을 통해 비효율적으로 누수될 수 있는 기업의성과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총자산 순이익률 | 당기 당기순이익 ───────── ×100(기초총자산+기말총자산)/2 | 당기순이익의 총자산에 대한 비율로서 ROA(Return on Assets)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기업의 계획과 실적간 차이 분석을 통한 경영활동 평가나 경영전략 수립 등에 많이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
자기자본 순이익률 | 당기 당기순이익──────── ×100(기초자기자본+기말자기자본)/2 | 자기자본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자본 조달 특성에 따라 동일한 자산구성하에서도 서로 상이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자본구성과의 관계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
[성장성 비율] | ||
매출액 증가율 | 당기매출액 ────── ×100 - 100전기매출액 | 전년도 매출액에 대한 당해연도 매출액의 증가율로서 기업의 외형적 신장세를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경쟁기업보다 빠른 매출액 증가율은 결국 시장점유율의 증가를 의미하므로 경쟁력 변화를 나타내는 척도의 하나가 됩니다. |
영업이익 증가율 | 당기영업이익 ─────── ×100 - 100전기영업이익 | 전년도 영업이익에 대한 당해연도 영업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당기순이익 증가율 | 당기순이익 ────── ×100 - 100전기순이익 | 전년도 당기순이익에 대한 당해연도 당기순이익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총자산 증가율 | 당기말총자산 ─────── ×100 - 100전기말총자산 | 기업에 투하 운용된 총자산이 당해연도에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전체적인 성장척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활동성 비율] | ||
총자산 회전율 | 당기 매출액─────────────(기초총자산+기말총자산)/2 | 총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에 투하한 총자산의 운용효율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
재고자산회전율 | 당기 매출액──────────────(기초재고자산+기말재고자산)/2 | 재고자산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재고자산의 소진현황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
매출채권회전율 | 당기 매출액──────────────(기초매출채권+기말매출채권)/2 | 매출채권이 1년 동안 몇 번 회전하였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기업의 매출채권의 회수현황을 총괄적으로 표시하는 지표입니다. |
마. 과거 3년간 주식의 발행 내역 동사는 과거 3년간 주식을 발행한 이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 인수인 실적 증권신고서 제출일로부터 최근 3년간 신한투자증권㈜가 대표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은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 신한투자증권 과거 3개년 기업공개 참여 기업의 기간별 수익률 】 |
(단위: 원) |
상장회사명 | 소속시장 | 상장일 | 공모희망가 | 공모가 | 수익률 | |||||||
---|---|---|---|---|---|---|---|---|---|---|---|---|
하단 | 상단 | 구분 | 상장일 | 1개월 | 3개월 | 6개월 | 9개월 | 12개월 | ||||
신한제14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12.23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4.85% | -2.80% | -0.30% | - | - | - |
시장지수(B) | 1.64% | -1.13% | -0.79%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6.49% | -1.67% | 0.49% | - | - | - | ||||||
벡트 | 코스닥시장 | 2024.12.16 | 3,500 | 3,900 | 3,900 | 공모주식(A) | 98.21% | 4.87% | -0.77% | - | - | - |
시장지수(B) | 0.69% | 1.77% | 1.59%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97.52% | 3.10% | -2.36% | - | - | - | ||||||
위츠 | 코스닥시장 | 2024.11.20 | 5,300 | 6,400 | 6,400 | 공모주식(A) | 129.53% | 56.09% | 25.16% | - | - | - |
시장지수(B) | -0.47% | -2.35% | -1.25%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130.00% | 58.44% | 26.41% | - | - | - | ||||||
신한제15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11.15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0.00% | 0.00% | 0.75% | - | - | - |
시장지수(B) | 0.57% | 1.52% | 0.94%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0.57% | -1.52% | -0.19% | - | - | - | ||||||
에이치이엠파마 | 코스닥시장 | 2024.11.05 | 16,400 | 19,000 | 23,000 | 공모주식(A) | -28.70% | -46.35% | -23.65% | - | - | - |
시장지수(B) | -0.30% | -0.92% | 1.54% | -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9.00% | 47.27% | 22.11% | - | - | - | ||||||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 | 유가증권시장 | 2024.07.01 | 3,000 | 3,800 | 3,000 | 공모주식(A) | -8.00% | -6.33% | -15.00% | -31.33% | - | - |
시장지수(B) | 0.23% | -0.97% | -1.22% | -0.06%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8.23% | -5.36% | -13.78% | -31.27% | - | - | ||||||
HD현대마린솔루션 | 유가증권시장 | 2024.05.08 | 73,300 | 83,400 | 83,400 | 공모주식(A) | 96.52% | 63.91% | 28.42% | 80.46% | - | - |
시장지수(B) | 0.39% | -0.43% | -6.07% | -0.52%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96.13% | 63.48% | 44.08% | 79.94% | - | - | ||||||
신한제13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04.22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9.75% | 8.50% | 12.50% | 8.00% | - | - |
시장지수(B) | 0.46% | 0.55% | -3.79% | -2.84%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9.29% | 7.95% | 16.29% | 5.16% | - | - | ||||||
신한제12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4.04.15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5.25% | 4.75% | 9.00% | 6.50% | - | - |
시장지수(B) | -0.94% | 0.20% | -0.88% | 0.46%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6.19% | 4.55% | 9.88% | 6.96% | - | - | ||||||
에이피알 | 유가증권시장 | 2024.02.27 | 147,000 | 200,000 | 250,000 | 공모주식(A) | 27.00% | 5.80% | 40.80% | 2.00% | - | - |
시장지수(B) | -0.83% | 4.16% | 2.87% | 1.92% | - | - | ||||||
시장지수 초과(A-B) | 27.83% | 1.64% | 37.93% | 0.08% | - | - | ||||||
유투바이오 | 코스닥시장 | 2023.11.02 | 3,300 | 3,900 | 4,400 | 공모주식(A) | 94.32% | 32.50% | 6.02% | -12.27% | -11.25% | - |
시장지수(B) | 4.55% | 11.91% | 8.05% | 17.35% | 10.05% | - | ||||||
시장지수 초과(A-B) | 89.77% | 20.59% | -2.03% | -29.62% | -21.30% | - | ||||||
신한제11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3.10.04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5.00% | -6.70% | -6.75% | -1.55% | -1.35% | - |
시장지수(B) | -4.00% | -7.01% | 3.63% | 4.63% | -0.59% | - | ||||||
시장지수 초과(A-B) | -1.00% | 0.31% | -10.38% | -6.18% | -0.76% | - | ||||||
시큐센 | 코스닥시장 | 2023.06.29 | 2,000 | 2,400 | 3,000 | 공모주식(A) | 205.00% | 16.67% | 13.50% | 62.33% | 5.50% | -28.50% |
시장지수(B) | -0.60% | 5.39% | -6.87% | -0.05% | 4.97% | -3.06% | ||||||
시장지수 초과(A-B) | 205.60% | 11.27% | 20.37% | 62.38% | 0.53% | -25.44% | ||||||
씨유박스 | 코스닥시장 | 2023.05.19 | 17,200 | 23,200 | 15,000 | 공모주식(A) | -7.20% | -18.20% | -34.33% | -50.20% | -46.80% | -62.00% |
시장지수(B) | 0.70% | 6.31% | 4.96% | -2.73% | 2.70% | 1.34% | ||||||
시장지수 초과(A-B) | -7.90% | -24.51% | -39.29% | -47.47% | -49.50% | -63.34% | ||||||
미래반도체 | 코스닥시장 | 2023.01.27 | 5,300 | 6,000 | 6,000 | 공모주식(A) | 160.00% | 188.17% | 313.33% | 290.00% | 193.33% | 267.50% |
시장지수(B) | 0.31% | 5.60% | 12.38% | 21.88% | 0.66% | 13.30% | ||||||
시장지수 초과(A-B) | 159.69% | 182.57% | 300.95% | 268.12% | 192.67% | 254.20% | ||||||
더블유씨피 | 코스닥시장 | 2022.09.30 | 80,000 | 100,000 | 60,000 | 공모주식(A) | -30.50% | -16.92% | -32.75% | -23.83% | 18.83% | -18.92% |
시장지수(B) | -0.36% | 3.00% | 0.63% | 25.02% | 27.66% | 19.60% | ||||||
시장지수 초과(A-B) | -30.14% | -19.92% | -33.38% | -48.85% | -8.83% | -38.52% | ||||||
대성하이텍 | 코스닥시장 | 2022.08.22 | 7,400 | 9,000 | 9,000 | 공모주식(A) | 62.22% | 32.78% | -5.67% | 3.67% | 14.89% | -11.11% |
시장지수(B) | -2.25% | -7.28% | -11.74% | -2.55% | 4.65% | 9.16% | ||||||
시장지수 초과(A-B) | 64.47% | 40.06% | 6.08% | 6.22% | 10.24% | -20.27% | ||||||
신한제10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2.07.29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7.25% | 6.25% | 2.00% | 2.75% | 4.50% | 8.75% |
시장지수(B) | 0.66% | -2.31% | -13.87% | -7.48% | 5.58% | 14.46% | ||||||
시장지수 초과(A-B) | 6.59% | 8.56% | 15.87% | 10.23% | -1.08% | -5.71% | ||||||
위니아에이드 | 코스닥시장 | 2022.06.23 | 14,200 | 16,200 | 16,200 | 공모주식(A) | -32.10% | -39.14% | -53.02% | -58.89% | -61.23% | -65.43% |
시장지수(B) | -4.36% | 5.73% | 0.60% | -4.28% | 8.90% | 17.33% | ||||||
시장지수 초과(A-B) | -27.74% | -44.86% | -53.62% | -54.61% | -70.13% | -82.76% | ||||||
신한제9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2.04.27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12.75% | 9.50% | 7.75% | 1.00% | 1.50% | 4.50% |
시장지수(B) | -1.64% | -4.36% | -13.31% | -25.02% | -18.90% | -8.86% | ||||||
시장지수 초과(A-B) | 14.39% | 13.86% | 21.06% | 26.02% | 20.40% | 13.36% | ||||||
세아메카닉스 | 코스닥시장 | 2022.03.24 | 3,500 | 4,000 | 4,400 | 공모주식(A) | 72.73% | 51.59% | 68.64% | 63.64% | 11.70% | 35.45% |
시장지수(B) | 0.13% | -3.30% | -23.23% | -21.62% | -25.72% | -12.72% | ||||||
시장지수 초과(A-B) | 72.60% | 54.89% | 91.87% | 85.26% | 37.42% | 48.18% | ||||||
퓨런티어 | 코스닥시장 | 2022.02.23 | 11,400 | 13,700 | 15,000 | 공모주식(A) | 108.00% | 42.00% | 38.00% | 64.67% | 26.00% | 35.00% |
시장지수(B) | 1.06% | 6.52% | 1.78% | -8.32% | -17.95% | -10.32% | ||||||
시장지수 초과(A-B) | 106.94% | 35.48% | 36.22% | 72.99% | 43.95% | 45.32% | ||||||
LG에너지솔루션 | 유가증권시장 | 2022.01.27 | 257,000 | 300,000 | 300,000 | 공모주식(A) | 68.33% | 37.33% | 41.17% | 31.33% | 76.33% | 72.33% |
시장지수(B) | -3.50% | -0.37% | -1.51% | -10.94% | -16.97% | -8.88% | ||||||
시장지수 초과(A-B) | 71.83% | 37.70% | 42.68% | 42.27% | 93.30% | 81.21% | ||||||
신한서부티엔디리츠 | 유가증권시장 | 2021.12.10 | - | - | 5,000 | 공모주식(A) | -1.70% | -1.40% | -0.50% | 12.20% | -6.40% | -24.00% |
시장지수(B) | -0.64% | -3.39% | -11.53% | -13.34% | -19.15% | -21.14% | ||||||
시장지수 초과(A-B) | -1.06% | 1.99% | 11.03% | 25.54% | 12.75% | -2.86% | ||||||
아이티아이즈 | 코스닥시장 | 2021.11.11 | 12,500 | 14,300 | 14,300 | 공모주식(A) | 40.21% | 101.75% | 19.58% | -13.29% | -12.59% | -38.95% |
시장지수(B) | 0.50% | 2.41% | -9.32% | -13.32% | -16.96% | -28.34% | ||||||
시장지수 초과(A-B) | 39.71% | 99.34% | 28.90% | 0.04% | 4.37% | -10.61% | ||||||
엔켐 | 코스닥시장 | 2021.11.01 | 30,000 | 35,000 | 42,000 | 공모주식(A) | 90.48% | 147.62% | 126.90% | 97.14% | 28.33% | 77.38% |
시장지수(B) | 0.63% | -2.69% | -10.15% | -9.12% | -18.61% | -29.93% | ||||||
시장지수 초과(A-B) | 89.85% | 150.31% | 137.06% | 106.26% | 46.95% | 107.31% | ||||||
신한제8호스팩 | 코스닥시장 | 2021.09.27 | 2,000 | 2,000 | 2,000 | 공모주식(A) | 4.00% | 5.25% | 3.75% | 6.00% | 5.50% | 7.75% |
시장지수(B) | -0.21% | -2.44% | -2.48% | -10.60% | -25.69% | -33.24% | ||||||
시장지수 초과(A-B) | 4.21% | 7.69% | 6.23% | 16.60% | 31.19% | 40.99% | ||||||
구분 | 상장회사의 수 | 평균 수익률 | ||||||||||
유가증권시장 | 5개사 | 시장지수 초과 | 37.30% | 18.85% | 33.93% | 22.63% | 53.02% | 39.18% | ||||
코스닥시장 | 17개사 | 47.21% | 32.24% | 32.47% | 31.16% | 15.74% | 20.21% | |||||
합계 | 22개사 | 44.96% | 29.20% | 32.75% | 29.74% | 20.13% | 22.74% |
주) 주관회사로서 기업공개에 참여한 기업 중 공모가 포함되지 않은 스팩합병, 인적분할, 이전상장 형태의 상장 건은 제외하였습니다. |
2. 평가 기관
구분 | 증권회사(분석기관) | |
---|---|---|
회사명 | 고유번호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00138321 |
3. 평가의 개요
가.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기업실사(Due-Diligence) 결과를 기초로 키스트론㈜의 보통주 6,300,000주를 총액인수 및 모집하기 위하여 동사의 지분증권을 평가함에 있어 최근 3사업연도 및 2024년 감사보고서 등의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동사가속한 산업의 산업동향, 발행회사의 재무상태 및 영업실적, 비교회사의 주가 등 주식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항을 분석하여 평가하였습니다.
나. 평가일정
구 분 | 일 시 |
---|---|
대표주관회사 계약 체결 | 2022년 1월 14일 |
기업실사 | 2022년 1월 14일 ~ 2025년 05월 09일 |
상장예비심사 신청 | 2024년 10월 18일 |
상장예비심사 승인 | 2024년 12월 19일 |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03월 28일 |
[정정]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04월 16일 |
[정정] 증권신고서 제출 | 2025년 05월 09일 |
다. 기업실사 이행사항(1) 대표주관회사 기업실사 참여자
소속기관 | 부서 | 성명 | 직책 | 실사업무분장 | 참여기간 | 주요경력 |
---|---|---|---|---|---|---|
신한투자증권㈜ | IPO본부 | 서윤복 | 본부장/ 상무 | IPO 진행 총괄 책임 | 2023년 02월 15일 ~ 2025년 05월 09일 | 25년 |
신한투자증권㈜ | IPO2부 | 양근창 | 이사 | IPO 실무 총괄 | 2023년 12월 19일 ~ 2025년 05월 09일 | 20년 |
신한투자증권㈜ | IPO2부 | 최훈 | 이사 | IPO 실무 총괄 | 2025년 01월 02일 ~ 2025년 05월 09일 | 20년 |
신한투자증권㈜ | IPO2부 | 김명기 | 차장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실무 담당 | 2025년 01월 02일 ~ 2025년 05월 09일 | 10년 |
신한투자증권㈜ | IPO2부 | 이영권 | 과장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실무 담당 | 2024년 06월 17일 ~ 2025년 05월 09일 | 8년 |
신한투자증권㈜ | IPO2부 | 류홍재 | 대리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실무 담당 | 2025년 01월 02일 ~ 2025년 05월 09일 | 4년 |
(2) 발행회사 실사 참여자
성 명 | 부서 | 직책 | 담당업무 |
---|---|---|---|
정민호 | 키스트론 총괄 | 대표이사 | CEO |
김상수 | 경영관리본부 | 이사 | CFO |
김진호 | 연구소 품질관리팀 | 팀장 | 생산부문, |
이연수 | 재무팀 | 과장 | 재무회계 및 공시담당 |
손주리 | 재무팀 | 주임 | 공시/IR 실무자 |
전유정 | 회계팀 | 주임 | 회계, 세무담당 |
배해민 | 자금팀 | 사원 | 자금 출납 |
(3) 기업실사 항목, 일정, 내용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해 키스트론㈜에 방문하여 상장예비심사신청 등을 위한 기업실사(Due-Diligence)를 실시하였으며, 상장예비심사 승인 이후부터 본 증권신고서 제출일까지 상장 관련 증권신고서 작성 및 마케팅을 위한 실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기업실사 주요 일정 및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 항은 본 증권신고서의 첨부서류인 「기업실사」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중요 확약사항 및 주관회사 내부위원회에서 논의된 내용
동사는 한국거래소 심사 과정 중 일부 주식에 대하여 의무보유 확약 및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 확약을 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련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3. 기타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과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일반사항 - Ⅲ. 투자위험요소 - 2. 회사위험 - 다. 복잡한 지배구조 관련 위험」사항을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순환출자 해소 및 지분구조 합리화 확약 사항] |
순번 | 내용 | 확약사항 |
1 | 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매각 계획 | 키스트론(주)가 보유하고 있는 고려제강 주식 3,301,212주는향후 5년내 모두 매각(1) 2025년: 연간 660,000주 (2) 2026년: 연간 660,000주(3) 2027년: 연간 660,000주(4) 2028년: 연간 660,000주(5) 2029년: 연간 661,212주 |
2 | 홍덕산업(주) 보유 동사 주식 매각 계획 | 상장 이후 홍덕산업(주)이 보유하게 되는 키스트론(주) 잔여 주식 2,133,250주는 향후 2년 내 매각(1) 2025년: 연간 1,066,625주 (2) 2026년: 연간 1,066,625주 |
동사 보유 고려제강(주) 주식 매각 계획 키스트론㈜은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한국거래소의 요청에 따라 계열회사 간 상호 출자 구조 해소 및 지분구조의 합리화를 위한 확약서를 제출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는 보유 중인 고려제강㈜ 주식 3,301,212주(지분율 13.20%) 전량을 향후 5년 내 단계적으로 매각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매각 과정에서 시장참여자와의 충분한 소통, 공시절차의 철저한 준수, 시장 충격 최소화를 위한 방안 강구 등을 병행할 것을 확약하였습니다. 해당 확약사항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증권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1) 계열회사 간 상호주 관계 해소를 통해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키스트론과 고려제강간 상호주 관계 해소를 통한 복잡한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고 기업의사결정의 투명성과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지분 매각 과정의 계획적 이행을 통한 수급 안정성 확보해당 지분은 단기간에 일괄 매각되는 것이 아니라, 향후 5년간 단계적으로 시장에서 처분될 예정이며, 매각 시점에 시장과의 커뮤니케이션 및 공시 절차를 병행할 계획이므로, 단기적 수급 불균형이나 주가 급변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매각대금 유입으로 인한 키스트론의 보유 현금성 자산 증대가 기대됩니다. 3) 투자자 신뢰 제고 상장심사 과정에서 지배구조 개선을 확약하고, 시장과의 소통 및 공시절차 이행 의지가 명확히 제시되어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는 데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홍덕산업(주) 보유 동사 주식 매각 계획 키스트론㈜의 주요 주주인 홍덕산업㈜은 현재 동사 지분 23.89%(3,167,13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금번 상장을 통해 이 중 1,033,880주가 구주매출로 출회될 예정입니다. 구주매출 이후 잔여 주식 2,133,250주 중 50%(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나머지 50%(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의무보유 예정입니다. 홍덕산업㈜은 상장예비심사 과정에서 지분 구조의 합리화 및 계열사 간 이해상충 해소를 목적으로, 상장 후 잔여 주식을 의무보유 해제 이후 2025년 및 2026년 두 차례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할 계획임을 확약했으며, 시장참여자와의 충분한 사전 소통, 공시 절차의 철저한 이행, 시장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매각 방식 강구 등을 병행할 예정입니다. 해당 확약사항은 증권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지배구조의 투명성 제고에 긍정적 기여 본 확약사항 이행에 따라 지배구조 개선에 따른 기업의사결정의 투명성과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투자자 신뢰 제고 상장심사 과정에서 지배구조 개선을 확약하고, 시장과의 소통 및 공시절차 이행 의지가 명확히 제시되어 투자자 신뢰를 확보하는 데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3) 잠재적인 유통물량 출회가능성 투자자 입장에서 향후 지분 출회의 예측 가능성을 확보한 점은 긍정적이나, 홍덕산업(주)의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홍덕산업이 보유한 동사의 잔여 주식이 시장에 출회 예정인 점은 2025년과 2026년 사이 동사 주가 변동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키스트론㈜의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의 내부위원회에서 동사의 공모를 위해 기업가치평가 및 주요 리스크에 대해 논의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부위원회 명칭 | 위원회 주요 구성원 | 일시 | 논의내용 | 비고 | |
투자심사소위원회 | 신한투자증권 기업금융심사부장, 대체투자상품부장, 리스크관리부장, 재무회계자금부장, 전략기획부장, 법무실장, 감리부장 | 2025.03.26 | 1 | 산업위험 | - 동사 주력 제품은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이며, 국내 유일 동복강선 제조업체로서 경쟁력을 확보했고, 주요 고객사와 장기간 거래를 하고 있어 수익성 양호하나, 거래처 다변화 필요성 존재 |
2 | 사업위험 | - 도금 관련 환경규제로 인한 설비와 관련하여 진입장벽을 구축하고 있으며, 진행 중인 연구개발 등을 통해 시장 내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 예상 | |||
3 | 재무위험 | - 총자산 1,799억원, 총부채 280억원, 부채비율 18.41%로 양호, 단기차입금 67억원 제외 차입금 및 사채 발행 내역 없어 재무건전성 양호하며, 2024년 매출액 약 690억원, 영업이익 약 59억원 실적 시현 후 지속적인 영업흑자 기록 중-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향후에도 안정적인 매출 성장이 예상되고 이익의 증대가 예상되며, 보유 현금성자산과 기타금융자산과 양호한 차입금의존도 등을 고려할 때금번 공모자금의 사용 이후에도 재무안정성 유지에 큰 어려움 없을 것으로 예상 | |||
4 | 공모가 위험 | - 업종유사성, 재무유사성, 사업유사성, 기타유사성 총 4개의 선정 기준에 따라 비교 기업을 선정하였고, 최종 3개의 비교기업(고려제강, KOBELCO WIRE CO LTD, NIPPON SEISEN CO LTD)을 선정하여 PER Valuation을 적용했으며 공모단가는 3,100원 ~ 3,600원으로 이는 시장 기대 심리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판단 | |||
5 | 인수위험 | - 동사 총 공모금액은 밴드 하단 기준 약 195억원이며 해당 공모주식 중 미매각 물량이 발생하게 될 경우에 당사는 의무보유 물량을 초과하는 대상회사 주식을 당사의 계산으로 인수하게 될 수 있음. 다만, 안정적으로 수익을 시현하고 있는 회사이므로 시장에서 충분한 투자 수요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실권에 대한 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 |
한편, 금번 개정된 금융투자협회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에 따를 경우 금번 공모와 같이 수요예측을 통하여 공모가격을 결정하는 경우 동 공모가격의 결정(공모희망가격의 범위 산정 및 수요예측 결과의 반영을 포함)에 대한 내부기준을 마련하고 이에 따라 공모가격의 결정을 진행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 개정 규정 부칙 제2조제2항에 따라 동 내용은 2024년 10월 1일 이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하는 건부터 적용하도록 하였고, 금번 키스트론(주)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계약 체결일이 2022년 1월 14일임에 따라 해당 개정된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상황입니다. 금번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신한투자증권(주)은 동 개정내용과 관련된 내부 기준을 마련하여 내부규정을 개정한 상황임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5) 한국거래소 상장규정에 따른 사업모델기업 특례동사의 경우 한국거래소 상장규정에 따른 사업모델기업 특례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4. 기업실사결과 및 평가내용 가. 영업상황(1) 시장 규모 및 산업의 성장잠재력
(가) 전자제품용 와이어
전자부품은 크게 수동 소자(저항기, 캐패시터, 인덕터), 전원 공급 부품(배터리, 전원 관리 시스템), 커넥터(플러그, 케이블), 센서(온도, 압력, 이미지 센서)로 구분됩니다. 이 부품들은 전자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며, 특히 수동 소자와 전원 관리 시스템은 성능과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스마트 기기의 경량화와 고성능화로 인해 이들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글로벌 전자부품 시장은 약 4,846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며, 다양한 산업에서 전자기기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자부품은 가전,통신, 자동차, 산업 장비 등에서 필수적이며, 특히 전기차, 스마트 기기,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발전으로 수요가 계속 늘어날 전망입니다.
글로벌 전자부품 시장은 2031년까지 약 7,00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전력효율성 및 지속 가능한 에너지 관리 기술 발전이 시장 성장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향후 시장 성장은 자동차 전장화, 통신 기술 고도화, 스마트 제조 확산이 주요 동인이될 것입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는 배터리와 센서 시스템 중심으로 고성능 전자부품의 사용을 촉진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IoT)과 5G 통신망의 확산은 커넥터와 전원 공급 부품 수요를 크게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출처: Global Electronic Components Market, Data Bridge, (2024.02) |
1) 캐퍼시터 동사가 생산하는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전자기기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자삽되는 캐퍼시터용 리드탭 부품인 리드와이어 제작에 사용되며, 주로 캐퍼시터용 리드탭 제조업체인 일본의 K사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전방 캐퍼시터 업황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기관인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캐퍼시터 시장규모는 24년약 389억 1,000만 달러에서 2034년 약 694억 2,000만 달러로 연평균 5.96%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전자기기 사용의 복잡성과 다양성 증가, 그리고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 증가가 캐퍼시터 시장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컴퓨터, TV 등 전자기기의 수요 증가가 커패시터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전동화로 인한 인포테인먼트 장비, 차량 프레임, 파워트레인 구성 요소와 같은 자동차 전장 부품에서도 캐퍼시터 사용이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캐퍼시터 시장규모】 |
출처: Capacitor Market Size, Precedence Research, (2024.11) |
Precedence Research는 캐나다-인도 기반의 기관으로, 전략적 시장 인사이트 제공 업체입니다. 이들은 산업별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정의 가능한 연구 보고서, 일반 보고서 및 전문가 상담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캐퍼시터는 다음과 같이 필름 캐퍼시터, 세라믹캐퍼시터, 알루미늄 전해 캐퍼시터, 탄탈 캐퍼시터로 분류될 수 있으며, 캐퍼시터는 전력을 저장하고 방출하는 역할 뿐 아니라 전력 변환과 안정화,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역할도 함께 수행합니다. 대부분의 전자기기(가전기기, 스마트폰와 컴퓨터 등 IT기기 등)와 자동차 전장부품, 재생 에너지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자부품입니다.
【캐퍼시터의 종류 및 특징】 |
종류 | 사진 | 특징 | 사용처 |
필름 캐퍼시터 |
|
-유전체로 PE, PP 필름을 사용해 전극 사이에 끼운 구조 -같은 용량대비 크기 축소가 가능해 소형화에 유리 |
디지털 가전기기, 휴대기기 |
세라믹 캐퍼시터 |
|
-무극성, 무기질로 온도 및 고주파 특성이 좋아 회로의 노이즈 제어에 사용 -극성이 없어 기판장착에 유리하고 소형화 가능 |
PC, TV배터리, 전기회로 등 디지털 가전분야 |
알루미늄 전해 캐퍼시터 |
|
-가장 많이 사용 -고용량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 |
일반 아날로그 전자제품 및 전기회로용, 자동차용 전장부품에 사용 확대 |
탄탈 캐퍼시터 |
|
-전극에 탄탈륨을 사용하며 소형으로 고용량 제공 -원재료 대부분이 일본 수입이며 시장이 적음 |
고주파 회로, 초소형 전자기기 |
출처: 키스트론 당사 |
(나) 케이블용 와이어동사의 케이블용 와이어는 '디토네이터(Detonator)', '트레이스(Trace)', '접지용연선'으로 나뉘며, 주로 건설과 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 인프라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해당 산업에 영향을 받는 제품군입니다.1) 디토네이터 '디토네이터'는 광업과 건설 공사현장 등에서 널리 쓰이며, 기폭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해 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의 도체입니다. 디토네이터의 제품 유형은 충격관 뇌관(Shock Tube Detonators), 전기 뇌관(Electric Detonators), 전자 뇌관(Electronic Detonators)로 구분할 수 있으며, 당사의 디토네이터용 와이어는 전자뇌관 제품으로 남아프리카공화국 전자식 뇌관 전선 업체인 S사를 통하여 글로벌 전자식 뇌관 업체인 O사에 주로 납품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기관 MA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디토네이터 시장 규모는 2022년 11억 1,300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2.36%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1년에는 세계 시장 규모가 13억 9,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있습니다. 건설업에서는 도시화 및 인프라 개발로 인해 폭발물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광물 자원의 수요 증가로 광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어 디토네이터 수요 증가가 예상 됩니다. MA Research는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시장 조사 및 데이터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기관입니다. 주로 경제, 산업, 등 여러 분야의 시장조사를 통해 다양한 산업에 대한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최근 각국 정부는 환경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폭발물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뇌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전자뇌관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2년 64.47%에서 2031년 94.12%까지 연평균 4.29%의점유율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토네이터 시장규모】 |
출처: 2023-2031 Report on Global Detonator Market , MA Research (2024.02) |
2) 트레이스'트레이스'는 지하에 매설된 파이프나 케이블의 위치를 추적하고 식별하기 위한 특수 전선입니다. 가스나 수자원 배관,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등 다양한 매설 설비와 함께 설치되며, 트레이스는 유지보수 시 그 위치를 쉽게 탑지할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입니다. 당사의 트레이스는 미국에 소재한 트레이스 케이블 제조업체인 K사와 A사에 주로 납품 중입니다.
Maia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 규모를 2022년 1.67억 달러로 평가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3.03%의 성장해서 2028년에는 세계 시장 규모가 2.1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Maia Research는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국제 시장 조사 및 컨설팅 업체입니다. 이 회사는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소비자 및 산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북미, 유럽, 중동, 남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다양한 시장 조사를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에 대한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규모】 |
출처: Global Tracer Wire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 , Maia Research (2022. 10) |
지역별로는 2023년 기준 북미 지역이 33.11%의 시장 점유율로 가장 큰 시장이며, 유럽과 중국이 각각 23.36%과 19.56%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규모 (지역별) 】 |
출처: Global Tracer Wire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 , Maia Research (2022. 10) |
현재 미국에서는 노후 전력망 교체를 중점을 둔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집중하고 있는 미국 내 트레이스 시장은 정책의 수혜로 인한 건설 활동 증대가 트레이스 시장을 성장시킬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접지용연선'접지용연선'은 건물 등 구조물을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케이블이며, 주로 발전소의 피뢰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접지용연선은 현재 필리핀의 민간 전력유통회사인 M사에 주로 납품하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 남아공 등에도 공급하고 있습니다.Quince Market Insights은 2022년 글로벌 접지선 시장 규모를 19.52억 달러로 평가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3.9%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0년에는 전 세계 시장 규모가 26억 5,0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Quince Market Insights는 인도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시장 조사 및 컨설팅 회사로, 다양한 산업에 대한 시장 조사 및 연구 보고서를 전문으로 합니다. 이 회사는 시장 동향, 성장 기회, 경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접지용연선 시장규모 (지역별) 】 |
출처: GLOBAL EARTHNG WIRE MARKET, Quince Market Insights (2021) |
특히, 예측기간(2021년-2030년)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중국과 인도의 인프라 개발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확대로 연평균 5.0%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북미 지역은 기존 전력망의 현대화로 인해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2022년 12월 전기용 연질 동피복 강연선 KS표준을 제정하였으며, 현재 건설현장 등의 지침서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동피복 강연선을 접지연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반영하기 위한 개정을 추진 중으로 개정 완료 시 국내 접지용연선 시장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2) 시장 경쟁 상황 동사의 주요 제품인 와이어(전자부품용, 케이블용)는 동복강선을 활용한 제품입니다.동복강선은 선재에 동 도금이 필수적이며, 국내에서는 환경 규제로 인해 동사외에는해당 설비를 갖춘 업체가 없어 국내 시장에서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경쟁사가 존재하지 않습니다.한편, 글로벌 시장에서는 시장별로 다양한 경쟁업체가 활동 중입니다. 전자부품용 와이어 시장에서는 중국의 HONGYANG이 저가형 와이어 시장에서 당사와 경쟁하고 있으며, 고가형 와이어 시장에서는 일본의 Riken Densen과 독일의 Edelhoff가 고사양 전자부품용 와이어를 생산하며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디토네이터용 와이어, 트레이스용 와이어, 접지용 연선 시장에서는 미국의 Copperweld와 경쟁하고 있으며,동사는 Copperweld의 후발주자로 인식되고 있습니다.다만, 현재 이들 해외경쟁업체 모두 비상장사로, 공식적이고 객관적인 재무자료 확보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국내에는 경쟁사가 없기 때문에 동사가 속한 산업군인 '그 외 기타전자부품 제조업'과 '철강선 제조업'을 영위하는 회사의 재무제표를 참고 목적으로 기재했습니다.
구분 | 키스트론㈜ | 한국선재㈜ | ㈜대아선재 | ||||||
2021년도 | 2022년도 | 2023년도 | 2021년도 | 2022년도 | 2023년도 | 2021년도 | 2022년도 | 2023년도 | |
(제30기) | (제31기) | (제32기) | (제31기) | (제33기) | (제34기) | (제28기) | (제29기) | (제31기) | |
설립일 | 1992년 11월27일 | 1990년 08월 01일 | 1993년 11월 11일 | ||||||
매출액 | 4,540 | 66,267 | 55,936 | 170,661 | 189,226 | 180,471 | 29,509 | 28,663 | 23,153 |
(매출원가율) | (53.85%) | (81.18%) | (83.06%) | (81.59%) | (89.59%) | (91.01%) | (80.79%) | (93.06%) | (97.02%) |
영업이익 | 1,237 | 7,341 | 3,733 | 19,745 | 6,533 | 3,803 | 2,476 | △510 | △2,144 |
(이익률) | (27.25%) | (11.08%) | (6.67%) | (11.57%) | (3.45%) | (2.11%) | (8.39%) | (△1.78%) | (△9.26%) |
당기순이익 | 16,168 | 7,833 | 2,371 | 11,463 | 13,681 | 9,957 | 1,800 | △867 | △1,863 |
(이익률) | (356.12%) | (11.82% | (4.24%) | (6.72%) | (7.23%) | (5.52%) | (6.10%) | (△3.02%) | (△8.05%) |
총자산 | 201,062 | 179,259 | 189,946 | 192,811 | 183,113 | 213,523 | 45,192 | 44,712 | 40,038 |
총부채 | 46,788 | 30,272 | 31,570 | 91,969 | 70,248 | 92,458 | 5,530 | 6,097 | 3,286 |
자기자본 | 154,274 | 148,987 | 158,376 | 100,842 | 112,865 | 121,065 | 39,663 | 38,615 | 36,752 |
상장여부 (상장일) |
비상장 |
코스닥 (2019년 06월 19일) |
비상장 | ||||||
주요제품 (매출비중) |
전자부품용 와이어(48.09%) 케이블용 와이어(41.80%) 전력매출 (7.94%) 임대료수입(2.17%) |
철강재 유통 (66.27%) 아연도금철선 등 강선 (23.15%) |
아연도금철선 제조 (98.58%) |
출처: 키스트론은 2021년과 2022년에 감사를 받지 않았습니다. 2021년과 2022년의 재무수치는 감사받지 않은 수치를 기재했습니다. |
동사는 와이어 산업에서의 오랜 경험과 고품질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 변형 발생률을 최소화하였으며, 이를 통해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고객사의 높은 품질 기준과 까다로운 승인 절차를 통과하여 장기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또한, 소량 주문 및 단기 납기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긴밀한 고객 대응을 통해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사는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된 고려제강 계열사로서, 신규 해외 거래선 확보 시 계열사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는 강점을 갖추고 있습니다.환경 규제 대응 능력 또한 당사의 차별화된 경쟁력 중 하나입니다. 동사는 와이어 제품 생산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폐수 및 폐기물에 대한 엄격한 규제를 준수할수 있는 관리 시스템과 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환경 규제로 인해 신규 사업자가 대규모 처리 설비를 설치하기 어렵습니다.이처럼 동사는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주요 고객사와 장기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 고객사가 요구하는 맞춤형 서비스에 제공할 수 있는 역량, 계열사 네트워크 및 환경 규제 준수를 위한 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점은 신규 업체에 있어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다만, 와이어 제조사별 시장 점유율에 관한 공신력 있는 자료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또한, 국내에서는 동사 외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경쟁사가 존재하지 않으며, 해외 경쟁업체는 모두 비상장사로 공식적인 매출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점유율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입니다. (3) 매출 현황 (가) 매출의 우량도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도 (제30기) | 2022년도 (제31기) | 2023년도 (제32기) | 2024년도(제33기) |
매출액 | 4,540 | 66,267 | 55,936 | 68,955 |
수출금액(비중) | - | (82.92%) | (79.44%) | 82.44% |
거래업체 수 | 11 | 59 | 62 | 55 |
기말 매출채권 (6월이상 채권) |
15,129 (-) | 12,174 (-) | 9,320 (-) | 10,850(388) |
부도금액(주) (업체 수) |
- | - | - | - |
매출총이익률 | 46.15% | 18.82% | 16.94% | 18.15% |
주1) 거래업체수는 매출채권 거래처 기준입니다. |
주2) 기말 매출채권은 순액 기준입니다 |
주3) 부도금액은 매출처 중 부도업체에 대한 매출채권 잔액이며, 동사의 경우 존재하지 않습니다. |
주4) 2021년과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입니다. |
2021년 동사의 매출액은 약 4,540백만원 수준이였으나,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2022년 매출액은 약 66,267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359.63% 증가하였습니다. 반면, 2023년 당사의 매출액은 약 55,936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5.59% 감소한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동사의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주거래처 중 하나인 일본의 "K"사가 2022년 Covid-19 팬데믹에 따른 물류대란과 공급망 교란 우려로 인한 재고확보 목적으로 물량 발주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른 역기저효과로 2023년 상반기까지 재고 소진을 위해 추가 발주를 하지 않아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매출이전년 대비 10,331백만원 감소한데 기인하였습니다. 한편, 당사의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광업, 수자원 배관, 발전소 등 다양한 인프라 산업 분야에 활용되고 있어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시현하였습니다. 2024년은 Covid-19 팬데믹에 따른 기저효과 이후 당사의 매출액은 약 68,955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23.27%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나) 수익성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도 (제30기) |
2022년도 (제31기) |
2023년도 (제32기) |
2024년도 (제33기) |
---|---|---|---|---|
매출액 | 4,540 | 66,267 | 55,936 | 68,955 |
매출원가(매출원가율) | 2,445 (53.85%) | 53,797 (81.18%) | 46,460 (83.06%) | 56,441 (81.85%) |
판관비 | 858 | 5,129 | 5,743 | 6,613 |
영업이익(영업이익률) | 1,237 (27.25%) | 7,341 (11.08%) | 3,733 (6.67%) | 5,901(8.56%) |
당기순이익(당기순이익률) | 16,168 (356.12%) | 7,833 (11.82%) | 2,371 (4.24%) | 8,777(12.73%) |
주1) 2021년과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입니다. |
동사는 2021년 12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2022년 영업이익 7,341백만원, 당기순이익 7,833백만원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 11.08%, 당기순이익률 11.82%를 기록하였으나, 2023년 Covid-19에로 인한 역기저효과에 따른 매출액 감소로 영업이익 및 당기순이익은 각각 3,733백만원, 2,371백만원으로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영업이익률 및 당기순이익률은 각각 6.67%, 4.24%로 수익성 지표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2024년 동사의 매출액은 Covid-19 역기저효과 이전 수준을 회복였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 5,901백만원, 당기순이익 8,777백만원으로 영업이익률 8.56%, 당기순이익률 12.73%를 기록하였습니다. 나. 기술력 (1) 기술의 완성도(가) 다품종 제품군 제조 능력
동사는 전자제품용 원자재인 리드 와이어(Lead Wire), 전기통신용 케이블 도체, 접지극용 연선 및 소선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전기, 전자, 통신 원자재 제조를 위해 고탄소강, 저탄소강, 동선, 무산소동, 알루미늄 제품군을 생산하며, 고객 요구에 맞춰 Cu(구리), Ni(니켈), Ag(은), Sn(주석) 등의 도금 기술도 보유하고 있습니다.특히, 다양한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기능별, 외관별, 제조사별 표준화를 진행했으며, 변화하는 시장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지속적으로 판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제품군 | 도금기술 |
고탄소강 | Ni, Cu |
저탄소강 | Cu하지 + Ni, Ag, Sn |
동선 | Ni, Ag, Sn |
무산소동 | - |
알루미늄 | - |
(나) 도금기술의 경쟁력
전기도금은 일정 수준 이상의 과전위를 인가해 도전성 소재 표면에 금속 또는 비금속층을 형성하는 기술로, 제품의 전기전도성, 내식성, 용접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동사는 도금 용액부터 도금 설비, 제조 운영 기술까지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기업으로, 전기도금의 경우 최대 700㎛ 두께까지 균일한 도금이 가능하며, 뛰어난 밀착성을 유지하는 고품질 제품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다) 원가절감을 위한 대체 소재 개발동사는 구리선을 대체하기 위해 철선에 동도금을 한 CP 제품을 개발·생산하고 있습니다. 디토네이터 와이어는 광산업 등의 공사 현장에서 기폭 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전자뇌관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신호 전송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높은 강도와 우수한 연신율을 갖춘 제품을 개발해 Orica의 1차 벤더인 Silcom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지 및 낙뢰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접지 및 피뢰용 소재도 원가 절감을 위해 동피복 강연선으로 대체해 판매하고 있으며,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해 KS 인증 절차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기술의 경쟁우위도
동사는 2006년부터 핵심 기술 관련 특허 출원을 시작으로 현재 총 4건의 지적재산권이 등록되었습니다. 동사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적용제품 | 출원국 |
1 | 특허권 |
알루미늄재로 된 전기전자용 리드선재의 제조방법 |
키스트론 | 2006.02.16 | 2007.06.08 | - | 대한민국 |
2 | 상표 | TPC | 키스트론 | 2006.05.19 | 2007.03.19 | TPC | 대한민국 |
3 | 상표 | 5TPC | 키스트론 | 2006.05.19 | 2007.03.19 | 5TPC | 대한민국 |
4 | 상표 | TCAAB | 키스트론 | 2017.03.30 | 2017.11.15 | TCAAB | 대한민국 |
(3) 연구인력의 수준 동사는 기술정보 교환과 공동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연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신제품 및 기술개발, 샘플개발 의뢰 대응, 국채고가제 수행, 불량 원인 분석, 공정 개선 및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 조직 개요동사의 연구개발 조직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나) 주요 연구 인력 현황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주요연구실적 |
---|---|---|---|---|
연구소장 (상무) |
권OO | 개발총괄 |
울산과학대 공업경영 학사 (‘83) 국제문화대학원 국문학과 석사(‘10) 1983~1993 삼미종합특수강 1994~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내부식성 합금개발 및 전동차 외장용 SUS304-0.3T 개발 (재직중) *Cu/Zn 도금선 및 친환경 Sn/Bi 개발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접지용 동복강연선 개발 정부과제 1건 |
책임 | 김OO | 연구개발 |
부경대 신소재공학 학사(‘09) 2010~2021 고려제강 2022~2022 키스트론 2024~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초장대교량 사업단 교량용 케이블 및 도금강선 정부과제 1건 * 관련 특허 등록 7건 (재직중)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
선임 | 윤OO | 선행개발 |
고려대 신소재공학 석사(‘08) 2007~20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0~2015 네오엔비즈 2018~2022 코스탯아이앤씨 2023~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ITO졸겔법 코팅 개발 및 국책과제 1건 *나노분산공정 개발 및 제품화 *전도성점착코팅제 개발 (재직중)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
선임 | 백OO | 공정개발 |
순천향대 신소재공학 석사(‘13) 2014~2019 한국진공야금 2019~2021 HS하이테크 2021~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합금주조, 단조압연, 열처리 등 공정개발 및 국책과제 3건 *Ti합금, Al합금 3D프린팅 연구개발 및 국책과제 3건 (재직중)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
선임 | 조OO | 공정설계 |
신라대 바이오환경 학사(‘06) 2008~2016 삼흥산업개발㈜ 2016~2019 호수환경㈜ 2019~2024 자인산업개발㈜ 2024~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폐기물 리사이클링 (재직중) *도금공정 관리 및 개발 |
선임 | 강OO | 공정분석 |
한밭대 전자공학 학사(’12) 2012~2021 고려제강 2022~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샘플 물성 테스트 (재직중) *불량개선 및 분석 |
(다) 연구 인력 증감 현황
구 분 | 직위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2021년도 | 연구소장(상무) | 1 | 0 | 0 | 1 |
책임연구원 | 1 | 0 | 0 | 1 | |
선임연구원 | 2 | 1 | 0 | 3 | |
주임연구원 | 1 | 0 | 1 | 0 | |
연구원 | 1 | 0 | 0 | 1 | |
계 | 6 | 1 | 1 | 6 | |
2022년도 | 연구소장(상무) | 1 | 0 | 0 | 1 |
책임연구원 | 1 | 0 | 0 | 1 | |
선임연구원 | 3 | 0 | 0 | 3 | |
주임연구원 | 0 | 0 | 0 | 0 | |
연구원 | 1 | 0 | 0 | 1 | |
계 | 6 | 0 | 0 | 6 | |
2023년도 | 연구소장(상무) | 1 | 0 | 0 | 1 |
책임연구원 | 1 | 0 | 0 | 1 | |
선임연구원 | 3 | 0 | 1 | 2 | |
주임연구원 | 0 | 0 | 0 | 0 | |
연구원 | 1 | 0 | 0 | 1 | |
계 | 6 | 0 | 1 | 5 | |
2024년도 |
연구소장(상무) | 1 | 0 | 0 | 1 |
책임연구원 | 1 | 1 | 1 | 1 | |
선임연구원 | 2 | 2 | 0 | 4 | |
주임연구원 | 0 | 0 | 0 | 0 | |
연구원 | 1 | 0 | 1 | 0 | |
계 | 5 | 3 | 2 | 6 |
(라) 연구개발인력 구성
학력 | 박사 | 석사 | 학사 | 기타 |
---|---|---|---|---|
인원수 | - | 3 | 3 | - |
(4) 기술의 상용화 경쟁력
구분 | 연구과제명 | 연구기간 | 연구기관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관련 제품 및 기술 | 비고 |
---|---|---|---|---|---|---|
1 | 40%IACS 동피복연강선(Copper plated low carbon steel)을 활용한 접지극용 소재개발 | 20.12~23.02 | 키스트론, 리오엠엔씨, 승원하이텍,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 기존 동연선 대비 약 30%의 원가절감과 약 10% 경량화 가능 | 동피복연강연선 | 상용화 완료 |
2 | 자동차 신호 케이블용 1000MPa·63%IACS급 0.08SQ 구리 합금선재 개발 | 20.04~24.12 | 키스트론, RIST, 순천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 경신전선, 산업통상자원부 | 1) 내 독자적인 고강도 구리 합금 전선 개발로 외국 기술 의존 탈피 및 자동차 전선 기술 선진화 가능2) 키스트론과 경신전선 협력을 통해 합금 개발, 제조, 제품화 기술 연구 및 사업착수 성공 기대 | 구리 합금선재 | 시제품 개발 완료 |
3 | 눌림불량 개선을 위한 광택도금 기술 | 22.03~22.08 | 키스트론, 엠케이켐앤텍 | 광택도금을 적용하여 표면 조도를 개선하고 제품 강도를 소폭 개선 및 비용 절감 가능 | 광택도금 기술 | 제조공정 적용 중 |
4 | 구리 도금액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 양극 소재 개발 | 22.06~22.11 | 키스트론,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양극 소재 수명 증가로 도금 폐액 재활용효율 향상 및 공정비용감축 | 친환경 양극 소재 | 제조공정 적용 중 |
다. 성장성 (1) 기업 성장전략
구 분 | 내 용 |
설립기 (1992년~1997년) |
와이어 제조 및 판매목적 설립 - 1992년, 타이어보강재인 스틸코드와 비드와이어의 제조 및 판매 목적 설립 - 경상남도 포항에 공장 준공, 국내 수요 대응 |
성장기 (1998년~2010년) |
와이어 사업 확장 -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타이어 보강재인 스틸코드, 비드와이어 수요증가 - 생산능력 단계적 확대 및 아시아 등 해외 수출 물량 증가로 급성장 - ‘08년 비철분야 와이어 품목 확장을 위한 舊 키스트론 지분 인수 |
재편기 (2011년~2014년) |
인적분할을 통한 투자사업 집중 - 2011년 인적분할, 투자사업부문 존속(사명 석천㈜ 변경) - 스틸코드, 비드와이어 제조판매사업부문, 부동산임대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홍덕케이블㈜와 합병 |
사업 다각화 (2015년~현재) |
사업 다각화 추진 - 2015년 (구)홍덕정밀 주식회사, (구)홍덕개발 주식회사 흡수합병, 다이스제조사업을 영위 - 2018년 결손누적, 다이스제조사업 중단 - 2020년 100%자회사인 (구)석천솔라파워㈜ 합병, 태양광 발전사업 영위 - 2021년 (구)키스트론㈜를 흡수합병, 와이어 제조 영위 |
(가) 설립기 및 성장기(1992년~2010년)
당사는 1992년 설립되어 타이어 보강재인 스틸코드와 비드와이어의 제조 및 판매를 목표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설립 당시, 경상남도 포항에 공장을 준공하여 국내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1998년부터 2010년까지는 성장기로, 자동차 산업의 발전과 함께 스틸코드와 비드와이어의 수요가 급증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생산 능력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아시아를 비롯한 해외 시장으로의 수출을 늘리며 빠르게 성장했습니다. 또한, 사업 다각화를 위해 철강 부문 외 품목으로의 확장을 추진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동복강선 선두업체였던 舊 키스트론의 지분을 인수하여 전자 부품용 와이어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나) 재편기 (2011년~2014년)
동사는 업종 전문화를 통한 경영 효율성 증대 및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1년 11월 24일 이사회에서 스틸코드·비드와이어 제조·판매 사업 부문과 부동산 임대 사업 부문을 인적 분할하기로 결의했습니다. 동시에, 동사는 홍덕케이블 주식회사와 분할합병을 추진하였습니다. 인적 분할 이후, 동사는 투자 사업 부문만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사명을 석천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지주회사로 전환된 이후, 동사의 주요 수익원은 지분법 손익이었으며, 舊 키스트론(구 사명: 삼아트론, 지분율 48%)과홍덕에스티시(지분율 36%)를 관리·감독하였습니다. 2012년과 2013년에는 석천솔라파워와 석천솔라에너지를 설립하여 태양광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2014년에는 홍덕에스티시가 스틸코드 제조업체인 홍덕산업㈜에 흡수합병됨으로써 동일 업종 간 사업 통합이 이루어졌으며, 지분 구조가 더욱 합리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동사는 철강 외 산업을 중심으로 한 舊 키스트론, 석천솔라파워, 석천솔라에너지의 지주회사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습니다.
(다) 지분구조 개선 및 사업다각화 (2015년~현재) 고려제강 그룹은 2015년부터 지분 구조 단순화를 위한 지배구조 개선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동사도 비철강 분야 기업을 흡수합병하여 사업을 다각화했습니다. 2015년, 동사는 비철강 분야의 구(舊) 흥덕정밀㈜ 및 구(舊) 홍덕개발㈜을 흡수합병했습니다. 구(舊) 흥덕정밀㈜은 부동산 임대사업 운영하는 회사였으며, 구(舊) 홍덕개발㈜은 다이스 제조사업을 운영한 회사였습니다. 그러나, 2018년 다이스 제조사업은결손 누적으로 중단되었습니다. 한편, 구(舊) 홍덕개발㈜이 운영하던 서울 서초구 반포지점의 임대사업은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16년, 구(舊) 석천솔라파워는 동종업체인 구(舊) 석천솔라에너지를 흡수합병했습니다. 이후 2020년 10월, 동사가 100% 자회사였던 구(舊) 석천솔라파워를 흡수합병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사업을 본격적인 주력 사업으로 전환하였습니다. 2021년 12월, 당사는 구(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하며 와이어 제조업을 새로운 주력 사업으로 확장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동사는 사명을 석천 주식회사에서 키스트론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구(舊) 키스트론㈜은 전자부품용 와이어 전문 생산업체로, 1982년 3월 10일 삼아전공사로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1987년 2월 25일 법인으로 전환되었으며, 2000년 3월 6일: 구(舊) 삼아트론㈜으로 상호 변경 후 2013년: 구(舊) 키스트론㈜으로 상호를 변경했습니다. 현재, 당사 키스트론㈜는 와이어 제조업을 주요 수익원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동사의 주력 사업인 와이어 사업부문은 2021년 흡수합병한 舊 키스트론이 영위하던 사업입니다. 따라서 구(舊)키스트론의 성장 과정을 중심으로 와이어 사업부문의 성장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시장환경 | 내 용 |
---|---|---|
설립기 (1982년 ~2000년) |
전자부품 호황기 - 199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IT기술 발전 - 전자기기의 다양화
동복강선 생산업체 극소수 - 실질적 경쟁사 없음 ’98 일본 후루카와, 스미토모 사업 종료 |
생산 기반 마련 - ‘82년 삼아전공사 설립 - ‘82년 공장 준공 - ‘98년 ISO9001 인증, ‘00년 ISO14001 인증 취득
전자부품용 와이어 다변화 - 다양한 전자부품 채택을 위한 다양한 도금층 제품 연구개발(주석, 비스무스, 구리, 은, 니켈) |
성장기 (2001년 ~2010) |
통신기술 발달 - 3G, 4G로 통신기술의 발달, 모바일 기기 확대 - 통신선 수요 증대 |
중국 현지화 - ‘05년 11월 중국 Kistron 설립 - ’08년 01월 중국 동관공장 생산 및 판매개시
고려제강 편입, 시너지 확장 - ‘08년 고려제강 계열사 편입을 통해 과거 연강선 위주에서 다양한 제품 라인업 확장 - 고려제강과의 시너지를 통한 영업 확장
제품 라인업 확장 - 통신선 납품을 통해 케이블 사업 본격화 |
침체기 (2011년 ~2015년) |
경쟁 과열 - 중국 동도금 업체, 저가 정책으로 시장 과열 초래
소형화, 경량화로 인한 시장 위축 - 기술 발달로 IT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요구 증대 - 캐패시터 등 부품 간소화
환경 규제 본격화 - 화학물질관리에 대한 제도 강화 |
신규 시장 및 판로 개척 - 경쟁과열 및 시장 변화로 인하여 ‘12년~’15년 영업적자 - ‘13년 접지용 연선 신규제품 개발 및 디토네이터 신규 거래처 발굴
구조 조정 - 영업적자로 인한 비용 효율화를 위해 공장 규모 감축 및 인원 합리화 |
재도약기 (2016년 ~현재) |
IT기술의 발달로 도금의 고급화, 정밀화 요구 - 각종 전자기기의 기능이 복잡화, 다양화되고, 자동차 전장 시스템이 고도화 됨에 따라 기능적 측면을 넘어서서 소비자의 안전 측면에서 프리미엄 도금 기술 필요성 증대
구리 대체 수요 증가 - 도금 기술의 발달로 값비싼 구리도체를 동복강선으로 대체 가능함에 따라 구리 대체 수요 증가 |
동복강선, 제품의 다각화 추진 - ’20년 트레이서 제품 판매 확대 - 은도금, 니켈도금선 판매 추진
전자부품용 와이어, 프리미엄화 - 자동차 부문 전자부품용 와이어 개발 - 용융도금선 개발
판매 지역 확대 - 국내 접지용 연선 KS, KEC 인증 추진 - 주요 거래처의 해외 관계사 타켓 영업 |
1) 설립기(1982년~2000년) 구(舊) 키스트론은 1982년 삼아전공사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공장을 준공하였습니다. 1998년에는 ISO 9001 인증을, 2000년에는 ISO 14001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경영 시스템을 갖추며 생산 기반을 강화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동사는 생산 능력 확충과 다양한 전자부품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 개발에 집중했습니다. 그 결과, 주석, 비스무트(비스무스), 구리, 은, 니켈 등 다양한 도금 기술을 적용한 전자부품용 와이어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1990년대 후반부터 IT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전자기기의 종류가 다양해졌고, 이에 따라 전자부품용 와이어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였습니다. 당시 동복강선 생산업체는 극소수에 불과했으며, 실질적인 경쟁사가 없는 상황에서 동사의 매출은 꾸준히 성장하였습니다. 2) 성장기(2001년~2010년) 이 시기는 IT 및 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전이 이루어진 시기로, 3G와 4G와 같은 고속 모바일 통신 기술의 확산이 스마트폰 및 모바일 기기의 수요를 급증시키면서 전자부품의 수요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웹 기술과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해 다양한 전자기기 및 부품이 필요해졌습니다. 한편, 글로벌 공급망과 제조 환경에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중국, 대만,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이 전자부품 생산의 중심지로 떠오르며 공급망이 재편되었고, 이에 따라 동사는 KISTRON (DONGGUAN)을 설립하여 중국 시장 확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2008년, 고려제강의 계열사로 편입되면서 기존 연강선 중심의 제품 라인업에서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장하였습니다. 또한, 고려제강과의 시너지를 활용하여 영업 영역을 더욱 확대하였습니다. 이 시기에는 통신 기술이 3G에서 4G로 발전하면서 통신선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통신선 납품을 통해 케이블 사업을 본격화하게 되었습니다. 3) 침체기(2011년~2015년) 2011년부터 전자부품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중국의 동(銅) 도금 업체들이 저가 정책을 시행하면서 시장 경쟁이 과열되었으며, IT 기술의 발전으로 전자기기의 소형화·경량화 요구가 증가하면서 시장이 위축되었습니다. 여기에 환경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화학물질 관리 제도가 더욱 엄격해지면서 기업 운영에도 부담이 가중되었습니다. 이러한 시장 변화와 경쟁 심화로 인해 당사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영업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는 접지용 연선 신제품 개발, 디토네이터(뇌관) 신규 거래처 발굴과 같은 신규 사업 기회를 모색하며 대응 전략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경영 효율화를 위해 인력 감축을 단행하고 공장 규모를 축소하여 운영 구조를 최적화하였습니다. 4) 재도약기(2016년~ 현재) 동사는 지속적인 성장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동복강선의 활용도 증대,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프리미엄화, 판매 지역 확대 등의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동복강선의 활용도 증대를 위해 2020년, 트레이서(Tracer) 제품 판매를 확대하였으며, 은도금 및 니켈도금선 판매를 강화하였습니다. 전자부품용 와이어 프리미엄화를 위해 자동차 전장용 와이어 시장 등 프리미엄급 시장에 적합한 특수 도금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용융도금선을 포함한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판매 지역 확대를 위해서는 국내 접지용 연선의 KS 및 KEC 인증을 추진하여 신뢰성을 강화하고 있고, 주요 거래처의 해외 관계사를 대상으로 영업 활동을 적극 확대하고 있습니다. (2) 향후 성장을 위한 사업 계획(가)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 자동차 부품 소재로서 알루미늄의 사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환경기구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규제 강화와 함께 친환경차 개발 및 차량 경량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까지 67%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일반 강판(Mild Steel)의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고장력강판(HSS) 및 알루미늄(Aluminum)의 사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철(7.87)과 구리(8.9)에 비해 약 1/3 수준으로 가벼운 금속이며, 공업용 금속 중 마그네슘 다음으로 가벼운 소재입니다. 또한, 합성 원료 조합에 따라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소재로 평가됩니다. 그동안 알루미늄은 원자재 가격이 높아 자동차 업계에서 주요 부품 소재로 사용하기에 부담이 있었지만, 최근 친환경차 보급 확대, 연비 개선 요구, 차량 경량화 트렌드 강화 및 기술 발전과 함께 알루미늄 원자재 가격 경쟁력도 높아지면서 철에서 알루미늄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알루미늄은 단순한 경량화 효과뿐만 아니라 비강도(무게 대비 강도), 내식성, 열전도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의 설비 변경이 최소화된다는 장점 덕분에 주요 자동차 부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선재, 봉재, 형재 등) 제조를 위해 베트남에 법인형태의 공장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당사의 알루미늄 제품 원재료로 활용되며, 다양한 합금 제품은 국내 및 글로벌 업체에 납품할 계획입니다.알루미늄 가공에는 높은 전력이 소요되며, 전력비가 전체 생산원가에서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베트남은 전기요금이 한국의 절반 수준으로 비용 경쟁력이 높고, 인건비 또한 중국이나 태국에 비해 저렴하여 공장 운영에 있어 경제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과거 중국은 저렴한 인건비를 바탕으로 많은 글로벌 기업을 유치했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 및 국제 통상 환경 변화로 인해 다수의 기업이 중국을 떠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베트남이 새로운 생산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동사는 베트남 진출을 통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한 알루미늄 수요 업체들에 다양한 합금 제품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비용 경쟁력을 확보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 동사는 자동차 시트 열선용 구리합금 도체를 대체할 MCF(Metal Coated Carbon Fiber) 도체를 신규 개발 중입니다. MCF 도체는 직경 7마이크로미터 내외의 탄소섬유 다발에 금속을 코팅한 고기능 융복합 첨단소재로, 탄소섬유의 경량성과 금속의 전도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이 제품은 구리 도체 대비 가벼우며 소비전력을 줄이고, 화재 위험성을 낮추는 동시에 우수한 전자파 차폐성과 원적외선 방출로 인한 항균·온열 효과를 제공합니다. 현재 1단계로 자동차 시트 열선용 제품을 개발 중이며, Lab 테스트를 거쳐 신호전선 분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이후 양산설비 구축 및 제품 생산·판매를 추진할 계획입니다.MCF 도체는 온열효과 뿐만 아니라 뛰어난 전자파 차폐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5G통신의 상용화와 함께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홈, 스마트 팩토리 등의 기술이 확산되면서, 초고속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인 차세대 통신 소자와 반도체 부품, 무선기기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전자기파 간섭으로 인한 성능 저하 및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MCF 도체는 이를 방지하는 차폐 소재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동사는 비철금속 도금 분야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번 첨단 융복합 신소재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H자동차 T모델의 요구사양(Spec.)을 확보하여 시제품 및 샘플 공급을 진행 중이며, 개발에 성공할 경우 기존 구리-주석 열선을 대체하는 제품을 양산 추진 예정입니다. 또한, 이 제품은 항공·우주·군용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는 고부가가치 소재로, 전기자동차 시트 열선에 적용해 H및 K자동차의 신규 전기차 모델에 납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파트너사와 공동 개발을 진행 중이며, Pilot 테스트를 통해 기초 검증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향후 품질 확보 및 고객사 평가·승인을 거쳐 설비투자를 진행하고 본격적인 양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MCF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동사는 전기차 부품 및 소재의 경량화, 고기능 저전력 발열선 및 전자파 차폐용 하네스 개발, 비금속 고기능 첨단 복합소재 코팅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자동차 시트 열선의 개발·생산·판매를 완료하고, 2026년부터 2027년까지 자동차 신호전선 분야로 확장하여 대상 파악 및 개발 방향을 설정한 후, 이후 생산 및 판매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발 동사는 모터 권선용 구리선의 대체재로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을 신규 개발 중입니다. 일반적으로 모터 권선에 사용되는 도체는 단면이 원형인 와이어 형태이며, 이를 여러 번 감아 권선 슬롯에 삽입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그러나 단면이 원형일 경우, 권선 슬롯을 지나가는 부분에 빈 공간이 발생하여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반면, 단면이 각형인 헤어핀 형태의 와이어를 사용하면 도체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며, 권선 슬롯 단면을 빈 공간 없이 채울 수 있어 자기력 증가 및 모터 효율 향상이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등 고효율이 요구되는 모터는 단면이 각형인 헤어핀 와이어를 채택하여 제작되고 있습니다.권선 방식에 따라 요구되는 도체의 특성도 달라집니다. 단면이 원형인 도체를 사용할 경우, 권선을 감아서 삽입하는 방식이므로 재료의 유연성이 중요합니다. 반면, 단면이 각형인 헤어핀 도체는 사전에 가공된 형태로 권선 슬롯에 삽입되므로, 유연성이 상대적으로 덜 요구됩니다.또한, 최근 전기차 모터의 고주파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고주파 전류를 활용하면 모터를 더 빠르게 회전시키고 정밀하고 부드러운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주파 전류가 흐를 때 표피효과(Skin Effect)가 발생하여 전류가 도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특성이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전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순수 구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고, 표면에만 구리를 둘러싼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습니다.전기차용 모터 권선이 기존 원형 도체 방식에서 헤어핀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도체 재료 또한 순수 구리가 아닌 다양한 소재로 대체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CCA를 활용한 단면 각형 헤어핀형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 해당 제품은 전기자동차 모터 제조사인 미국 보그워너 한국지사와 연계한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되고 있으며, 기존 구리 제품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 가능하면서도 더 가벼워 전기차 모터의 경량화 및 고효율화에 적합한 제품입니다.현재 해당 제품은 개발 단계에 있으며, 성공적으로 개발이 완료되면 양산을 거쳐 보그워너 한국지사에 납품할 계획입니다. (라) 모터코어용 용접와이어 개발 동사는 모터 제작에 사용되는 용접 소재를 니켈 합금으로 대체한 이형 용접 와이어 가공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모터는 고정자와 회전자로 구성되며, 회전자에는 영구자석이 장착됩니다. 이때, 회전자 내부에는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구조물인 브릿지(Bridge)가 존재하며, 해당 부위는 용접이 필요합니다.기존 회전자 제작 방식에서는 브릿지부의 용접이 돌출되면서 모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에 현대·기아차는 연구개발을 통해 용접 재료를 니켈 합금으로 변경하면 돌출부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동사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용접 와이어 가공 기술을 공동 개발 중입니다.동사는 현대·기아차가 설계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형상에 맞춰 가공 기술을개발하고 있으며, 향후 현대·기아차의 성능 검증을 거친 후 용접 와이어를 납품할 계획입니다. (3) 사업의 확장가능성 동사는 와이어 산업에서의 오랜 경험과 고품질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제품 변형 발생률을 최소화하여, 일본 등 주요 글로벌 고객사의 높은 품질 기준과 까다로운 승인 과정을 통과하며 장기간 안정적인 거래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량 주문 및 단기 납기와 같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긴밀한 고객 대응을 통해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고객 대응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동사의 와이어 제품은 전자부품, 건설 등 인프라 분야 등 적용처가 다양하여 동사가 계획하고 있는 개발, 양산 등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사업확장성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4) 공모자금 사용계획 동사 공모자금 사용 계획은 증권신고서 『제1 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Ⅴ.자금의 사용목적』 부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라. 재무상황 (1) 재무적 성장성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4년 (제33기) | 2023년 (제32기) | 2022년 (제31기) | 2021년 (제30기) |
매출액 | 68,955 | 55,936 | 66,267 | 4,540 |
증감률 | 23.27% | (15.59%) | 1,359.63% | - |
영업이익 | 5,901 | 3,733 | 7,341 | 1,237 |
증감률 | 58.08% | (49.15%) | 493.45% | - |
당기순이익 | 8,777 | 2,371 | 7,833 | 16,168 |
증감률 | 270.18% | (69.73%) | (51.55%) | - |
주1) 2021년과 2022년은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입니다. |
동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최근 3개년간 전반적으로 성장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2021년 대비 2022년 매출액과영업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2021년 당기순이익은 합병으로 인한 염가매수차익 8,363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편, 2023년 동사의 매출액은 약 55,936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5.59% 감소한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동사의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주거래처 중 하나인 일본의 "K"사가 2022년 Covid-19 팬데믹에 따른 물류대란과 공급망 교란 우려로 인한 재고확보 목적으로 물량 발주를 크게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른 역기저효과로 2023년 상반기까지재고 소진을 위해 추가 발주를 하지 않아 전자부품용 와이어의 매출이 전년 대비 10,331백만원 감소했고, 이로인해 영업이익도 2022년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기저효과 이후 동사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68,955백만원, 5,901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23.27%, 58.08%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여 3개년 전체로 볼 때 전반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2) 재무적 안정성
단위: %, 회, 백만원 |
구분 | 2024년 (제33기) | 2023년 (제32기) | 2022년 (제31기) | 2021년 (제30기) | 업종평균 |
유동비율(%) | 367.10 | 267.29 | 213.84 | 124.21 | 139.23 |
부채비율(%) | 18.41 | 19.32 | 19.93 | 29.92 | 133.06 |
차입금의존도(%) | 3.73 | 3.54 | 3.93 | 9.46 | 30.07 |
재고자산 회전율(회) | 8.41 | 3.43 | 3.96 | 0.51 | 8.47 |
매출채권 회전율(회) | 11.13 | 5.89 | 6.28 | 0.74 | 5.80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484 | 8,438 | 15,056 | 4,009 | - |
특정인에 대한 자금의존 또는 자금 대여 | - | - | - | - | - |
주1) | 업종 평균비율은 한국은행에서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의 ‘C283 절 연선 및 케이블 수치 기준입니다. |
주2) |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주3) | 부채비율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주4) | 차입금의존도 = (장단기차입금 + 유동성장기부채 + 사채) / 자산총계 |
주5) |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액 / [(기초 재고자산 + 기말 재고자산)/2] |
주6) |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액 / [(기초 매출채권 + 기말 매출채권)/2] |
동사의 유동비율은 2021년 124.21%, 2022년 213.84%, 2023년 267.29%, 2024년 367.10%로 업종평균 139.23%을 상회하고 있습니다. 또한, 부채비율은 2021년 29.92%, 2022년 19.93%, 2023년 19.32%, 2024년 18.41%, 차입금의존도는 2021년 9.46%, 2022년 3.93%, 2023년 3.54%, 2024년 3.73%로 업종평균 부채비율과 차입금의존도 각각 133.06%와 30.07%를 하회해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달성하고 있습니다.한편, 최근 3년간 동사의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2021년 4,009백만원, 2022년 15,056백만원, 2023년 8,438백만원, 2024년 6,484백만원을 기록하며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매년 당기순이익의 변동과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과 부채가 변동한 것에 기인합니다. 동사는 매년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을 시현하고 있으며, 동사 거래처 중 부도가 발생한 거래처는 존재하지 않아 영업활동현금흐름과 관련된 위험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3) 재무자료의 신뢰성(가) 감사인의 감사의견
사업연도 | 감사의견 | 감사인 | 채택회계기준 | 감사인 지정 | 수정사항 및 그 영향 | 특기사항 |
2024년 | 적정 | 한영회계법인 | K-IFRS | 2024.10.31 | - | 지정감사 |
2023년 | 적정 | 한영회계법인 | K-IFRS | 2023.11.13 | - | 지정감사 |
2022년 | 적정 | 신한회계법인 | K-GAAP | - | - | - |
2021년 | 적정 | 신한회계법인 | K-GAAP | - | - | - |
동사는 2021년~2022년 신한회계법인으로부터, 2023~2024년은 한영회계법인으로부터 회계감사를 수감하였으며, 최근 사업연도의 감사의견은 모두 적정의견입니다. (나) 감사인의 독립성 외부감사인 및 그 임직원과 동사 간에 감사인의 독립성 훼손을 의심할 만한 이해관계가존재하지 않습니다. 해당 회계법인의 회계감사 관련 임직원은 동사의 주주 또는 친인척 등과 관계가 없으며, 동사의 주식 등을 보유한 사실이 없습니다. 따라서 동사의 감사인 및 감사 관련 인력은 동사의 신고서 관련 재무자료에 대하여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동사의 재무자료는 신뢰성이 확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 K-IFRS 도입현황에 대한 적정성 동사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전환일은 2021년 12월 31일이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채택일은 2022년 12월 31일입니다. 동사는 K-IFRS 도입을 통해 보다 투명한 재무상태와 정확한 경영성과를 공시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했고, 동시에 2023년 및 2024년은 지정감사를 수감하였기에, 동사의 회계인력의 재무업무 능력 및 K-IFRS 재무제표 산출 능력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마. 경영환경 (1) CEO의 자질 정민호 대표이사는 금속공학과 전공 이후 약 고려제강에 입사한 이후 그룹 내 다양한경험을 바탕으로 2014년에 키스트론 대표이사에 취임해 동사가 와이어 분야 전문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과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업으로 나아가도록 경영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성명 | (국문) | 정민호 | (한문) | 鄭 珉 鎬 | (영문) | Jeong Min Ho |
생년월일 | 1961년 11월 27일 | |||||
학 력 | 기 간 | 학 교 명 | 전 공 | 수학상태 | 취득학위 | |
1987년 2월 | 부산대학교 | 금속공학과 | 졸업 | 학사 | ||
경 력 | 근 무 기 간 | 근 무 처 | 업종 | 담당업무 | 최종직위 | |
1986년12월 | 고려제강 | 수영공장 품질관리과 | 품질관리 | 팀장 | ||
1998년 01월 | KSB | 말레이시아 철강선 제조 | 생산총괄 | 공장장 | ||
2004년01월 | 고려제강 | 수영공장 | 생산총괄 | 공장장 | ||
2007년01월 | 고려제강 | Hyrope공장 | 생산총괄 | 공장장 | ||
2008년01월 | 고려제강 | 국내영업 | 영업총괄 | 부문장 | ||
2010년01월 | KJC | 일본내 철강선 판매업 | 경영총괄 | 대표이사 | ||
2014년01월 | 키스트론 | 기타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 경영총괄 | 대표이사 | ||
취임배경 | 고려제강 그룹 내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제조, 해외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진시스템 도입, 키스트론을 세계적인 기업으로의 성장시키기 위함 | |||||
경영 철학 |
시장의 다양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연구 개발,고객만족을 위한 품질향상 및 최상의 서비스구현, 그리고 열정과 창의를 바탕으로 조직내 노사상생 및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발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주1) | KISWIRE SDN. BHD (KSB): 고 려제강 계열로 말레이시아 내 와이어로프 제조 및 판매업 영위 |
주2) | KISWIRE JAPAN CO.(KJC): 고려제강 계열로 일본 내 철강선 판매업 영위 |
(2) 인력 및 조직 경쟁력 동사는 총 99인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대표이사 이하 2개의 사업부(제조사업부와 태양광/임대사업부)와 총 4개의 부문으로 조직화 되어 있습니다. 연구개발, 생산 및 생산관리, 품질관리, 영업, 총무팀과 재무팀, 구매팀, 태양광사업팀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동사가 사업을 영위하는데 필수적은 모든 조직 체계를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어 고객사의 니즈에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이 가능한 조직으로 보여 동사의 사업구조에 적합한 인력과 조직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동사의 조직별 수행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 | 부서 | 업무내용 | |
생산부문 | 생산관리팀 | 생산기획, 분석, 가동계획 등 | |
생산팀 | 생산공정, 설비, 환경관리 등 | ||
품질관리팀 | 품질관리, 고객대응, 표준화 등 | ||
연구소 | 연구,개발, 불량개선 | ||
영업부문 | 영업1팀 | 영업관리, 해외영업관리 | |
영업 2팀 | 해외 / 국내영업관리, 신시장개척 | ||
관리부문 | 총무팀 | 인사,노무관리, 전산관리, 안전보건 | |
재무팀 | 자금 | 자금계획, 자금집행 | |
회계 | 결산, 세무관리, 원가관리, 회계감사 | ||
구매팀 | 구매 및 자재관리 등 | ||
태양광/임대사업부문 | 태양광사업팀 | 태양광 시설, 계약 등 |
(3) 경영의 투명성 및 안정성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이사회는 총 6인(사내이사 3인,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사 이사회 운영규정에따라 적법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2023년 12월 14일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는 감사 업무 수행을 위한 독립성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이사회 견제 및 주주권리 보호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대한 이사회의 독립성은 확보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사회 구성 현황】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의결권있는주식 | 의결권없는주식 | |||||||||||
정민호 | 남 | 1961.11 | 대표이사 | 등기 | 상근 |
경영 총괄 |
부산대 금속공학과 졸업 ('87.02)고려제강 수영공장 품질관리과 입사('86.12)고려제강 국내영업부문장 ('08.01~'09.12)KSJP 대표이사 ('10.01~13.09)키스트론 대표이사 ('14.01~현재) | - | - | - | 11년 3개월 | 2027.12.31 |
권대희 | 남 | 1962.10 | 사내이사 | 등기 | 상근 |
생산총괄 |
울산과학대 공업경영학(학사) ('83.02)국제문화대학원 문예창작학(석사) ('10.02)키스트론 품질관리과 입사 ('94.08)키스트론 생산부문장 ('08.11~현재) | - | - | - | 30년 8개월 | 2027.12.31 |
김상수 | 남 | 1968.12 | 사내이사 | 등기 | 상근 | CFO | 마산상고 졸업 ('87.02)고려제강 경리팀 입사 ('90.06)키스트론 재무팀장 ('08.11~'19.01)키스트론 관리부문장 ('19.02~현재) | - | - | - | 16년 5개월 | 2026.12.14 |
박순욱 | 남 | 1972.01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이사회감사위원회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96.02)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99.02)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상무 ('96.10~'16.10)㈜넥스트핀테크 대표이사 ('16.11~'18.05)우리회계법인 전무이사,한국공인회계사회 내부회계관리제도 연구위원 ('20.08∼현재)키스트론 사외이사 ('23.12~현재) | - | - | - | 1년 4개월 | 2026.12.14 |
이갑성 | 남 | 1977.03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이사회감사위원회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졸업 ('01.0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13.02) 법무법인 디카이온 변호사 ('13.07~'18.12) 국민연금공단 기금분야 자문변호사 ('20.01~'21.12) 서울지방국세청 국제심사위원회 위원 ('21.07~'23.06)법무법인 위즈 변호사 ('19.01~현재) 키스트론 사외이사 ('23.12~현재) |
- | - | 1년 4개월 | 2026.12.14 | |
최시훈 | 남 | 1968.05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이사회감사위원회 |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석사 ('94.02)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박사 ('98.02) Alcoa 기술연구소 USA Micromechanics ('98.03~'00.02) POSCO 기술연구소 자동차소재연구그룹 선임/책임연구원('00.03~'05.03) 순천대학교 첨단부품소재공학과 교수 ('13.06∼현재) 키스트론 사외이사 ('23.12~현재) |
- | - | - | 1년 4개월 | 2026.12.14 |
(4) 경영의 독립성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최대주주인 홍영철은 총 발행주식수의 28.30%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100.00%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6,300,000주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63.64%로 감소하게 됩니다.
구분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공모 전 주식수 | 공모 후 주식수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등 | 홍영철 | 최대주주 본인 | 보통주 | 3,752,520주 | 28.30% | 3,752,520주 | 21.02% |
홍석표 | 최대주주 자 | 보통주 | 3,200,850주 | 24.14% | 3,200,850주 | 17.93% | |
홍희연 | 최대주주 녀 | 보통주 | 1,016,510주 | 7.67% | 1,016,510주 | 5.70% | |
신재명 | 최대주주 사위 | 보통주 | 315,460주 | 2.38% | 315,460주 | 1.77% | |
홍덕산업㈜ | 관계회사 | 보통주 | 3,167,130주 | 23.89% | 2,133,250주 | 11.95% | |
키스와이어홀딩스㈜ | 관계회사 | 보통주 | 940,520주 | 7.09% | 940,520주 | 5.27% | |
고려제강㈜ | 관계회사 | 보통주 | 866,120주 | 6.53% | -주 | 0.00% | |
합계 | 보통주 | 13,259,110주 | 100.00% | 11,359,110주 | 63.64% |
상기와 같이 동사는 상장 이후 최대주주등 지분율이 약 63.64%으로, 공모 후에도 최대주주등이 과반 이상의 지분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안정적인 경영권이 확보되어 있으며, 과거 경영권 분쟁 발생사실이 없어 경영안정성 유지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동사는 최대주주 및 일부 조직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사회를 통한 의사결정을 바탕으로 회사를 운영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운영규정에 따라 적법하게 이사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를 통해 적절한 감시와 견제 기능이 원활히 작동될 것으로판단합니다. 바. 계열회사 현황 동사의 계열회사 현황은 증권신고서 『제2 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Ⅷ.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사. 인수인 또는 인수인의 이해관계인의 투자내역 상장주선인인 신한투자증권㈜ 및 신한투자증권㈜의 이해관계인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동사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과거 투자한 이력 또한 없습니다. 아. 기타 투자자보호 및 증권시장의 건전한 발전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주식회사는 키스트론 주식회사의 주권을 상장하는 것이 투자자보호 및 코스닥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기업의 계속성이나 안정성, 기업지배구조 및 내부통제제도 등의 측면에서 특별한 문제점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건전한 경영 철학과 비전을 바탕으로 상장 후 투자자보호 및 코스닥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비고 |
총 공모금액 | 19,530,000,000 | (1) |
구주매출금액 | 5,890,000,000 | (2)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 | 585,900,000 | (3) |
발행제비용 | 930,929,600 | (4) |
순수입금 | 13,294,970,400 | [ (1) - (2) + (3) - (4) ] |
주1) 상기 금액은 공모가 하단금액인 3,1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거하여 모집 또는 매출하는 주권 총수의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부분입니다. 단, 모집하는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계산근거 |
인수수수료 | 804,636,000 |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의 4.0% |
등록세 | 9,178,000 | 증자자본금의 0.4% |
교육세 | 1,835,600 | 등록세의 20% |
상장수수료 | 5,280,000 | 500만원 + 5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당 7만원 |
상장심사수수료 | 10,000,000 | 자기자본 1,000억원 초과 5천억원 이하 1,000만원 |
기타비용 | 100,000,000 | IR 비용, 공고비용, 등기비용 등 |
합계 | 930,929,600 | - |
주1)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는 총 발행금액(공모금액 및 의무인수금액 포함)의 4.0% 에 해당하는 804,636,000원을 지급합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 이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은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만, 아래의 자금 사용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안정성 높은 금융상품에 예치하여 일시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13,295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향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연구개발)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 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101 | - | - | 101 |
인허가 및 사업설계 | 101 | - | - | 101 | ||
설비 도입(용해로, 용탕로, 압연) 및 부대시설 공사 | - | 4,547 | - | 4,547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 | - | 800 | 800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400 | 400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168 | 168 | ||
소계 | 202 | 4,547 | 1,368 | 6,117 | ||
운영자금 (연구개발)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개발 | 증착설비 구매 (25년 1대, 26년 2대, 27년 3대) | 511 | 1,023 | 1,534 | 3,068 |
소계 | 511 | 1,023 | 1,534 | 3,068 | ||
기타 연구개발 투자 | FE-SEM 구매(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 511 | - | - | 511 | |
공초점 현미경 구매,연구인력 채용, 재료비 등 | - | 511 | - | 511 | ||
인장시험기 구매연구인력 채용 등 | - | - | 512 | 512 | ||
소계 | 511 | 511 | 512 | 1,534 | ||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 | - | 53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100 | - | - | 100 | ||
검사, 평가 설비 고도화 | - | 100 | 100 | 200 | ||
양산 설비 구축 | - | 405 | 200 | 605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205 | 205 | ||
소계 | 303 | 505 | 505 | 1,313 |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55 | - | 108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50 | - | - | 50 | ||
양산 설비 구축 | - | 450 | 304 | 754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100 | 100 | ||
성능개선 및 신뢰성 테스트 | - | - | 101 | 101 | ||
소계 | 253 | 505 | 505 | 1,263 | ||
합 계 | 1,780 | 7,091 | 4,424 | 13,295 |
주)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가) 시설자금 동사는 공모로 조달된 자금 중 고순도 알루미늄 및 합금 제품 제조에 필요한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약 6,117백만원의 자금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1)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자동차 부품 소재로 알루미늄의 활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환경기구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규제 강화와 함께 친환경차 개발 및 차량 경량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까지 67%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일반 강판(Mild Steel)의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고장력강판(HSS) 및 알루미늄(Aluminum)의 사용 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철(7.87)과 구리(8.9)에 비해 약 1/3 수준으로 가벼운 금속이며, 공업용 금속 중 마그네슘 다음으로 가벼운 소재입니다. 또한, 합 금 원료 조합에따라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 어 우수한 소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높은 원자재 가격으로 인해 자동차 업계에서 주요 부품 소재로 사용하기에 부담이 있었지만, 최근 친환경차 보급 확대, 연비 개선 요구, 차량 경량화 트렌드 강화 및 기술 발전과 함께 알루미늄 원자재 가격 경쟁력도 높아지면서 철에서 알루미늄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단순한 경량화 효과뿐만 아니라 비강도(무게 대비 강도), 내식성, 열전도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의 설비 변경이 최소화된다는 장점 덕분에 주요 자동차 부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선재, 봉재, 형재 등) 제조를 위 한생산기지로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며, 현재 사업계획서 검토 단계에 있습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자사 알루미늄 제품 의 원재료로 활용되며, 다양한 합금 제품은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알루미늄 가공에는 막대한 전력이 소요되며, 전력비는 생산원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베트남은 전기요금이 한국 대비 약 50% 수준으로 낮고, 인건비 역시 중국 및 태국보다 저렴해 원가 절감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벗어나 베트남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고 있으며, 동사 또한 이러한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자 베트남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베트남 공장을 통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알루미늄 수요처를 적극 확보하고, 원가 경쟁력 제고 및 글로벌 시장 내 입지 강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사업화 시 기대되는 효과로 당사 알루미늄 리드와이어 원소재에 대한 수급 안정화 및 자동차 경량화 부품(볼트, 너트, 피스톤 등)판매와 전선용 선재(한국전력 교체 수요 대응)을 통한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 2025년 현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부흥이라는 목표 하 광범위한 관세조치를 단행했으며, 미국의 관세 정책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5년 4월 2일 미국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와 미국이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주요 교역 국가(57개국)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베트남 46%, 한국 25% 등)했습니다. 보편관세는 4월 5일, 상호관세는 4월 9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4월 9일 미국은 미국에 보복조치를 시행한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 시행을 90일 연기하고 국가별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유예 기간 중에는 10% 기본 관세만을 부과합니다.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약 베트남 공장설립을 전면 재검토하게 될 경우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제조에 활용할 공모자금은 다음과 같이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모터/변압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 활용 방안]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주요 내용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구리 스크랩 기반 동로드및 가공제품(모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수립 - 국내외 권선용 동로드 및 전선케이블 시장 수요 분석- 구리 원자재가격 및 수급 동향 조사 |
500 | - | - | 500 |
스크랩 구리 가공을 위한 용해 및 전처리 설비 도입- 용해로 2기 구축- 전처리, 선별 설비 구축 | - | 2,200 | - | 2,200 | ||
동로드 및 권선용 설비 도입 및 검사설비 도입- 동로드 압연, 권선용 가공 설비 도입- 공정 자동화 및 검사 설비 도입, 신뢰성 시험센터 구축 | - | - | 3,417 | 3,417 | ||
소계 | 500 | 2,200 | 3,417 | 6,117 |
주1) 사업추진 배경 -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등으로 리사이클 소재 수요 증가 전망- 구리 가격 상승(예: Goldman Sachs, 2030년 톤당 13,000달러 이상 전망)에 따른 원자재 수급 불안정- 전기차,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전력망 확충 등 구리 수요 급증 산업 확대- 동로드부터 권선·케이블 등으로 이어지는 고부가가치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 필요주2) 투자 기대 효과 - 원자재 조달 경쟁력 강화: 구리 가격 상승에 대응하는 스크랩 활용 기반 확보- 제조 원가 절감 및 친환경 이슈 대응: 스크랩 구리 사용 확대 통한 ESG 관점 강화-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의 수직 계열화 실현: 동로드 → 권선용 가공품 → 케이블로 이어지는 제품 다변화- 공급망 리스크 완화: LS MnM 등 국내 정제동 의존도 일부 축소
(나) 운영자금 당사는 공모로 조달된 자금 중 약 7,178백만원의 자금은 신사업을 위한 연구개발에 투입해 사용할 계획입니다. (1)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
동사는 기존 자동차 시트 열선용 구리합금 도체를 대체할 MCF(Metal Coated Carbon Fiber) 도체를 신규 개발 중입니다. MCF 도체는 직경 7마이크로미터 내외의 탄소섬유 다발에 금속을 코팅한 고기능 융복합 첨단소재로, 탄소섬유의 경량성과 금속의 전도성을 동시에 확보한 것이 특징입니다. MCF 도체는 구리 도체 대비 경량화가 가능하고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 위험성 감소, 전자파 차폐 성능, 원적외선 방출에 따른 항균·온열 효과 등을 제공할 수 있어 차세대 열선용 도체로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현대자동차의 투싼 모델에 대한 요구사양을 확보하여 시제품 실증평가를 진행 중입니다. 실증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기존 구리-주석 열선을 대체하는 MCF 도체의 양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해당 제품은 향후 항공·우주·군용 등 고부가 산업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으며, 국내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의 전기차 신모델 적용을 목표로하고 있습니다. 현재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당사는 전기차 부품의 경량화, 저전력 고기능 발열선 개발, 전자파 차폐 하네스 개발, 비금속 기반의 고기능 복합소재 코팅 기술 확보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자동차 시트 열선용 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고, 2026~2027년에는 자동차 신호전선 분야로 확대 적용하여 제품 개발 및 양산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입니다. (2)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발 동사는 전기차용 모터 권선에 사용되는 기존 구리 도체를 대체할 수 있는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을 개발 중입니다. CCA 각선은 알루미늄을 중심으로 표면에 구리를 도금한 복합 도체로, 기존 구리 대비 가볍고 가격 경쟁력이 높은 동시에 일정 수준의 전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입니다. 기존 모터 권선에는 주로 단면이 원형인 구리 와이어가 사용되며, 이를 여러 번 감아 슬롯에 삽입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이 경우 슬롯 내 빈 공간이 발생하여 공간 효율이 떨어지고, 자기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반면, 단면이 각형인 '헤어핀형 와이어'는 슬롯을 빈틈없이 채울 수 있어 자기 효율이 증가하고, 모터 성능 향상에 기여합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등 고효율이 요구되는 응용 분야에서는 헤어핀 와이어가 점차 주력 권선 방식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용 모터는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여 정밀하고 빠른 제어를 실현하고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표피효과(Skin Effect)로 인해 전류는 도체의 외부를 따라 흐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특성은 도체 전체가 순수 구리일 필요성을 낮추고, 표면에만 구리를 갖춘 도체(예: CCA)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적 근거가 됩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초기 단계이나, 보그워너(BorgWarner)의 한국지사 및 포항소재 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CCA 기반의 단면 각형 헤어핀 도체를 개발을 통해, 전기차 모터 경량화와 원가 절감, 고효율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소재로의 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3) 모터코어용 용접와이어 개발 동사는 전기차 및 고효율 모터 제조에 사용되는 이형(異形) 용접 와이어의 가공 기술을 개발 중이며, 기존 용접 소재를 니켈 합금으로 대체하는 기술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모터는 일반적으로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or)로 구성되며, 회전자에는 영구자석(Permanent Magnet)이 장착됩니다. 이때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구조물인 브릿지(Bridge) 부위에는 용접이 필요합니다. 기존에는 브릿지 용접 시 용접부가 돌출되면서 회전자의 기하학적 비대칭이 발생하고, 모터 성능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 재료를 니켈 합금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사업 진행 단계는 초기 논의 단계로서 동사는 현대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이형 용접 와이어의 가공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대차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본 과제를 통해 당사는 고효율·고정밀 전동화 부품 제조에 대응 가능한 핵심 용접 소재 기술력을 확보하고, 관련 기술의 전기차용 모터 부품 적용 및 양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4) 기타 연구개발투자 동사는 중장기 연구개발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모자금 중 일부를 기타 연구개발 투자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우선, 연구 환경 개선을 위한 분석 장비의 최신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FE-SEM(주사전자현미경), XRF(형광분석기),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조도 분석용), 유니버셜 인장시험기(피로, 압축, 항복강도 측정 등)의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재 및 제품의 구조·물성 분석 역량을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또한, 공동 및 위탁 연구를 통한 신규 기술 확보를 추진합니다. 주요 과제로 전동 모터 권선용 도체 시장 진입을 위한 절연코팅 기술 개발, 변압기 권선 시장 진입을 위한 이형 압연 기술 개발 등이 있으며, 외부 연구기관 및 협력업체와의 공동 개발을 통해 신속한 기술 상용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연구개발 추진 역량 강화를 위해 석사급 이상 전문 연구 인력을 신규 충원하여 내부 기술 개발 역량도 함께 제고할 예정입니다.
다. 기타사항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에 대하여 상기에 명시한 목적 및 계획에 따라 집행할 계획입니다. 현재 당사는 매월 자금수지계획을 수립하여 현금흐름을 관리하고 있으며, 자금의 집행과 운용은 위임 전결 규정에 따라 실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공모자금 또한 동일한 내부 규정 및 통제 절차에 따라 집행 및 운용할 계획입니다.
1.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안정조작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 - | - | - | - |
비상장 | 1 | - | 1 | - | - |
합계 | - | - | - | - |
주1)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연결대상회사는 없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XI. 상세표 -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고려전공유한회사(동관)(구)키스트론(주)가 100% 지분을 소유하고 있는 종속회사인 중국 고려전공유한회사(동관)을 2021년도에 (구)키스트론 흡수합병으로 인하여 100% 당사의 자회사가 되었습니다. 2023년 3월 이사회에서 매각 결정 후 2023년 7월 28일 동관시흥창환경보호바이오텍유한공사에 매각 계약을 진행하였고, 2024년 5월 14일에 매각 완료되었습니다. |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연결 | - | - |
- | - | |
연결제외 | 고려전공유한공사 | (*1) |
- | - |
(*1) 회사는 2023년 7월 26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의 매각을 결정하였으며, 당기 중 매각을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당기말 현재 회사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없습니다.이에 따라 회사는 '연결재무제표'와 '별도재무제표' 작성 의무가 없습니다. 다만, 당기와 전기 중 종속기업이 존재하던 기간까지는 종속기업의 손익 등을 연결기준으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였습니다.
종속기업 | 소재지 | 당기말 지배지분율 | 전기말 지배지분율 | 결산월 | 업종 |
---|---|---|---|---|---|
고려전공유한공사 | 중국 | - | 100% | 12월 | 제조업 |
당기 중 매각이 완료된 종속기업에 대해서 전기말 매각예정자산 및 부채로 분류하였으며, 당기 처분으로 인하여 중단영업손익 1,862,364천원을 인식하였습니다 (재무제표 주석 33참조).
나.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키스트론 주식회사" 라고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KISTRON CO., LTD." 라고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1992년 11월 27일 설립되었습니다. 당사는 별도의 존속기간을 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및 홈페이지
구 분 |
내 용 |
---|---|
주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원시동) |
전화번호 |
031-491-6501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kistron.com/ |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1) 당사는「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의거한 중소기업에 해당됩니다.
유형 | 유효기간 | 발행번호 | 확인기관 |
---|---|---|---|
중소기업 | 2024.04.01 - 2025.03.31 | 0010-2024-423792 | 중소벤처기업부 |
바.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대표자), 주소 및 연락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관한 간략한 설명
'키스트론 주식회사'는 전자 부품용 소재와 케이블용 도체 분야의 선도적인 전문 기업입니다. 전자부품용 소재의 경우, 수입에 의존하던 리드와이어를 국산화 하는데 성공했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여 현재 내수/수출 비율(내수 11.37%, 수출 89.82%)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통해 구리 대체재 분야인 Detonator(뇌관)와 Trace(지하 매설관 추적)의 도체 와이어, 접지선(건물/전기 설비 낙뢰 보호)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재 키스트론은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 확장, 노후 송전선 교체 등 증가하는 구리 수요와 강화되는 탄소 저감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재생구리를 사용한 원소재의 생산과이를 이용한 전력 및 통신케이블 제조 체계를 갖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 성능 향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모터용 구리 코팅 알루미늄 권선 와이어(CCA), 모터코어용 용접 와이어, 금속 코팅 탄소 섬유(MCF)등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고순도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사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당사 정관에 나와있는 주요 목적사업은 다음과 같으며, 기타 자세한 사항은 동 공시서류의 "II.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정관에 기재된 사업목적] |
목 적 사 업 | 비 고 |
---|---|
1. 자회사의 지배내지 경영관리 등 지주사업 2. 부동산임대업 3. 수출입업 4.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 5. 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 제조 및 판매 6.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 7. 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 제조 및 판매 8.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 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 9. 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 10. 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 11. 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 12. 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 13. 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 14.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15.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판매, 서비스업 16. 각호에 연관되는 부대사업 |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 정관 제2조 (목적)
|
1. 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제조업 |
회사가 영위하고 있지 않은 사업 정관 제2조 (목적) |
아.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평가기준일 | 재무기준일 | 평가기관 | 신용평가등급 | 유효기간 |
---|---|---|---|---|
2022.06.03 | 2021.12.31 | (주)이크레더블 | BB | 2023.06.02 |
2023.05.04 | 2022.12.31 | (주)이크레더블 | BBB+ | 2023.05.03 |
2024.09.04 | 2023.12.31 | (주)이크레더블 | BBB | 2024.05.10 |
[신용평가등급의 정의] |
신용등급 | 기업평가등급의 정의 | |
---|---|---|
AAA | AAA | 채무이행 능력이 최고 우량한 수준임 |
AA | AA+ | 채무이행 능력이 매우 우량하나, AAA 보다는 다소 AA 열위한 요소가 있음 |
AA | ||
AA- | ||
A | A+ | 채무이행 능력이 우량하나,상위등급에 비해 경기침체 및 환경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움 |
A | ||
A- | ||
BBB | BBB+ | 채무이행 능력이 양호하나,장래경기침체 및 환경변화에 따라 채무이행 능력이 저하 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음 |
BBB | ||
BBB- | ||
BB | BB+ | 채무이행 능력에 문제가 없으나,경제여건 및 시장환경 변화에 따라 그 안정성면에서는 투기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BB | ||
BB- | ||
B | B+ | 채무이행 능력이 있으나,장래의 경제 환경 악화시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있어 그 안정성면에서 투기적임 |
B | ||
B- | ||
CCC | CCC+ | 현재시점에서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매우 투기적임 |
CCC | ||
CCC- | ||
CC | 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C | 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
D | D |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
NCR | NCR | 허위 및 위/변조자료 제출 등 부정당한 행위가 확인되어 기존의 등급을 취소·정지·변경 |
자. 『상법』제290조에 따른 변태설립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 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사항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현황 |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유형 |
---|---|---|
- | - | 해당사항 없음 |
가. 회사의 연혁 (1) 회사의 설립일 및 주요 연혁 당사 설립일은 1992년 11월 27일입니다. 설립일 이후 주요 연혁은 아래와 같습니다.
년도 | 월 | 내 용 |
1992 | 11 | 회사 설립(舊 홍덕제선 주식회사) |
1992 | 12 | 사명변경: (변경전) 홍덕제선(주) → (변경후) 舊 홍덕스틸코드㈜ |
1995 | 4 | 스틸코드 공장 가동 |
1996 | 7 | 비드와이어 공장 가동 |
1998 | 6 | ISO 9001 인증 취득 (한국품질인증센터) |
1999 | 3 | “수출유망중소기업” 선정 (중소기업진흥공단) |
1999 | 4 | 경기유망중소기업” 선정 (경기도) |
1999 | 7 | QS-9000 인증획득 |
2000 | 8 | ISO 14001 인증획득 |
2000 | 11 | 무역의 날 “1천만불 수출탑” 수상 |
2001 | 3 | 성실납세자 표창 [재경부장관] |
2004 | 7 | ISO / TS16949 인증획득 |
2005 | 10 | 무역의 날 “2천만불 수출탑” 수상 |
2006 | 12 |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선정 |
2007 | 11 | 제44회무역의날 “삼천만불 수출탑” 수상 (대통령) |
2010 | 3 | 모범납세자 표창 수상 [기획재정부장관] |
2011 | 11 | 녹색기술인증 획득 |
2011 | 12 | 세계일류상품인증 획득 (지식경제부) |
2017 | 4 | 뿌리기술 전문기업 지정 (중소기업청) |
2018 | 12 | IA-TF인증 획득 (한국품질재단) |
2020 | 10 | 합병: 석천은 석천솔라파워주식회사를 합병 |
2020 | 10 | 합병: 홍덕산업이 홍덕㈜를 합병 |
2021 | 12 | 키스트론 주식회사 합병 |
2021 | 12 | 상호변경 : 석천 주식회사 → 키스트론주식회사 |
나.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설립 시점부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의 본점소재지 변경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월 | 내 용 |
---|---|---|
1992 | 11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대각리 758번지 |
2012 | 7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63, 21층(장교동,장교빌딩) |
2021 | 12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원시동) |
다.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최근 5사업연도 중 당사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2020년 10월 05일 | 임시주총 | 사내이사 이태준사내이사 김주원 | ||
2021년 3월 30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권종태사내이사 홍석표 | ||
2021년12월31일 | 임시주종 | 사내이사 정민호사내이사 권대희 | 사내이사 김주원 | |
2022년 3월 30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김주원 | 사내이사 홍희연감사 김상홍 | 사내이사 홍석표 |
2023년 3월 30일 | 정기주총 | 사내이사 이태준 | ||
2023년 12월 14일 | 임시주총 | 사내이사 김상수사외이사 이갑성사외이사 박순욱사외이사 최시훈 | 사내이사 권종태사내이사 홍희연사내이사 김주원사내이사 이태준감사 김상홍 |
라.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는 최근 5사업연도 중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된 내역이 없습니다.
마. 상호의 변경 설립 시점부터 증권시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당사 및 종속회사의 상호 변경 이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년도 | 월 | 일 | 변경 전 | 변경 후 |
1992 | 11 | 27 | 홍덕제선 주식회사 | |
1992 | 12 | 3 | 홍덕제선 주식회사 | 홍덕스틸코드 주식회사 |
2012 | 1 | 2 | 홍덕스틸코드 주식회사 | 석천 주식회사 |
2021 | 12 | 31 | 석천 주식회사 | 키스트론 주식회사 |
바. 합병, 기업분할, 영업양수도 등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내용
년도 | 월 | 일 | 내 용 | |
---|---|---|---|---|
2021 | 12 | 31 | 추진배경/ 목적 | 석천㈜는 투자부문, 부동산임대업, 태양광 발전사업과 함께 전자 부품용 소재와 케이블용 도체 분야에 사업확장을 위해 키스트론을 합병하였으며 키스트론㈜ 이름으로 제품을 구매해온 거래선의 혼동을 방지하고 브랜드 가치를 고려하여 “키스트론” 이름을 유지 |
주요 변경사항 | 키스트론 흡수합병 |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제33기 (2024년말) |
제32기(2023년말) | 제31기(2022년말) | 제30기(2021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13,259,110 | 13,259,110 | 1,325,911 | 1,325,911 |
액면금액 | 500 | 500 | 5,000 | 5,000 | |
자본금 | 6,629,555,000 | 6,629,555,000 | 6,629,555,000 | 6,629,555,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합계 | 자본금 | 6,629,555,000 | 6,629,555,000 | 6,629,555,000 | 6,629,555,000 |
가. 주식의 총수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100,000,000 | - | 100,000,000 |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13,259,110 | - | 13,259,110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 | - | - | |
1. 감자 | - | - | - | ||
2. 이익소각 | - | -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4. 기타 | - | -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13,259,110 | 13,259,110 | - | ||
Ⅴ. 자기주식수 | - | -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13,259,110 | 13,259,110 | - |
주1) | 당사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정관 제5조에 의거 보통주식 발행 한도입니다.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종류주식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정관의 최근 개정일 당사 최근 정관 개정일은 2023년 12월 14일로 임시주주총회(2023.12.14 개최) 에서 변경되었습니다 나.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 변경사항 | 변경 이유 |
---|---|---|---|
2021년 12월 31일 | 임시주주총회 | ① 상호 변경- 키스트론 주식회사② 정관 일부 변경- 사업목적 추가: 전자 통신 부품 제조 및 판매업, 전자 부품 제조 및 판매업 등 | - 키스트론㈜를 합병한 후 거래선의 혼동을 방지 및 브랜드 가치를 고려해 석천㈜에서 키스트론㈜로 상호 변경- 키스트론 합병으로 인한 사업영역 다각화를 위해 사업 목적 추가 |
2023년 3월 30일 | 제31기 정기주주총회 | ①정관일부 변경- 제5조(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로 한다. - 제6조 (1주의 금액): 당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1주의 금액은 500원으로 한다. | - 상장을 위한 정관 정비 |
2023년 12월 14일 | 임시주주총회 | ① 정관일부 변경- 상장 준비에 따라 표준 정관으로 변경 | - 상장을 위한 정관 정비 |
다. 사업목적 현황
구분 | 목 적 사 업 | 비고 |
---|---|---|
1 | 자회사의 지배내지 경영관리등 지주사업 | 영위 |
2 | 부동산임대업 | 영위 |
3 | 수출입업 | 영위 |
4 |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 | 영위 |
5 | 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 제조 및 판매 | 영위 |
6 |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 | 영위 |
7 | 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 제조 및 판매 | 영위 |
8 |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 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 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 | 영위 |
9 | 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 | 영위 |
10 | 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 | 영위 |
11 | 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 | 영위 |
12 | 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 | 영위 |
13 | 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 | 영위 |
14 |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영위 |
15 |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판매, 서비스업 | 영위 |
16 | 각호에 연관되는 부대사업 | 영위 |
17 | 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제조업 | 미영위 |
라. 사업목적 변경 내용 (1) 사업목적의 변경
구분 | 변경일 | 사업목적 | |
변경 전 | 변경 후 | ||
추가 | 2021.12.31 | 1. 자회사의 지배내지 경영관리등 지주사업2. 부동산임대업3. 초경다이스 수리, 제조,판매업4. 초경분말제조업5. 다이아몬드다이스 수리, 제조, 판매업6. 수출입업 | 1. 자회사의 지배내지 경영관리등 지주사업2. 부동산임대업3. 초경다이스 수리, 제조,판매업4. 초경분말제조업5. 다이아몬드다이스 수리, 제조, 판매업6. 수출입업7.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8. 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제조 및 판매9.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10. 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제조 및 판매11.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12. 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13. 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14. 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15. 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16. 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 |
수정 | 2023.12.14 | 1. 자회사의 지배내지 경영관리등 지주사업2. 부동산임대업3. 초경다이스 수리, 제조,판매업4. 초경분말제조업5. 다이아몬드다이스 수리, 제조, 판매업6. 수출입업7.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8. 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제조 및 판매9.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10. 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제조 및 판매11.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12. 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13. 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14. 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15. 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16. 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 | 1. 자회사의 지배내지 경영관리등 지주사업2. 부동산임대업<삭제><삭제><삭제>3. 수출입업4.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5. 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제조 및 판매6. 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7. 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제조 및 판매8. 태양광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 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9. 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10. 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11. 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12. 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13. 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14.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15.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판매, 서비스업16. 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제조업17. 각호에 연관되는 부대사업 |
(2) 사업의 목적 변경 사유
변경일 | 변경 취지 및 목적, 필요성 | 사업목적 변경 제안 주체 | 해당 사업목적 변경이 회사의 주된 사업에 미치는 영향 등 |
2021.12.31 | 2020.10 석천솔라파워 주식회사 합병과 2021.12 구 키스트론 주식회사를 합병함에 따라 피합병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무문을 당사정관 사업 목적에 추가 | 이사회 | 전자부품 제조(와이어) 및 태양광 사업 등을 통한 사업포트폴리오 다각화, 매출 증대 등 |
2023.12.14 | 당사 사업계획상 다이스 수리, 제조, 판매업을 더이상 영위하지 않게 됨에 따라 정관상 사업 목적에서 삭제 | 이사회 | 비주력 사업인 다이스 관련 사업을 정리하고, 주력 사업 부문에 집중해서 주력 사업무문의 경쟁력 강화 |
(3) 정관상 사업목적 추가 현황표
구 분 | 사업목적 | 추가일자 |
---|---|---|
1 |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제조 및 판매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제조 및 판매태양광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 | 2021.12.31 |
2 |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판매, 서비스업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제조업각 호에 연관되는 부대사업 | 2023.12.14 |
4) 추가된 사업의 내용과 전망
구 분 | 사업목적 | 진출목적 | 시장의 특성 및 성장성 | 사업 추진현황 | ||||
진행유무 | 조직 및 인력 | 사업 현황 | 기존 사업과의 연관성 | 향후 계획 | ||||
1 | 태양광발전소 건설 및 운영업태양전지(모듈포함)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개발,제조 및 판매태양광 및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설계 및 판매업태양전지를 이용한 응용제품 개발,제조 및 판매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대체에너지발전시스템에 사용되는 전력변환기,인버터, 충전기의 개발, 제조 및 판매신재생에너지관련 부품 제조, 판매업전력용케이블 제조,판매업 | 2020년 10월 5일 석천솔라파워 주식회사 흡수합병으로 인해 해당 사업영위 | 태양광 발전사업은 전력거래가격(SMP) 및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격이 정부 정책, 발전사와의 계약 구조 등에 의해 일정 부분 통제되고 REC 단가 조정, 장기 전력구매계약(PPA) 체결, 고정가격입찰제도 등을 통해 어느정도의 가격 안정성이 확보되고 있으나, 당사의 주된 사업부문은 아님 | 진행 중 | 태양광사업팀 1명 | 당사 주력사업이 아니며, 주로관계회사 공장지붕을 임차 후 발전설비를 설치해 운영 중. 2024년 기준 매출은 4,405백만원이며 매출 비중은 6.39% | 현재 당사의 주력 사업부문에 해당되지 않음 | 지속진행 |
1 | 전자 통신 부품 제조, 판매업전자 부품 제조, 판매업통신용 케이블 제조, 판매업 | 2021년 12월 30일 舊 키스트론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함에 따라 해당 사업영위 |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전자기기의 복잡성 및 다양성 증가로 인해 수요 확대 중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자원개발용 등 인프라 도체로서 활용 중이며, 전방 인프라 투자 확대에 따라 수요가 견조하게 유지 중 | 진행 중 | 생산부문 79명영업부문 5명 | 전자부품용 와이어 및 케이블용 와이어를 생산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매출은 63,288백만원이며 매출 비중은 91.78% | 현재 당사 주력 사업부문으로 국내 유일의 동복강선 업체로 산업 및 국가별로 다양한 규격과 인증을 충족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품질 기준을 충족하고 장기 거래관계 유지 중 | 지속진행 |
2 |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 판매, 서비스업전기용 탄소제품 및 절연제품 제조업각 호에 연관되는 부대사업 | 신규사업 진출을 통해 지속성장 도모 | 1. 알루미늄의 경우 경량화의 트렌드에 따라 알루미늄의 소재 활용 범위 확장 및 전력 장치에 필요한 알루미늄 전해 캐퍼시터 수요 확대 중2. MCF(금속탄소섬유)는 전기용 탄소 제품으로 탄소의 경량성과 금속의 전도성을 동시에 보유한 소재로 자동차의 시트 열선 등에 활용이 가능해 구리 도체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 | 진행 준비 중 | 미정 | 공모자금을 활용해 사업을 진행할 계획 중 | 1.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알루미늄 소재의 내재화로 인한 원가경쟁력 확보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를 통한 사업다각화2. MCF(금속탄소섬유)개발 및 상용화로 인한사업다각화 | 향후 추진 예정 |
【주요 용어】 |
구분 | 용어 | 설명 |
---|---|---|
와이어 제조 | 동복강선 | 철선에 구리(동)를 입힌 선 |
CP와이어 | Copper Plating와이어의 약자로 철선에 구리층을 전기적으로 도금하는 방법으로 제작한 동복강선 | |
CCS | Copper Clad Steel의 약자로 철선에 구리를 물리적으로 압착하여일체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작한 동복강선 | |
연강선재 | 탄소함량이 0.22%미만인 저탄소강(鋼) | |
경강선재 | 탄소함량이 0.22%이상인 고탄소강(鋼) | |
도체 | 전기 및 열(熱)이 잘 통하는 도전성 물질 | |
전도율 | 도전율이라고도하며, 물질에서 전류가 잘 흐르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전기를 전달하는 능력이 높을수록 전기손실이 없이 전달이 가능함 | |
IACS | 상온에서 가공한 구리선을 약 600℃의 가열로에서 열처리하여 서서히 식혀 만든 연동(annealed copper)의 20℃에서의 전도율 58 MS/m를 100% IACS로 정하고, 다른 전도체의 전도성을 상대 비교하기 위해 % IACS 단위로 나타낸 것 | |
연신율 | 금속이 끊어지지 않고 최대로 늘어나는 비율임. 최대로 늘어난 길이와 원래 길이의 차를 원래 길이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냄. | |
전해액 | 이온의 흐름으로 전기를이동시키는 액체 상태의 물질 | |
전자부품용와이어 | PCB 기판을 연결함으로써 각종 전자부품의(캐패시터, 인덕터, 저항, 다이오드 등) 원활한 기능을 위한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갖춘 인입선 | |
PCB (Printed Circuit Board) | 반도체와 전자 기기가 PCB 상에 부착되고 서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지원하는 역할 | |
케이블용 와이어 | 철선에 구리도금을 한 동복강선으로, 통신, Detonator, Trace wire의 도체로 사용되며, 접지용으로도 사용 | |
디토네이터(Detonator) | 뇌관이라고도 부르며, 본 화약에 점화, 기폭시키는 장치.키스트론 Detonator 용 와이어는, 이 뇌관을 발파시키기 위해 신호를 전달하는 도화선의 용도로 사용 | |
트레이서(Tracer) | 지하에 매설된 가스관, 수도관, 통신선 등을 추적하기 위해 함께 매설하는 Wire의 도체로, 신호전송이 주 목적 | |
접지 | 누설전류를 안전하게 지하로 전송하는 것으로 주로 건물 등의 구조물을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함 | |
리드선(인입선) | 전원부와 전력수요부품을 연결한 선으로 전원부의 전력을 전력수요부품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선 | |
용융도금선 | Whisker-free 특성과 함께 강한 내열성을 가지고, 도금두께가 균일한 제품 | |
휘스커(Whisker) | 금속 표면에 금속 단결정이 자연적으로 성장하는 현상을 말하며, 주로 주석(Sn) 도금에서 발생. 휘스커라는 단어가 고양이나 쥐 등의 수염을 의미하듯 금속 결정이 바늘 형상으로 성장하여, 전자부품의 단락(쇼트)을 유발하여 고장의 원인 | |
세물신선 | 내열성, 내구성, 전자파 차단능력이 탁월하여 자동차의 시그널 케이블을 비롯 우주항공, 자동화 등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극세선(0.1mm) 제품 | |
캐패시터(콘덴서) | 캐패시터는 전기를 축적하거나, 직류 신호를 차단하고 교류 신호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지닌 전자부품 | |
수동부품 | 전기 장치 내에 특정한 에너지를 공급받지 않고도 특유의 동작을 하는 부품으로 저항, 캐패시터, 인덕터 등이 있음. 능동부품인 증폭기, 다이오드 등에 상대되는 개념 | |
권선(MagnetWire) | 전류를 흘려 자속을 발생시키거나 서로 결합하도록 설계된 코일 | |
CCA | Copper Clad Aluminum의 약자로 알루미늄 중심선 주위에 동박을 입힌 선재 제품 | |
점적율(Fill factor) | 권선 슬롯 면적에 대한 도체 단면적 비율로, 점적율이 높을수록 자기력이 커져 모터의 효율이 증가 | |
유전체 | 전기장 안에서 극성을 지니게 하여 전기를 잘 통과하지 못하게 하는 물질로 절연체라고도 불림 | |
신선공정 | 인발(Drawing)이라고도 하며, 재료를 당겨서 가늘고 길게 만드는 공정 | |
피복 | 어느 재료를 다른 재료로 덮어 씌운 얇은 층 | |
내식성 | 금속 부식에 대한 저항력 | |
전기동 | 전기분해를 통해 정련된 순도99.98% 이상의 구리로 전기도금을 할 때 양극으로 사용됨 | |
동도금 모선 (철선 + 동도금) | 철선에 전기도금을 한 와이어로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 모두 사용 | |
LME | 런던금속거래소(London Metal Exchange)로 여기서 정해지는 금속시세가 전세계 금속 거래 가격의 기준 | |
스크랩동 | 재활용 동. | |
MCF | 금속도금탄소섬유(Metal Coated Carbon Fiber)이며, 구리 도체 대비 가볍고 소비전력과 화재위험성이 적음. 자동차 시트 열선용, 신호전선으로 적용분야 확대 | |
태양광 발전 | 태양광 모듈 | 태양전지인 셀을 여러 개 모아놓은 태양전지판 |
PCS(인버터) | 태양전지 패널에서 발생한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장치로 한국전력의 송전계통에 연결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치 | |
계통연계형발전 | 독립형 발전시스템(off-grid solar)과 상대되는 개념으로 온그리드솔라(ongridsolar)라고도 불리며, 한국전력과 전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생산한 전기를 한국전력으로 보낼 수 있음 | |
SMP | 전력수요와 전력공급이 교차하는 전기시장가격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시간대별 전기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발전단가가 낮은 발전기(원전, 석탄, LNG, 유류 순)부터 순차적으로 투입 시 최종 투입되는 발전기의 변동비 값. | |
공급인증서(REC) |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공급한 사실을 증명하는 인증서 | |
현물거래 | 전력거래소에서 정해지는 가격(시장가격)으로 거래하는 것 | |
전력수급계약(PPA) | 전력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거래지침에 따라 발전사업자와 한전(또는 전력거래소)간 전력계약을 체결하여 발전설비를 건설하고 계약에서 정한 내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제도 중 하나임. | |
고정가격계약 입찰제도 | REC를 거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전력거래소를 통하지 않고한국에너지공단에서 주관하는 고정가격계약 입찰제도를 이용하여 수요기관과 장기계약을 체결하는 제도 | |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RPS제도) | 특정 발전사업자의 총 발전량 중 일정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REC를 구매하는 경우에도 구매한 REC의 용량만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충족하는 것으로 인정해 줌. |
당사는 1992년 설립 이후 전자부품용 와이어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시현하고 있으며, 케이블용 와이어를 통해 고성장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였습니다. 이 밖에태양관 발전, 임대사업을 영위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당사의 와이어 제품군은 크게 "전자부품용 와이어"와 "케이블용 와이어"로 구분됩니다.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가전제품부터 자동차 전장부품까지 다양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케이블용 와이어는 건설, 토목, 플랜트, 발전소 등 광범위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당사는 금속 선재(Wire Rod)를 가공하여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도체 선재를 생산하고 있으며, 주요 품목으로는 동복강선, 알루미늄, 동 도체 제품이 있습니다. 이 중 동복강선은 철의 강성을 유지하면서도 전기 전도성을 높이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 당사의 대표적인 매출 품목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전기적·물리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동복강선 외에도 알루미늄 도체 등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태양광 발전사업부는 관계회사 건물 지붕 및 야외 부지에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된 전력을 한국전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따라 한국에너지관리공단에서 부여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발전사에 매각하는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부동산 임대사업부는 서울 서초구 소재 상업용 건물과 부산 수영구 소재 토지 및 건물을 임대하며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당사의 와이어 사업은 1982년 설립된 舊 키스트론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후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품질 혁신을 통해 프리미엄 와이어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립하였습니다. 중국산 저가 제품과의 경쟁 속에서도 고품질 전략을 유지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다져왔으며, 특히 2012~2015년 사업 악화 시기에는 제품 및 시장 다변화를 통해 성공적으로 위기를 극복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오랜 업력과 사업 운영 역량을 기반으로 주요 거래처와 25년 이상 안정적인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당사는 기술적·제도적으로 진입장벽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인라인 도금 기술을 통해 선재의 변형을 방지하고 강도와 균일한 도금 두께를 유지하는 우수한 성능을 확보하였으며, 최근 환경규제로 인해 신규 도금업 인허가 및 설비 증설이 어려워진 시장 환경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2013년 '트레이서', 2014년 '접지용 연선' 등 케이블용 와이어 신제품을 출시하며 토목, 건축, 에너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왔으며, 현재 자동차 전장부품용 와이어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향후 케이블용 와이어 시장 확대를 목표로 에너지 및 건설·토목 분야뿐만 아니라 동남아, 중동, 유럽 등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으며, 동복강선의 대체 수요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또한, 구리 코팅 알루미늄 권선 와이어(CCA), 모터코어용 용접 와이어, 금속 코팅 탄소 섬유(MCF) 등의 첨단 제품 개발을 추진하며, 미래 전자부품 및 전력 인프라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부분 | 매출유형 | 품목 | 생산(판매)개시일 | 주요상표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제품설명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와이어 부문 | 제품매출 | 전자부품용 | 1982년~ | - | 32,295 | 46.84% | 26,897 | 48.09% | 37,747 | 56.96% | 주1) |
케이블용 | 1982년~ | - | 31,209 | 45.26% | 23,034 | 41.18% | 22,787 | 34.39% | |||
반품충당 조정 | - | - | (758) | (1.10%) | (74) | (0.13%) | (279) | (0.42%) | |||
내부거래제거 | - | - | - | (227) | (0.41%) | (598) | (0.90%) | ||||
소계 | 62,747 | 91.00% | 49,631 | 88.73% | 59,658 | 90.03% | |||||
상품매출 | 2008년~ | - | 159 | 0.23% | 376 | 0.67% | 384 | 0.58% | |||
기타매출 | 1982년~ | - | 383 | 0.55% | 273 | 0.49% | 502 | 0.76% | |||
소계 | 63,288 | 91.78% | 50,280 | 89.89% | 60,544 | 91.36% | |||||
기타 부문 | 전력매출 | 태양광발전 | 2013년~ | - | 4,405 | 6.39% | 4,440 | 7.94% | 4,550 | 6.87% | 주2) |
임대매출 | 임대수입 등 | 2010년~ | - | 1,261 | 1.83% | 1,216 | 2.17% | 1,173 | 1.77% | ||
소계 | - | 5,666 | 8.22% | 5,656 | 10.11% | 5,723 | 8.64% | ||||
합계 | - | 68,955 | 100.00% | 55,936 | 100.00% | 66,267 | 100.00% |
주1) | 와이어부문의 생산판매 개시일은 2021년 흡수합병한 제조업 舊 키스트론의 전자부품용 와이어, 케이블용 와이어, 기타 등 생산(판매) 개시년도를 반영했습니다. 해당 개시년도는 舊 키스트론의 법인 설립 전 회사인 삼아전공사의 설립연도입니다. |
주2) |
기타부분의 생산판매 개시일은 현재 운영중인 발전소 및 임대건물의 매출 발생시기를 기재했습니다. 즉 태양광 발전 사업은 석천솔라파워㈜의 생산, 판매개시일(발전시설 가동일)을 반영하였으며, 임대 사업은 홍덕개발이 반포지점 건물을 임대개시한 시기를 기재했습니다. |
【제품 설명】 |
부분 | 매출유형 | 품 목 | 제 품 설 명 |
---|---|---|---|
와이어 부문 | 제품매출 |
전자부품용 와이어 |
▶ 종류 - 소재에 따라 동복강선(동도금 선재), 알루미늄 선재, 기타 특수선재 등 존재 ▶ 기능 - 전자기판(PCB기판)에 자삽되는 각종 전자부품의 리드선 제조에 사용 - 해당 리드선은 주요 전자부품과 PCB 기판을 연결함으로써 각 전자부품이 전자기기 내에서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갖춤 - 주요 전자부품은 캐패시터 (전해, 고분자, 필름, 세라믹), 저항, 다이오드, 점퍼, 커넥터핀용 등이 있음 |
케이블용 와이어 |
▶ 종류 - 동복강선으로 전기적, 물리적 특성을 갖춘 케이블 도체로 용도에 따라 디토네이터(Detonator), 트레이서(Tracer), 접지용 연선, 세물신선 등 존재 ▶ 기능 - 디토네이터(Detonator)는 건물, 광산 등을 폭파시키는 도구로 당사의 케이블은 폭파원과 폭파 신호기를 연결시키는 와이어임 - 트레이서(Tracer)는 도로 및 건물 아래 매설된 각종 관, 케이블 등의 위치 를 찾기 위해 함께 매설되는 케이블임 - 접지용 연선은 발전소, 건물 등이 번개에 노출되었을 때 피뢰침으로 모아진 번개를 안전하게 지반으로 연결시키는 도구로,당사 와이어는 피뢰침부터 지반에 연결하는데 사용됨 - 기타 다양한 용도에 따라 제품화 가능 |
||
반품충당부채 조정 |
- 과거 반품경험율을 토대로 보고기간말 반품충당부채를 추정하고, 전년 대비 변동 금액을 매출액에서 조정하는 금액 | ||
내부거래제거 조정 | - 종속기업 고려전공(동관)과의 내부거래를 금액을 매출액에서 조정하는 금액 | ||
상품매출 | - TDA 등 일부 상품판매로 와이어 고개사의 요청에 따라 발생 | ||
기타매출 |
- 스크랩 등 부산물 판매 - 알루미늄 로스선, 칩, 동복선, 양극동, 폐양극, 주석재, 용융재용해 슬러지 등 제조과정에서 생성된 부산물 판매 |
||
기타 부문 | 전력매출 | 태양광발전 |
- 태양 전지를 이용해 태양의 빛 에너지를 광전 효과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 판매 - 주로 관계회사 지붕위에 설치하며, REC, SMP 매출로 이루어짐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는 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로 발전사 등 수요 기업에 판매 할 수 있음 · SMP(System Marginal Price)는 전력시장에서 거래되는 전기의 판매단가로 발전량에 SMP를 곱한 가격으로 한국전력에 판매할 수 있음 ·태양광 전력을 생산하면 ①전력시장에서 SMP단가로 한국전력에 전력을 판매하고, ②전력생산을 인증하는 REC를 발전회사들에게 판매함 |
임대매출 | 임대수입 등 |
- 서울 반포 해성빌딩(서울 서초), 부산 망미동 토지/건물 임대 · 서울 반포 해성 빌딩(9층 건물)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209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186-11번지
- 임대료, 관리비, 수도/전력비, 주차비로 구성되며, 주로 반포 해성빌딩에서 수입이 발생함 |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원) |
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舊 키스트론 | (제30기) | ||||
와이어부문 | 제품매출 | 전자부품용 | 수출 | 9,526 | 8,797 | 9,577 | 7,598 | - |
내수 | 13,473 | 12,083 | 12,518 | 11,901 | - | |||
케이블용 | 수출 | 6,439 | 6,193 | 6,315 | 5,514 | - | ||
내수 | 8,868 | 8,392 | 8,304 | 8,279 | - | |||
상품매출 | 수출 | - | - | - | 9,481 | - | ||
내수 | 15,165 | 15,623 | 15,725 | 14,556 | - | |||
기타매출 | 내수 | 923 | 1,072 | 1,932 | 2,533 | - | ||
기타부문 | 전력매출 | REC | 내수 | 116,167 | 121,461 | 139,012 | 139,843 | |
SMP | 130 | 153 | 187 | 92 | ||||
임대매출 | 반포지점 | 내수 | 722,396 | 763,705 | 731,528 | 731,550 | ||
망미점 | 71,856 | 71,856 | 71,856 | - |
주) | 상기 단가는 매출액을 총판매수량으로 나누어 산정했습니다. 단 임대매출은 연간 임대매출(관리비, 전력/수도비, 주차료 포함)을 임대평수(연간 환산임대 평수)로 나누어 산정했습니다. |
다. 주요 제품 등 관련 각종 산업표준 당사의 동복강선 제품은 일본산업표준인 JIS 규격과 미국재료시험협회에서 제정한 ASTM 규격을 준수하여 생산하고 있습니다. 각 규격 중 당사가 적용하고 있는 구체적인 규격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 규격 외 제품도 고객사가 원할 경우 생산, 판매할 수 있습니다.
대상 규격 | 품질 규격 내용 | 대상국가 |
ASTM B-228 | 동도금 강선 | 미국 |
ASTM B-910 | 동도금 스테인리스강선 | 미국 |
ASTM B-452 | 전기/기계 목적을 위한 구리선 및 구리 합금선 | 미국 |
JIS H 3100 | 구리 및 구리 합금판, 스트립 | 일본 |
JIS C 1020 | 전기도체로 사용되는 구리선 | 일본 |
주) | 상기 표준 외에도 당사는 1998년 ISO9001 인증, 2000년 ISO14001 인증 취득을 취득하여 품질 및 환경관련 사항을 준수하고 있습니다. |
가. 원재료에 관한 사항(1) 매입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2021년도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제30기) | (舊 키스트론) | ||||
와이어부문 | 원재료 | 전기동 | 국내 | 10,024 | 9,658 | 8,170 | - | 8,461 |
AL (INGOT + ROD) | 국내 | 953 | 710 | 963 | - | 1,042 | ||
수입 | 5,214 | 5,460 | 7,815 | - | 8,094 | |||
소계 | 6,167 | 6,170 | 8,779 | - | 9,136 | |||
주석 | 국내 | 4,855 | 3,474 | 7,362 | - | 8,244 | ||
철선 | 국내 | 4,504 | 4,023 | 4,224 | - | 4,012 | ||
수입 | 518 | 708 | 548 | - | 292 | |||
소계 | 5,022 | 4,731 | 4,772 | - | 4,304 | |||
일반동선 | 국내 | 3,050 | 3,237 | 3,321 | - | 4,159 | ||
동도금 모선 | 수입 | 7,914 | 1,500 | 455 | - | 69 | ||
무산소동선 | 국내 | 1,803 | 1,165 | 2,359 | - | 3,243 | ||
CAAB WIRE | 국내 | 661 | 642 | 623 | - | 713 | ||
은양극 | 국내 | 678 | 441 | 637 | - | 1,020 | ||
기타 원재료 주1) | 국내 | 173 | 294 | 882 | - | 253 | ||
원재료 합계 | 국내 | 26,700 | 23,644 | 28,542 | - | 31,147 | ||
수입 | 13,646 | 7,668 | 8,818 | - | 8,455 | |||
합계 | 40,346 | 31,312 | 37,360 | - | 39,602 | |||
외주가공비 | 금속 임가공 | 국내 | 243 | 281 | 286 | - | 308 | |
외주가공비 합계 | 국내 | 243 | 281 | 286 | - | 308 | ||
외주용역비 | 인력도급 | 국내 | - | - | 125 | - | 215 | |
기타 외주용역 | 국내 | - | - | 32 | - | 64 | ||
외주용역비 합계 | - | - | 157 | - | 280 | |||
상품 | TDA, AL ROD | 국내 | 154 | 328 | 384 | - | 166 | |
수입 | - | 55 | - | - | - | |||
상품 합계 | 합계 | 154 | 383 | 384 | - | 166 | ||
와이어부문 합계 | 국내 | 27,098 | 24,253 | 29,369 | - | 31,901 | ||
수입 | 13,646 | 7,723 | 8,818 | - | 8,455 | |||
합계 | 40,744 | 31,976 | 38,187 | - | 40,356 | |||
기타부문 | 외주용역비 | 태양광 시설 관리운용 | 국내 | 352 | 319 | 291 | 286 | - |
외주용역비 | 건물관리 | 국내 | 191 | 186 | 177 | 173 | - | |
기타부문 합계 | 국내 | 543 | 505 | 468 | 459 | - |
주1) | 기타 원재료 : Bi, 니켈, 은입무산소동선(비정기품목) |
(2) 원재료 가격 변동추이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원) |
품 목 | 구 분 | 2024 | 2023 | 2022 | 2021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 구 키스트론 ) | ||
전기동 | 국내 | 12,569 | 11,395 | 11,721 | 10,940 |
AL (INGOT + ROD) | 수입 | 3,772 | 3,517 | 4,004 | 3,211 |
소계 | 4,464 | 3,974 | 4,498 | 3,624 | |
주석 | 국내 | 42,224 | 34,728 | 48,817 | 38,299 |
철선 | 국내 | 1,256 | 1,256 | 1,245 | 1,021 |
수입 | 945 | 948 | 1,065 | 802 | |
소계 | 1,215 | 1,197 | 1,221 | 1,003 | |
일반동선 | 국내 | 12,996 | 11,696 | 11,798 | 11,061 |
동도금 모선(철선 + 동도금) | 수입 | 4,099 | 3,845 | 4,302 | 3,861 |
무산소동선 | 국내 | 13,721 | 12,325 | 12,937 | 11,654 |
CAAB WIRE | 국내 | 11,033 | 10,248 | 10,971 | 9,702 |
은양극 | 국내 | 1,345,767 | 1,008,854 | 939,435 | 974,312 |
기타(Bi , 니켈 , 은입동선 외) | 내수 | 28,774 | 34,586 | 16,985 | 15,459 |
주1) | 2021년도 키스트론㈜ (2021년 12월 31일 상호변경 전 석천㈜)의 원재료 가격 변동 추이는 없습니다. |
주2) | 상기 단가는 해당 품목의 총 매입금액에서 총 매입수량을 나누어 산정했습니다. 다만 2021년 전기동 산정시에는 단가 변동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동 절단항목은 제외했습니다. |
주3) | 당사 주요 원재료는 비철금속으로서 LME 시세,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
(3) 주요 매입처에 관한 사항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부문 | 매입 | 품목 | 구입처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결제조건 | ||
유형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舊키스트론) | (제30기) | |||||
와이어부문 | 원재료 | 전기동 | 국내 | ㈜이산인터내셔널 | 5,928 | 5,958 | 5,261 | 1,738 | - | 주1) |
국내 | 엘에스엠엔엠 ㈜ | 4,087 | 3,692 | 2,903 | 3,825 | - | 주1) | |||
국내 | ㈜초이스메탈 | - | - | - | 2,870 | - | 주1) | |||
국내 | 기타 | 8 | 8 | 6 | 29 | - | 주2) | |||
AL (INGOT + ROD) | 국내 | 일진전기㈜ | 953 | 710 | 963 | 1,042 | - | 주3) | ||
수입 | RIOTINTO (COMALCO) | 5,214 | 5,460 | 7,815 | 8,094 | - | 주4) | |||
주석 | 국내 | ㈜메탈게이트 | 4,204 | 3,174 | 5,279 | 4,808 | - | 주1) | ||
국내 | ㈜포스코인터내셔날 | - | - | - | 2,044 | - | 주1) | |||
국내 | 기타 | 651 | 300 | 2,083 | 1,392 | - | 주1) | |||
철선 | 국내 | ㈜포스코 | 4,354 | 3,490 | 3,895 | 3,777 | - | 주2) | ||
국내 | 기타 | 150 | 532 | 330 | 234 | - | 주5) | |||
수입 | 청도강철 | 518 | 683 | 510 | 292 | - | 주6) | |||
수입 | 기타 | - | 25 | 37 | - | - | 선급 | |||
일반동선 | 국내 | ㈜이산인터내셔널 | 781 | 1,679 | 1,379 | - | - | 주1) | ||
국내 | 엘에스전선㈜ | 2,077 | 1,558 | 1,629 | 1,520 | - | 주1) | |||
국내 | 기타 | 192 | - | 313 | 2,638 | - | 주1) | |||
동도금 모선 | 수입 | DONGGUAN CHENXI TRADING | - | 1,085 | - | - | - | 주7) | ||
수입 | DONGGUAN TUOTENG TRADING | 7,844 | 415 | - | - | - | 주8) | |||
수입 | 기타 | 70 | - | 455 | 69 | - | - | |||
무산소 동선 | 국내 | ㈜삼동 문경공장 | 1,073 | 962 | 2,277 | 1,522 | - | 주1) | ||
국내 | ㈜이산인터내셔널 | 731 | 203 | 82 | 545 | - | 주1) | |||
국내 | ㈜초이스메탈 | - | - | - | 1,177 | - | 주1) | |||
CAAB WIRE | 국내 | ㈜에스에이치엠 | 661 | 642 | 623 | 713 | - | 주3) | ||
은양극 | 국내 | 대성금속㈜ | 484 | 226 | 467 | 102 | - | 주1) | ||
국내 | 신영금속㈜ | 194 | 155 | 92 | 689 | - | 주1) | |||
국내 | ㈜토리컴 | - | 60 | 78 | 229 | - | 주9) | |||
기타 | 국내 | ㈜한진금속 | 144 | 294 | 110 | 89 | - | 주10) | ||
원재료 | 국내 | ㈜삼동 문경공장 | - | - | 625 | - | - | 주1) | ||
국내 | 기타 | 29 | - | 147 | 165 | - | 주10) | |||
합계 | 국내 | 26,700 | 23,644 | 28,542 | 31,147 | - | - | |||
수입 | 13,646 | 7,668 | 8,818 | 8,455 | - | - | ||||
합계 | 40,346 | 31,312 | 37,360 | 39,602 | - | - | ||||
외주가공비 | 금속 | 국내 | 리오엠엔씨㈜ | 199 | 216 | 242 | 169 | - | 주3) | |
임가공 | 국내 | 고려특수선재㈜ | - | - | - | 99 | - | 주3) | ||
국내 | 기타 | 44 | 65 | 43 | 39 | - | 주3) | |||
합계 | 국내 | 243 | 281 | 286 | 308 | - | - | |||
외주용역비 | 인력도급 | 국내 | 우성실업(신) | - | - | 125 | 215 | - | 주3) | |
기타외주 | 국내 | 우성실업(신) | - | - | 32 | 64 | - | 주3) | ||
합계 | 국내 | - | - | 157 | 280 | - | - | |||
상품 | TDA, AL ROD | 국내 | 승원하이텍㈜ | 154 | 328 | 384 | 140 | - | 주3) | |
국내 | 기타 | - | - | - | 26 | - | 주3) | |||
수입 | KISTRON (DONGGUAN) | - | 55 | - | - | - | 주11) | |||
합계 | 국내 | 154 | 328 | 384 | 166 | - | - | |||
수입 | - | 55 | - | - | - | - | ||||
합계 | 154 | 383 | 384 | 166 | - | - | ||||
합계 | 국내 | 27,098 | 24,253 | 29,369 | 31,901 | - | - | |||
수입 | 13,646 | 7,723 | 8,818 | 8,455 | - | - | ||||
합계 | 40,744 | 31,976 | 38,187 | 40,356 | - | - | ||||
기타부문 | 외주용역비 | 관리운용 | 내수 | ㈜쏠라크리닉 | 352 | 319 | 291 | - | 286 | 주2) |
건물관리 | 내수 | ㈜중앙비엠씨 | 189 | 186 | 177 | - | 158 | 주12) | ||
건물관리 | 내수 | 기타 | 2 | - | - | - | 15 | 주13) | ||
합계 | 내수 | 543 | 505 | 468 | - | 459 | - |
주1) | 발행일로부터 5영업일 LOCAL 결제 |
주2) | 익월 10일 현금결제 |
주3) | 익월 말일 현금결제 |
주4) | B/S Date 90 days |
주5) | 당월 말일, 익월 말일 결제 |
주6) | 계약금 30% 선급금, 선적전 70% 해외송금 |
주7) | 선적확인후 10일 이내 결제 |
주8) | 인수후 10일 이내 결제 |
주9) | 인수후 7일이내 현금결제 |
주10) | 익월 15일 현금결제 |
주11) | 익월 25일 현금결제 |
주12) | 당월 말일 현금결제 |
주13) | 익월 25~말일 현금결제 |
나. 생산 설비 등에 관한 사항(1)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가) 와이어부문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톤, %, 백만원) |
제 품 | 구 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
품목명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舊 키스트론)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전자부품용와이어 | 생산능력 | 4,939 | 38,684 | 4,939 | 38,558 | 4,939 | 41,039 | 4,939 | 32,986 |
생산실적 | 2,882 | 22,574 | 2,968 | 23,171 | 3,769 | 31,321 | 4,689 | 31,321 | |
가 동 율 | 58.35% | 60.10% | 76.32% | 94.95% | |||||
기말재고 | 221 | 1,667 | 180 | 1,343 | 207 | 1,864 | 357 | 2,563 | |
케이블용와이어 | 생산능력 | 6,217 | 36,018 | 3,892 | 20,924 | 3,650 | 19,515 | 3,650 | 18,018 |
생산실적 | 5,394 | 31,250 | 3,608 | 19,395 | 3,439 | 18,385 | 3,150 | 15,547 | |
가 동 율 | 86.76% | 92.69% | 94.21% | 86.29% | |||||
기말재고 | 492 | 2,791 | 262 | 1,381 | 269 | 1,397 | 320 | 1,525 | |
합계 | 생산능력 | 11,156 | 74,702 | 8,831 | 59,481 | 8,589 | 60,554 | 8,589 | 51,003 |
생산실적 | 8,276 | 53,824 | 6,576 | 42,566 | 7,208 | 49,706 | 7,839 | 46,869 | |
가 동 율 | 74.19% | 74.46% | 83.92% | 91.27% | |||||
기말재고 | 713 | 4,458 | 442 | 2,724 | 476 | 3,260 | 677 | 4,088 |
주1) | 당사는 2021년 12월 30일 現 키스트론(舊 석천)이 舊 키스트론을 합병했습니다. 상기 2021년 수치는 합병 전 舊 키스트론 수치입니다. 現 키스트론(舊 석천)은 2021년 와이어 사업을 운영하지 하지 않았기 때문에 와이어 부문에 대한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주2) |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생산능력은 설비대수 X 시간당 생산량 X 월 가동시간(세부품목별 2교대, 3교대 가정) X 12월로 산정했습니다. |
【 세부품목별 생산능력 산출근거】 |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대, kg, 톤) |
제품 | 설비명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비고 | ||||||||
설비대수 | 시간당 생산량 | 연간생산능력 | 설비대수 | 시간당 생산량 | 연간생산능력 | 설비대수 | 시간당 생산량 | 연간생산능력 | 설비대수 | 시간당 생산량 | 연간생산능력 | |||
전자부품용 | TPC/TPC(B) | 9 | 351 | 2,123 | 9 | 351 | 2,123 | 9 | 351 | 2,123 | 9 | 351 | 2,123 | 2교대 공정 |
용융도금 | 7 | 57 | 345 | 7 | 57 | 345 | 7 | 57 | 345 | 7 | 57 | 345 | 2교대 공정 | |
AL와이어 | 3 | 286 | 2,471 | 3 | 286 | 2,471 | 3 | 286 | 2,471 | 3 | 286 | 2,471 | 3교대 공정 | |
합계 | 19 | 694 | 4,939 | 19 | - | 4,939 | 19 | - | 4,939 | 19 | - | 4,939 | - | |
케이블용 | 디토네이터 | 2 | 301 | 2,600 | 2 | 160 | 1,382 | 2 | 132 | 1,140 | 2 | 132 | 1,140 | 2교대 공정(*) |
케이블와이어 | 5 | 458 | 2,770 | 3 | 275 | 1,663 | 3 | 275 | 1,663 | 3 | 275 | 1,663 | 2교대 공정 | |
접지연선 | 1 | 140 | 847 | 1 | 140 | 847 | 1 | 140 | 847 | 1 | 140 | 847 | 2교대 공정 | |
합계 | 8 | 899 | 6,217 | 6 | - | 3,892 | 6 | - | 3,650 | 6 | - | 3,650 | - | |
총계 | 27 | 1,593 | 11,156 | 25 | - | 8,831 | 25 | - | 8,589 | 25 | - | 8,589 | - |
(나) 기타부문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wh, 백만원) |
제 품 품목명 | 구 분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제30기)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전력 | 생산능력 | 17,668 | 5,300 | 14,262 | 4,801 | 12,407 | 4,807 | 11,985 | 3,771 |
생산실적 | 14,688 | 4,432 | 13,205 | 4,407 | 11,792 | 4,565 | 11,266 | 3,543 | |
가 동 율 | 83.62% | 92.59% | 95.04% | 94.00% |
주1) |
생산능력은 시간당 최대설비용량 X 3.5시간(일 가동시간) X 해당년도 가동일수로 산정했습니다. 또한 금액은 해당년도 SMP, REC 평균 단가를 적용하여 산정했습니다. 일 가동시간은 대한민국의 일평균 발전시간은 대략 3.5시간(지적과국토정보 제49권 제1호 2019년 6월) 기준입니다. |
주2) | 당사는 반포지점, 망미점을 임대하고 있으며, 해당 건물은 최근 3년간 공실 없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가)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구분 | 자산별 | 소재지 | 기초가액 | 당기증감 | 당기 | 기말 가액 | ||
증가 | 감소 | 상각 | ||||||
안산공장 | 토지 |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 15,387 | - | - | - | 15,387 | |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 3,487 | - | - | - | 3,487 | |||
소계 | 18,874 | - | - | - | 18,874 | |||
건물 |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 3,894 | - | - | 369 | 3,526 | ||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 654 | - | - | 25 | 628 | |||
소계 | 4,548 | - | - | 394 | 4,154 | |||
구축물 | 도금액 시설 | 938 | - | - | 86 | 852 | ||
대기시설 | 440 | - | - | 26 | 414 | |||
열시설 공급장치 | 4 | - | - | 4 | - | |||
기타 | 392 | - | - | 41 | 352 | |||
소계 | 1,775 | - | - | 157 | 1,618 | |||
기계장치 | 알루미늄 와전류 탐상기 | 107 | - | - | 14 | 93 | ||
CPS 2호기 | 143 | - | - | 34 | 110 | |||
ESS | 232 | - | - | 103 | 129 | |||
니켈 도금설비 | 235 | - | - | 40 | 196 | |||
동도금 설비 | 240 | - | - | 79 | 161 | |||
용융도금기 | 334 | - | - | 83 | 251 | |||
태선기 | 199 | - | 21 | 178 | ||||
기타 | 1,106 | 429 | - | 272 | 1,262 | |||
소계 | 2,398 | 628 | - | 647 | 2,379 | |||
공구와기구 | 기타 | 129 | - | 51 | 78 | |||
소계 | 129 | - | - | 51 | 78 | |||
차량운반구 | 전동지게차 | 38 | - | - | 12 | 26 | ||
기타 | - | - | ||||||
소계 | 38 | - | - | 12 | 26 | |||
안산공장 소계 | 27,762 | 628 | - | 1,261 | 27,129 | |||
KAT | 발전설비 | 3차 대전KAT | 88 | - | - | 14 | 74 | |
11차 케이에이티 2차 | - | 440 | - | 22 | 418 | |||
소계 | 88 | 440 | - | 35 | 492 | |||
고려강선 (양산) | 발전설비 | 1차 고려강선(양산) | 394 | - | - | 88 | 307 | |
7차 고려강선(양산2차) | 332 | - | - | 23 | 308 | |||
소계 | 726 | - | - | 111 | 615 | |||
고려강선(창원) | 발전설비 | 2차 고려강선(창원) | 765 | - | - | 142 | 623 | |
9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2차 | - | 548 | - | 21 | 527 | |||
10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3차 | - | 207 | - | 8 | 199 | |||
13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4차 | - | 73 | - | 3 | 70 | |||
14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5차 | - | 796 | - | 31 | 765 | |||
소계 | 765 | 1,623 | - | 204 | 2,184 | |||
고려강선(포항) | 발전설비 | 1차, 3차 고려강선(포항), (포항2차) | 1,029 | - | - | 176 | 854 | |
9차 고려강선 포항공장 3차 | 681 | - | 45 | 636 | ||||
소계 | 1,711 | - | - | 221 | 1,490 | |||
고려제강(건천) | 발전설비 | 1차 고려제강(건천통합) | 834 | - | - | 186 | 648 | |
10차 고려제강 건천기숙사 | - | 120 | - | 6 | 114 | |||
소계 | 834 | 120 | - | 192 | 762 | |||
고려제강 (군복) | 발전설비 | 2차 고려제강(군북) | 765 | - | - | 142 | 623 | |
9차 고려제강 군북공장 2차 | 591 | - | 39 | 552 | ||||
소계 | 1,356 | - | - | 181 | 1,175 | |||
고려제강 (대석리) |
발전설비 | 7차 고려제강 (대석리가구임대건물) | 208 | - | - | 15 | 193 | |
소계 | 208 | - | - | 15 | 193 | |||
고려제강(양산) | 발전설비 | 4차 고려제강(양산SW) | 210 | - | - | 23 | 186 | |
6차 고려제강 (양산SW공장 대석창고) | 148 | - | - | 11 | 137 | |||
11차 고려제강 양산기숙사 | - | 40 | - | 2 | 38 | |||
소계 | 358 | 40 | - | 36 | 361 | |||
고려제강 하이로프 | 발전 설비 | 1차 고려제강(HYROPE) | 596 | - | - | 132 | 465 | |
소계 | 596 | - | - | 132 | 465 | |||
서울청과연구소 | 발전설비 | 5차 서울청과연구소 | 84 | - | - | 8 | 76 | |
소계 | 84 | - | - | 8 | 76 | |||
전자랜드 (광주) | 발전설비 | 3차 전자랜드(광주) | 87 | - | - | 14 | 74 | |
8차 전자랜드(광주2차) | 156 | - | - | 11 | 145 | |||
소계 | 243 | - | - | 24 | 219 | |||
전자랜드 (김해) | 발전설비 | 3차 전자랜드(김해) | 88 | - | - | 14 | 74 | |
12차 전자랜드 김해장유물류센터 2차 | - | 133 | - | 5 | 128 | |||
소계 | 88 | 133 | - | 19 | 202 | |||
홍덕산업 (거창) | 발전 설비 | 1차 홍덕산업(거창SC 1공장) | 510 | - | - | 114 | 396 | |
소계 | 510 | - | - | 114 | 396 | |||
홍덕산업 (건천) | 발전설비 | 1차 홍덕산업(건천SSW) | 221 | - | - | 49 | 172 | |
2차 홍덕산업 (건천SSW2차) | 74 | - | - | 14 | 60 | |||
6차 홍덕산업 (건천SSW3차) | 580 | - | - | 41 | 538 | |||
11차 홍덕산업 건천사택 | - | 60 | - | 3 | 57 | |||
소계 | 875 | 60 | - | 107 | 827 | |||
홍덕산업 (포항) | 발전설비 | 1차 홍덕산업(포항BW) | 215 | - | - | 48 | 167 | |
1차 홍덕산업(포항SC) | 212 | - | - | 47 | 165 | |||
1차 홍덕산업(포항SKW) | 63 | - | - | 14 | 49 | |||
1차 홍덕산업(포항SW) | 296 | - | - | 66 | 230 | |||
6차 홍덕산업(포항SC2차) | 917 | - | - | 66 | 851 | |||
소계 | 1,702 | - | - | 241 | 1,462 | |||
홍덕산업( 함안) | 발전 설비 | 2차 홍덕산업(함안SC) | 152 | - | - | 28 | 124 | |
소계 | 152 | - | - | 28 | 124 | |||
홍덕하이코드 (거창) | 발전 설비 | 1차 홍덕하이코드 (거창SC 2공장) | 510 | - | - | 114 | 396 | |
소계 | 510 | - | - | 114 | 396 | |||
홍덕섬유 (울주) | 발전 설비 | 12차 홍덕섬유(울주) | - | 232 | - | 6 | 226 | |
소계 | - | 232 | - | 6 | 226 | |||
발전설비 계 | 10,804 | 2,648 | - | 1,787 | 11,665 | |||
반포지점 | 투자 부동산 | 투자부동산_토지 | 15,110 | - | - | - | 15,110 | |
투자부동산_건물 | 2,044 | - | - | 128 | 1,915 | |||
소계 | 17,154 | - | - | 128 | 17,026 | |||
망미점 | 투자 | 투자부동산_토지 | 264 | - | - | - | 264 | |
부동산 | 투자부동산_건물 | 177 | - | - | 5 | 172 | ||
소계 | 441 | - | - | 5 | 437 | |||
투자부동산 계 | 17,595 | - | - | 133 | 17,462 |
【 공장별 소재지】 |
공장명 | 세부주소 | |
---|---|---|
와이어 제조 | 세부주소 | |
안산공장 |
안산시 원시동 782-6, 7, 11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 649-7 |
|
공장 | 발전소명 | 세부주소 |
KAT | 3차 대전KAT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223 |
11차 케이에이티 2차 | ||
고려강선 양산 | 1차 고려강선(양산) | 경상남도 양산시 유산공단 7길 15 |
7차 고려강선(양산2차) | ||
고려강선 창원 | 2차 고려강선(창원)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정동로 18 |
9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2차 | ||
10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3차 | ||
13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4차 | ||
14차 고려강선 창원공장 5차 | ||
고려강선 포항 | 1차, 3차 고려강선(포항), (포항2차)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소면 송동리 875 |
9차 고려강선 포항공장 3차 | ||
고려제강 건천 | 1차 고려제강(건천통합) | 경북 경주시 건천읍 용명리 산 269-4 |
10차 고려제강 건천기숙사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대곡용명길15 (고려제강㈜기숙사)건물위 | |
고려제강 군복 | 2차 고려제강(군북) | 경상남도 함안군 군북면 함안산단4길 25 |
9차 고려제강 군북공장 2차 | ||
고려제강 대석리가구 | 7차 고려제강(대석리가구임대건물)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대성2길 13 |
고려제강 양산 | 4차 고려제강(양산SW)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양산대로 1314 |
6차 고려제강(양산SW공장 대석창고)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대성2길 10-3 | |
11차 고려제강 양산기숙사 | 경상남도 양산시 상북면 대성2길 16 건물위 | |
고려제강 하이로프 | 1차 고려제강(HYROPE)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명 달산리 1100-2 |
서울청과연구소 | 5차 서울청과연구소 | 경기도 이천시 부발읍 송온리 326 |
전자랜드 광주 | 3차 전자랜드(광주) | 경기도 광주시 옥토골길 4-11 |
8차 전자랜드(광주2차) | ||
전자랜드 김해 | 3차 전자랜드(김해) |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로99-19 |
12차 전자랜드 김해장유물류센터 2차 | ||
홍덕산업 거창 | 1차 홍덕산업(거창SC 1공장)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대산리 1602 |
홍덕산업 건천 | 1차 홍덕산업(건천SSW)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용명리 812-1 |
2차 홍덕산업(건천SSW2차)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용명공단길 173-160 | |
6차 홍덕산업(건천SSW3차)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용명공단길 173-89 | |
11차 홍덕산업 건천사택 | 경상북도 경주시 건천읍 대추밭강당길 14-10 건물위 | |
홍덕산업 포항 | 1차 홍덕산업(포항BW)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흥동 1854 |
1차 홍덕산업(포항SC)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철강산단로 66번길 80 | |
6차 홍덕산업(포항SC2차) | ||
1차 홍덕산업(포항SKW)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대송면 송덕로 81 | |
1차 홍덕산업(포항SW)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장흥로 39번길 51 | |
홍덕산업 함안 | 2차 홍덕산업(함안SC) |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면 윤외공단길 68 |
흥덕하이코드거창 | 1차 홍덕하이코드(거창SC 2공장)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석강리 1406번지 |
임대점 | 세부주소 | |
반포지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51-7 (해성빌딩) | |
망미점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186-11, 12 |
주1) |
상기 금액은 정부보조금 차감전 금액입니다. |
주2) | 상기 토지, 건물 중 일부 유형자산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당사의 차입금 관련 담보 등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
(나) 최근 3년간 변동사항
(단위: 백만원) |
부문 | 설비자산명 |
취득 (처분) 가액 |
취득 (처분)일 |
취득(처분)사유 | 용 도 | 취득(처분)처 |
---|---|---|---|---|---|---|
와이어 | 폐수처리장 반응조 | 48 | 2021-06-03 | 설비 보수 | 폐수처리 | 유니온환경 |
대기방지시설 | 230 | 2021-12-13 | 설비 개선 | 대기오염방지 | 유니온환경 | |
동도금-E호기 모니터링 | 229 | 2021-04-02 | 판매 확대 | 동도금 | 아이케이텍 | |
TPC-I호기 | 35 | 2021-06-03 | 판매 확대 | 권취기 변경 | 키스트론 | |
동도금 D호기 동부스바 | 18 | 2021-06-03 | 동도금 양극 | 동도금 | 진영메탈 | |
중선 6호기 권취기 | 6 | 2021-07-01 | 설비 개선 | 설비 고장 예방 | 키스트론 | |
동도금 스크라이크 도금조 유출방지턱 등 | 17 | 2021-09-01 | 화관법 적용 | 안전관리 | 유니온환경 | |
수변전실 변압기 절연유 | 9 | 2021-09-28 | 절연유 오염 교체 | 변압기 온도억제 | 대진전기 | |
변전실 진공 차단기 | 16 | 2021-09-28 | 절연파괴 교체 | 수전설비 | 케이엠테크 | |
세선기 (중고) 3대 | 25 | 2021-11-03 | 판매 확대 | 세선제품 생산 | 고려제강 | |
신선기 (중고) 3대 | 20 | 2021-11-02 | 판매 확대 | 신선제품 생산 | 고려제강 | |
CPS-1호기 권취기 | 28 | 2021-12-13 | 설비 개선 | CPS 작업성향상 | 대신정밀 | |
용융도금 7호기 | 180 | 2021-12-15 | 판매 확대 | 용융도금판매확대 | 대성기계 | |
NI 도금설비 | 311 | 2021-12-30 | 판매 확대 | 니켈도금 | 나라테크, 탑텍 | |
동도금 전처리 인출 | 35 | 2021-12-24 | 설비 수리 | 동도금 롤러 | 남원정공 | |
용융도금 재권취기 | 99 | 2021-12-30 | 판매 확대 | 용융도금판매확대 | 대성기계 | |
임대 | 망미점 취득 | 76 | 2021-11-03 | 임대수익창출 | 임대용 | ㈜보응이엔지 |
망미동 근린생활시설 | 185 | 2022-03-06 | 임대수익창출 | 임대용 | ㈜보응이엔지 | |
와이어 | 폐수처리장 운영 자동화 시스템 | 63 | 2022-08-07 | 설비 개선 | 폐수처리자동화 | 성일전기 |
A동 니켈설비 배출시설 | 5 | 2022-04-09 | 환경 법규 준수 | 대기 오염 방지 | 유니온환경 | |
100HP 콤프레샤 | 34 | 2022-06-01 | 예비품 확보 | 에어 생산 | 나우테크 | |
A동 니켈설비 | 2 | 2022-07-09 | 판매 확대 | 니켈도금 | 나라테크 | |
AL 와류탐상기 장비 | 7 | 2022-09-04 | 불량 방지 | 불량유출방지 | 엔디티엔지니어링㈜ | |
유해위험 방지 도금조 밀폐 | 45 | 2022-11-13 | 유해.위험방지 | 안전관리 | 탑텍 | |
용해주조로 장비 | 50 | 2022-12-03 | 연구개발 | 동철합금 | 피에스텍 | |
동도금 4호기, 5호기 리프트 | 13 | 2022-12-18 | 설비보수 | 동도금 | 키스트론 | |
전력 | 6차 : 고려제강대석창고 | 160 | 2022-11-05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6차 : 홍덕산업건천SSW3차 | 628 | 2022-11-05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6차 : 홍덕산업포항S/C2차 | 993 | 2022-11-05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와이어 | 물탱크 (C동 옥상) | 16 | 2023-05-13 | 소손 교체 | 공업용수 저장 | 유니온환경 |
대오염방지시설공사-송풍기 | 8 | 2023-12-09 | 설비 보수 | 대기오염 방지 | 유니온환경 | |
IGBT 정류기 | 23 | 2023-02-05 | 설비고장 교체 | 동도금 | 동우중전기 | |
배관공사 | 3 | 2023-03-01 | 동회수 효율향상 | 동회수장치 | 탑텍 | |
전기 공사 | 9 | 2023-04-01 | 동회수 효율향상 | 동회수장치 | 영신전기 | |
CPS-1호기 증설 | 96 | 2023-05-06 | 판매 확대 | 디토네이터 생산 | 대성기계 | |
CPS-2호기 증설 | 94 | 2023-05-06 | 판매 확대 | 디토네이터 생산 | 대성기계 | |
AL 와전류 탐상기 | 57 | 2023-06-04 | 품질 개선 | AL제품 생산 | 데스코 | |
동도금 권취기 개선 | 49 | 2023-07-01 | 생산성 향상 | 동도금 | 성일전기 | |
동회수장치 정류기 | 46 | 2023-07-08 | 동회수기 효율상승 | 동회수장치 | 탑텍 | |
AL중선 1,2호기 와전류 탐상기 | 57 | 2023-09-09 | 품질 개선 | AL제품 생산 | 데스코 | |
IGBT 정류기 | 23 | 2023-10-03 | 설비고장 교체 | 동도금 | 동우중전기 | |
(중고) IGBT 정류기 | 9 | 2023-11-05 | 동회수기 효율상승 | 동회수장치 | 탑텍 | |
호이스트 설치 | 7 | 2023-12-03 | 설비보수 | 동도금 | 극동호이스트크레인 | |
CP탕세조 | 16 | 2023-12-09 | 품질 개선 | 동도금 | 키스트론 | |
동회수장치 | 28 | 2023-12-09 | 동회수기 효율상승 | 동회수장치 | 케이테크, 정도테크 | |
CPS-1호기 증설 | 93 | 2023-12-09 | 판매 확대 | 디토네이터 생산 | 대신정밀 | |
CPS-2호기 증설 | 114 | 2023-12-09 | 판매 확대 | 디토네이터 생산 | 대신정밀 | |
전력 | 7차 : 고려제강 대석리 | 220 | 2023-03-04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7차 : 고려강선 양산2차 | 355 | 2023-03-04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8차 : 고려제강 전자랜드 광주 | 160 | 2023-08*05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9차 : 고려제강 군북2차 | 594 | 2023-12-09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9차 : 고려강선 포항3차 | 689 | 2023-12-09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와이어 | IGBT 정류기 | 18 | 2024-01-07 | 동도금 설비고장 | 설비가동 | 동우중전기 |
CP코팅 4호기 리프트 | 13 | 2024-04-06 | 설비보수 | 동도금 | 극동호이스트크레인 | |
CPS 1, 2호기 설비 개선 | 17 | 2024-05-05 | 작업성 향상 | CPS | 성일전기 | |
IGBT 정류기 | 20 | 2024-05-05 | 설비 고장 | 동도금 | 동우중전기 | |
도금액 탱크 CP D,E호기 | 65 | 2024-06-01 | 품질 향상 | 도금액 저장시설 | 케이테크 | |
중고 CP태선기 3,4호 | 199 | 2024-06-01 | 판매 확대 | 케이블 생산 | 고려강선 | |
동 회수장치 황산탱크 | 21 | 2024-06-16 | 동회수기 효율향상 | 동회수장치 | 케이테크 | |
탈지탱크 제작/개선 | 8 | 2024-06-16 | 품질 향상 | 동도금 | 케이테크 | |
CPS1호기 권취기 | 73 | 2024-08-09 | 판매 확대 | 디토네이터 생산 | 대신정밀 외 | |
태선 4호기-드럼 재연마 및 코팅 | 12 | 2024-08-23 | 설비 고장 | 신선제품 생산 | 황해정공 | |
태선 4호기 후렌지 크랙부 | 1.9 | 2024-08-23 | 설비 고장 | 신선제품 생산 | 황해정공 | |
철선 및 NPS 자성체 와이어 탐상기 | 36 | 2024-10-02 | 품질 향상 | 니켈도금 | 테스코외 | |
IGBT정류기(CP 7호기-4) | 20 | 2024-10-18 | 설비 고장 | 동도금 | 동우중전기 | |
IGBT정류기(CP공정 동도금 정류기) | 20 | 2024-12-23 | 설비 고장 | 동도금 | 동우중전기 | |
전력 | 11차 : KAT지붕 및 주차장 | 440 | 2024-04-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11차 : 고려제강 양산기숙사 | 40 | 2024-04-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1차 : 홍덕 건천사택 | 60 | 2024-04-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0차 : 고려제강 건천기숙사 | 120 | 2024-04-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4차 : 고려강선 창원5차 | 796 | 2024-06-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9차 : 고려강선 창원2차 | 548 | 2024-06-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0차 : 고려강선 창원3차 | 207 | 2024-06-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3차 : 고려강선 창원4차 | 73 | 2024-06-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2차 : 전자랜드 김해장유 물류2차 | 133 | 2024-06-06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
12차:홍덕섬유 울주 | 232 | 2024-08-19 | 전력 매출 확대 | 태양광 발전 설비 | ㈜쏠라크리닉 |
(다) 설비의 신설 - 매입계획
(단위: 백만원, kW) |
구 분 |
설비 능력 |
총소요 자 금 |
기 지출액 |
지 출 예 정 |
착 공 예정일 |
준 공 년월일 |
진척율 | 비 고 | ||||
---|---|---|---|---|---|---|---|---|---|---|---|---|
24년 | 25년 | 26년 |
27년 이후 |
|||||||||
기계장치 | 도금액 탱크 CP D,E호기 | - | 65 | - | 65 | - | - | - | 2024-02-01 | 2024-03-11 | 100% | 품질 안정성 증가 |
중고 CP태선기 3,4호기 | - | 199 | 143 | 57 | - | - | - | 2023-11-24 | 2024-03-01 | 100% | 공정 생산량 증가 | |
CP코팅4호기 리프트 보수공사 | - | 13 | - | 13 | - | - | - | 2024-04-06 | 2024-04-06 | 100% | 안전,노후설비 개선 | |
CPS-2호기 권취기(설비개선) | - | 17 | - | 17 | - | - | - | 2024-05-27 | 2024-05-27 | 100% | 생산 능률향상(10%) | |
IGBT 정류기5000A 예비용 | - | 18 | - | 18 | - | - | - | 2024-01-25 | 2024-01-25 | 100% | 노후설비 개선 | |
IGBT 정류기-CP8호기(2) | - | 20 | - | 20 | - | - | - | 2024-05-31 | 2024-05-31 | 100% | 노후설비 개선 | |
케이테크외_동 회수장치 황산탱크 | - | 21 | - | 21 | - | - | - | 2024-06-18 | 2024-06-28 | 100% | 품질 안정성 증가 | |
CP D호기 탈지,수세 탱크 설치 | - | 8 | - | 8 | - | - | - | 2024-06-28 | 2024-06-28 | 100% | 품질 안정성 증가 | |
CPS1호기 권취기 | - | 73 | - | 73 | - | - | - | 2024-06-21 | 2024-08-09 | 100% | 생산 능률향상(10%) | |
태선 4호기-드럼 재연마 및 코팅 | - | 14 | - | 14 | - | - | - | 2024-08-23 | 2024-08-23 | 100% | 노후설비 개선 | |
철선 및 NPS 자성체 와이어 탐상기 제작 | - | 36 | - | 36 | - | - | - | 2024-07-19 | 2024-10-31 | 100% | 품질 안정성 증가 | |
신선기(ST-9)중 10대 | - | 235 | 56 | 89 | 90 | - | - | 2023-11-03 | 2025-06-30 | 62% | 생산 능률향상(20%) | |
전기자동차 하네스 케이블 대체도체개발 (MCF) | - | 3,000 | - | - | 500 | 1,000 | 1,500 | 2025-06-01 | 2025-12-31 | 0% | 신제품(MCF), 생산, 판매 | |
AI 기능 탑재 등을 통한 기존 제품 고도화 | - | 1,500 | - | - | 500 | 500 | 500 | 2025-06-01 | 2027-06-30 | 0% | AI 기능 탑재 등을 통한 기존 제품 고도화 | |
플라즈마 열처리기 | - | 800 | - | - | 800 | - | - | 2025-06-01 | 2025-12-31 | 0% | 1. 열처리 공정 생산량 증가 2. 품질 안정성 증가 | |
신선기(ST-9) 10대 | - | 316 | - | - | 150 | 166 | - | 2025-09-01 | 2026-02-04 | 0% | 생산량 증가(대당 35톤, 월 350톤) | |
신선기(ST-9) 10대 | - | 400 | - | - | - | 200 | 200 | 2026-09-01 | 2027-02-04 | 0% | 생산량 증가(대당 35톤, 월 350톤) | |
셀프 본딩와이어 | - | 8 | 8 | - | - | - | - | 2021-01-14 | - | 100% | 미정-환경문제 | |
디스켈링 무산세 설비 | - | 37 | 37 | - | - | - | - | 2021-09-29 | - | 100% | 미정-처분예정 | |
비품 | 전산H/W 서버 및 클라이언트 | - | 696 | - | 96 | 150 | 150 | 300 | 2024-01-01 | 2028-12-31 | 14% | 전산시스템 유지관리 최적화 |
발전설비 | 고려강선 창원공장 2차 | 253.3 | 548 | 388 | 160 | - | - | - | 2023-03-31 | 2024-06-13 | 100% | 개발행위허가 |
고려제강 건천기숙사 | 84 | 120 | 72 | 48 | - | - | - | 2023-06-08 | 2024-04-03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제강 하이로프 2차 | 452.4 | 650 | 390 | 260 | - | - | - | 2023-06-08 | 2024-12-31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강선 창원공장 3차 | 119 | 207 | 143 | 64 | - | - | - | 2023-06-08 | 2024-06-13 | 100% | 개발행위허가 | |
케이에이티 2차 | 229.2 | 440 | 207 | 233 | - | - | - | 2023-07-04 | 2024-04-08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제강 양산기숙사 | 25.2 | 40 | 24 | 16 | - | - | - | 2023-07-04 | 2024-02-14 | 100% | 개발행위허가 | |
홍덕산업 건천사택 | 37.8 | 60 | 36 | 24 | - | - | - | 2023-07-04 | 2024-04-03 | 100% | 개발행위허가 | |
전자랜드 김해장유물류센터 2차 | 94.8 | 133 | 13 | 120 | - | - | - | 2023-07-28 | 2024-06-24 | 100% | 개발행위허가 | |
홍덕섬유 | 166.005 | 232 | 23 | 209 | - | - | - | 2023-07-28 | 2024-08-19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제강 하이로프 3차 | 121.2 | 213 | 105 | 108 | - | - | - | 2023-09-.21 | 2024-12-31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강선 창원공장 4차 | 35.7 | 73 | 26 | 47 | - | - | - | 2023-09-.21 | 2024-06-13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강선 창원공장 5차 | 417 | 796 | 243 | 554 | - | - | - | 2023-11-23 | 2024-06-13 | 100% | 개발행위허가 | |
홍덕산업 포항SC공장 3차 | 442.2 | 625 | - | 625 | - | - | - | 2024-04-09 | 2024-12-30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제강 하이로프 4차 | 426 | 612 | - | 612 | - | - | - | 2024-05-10 | 2024-12-31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강선 포항공장 4차 | 414 | 701 | - | 701 | - | - | - | 2024-05-10 | 2024-12-31 | 100% | 개발행위허가 | |
고려제강 유산공장 | 340.8 | 440 | - | 396 | 44 | - | - | 2024-06-05 | 2025-04-30 | 9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고려강선 창원공장 주차장 | 161.28 | 375 | - | 225 | 150 | - | - | 2024-08-09 | 2025-06-30 | 6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고려제강(건천이형선) | 424 | 594 | - | - | 594 | - | - | 2025-03-01 | 2025-11-01 | 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고려제강(양산SW) | 200 | 280 | - | - | 280 | - | - | 2025-01-01 | 2025-09-01 | 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고려제강(건천이형선) | 2800 | 3,920 | - | - | - | 3,920 | - | 2026-03-01 | 2026-11-01 | 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홍덕산업(건천SSW) | 700 | 980 | - | - | - | 980 | - | 2026-03-01 | 2026-11-01 | 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고려제강(유산공장) | 300 | 420 | - | - | - | 420 | - | 2026-02-01 | 2026-10-01 | 0% | 개발행위허가 진행 중 | |
계 | - | 19,932 | 1,913 | 4,926 | 3,258 | 7,336 | 2,500 | - | - | 34% | - |
주) | 상기 설비 취득계획에는 2024년 지출하여 취득완료한 설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가. 매출실적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단위 : 톤, 백만원) |
부문 | 매출유형 | 품 목 | 2024년도 | 2023년도 | 2022년도 | 2021년도 | 2021년도 | ||||||
(제33기) | (제32기) | (제31기) | 구 키스트론 | (제30기)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와이어부문 | 제품매출 | 전자부품용 | 수출 | 3,040 | 28,957 | 2,719 | 23,917 | 3,649 | 34,943 | 4,436 | 33,706 | - | - |
내수 | 248 | 3,338 | 247 | 2,981 | 224 | 2,804 | 253 | 3,016 | - | - | |||
소계 | 3,288 | 32,295 | 2,965 | 26,897 | 3,873 | 37,747 | 4,690 | 36,722 | - | - | |||
케이블용 | 수출 | 4,332 | 27,891 | 3,314 | 20,521 | 3,168 | 20,004 | 2,576 | 14,207 | - | - | ||
내수 | 374 | 3,318 | 299 | 2,513 | 335 | 2,784 | 385 | 3,189 | - | - | |||
소계 | 4,706 | 31,209 | 3,613 | 23,034 | 3,503 | 22,787 | 2,962 | 17,396 | - | - | |||
반품부채 조정 | (758) | - | (74) | - | (279) | - | - | - | - | ||||
내부거래제거 | (227) | (598) | |||||||||||
소계 | 수출 | 7,372 | 56,848 | 6,032 | 44,438 | 6,816 | 54,946 | 7,013 | 47,913 | - | - | ||
내수 | 622 | 6,657 | 546 | 5,494 | 559 | 5,588 | 639 | 6,204 | - | - | |||
소계 | 7,993 | 63,505 | 6,578 | 49,931 | 7,375 | 60,534 | 7,651 | 54,118 | - | - | |||
조정 | (758) | - | (300) | - | (877) | - | - | - | - | ||||
합계 | 7,993 | 62,747 | 6,578 | 49,631 | 7,375 | 59,658 | 7,651 | 54,118 | - | - | |||
상품매출 | 수출 | - | - | - | - | 2 | 15 | - | - | ||||
내수 | 10 | 159 | 24 | 376 | 24 | 384 | 13 | 182 | - | - | |||
소계 | 10 | 159 | 24 | 376 | 24 | 384 | 14 | 197 | - | - | |||
기타매출 | 내수 | 415 | 383 | 255 | 272 | 260 | 502 | 311 | 789 | - | - | ||
소계 | 415 | 383 | 255 | 272 | 260 | 502 | 311 | 789 | - | - | |||
와이어 소계 | 수출 | 7,372 | 56,848 | 6,032 | 44,438 | 6,816 | 54,946 | 7,014 | 47,928 | - | - | ||
내수 | 1,047 | 7,198 | 825 | 6,135 | 844 | 6,475 | 963 | 7,175 | - | - | |||
조정 | - | (758) | - | (300) | - | (877) | - | - | - | - | |||
소계 | 8,419 | 63,288 | 6,857 | 50,273 | 7,660 | 60,544 | 7,977 | 55,104 | - | - | |||
기타 부문 | 전력매출 | 내수 | 7,512 | 4,405 | 13,284 | 4,440 | 11,741 | 4,550 | - | - | 11,310 | 3,372 | |
소계 | 7,512 | 4,405 | 13,284 | 4,440 | 11,741 | 4,550 | - | - | 11,310 | 3,372 | |||
임대매출 | 내수 | 2 | 1,261 | 2 | 1,216 | 2 | 1,173 | - | - | 2 | 1,168 | ||
소계 | 2 | 1,261 | 2 | 1,216 | 2 | 1,173 | - | - | 2 | 1,168 | |||
기타 소계 | 내수 | 7,514 | 5,666 | 13,285 | 5,656 | 11,742 | 5,723 | - | - | 11,312 | 4,540 | ||
소계 | 7,514 | 5,666 | 13,285 | 5,656 | 11,742 | 5,723 | - | - | 11,312 | 4,540 | |||
합계 | 수출 | 7,372 | 56,848 | 6,032 | 44,438 | 6,816 | 54,946 | 7,014 | 47,928 | - | - | ||
내수 | 8,561 | 12,865 | 14,110 | 11,799 | 12,586 | 12,198 | 963 | 7,175 | 11,312 | 4,540 | |||
조정 | - | (758) | - | (300) | - | (877) | - | - | - | - | |||
소계 | 15,933 | 68,955 | 20,143 | 55,936 | 19,402 | 66,267 | 7,977 | 55,104 | 11,312 | 4,540 |
나. 판매경로 등 (1) 판매조직 당사의 사업관련 조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당사는 기술 기반 기업으로서 전문 인력을 투입하여 운영되며, 영업부를 중심으로 판매 조직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인 영업 활동은 대표이사가 총괄하고 있습니다.
영업부는 단순 판매를 넘어 당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 가치 정립, 방향성 설정 등 브랜딩 작업을 수행하며, 시장 동향 분석과 경쟁사 정보 수집을 통해 전략적 마케팅을 수립합니다. 또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자격 획득 및 인증 절차를 관리하며,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핵심 자료를 생성하고 취합합니다.
아울러, 영업 기회 발굴과 고객 요구사항 정리를 통해 전반적인 고객 영업을 담당하며, 향후 잠재 고객으로 전환될 수 있는 기업뿐만 아니라 기술적·영업적 제휴 가능성이 있는 협력업체와의 관계 구축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 판매경로
【품목별 판매경로】 |
부문 |
매출 유형 |
품목 | 구분 | 판매경로 |
---|---|---|---|---|
와이어 | 제품매출 | 전자부품용 | 수출 | 당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수출 | 당사 → 유통회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수출 | 당사 → 계열회사/종속회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내수 | 당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케이블용 | 수출 | 당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수출 | 당사 → 유통회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내수 | 당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상품매출 | 내수 | 당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기타매출 | 내수 | 당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내수 | 당사 → 계열회사/종속회사 → (전선/부품회사 → 세트메이커) → 브랜드사 | |||
기타 | 전력매출 | 내수 | 당사 → 수요업체(발전사 등) | |
임대매출 | 내수 | 당사 → 수요업체(임차인 등) |
다. 판매전략 (1) 전자부품용 와이어 (가) 품질관리
키스트론은 전자부품 업계에서 뛰어난 품질로 높은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업계 최고 수준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철저한 품질 관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키스트론이 주력하는 자동차용 전자부품 와이어 시장에서는 일본계 제조사가 주요 공급업체이자 고객사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일본계 거래처의 특성상 공급업체 변경이 어려운 만큼, 높은 진입장벽을 유지하기 위해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 개발과 품질 개선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장 직원들의 철저하고, 능동적인 공장 관리를 하고 있어 정기적인 고객사 공장 감사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자부품용 와이어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더욱 공고히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본계 거래처는 ISO9001 등의 기본적인 품질 관리 시스템 외에도 자체적으로 요구하는 품질 기준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기적인 품질 자가 평가를 요청합니다. 거래처는 일정 주기마다 직접 방문하여 공장 감사를 실시하며, 이 과정에서 자가 평가 자료를 포함한 품질 관리 수준을 심사합니다. 감사 과정에서는 서류상으로 보고된 관리 내용이 실제로 현장에서 철저하게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보장받고 높은 신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장 감사는 변화하는 품질 관리 시스템을 학습하고 더 높은 품질 수준을 유지하는 계기가 되며, 키스트론은 이를 발판으로 지속적인 품질 향상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나) 신제품 개발
키스트론의 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주로 자동차에 적용되는 제품으로, 자동차 산업의 까다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품질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와의 오랜 신뢰를 바탕으로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유수의 자동차 제조업체 요구 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안정적인 공급업체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자동차용 전자부품은 일반 전자부품보다 더욱 엄격한 품질 기준이 요구됩니다.제품은 높은 온도와 낮은 온도에서의 성능 유지, 장기간 노출에 따른 내구성 확보, 그리고 진동이 심한 환경에서도 PCB 기판에 안정적으로 용접되는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
이에 따라, 키스트론은 캐패시터 제조업체 N사에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고온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열성을 갖춘 와이어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신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해당 제품은 거래처의 1차 평가를 거쳐 상위 고객사까지 검증을 받는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 중이며, 샘플 제출 후 최종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2) 케이블용 와이어 키스트론이 개발한 Detonator, Trace, 접지용 연선 등 케이블용 와이어는 비교적 후발주자로 시장에 진입했으며, 아직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는 여지가 많습니다.
특히, 동복강선 사용이 인증된 국가 중 하나인 미국 시장에서 경쟁사들이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만큼, 키스트론은 이들을 벤치마킹하여 새로운 거래선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고자 합니다.
(가) KOTRA 지사화 사업
키스트론은 제한된 영업 인력으로 인해 전 세계 신규 거래선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무역진흥원(KOTRA)의 지사화 사업을 활용하여 판매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사업을 통해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나 시장성이 불확실한 국가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와 잠재 거래선 발굴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당 지역에서 관련 산업 전시회가 열릴 경우, KOTRA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바이어와 면담을 진행하며, 키스트론 제품의 판매 촉진 활동을 수행합니다.
특히, 성사 가능성이 높은 거래 건에 대해서는 정기적인 화상회의를 통해 시장 진입 전략과 협력 방안을 검토하며, 보다 체계적인 방식으로 신규 거래선 개발을 추진하고있습니다.
( 나) 고려제강 해외 Network 활용
키스트론은 관계사인 고려제강의 해외 사무소 지원을 통해 신규 거래선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제 정세가 빠르게 변화하는 가운데, 각국의 무역정책, 환경정책 등 주요 동향을 적시에 파악하여 시장 상황에 맞는 최적의 판매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자합니다.
(다) 전시회 참가, 미디어 노출
키스트론은 주요 Wire 전시회에 참가하여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회사와 함께 해외 전시회에 동반 참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 전시회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고객과의 접점을 넓히고 있습니다.이를 통해 키스트론은 업계에서 지속적으로 건재한 모습을 보여주며,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주요 전시회 참가 이력】 |
전시회 | 비고 |
Wire Dusseldorf 2018 | 독일, 고려제강 관에 공동 참가 |
Interwire 2023 | 협력사와 공동 참가 |
대한민국 전기산업엑스포 2023 | 키스트론 단독관 운영 |
키스트론은 접지 연선 판매 촉진을 위해 국내 최초로 KS 규정 등록을 신청하였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다양한 홍보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내용을 광고하기 위해 국내 경제 신문 및 관련 산업 신문에 광고를 게재하여 업계에 널리 알렸으며, 아시아경제 TV ‘클로즈업 기업현장' 코너를 통해 방송 홍보를 진행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 내 신뢰도를 높이고, 접지 연선의 경쟁력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습니다.
( 라) 접지용 동피복 강연선 한국산업표준(KS) 등록 및 한국전기설비규정(KEC)개정 추진
키스트론은 2014년 국내 최초로 전기용 연질 동피복 강연선 개발에 성공하며, 본격적으로 국내 접지연선 시장 개척에 나섰습니다. 이후, 2022년 12월 전기용 연질 동피복 강연선의 KS 표준을 제정하였으며, 현재 해당 제품을 한국전기설비규정(KEC) 내 접지연선으로 공식 반영하기 위한 개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KEC 규정상 접지연선은 접지 시스템과 피뢰 시스템에 활용되며, 두 분야 모두에서 동피복 강연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이 중 접지 시스템 부문은 전문 위원회의 검토를 완료하였으며, 현재 국가기술표준원의 개정 고시만을 앞두고 있습니다. 한편, 피뢰 시스템 부문도 개정 신청을 마친 상태이며, 관련 절차는 약 2년 이상 소요될 예정입니다. 키스트론은 2025년 하반기 개정 완료를 목표로 철강협회와 협력하여 규정 반영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동피복 강연선이 국내 접지연선 시장에서 표준 제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 마) 케이블용 와이어 품목별 판매 전략
1) Trace용 와이어
현재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판매를 진행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납기 운영을 위해 생산 운영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의 재고를 품목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고객이 원하는 시점에 적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대응력을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내 추가 거래선 확보를 위해 정기적인 해외 출장을 진행하며, 직접 바이어와 미팅을 통해 회사와 제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판매 가능성을 확대하고,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 Detonator용 와이어
키스트론은 현재 Mining Solution 업계 1위인 Orica社의 주요 공급업체로 안정적인 납품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업계 2위 및 3위 기업을 대상으로 거래선을 확대하기 위한 시장 조사를 완료하였습니다. 특히, KOTRA 지사화 사업을 활용하여 2, 3위 기업에 케이블을 공급하는 Supply Chain 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잠재 거래선을 파악하고 있습니다. 입증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신규 거래선을 확보한 후, 글로벌 시장 확대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3) 접지용 연선
키스트론은 기존에 미국 경쟁사가 활동해온 지역을 타겟으로 대리점 선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중동 시장을 최우선으로 공략하고 있으며, 2024년부터 아랍에미리트 전력청 입찰을 통해 1월부터 본격적인 납품을 시작하였습니다. 향후 판매가 더욱 확대되고 대리점의 실적이 검증되면, 중동 전역을 대상으로 한 공식 대리점 계약을 체결할 계획입니다. 국내 시장에서는 KS 및 KEC(국내 전기설비규정) 고시 시점을 기준으로 판매 확대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내 유수의 건설사 및 시공설계 업체와의 미팅을 통해 회사 및 제품을 소개하고, 향후 수요 창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4) 신규 용도 개발
동복강선은 구리선을 대체할 수 있는 무한한 시장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제조업체는 여전히 동복강선의 존재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키스트론은 동복강선의 적용 가능성을 적극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제품 및 용도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기존 시장을 넘어 다양한 산업군에서의 활용성을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라. 수주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Kg, 백만원) |
발주처 | 품 목 | 수주일자 | 납 기 | 수주총액 | 수주잔고 | ||
수 량 | 금 액 | 수 량 | 금 액 | ||||
E & E CABLE (CHINA) | 케이블용 | 2024-08-05 | 2025-01-02 | 2,430 | 13 | 2,430 | 13 |
E & E CABLE (CHINA) | 케이블용 | 2024-08-05 | 2025-01-02 | 4,900 | 27 | 4,900 | 27 |
E & E CABLE (CHINA) | 케이블용 | 2024-08-05 | 2025-01-02 | 2,675 | 15 | 2,675 | 15 |
MCC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2 | 800 | 8 | 800 | 8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4-11-05 | 2025-01-02 | 1,300 | 17 | 1,300 | 17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4-11-05 | 2025-01-02 | 680 | 9 | 680 | 9 |
(주)티엔에스산업 | 전자부품용 | 2024-12-26 | 2025-01-02 | 480 | 3 | 480 | 3 |
(주)명보케이블 | 케이블용 | 2024-12-18 | 2025-01-02 | 5,000 | 32 | 5,000 | 32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1-15 | 2025-01-02 | 3,644 | 77 | 3,644 | 77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1-03 | 15,000 | 95 | 15,000 | 9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1-03 | 15,000 | 95 | 15,000 | 95 |
알엔케이블(주) | 케이블용 | 2024-12-18 | 2025-01-03 | 500 | 7 | 500 | 7 |
문안전자 | 전자부품용 | 2024-11-06 | 2025-01-03 | 300 | 3 | 300 | 3 |
Kris-Tech Wire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06 | 2,200 | 31 | 2,200 | 31 |
Kris-Tech Wire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06 | 15,000 | 88 | 15,000 | 88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6 | 540 | 5 | 540 | 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6 | 540 | 5 | 540 | 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6 | 4,000 | 33 | 4,000 | 3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6 | 3,000 | 24 | 3,000 | 2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6 | 540 | 4 | 540 | 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06 | 1,000 | 8 | 1,000 | 8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1-15 | 2025-01-06 | 500 | 5 | 500 | 5 |
SPIRATECH GROUP | 케이블용 | 2024-04-01 | 2025-01-07 | 31,000 | 270 | 31,000 | 270 |
E & E CABLE (CHINA) | 케이블용 | 2024-09-06 | 2025-01-07 | 17,650 | 101 | 17,650 | 101 |
KING LIFE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7 | 2,880 | 25 | 2,880 | 25 |
KING LIFE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7 | 1,440 | 13 | 1,440 | 13 |
KING LIFE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7 | 1,440 | 13 | 1,440 | 13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0-24 | 2025-01-07 | 520 | 7 | 520 | 7 |
오리셀주식회사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1-07 | 500 | 10 | 500 | 10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0 | 2025-01-08 | 500 | 12 | 500 | 12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0 | 2025-01-08 | 400 | 7 | 400 | 7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0 | 2025-01-08 | 500 | 12 | 500 | 12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08-21 | 2025-01-08 | 17,000 | 126 | 17,000 | 126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08-21 | 2025-01-08 | 15,000 | 95 | 15,000 | 9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8 | 500 | 7 | 500 | 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1,000 | 12 | 1,000 | 1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1,000 | 11 | 1,0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1,000 | 12 | 1,000 | 1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1,600 | 22 | 1,600 | 2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2,000 | 26 | 2,000 | 2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1,200 | 17 | 1,200 | 1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500 | 7 | 500 | 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500 | 12 | 500 | 1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500 | 36 | 500 | 3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1-08 | 1,440 | 11 | 1,44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28 | 2025-01-08 | 500 | 7 | 500 | 7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02 | 2025-01-09 | 3,000 | 43 | 3,000 | 43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02 | 2025-01-09 | 1,000 | 13 | 1,000 | 13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9 | 1,080 | 19 | 1,080 | 19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9 | 300 | 5 | 300 | 5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9 | 1,000 | 7 | 1,000 | 7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09 | 720 | 13 | 720 | 13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04 | 2025-01-13 | 520 | 7 | 520 | 7 |
SILCOM | 케이블용 | 2024-10-22 | 2025-01-13 | 51,000 | 379 | 51,000 | 37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680 | 8 | 680 | 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1,360 | 16 | 1,360 | 16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680 | 8 | 680 | 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1,620 | 23 | 1,620 | 2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3,240 | 47 | 3,240 | 47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4,080 | 56 | 4,080 | 56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680 | 9 | 680 | 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2,040 | 27 | 2,040 | 27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1,360 | 29 | 1,360 | 2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680 | 15 | 680 | 1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540 | 5 | 540 | 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540 | 5 | 540 | 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2,160 | 19 | 2,160 | 1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3,240 | 28 | 3,240 | 2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2,400 | 21 | 2,400 | 21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1-13 | 500 | 10 | 500 | 10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500 | 6 | 500 | 6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500 | 6 | 500 | 6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500 | 6 | 500 | 6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1-13 | 500 | 6 | 500 | 6 |
금전사 | 케이블용 | 2024-12-20 | 2025-01-13 | 500 | 7 | 500 | 7 |
주식회사 부영전자 | 전자부품용 | 2024-12-23 | 2025-01-13 | 200 | 1 | 200 | 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1-14 | 3,000 | 22 | 3,000 | 22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1-14 | 10,000 | 63 | 10,000 | 63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1-14 | 1,000 | 6 | 1,000 | 6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1-14 | 15,000 | 95 | 15,000 | 95 |
CAP PARTS AG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1-14 | 90 | 1 | 90 | 1 |
CAP PARTS AG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1-14 | 90 | 1 | 90 | 1 |
CAP PARTS AG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1-14 | 60 | 1 | 60 | 1 |
CAP PARTS AG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1-14 | 160 | 2 | 160 | 2 |
CAP PARTS AG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1-14 | 50 | 1 | 50 | 1 |
서진전자주식회사 | 전자부품용 | 2024-11-21 | 2025-01-14 | 966 | 13 | 966 | 13 |
HARBOR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14 | 300 | 4 | 300 | 4 |
HARBOR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1-14 | 200 | 5 | 200 | 5 |
HARBOR | 전자부품용 | 2024-10-24 | 2025-01-14 | 200 | 3 | 200 | 3 |
HARBOR | 전자부품용 | 2024-10-24 | 2025-01-14 | 200 | 5 | 200 | 5 |
KEMET Finland | 전자부품용 | 2024-11-28 | 2025-01-15 | 1,000 | 13 | 1,000 | 13 |
E & E | 케이블용 | 2024-11-06 | 2025-01-16 | 17,500 | 114 | 17,500 | 114 |
INC | 전자부품용 | 2024-12-09 | 2025-01-16 | 680 | 9 | 680 | 9 |
INC | 전자부품용 | 2024-12-09 | 2025-01-16 | 3,400 | 40 | 3,400 | 40 |
INC | 전자부품용 | 2024-12-09 | 2025-01-16 | 680 | 16 | 680 | 16 |
미쿠니알케이정밀 | 케이블용 | 2024-12-11 | 2025-01-16 | 500 | 10 | 500 | 10 |
미쿠니알케이정밀 | 케이블용 | 2024-12-11 | 2025-01-16 | 500 | 10 | 500 | 10 |
미쿠니알케이정밀 | 케이블용 | 2024-12-11 | 2025-01-16 | 500 | 9 | 500 | 9 |
(주)명보케이블 | 케이블용 | 2024-12-18 | 2025-01-16 | 5,000 | 32 | 5,000 | 32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1-16 | 1,000 | 21 | 1,000 | 2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1-16 | 500 | 11 | 500 | 1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2-05 | 2025-01-16 | 600 | 6 | 600 | 6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0 | 2025-01-20 | 800 | 15 | 800 | 15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0 | 2025-01-20 | 1,400 | 34 | 1,400 | 34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20 | 5,000 | 55 | 5,000 | 5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20 | 1,500 | 21 | 1,500 | 2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20 | 2,500 | 35 | 2,500 | 3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20 | 7,000 | 44 | 7,000 | 44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0-10 | 2025-01-20 | 14,000 | 93 | 14,000 | 9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2,040 | 25 | 2,040 | 2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2,720 | 33 | 2,720 | 3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680 | 9 | 680 | 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1,620 | 23 | 1,620 | 2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1,360 | 19 | 1,360 | 1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680 | 9 | 680 | 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3,400 | 44 | 3,400 | 44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540 | 5 | 540 | 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1,620 | 14 | 1,620 | 14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3,240 | 28 | 3,240 | 2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3,240 | 28 | 3,240 | 2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2,160 | 19 | 2,160 | 1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1,200 | 10 | 1,200 | 10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400 | 3 | 400 | 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0 | 680 | 15 | 680 | 1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21 | 540 | 5 | 540 | 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21 | 4,500 | 37 | 4,500 | 3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21 | 2,000 | 16 | 2,000 | 16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21 | 720 | 6 | 720 | 6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1-21 | 1,000 | 8 | 1,000 | 8 |
SILCOM | 케이블용 | 2024-11-06 | 2025-01-21 | 35,000 | 260 | 35,000 | 260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4-12-13 | 2025-01-22 | 4,500 | 29 | 4,500 | 29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4-12-13 | 2025-01-22 | 9,000 | 57 | 9,000 | 57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4-12-13 | 2025-01-22 | 4,500 | 29 | 4,500 | 29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4-12-13 | 2025-01-22 | 1,600 | 17 | 1,600 | 17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4-12-13 | 2025-01-22 | 8,000 | 80 | 8,000 | 80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4-12-13 | 2025-01-22 | 2,500 | 25 | 2,500 | 2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09-30 | 2025-01-22 | 400 | 8 | 400 | 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09-30 | 2025-01-22 | 800 | 16 | 800 | 1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0-24 | 2025-01-22 | 300 | 4 | 300 | 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15 | 2025-01-22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22 | 200 | 2 | 200 | 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22 | 400 | 8 | 400 | 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1-22 | 300 | 4 | 300 | 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1-22 | 400 | 3 | 400 | 3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1-22 | 500 | 6 | 500 | 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1-22 | 700 | 15 | 700 | 15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1-22 | 1,000 | 18 | 1,000 | 18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1-22 | 720 | 13 | 720 | 13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1-22 | 500 | 9 | 500 | 9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1-23 | 1,000 | 13 | 1,000 | 13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08-20 | 2025-01-23 | 3,000 | 43 | 3,000 | 43 |
선일전자산업(주) | 전자부품용 | 2024-12-23 | 2025-01-23 | 700 | 9 | 700 | 9 |
선일전자산업(주) | 전자부품용 | 2024-12-23 | 2025-01-23 | 1,400 | 15 | 1,400 | 15 |
선일전자산업(주) | 전자부품용 | 2024-12-23 | 2025-01-23 | 1,500 | 32 | 1,500 | 32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2-03 | 15,000 | 95 | 15,000 | 9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2-03 | 12,000 | 89 | 12,000 | 89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2-03 | 1,000 | 7 | 1,000 | 7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2-03 | 2,000 | 13 | 2,000 | 13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08 | 2025-02-03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08 | 2025-02-03 | 520 | 7 | 520 | 7 |
TAIWAN TAI YANG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2-03 | 300 | 4 | 300 | 4 |
TAIWAN TAI YANG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2-03 | 350 | 4 | 350 | 4 |
TAIWAN TAI YANG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2-03 | 350 | 7 | 350 | 7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2-04 | 7,200 | 61 | 7,200 | 61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1 | 2025-02-04 | 3,600 | 30 | 3,600 | 30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4 | 700 | 10 | 700 | 10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4 | 360 | 3 | 360 | 3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4 | 540 | 5 | 540 | 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4 | 900 | 8 | 900 | 8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4 | 1,800 | 15 | 1,800 | 1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4 | 400 | 3 | 400 | 3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2-04 | 700 | 9 | 700 | 9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2-04 | 680 | 10 | 680 | 10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2-04 | 680 | 15 | 680 | 1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2-04 | 1,400 | 31 | 1,400 | 31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2-04 | 700 | 15 | 700 | 15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2-04 | 1,000 | 21 | 1,000 | 2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2-10 | 2025-02-04 | 100 | 1 | 100 | 1 |
SILCOM | 케이블용 | 2024-12-23 | 2025-02-05 | 35,000 | 260 | 35,000 | 260 |
문안전자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2-05 | 300 | 3 | 300 | 3 |
문안전자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2-05 | 60 | 1 | 60 | 1 |
OKAYA(COLOMBO)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6 | 1,500 | 20 | 1,500 | 20 |
OKAYA(COLOMBO) | 전자부품용 | 2024-12-24 | 2025-02-06 | 500 | 6 | 500 | 6 |
E & E CABLE (CHINA) | 케이블용 | 2024-09-06 | 2025-02-06 | 15,200 | 84 | 15,200 | 84 |
선일전자산업(주) | 전자부품용 | 2024-12-23 | 2025-02-10 | 300 | 4 | 300 | 4 |
SPIRATECH GROUP | 케이블용 | 2024-04-01 | 2025-02-11 | 31,000 | 270 | 31,000 | 27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2-12 | 300 | 4 | 300 | 4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4-12-19 | 2025-02-12 | 1,600 | 20 | 1,600 | 20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18 | 2025-02-12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18 | 2025-02-12 | 520 | 7 | 520 | 7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2-12 | 400 | 7 | 400 | 7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2-12 | 940 | 17 | 940 | 17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13 | 600 | 14 | 600 | 14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13 | 200 | 4 | 200 | 4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13 | 300 | 6 | 300 | 6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13 | 600 | 11 | 600 | 11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2-13 | 1,300 | 19 | 1,300 | 19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2-13 | 700 | 9 | 700 | 9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02 | 2025-02-13 | 2,000 | 28 | 2,000 | 28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4-12-19 | 2025-02-13 | 1,360 | 15 | 1,360 | 15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4-12-19 | 2025-02-13 | 1,360 | 15 | 1,360 | 15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4-12-19 | 2025-02-13 | 5,440 | 58 | 5,440 | 58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5,000 | 41 | 5,000 | 41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1,500 | 12 | 1,500 | 12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3,000 | 24 | 3,000 | 2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3,000 | 24 | 3,000 | 2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1,000 | 14 | 1,000 | 1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13 | 1,000 | 13 | 1,000 | 13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9 | 2025-02-17 | 15,000 | 99 | 15,000 | 99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9 | 2025-02-17 | 15,000 | 95 | 15,000 | 95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4-12-20 | 2025-02-17 | 500 | 5 | 500 | 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15 | 2025-02-19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15 | 2025-02-19 | 500 | 10 | 500 | 10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20 | 700 | 13 | 700 | 13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20 | 600 | 14 | 600 | 14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2-20 | 300 | 7 | 300 | 7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10 | 2025-02-24 | 3,000 | 20 | 3,000 | 20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2-24 | 8,000 | 51 | 8,000 | 5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4-12-03 | 2025-02-24 | 19,000 | 120 | 19,000 | 120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28 | 2025-02-26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1-20 | 2025-02-26 | 520 | 7 | 520 | 7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2-27 | 500 | 7 | 5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1,000 | 14 | 1,000 | 1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500 | 7 | 5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4,000 | 33 | 4,000 | 3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1,500 | 12 | 1,500 | 12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2,500 | 20 | 2,500 | 20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4-12-18 | 2025-02-27 | 3,000 | 24 | 3,000 | 24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4-11-21 | 2025-03-04 | 400 | 5 | 400 | 5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4-11-21 | 2025-03-04 | 400 | 5 | 400 | 5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4-11-21 | 2025-03-04 | 800 | 9 | 800 | 9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4-11-21 | 2025-03-04 | 250 | 5 | 250 | 5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4-11-18 | 2025-03-04 | 2,000 | 24 | 2,000 | 24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3-11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3-11 | 520 | 7 | 520 | 7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12-17 | 2025-03-13 | 4,500 | 63 | 4,500 | 63 |
MERALCO | 케이블용 | 2024-04-01 | 2025-03-13 | 31,000 | 270 | 31,000 | 270 |
MERALCO | 케이블용 | 2024-04-01 | 2025-03-13 | 12,270 | 107 | 12,270 | 107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3-14 | 1,200 | 29 | 1,200 | 29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3-14 | 400 | 8 | 400 | 8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4-11-25 | 2025-03-14 | 2,000 | 37 | 2,000 | 3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3-19 | 1,000 | 19 | 1,000 | 1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3-19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18 | 2025-03-19 | 400 | 9 | 400 | 9 |
AOXIN | 전자부품용 | 2024-10-21 | 2025-03-21 | 400 | 5 | 400 | 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4-16 | 500 | 1,565 | 500 | 1,56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06 | 2025-04-16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4-16 | 400 | 9 | 400 | 9 |
주식회사 아이에스전자 | 케이블용 | 2025-03-13 | 2025-03-28 | 500 | 3 | 500 | 3 |
승원하이텍(주)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3-28 | 2,000 | 35 | 2,000 | 35 |
(주)티엔에스산업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3-28 | 480 | 3 | 480 | 3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07 | 2025-03-31 | 17,000 | 127 | 17,000 | 127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07 | 2025-03-31 | 17,000 | 127 | 17,000 | 127 |
AOXIN | 전자부품용 | 2024-10-21 | 2025-04-01 | 400 | 5 | 400 | 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01 | 4,500 | 30 | 4,500 | 30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01 | 3,500 | 34 | 3,500 | 34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01 | 7,000 | 44 | 7,000 | 44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26 | 2025-04-01 | 17,000 | 126 | 17,000 | 12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4-01 | 700 | 8 | 700 | 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4-01 | 700 | 15 | 700 | 15 |
문안전자 | 전자부품용 | 2025-02-07 | 2025-04-02 | 400 | 4 | 400 | 4 |
문안전자 | 전자부품용 | 2025-02-07 | 2025-04-02 | 60 | 1 | 60 | 1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2-13 | 2025-04-02 | 500 | 9 | 500 | 9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2-13 | 2025-04-02 | 890 | 16 | 890 | 16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4-02 | 1,000 | 11 | 1,000 | 11 |
한진전자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4-02 | 500 | 8 | 500 | 8 |
한진전자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4-02 | 225 | 3 | 225 | 3 |
금전사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4-02 | 500 | 7 | 500 | 7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14 | 2025-04-03 | 30,000 | 189 | 30,000 | 189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2-21 | 2025-04-03 | 4,500 | 97 | 4,500 | 97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1,080 | 16 | 1,080 | 16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2,040 | 28 | 2,040 | 2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1,360 | 18 | 1,360 | 1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1,080 | 9 | 1,080 | 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1,620 | 14 | 1,620 | 14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1,620 | 14 | 1,620 | 14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2-28 | 2025-04-03 | 1,600 | 14 | 1,600 | 14 |
선광엘티아이(주) | 케이블용 | 2025-03-06 | 2025-04-03 | 1,740 | 18 | 1,740 | 18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4-03 | 100 | 1 | 100 | 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4-03 | 200 | 2 | 200 | 2 |
한국상사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4-04 | 439 | 4 | 439 | 4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07 | 2025-04-07 | 34,000 | 254 | 34,000 | 254 |
(주)도솔 | 케이블용 | 2025-03-27 | 2025-04-07 | 1,600 | 15 | 1,600 | 15 |
(주)도솔 | 케이블용 | 2025-03-27 | 2025-04-07 | 434 | 4 | 434 | 4 |
(주)도솔 | 케이블용 | 2025-03-27 | 2025-04-07 | 119 | 1 | 119 | 1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04 | 2025-04-08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04 | 2025-04-08 | 520 | 7 | 520 | 7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2-06 | 2025-04-08 | 1,360 | 15 | 1,360 | 15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2-06 | 2025-04-08 | 680 | 8 | 680 | 8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2-06 | 2025-04-08 | 4,800 | 51 | 4,800 | 51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2-06 | 2025-04-08 | 700 | 7 | 700 | 7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08 | 8,000 | 88 | 8,000 | 88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08 | 5,000 | 50 | 5,000 | 50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08 | 500 | 5 | 500 | 5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08 | 1,000 | 10 | 1,000 | 10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08 | 1,400 | 14 | 1,400 | 14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300 | 7 | 300 | 7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400 | 8 | 400 | 8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700 | 13 | 700 | 13 |
KOHOKU(KEM)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1,620 | 24 | 1,620 | 24 |
KOHOKU(KEM)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1,360 | 19 | 1,360 | 19 |
KOHOKU(KEM)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1,080 | 10 | 1,080 | 10 |
KOHOKU(KEM)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08 | 5,940 | 51 | 5,940 | 51 |
미쿠니알케이정밀 | 케이블용 | 2025-03-27 | 2025-04-08 | 500 | 9 | 50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4 | 2025-04-09 | 600 | 9 | 60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800 | 11 | 8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500 | 6 | 500 | 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1,600 | 23 | 1,600 | 23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1,000 | 13 | 1,000 | 13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800 | 11 | 8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1,000 | 13 | 1,000 | 13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500 | 13 | 500 | 13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960 | 8 | 960 | 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800 | 11 | 8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09 | 800 | 11 | 8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9 | 2025-04-09 | 40 | 1 | 40 | 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4-09 | 120 | 2 | 120 | 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4-09 | 500 | 7 | 500 | 7 |
(주)엔에스케이블 | 케이블용 | 2025-02-07 | 2025-04-10 | 1,000 | 13 | 1,000 | 13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700 | 8 | 700 | 8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700 | 15 | 700 | 1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700 | 19 | 700 | 19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1,800 | 15 | 1,800 | 1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900 | 8 | 900 | 8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5,400 | 46 | 5,400 | 46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9,000 | 76 | 9,000 | 76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1,200 | 10 | 1,200 | 10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0 | 170 | 4 | 170 | 4 |
Kris-Tech Wire | 케이블용 | 2025-03-14 | 2025-04-10 | 8,000 | 46 | 8,000 | 46 |
Kris-Tech Wire | 케이블용 | 2025-03-14 | 2025-04-10 | 9,000 | 60 | 9,000 | 60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4-02 | 2025-04-10 | 3,000 | 42 | 3,000 | 42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4-02 | 2025-04-10 | 640 | 8 | 640 | 8 |
동일전자(주) | 전자부품용 | 2025-04-02 | 2025-04-10 | 700 | 7 | 700 | 7 |
동일전자(주) | 전자부품용 | 2025-04-02 | 2025-04-10 | 500 | 5 | 500 | 5 |
동일전자(주) | 전자부품용 | 2025-04-02 | 2025-04-10 | 800 | 7 | 800 | 7 |
알엔케이블(주) | 케이블용 | 2025-04-07 | 2025-04-10 | 500 | 7 | 500 | 7 |
지엘프로텍 | 케이블용 | 2025-04-09 | 2025-04-10 | 210 | 1 | 210 | 1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07 | 2025-04-11 | 51,000 | 381 | 51,000 | 381 |
INC | 전자부품용 | 2025-02-11 | 2025-04-14 | 1,360 | 17 | 1,360 | 17 |
INC | 전자부품용 | 2025-02-11 | 2025-04-14 | 3,400 | 40 | 3,400 | 40 |
INC | 전자부품용 | 2025-02-11 | 2025-04-14 | 680 | 16 | 680 | 16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2-13 | 2025-04-14 | 1,000 | 18 | 1,000 | 18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2-13 | 2025-04-14 | 450 | 8 | 450 | 8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5-03-04 | 2025-04-14 | 1,000 | 13 | 1,000 | 13 |
OKAYA(COLOMBO)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4-14 | 1,000 | 13 | 1,000 | 13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4-14 | 1,000 | 20 | 1,000 | 20 |
HARBOR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4-14 | 300 | 3 | 300 | 3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4 | 1,500 | 27 | 1,500 | 27 |
보성콘덕터(주) | 케이블용 | 2025-03-24 | 2025-04-14 | 800 | 17 | 800 | 17 |
보성콘덕터(주) | 케이블용 | 2025-03-24 | 2025-04-14 | 1,300 | 27 | 1,300 | 27 |
VISHAY PORTUGAL | 케이블용 | 2025-03-26 | 2025-04-14 | 1,000 | 12 | 1,000 | 12 |
(주)명보케이블 | 케이블용 | 2025-04-02 | 2025-04-14 | 3,892 | 25 | 3,892 | 25 |
승원하이텍(주) | 전자부품용 | 2025-04-02 | 2025-04-14 | 500 | 9 | 500 | 9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08 | 2025-04-14 | 755 | 6 | 755 | 6 |
(주)도솔 | 케이블용 | 2025-04-09 | 2025-04-14 | 300 | 2 | 300 | 2 |
(주)도솔 | 케이블용 | 2025-04-09 | 2025-04-14 | 120 | 1 | 120 | 1 |
(주)도솔 | 케이블용 | 2025-04-09 | 2025-04-14 | 80 | 1 | 80 | 1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4-14 | 400 | 7 | 400 | 7 |
E & E | 케이블용 | 2025-01-10 | 2025-04-15 | 17,500 | 120 | 17,500 | 120 |
SHIBA DENKA | 전자부품용 | 2025-02-25 | 2025-04-15 | 100 | 2 | 100 | 2 |
SHIBA DENKA | 전자부품용 | 2025-02-25 | 2025-04-15 | 300 | 5 | 300 | 5 |
SHIBA DENKA | 전자부품용 | 2025-02-25 | 2025-04-15 | 40 | 1 | 40 | 1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680 | 8 | 680 | 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540 | 8 | 540 | 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2,160 | 32 | 2,160 | 32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3,400 | 48 | 3,400 | 4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680 | 9 | 680 | 9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2,040 | 27 | 2,040 | 27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1,360 | 30 | 1,360 | 30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680 | 16 | 680 | 16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540 | 5 | 540 | 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1,080 | 10 | 1,080 | 10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1,620 | 14 | 1,620 | 14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3,780 | 33 | 3,780 | 3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3,780 | 33 | 3,780 | 33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5 | 2,400 | 21 | 2,400 | 2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1-22 | 2025-04-16 | 400 | 9 | 40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4-12-13 | 2025-04-16 | 500 | 10 | 500 | 10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1-13 | 2025-04-16 | 600 | 7 | 600 | 7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1-13 | 2025-04-16 | 2,000 | 24 | 2,000 | 2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1-22 | 2025-04-16 | 800 | 18 | 800 | 18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16 | 6,000 | 38 | 6,000 | 38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16 | 15,000 | 95 | 15,000 | 9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16 | 9,000 | 57 | 9,000 | 57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16 | 15,000 | 95 | 15,000 | 95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2-26 | 2025-04-16 | 400 | 5 | 400 | 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07 | 2025-04-16 | 500 | 11 | 500 | 11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04-16 | 2,500 | 45 | 2,500 | 45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04-16 | 1,500 | 28 | 1,500 | 2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4-16 | 340 | 4 | 340 | 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4-16 | 400 | 9 | 40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4-16 | 400 | 6 | 400 | 6 |
한진전자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4-16 | 500 | 6 | 500 | 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7 | 2025-04-16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16 | 800 | 11 | 8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16 | 1,000 | 12 | 1,000 | 1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16 | 800 | 12 | 800 | 1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16 | 3,600 | 49 | 3,600 | 4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16 | 1,080 | 9 | 1,08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16 | 960 | 8 | 960 | 8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540 | 5 | 540 | 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4,000 | 33 | 4,000 | 3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1,440 | 12 | 1,440 | 12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2,500 | 20 | 2,500 | 20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720 | 6 | 720 | 6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600 | 5 | 600 | 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3,000 | 24 | 3,000 | 2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19 | 2025-04-17 | 1,620 | 13 | 1,620 | 1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4-17 | 1,000 | 14 | 1,000 | 1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4-17 | 500 | 7 | 500 | 7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17 | 400 | 4 | 400 | 4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07 | 2025-04-18 | 51,000 | 381 | 51,000 | 381 |
(주)엔에스케이블 | 케이블용 | 2025-03-07 | 2025-04-18 | 100 | 1 | 100 | 1 |
주식회사 아이에스전자 | 케이블용 | 2025-03-31 | 2025-04-18 | 25 | - | 25 | -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4-18 | 540 | 10 | 540 | 10 |
우림컴퍼니 | 케이블용 | 2025-04-11 | 2025-04-18 | 850 | 9 | 850 | 9 |
보성전자 | 전자부품용 | 2025-04-11 | 2025-04-18 | 500 | 4 | 500 | 4 |
ITSUWA SHOJI | 전자부품용 | 2025-02-11 | 2025-04-21 | 200 | 5 | 200 | 5 |
ITSUWA SHOJI | 전자부품용 | 2025-02-11 | 2025-04-21 | 800 | 20 | 800 | 20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4-22 | 34,000 | 254 | 34,000 | 25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9 | 2025-04-22 | 400 | 5 | 400 | 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9 | 2025-04-22 | 350 | 8 | 350 | 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9 | 2025-04-22 | 200 | 4 | 200 | 4 |
ITSUWA SHOJI | 전자부품용 | 2025-03-14 | 2025-04-23 | 1,000 | 11 | 1,0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23 | 500 | 8 | 500 | 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4-23 | 500 | 11 | 500 | 11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2-10 | 2025-04-24 | 4,000 | 56 | 4,000 | 56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2-10 | 2025-04-24 | 1,000 | 14 | 1,000 | 14 |
Kris-Tech Wire | 케이블용 | 2025-03-14 | 2025-04-24 | 9,000 | 61 | 9,000 | 61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24 | 1,400 | 31 | 1,400 | 31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24 | 400 | 22 | 400 | 22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24 | 360 | 3 | 360 | 3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24 | 2,340 | 20 | 2,340 | 20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24 | 7,200 | 61 | 7,200 | 61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4-24 | 9,900 | 84 | 9,900 | 84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25 | 5,000 | 55 | 5,000 | 55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25 | 4,500 | 29 | 4,500 | 29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25 | 3,000 | 19 | 3,000 | 19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4-25 | 3,000 | 19 | 3,000 | 19 |
SILCOM | 케이블용 | 2025-04-04 | 2025-04-25 | 17,000 | 127 | 17,000 | 127 |
E & E | 케이블용 | 2025-01-10 | 2025-04-28 | 17,500 | 120 | 17,500 | 120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4-28 | 1,500 | 19 | 1,500 | 19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4-28 | 700 | 8 | 700 | 8 |
PRCC | 전자부품용 | 2025-03-14 | 2025-04-28 | 1,000 | 17 | 1,000 | 1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19 | 2025-04-28 | 500 | 11 | 500 | 11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28 | 100 | 2 | 100 | 2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4-28 | 1,000 | 22 | 1,000 | 22 |
선일전자산업㈜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4-28 | 600 | 6 | 600 | 6 |
선일전자산업㈜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4-28 | 750 | 16 | 750 | 16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4-28 | 1,200 | 12 | 1,200 | 12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4-28 | 1,500 | 15 | 1,500 | 15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4-28 | 2,000 | 18 | 2,000 | 18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4-07 | 2025-04-28 | 100 | 1 | 100 | 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2,000 | 20 | 2,000 | 20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17,000 | 126 | 17,000 | 126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7,000 | 55 | 7,000 | 5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9,000 | 60 | 9,000 | 60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7,000 | 51 | 7,000 | 5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15,000 | 165 | 15,000 | 16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04 | 2025-04-29 | 30,000 | 189 | 30,000 | 189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2-25 | 2025-04-30 | 200 | 2 | 200 | 2 |
선일전자산업(주) | 전자부품용 | 2025-04-07 | 2025-04-30 | 1,000 | 10 | 1,000 | 10 |
은성산업 | 전자부품용 | 2025-04-07 | 2025-04-30 | 3,000 | 62 | 3,000 | 62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4,000 | 33 | 4,000 | 3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1,800 | 14 | 1,800 | 1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2,300 | 18 | 2,300 | 18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500 | 4 | 500 | 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1,500 | 12 | 1,500 | 12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1,000 | 14 | 1,000 | 1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2-20 | 2025-05-02 | 500 | 7 | 500 | 7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2-25 | 2025-05-02 | 50 | 1 | 50 | 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5-02 | 150 | 1 | 150 | 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5-02 | 150 | 1 | 150 | 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5-02 | 50 | 1 | 50 | 1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5-07 | 51,000 | 381 | 51,000 | 38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800 | 11 | 8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1,000 | 12 | 1,000 | 12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400 | 5 | 400 | 5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500 | 11 | 500 | 11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1,600 | 24 | 1,600 | 2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1,000 | 14 | 1,000 | 1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1,200 | 18 | 1,200 | 18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1,000 | 14 | 1,000 | 14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400 | 30 | 400 | 3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720 | 6 | 720 | 6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5-07 | 960 | 8 | 960 | 8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1,360 | 17 | 1,360 | 17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1,620 | 25 | 1,620 | 2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2,720 | 40 | 2,720 | 40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3,400 | 47 | 3,400 | 47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680 | 16 | 680 | 16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680 | 15 | 680 | 15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1,080 | 10 | 1,080 | 10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1,080 | 10 | 1,080 | 10 |
KOHOKU(KECD)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7 | 1,080 | 9 | 1,080 | 9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1-13 | 2025-05-08 | 280 | 6 | 280 | 6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2-10 | 2025-05-08 | 2,000 | 28 | 2,000 | 28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3-14 | 2025-05-08 | 400 | 5 | 400 | 5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3-14 | 2025-05-08 | 800 | 9 | 800 | 9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08 | 1,200 | 12 | 1,200 | 12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08 | 1,500 | 15 | 1,500 | 15 |
DESAI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08 | 2,000 | 18 | 2,000 | 18 |
알엔케이블(주) | 케이블용 | 2025-04-10 | 2025-05-08 | 700 | 10 | 700 | 10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8 | 1,500 | 27 | 1,500 | 27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8 | 1,040 | 19 | 1,040 | 19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8 | 640 | 12 | 640 | 12 |
토파츠아이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8 | 1,500 | 11 | 1,500 | 11 |
이엘아이 주식회사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08 | 100 | 2 | 100 | 2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5-09 | 100 | 1 | 100 | 1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5-09 | 5,000 | 107 | 5,000 | 107 |
OKAYA(COLOMBO)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10 | 500 | 7 | 500 | 7 |
OKAYA(COLOMBO) | 전자부품용 | 2025-04-10 | 2025-05-10 | 500 | 6 | 500 | 6 |
INC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5-12 | 680 | 8 | 680 | 8 |
INC | 전자부품용 | 2025-03-12 | 2025-05-12 | 3,400 | 40 | 3,400 | 40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2 | 500 | 6 | 500 | 6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2 | 300 | 6 | 300 | 6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2 | 100 | 2 | 100 | 2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5-12 | 1,000 | 23 | 1,000 | 23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5-12 | 2,000 | 37 | 2,000 | 37 |
TDK Zhuhai | 전자부품용 | 2025-03-27 | 2025-05-12 | 200 | 4 | 200 | 4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5-13 | 500 | 5 | 500 | 5 |
KEMET Finland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5-13 | 1,000 | 13 | 1,000 | 13 |
KEMET Finland | 전자부품용 | 2025-04-03 | 2025-05-13 | 500 | 6 | 500 | 6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5-14 | 51,000 | 381 | 51,000 | 38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20 | 2025-05-15 | 30,000 | 189 | 30,000 | 189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500 | 7 | 5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1,500 | 22 | 1,500 | 22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360 | 5 | 360 | 5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900 | 7 | 9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3,500 | 28 | 3,500 | 28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900 | 7 | 9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900 | 7 | 9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15 | 1,080 | 9 | 1,080 | 9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5-15 | 2,100 | 27 | 2,100 | 27 |
OKAYA(HONG KONG) | 전자부품용 | 2025-03-18 | 2025-05-15 | 700 | 9 | 700 | 9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700 | 8 | 700 | 8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700 | 10 | 700 | 10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700 | 16 | 700 | 16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700 | 19 | 700 | 19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540 | 5 | 540 | 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540 | 5 | 540 | 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1,440 | 12 | 1,440 | 12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540 | 5 | 540 | 5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5,040 | 43 | 5,040 | 43 |
KOHOKU(KECS)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5-15 | 9,900 | 84 | 9,900 | 84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5-16 | 2,000 | 22 | 2,000 | 22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5-16 | 8,000 | 51 | 8,000 | 51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5-16 | 5,000 | 55 | 5,000 | 55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5-16 | 1,000 | 11 | 1,000 | 11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2-10 | 2025-05-16 | 1,000 | 10 | 1,000 | 10 |
E & E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5-16 | 17,500 | 120 | 17,500 | 12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5-16 | 400 | 9 | 40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5-16 | 400 | 9 | 400 | 9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5-19 | 51,000 | 381 | 51,000 | 381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10 | 2025-05-20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10 | 2025-05-20 | 520 | 7 | 520 | 7 |
Kris-Tech Wire | 케이블용 | 2025-03-14 | 2025-05-20 | 7,000 | 47 | 7,000 | 4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2-18 | 2025-05-21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2-18 | 2025-05-21 | 500 | 10 | 500 | 10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2-18 | 2025-05-21 | 500 | 10 | 500 | 10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5-26 | 51,000 | 381 | 51,000 | 381 |
Aerumtec | 케이블용 | 2025-03-28 | 2025-05-26 | 250 | 3 | 250 | 3 |
Aerumtec | 케이블용 | 2025-03-28 | 2025-05-26 | 1,750 | 21 | 1,750 | 2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20 | 2025-05-28 | 15,000 | 95 | 15,000 | 95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2-20 | 2025-05-28 | 17,000 | 126 | 17,000 | 126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29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29 | 900 | 7 | 900 | 7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29 | 3,500 | 28 | 3,500 | 28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29 | 360 | 3 | 360 | 3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29 | 540 | 4 | 540 | 4 |
TA SHOU | 전자부품용 | 2025-03-17 | 2025-05-29 | 1,080 | 9 | 1,080 | 9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6-02 | 4,500 | 97 | 4,500 | 9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18 | 2025-06-03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18 | 2025-06-03 | 520 | 7 | 520 | 7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6-03 | 1,360 | 15 | 1,360 | 15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6-03 | 1,360 | 15 | 1,360 | 15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6-03 | 4,800 | 52 | 4,800 | 52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6-03 | 680 | 7 | 680 | 7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6-03 | 340 | 4 | 340 | 4 |
Vishay Huizhou | 전자부품용 | 2025-03-26 | 2025-06-03 | 340 | 3 | 340 | 3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6-05 | 51,000 | 381 | 51,000 | 381 |
서진전자주식회사 | 전자부품용 | 2025-04-11 | 2025-06-09 | 1,150 | 16 | 1,150 | 16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6-10 | 7,000 | 55 | 7,000 | 55 |
(주)이텍 | 전자부품용 | 2025-04-11 | 2025-06-10 | 500 | 5 | 500 | 5 |
E & E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6-11 | 17,500 | 120 | 17,500 | 120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2-07 | 2025-06-12 | 160 | 3 | 160 | 3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6-12 | 2,800 | 32 | 2,800 | 32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6-12 | 300 | 3 | 300 | 3 |
TDK Brasil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6-12 | 700 | 8 | 700 | 8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06-12 | 4,000 | 55 | 4,000 | 55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6-13 | 51,000 | 381 | 51,000 | 381 |
Tru-Spec Metals | 케이블용 | 2025-04-10 | 2025-06-13 | 15,000 | 165 | 15,000 | 165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6-16 | 34,000 | 254 | 34,000 | 254 |
VISHAY INDIA | 전자부품용 | 2025-04-09 | 2025-06-17 | 100 | 2 | 100 | 2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6-19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2-24 | 2025-06-19 | 520 | 7 | 520 | 7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6-20 | 400 | 9 | 400 | 9 |
EIWABUSSAN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6-20 | 400 | 9 | 400 | 9 |
E & E | 케이블용 | 2025-04-04 | 2025-06-20 | 17,500 | 120 | 17,500 | 120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6-23 | 51,000 | 381 | 51,000 | 381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06-26 | 2,000 | 28 | 2,000 | 28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06-26 | 2,000 | 28 | 2,000 | 28 |
E & E | 케이블용 | 2025-04-04 | 2025-06-26 | 17,500 | 120 | 17,500 | 120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6-30 | 51,000 | 381 | 51,000 | 381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6-30 | 17,000 | 126 | 17,000 | 126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6-30 | 15,000 | 165 | 15,000 | 165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3-04 | 2025-07-03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3-04 | 2025-07-03 | 520 | 7 | 520 | 7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7-09 | 51,000 | 378 | 51,000 | 378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7-10 | 4,000 | 55 | 4,000 | 55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7-14 | 34,000 | 252 | 34,000 | 252 |
E & E | 케이블용 | 2025-04-04 | 2025-07-14 | 17,500 | 120 | 17,500 | 120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3-14 | 2025-07-17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3-14 | 2025-07-17 | 520 | 7 | 520 | 7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7-17 | 4,000 | 55 | 4,000 | 55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7-21 | 51,000 | 378 | 51,000 | 378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7-28 | 51,000 | 378 | 51,000 | 378 |
AGAVE WIRE LTD | 케이블용 | 2025-03-18 | 2025-07-28 | 17,000 | 126 | 17,000 | 126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3-24 | 2025-07-31 | 520 | 7 | 520 | 7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7-31 | 2,500 | 35 | 2,500 | 35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31 | 2025-07-31 | 2,500 | 35 | 2,500 | 35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8-04 | 51,000 | 378 | 51,000 | 378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8-08 | 34,000 | 252 | 34,000 | 252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8-10 | 520 | 7 | 520 | 7 |
Wuxi Murata Electronics Co., Ltd. | 전자부품용 | 2025-04-04 | 2025-08-10 | 520 | 7 | 520 | 7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8-18 | 51,000 | 378 | 51,000 | 378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8-22 | 51,000 | 378 | 51,000 | 378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8-29 | 51,000 | 378 | 51,000 | 378 |
SILCOM | 케이블용 | 2025-02-13 | 2025-09-05 | 34,000 | 252 | 34,000 | 252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08-20 | 2025-12-31 | 2,000 | 26 | 2,000 | 26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4-08-20 | 2025-12-31 | 2,200 | 29 | 2,200 | 29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2-10 | 2025-12-31 | 1,500 | 19 | 1,500 | 19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12-31 | 1,500 | 19 | 1,500 | 19 |
Murata (Thailand) | 전자부품용 | 2025-03-11 | 2025-12-31 | 2,000 | 26 | 2,000 | 26 |
합계 | 2,034,169 | 17,051 | 2,034,169 | 17,051 |
당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가격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뿐 아니라,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 승인합니다. 가. 시장위험(1) 외환위험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외환위험 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기능통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 | 전기 |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원/미국달러 | 799,572 | (799,572) | 714,181 | (714,181) |
원/유로 | 111,229 | (111,229) | 39,288 | (39,288) |
원/엔화 | 23,519 | (23,519) | 14,529 | (14,529) |
(2) 가격위험 당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당사 보유 금융상품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상품의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내에서 중요한 투자자산의 관리는 개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PI 주가지수 등에 속해 있습니다.상장주식 관련 두 가지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 및 비상장주식 관련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이 당사의 당기 세전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하에 주가지수가 1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고 비상장주식은 주식 가격이 일정하게 10%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분석한 것입니다.
(단위:천원) |
지수 | 세전 이익에 대한 영향 |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영향 | |||
---|---|---|---|---|---|
당기 | 전기 | 당기 | 전기 | ||
상장주식 | 상승시 | 66,421 | 532,854 | 6,659,279 | 7,306,973 |
하락시 | (66,421) | (532,854) | (6,659,279) | (7,306,973) | |
비상장주식 | 상승시 | - | - | - | 1,378,973 |
하락시 | - | - | - | (1,378,973) |
(3) 이자율 위험
당사의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은 차입금에서 비롯됩니다. 변동 이자율로 발행된 차입금으로 인하여 당사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동 이자율위험의 일부는 변동이자부 현금성 자산으로부터의 이자율위험과 상쇄됩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차입구조 개선을 통한 전사적인 이자비용 관리활동,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유지, 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이자율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원화 표시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상승 또는 하락할 경우, 증가 또는 감소한 변동이자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으로 인하여 당 회계기간에 대한 세전이익은 67,037천원(전기: 67,698천원)만큼 감소 또는 증가하였을 것입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등 소매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및 은행 등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처의 신용도를 재평가하여 신용거래한도를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당기 중 신용한도를 초과한 건은 없었으며 경영진은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않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현금성자산(현금시재 제외) | 16,426,927 | 7,000,529 |
매출채권 - 유동 | 10,571,028 | 9,314,064 |
기타수취채권 - 유동 | 422,738 | 399,435 |
기타수취채권 - 비유동 | 123,867 | 106,537 |
기타금융자산 - 비유동 | 68,354,456 | 93,709,358 |
다. 유동성 위험
당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주석 30 참조)를 적정수준으 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수요를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당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당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유동성위험 분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당기말 | ||||
---|---|---|---|---|---|
합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5년 | 5년 초과 | |
차입금(*1) | 6,716,224 | 6,716,224 | - | -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3,789,230 | 3,789,230 | - | - | - |
리스부채(*1) | 2,656,745 | 395,720 | 374,740 | 725,288 | 1,160,997 |
합 계 | 13,162,199 | 10,901,174 | 374,740 | 725,288 | 1,160,997 |
<전기말>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전기말 | ||||
---|---|---|---|---|---|
합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5년 | 5년 초과 | |
차입금(*1) | 7,010,294 | 7,010,294 | - | -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4,676,520 | 4,676,520 | - | - | - |
리스부채(*1) | 2,119,194 | 362,635 | 339,170 | 810,214 | 607,175 |
합 계 | 13,806,008 | 12,049,449 | 339,170 | 810,214 | 607,175 |
(*1) 상기 표에 포함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 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만기시까지 지급될 이자금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라. 자본위험관리
당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산업 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당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총차입금 | 6,703,688 | 6,769,857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7,002,437 |
순부채 | (9,724,458) | (232,580) |
자본총계 | 151,915,762 | 158,375,442 |
총자본 | 142,191,304 | 158,142,862 |
자본조달비율 | 부의 자본조달비율 | 부의 자본조달비율 |
마.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등 거래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회사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비경상적인 중요계약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1) 연구개발 조직 개요 당사는 기술정보 교환과 공동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연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신제품 및 기술개발, 샘플 개발 의뢰 대응, 국책과제 수행, 불량 원인 분석, 공정 개선 및 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가) 키스트론(주) 연구소 개요
구 분 | 내 용 |
설립일 | 1999년 2월 27일 (최초 인정일)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 키스트론(원시동) |
인정번호 | 19991133 |
인정일 | 2024-02-22 |
(나) 연구소 조직도
(다) 키스트론(주) 연구소 인력현황 및 담당업무
성명 | 직위 | 담당업무 |
---|---|---|
권OO |
연구소장(상무) |
개발총괄 |
김 OO | 책임 | 연구개발 |
윤 OO | 선임 | 선행개발 |
백 OO | 선임 | 공정개발 |
조 OO | 선임 | 공정설계 |
강 OO | 선임 | 공정분석 |
(라) 주요 연구개발인력 현황
직위 | 성명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주요연구실적 |
---|---|---|---|---|
연구소장 (상무) |
권 OO | 개발총괄 |
울산과학대 공업경영 학사 (‘83) 국제문화대학원 국문학과 석사(‘10) 1983~1993 삼미종합특수강 1994~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내부식성 합금개발 및 전동차 외장용 SUS304-0.3T 개발 (재직중) *Cu/Zn 도금선 및 친환경 Sn/Bi 개발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접지용 동복강연선 개발 정부과제 1건 |
책임 | 김 OO | 연구개발 |
부경대 신소재공학 학사(‘09) 2010~2021 고려제강 2022~2022 키스트론 2024~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초장대교량 사업단 교량용 케이블 및 도금강선 정부과제 1건 * 관련 특허 등록 7건 (재직중)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
선임 | 윤 OO | 선행개발 |
고려대 신소재공학 석사(‘08) 2007~20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0~2015 네오엔비즈 2018~2022 코스탯아이앤씨 2023~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ITO졸겔법 코팅 개발 및 국책과제 1건 *나노분산공정 개발 및 제품화 *전도성점착코팅제 개발 (재직중)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
선임 | 백 OO | 공정개발 |
순천향대 신소재공학 석사(‘13) 2014~2019 한국진공야금 2019~2021 HS하이테크 2021~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합금주조, 단조압연, 열처리 등 공정개발 및 국책과제 3건 *Ti합금, Al합금 3D프린팅 연구개발 및 국책과제 3건 (재직중) *자동차 신호선용 동합금 정부과제 1건 |
선임 | 조 OO | 공정설계 |
신라대 바이오환경 학사(‘06) 2008~2016 삼흥산업개발㈜ 2016~2019 호수환경㈜ 2019~2024 자인산업개발㈜ 2024~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폐기물 리사이클링 (재직중) *도금공정 관리 및 개발 |
선임 | 강 OO | 공정분석 |
한밭대 전자공학 학사(’12) 2012~2021 고려제강 2022~현재 키스트론 |
(재직전) *샘플 물성 테스트 (재직중) *불량개선 및 분석 |
(2) 연구개발인력 구성
학력 | 박사 | 석사 | 학사 | 기타 |
---|---|---|---|---|
인원수 | - | 3 | 3 | - |
(3) 연구개발비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4년도 (제33기) |
2023년도 (제32기) |
2022년도 (제31기) |
2021년도 (제30기) |
2021년도 (舊키스트론) |
|
---|---|---|---|---|---|---|
자산처리 | 원재료비 | - | - | - | - | - |
인건비 | -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 | - | - | - | |
위탁용역비 | - | - | - | - | - | |
기타 경비 | - | - | - | - | - | |
소 계 | - | - | - | - | - | |
비용 처리 |
제조원가 | - | - | - | - | - |
판관비 | 323 | 292 | 331 | - | 335 | |
판관비 (정부과제) |
- | - | 13 | - | - | |
소 계 | 323 | 292 | 344 | - | 335 | |
합 계 (매출액 대비 비율) |
323 | 292 | 344 | - | 335 | |
(0.47%) | (0.52%) | (0.51%) | - | (0.61%) |
(4) 연구개발 실적
연구과제명 | 연구기관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
40%IACS 동피복연강선(Copper plated low carbon steel)을 활용한 접지극용 소재개발 | 리오엠엔씨㈜, 키스트론㈜, 승원하이텍㈜ |
- 시공성을 개선하고 가격을 30% 절감한 동피복연강연선 접지극을 개발- 개발된 접지극은 시제품 분석과 현장 시공을 거쳐 상용화되어 판매 중 |
자동차 신호 케이블용 1000MPa·63%IACS급 0.08SQ 구리 합금선재 개발 | 키스트론, RIST, 순천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경신전선 | - 고인장강도(1000MPa) 및 높은 전도도(63%IACS)를 갖춘 자동차용 구리 합금 전선 개발- Mg 및 Fe 합금을 적용해 공정을 최적화하여 인장강도와 전도도가 우수한 시제품 제작- 유한요소해석(FEM)과 변형 미세조직 분석을 통해 구리 합금의 압출 및 인발 공정을 최적화- 현재 선행연구 단계에서 시제품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향후 상용화 가능성을 검토 중 |
눌림불량 개선을 위한 광택도금 기술개발 | 키스트론(주), 엠케이켐앤텍 |
- 눌림불량 개선을 위한 광택 도금 기술을 적용한 A첨가제의 경도 값이 B첨가제 대비 2.2배 높아 표면 개선 효과 우수- 개선된 도금 공정은 목표 경도를 초과 달성하여 현재 제조공정에 적용 중 |
구리 도금액 재활용을 위한 친환경 양극 소재 개발 | 키스트론(주),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 기존 납 대비 우수한 내부식성과 환경유해성이 없는 양극 소재 개발- 현재 제조 공정에 적용 중 |
(5) 연구개발 계획
연구과제 | 연구기관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소요자금 (백만원) | 재원조달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개발 | 당사, L사, I사 | [진행현황] 1) 자동차 시트열선 MCF 포함 규격 및 품질 표준 입수 2) 습식/건식 샘플 제조하여 개발 가능성 확인 3) 친환경적인 건식 방식으로 설비 개발 4) 시트 열선 실증 평가 시제품 제조 진행중[상용화 시 기대 매출] 1) 양산차량 적용 시 : 64만대(24년기준) x 13,800원(대당 MCF 단가) x 90% = 79억원 2) 수출용, 고급차종 우선 적용후, 내수 확대 예정[추가 기대효과] 열선 시트용 도체 외 가벼운 무게 유연성으로 인한 배선 용이성 등으로 신호선 확대 적용 기대 | 3,068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기타 연구개발투자 | RIST, POSTECH, 순천대 |
[연구환경 개선] 분석 장비 최신화: FE-SEM(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XRF(X선형광분석기), 공초점 레이져현미경(조도 분석), 유니 버셜 인장시험기(피로/압축/항복강도 측정 등) 도입[공통/위탁 연구] 1) 전동 모터 도체(권선) 시장 진입을 위한 절연코팅 기술 등의 신규 기술 개발 2) 변압기 권선 시장 집입을 위한 이형 압연 기술 개발 등[연구인력 확충] 석사 이상 연구 인력 충원 |
1,534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모터권선용 CCA 각선 개발 | 당사, 포항 소재연구원, B사 | [진행현황 - 초기 논의 단계] 1) 기존 동소재 헤어핀에서 CCA 대체 시 가격과 무게 측면에 유리 2) B사, 포항소재 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을 의논하고 있는 단계로, 3x1.4mm의 치수(안)이 도출 및 샘플 제작하여 양산 가능성 확인[상용화 시 기대 매출] 1) 모터당 매출 : 70m x 500원/m = 35,000원 2) 친환경차 적용시 연간 매출 : (24년 기준)EV 12만대 x 2ea = 84억원[추가 기대효과] 고효율, 고출력이 필요한 전기차 등 활용 기대 | 1,313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당사, 포항 소재연구원, H사 | [진행현황 - 초기 논의 단계] 1) 모터 성능 향상을 위해 Fe-Ni 이형합금 용접 와이어 필요 2) 기술 적용시 2~4% 향상의 실증 평가 진행중[상용화 시 기대 매출] 1) 모터당 매출 : 10m x 1,500원/m = 15,000원 2) 친환경차 적용시 연간 매출 : (24년 기준)EV 12만대 x 2ea + HEV 22만대 x 1ea = 69억원[추가 기대효과] 고효율, 고출력이 필요한 전기차 등 활용 기대 | 1,263 | 자체연구비 투자 및 공모자금 |
(가) 보유 기술의 경쟁력 (가) 다품종 제품군 제조 능력의 경쟁력
당사는 전자제품용 원자재인 Lead Wire, 전기·통신용 원자재인 케이블 도체, 그리고 접지극용 연선 및 소선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입니다.
전기, 전자, 통신 산업에서 요구되는 고탄소강, 저탄소강, 동선, 무산소동, 알루미늄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으며, 고객사의 요구 물성에 맞춰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Cu(구리), Ni(니켈), Ag(은), Sn(주석) 등의 도금 공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다품종 생산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제품을 기능별, 외관별, 제조사별로 표준화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 제품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생산 효율성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세계 각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제품군 | 도금기술 |
고탄소강 | Ni, Cu |
저탄소강 | Cu하지 + Ni, Ag, Sn |
동선 | Ni, Ag, Sn |
무산소동 | - |
알루미늄 | - |
(나) 도금기술 경쟁력
전기도금은 일정 수준 이상의 과전압을 인가하여 도전성 소재 표면에 금속 및 비금속층을 형성하는 기술로, 이를 통해 전기전도성, 내식성, 용접성 등의 기능을 부여할 수있습니다. 당사는 도금 용액, 도금 설비, 제조 운영 기술까지 자체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전기도금 공정을 통해 최대 700㎛ 수준의 두꺼운 도금층을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밀착성과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는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용융도금 공정은 일반적으로 휘스커 방지 및 내열성에 강한 특징을 가지지만, 도금층의 편심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버티컬 타입(Vertical Type) 핫에어 공정을 적용하여 편심을 효과적으로제어하고, 보다 균일한 도금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비를 최적화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는 고품질 도금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며, 업계 내 차별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 원가절감을 위한 대체 소재개발
당사는 기존의 고가 구리선을 대체할 수 있도록 철선에 동도금을 적용한 CP 제품을 개발 및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구리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전기적 성능과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디토네이터(Detonator) 와이어는 광산업 및 공사 현장에서 기폭 장치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핵심 도체로 사용됩니다. 특히, 전기뇌관에서 전자뇌관으로의 전환이 진행됨에 따라 신호 전송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탄소강에 두꺼운 동도금을 적용하여 강도를 높이는 동시에 높은 연신율을 확보한 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현재 Orica社의 1차 벤더인 Silcom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 구조물을 과도한 전압, 전류(Surge) 및 낙뢰로부터 보호하는 접지, 피뢰용 소재 역시 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위해 동피복 강연선으로 대체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 확대를 위해 KS 인증 절차를 순차적으로 진행 중이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판로를 더욱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가. 상표 관리정책 및 고객관리 정책 등이 사업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지적재산권 현황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적용제품 | 출원국 |
1 | 특허권 |
알루미늄재로 된 전기전자용 리드선재의 제조방법 |
키스트론(주) | 2006-02-16 | 2007-06-08 | - | 대한민국 |
2 | 상표 | TPC | 키스트론 | 2006.05.19 | 2007.03.19 | TPC | 대한민국 |
3 | 상표 | 5TPC | 키스트론 | 2006.05.19 | 2007.03.19 | 5TPC | 대한민국 |
4 | 상표 | TCAAB | 키스트론 | 2017.03.30 | 2017.11.15 | TCAAB | 대한민국 |
다. 규제사항(1) 국내 법률
당사는 도금시설 설치 및 운영 시 다양한 환경·안전 관련 법률을 준수하고 있으며, 발전사업에서는 전기사업법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도금시설 운영 시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악취방지법, 위험물관리법, 폐기물관리법,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등의 법률이 적용됩니다. 또한, 당사의 발전사업은 전기사업법의 적용을 받으며, 전력 생산 및 공급과 관련된 법적 기준을 준수하여 운영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다양한 법적 요구사항을 철저히 준수함으로써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생산 환경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관련 법령 | 내용 |
대기환경보전법 제23조 및 제26조 |
대기배출시설 설치 허가 / 비산배출시설 설치, 운영신고 |
물환경보전법 제33조 및 제35조 | 폐수배출시설설치허가 |
악취방지법 제8조 | 악취배출시설 설치신고 |
위험물관리법 제6조 | 위험물제조소 등 완공검사합격 |
폐기물관리법 제18조 및 제19조 |
사업장폐기물 배출자 신고 / 폐기물처리계획확인 |
대기관리권역의 대기환경개선에 관한 특별법 제 15조 | 대기오염물지 총량관리사업장 설치 허가 |
화학물관리법 제23조 및 제28조 | 유해화학물질 사용업 허가 |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등에 관한 법률 제10조 | 화학물질의 등록 |
전기사업법 제7조 | 발전사업허가 |
(2) 기타 국외 인증제도
유럽연합(EU)의 환경 규제 준수를 위한 당사의 대응
1) RoHS 규제 준수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지침은 전자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로, 특히 납(Pb), 카드뮴(Cd), 수은(Hg) 등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엄격히제한하고 있습니다. 동도금 공정에서 사용되는 특정 화학물질도 RoHS 규제 대상에 포함되므로, 당사가 유럽 시장에 제품을 수출하기 위해서는 해당 규정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친환경 도금 기술을 적용하고,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소재를 활용하여 글로벌 환경 기준에 부합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2) REACH 규제 대응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s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규제는 유럽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화학물질에 대한 등록, 평가, 승인 및 제한을 규정하는 법안으로, 환경과 인체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동도금 공정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 REACH 규제에 따라 사전에 등록되지 않을 경우, 해당 제품의 유럽 내 판매가 제한되므로, 당사는 원자재와 공정 내 화학물질을 철저히 관리하고, REACH 인증을 확보하여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예정입니다.
라. 시장 규모 및 전망(1) 전자부품용 와이어1) 전자부품 전자부품은 수동 소자, 전원 공급 부품, 커넥터, 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각 부품은 전자기기의 성능과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마트 기기의 경량화 및 고성능화로 인해 이러한 부품들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출처: 글로벌 전자 부품 시장 - 업계 동향 및 2031년 예측 , Data Bridge, (2024.02) |
2023년 기준 글로벌 전자부품 시장은 약 4,846억 달러 규모로 평가되며, 가전, 통신, 자동차, 산업 장비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 스마트 기기, 신재생 에너지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자부품 수요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전망입니다.2031년까지 글로벌 전자부품 시장은 약 7,00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력 효율성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관리 기술의 발전이 시장 확대를 가속화할 것입니다. 또한, 자동차 전장화, 통신 기술 고도화, 스마트 제조 확산이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하며,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의 발전으로 배터리와 센서 시스템 중심의 고성능 전자부품 사용이 증가할 것입니다. 사물인터넷(IoT)과 5G 통신망 확산 또한 커넥터와 전원 공급 부품의 수요를 크게 늘릴 것으로 기대됩니다. Data Bridge 미국에 본사를 둔 리서치 기관으로, 소비재, IT, 건강 관리, 금융 서비스,제조업 등의 분야에서 시장 조사,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분석 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2) 캐패시터캐패시터는 전기를 저장하고 방출하며, 전류 흐름을 조절하고 전압 변동을 방지하는 중요한 전자 부품입니다. 스마트폰, 컴퓨터, 텔레비전과 같은 소비자 전자 제품부터 자동차, 재생 에너지 시스템까지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전력 변환, 안정화, 노이즈 필터링 등의 역할을 통해 전자 장치의 성능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기본적으로 캐패시터는 두 개의 전극과 유전체로 구성되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세라믹 캐패시터, 알루미늄 전해캐패시터, 탄탈 캐패시터, 필름 캐패시터 등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 알루미늄 전해캐패시터는 알루미늄 박을 전극으로 사용하고, 산화피막 알루미늄을 유전체로 하며, 전극 사이에 전해액을 넣어 제조됩니다.
출처: Capacitor Market Size, Precedence Research, (2024.11) |
2022년 글로벌 캐패시터 시장은 약 346억 5천만 달러 규모였으며, 2023년에는 367억 2천만 달러로 성장하였습니다. 앞으로 연평균 5.9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32년에는 618억 3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성장은 전기차(EV)의 확산, 5G 및 IoT 기술의 발전, 소비자 전자 제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 등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캐패시터의 역할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Precedence Research는 캐나다-인도 기반의 기관으로, 전략적 시장 인사이트 제공 업체입니다. 이들은 산업별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구 보고서, 일반 보고서 및 전문가 상담을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3) 알루미늄 전해 캐퍼시터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방출하는 전자 부품으로, 높은 용량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양극과 음극이 알루미늄 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화피막이 유전체 역할을 하고 전해질이 전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이 캐패시터는 세라믹 캐패시터보다 더 큰 정전 용량을 제공하며, 필름 캐패시터보다 고용량을 필요로 하는 응용 분야에 더욱 적합합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전력 변환 장치, 전원 공급 장치, 인버터 등 다양한 산업에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전기차, 산업 자동화, 통신 장비와 같은 고용량 전력을 요구하는 분야에서 필수적인 부품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출처: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 Marke , vantagemarketresearch, (2022) |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 시장은 이러한 수요 증가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22년 전 세계 시장 규모는 약 51억 8천만 달러로 평가되었고, 2030년까지 68억 7천만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친환경 자동차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배터리 시스템과 인버터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차량의 에너지 저장과 공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차 시장의 급성장과 함께 알루미늄 전해 캐패시터의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자동차 전장 부품 시장에서 필수적인 부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Vantage Market Research는 미국의 리서치기관으로, 주로 B2B 시장을 중심으로 한 소비재,헬스케어, 기술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4) 자동차용 전장부품전자부품용 와이어는 자동차, 통신, 컴퓨터, 제조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특히 자동차 부문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동차 산업에서 전장은 전기·전자적 제어를 담당하는 핵심 부품과 기능을 의미하며, 전기차 시장의 성장과 함께 ADAS(첨단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자율주행 기술의 도입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출처: 전장(電裝)에 들어선 전기전자 , 이베스트투자증권, (203.06) |
자동차 전장 산업은 배터리와 함께 그 역할이 강화되며,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1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반도체, 카메라, 센서, 통신, 디스플레이, 전기모터, MLCC 등 고가 전장 부품의 탑재가 증가하면서, 2023년에는 자동차 전장 산업의 시장 규모가 스마트폰 부품 시장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됩니다.또한, 자율주행 기술이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자동차 업계는 전기차뿐만 아니라 자율주행 기술 확보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차 시장은 2035년까지 연평균 40%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며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전장 기술과 자율주행 기술은 서로 긴밀하게 연계되어 동반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자동차 전장 부품 시장은 더욱 커질 것이며, 스마트폰 부품 시장을 뛰어넘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케이블용 와이어 1) 디토네이터
시장조사 기관 MA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디토네이터 시장 규모는 2022년 11억 1,300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2.36%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1년에는 세계 시장 규모가 13억 9,4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있습니다. 건설업에서는 도시화 및 인프라 개발로 인해 폭발물 사용이 증가하고 있고, 광물 자원의 수요 증가로 광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어 디토네이터 수요 증가가 예상 됩니다. 최근 각국 정부는 환경과 안전성에 대한 우려로 폭발물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있으며, 안정성이 우수한 전자뇌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한 전자뇌관의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22년 64.47%에서 2031년 94.12%까지 연평균 4.29%의점유율 상승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디토네이터 시장규모】 |
출처: 2023-2031 Report on Global Detonator Market , MA Research (2024.02) |
2) 트레이스
Maia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 규모를 2022년 1.67억 달러로 평가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3.03%의 성장해서 2028년에는 세계 시장 규모가 2.1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Maia Research는 홍콩에 본사를 두고 있는 국제 시장 조사 및 컨설팅 업체입니다. 이 회사는 150개 이상의 국가에서 소비자 및 산업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북미, 유럽, 중동, 남미,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다양한 시장 조사를 제공하며, 다양한 산업에 대한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규모】 |
출처: Global Tracer Wire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 , Maia Research (2022. 10) |
지역별로는 2023년 기준 북미 지역이 33.11%의 시장 점유율로 가장 큰 시장이며, 유럽과 중국이 각각 23.36%과 19.56%로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
【글로벌 트레이스 시장규모 (지역별) 】 |
출처: Global Tracer Wire Industry Market Research Report , Maia Research (2022. 10) |
현재 미국에서는 노후 전력망 교체를 중점을 둔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사가 집중하고 있는 미국 내 트레이스 시장은 정책의 수혜로 인한 건설 활동 증대가 트레이스 시장을 성장시킬 요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3) 접지용 연선
Quince Market Insights은 2022년 글로벌 접지선 시장 규모를 19.52억 달러로 평가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3.9%의 성장률을 기록해 2030년에는 전 세계 시장 규모가 26억 5,0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접지용연선 시장규모 (지역별) 】 |
출처: GLOBAL EARTHNG WIRE MARKET, Quince Market Insights (2021) |
특히, 예측기간(2021년-2030년)동안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중국과 인도의 인프라 개발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확대로 연평균 5.0%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북미 지역은 기존 전력망의 현대화로 인해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2022년 12월 전기용 연질 동피복 강연선 KS표준을 제정하였으며, 현재 건설현장 등의 지침서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 동피복 강연선을 접지연선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반영하기 위한 개정을 추진 중으로 개정 완료 시 국내 접지용연선 시장확대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Quince Market Insights는 인도에 본사를 둔 글로벌 시장 조사 및 컨설팅 회사로, 다양한 산업에 대한 시장 조사 및 연구 보고서를 전문으로 합니다. 이 회사는 시장 동향, 성장 기회, 경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적인 데이터를 제공하고 분석자료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3) 대체시장 존재 여부 및 전망 1) 동복강선의 대체재 및 향후 전망 동복강선은 전도성과 강도의 균형을 갖춘 도체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산업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대체 소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동복강선은 대체보다는 응용 가능성이 더욱 크다고 판단됩니다.순동은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높은 비용과 무거운 무게로 인해 경량화를 요구하는 산업에서는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알루미늄은 가벼운 무게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대형 송전 시스템 및 건축용 전선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전기 전도율이 낮아 동일한 전력을 전송하려면 더 큰 단면적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비해 동복강선은 경제성과 성능 면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경량화와 강도를 요구하는 산업에서 그 활용도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순동을 대체할 가능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 소재를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처럼 동복강선은 순동 대비 경제적이면서도 적절한 전도성을 제공하여, 점차 더 많은 산업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것으로 기대됩니다.2) 트레이스용 와이어의 대체재 및 향후 전망 트레이스 와이어는 지표투과 레이더(GPR) 및 전자기 유도(EMI) 기술과 경쟁하고 있으며, 이들 기술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어 트레이스 와이어의 성장 가능성을 일부 제한할 수 있습니다. GPR은 지하 설비를 보다 상세하게 이미지화할 수 있어 플라스틱 및 콘크리트 파이프와 같은 비금속 설비 탐색에 유리하며, 도로 건설 및 포장 재생과 같은 특정 분야에서 선호됩니다. 또한, EMI 기술은 비금속 설비를 찾을 수 있으며, 지하 설비의 밀도가 높은 환경에서 자주 활용되며 전력선, 가스관, 수도관 등의 위치를 찾고 지도화하는 데 유틸리티 산업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레이스 와이어는 높은 정확도, 신뢰성, 사용 용이성 덕분에 여전히 많은 응용 분야에서 선호되는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무선 및 GPS 기능이 포함된 트레이스 와이어 시스템과 같은 지속적인 기술 발전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만족도 또한 높아 대체 기술로 인해 큰 위협을 받을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3) 디토네이터용 와이어의 대체재 및 향후 전망 무선 디토네이터는 물리적 연결 없이 원격으로 폭발 장치를 작동시키는 전자 장치로,광업, 건설, 철거와 같은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작업자가 안전한 거리에서 폭발물을 제어할 수 있어 기존 유선 기폭 시스템에 비해 사고 및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술적 복잡성, 전파 간섭, 보안 위험, 그리고 날씨 및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기폭 실패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폭발 작업은 비용뿐만 아니라 안전성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며, 오차가 발생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정밀한 작업 설계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무선 디토네이터는 기술적 완전성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기존 유선 디토네이터를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됩니다.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구분/사업연도 | 제34기 1분기 2025년 1분기 말 | 제33기 2024년 12월 말 | 제32기 2023년 12월 말 | 제31기 2022년 12월 말 | 제30기 2021년 12월 말 |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인(감사의견) | 검토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한영회계법인(적정) | 한영회계법인(적정) | 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유동자산] | 42,940 | 47,592 | 34,211 | 35,242 | 40,563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505 | 16,428 | 7,002 | 4,601 | 2,922 |
- 매출채권 | 11,597 | 10,571 | 9,314 | 12,157 | 15,129 |
- 기타수취채권 | 166 | 423 | 399 | 582 | 1,901 |
- 재고자산 | 19,294 | 19,767 | 16,543 | 17,286 | 20,095 |
- 기타유동자산 | 378 | 403 | 366 | 615 | 357 |
-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 | - | 585 | - | 158 |
[비유동자산] | 139,500 | 132,298 | 155,735 | 144,018 | 160,499 |
- 장기금융상품 | 2 | 2 | 2 | 2 | 2 |
- 기타금융자산 | 74,508 | 68,354 | 93,709 | 81,787 | 96,952 |
- 장기기타수취채권 | 125 | 124 | 107 | 68 | 31 |
- 유형자산 | 45,587 | 44,832 | 43,022 | 42,864 | 44,307 |
- 무형자산 | 28 | 28 | 28 | 35 | 41 |
- 사용권자산 | 1,820 | 1,495 | 1,271 | 1,532 | 1,481 |
- 투자부동산 | 17,429 | 17,462 | 17,595 | 17,729 | 17,675 |
자산총계 | 182,440 | 179,890 | 189,946 | 179,259 | 201,062 |
[유동부채] | 16,065 | 12,965 | 13,872 | 14,524 | 26,948 |
[비유동부채] | 15,450 | 15,010 | 17,698 | 15,748 | 19,840 |
부채 총계 | 31,515 | 27,975 | 31,570 | 30,272 | 46,788 |
[자본금] | 6,630 | 6,630 | 6,630 | 6,630 | 6,630 |
[자본잉여금] | 57,303 | 57,303 | 57,303 | 57,303 | 57,30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4,414 | 34,357 | 43,662 | 34,401 | 34,430 |
[이익잉여금] | 52,578 | 53,626 | 50,781 | 50,654 | 55,912 |
[비지배주주지분] | - | - | - | - | - |
자본 총계 | 150,925 | 151,916 | 158,375 | 148,987 | 154,274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182,440 | 179,890 | 189,946 | 179,259 | 201,062 |
주1) | 상기 2025년 1분기말 재무수치는 당사의 자체 결산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구분/사업연도 | 제34기 1분기 2025년 01월 01일 ~ 2025년 03월 31일 | 제33기 2024년 01월 01일 ~ 2024년12월 31일 | 제32기 2023년 01월 01일 ~ 2023년12월 31일 | 제31기 2022년 01월 01일 ~ 2022년12월 31일 | 제30기 2021년 01월 01일 ~ 2021년12월 31일 |
---|---|---|---|---|---|
연결에포함된 회사수 | - | - | 1 | 1 | 1 |
[매출액] | 17,101 | 68,955 | 55,936 | 66,267 | 4,540 |
[영업이익(영업손실)] | 1,813 | 5,901 | 3,733 | 7,341 | 1,237 |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 1,517 | 6,915 | 5,350 | 10,000 | - |
[중단사업이익(중단사업손실)] | - | 1,862 | (2,979) | (2,166) | - |
[연결당기순이익(손실)] | 1,517 | 8,777 | 2,371 | 7,833 | 16,168 |
ㆍ지배기업소유주지분 | 1,517 | 8,777 | 2,371 | 7,833 | - |
ㆍ 비지배주주비분 | - | - | - | - | - |
[계속영업 기본및희석주당이익] | 114 | 522 | 404 | 754 | 1,219 |
[중단영업 기본및희석주당이익] | - | 140 | (225) | (163) | - |
주1) | 2021, 2022년 재무제표는 K-GAAP으로 회계감사를 진행하여 적정을 받았으며, 2023년 IFRS 전환작업이 이루어져, 비교표시를 목적으로 소급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2024년 5월 14일 연결대상 고려전공유한공사를 매각하여, 2024년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지배기업의 연결대상 주요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
주3) | 상기 2025년 1분기말 재무수치는 당사의 자체 결산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나. 요약별도재무정보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구분/사업연도 | 제34기 1분기 2025년 1분기 말 | 제33기 2024년 12월 말 | 제32기 2023년 12월 말 | 제31기 2022년 12월 말 | 제30기 2021년 12월 말 |
---|---|---|---|---|---|
회계처리기준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K-IFRS |
감사인(감사의견) | 검토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한영회계법인 (적정) | 한영회계법인 (적정) | 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감사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유동자산] | 42,940 | 47,592 | 35,430 | 30,551 | 32,937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505 | 16,428 | 6,637 | 4,061 | 2,393 |
- 매출채권 | 11,597 | 10,571 | 9,314 | 9,759 | 11,515 |
- 기타수취채권 | 166 | 423 | 399 | 285 | 1,383 |
- 재고자산 | 19,294 | 19,767 | 16,543 | 15,856 | 17,315 |
- 기타유동자산 | 378 | 403 | 366 | 591 | 331 |
-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 | - | 2,170 | - | - |
[비유동자산] | 139,500 | 132,298 | 155,735 | 147,557 | 166,252 |
- 장기금융상품 | 2 | 2 | 2 | 2 | 2 |
- 장기매출채권 | - | - | - | 2,140 | 4,590 |
- 기타금융자산 | 74,508 | 68,354 | 93,709 | 81,787 | 96,952 |
- 장기기타수취채권 | 125 | 124 | 107 | 68 | 31 |
- 유형자산 | 45,587 | 44,832 | 43,022 | 41,684 | 42,909 |
- 무형자산 | 28 | 28 | 28 | 28 | 28 |
- 사용권자산 | 1,820 | 1,495 | 1,271 | 1,450 | 1,394 |
- 투자부동산 | 17,429 | 17,462 | 17,595 | 17,729 | 17,675 |
- 종속기업투자 | - | - | - | 2,669 | 2,669 |
자산총계 | 182,440 | 179,890 | 191,165 | 178,108 | 199,189 |
[유동부채] | 16,065 | 12,965 | 13,256 | 14,287 | 26,518 |
[비유동부채] | 15,450 | 15,010 | 17,698 | 15,307 | 19,355 |
부채 총계 | 31,515 | 27,975 | 30,954 | 29,594 | 45,873 |
[자본금] | 6,630 | 6,630 | 6,630 | 6,630 | 6,630 |
[자본잉여금] | 57,303 | 57,303 | 57,303 | 57,303 | 57,30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4,414 | 34,357 | 43,636 | 34,380 | 34,430 |
[이익잉여금] | 52,578 | 53,626 | 52,643 | 50,202 | 54,954 |
자본 총계 | 150,925 | 151,916 | 160,212 | 148,514 | 153,316 |
부채와 자본 총계 | 182,440 | 179,890 | 191,165 | 178,108 | 199,189 |
주1) | 상기 2025년 1분기말 재무수치는 당사의 자체 결산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백만원) |
구분/사업연도 | 제34기 1분기 2025년 01월 01일 ~ 2025년 03월 31일 | 제33기 2024년 01월 01일 ~ 2024년12월 31일 | 제32기 2023년 01월 01일 ~ 2023년12월 31일 | 제31기 2022년 01월 01일 ~ 2022년12월 31일 | 제30기 2021년 01월 01일 ~ 2021년12월 31일 |
---|---|---|---|---|---|
[매출액] | 17,101 | 68,955 | 56,243 | 66,918 | 4,540 |
[영업이익(영업손실)] | 1,813 | 5,901 | 4,008 | 5,239 | 1,237 |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 1,980 | 8,835 | 5,344 | 6,955 | 22,564 |
[당기순이익(손실)] | 1,517 | 8,777 | 4,686 | 8,339 | 16,168 |
ㆍ기본주당순이익(원) | 114 | 522 | 353 | 629 | 1,219 |
주1) | 2021, 2022년 재무제표는 K-GAAP으로 회계감사를 진행하여 적정을 받았으며, 2023년 IFRS 전환작업이 이루어져, 비교표시를 목적으로 소급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2024년 5월 14일 연결대상 고려전공유한공사를 매각하여, 2024년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지배기업의 연결대상 주요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
주3) | 상기 2025년 1분기말 재무수치는 당사의 자체 결산 재무정보를 바탕으로 기재하였습니다. |
가. 연결 재무상태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키스트론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백만원) |
과 목 | 주석 | 제 33기 (2024 년) (당) 기 말 | 제 32기 (2023년) (전) 기 말 | 제 31기 (2022년) 기 말 | 제 30기 (2021년) 기 말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47,592 | 34,211 | 35,242 | 40,563 | |||||
현금및현금성자산 | 4, 5, 6, 8 | 16,428 | 7,002 | 4,601 | 2,922 | ||||
매출채권 | 4, 5, 6, 7, 9 | 10,571 | 9,314 | 12,157 | 15,129 | ||||
기타수취채권 | 4, 5, 6, 9 | 423 | 399 | 582 | 1,901 | ||||
재고자산 | 11 | 19,767 | 16,543 | 17,286 | 20,095 | ||||
기타유동자산 | 12 | 403 | 366 | 615 | 357 | ||||
매각예정비유동자산자산 | - | 585 | - | 158 | |||||
Ⅱ. 비유동자산 | 132,298 | 155,735 | 144,018 | 160,499 | |||||
장기금융상품 | 5, 6 | 2 | 2 | 2 | 2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5, 6, 10 | 68,354 | 93,709 | 81,787 | 96,952 | ||||
장기기타수취채권 | 4, 5, 6, 9 | 124 | 107 | 68 | 31 | ||||
유형자산 | 13 | 44,832 | 43,022 | 42,864 | 44,307 | ||||
무형자산 | 14 | 28 | 28 | 35 | 41 | ||||
사용권자산 | 16 | 1,495 | 1,271 | 1,532 | 1,481 | ||||
투자부동산 | 15 | 17,462 | 17,595 | 17,729 | 17,675 | ||||
기타비유동자산 | 12 | - | - | - | - | 9 | |||
자 산 총 계 | 179,890 | 189,946 | 179,259 | 201,062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2,965 | 13,872 | 14,524 | 26,948 | |||||
매입채무 | 4, 5, 6, 17 | 1,341 | 1,621 | 1,195 | 2,082 | ||||
기타지급채무 | 4, 5, 6, 17 | 3,381 | 3,627 | 3,188 | 3,386 | ||||
단기차입금 | 4, 5, 6, 18 | 6,704 | 6,770 | 6,998 | 18,834 | ||||
당기법인세부채 | 454 | 290 | 1,951 | 1,918 | |||||
기타유동금융부채 | 4, 6, 12, 16 | 1,085 | 1,564 | 1,192 | 728 | ||||
Ⅱ. 비유동부채 | 15,010 | 17,698 | 15,748 | 19,840 | |||||
장기기타지급채무 | 4, 5, 6 | 227 | 570 | 576 | 453 | ||||
장기차입금 | 4, 5, 6, 18 | - | - | - | 484 | ||||
순확정급여부채 | 19 | 1,796 | 1,755 | 1,753 | 2,070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4, 6, 12, 16 | 1,398 | 1,144 | 1,280 | 1,228 | ||||
이연법인세부채 | 20 | 11,588 | 14,228 | 12,140 | 15,605 | ||||
부 채 총 계 | 27,975 | 31,570 | 30,272 | - | 46,788 | ||||
자 본 | |||||||||
Ⅰ. 지배주주지분 | |||||||||
자본금 | 21 | 6,630 | 6,630 | 6,630 | 6,630 | ||||
자본잉여금 | 57,303 | 57,303 | 57,303 | 57,303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1 | 34,357 | 43,662 | 34,401 | 34,430 | ||||
이익잉여금 | 21 | 53,626 | 50,781 | 50,654 | 55,912 | ||||
Ⅱ. 비지배주주지분 | - | - | - | - | |||||
자 본 총 계 | - | 151,916 | 158,375 | 148,987 | 154,274 |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 | 179,890 | 189,946 | 179,259 | 201,062 |
"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나.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키스트론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백만원) |
과 목 | 주석 | 제33기(2024 년) (당) 기 말 | 제32기(2023년) (전) 기 말 | 제31기(2022년) 기 말 | 제30기(2021년) 기 말 |
---|---|---|---|---|---|
Ⅰ. 매출액 | 22 | 68,955 | 55,936 | 66,267 | 4,540 |
Ⅱ. 매출원가 | 22, 23 | 56,441 | 46,460 | 53,797 | 2,445 |
Ⅲ. 매출총이익 | 12,513 | 9,476 | 12,470 | 2,095 | |
Ⅳ. 판매비와관리비 | 23, 24 | 6,613 | 5,743 | 5,129 | 858 |
Ⅴ. 영업이익 | 5,901 | 3,733 | 7,341 | 1,237 | |
기타영업외수익 | 25 | 99 | 74 | 188 | 15 |
기타영업외비용 | 25 | 53 | 42 | 168 | 28 |
금융수익 | 26 | 4,148 | 3,166 | 4,463 | 21,799 |
금융비용 | 26 | 1,260 | 1,364 | 2,767 | 459 |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8,835 | 5,567 | 9,057 | 22,564 | |
법인세비용(수익) | 20 | 1,920 | 217 | (943) | 6,396 |
Ⅶ. 계속영업당기순이익 | 6,915 | 5,350 | 10,000 | - | |
Ⅷ. 중단영업손익 | 1,862 | (2,979) | (2,166) | - | |
Ⅸ. 당기순이익 | 8,777 | 2,371 | 7,833 | 16,168 | |
지배기업 소유지분 | 8,777 | 2,371 | 7,833 | - | |
비지배지분 | - | - | - | - | |
Ⅹ. 기타포괄손익 | (13,811) | 9,348 | 139 | 16,697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 6 | 21 | 16,697 | |
해외사업장 외화환산차이 | - | 6 | 21 | -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13,811) | 9,006 | 118 | 16,697 | |
지분법 자본변동 | - | - | - | 860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2) | (342) | 168 | - | |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13,799) | 9,343 | (50) | 15,837 | |
XI. 총포괄이익 | (5,033) | 11,377 | 7,972 | 32,866 | |
지배기업 소유지분 | (5,033) | 11,377 | 7,972 | 32,866 | |
비지배지분 | - | - | - | 1,219 | |
XII. 주당이익 | |||||
계속영업 기본및희석주당이익 | 27 | 522 | 404 | 754 | 1,219 |
중단영업 기본및희석주당이익 | 27 | 140 | (225) | (163) | - |
"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다. 연결자본변동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키스트론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백만원) |
과 목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 | 이익잉여금 | 비지배지분 | 총 계 |
---|---|---|---|---|---|---|
2021.01.01(전전전기초) | 6,630 | 57,298 | 17,732 | 46,373 | - | 128,033 |
연차배당 | - | - | - | (6,630) | - | (6,630) |
당기순이익 | - | - | - | 16,168 | - | 16,16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15,837 | - | - | 15,837 |
지분법자본변동 | - | - | 860 | - | - | 860 |
기타자본잉여금 | - | 5 | - | - | - | 5 |
2021.12.31(전전전기말) | 6,630 | 57,303 | 34,430 | 55,912 | - | 154,274 |
2022.01.01(전전기초)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430 | 55,912 | - | 154,274 |
연차배당 | - | - | - | (13,259) | - | (13,259) |
당기순이익 | - | - | - | 7,833 | - | 7,833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68 | - | 16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 - | - | (50) | - | - | (50) |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 | - | - | - |
해외사업장의 외화환산차이 | - | - | 21 | - | - | 21 |
2022.12.31 (전전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401 | 50,654 | - | 148,987 |
2023.01.01 (전기초)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401 | 50,654 | - | 148,987 |
연차배당 | - | - | - | (1,989) | - | (1,989) |
당기순이익 | - | - | - | 2,371 | - | 2,371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342) | - | (34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 자산 평가손익 | - | - | 9,256 | 87 | - | 9,343 |
해외사업장의 외화환산차이 | - | - | 6 | - | - | 6 |
2023.12.31 (전기말) | 6,630 | 57,303 | 43,662 | 50,781 | - | 158,375 |
2024.01.01 (당기초) | 6,630 | 57,303 | 43,662 | 50,781 | - | 158,375 |
연차배당 | - | - | - | (1,400) | - | (1,400) |
당기순이익 | - | - | - | 8,777 | - | 8,777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2) | - | (1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9,279) | (4,520) | - | (13,799) |
연결범위 변동 | - | - | (26) | - | - | (26) |
2024.12.31 (당기말) | 6,630 | 57,303 | 34,357 | 53,626 | - | 151,916 |
"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라. 연결현금흐름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키스트론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백만원) |
과 목 | 주석 | 제33기(2024년) | 제32기(2023년) | 제31기(2022년)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제30기(2021년)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484 | 8,438 | 15,056 | 4,009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29 | 5,611 | 9,507 | 16,026 | 3,049 | ||||
2. 이자의 수취 | 476 | 190 | 303 | 396 | |||||
3. 이자의 지급 | (286) | (468) | (479) | - | |||||
4. 법인세의 납부 | (747) | (2,113) | (2,412) | (1,047) | |||||
5. 배당금의 수령 | 1,430 | 1,322 | 1,618 | 1,611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849 | (3,617) | 12,365 | (1,369)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7,513 | 2,829 | 15,473 | 35,872 | |||||
(1) 기타금융자산의 매각 | 15,601 | 2,710 | 15,256 | - | |||||
(2) 유형자산의 처분 | 8 | 119 | 167 | - | |||||
(3) 종속기업처분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 1,904 | - | - | - | |||||
(4) 정부보조금의 증가 | - | - | 50 | - | |||||
(5) 단기투자증권 매각 | - | - | - | 15,082 | |||||
(6) 장기투자자산의 처분 | - | - | - | 20,216 | |||||
(7) 단기대여금의 감소 | - | - | - | 2 | |||||
(8) 기타보증금의 감소 | - | - | - | 32 | |||||
(9) 합병으로 인한 현금승계액 | - | - | - | 540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2,664) | (6,447) | (3,108) | (37,241) | |||||
(1) 기타금융자산의 매입 | 7,214 | 2,185 | 1,078 | 18,558 | |||||
(2) 유형자산의 취득 | 5,450 | 4,231 | 1,961 | - | |||||
(3) 임차보증금의 지급 | - | 30 | 69 | - | |||||
(4)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증가 | - | - | - | 17,545 | |||||
(5)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 | - | - | 1,138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908) | (2,418) | (25,743) | (6,630)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7,676 | 11,159 | 72,759 | - | |||||
(1) 단기차입금의 증가 | 17,676 | 11,159 | 72,759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9,584) | (13,577) | (98,502) | (6,630) | |||||
(1) 단기차입금의 감소 | 17,778 | 11,384 | 84,593 | - | |||||
(2)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 | 474 | - | |||||
(3) 배당금 지급 | 1,400 | 1,989 | 13,259 | 6,630 | |||||
(4) 리스부채의 상환 | 406 | 204 | 175 | - | |||||
Ⅳ. 현금의 증가(감소)(Ⅰ+Ⅱ+Ⅲ) | 9,426 | 2,402 | 1,678 | (3,990) | |||||
Ⅴ. 기초의 현금 | 7,002 | 4,601 | 2,922 | 6,913 | |||||
Ⅵ. 환율변동효과 | - | (1) | - | (0) | |||||
Ⅶ. 기말의 현금(Ⅳ+Ⅴ+Ⅵ) | 16,428 | 7,002 | 4,601 | 2,922 |
제 33(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32(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키스트론 주식회사 |
1. 일반사항 1.1 회사의 개요
키스트론 주식회사(이하 "당사"라 함)는 1992년 11월 27일 설립되어 Steel Cord와 BeadWire의 제조 및 판매를 주영업목적으로 하였으며, 2003년 중 부동산 임대업을 추가로 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2012년 1월 2일에 지분법피투자회사관리 등을 수행하는 투자사업부문(이하 "분할존속회사", 석천 주식회사)와 Steel Cord와 Bead Wire의 제조ㆍ판매 및 부동산임대업을 수행하는 제조 및 임대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고 분할된 사업부문은 홍덕케이블 주식회사와 합병(이하 "분할합병회사", 홍덕스틸코드 주식회사)하였습니다. 당사는 2015년 12월 18일에 홍덕정밀 주식회사와 홍덕개발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다이스 제조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한 이후 2018년 5월 중 다이스 제조사업을 중단하였습니다. 당사는 2020년 10월 5일에 석천솔라파워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태양광 발전소 건설 및 전력생산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2021년 12월 30일 키스트론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전자통신부품용소재제조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으며, 합병 후 경기도 안산에 본사를 이전하고 상호를 석천 주식회사에서 키스트론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주요 주주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소유주식수(주) | 지분율(%) |
---|---|---|
홍영철 | 3,752,520 | 28.30 |
홍석표 | 3,200,850 | 24.14 |
홍덕산업㈜ | 3,167,130 | 23.89 |
고려제강㈜ | 866,120 | 6.53 |
키스와이어홀딩스㈜ | 940,520 | 7.09 |
홍희연 | 1,016,510 | 7.67 |
신재명 | 315,460 | 2.38 |
합 계 | 13,259,110 | 100.00 |
1.2 종속기업의 현황 및 변동 회사는 2023년 7월 26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의 매각을 결정하였으며, 당기 중 매각을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당기말 현재 회사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다만, 당기와 전기 중 종속기업이 존재하던 기간까지는 종속기업의 손익 등을 연결기준으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였습니다.
종속기업 | 소재지 | 당기말 지배지분율 | 전기말 지배지분율 | 결산월 | 업종 |
---|---|---|---|---|---|
고려전공유한공사 | 중국 | - | 100% | 12월 | 제조업 |
(*) 당기 중 매각이 완료된 종속기업에 대해서 전기말 매각예정자산 및 부채로 분류하였으며, 당기 처분으로 인하여 중단영업손익 1,862,364천원을 인식하였습니다 (주석 33참조).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당기 중 회사의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의 처분으로 당기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당기부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습니다. 한편, 당기의 재무제표는 종속기업처분 이전까지의 성과를 반영한 개별재무제표이며, 비교표시되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의 재무상태표, 동일로 종료되는 12개월 보고기간의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는 연결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발생하는 리스부채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사항은 판매자-리스이용자가 판매후리스 거래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측정 시 판매자-리스이용자가 계속 보유하는 사용권에 대해서는 어떠한 차손익도 인식하지 않도록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이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 ㆍ비유동 분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의 개정사항은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에 대한 다음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의미 - 연기할 수 있는 권리가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해야 함 - 유동성 분류는 기업의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 - 기업이 자신의 지분상품을 이전하여 부채를 결제할 수 있는 조건은 그 옵션을 지 분상품으로 분류하고 동 옵션을 복합금융상품의 자본 요소로서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하는 경우라면, 유동 ㆍ비유동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또한, 기업이 차입약정으로 인해 발생한 부채를 비유동부채로 분류하고,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기업의 권리가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약정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 이를 공시해야 합니다. 당사의 부채 분류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의 개정은 공급자금융약정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그러한 약정에 대한 추가 공시를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의 공시 요구사항은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및 유동성위험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2.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적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당사는 비교 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 이 개정사항은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개정사항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 결제일에 제거되는 금융부채와 전자지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결제되는 금융부채를 결제일 전에 제거하기 위한 회계정책 선택(특정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을 도입하 는 것을 명확히 함 - ESG 및 유사한 특성이 있는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 한 추가적인 지침 - 비소구 특성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의 특징이 무엇 인지를 명확히 함 - 우발특성이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공시사항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공시 요구사항을 도입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금융자산의 분류 및 이와 관련된 공시사항에 대한 개정사항만을 조기 적용할 수 도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개정사항을 조기 적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결제되는 금융부채의 제거에 관한 개정사항과 관련하여, 당사는 영업 중인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모든 주요 전자지급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행 실무에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와 결제 일 이전에 해당 금융부채를 제거하는 회계정책 선택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의 경우 현금 흐름에 대한 권리가 소멸될 때 그에 상응하는 금융자산이 제거되는지, 금융부채의 경우 결제일에 해당 금융부채가 제거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표,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다른 모든 지급시스템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ESG 연계 특성 및 유사한 우발특성을 포함하는 금융자산과 비소구금융 및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에 대한 개정사항의 영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수행한 최초 평가를 바탕으로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평가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기준서간 요구사항의 일관성을 제고하고,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히 하여, 이해가능성을 개선하고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이 발표되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 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재무제표에 중요한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3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되고,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 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4 금융상품
(1) 분류
당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당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당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당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당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 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당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에 대해 당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당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당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주석 7 참조).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5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2.6 재고자산 당사는 미착계정(개별법) 및 원재료(선입선출법)를 제외한 재고자산을 총평균법에 의해 산정된 취득원가를 재무상태표가액으로 하고 있으며, 연중 계속기록법에 의하여 수량 및 금액을 계산하고 매 기말 실지재고조사를 실시하여 그 기록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재고자산의 시가(제품, 상품 및 재공품은 순실현가능가액, 원재료 등은 현행대체원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시가를 재무상태표가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은 항목별로 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으로 발생하는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당해 재고자산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고 이를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있습니다. 한편, 저가법의 적용에 따른평가손실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되어 새로운 시가가 장부금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최초의 장부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7 매각예정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
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은 장부금액이 매각거래를 통하여 주로 회수되고, 매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며, 그러한 자산은 장부금액과 순공정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2.8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 목 | 추정 내용연수 |
---|---|
건물 | 40 년 |
구축물 | 20 년 |
기계장치 | 8, 10 년 |
차량운반구 | 5 년 |
공구와기구 | 5 년 |
집기비품 | 5 년 |
발전설비 | 15 년 |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9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0 무형자산
당사의 무형자산은 주로 회원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 자산은 이를 이용할 것으로기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으므로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평가하여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를 하고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가액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기 발생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무형자산은 처분하는 때(즉, 취득자가 해당 자산을 통제하게 되는 날) 또는 사용이나 처분으로부터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제거합니다. 당사는 무형자산제거시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인한 손익은 제거시점의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2.11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30년~4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2.12 비금융자산의 손상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13 매입채무와 기타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당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지급하지 않은 부채입니다.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면 재무상태표에서 유동부채로 표시합니다. 해당 채무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이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2.14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당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 '기타지급채무', '차입금' 등으로 표시됩니다.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15 충당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가 존재하고, 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판매보증충당부채, 복구충당부채 및 소송충당부채 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6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측정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당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무당국이 불확실한 법인세 처리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합니다. 당사는법인세 측정 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금액 또는 기댓값 중 불확실성의 해소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17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당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급여제도로 구성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당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 기타장기종업원급여 당사는 장기 근속 임직원에게 장기종업원급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주로 5년 이상의 장기간 근무한 임직원에게만 주어집니다. 기타장기종업원급여는 확정급여제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근무원가,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의 순이자 및 재측정요소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이러한 부채는 매년 독립적이고 적격한 보험계리사에 의해 평가됩니다.
2.18 수익 인식
당사는 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모든 유형의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 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 ⑤ 수행의무 이행 시 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수행의무의 식별 당사는 고객과의 제품 판매계약에서 재화 판매 외 별도로 제공하는 용역은 계약을 분리하여 수행의무를 식별합니다. 국제무역거래의 조건에 대한 해석에 따른 국제규칙(INCOTERMS 2020) 중 수출자가 운송료(보험료 포함)를 부담하는 선적지 인도 조건을 적용하여 계약된 수출 거래에 대해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운송 용역을 재화의 판매와 구분되는 별도의 수행의무로 식별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2)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재화의 판매에 따른 수익은 재화가 구매자에게 인도되는 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재화의 인도는 재화가 특정 장소로 이전되고, 재화의 진부화와 손실에 대한 위험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며, 구매자가 판매 계약에 따라 재화의 수령을 승인하거나 그 승인기간이 만료되거나 또는 당사가 재화의 수령 승인 요건이 충족되었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가지는 시점이 되어야 발생합니다.
(3) 반품권이 있는 판매 기준서 제1115호 적용 시 받을 권리를 갖게 될 대가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하는기대값 방법을 사용하여 변동 대가를 추정하고, 반품기한이 경과할 때 이미 인식한 누적 수익금액 중 유의적인 부분을 되돌리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금액까지만 변동대가를 거래가격에 포함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기업이 받았거나 받을 대가 중에서 권리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 금액은 환불부채로 계상합니다.
2.19 리스
(1) 리스제공자
당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된 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 리스이용자 당사는 건물, 태양광부지, 자동차를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2~20년의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권자산은 최초 인식 시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재무상태표에 '유형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에 그날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합니 다. 현재가치 측정 시 리스의 내재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사의 증분차입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고 있습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하여 인식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리스료의 지급을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에 대한 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 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재무상태표에 '기타부채'로 분류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와 소액자산 리스(기초자산 US$ 5,000 이하)의 경우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2.20 재무제표 승인 당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13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수정승인 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적 판단, 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당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이 없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법을 포함한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에 사용된 입력요소에 관측가능한 시장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공정가치의 산정에 상당한 추정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판단에는 유동성 위험, 신용위험, 변동성 등에 대한 입력변수의 고려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변화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주석 5 참조). (2) 순확정급여부채 순확정급여부채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히 할인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주석 19 참조).
4. 재무위험관리
4.1 재무위험관리요소
당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가격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뿐 아니라,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 승인합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외환위험 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기능통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원/미국달러 | 799,572 | (799,572) | 714,181 | (714,181) |
원/유로 | 111,229 | (111,229) | 39,288 | (39,288) |
원/엔화 | 23,519 | (23,519) | 14,529 | (14,529) |
2) 가격위험 당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당사 보유 금융상품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상품의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내에서 중요한 투자자산의 관리는 개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PI 주가지수 등에 속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두 가지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 및 비상장주식 관련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이 당사의 당기 세전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하에 주가지수가 1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고 비상장주식은 주식 가격이 일정하게 10%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분석한 것입니다.
(단위:천원) |
지수 | 세전 이익에 대한 영향 |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영향 | |||
---|---|---|---|---|---|
당기 | 전기 | 당기 | 전기 | ||
상장주식 | 상승시 | 66,421 | 532,854 | 6,659,279 | 7,306,973 |
하락시 | (66,421) | (532,854) | (6,659,279) | (7,306,973) | |
비상장주식 | 상승시 | - | - | - | 1,378,973 |
하락시 | - | - | - | (1,378,973) |
3) 이자율 위험 당사의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은 장기차입금에서 비롯됩니다. 변동 이자율로 발행된 차입금으로 인하여 당사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동 이자율위험의 일부는 변동이자부 현금성자산으로부터의 이자율위험과 상쇄됩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차입구조 개선을 통한 전사적인 이자비용 관리활동,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유지, 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이자율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원화 표시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상승 또는 하락할 경우, 증가 또는 감소한 변동이자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으로 인하여 당 회계기간에 대한 세전이익은 67,037천원(전기: 67,698천원)만큼 감소 또는 증가하였을 것입니다.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등 소매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및 은행 등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처의 신용도를 재평가하여 신용거래한도를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당기 중 신용한도를 초과한 건은 없었으며 경영진은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않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현금성자산(현금시재 제외) | 16,426,927 | 7,000,529 |
매출채권 - 유동 | 10,571,028 | 9,314,064 |
기타수취채권 - 유동 | 422,738 | 399,435 |
기타수취채권 - 비유동 | 123,867 | 106,537 |
기타금융자산 - 비유동 | 68,354,456 | 93,709,358 |
(3) 유동성 위험 당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주석 30 참조)를 적정수준으 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수요를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당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당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유동성위험 분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당기말 | ||||
---|---|---|---|---|---|
합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5년 | 5년 초과 | |
차입금(*1) | 6,716,224 | 6,716,224 | - | -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3,789,230 | 3,789,230 | - | - | - |
리스부채(*1) | 2,656,745 | 395,720 | 374,740 | 725,288 | 1,160,997 |
합 계 | 13,162,199 | 10,901,174 | 374,740 | 725,288 | 1,160,997 |
(*1) 상기 표에 포함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 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만기시까지 지급될 이자금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전기말>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전기말 | ||||
---|---|---|---|---|---|
합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5년 | 5년 초과 | |
차입금(*1) | 7,010,294 | 7,010,294 | - | -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4,676,520 | 4,676,520 | - | - | - |
리스부채(*1) | 2,119,193 | 362,635 | 339,170 | 810,214 | 607,175 |
합 계 | 13,806,007 | 12,049,449 | 339,170 | 810,214 | 607,175 |
(*1) 상기 표에 포함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 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만기시까지 지급될 이자금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4) 자본위험관리
당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산업 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당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총차입금 | 6,703,688 | 6,769,857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7,002,437 |
순부채 | (9,724,458) | (232,580) |
자본총계 | 151,915,762 | 158,375,442 |
총자본 | 142,191,304 | 158,142,862 |
자본조달비율 | 부의 자본조달비율 | 부의 자본조달비율 |
5. 공정가치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환경 및 경제적인 환경의 유의적인 변동은 없습니다.
(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유동>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1) | 7,002,437 | (*1) |
매출채권 | 10,571,028 | (*1) | 9,314,064 | (*1) |
기타수취채권 | 422,738 | (*1) | 399,435 | (*1) |
소 계 | 27,421,912 | 16,715,936 | ||
<비유동> | ||||
장기금융상품 | 2,000 | (*1) | 2,000 | (*1) |
기타수취채권 | 123,867 | (*1) | 106,537 | (*1) |
기타금융자산 | 68,354,456 | 68,354,456 | 93,709,358 | 93,709,358 |
소 계 | 68,480,323 | 93,817,895 | ||
합 계 | 95,902,235 | 110,533,831 | ||
금융부채 | ||||
<유동> | ||||
매입채무 | 1,340,797 | (*1) | 1,620,758 | (*1) |
기타지급채무 | 2,245,432 | (*1), (*2) | 2,411,832 | (*1), (*2) |
단기차입금 | 6,703,688 | (*1) | 6,769,857 | (*1) |
소 계 | 10,289,917 | 10,802,447 | ||
<비유동> | ||||
기타지급채무 | 203,000 | (*1), (*2) | 530,000 | (*1), (*2) |
소 계 | 203,000 | 530,000 | ||
합 계 | 10,492,917 | 11,332,447 |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공시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항목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수준 1)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수준 2)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관측가능 하지 않은 투입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수준 3)
공정가치로 측정 및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 계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66,592,792 | - | - | 66,592,792 |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 | 1 | 1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채무증권 | - | 1,761,663 | - | 1,761,663 |
합 계 | 66,592,792 | 1,761,663 | - | 68,354,455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 계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73,069,733 | - | - | 73,069,733 |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 | 13,789,727 | 13,789,727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4,625,692 | 702,851 | - | 5,328,543 |
- 채무증권 | - | 1,521,355 | - | 1,521,355 |
합 계 | 77,695,425 | 2,224,206 | 13,789,727 | 93,709,358 |
(3)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
당기와 전기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 간 이동 내역은 없습니다.
(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당사는 당기말 수준3의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전기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13,789,727 | 3 | 현금흐름할인법 | 연평균 매출성장률(%) | 3.31% |
가중평균 영업이익률(%) | 2.88% | ||||
할인율(%) | 9.56% | ||||
영구성장률(%) | 1.00% |
6. 범주별 금융상품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자산>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합계 | |
유동성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 | - | 16,428,146 |
매출채권 | 10,571,028 | - | - | 10,571,028 |
기타수취채권 | 422,738 | - | - | 422,738 |
소 계 | 27,421,912 | - | - | 27,421,912 |
비유동성 금융자산 | ||||
장기금융상품 | 2,000 | - | - | 2,000 |
기타수취채권 | 123,867 | - | - | 123,867 |
기타금융자산 | - | 1,761,663 | 66,592,793 | 68,354,456 |
소 계 | 125,867 | 1,761,663 | 66,592,793 | 68,480,323 |
합 계 | 27,547,779 | 1,761,663 | 66,592,793 | 95,902,235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합계 | |
유동성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002,437 | - | - | 7,002,437 |
매출채권 | 9,314,064 | - | - | 9,314,064 |
기타수취채권 | 399,435 | - | - | 399,435 |
소 계 | 16,715,936 | - | - | 16,715,936 |
비유동성 금융자산 | ||||
장기금융상품 | 2,000 | - | - | 2,000 |
기타수취채권 | 106,537 | - | - | 106,537 |
기타금융자산 | - | 6,849,899 | 86,859,459 | 93,709,358 |
소 계 | 108,537 | 6,849,899 | 86,859,459 | 93,817,895 |
합 계 | 16,824,473 | 6,849,899 | 86,859,459 | 110,533,831 |
<금융부채>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기타금융부채 | 합계 | |
유동성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340,797 | - | 1,340,797 |
기타지급채무 | 2,245,432 | - | 2,245,432 |
차입금 | 6,703,688 | - | 6,703,688 |
소 계 | 10,289,917 | - | 10,289,917 |
비유동성 금융부채 | |||
기타지급채무 | 203,000 | - | 203,000 |
소 계 | 203,000 | - | 203,000 |
합 계 | 10,492,917 | - | 10,492,917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기타금융부채(*) | 합계 | |
유동성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620,758 | - | 1,620,758 |
기타지급채무 | 2,411,832 | - | 2,411,832 |
차입금 | 6,761,965 | 7,892 | 6,769,857 |
소 계 | 10,794,555 | 7,892 | 10,802,447 |
비유동성 금융부채 | |||
기타지급채무 | 530,000 | - | 530,000 |
소 계 | 530,000 | - | 530,000 |
합 계 | 11,324,555 | 7,892 | 11,332,447 |
(*) 기타금융부채는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양도거래 관련 금융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주석 6,7,9 참고).
(2) 당기와 전기 중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평가손익(세후, 당기 평가에 따른 증감) | (13,799,001) | 9,342,712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평가손익 | 227,117 | 634,688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이자수익 | 464,455 | 214,537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외화환산손익 | 389,953 | (146,637)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이자비용 | (284,832) | (305,952) |
외화환산손익 | (34,938) | 4,025 |
7. 전체가 제거되지 않은 양도 금융자산 당사는 당기 및 전기 중 은행과의 수출채권 할인 계약을 통해 매출채권을 할인하였습니다. 이 거래는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므로 소구권이 있는 거래에 해당하여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18 참고).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자산의 장부금액 | - | 7,892 |
관련부채의 장부금액 | - | (7,892) |
양도자산에 한하여 소구권이 있는 부채: | ||
자산의 공정가치 | - | 7,892 |
관련부채의 공정가치 | - | (7,892) |
순포지션 | - | - |
8. 현금및현금성자산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말 | 전기말 |
---|---|---|
보유현금 | 1,219 | 1,908 |
예적금 등 | 16,426,927 | 7,000,529 |
합계 | 16,428,146 | 7,002,437 |
9.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의 장부금액과 대손충당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 |
유동성 매출채권 | 10,849,686 | (278,658) | - | 10,571,028 |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422,738 | - | - | 422,738 |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130,140 | - | (6,273) | 123,867 |
합 계 | 11,402,564 | (278,658) | (6,273) | 11,117,633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 |
유동성 매출채권(*1) | 9,320,919 | (6,855) | - | 9,314,064 |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399,435 | - | - | 399,435 |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130,140 | - | (23,603) | 106,537 |
합 계 | 9,850,494 | (6,855) | (23,603) | 9,820,036 |
(*1) 당사는 전기말 현재 금융기관에 7,892천원에 상당하는 매출채권을 양도하고 현금을 수령하였으며, 이 거래는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 주석 7 및 18 참고).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수취채권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당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미수금 | 422,477 | 381,755 |
미수수익 | 261 | 17,680 | |
합 계 | 422,738 | 399,435 | |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보증금 | 123,867 | 106,537 |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매출채권의 연령별 채권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매출채권 | |
---|---|---|
당기말 | 전기말 | |
연체되지 않은 채권 | 10,339,828 | 8,865,327 |
연체되었으나 개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채권(*1) | ||
3개월 이하 | 121,685 | 327,239 |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 | 183 | 124,395 |
6개월 초과 | 387,990 | - |
개별손상채권(*2) | - | 3,958 |
합계 | 10,849,686 | 9,320,919 |
(*1) 연체되었으나 손상되지 않은 채권은 최근 부도 기록이 없는 여러 독립된 거래처들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은 주로 예측하지 못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거래처와 관련된 채권입니다.
(4) 당기와 전기 중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
---|---|---|---|
기초 | 설정액 | 기말 | |
유동성 매출채권 | 6,855 | 271,803 | 278,658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기초 | 환입액 | 기말 | |
유동성 매출채권 | 16,937 | (10,082) | 6,855 |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신용위험의 최대 노출금액은 위에서 언급한 채권의 각 종류별 장부금액입니다.
손상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액은 포괄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 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 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액은 기타영업외비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손충당금의 감소는 일반적으로 과거 대손설정의 사유가 해소되거나 회수가능성이 없는 채권을 제각할 경우 발생하고 있습니다.
10. 기타금융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66,592,792 | 73,069,733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1 | 13,789,727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채무증권) | 1,761,663 | 1,521,357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5,328,541 |
합 계 | 68,354,456 | 93,709,358 |
(2) 당기와 전기 중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세부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고려제강㈜ | 17,262,193 | 54,421,411 | (7,512,969) | (4,119,654) | 42,788,788 | - | 1,124,346 | 58,926,635 |
보산철강 | 599,964 | (179,411) | 63,331 | 116,080 | - | - | 599,964 | - |
공상은행 | 699,232 | (32,132) | 55,216 | (23,084) | - | - | 699,232 | - |
브리즈스콘 | 298,229 | 247 | 20,417 | (20,664) | - | - | 298,229 | - |
스미토모 전기공업 | - | - | 268,512 | - | 268,512 | 998,132 | - | 1,266,644 |
Vietin Bank | - | - | 241,287 | - | 241,287 | 998,864 | - | 1,240,151 |
미쓰비시 UFJ | - | - | 211,137 | - | 211,137 | 998,982 | - | 1,210,119 |
재팬포스트은행 | - | - | 57,737 | - | 57,737 | 1,001,737 | - | 1,059,474 |
하나금융지주 | - | - | (87,292) | - | (87,292) | 1,199,436 | - | 1,112,144 |
한국쉘석유 | - | - | (9,090) | - | (9,090) | 200,190 | - | 191,100 |
코리안리 | - | - | (776) | - | (776) | 197,936 | - | 197,160 |
기업은행 | - | - | (2,108) | - | (2,108) | 201,295 | - | 199,187 |
현대홈쇼핑 | - | - | 4,894 | - | 4,894 | 197,136 | - | 202,030 |
TKG휴켐스 | - | - | (11,315) | - | (11,315) | 200,570 | - | 189,255 |
GS | - | - | (9,328) | - | (9,328) | 201,898 | - | 192,570 |
KPX홀딩스 | - | - | (4,316) | - | (4,316) | 199,306 | - | 194,990 |
BNK금융지주 | - | - | 18,724 | - | 18,724 | 200,484 | - | 219,208 |
우리금융지주 | - | - | (8,869) | - | (8,869) | 200,994 | - | 192,125 |
소 계 | 18,859,618 | 54,210,115 | (6,704,808) | (4,047,322) | 43,457,985 | 6,996,960 | 2,721,771 | 66,592,792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홍덕산업㈜ | 12,811,532 | 978,195 | (10,740,200) | 9,762,005 | - | - | 12,811,532 | - |
㈜에스비피(*) | - | - | 1 | - | 1 | - | - | 1 |
소 계 | 12,811,532 | 978,195 | (10,740,199) | 9,762,005 | 1 | - | 12,811,532 | 1 |
합 계 | 31,671,150 | 55,188,310 | (17,445,007) | 5,714,683 | 43,457,986 | 6,996,960 | 15,533,303 | 66,592,793 |
(*) 취득시점 이후 지분증권의 미래현금흐름이 불투명하여 취득원가 1,568,050천원 전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②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고려제강㈜ | 17,262,193 | 46,085,995 | 8,335,416 | - | 54,421,411 | - | - | 71,683,604 |
보산철강 | 599,964 | (202,190) | 22,779 | - | (179,411) | - | - | 420,553 |
유시동력 | 299,615 | (130,467) | - | 30,302 | (100,165) | - | 199,450 | - |
공상은행 | 699,232 | (7,881) | (24,251) | - | (32,132) | - | - | 667,100 |
휴릭 | 304,670 | (82,617) | - | 54,851 | (27,766) | - | 276,904 | - |
나브테스코 | 296,548 | (91,271) | - | (47,988) | (139,259) | - | 157,289 | - |
브리즈스콘 | 298,229 | (47,834) | 48,081 | - | 247 | - | - | 298,476 |
소 계 | 19,760,451 | 45,523,735 | 8,382,025 | 37,165 | 53,942,925 | - | 633,643 | 73,069,733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홍덕산업㈜ | 12,811,532 | (2,293,948) | 3,272,143 | - | 978,195 | - | - | 13,789,727 |
㈜에스비피(*) | - | - | - | - | - | - | - | - |
KISWIRE CORD SDN.BHD. | 690,430 | 289,002 | - | 64,919 | 353,921 | - | 1,044,351 | - |
소 계 | 13,501,962 | (2,004,946) | 3,272,143 | 64,919 | 1,332,116 | - | 1,044,351 | 13,789,727 |
합 계 | 33,262,413 | 43,518,789 | 11,654,168 | 102,084 | 55,275,041 | - | 1,677,994 | 86,859,460 |
(*) 취득시점 이후 지분증권의 미래현금흐름이 불투명하여 취득원가 1,568,050천원 전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3) 당기와 전기 중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세부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
(단위: 천원) |
내 역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ACWI | 339,730 | 90,417 | - | (90,417) | - | - | 339,730 | - |
BND | 967,317 | (59,933) | - | 59,933 | - | 31,440 | 998,757 | - |
BNDX | 118,021 | (7,203) | - | 7,203 | - | 9,210 | 127,231 | - |
AGG | 961,351 | (53,510) | - | 53,510 | - | 31,183 | 992,534 | - |
VEU | 184,518 | 24,679 | - | (24,679) | - | - | 184,518 | - |
VOO | 430,521 | 150,712 | - | (150,712) | - | 48,088 | 478,609 | - |
VT | 585,313 | 149,454 | - | (149,454) | - | - | 585,313 | - |
VWO | 20,851 | (1,245) | - | 1,245 | - | - | 20,851 | - |
HYG | 78,315 | 2,711 | - | (2,711) | - | 2,773 | 81,088 | - |
EMLC | 73,682 | (4,224) | - | 4,224 | - | 3,295 | 76,977 | - |
IAU | 49,615 | 16,411 | - | (16,411) | - | 6,103 | 55,718 | - |
SCHP | 90,421 | (1,308) | - | 1,308 | - | 6,482 | 96,903 | - |
VEA | 106,592 | 7,486 | - | (7,486) | - | - | 106,592 | - |
IEF | 102,436 | 1,343 | - | (1,343) | - | 3,669 | 106,105 | - |
QLTA | 113,663 | 2,139 | - | (2,139) | - | - | 113,663 | - |
SPHQ | 39,964 | 5,430 | - | (5,430) | - | - | 39,964 | - |
ETHH.B | 15,677 | (3,676) | - | 3,676 | - | - | 15,677 | - |
BTCC.B | 26,310 | 1,711 | - | (1,711) | - | - | 26,310 | - |
TCK Core Korea | 551,501 | 151,351 | - | (151,351) | - | - | 551,501 | - |
KODEX 200 | - | - | - | - | - | 61,173 | 61,173 | - |
소 계 | 4,855,798 | 472,745 | - | (472,745) | - | 203,416 | 5,059,214 | - |
채무증권 : | ||||||||
미국국채 | 987,353 | (20,707) | 130,807 | - | 110,100 | - | - | 1,097,453 |
TCK 글로벌오토튜니스 | 546,238 | 8,472 | 96,310 | - | 104,782 | 13,190 | - | 664,210 |
소 계 | 1,533,591 | (12,235) | 227,117 | - | 214,882 | 13,190 | - | 1,761,663 |
합 계 | 6,389,389 | 460,510 | 227,117 | (472,745) | 214,882 | 216,606 | 5,059,214 | 1,761,663 |
② 전기
(단위: 천원) |
내 역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ACWI | 457,564 | 18,427 | 77,020 | (5,030) | 90,417 | 8,706 | 126,539 | 430,148 |
BND | 950,967 | (104,542) | 33,810 | 10,799 | (59,933) | 117,154 | 100,804 | 907,384 |
BNDX | 132,510 | (15,359) | 6,045 | 2,111 | (7,203) | 3,917 | 18,407 | 110,817 |
ISTB | 169,460 | 1,215 | - | (1,215) | - | - | 169,460 | - |
AGG | 944,659 | (98,140) | 34,522 | 10,108 | (53,510) | 116,431 | 99,740 | 907,840 |
VEU | 203,245 | (545) | 25,162 | 62 | 24,679 | 4,529 | 23,255 | 209,198 |
VOO | 519,929 | 37,528 | 120,722 | (7,538) | 150,712 | 16,228 | 105,636 | 581,233 |
VT | 657,589 | 25,527 | 127,613 | (3,686) | 149,454 | 23,509 | 95,784 | 734,768 |
VWO | 21,262 | (2,689) | 1,280 | 164 | (1,245) | 889 | 1,301 | 19,605 |
HYG | 127,022 | (4,411) | 4,599 | 2,523 | 2,711 | 51,429 | 100,136 | 81,026 |
EMLC | 80,058 | (9,279) | 4,097 | 958 | (4,224) | 1,890 | 8,266 | 69,458 |
IAU | 62,287 | 10,875 | 8,286 | (2,750) | 16,411 | 3,408 | 16,080 | 66,026 |
SCHP | 91,244 | (3,690) | 2,152 | 230 | (1,308) | 5,055 | 5,877 | 89,114 |
VEA | 117,511 | (9,112) | 15,381 | 1,217 | 7,486 | 4,762 | 15,684 | 114,075 |
IEF | - | - | 1,343 | - | 1,343 | 102,436 | - | 103,779 |
QLTA | - | - | 2,139 | - | 2,139 | 113,663 | - | 115,802 |
SPHQ | 47,331 | (4,339) | 9,094 | 675 | 5,430 | - | 7,367 | 45,394 |
ETHH.B | 16,233 | (9,845) | 5,831 | 338 | (3,676) | - | 556 | 12,001 |
BTCC.B | 34,168 | (20,094) | 17,184 | 4,621 | 1,711 | - | 7,858 | 28,021 |
TCK Core Korea | 560,520 | 720 | 150,643 | (12) | 151,351 | 31 | 9,050 | 702,852 |
소 계 | 5,193,559 | (187,753) | 646,923 | 13,575 | 472,745 | 574,037 | 911,800 | 5,328,541 |
채무증권 : | ||||||||
미국국채 | - | - | (20,707) | - | (20,707) | 987,353 | - | 966,646 |
TCK 글로벌오토튜니스 | - | - | 8,472 | - | 8,472 | 546,239 | - | 554,711 |
소 계 | - | - | (12,235) | - | (12,235) | 1,533,592 | - | 1,521,357 |
합 계 | 5,193,559 | (187,753) | 634,688 | 13,575 | 460,510 | 2,107,629 | 911,800 | 6,849,898 |
11. 재고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제품 및 상품 | 4,581,708 | 2,849,674 |
제품 및 상품 평가충당금 | (139,600) | (83,377) |
재공품 | 3,949,953 | 2,944,352 |
재공품 평가충당금 | (42,887) | (35,013) |
원재료 | 9,781,755 | 9,872,396 |
원재료 평가충당금 | (129,844) | (54,449) |
저장품 | 296,085 | 192,685 |
미착품 | 1,469,703 | 856,764 |
합 계 | 19,766,873 | 16,543,032 |
(2) 당기 중 비용으로 인식되어 매출원가에 포함된 재고자산의 원가는 52,238,475천원(전기: 43,406,998천원) 입니다.
(3) 당기에 인식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은 139,492천원(전기: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액 46,561천원)입니다.
12. 기타자산 및 기타부채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자산 및 기타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기타자산 | 선급금 | 3,960 | 113,038 |
선급비용 | 70,457 | 63,559 | |
반환제품회수권 | 329,072 | 189,770 | |
합 계 | 403,489 | 366,367 | |
유동성 기타부채 | 선수금 | 298,616 | 731,020 |
예수금 | 53,145 | 54,682 | |
선수수익 | 53,245 | 309,166 | |
리스부채 | 242,210 | 219,108 | |
반품충당부채 | 437,619 | 250,186 | |
합 계 | 1,084,835 | 1,564,162 | |
비유동성 기타부채 | 리스부채 | 1,397,786 | 1,144,302 |
13. 유형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말 | |||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장부금액 | |
토지 | 19,898,293 | - | - | 19,898,293 |
건물 | 10,916,187 | (5,559,906) | - | 5,356,281 |
구축물 | 5,060,366 | (3,442,289) | (287,930) | 1,330,147 |
기계장치 | 22,684,287 | (20,305,121) | (103,991) | 2,275,175 |
차량운반구 | 205,011 | (179,058) | - | 25,953 |
비품 | 2,646,494 | (2,192,801) | (481) | 453,212 |
공구와기구 | 2,230,916 | (2,153,262) | - | 77,654 |
발전설비 | 28,103,080 | (16,438,204) | - | 11,664,876 |
건설중인자산 | 3,750,510 | - | - | 3,750,510 |
합 계 | 95,495,144 | (50,270,641) | (392,402) | 44,832,101 |
(단위: 천원) |
구분 | 전기말 | |||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장부금액 | |
토지 | 19,898,293 | - | - | 19,898,293 |
건물 | 10,916,187 | (5,044,794) | - | 5,871,393 |
구축물 | 5,060,366 | (3,285,481) | (303,084) | 1,471,801 |
기계장치 | 22,055,814 | (19,657,776) | (128,659) | 2,269,379 |
차량운반구 | 221,856 | (183,926) | - | 37,930 |
비품 | 2,595,535 | (1,979,271) | (11,895) | 604,369 |
공구와기구 | 2,241,216 | (2,112,144) | - | 129,072 |
발전설비 | 25,454,880 | (14,651,078) | - | 10,803,802 |
건설중인자산 | 1,935,737 | - | - | 1,935,737 |
합 계 | 90,379,884 | (46,914,470) | (443,638) | 43,021,776 |
(2) 당기 유형자산의 순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발전설비 | 건설중인자산 | 기타유형자산 | 합계 | |
기초금액 | 19,898,293 | 5,871,392 | 1,471,801 | 2,269,379 | 10,803,802 | 1,935,737 | 771,372 | 43,021,776 |
취득 | - | - | - | 121,400 | - | 5,014,399 | 100,190 | 5,235,989 |
처분 | - | - | - | - | - | (44,353) | (259) | (44,612) |
감가상각 등 | - | (515,111) | (156,808) | (647,344) | (1,787,126) | - | (325,898) | (3,432,287) |
대체 | - | - | - | 507,073 | 2,648,200 | (3,155,273) | - | - |
정부보조금 | - | - | 15,154 | 24,667 | - | - | 11,414 | 51,235 |
기말금액 | 19,898,293 | 5,356,281 | 1,330,147 | 2,275,175 | 11,664,876 | 3,750,510 | 556,819 | 44,832,101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발전설비 | 건설중인자산 | 기타유형자산 | 합계 | |
기초금액 | 19,898,293 | 6,828,941 | 1,592,063 | 2,658,694 | 10,383,094 | 514,453 | 988,787 | 42,864,325 |
취득 | - | - | - | 72,350 | - | 4,112,381 | 291,789 | 4,476,520 |
처분 | - | (11,314) | - | (575,176) | - | - | (10,257) | (596,747) |
감가상각 등 | - | (548,245) | (159,674) | (580,347) | (1,597,592) | - | (392,066) | (3,277,924) |
대체 | - | - | 23,460 | 649,337 | 2,018,300 | (2,691,097) | - | - |
정부보조금 | - | - | 15,952 | 24,667 | - | - | 21,600 | 62,219 |
매각예정대체 | - | (398,491) | - | (11,030) | - | - | (95,444) | (504,965) |
환산차이 | - | 501 | - | 30,884 | - | - | (33,037) | (1,652) |
기말금액 | 19,898,293 | 5,871,392 | 1,471,801 | 2,269,379 | 10,803,802 | 1,935,737 | 771,372 | 43,021,776 |
(3)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중 3,172백만원은 제조원가, 208백만원은 판매비와관리비로 계상 되었습니다 (전기: 제조원가 2,916백만원, 판매비와관리비 223백만원 그리고 중단사업손익 77백만원). (4) 당사의 유형자산 중 일부 토지, 건물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금융기관 등에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 30 참고). (5) 상기 유형자산에 대하여 삼성화재해상보험㈜등에 종합재산보험 등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6) 당기 및 전기 중 적격자산과 관련하여 자본화된 차입원가는 없습니다.
14. 무형자산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무형자산 장부금액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
---|---|---|---|---|
회원권 | 28,350 | - | - | 28,350 |
합 계 | 28,350 | - | - | 28,350 |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
---|---|---|---|---|
기타의무형자산 | 43,633 | (43,633) | - | - |
회원권 | 28,350 | - | - | 28,350 |
합 계 | 71,983 | (43,633) | - | 28,350 |
(2) 당기와 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
---|---|---|
회원권 | 합계 | |
기초금액 | 28,350 | 28,350 |
기말금액 | 28,350 | 28,350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기타의무형자산 | 회원권 | 합계 | |
기초금액 | 6,788 | 28,350 | 35,138 |
무형자산상각비(*1) | (2,466) | - | (2,466) |
매각예정대체 | (4,383) | - | (4,383) |
환산차이 | 61 | - | 61 |
기말금액 | - | 28,350 | 28,350 |
(*1) 전기 무형자산상각비는 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당사는 비한정 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인 회원권에 대하여 매 보고기간말 손상징후가 발생하였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당기 및 전기 중 인식한 손상차손은 없습니다.
15. 투자부동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 |
토지 | 15,374,840 | - | 15,374,840 | 15,374,840 | - | 15,374,840 |
건물 | 3,963,043 | (1,875,502) | 2,087,541 | 3,963,043 | (1,742,428) | 2,220,615 |
합 계 | 19,337,883 | (1,875,502) | 17,462,381 | 19,337,883 | (1,742,428) | 17,595,455 |
(2) 당기와 전기 중 투자부동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
토지 | 건물 | 합계 | 토지 | 건물 | 합계 | |
기초금액 | 15,374,840 | 2,220,615 | 17,595,455 | 15,374,840 | 2,353,690 | 17,728,530 |
감가상각비 | - | (133,074) | (133,074) | - | (133,075) | (133,075) |
기말금액 | 15,374,840 | 2,087,541 | 17,462,381 | 15,374,840 | 2,220,615 | 17,595,455 |
(3) 당기 중 당사의 투자부동산과 관련하여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임대수익은 759,114 천원이며,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임대비용은 614,419 천원입니다(전기: 임대수익 730,164 천원, 임대비용 616,666 천원). (4) 당사는 보유중인 투자부동산에 대하여 운용리스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동 운용자산의 장부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투자부동산 | 17,462,381 | 17,595,455 |
(5) 당기와 전기 투자부동산에 대한 운용리스계약으로 당사가 받게 될 것으로 기대 되는 미래 최소 리스료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 | 전기 |
---|---|---|
1년 이내 | 585,724 | 585,858 |
1년 초과 2년 이내 | 88,959 | 306,960 |
합계 | 674,683 | 892,818 |
(6) 당기말 현재 당사의 토지와 건물에 대하여 50,000천원의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습니다(주석 30 참고). (7) 당사는 당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16. 리스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용권자산 장부금액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사용권자산-차량 | 48,264 | 32,535 |
사용권자산-건물 | 29,854 | 63,853 |
사용권자산-태양광 | 1,416,747 | 1,175,017 |
합 계 | 1,494,865 | 1,271,405 |
당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총 555,618천원(전기: 86,048천원)입니다.
(2) 당기와 전기 중 리스와 관련하여 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주1) | 171,139 | 164,867 |
단기리스임차료 | - | 17,403 |
소액자산리스료 | 4,547 | 3,087 |
사용권자산 감가상각비 | 286,004 | 264,579 |
합 계 | 461,690 | 449,936 |
(주1) 당기 신규 리스부채의 취득시 측정에 사용된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은 4.77% ~ 8.36%입니다.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리스부채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유동 | 242,210 | 219,108 |
비유동 | 1,397,786 | 1,144,302 |
합계 | 1,639,996 | 1,363,410 |
(4) 당기와 전기 중 리스로 인한 총 현금유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리스의 총 현금유출 | 411,020 | 389,503 |
17.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유동성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
매입채무 | 1,340,797 | 1,620,758 |
미지급금 | 924,583 | 1,180,214 |
미지급비용 | 1,556,630 | 1,873,969 |
임대보증금 | 900,000 | 573,000 |
합 계 | 4,722,010 | 5,247,941 |
비유동성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
임대보증금 | 203,000 | 530,000 |
장기미지급비용 | 24,304 | 40,331 |
합 계 | 227,304 | 570,331 |
18. 차입금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단기차입금 | 6,703,688 | 6,769,857 |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단기차입금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차입금 종류 | 차입처 | 최장만기일 | 이자율 | 당기말 | 전기말 | 상환방법 |
---|---|---|---|---|---|---|
중소기업자금대출(*1) | 기업은행 | 2025-12-11 | 3.55% | 6,000,000 | 6,000,000 | 만기일시상환 |
무역어음대출 | 기업은행 | 2025-05-31 | 0.40% | 50,916 | 115,980 | 만기일시상환 |
KEB하나은행 | 2025-05-13 | 6.38% | 652,772 | 645,985 | 만기일시상환 | |
담보부 차입(*2) | 기업은행 | - | - | - | 7,892 | 만기일시상환 |
합 계 | 6,703,688 | 6,769,857 |
(*1) 당사의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2) 당사는 외화매출채권을 금융기관 등에 매각하였으며, 이중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가 은행에 해당 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는 소구권이 있는 거래에 대해서는 담보부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 6,9 참조).
19. 종업원급여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3,334,776 | 3,455,990 |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1,538,304) | (1,700,545) |
순확정급여부채 | 1,796,472 | 1,755,445 |
(2) 당기 및 전기 중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기초금액 | 3,455,990 | 3,060,597 |
당기근무원가 | 619,027 | 534,997 |
이자비용 | 138,898 | 150,511 |
재측정요소: | ||
- 인구통계적가정의 변동 | - | (429) |
- 재무적가정의 변동 | 87,624 | 299,328 |
- 경험적조정으로 인한 변동 | (88,672) | 119,698 |
제도에서의 지급액: | ||
- 급여의 지급 | (878,091) | (565,355) |
- 중간/중도인출로 인한 지급 | - | (143,357) |
보고기간종료일 금액 | 3,334,776 | 3,455,990 |
(3) 당기 및 전기 중 사외적립자산 공정가치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기초금액 | 1,700,545 | 1,308,051 |
이자수익 | 64,970 | 59,598 |
재측정요소: | ||
- 사외적립자산의 수익(이자수익에 포함된 금액 제외) | (15,820) | (14,236) |
기여금: | ||
- 사용자 | 300,000 | 600,000 |
제도에서의 지급: | ||
- 급여의 지급 | (511,391) | (252,868) |
보고기간종료일 금액 | 1,538,304 | 1,700,545 |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할인율 | 3.67 | 4.32 |
미래임금상승률 | 3.74 | 3.78 |
(5)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
구 분 | 주요 가정의 변동 | 부채의 변동 |
---|---|---|
할인율 | 1%P 증가/감소 | 4.1%감소/4.5%증가 |
임금상승률 | 1%P 증가/감소 | 4.5%증가/4.2% 감소 |
<전기> |
구 분 | 주요 가정의 변동 | 부채의 변동 |
---|---|---|
할인율 | 1%P 증가/감소 | 4.8%감소/5.3%증가 |
임금상승률 | 1%P 증가/감소 | 5.4%증가/5% 감소 |
할인율인 우량채 수익률의 하락은 제도가 보유하고 있는 채무증권의 가치를 일부 증가시켜 상쇄효과가 있으나, 확정급여부채의 증가를 통해 가장 유의적인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되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여러 가정이 서로 관련되어 변동됩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민감도분석에 사용된 방법 및 가정은 당기와 전기 동일합니다.
(6)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외적립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채무상품 | 1,536,717 | 1,699,973 |
기타 | 1,587 | 572 |
합 계 | 1,538,304 | 1,700,545 |
(7) 당기말 현재 할인되지 않은 연금 급여지급액의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미만 | 1년~2년미만 | 2~5년미만 | 5년이상 | 합계 |
---|---|---|---|---|---|
급여지급액 | 484,113 | 678,277 | 2,036,972 | 5,217,778 | 8,417,140 |
<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미만 | 1년~2년미만 | 2~5년미만 | 5년이상 | 합계 |
---|---|---|---|---|---|
급여지급액 | 448,847 | 589,122 | 1,276,962 | 2,118,075 | 4,433,006 |
19.2 기타장단기종업원급여부채 단기종업원급여부채는 연차유급휴가제도에 따라 당기 제공받은 근무용역에 대해 인식한 금액과 장기근속종업원에게 근속기간에 따라 지급하는 장기유급휴가 중 보고기간말 후 12개월이 되기 전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단기종업원급여부채 | 206,250 | 153,43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 24,304 | 40,331 |
합 계 | 230,554 | 193,769 |
20. 법인세비용
(1) 당기와 전기 중 법인세비용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당기법인세 | ||
당기 법인세부담액 | 910,912 | 451,650 |
자본에 직접 반영된 법인세효과 | 3,649,095 | (2,322,898) |
이연법인세: | ||
당기 일시적차이의 변동으로 인한 변동 | (2,639,767) | 2,088,124 |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계속영업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중단영업 법인세비용 | - | - |
(2) 당기와 전기 중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과 법인세비용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이익 | 8,835,134 | 5,350,346 |
가중평균세율로 계산된 법인세 | 1,824,543 | 1,096,222 |
법인세효과 | ||
전기 법인세의 조정사항 | 380,005 | (380,624) |
세무상 과세되지 않는 수익 | (83,351) | (76,857) |
세무상 차감되지 않는 비용 | 3,022 | 389,057 |
세액공제 및 공제감면세액 | (61,282) | (229,949) |
기타 | (142,697) | (580,973) |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계속영업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중단영업 법인세비용 | - | - |
유효법인세율 | ||
계속영업 유효법인세율 | 21.73% | 4.05% |
중단영업 유효법인세율(*1) | - | - |
(*1) 전기에는 법인세수익이 발생하여 유효세율을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3) 당기 와 전기 중 자본에 직접 반영되는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
반영 전 | 법인세효과 | 반영 후 | 반영 전 | 법인세효과 | 반영 후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7,445,009) | 3,646,008 | (13,799,001) | 11,756,250 | (2,413,537) | 9,342,713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4,773) | 3,087 | (11,686) | (432,835) | 90,639 | (342,196) |
합 계 | (17,459,782) | 3,649,095 | (13,810,687) | 11,323,415 | (2,322,898) | 9,000,517 |
(4) 당기와 전기 중 동일 과세당국과 관련된 금액을 상계하기 이전 이연법인세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증가(감소) | 기 말 | |
---|---|---|---|---|
당기손익 | 기타포괄손익 | |||
유형자산 | (4,163,157) | 119,103 | - | (4,044,054) |
국고보조금 | 92,721 | (10,708) | - | 82,013 |
대손충당금 | - | 35,441 | - | 35,441 |
의제배당 | 157,259 | (10,243) | - | 147,016 |
기타금융자산 | (13,368,872) | 930,020 | 3,646,008 | (8,792,844) |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36,123 | 29,154 | - | 65,277 |
주식배당 | 116,193 | (7,568) | - | 108,625 |
종속기업투자 | 2,102,956 | (2,102,956) | - | - |
퇴직급여충당부채 | 722,301 | (28,422) | 3,087 | 696,966 |
압축기장충당금 | (17,570) | - | - | (17,570) |
사용권자산 | (265,723) | (46,703) | - | (312,426) |
리스부채 | 284,952 | 57,807 | - | 342,759 |
기타 | (96,089) | 55,599 | - | (40,490) |
이월결손금 | 105,408 | (105,408) | - | - |
세액공제 | 170,695 | (29,855) | - | 140,840 |
소 계 | (14,122,803) | (1,114,739) | 3,649,095 | (11,588,447) |
미인식 이월결손금 | (105,408) | 105,408 | - | - |
이연법인세자산(부채) 순액 | (14,228,211) | (1,009,331) | 3,649,095 | (11,588,447)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증가(감소) | 기 말 | |
---|---|---|---|---|
당기손익 | 기타포괄손익 | |||
유형자산 | (4,264,179) | 101,022 | - | (4,163,157) |
국고보조금 | 93,411 | (690) | - | 92,721 |
대손충당금 | 344,036 | (344,036) | - | - |
의제배당 | 128,817 | 28,442 | - | 157,259 |
기타금융자산 | (10,786,138) | (169,197) | (2,413,537) | (13,368,872) |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46,074 | (9,951) | - | 36,123 |
주식배당 | 116,749 | (556) | - | 116,193 |
종속기업투자 | 2,008,345 | 94,610 | - | 2,102,955 |
퇴직급여충당부채 | 642,725 | (11,063) | 90,639 | 722,301 |
압축기장충당금 | (17,653) | 84 | - | (17,569) |
외상매출금 | (403,493) | 403,493 | - | - |
재고자산 | (20,798) | 20,798 | - | - |
사용권자산 | (304,404) | 38,681 | - | (265,723) |
리스부채 | 311,034 | (26,082) | - | 284,952 |
기타 | (34,616) | (61,475) | - | (96,091) |
이월결손금 | 251,650 | (146,242) | - | 105,408 |
세액공제 | 739,870 | (569,175) | - | 170,695 |
소 계 | (11,148,570) | (651,337) | (2,322,898) | (14,122,805) |
미인식 이연법인세자산 | - | - | - | - |
미인식 이월결손금 | (251,650) | 146,242 | - | (105,408) |
미인식 세액공제 | (739,870) | 739,870 | - | - |
이연법인세자산(부채) 순액 | (12,140,090) | 234,775 | (2,322,898) | (14,228,213) |
(5)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이연법인세자산(부채)로 인식하지 않은 차감(가산)할 일시적차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사 유 |
---|---|---|---|
이월결손금 | - | 105,408 | 미래과세소득의 불확실 |
21. 자본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 자본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수권주식수 | 1주당 금액 | 발행주식수 | 보통주자본금 |
---|---|---|---|---|
당기말 | 100,000,000 주 | 500 원 | 13,259,110 주 | 6,629,555 천원 |
전기말 | 100,000,000 주 | 500 원 | 13,259,110 주 | 6,629,555 천원 |
(2) 당기 중 자본금의 변동은 없습니다.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 자본잉여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주식발행초과금 | 51,127,206 | 51,127,206 |
기타자본잉여금 | 6,175,467 | 6,175,467 |
합 계 | 57,302,673 | 57,302,673 |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 이익잉여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법정적립금(*1) | 3,541,667 | 3,541,667 |
임의적립금 | 7,139,520 | 7,139,520 |
미처분이익잉여금 | 42,945,207 | 40,099,948 |
합 계 | 53,626,394 | 50,781,135 |
(*1) 당사는 대한민국에서 제정되어 시행 중인 상법의 규정에 따라, 자본금의 50%에달할 때까지 매 결산기마다 현금에 의한 이익배당금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습니다. 동 이익준비금은 현금으로 배당할 수 없으나 자본전입 또는결손보전이 가능하며,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습니다.
(5)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당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5년 3월 28일에 확정될 예정입니다(전기 처분 확정일: 2024년 3월 28일).
(단위: 원) |
과 목 | 제 33 기 | 제 32 기 | ||
I. 미처분 이익잉여금 | 42,945,207,078 | 40,099,948,250 | ||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38,699,948,250 | 37,984,301,025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대체 | (4,520,314,590) | 86,729,542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1,685,104) | (342,195,535) | ||
당기순이익 | 8,777,258,522 | 2,371,113,218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2,630,000,000 | 1,400,000,000 | ||
이익준비금 | - | - | ||
배당금 (현금배당주당배당금(률): 보통주: 당기 198원(40%) 전기 106원(21%) | 2,630,000,000 | 1,400,000,000 | ||
III.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40,315,207,078 | 38,699,948,250 |
(6)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34,357,140 | 43,635,826 |
해외사업환산대차 | - | 26,252 |
합 계 | 34,357,140 | 43,662,078 |
2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수익정보 구분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리드와이어 | 전력 | 기 타 | 합 계 |
---|---|---|---|---|
재화 또는 용역의 유형 | ||||
제품매출 | 61,701,507 | - | - | 61,701,507 |
상품매출 | 158,715 | - | - | 158,715 |
전력매출 | - | 4,405,148 | - | 4,405,148 |
운송매출 | 1,045,590 | - | - | 1,045,590 |
임대매출 | - | - | 759,115 | 759,115 |
기타매출 | - | - | 884,685 | 884,685 |
합 계 | 62,905,812 | 4,405,148 | 1,643,800 | 68,954,760 |
재화나 용역의 이전시기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 | 61,860,222 | 4,405,148 | 382,654 | 66,648,024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용역 | 1,045,590 | - | 1,261,145 | 2,306,735 |
합 계 | 62,905,812 | 4,405,148 | 1,643,799 | 68,954,759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리드와이어 | 전력매출 | 기 타 | 합 계 | |
재화 또는 용역의 유형 | ||||
제품매출 | 49,244,299 | - | - | 49,244,299 |
상품매출 | 376,050 | - | - | 376,050 |
전력매출 | - | 4,439,935 | - | 4,439,935 |
운송매출 | 386,825 | - | - | 386,825 |
임대매출 | - | - | 730,164 | 730,164 |
기타매출 | - | - | 758,769 | 758,769 |
합 계 | 50,007,174 | 4,439,935 | 1,488,933 | 55,936,042 |
재화나 용역의 이전시기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 | 49,620,349 | 4,439,935 | 265,566 | 54,325,850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용역 | 386,825 | - | 1,223,367 | 1,610,192 |
합 계 | 50,007,174 | 4,439,935 | 1,488,933 | 55,936,042 |
(2) 계약잔액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수취채권 및 계약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계정과목 | 당기말 | 전기말 |
---|---|---|---|
수취채권 | 매출채권 | 10,571,028 | 9,320,919 |
계약부채 | 선수수익 | 53,245 | 309,166 |
계약부채 | 선수금 | 298,615 | 731,020 |
매출채권은 무이자 조건이며 당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기대신용손실에 따라 인식한 충당금은 278,658천원입니다(주석9참조).
(3) 수행의무 1) 제품 및 상품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재화를 이전할 때 이행됩니다. 2) 전력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거나 REC를 발급할 때 이행됩니다. 3) 운송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운송용역이 제공될 때 이행됩니다. 4) 임대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임대용역이 제공될 때 이행됩니다. 5) 기타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재화를 이전하거나, 용역이 제공될 때 이행됩니다. (4) 매출원가 당기와 전기 중 매출원가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제품 및 상품 매출원가 | 52,238,475 | 43,406,998 |
전력매출원가 | 2,543,003 | 2,049,657 |
운송매출원가 | 1,045,590 | 386,825 |
임대매출원가 | 614,420 | 616,666 |
합 계 | 56,441,488 | 46,460,146 |
23.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기와 전기 중 발생한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재고자산의 변동 | (3,223,841) | (687,529) |
원재료 구매액 | 40,346,291 | 31,312,407 |
종업원급여 | 6,986,970 | 6,289,168 |
감가상각비 | 3,800,130 | 3,622,250 |
수출비용 | 1,650,795 | 1,316,013 |
수선비 | 937,292 | 580,006 |
소모품비 | 1,604,827 | 1,400,428 |
기타 비용 | 10,951,550 | 8,370,456 |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의 합계 | 63,054,014 | 52,203,199 |
24. 판매비와관리비 당기와 전기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급여 | 2,006,385 | 2,013,791 |
퇴직급여 | 469,719 | 175,776 |
복리후생비 | 251,876 | 234,318 |
운반비 | 72,289 | 64,581 |
여비교통비 | 30,391 | 51,292 |
감가상각비 | 268,706 | 476,818 |
지급수수료 | 1,042,889 | 811,439 |
세금과공과 | 54,004 | 52,180 |
접대비 | 60,345 | 54,920 |
광고선전비 | 13,849 | 33,155 |
보험료 | 646 | 1,142 |
소모품비 | 29,348 | 2,877 |
경상연구개발비 | 323,165 | 292,308 |
수출비용 | 1,650,795 | 1,316,013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도서인쇄비 | 11,539 | 15,288 |
수선비 | 5,629 | 7,850 |
교육훈련비 | 7,086 | 5,476 |
차량유지비 | 18,160 | 102,753 |
지급임차료 | - | 16,000 |
통신비 | 23,108 | 24,770 |
잡비 | 795 | 388 |
합 계 | 6,612,526 | 5,743,053 |
25. 기타영업외수익 및 기타영업외비용 (1) 당기와 전기 중 기타영업외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유형자산처분이익 | 8,193 | - |
잡이익 | 91,022 | 73,520 |
합 계 | 99,215 | 73,520 |
(2) 당기와 전기 중 기타영업외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유형자산처분손실 | 44,607 | 20 |
기부금 | 1,216 | 14,771 |
잡손실 | 7,058 | 26,897 |
합 계 | 52,881 | 41,688 |
26.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1) 당기와 전기 중 금융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이자수익 | 464,455 | 214,537 |
배당금수익 | 1,430,424 | 1,322,174 |
외환차익 | 1,385,433 | 906,151 |
외화환산이익 | 390,029 | 10,684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250,164 | 77,993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227,117 | 634,688 |
합 계 | 4,147,622 | 3,166,227 |
(2) 당기와 전기 중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이자비용 | 455,971 | 470,819 |
외환차손 | 768,552 | 717,921 |
외화환산손실 | 35,014 | 153,296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31 | 21,644 |
합 계 | 1,259,568 | 1,363,680 |
27. 주당이익(손실)
1) 기본주당이익(손실)은 당사의 보통주 당기순이익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습니다.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기본주당순이익(손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
구 분 | 당기 | 전기 | ||||
---|---|---|---|---|---|---|
계속영업 | 중단영업 | 합계 | 계속영업 | 중단영업 | 합계 | |
당사 소유지분 보통주 당기순이익(손실) | 6,914,894,248 | 1,862,364,274 | 8,777,258,522 | 5,350,346,295 | (2,979,233,077) | 2,371,113,218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기본주당이익 | 522 | 140 | 662 | 404 | (225) | 179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
(단위: 주) |
구 분 | 당기 | 전기 |
---|---|---|
발행주식수 | 13,259,110 | 13,259,110 |
차감 : 가중평균자기주식수 | - |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3,259,110 | 13,259,110 |
2) 당기 및 전기 중 잠재적보통주가 없으므로 희석주당이익(손실)은 기본주당이익(손실)과 동일합니다.
28. 배당금 산출 내역
당기에 지급된 배당금은 1,400,000천원(주당 106원)이며, 전기에 지급된 배당금은 1,988,867천원(액면분할 전 기준 주당 1,500원)입니다.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주당 배당금 및 총 배당금은 각각 198원과 2,630,000천원 이며, 2025년 3월 28일로 예정된 정기주주총회에 의안으로 상정될 예정입니다. 당기의 재무제표는 이러한 미지급배당금을 반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29.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1)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당기순이익 | 8,777,259 | 2,371,113 |
조정항목: | ||
퇴직급여 | 692,954 | 739,839 |
감가상각비 | 3,514,127 | 3,355,673 |
사용권자산감가상각비 | 286,004 | 266,578 |
유형자산처분손실 | 44,607 | 493,794 |
외화환산손실 | 35,014 | 153,296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39,492 | (46,561)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250,164) | (77,993)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227,117) | (634,688) |
유형자산처분이익 | (8,193) | - |
이자수익 | (464,455) | (215,623) |
이자비용 | 455,971 | 470,818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31 | 21,644 |
법인세비용 | 1,920,239 | 216,876 |
배당금수익 | (1,430,424) | (1,322,174) |
외화환산이익 | (390,029) | (10,684) |
종속기업처분이익 | (1,862,364) | - |
기타 | (125,488) | 2,919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
매출채권의 증감 | (1,138,813) | 2,707,276 |
미수금의 증감 | (40,723) | 200,032 |
선급금의 증감 | 109,077 | 196,122 |
선급비용의 증감 | (6,897) | (23,822) |
재고자산의 증감 | (3,363,333) | 789,473 |
매입채무의 증감 | (279,961) | 427,457 |
미지급금의 증감 | (41,604) | (69,596) |
미지급비용의 증감 | 26,171 | 138,847 |
예수금의 증감 | (1,538) | (18,752) |
선수금의 증감 | (432,405) | 184,522 |
선수수익의 증감 | 20,454 | 281,526 |
퇴직금의 지급 | (366,700) | (708,712) |
사외적립자산의 납임 | (300,000) | (347,132) |
반환제품회수권의 증감 | (139,302) | 67,930 |
반품충당부채의 증감 | 187,434 | (93,120)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5,611,126 | 9,506,796 |
(2) 당기와 전기 중 현금의 유입ㆍ유출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건설중인자산의 본계정 대체 | 3,155,273 | 2,691,097 |
유형자산 취득 관련 미지급금의 변동 | 214,027 | 245,145 |
(3) 당기 및 전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재무활동현금흐름 | 환율변동 등 | 신 규 | 기 말 |
---|---|---|---|---|---|
단기차입금 | 6,769,857 | (101,107) | 34,938 | - | 6,703,688 |
리스부채 | 1,363,410 | (406,473) | 127,441 | 555,618 | 1,639,996 |
합 계 | 8,133,267 | (507,580) | 162,379 | 555,618 | 8,343,684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재무활동현금흐름 | 환율변동 등 | 신 규 | 기 말 |
---|---|---|---|---|---|
단기차입금 | 6,997,653 | (225,215) | (2,581) | - | 6,769,857 |
리스부채 | 1,481,116 | (204,145) | - | 86,439 | 1,363,410 |
합 계 | 8,478,769 | (429,360) | (2,581) | 86,439 | 8,133,267 |
30. 우발사항 및 약정사항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이 금융기관과 체결 중인 차입 약정사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금융기관 | 구 분 | 한 도 액 | 실 행 액 |
---|---|---|---|
기업은행 | 무역어음대출 | 3,000,000 | 50,916 |
중소기업자금대출 | 6,000,000 | 6,000,000 | |
KEB하나은행 | 무역어음대출 | 3,675,000 | 652,772 |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차입금과 관련하여 제공한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USD) |
구 분 | 담보설정액 | 채무내용 | 채권자 | |
---|---|---|---|---|
당기말 | 전기말 | |||
토지, 건물 | 11,040,000 | 22,922,150 | 차입금담보 | 기업은행 |
- | USD 150,000 |
(3) 당사의 토지와 건물에 대하여 50,000천원의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용이 제한된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은행명 | 당기말 | 전기말 |
---|---|---|---|
장기금융상품 | 기업은행 | 2,000 | 2,000 |
(5) 당기말 현재 당사가 제3자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지급보증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제공자 | 보증내용 | 금액 |
---|---|---|
서울보증보험 | 계약이행보증 | 101,670 |
대표이사 | 연대보증 | 2,400,000 |
31. 특수관계자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현재 당사와 거래가 있는 주요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홍덕산업㈜ |
키스와이어홀딩스㈜ | 키스와이어홀딩스㈜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고려제강㈜ |
고려강선㈜ | 고려강선㈜ | |
KAT㈜ | KAT㈜ | |
홍덕섬유㈜ | - | |
서울청과㈜ | 서울청과㈜ | |
케이랩㈜ | 케이랩㈜ |
(2) 당기와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매출ㆍ매입 등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사용권자산의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67,856 | 117,498 | 7,844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3,461 | 20,004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56,255 | 133,194 | 96,094 | 1,235,924 |
고려강선㈜ | - | - | 100,218 | 258,457 | - | |
KAT㈜ | - | - | 5,712 | 47,527 | - | |
홍덕섬유㈜ | - | - | 1,206 | 32,247 | - | |
서울청과㈜ | - | - | 1,658 | - | - | |
합 계 | - | 124,111 | 362,947 | 462,173 | 1,353,214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유형자산 의 취득 | 사용권자산의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3,516 | 412,754 | 71,285 | 52,650 | -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305 | - | -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 | 123,867 | - | 46,895 | 974,589 |
고려강선㈜ | - | - | 45,716 | 38,610 | 29,335 | - | |
KAT㈜ | - | - | 1,305 | - | - | - | |
서울청과㈜ | - | - | 1,423 | - | - | - | |
합 계 | 3,516 | 412,754 | 244,901 | 91,260 | 76,230 | 1,091,879 |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특수관계자와의 채권ㆍ채무의 주요 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채 무 | |
---|---|---|---|
매입채무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448,326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29,191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4,400 | 518,939 |
고려강선㈜ | - | 536,968 | |
KAT㈜ | - | 56,186 | |
홍덕섬유㈜ | - | 32,287 | |
서울청과㈜ | - | 12,976 | |
합 계 | 4,400 | 1,634,873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3,867 | - | 502,792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0,782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3,135 | 472,223 |
고려강선㈜ | - | - | 329,945 | |
KAT㈜ | - | - | 10,782 | |
서울청과㈜ | - | - | 13,241 | |
합 계 | 3,867 | 3,135 | 1,339,765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 당기 및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현금배당 | 리스부채 | ||
---|---|---|---|---|---|
수취 | 지급 | 증가 | 상환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117,290 | 334,410 | 7,844 | 62,31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99,307 | 20,004 | 1,595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1,235,924 | 91,452 | 96,094 | 62,067 |
고려강선㈜ | - | - | 258,457 | 51,280 | |
KAT㈜ | - | - | 47,527 | 2,123 | |
홍덕섬유㈜ | - | - | 32,247 | 265 | |
서울청과㈜ | - | - | - | 265 | |
주요경영진 등 | - | 841,522 | - | -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현금배당 | 리스부채 | ||
---|---|---|---|---|---|
수취 | 지급 | 증가 | 상환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117,290 | 475,070 | - | 55,633 |
키스와이어홀딩스(주) | - | 141,078 | - | 1,185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주) | 974,589 | 129,918 | 46,895 | 53,383 |
고려강선㈜ | - | - | 29,335 | 42,060 | |
KAT㈜ | - | - | - | 1,185 | |
서울청과㈜ | - | - | - | 234 | |
주요경영진 등 | - | 1,195,482 | - | - |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 경영진은 이사(등기 및 비등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서비스의 대가로서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되었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단기급여 | 747,242 | 919,590 |
장기급여 | 139,842 | 118,036 |
합 계 | 887,084 | 1,037,626 |
(6) 당기 및 전기 중 특수관계자에게 제공받는 보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제공자 | 보증내용 | 금액 | |
---|---|---|---|
당기말 | 전기말 | ||
대표이사 | 연대보증 | 2,400,000 | - |
32. 부문별 정보
당사의 보고부문은 서로 다른 제품과 용역을 제공하는 전략적 사업단위입니다. 각 사업은 서로 다른 기술과 마케팅전략을 요구하기 때문에 별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각 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 | 주요 품목 |
---|---|
와이어부문 | 리드와이어 등 |
전력부문 | SMP, REC 매출 |
기타부문 | 임대수익 등 |
(1) 당기 및 전기 중 부문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총부문수익 | 62,905,812 | 4,405,148 | 1,643,799 | 68,954,759 |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 3,466,770 | 242,770 | 90,591 | 3,800,131 |
영업이익 | 3,589,294 | 1,439,706 | 871,745 | 5,900,745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총부문수익 | 50,007,174 | 4,439,935 | 1,488,933 | 55,936,042 |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 3,167,962 | 281,271 | 94,324 | 3,543,557 |
영업이익 | 1,079,025 | 1,934,422 | 719,396 | 3,732,843 |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부문자산 및 부문부채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부 문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자산 | 145,344,423 | 17,083,490 | 17,462,381 | 179,890,294 |
부채 | 25,306,602 | 1,564,930 | 1,103,000 | 27,974,532 |
<전기말>
(단위: 천원) |
부 문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자산 | 159,853,970 | 12,496,202 | 17,595,455 | 189,945,627 |
부채 | 29,185,499 | 1,281,687 | 1,103,000 | 31,570,186 |
(3) 당기 및 전기 중 지역별 계속영업 관련 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국내매출 | 12,885,548 | 13,104,299 |
해외매출 | 56,069,212 | 42,831,743 |
합 계 | 68,954,760 | 55,936,042 |
(4) 당기 및 전기 중 당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A사 | 8,768,810 | 5,803,536 |
B사 | 7,006,444 | 4,622,633 |
합 계 | 15,775,254 | 10,426,169 |
33.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 2023년 7월 26일 당사는 이사회 승인에 의하여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를 매각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고려전공유한공사와 관련된 자산을 매각예정으로표시하였습니다. 당기 중 고려전공유한공사와 관련된 자산을 모두 매각하였습니다. 한편, 관련된 영업에 대한 손익은 중단영업으로 표시하였으며, 비교표시된 전기 포괄손익계산서는 재작성되었습니다. (1) 전기말 현재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유형자산 | 504,965 |
사용권자산 | 80,446 |
합 계 | 585,411 |
(2) 당기와 전기의 중단영업손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Ⅰ. 매출액 | - | 1,753,015 |
Ⅱ. 매출원가 | - | 2,281,512 |
Ⅲ. 매출총이익 | - | (528,497) |
Ⅳ. 판매비와관리비 | - | 1,741,893 |
Ⅴ. 영업이익 | - | (2,270,390) |
기타영업외수익 | 1,862,364 | 28,279 |
기타영업외비용 | - | 706,723 |
금융수익 | - | 4,225 |
금융비용 | - | 34,624 |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862,364 | (2,979,233) |
법인세비용 | - | - |
Ⅶ. 당기순이익 | 1,862,364 | (2,979,233) |
(3) 당기와 전기의 중단영업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영업현금흐름 | - | (294,316) |
투자현금흐름 | 1,903,811 | 119,166 |
재무현금흐름 | - | - |
총 현금흐름 | 1,903,811 | (175,150) |
가. 재무상태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키스트론 주식회사 | (단위: 백만원) |
과 목 | 주석 | 제33기(당)기말 | 제32기(전)기말 | 제31기 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제30기 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
---|---|---|---|---|---|---|---|---|---|
자산 | |||||||||
Ⅰ. 유동자산 | 47,592 | 35,430 | 30,551 | 32,937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4,5,6,8 | 16,428 | 6,637 | 4,061 | 2,393 | ||||
2. 매출채권 | 4,5,6,7,9 | 10,571 | 9,314 | 9,759 | 11,515 | ||||
3. 기타수취채권 | 4,5,6,9 | 423 | 399 | 285 | 1,383 | ||||
4. 재고자산 | 11 | 19,767 | 16,543 | 15,856 | 17,315 | ||||
5. 기타유동자산 | 12 | 403 | 366 | 591 | 331 | ||||
6.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33 | - | 2,170 | - | - | ||||
Ⅱ. 비유동자산 | 5,6,30 | 132,298 | 155,735 | 147,557 | 166,252 | ||||
1. 장기금융상품 | 5,6,10 | 2 | 2 | 2 | 2 | ||||
2. 장기매출채권 | 4,5,6,9 | - | - | 2,140 | 4,590 | ||||
3. 기타금융자산 | 13 | 68,354 | 93,709 | 81,787 | 96,952 | ||||
4. 장기기타수취채권 | 14 | 124 | 107 | 68 | 31 | ||||
5. 유형자산 | 16 | 44,832 | 43,022 | 41,684 | 42,909 | ||||
6. 무형자산 | 15 | 28 | 28 | 28 | 28 | ||||
7. 사용권자산 | 1,495 | 1,271 | 1,450 | 1,394 | |||||
8. 투자부동산 | 17,462 | 17,595 | 17,729 | 17,675 | |||||
9. 종속기업투자 | - | - | 2,669 | 2,669 | |||||
자산 총계 | 179,890 | 191,165 | 178,108 | 199,189 | |||||
부채 | |||||||||
Ⅰ. 유동부채 | 12,965 | 13,256 | 14,287 | 26,518 | |||||
1. 매입채무 | 4,5,6,17 | 1,341 | 1,621 | 1,120 | 1,916 | ||||
2. 기타지급채무 | 4,5,6,17 | 3,381 | 3,287 | 3,026 | 3,122 | ||||
3. 단기차입금 | 4,5,6,18,30 | 6,704 | 6,770 | 6,998 | 18,834 | ||||
4. 당기법인세부채 | 454 | 290 | 1,951 | 1,918 | |||||
5. 기타유동부채 | 4,12,16 | 1,085 | 1,288 | 1,192 | 728 | ||||
Ⅱ. 비유동부채 | 15,010 | 17,698 | 15,307 | 19,355 | |||||
1. 장기기타지급채무 | 4,5,6,17 | 227 | 570 | 576 | 453 | ||||
2. 순확정급여부채 | 19 | 1,796 | 1,755 | 1,753 | 2,070 | ||||
3. 기타비유동부채 | 4,12,16 | 1,398 | 1,144 | 1,280 | 1,228 | ||||
4. 이연법인세부채 | 20 | 11,588 | 14,228 | 11,699 | 15,605 | ||||
부채 총계 | 27,975 | 30,954 | 29,594 | 45,873 | |||||
자본 | |||||||||
Ⅰ.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 |||||||||
1. 자본금 | 21 | 6,630 | 6,630 | 6,630 | 6,630 | ||||
2. 자본잉여금 | 21 | 57,303 | 57,303 | 57,303 | 57,303 | ||||
3.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1 | 34,357 | 43,636 | 34,380 | 34,430 | ||||
4. 이익잉여금 | 21 | 53,626 | 52,643 | 50,202 | 54,954 | ||||
Ⅱ. 비지배지분 | |||||||||
자본총계 | 151,916 | 160,212 | 148,514 | 153,316 | |||||
부채와자본 총계 | 179,890 | 191,165 | 178,108 | 199,189 |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나. 포괄손익계산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키스트론 주식회사 | (단위: 백만원) |
과 목 | 주석 | 제33기(당)기말 | 제32기(전)기말 | 제31기 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제30기 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
Ⅰ. 매출액 | 22 | 68,955 | 56,243 | 66,918 | 4,540 |
Ⅱ. 매출원가 | 22, 23 | 56,441 | 46,758 | 54,448 | 2,445 |
Ⅲ. 매출총이익 | 12,513 | 9,485 | 12,470 | 2,095 | |
Ⅳ. 판매비와관리비 | 23, 24 | 6,613 | 5,477 | 7,231 | 858 |
Ⅴ. 영업이익 | 5,901 | 4,008 | 5,239 | 1,237 | |
기타영업외수익 | 25 | 99 | 74 | 188 | 15 |
기타영업외비용 | 25 | 53 | 540 | 168 | 28 |
금융수익 | 26 | 4,148 | 3,166 | 4,463 | 21,799 |
금융비용 | 26 | 1,260 | 1,364 | 2,767 | 459 |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8,835 | 5,344 | 6,955 | 22,564 | |
법인세비용(수익) | 20 | 1,920 | 658 | (1,384) | 6,396 |
Ⅶ. 계속영업당기순이익 | 6,915 | - | - | - | |
Ⅷ. 중단영업이익(손실) | 33 | 1,862 | - | - | - |
Ⅸ. 당기순이익 | 8,777 | 4,686 | 8,339 | 16,168 | |
지배기업 소유지분 | 8,777 | 4,686 | 8,339 | 16,168 | |
비지배지분 | - | - | - | - | |
Ⅹ. 기타포괄손익 | (13,811) | 9,001 | 118 | 16,697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 - | - | - | |
해외사업장 외화환산차이 | - | - | - | -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13,811) | 9,001 | 118 | 16,697 | |
지분법 자본변동 | - | - | - | 860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9 | (12) | (342) | 168 | - |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13,799) | 9,343 | (50) | 15,837 | |
XI. 총포괄이익 | (5,033) | 13,686 | 8,458 | 32,866 | |
지배기업 소유지분 | (5,033) | ||||
비지배지분 | - | ||||
XII. 주당손익 | |||||
계속영업 기본및희석주당이익 | 27 | 522 | 353 | 629 | 1,219 |
중단영업 기본및희석주당이익(손실) | 27 | 140 |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다. 자본변동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키스트론 주식회사 | (단위: 백만원) |
구 분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합 계 |
2021.01.01 | 6,630 | 57,298 | 17,732 | 45,415 | 127,075 |
연차배당 | - | - | - | (6,630) | (6,630) |
당기순이익 | - | - | - | 16,168 | 16,16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15,837 | - | 15,837 |
지분법자본변동 | - | - | 860 | - | 860 |
기타자본잉여금 | - | 5 | - | - | 5 |
2021.12.31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430 | 54,954 | 153,316 |
2022.01.01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430 | 54,954 | 153,316 |
연차배당 | - | - | - | (13,259) | (13,259) |
당기순이익 | - | - | - | 8,339 | 8,339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68 | 16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50) | - | (50) |
2022.12.31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380 | 50,202 | 148,514 |
2023.01.01 (전기초)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6,630 | 57,303 | 34,380 | 50,202 | 148,514 |
연차배당 | - | - | - | (1,989) | (1,989) |
당기순이익 | - | - | - | 4,686 | 4,686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342) | (34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9,256 | 87 | 9,343 |
2023.12.31 (전기말) | 6,630 | 57,303 | 43,636 | 52,643 | 160,212 |
2024.01.01 (당기초) | 6,630 | 57,303 | 43,662 | 50,781 | 158,375 |
연차배당 | - | - | - | (1,400) | (1,400) |
당기순이익 | - | - | - | 8,777 | 8,777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12) | (1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 - | (9,279) | (4,520) | (13,799) |
연결범위 변동 | - | - | (26) | - | (26) |
2024.12.31 (당기말) | 6,630 | 57,303 | 34,357 | 53,626 | 151,916 |
라. 현금흐름표
제33기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32기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31 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제30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키스트론 주식회사 | (단위: 백만원) |
과 목 | 주석 | 제33기(당)기말 | 제32기(전)기말 | 제31기 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제30기 기말 ("감사받지 않은 재무제표")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484 | 8,732 | 14,731 | 4,009 | |||||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29 | 5,611 | 9,802 | 15,703 | 3,049 | ||||
2. 이자의 수취 | 476 | 189 | 302 | 396 | |||||
3. 이자의 지급 | (286) | (468) | (479) | - | |||||
4. 법인세의 납부 | (747) | (2,113) | (2,412) | (1,047) | |||||
5. 배당금의 수령 | 1,430 | 1,322 | 1,618 | 1,611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849 | (3,736) | 12,207 | (1,899)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7,513 | 2,710 | 15,315 | 35,343 | |||||
(1) 기타금융자산의 매각 | 15,601 | 2,710 | 15,256 | - | |||||
(2) 유형자산의 처분 | 8 | - | 9 | - | |||||
(3) 종속기업처분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 1,904 | - | - | - | |||||
(4) 정부보조금의 증가 | - | - | 50 | - | |||||
(5) 단기투자증권 매각 | - | - | - | 15,082 | |||||
(6) 장기투자자산의 처분 | - | - | - | 20,216 | |||||
(7) 단기대여금의 감소 | - | - | - | 2 | |||||
(8) 기타보증금의 감소 | - | - | - | 32 | |||||
(9) 합병으로 인한 현금승계액 | - | - | - | 11 |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2,664) | (6,447) | (3,108) | (37,241) | |||||
(1) 기타금융자산의 매입 | 7,214 | 2,185 | 1,078 | 18,558 | |||||
(2) 유형자산의 취득 | 5,450 | 4,231 | 1,961 | - | |||||
(3) 임차보증금의 지급 | - | 30 | 69 | - | |||||
(4)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증가 | - | - | - | 17,545 | |||||
(5)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 - | - | - | 1,138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908) | (2,418) | (25,271) | (6,630) | |||||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7,676 | 11,159 | 72,759 | - | |||||
(1) 단기차입금의 증가 | 17,676 | 11,159 | 72,759 | - |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 (19,584) | (13,577) | (98,029) | (6,630) | |||||
(1) 단기차입금의 감소 | 17,778 | 11,384 | 84,595 | - | |||||
(2)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 | - | - | |||||
(3) 배당금 지급 | 1,400 | 1,989 | 13,259 | 6,630 | |||||
(4) 리스부채의 상환 | 406 | 204 | 175 | - | |||||
Ⅳ. 현금의 증가(Ⅰ+Ⅱ+Ⅲ) | 9,426 | 2,578 | 1,668 | (4,519) | |||||
Ⅴ. 기초의 현금 | 7,002 | 4,061 | 2,393 | 6,913 | |||||
Ⅵ. 환율변동효과 | - | (1) | - | (0) | |||||
Ⅶ. 기말의 현금(Ⅳ+Ⅴ+Ⅵ) | 16,428 | 6,637 | 4,061 | 2,393 |
" 별첨 주석은 본 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제 33(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32(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키스트론 주식회사 |
1. 일반사항 1.1 회사의 개요
키스트론 주식회사(이하 "당사"라 함)는 1992년 11월 27일 설립되어 Steel Cord와 BeadWire의 제조 및 판매를 주영업목적으로 하였으며, 2003년 중 부동산 임대업을 추가로 개시하였습니다. 당사는 2012년 1월 2일에 지분법피투자회사관리 등을 수행하는 투자사업부문(이하 "분할존속회사", 석천 주식회사)와 Steel Cord와 Bead Wire의 제조ㆍ판매 및 부동산임대업을 수행하는 제조 및 임대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고 분할된 사업부문은 홍덕케이블 주식회사와 합병(이하 "분할합병회사", 홍덕스틸코드 주식회사)하였습니다. 당사는 2015년 12월 18일에 홍덕정밀 주식회사와 홍덕개발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다이스 제조사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한 이후 2018년 5월 중 다이스 제조사업을 중단하였습니다. 당사는 2020년 10월 5일에 석천솔라파워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으며, 이에 따라 당사는 태양광 발전소 건설 및 전력생산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2021년 12월 30일 키스트론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여, 전자통신부품용소재제조업을 사업목적에 추가하였으며, 합병 후 경기도 안산에 본사를 이전하고 상호를 석천 주식회사에서 키스트론 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주요 주주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소유주식수(주) | 지분율(%) |
---|---|---|
홍영철 | 3,752,520 | 28.30 |
홍석표 | 3,200,850 | 24.14 |
홍덕산업㈜ | 3,167,130 | 23.89 |
고려제강㈜ | 866,120 | 6.53 |
키스와이어홀딩스㈜ | 940,520 | 7.09 |
홍희연 | 1,016,510 | 7.67 |
신재명 | 315,460 | 2.38 |
합 계 | 13,259,110 | 100.00 |
1.2 종속기업의 현황 및 변동 회사는 2023년 7월 26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의 매각을 결정하였으며, 당기 중 매각을 완료하였습니다. 따라서 당기말 현재 회사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다만, 당기와 전기 중 종속기업이 존재하던 기간까지는 종속기업의 손익 등을 연결기준으로 재무제표에 반영하였습니다.
종속기업 | 소재지 | 당기말 지배지분율 | 전기말 지배지분율 | 결산월 | 업종 |
---|---|---|---|---|---|
고려전공유한공사 | 중국 | - | 100% | 12월 | 제조업 |
(*) 당기 중 매각이 완료된 종속기업에 대해서 전기말 매각예정자산 및 부채로 분류하였으며, 당기 처분으로 인하여 중단영업손익 1,862,364천원을 인식하였습니다 (주석 33참조).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당기 중 회사의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의 처분으로 당기말 현재 보유하고 있는 종속기업은 없습니다. 따라서 당사는 당기부터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지 않습니다. 한편, 당기의 재무제표는 종속기업처분 이전까지의 성과를 반영한 개별재무제표이며, 비교표시되는 2023년 12월 31일 현재의 재무상태표, 동일로 종료되는 12개월 보고기간의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는 연결재무제표입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사는 2024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발생하는 리스부채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사항은 판매자-리스이용자가 판매후리스 거래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측정 시 판매자-리스이용자가 계속 보유하는 사용권에 대해서는 어떠한 차손익도 인식하지 않도록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이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 ㆍ비유동 분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의 개정사항은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에 대한 다음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의미 - 연기할 수 있는 권리가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해야 함 - 유동성 분류는 기업의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 - 기업이 자신의 지분상품을 이전하여 부채를 결제할 수 있는 조건은 그 옵션을 지 분상품으로 분류하고 동 옵션을 복합금융상품의 자본 요소로서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하는 경우라면, 유동 ㆍ비유동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또한, 기업이 차입약정으로 인해 발생한 부채를 비유동부채로 분류하고,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기업의 권리가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약정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 이를 공시해야 합니다. 당사의 부채 분류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의 개정은 공급자금융약정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그러한 약정에 대한 추가 공시를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의 공시 요구사항은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및 유동성위험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이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2.2.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적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당사는 비교 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 이 개정사항은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개정사항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 결제일에 제거되는 금융부채와 전자지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결제되는 금융부채를 결제일 전에 제거하기 위한 회계정책 선택(특정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을 도입하 는 것을 명확히 함 - ESG 및 유사한 특성이 있는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 한 추가적인 지침 - 비소구 특성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의 특징이 무엇 인지를 명확히 함 - 우발특성이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공시사항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 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공시 요구사항을 도입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금융자산의 분류 및 이와 관련된 공시사항에 대한 개정사항만을 조기 적용할 수 도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개정사항을 조기 적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결제되는 금융부채의 제거에 관한 개정사항과 관련하여, 당사는 영업 중인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모든 주요 전자지급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행 실무에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와 결제 일 이전에 해당 금융부채를 제거하는 회계정책 선택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의 경우 현금 흐름에 대한 권리가 소멸될 때 그에 상응하는 금융자산이 제거되는지, 금융부채의 경우 결제일에 해당 금융부채가 제거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표,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다른 모든 지급시스템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ESG 연계 특성 및 유사한 우발특성을 포함하는 금융자산과 비소구금융 및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에 대한 개정사항의 영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수행한 최초 평가를 바탕으로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평가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3)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기준서간 요구사항의 일관성을 제고하고,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히 하여, 이해가능성을 개선하고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이 발표되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 택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재무제표에 중요한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2.3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각각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되고,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 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4 금융상품
(1) 분류
당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당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당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당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당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 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당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에 대해 당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당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당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주석 7 참조).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5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
2.6 재고자산 당사는 미착계정(개별법) 및 원재료(선입선출법)를 제외한 재고자산을 총평균법에 의해 산정된 취득원가를 재무상태표가액으로 하고 있으며, 연중 계속기록법에 의하여 수량 및 금액을 계산하고 매 기말 실지재고조사를 실시하여 그 기록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재고자산의 시가(제품, 상품 및 재공품은 순실현가능가액, 원재료 등은 현행대체원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시가를 재무상태표가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은 항목별로 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저가법 적용으로 발생하는 재고자산평가손실은 당해 재고자산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고 이를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있습니다. 한편, 저가법의 적용에 따른평가손실을 초래했던 상황이 해소되어 새로운 시가가 장부금액보다 상승한 경우에는최초의 장부금액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평가손실을 환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7 매각예정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
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은 장부금액이 매각거래를 통하여 주로 회수되고, 매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며, 그러한 자산은 장부금액과 순공정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2.8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 목 | 추정 내용연수 |
---|---|
건물 | 40 년 |
구축물 | 20 년 |
기계장치 | 8, 10 년 |
차량운반구 | 5 년 |
공구와기구 | 5 년 |
집기비품 | 5 년 |
발전설비 | 15 년 |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9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0 무형자산
당사의 무형자산은 주로 회원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 자산은 이를 이용할 것으로기대되는 기간에 대하여 예측가능한 제한이 없으므로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평가하여 상각하지 않고, 매년 손상검사를 하고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가액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기 발생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무형자산은 처분하는 때(즉, 취득자가 해당 자산을 통제하게 되는 날) 또는 사용이나 처분으로부터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제거합니다. 당사는 무형자산제거시 순매각금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인한 손익은 제거시점의 당기손익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2.11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30년~4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2.12 비금융자산의 손상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13 매입채무와 기타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당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지급하지 않은 부채입니다.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면 재무상태표에서 유동부채로 표시합니다. 해당 채무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이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2.14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당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 '기타지급채무', '차입금' 등으로 표시됩니다.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15 충당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가 존재하고, 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판매보증충당부채, 복구충당부채 및 소송충당부채 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6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당기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에 근거하여 측정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당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세무당국이 불확실한 법인세 처리를 수용할 가능성이 높은지 고려합니다. 당사는법인세 측정 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금액 또는 기댓값 중 불확실성의 해소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확실성의 영향을 반영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당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17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당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급여제도로 구성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당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 기타장기종업원급여 당사는 장기 근속 임직원에게 장기종업원급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급여를 받을 수 있는 권리는 주로 5년 이상의 장기간 근무한 임직원에게만 주어집니다. 기타장기종업원급여는 확정급여제도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근무원가,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의 순이자 및 재측정요소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또한, 이러한 부채는 매년 독립적이고 적격한 보험계리사에 의해 평가됩니다.
2.18 수익 인식
당사는 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모든 유형의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 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 ⑤ 수행의무 이행 시 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수행의무의 식별 당사는 고객과의 제품 판매계약에서 재화 판매 외 별도로 제공하는 용역은 계약을 분리하여 수행의무를 식별합니다. 국제무역거래의 조건에 대한 해석에 따른 국제규칙(INCOTERMS 2020) 중 수출자가 운송료(보험료 포함)를 부담하는 선적지 인도 조건을 적용하여 계약된 수출 거래에 대해서는 고객에게 제공하는 운송 용역을 재화의 판매와 구분되는 별도의 수행의무로 식별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2)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재화의 판매에 따른 수익은 재화가 구매자에게 인도되는 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재화의 인도는 재화가 특정 장소로 이전되고, 재화의 진부화와 손실에 대한 위험이 구매자에게 이전되며, 구매자가 판매 계약에 따라 재화의 수령을 승인하거나 그 승인기간이 만료되거나 또는 당사가 재화의 수령 승인 요건이 충족되었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가지는 시점이 되어야 발생합니다.
(3) 반품권이 있는 판매 기준서 제1115호 적용 시 받을 권리를 갖게 될 대가를 더 잘 예측할 것으로 예상하는기대값 방법을 사용하여 변동 대가를 추정하고, 반품기한이 경과할 때 이미 인식한 누적 수익금액 중 유의적인 부분을 되돌리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금액까지만 변동대가를 거래가격에 포함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기업이 받았거나 받을 대가 중에서 권리를 갖게 될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 금액은 환불부채로 계상합니다.
2.19 리스
(1) 리스제공자
당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된 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 리스이용자 당사는 건물, 태양광부지, 자동차를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2~20년의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사용권자산은 최초 인식 시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재무상태표에 '유형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에 그날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합니 다. 현재가치 측정 시 리스의 내재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당사의 증분차입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고 있습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하여 인식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리스료의 지급을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에 대한 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 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재무상태표에 '기타부채'로 분류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와 소액자산 리스(기초자산 US$ 5,000 이하)의 경우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2.20 재무제표 승인 당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13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수정승인 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적 판단, 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당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이 없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법을 포함한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에 사용된 입력요소에 관측가능한 시장의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공정가치의 산정에 상당한 추정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판단에는 유동성 위험, 신용위험, 변동성 등에 대한 입력변수의 고려가 포함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변화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주석 5 참조). (2) 순확정급여부채 순확정급여부채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 특히 할인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주석 19 참조).
4. 재무위험관리
4.1 재무위험관리요소
당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가격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뿐 아니라,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 승인합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외환위험 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기능통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10% 상승시 | 10% 하락시 | |
원/미국달러 | 799,572 | (799,572) | 714,181 | (714,181) |
원/유로 | 111,229 | (111,229) | 39,288 | (39,288) |
원/엔화 | 23,519 | (23,519) | 14,529 | (14,529) |
2) 가격위험 당사는 재무상태표상 기타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당사 보유 금융상품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상품의 투자로 인한 가격위험을 관리하기 위해 포트폴리오를 분산투자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 내에서 중요한 투자자산의 관리는 개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PI 주가지수 등에 속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두 가지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 및 비상장주식 관련 가격의 상승 또는 하락이 당사의 당기 세전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하에 주가지수가 1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고 비상장주식은 주식 가격이 일정하게 10% 상승 또는 하락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분석한 것입니다.
(단위:천원) |
지수 | 세전 이익에 대한 영향 |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영향 | |||
---|---|---|---|---|---|
당기 | 전기 | 당기 | 전기 | ||
상장주식 | 상승시 | 66,421 | 532,854 | 6,659,279 | 7,306,973 |
하락시 | (66,421) | (532,854) | (6,659,279) | (7,306,973) | |
비상장주식 | 상승시 | - | - | - | 1,378,973 |
하락시 | - | - | - | (1,378,973) |
3) 이자율 위험 당사의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은 장기차입금에서 비롯됩니다. 변동 이자율로 발행된 차입금으로 인하여 당사는 현금흐름 이자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동 이자율위험의 일부는 변동이자부 현금성자산으로부터의 이자율위험과 상쇄됩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차입구조 개선을 통한 전사적인 이자비용 관리활동, 고정 대 변동이자 차입조건의 적정비율유지, 주간/월간 단위의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이자율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원화 표시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상승 또는 하락할 경우, 증가 또는 감소한 변동이자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으로 인하여 당 회계기간에 대한 세전이익은 67,037천원(전기: 67,698천원)만큼 감소 또는 증가하였을 것입니다.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등 소매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및 은행 등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거래처의 신용도를 재평가하여 신용거래한도를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당기 중 신용한도를 초과한 건은 없었으며 경영진은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않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현금성자산(현금시재 제외) | 16,426,927 | 7,000,529 |
매출채권 - 유동 | 10,571,028 | 9,314,064 |
기타수취채권 - 유동 | 422,738 | 399,435 |
기타수취채권 - 비유동 | 123,867 | 106,537 |
기타금융자산 - 비유동 | 68,354,456 | 93,709,358 |
(3) 유동성 위험 당사는 미사용 차입금 한도(주석 30 참조)를 적정수준으 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수요를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당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당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유동성위험 분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당기말 | ||||
---|---|---|---|---|---|
합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5년 | 5년 초과 | |
차입금(*1) | 6,716,224 | 6,716,224 | - | -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3,789,230 | 3,789,230 | - | - | - |
리스부채(*1) | 2,656,745 | 395,720 | 374,740 | 725,288 | 1,160,997 |
합 계 | 13,162,199 | 10,901,174 | 374,740 | 725,288 | 1,160,997 |
(*1) 상기 표에 포함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 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만기시까지 지급될 이자금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전기말>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전기말 | ||||
---|---|---|---|---|---|
합계 | 1년 미만 | 1년~2년 | 2년~5년 | 5년 초과 | |
차입금(*1) | 7,010,294 | 7,010,294 | - | - | - |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4,676,520 | 4,676,520 | - | - | - |
리스부채(*1) | 2,119,193 | 362,635 | 339,170 | 810,214 | 607,175 |
합 계 | 13,806,007 | 12,049,449 | 339,170 | 810,214 | 607,175 |
(*1) 상기 표에 포함된 현금흐름은 현재가치 할인을 하지 않은 금액이며, 만기시까지 지급될 이자금액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4) 자본위험관리
당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산업 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당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총차입금 | 6,703,688 | 6,769,857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7,002,437 |
순부채 | (9,724,458) | (232,580) |
자본총계 | 151,915,762 | 158,375,442 |
총자본 | 142,191,304 | 158,142,862 |
자본조달비율 | 부의 자본조달비율 | 부의 자본조달비율 |
5. 공정가치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사업환경 및 경제적인 환경의 유의적인 변동은 없습니다.
(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유동>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1) | 7,002,437 | (*1) |
매출채권 | 10,571,028 | (*1) | 9,314,064 | (*1) |
기타수취채권 | 422,738 | (*1) | 399,435 | (*1) |
소 계 | 27,421,912 | 16,715,936 | ||
<비유동> | ||||
장기금융상품 | 2,000 | (*1) | 2,000 | (*1) |
기타수취채권 | 123,867 | (*1) | 106,537 | (*1) |
기타금융자산 | 68,354,456 | 68,354,456 | 93,709,358 | 93,709,358 |
소 계 | 68,480,323 | 93,817,895 | ||
합 계 | 95,902,235 | 110,533,831 | ||
금융부채 | ||||
<유동> | ||||
매입채무 | 1,340,797 | (*1) | 1,620,758 | (*1) |
기타지급채무 | 2,245,432 | (*1), (*2) | 2,411,832 | (*1), (*2) |
단기차입금 | 6,703,688 | (*1) | 6,769,857 | (*1) |
소 계 | 10,289,917 | 10,802,447 | ||
<비유동> | ||||
기타지급채무 | 203,000 | (*1), (*2) | 530,000 | (*1), (*2) |
소 계 | 203,000 | 530,000 | ||
합 계 | 10,492,917 | 11,332,447 |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공시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대상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항목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수준 1)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수준 2)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관측가능 하지 않은 투입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수준 3)
공정가치로 측정 및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 계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66,592,792 | - | - | 66,592,792 |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 | 1 | 1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채무증권 | - | 1,761,663 | - | 1,761,663 |
합 계 | 66,592,792 | 1,761,663 | - | 68,354,455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수준1 | 수준2 | 수준3 | 합 계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73,069,733 | - | - | 73,069,733 |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 | 13,789,727 | 13,789,727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4,625,692 | 702,851 | - | 5,328,543 |
- 채무증권 | - | 1,521,355 | - | 1,521,355 |
합 계 | 77,695,425 | 2,224,206 | 13,789,727 | 93,709,358 |
(3)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
당기와 전기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 간 이동 내역은 없습니다.
(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당사는 당기말 수준3의 금융상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전기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13,789,727 | 3 | 현금흐름할인법 | 연평균 매출성장률(%) | 3.31% |
가중평균 영업이익률(%) | 2.88% | ||||
할인율(%) | 9.56% | ||||
영구성장률(%) | 1.00% |
6. 범주별 금융상품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자산>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합계 | |
유동성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6,428,146 | - | - | 16,428,146 |
매출채권 | 10,571,028 | - | - | 10,571,028 |
기타수취채권 | 422,738 | - | - | 422,738 |
소 계 | 27,421,912 | - | - | 27,421,912 |
비유동성 금융자산 | ||||
장기금융상품 | 2,000 | - | - | 2,000 |
기타수취채권 | 123,867 | - | - | 123,867 |
기타금융자산 | - | 1,761,663 | 66,592,793 | 68,354,456 |
소 계 | 125,867 | 1,761,663 | 66,592,793 | 68,480,323 |
합 계 | 27,547,779 | 1,761,663 | 66,592,793 | 95,902,235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합계 | |
유동성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002,437 | - | - | 7,002,437 |
매출채권 | 9,314,064 | - | - | 9,314,064 |
기타수취채권 | 399,435 | - | - | 399,435 |
소 계 | 16,715,936 | - | - | 16,715,936 |
비유동성 금융자산 | ||||
장기금융상품 | 2,000 | - | - | 2,000 |
기타수취채권 | 106,537 | - | - | 106,537 |
기타금융자산 | - | 6,849,899 | 86,859,459 | 93,709,358 |
소 계 | 108,537 | 6,849,899 | 86,859,459 | 93,817,895 |
합 계 | 16,824,473 | 6,849,899 | 86,859,459 | 110,533,831 |
<금융부채>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기타금융부채 | 합계 | |
유동성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340,797 | - | 1,340,797 |
기타지급채무 | 2,245,432 | - | 2,245,432 |
차입금 | 6,703,688 | - | 6,703,688 |
소 계 | 10,289,917 | - | 10,289,917 |
비유동성 금융부채 | |||
기타지급채무 | 203,000 | - | 203,000 |
소 계 | 203,000 | - | 203,000 |
합 계 | 10,492,917 | - | 10,492,917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 기타금융부채(*) | 합계 | |
유동성 금융부채 | |||
매입채무 | 1,620,758 | - | 1,620,758 |
기타지급채무 | 2,411,832 | - | 2,411,832 |
차입금 | 6,761,965 | 7,892 | 6,769,857 |
소 계 | 10,794,555 | 7,892 | 10,802,447 |
비유동성 금융부채 | |||
기타지급채무 | 530,000 | - | 530,000 |
소 계 | 530,000 | - | 530,000 |
합 계 | 11,324,555 | 7,892 | 11,332,447 |
(*) 기타금융부채는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양도거래 관련 금융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주석 6,7,9 참고).
(2) 당기와 전기 중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평가손익(세후, 당기 평가에 따른 증감) | (13,799,001) | 9,342,712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평가손익 | 227,117 | 634,688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이자수익 | 464,455 | 214,537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외화환산손익 | 389,953 | (146,637)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이자비용 | (284,832) | (305,952) |
외화환산손익 | (34,938) | 4,025 |
7. 전체가 제거되지 않은 양도 금융자산 당사는 당기 및 전기 중 은행과의 수출채권 할인 계약을 통해 매출채권을 할인하였습니다. 이 거래는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므로 소구권이 있는 거래에 해당하여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18 참고).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자산의 장부금액 | - | 7,892 |
관련부채의 장부금액 | - | (7,892) |
양도자산에 한하여 소구권이 있는 부채: | ||
자산의 공정가치 | - | 7,892 |
관련부채의 공정가치 | - | (7,892) |
순포지션 | - | - |
8. 현금및현금성자산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말 | 전기말 |
---|---|---|
보유현금 | 1,219 | 1,908 |
예적금 등 | 16,426,927 | 7,000,529 |
합계 | 16,428,146 | 7,002,437 |
9.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의 장부금액과 대손충당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 |
유동성 매출채권 | 10,849,686 | (278,658) | - | 10,571,028 |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422,738 | - | - | 422,738 |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130,140 | - | (6,273) | 123,867 |
합 계 | 11,402,564 | (278,658) | (6,273) | 11,117,633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
채권액 | 대손충당금 | 현재가치할인차금 | 장부금액 | |
유동성 매출채권(*1) | 9,320,919 | (6,855) | - | 9,314,064 |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399,435 | - | - | 399,435 |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130,140 | - | (23,603) | 106,537 |
합 계 | 9,850,494 | (6,855) | (23,603) | 9,820,036 |
(*1) 당사는 전기말 현재 금융기관에 7,892천원에 상당하는 매출채권을 양도하고 현금을 수령하였으며, 이 거래는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 주석 7 및 18 참고).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수취채권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계정과목 | 당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미수금 | 422,477 | 381,755 |
미수수익 | 261 | 17,680 | |
합 계 | 422,738 | 399,435 | |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보증금 | 123,867 | 106,537 |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매출채권의 연령별 채권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매출채권 | |
---|---|---|
당기말 | 전기말 | |
연체되지 않은 채권 | 10,339,828 | 8,865,327 |
연체되었으나 개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채권(*1) | ||
3개월 이하 | 121,685 | 327,239 |
3개월 초과 6개월 이하 | 183 | 124,395 |
6개월 초과 | 387,990 | - |
개별손상채권(*2) | - | 3,958 |
합계 | 10,849,686 | 9,320,919 |
(*1) 연체되었으나 손상되지 않은 채권은 최근 부도 기록이 없는 여러 독립된 거래처들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은 주로 예측하지 못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거래처와 관련된 채권입니다.
(4) 당기와 전기 중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
---|---|---|---|
기초 | 설정액 | 기말 | |
유동성 매출채권 | 6,855 | 271,803 | 278,658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기초 | 환입액 | 기말 | |
유동성 매출채권 | 16,937 | (10,082) | 6,855 |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신용위험의 최대 노출금액은 위에서 언급한 채권의 각 종류별 장부금액입니다.
손상된 매출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액은 포괄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 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외 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 설정액은 기타영업외비용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손충당금의 감소는 일반적으로 과거 대손설정의 사유가 해소되거나 회수가능성이 없는 채권을 제각할 경우 발생하고 있습니다.
10. 기타금융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66,592,792 | 73,069,733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1 | 13,789,727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채무증권) | 1,761,663 | 1,521,357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5,328,541 |
합 계 | 68,354,456 | 93,709,358 |
(2) 당기와 전기 중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세부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고려제강㈜ | 17,262,193 | 54,421,411 | (7,512,969) | (4,119,654) | 42,788,788 | - | 1,124,346 | 58,926,635 |
보산철강 | 599,964 | (179,411) | 63,331 | 116,080 | - | - | 599,964 | - |
공상은행 | 699,232 | (32,132) | 55,216 | (23,084) | - | - | 699,232 | - |
브리즈스콘 | 298,229 | 247 | 20,417 | (20,664) | - | - | 298,229 | - |
스미토모 전기공업 | - | - | 268,512 | - | 268,512 | 998,132 | - | 1,266,644 |
Vietin Bank | - | - | 241,287 | - | 241,287 | 998,864 | - | 1,240,151 |
미쓰비시 UFJ | - | - | 211,137 | - | 211,137 | 998,982 | - | 1,210,119 |
재팬포스트은행 | - | - | 57,737 | - | 57,737 | 1,001,737 | - | 1,059,474 |
하나금융지주 | - | - | (87,292) | - | (87,292) | 1,199,436 | - | 1,112,144 |
한국쉘석유 | - | - | (9,090) | - | (9,090) | 200,190 | - | 191,100 |
코리안리 | - | - | (776) | - | (776) | 197,936 | - | 197,160 |
기업은행 | - | - | (2,108) | - | (2,108) | 201,295 | - | 199,187 |
현대홈쇼핑 | - | - | 4,894 | - | 4,894 | 197,136 | - | 202,030 |
TKG휴켐스 | - | - | (11,315) | - | (11,315) | 200,570 | - | 189,255 |
GS | - | - | (9,328) | - | (9,328) | 201,898 | - | 192,570 |
KPX홀딩스 | - | - | (4,316) | - | (4,316) | 199,306 | - | 194,990 |
BNK금융지주 | - | - | 18,724 | - | 18,724 | 200,484 | - | 219,208 |
우리금융지주 | - | - | (8,869) | - | (8,869) | 200,994 | - | 192,125 |
소 계 | 18,859,618 | 54,210,115 | (6,704,808) | (4,047,322) | 43,457,985 | 6,996,960 | 2,721,771 | 66,592,792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홍덕산업㈜ | 12,811,532 | 978,195 | (10,740,200) | 9,762,005 | - | - | 12,811,532 | - |
㈜에스비피(*) | - | - | 1 | - | 1 | - | - | 1 |
소 계 | 12,811,532 | 978,195 | (10,740,199) | 9,762,005 | 1 | - | 12,811,532 | 1 |
합 계 | 31,671,150 | 55,188,310 | (17,445,007) | 5,714,683 | 43,457,986 | 6,996,960 | 15,533,303 | 66,592,793 |
(*) 취득시점 이후 지분증권의 미래현금흐름이 불투명하여 취득원가 1,568,050천원 전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②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고려제강㈜ | 17,262,193 | 46,085,995 | 8,335,416 | - | 54,421,411 | - | - | 71,683,604 |
보산철강 | 599,964 | (202,190) | 22,779 | - | (179,411) | - | - | 420,553 |
유시동력 | 299,615 | (130,467) | - | 30,302 | (100,165) | - | 199,450 | - |
공상은행 | 699,232 | (7,881) | (24,251) | - | (32,132) | - | - | 667,100 |
휴릭 | 304,670 | (82,617) | - | 54,851 | (27,766) | - | 276,904 | - |
나브테스코 | 296,548 | (91,271) | - | (47,988) | (139,259) | - | 157,289 | - |
브리즈스콘 | 298,229 | (47,834) | 48,081 | - | 247 | - | - | 298,476 |
소 계 | 19,760,451 | 45,523,735 | 8,382,025 | 37,165 | 53,942,925 | - | 633,643 | 73,069,733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 | ||||||||
홍덕산업㈜ | 12,811,532 | (2,293,948) | 3,272,143 | - | 978,195 | - | - | 13,789,727 |
㈜에스비피(*) | - | - | - | - | - | - | - | - |
KISWIRE CORD SDN.BHD. | 690,430 | 289,002 | - | 64,919 | 353,921 | - | 1,044,351 | - |
소 계 | 13,501,962 | (2,004,946) | 3,272,143 | 64,919 | 1,332,116 | - | 1,044,351 | 13,789,727 |
합 계 | 33,262,413 | 43,518,789 | 11,654,168 | 102,084 | 55,275,041 | - | 1,677,994 | 86,859,460 |
(*) 취득시점 이후 지분증권의 미래현금흐름이 불투명하여 취득원가 1,568,050천원 전액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3) 당기와 전기 중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세부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
(단위: 천원) |
내 역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ACWI | 339,730 | 90,417 | - | (90,417) | - | - | 339,730 | - |
BND | 967,317 | (59,933) | - | 59,933 | - | 31,440 | 998,757 | - |
BNDX | 118,021 | (7,203) | - | 7,203 | - | 9,210 | 127,231 | - |
AGG | 961,351 | (53,510) | - | 53,510 | - | 31,183 | 992,534 | - |
VEU | 184,518 | 24,679 | - | (24,679) | - | - | 184,518 | - |
VOO | 430,521 | 150,712 | - | (150,712) | - | 48,088 | 478,609 | - |
VT | 585,313 | 149,454 | - | (149,454) | - | - | 585,313 | - |
VWO | 20,851 | (1,245) | - | 1,245 | - | - | 20,851 | - |
HYG | 78,315 | 2,711 | - | (2,711) | - | 2,773 | 81,088 | - |
EMLC | 73,682 | (4,224) | - | 4,224 | - | 3,295 | 76,977 | - |
IAU | 49,615 | 16,411 | - | (16,411) | - | 6,103 | 55,718 | - |
SCHP | 90,421 | (1,308) | - | 1,308 | - | 6,482 | 96,903 | - |
VEA | 106,592 | 7,486 | - | (7,486) | - | - | 106,592 | - |
IEF | 102,436 | 1,343 | - | (1,343) | - | 3,669 | 106,105 | - |
QLTA | 113,663 | 2,139 | - | (2,139) | - | - | 113,663 | - |
SPHQ | 39,964 | 5,430 | - | (5,430) | - | - | 39,964 | - |
ETHH.B | 15,677 | (3,676) | - | 3,676 | - | - | 15,677 | - |
BTCC.B | 26,310 | 1,711 | - | (1,711) | - | - | 26,310 | - |
TCK Core Korea | 551,501 | 151,351 | - | (151,351) | - | - | 551,501 | - |
KODEX 200 | - | - | - | - | - | 61,173 | 61,173 | - |
소 계 | 4,855,798 | 472,745 | - | (472,745) | - | 203,416 | 5,059,214 | - |
채무증권 : | ||||||||
미국국채 | 987,353 | (20,707) | 130,807 | - | 110,100 | - | - | 1,097,453 |
TCK 글로벌오토튜니스 | 546,238 | 8,472 | 96,310 | - | 104,782 | 13,190 | - | 664,210 |
소 계 | 1,533,591 | (12,235) | 227,117 | - | 214,882 | 13,190 | - | 1,761,663 |
합 계 | 6,389,389 | 460,510 | 227,117 | (472,745) | 214,882 | 216,606 | 5,059,214 | 1,761,663 |
② 전기
(단위: 천원) |
내 역 | 취득원가 | 미실현손익 | 취득 | 처분 | 기말장부금액 | |||
---|---|---|---|---|---|---|---|---|
기초금액 | 당기평가 | 처분실현 | 당기평가액 | |||||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 | ||||||||
ACWI | 457,564 | 18,427 | 77,020 | (5,030) | 90,417 | 8,706 | 126,539 | 430,148 |
BND | 950,967 | (104,542) | 33,810 | 10,799 | (59,933) | 117,154 | 100,804 | 907,384 |
BNDX | 132,510 | (15,359) | 6,045 | 2,111 | (7,203) | 3,917 | 18,407 | 110,817 |
ISTB | 169,460 | 1,215 | - | (1,215) | - | - | 169,460 | - |
AGG | 944,659 | (98,140) | 34,522 | 10,108 | (53,510) | 116,431 | 99,740 | 907,840 |
VEU | 203,245 | (545) | 25,162 | 62 | 24,679 | 4,529 | 23,255 | 209,198 |
VOO | 519,929 | 37,528 | 120,722 | (7,538) | 150,712 | 16,228 | 105,636 | 581,233 |
VT | 657,589 | 25,527 | 127,613 | (3,686) | 149,454 | 23,509 | 95,784 | 734,768 |
VWO | 21,262 | (2,689) | 1,280 | 164 | (1,245) | 889 | 1,301 | 19,605 |
HYG | 127,022 | (4,411) | 4,599 | 2,523 | 2,711 | 51,429 | 100,136 | 81,026 |
EMLC | 80,058 | (9,279) | 4,097 | 958 | (4,224) | 1,890 | 8,266 | 69,458 |
IAU | 62,287 | 10,875 | 8,286 | (2,750) | 16,411 | 3,408 | 16,080 | 66,026 |
SCHP | 91,244 | (3,690) | 2,152 | 230 | (1,308) | 5,055 | 5,877 | 89,114 |
VEA | 117,511 | (9,112) | 15,381 | 1,217 | 7,486 | 4,762 | 15,684 | 114,075 |
IEF | - | - | 1,343 | - | 1,343 | 102,436 | - | 103,779 |
QLTA | - | - | 2,139 | - | 2,139 | 113,663 | - | 115,802 |
SPHQ | 47,331 | (4,339) | 9,094 | 675 | 5,430 | - | 7,367 | 45,394 |
ETHH.B | 16,233 | (9,845) | 5,831 | 338 | (3,676) | - | 556 | 12,001 |
BTCC.B | 34,168 | (20,094) | 17,184 | 4,621 | 1,711 | - | 7,858 | 28,021 |
TCK Core Korea | 560,520 | 720 | 150,643 | (12) | 151,351 | 31 | 9,050 | 702,852 |
소 계 | 5,193,559 | (187,753) | 646,923 | 13,575 | 472,745 | 574,037 | 911,800 | 5,328,541 |
채무증권 : | ||||||||
미국국채 | - | - | (20,707) | - | (20,707) | 987,353 | - | 966,646 |
TCK 글로벌오토튜니스 | - | - | 8,472 | - | 8,472 | 546,239 | - | 554,711 |
소 계 | - | - | (12,235) | - | (12,235) | 1,533,592 | - | 1,521,357 |
합 계 | 5,193,559 | (187,753) | 634,688 | 13,575 | 460,510 | 2,107,629 | 911,800 | 6,849,898 |
11. 재고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제품 및 상품 | 4,581,708 | 2,849,674 |
제품 및 상품 평가충당금 | (139,600) | (83,377) |
재공품 | 3,949,953 | 2,944,352 |
재공품 평가충당금 | (42,887) | (35,013) |
원재료 | 9,781,755 | 9,872,396 |
원재료 평가충당금 | (129,844) | (54,449) |
저장품 | 296,085 | 192,685 |
미착품 | 1,469,703 | 856,764 |
합 계 | 19,766,873 | 16,543,032 |
(2) 당기 중 비용으로 인식되어 매출원가에 포함된 재고자산의 원가는 52,238,475천원(전기: 43,406,998천원) 입니다.
(3) 당기에 인식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은 139,492천원(전기: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액 46,561천원)입니다.
12. 기타자산 및 기타부채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자산 및 기타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기타자산 | 선급금 | 3,960 | 113,038 |
선급비용 | 70,457 | 63,559 | |
반환제품회수권 | 329,072 | 189,770 | |
합 계 | 403,489 | 366,367 | |
유동성 기타부채 | 선수금 | 298,616 | 731,020 |
예수금 | 53,145 | 54,682 | |
선수수익 | 53,245 | 309,166 | |
리스부채 | 242,210 | 219,108 | |
반품충당부채 | 437,619 | 250,186 | |
합 계 | 1,084,835 | 1,564,162 | |
비유동성 기타부채 | 리스부채 | 1,397,786 | 1,144,302 |
13. 유형자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말 | |||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장부금액 | |
토지 | 19,898,293 | - | - | 19,898,293 |
건물 | 10,916,187 | (5,559,906) | - | 5,356,281 |
구축물 | 5,060,366 | (3,442,289) | (287,930) | 1,330,147 |
기계장치 | 22,684,287 | (20,305,121) | (103,991) | 2,275,175 |
차량운반구 | 205,011 | (179,058) | - | 25,953 |
비품 | 2,646,494 | (2,192,801) | (481) | 453,212 |
공구와기구 | 2,230,916 | (2,153,262) | - | 77,654 |
발전설비 | 28,103,080 | (16,438,204) | - | 11,664,876 |
건설중인자산 | 3,750,510 | - | - | 3,750,510 |
합 계 | 95,495,144 | (50,270,641) | (392,402) | 44,832,101 |
(단위: 천원) |
구분 | 전기말 | |||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정부보조금 | 장부금액 | |
토지 | 19,898,293 | - | - | 19,898,293 |
건물 | 10,916,187 | (5,044,794) | - | 5,871,393 |
구축물 | 5,060,366 | (3,285,481) | (303,084) | 1,471,801 |
기계장치 | 22,055,814 | (19,657,776) | (128,659) | 2,269,379 |
차량운반구 | 221,856 | (183,926) | - | 37,930 |
비품 | 2,595,535 | (1,979,271) | (11,895) | 604,369 |
공구와기구 | 2,241,216 | (2,112,144) | - | 129,072 |
발전설비 | 25,454,880 | (14,651,078) | - | 10,803,802 |
건설중인자산 | 1,935,737 | - | - | 1,935,737 |
합 계 | 90,379,884 | (46,914,470) | (443,638) | 43,021,776 |
(2) 당기 유형자산의 순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발전설비 | 건설중인자산 | 기타유형자산 | 합계 | |
기초금액 | 19,898,293 | 5,871,392 | 1,471,801 | 2,269,379 | 10,803,802 | 1,935,737 | 771,372 | 43,021,776 |
취득 | - | - | - | 121,400 | - | 5,014,399 | 100,190 | 5,235,989 |
처분 | - | - | - | - | - | (44,353) | (259) | (44,612) |
감가상각 등 | - | (515,111) | (156,808) | (647,344) | (1,787,126) | - | (325,898) | (3,432,287) |
대체 | - | - | - | 507,073 | 2,648,200 | (3,155,273) | - | - |
정부보조금 | - | - | 15,154 | 24,667 | - | - | 11,414 | 51,235 |
기말금액 | 19,898,293 | 5,356,281 | 1,330,147 | 2,275,175 | 11,664,876 | 3,750,510 | 556,819 | 44,832,101 |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발전설비 | 건설중인자산 | 기타유형자산 | 합계 | |
기초금액 | 19,898,293 | 6,828,941 | 1,592,063 | 2,658,694 | 10,383,094 | 514,453 | 988,787 | 42,864,325 |
취득 | - | - | - | 72,350 | - | 4,112,381 | 291,789 | 4,476,520 |
처분 | - | (11,314) | - | (575,176) | - | - | (10,257) | (596,747) |
감가상각 등 | - | (548,245) | (159,674) | (580,347) | (1,597,592) | - | (392,066) | (3,277,924) |
대체 | - | - | 23,460 | 649,337 | 2,018,300 | (2,691,097) | - | - |
정부보조금 | - | - | 15,952 | 24,667 | - | - | 21,600 | 62,219 |
매각예정대체 | - | (398,491) | - | (11,030) | - | - | (95,444) | (504,965) |
환산차이 | - | 501 | - | 30,884 | - | - | (33,037) | (1,652) |
기말금액 | 19,898,293 | 5,871,392 | 1,471,801 | 2,269,379 | 10,803,802 | 1,935,737 | 771,372 | 43,021,776 |
(3)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중 3,172백만원은 제조원가, 208백만원은 판매비와관리비로 계상 되었습니다 (전기: 제조원가 2,916백만원, 판매비와관리비 223백만원 그리고 중단사업손익 77백만원). (4) 당사의 유형자산 중 일부 토지, 건물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금융기관 등에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 30 참고). (5) 상기 유형자산에 대하여 삼성화재해상보험㈜등에 종합재산보험 등이 가입되어 있습니다. (6) 당기 및 전기 중 적격자산과 관련하여 자본화된 차입원가는 없습니다.
14. 무형자산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무형자산 장부금액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
---|---|---|---|---|
회원권 | 28,350 | - | - | 28,350 |
합 계 | 28,350 | - | - | 28,350 |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손상차손누계액 | 장부금액 |
---|---|---|---|---|
기타의무형자산 | 43,633 | (43,633) | - | - |
회원권 | 28,350 | - | - | 28,350 |
합 계 | 71,983 | (43,633) | - | 28,350 |
(2) 당기와 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
---|---|---|
회원권 | 합계 | |
기초금액 | 28,350 | 28,350 |
기말금액 | 28,350 | 28,350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기타의무형자산 | 회원권 | 합계 | |
기초금액 | 6,788 | 28,350 | 35,138 |
무형자산상각비(*1) | (2,466) | - | (2,466) |
매각예정대체 | (4,383) | - | (4,383) |
환산차이 | 61 | - | 61 |
기말금액 | - | 28,350 | 28,350 |
(*1) 전기 무형자산상각비는 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비한정 내용연수를 가진 무형자산인 회원권에 대하여 매 보고기간말 손상징후가 발생하였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당기 및 전기 중 인식한 손상차손은 없습니다.
15. 투자부동산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상각누계액 | 장부금액 | |
토지 | 15,374,840 | - | 15,374,840 | 15,374,840 | - | 15,374,840 |
건물 | 3,963,043 | (1,875,502) | 2,087,541 | 3,963,043 | (1,742,428) | 2,220,615 |
합 계 | 19,337,883 | (1,875,502) | 17,462,381 | 19,337,883 | (1,742,428) | 17,595,455 |
(2) 당기와 전기 중 투자부동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
토지 | 건물 | 합계 | 토지 | 건물 | 합계 | |
기초금액 | 15,374,840 | 2,220,615 | 17,595,455 | 15,374,840 | 2,353,690 | 17,728,530 |
감가상각비 | - | (133,074) | (133,074) | - | (133,075) | (133,075) |
기말금액 | 15,374,840 | 2,087,541 | 17,462,381 | 15,374,840 | 2,220,615 | 17,595,455 |
(3) 당기 중 당사의 투자부동산과 관련하여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임대수익은 759,114 천원이며, 감가상각비를 포함한 임대비용은 614,419 천원입니다(전기: 임대수익 730,164 천원, 임대비용 616,666 천원). (4) 당사는 보유중인 투자부동산에 대하여 운용리스를 제공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동 운용자산의 장부가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투자부동산 | 17,462,381 | 17,595,455 |
(5) 당기와 전기 투자부동산에 대한 운용리스계약으로 당사가 받게 될 것으로 기대 되는 미래 최소 리스료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기 | 전기 |
---|---|---|
1년 이내 | 585,724 | 585,858 |
1년 초과 2년 이내 | 88,959 | 306,960 |
합계 | 674,683 | 892,818 |
(6) 당기말 현재 당사의 토지와 건물에 대하여 50,000천원의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습니다(주석 30 참고). (7) 당사는 당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16. 리스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용권자산 장부금액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사용권자산-차량 | 48,264 | 32,535 |
사용권자산-건물 | 29,854 | 63,853 |
사용권자산-태양광 | 1,416,747 | 1,175,017 |
합 계 | 1,494,865 | 1,271,405 |
당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총 555,618천원(전기: 86,048천원)입니다.
(2) 당기와 전기 중 리스와 관련하여 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주1) | 171,139 | 164,867 |
단기리스임차료 | - | 17,403 |
소액자산리스료 | 4,547 | 3,087 |
사용권자산 감가상각비 | 286,004 | 264,579 |
합 계 | 461,690 | 449,936 |
(주1) 당기 신규 리스부채의 취득시 측정에 사용된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은 4.77% ~ 8.36%입니다.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리스부채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유동 | 242,210 | 219,108 |
비유동 | 1,397,786 | 1,144,302 |
합계 | 1,639,996 | 1,363,410 |
(4) 당기와 전기 중 리스로 인한 총 현금유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리스의 총 현금유출 | 411,020 | 389,503 |
17.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유동성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
매입채무 | 1,340,797 | 1,620,758 |
미지급금 | 924,583 | 1,180,214 |
미지급비용 | 1,556,630 | 1,873,969 |
임대보증금 | 900,000 | 573,000 |
합 계 | 4,722,010 | 5,247,941 |
비유동성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 ||
임대보증금 | 203,000 | 530,000 |
장기미지급비용 | 24,304 | 40,331 |
합 계 | 227,304 | 570,331 |
18. 차입금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단기차입금 | 6,703,688 | 6,769,857 |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단기차입금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차입금 종류 | 차입처 | 최장만기일 | 이자율 | 당기말 | 전기말 | 상환방법 |
---|---|---|---|---|---|---|
중소기업자금대출(*1) | 기업은행 | 2025-12-11 | 3.55% | 6,000,000 | 6,000,000 | 만기일시상환 |
무역어음대출 | 기업은행 | 2025-05-31 | 0.40% | 50,916 | 115,980 | 만기일시상환 |
KEB하나은행 | 2025-05-13 | 6.38% | 652,772 | 645,985 | 만기일시상환 | |
담보부 차입(*2) | 기업은행 | - | - | - | 7,892 | 만기일시상환 |
합 계 | 6,703,688 | 6,769,857 |
(*1) 당사의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2) 당사는 외화매출채권을 금융기관 등에 매각하였으며, 이중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가 은행에 해당 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는 소구권이 있는 거래에 대해서는 담보부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 6,9 참조).
19. 종업원급여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3,334,776 | 3,455,990 |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1,538,304) | (1,700,545) |
순확정급여부채 | 1,796,472 | 1,755,445 |
(2) 당기 및 전기 중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기초금액 | 3,455,990 | 3,060,597 |
당기근무원가 | 619,027 | 534,997 |
이자비용 | 138,898 | 150,511 |
재측정요소: | ||
- 인구통계적가정의 변동 | - | (429) |
- 재무적가정의 변동 | 87,624 | 299,328 |
- 경험적조정으로 인한 변동 | (88,672) | 119,698 |
제도에서의 지급액: | ||
- 급여의 지급 | (878,091) | (565,355) |
- 중간/중도인출로 인한 지급 | - | (143,357) |
보고기간종료일 금액 | 3,334,776 | 3,455,990 |
(3) 당기 및 전기 중 사외적립자산 공정가치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기초금액 | 1,700,545 | 1,308,051 |
이자수익 | 64,970 | 59,598 |
재측정요소: | ||
- 사외적립자산의 수익(이자수익에 포함된 금액 제외) | (15,820) | (14,236) |
기여금: | ||
- 사용자 | 300,000 | 600,000 |
제도에서의 지급: | ||
- 급여의 지급 | (511,391) | (252,868) |
보고기간종료일 금액 | 1,538,304 | 1,700,545 |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할인율 | 3.67 | 4.32 |
미래임금상승률 | 3.74 | 3.78 |
(5)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 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
구 분 | 주요 가정의 변동 | 부채의 변동 |
---|---|---|
할인율 | 1%P 증가/감소 | 4.1%감소/4.5%증가 |
임금상승률 | 1%P 증가/감소 | 4.5%증가/4.2% 감소 |
<전기> |
구 분 | 주요 가정의 변동 | 부채의 변동 |
---|---|---|
할인율 | 1%P 증가/감소 | 4.8%감소/5.3%증가 |
임금상승률 | 1%P 증가/감소 | 5.4%증가/5% 감소 |
할인율인 우량채 수익률의 하락은 제도가 보유하고 있는 채무증권의 가치를 일부 증가시켜 상쇄효과가 있으나, 확정급여부채의 증가를 통해 가장 유의적인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되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여러 가정이 서로 관련되어 변동됩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 민감도분석에 사용된 방법 및 가정은 당기와 전기 동일합니다.
(6)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외적립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채무상품 | 1,536,717 | 1,699,973 |
기타 | 1,587 | 572 |
합 계 | 1,538,304 | 1,700,545 |
(7) 당기말 현재 할인되지 않은 연금 급여지급액의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미만 | 1년~2년미만 | 2~5년미만 | 5년이상 | 합계 |
---|---|---|---|---|---|
급여지급액 | 484,113 | 678,277 | 2,036,972 | 5,217,778 | 8,417,140 |
<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미만 | 1년~2년미만 | 2~5년미만 | 5년이상 | 합계 |
---|---|---|---|---|---|
급여지급액 | 448,847 | 589,122 | 1,276,962 | 2,118,075 | 4,433,006 |
19.2 기타장단기종업원급여부채 단기종업원급여부채는 연차유급휴가제도에 따라 당기 제공받은 근무용역에 대해 인식한 금액과 장기근속종업원에게 근속기간에 따라 지급하는 장기유급휴가 중 보고기간말 후 12개월이 되기 전에 결제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단기종업원급여부채 | 206,250 | 153,43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 24,304 | 40,331 |
합 계 | 230,554 | 193,769 |
20. 법인세비용
(1) 당기와 전기 중 법인세비용의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당기법인세 | ||
당기 법인세부담액 | 910,912 | 451,650 |
자본에 직접 반영된 법인세효과 | 3,649,095 | (2,322,898) |
이연법인세: | ||
당기 일시적차이의 변동으로 인한 변동 | (2,639,767) | 2,088,124 |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계속영업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중단영업 법인세비용 | - | - |
(2) 당기와 전기 중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과 법인세비용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이익 | 8,835,134 | 5,350,346 |
가중평균세율로 계산된 법인세 | 1,824,543 | 1,096,222 |
법인세효과 | ||
전기 법인세의 조정사항 | 380,005 | (380,624) |
세무상 과세되지 않는 수익 | (83,351) | (76,857) |
세무상 차감되지 않는 비용 | 3,022 | 389,057 |
세액공제 및 공제감면세액 | (61,282) | (229,949) |
기타 | (142,697) | (580,973) |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계속영업 법인세비용(수익) | 1,920,240 | 216,876 |
중단영업 법인세비용 | - | - |
유효법인세율 | ||
계속영업 유효법인세율 | 21.73% | 4.05% |
중단영업 유효법인세율(*1) | - | - |
(*1) 전기에는 법인세수익이 발생하여 유효세율을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3) 당기 와 전기 중 자본에 직접 반영되는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
반영 전 | 법인세효과 | 반영 후 | 반영 전 | 법인세효과 | 반영 후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17,445,009) | 3,646,008 | (13,799,001) | 11,756,250 | (2,413,537) | 9,342,713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4,773) | 3,087 | (11,686) | (432,835) | 90,639 | (342,196) |
합 계 | (17,459,782) | 3,649,095 | (13,810,687) | 11,323,415 | (2,322,898) | 9,000,517 |
(4) 당기와 전기 중 동일 과세당국과 관련된 금액을 상계하기 이전 이연법인세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증가(감소) | 기 말 | |
---|---|---|---|---|
당기손익 | 기타포괄손익 | |||
유형자산 | (4,163,157) | 119,103 | - | (4,044,054) |
국고보조금 | 92,721 | (10,708) | - | 82,013 |
대손충당금 | - | 35,441 | - | 35,441 |
의제배당 | 157,259 | (10,243) | - | 147,016 |
기타금융자산 | (13,368,872) | 930,020 | 3,646,008 | (8,792,844) |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36,123 | 29,154 | - | 65,277 |
주식배당 | 116,193 | (7,568) | - | 108,625 |
종속기업투자 | 2,102,956 | (2,102,956) | - | - |
퇴직급여충당부채 | 722,301 | (28,422) | 3,087 | 696,966 |
압축기장충당금 | (17,570) | - | - | (17,570) |
사용권자산 | (265,723) | (46,703) | - | (312,426) |
리스부채 | 284,952 | 57,807 | - | 342,759 |
기타 | (96,089) | 55,599 | - | (40,490) |
이월결손금 | 105,408 | (105,408) | - | - |
세액공제 | 170,695 | (29,855) | - | 140,840 |
소 계 | (14,122,803) | (1,114,739) | 3,649,095 | (11,588,447) |
미인식 이월결손금 | (105,408) | 105,408 | - | - |
이연법인세자산(부채) 순액 | (14,228,211) | (1,009,331) | 3,649,095 | (11,588,447)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증가(감소) | 기 말 | |
---|---|---|---|---|
당기손익 | 기타포괄손익 | |||
유형자산 | (4,264,179) | 101,022 | - | (4,163,157) |
국고보조금 | 93,411 | (690) | - | 92,721 |
대손충당금 | 344,036 | (344,036) | - | - |
의제배당 | 128,817 | 28,442 | - | 157,259 |
기타금융자산 | (10,786,138) | (169,197) | (2,413,537) | (13,368,872) |
재고자산평가충당금 | 46,074 | (9,951) | - | 36,123 |
주식배당 | 116,749 | (556) | - | 116,193 |
종속기업투자 | 2,008,345 | 94,610 | - | 2,102,955 |
퇴직급여충당부채 | 642,725 | (11,063) | 90,639 | 722,301 |
압축기장충당금 | (17,653) | 84 | - | (17,569) |
외상매출금 | (403,493) | 403,493 | - | - |
재고자산 | (20,798) | 20,798 | - | - |
사용권자산 | (304,404) | 38,681 | - | (265,723) |
리스부채 | 311,034 | (26,082) | - | 284,952 |
기타 | (34,616) | (61,475) | - | (96,091) |
이월결손금 | 251,650 | (146,242) | - | 105,408 |
세액공제 | 739,870 | (569,175) | - | 170,695 |
소 계 | (11,148,570) | (651,337) | (2,322,898) | (14,122,805) |
미인식 이연법인세자산 | - | - | - | - |
미인식 이월결손금 | (251,650) | 146,242 | - | (105,408) |
미인식 세액공제 | (739,870) | 739,870 | - | - |
이연법인세자산(부채) 순액 | (12,140,090) | 234,775 | (2,322,898) | (14,228,213) |
(5)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이연법인세자산(부채)로 인식하지 않은 차감(가산)할 일시적차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사 유 |
---|---|---|---|
이월결손금 | - | 105,408 | 미래과세소득의 불확실 |
21. 자본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 자본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수권주식수 | 1주당 금액 | 발행주식수 | 보통주자본금 |
---|---|---|---|---|
당기말 | 100,000,000 주 | 500 원 | 13,259,110 주 | 6,629,555 천원 |
전기말 | 100,000,000 주 | 500 원 | 13,259,110 주 | 6,629,555 천원 |
(2) 당기 중 자본금의 변동은 없습니다.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 자본잉여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주식발행초과금 | 51,127,206 | 51,127,206 |
기타자본잉여금 | 6,175,467 | 6,175,467 |
합 계 | 57,302,673 | 57,302,673 |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 이익잉여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법정적립금(*1) | 3,541,667 | 3,541,667 |
임의적립금 | 7,139,520 | 7,139,520 |
미처분이익잉여금 | 42,945,207 | 40,099,948 |
합 계 | 53,626,394 | 50,781,135 |
(*1) 당사는 대한민국에서 제정되어 시행 중인 상법의 규정에 따라, 자본금의 50%에달할 때까지 매 결산기마다 현금에 의한 이익배당금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하고 있습니다. 동 이익준비금은 현금으로 배당할 수 없으나 자본전입 또는결손보전이 가능하며,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습니다.
(5)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당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5년 3월 28일에 확정될 예정입니다(전기 처분 확정일: 2024년 3월 28일).
(단위: 원) |
과 목 | 제 33 기 | 제 32 기 | ||
I. 미처분 이익잉여금 | 42,945,207,078 | 40,099,948,250 | ||
전기이월이익잉여금 | 38,699,948,250 | 37,984,301,025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대체 | (4,520,314,590) | 86,729,542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11,685,104) | (342,195,535) | ||
당기순이익 | 8,777,258,522 | 2,371,113,218 | ||
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2,630,000,000 | 1,400,000,000 | ||
이익준비금 | - | - | ||
배당금 (현금배당주당배당금(률): 보통주: 당기 198원(40%) 전기 106원(21%) | 2,630,000,000 | 1,400,000,000 | ||
III.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 40,315,207,078 | 38,699,948,250 |
(6)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34,357,140 | 43,635,826 |
해외사업환산대차 | - | 26,252 |
합 계 | 34,357,140 | 43,662,078 |
2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수익정보 구분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리드와이어 | 전력 | 기 타 | 합 계 |
---|---|---|---|---|
재화 또는 용역의 유형 | ||||
제품매출 | 61,701,507 | - | - | 61,701,507 |
상품매출 | 158,715 | - | - | 158,715 |
전력매출 | - | 4,405,148 | - | 4,405,148 |
운송매출 | 1,045,590 | - | - | 1,045,590 |
임대매출 | - | - | 759,115 | 759,115 |
기타매출 | - | - | 884,685 | 884,685 |
합 계 | 62,905,812 | 4,405,148 | 1,643,800 | 68,954,760 |
재화나 용역의 이전시기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 | 61,860,222 | 4,405,148 | 382,654 | 66,648,024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용역 | 1,045,590 | - | 1,261,145 | 2,306,735 |
합 계 | 62,905,812 | 4,405,148 | 1,643,799 | 68,954,759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 | |||
---|---|---|---|---|
리드와이어 | 전력매출 | 기 타 | 합 계 | |
재화 또는 용역의 유형 | ||||
제품매출 | 49,244,299 | - | - | 49,244,299 |
상품매출 | 376,050 | - | - | 376,050 |
전력매출 | - | 4,439,935 | - | 4,439,935 |
운송매출 | 386,825 | - | - | 386,825 |
임대매출 | - | - | 730,164 | 730,164 |
기타매출 | - | - | 758,769 | 758,769 |
합 계 | 50,007,174 | 4,439,935 | 1,488,933 | 55,936,042 |
재화나 용역의 이전시기 | ||||
한 시점에 이전하는 재화 | 49,620,349 | 4,439,935 | 265,566 | 54,325,850 |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 용역 | 386,825 | - | 1,223,367 | 1,610,192 |
합 계 | 50,007,174 | 4,439,935 | 1,488,933 | 55,936,042 |
(2) 계약잔액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수취채권 및 계약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계정과목 | 당기말 | 전기말 |
---|---|---|---|
수취채권 | 매출채권 | 10,571,028 | 9,320,919 |
계약부채 | 선수수익 | 53,245 | 309,166 |
계약부채 | 선수금 | 298,615 | 731,020 |
매출채권은 무이자 조건이며 당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기대신용손실에 따라 인식한 충당금은 278,658천원입니다(주석9참조).
(3) 수행의무 1) 제품 및 상품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재화를 이전할 때 이행됩니다. 2) 전력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전력을 발생시키거나 REC를 발급할 때 이행됩니다. 3) 운송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운송용역이 제공될 때 이행됩니다. 4) 임대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고객과의 계약을 통해 임대용역이 제공될 때 이행됩니다. 5) 기타매출 해당 수행의무는 재화를 이전하거나, 용역이 제공될 때 이행됩니다. (4) 매출원가 당기와 전기 중 매출원가의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제품 및 상품 매출원가 | 52,238,475 | 43,406,998 |
전력매출원가 | 2,543,003 | 2,049,657 |
운송매출원가 | 1,045,590 | 386,825 |
임대매출원가 | 614,420 | 616,666 |
합 계 | 56,441,488 | 46,460,146 |
23.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기와 전기 중 발생한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재고자산의 변동 | (3,223,841) | (687,529) |
원재료 구매액 | 40,346,291 | 31,312,407 |
종업원급여 | 6,986,970 | 6,289,168 |
감가상각비 | 3,800,130 | 3,622,250 |
수출비용 | 1,650,795 | 1,316,013 |
수선비 | 937,292 | 580,006 |
소모품비 | 1,604,827 | 1,400,428 |
기타 비용 | 10,951,550 | 8,370,456 |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의 합계 | 63,054,014 | 52,203,199 |
24. 판매비와관리비 당기와 전기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급여 | 2,006,385 | 2,013,791 |
퇴직급여 | 469,719 | 175,776 |
복리후생비 | 251,876 | 234,318 |
운반비 | 72,289 | 64,581 |
여비교통비 | 30,391 | 51,292 |
감가상각비 | 268,706 | 476,818 |
지급수수료 | 1,042,889 | 811,439 |
세금과공과 | 54,004 | 52,180 |
접대비 | 60,345 | 54,920 |
광고선전비 | 13,849 | 33,155 |
보험료 | 646 | 1,142 |
소모품비 | 29,348 | 2,877 |
경상연구개발비 | 323,165 | 292,308 |
수출비용 | 1,650,795 | 1,316,013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도서인쇄비 | 11,539 | 15,288 |
수선비 | 5,629 | 7,850 |
교육훈련비 | 7,086 | 5,476 |
차량유지비 | 18,160 | 102,753 |
지급임차료 | - | 16,000 |
통신비 | 23,108 | 24,770 |
잡비 | 795 | 388 |
합 계 | 6,612,526 | 5,743,053 |
25. 기타영업외수익 및 기타영업외비용 (1) 당기와 전기 중 기타영업외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유형자산처분이익 | 8,193 | - |
잡이익 | 91,022 | 73,520 |
합 계 | 99,215 | 73,520 |
(2) 당기와 전기 중 기타영업외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유형자산처분손실 | 44,607 | 20 |
기부금 | 1,216 | 14,771 |
잡손실 | 7,058 | 26,897 |
합 계 | 52,881 | 41,688 |
26.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1) 당기와 전기 중 금융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이자수익 | 464,455 | 214,537 |
배당금수익 | 1,430,424 | 1,322,174 |
외환차익 | 1,385,433 | 906,151 |
외화환산이익 | 390,029 | 10,684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250,164 | 77,993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227,117 | 634,688 |
합 계 | 4,147,622 | 3,166,227 |
(2) 당기와 전기 중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이자비용 | 455,971 | 470,819 |
외환차손 | 768,552 | 717,921 |
외화환산손실 | 35,014 | 153,296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31 | 21,644 |
합 계 | 1,259,568 | 1,363,680 |
27. 주당이익(손실)
1) 기본주당이익(손실)은 당사의 보통주 당기순이익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로 나누어 산정하였습니다.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기본주당순이익(손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
구 분 | 당기 | 전기 | ||||
---|---|---|---|---|---|---|
계속영업 | 중단영업 | 합계 | 계속영업 | 중단영업 | 합계 | |
당사 소유지분 보통주 당기순이익(손실) | 6,914,894,248 | 1,862,364,274 | 8,777,258,522 | 5,350,346,295 | (2,979,233,077) | 2,371,113,218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13,259,110 |
기본주당이익 | 522 | 140 | 662 | 404 | (225) | 179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
(단위: 주) |
구 분 | 당기 | 전기 |
---|---|---|
발행주식수 | 13,259,110 | 13,259,110 |
차감 : 가중평균자기주식수 | - |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3,259,110 | 13,259,110 |
2) 당기 및 전기 중 잠재적보통주가 없으므로 희석주당이익(손실)은 기본주당이익(손실)과 동일합니다.
28. 배당금 산출 내역
당기에 지급된 배당금은 1,400,000천원(주당 106원)이며, 전기에 지급된 배당금은 1,988,867천원(액면분할 전 기준 주당 1,500원)입니다. 2024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주당 배당금 및 총 배당금은 각각 198원과 2,630,000천원 이며, 2025년 3월 28일로 예정된 정기주주총회에 의안으로 상정될 예정입니다. 당기의 재무제표는 이러한 미지급배당금을 반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29.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1) 당기와 전기 중 당사의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당기순이익 | 8,777,259 | 2,371,113 |
조정항목: | ||
퇴직급여 | 692,954 | 739,839 |
감가상각비 | 3,514,127 | 3,355,673 |
사용권자산감가상각비 | 286,004 | 266,578 |
유형자산처분손실 | 44,607 | 493,794 |
외화환산손실 | 35,014 | 153,296 |
대손상각비(환입) | 271,802 | (10,082)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39,492 | (46,561)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이익 | (250,164) | (77,993)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 (227,117) | (634,688) |
유형자산처분이익 | (8,193) | - |
이자수익 | (464,455) | (215,623) |
이자비용 | 455,971 | 470,818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처분손실 | 31 | 21,644 |
법인세비용 | 1,920,239 | 216,876 |
배당금수익 | (1,430,424) | (1,322,174) |
외화환산이익 | (390,029) | (10,684) |
종속기업처분이익 | (1,862,364) | - |
기타 | (125,488) | 2,919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
매출채권의 증감 | (1,138,813) | 2,707,276 |
미수금의 증감 | (40,723) | 200,032 |
선급금의 증감 | 109,077 | 196,122 |
선급비용의 증감 | (6,897) | (23,822) |
재고자산의 증감 | (3,363,333) | 789,473 |
매입채무의 증감 | (279,961) | 427,457 |
미지급금의 증감 | (41,604) | (69,596) |
미지급비용의 증감 | 26,171 | 138,847 |
예수금의 증감 | (1,538) | (18,752) |
선수금의 증감 | (432,405) | 184,522 |
선수수익의 증감 | 20,454 | 281,526 |
퇴직금의 지급 | (366,700) | (708,712) |
사외적립자산의 납임 | (300,000) | (347,132) |
반환제품회수권의 증감 | (139,302) | 67,930 |
반품충당부채의 증감 | 187,434 | (93,120)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5,611,126 | 9,506,796 |
(2) 당기와 전기 중 현금의 유입ㆍ유출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건설중인자산의 본계정 대체 | 3,155,273 | 2,691,097 |
유형자산 취득 관련 미지급금의 변동 | 214,027 | 245,145 |
(3) 당기 및 전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재무활동현금흐름 | 환율변동 등 | 신 규 | 기 말 |
---|---|---|---|---|---|
단기차입금 | 6,769,857 | (101,107) | 34,938 | - | 6,703,688 |
리스부채 | 1,363,410 | (406,473) | 127,441 | 555,618 | 1,639,996 |
합 계 | 8,133,267 | (507,580) | 162,379 | 555,618 | 8,343,684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 초 | 재무활동현금흐름 | 환율변동 등 | 신 규 | 기 말 |
---|---|---|---|---|---|
단기차입금 | 6,997,653 | (225,215) | (2,581) | - | 6,769,857 |
리스부채 | 1,481,116 | (204,145) | - | 86,439 | 1,363,410 |
합 계 | 8,478,769 | (429,360) | (2,581) | 86,439 | 8,133,267 |
30. 우발사항 및 약정사항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이 금융기관과 체결 중인 차입 약정사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금융기관 | 구 분 | 한 도 액 | 실 행 액 |
---|---|---|---|
기업은행 | 무역어음대출 | 3,000,000 | 50,916 |
중소기업자금대출 | 6,000,000 | 6,000,000 | |
KEB하나은행 | 무역어음대출 | 3,675,000 | 652,772 |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의 차입금과 관련하여 제공한 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USD) |
구 분 | 담보설정액 | 채무내용 | 채권자 | |
---|---|---|---|---|
당기말 | 전기말 | |||
토지, 건물 | 11,040,000 | 22,922,150 | 차입금담보 | 기업은행 |
- | USD 150,000 |
(3) 당사의 토지와 건물에 대하여 50,000천원의 전세권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4)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사용이 제한된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은행명 | 당기말 | 전기말 |
---|---|---|---|
장기금융상품 | 기업은행 | 2,000 | 2,000 |
(5) 당기말 현재 당사가 제3자로부터 제공받고 있는 지급보증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제공자 | 보증내용 | 금액 |
---|---|---|
서울보증보험 | 계약이행보증 | 101,670 |
대표이사 | 연대보증 | 2,400,000 |
31. 특수관계자 (1)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현재 당사와 거래가 있는 주요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당기말 | 전기말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홍덕산업㈜ |
키스와이어홀딩스㈜ | 키스와이어홀딩스㈜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고려제강㈜ |
고려강선㈜ | 고려강선㈜ | |
KAT㈜ | KAT㈜ | |
홍덕섬유㈜ | - | |
서울청과㈜ | 서울청과㈜ | |
케이랩㈜ | 케이랩㈜ |
(2) 당기와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매출ㆍ매입 등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사용권자산의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67,856 | 117,498 | 7,844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3,461 | 20,004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56,255 | 133,194 | 96,094 | 1,235,924 |
고려강선㈜ | - | - | 100,218 | 258,457 | - | |
KAT㈜ | - | - | 5,712 | 47,527 | - | |
홍덕섬유㈜ | - | - | 1,206 | 32,247 | - | |
서울청과㈜ | - | - | 1,658 | - | - | |
합 계 | - | 124,111 | 362,947 | 462,173 | 1,353,214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유형자산 의 취득 | 사용권자산의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3,516 | 412,754 | 71,285 | 52,650 | -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305 | - | -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 | 123,867 | - | 46,895 | 974,589 |
고려강선㈜ | - | - | 45,716 | 38,610 | 29,335 | - | |
KAT㈜ | - | - | 1,305 | - | - | - | |
서울청과㈜ | - | - | 1,423 | - | - | - | |
합 계 | 3,516 | 412,754 | 244,901 | 91,260 | 76,230 | 1,091,879 |
(3)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특수관계자와의 채권ㆍ채무의 주요 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채 무 | |
---|---|---|---|
매입채무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448,326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29,191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4,400 | 518,939 |
고려강선㈜ | - | 536,968 | |
KAT㈜ | - | 56,186 | |
홍덕섬유㈜ | - | 32,287 | |
서울청과㈜ | - | 12,976 | |
합 계 | 4,400 | 1,634,873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1)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3,867 | - | 502,792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10,782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3,135 | 472,223 |
고려강선㈜ | - | - | 329,945 | |
KAT㈜ | - | - | 10,782 | |
서울청과㈜ | - | - | 13,241 | |
합 계 | 3,867 | 3,135 | 1,339,765 |
(*1) 기타채무에는 리스부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 당기 및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현금배당 | 리스부채 | ||
---|---|---|---|---|---|
수취 | 지급 | 증가 | 상환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117,290 | 334,410 | 7,844 | 62,31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99,307 | 20,004 | 1,595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1,235,924 | 91,452 | 96,094 | 62,067 |
고려강선㈜ | - | - | 258,457 | 51,280 | |
KAT㈜ | - | - | 47,527 | 2,123 | |
홍덕섬유㈜ | - | - | 32,247 | 265 | |
서울청과㈜ | - | - | - | 265 | |
주요경영진 등 | - | 841,522 | - | -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현금배당 | 리스부채 | ||
---|---|---|---|---|---|
수취 | 지급 | 증가 | 상환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117,290 | 475,070 | - | 55,633 |
키스와이어홀딩스(주) | - | 141,078 | - | 1,185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주) | 974,589 | 129,918 | 46,895 | 53,383 |
고려강선㈜ | - | - | 29,335 | 42,060 | |
KAT㈜ | - | - | - | 1,185 | |
서울청과㈜ | - | - | - | 234 | |
주요경영진 등 | - | 1,195,482 | - | - |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 경영진은 이사(등기 및 비등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서비스의 대가로서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되었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단기급여 | 747,242 | 919,590 |
장기급여 | 139,842 | 118,036 |
합 계 | 887,084 | 1,037,626 |
(6) 당기 및 전기 중 특수관계자에게 제공받는 보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제공자 | 보증내용 | 금액 | |
---|---|---|---|
당기말 | 전기말 | ||
대표이사 | 연대보증 | 2,400,000 | - |
32. 부문별 정보
당사의 보고부문은 서로 다른 제품과 용역을 제공하는 전략적 사업단위입니다. 각 사업은 서로 다른 기술과 마케팅전략을 요구하기 때문에 별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각 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 | 주요 품목 |
---|---|
와이어부문 | 리드와이어 등 |
전력부문 | SMP, REC 매출 |
기타부문 | 임대수익 등 |
(1) 당기 및 전기 중 부문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
(단위: 천원) |
구 분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총부문수익 | 62,905,812 | 4,405,148 | 1,643,799 | 68,954,759 |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 3,466,770 | 242,770 | 90,591 | 3,800,131 |
영업이익 | 3,589,294 | 1,439,706 | 871,745 | 5,900,745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총부문수익 | 50,007,174 | 4,439,935 | 1,488,933 | 55,936,042 |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 3,167,962 | 281,271 | 94,324 | 3,543,557 |
영업이익 | 1,079,025 | 1,934,422 | 719,396 | 3,732,843 |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부문자산 및 부문부채에 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천원) |
부 문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자산 | 145,344,423 | 17,083,490 | 17,462,381 | 179,890,294 |
부채 | 25,306,602 | 1,564,930 | 1,103,000 | 27,974,532 |
<전기말>
(단위: 천원) |
부 문 | 와이어부문 | 전력부문 | 기타부문 | 합계 |
---|---|---|---|---|
자산 | 159,853,970 | 12,496,202 | 17,595,455 | 189,945,627 |
부채 | 29,185,499 | 1,281,687 | 1,103,000 | 31,570,186 |
(3) 당기 및 전기 중 지역별 계속영업 관련 수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국내매출 | 12,885,548 | 13,104,299 |
해외매출 | 56,069,212 | 42,831,743 |
합 계 | 68,954,760 | 55,936,042 |
(4) 당기 및 전기 중 당사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A사 | 8,768,810 | 5,803,536 |
B사 | 7,006,444 | 4,622,633 |
합 계 | 15,775,254 | 10,426,169 |
33.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 2023년 7월 26일 당사는 이사회 승인에 의하여 종속기업인 고려전공유한공사를 매각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고려전공유한공사와 관련된 자산을 매각예정으로표시하였습니다. 당기 중 고려전공유한공사와 관련된 자산을 모두 매각하였습니다. 한편, 관련된 영업에 대한 손익은 중단영업으로 표시하였으며, 비교표시된 전기 포괄손익계산서는 재작성되었습니다. (1) 전기말 현재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기말 |
---|---|
유형자산 | 504,965 |
사용권자산 | 80,446 |
합 계 | 585,411 |
(2) 당기와 전기의 중단영업손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Ⅰ. 매출액 | - | 1,753,015 |
Ⅱ. 매출원가 | - | 2,281,512 |
Ⅲ. 매출총이익 | - | (528,497) |
Ⅳ. 판매비와관리비 | - | 1,741,893 |
Ⅴ. 영업이익 | - | (2,270,390) |
기타영업외수익 | 1,862,364 | 28,279 |
기타영업외비용 | - | 706,723 |
금융수익 | - | 4,225 |
금융비용 | - | 34,624 |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862,364 | (2,979,233) |
법인세비용 | - | - |
Ⅶ. 당기순이익 | 1,862,364 | (2,979,233) |
(3) 당기와 전기의 중단영업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 | 전기 |
---|---|---|
영업현금흐름 | - | (294,316) |
투자현금흐름 | 1,903,811 | 119,166 |
재무현금흐름 | - | - |
총 현금흐름 | 1,903,811 | (175,150) |
[주당액면가액 : 500원] | (단위 : 원, 주, %) |
구 분 | 2021년도 (제30기) | 2022년 (제31기) | 2023년 (제32기) | 2024년 (제33기) | |
주당액면가액(원) | 5,000 | 5,000 | 500 | 500 | |
당기순이익(원) | 16,168,186,224 | 7,833,270,510 | 2,371,113,218 | 8,777,258,522 | |
발행주식수 | 1,325,911 | 1,325,911 | 13,259,110 | 13,259,110 | |
주당순이익(원) | 12,194 | 5,908 | 179 | 662 | |
현금배당금총액(원) | 6,629,555,000 | 13,259,110,000 | 1,988,866,500 | 1,400,000,000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 |
현금배당성향(%) | 41.00% | 169.27% | 83.88% | 15.95% | |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5,000 | 10,000 | 150 | 106 |
우선주 | - |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 | - |
우선주 | - | - | - | - |
주1) 당사는 2023년 03월 30일 액면가액 5,000원을 500원으로 하는 액면분할을 실시하였습니다. |
주2) 현금배당금총액은 당해연도 실제 지급된 배당금을 기재하였습니다. |
주3) 현금배당성향은 당해연도 실제 지급된 배당금에서 당기순이익을 나눈 값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가. 지분증권의 발행 등에 관한 사항
(단위 : 주, 천원) |
주식발행 (감소)일자 | 발행(감소) 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종류 | 주식수량 | 주당액면가액 | 주당 발행(감소)가액 | 비고 | ||
1992-11-27 | 설립 | 보통주 | 100,000 | 5,000 | 5,000 | 설립 자본 |
1992-12-30 | 유상증자 | 보통주 | 100,000 | 5,000 | 5,000 | 주주배정 유상증자 |
1994-03-22 | 유상증자 | 보통주 | 400,000 | 5,000 | 5,000 | 주주배정 유상증자 |
1995-07-26 | 유상증자 | 보통주 | 900,000 | 5,000 | 5,000 | 주주배정 유상증자 후 실권주 3자배정 |
1998-04-09 | 유상증자 | 보통주 | 200,000 | 5,000 | 5,000 | 주주배정 유상증자 후 실권주 3자배정 |
2009-09-16 | 유상증자 | 보통주 | 188,889 | 5,000 | 5,000 | 제3자배정 유상증자 |
2011-11-15 | 유상감자 | 보통주 | (188,889) | 5,000 | 5,000 | 유상감자 |
2012-01-01 | 인적분할 | 보통주 | (633,049 ) | 5,000 | 5,000 | 인적분할 |
2015-12-18 | 합병 | 보통주 | 258,960 | 5,000 | 5,000 | 합병 |
2023-03-30 | 액면분할 1:10 | 보통주 | 11,933,199 | 500 | - | 액면분할 1:10 |
합계 | 보통주 | 13,259,110 | 500 | - | - |
주) 유상증자 상세내역은 '나. 사모자금의 사용 내역'을 참고 바랍니다 나.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미상환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미상환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채무증권 발행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회사채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공모자금의 사용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사모자금의 사용 내역
설립일 이후 유상증자 자금은 운영자금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단위 : 주, 백만원) |
유상증자일 | 주식종류 | 주식수 | 주당 발행가액 | 발행총액 | 사용내역 |
---|---|---|---|---|---|
1992-12-30 | 보통주 | 100,000 | 5,000 | 500 | 운영자금 |
1994-03-22 | 보통주 | 400,000 | 5,000 | 2,000 | 운영자금 |
1995-07-26 | 보통주 | 900,000 | 5,000 | 4,500 | 운영자금 |
1998-04-09 | 보통주 | 200,000 | 5,000 | 1,000 | 운영자금 |
2009-09-16 | 보통주 | 188,889 | 5,000 | 944 | 운영자금 |
가. 재무제표의 재작성 등 유의사항(1) 재무제표를 재작성한 경우 재작성 사유, 내용 및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에 관한 사항
1) 석천㈜과 키스트론㈜ 합병에 대한 합병개요
구분 | 비고 |
---|---|
주주총회 결의일 | 2021년 11월 25일 |
합병시기 | 2021년 12월 30일 |
합병법인 | 석천㈜ |
피합병법인 | 키스트론㈜ |
합병조건 (합병교부금 or 합병비율) | 흡수합병 (합병비율 1:0) |
합병 목적 | 경영 효율성 제고를 통한 기업간의 시너지효과 극대화 및 경쟁력 강화 |
합병 방법 | 흡수합병, 소규모 간이 합병 등 |
합병후 최초 결산일 | 2021년 12월 31일 |
합병 후 최초 결산확정일은 2021년 12월 31일이며, 합병 전 양 법인의 직전 3개년 요약재무제표 및 합병 후 법인의 최초 결산 요약재무제표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주, 백만원) |
항목 |
합병후 최초결산 (2021년) |
직전 1년(2020년) | 직전 2년(2019년) | 직전 3년(2018년) | |||||
---|---|---|---|---|---|---|---|---|---|
석천㈜ | (舊)키스트론 | 석천㈜ |
석천 솔라 파워㈜ |
(舊)키스트론 | 석천㈜ |
석천 솔라 파워㈜ |
(舊)키스트론 | ||
총자산 | 199,189 | 134,700 | 35,976 | 150,186 | 21,347 | 34,286 | 161,075 | 22,713 | 37,440 |
자본금 | 6,630 | 6,630 | 6,500 | 6,630 | 15,889 | 6,500 | 6,630 | 15,889 | 6,500 |
자본총계 | 153,316 | 125,324 | 18,028 | 137,551 | 21,083 | 16,980 | 144,534 | 22,178 | 17,193 |
부채총계 | 45,873 | 9,377 | 17,948 | 12,635 | 264 | 17,306 | 16,541 | 535 | 20,247 |
매출액 | 4,540 | 1,598 | 36,007 | 1,052 | 3,165 | 34,176 | 1,120 | 3,538 | 39,455 |
영업이익 | 1,237 | (1,629) | 1,874 | (1,796) | 722 | 702 | (1,565) | 1,241 | 715 |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이익 |
22,564 | 3,362 | 1,031 | 781 | 697 | (288) | 5,274 | 2,841 | 3 |
당기순이익 | 16,168 | 2,547 | 1,031 | 522 | 629 | (288) | (643) | 2,519 | 3 |
주당순이익 | 1,219 | 1,921 | 793 | 393 | 198 | (222) | (485) | 793 | 2 |
영업활동현금흐름 | 3,049 | 1,918 | 1,324 | (491) | 1,826 | 3,262 | 1,230 | 4,146 | (66) |
전체 현금흐름 | 2,393 | 6,913 | 366 | 2,464 | 3,152 | 23 | 16,080 | 2,519 | 8 |
주1) 석천㈜와 석천솔라파워㈜는 2020년 합병되었습니다. |
주2) 외감법인으로서 현금흐름표 및 주당순이익 별도로 기재했습니다. |
(2) 영업양수도
당사는 설립이후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기업분할
당사는 설립이후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감자
당사는 설립이후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최근 3사업연도의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용
(단위 : 천원) |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 총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2024년 (제33기)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0,849,686 | 278,658 | 2.57% |
기타유동자산 | ||||
합 계 | 10,849,686 | 278,658 | 2.57% | |
2023년(제32기)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9,320,919 | 6,855 | 0.07% |
기타유동자산 | ||||
합 계 | 9,320,919 | 6,855 | 0.07% | |
2022년(제31기)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2,174,098 | 16,937 | 0.14% |
기타유동자산 | ||||
합 계 | 12,174,098 | 16,937 | 0.14% | |
2021년(제30기) |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5,145,304 | 16,679 | 0.11% |
기타유동자산 | ||||
합 계 | 15,145,304 | 16,679 | 0.11% |
(2) 최근 3사업연도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단위 : 천원) |
구분 | 2024년(제33기) | 2023년 (제32기) | 2022년 (제31기) | 2021년 (제30기) |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6,855 | 16,937 | 16,679 | 19,629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③ 기타증감액 |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271,802 | (10,082) | 258 | (2,950)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 278,658 | 6,855 | 16,937 | 16,679 |
(3)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등 잔액 현황
<당기말> |
(단위: 천원) |
매출처 | 3개월 미만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 1년 이상 | 매출채권 잔액 |
---|---|---|---|---|---|
일반 | 10,400,855 | 60,841 | 383,586 | 4,403 | 10,849,686 |
구성비율 | 95.86% | 0.56% | 3.54% | 0.04% | 100% |
<전기말> |
(단위: 천원) |
매출처 | 3개월 미만 | 3개월 이상 6개월 미만 |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 1년 이상 | 매출채권 잔액 |
---|---|---|---|---|---|
일반 | 7,030,552 | 2,283,500 | 6,868 | - | 9,320,919 |
구성비율 | 75.43% | 24.50% | 0.07% | - | 100.00%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최근 3사업연도의 재고자산 보유현황
(단위 : 천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2024년(제33기) | 2023년(제32기) | 2022년(제31기) | 2021년(제30기) |
와이어 | 상품 | - | - | 21,235 | - |
제품 | 4,442,108 | 2,766,297 | 3,540,762 | - | |
재공품 | 3,907,066 | 2,909,338 | 2,311,501 | ||
원재료 | 9,651,911 | 9,817,947 | 10,237,963 | - | |
저장품 | 296,085 | 192,686 | 113,314 | - | |
미착품 | 1,469,703 | 856,764 | 1,061,169 | - | |
합 계 | 19,766,873 | 16,543,032 | 17,285,944 | -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 10.99% | 8.71% | 9.64% | - | |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 3.80 | 3.31 | 7.67 | - | |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 |
당사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IFRS)으로의 전환일은 2021년 12월 31일이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채택 일은 2022년 12월 31일입니다. 2021년 12월 31일 상호변경 전 석천㈜)의 원재료는 없습니다.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역 등 (가) 재고자산 실사일 : 2024년 (나) 재고자산 실사시 전문가의 참여 또는 감사인의 입회여부 등 : 당사는 매년 반기말에 자체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4년 12월 31일 외부감사인의 입회하에 재고자산 실사를 진행하였으며, 2024년 12월 31일 현재의 재고자산 실제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라. 진행률적용 수주계약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평가의 자세한 내용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3. 연결재무제표 주석-4. 금융상품」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2) 유형자산의 공정가치 평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감사인 | 감사의견 | 강조사항 등 | 핵심감사사항 | 채택회계기준 | 비고 |
---|---|---|---|---|---|---|
제33기(2024년) | 한영회계법인 | 적정 | - | - | K-IFRS | 주1) |
제32기(2023년) | 한영회계법인 | 적정 | - | - | K-IFRS | 주2) |
제31기(2022년) | 신한회계법인 | 적정 | - | - | K-GAAP | - |
제30기(2021년) | 신한회계법인 | 적정 | - | - | K-GAAP | - |
주1) | 당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11조,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7조 및「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대한 규정」제10조 및 제15조에 의거하여 2024년 10월 17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33기(2024.01.01~2024.12.31) 한영회계법인을 감사인으로 지정받았으며, 2024년 10월 31일 지정감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주2)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1조 제1항 및 제2항,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7조 및「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대한 규정」 제10조 및 제15조 제1항에 의거하여, 2023년 11월 1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32기(2023.01.01~2023.12.31)에 대한 외부감사인으로 한영회계법인을 감사인으로 지정받았으며, 2023년 11월 24일 지정감사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천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제33기(2024년) | 한영회계법인 | - 개별재무제표감사 | 163,000 | 1,250 | 163,000 | 1,666 |
제32기(2023년) | 한영회계법인 | - 연결재무제표감사-별도재무제표감사 | 220,000 | 1,250 | 220,000 | 1,666 |
제31기(2022년) | 신한회계법인 | -별도재무제표감사 | 55,000 | 630 | 55,000 | 631 |
제30기(2021년) | 신한회계법인 | -별도재무제표감사 | 37,575 | 530 | 37,575 | 538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당사는 회계감사인과 비감사용역 계약을 체결한 바 없습니다.
라. 재무제표 중 이해관계자의 판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회계감사인의 변경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감사가 회사의 내부통제 유효성 감사 결과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내부회계관리제도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8조에 따른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대상 법인이 아니므로 외부감사 수행 시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검토를 진행한 바 없습니다. 당사는 2022년 8월 삼정회계법인과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구축을 위한 자문용역 계약을 체결하고, 주요 활동별 통제 프로세스를 구축했습니다. 상장 이후부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경과와 유효성 평가 수행 등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를 진행 할 예정입니다. 다. 내부통제구조의 평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이사회 구성 개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대표이사를 비롯하여 사내이사 3인과 사외이사 3인, 총 6인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당사의 이사회는 운영규정에 의거하여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며 이사 및 경영진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당사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담당업무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이사회의 구성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3 | 3 | - | - | - |
(2) 이사회의 권한 내용 당사의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서 정하는 이사회의 권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용 |
---|---|
정관 제29조 (이사의 선임) |
①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이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③ 2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382조의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정관 제30조 (이사의 임기) | ① 이사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임기가최종의 결산기 종료후 당해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전에 만료될 경우에는 그 총회의 종결시까지 그 임기를 연장한다.② 보궐 또는 증원에 의하여 선임된 이사의 임기는 전임자의 잔여기간으로 한다. |
정관 제32조 (이사의 직무) |
① 대표이사는 당 회사를 대표하고 당 회사의 업무를 총괄한다. ② 부사장, 전무, 상무 등은 대표이사를 보좌하고 이사회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당 회사의 업무를 분장 집행하며 대표이사의 유고시에는 이사회에서 정한 순서에 따라 그 직무를 대행한다." |
정관 제33조 (이사의 의무) |
① 이사는 법령과 정관의 규정에 따라 당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② 이사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당 회사를 위하여 그 직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③ 이사는 재임 중뿐만 아니라 퇴임 후에도 직무상 지득한 당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 된다. ④ 이사는 3월에 1회 이상 업무의 집행상황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⑤ 이사는 당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때에는 즉시 감사위원회에게 이를 보고하여야 한다. |
정관 제34조 (이사의 보수와 퇴직금) |
① 이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이를 정한다. ② 이사의 퇴직금의 지급은 주주총회결의를 거친 임원퇴직금지급규정에 의한다. |
정관 제35조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하며 당 회사 업무의 중요사항을 결의한다. ② 이사회는 각 이사가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이사회를 소집하는 이사는 이사회 회일 1일전에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④ 이사회의 의장은 이사회에서 정한다. 다만, 제2항의 단서에 따라 이사회의 소집권자를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경우에는 그 이사를 의장으로 한다. |
정관 제36조 (이사회의 결의방법) |
① 이사회의 결의는 법령과 정관에 다른 정함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의 과반수로 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 및 제398조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
정관 제37조 (이사회의의 의사록) |
①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하여야 한다. ②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 및 감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야 한다. |
정관 제38조 (위원회) |
① 당 회사는 이사회 내에 다음 각 호의 위원회를 둔다. 1. 감사위원회 2. 투자관리위원회 ② 각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제35조, 제36조 및 제37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3조 (권한) |
1.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 2.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3. 이사회는 각 이사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히 부당한 방법으로 처리하거나 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그 이사에 대하여 관련자료의 제출, 조사 및 설명을 요구할 수 있다. 4. 전항의 경우 이사회는 그 사안에 대하여 그 집행을 중지 또는 변경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9조 (부의사항) |
1.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1) 주주총회의 소집 (2) 대표이사 유고시 주주총회 의장의 결정 (3) 영업보고서의 승인 (4) 자본의 감소 (5) 재무제표의 승인 (6) 회사의 포괄적 주식교환?이전, 해산, 합병, 분할, 분할합병, 회사의 계속 (7) 회사의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 및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다른 회사의 영업 전부 또는 일부의 양수 (8) 영업전부의 임대 또는 경영위임, 타인과 영업의 손익 전부를 같이하는 계약, 기타 이에 준할 계약의 체결이나 변경 또는 해약 (9) 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및 해임 (10) 주식의 액면미달발행 (11)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감면 (12) 현금, 주식, 현물배당 결정 (13) 이사의 보수 (14) 회사의 최대주주(그의 특수관계인 포함) 및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의 승인 및 주주총회에의 보고 (15) 법정준비금의 감액 (16) 정관의 변경 (17) 기타 주주총회에 부의할 의안 2) 경영일반에 관한 사항 (1) 회사경영의 기본방침의 결정 및 변경 (2) 중요한 자금계획 및 예산운용 (3) 지배인의 선임 및 해임 (4) 중요한 사규, 사칙의 규정 및 개폐 (5) 지점, 사무소, 사업장의 설치, 이전, 폐지 (6) 간이주식교환, 간이합병, 간이분할합병, 소규모주식교환, 소규모합병 및 소규모분할합병의 결정 (7) 흡수합병 또는 신설합병의 보고 (8) 기타 경영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 3) 재무에 관한 사항 (1) 중요한 투자에 관한 사항 (2) 중요한 계약의 체결 (3) 중요한 재산의 취득 및 처분 (4) 결손의 처분 (5) 자기주식 취득, 처분 또는 소각에 관한 사항 (6) 신주의 발행에 관한 사항 (7) 사채의 발행 (8) 중요한 재산에 대한 저당권, 질권 기타 담보 등의 설정 (9) 준비금의 자본전입 (10)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4) 이사, 이사회, 위원회 등에 관한 사항 (1) 대표이사의 선임, 해임 및 공동대표의 결정 (2) 이사의 경업 및 동종업종 타회사 임원의 겸임 승인 (3) 이사의 회사기회 유용에 대한 승인 (4)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의 승인 (5)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설치, 운영 및 폐지 (6) 감사위원회 위원을 제외한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의 선임 및 해임 (7) 이사회 내 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한 재결의. 단, 감사위원회의 결의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8) 이사의 전문가 조력의 결정 (9) 기타 이사 및 위원회에 관련된 사항 5) 기타 사항 (1) 중요한 소송의 제기 (2) 주주총회에서 위임받은 사항 및 대표이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3) 기타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2. 이사회에 보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이사회 내 위원회에 위임한 사항의 처리결과 2)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거나 그 행위를 할 염려가 있다고 감사위원회가 인정한 사항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4) 기타 경영상 중요한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 및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
이사회운영규정 제10조(이사회 내 위원회) |
1. 이사회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하여 정관이 정한 바에 따라 이사회 내에 각종의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2. 이사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제외하고는 그 권한을 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다. 1)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2)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3) 위원회의 설치와 그 위원의 선임 및 해임 4) 정관에서 정하는 사항 3. 위원회는 2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한다. 다만, 감사위원회의 경우에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한다. 4. 위원회는 그 결의로 위원회를 대표할 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5. 위원회의 세부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에서 별도로 정하며, 관련 규정을 마련할 수 있다. |
(3) 이사회의 운영에 관한 사항 당사는 이사회의 구성 및 운영에 대하여 이사회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세부내용 |
---|---|
이사회운영규정 제3조 (권한) |
1.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 2.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3. 이사회는 각 이사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히 부당한 방법으로 처리하거나 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한 때에는 그 이사에 대하여 관련자료의 제출, 조사 및 설명을 요구할 수 있다. 4. 전항의 경우 이사회는 그 사안에 대하여 그 집행을 중지 또는 변경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4조 (종류) |
1. 이사회는 정기 이사회와 임시 이사회로 구분한다. 2. 정기 이사회는 매 분기 1회 개최한다. 단, 부득이한 사정이 있는 경우 이사회 의장이 그 일정을 조정할 수 있다. 3. 임시 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한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5조 (구성) |
1. 이사회는 이사 전원으로 구성한다. 2. 이사회의 구성원은 3인 이상 8인 이내로 한다. 3. 이사회에는 총 이사수의 4분의 1이상의 사외이사를 둔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6조 (소집 및 절차) |
1. 이사회는 의장이 소집한다. 다만, 의장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제5조 제3항에 따른다. 2. 소집권자가 아닌 이사는 의장에게 의안과 그 사유를 밝히어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의장이 정당한 이유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사회 소집을 청구한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3. 감사위원회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의장에게 제출하여 이사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그 청구에도 불구하고 의장이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위원회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4. 이사회를 소집함에는 회의 일시를 정하고 정관에 의거 그 1일 전에 각 이사에게 통지한다. 5.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제4항의 기간을 단축하거나 제4항의 절차 없이 언제든지 회의를 개최할 수 있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7조 (의결의 방법) |
1.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의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한다. 다만, 상법 제397조의2 (회사의 기회 및 자산의 유용 금지) 및 제398조(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에 해당하는 사안에 대한 이사회 결의는 이사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한다. 2.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출석한 것으로 본다. 3. 이사는 이사회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하게 할 수 없다. 4.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이 경우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이사의 수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8조 (의견 청취) |
의장은 필요에 따라 관계임직원 또는 외부 인사를 회의에 출석시켜 의견을 청취할 수 있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9조 (부의사항) |
1. 이사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1) 주주총회의 소집 (2) 대표이사 유고시 주주총회 의장의 결정 (3) 영업보고서의 승인 (4) 자본의 감소 (5) 재무제표의 승인 (6) 회사의 포괄적 주식교환 이전, 해산, 합병, 분할, 분할합병, 회사의 계속 (7) 회사의 영업의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 및 회사의 영업에 중대한 영향 을 미치는 다른 회사의 영업 전부 또는 일부의 양수 (8) 영업전부의 임대 또는 경영위임, 타인과 영업의 손익 전부를 같이하는 계약, 기타 이에 준할 계약의 체결이나 변경 또는 해약 (9) 이사,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및 해임 (10) 주식의 액면미달발행 (11)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감면 (12) 현금, 주식, 현물배당 결정 (13) 이사의 보수 (14) 회사의 최대주주(그의 특수관계인 포함) 및 특수관계인과 거래의 승인 및 주 주총회에의 보고 (15) 법정준비금의 감액 (16) 정관의 변경 (17) 기타 주주총회에 부의할 의안 2) 경영일반에 관한 사항 (1) 회사경영의 기본방침의 결정 및 변경 (2) 중요한 자금계획 및 예산운용 (3) 지배인의 선임 및 해임 (4) 중요한 사규, 사칙의 규정 및 개폐 (5) 지점, 사무소, 사업장의 설치, 이전, 폐지 (6) 간이주식교환, 간이합병, 간이분할합병, 소규모주식교환, 소규모합병 및 소규 모 분할합병의 결정 (7) 흡수합병 또는 신설합병의 보고 (8) 기타 경영상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사항 3) 재무에 관한 사항 (1) 중요한 투자에 관한 사항 (2) 중요한 계약의 체결 (3) 중요한 재산의 취득 및 처분 (4) 결손의 처분 (5) 자기주식 취득, 처분 또는 소각에 관한 사항 (6) 신주의 발행에 관한 사항 (7) 사채의 발행 (8) 중요한 재산에 대한 저당권, 질권 기타 담보 등의 설정 (9) 준비금의 자본전입 (10)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4) 이사, 이사회, 위원회 등에 관한 사항 (1) 대표이사의 선임, 해임 및 공동대표의 결정 (2) 이사의 경업 및 동종업종 타회사 임원의 겸임 승인 (3) 이사의 회사기회 유용에 대한 승인 (4)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의 승인 (5)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설치, 운영 및 폐지 (6) 감사위원회 위원을 제외한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의 선임 및 해임 (7) 이사회 내 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한 재결의. 단, 감사위원회의 결의에 대해서 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8) 이사의 전문가 조력의 결정 (9) 기타 이사 및 위원회에 관련된 사항 5) 기타 사항 (1) 중요한 소송의 제기 (2) 주주총회에서 위임받은 사항 및 대표이사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항 (3) 기타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2. 이사회에 보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이사회 내 위원회에 위임한 사항의 처리결과 2)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거나 그 행위를 할 염려가 있다고 감사위원회가 인정한 사항 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4) 기타 경영상 중요한 업무집행에 관한 사항 및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
이사회운영규정 제10조 (이사회 내 위원회) |
1. 이사회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하여 정관이 정한 바에 따라 이사회 내에 각종의 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2. 이사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제외하고는 그 권한을 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다. 1) 주주총회의 승인을 요하는 사항의 제안 2)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3) 위원회의 설치와 그 위원의 선임 및 해임 4) 정관에서 정하는 사항 3. 위원회는 2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한다. 다만, 감사위원회의 경우에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한다. 4. 위원회는 그 결의로 위원회를 대표할 자를 선정하여야 한다. 5. 위원회의 세부운영에 관한 사항은 이사회에서 별도로 정하며, 관련 규정을 마련할 수 있다. |
이사회운영규정 제11조 (의사록) |
1. 이사회의 의사에 관하여는 의사록을 작성한다. 2. 의사록에는 의사의 안건, 경과요령, 그 결과, 반대하는 자와 그 반대이유를 기재하고 출석한 이사가 기명날인 또는 서명한다. |
나. 이사회의 주요 의결사항 (1) 2022년 이사회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 여부 | 비고 |
---|---|---|---|---|
1 | 2022-01-11 |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의 건 | 가결 | - |
2 | 2022-01-13 | 2021년 회계연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 | 가결 | - |
3 | 2022-01-14 |
1. 코스닥시장 대표주관계약 체결 결의2. 정관 제규정 결의 3. 합병전 회사(키스트론)의 채무인수 결의의 건 |
가결 | - |
4 | 2022-01-24 | 외부감사인 선임위원회 개최의 건 | 가결 | - |
5 | 2022-03-15 | 임원겸직허가 (홍석표), 임원겸직허가 (이태준), 임원겸직허가 (김상홍), 임원겸직허가 (권종태) | 가결 | - |
6 | 2022-03-15 | 신용장발행(기한부) 차입 결의의 건 참석자:정민호, 권대희, 이태준, 권종태 | 가결 | |
7 | 2022-03-15 |
심의안건 1. 2021년 제 30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202년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3.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 4. 차입한도 기한 갱신 승인의 건 보고안건 1. 2022년 경영전망 보고 2. 2022년 생산 및 판매전망 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및 감사의 평가보고 4. 외부감사인 선임 결과 보고 5. 고려전공(동관) 관리 이관 검토 6. 태양광사업 본격 추진 |
가결 | - |
8 |
2022-06-14 |
심의안건 1. 2022년 1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경영보고안건 1. 2022년 경영실적(1분기) 및 연간전망 2. 고려전공(동관) 주식 매각 |
가결 | - |
9 | 2022-07-13 | 지점설치 및 지점폐지의 건 | 가결 | - |
10 | 2022-10-05 | 중소기업자금대출 차입 결의의 건 | 가결 | - |
(2) 2023년 이사회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 여부 | 비고 |
---|---|---|---|---|
1 | 2023-01-17 |
1. 내부 거래 내역 보고의 건 (2022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2. 2023년 내부거래 한도 설정의 건 |
가결 | - |
2 | 2023-03-10 |
심의안건 1. 2022년 제 31기 재무제표 승인 2. 2022년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3.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 4. 차입한도 기한 갱신 승인의 건 보고안건 1. 2023년 경영전망 보고 2. 2023년 생산 및 판매전망 보고(제조) 3. 2023년 태양광 발전 건설 계획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5. 고려전공(동관) 정리방안 |
가결 | - |
3 | 2023-06-27 |
심의안건 1. 2023년 1분기 재무제표 승인 경영보고안건 1. 2023년 1~5월 실적 및 6월 예상(2분기 예상자료) & 하반기 예상 2. 키스트론 주요 추진 테마 |
가결 | - |
4 | 2023-07-26 | 고려전공(동관) 매각 결의의 건 | 가결 | - |
5 | 2023-08-15 | 임원겸직허가 (권종태) | 가결 | - |
6 | 2023-08-22 | 임원겸직허가 (이태준, 홍희연) | 가결 | - |
7 | 2023-09-04 | KCSB 주식 매각의 건 |
가결 |
- |
8 | 2023-09-26 |
심의안건 1. 2023년 상반기 재무제표 승인 2. 정관 일부 변경 경영보고안건 1. 2023년 1~8월 실적 및 9월 예상(3분기 예상자료) & 4분기 예상 2. 키스트론 주요 추진 테마 |
가결 | - |
9 | 2023-11-28 |
1. 사규 제개정 승인의 건 2.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승인의 건 |
가결 | - |
10 | 2023-12-14 |
1. 투자관리위원회 설치 및 위원 선임 2. 내부회계관리규정 승인의 건 3. 증권명의개서대리인 선임에 관한 건 |
가결 | - |
(3) 2024년 이사회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 여부 | 비고 |
---|---|---|---|---|
1 | 2024-01-16 |
1. 내부 거래 내역 보고의 건 (2023년 1월 1일 ~ 2023년 12월 31일) 2. 2024년 내부거래 한도 설정의 건 |
가결 | - |
2 | 2024-03-13 |
심의안건 1. 2023년 제32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2. 2023년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3. 정기주주종회 소집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 4. 코스닥시장 상장 승인의 건 5. 차입한도 기한 갱신 승인의 건 보고안건 1. 2024년 경영전망 보고 2. 2024년 생산 및 판매전망 보고 3. 금속도금탄소섬유(MCF-Metal Coated Carbon Fiber) 신제품 개발 진행 보고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가결 | - |
3 | 2024-06-11 |
심의안건 1. 2024년 1분기 재무제표승인의 건 보고안건 1. 2024년 1~5월 실적 및 6월 예상 & 하반기 예상 2. 키스트론 IPO진행 현황 |
가결 | - |
4 | 2024-08-20 |
심의안건 1. 2024년 상반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보고안건 1. 연간 예상 실적 보고 2. IPO 진행경과 보고 |
가결 | - |
5 | 2024-10-04 |
심의안건 1. 보유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홍덕산업 주식) 전량 매각의 건 |
가결 | - |
6 | 2024-12-10 | 심의안건1. 2024년 3분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2.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목적사항 승인의 건보고안건1. 2024년 경영 예상 및 2025년 계획2. 2024년 판매 예상 및 2025년 계획3. 2024년 투자 실적 및 2025년 계획4. IPO 진행 현황5. 연구개발과제 | 가결 | - |
7 | 2024-12-31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 |
다. 이사회 내 위원회 당사는 이사회내 위원회로 감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라. 이사의 독립성 (1) 이사의 선임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제29조에 의거하여 회의의 목적사항과 이사후보에 대한 정보를 주주총회일 2주 전에 주주에게 서면 또는 전자문서로 통지하며 , 후보자의 성명, 약력 사항을 주주총회에서 결의할 의안으로 제출하여 주주총회에서 최종적으로 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직명 | 성명 | 추천인 | 담당업무 | 회사와의 거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임기 | 연임여부 (횟수) | 선임배경 |
---|---|---|---|---|---|---|---|---|
대표이사 | 정민호 | 이사회 | 경영총괄 | - | 해당없음 | 3년 | 1 | 고려제강 그룹내 여러 분야의 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제조분야의 중요한 생산 제조, 해외경쟁력 확보를 위한 선진시스템 도입을 통하여 키스트론을 세계적인 기업으로의 성장 발전을 목표로 취임 |
사내이사 | 권대희 | 이사회 | CFO | - | 해당없음 | 3년 | 1 | 1994년 키스트론 품질관리과에 입사 이후 역임한 경력을 바탕으로 생산부문장에 취임 |
사내이사 | 김상수 | 이사회 | 생산총괄 | - | 해당없음 | 3년 | - | 다년간('2008.11~'19.11) 키스트론 재무팀장을 역임한 경력을 바탕으로 키스트론 관리부문장(CFO)에 선임 |
사외이사 | 이갑성 | 이사회 | 감사위원회 위원 | - | 해당없음 | 3년 | - | 2013년 이후 법무법인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인정해 사외이사에 선임 |
사외이사 | 박순욱 | 이사회 | 감사위원회 위원 | - | 해당없음 | 3년 | - | 1996년 이후 회계법인에서 다년간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인정해 사외이사에 선임 |
사외이사 | 최시훈 | 이사회 | 감사위원회 위원 | 해당없음 | 3년 | - | 2013년 이후 순천대학교 첨단부품소재공학과 교수에 재직한 경험을 바탕으로 전문성을 인정해 사외이사에 선임 |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당사는 사외이사를 선출하기 위한 별도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는 않으나, 후보자의 사외이사 결격요건 해당여부에 대하여 확인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외이사는 결격요건에 해당하는 사항이 없습니다.
구 분 | 해당여부 | ||
---|---|---|---|
사외이사 이갑성 |
사외이사 박순욱 |
사외이사 최시훈 |
|
상법 제382조제3항 각호 | |||
1. 최근 2년이내 회사 상무에 종사한 이사, 감사, 집행임원, 피용자 | X | X | X |
2. 최대주주(자연인)의 본인과 그 배우자 및 직계 존속, 비속 | X | X | X |
3. 최대주주(법인)의 이사, 감사, 집행임원 및 피고용자 | X | X | X |
4. 이사, 감사, 집행임원의 배우자 및 직계 존속, 비속 | X | X | X |
5. 회사의 모회사/자회사의 이사, 감사, 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X | X |
6. 회사의 중요 이해관계법인의 이사, 감사, 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X | X |
7. 회사의 이사, 집행임원 및 피용자가 이사, 집행임원으로 있는 다른 회사의 이사, 감사, 집행임원 및 피용자 |
X | X | X |
상법 제542조의8제2항 각호 | |||
1. 미성년자,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 X | X | X |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 X | X | X |
3. 금고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이 면제된 후 2 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X | X |
4. 대통령령으로 별도로 정하는 법률을 위반하여 해임되거나 면직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
X | X | X |
5. 상장회사의 주주로서 의결권 없는 주식을 제외한 발행주식총수를 기준으로 본인 및 그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특수관계인이 소유하는 주식의 수가 가장 많은 경우 그 최대주주 및 그의 특수관계인 |
X | X | X |
6.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 을제외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의 주식을 소유하거나 이사, 집행임 원, 감사의 선임과 해임 등 상자오히사의 주요경영사항에 대하여 사 실상의 영향력을 행사는 주요주주 및 그의 배우 자와 직계 존속, 비속 |
X | X | X |
7. 그 밖에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하기 곤란하거나 상장 회사의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
X | X | X |
마. 사외이사의 전문성
(1) 사외이사 현황
당사는 경영의 투명성 확립을 위해 증권신청서 제출일 현재 3명의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성명 | 주요경력 |
최대주주등과의 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비고 |
---|---|---|---|---|
이갑성 |
2001.02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졸업 2013.0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2013 ~ 2018 법무법인 디카이온 변호사 2020 ~ 2021 국민연금공단 기금분야 자문변호사 2019 ~ 법무법인 위즈 변호사, 서울지방국세청 국세심사위원회 위원 |
해당사항 없음 | 결격요건 해당 없음 | - |
박순욱 |
1996.02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1999.02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1996.10 ~ 2016.10 딜로이트 안진회계 법인 (상무) 2016.11 ~ 2018.05 ㈜넥스트핀테크 대표이사 2020.08 ~ 우리회계법인(BakerTilly) 전무 한국공인회계사회 내부회계관리제도 연구위원 |
해당사항 없음 |
결격요건 해당 없음 | - |
최시훈 |
1994.02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석사 1998.02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박사 1998.03 ~ 2000.02 Alcoa 기술연구소 USA Micromechanics 2000.03 ~ 2005.03 POSCO 기술연구소 자동차소재연구그룹 책임연구원 2005.04 ~ 현재 순천대학교 첨단부품소재공학과 교수 |
해당사항 없음 |
결격요건 해당 없음 | - |
(2)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당사는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보조하기 위한 별도의 회사 내 지원조직은 있지않으나, 이사회 개최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필요시 별도의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 주요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또한, 사외이사에 대한 별도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나, 관련 분야의 전문적 지식 등을 통해 당사의 다양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당사 사외이사는 회사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점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교육은 실시하고 있지 않으나 추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경우 실시할 예정입니다. |
가. 감사위원회의 구성 (1) 감사기구 관련 사항
(가) 감사위원회 위원의 인적사항 및 사외이사 여부
당사는 2023년 12월 14일 이사회를 통해 감사위원을 선임하고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였습니다.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총 3인의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근거 법령에서 규정하는 조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성 명 | 사외이사여부 | 주 요 경 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여부 | 전문가유형 | 관련 경력 | |||
이갑성 |
O |
2001.02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졸업 2013.0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2013 ~ 2018 법무법인 디카이온 변호사 2020 ~ 2021 국민연금공단 기금분야 자문변호사 2019 ~ 법무법인 위즈 변호사, 서울지방국세청 국세심사위원회 위원 |
- | - | - |
박순욱 |
O |
1996.02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1999.02 서울대학교 경영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1996.10 ~ 2016.10 딜로이트 안진회계 법인 (상무) 2016.11 ~ 2018.05 ㈜넥스트핀테크 대표이사 2020.08 ~ 우리회계법인(BakerTilly) 전무 한국공인회계사회 내부회계관리제도 연구위원 |
O | 재무전문가 | 29년 |
최시훈 |
O |
1994.02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석사 1998.02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박사 1998.03 ~ 2000.02 Alcoa 기술연구소 USA Micromechanics 2000.03 ~ 2005.03 POSCO 기술연구소 자동차소재연구그룹 책임연구원 2005.04 ~ 현재 순천대학교 첨단부품소재공학과 교수 |
- | - | - |
당사는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산총계 2조원 미만의 법인으로 「상법」 제542조의11 제1항에 의거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여야 할 의무는 없으나, 2023년 12월 14일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정관 및 감사위원회 규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감사위원회의 목적, 권한과 책임, 운영방안 등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
정관 제41조 (감사위원회의 구성) |
① 당 회사는 감사에 갈음하여 제38조의 규정에 의한 감사위원회를둔다.② 감사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총 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사외이사이어야 하며, 사외이사가 아닌 위원은 상법 제542조의11 제3항에 따라 제542조의10 제2항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③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은 주주총회에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④ 감사위원회위원의 해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⑤ 제3항·제4항의 감사위원회위원의 선임 또는 해임에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최대주주인 경우에는 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회위원을 선임 또는 해임할 때에 그의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의결권의 행사를 지시할 수 있는 권한을 포함한다)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를 합산한다}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⑥ 사외이사의 사임, 사망 등의 사유로 사외이사의 수가 본 조항에서 정한 감사위원회의 구성요건에 미달하게 되면 그 사유가 발생한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그 요건에 합치되도록 하여야 한다. |
정관 제42조 (감사위원회의 분리선임, 해임) |
① 제41조에 따라 구성하는 감사위원회의 감사위원 중 1명은 주주총회 결의로 다른 이사들과 분리하여 감사위원이 되는 이사로 선임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분리선임한 감사위원회위원을 해임하는 경우 그 감사위원회위원은 이사와 감사위원회위원의 지위를 모두 상실한다. |
정관 제43조 (감사위원회 대표의 선임) |
감사위원회는 그 결의로 대표를 선임하여야 한다. 이 경우 위원장은 사외이사이어야 한다. |
정관 제44조 (감사위원회의 직무 등) |
① 감사위원회는 당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② 감사위원회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③ 감사위원회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없이 보고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④ 감사위원회는 당 회사의 외부감사인을 선정한다. ⑤ 감사위원회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를 말하여, 이하 같다)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⑥ 제5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위원회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⑦ 감사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6항 외에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⑧ 감사위원회 결의에 대하여 이사회는 재결의할 수 없다.⑨ 감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당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구할 수 있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1조 (목적) | 이 규정은 감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하며, 감사위원회 위원을 "위원"이라 한다)가 감사업무를 적정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직무수행의 기준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3조 (권한) |
1. 위원회는 다음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1) 이사 등에 대한 영업의 보고 요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 조사 2) 자회사에 대한 영업보고 요구 및 업무와 재산상태에 관한 조사 3)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청구 4)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권한 5) 위원 해임에 관한 의견진술 6) 이사의 보고 수령 7)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청구 8) 이사,회사간 소송에서의 회사 대표 9) 회계부정에 대한 내부신고, 고지가 있을 경우 그에 대한 사실과 조치내용 확인 및 신고.고지자의 신분 등에 관한 비밀유지와 신고.고지자의 불이익한 대우 여부 확인 10) 재무제표(연결재무제표 포함)의 이사회 승인에 대한 동의 11) 내부회계관리규정의 제·개정에 대한 승인 및 운영 실태 평가 12) 외부감사인의 선정2. 위원회는 다음 사항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 요구를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한다. 1)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회사내 모든 자료, 정보 및 비용에 관한 사항 2) 관계자의 출석 및 답변 3) 창고, 금고, 장부 및 관계서류, 증빙, 물품 등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사항3. 위원회는 각 부서의 장에게 임직원의 부정행위가 있거나 중대한 과실이 있을때에는 지체 없이 보고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필요시 감사할수 있다. 4. 위원회는 이사에 대하여 직무상 다음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의견의 제시, 조언, 권고의 의견표명 을 할 수 있다. 1) 회사 업무의 적정한 운영 및 합리화 등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경우 2) 회사에 현저한 손해 또는 중대한 사고 등이 초래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 견한 경우 3) 회사의 업무집행이 법령 또는 정관, 회계처리기준 등을 위반하거나 위반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경우 4) 위원회가 의견을 제시하거나 조언 또는 권고할 경우에는 이사는 책임의식 을 가지고 그 사실관계 및 배경 등을 충분히 조사하여야 한다.5. 중요 회의 출석 1) 위원은 경영방침의 결정 경과, 경영 및 업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원 회의 및 그 밖의 중요한 회의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2) 전항의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한 경우 위원은 심의사항에 관하여 보고를 받 고 의사록 및 자료 등을 열람할 수 있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5조 (구성) |
1. 위원은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2. 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고 감사위원의 3분의 2 이상은 사외이사이어야 한다.3. 위원 중 1인 이상은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제1호에 따른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이어야 하고, 사외이사가 아닌 위원은 상법 제542조의11 제3항, 제542조의10 제2항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4. 사외이사인 위원이 사임.사망 등의 사유로 인하여 제2항에 의한 사외이사의 구성비율 또는 제3항에 의한 위원회의 구성요건에 미달하게 된 때에는 그 사유가 발생한 후 최초로 소집되는 주주총회에서 위원회의 구성요건에 합치되도록 하여야 한다.5. 위원회는 간사를 둘 수 있다. 간사는 위원회 사무를 담당한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7조 (위원장) |
1. 위원회는 제10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결의로 위원회를 대표하는 위원장을 사외이사 중에서 선정하여야 한다. 이 경우 수인의 위원이 공동으로 위원회를 대표할 것을 정할 수 있다.2. 위원장은 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하며 위원회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위원별로 업무를 분장하게 할 수 있다.3. 위원장 유고시에는 위원회에서 정한 위원이 그 직무를 대행한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9조 (소집권자) |
1. 위원회는 위원장이 소집한다. 다만, 위원장이 유고로 인하여 위원장의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제6조 제3항에 따른 직무대행자가 소집한다.2. 각 위원은 위원장에게 의안과 그 사유를 밝혀 위원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위원장이 정당한 사유 없이 위원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위원회 소집을 요구한 위원이 위원회를 소집할 수 있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10조 (소집절차) |
1. 위원회를 소집함에는 회일을 정하고 그 1일 전까지 각 위원에 대하여 문서(전자문서, 이메일포함) 또는 구두(유무선 통신 포함)로 통지한다. 2. 위원회는 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제1항의 절차 없이 언제든지 회의를 열 수 있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11조 (결의방법) |
1. 위원회의 결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로 한다. 다만, 외부감사인의 선임 및 변경 해임 요청을 결의하는 경우에는 재적위원 3분의 2 이상의 출석과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2. 위원회는 위원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위원이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위원은 위원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다만, 주식회사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이하 "외감법"이라 한다)에서 대면회의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본문에도 불구하고 동영상 및 음성이 동시에 송·수신되는 장치가 갖추어진 서로 다른 장소에서 진행하는 원격영상회의 방식에 의하여만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3. 위원회의 의안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위원은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이 경우 행사할 수 없는 의결권의 수는 출석한 위원의 의결권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12조 (부의사항) |
1. 위원회에 부의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주주총회에 관한 사항 (1)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청구 (2) 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진술 2) 이사 및 이사회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대한 보고의무 (2) 감사보고서의 작성, 제출 (3)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청구 (4) 이사에 대한 영업보고 요구 (5) 이사회에서 위임받은 사항 (6) 이사회의 소집청구 3) 감사에 관한 사항 (1) 업무 재산 조사 (2) 자회사의 조사 (3) 이사의 보고 수령 (4) 회사간의 소에 관한 대표 (5) 소수주주의 이사에 대한 제소 요청시 소 제기 결정 여부 (6) 외부감사인의 선정을 위한 검토 (7) 외부감사인 선정 및 변경, 해임 요청 (8) 외부감사인으로부터 이사의 직무수행에 관한 부정행위 또는 법령이나 정관에 위반되는 중요한 사실의 보고 수령 (9) 외부감사인으로부터 회사가 회계처리 등에 관한 회계처리기준을 위반한 사실의 보고 수령 및 해당 위반사실 조사 및 대표이사에 대한 시정조치 요구 (10) 감사계획 및 결과, 외부감사인의 감사 활동에 대한 평가 및 감사결과 시 정 사항에 대한 조치 확인 (11) 중요한 회계처리기준의 적정성 및 회계추정 변경의 타당성 검토 (12) 내부회계관리규정의 제정 또는 개정 (13)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 평가 (14) 외부감사인의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에 관한 사항의 제·개정 (15) 외부감사인의 선정에 필요한 기준 및 절차의 제·개정 (16) 회사가 외부감사인 지정을 증권선물위원회에 요청하고자 하는 경우 그 에 대한 승인 (17) 회사가 지정감사인을 다시 지정하여 줄 것을 증권선물위원회에 요청하 고자 하는 경우 그에 대한 승인 (18) 내부감시장치의 가동현황에 대한 평가 (19) 내부감사부서 책임자의 임면 및 평가에 대한 동의 4) 기타 법령에 정하거나 정관 및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 및 이의 처리를 위하 여 필요한 사항 5) 기타 대표이사가 위원회에 보고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중요사항2. 이사회에 보고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이사회에서 위원회에 위임한 사항의 처리결과 2) 이사가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한 행위를 하거나 그 행위를 할 염려가 있는 경우 이에 관한 사항3. 위원회는 결의된 내용이 있는 경우 지체 없이 각 이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이사회는 결의한 사항에 대하여 다시 결의할 수 없다.4. 위원회의 부의사항 중 위원회가 회사의 중요사항으로서 이사회에 부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사항은 이를 이사회에 부의할 수 있다. 다만, 법령 또는 정관에 따라 위원회가 결의하여야 하는 사항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나) 감사위원회(감사)의 독립성
당사는 관련법령 및 정관에 따라 위원회의 구성, 운영 및 권한ㆍ책임 등을 감사위원회 규정에 정의하여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감사위원회 위원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선임한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있으며, 회계ㆍ재무 전문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원회는 3인 이상의 이사로 구성하며, 위원 총수의 3분의 2이상을 사외이사로 구성하고 사외이사가 대표를 맡는 등 관련법령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감사위원회의 감사업무 수행은 회계감사를 위해서는 재무제표 등 회계관련서류 및 회계법인의 감사절차와 감사결과를 검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회계법인에 대하여 회계에 관한 장부와 관련서류에 대한 추가 검토를 요청하고 그 결과를 검토합니다.그리고 감사위원회는 신뢰할 수 있는 회계정보의 작성 및 공시를 위하여 설치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내부회계관리자로부터 보고받고 이를 검토합니다. 또한 감사위원회는 업무감사를 위하여 이사회 및 기타 중요한 회의에 출석하고 필요할 경우에는 이사로부터 경영에 관한 보고를 받고 중요한 업무에 관한 회사의 보고에 대해추가검토 및 자료보완을 요청하는 등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토합니다.
구성 | 추천인 | 선임배경 | 임기 | 회사와의 관계 | 최대주주 또는주요주주와의 관계 |
---|---|---|---|---|---|
연임 횟수 | |||||
이갑성 |
이사회 | 경영지원 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하여 선임 | '23.12.14 ~ '26.12.14신규선임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박순욱(감사위원장 |
이사회 | 재무 및 회계 분야의 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하여 선임 | '23.12.14 ~ '26.12.14신규선임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최시훈 |
이사회 | 경영지원 전문가로서 이사회 운영에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판단과 함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하여 선임 | '23.12.14 ~ '26.12.14신규선임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하여 정관 및 감사위원회규정에 따라 다음과 같은 내부장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정관 제44조 (감사위원회의 직무 등) |
① 감사위원회는 당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② 감사위원회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③ 감사위원회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없이 보고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④ 감사위원회는 당 회사의 외부감사인을 선정한다. ⑤ 감사위원회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를 말하여, 이하 같다)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⑥ 제5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위원회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⑦ 감사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6항 외에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⑧ 감사위원회 결의에 대하여 이사회는 재결의할 수 없다.⑨ 감사위원회는 필요한 경우 당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구할 수 있다. |
감사위원회 규정 제3조 (권한) |
1. 위원회는 다음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1) 이사 등에 대한 영업의 보고 요구 및 회사의 업무, 재산상태 조사 2) 자회사에 대한 영업보고 요구 및 업무와 재산상태에 관한 조사 3) 임시주주총회의 소집 청구 4)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조력을 받을 권한 5) 위원 해임에 관한 의견진술 6) 이사의 보고 수령 7)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청구 8) 이사,회사간 소송에서의 회사 대표 9) 회계부정에 대한 내부신고, 고지가 있을 경우 그에 대한 사실과 조치내용 확인 및 신고.고지자의 신분 등에 관한 비밀유지와 신고.고지자의 불이익한 대우 여부 확인 10) 재무제표(연결재무제표 포함)의 이사회 승인에 대한 동의 11) 내부회계관리규정의 제·개정에 대한 승인 및 운영 실태 평가 12) 외부감사인의 선정2. 위원회는 다음 사항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 요구를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한다. 1)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회사내 모든 자료, 정보 및 비용에 관한 사항 2) 관계자의 출석 및 답변 3) 창고, 금고, 장부 및 관계서류, 증빙, 물품 등에 관한 사항 4) 그 밖에 감사업무 수행에 필요한 사항3. 위원회는 각 부서의 장에게 임직원의 부정행위가 있거나 중대한 과실이 있을때에는 지체 없이 보고할 것을 요구할 수 있으며 필요시 감사할수 있다. 4. 위원회는 이사에 대하여 직무상 다음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 의견의 제시, 조언, 권고의 의견표명 을 할 수 있다. 1) 회사 업무의 적정한 운영 및 합리화 등에 대하여 의견이 있는 경우 2) 회사에 현저한 손해 또는 중대한 사고 등이 초래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 견한 경우 3) 회사의 업무집행이 법령 또는 정관, 회계처리기준 등을 위반하거나 위반할 염려가 있는 사실을 발견한 경우 4) 위원회가 의견을 제시하거나 조언 또는 권고할 경우에는 이사는 책임의식 을 가지고 그 사실관계 및 배경 등을 충분히 조사하여야 한다.5. 중요 회의 출석 1) 위원은 경영방침의 결정 경과, 경영 및 업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임원 회의 및 그 밖의 중요한 회의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2) 전항의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한 경우 위원은 심의사항에 관하여 보고를 받 고 의사록 및 자료 등을 열람할 수 있다. |
(다) 감사위원회(감사)의 주요활동내역
위원회명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 성명 | ||
---|---|---|---|---|---|---|---|
이갑성 | 박순욱 | 최시훈 | |||||
찬반여부 | |||||||
감사위원회 | 1 | 2023.12.14 | 감사위원회 위원장 선임 | O | O | O | O |
감사위원회 | 2 | 2024.02.07 | 키스트론 외부감사인 선정 | O | O | O | O |
감사위원회 | 3 | 2024.03.13 | 2023년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보고 | O | O | O | O |
제32기 정기 주주총회 의안 보고 | O | O | O | O |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평가 | O | O | O | O | |||
감사위원회 | 4 | 2025.02.06 | 2025년 외부감사인 선임 | O | O | O | O |
(라)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미실시 | 당사의 감사위원회는 회계, 경영, 법률 전문가로서 전문성을 충분히 갖추고 있으므로 2023년 12월 14일 감사위원회 설치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감사위원회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으나, 추후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 필요한 경우 실시할 예정입니다. |
(마) 감사위원회(감사) 지원 조직 현황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직무수행 보조를 위한 별도의 지원조직을 두고 있지 않으나, 관리부문에서 감사위원회가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개최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타 사내 주요 현안에 대하여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서(팀)명 | 직원수(명) | 구성원 | 주요활동내역 |
---|---|---|---|
관리부문 | 5 | 부서장 1명,팀원 4명 | -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관리 총괄- 이사회 및 주주총회 관리 및 지원- 경영상 주요 정보 제공 등 |
(바) 준법지원인 등 지원조직 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1)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배제 | 미도입 | 미도입 |
실시여부 | - | - | -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상법 제382조의2에서 규정하고 있는 집중투표제를 정관 제29조제3항에 의거하여 배제하고 있습니다.
정관 제29조 (이사의 선임) |
---|
①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이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③ 2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382조의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
(2)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경영권 경쟁 여부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의결권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
구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보통주 | 13,259,110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F=A-B-C-D+E) | 보통주 | 13,259,110 | - |
우선주 | - | - |
(5) 주식사무
구분 | 내용 | ||
---|---|---|---|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
제11조 (신주인수권) ① 당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발행가격 등을 정하여 제1호 외의 방법으로 특정한 자(당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당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항 외의 방법으로 특정한 자(당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를 배정하기 위하여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2.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항 외의 방법으로 불특정 다수인(당 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 하고 이에 따라 청약을 한 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③ 제2항 제2호의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여야 한다. 1.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자의 유형을 분류하지 아니하고 불특정 다수의 청약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2.관계 법령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까지 포함하여 불특정다수인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3.주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이 있는 경우 이를 불특정 다수인에게 신주를 배정받을 기회를 부 여하는 방식 4.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인수인 또는 주선인으로서 마련한 수요예측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특정한 유형의 자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④ 제2항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의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의 2주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수 있다.⑤ 당 회사가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⑥ 당 회사는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그 기일까지 신주인수의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그 가액을 납입하지 아니한 주식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발행가액의 적정성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⑦ 당 회사는 신주를 배정하면서 발생하는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⑧ 당 회사는 제1항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
||
결산일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의 시기 | 사업연도 종료 후3개월 이내 |
기준일 |
제13조 (기준일) ① 당 회사는 매년 12월 31일 현재 최종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정기주주총회에서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한다.② 당 회사는 임시주주총회 소집 기타 필요한 경우 이사회 결의로 정한 날에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를 그 권리를 행사할 주주로 할 수 있으며, 당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날의 2주 전에 이를 공고하여야 한다. |
||
주권의 종류 |
제5조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로 한다. 제6조 (1주의 금액)당 회사가 발행하는 주식 1주의 금액은 500원으로 한다.제8조 (주식의 종류) 당 회사가 발행할 주식은 기명식 보통주식으로 한다. |
||
명의개서대리인 |
제10조 (명의개서대리인) ① 당 회사는 주식의 명의개서대리인을 둔다.② 명의개서대리인 및 그 영업소와 대행업무의 범위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당 회사는 주주명부 또는 그 복본을 명의개서대리인의 사무취급장소에 비치하고, 주식의 전자등록, 주주명부의 관리, 기타 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하게 한다.④ 제3항의 사무취급에 관한 절차는 명의개서대리인의 증권명의개서대행 업무규정에 따른다.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 없음 | ||
공고 방법 | 제4조(공고방법)당 회사의 공고는 당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stron.com/)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당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안산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경인매일신문에 게재한다. |
(6)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개최일자 | 구분 | 의안내용 | 결의내용 | 비고 |
---|---|---|---|---|
2019-03-28 |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결산보고서 승인에 관한 건(2018년)제2호 의안: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승인의 건제3호 의안: 임원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제4호 의안: 사내이사 선임의 건제5호 의안: 감사 선임의 건 | 가결 | - |
2020-03-31 |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 제28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에 관한 건제2호 의안: 2020년도 임원등의 보수 한도액(안) 승인의 건 | 가결 | - |
2020-08-27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합병승인의 건 | 가결 | - |
2020-10-05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 합병경과 보고의 건제2호 의안: 정관변경의 건제3호 의안: 사내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 |
2021-03-30 |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 제29기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 승인의 건제2호 의안: 제29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제3호 의안: 임원 선임의 건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 가결 | - |
2021-11-09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키스트론 주식매수의 건 | 가결 | - |
2021-11-25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합병승인의 건 | 가결 | - |
2021-11-25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합병계약승인의 건 | 가결 | - |
2021-12-31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합병경과 보고의 건제2호 의안: 정관변경의 건제3호 의안: 사내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 |
2022-03-30 |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 제30기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승인의 건제2호 의안 : 이사, 감사 선임의 건제3호 의안: 임원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 가결 | - |
2023-03-30 |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제31기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제3호 의안: 임원(이사, 김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제4호 의안: 정관개정의 건 | 가결 | - |
2023-12-14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정관개정의 건제2호 의안: 임원퇴직금지급규정 개정의 건제3호 의안: 주주총회 운영규정 승인의 건제4호 의안: 이사(사내이사, 사외이사) 선임의 건제5호 의안: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선임의 건 | 가결 | |
2024-03-28 | 정기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제32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제2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 가결 | |
2024-12-31 | 임시주주총회 | 제1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2025.01.01) | 제출일 현재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홍영철 | 최대주주 본인 | 보통주 | 3,752,520주 | 28.30% | 3,752,520주 | 28.30% | - |
홍석표 | 최대주주 자 | 보통주 | 3,200,850주 | 24.14% | 3,200,850주 | 24.14% | - |
홍희연 | 최대주주 녀 | 보통주 | 1,016,510주 | 7.67% | 1,016,510주 | 7.67% | - |
신재명 | 최대주주 사위 | 보통주 | 315,460주 | 2.38% | 315,460주 | 2.38% | - |
홍덕산업㈜ | 관계회사 | 보통주 | 3,167,130주 | 23.89% | 3,167,130주 | 23.89% | - |
키스와이어홀딩스㈜ | 관계회사 | 보통주 | 940,520주 | 7.09% | 940,520주 | 7.09% | - |
고려제강㈜ | 관계회사 | 보통주 | 866,120주 | 6.53% | 866,120주 | 6.53% | - |
계 | 보통주 | 13,259,110주 | 100.00% | 13,259,110주 | 100.00% | - |
나. 최대주주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성 명 |
직책 |
주요경력 |
비고 |
---|---|---|---|
홍열철 | 고려제강 회장 | 1967.02 경복고등학교 졸업1971.02 연세대학교 경영학과졸업1971.02 고려제강 입사1973.02 미국 유타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1988.01 고려제강 대표이사 사장2000.01 한미은행 사외이사 2001.03 고려제강 회장 취임2006.03 금호타이어 사외이사 | - |
(2) 최대주주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특정 거래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최대주주 변동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주식의 분포 (1) 주식 소유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구 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 고 |
---|---|---|---|---|
5% 이상 주주 |
홍영철 | 3,752,520주 | 28.30% |
- |
홍석표 | 3,200,850주 | 24.14% | ||
홍덕산업㈜ | 3,167,130주 | 23.89% | ||
홍희연 | 1,016,510주 | 7.67% | ||
키스와이어홀딩스㈜ | 940,520주 | 7.09% | ||
고려제강㈜ | 866,120주 | 6.53% | ||
1% 이상 주주 | 신재명 | 315,460주 | 2.38% | |
합계 |
13,259,110주 |
100.00% |
- |
(2) 소액주주 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임원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여부 | 상근여부 | 담당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
의결권있는주식 | 의결권없는주식 | |||||||||||
정민호 | 남 | 1961.11 | 대표이사 | 등기 | 상근 |
경영 총괄 |
부산대 금속공학과 졸업 ('87.02)고려제강 수영공장 품질관리과 입사('86.12)고려제강 국내영업부문장 ('08.01~'09.12)KSJP 대표이사 ('10.01~13.09)키스트론 대표이사 ('14.01~현재) | - | - | - | 11년 3개월 | 2027.12.31 |
권대희 | 남 | 1962.10 | 사내이사 | 등기 | 상근 |
생산총괄 |
울산과학대 공업경영학(학사) ('83.02)국제문화대학원 문예창작학(석사) ('10.02)키스트론 품질관리과 입사 ('94.08)키스트론 생산부문장 ('08.11~현재) | - | - | - | 30년 8개월 | 2027.12.31 |
김상수 | 남 | 1968.12 | 사내이사 | 등기 | 상근 | CFO | 마산상고 졸업 ('87.02)고려제강 경리팀 입사 ('90.06)키스트론 재무팀장 ('08.11~'19.01)키스트론 관리부문장 ('19.02~현재) | - | - | - | 16년 5개월 | 2026.12.14 |
박순욱 | 남 | 1972.01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이사회감사위원회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96.02)서울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99.02)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상무 ('96.10~'16.10)㈜넥스트핀테크 대표이사 ('16.11~'18.05)우리회계법인 전무이사,한국공인회계사회 내부회계관리제도 연구위원 ('20.08∼현재)키스트론 사외이사 ('23.12~현재) | - | - | - | 1년 4개월 | 2026.12.14 |
이갑성 | 남 | 1977.03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이사회감사위원회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졸업 ('01.02)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졸업 ('13.02) 법무법인 디카이온 변호사 ('13.07~'18.12) 국민연금공단 기금분야 자문변호사 ('20.01~'21.12) 서울지방국세청 국제심사위원회 위원 ('21.07~'23.06)법무법인 위즈 변호사 ('19.01~현재) 키스트론 사외이사 ('23.12~현재) |
- | - | 1년 4개월 | 2026.12.14 | |
최시훈 | 남 | 1968.05 | 사외이사 | 등기 | 비상근 | 이사회감사위원회 |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석사 ('94.02) 서울대학교 금속공학과 박사 ('98.02) Alcoa 기술연구소 USA Micromechanics ('98.03~'00.02) POSCO 기술연구소 자동차소재연구그룹 선임/책임연구원('00.03~'05.03) 순천대학교 첨단부품소재공학과 교수 ('13.06∼현재) 키스트론 사외이사 ('23.12~현재) |
- | - | - | 1년 4개월 | 2026.12.14 |
나. 타회사 임원겸직 현황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성 명 (생년월일) |
회사명 | 직책명 | 재직기간 | 겸직회사와 신청회사의 관계 | 비 고 |
---|---|---|---|---|---|
박순욱 (1972.01.27) |
우리회계법인 | 전무이사 |
2020.08~현재 |
- | - |
최시훈 (1968.05.05) |
순천대학교 첨단부품소재공학과 |
교수 |
2013.06~현재 |
- | - |
이갑성 (1977.03.11) |
법무법인 위즈 | 변호사 |
2019.01~현재 |
- | - |
다. 직원 등 현황
(기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명, 원) |
직원 | 소속 외 | 비고 | |||||||||||
근로자 | |||||||||||||
사업 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균근속연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 | 기간제 | 합 계 | |||||||||||
없는 근로자 | 근로자 | ||||||||||||
전체 | 단시간 | 전체 | 단시간 | ||||||||||
근로자 | 근로자 | ||||||||||||
임원 | 남 | 6 | - | - | - | 6 | 10년1개월 | 714,417,000 | 119,069,500 | - | - | - | - |
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재무 | 남 | - | - | - | - | - | - | - | - | - | - | - | - |
여 | 4 | - | - | - | 4 | 1년5개월 | 144,761,200 | 36,190,300 | - | - | - | - | |
총무 | 남 | 2 | - | - | - | 2 | 14년8개월 | 106,620,870 | 53,310,435 | - | - | - | - |
여 | 1 | - | - | - | 1 | 5년0개월 | 43,179,140 | 43,179,140 | - | - | - | - | |
구매 | 남 | 1 | - | - | - | 1 | 15년6개월 | 83,096,060 | 83,096,060 | - | - | - | - |
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영업 | 남 | 4 | - | - | - | 4 | 2년5개월 | 197,176,870 | 49,294,218 | - | - | - | - |
여 | 1 | - | - | - | 1 | 11년5개월 | 48,666,660 | 48,666,660 | - | - | - | - | |
생산관리 | 남 | 5 | - | - | - | 5 | 10년4개월 | 287,134,860 | 57,426,972 | - | - | - | - |
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품질관리 | 남 | 3 | - | - | - | 3 | 9년8개월 | 194,898,700 | 64,966,233 | - | - | - | - |
여 | 1 | - | 1 | - | 2 | 1년7개월 | 78,413,810 | 39,206,905 | - | - | - | - | |
연구 | 남 | 3 | - | - | - | 3 | 1년8개월 | 162,879,080 | 54,293,027 | - | - | - | - |
여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산사무 | 남 | 6 | - | - | - | 6 | 11년7개월 | 385,060,930 | 64,176,822 | - | - | - | - |
여 | 3 | - | - | - | 3 | 1년4개월 | 118,645,930 | 39,548,643 | - | - | - | - | |
생산기능 | 남 | 44 | - | 11 | - | 55 | 9년5개월 | 3,311,863,350 | 60,215,697 | - | - | - | - |
여 | - | - | 2 | - | 2 | 2년5개월 | 36,216,400 | 18,108,200 | - | - | - | - | |
태양광 | 남 | - | - | 1 | - | 1 | 2년7개월 | 86,695,360 | 86,695,360 | - | - | - | - |
여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84 | - | 15 | - | 99 | 8년5개월 | 5,999,726,220 | - | - | - | - |
주1) | 직원의 수는 2024년 12월말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미등기임원을 포함하였습니다. |
주2) | 평균 근속연수는 2024년 12월말 기준 개인별 근속연수의 평균을 기재하였습니다. |
주3) | 연간 급여총액은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급여로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기지급된 성과급과 해외 파견자의 경우 지급되는 해외근무수당을 포함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주4) | 1인 평균 급여액은 연간급여총액÷인원수 값을 산출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라.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당사 임원은 모두 등기임원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1) 주주총회 승인금액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등기이사 | 3 | 1,500 | - |
사외이사 | 3 | - |
주1) | 상기 주주총회 승인금액은 2024년 3월 28일에 개최한 정기주주총회의 이사의 보수 한도입니다. |
(2) 보수지급금액
(가) 이사ㆍ감사 전체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백만원)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6 | 727 | 121 | - |
(나) 유형별
(기준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명, 백만원) |
구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사외이사 제외) | 3 | 583 | 194 | - |
사외이사(감사위원회 위원) | 3 | 144 | 48 | - |
주1) | 인원수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주2) | 보수총액은 근로소득 기준으로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지급된 금액이며,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인원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
(3) 이사ㆍ감사의 보수지급기준 이사 및 감사의 보수는 주주총회의 승인을 받은 금액 내에서 직무수행에 대한 역할 및 활동 수준, 전문성, 회사 기여도 등을 감안하여 집행하고 있습니다.
나.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당사의 개인별 보수 지급액이 5억원 이상인 이사 및 감사는 없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계열회사 현황(요약)
가. 기업집단의 명칭 및 소속회사의 명칭 당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의 출자총액제한기업집단 또는 상호출자제 한기업집단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를 제외하고 계열회사를 두고 있지 않습니다.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고려제강그룹 | 1 | 13 | 14 |
※상세 현황은 '상세표 - 3.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나. 계열회사간 계통도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계열회사간의 업무조정이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기구 또는 조직이 있는 경우 그 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계열회사 중 회사의 경영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회사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회사와 계열회사간 임원 겸직 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단위 : 백만원)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 - | - | - | - | - | - |
일반투자 | - | - | - | - | - | - | - |
단순투자 | 1 | - | 1 | - | - | - | - |
계 | - |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고려제강(주) | 상장 | 1988-04-02 |
계열사 네트워크 활용단순투자 |
1,245 | 3,531,212 | 14.12% | 71,684 | -230,000 | -52,440 | -7,513 | 3,301,212 | 13.20% | 58,927 | 2,609,169 | 29,275 |
1. 대주주에 대한 신용공여 등
가. 가지급금 및 대여금에 대한 내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담보제공 및 채무보증 등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그 밖의 보증의 성격을 가지는 이행약속 등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가. 증권 등 매수 또는 매도 내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부동산 매매 또는 임대차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기타 무형자산의 매입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가. 대주주와의 거래내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나. 대주주와의 채권ㆍ채무의 내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그 외 거래내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대주주에 대한 주식기준보상 거래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5.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가.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재화의매출 | 재화의매입 | 기타비용 | 유형자산 취득 | 사용권자산 취득 | 배당수익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67,856 | 117,498 | - | 7,844 | 117,290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 | 3,461 | - | 20,004 | - | |
기타 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 | 56,255 | 133,194 | - | 96,094 | 1,235,924 |
고려강선㈜ | - | - | 100,218 | - | 258,457 | - | |
KAT㈜ | - | - | 5,712 | - | 47,527 | - | |
홍덕섬유㈜ | - | - | 1,206 | - | 32,247 | - | |
서울청과㈜ | - | - | 1,658 | - | - | - | |
합 계 | - | 124,111 | 362,947 | - | 462,173 | 1,353,214 |
나.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채권ㆍ채무의 내역
(기준일 : 2024년 12월 31일) |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채 무 | |
---|---|---|---|
매입채무 | 기타채무 | ||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홍덕산업㈜ | - | 448,326 |
키스와이어홀딩스㈜ | - | 29,191 | |
기타특수관계자 | 고려제강㈜ | 4,400 | 518,939 |
고려강선㈜ | - | 536,968 | |
KAT㈜ | - | 56,186 | |
홍덕섬유(주) | - | 32,287 | |
서울청과 | - | 12,976 | |
합 계 | 4,400 | 1,634,873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담보제공 및 채무보증 내역
(단위: 원, USD) |
구분 | 법인 | 관계 | 채권자 | 2023년도 | 2024년도 | 보증기간 |
(제32기) | (제33기) | |||||
채무보증 | 엘에스전선 | 채무자 | 기업 은행 | 115,980,000 | - | - |
- | ||||||
신영금속㈜ | 채무자 | - | 50,916,198 | 2024.12.26~2025.01.02 | ||
RIOTINTO (COMALCO) | 채무자 | 하나은행 | 320,770,291( $248,774.85) | 652,772,066( $444,062.63) | 2024.12.02~2025.02.04 | |
325,214,505 ($252,221.58) | - | 2024.12.02~2025.02.04 | ||||
합 계 | 761,964,796 ($507,009.91) | 703,688,264 ($444,062.63) | - | |||
담보제공 | KELTRON | 채권자 | 기업은행 | 7,892,091 ($6,013.48) | - | - |
합계 | 7,892,091($6,013.48 ) | - | - | |||
총합계 | 769,856,887 ($513,023.39) | 703,688,264 ($444,062.63) | - |
라. 할인어음(배서어음포함)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기타의 우발채무 등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금융기관과의 약정사항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금융기관 | 내 용 |
2023년 (제32기) |
2024년 (제33기) |
||
---|---|---|---|---|---|
한도금액 |
사용액 (차입금잔액) |
한도금액 |
사용액 (차입금잔액) |
||
기업은행 | 일반자금대출 | 6,000 | 6,000 | 6,000 | 6,000 |
기업은행 | 무역금융 | 3,000 | 124 | 3,000 | 51 |
하나은행 | 무역금융 | 3,224 | 646 | 3,675 | 652 |
소계 | 12,224 | 6,770 | 12,675 | 6,703 |
한편, 차입금과 관련하여 당사가 담보로 제공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사업년도 | 담보자산 | 장부금액 | 담보설정금액 | 관련금액 | 담보권자 |
---|---|---|---|---|---|
2023년도 (제32기) |
토지 | 15,387 |
22,922 (USD 150,000) |
6,124 | 기업은행 |
건물 | 4,548 | ||||
2024년도 (제33기) |
토지 | 11,040 |
11,040 |
6,051 | 기업은행 |
건물 | - |
바.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가. 제재 현황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다.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법적위험 변동사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기업인수목적회사의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의무 및 과거 합병에 관한 사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아. 합병등의 사후정보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자. 녹색경영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차. 정부의 인증 및 그 취소에 관한 사항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카.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채무재조정 사유 등의 변동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타. 보호예수 현황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상장규정에 근거하여 금번 공모에 따라 예정된 보호예수 사항 이외에, 당사가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증권신고서 면제 등의 사유로 예탁결제원, 한국증권금융 등에 보호예수 중인 주식이 없습니다.
파. 특례상장기업의 사후정보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업의 내용과 관련된 사항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3. 계열회사 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1 | 고려제강 | 180111-0001220 |
비상장 | 13 | 고려강선(주) | 184511-0000296 |
홍덕산업(주) | 171711-0099505 | ||
홍덕섬유(주) | 181211-0011002 | ||
케이.에이.티.(주) | 160111-0170566 | ||
서울청과(주) | 110111-0392756 | ||
케이앤에스와이어(주) | 234111-0073258 | ||
키스와이어홀딩스(주) | 181211-0011664 | ||
홍덕종묘(주) | 134411-0111681 | ||
케이랩(주) | 160111-0416283 | ||
키스트론홀딩스 | 180111-1524180 | ||
SYS 홀딩스 | 110111-2275679 | ||
SYS 리테일 | 110111-0012669 | ||
전자랜드닷컴 | 110111-0772338 |
4. 타법인 출자현황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단위 : 백만원) |
출자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장부가액 | 증가(감소) | 기말장부가액 |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
경영참여 | - | - | - | - | - | - | - |
일반투자 | - | - | - | - | - | - | - |
단순투자 | 1 | - | 1 | - | - | - | - |
계 | - | - | - | - | - | - | - |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고려제강(주) | 상장 | 1988-04-02 |
계열사 네트워크 활용단순투자 |
1,245 | 3,531,212 | 14.12% | 71,684 | (230,000) | (52,440) | (7,513) | 3,301,212 | 13.20% | 58,927 | 2,609,169 | 29,275 |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