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5월 20일 |
회 사 명 : | 키스트론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정민호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원시동) |
(전 화) 031-491-6501 | |
(홈페이지) http:// www.kistron.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성 명) 김상수 |
(전 화) 031-489-6703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3월 28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6,3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22,680,000,000원
4. 정정사유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5. 정정사항 금번 정정은 기재내용 추가 및 보완을 위한 정정으로서, 정정사항은 "굵은 빨간색" 으로 기재하였습니다.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공통 정정사항 | - 모집(매출)가액(예정) : 3,100원 ~ 3,6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19,530,000,000원 ~ 22,680,000,0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1,575,000주 ~ 1,890,0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4,410,000주 ~ 4,725,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30.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0.0% ~ 75.0% | - 모집(매출)가액(예정) : 3,6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 22,680,000,0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1,575,0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4,725,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5.0% |
요약 정보 | 요약정보의 모든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므로,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습니다. 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1. 공모개요 | (주1) 정정 전 | (주1) 정정 후 |
2. 공모방법 | (주2) 정정 전 | (주2) 정정 후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주3) 정정 전 | (주3) 정정 후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주4) 정정 전 | (주4) 정정 후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주5) 정정 전 | (주5) 정정 후 |
III. 투자위험요소 | ||
1. 사업위험 - 사. 신규 사업 추진에 따른 위험 | (주6) 정정 전 | (주6) 정정 후 |
2. 회사위험 - 다. 복잡한 지배구조 관련 위험 | (주7) 정정 전 | (주7) 정정 후 |
2. 회사위험 -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 (주8) 정정 전 | (주8) 정정 후 |
3. 기타위험 - 사. 청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 | (주9) 정정 전 | (주9) 정정 후 |
3. 기타위험 -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 (주10) 정정 전 | (주10) 정정 후 |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주11) 정정 전 | (주11) 정정 후 |
V. 자금의 사용목적 |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 (주12) 정정 전 | (주12) 정정 후 |
2. 자금의 사용 목적 | (주13) 정정 전 | (주13) 정정 후 |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
VIII.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 ||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 (주14) 정정 전 | (주14) 정정 후 |
XI. 상세표 | ||
4. 타법인 출자현황 | (주15) 정정 전 | (주15) 정정 후 |
(주1) 정정 전
1. 공모개요
(단위: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6,300,000 | 500 | 3,100 | 19,53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6,300,000 | 19,530,000,000 | 804,636,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05.22 ~ 2025.05.23 | 2025.05.27 | 2025.05.22 | 2025.05.27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참고 목적으로 희망공모가액 최고가액인 3,600원 기준 금번 공모의 모집(매출)총액은 22,680,000,000원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과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4년 10월 18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4년 12월 19일 )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 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1) 정정 후
1. 공모개요
(단위: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보통주 | 6,300,000 | 500 | 3,600 | 22,68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보통주 | 6,300,000 | 22,680,000,000 | 934,416,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5.05.22 ~ 2025.05.23 | 2025.05.27 | 2025.05.22 | 2025.05.27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 신한투자증권㈜과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3,600원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기관투자자 및 일반청약자의 청약은 2025년 05월 22일 (목)~ 23일 (금) (2일간) 까지 이틀간 동일한 날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의 경우 대표주관회사에 두 차례 이상 청약하는 이중청약이 금지되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4년 10월 18일)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 승인(2024년 12월 19일 )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 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상장을 위해 모집(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 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 및 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상기 취득금액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협의하여 확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상기 의무 취득분은 확정가액에 따라 취득수량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9) | 총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다만, 공모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인수대가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2) 정정 전
2. 공모방법
금번 키스트론 주식회사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4,400,000주(공모주식의 69.84%), 구주매출 1,900,000주(공모주식의 30.16%)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공 모 대 상 | 주식수 (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6,3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6,300,000주(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자 유형군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1,575,000 ~ 1,890,000 | 25.0% ~30.0% | 3,100원 | 4,882,500,000원 ~ 5,859,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4,410,000 ~ 4,725,000 | 70.0% ~ 75.0% | 13,671,000,000원 ~ 14,647,5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6,300,000 | 100.0% | 19,53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하는 경우 공모주식의 20%에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수량을 제외한 주식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모 집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4,4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4,400,000주(100.0%) | - |
【모집 세부내역】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 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1,100,000 ~ 1,320,000 | 25.0% ~30.0% | 3,100원 | 3,410,000,000원 ~ 4,092,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3,080,000 ~ 3,300,000 | 70.0% ~75.0% | 9,548,000,000원 ~ 10,23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4,400,000 | 100.0% | 13,640,000,000원 | - |
주1)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 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 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 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3,100원으로서 청약일 전에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그리고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7)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매출방법 : 일반공모】 |
매 출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1,9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1,900,000주(100.0%) | - |
【매출 세부내역】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매출 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475,000 ~ 570,000 | 25.0% ~30.0% | 3,100원 | 1,472,500,000원 ~ 1,767,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1,330,000 ~ 1,425,000 | 70.0% ~75.0% | 4,123,000,000원 ~ 4,417,5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900,000 | 100.0% | 5,890,000,000원 | - |
주1) | 금번 매출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2) | 금번 매출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 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 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 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매출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3,100원으로서 청약일 전에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그리고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7) | 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 위탁의 내용 및 조건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 |
---|---|---|---|
키스트론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 | 매출 주주 고려제강㈜ 의 보유주식 866,120주를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866,120주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 |
매출 주주 홍덕산업㈜의 보유주식 1,033,880주를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1,033,880주 | ||
합계 | 1,900,000주 |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단위: 주)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증권의 종류 | 매출 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주1)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고려제강 ㈜ | 관계회사 | 기명식보통주 | 866,120 | 866,120 | - |
홍덕산업 ㈜ | 관계회사 | 기명식보통주 | 3,167,130 | 1,033,880 | 2,133,250 |
합 계 | 4,033,250 | 1,900,000 | 2,133,250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상장주선인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189,000주 | 3,100원 | 585,900,000원 | - |
합계 | 189,000주 | 585,9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확정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 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2) 정정 후
2. 공모방법
금번 키스트론 주식회사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4,400,000주(공모주식의 69.84%), 구주매출 1,900,000주(공모주식의 30.16%)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공 모 대 상 | 주식수 (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6,3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6,300,000주(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에는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자 유형군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1,575,000 | 25.0% | 3,600원 | 5,670,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4,725,000 | 75.0% | 17,01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6,300,000 | 100.0% | 22,68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 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1항 제6호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이 공모주식의 20% 미만을 청약하는 경우 공모주식의 20%에서 우리사주조합원의 청약수량을 제외한 주식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3항에 따라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모 집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4,4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4,400,000주(100.0%) | - |
【모집 세부내역】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 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1,100,000 | 25.0% | 3,600원 | 3,960,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3,300,000 | 75.0% | 11,88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4,400,000 | 100.0% | 15,840,000,000원 | - |
주1) | 금번 모집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2) | 금번 모집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 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 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 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모집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
주7)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을 근거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1) 매출의 방법
【매출방법 : 일반공모】 |
매 출 대 상 | 주 수(비율) | 비 고 |
일 반 공 모 | 1,900,000주(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 계 | 1,900,000주(100.0%) | - |
【매출 세부내역】 |
공모대상 | 배정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매출 총액 | 비 고 |
일반청약자 | 475,000 | 25.0% | 3,600원 | 1,710,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1,425,000 | 75.0% | 5,13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
합 계 | 1,900,000 | 100.0% | 6,840,000,000원 | - |
주1) | 금번 매출에서 일반청약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2) | 금번 매출에서 기관투자자에게 배정된 주식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를 통하여 청약이 실시됩니다. | |||||||
주3) |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
주4) |
기관투자자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 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0조 제2항 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 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 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 다. 「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 라. 「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 마.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 바.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 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조 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 아. 「금융투자업규정」 제3-4조 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5조 제1항 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 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 상기 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해외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제출하지 않을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 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 다음 각 항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 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동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 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 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 이상이어야 합니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벤처투자 촉진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에 가목 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항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항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제3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제3항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의 경우에는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1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신탁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신탁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신탁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신탁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신탁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신탁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신탁회사는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5)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 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 및 우리사주조합과 기관투자자의 청약 결과에 따라 청약일 및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②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참조) 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1항 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④, ⑤ 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6) | 주당 매출가액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및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
주7) | 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입니다. | |||||||
주8)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2) 매출의 위탁(또는 재위탁)에 관한 사항
수탁자의 명칭 및 주소 | 위탁의 내용 및 조건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방법 | |
---|---|---|---|
키스트론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68번길 37) | 매출 주주 고려제강㈜ 의 보유주식 866,120주를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866,120주 | 매출 잔량이 발생한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 |
매출 주주 홍덕산업㈜의 보유주식 1,033,880주를 수요예측 후 결정된 공모가액으로 매출 | 1,033,880주 | ||
합계 | 1,900,000주 |
(3) 매출대상주식의 소유자에 관한 사항
(단위: 주)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증권의 종류 | 매출 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주1)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고려제강 ㈜ | 관계회사 | 기명식보통주 | 866,120 | 866,120 | - |
홍덕산업 ㈜ | 관계회사 | 기명식보통주 | 3,167,130 | 1,033,880 | 2,133,250 |
합 계 | 4,033,250 | 1,900,000 | 2,133,250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주식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상장주선인 | 취득 주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대표주관회사 | 신한투자증권㈜ | 189,000주 | 3,600원 | 680,400,000원 | - |
합계 | 189,000주 | 680,40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모집(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 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시점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
(주3) 정정 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격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통하여 개별 통보(부득이한 경우 유선 Fax 및 E-mail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는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공모희망가액 | 3,100원 ~ 3,6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결정할 예정입니다. |
수요예측 결과 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상기 도표에서 제시한 주당 공모희망가액 범위는 키스트론㈜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공모희망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최종 확정할 예정입니다. 공모희망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기관투자자 | 4,410,000주 ~ 4,725,000주 | 70.0%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6,3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2) | 일반청약자 배정분 1,575,000주~1,890,000주(25.0%~30.0%) 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중략)(12) 기타 수요예측 실시에 관한 유의사항 ① 수요예측에 참가하지 않았거나, 수요예측에 참여하였으나 배정받지 못한 경우에도 공모가액으로 배정을 받기를 희망하는 기관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에 미리 청약의의사를 표시하고 청약일에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수요예측에서 배정된 수량이 모두 청약된 경우에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② 상기와 같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추가 청약 후 잔여물량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일반청약자 배정 물량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③ 상기 배정의 결과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하여 배정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대표주관회사가 판단하여 배정에 대한 기준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④ 수요예측 참가 시 참가신청서를 허위로 작성 또는 제출된 참가신청서를 임의로 변경하거나 허위자료를 제출하는 경우 수요예측 참여 자체를 무효로 합니다.
(주3) 정정 후
3. 공모가격 결정방법
가. 공모가격 결정 절차 금번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공모가격은『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에서 정하는 수요예측에 의한 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에 의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금번 공모 시에는 동 규정 제5조제1항제2호의 단서조항은 적용하지 않습니다.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
제5조(주식의 공모가격 결정 등) ① 기업공개를 위한 주식의 공모가격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결정한다. 1.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단일가격으로 정하는 방법 2.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감안하여 인수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정하는 방법. 다만, 제2조제8호에 불구하고 인수회사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이하 "창업투자회사등"이라 한다)의 수요예측등 참여를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창업투자회사등은 기관투자자로 본다. 가. 제6조제4항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조합 나. 영 제10조제3항제12호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기금 및 그 기금을 관리·운용하는 법인 다. 「사립학교법」제2조제2호에 따른 학교법인 라.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제2조제4호에 따른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
한편, 수요예측을 통한 개략적인 공모가격 결정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요예측을 통한 공모가격 결정 절차] |
① 수요예측 안내 | ② IR 실시 | ③ 수요예측 접수 |
수요예측 안내 공고 | 기관투자자 IR 실시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접수 |
④ 공모가격 결정 | ⑤ 물량 배정 | ⑥ 배정물량 통보 |
수요예측 결과 및 증시 상황 등 감안, 대표주관회사, 공동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공모가격 결정 | 확정공모가격 이상의 가격을 제시한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물량 배정 |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을 대표주관회사 홈페이지 통하여 개별 통보(부득이한 경우 유선 Fax 및 E-mail 통보)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 는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주당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공모희망가액 | 3,100원 ~ 3,6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3,6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
수요예측 결과 반영 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상기 도표에서 제시한 주당 공모희망가액 범위는 키스트론㈜의 실질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절대적 평가액이 아닙니다. 또한 향후 발생할 수 있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 영업 및 재무에 대한 위험, 산업에 대한 위험, 주식시장 상황의 변동가능성 등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와 같이 제시된 공모희망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 하였으며, 확정 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가 협의하여 주당 3,6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공모희망가액 산정과 관련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4.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기관투자자 | 4,725,000주 |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6,3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2) | 일반청약자 배정분 1,575,000주(25.0%) 는 수요예측 참여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중략)
(13) 수요예측 결과 (가) 수요예측 참여내역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 (유) 주1)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20 | 1,025 | 303 | 18 | 47 | 632 | 132 | 24 | 110 | 2,311 |
수량 | 83,189,000 | 2,651,947,000 | 520,733,000 | 85,050,000 | 207,042,000 | 1,046,539,000 | 517,638,000 | 47,362,000 | 231,483,000 | 5,390,983,000 |
경쟁률 | 17.61 | 561.26 | 110.21 | 18.00 | 43.82 | 221.49 | 109.55 | 10.02 | 48.99 | 1,140.95 |
주1)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주2) | 경쟁률은 기관투자자 배정주수 4,725,000주를 기준으로 산출한 단순 경쟁률입니다. |
(나)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구 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 계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 (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유) (주1) | 거래실적(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상단의 130% 초과 | - | - | 12 | 25,298,000 | 3 | 3,345,000 | - | - | - | - | 4 | 5,920,000 | 2 | 7,125,000 | 1 | 4,725,000 | 26 | 19,600,000 | 48 | 66,013,000 |
밴드상단의 120% 초과~밴드상단의 130% 이하 | - | - | 56 | 124,791,000 | 11 | 11,911,000 | - | - | 2 | 9,450,000 | 14 | 14,233,000 | 3 | 10,645,000 | 2 | 9,450,000 | - | - | 88 | 180,480,000 |
밴드상단의 110% 초과~밴드상단의 120% 이하 | 2 | 9,450,000 | 50 | 136,700,000 | 21 | 42,035,000 | - | - | 7 | 33,075,000 | 37 | 98,570,000 | 8 | 27,770,000 | 5 | 9,501,000 | 10 | 7,939,000 | 140 | 365,040,000 |
밴드 상단 초과~밴드상단의 110% 이하 | - | - | 4 | 14,080,000 | 9 | 14,970,000 | - | - | - | - | 3 | 11,756,000 | - | - | - | - | - | - | 16 | 40,806,000 |
밴드 상단 | 18 | 73,739,000 | 888 | 2,303,021,000 | 257 | 446,313,000 | 18 | 85,050,000 | 38 | 164,517,000 | 572 | 910,724,000 | 119 | 472,098,000 | 16 | 23,686,000 | 74 | 203,944,000 | 2,000 | 4,683,092,000 |
밴드 상위 75% 초과~100% 미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75% 이하 | - | - | - | - | 2 | 2,159,000 | - | - | - | - | - | - | - | - | - | - | - | - | 2 | 2,159,000 |
밴드 상위 25% 초과~5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초과~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하위 2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미만~5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50% 미만∼7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75% 미만~100% 초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미만 | - | - | 2 | 4,837,0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4,837,000 |
미제시 | - | - | 13 | 43,220,000 | - | - | - | - | - | - | 2 | 5,336,000 | - | - | - | - | - | - | 15 | 48,556,000 |
합계 | 20 | 83,189,000 | 1,025 | 2,651,947,000 | 303 | 520,733,000 | 18 | 85,050,000 | 47 | 207,042,000 | 632 | 1,046,539,000 | 132 | 517,638,000 | 24 | 47,362,000 | 110 | 231,483,000 | 2,311 | 5,390,983,000 |
주1)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기관투자자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건, 주, %) |
구분 | 참여건수 기준 | 신청수량 기준 | ||
참여건수(건) | 비율 | 신청수량(주) | 비율 | |
가격미제시 | 15 | 0.65% | 48,556,000 | 0.90% |
3,600원 초과 | 292 | 12.64% | 652,339,000 | 12.10% |
3,600원 (상단) | 2,000 | 86.54% | 4,683,092,000 | 86.87% |
3,100원 초과 3,600원 미만 | 2 | 0.09% | 2,159,000 | 0.04% |
3,100원 (하단) | - | 0.00% | - | 0.00% |
3,100원 미만 | 2 | 0.09% | 4,837,000 | 0.09% |
합계 | 2,311 | 100.00% | 5,390,983,000 | 100.00% |
(다)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단위: 건, 주, %)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 개월 확약 | - | - | - | 14 | 46,880,000 | 3,986 | 1 | 1,421,000 | 3,600 | - | - | - | - | - | - | 14 | 22,332,000 | 3,786 |
3 개월 확약 | - | - | - | 109 | 272,583,000 | 3,903 | 17 | 19,968,000 | 3,682 | - | - | - | - | - | - | 21 | 22,916,000 | 3,686 |
1 개월 확약 | 1 | 2,572,000 | 3,600 | 59 | 160,169,000 | 3,602 | 3 | 1,771,000 | 3,600 | 1 | 4,725,000 | 3,600 | 5 | 23,625,000 | 4,200 | 10 | 22,043,000 | 3,690 |
15 일 확약 | 1 | 4,725,000 | 3,600 | 22 | 72,237,000 | 3,636 | 8 | 10,619,000 | 3,763 | - | - | - | 5 | 23,625,000 | 3,840 | 1 | 2,095,000 | 3,600 |
미확약 | 18 | 75,892,000 | 3,644 | 821 | 2,100,078,000 | 3,619 | 274 | 486,954,000 | 3,679 | 17 | 80,325,000 | 3,600 | 37 | 159,792,000 | 3,611 | 586 | 977,153,000 | 3,638 |
합계 | 20 | 83,189,000 | 3,641 | 1,025 | 2,651,947,000 | 3,654 | 303 | 520,733,000 | 3,680 | 18 | 85,050,000 | 3,600 | 47 | 207,042,000 | 3,704 | 632 | 1,046,539,000 | 3,643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주1)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6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29 | 70,633,000 | 3,876 |
3 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147 | 315,467,000 | 3,846 |
1 개월 확약 | 2 | 6,918,000 | 3,600 | - | - | - | 16 | 75,580,000 | 3,600 | 97 | 297,403,000 | 3,641 |
15 일 확약 | 2 | 9,225,000 | 3,800 | - | - | - | - | - | - | 39 | 122,526,000 | 3,695 |
미확약 | 128 | 501,495,000 | 3,663 | 24 | 47,362,000 | 3,846 | 94 | 155,903,000 | 4,033 | 1,999 | 4,584,954,000 | 3,658 |
합계 | 132 | 517,638,000 | 3,665 | 24 | 47,362,000 | 3,846 | 110 | 231,483,000 | 3,892 | 2,311 | 5,390,983,000 | 3,671 |
주1)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라) 주당 확정 공모가액의 결정
상기와 같은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키스트론㈜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마)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 1주당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이상 가격 제시자(확정공모가액의 -10% 이내 가격을 제시한 수요예측 참여자 중 확정공모가액으로 배정을 희망하는 자 포)함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4)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보통주 6,3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3,100원 | |
확정가액 | 주1)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19,530,000,000원 | |
확정가액 | 주1) | ||
청약단위 | 주2)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5월 22일 (목) |
종료일 | 2025년 05월 23일 (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5월 22일 (목) | |
종료일 | 2025년 05월 23일 (금)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5월 27일 (화) |
주1) | 주당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과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2) |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4)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한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 2025년 05월 23일 (금) |
주4) | 청약증거금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②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③ 일반청약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2025년 05월 27일 )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 2025년 05월 27일 )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 2025년 05월 27일 )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 2025년 05월 27일 )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그 납입방식을 달리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 1) 기관투자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2) 일반청약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투자자(청약자)는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4)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신한투자증권㈜ | 1,575,000 ~ 1,890,000 | 주) | 50%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56,000주 ~ 186,000주(300%) 104,000주 ~ 124,000주(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52,000주 ~ 62,000주(100%) 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방법-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신한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50주 이상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200주 |
2,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50,000주 이하 | 1,000주 |
50,000주 초과 ~ | 2,000주 |
(중략)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 ~ 75.0% (4,410,000주 ~ 4,725,000주)를 배정합니다. 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 ~ 30.0% (1,575,000주 ~ 1,890,000주)를 배정합니다. 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⑤ 단, 인수단 및 인수단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⑥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인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해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1,575,000주 이상 1,890,000주 이하를 배정할 예정으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787,500주에서 945,000주 이상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⑥ 비례배정 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수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수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수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주4)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보통주 6,3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3,100원 | |
확정가액 | 3,600원 주1)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19,530,000,000원 | |
확정가액 | 22,680,000,000원 주1) | ||
청약단위 | 주2)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5월 22일 (목) |
종료일 | 2025년 05월 23일 (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5월 22일 (목) | |
종료일 | 2025년 05월 23일 (금)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5월 27일 (화) |
주1) | 주당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이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과 협의하여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
주2) |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방법 - (4) 일반청약자의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사항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③ 기관투자자의 청약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물량을 배정받은 수량 단위로 하며, 청약 미달을 고려하여 추가 청약을 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는 "각 기관별로 법령 등에 의한 투자한도 잔액을 확정공모가액으로 나눈 주식수"와 수요예측 최고 참여한도 중 작은 주식수로 하여 1주 단위로 추가 청약할 수 있습니다.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 및 배정기준은『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 사항』-『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다. 청약방법』및『라. 청약결과 배정방법』부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한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5월 22일 (목) ~ 2025년 05월 23일 (금) |
주4) | 청약증거금①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②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③ 일반청약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2025년 05월 27일 )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배정일 ( 2025년 05월 27일 )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 2025년 05월 27일 )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④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 2025년 05월 27일 ) 08: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그 납입방식을 달리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 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 1) 기관투자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2) 일반청약자 : 신한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투자자(청약자)는 하나의 청약사무취급처에 개설된 복수의 계좌를 이용하는 이중청약을 할 수 없으며, 이중청약을 하는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오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4)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② 일반투자자(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본, 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③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신한투자증권㈜ | 1,575,000 | 주) | 50% |
주) | 신한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청약한도는 청약자격별로 상이합니다. □ 우대그룹의 청약한도 : 156,000주 (300%) 104,000주 (200%) □ 일반그룹의 청약한도 : 52,000주 (100%) 청약자격의 기준에 관한 사항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방법-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신한투자증권㈜의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50주 이상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200주 |
2,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50,000주 이하 | 1,000주 |
50,000주 초과 ~ | 2,000주 |
(중략)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우리사주조합 : 금번 공모 시에는 해당사항 없습니다. ②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5.0% (4,725,000주) 를 배정합니다.③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 (1,575,000주) 를 배정합니다. ④ 상기 ①, ②, ③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⑤ 단, 인수단 및 인수단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⑥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⑧「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인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해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1,575,000주를 배정할 예정으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787,500주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④ 일괄청약자에 대한 배정은 청약에 참여한 일반청약자 전원에게 균등방식 배정물량을 동일하게 배정하고,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단, 이 경우 몫은 동일하게 배정하되 균등방식 배정 물량이 당첨자 수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경우 동 나머지를 추첨으로 배정하므로 청약자간 배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균등 배정'이 '동일 수량'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다만, 개별 청약자의 청약 주식수가 배정수량보다 작은 경우 청약 주식수까지 배정됩니다. 또한, 총 청약건수가 균등방식 배정주식수를 초과하는 경우, 전체고객 대상으로 무작위 추첨 배정하며, 이에 따라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⑤ 일반청약자 배정 총 주식수에서 균등배정분을 제외한 수량에 대해서는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각 청약자의 청약증거금에서 균등배정분 배정수량(금액)을 차감한 금액(이하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기준으로 비례하여 안분배정하며, 비례배정분 청약증거금을 한도로 비례배정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⑥ 비례배정 시 일반청약자에 대한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수주는 일반청약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재배정하며 소수점이 높은 청약자들부터 순차적으로 배정합니다. 이후 동일한 소수점을 보유한 일반청약자들에게 배분할 단수주가 부족하게 될 경우 청약주식수량 및 소수점 등을 고려하여 추첨하고 잔여주식이 최소화되도록 배정합니다. 그 결과 발생하는 잔여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각각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 다만,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이 배정수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일반청약자는 동 미달금액을 배정일에 추가납입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청약증거금에 해당하는 수량만 배정받게 됩니다. 추가납입 이후 미청약주식이 발생할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따라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⑦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각 호(아래)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하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1. 인수회사(대표주관회사 포함)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9호의 규정에 따른 이해관계인을 말함.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 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 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 4. 주금납입능력을 초과하는 물량 또는 현저히 높거나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등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시한 매입희망 물량과 가격의 진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자 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등 |
(주5) 정정 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
(단위: 주, 원)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 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 주1) | 인수조건 | |
명칭 | 주소 |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 의사당대로96 (여의도동, TP타워) | 기명식 보통주 6,300,000주(100.0%) | 19,53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3,100원~3,6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수료 제외) | 신한투자증권 | 804,636,000 | 인수금액 4.0% | 납입 이후 5영업일 이내 | 주3) | - | - | 주1)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성과수수료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인수대가는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추가 의무인수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이며,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2) |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
주3) |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상장주선인으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신한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189,000주 | 585,90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확정공모가격에 따라 의무인수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5)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
(단위: 주, 원)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 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 주1) | 인수조건 | |
명칭 | 주소 | |||
신한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 의사당대로96 (여의도동, TP타워) | 기명식 보통주 6,300,000주(100.0%) | 22,68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단위: 원) |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 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성과수수수료 제외) | 신한투자증권 | 934,416,000 | 인수금액 4.0% | 납입 이후 5영업일 이내 | 주3) | - | - | 주1)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 | - | - | 주2) |
성과수수료 | - | - | - | - | - | - | - | - |
기타 | - | - | - | - | - | - | - | - |
주1) | 인수대가는 총 조달금액(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4.0% 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 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
주2) | 2024년 8월 1일 이전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
주3) |
|
다.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보유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의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상장주선인으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신한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189,000주 | 680,40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주1)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은 사모의 방법으로 발행한 주식을 취득하여야 하며, 상장예비심사신청일부터 신규상장신청일까지 해당 주권을 취득하여야 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은 해당 취득 주식을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보유하여야 합니다. 또한,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이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6) 정정 전
사. 신규 사업 추진에 따른 위험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 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다만,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 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는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은 현재 고객사와 기술 개발을 논의하며,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은 고객사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계획의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 발 ④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동사는 금번 상장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연구개발을 위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다음과 같이 공모자금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 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베트남에 고율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동사는 베트남 공장 설립을 전면 재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동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101 | - | - | 101 |
인허가 및 사업설계 | 101 | - | - | 101 | ||
설비 도입(용해로, 용탕로, 압연) 및 부대시설 공사 | - | 4,547 | - | 4,547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 | - | 800 | 800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400 | 400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168 | 168 | ||
소계 | 202 | 4,547 | 1,368 | 6,117 | ||
운영자금 (연구개발)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개발 | 증착설비 구매 (25년 1대, 26년 2대, 27년 3대) | 511 | 1,023 | 1,534 | 3,068 |
소계 | 511 | 1,023 | 1,534 | 3,068 | ||
기타 연구개발 투자 | FE-SEM 구매 (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 511 | - | - | 511 | |
공초점 현미경 구매, 연구인력 채용, 재료비 등 | - | 511 | - | 511 | ||
인장시험기 구매 연구인력 채용 등 | - | - | 512 | 512 | ||
소계 | 511 | 511 | 512 | 1,534 | ||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 | - | 53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100 | - | - | 100 | ||
검사, 평가 설비 고도화 | - | 100 | 100 | 200 | ||
양산 설비 구축 | - | 405 | 200 | 605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205 | 205 | ||
소계 | 303 | 505 | 505 | 1,313 |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55 | - | 108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50 | - | - | 50 | ||
양산 설비 구축 | - | 450 | 304 | 754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100 | 100 | ||
성능개선 및 신뢰성 테스트 | - | - | 101 | 101 | ||
소계 | 253 | 505 | 505 | 1,263 | ||
합 계 | 1,780 | 7,091 | 4,424 | 13,295 |
주)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①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자동차 산업에서 알루미늄의 수요는 차량 경량화와 온실가스 감축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컨설팅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 6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고강도 경량소재인 알루미늄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철 대비 1/3 수준의 가벼운 무게와 뛰어난 내식성, 열전도성 등 우수한 물성을 지니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어 차량 부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동사는 신규 사업으로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제품(선재, 봉재, 형재) 제조를 추진하며, 이를 위해 베트남 현지에 법인 형태의 공장 설립을 계획 중 입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동사의 알루미늄 제품 원재료로 사용하고, 다양한 합금제품은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하여 매출 확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본 사업을 위해 공모자금 중 6,117백만원을 베트남 공장 설립 및 생산설비 구축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베트남은 한국 대비 전기요금이 절반 수준으로, 알루미늄 가공 시 주요 원가요소인 전력비 절감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건비도 중국이나 태국보다 저렴하여 운영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추세에 따라, 당사는 이러한 베트남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신규 판로를 개척하고 다양한 합금제품을 공급함으로써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약 베트남 공장설립을 전면 재검토하게 될 경우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제조에 활용할 공모자금은 다음과 같이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모터/변압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 활용 방안]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주요 내용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구리 스크랩 기반 동로드및 가공제품(모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수립 - 국내외 권선용 동로드 및 전선케이블 시장 수요 분석- 구리 원자재가격 및 수급 동향 조사 |
500 | - | - | 500 |
스크랩 구리 가공을 위한 용해 및 전처리 설비 도입- 용해로 2기 구축- 전처리, 선별 설비 구축 | - | 2,200 | - | 2,200 | ||
동로드 및 권선용 설비 도입 및 검사설비 도입- 동로드 압연, 권선용 가공 설비 도입- 공정 자동화 및 검사 설비 도입, 신뢰성 시험센터 구축 | - | - | 3,417 | 3,417 | ||
소계 | 500 | 2,200 | 3,417 | 6,117 |
②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자동차 부품 경량화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구리합금 도체를 대체할 신규제품인 MCF(Metal Coated Carbon Fiber)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 MCF는 직경 약7마이크로미터의 탄소섬유 다발에 금속을 코팅한 첨단 융복합 소재로, 경량성과 높은 전자파 차폐 성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구리도체 대비 가볍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화재 위험성 감소,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및 항균·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동사는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자금 3,068백만원을 투자하여,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현대자동차의 투싼 모델에 대한 요구사양을 확보하여 시제품 실증평가를 진행 중입니다. 실증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기존 구리-주석 열선을 대체하는 MCF 도체의 양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당사는 전기차 부품의 경량화, 저전력 고기능 발열선 개발, 전자파 차폐 하네스 개발, 비금속 기반의 고기능 복합소재 코팅 기술 확보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자동차 시트 열선용 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고, 2026~2027년에는 자동차 신호전선 분야로 확대 적용하여 제품 개발 및 양산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입니다. ③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발 전기자동차 모터의 고효율화 및 경량화 수요가 증가함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구리선을 대체할 신규 소재인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CCA는 알루미늄 코어에 구리를 표면 도금한 소재로, 구리보다 가볍고 저렴하면서도우수한 전도성을 지니고 있어, 전기차 모터의 권선소재로 적합한 소재입니다.본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자금 중 1,313백만원을 투자하여, CCA 각선의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초기 단계이나, 보그워너(BorgWarner)의 한국지사 및 포항소재 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CCA 기반의 단면 각형 헤어핀 도체를 개발을 통해, 전기차 모터 경량화와 원가 절감, 고효율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소재로의 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 모터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용접소재 분야에서, 동사는 현대기아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기반의 이형 용접 와이어 가공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모터 회전자 내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브릿지부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부 돌출에 따른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현대기아차는 니켈합금 용접소재의 적용을 통해용접부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당사와 함께 해당 용접 와이어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 재료를 니켈 합금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사업 진행 단계는 초기 논의 단계로서 동사는 현대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이형 용접 와이어의 가공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을 위해 공모자금 1,263백만원을 투자하여 현대차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본 과제를 통해 당사는 고효율·고정밀 전동화 부품 제조에 대응 가능한 핵심 용접 소재 기술력을 확보하고, 관련 기술의 전기차용 모터 부품 적용 및 양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밖에 동사는 향후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인력 확충과연구 환경 개선, 외부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연구 기회 창출 등에 1,534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 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6) 정정 후
사. 신규 사업 추진에 따른 위험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 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각선 개발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다만,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 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는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은 현재 고객사와 기술 개발을 논의하며,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은 고객사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계획의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또한,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동사는 축적해 온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①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 ②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 ③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 발 ④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을 통한 신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통해지속적인 성장동력과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수익구조를 다각화해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동사는 금번 상장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모자금을 연구개발을 위한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며, 다음과 같이 공모자금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 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최종적으로 베트남에 고율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동사는 베트남 공장 설립을 전면 재검토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동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117 | - | - | 117 |
인허가 및 사업설계 | 117 | - | - | 117 | ||
설비 도입(용해로, 용탕로, 압연) 및 부대시설 공사 | - | 5,287 | - | 5,287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 | - | 930 | 930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465 | 465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195 | 195 | ||
소계 | 235 | 5,287 | 1,591 | 7,112 | ||
운영자금(연구개발)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개발 | 증착설비 구매(25년 1대, 26년 2대, 27년 3대) | 594 | 1,189 | 1,784 | 3,567 |
소계 | 594 | 1,189 | 1,784 | 3,567 | ||
기타 연구개발투자 | FE-SEM 구매(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 594 | - | - | 594 | |
공초점 현미경 구매,연구인력 채용, 재료비 등 | - | 594 | - | 594 | ||
인장시험기 구매연구인력 채용 등 | - | - | 595 | 595 | ||
소계 | 594 | 594 | 595 | 1,784 | ||
모터권선용CCA각선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62 | - | - | 62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74 | - | - | 174 | ||
Pilot 라인 구축 | 116 | - | - | 116 | ||
검사, 평가 설비 고도화 | - | 116 | 116 | 233 | ||
양산 설비 구축 | - | 471 | 233 | 703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238 | 238 | ||
소계 | 352 | 587 | 587 | 1,527 |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62 | 64 | - | 126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74 | - | - | 174 | ||
Pilot 라인 구축 | 58 | - | - | 58 | ||
양산 설비 구축 | - | 523 | 353 | 877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116 | 116 | ||
성능개선 및 신뢰성 테스트 | - | - | 117 | 117 | ||
소계 | 294 | 587 | 587 | 1,468 | ||
합 계 | 2,070 | 8,245 | 5,144 | 15,458 |
주)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①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자동차 산업에서 알루미늄의 수요는 차량 경량화와 온실가스 감축 요구가 강화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컨설팅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 6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어, 고강도 경량소재인 알루미늄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철 대비 1/3 수준의 가벼운 무게와 뛰어난 내식성, 열전도성 등 우수한 물성을 지니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을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적용할 수 있어 차량 부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동사는 신규 사업으로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다양한 알루미늄 합금제품(선재, 봉재, 형재) 제조를 추진하며, 이를 위해 베트남 현지에 법인 형태의 공장 설립을 계획 중 입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된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동사의 알루미늄 제품 원재료로 사용하고, 다양한 합금제품은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하여 매출 확대를 도모할 예정입니다.본 사업을 위해 공모자금 중 7,112백만원 을 베트남 공장 설립 및 생산설비 구축에 투자할 예정입니다. 베트남은 한국 대비 전기요금이 절반 수준으로, 알루미늄 가공 시 주요 원가요소인 전력비 절감을 통해 원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건비도 중국이나 태국보다 저렴하여 운영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베트남으로 이전하는 추세에 따라, 당사는 이러한 베트남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신규 판로를 개척하고 다양한 합금제품을 공급함으로써 매출 증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제품 제조의 경우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나 미국은 베트남에 상호관세 46%를 발표했고, 90일의 유예기간 중 협상이 원만히 되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약 베트남 공장설립을 전면 재검토하게 될 경우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제조에 활용할 공모자금은 다음과 같이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모터/변압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 활용 방안]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주요 내용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구리 스크랩 기반 동로드및 가공제품(모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수립 - 국내외 권선용 동로드 및 전선케이블 시장 수요 분석- 구리 원자재가격 및 수급 동향 조사 |
581 | - | - | 581 |
스크랩 구리 가공을 위한 용해 및 전처리 설비 도입- 용해로 2기 구축- 전처리, 선별 설비 구축 | - | 2,558 | - | 2,558 | ||
동로드 및 권선용 설비 도입 및 검사설비 도입- 동로드 압연, 권선용 가공 설비 도입- 공정 자동화 및 검사 설비 도입, 신뢰성 시험센터 구축 | - | - | 3,973 | 3,973 | ||
소계 | 581 | 2,558 | 3,973 | 7,112 |
②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 (Metal Coated Carbon Fiber : 금속도금탄소섬유) 개발자동차 부품 경량화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구리합금 도체를 대체할 신규제품인 MCF(Metal Coated Carbon Fiber)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 MCF는 직경 약7마이크로미터의 탄소섬유 다발에 금속을 코팅한 첨단 융복합 소재로, 경량성과 높은 전자파 차폐 성능을 동시에 갖추고 있습니다. 구리도체 대비 가볍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화재 위험성 감소,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 및 항균·온열 효과를 제공하는 등 다양한 장점을 지니고 있습니다.동사는 신규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자금 3,567백만원 을 투자하여, Pilot 테스트를 통해 실증평가 진행 중으로 구체적인 공급계약은 체결되어 있지 않지만, 향후 품질 확보 후 고객사 평가 및 승인을 득할 경우, 공급계약을 거쳐 본격적인 설비투자 및 양산 전환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현대자동차의 투싼 모델에 대한 요구사양을 확보하여 시제품 실증평가를 진행 중입니다. 실증 결과가 긍정적일 경우, 기존 구리-주석 열선을 대체하는 MCF 도체의 양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당사는 전기차 부품의 경량화, 저전력 고기능 발열선 개발, 전자파 차폐 하네스 개발, 비금속 기반의 고기능 복합소재 코팅 기술 확보 등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2025년까지 자동차 시트 열선용 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를 완료하고, 2026~2027년에는 자동차 신호전선 분야로 확대 적용하여 제품 개발 및 양산체계를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입니다. ③ 모터권선용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개발 전기자동차 모터의 고효율화 및 경량화 수요가 증가함에 대응하기 위해 동사는 구리선을 대체할 신규 소재인 CCA(Copper Clad Aluminum) 각선 도체를 개발 중입니다.CCA는 알루미늄 코어에 구리를 표면 도금한 소재로, 구리보다 가볍고 저렴하면서도우수한 전도성을 지니고 있어, 전기차 모터의 권선소재로 적합한 소재입니다.본 사업 추진을 위해 공모자금 중 1,527백만원 을 투자하여, CCA 각선의 개발 및 시제품 생산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현재 사업 진행단계는 초기 단계이나, 보그워너(BorgWarner)의 한국지사 및 포항소재 연구원과 함께 기술 개발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CCA 기반의 단면 각형 헤어핀 도체를 개발을 통해, 전기차 모터 경량화와 원가 절감, 고효율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소재로의 시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향후 개발이 완료되면, 고객사인 보그워너사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 납품을 목표로 양산 전환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④ 모터 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 와이어 개발 모터 성능 향상을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인 용접소재 분야에서, 동사는 현대기아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기반의 이형 용접 와이어 가공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모터 회전자 내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브릿지부는 용접 과정에서 용접부 돌출에 따른 성능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현대기아차는 니켈합금 용접소재의 적용을 통해용접부 돌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당사와 함께 해당 용접 와이어 가공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에 현대차는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접 재료를 니켈 합금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현재 사업 진행 단계는 초기 논의 단계로서 동사는 현대차와 협력하여 니켈 합금 이형 용접 와이어의 가공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을 위해 공모자금 1,468백만원 을 투자하여 현대차가 제시한 용접 와이어의 합금 성분 및 단면 형상(Spec.)에 맞춰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있으며, 향후 성능 검증을 거친 후 고객사인 현대차의 평가와 승인, 공급계약을 거쳐본 제품을 납품할 계획입니다. 본 과제를 통해 당사는 고효율·고정밀 전동화 부품 제조에 대응 가능한 핵심 용접 소재 기술력을 확보하고, 관련 기술의 전기차용 모터 부품 적용 및 양산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이밖에 동사는 향후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구 인력 확충과연구 환경 개선, 외부 연구기관과 협력을 통해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하는 연구 기회 창출 등에 1,784백만원 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다만, 미래 성장을 위한 신규사업 추진 계획은 향후 운영과정에서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며, 예측하지 못했던 시장 상황의 변화 등으로 지연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진행 상황에 따라 신규 사업계획 추진일정 등이 변동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사업 진행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전문성 및 기술력 등의 기존 업체 대비 열위 가능성 등으로 시장 내 경쟁력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규 사업계획 실행을 위한 투자자금에 대한 손실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7) 정정 전 (전략)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열회사인 고려제강(주)와 주식을 상호 소유하고 있고, 홍덕산업(주)는 동사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보유 지분율 주) | 보유 주식수 | 비고 |
당사 → 고려제강(주) | 13.20% | 3,301,212 | - |
고려제강(주) → 당사 | 6.53% | 866,120 | - |
홍덕산업(주) → 당사 | 23.89% | 3,167,130 | - |
주) 보유지분율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입니다. |
주 1) 키스트론(주)이 보유했던 홍덕산업(주) 주식 78,193주는 2024년 10월 제3자에게 전량 매각하여 해소했으며, 상기 지분도상 지분율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
주2) 홍덕산업(주)이 보유한 키스트론(주) 주식은 총 3,167,130주로 금번 상장을 통해 1,033,880주는 구주매출을 통해 해소할 예정입니다. 잔여주식 2,133,250주 중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나머지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시장 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과 2026년 총 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하여 지분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3) 키스트론(주)가 보유한 고려제강(주) 주식은 향후 시장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해 지분 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4) 고려제강(주)가 보유한 키스트론(주) 주식은 총 866,120주로 금번 상장을 통해 구주매출을 통해 전량 해소할 예정입니다. |
(후략) (주7) 정정 후 (전략)
동사는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열회사인 고려제강(주)와 주식을 상호 소유하고 있고, 홍덕산업(주)는 동사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보유 지분율 주) | 보유 주식수 | 비고 |
당사 → 고려제강(주) | 13.2 1% | 3,565,436 | 주5) |
고려제강(주) → 당사 | 6.53% | 866,120 | - |
홍덕산업(주) → 당사 | 23.89% | 3,167,130 | - |
주) 보유지분율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입니다. |
주 1) 키스트론(주)이 보유했던 홍덕산업(주) 주식 78,193주는 2024년 10월 제3자에게 전량 매각하여 해소했으며, 상기 지분도상 지분율을 별도로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
주2) 홍덕산업(주)이 보유한 키스트론(주) 주식은 총 3,167,130주로 금번 상장을 통해 1,033,880주는 구주매출을 통해 해소할 예정입니다. 잔여주식 2,133,250주 중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6개월, 나머지 50%인 1,066,625주는 상장일로부터 12개월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시장 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과 2026년 총 2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하여 지분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3) 키스트론(주)가 보유한 고려제강(주) 주식은 향후 시장참여자들과 충분히 소통하고 공시 절차를 준수하여 시장의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해 지분 관계를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4) 고려제강(주)가 보유한 키스트론(주) 주식은 총 866,120주로 금번 상장을 통해 구주매출을 통해 전량 해소할 예정입니다. |
주5) 한국거래소 예비심사신청 시, 당사가 보유한 고려제강(주)의 주식수는 3,301,212주 였으나, 2025년 1월 22일 고려제강(주)의 무상증자에 따라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보유한 고려제강(주)의 주식은 총 3,565,436주로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무상증자 주식수를 포함한 고려제강(주) 주식 전량을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총 5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매각할 예정입니다. |
(후략)
(주8) 정정 전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재무안전성 관련 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말 동사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부채비율 30.33%, 차입금의존도 9.6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차입금 상환을 통해 총차입금 규모가 2021년 대비 12,320백만원 감소함에 따라 부채비율 20.32%, 차입금의존도 3.90%수준으로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2023년 지속적인 차입금 상환으로동사의 부채비율은 19.93%, 차입금의존도는 3.56%로 재무안정성 개선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2024년말 기준 동사의 부채비율은 18.41% 2023년 대비 1.52%p. 감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3.7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각에 따른 자산총계 감소에 따라 2023년 대비 0.16%p로 소폭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동사의 총차입금은 2021년 19,318백만원에서 2022년 일부 차입금을 상환함에 따라 6,998백만원으로 감소하였으며, 2024년 현재 6,704백만원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차입금은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어 만기도래 시 만기연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말 기준 당사 보유 현금성 자산 16,428백만원을 고려 시 단기간내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기존사업부문 강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목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글로벌 매출처 확장을 위한 고순도 알루미늄 해외 생산공장 설립 또한 검토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및 고정비용 증가로 인한 재무안정성 하락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전방산업 부진 및 영업환경 악화 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상장 이후 공모자금이 유입될 경우 최근 결산일 기준 재무안정성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모가 하단 기준으로 동사에 유입될 순수입금은 13,295백만원, 상단 기준으로 16,326백만원입니다. 공모자금 유입 직후 유동비율은 367.10%에서 공모가 하단 기준으로 469.63%로 증가하여 2023년 업종평균 139.23%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채비율의 경우 18.41%에서 16.93%로 감소하여 업종평균 대비 양호합니다. 차입금의존도의 경우 3.73%에서 3.47%로 감소하여 업종평균인 30.07% 대비 양호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모 전후 재무안정성 비율] |
구분 | 2024년 | 공모자금 유입 후 | 실제 집행 자금 50% 증가 | 2023년 | ||
하단 | 상단 | 하단 | 상단 | 업종평균 | ||
유동비율 | 367.08% | 469.63% | 493.00% | 344.34% | 341.16% | 139.23 |
부채비율 | 18.41% | 16.93% | 16.63% | 20.96% | 21.48% | 133.06 |
차입금의존도 | 3.73% | 3.47% | 3.42% | 6.68% | 7.27% | 30.07 |
한편,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V. 자금의 사용목적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에서 제시된 소요자금 대비 실제 집행 자금이 50% 이상 증가하여 초과 자금을 단기차입으로 조달하는 상황을 가정할 경우, 동사의 유동비율,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다음과 같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공모가 하단 기준으로 유동비율은 367.08%에서 344.34%로 감소하고, 부채비율은 18.41%에서 21.48%로 증가하며, 차입금의존도는 3.73%에서 6.68%로 상승하여 전반적인 재무안정성 지표는 다소 저하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시나리오를 고려하더라도, 동사는 여전히 충분한 단기 유동성과 지급능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동비율은 여전히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며,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증가폭 또한 동사의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동사는 예상치 못한 자금 소요 발생 시 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일부 재무안정성 지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의 재무 상태,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재무적인 위험은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후략) (주8) 정정 후
라.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 재무안전성 관련 비율 추이를 살펴보면, 2021년말 동사는 舊)키스트론을 흡수합병함에 따라 부채비율 30.33%, 차입금의존도 9.61%를 기록하였으나, 2022년 차입금 상환을 통해 총차입금 규모가 2021년 대비 12,320백만원 감소함에 따라 부채비율 20.32%, 차입금의존도 3.90%수준으로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2023년 지속적인 차입금 상환으로동사의 부채비율은 19.93%, 차입금의존도는 3.56%로 재무안정성 개선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2024년말 기준 동사의 부채비율은 18.41% 2023년 대비 1.52%p. 감소하며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존도 또한 3.73%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2024년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각에 따른 자산총계 감소에 따라 2023년 대비 0.16%p로 소폭 상승한 모습을 보였습니다.동사의 총차입금은 2021년 19,318백만원에서 2022년 일부 차입금을 상환함에 따라 6,998백만원으로 감소하였으며, 2024년 현재 6,704백만원으로 2022년부터 현재까지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차입금은 토지와 건물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어 만기도래 시 만기연장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2024년 말 기준 당사 보유 현금성 자산 16,428백만원을 고려 시 단기간내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악화될 위험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기존사업부문 강화 및 신규 사업 확장 목적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글로벌 매출처 확장을 위한 고순도 알루미늄 해외 생산공장 설립 또한 검토하고 있어 이에 따른 투자비용 및 고정비용 증가로 인한 재무안정성 하락 우려가 있습니다. 또한, 전방산업 부진 및 영업환경 악화 등에 따라 당사의 실적이 악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상장 이후 공모자금이 유입될 경우 최근 결산일 기준 재무안정성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공모가 상단 기준으로 동사에 유입될 순수입금은 15,458백만원 입니다. 공모자금 유입 직후 유동비율은 367.10%에서 공모가 상단 기준으로 486.31%로 증가하여 2023년 업종평균 139.23%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채비율의 경우 18.41%에서 16.71% 로 감소하여 업종평균 대비 양호합니다. 차입금의존도의 경우 3.73%에서 3.43% 로 감소하여 업종평균인 30.07% 대비 양호한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공모 전후 재무안정성 비율] |
구분 | 2024년 | 공모자금 유입 후 | 실제 집행 자금 50% 증가 | 2023년 |
상단 | 상단 | 업종평균 | ||
유동비율 | 367.08% | 486.31% | 342.03% | 139.23 |
부채비율 | 18.41% | 16.71% | 21.33% | 133.06 |
차입금의존도 | 3.73% | 3.43% | 7.11% | 30.07 |
한편,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V. 자금의 사용목적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에서 제시된 소요자금 대비 실제 집행 자금이 50% 이상 증가하여 초과 자금을 단기차입으로 조달하는 상황을 가정할 경우, 동사의 유동비율,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다음과 같이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공모가 상단 기준으로 유동비율은 367.08%에서 342.03% 로 감소하고, 부채비율은 18.41%에서 21.33% 로 증가하며, 차입금의존도는 3.73%에서 7.11% 로 상승하여 전반적인 재무안정성 지표는 다소 저하되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그러나, 해당 시나리오를 고려하더라도, 동사는 여전히 충분한 단기 유동성과 지급능력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유동비율은 여전히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수준이며,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증가폭 또한 동사의 전반적인 재무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동사는 예상치 못한 자금 소요 발생 시 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일부 재무안정성 지표의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의 재무 상태,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재무적인 위험은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후략) (주9) 정정 전
사. 청 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할 주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금번 총 공모주식 6,300,000주의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은 일반청약자 1,575,000주~1,890,000주(공모주식의 25.0%~30.0%), 기관투자자 4,410,000주~4,725,000주(공모주식의 70.0%~75.0%)입니다. 기관투자자 배정주식4,410,000주~4,725,000주를 대상으로 2025년 05월 12일부터 05월 16일까지 수요예측을 실시하여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2025년 0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양일간 실시되는 청약결과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자기분으로 인수 또는 추첨에 의한 재배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청약자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초과 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과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주9) 정정 후
사. 청 약자 유형별 배정비율 변경 위험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할 주식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금번 총 공모주식 6,300,000주의 청약자 유형군별 배정비율은 일반청약자 1,575,000주(공모주식의 25.0%), 기관투자자 4,725,000주(공모주식의 75.0%) 입니다. 기관투자자 배정주식 4,725,000주 를 대상으로 2025년 05월 12일부터 05월 16일까지 수요예측을 실시하여 배정합니다. 한편, 2025년 05월 22일부터 23일까지 양일간 실시되는 청약결과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자기분으로 인수 또는 추첨에 의한 재배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청약자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초과 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초과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주10) 정정 전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동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동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공모가 하단 기준 13,295백만원(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또는 당사 주주에게 유리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동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연구개발)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상세 내역은「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동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할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10) 정정 후
하.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자금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동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자금 사용 계획에 따른 자금의 지출 규모와 시기는 사업환경의 변화, 고객과의 거래관계의 형성, 유지, 변경 및 단절, 그리고 예상하지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동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 자금은 공모가 상단 기준 15,458백만원 (인수수수료 및 기타 발행 제비용을 제외한 순수입금)으로 예상됩니다. 동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을 수 있는 또는 당사 주주에게 유리한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동사는 해당 공모자금을 시설투자와 운영자금(연구개발)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상세 내역은「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동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이를 특정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할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11) 정정 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 | |||
적용산식 |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 (①) x 유사기업의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주1) | 6,915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② | 유사기업의 PER | 11.55배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나) 유사기업 PER 산출 | |
③ | 주식수 | 17,848,11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주당 평가 가액 | 4,470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31.00% ~ 20.0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 |
공모가 산정 결과 | 3,100원 ~ 3,6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1) | 적용 당기순이익은 2024년 기 준 계속영업당기순이익에 해당합니다. | ||||||||||||||||||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분 | 내용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3,100원 ~ 3,6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키스트론㈜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중략)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키스트론㈜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확정공모가액은 향후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 분 | 내 용 | 비고 |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 4,470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1.00%~20.00%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3,100원 ~ 3,600원 | - |
확정공모가액 | - | 주2) |
주1) |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과거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2024년 이후 코스닥 신규 일반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상장일 | 회사명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상단 | 하단 | ||
2025-03-20 | 한텍 | 43.00% | 51.50% |
2025-03-20 | 티엑스알로보틱스 | 25.49% | 36.53% |
2025-03-07 | 엠디바이스 | 40.11% | 48.36% |
2025-03-06 | 대진첨단소재 | 30.11% | 41.40% |
2025-02-25 | 엘케이켐 | 29.73% | 39.76% |
2025-02-24 | 위너스 | 22.09% | 33.48% |
2025-02-20 | 모티브링크 | 17.53% | 29.88% |
2025-02-04 | 피아이이 | 23.96% | 39.17% |
2025-02-03 | 삼양엔씨켐 | 17.70% | 26.90% |
2024-12-20 | 듀켐바이오 | 30.99% | 39.80% |
2024-12-16 | 벡트 | 23.70% | 31.53% |
2024-11-20 | 위츠 | 14.76% | 29.41% |
2024-11-19 | 사이냅소프트 | 27.98% | 38.26% |
2024-11-18 | 엠오티 | 6.48% | 19.84% |
2024-11-18 | 에스켐 | 21.83% | 30.39% |
2024-11-13 | 닷밀 | 20.91% | 33.08% |
2024-11-12 | 노머스 | 24.70% | 32.20% |
2024-11-01 | 탑런토탈솔루션 | 37.80% | 46.70% |
2024-11-01 | 에이럭스 | 13.41% | 26.24% |
2024-10-30 | 성우 | 14.03% | 25.89% |
2024-10-25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19.37% | 31.78% |
2024-10-22 | 한켐 | 18.90% | 30.08% |
2024-10-18 | 인스피언 | 16.38% | 33.10% |
2024-10-18 | 와이제이링크 | 22.92% | 32.36% |
2024-09-30 | 제닉스 | 23.44% | 36.95% |
2024-08-30 | 아이스크림미디어 | 9.41% | 27.89% |
2024-08-22 | M83 | 33.63% | 43.84% |
2024-08-21 | 티디에스팜 | 11.86% | 21.75% |
2024-08-16 | 유라클 | 22.74% | 33.78% |
2024-06-27 | 하이젠알앤엠 | 33.83% | 19.13% |
2024-06-14 | 그리드위즈 | 43.11% | 51.65% |
2024-05-24 | 노브랜드 | 14.45% | 32.34% |
2024-05-07 | 코칩 | 9.08% | 28.57% |
2024-03-13 | 오상헬스케어 | 39.89% | 47.91% |
2024-02-06 | 스튜디오삼익 | 19.62% | 29.36% |
2024-02-01 | 이닉스 | 21.93% | 34.71% |
2024-01-29 | 포스뱅크 | 17.23% | 28.26% |
2024-01-26 | 현대힘스 | 24.20% | 39.84% |
2024-01-25 | HB인베스트먼트 | 26.62% | 37.10% |
2024-01-24 | 우진엔텍 | 14.87% | 25.30% |
평균 | 23.24% | 34.15% |
주1) |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주2) | DART, 분석기준일: 2025년 3월 21일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비교기업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1.00% ~ 20.00%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3,100원 ~ 3,6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4년 이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기업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기업과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주11) 정정 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PER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 | |||
적용산식 |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 (①) x 유사기업의 PER(②) ÷ 주식수(③) x {1 - 할인율(④)} | |||
적용근거 | 구 분 | 수 치 | 참고사항 | |
① | 2024년 온기 기준 당기순이익주1) | 6,915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② | 유사기업의 PER | 11.55배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나) 유사기업 PER 산출 | |
③ | 주식수 | 17,848,11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다)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주당 평가 가액 | 4,470 | ① x ② ÷③ | ||
④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31.00% ~ 20.00%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나. 희망공모가액의 산출방법 - (4)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라) 희망공모가액 결정 | |
공모가 산정 결과 | 3,600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하였습니다. |
주1) | 적용 당기순이익은 2024년 기 준 계속영업당기순이익에 해당합니다. | ||||||||||||||||||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영업현황, 산업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분 | 내용 |
---|---|
주당 공모희망가액 | 3,100원 ~ 3,6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3,6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공모가액을 확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키스트론㈜의 절대적인 가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금번 키스트론㈜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상기와 같이 제시된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확정공모가액은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키스트론㈜가 협의하여 1주당 3,6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중략)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PER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키스트론㈜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 분 | 내 용 | 비고 |
상대가치 주당 평가가액 | 4,470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31.00%~20.00%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3,100원 ~ 3,600원 | - |
확정공모가액 | 3,600원 | 주2) |
주1) | 주당 희망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과거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기업의 주당 희망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3,600원으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
[2024년 이후 코스닥 신규 일반상장법인의 평가액 대비 할인율] |
상장일 | 회사명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
상단 | 하단 | ||
2025-03-20 | 한텍 | 43.00% | 51.50% |
2025-03-20 | 티엑스알로보틱스 | 25.49% | 36.53% |
2025-03-07 | 엠디바이스 | 40.11% | 48.36% |
2025-03-06 | 대진첨단소재 | 30.11% | 41.40% |
2025-02-25 | 엘케이켐 | 29.73% | 39.76% |
2025-02-24 | 위너스 | 22.09% | 33.48% |
2025-02-20 | 모티브링크 | 17.53% | 29.88% |
2025-02-04 | 피아이이 | 23.96% | 39.17% |
2025-02-03 | 삼양엔씨켐 | 17.70% | 26.90% |
2024-12-20 | 듀켐바이오 | 30.99% | 39.80% |
2024-12-16 | 벡트 | 23.70% | 31.53% |
2024-11-20 | 위츠 | 14.76% | 29.41% |
2024-11-19 | 사이냅소프트 | 27.98% | 38.26% |
2024-11-18 | 엠오티 | 6.48% | 19.84% |
2024-11-18 | 에스켐 | 21.83% | 30.39% |
2024-11-13 | 닷밀 | 20.91% | 33.08% |
2024-11-12 | 노머스 | 24.70% | 32.20% |
2024-11-01 | 탑런토탈솔루션 | 37.80% | 46.70% |
2024-11-01 | 에이럭스 | 13.41% | 26.24% |
2024-10-30 | 성우 | 14.03% | 25.89% |
2024-10-25 | 에이치엔에스하이텍 | 19.37% | 31.78% |
2024-10-22 | 한켐 | 18.90% | 30.08% |
2024-10-18 | 인스피언 | 16.38% | 33.10% |
2024-10-18 | 와이제이링크 | 22.92% | 32.36% |
2024-09-30 | 제닉스 | 23.44% | 36.95% |
2024-08-30 | 아이스크림미디어 | 9.41% | 27.89% |
2024-08-22 | M83 | 33.63% | 43.84% |
2024-08-21 | 티디에스팜 | 11.86% | 21.75% |
2024-08-16 | 유라클 | 22.74% | 33.78% |
2024-06-27 | 하이젠알앤엠 | 33.83% | 19.13% |
2024-06-14 | 그리드위즈 | 43.11% | 51.65% |
2024-05-24 | 노브랜드 | 14.45% | 32.34% |
2024-05-07 | 코칩 | 9.08% | 28.57% |
2024-03-13 | 오상헬스케어 | 39.89% | 47.91% |
2024-02-06 | 스튜디오삼익 | 19.62% | 29.36% |
2024-02-01 | 이닉스 | 21.93% | 34.71% |
2024-01-29 | 포스뱅크 | 17.23% | 28.26% |
2024-01-26 | 현대힘스 | 24.20% | 39.84% |
2024-01-25 | HB인베스트먼트 | 26.62% | 37.10% |
2024-01-24 | 우진엔텍 | 14.87% | 25.30% |
평균 | 23.24% | 34.15% |
주1) | SPAC상장, SPAC합병 및 유가증권시장 상장은 제외하였습니다. |
주2) | DART, 분석기준일: 2025년 3월 21일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키스트론㈜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비교기업의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31.00% ~ 20.00%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3,100원 ~ 3,6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4년 이후 코스닥 시장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 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가격이 향후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기 주당 평가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의 주관적인 판단요소(유사기업 선정, 가치평가방법의 선정 및 적용방법, 유사기업과의 기준주가 선정 등)들이 반영되어 있으며, 경기 변동의 위험, 동사의 영업 및 재무에 관한 위험, 동사가 속한 산업의 위험 등이 반영되지 않은 상대적 평가가액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는 상기 제시한 공모희망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 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한 공모가액을 1주당 3,6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주12) 정정 전
V.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비고 |
총 공모금액 | 19,530,000,000 | (1) |
구주매출금액 | 5,890,000,000 | (2)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 | 585,900,000 | (3) |
발행제비용 | 930,929,600 | (4) |
순수입금 | 13,294,970,400 | [ (1) - (2) + (3) - (4) ] |
주1) 상기 금액은 공모가 하단금액인 3,1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거하여 모집 또는 매출하는 주권 총수의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부분입니다. 단, 모집하는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계산근거 |
인수수수료 | 804,636,000 |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의 4.0% |
등록세 | 9,178,000 | 증자자본금의 0.4% |
교육세 | 1,835,600 | 등록세의 20% |
상장수수료 | 5,280,000 | 500만원 + 5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당 7만원 |
상장심사수수료 | 10,000,000 | 자기자본 1,000억원 초과 5천억원 이하 1,000만원 |
기타비용 | 100,000,000 | IR 비용, 공고비용, 등기비용 등 |
합계 | 930,929,600 | - |
주1)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는 총 발행금액(공모금액 및 의무인수금액 포함)의 4.0% 에 해당하는 804,636,000원을 지급합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 이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은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2) 정정 후
V.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비고 |
총 공모금액 | 22,680,000,000 | (1) |
구주매출금액 | 6,840,000,000 | (2)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 | 680,400,000 | (3) |
발행제비용 | 1,061,429,600 | (4) |
순수입금 | 15,458,970,400 | [ (1) - (2) + (3) - (4) ] |
주1)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거하여 모집 또는 매출하는 주권 총수의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부분입니다. 단, 모집하는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분 | 금액 | 계산근거 |
인수수수료 | 934,416,000 |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의 4.0% |
등록세 | 9,178,000 | 증자자본금의 0.4% |
교육세 | 1,835,600 | 등록세의 20% |
상장수수료 | 6,000,000 | 500만원 + 500억원 초과금액의 10억당 7만원 |
상장심사수수료 | 10,000,000 | 자기자본 1,000억원 초과 5천억원 이하 1,000만원 |
기타비용 | 100,000,000 | IR 비용, 공고비용, 등기비용 등 |
합계 | 1,061,429,600 | - |
주1) | 대표주관회사인 신한투자증권㈜에는 총 발행금액(공모금액 및 의무인수금액 포함)의 4.0%에 해당하는 934,416,000원 을 지급합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3,6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이며 ,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은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13) 정정 전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만, 아래의 자금 사용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안정성 높은 금융상품에 예치하여 일시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5년 05월 09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6,117 | - | 7,178 | - | - | - | 13,295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13,295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향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연구개발)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 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101 | - | - | 101 |
인허가 및 사업설계 | 101 | - | - | 101 | ||
설비 도입(용해로, 용탕로, 압연) 및 부대시설 공사 | - | 4,547 | - | 4,547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 | - | 800 | 800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400 | 400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168 | 168 | ||
소계 | 202 | 4,547 | 1,368 | 6,117 | ||
운영자금(연구개발)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개발 | 증착설비 구매(25년 1대, 26년 2대, 27년 3대) | 511 | 1,023 | 1,534 | 3,068 |
소계 | 511 | 1,023 | 1,534 | 3,068 | ||
기타 연구개발투자 | FE-SEM 구매(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 511 | - | - | 511 | |
공초점 현미경 구매,연구인력 채용, 재료비 등 | - | 511 | - | 511 | ||
인장시험기 구매연구인력 채용 등 | - | - | 512 | 512 | ||
소계 | 511 | 511 | 512 | 1,534 | ||
모터권선용CCA각선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 | - | 53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100 | - | - | 100 | ||
검사, 평가 설비 고도화 | - | 100 | 100 | 200 | ||
양산 설비 구축 | - | 405 | 200 | 605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205 | 205 | ||
소계 | 303 | 505 | 505 | 1,313 |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53 | 55 | - | 108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50 | - | - | 150 | ||
Pilot 라인 구축 | 50 | - | - | 50 | ||
양산 설비 구축 | - | 450 | 304 | 754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100 | 100 | ||
성능개선 및 신뢰성 테스트 | - | - | 101 | 101 | ||
소계 | 253 | 505 | 505 | 1,263 | ||
합 계 | 1,780 | 7,091 | 4,424 | 13,295 |
주)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3,100원 ~ 3,600원 중 최저가액인 3,1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가) 시설자금 동사는 공모로 조달된 자금 중 고순도 알루미늄 및 합금 제품 제조에 필요한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약 6,117백만원의 자금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1)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자동차 부품 소재로 알루미늄의 활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환경기구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규제 강화와 함께 친환경차 개발 및 차량 경량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까지 67%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일반 강판(Mild Steel)의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고장력강판(HSS) 및 알루미늄(Aluminum)의 사용 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철(7.87)과 구리(8.9)에 비해 약 1/3 수준으로 가벼운 금속이며, 공업용 금속 중 마그네슘 다음으로 가벼운 소재입니다. 또한, 합 금 원료 조합에따라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 어 우수한 소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높은 원자재 가격으로 인해 자동차 업계에서 주요 부품 소재로 사용하기에 부담이 있었지만, 최근 친환경차 보급 확대, 연비 개선 요구, 차량 경량화 트렌드 강화 및 기술 발전과 함께 알루미늄 원자재 가격 경쟁력도 높아지면서 철에서 알루미늄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단순한 경량화 효과뿐만 아니라 비강도(무게 대비 강도), 내식성, 열전도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의 설비 변경이 최소화된다는 장점 덕분에 주요 자동차 부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선재, 봉재, 형재 등) 제조를 위 한생산기지로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며, 현재 사업계획서 검토 단계에 있습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자사 알루미늄 제품 의 원재료로 활용되며, 다양한 합금 제품은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알루미늄 가공에는 막대한 전력이 소요되며, 전력비는 생산원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베트남은 전기요금이 한국 대비 약 50% 수준으로 낮고, 인건비 역시 중국 및 태국보다 저렴해 원가 절감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벗어나 베트남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고 있으며, 동사 또한 이러한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자 베트남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베트남 공장 을 통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알루미늄 수요처를 적극 확보하고, 원가 경쟁력 제고 및 글로벌 시장 내 입지 강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사업화 시 기대되는 효과로 당사 알루미늄 리드와이어 원소재에 대한 수급 안정화 및 자동차 경량화 부품(볼트, 너트, 피스톤 등)판매와 전선용 선재(한국전력 교체 수요 대응)을 통한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2025년 현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부흥이라는 목표 하 광범위한 관세조치를 단행했으며, 미국의 관세 정책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5년 4월 2일 미국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와 미국이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주요 교역 국가(57개국)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베트남 46%, 한국 25% 등)했습니다. 보편관세는 4월 5일, 상호관세는 4월 9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4월 9일 미국은 미국에 보복조치를 시행한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 시행을 90일 연기하고 국가별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유예 기간 중에는 10% 기본 관세만을 부과합니다.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약 베트남 공장설립을 전면 재검토하게 될 경우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제조에 활용할 공모자금은 다음과 같이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모터/변압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 활용 방안]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주요 내용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구리 스크랩 기반 동로드및 가공제품(모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수립 - 국내외 권선용 동로드 및 전선케이블 시장 수요 분석- 구리 원자재가격 및 수급 동향 조사 |
500 | - | - | 500 |
스크랩 구리 가공을 위한 용해 및 전처리 설비 도입- 용해로 2기 구축- 전처리, 선별 설비 구축 | - | 2,200 | - | 2,200 | ||
동로드 및 권선용 설비 도입 및 검사설비 도입- 동로드 압연, 권선용 가공 설비 도입- 공정 자동화 및 검사 설비 도입, 신뢰성 시험센터 구축 | - | - | 3,417 | 3,417 | ||
소계 | 500 | 2,200 | 3,417 | 6,117 |
주1) 사업추진 배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등으로 리사이클 소재 수요 증가 전망- 구리 가격 상승(예: Goldman Sachs, 2030년 톤당 13,000달러 이상 전망)에 따른 원자재 수급 불안정- 전기차,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전력망 확충 등 구리 수요 급증 산업 확대- 동로드부터 권선·케이블 등으로 이어지는 고부가가치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 필요주2) 투자 기대 효과- 원자재 조달 경쟁력 강화: 구리 가격 상승에 대응하는 스크랩 활용 기반 확보- 제조 원가 절감 및 친환경 이슈 대응: 스크랩 구리 사용 확대 통한 ESG 관점 강화-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의 수직 계열화 실현: 동로드 → 권선용 가공품 → 케이블로 이어지는 제품 다변화- 공급망 리스크 완화: LS MnM 등 국내 정제동 의존도 일부 축소
(나) 운영자금 당사는 공모로 조달된 자금 중 약 7,178백만원의 자금은 신사업을 위한 연구개발에 투입해 사용할 계획입니다. (후략)
(주13) 정정 후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계획 당사는 금번 상장 공모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아래와 같이 사용하고자 합니다. 다만, 아래의 자금 사용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금사용시기가 도래하지 않은 금액에 대해서는 수시입출금 예금, 정기예금 등 안정성 높은 금융상품에 예치하여 일시적으로 운용할 예정입니다.
(기준일 : | 2025년 05월 20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7,112 | - | 8,346 | - | - | - | 15,458 |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통해 조달된 공모자금 중 당사로 유입되는 순수입금은 15,458 백만원이며, 해당 공모자금은 향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연구개발)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용도별 자금의 규모와 지출 시기는 당사가 직면한 사업환경 변화 및 예상치 못한 자금 수요 등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초과하는 자금에 대해서는 자체 운영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공모자금의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내역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117 | - | - | 117 |
인허가 및 사업설계 | 117 | - | - | 117 | ||
설비 도입(용해로, 용탕로, 압연) 및 부대시설 공사 | - | 5,287 | - | 5,287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 | - | 930 | 930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465 | 465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195 | 195 | ||
소계 | 235 | 5,287 | 1,591 | 7,112 | ||
운영자금(연구개발) | 자동차 시트 열선용 및 신호용 MCF개발 | 증착설비 구매(25년 1대, 26년 2대, 27년 3대) | 594 | 1,189 | 1,784 | 3,567 |
소계 | 594 | 1,189 | 1,784 | 3,567 | ||
기타 연구개발투자 | FE-SEM 구매(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 594 | - | - | 594 | |
공초점 현미경 구매,연구인력 채용, 재료비 등 | - | 594 | - | 594 | ||
인장시험기 구매연구인력 채용 등 | - | - | 595 | 595 | ||
소계 | 594 | 594 | 595 | 1,784 | ||
모터권선용CCA각선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62 | - | - | 62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74 | - | - | 174 | ||
Pilot 라인 구축 | 116 | - | - | 116 | ||
검사, 평가 설비 고도화 | - | 116 | 116 | 233 | ||
양산 설비 구축 | - | 471 | 233 | 703 | ||
인력 충원 및 기술교육 | - | - | 238 | 238 | ||
소계 | 352 | 587 | 587 | 1,527 | ||
모터코어 성능 향상용 용접와이어 개발 | 시장조사 및 전략 컨설팅 | 62 | 64 | - | 126 | |
시제품 개발 및 시험 평가 | 174 | - | - | 174 | ||
Pilot 라인 구축 | 58 | - | - | 58 | ||
양산 설비 구축 | - | 523 | 353 | 877 | ||
마케팅 및 유통채널 구축 | - | - | 116 | 116 | ||
성능개선 및 신뢰성 테스트 | - | - | 117 | 117 | ||
소계 | 294 | 587 | 587 | 1,468 | ||
합 계 | 2,070 | 8,245 | 5,144 | 15,458 |
주)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3,600원 기준으로 산출하였습니다. |
(가) 시설자금 동사는 공모로 조달된 자금 중 고순도 알루미늄 및 합금 제품 제조에 필요한 생산능력 확충을 위해 약 7,112 백만원의 자금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1)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 제조 자동차 부품 소재로 알루미늄의 활용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 환경기구의 온실가스 배출 감축 규제 강화와 함께 친환경차 개발 및 차량 경량화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McKinsey & Company에 따르면, 2010년 29%였던 경량화 소재 비율은 2030년까지 67%로 두 배 이상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기존에 널리 사용되던 일반 강판(Mild Steel)의 비중은 감소하는 반면, 고장력강판(HSS) 및 알루미늄(Aluminum)의 사용 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알루미늄은 비중이 2.7로, 철(7.87)과 구리(8.9)에 비해 약 1/3 수준으로 가벼운 금속이며, 공업용 금속 중 마그네슘 다음으로 가벼운 소재입니다. 또한, 합 금 원료 조합에따라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 어 우수한 소재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동안 알루미늄은 상대적으로 높은 원자재 가격으로 인해 자동차 업계에서 주요 부품 소재로 사용하기에 부담이 있었지만, 최근 친환경차 보급 확대, 연비 개선 요구, 차량 경량화 트렌드 강화 및 기술 발전과 함께 알루미늄 원자재 가격 경쟁력도 높아지면서 철에서 알루미늄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단순한 경량화 효과뿐만 아니라 비강도(무게 대비 강도), 내식성, 열전도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기존 자동차 생산라인의 설비 변경이 최소화된다는 장점 덕분에 주요 자동차 부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알루미늄 합금(선재, 봉재, 형재 등) 제조를 위 한생산기지로 베트남에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이며, 현재 사업계획서 검토 단계에 있습니다. 해당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는 자사 알루미늄 제품 의 원재료로 활용되며, 다양한 합금 제품은 국내외 고객사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알루미늄 가공에는 막대한 전력이 소요되며, 전력비는 생산원가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베트남은 전기요금이 한국 대비 약 50% 수준으로 낮고, 인건비 역시 중국 및 태국보다 저렴해 원가 절감에 유리한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을 벗어나 베트남으로 생산거점을 이전하고 있으며, 동사 또한 이러한 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자 베트남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동사는 베트남 공장 을 통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생산기지를 이전한 알루미늄 수요처를 적극 확보하고, 원가 경쟁력 제고 및 글로벌 시장 내 입지 강화를 도모할 계획입니다. 사업화 시 기대되는 효과로 당사 알루미늄 리드와이어 원소재에 대한 수급 안정화 및 자동차 경량화 부품(볼트, 너트, 피스톤 등)판매와 전선용 선재(한국전력 교체 수요 대응)을 통한 매출 확대가 기대됩니다.2025년 현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이후 무역적자 해소와 제조업 부흥이라는 목표 하 광범위한 관세조치를 단행했으며, 미국의 관세 정책은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25년 4월 2일 미국은 모든 수입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보편관세와 미국이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주요 교역 국가(57개국)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베트남 46%, 한국 25% 등)했습니다. 보편관세는 4월 5일, 상호관세는 4월 9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4월 9일 미국은 미국에 보복조치를 시행한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 시행을 90일 연기하고 국가별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유예 기간 중에는 10% 기본 관세만을 부과합니다.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이 원만히 이루어지지 않아 고율의 관세가 지속적으로 부과될 경우, 베트남에서 생산해 미국으로 수출하는 제품의 경우 관세 부담으로 인해 판매가격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습니다. 다만,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되는 알루미늄 합금 제품은 미국 시장뿐 아니라국내를 포함한 타 국가 고객사에도 공급될 예정이므로, 미국 외 지역을 중심으로는 안정적인 수요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수출처 다변화를 통해 관세 리스크를 일정 부분 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만약 베트남 공장설립을 전면 재검토하게 될 경우 동사는 고순도 알루미늄 선재 및 합금 제품제조에 활용할 공모자금은 다음과 같이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모터/변압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구리 스크랩을 이용한 동로드 및 가공제품 제조 활용 방안]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주요 내용 | 2025년 | 2026년 | 2027년 | 합 계 |
시설자금 | 구리 스크랩 기반 동로드및 가공제품(모터용 권선, 전선케이블) 제조 |
시장조사 및 전략 수립 - 국내외 권선용 동로드 및 전선케이블 시장 수요 분석- 구리 원자재가격 및 수급 동향 조사 |
581 | - | - | 581 |
스크랩 구리 가공을 위한 용해 및 전처리 설비 도입- 용해로 2기 구축- 전처리, 선별 설비 구축 | - | 2,558 | - | 2,558 | ||
동로드 및 권선용 설비 도입 및 검사설비 도입- 동로드 압연, 권선용 가공 설비 도입- 공정 자동화 및 검사 설비 도입, 신뢰성 시험센터 구축 | - | - | 3,973 | 3,973 | ||
소계 | 581 | 2,558 | 3,973 | 7,112 |
주1) 사업추진 배경-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 등으로 리사이클 소재 수요 증가 전망- 구리 가격 상승(예: Goldman Sachs, 2030년 톤당 13,000달러 이상 전망)에 따른 원자재 수급 불안정- 전기차, 친환경 에너지 전환, 전력망 확충 등 구리 수요 급증 산업 확대- 동로드부터 권선·케이블 등으로 이어지는 고부가가치 제품 포트폴리오 확보 필요주2) 투자 기대 효과- 원자재 조달 경쟁력 강화: 구리 가격 상승에 대응하는 스크랩 활용 기반 확보- 제조 원가 절감 및 친환경 이슈 대응: 스크랩 구리 사용 확대 통한 ESG 관점 강화- 고부가가치 제품군으로의 수직 계열화 실현: 동로드 → 권선용 가공품 → 케이블로 이어지는 제품 다변화- 공급망 리스크 완화: LS MnM 등 국내 정제동 의존도 일부 축소
(나) 운영자금 당사는 공모로 조달된 자금 중 약 8,346백만원 의 자금은 신사업을 위한 연구개발에 투입해 사용할 계획입니다. (후략)(주14) 정정 전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중략)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고려제강(주) | 상장 | 1988-04-02 |
계열사 네트워크 활용단순투자 |
1,245 | 3,531,212 | 14.12% | 71,684 | -230,000 | -52,440 | -7,513 | 3,301,212 | 13.20% | 58,927 | 2,609,169 | 29,275 |
(주14) 정정 후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중략)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고려제강(주) | 상장 | 1988-04-02 |
계열사 네트워크 활용단순투자 |
1,245 | 3,531,212 | 14.12% | 71,684 | 34,224 | -52,440 | -7,513 | 3,565,436 | 13.2 1% | 58,927 | 2,609,169 | 29,275 |
주) 증가(감소), 기말잔액의 수량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이며, 이외의 사항은 2024년 온기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주15) 정정 전
4. 타법인 출자현황
(중략)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고려제강(주) | 상장 | 1988-04-02 |
계열사 네트워크 활용단순투자 |
1,245 | 3,531,212 | 14.12% | 71,684 | -230,000 | -52,440 | -7,513 | 3,301,212 | 13.20% | 58,927 | 2,609,169 | 29,275 |
(주15) 정정 후
4. 타법인 출자현황
(중략)
(단위 : 백만원, 주, %) |
법인명 | 상장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취득(처분) | 평가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가액 | 총자산 | 당기순손익 | ||||||
수량 | 금액 | ||||||||||||||
고려제강(주) | 상장 | 1988-04-02 |
계열사 네트워크 활용단순투자 |
1,245 | 3,531,212 | 14.12% | 71,684 | 34,224 | -52,440 | -7,513 | 3,565,436 | 13.2 1% | 58,927 | 2,609,169 | 29,275 |
주) 증가(감소), 기말잔액의 수량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준이며, 이외의 사항은 2024년 온기 감사보고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위 정정사항외에 모든 사항은 2025년 05월 09일자로 당사가 제출한 신고서와 동일하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