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 귀중 | 2025년 07월 16일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엔알비 |
대 표 이 사 : | 강 건 우 |
본 점 소 재 지 : | 전라북도 군산시 군산산단로 96 (비응도동, ㈜엔알비) |
(전 화) 063-462-2019 | |
(홈페이지) http:// www.and-rb.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 무 (성 명) 김 명 진 |
(전 화) 070-8801-2019 |
1. 정정대상 신고서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5월 28일
2. 모집 또는 매출 증권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 2,100,000주
3. 모집 또는 매출금액 : 44,100,000,000원
4. 정정사유 : 공모가액 확정에 따른 기재사항 정정
5. 정정사항 금번 정정에 따른 변동사항은 투자자의 편의를 위해 "굵은 빨간색" 으로 기재하였습니다. 다만, 단순 오타 및 띄어쓰기, 동일 내용의 단순 순서 재배치 등 문서 교정사항과 인용 자료 작성기관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은 본문에 반영하였으며, 투자자들의 정정사항 파악 용이성을 저해하지 않고자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증권신고서 정정 세부사항】 |
항 목 | 정 정 전 | 정 정 후 |
공통정정사항 | - 모집(매출)가액(예정): 18,000원 ~ 21,0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37,800,000,000원 ~ 44,100,000,0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525,000주 ~ 630,0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470,000주 ~ 1,575,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30.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0.0%~ 75.0% | - 모집(매출)가액(예정): 21,000원 - 모집(매출)총액(예정): 44,100,000,000원 - 일반투자자 배정주식수: 525,000주 - 기관투자자 배정주식수: 1,575,000주 - 일반투자자 배정비율: 25.0% - 기관투자자 배정비율: 75.0% |
요약정보 | 요약정보 내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사항을 동일하게 반영하였으며, 본 정정표에 별도로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요약정보의 정정사항은 아래 본문의 정정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
1. 공모개요 | (주1) | (주1) |
2. 공모방법 | (주2) | (주2)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 (주3) | (주3)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다. 수요예측에 관한 사항 | (주4) | (주4)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 (주5) | (주5)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다. 청약에 관한 사항 | (주6) | (주6)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 (주7) | (주7)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 (주8) | (주8)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 (주9) | (주9)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 (주10) | (주10) |
III. 투자위험요소 | ||
1. 사업위험 - 가. 국내외 거시경기 침체 및 불확실성 관련 위험 | (주11) | (주11) |
1. 사업위험 - 차. 납기 준수 및 고객 요구사양 충족 실패 위험 | (주12) | (주12) |
2. 회사위험 - 가. 실적변동에 따른 수익성 관련 위험 | (주13) | (주13) |
3. 기타위험 - 가. 상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 (주14) | (주14) |
3. 기타위험 - 나.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 (주15) | (주15) |
3. 기타위험 - 라. 상장 후 경영안정성에 대한 위험 | (주16) | (주16) |
3. 기타위험 - 거.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 (주17) | (주17) |
IV. 인수인의 의견 |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가. 평가결과 | (주18) | (주18)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 산출 | (주19) | (주19) |
V. 자금의 사용목적 | ||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 (주20) | (주20) |
2. 자금사용의 목적 | (주21) | (주21) |
(주1) 정정 전
1. 공모개요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기명식 보통주 | 2,100,000 | 500 | 18,000 | 37,80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대표주관회사 | NH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1,470,000 | 26,460,000,000 | 686,499,750 | 총액인수 |
인수회사 | KB증권 | 기명식보통주 | 630,000 | 11,340,000,000 | 283,500,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년 07월 17일 ~2025년 07월 18일 | 2025년 07월 22일 | 2025년 07월 17일 | 2025년 07월 22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희망공모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입니다. 참고 목적으로 희망공모가액 최고가인 21,000원 기준 금번 공모의 모집(매출)총액은 44,100,000,000원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이며, 모집(매출)가액 확정 시 정정 증권신고서를 제출할 예정입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2일간)※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이틀간 동일한 시간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5년 01월 22일(수)]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승인[2025년 04월 29일(화)]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총 인수대가는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범위의 최저가액 기준이며,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이 외에 대표주관회사를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가적인 성과수수료가 2.0% 내에서 지급될 수 있습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은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9)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3.0%(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희망공모가액 하단 18,000원 기준 55,555주)
(*) 상기 취득분은 모집ㆍ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단, 취득금액의 한도를 10억원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최종 공모가격 결정에 따라 취득수량의 변동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희망공모가액 하단 18,000원 기준 55,555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
주11)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른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합니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주1) 정정 후
1. 공모개요
(단위 : 원, 주) |
증권의 종류 | 증권수량 | 액면가액 | 모집(매출)가액 | 모집(매출)총액 | 모집(매출)방법 |
---|---|---|---|---|---|
기명식 보통주 | 2,100,000 | 500 | 21,000 | 44,100,000,000 | 일반공모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대표주관회사 | NH투자증권 | 기명식보통주 | 1,470,000 | 30,870,000,000 | 922,749,975 | 총액인수 |
인수회사 | KB증권 | 기명식보통주 | 630,000 | 13,230,000,000 | 330,750,00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2025년 07월 17일 ~2025년 07월 18일 | 2025년 07월 22일 | 2025년 07월 17일 | 2025년 07월 22일 | - |
주1) | 모집(매출)가액(이하 " 공모희망가액"이라 한다)과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주2) | 모집(매출)가액, 모집(매출)총액, 인수금액 및 인수대가는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 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입니다. | ||||||||||
주3) | 모집(매출)가액의 확정(이하 "확정공모가액"이라 한다)은 청약일 전에 실시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21,000원으로 최종 결정하였습니다. | ||||||||||
주4)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따라 정정 증권신고서 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5) | [청약일] - 기관투자자 청약일: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2일간)- 일반청약자 청약일: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2일간)※ 기관투자자의 청약과 일반투자자 청약은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이틀간 동일한 시간에 실시됨에 유의하시기 바라며, 상기 청약일 및 납입일 등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상황, 주식시장 상황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주6) | 기관투자자, 일반청약자의 청약 후 최종 미청약 물량에 대해 인수하고자 하는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 종료 후 배정 전까지 추가로 청약을 할 수 있습니다. | ||||||||||
주7) | 본 주식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목적으로 모집(매출)하는 것으로 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제출[2025년 01월 22일(수)]하여 한국거래소로부터 상장예비심사승인[2025년 04월 29일(화)]을 받았습니다. 그 결과 금번 공모 완료 후 신규상장신청 전 주식의 분산요건(「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 제1항제1호)을 충족하게 되면 상장을 승인하겠다는 통지를 받았으나, 일부 요건이라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할 수 없어 환금성에 큰 제약을 받을 수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
주8) | 총 인수대가는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상기 인수대가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21,000원 기준입니다. 이 외에 대표주관회사를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가적인 성과수수료 로 총 조달금액(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을 합산한 금액) 2.0% 이내인 금 126,000,000원을 지급합니다. 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은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경우 변동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총 인수대가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9) |
금번 공모 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3.0%(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확정공모가액 21,000원 기준 47,619주 )
(*) 상기 취득분은 모집ㆍ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가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게 됩니다. |
||||||||||
주10)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확정공모가액 21,000원 기준 47,619주 )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
주11) | 금번 공모에서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 제1항 각 호에 해당하는 사항이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3(환매청구권)에 따른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을 인수회사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이하 "환매청구권" 이라 합니다)를 부여하지 않습니다. |
(주2) 정정 전
2. 공모방법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2,100,000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2,100,000주 |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 으나, 당사는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한 사실이 없으므로 금번 공모 시에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일반청약자 | 525,000주~ 630,000주 | 25.0%~30.0% | 18,000원주1) | 9,450,000,000원~11,340,000,000원 | 주3), 주4) |
기관투자자 | 1,470,000주~ 1,575,000주 | 70.0%~75.0% | 18,000원주1) | 26,460,000,000원~28,350,000,000원 | 주5), 주6), 주7)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37,80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엔알비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입니다.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한 후 주당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것입니다. |
주2)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7과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에 의해 우리사주조합에 총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을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 나, 당사는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한 사실이 없으므로 금번 공모 시에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3호에 근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 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2,100,000주 |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일반청약자 | 525,000주~ 630,000주 | 25.0%~30.0% | 18,000원 | 9,450,000,000원~11,340,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1,470,000주~ 1,575,000주 | 70.0%~75.0% | 18,000원 | 26,460,000,000원~28,350,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37,800,000,000원 | - |
주1) |
기관투자자: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상기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금번 공모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혹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 제2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 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제1항 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 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 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4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2)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에 한한다)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3) | ' 주당 공모가액'이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 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 기준으로서, 청약일 전에 대표주관회사가 수요예측을 실시하며, 동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한 후 확정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
주4)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을 근거로 하여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가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주5)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6) |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7)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당사는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한 사실이 없으므로 금번 공모 시에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식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
NH투자증권 | 55,555주 | 18,000원 | 999,990,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18,000원 ~ 21,000원)의 밴드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시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이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에 시장에 출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2) 정정 후
2. 공모방법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는 신주모집 2,100,000주(공모주식의 100.0%)의 일반공모 방식에 의합니다.
가. 공모주식의 배정내역
【공모방법 : 일반공모】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2,100,000주 |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주1)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 제2항 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 증권신고서상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는 금번 제출한 증권신고서의 모집 또는 매출할 증권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주2)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 으나, 당사는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한 사실이 없으므로 금번 공모 시에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일반청약자 | 525,000주 | 25.0% | 21,000원주1) | 11,025,000,000원 | 주3), 주4) |
기관투자자 | 1,575,000주 | 75.0% | 21,000원주1) | 33,075,000,000원 | 주5), 주6), 주7)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44,100,000,000원 | - |
주1) | 주당 공모가액 및 모집(매출)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인 ㈜엔알비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7과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에 의해 우리사주조합에 총 공모주식의 100분의 20을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 나, 당사는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한 사실이 없으므로 금번 공모 시에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주3)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3호에 근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4)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라 일반청약자 배정물량인 공모 물량의 25%에 추가적으로 우리사주 조합원의 청약 수량을 제외한 물량을 공모주식의 5% 이내에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
주5)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4호에 따라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게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6)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따라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
주7)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7호에 따라 주2)~주6)에 따른 배정 후 잔여주식을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합니다.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나. 모집의 방법 등
【모집방법 : 일반공모】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비고 |
---|---|---|---|
일반공모 | 2,100,000주 | 100.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청약대상자 유형별 공모대상 주식수】 |
공모대상 | 주식수 | 배정비율 | 주당 공모가액 | 모집(매출)총액 | 비고 |
---|---|---|---|---|---|
일반청약자 | 525,000주 | 25.0% | 21,000원 | 11,025,000,000원 | - |
기관투자자 | 1,575,000주 | 75.0% | 21,000원 | 33,075,000,000원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합계 | 2,100,000주 | 100.0% | - | 44,100,000,000원 | - |
주1) |
기관투자자: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8호에 의한 다음 각 목에 해당하는 자를 말합니다.가.「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시행령 제10조제2항제1호부터 제10호(제8호의 경우 법 제8조제2항부터 제4항까지의 금융투자업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까지, 제13호부터 제17호까지, 제3항제3호, 제10호부터 제13호까지의 전문투자자나.「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82조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등록되거나 제249조의6 또는 제249조의10에 따라 금융위원회에 보고된 집합투자기구다.「국민연금법」에 의하여 설립된 국민연금공단라.「우정사업본부 직제」에 따른 우정사업본부마.「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6항의 금융투자업자(이하 "투자일임회사"라 한다)바. 상기 가목부터 마목에 준하는 법인으로 외국법령에 의하여 설립된 자사.「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8조제7항의 금융투자업자 중 아목 이외의 자(이하 "신탁회사"라 한다)아. 「금융투자업규정」제3-4조제1항의 부동산신탁업자(이하 "부동산신탁회사"라 한다)※ 금번 공모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제1항제2호 단서조항의 "창업투자회사등"의 수요예측참여는 허용되지 않습니다.※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이란「조세특례제한법」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투자신탁 등을 말하며,「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집합투자기구, 투자일임재산 또는 특정금전신탁으로서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것을 말합니다.①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15 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이라 한다).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속하는 분기 또는 그 다음 분기 말일 전 영업일까지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및 같은 조 제5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고위험고수익채권의 보유비율이 같은 법 시행령 제93조제1항제1호 각 목의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② 법률 제19328호 조세특례제한법의 시행일 이전의 제91조의15제1항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하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최초 설정일ㆍ설립일이 2023년 12월 31일 이전일 것. 다만, 해당 투자신탁 등의 최초 설정일ㆍ설립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대통령령 제33499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시행일 이전의 제93조제3항제1호 및 같은 조 제7항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 영업일의 비우량채권과 코넥스 상장주식을 합한 보유비율이 100분의 45 이상이고 이를 포함한 국내 채권의 보유비율이 100분의 60 이상이어야 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고위험고수익채권투자신탁 혹은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투자신탁"이란 「조세특례제한법」 제16조 제1항 제2호의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서(대통령령 제28636호 「조세특례제한법 시행령」 일부 개정령 시행 이후 설정된 벤처기업투자신탁에 한한다)다음 각 호의 요건을 갖춘 신탁을 말합니다.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신탁(같은 법 제251조에 따른 보험회사의 특별계정을 제외한다. 이하 "투자신탁"이라 한다)으로서 계약기간이 3년 이상일 것② 통장에 의하여 거래되는 것일 것 ③ 투자신탁의 설정일부터 6개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제19항에 따른 사모집합투자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9개월) 이내에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다음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50 이상일 것. 이 경우 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가목1)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분의 15이상이어야 한다. 가. 벤처기업에 다음의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 제2항에 따른 투자 2) 타인 소유의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매입에 의하여 취득하는 방법으로 하는 투자 나. 벤처기업이었던 기업이 벤처기업에 해당하지 아니하게 된 이후 7년이 지나지 아니한 기업으로서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따른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중소기업 또는 제10조 제1항에 따른 중견기업에 가목1) 및 2)에 따른 투자를 하는 재산의 평가액의 합계액이 차지하는 비율 ④ 제3호의 요건을 갖춘 날부터 매 6개월마다 같은 호 각 목 외의 부분 전단 및 후단에 따른 비율 (투자신탁재산의 평가액이 투자원금보다 적은 경우로서 같은 후단에 따른 비율이 100분의 15 미만인 경우에는 이를 100분의 15로 본다)을 매일 6개월 동안 합산하여 같은 기간의 총일수로 나눈 비율이 각각 100분의 50 및 100분의 15 이상일 것. 다만, 투자신탁의 해지일 전 6개월에 대해서는 적용하지 아니한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 제20호에 의거 해당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최초 설정일로부터 수요예측 참여일까지의 기간이 1년 미만인 경우에는 같은 법 시행령 제14조 제1항 제3호에도 불구하고, 수요예측 참여일 직전영업일의 벤처기업투자신탁 재산총액에서 같은 호 각 목에 따른 비율의 합계가 100분의 35 이상이어야 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벤처기업투자신탁으로 참여하는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 제20호에 따른 벤처기업투자신탁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신탁자산 구성 내역을 기재한 수요예측 참여 명세서를 징구하며, 요청 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시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투자일임회사"는 투자일임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의 경우에는 아래의 제1항 및 제4항을 적용하지 않습니다. 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 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 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 ④ 투자일임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투자일임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 "투자일임회사"는 다음 각 항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투자일임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② 투자일임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투자일임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투자일임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투자일임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투자일임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신탁회사"는 신탁계약을 체결한 투자자가 다음 각 항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신탁재산으로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①「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에 따른 기관투자자( 같은 호 마목에 따른 투자일임회사는 제외한다)일 것②「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4항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할 것③「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7조의2제6항제1호에 따라 불성실 수요예측등 참여자로 지정되어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 참여 및 공모주식 배정이 금지된 자가 아닐 것④ 신탁계약 체결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고, 수요예측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신탁재산의 평가액이 5억원 이상일 것※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한하여 집합투자회사의 고유재산으로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①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2년이 경과하고,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이 50억원 이상일 것 ② 집합투자회사가 운용하는 전체 집합투자재산의 수요예측등 참여일전 3개월간의 일평균 평가액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로부터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반 사모집합투자업 등록일부터 수요예측등 참여일전까지 집합투자재산의 일평균 평가액을 말한다)이 300억원 이상일 것 ※ 집합투자회사등의 경우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의2(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배정)에 의거, 수요예측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① 집합투자회사등이 위탁재산으로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이 인수한 주식의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등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87조제1항제2호의4, 제99조제2항제2호의4, 제109조제1항제2호의4에 해당함을 확인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확약서를 대표주관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②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회사가 제1항에 따라 집합투자회사등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1. 수요예측등에 참여하는 집합투자회사등은 위탁재산의 경우 매입 희망가격을 제출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2. 수요예측등에 참여한 기관투자자가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한 전체 매입 희망수량이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수요예측 대상주식수를 초과할 것3. 동일한 인수회사를 자기 또는 관계인수인으로 하는 집합투자업자등에게 배정하는 공모주식의 합계를 기관투자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의 1% 이내로 할 것※ 대표주관회사는 기관투자자가 본 수요예측에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로 참여하는 경우 상기 요건에 해당하는 투자일임회사(또는 신탁회사 및 일반 사모집합투자업을 등록한 집합투자회사)임을 확약하는 "확약서" 및 펀드명, 펀드설정금액, 펀드별 참여현황 등을 기재한 "수요예측참여 총괄집계표"를 징구할 수 있으며, 이를 요청받은 기관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본 수요예측에 참여한 해외 기관투자자의 경우에 한해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2조제8호바목에 해당하는 투자자임을 입증할 수 있는 서류를 요청할 수 있고, 요청 받은 해외투자자가 해당 서류를 미제출할 경우 배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부동산신탁회사"는「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5조의2제4항에 따라 고유재산으로만 기업공개를 위한 수요예측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
주2) | 배정주식수(비율)의 변경①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② 한편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 부분 참조)③ 최종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거나 추첨을 통하여 재배정합니다.④「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하여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⑥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의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 부족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배정한 공모주식 수량이 규정에서 정한 의무배정 수량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의무배정 수량을 배정한 것으로 봅니다. 이 경우 유효한 수요예측 참여수량이라 함은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4항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을 운용하는 기관투자자에 한한다)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제출한 물량 중 매입희망 가격이 공모가격 이상으로 제출된 수량을 말합니다. 또한,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또는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 ||||||||
주3) | ' 주당 공모가액'이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 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입니다. | ||||||||
주4) | 모집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 ||||||||
주5)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제2-3조제2항제1호에 근거하여 정정신고서 상의 공모주식수는 금번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상의 공모할 주식수의 100분의 80 이상과 100분의 120 이하에 해당하는 증권수로 변경 가능합니다. | ||||||||
주6) | 금번 공모에서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0조의3 제1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일반청약자에 대한 환매청구권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 ||||||||
주7) | 「근로복지기본법」제38조제2항 및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2호에 근거하여 우리사주조합에게 공모주식의 100분의 20 의 범위에서 우선적으로 배정할 수 있으나, 당사는 우리사주조합을 설립한 사실이 없으므로 금번 공모 시에 우리사주조합에 우선배정을 실시하지 않습니다. | ||||||||
주8)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3항에 근거하여 본 공모주식의 청약조건을 충족하는 청약자 유형군의 청약수량이 배정비율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다른 청약자 유형군에 배정할 수 있습니다. |
다. 매출의 방법 등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는 100% 신주모집으로 진행되므로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를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상장일부터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내역】 |
구분 | 취득 주식수 | 주당 취득가액 | 취득총액 | 비고 |
---|---|---|---|---|
NH투자증권 | 47,619주 | 21,000원 | 999,999,000원 | - |
주1) | 주당 취득가액 및 취득총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상기 취득분은 모집(매출)주식과는 별도로 신주로 발행되어 상장주선인이 취득하게 됩니다. 단, 모집ㆍ매출하는 물량의 청약이 미달될 시 주당 취득가액이 변경될 경우에는 주식수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이 21,000원으로 결정됨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47,619주로 결정되었습니다. |
주4)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계속 보유하여야 하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상장주선인은 동 의무인수분의 매도시기 및 매도가격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결정한 바가 없습니다. 다만, 상장주선인의 내규에 의거,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 종료 이후 3개월 내 매도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 의무취득분은 의무보유기간(상장 이후 3개월) 이후 3개월 내에 시장에 출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주3) 정정 전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는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8,000원 ~ 21,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수요예측결과 반영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엔알비의 절대적 평가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할 예정입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3) 정정 후
나. 공모가격 산정 개요 대표주관회사는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신규상장을 위한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다음과 같이 제시합니다.
구 분 | 내 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8,000원 ~ 21,000원 |
주당 확정공모가액 | 21,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와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수요예측결과 반영여부 |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별 자산규모, 장기보유 성향 등을 고려하여 참여수량을 집계하고, 가중평균 가격을 산정한 후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확정 공모가격 결정의 근거로 활용합니다. |
주1)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엔알비의 절대적 평가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시장 상황, 산업 및 재무 위험의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정보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 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21,000원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
주3) | 희망공모가액 산정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4) 정정 전 <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470,000주~ 1,575,000주 | 70.0%~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
주2)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2,1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525,000주~630,000주(25.00%~30.00%) 는 수요예측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4) 수요예측 참가 신청수량 최고 및 최저한도
구분 | 최고 한도 | 최저 한도 |
---|---|---|
기관투자자 | 각 기관별로 법령등에 의한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 및 1,575,000주(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적은 수량 | 1,000주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물량 배정 시 "참여가격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및 가격 분석능력, 투자 및 매매 성향, 의무보유 확약기간, 공모 참여실적, 수요예측에 대한 기여도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물량 배정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해서는 최대 수요예측 참여수량 전체에 해당하는 물량이 배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 참여 시 이러한 사항을 각별히 유의하여 반드시 각 수요예측 참여자가 소화할 수 있는 실수요량 범위 내에서 수요예측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을 확약할 수 있습니다. |
주3)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최고 한도는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이 75.00%인 경우를 가정한 주식수입니다. |
(주4) 정정 후 <중략>
3) 수요예측 대상주식에 관한 사항
구 분 | 주식수 | 비 율 | 비 고 |
---|---|---|---|
기관투자자 | 1,575,000주 | 75.0% |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배정수량 포함 |
주1) | 상기 기관투자자는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을 포함합니다 |
주2) | 비율은 전체 공모주식수 2,100,000주에 대한 비율입니다. |
주3) | 일반청약자 배정분 525,000주(25.00%) 는 수요예측 대상주식이 아닙니다. |
4) 수요예측 참가 신청수량 최고 및 최저한도
구분 | 최고 한도 | 최저 한도 |
---|---|---|
기관투자자 | 각 기관별로 법령등에 의한투자한도 잔액(신청수량 × 신청가격) 및 1,575,000주(기관투자자 배정물량) 중 적은 수량 | 1,000주 |
주1) | 금번 수요예측에 있어서 물량 배정 시 "참여가격 및 참여자의 질적인 측면(운용규모 및 가격 분석능력, 투자 및 매매 성향, 의무보유 확약기간, 공모 참여실적, 수요예측에 대한 기여도 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물량 배정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는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해서는 최대 수요예측 참여수량 전체에 해당하는 물량이 배정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수요예측 참여 시 이러한 사항을 각별히 유의하여 반드시 각 수요예측 참여자가 소화할 수 있는 실수요량 범위 내에서 수요예측에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
주2) | 금번 수요예측에 참여하는 기관투자자는 15일, 1개월, 3개월, 6개월의 의무보유기간을 확약할 수 있습니다. |
주3) | 기관투자자 수요예측 최고 한도는 기관투자자 배정 물량이 75.00% 를 적용한 주식수입니다. |
<중략> 13) 수요예측 결과1]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건, 주) |
구 분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 계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ㆍ중개업자 | 연기금,은행, 보험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공모 | 사모 | |||||||||
건수 | 51 | 1,098 | 279 | 28 | 47 | 610 | 110 | 34 | 18 | 2,275 |
수량 | 55,864,000 | 585,415,000 | 91,515,000 | 41,951,000 | 67,250,000 | 238,940,000 | 107,064,000 | 52,025,000 | 21,280,000 | 1,261,304,000 |
경쟁률 | 35.47 | 371.69 | 58.10 | 26.64 | 42.70 | 151.71 | 67.98 | 33.03 | 13.51 | 800.83 |
주1)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주2) | 수요예측 참여 건수 및 수량은 수요예측 이전 기관투자자 배정물량인 1,470,000주~ 1,575,000주 상단인 1,575,000주를 기준으로 주문을 받은 결과이며, 경쟁률은 1,575,000주를 기준으로 산출된 결과입니다. |
2]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단위: 건, 주) |
구 분 | 국내기관투자자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ㆍ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상단 초과 | 1 | 19,000 | 49 | 28,604,000 | 17 | 5,501,000 | - | - | 3 | 4,725,000 |
밴드상단 | 49 | 54,842,000 | 1,019 | 531,964,000 | 260 | 84,993,000 | 28 | 41,951,000 | 44 | 62,525,000 |
밴드 상위 75% 초과 ~ 10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 ~ 7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 초과 ~ 5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초과 ~ 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 하위 2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미만 ~ 5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50% 미만 ~ 7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75% 미만 ~ 10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 - | - | 9 | 7,529,000 | 1 | 142,000 | - | - | - | - |
밴드하단 미만 | - | - | 1 | 235,000 | 1 | 879,000 | - | - | - | - |
미제시 | 1 | 1,003,000 | 20 | 17,083,000 | - | - | - | - | - | - |
합 계 | - | 55,864,000 | 1,098 | 585,415,000 | 279 | 91,515,000 | 28 | 41,951,000 | 47 | 67,250,000 |
구 분 | 국내기관투자자 | 국내기관투자자 | 해외기관투자자 | 합 계 |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 유(주1)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
밴드상단 초과 | 14 | 4,852,000 | 2 | 1,886,000 | 4 | 6,300,000 | - | - | 90 | 51,887,000 |
밴드상단 | 586 | 228,582,000 | 105 | 103,048,000 | 30 | 45,725,000 | 18 | 21,280,000 | 2,139 | 1,174,910,000 |
밴드 상위 75% 초과 ~ 10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50% 초과 ~ 7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상위 25% 초과 ~ 50%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초과 ~ 상위 25% 이하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 - | - | - | - | - | - | - | - | - | - |
밴드 중간값 미만 ~ 하위 2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25% 미만 ~ 5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50% 미만 ~ 75%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 하위 75% 미만 ~ 100% 이상 | - | - | - | - | - | - | - | - | - | - |
밴드하단 | 7 | 2,677,000 | 3 | 2,130,000 | - | - | - | - | 20 | 12,478,000 |
밴드하단 미만 | - | - | - | - | - | - | - | - | 2 | 1,114,000 |
미제시 | 3 | 2,829,000 | - | - | - | - | - | - | 24 | 20,915,000 |
합 계 | 610 | 238,940,000 | 110 | 107,064,000 | 34 | 52,025,000 | 18 | 21,280,000 | 2,275 | 1,261,304,000 |
주1)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주2) |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의2에 의거하여 관계인수인으로 구분되는 기관은 금번 수요예측 참여 시 신청가격을 제시하지 않았습니다. |
과거 양식으로 작성한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건, 주, %) |
구분 | 참여건수 기준 | 신청수량 기준 | ||
참여건수(건) | 비율 | 신청수량(주) | 비율 | |
21,000원 초과 | 90 | 4.0% | 51,887,000 | 4.1% |
21,000원 | 2,139 | 94.0% | 1,174,910,000 | 93.2% |
18,000원 초과 ~ 21,000원 미만 | 0 | 0.0% | 0 | 0.0% |
18,000원 | 20 | 0.9% | 12,478,000 | 1.0% |
18,000원 미만 | 2 | 0.1% | 1,114,000 | 0.1% |
가격미제시(관계인수인) | 24 | 1.1% | 20,915,000 | 1.7% |
합계 | 2,275 | 100.0% | 1,261,304,000 | 100.0% |
3] 의무보유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내역
(단위: 건, 주, 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
운용사(집합) | 운용사(고유) | 투자매매ㆍ중개업자 | 연기금, 은행, 보험 | ||||||||||||
공모 | 사모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미확약 | 51 | 55,864,000 | 20,624 | 1,093 | 581,386,000 | 20,586 | 279 | 91,515,000 | 21,131 | 28 | 41,951,000 | 21,000 | 45 | 64,100,000 | 21,351 |
15일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2 | 3,150,000 | 21,000 |
1개월 확약 | - | - | - | 3 | 1,341,000 | 21,000 | - | - | - | - | - | - | - | - | - |
3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개월 확약 | - | - | - | 2 | 2,688,000 | 21,828 | - | - | - | - | - | - | - | - | - |
합 계 | 51 | 55,864,000 | 20,624 | 1,098 | 585,415,000 | 20,592 | 279 | 91,515,000 | 21,131 | 28 | 41,951,000 | 21,000 | 47 | 67,250,000 | 21,335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투자일임사(고유, 일임) | 기타 | 거래실적 유(주)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건수 | 수량 | 신청가격 | |
미확약 | 605 | 236,967,000 | 20,750 | 109 | 106,545,000 | 21,008 | 34 | 52,025,000 | 21,605 | 18 | 21,280,000 | 21,000 | 2,262 | 1,251,633,000 | 20,797 |
15일 확약 | 1 | 123,000 | 21,000 | - | - | - | - | - | - | - | - | - | 3 | 3,273,000 | 21,000 |
1개월 확약 | - | - | - | 1 | 519,000 | 21,000 | - | - | - | - | - | - | 4 | 1,860,000 | 21,000 |
3개월 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개월 확약 | 4 | 1,850,000 | 22,643 | - | - | - | - | - | - | - | - | - | 6 | 4,538,000 | 22,160 |
합 계 | 610 | 238,940,000 | 20,765 | 110 | 107,064,000 | 21,007 | 34 | 52,025,000 | 21,605 | 18 | 21,280,000 | 21,000 | 2,275 | 1,261,304,000 | 20,803 |
주)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입니다. |
4] 주당 확정 공모가액의 결정 상기와 같은 수요예측 결과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합의하여 1주당 확정공모가액을 21,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5] 물량배정대상자 가격범위 1주당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이상 가격 제시자 및 가격 미제시자(관계인수인)에게 기관청약자 물량을 배정하였습니다. (주5)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2,1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18,000원 | |
확정가액 | 주2)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37,800,000,000원 | |
확정가액 | 주2) | ||
청약단위 | 주3)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7월 17일(목) |
종료일 | 2025년 07월 18일(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7월 17일(목) | |
종료일 | 2025년 07월 18일(금)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0%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7월 22일(화) |
주1)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NH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10:00 ~ 16:00) | |
주2) | 주당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가 수요예측한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엔알비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
주3) |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의 본ㆍ지점 및 인수회사인 KB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 및 및 인수회사인 KB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에 관항 사항 -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 사항은 인수단 구성원 각 사에서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
주4) | 청약증거금: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 2025년 07월 22일(화) ]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 2025년 07월 22일(화)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⑤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 2025년 07월 22일(화) ] 1 0: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2) 기관투자자: NH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 NH투자증권㈜ 본ㆍ지점, KB증권㈜ 본ㆍ지점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5)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모집 또는 매출 조건
항목 | 내용 | ||
---|---|---|---|
모집 또는 매출주식의 수 | 기명식 보통주 2,100,000주 | ||
주당 모집가액 또는 매출가액 | 예정가액 | 21,000원 | |
확정가액 | 주2) | ||
모집총액 또는 매출총액 | 예정가액 | 44,100,000,000원 | |
확정가액 | 주2) | ||
청약단위 | 주3) | ||
청약기일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개시일 | 2025년 07월 17일(목) |
종료일 | 2025년 07월 18일(금) | ||
일반투자자 | 개시일 | 2025년 07월 17일(목) | |
종료일 | 2025년 07월 18일(금) | ||
청약증거금 |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0% | |
일반투자자 | 50% | ||
납입기일 | 2025년 07월 22일(화) |
주1) | 청약기일: 상기의 일정은 효력발생일의 변경 및 회사 상황,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NH투자증권㈜ 청약일: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10:00 ~ 16:00) | |
주2) | 주당 공모가액은 청약일 전 대표주관회사가 수요예측한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인 ㈜엔알비와 협의하여 최종 결정한 21,000원입니다. |
주3) | 청약단위: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단위는 1주로 합니다. ② 일반청약자는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의 본ㆍ지점 및 인수회사인 KB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 및 및 인수회사인 KB증권㈜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 "다. 청약에 관항 사항 -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를 참조해 주시기 바라며, 기타 사항은 인수단 구성원 각 사에서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
주4) | 청약증거금:①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100%로 합니다.②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은 없습니다. ③ 일반청약자 청약증거금은 청약금액의 50%로 합니다. ④ 일반청약자의 청약증거금은 주금납입기일 [ 2025년 07월 22일(화) ] 에 주금납입금으로 대체하되,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여 주금납입기일까지 당해 청약자로부터 그 미달금액을 받지 못한 때에는 미달금액에 해당하는 배정주식은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며, 초과 청약증거금이 있는 경우 이를 환불일 [ 2025년 07월 22일(화) ]에 반환합니다. 이 경우, 청약증거금은 무이자로 합니다. ⑤ 기관투자자는 금번 공모에 있어 청약증거금이 면제되는 바, 청약하여 배정받은 물량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일인 [ 2025년 07월 22일(화) ] 1 0: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당해 청약을 접수한 대표주관회사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한편,동 납입금액이 기관투자자가 청약하여 배정받는 주식의 납입금액에 미달할 경우에는 대표주관회사가 그 미달 금액에 해당하는 주식을 총액인수계약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5) | 청약취급처:2) 기관투자자: NH투자증권㈜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 NH투자증권㈜ 본ㆍ지점, KB증권㈜ 본ㆍ지점 |
주6) |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초과하였으나『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8조제1항제1호에 의한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주식분산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추가 신주 공모여부를 결정합니다. 또한 청약증거금이 납입주금에 미달하고 "주식분산요건"의 미충족사유 발생 시 대표주관회사는 발행회사와 협의를 통하여 재공모 및 신규 상장 취소 여부를 결정합니다. 청약 이후 분산요건 미충족으로 신규 상장을 못할 경우, 청약증거금과 경과이자는 청약자에게 반환하나, 상기의 사유로 추가적인 신주 공모의 가능성과 신규 상장 취소의 가능성은 존재함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주6) 정정 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다. 청약에 관한 사항1) 청약의 개요 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 일반청약자의 청약 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 및 복수 청약처에서의 중복청약은 불가합니다.※ 청약사무취급처: NH투자증권㈜ 본ㆍ지점, KB증권㈜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인수단 구성원 각 사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NH투자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분 | 내용 | |||||||||||||||||||||||||||||||||||
---|---|---|---|---|---|---|---|---|---|---|---|---|---|---|---|---|---|---|---|---|---|---|---|---|---|---|---|---|---|---|---|---|---|---|---|---|
청약자격 | ※ 영업점 창구 개설 계좌- 청약 개시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계좌 보유 고객※ 비대면 개설 및 은행연계 개설 계좌- 청약 당일 계좌개설 후 청약 가능(별도 제한 없음)단, 비대면 미성년자 개설 계좌는 청약개시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계좌로만 청약이 가능합니다. | |||||||||||||||||||||||||||||||||||
청약한도및 우대기준 |
NH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최고청약한도는 12,000주~14,000주 (100%)이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18,000주~21,000주 (150%), 24,000주~28,000주 (200%), 30,000주~35,000주 (250%), 36,000주~42,000주 (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청약수수료 |
- QV 이용 고객
- 나무(namuh)증권 이용 고객
청약 수수료는 환불일에 환불금에서 후불 징수되며, 미배정 시 청약수수료는 면제됩니다. 환불금이 없는 경우 청약계좌에서 출금 처리되며, 청약 계좌에 출금가능금액이 부족한 경우 기타대여금이 발생됨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청약증거금 | 50% (모든 고객에게 동일 적용) |
[KB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분 | 청약자격 | |||||
---|---|---|---|---|---|---|
청약자격 | KB증권 영업점 개설 계좌 | 청약개시일(초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 계좌 보유 고객 | ||||
제휴은행 영업점 개설 계좌 | ||||||
KB증권 비대면 개설 계좌 | 청약 당일 계좌개설 후 청약 가능 (별도 제한 없음) | |||||
제휴은행 비대면 개설 계좌 | ||||||
최고 청약한도 | ■ 일반고객(100%): 청약한도의 100% | |||||
■ 우대고객(12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120% | ||||||
■ 우대고객(15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150% | ||||||
■ 우대고객(2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00% | ||||||
■ 우대고객(25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50% | ||||||
■ 우대고객(3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300% | ||||||
청약방법 | ■ HTS/MTS/홈페이지 청약 | |||||
■ 지점 내방 청약 | ||||||
■ 유선청약(지점/고객센터) | ||||||
■ ARS 청약 | ||||||
※ 일반고객의 경우 온라인 청약만 가능 (영업점(유선포함)/고객센터 청약 불가) | ||||||
※ 단, 만 65세 이상 고객은 영업점(유선포함)/고객센터 청약 가능 | ||||||
청약한도우대기준 | 일반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청약한도의 100%, 우대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120%, 150%, 200%, 250% 또는 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구분 | 세부내용 | |||||
일반 | 100% | 우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고객 | ||||
우대 | 120% | 아래 ①, ②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프라임클럽 가입 및 유지 | ||||||
② 공모주청약 전일까지 마이데이터 타사계좌 연동 및 유지 | ||||||
150% | 아래 ①, ②, ③, ④, ⑤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직전 2개월 이상 적립식상품 월 30 만원 이상(정기대체) | ||||||
- 정기대체 및 은행이체 포함(임의식, 자유적립식, 정액정립식) | ||||||
(단, 발행어음 및 주식/ETF/브라질채권 등 적립식서비스 제외) | ||||||
- 정기대체 납입완료일 기준/직전 2개월(전월말기준) | ||||||
② 전월말까지 중개형 ISA 계좌에 1백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③ 직전월말까지 KB국민은행 'KB증권 공모주 청약우대 1.5배 정기예금'가입 | ||||||
- KB able Plus 계좌 보유 동시 만족 | ||||||
④ 직전월 3개월 주식약정 3천만원 이상 | ||||||
⑤ 직전월 자산 평잔 3천만원 이상 | ||||||
200% | 아래 ①, ②, ③, ④, ⑤, ⑥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직전 3개월 주식약정 1억원 이상 | ||||||
② 직전월 자산 평잔 1억원 이상 | ||||||
③ 직전 2개월 이상 적립식상품 월 1백만원 이상 정기대체 | ||||||
- 정기대체 및 은행이체 포함(임의식, 자유적립식, 정액정립식) | ||||||
(단, 발행어음 및 주식/ETF/브라질채권 등 적립식서비스 제외) | ||||||
- 정기대체 납입완료일 기준/직전2개월(전월말기준) | ||||||
④ 공모주청약 전일까지 중개형 ISA 계좌에 1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⑤ 직전월말까지 개인형 IRP 계좌에 1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⑥ 퇴직연금 가입법인(소속직원) | ||||||
※ '12년 12월 3일 이전 가입법인 계약에 한함 | ||||||
250% | KB스타클럽(VIP/그랜드 등급) 고객 | |||||
- 개인: 매월 10일 변경 등급 반영 / 법인: 매월 1일 변경 등급 반영 | ||||||
300% | 아래 ①, ②, ③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공모주 청약 전일까지 중개형 ISA계좌에 2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② 직전월 자산 평잔 3억원 이상 & 전월말 자산 3억원 이상 동시 만족(동시 만족) | ||||||
- 자산: 국내/해외주식, CMA, 현금성자산, 금융상품 등 총자산(단, 신용공여 자산 제외) | ||||||
③ KB스타클럽 (VVIP 등급) 고객 | ||||||
- Able Premier Members 고객은 매월 10일 KB스타크럽 그룹 등급 산정시 전월말 기준으로 해당여부를 체크하여 VVIP 등급으로 특별 선정함(VVIP 등급 청약 우대기간: 당월 10일 ~ 익월 9일) | ||||||
주1) 개인/법인 고객 우대요건 동일 적용 | ||||||
유통시장별 구분 | 유통시장별 구분없이 청약 | |||||
배정기준 | ■ 50% 이상을 균등배정 방식으로 배정하고, 나머지 청약수량을 비례배정 방식으로 배정 | |||||
■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 단수주는 5사6입 등 방법으로 잔여주식이 최소화하도록 배정하며,필요시 추첨 또는 KB증권㈜가 인수할 수 있음 | ||||||
청약수수료 | 구분 | VVIP/VIP/그랜드 | 베스트 | 패밀리, 법인(모든 등급) | ||
오프라인(지점/고객센터) | 무료 | 4,000원 | ||||
온라인(HTS/MTS/홈페이지/ARS) | 무료 | 1,500원 | ||||
기타사항 | - 경로자(만65세) 수수료 면제 | |||||
- 기존 자문형 랩 '공모주서비스' 등록 계좌 수수료 면제 | ||||||
- 개인 공모주 청약 수수료는 able포인트로 납부 가능 | ||||||
- 법인우수고객 수수료 면제 | ||||||
청약증거금 | 청약증거금률 50%(모든 고객에 동일 적용) |
주) | 일반 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납입일( 2025년 07월 22일(화)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7월 21일(월)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일반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 본ㆍ지점 및 인수회사인 KB증권㈜ 본ㆍ지점에서 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② NH투자증권㈜ 및 KB증권㈜ 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사항은 인수단 구성원 각 사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NH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NH투자증권㈜ | 367,500주~ 441,000주 | 36,000주~ 42,000주 | 50% |
주) | NH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최고청약한도는 12,000주~14,000주(100%)이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18,000주~21,000주(150%), 24,000주~28,000주(200%), 30,000주~35,000주(250%),36,000주~42,000주(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NH투자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200주 |
2,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500주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1,000주 |
10,000주 초과 | 2,000주 |
주) | 10,000주 초과일 경우 청약 단위는 2,000주이나 우대기준에 따른 청약단위에 대한 청약은 가능합니다. |
【KB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KB증권㈜ | 157,500주~ 189,000주 | 주1) | 50% |
주1) | KB증권㈜의 일반청약자 최고청약한도는 5,000주~6,000주(100%)이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6,000주~7,200주(120%), 7,500주~9,000주(150%), 10,000주~12,000주(200%), 12,500주~15,000주(250%), 15,000주~18,000주(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단, 120% 우대고객은 아래 기재된 청약주식별 청약단위에 의거하여, 6,000주 ~ 7,200주가 아닌, 6,000주 ~ 7,000주, 250% 우대고객은 아래 기재된 청약주식별 청약단위에 의거하여, 12,500주 ~ 15,000주가 아닌, 12,000주 ~ 15,000주의 청약한도가 적용됩니다. |
【KB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1,000주 |
5)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가하여 배정받은 주식에 대한 청약은 청약일인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10:00 ~ 16: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NH투자증권㈜가 정하는 소정의 주식청약서(청약증거금률 0%)를 작성하여 NH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하여야 하며,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인 2025년 07월 22일(화) 10: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NH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6) 청약이 제한되는 자 아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④ 제9조(주식의 배정)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7) 기타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6) 정정 후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다. 청약에 관한 사항1) 청약의 개요 모든 청약자는『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에 의한 실명자이어야 하며,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 소정의 주식청약서를 청약증거금(단, 기관투자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면제됨)과 함께 제출하여야 합니다. 2) 일반청약자의 청약 일반청약자 청약은 해당 청약사무취급처에서 사전에 정하여 공시하는 청약방법에 따라 청약기간에 소정의 주식 청약서를 작성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이를 해당 청약취급처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한 청약사무취급처 내에서의 이중청약 및 복수 청약처에서의 중복청약은 불가합니다.※ 청약사무취급처: NH투자증권㈜ 본ㆍ지점, KB증권㈜ 본ㆍ지점 3) 일반청약자의 청약 자격 일반청약자의 청약자격은 증권신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아래와 같으며, 동 사항은 향후 변경 될 수 있습니다. 청약자격이 변경이 되는 경우는 인수단 구성원 각 사별 홈페이지를 통하여 고지하도록 하겠습니다.
【NH투자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분 | 내용 | |||||||||||||||||||||||||||||||||||
---|---|---|---|---|---|---|---|---|---|---|---|---|---|---|---|---|---|---|---|---|---|---|---|---|---|---|---|---|---|---|---|---|---|---|---|---|
청약자격 | ※ 영업점 창구 개설 계좌- 청약 개시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계좌 보유 고객※ 비대면 개설 및 은행연계 개설 계좌- 청약 당일 계좌개설 후 청약 가능(별도 제한 없음)단, 비대면 미성년자 개설 계좌는 청약개시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계좌로만 청약이 가능합니다. | |||||||||||||||||||||||||||||||||||
청약한도및 우대기준 |
NH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최고청약한도는 12,000주 (100%)이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18,000주 (150%), 24,000주 (200%), 30,000주 (250%), 36,000주 (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청약수수료 |
- QV 이용 고객
- 나무(namuh)증권 이용 고객
청약 수수료는 환불일에 환불금에서 후불 징수되며, 미배정 시 청약수수료는 면제됩니다. 환불금이 없는 경우 청약계좌에서 출금 처리되며, 청약 계좌에 출금가능금액이 부족한 경우 기타대여금이 발생됨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청약증거금 | 50% (모든 고객에게 동일 적용) |
[KB증권㈜ 일반청약자 청약 자격] |
구분 | 청약자격 | |||||
---|---|---|---|---|---|---|
청약자격 | KB증권 영업점 개설 계좌 | 청약개시일(초일) 직전일까지 개설된 청약가능 계좌 보유 고객 | ||||
제휴은행 영업점 개설 계좌 | ||||||
KB증권 비대면 개설 계좌 | 청약 당일 계좌개설 후 청약 가능 (별도 제한 없음) | |||||
제휴은행 비대면 개설 계좌 | ||||||
최고 청약한도 | ■ 일반고객(100%): 청약한도의 100% | |||||
■ 우대고객(12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120% | ||||||
■ 우대고객(15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150% | ||||||
■ 우대고객(2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00% | ||||||
■ 우대고객(25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250% | ||||||
■ 우대고객(300%): 일반고객 청약한도의 300% | ||||||
청약방법 | ■ HTS/MTS/홈페이지 청약 | |||||
■ 지점 내방 청약 | ||||||
■ 유선청약(지점/고객센터) | ||||||
■ ARS 청약 | ||||||
※ 일반고객의 경우 온라인 청약만 가능 (영업점(유선포함)/고객센터 청약 불가) | ||||||
※ 단, 만 65세 이상 고객은 영업점(유선포함)/고객센터 청약 가능 | ||||||
청약한도우대기준 | 일반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청약한도의 100%, 우대고객은 아래 조건에 따라 120%, 150%, 200%, 250% 또는 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
구분 | 세부내용 | |||||
일반 | 100% | 우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고객 | ||||
우대 | 120% | 아래 ①, ②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프라임클럽 가입 및 유지 | ||||||
② 공모주청약 전일까지 마이데이터 타사계좌 연동 및 유지 | ||||||
150% | 아래 ①, ②, ③, ④, ⑤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직전 2개월 이상 적립식상품 월 30 만원 이상(정기대체) | ||||||
- 정기대체 및 은행이체 포함(임의식, 자유적립식, 정액정립식) | ||||||
(단, 발행어음 및 주식/ETF/브라질채권 등 적립식서비스 제외) | ||||||
- 정기대체 납입완료일 기준/직전 2개월(전월말기준) | ||||||
② 전월말까지 중개형 ISA 계좌에 1백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③ 직전월말까지 KB국민은행 'KB증권 공모주 청약우대 1.5배 정기예금'가입 | ||||||
- KB able Plus 계좌 보유 동시 만족 | ||||||
④ 직전월 3개월 주식약정 3천만원 이상 | ||||||
⑤ 직전월 자산 평잔 3천만원 이상 | ||||||
200% | 아래 ①, ②, ③, ④, ⑤, ⑥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직전 3개월 주식약정 1억원 이상 | ||||||
② 직전월 자산 평잔 1억원 이상 | ||||||
③ 직전 2개월 이상 적립식상품 월 1백만원 이상 정기대체 | ||||||
- 정기대체 및 은행이체 포함(임의식, 자유적립식, 정액정립식) | ||||||
(단, 발행어음 및 주식/ETF/브라질채권 등 적립식서비스 제외) | ||||||
- 정기대체 납입완료일 기준/직전2개월(전월말기준) | ||||||
④ 공모주청약 전일까지 중개형 ISA 계좌에 1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⑤ 직전월말까지 개인형 IRP 계좌에 1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⑥ 퇴직연금 가입법인(소속직원) | ||||||
※ '12년 12월 3일 이전 가입법인 계약에 한함 | ||||||
250% | KB스타클럽(VIP/그랜드 등급) 고객 | |||||
- 개인: 매월 10일 변경 등급 반영 / 법인: 매월 1일 변경 등급 반영 | ||||||
300% | 아래 ①, ②, ③ 중 1가지 이상 충족 | |||||
① 공모주 청약 전일까지 중개형 ISA계좌에 2천만원 이상 순납입 | ||||||
- 타 금융사 및 당사 기존 ISA계좌에서 이전한 금액 포함 | ||||||
※ 순납입 = 납입금액 - 출금금액 | ||||||
② 직전월 자산 평잔 3억원 이상 & 전월말 자산 3억원 이상 동시 만족(동시 만족) | ||||||
- 자산: 국내/해외주식, CMA, 현금성자산, 금융상품 등 총자산(단, 신용공여 자산 제외) | ||||||
③ KB스타클럽 (VVIP 등급) 고객 | ||||||
- Able Premier Members 고객은 매월 10일 KB스타크럽 그룹 등급 산정시 전월말 기준으로 해당여부를 체크하여 VVIP 등급으로 특별 선정함(VVIP 등급 청약 우대기간: 당월 10일 ~ 익월 9일) | ||||||
주1) 개인/법인 고객 우대요건 동일 적용 | ||||||
유통시장별 구분 | 유통시장별 구분없이 청약 | |||||
배정기준 | ■ 50% 이상을 균등배정 방식으로 배정하고, 나머지 청약수량을 비례배정 방식으로 배정 | |||||
■ 배정결과 발생하는 1주 미만 단수주는 5사6입 등 방법으로 잔여주식이 최소화하도록 배정하며,필요시 추첨 또는 KB증권㈜가 인수할 수 있음 | ||||||
청약수수료 | 구분 | VVIP/VIP/그랜드 | 베스트 | 패밀리, 법인(모든 등급) | ||
오프라인(지점/고객센터) | 무료 | 4,000원 | ||||
온라인(HTS/MTS/홈페이지/ARS) | 무료 | 1,500원 | ||||
기타사항 | - 경로자(만65세) 수수료 면제 | |||||
- 기존 자문형 랩 '공모주서비스' 등록 계좌 수수료 면제 | ||||||
- 개인 공모주 청약 수수료는 able포인트로 납부 가능 | ||||||
- 법인우수고객 수수료 면제 | ||||||
청약증거금 | 청약증거금률 50%(모든 고객에 동일 적용) |
주) | 일반 청약자의 경우 청약증거금이 배정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동 미달금액에 대하여 납입일( 2025년 07월 22일(화) )에 추가납입을 하여야 합니다. 추가납입을 하지 않은 일반청약자의 경우 동 미달 수량에 대하여는 배정받을 수 없습니다. 단,「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1항 개정에 따라, 균등방식배정 진행과정에서 1차 균등배정 이후 균등배정자에 대한 추가납입이 필요할 경우, KB증권㈜의 경우 청약 2일차의 익영업일인 2025년 07월 21일(월) 13:00부터 16:00까지 균등배정에 대한 추가납입을 이행해야합니다. 추가납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추가납입 의사가 없었던 것으로 간주됩니다. |
4) 일반청약자의 청약한도 및 청약단위 ① 일반투자자는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 본ㆍ지점 및 인수회사인 KB증권㈜ 본ㆍ지점에서 에서 청약이 가능합니다.② NH투자증권㈜ 및 KB증권㈜ 의 1인당 청약한도, 청약단위는 아래와 같으며, 기타사항은 인수단 구성원 각 사가 투명하고 공정하게 정하여 공시한 방법에 의합니다. 단, 청약단위와 상이한 청약수량은 그 청약수량 하위의 청약단위로 청약한 것으로 간주합니다.
【NH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률】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률 |
---|---|---|---|
NH투자증권㈜ | 367,500주 | 36,000주 | 50% |
주) | NH투자증권㈜의 일반청약자 최고청약한도는 12,000주(100%)이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18,000주 (150%), 24,000주 (200%), 30,000주 (250%), 36,000주 (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
【NH투자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2,000주 이하 | 200주 |
2,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500주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1,000주 |
10,000주 초과 | 2,000주 |
주) | 10,000주 초과일 경우 청약 단위는 2,000주이나 우대기준에 따른 청약단위에 대한 청약은 가능합니다. |
【KB증권㈜의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최고청약한도 및 청약증거금율】 |
구 분 | 일반청약자 배정물량 | 최고 청약한도 | 청약증거금율 |
---|---|---|---|
KB증권㈜ | 157,500주 | 주1) | 50% |
주1) | KB증권㈜의 일반청약자 최고청약한도는 5,000주 (100%)이나 우대기준 및 청약단위에 따라 6,000주 (120%), 7,500주 (150%), 10,000주 (200%), 12,500주 (250%), 15,000주(300%)까지 청약이 가능합니다. 단 , 250% 우대고객은 아래 기재된 청약주식별 청약단위에 의거하여, 12,500주 가 아닌, 12,000주 의 청약한도가 적용됩니다. |
【KB증권㈜ 청약주식별 청약단위】 |
청약주식수 | 청약단위 |
---|---|
10주 이상 ~ 100주 이하 | 10주 |
100주 초과 ~ 500주 이하 | 50주 |
500주 초과 ~ 1,000주 이하 | 100주 |
1,000주 초과 ~ 5,000주 이하 | 200주 |
5,000주 초과 ~ 10,000주 이하 | 500주 |
10,000주 초과 | 1,000주 |
5)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의 청약 국내 및 해외 기관투자자가 수요예측에 참가하여 배정받은 주식에 대한 청약은 청약일인 2025년 07월 17일(목) ~ 2025년 07월 18일(금) 10:00 ~ 16: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NH투자증권㈜가 정하는 소정의 주식청약서(청약증거금률 0%)를 작성하여 NH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서 청약하여야 하며, 동 청약 주식에 해당하는 주금을 납입일인 2025년 07월 22일(화) 10:00 ~ 12:00 (한국시간 기준) 사이에 NH투자증권㈜의 본ㆍ지점에 납입하여야 합니다. 6) 청약이 제한되는 자 아래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9조 제4항 각호의 1에 해당하는 자가 청약을 한 경우에는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배정하지 아니합니다. 다만,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 제4항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④ 제9조(주식의 배정) 제1항에 불구하고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을 배정함에 있어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에게 공모주식을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다만, 제5호에 해당하는 자가 배정받은 주식에 대해 6개월 이상의 의무보유를 확약하거나 제5호의 창업투자회사 등이 일반청약자의 자격으로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9조의2제1항에 따라 위탁재산으로 청약하는 집합투자회사, 투자일임회사, 신탁회사(이하 "집합투자회사등"이라 한다)는 인수회사 및 인수회사의 이해관계인으로 보지 아니한다.2.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 다만,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한다.3. 해당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회사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4. (삭제)5. 자신이 대표주관업무를 수행한 발행회사(해당 발행회사가 발행한 주권의 신규 상장일이 이번 기업공개를 위한 공모주식의 배정일부터 과거 1년 이내인 회사를 말한다)의 기업공개를 위하여 금융위원회에 제출된 증권신고서의 "주주에 관한 사항”에 주주로 기재된 주요주주에 해당하는 기관투자자 및 창업투자회사 등 |
7) 기타 본 증권신고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심사하는 과정에서 정정요구 등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만약 정정요구 등이 발생할 경우에는 동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본 증권 투자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주주 및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주7) 정정 전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0.00% ~ 75.00% (1,470,000주 ~ 1,575,000주)를 배정합니다. ②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0% ~ 30.00% (525,000주 ~ 630,000주)를 배정합니다. ③ 상기 ①, ②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④ 단, 대표주관회사 및 대표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엔알비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525,000주 이상 630,000주 이하를 배정할 예정으로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62,500주 이상 315,000주 이하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각 인수단 구성원의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 각 인수단 구성원의 배정방법 간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중략> (주7) 정정 후
라. 청약결과 배정방법1) 공모주식 배정비율 ① 기관투자자(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 및 벤처기업투자신탁 포함) : 총 공모주식의 75.00% (1,575,000주)를 배정합니다. ② 일반청약자 : 총 공모주식의 25.00%(525,000주) 를 배정합니다. ③ 상기 ①, ② 항의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 비율은 기관투자자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청약일 전에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한편, 상기 청약자 유형군에 따른 배정분 중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청약주식수에 비례하여 초과청약이 있는 다른 항의 배정분에 합산하여 배정할 수 있습니다. ④ 단, 대표주관회사 및 대표주관회사의 이해관계인, 발행회사의 이해관계인(단,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제9호의 가목 및 라목의 임원을 제외) 및 기타 금번 공모와 관련하여 발행회사 또는 인수단에 용역을 제공하는 등 중대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배정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일반청약자에 전체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증권 인수업무에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1항제4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공모주식의 10% 이상을 배정합니다. 다만,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등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항제5호에 의거 기관투자자 중 벤처기업투자신탁에 공모주식의 25% 이상을 배정합니다.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또는 청약 경쟁률, 기관투자자의 투자성향 및 신뢰도 등을 고려하여 벤처기업투자신탁에 대한 배정비율을 달리할 수 있습니다.
2) 배정 방법 청약 결과 공모주식의 배정은 수요예측 결과 결정된 확정공모가액으로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와 발행회사인 ㈜엔알비가 사전에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① 기관투자자의 청약에 대한 배정은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배정받은 수량 범위 내에서 우선 배정하되, 추가 청약에 대한 배정은 대표주관회사가 자율적으로 결정하여 배정합니다. ②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9조제11항에 의거하여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전체수량(동 규정 제9조제1항제6호에 따른 배정수량을 포함한다)의 50% 이상을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을 납입한 모든 일반청약자에게 동등한 배정기회를 부여하는 방식(이하 "균등방식 배정"이라 한다)으로 배정하여야하며 나머지를 청약수량에 비례하여 배정(이하 "비례방식 배정"이라 한다)합니다. 금번 공모는 일반청약자에게 525,000주 를 배정할 예정으로서, 균등방식 최소배정 예정물량은 262,500주 입니다. ③ 일반청약자의 청약방식은 균등방식 배정과 비례방식 배정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양 방식의 청약을 일괄하여 받는 방식인 '일괄청약방식'입니다. 따라서 일반청약자가 비례방식으로 배정을 받고자 하는 수량을 청약하면 자동으로 균등방식 배정의 청약자로 인정됩니다. 각 인수단 구성원의 일반청약자 배정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 각 인수단 구성원의 배정방법 간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 총액인수계약서 상에서 약정한 배정기준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배정합니다.
<중략> (주8) 정정 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주1)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NH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여의대로 108 | 기명식 보통주1,470,000주(70.0%) | 26,460,000,000원 | 총액인수 |
KB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기명식 보통주630,000주(30.0%) | 11,34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이며, 확정된 금액이 아니므로 추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하여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8) 정정 후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인수방법에 관한 사항
【인수방법 : 총액인수】 |
인수인 | 인수주식의 종류 및수량(인수비율) | 인수금액(주1) | 인수조건 | |
---|---|---|---|---|
명칭 | 주소 | |||
NH투자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여의대로 108 | 기명식 보통주1,470,000주(70.0%) | 30,870,000,000원 | 총액인수 |
KB증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기명식 보통주630,000주(30.0%) | 13,230,000,000원 | 총액인수 |
주1) | 인수금액은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으로 계산한 금액입니다. |
주2) | 기관투자자 및 일반투자자 배정 후 청약미달 잔여주식이 있는 경우에는 총액인수계약서에 의거하여 인수단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합니다. |
(주9) 정정 전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1) 인수수수료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 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 686,499,750 | 인수금액 2.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KB증권 주식회사 | 283,500,000 | 인수금액 2.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 756,000,000 | 인수금액 최대2.0% 한도내 지급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KB증권 주식회사 | - | -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
기타 | - | - | - | - | - | - | - |
주1) | 2025년 06 월 19 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중 제16조(수수료)①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포함)의 [2.5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표주관회사에게 기본 인수수수료로 지급한다.② 발행회사는 제1항의 기본수수료 외에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에게 총 공모금액의 [2.00]%에 해당하는 금액의 범위 내에서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③ 발행회사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수수료를 주금납입기일 다음 3영업일 내에 대표주관회사가 지정한 계좌로 현금입금 또는 계좌이체 하는 방식으로 지급한다.④ 대표주관회사는 본 조 제1항에 따른 수수료를 받은 경우 인수회사에게 수수료를 받은 날로부터 5영업일 이내에 지급하기로 한다. |
주2) | 2022년 12월 28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중 제8조(수수료 지급) "본건 상장" 관련 대표주관회사 수수료는 향후 "갑"(주식회사 엔알비)과 "을"(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이 체결하는 총액인수 및 모집계약서에서 정하기로 한다. |
주3) |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으로, 향후 수요예측 이후 결정되는 확정가액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에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2) 신주인수권 당사는 금번 공모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2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할 수 있도록 신주인수권을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중략>
(주9) 정정 후
나. 인수대가에 관한 사항 (1) 인수수수료
구분 | 대가수령자 | 금액 | 금액산정내역 | 대가수령시기 | 대가관련 계약내용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 이력 | 대가관련 계약내용변경 사유 | 비고 |
---|---|---|---|---|---|---|---|---|
인수수수료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 796,749,975원 | 인수금액 2.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KB증권 주식회사 | 330,750,000원 | 인수금액 2.5%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
대표주관수수료 | - | - | - | - | 주2) | - | - | 주4) |
성과수수료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 126,000,000원 | 인수금액 최대2.0% 한도내 지급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KB증권 주식회사 | - | - | 납입일 다음 3 영업일 이내 | 주1) | - | - | 주3) | |
기타 | - | - | - | - | - | - | - |
주1) | 2025년 07 월 16 일 체결 [총액인수계약서] 중 제16조(수수료)① 발행회사는 총 공모금액(본 주식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주식 포함)의 [2.50]%에 해당하는 금액을 대표주관회사에게 기본 인수수수료로 지급한다.② 발행회사는 제1항의 기본수수료 외에 공모 실적, 기여도 등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에게 금 126,000,000원의 별도의 성과수수료를 지급한다.③ 발행회사는 제1항 및 제2항에 따른 수수료를 주금납입기일 다음 3영업일 내에 대표주관회사가 지정한 계좌로 현금입금 또는 계좌이체 하는 방식으로 지급한다.④ 대표주관회사는 본 조 제1항에 따른 수수료를 받은 경우 인수회사에게 수수료를 받은 날로부터 5영업일 이내에 지급하기로 한다. |
주2) | 2022년 12월 28일 체결 [대표주관계약서] 중 제8조(수수료 지급) "본건 상장" 관련 대표주관회사 수수료는 향후 "갑"(주식회사 엔알비)과 "을"(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이 체결하는 총액인수 및 모집계약서에서 정하기로 한다. |
주3) |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을 기준으로 산정한 금액입니다. |
주4) | 2024년 08월 01일 이전에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에 따라 계약 해지 시 별도의 대표주관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
(2) 신주인수권 당사는 금번 공모시『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10조의2에 따라 기업공개를 위한 대표주관업무 수행의 보상으로 당사로부터 신주를 취득할 수 있는 권리(이하 "신주인수권")를 대표주관회사가 취득할 수 있도록 신주인수권을 부여하지 않아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중략>
(주10) 정정 전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
NH투자증권㈜ | 기명식 보통주 | 55,555주 | 999,990,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주10) 정정 후
라. 상장주선인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에 의해 상장주선인은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때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합니다.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비고 |
---|---|---|---|---|
NH투자증권㈜ | 기명식 보통주 | 47,619주 | 999,999,000원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의무인수 주식의 수량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 이 21,000원으로 확정됨에 취득 금액은 999,999,000원입니다. |
(주11) 정정 전
1. 사업위험
가. 국내외 거시경기 침체 및 불확실성 관련 위험 당사가 주요하게 영위하고 있는 모듈러 사업은 경기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건설산업의 선진국형 대체산업으로, 정부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된 산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OECD 주요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건설산업의 GDP 비중이 장기적으로 감소하거나 정체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동생산성 제고와 건설산업의 구조 혁신을 위해 모듈러 등 OSC(탈현장공법) 기술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국내 역시 경기 변동에 따라 건설경기가 위축될 수 있으나, 정부의 LH 2030 OSC주택 로드맵과 같이 모듈러 산업 활성화 정책과 스마트 건설기술 장려 정책 등 제도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어, 모듈러 산업은 전통 건설업 대비 경기 변동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친환경 건축 수요 증가, 노동력 부족 등 구조적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맞물리면서, 모듈러 산업이 미래 건설산업의 혁신 생태계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시장에서는 필수 인프라 구축의 한 축으로 자리잡으며, 경기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완화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모듈러 산업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정부 정책과 기술 혁신에 힘입어 그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전망의 경우 2025년 03월 17일 OECD에서 발간한 'OEC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세계 GDP 성장률은 2025년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 12월 전망한 3.3% 대비 0.2%p 하향한 수치이며, 2026년 성장률도 3.0%로 지난 12월 대비 0.3%p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미국의 무역 정책 변경으로 2025년 4월부터 보편관세가 부과될 경우 인플레이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 예측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금융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2025년의 성장률의 경우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으며, OECD는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경제전망의 경우 2025년 03월 17일 OECD에서 발간한 'OEC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세계 GDP 성장률은 2025년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 12월 전망한 3.3% 대비 0.2%p 하향한 수치이며, 2026년 성장률도 3.0%로 지난 12월 대비 0.3%p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철강관세 및 상호관세 발효 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강화 기조가 인플레이션 을 자극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의 예측가능성을 저해함으로써 글로벌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였습니다. 이처럼 2025년의 성장률의 경우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으며, OECD는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5년 2월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2.0%,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수준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4년 11월에 발표한 전망치 대비 2024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0.2% 하향 조정되었고, 2025년은 0.4%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세계 경제가 미국 관세정책 추진 여파 및 불확실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국내 경기의 경우 2024년 말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경제심리가 위축되면서 내수의 하방압력이 증대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 및 국내 경기는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 간의 경제관계 악화 및 무역 갈등, 유럽 및 중남미의 경제 및 정치 상황 악화, 여러 지역에서의 지정학적 및 사회적 불안정성 지속 등 다양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대부분의 사업분야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당사가 영위하는 모듈러 제조/판매 및 임대 사업 역시 국내외 거시경제의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재의 주요 생산지에서의 공급망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듈러의 주요 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비용상승 압력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및 가계 구매능력 감소 등의 요인은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실적 및 당사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주11) 정정 후
1. 사업위험
가. 국내외 거시경기 침체 및 불확실성 관련 위험 당사가 주요하게 영위하고 있는 모듈러 사업은 경기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건설산업의 선진국형 대체산업으로, 정부 정책과 밀접하게 연관된 산업의 특징이 있습니다. OECD 주요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건설산업의 GDP 비중이 장기적으로 감소하거나 정체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동생산성 제고와 건설산업의 구조 혁신을 위해 모듈러 등 OSC(탈현장공법) 기술의 도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국내 역시 경기 변동에 따라 건설경기가 위축될 수 있으나, 정부의 LH 2030 OSC주택 로드맵과 같이 모듈러 산업 활성화 정책과 스마트 건설기술 장려 정책 등 제도적 지원이 확대되고 있어, 모듈러 산업은 전통 건설업 대비 경기 변동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친환경 건축 수요 증가, 노동력 부족 등 구조적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맞물리면서, 모듈러 산업이 미래 건설산업의 혁신 생태계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부 시장에서는 필수 인프라 구축의 한 축으로 자리잡으며, 경기 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완화되는 양상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모듈러 산업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및 변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정부 정책과 기술 혁신에 힘입어 그 영향이 제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세계 경제전망의 경우 2025년 03월 17일 OECD에서 발간한 'OECD Economic Outlook'에 따르면 세계 GDP 성장률은 2025년 3.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 12월 전망한 3.3% 대비 0.2%p 하향한 수치이며, 2026년 성장률도 3.0%로 지난 12월 대비 0.3%p 하향 전망하였습니다. 철강관세 및 상호관세 발효 등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강화 기조가 인플레이션 을 자극할 수 있으며, 세계 각국의 통화정책의 예측가능성을 저해함으로써 글로벌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였습니다. 이처럼 2025년의 성장률의 경우 전망치가 하향되고 있으며, OECD는 주요 20개국(G20) 경제의 무역 장벽이 높아지고 지정학적, 정책적 불확실성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GDP 성장률이 내년까지 점차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5년 2월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2.0%,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1.5% 수준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2024년 11월에 발표한 전망치 대비 2024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0.2% 하향 조정되었고, 2025년은 0.4% 하향 조정되었습니다. 한국은행은 세계 경제가 미국 관세정책 추진 여파 및 불확실성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국내 경기의 경우 2024년 말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경제심리가 위축되면서 내수의 하방압력이 증대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 및 국내 경기는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 간의 경제관계 악화 및 무역 갈등, 유럽 및 중남미의 경제 및 정치 상황 악화, 여러 지역에서의 지정학적 및 사회적 불안정성 지속 등 다양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대부분의 사업분야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바, 당사가 영위하는 모듈러 제조/판매 및 임대 사업 역시 국내외 거시경제의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원자재의 주요 생산지에서의 공급망 문제가 발생할 경우 모듈러의 주요 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비용상승 압력이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및 가계 구매능력 감소 등의 요인은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실적 및 당사 재무 상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중략>
(주12) 정정 전
1. 사업위험
차. 납기 준수 및 고객 요구사양 충족 실패 위험(당사 사업특성 -모듈러 생산 부터 공급까지 프로세스가 어떻게 되는지 기재) 납기 준수, 매출처 요구사양 충족 등은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이동형모듈러 건축 산업의 주요한 경쟁요소 입니다. 당사는 과거 매출처가 요구하는 납기 및 요구사항 충족을 통해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오고 있으나, 향후 납기 준수 및 고객사 요구사항 충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및 용역 카탈로그계약 특수조건 등의 지체상금, 계약평가점수 하락 등이 발생하여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중략> (주12) 정정 후
1. 사업위험
차. 납기 준수 및 고객 요구사양 충족 실패 위험 납기 준수, 매출처 요구사양 충족 등은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이동형모듈러 건축 산업의 주요한 경쟁요소 입니다. 당사는 과거 매출처가 요구하는 납기 및 요구사항 충족을 통해 안정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여 오고 있으나, 향후 납기 준수 및 고객사 요구사항 충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및 용역 카탈로그계약 특수조건 등의 지체상금, 계약평가점수 하락 등이 발생하여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중략> (주13) 정정 전
가. 실적변동에 따른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는 2021년 이후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시현해 왔습니다. 2022년 및 2023년 매출액 성장률은 각각 150.45%, 186.34%로 2021년 이후 4년 CAGR 94.41%의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동형 임시학교인 순환형 건축사업의 매출 증가가 당사의 매출 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매출액 성장률이 2.5%로 이전보다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에 기존 철골 모듈러(BS1)에서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위주로 판매 전략을 전환함에 따라 제품 개발에 회사의 역량이 집중되면서 일시적으로 제품매출이 감소한 데 기인합니다. 당사는 수주산업 특성상 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므로, 2025년 1분기까지는 제품매출의 감소가 이어졌으나, 2025년 하반기부터는 2024년에 수주한 공동주택 및 2025년 1분기에 수주한 학교 및 기숙사 판매에 대한 매출이 반영되어 2024년 대비 매출액 성장율이 증가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2년 12.4%, 2023년 23.6%, 2024년 11.8%로 매출이익률과 마찬가지로 2024년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상술한 매출총이익률의 감소 요인과 모듈러 사업 확대에 따른 신규 직원 채용 관련 인건비 상승,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주식보상비용 증가 등에 기인한 것입니다. 앞서 설명한 매출총이익률 개선과 더불어, 주식매수선택권 가득기간 종료 등으로 향후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의 영업이익율은 2023년 23.6%에서 2024년 11.8%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2024년에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증가 및 공동주택 모듈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의 증가에 기인한 결과입니다. 2024년 하반기 및 2025년 2분기에 수주한 공동주택 프로젝와 영구학교 및 기숙사 관련 제품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됨에 따라 모듈러 제작이 본격화 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수주산업 특성상 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므로, 2025년 하반기부터 영업이익률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됩니다. 당사의 매출액순이익률은 2022년 (-)86.7%에서 2023년 2.9%, 2024년 3.8%로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회계기준을 K-GAAP에서 K-IFRS로 변경함에 따라 상환전환우선주의 부채 전입 효과가 반영되어 부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각각 2022년 169억 원, 2023년 38억 원의 평가손실이 인식되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모듈러 사업의 수주 확대에 따른 생산량 급증 및 생산자금 확보를 위한 장ㆍ 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이자비용이 2022년 12억 원에서 2023년 48억 원, 2024년 48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25년 1분기에는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의 증가로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2024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의 출시로 콘크리트 모듈러 시제품 생산과 함께 철골 모듈러에서 콘크리트 모듈러 위주의 생산 체제로 전환 및 공동주택 시장 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인력 확충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2024년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2023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2025년 1분기 또한 유사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간접비 중 고정비 효과로 인해 2024년, 2025년 1분기의 모듈러 단위당 생산비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발생함에 따라 2024년과 2025년 1분기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전체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2024년 이후 관련 평가손실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향후 공모자금을 통한 채무상환으로 관련 이자비용이 크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판매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 자동화 설비 도입 등으로 영업이익률의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순이익률 또한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처럼 당사는 향후에도 모듈러 적용 사업분야 확대, 공동주택 프로젝트 수주, 모듈러 신제품 개발, 자동화 설비 도입 등을 통해 높은 매출 성장세와 이익율 개선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경제환경 침체 및 모듈러 산업의 트렌드 변화 및 관련 정책 방향 변경 등 대외환경 변수에 따라 당사의 실적과 성장성,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듈러 산업 내 경쟁 심화, 당사의 제품 경쟁력의 저하 및 수요기관의 요구 대응 능력의 하락 등으로 매출 성장성이 저하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19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이동형 건축물(모듈러) 전문 스타트업으로, 2020년부터 이동형 학교 사업 분야에 집중하여 모듈러 건축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왔습니다. 당사는 이동형 건축물 분야의 선도기업으로서, 순환형 건축사업인 이동형 임시학교를 도입하였습니다. 지방교육청들과 구축된 신뢰와 경쟁력을 기반으로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재무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 실적과 이익률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성 지표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제4기) | 2023년 (제5기) | 2024년 (제6기) | 2025년 1분기 (제7기) | 2023년 업종평균 주1) |
---|---|---|---|---|---|
매출액 | 17,997 | 51,533 | 52,801 | 10,678 | N/A |
매출총이익 | 4,378 | 16,696 | 14,306 | 2,424 | N/A |
매출액 총이익률 | 24.3% | 32.4% | 27.1% | 22.7% | 17.7% |
영업이익 | 2,226 | 12,141 | 6,216 | 503 | N/A |
매출액 영업이익률 | 12.4% | 23.6% | 11.8% | 4.7% | 5.1% |
경상이익 | (15,802) | 3,627 | 985 | -1,541 | N/A |
매출액 경상이익률 | -87.8% | 7.0% | 1.9% | -14.4% | 4.5% |
당기순이익 | (15,607) | 1,503 | 2,001 | -873 | N/A |
매출액 순이익률 | -86.7% | 2.9% | 3.8% | -8.2% | 3.8% |
출처: | 회사제시자료, 2023년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2024.10) |
주1) | 업종평균은 한국은행에서 2024년 10월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 C.25(금속가공제품(기계 및 가구 제외))'의 중소기업 재무제표를 통해 산정하였습니다. |
당사는 2021년 이후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시현해 왔습니다. 2022년 및 2023년 매출액 성장률은 각각 150.45%, 186.34%로 2021년 이후 4년 CAGR 94.41%의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동형 임시학교인 순환형 건축사업의 매출 증가가 당사의 매출 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당사는 추후에도 공공주택 사업, 국방 시설분야로 사업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2025년 1분기에는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제품으로의 전환 중임에 따라, 기제작된 모듈러자산을 통한 임대매출 및 용역매출의 비중이 높았으나, 2025년 하반기부터는 2024년에 수주한 공동주택 및 2025년 1분기에 수주한 학교 및 기숙사 판매에 대한 매출이 반영되어 2024년 대비 매출액 성장율이 증가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매출총이익률은 2022년 24.3%, 2023년 32.4%, 2024년 27.1%로 2023년까지 증가하다가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 매출총이익률이 2024년에 감소한 주된 이유는 임대 모듈러 자산의 증가로 누적된 감가상각비용, 모듈러 설치,이동과 관련한 외주인력 비용 증가 등에 따른 것입니다. 연도별 거래 형태에 따른 매출액 및 매출원가, 매출원가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1분기의 경우 공동주택 등 제작을 위한 인력충원, 생산설비 투자로 인한 감가상각비의 증가로 매출총이익률이 전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당사의 영업이익율은 2023년 23.6%에서 2024년 11.8%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2024년에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증가 및 공동주택 모듈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의 증가에 기인한 결과입니다. 2024년 하반기 및 2025년 2분기에 수주한 공동주택 프로젝와 영구학교 및 기숙사 관련 제품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됨에 따라 모듈러 제작이 본격화 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수주산업 특성상 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므로, 2025년 하반기부터 영업이익률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됩니다.
[거래 형태별 매출액 및 매출원가] |
(단위: 백만원) |
매출유형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
제품매출 | 8,890 | 6,612 | 74.4% | 14,335 | 10,850 | 75.7% | 9,567 | 8,912 | 93.2% | 455 | 541 | 118.9% |
임대매출 | 2,563 | 1,325 | 51.7% | 23,313 | 9,952 | 42.7% | 31,289 | 15,315 | 48.9% | 6,025 | 3,741 | 62.1% |
용역매출 | 6,310 | 5,498 | 87.1% | 13,381 | 13,675 | 102.2% | 11,623 | 13,945 | 120.0% | 4,153 | 3,934 | 94.7% |
기타매출 | 234 | 185 | 79.0% | 503 | 360 | 71.5% | 322 | 322 | 100.0% | 45 | 39 | 86.7% |
합 계 | 17,997 | 13,619 | 75.7% | 51,532 | 34,837 | 67.6% | 52,801 | 38,495 | 72.9% | 10,678 | 8,255 | 77.3% |
출처: | 회사제시자료 |
당사의 매출은 제품매출, 임대매출, 용역매출, 기타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품매출은 혁신장터'(혁신조달플랫폼)에서 지정된 혁신제품인 당사의 제품을 개별 수의계약 판매하는 "혁신제품 판매"관련 매출로서 2023년에 143억원까지 증가하였으나 2024년에 약 48억원 가량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기존 철골 모듈러(BS1)에서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위주로 판매 전략의 전환에 따라 제품 개발에 회사의 역량이 집중되면서 일시적으로 매출이 감소하였으나, 2025년 상반기에 대구지역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학교 및 기숙사를 수주하는 등 신규 수주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반기에는 제품매출이 다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임대매출은 수요기관에 "카탈로그 임대 계약" “2단계 경쟁입찰 임대 계약”방식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의 임대계약으로 모듈러를 공급하여 임대료를 수취하여 발생한 매출로서 2022년 26억원, 2023년 233억원, 2024년 313억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제작한 모듈러의 임대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누적된 임대료 수익에 따른 것입니다. 용역매출은 모듈러의 임대를 위한 설치와 임대기간 이후 해체 및 이동시 수취하는 용역수익으로서 모듈러 임대 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2022년 26억원에서 2023년 134억원, 2024년 116억원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1) 제품매출원가율은 2022년 74.4%에서 2023년 75.7%, 2024년 93.2%, 2025년 1분기 118.9% 로 2023년 대비 2024년 17.4%p, 2024년 대비 2025년 1분기 25.6%p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의 출시로 콘크리트 모듈러 시제품 생산과 함께 철골 모듈러에서 콘크리트 모듈러 위주의 생산 체제로 전환 및 공동주택 시장 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인력 확충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2024년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2023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2025년 1분기 또한 유사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간접비 중 고정비 효과로 인해 2024년, 2025년 1분기의 모듈러 단위당 생산비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다만, 2025년 2분기 이후 공동주택 프로젝트, 학교사업에서의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에 따라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회복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모자금을 통한 공장 시설 확충 및 자동화설비 도입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여 단위당 원가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임대매출원가율이 제품매출원가율 보다 낮은 이유는 제품판매의 경우 관련 원가가 일시에 인식되지만, 임대의 경우 유형자산으로 인식된 모듈러임대자산을 다년간에 걸쳐서 감가상각비 처리하여 비용으로 안분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당사는 모듈러 임대자산의 경우 철골 모듈러(BS1)은 내용연수 6년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는 20년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 개시와 동시에 해당 임대 모듈러 자산에 대응한 감가상각비를 임대매출원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임대매출원가율은 2022년 51.7%, 2023년 42.7%, 2024년 48.9%로 2023년 대비 2024년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다만, 모듈러 임대자산이 회계상 내용연수를 초과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2028년부터는 내용연수가 경과한 모듈러 임대자산이 발생함에 따라 임대매출원가가 대폭 감소하여 전체 임대매출원가율의 개선이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로의 제품 전환을 위한 과도기로서 신규 제작한 모듈러 임대자산의 단위당 취득원가의 증가로 인하여 임대매출원가율이 증가하였습니다. 3) 용역매출원가율은 모듈러 제품의 현장설치 시 발생하는 원가율로서 2022년 87.1%, 2023년 102.2%, 2024년 120.0% 입니다. 최근 2개년도의 원가율이 상승한 이유는 현장설치 외주용역비 등 제반비용의 증가의 원인이 있으며, 향후에는 당사 직원의 투입을 늘릴 예정이며, 현장 설치 및 해체 시 재사용 가능한 자재의 재사용율을 증가하여 원가율 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2년 12.4%, 2023년 23.6%, 2024년 11.8%로 매출액총이익률과 마찬가지로 2023년까지 상승하다가 2024년에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상술한 매출총이익률의 감소 요인과 공동주택 시장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 인력 확충 등 모듈러 사업 확대에 따른 신규 직원 채용 관련 인건비 상승,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주식보상비용 증가 등에 기인하여 일시적으로 감소 한 것입니다. 앞서 설명한 매출총이익률 개선과 더불어, 주식매수선택권 가득기간 종료 등으로 향후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술한 임대 모듈러 자산의 감가상각비와 관련하여 2023년까지는 주로 신규제작 모듈러를 임대하였으나, 2024년부터는 일부 프로젝트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라 해체 및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신규 임대개시일까지의 재사용을 위한 운휴기간 동안에는 해당 모듈러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판매관리비에 계상됩니다. 2023년 임대자산의 운휴율은 2.1% 이며, 2024년은 11.3% 수준입니다. 사업계획 상 향후 평균운휴율은 16.7%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에 따라 판매관리비상 감가상각비는 다소 상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임대자산으로서 사용가능한 경제적 내용연수는 회계상 내용연수를 초과하고, 2028년부터는 내용연수가 경과한 모듈러 임대자산이 발생할 예정입니다. 향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는 판매 위주의 사업을 전개할 것이므로 감가상각비는 증가추세에서 감소추세로 접어들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과거 3개년 주요 판관비 항목 및 추이]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매출액 | 17,997 | 100.0% | 51,533 | 100.0% | 52,801 | 100.0% | 10,678 | 100.0% |
판매관리비 | 2,152 | 12.0% | 4,555 | 8.8% | 8,090 | 15.3% | 1,921 | 18.0% |
감가상각비 | 77 | 0.4% | 335 | 0.7% | 2,205 | 4.2% | 929 | 8.7% |
급여 | 488 | 2.7% | 688 | 1.3% | 1,209 | 2.3% | 335 | 3.1% |
경상연구개발비 | 428 | 2.4% | 1,579 | 3.1% | 1,742 | 3.3% | 253 | 2.4% |
주식보상비용 | - | - | 152 | 0.3% | 631 | 1.2% | 180 | 1.7% |
당사의 매출액순이익률은 2022년 (-)86.7%에서 2023년 2.9%, 2024년 3.8%로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회계기준을 K-GAAP에서 K-IFRS로 변경함에 따라 상환전환우선주의 부채 전입 효과가 반영되어 부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각각 2022년 169억 원, 2023년 38억 원의 평가손실이 인식되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모듈러 사업의 수주 확대에 따른 생산량 급증 및 생산자금 확보를 위한 장ㆍ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이자비용이 2022년 12억 원에서 2023년 48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25년 1분기에는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의 증가로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 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2024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의 출시로 콘크리트 모듈러 시제품 생산과 함께 철골 모듈러에서 콘크리트 모듈러 위주의 생산 체제로 전환 및 공동주택 시장 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인력 확충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2024년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2023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2025년 1분기 또한 유사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간접비 중 고정비 효과로 인해 2024년, 2025년 1분기의 모듈러 단위당 생산비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발생함에 따라 2024년과 2025년 1분기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전체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2024년 이후 관련 평가손실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향후 공모자금을 통한 채무상환으로 관련 이자비용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을 포함한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판매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 자동화 설비 도입 등으로 영업이익률의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순이익률 또한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과거 3개년 주요 금융비용 항목 및 추이]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영업이익 | 2,226 | 100.00% | 12,141 | 100.00% | 6,216 | 100.00% | 503 | 100.00% |
이자비용 | 1,164 | 52.3% | 4,790 | 39.5% | 4,815 | 77.5% | 1,567 | 311.6%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부채평가손실 | 16,869 | 758.0% | 3,832 | 31.6% | - | - | - | -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 - | - | - | - | 33 | 0.5% | 17 | 3.4% |
당사의 2025년 4월과 5월 가결산 매출액은 37억원, 37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2억, 7억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액 증가의 중요한 2024년 12월에 협약을 체결한 공동주택(의왕초평 A-4BL)의 진행기준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한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공동주택 진도율이 5월 기준 전체계약 대비 약 4% 수준이며, 기투자한 설비 및 인력투입으로 인하여 영업이익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억, 5억 감소하였습니다.
[2025년 가결산 실적 전년 동월 대비 비교]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5월 | 2024년 5월 | 2025년 4월 | 2024년 4월 |
---|---|---|---|---|
매출액 | 3,682 | 2,522 | 3,680 | 2,989 |
영업이익 | 298 | 533 | 261 | 745 |
주1) | 당사의 상기 2025년 월별 잠정실적(매출 및 영업손익)의 경우 감사 또는 검토받지 아니한 수치입니다. 이에 추후 감사 받은 확정 실적과의 차이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처럼 당사는 향후에도 모듈러 적용 사업분야 확대, 공동주택 프로젝트 수주, 모듈러 신제품 개발, 자동화 설비 도입 등을 통해 높은 매출 성장세와 이익율 개선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경제환경 침체 및 모듈러 산업의 트렌드 변화 및 관련 정책 방향 변경 등 대외환경 변수에 따라 당사의 실적과 성장성,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듈러 산업 내 경쟁 심화, 당사의 제품 경쟁력의 저하 및 수요기관의 요구 대응 능력의 하락 등으로 매출 성장성이 저하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13) 정정 후
가. 실적변동에 따른 수익성 관련 위험 당사는 2021년 이후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시현해 왔습니다. 2022년 및 2023년 매출액 성장률은 각각 150.45%, 186.34%로 2021년 이후 4년 CAGR 94.41%의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동형 임시학교인 순환형 건축사업의 매출 증가가 당사의 매출 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매출액 성장률이 2.5%로 이전보다 둔화되었습니다. 이는 2024년에 기존 철골 모듈러(BS1)에서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위주로 판매 전략을 전환함에 따라 제품 개발에 회사의 역량이 집중되면서 일시적으로 제품매출이 감소한 데 기인합니다. 당사는 수주산업 특성상 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므로, 2025년 1분기까지는 제품매출의 감소가 이어졌으나, 2025년 하반기부터는 2024년에 수주한 공동주택 및 2025년 1분기에 수주한 학교 및 기숙사 판매에 대한 매출이 반영되어 2024년 대비 매출액 성장율이 증가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2년 12.4%, 2023년 23.6%, 2024년 11.8%로 매출이익률과 마찬가지로 2024년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상술한 매출총이익률의 감소 요인과 모듈러 사업 확대에 따른 신규 직원 채용 관련 인건비 상승,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주식보상비용 증가 등에 기인한 것입니다. 앞서 설명한 매출총이익률 개선과 더불어, 주식매수선택권 가득기간 종료 등으로 향후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당사의 영업이익율은 2023년 23.6%에서 2024년 11.8%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2024년에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증가 및 공동주택 모듈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의 증가에 기인한 결과입니다. 2024년 하반기 및 2025년 2분기에 수주한 공동주택 프로젝와 영구학교 및 기숙사 관련 제품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됨에 따라 모듈러 제작이 본격화 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수주산업 특성상 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므로, 2025년 하반기부터 영업이익률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됩니다. 당사의 매출액순이익률은 2022년 (-)86.7%에서 2023년 2.9%, 2024년 3.8%로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회계기준을 K-GAAP에서 K-IFRS로 변경함에 따라 상환전환우선주의 부채 전입 효과가 반영되어 부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각각 2022년 169억 원, 2023년 38억 원의 평가손실이 인식되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모듈러 사업의 수주 확대에 따른 생산량 급증 및 생산자금 확보를 위한 장ㆍ 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이자비용이 2022년 12억 원에서 2023년 48억 원, 2024년 48억원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25년 1분기에는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의 증가로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2024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의 출시로 콘크리트 모듈러 시제품 생산과 함께 철골 모듈러에서 콘크리트 모듈러 위주의 생산 체제로 전환 및 공동주택 시장 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인력 확충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2024년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2023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2025년 1분기 또한 유사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간접비 중 고정비 효과로 인해 2024년, 2025년 1분기의 모듈러 단위당 생산비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발생함에 따라 2024년과 2025년 1분기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전체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2024년 이후 관련 평가손실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향후 공모자금을 통한 채무상환으로 관련 이자비용이 크게 감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판매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 자동화 설비 도입 등으로 영업이익률의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순이익률 또한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처럼 당사는 향후에도 모듈러 적용 사업분야 확대, 공동주택 프로젝트 수주, 모듈러 신제품 개발, 자동화 설비 도입 등을 통해 높은 매출 성장세와 이익율 개선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경제환경 침체 및 모듈러 산업의 트렌드 변화 및 관련 정책 방향 변경 등 대외환경 변수에 따라 당사의 실적과 성장성,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듈러 산업 내 경쟁 심화, 당사의 제품 경쟁력의 저하 및 수요기관의 요구 대응 능력의 하락 등으로 매출 성장성이 저하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19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이동형 건축물(모듈러) 전문 스타트업으로, 2020년부터 이동형 학교 사업 분야에 집중하여 모듈러 건축 전문 기업으로 성장해왔습니다. 당사는 이동형 건축물 분야의 선도기업으로서, 순환형 건축사업인 이동형 임시학교를 도입하였습니다. 지방교육청들과 구축된 신뢰와 경쟁력을 기반으로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며, 이에 따라 당사의 재무실적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3개년 및 2025년 1분기 실적과 이익률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익성 지표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2년 (제4기) | 2023년 (제5기) | 2024년 (제6기) | 2025년 1분기 (제7기) | 2023년 업종평균 주1) |
---|---|---|---|---|---|
매출액 | 17,997 | 51,533 | 52,801 | 10,678 | N/A |
매출총이익 | 4,378 | 16,696 | 14,306 | 2,424 | N/A |
매출액 총이익률 | 24.3% | 32.4% | 27.1% | 22.7% | 17.7% |
영업이익 | 2,226 | 12,141 | 6,216 | 503 | N/A |
매출액 영업이익률 | 12.4% | 23.6% | 11.8% | 4.7% | 5.1% |
경상이익 | (15,802) | 3,627 | 985 | -1,541 | N/A |
매출액 경상이익률 | -87.8% | 7.0% | 1.9% | -14.4% | 4.5% |
당기순이익 | (15,607) | 1,503 | 2,001 | -873 | N/A |
매출액 순이익률 | -86.7% | 2.9% | 3.8% | -8.2% | 3.8% |
출처: | 회사제시자료, 2023년 기업경영분석, 한국은행(2024.10) |
주1) | 업종평균은 한국은행에서 2024년 10월 발간한 '2023년 기업경영분석' C.25(금속가공제품(기계 및 가구 제외))'의 중소기업 재무제표를 통해 산정하였습니다. |
당사는 2021년 이후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시현해 왔습니다. 2022년 및 2023년 매출액 성장률은 각각 150.45%, 186.34%로 2021년 이후 4년 CAGR 94.41%의 높은 성장율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동형 임시학교인 순환형 건축사업의 매출 증가가 당사의 매출 성장을 견인하였습니다. 당사는 추후에도 공공주택 사업, 국방 시설분야로 사업 분야가 확대됨에 따라 성장세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2025년 1분기에는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제품으로의 전환 중임에 따라, 기제작된 모듈러자산을 통한 임대매출 및 용역매출의 비중이 높았으나, 2025년 하반기부터는 2024년에 수주한 공동주택 및 2025년 1분기에 수주한 학교 및 기숙사 판매에 대한 매출이 반영되어 2024년 대비 매출액 성장율이 증가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매출총이익률은 2022년 24.3%, 2023년 32.4%, 2024년 27.1%로 2023년까지 증가하다가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 매출총이익률이 2024년에 감소한 주된 이유는 임대 모듈러 자산의 증가로 누적된 감가상각비용, 모듈러 설치,이동과 관련한 외주인력 비용 증가 등에 따른 것입니다. 연도별 거래 형태에 따른 매출액 및 매출원가, 매출원가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1분기의 경우 공동주택 등 제작을 위한 인력충원, 생산설비 투자로 인한 감가상각비의 증가로 매출총이익률이 전년대비 소폭 감소하였습니다. 또한, 당사의 영업이익율은 2023년 23.6%에서 2024년 11.8%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2024년에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생산을 위한 설비 증축에 따른 감가상각비의 증가 및 공동주택 모듈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비의 증가에 기인한 결과입니다. 2024년 하반기 및 2025년 2분기에 수주한 공동주택 프로젝와 영구학교 및 기숙사 관련 제품이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착수됨에 따라 모듈러 제작이 본격화 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수주산업 특성상 진행률에 따라 수익을 인식하므로, 2025년 하반기부터 영업이익률은 점진적으로 개선될 전망됩니다.
[거래 형태별 매출액 및 매출원가] |
(단위: 백만원) |
매출유형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매출액 | 매출원가 | 원가율 | |
제품매출 | 8,890 | 6,612 | 74.4% | 14,335 | 10,850 | 75.7% | 9,567 | 8,912 | 93.2% | 455 | 541 | 118.9% |
임대매출 | 2,563 | 1,325 | 51.7% | 23,313 | 9,952 | 42.7% | 31,289 | 15,315 | 48.9% | 6,025 | 3,741 | 62.1% |
용역매출 | 6,310 | 5,498 | 87.1% | 13,381 | 13,675 | 102.2% | 11,623 | 13,945 | 120.0% | 4,153 | 3,934 | 94.7% |
기타매출 | 234 | 185 | 79.0% | 503 | 360 | 71.5% | 322 | 322 | 100.0% | 45 | 39 | 86.7% |
합 계 | 17,997 | 13,619 | 75.7% | 51,532 | 34,837 | 67.6% | 52,801 | 38,495 | 72.9% | 10,678 | 8,255 | 77.3% |
출처: | 회사제시자료 |
당사의 매출은 제품매출, 임대매출, 용역매출, 기타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품매출은 혁신장터'(혁신조달플랫폼)에서 지정된 혁신제품인 당사의 제품을 개별 수의계약 판매하는 "혁신제품 판매"관련 매출로서 2023년에 143억원까지 증가하였으나 2024년에 약 48억원 가량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기존 철골 모듈러(BS1)에서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위주로 판매 전략의 전환에 따라 제품 개발에 회사의 역량이 집중되면서 일시적으로 매출이 감소하였으나, 2025년 상반기에 대구지역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학교 및 기숙사를 수주하는 등 신규 수주 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하반기에는 제품매출이 다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임대매출은 수요기관에 "카탈로그 임대 계약" “2단계 경쟁입찰 임대 계약”방식에 따라 일정 기간 동안의 임대계약으로 모듈러를 공급하여 임대료를 수취하여 발생한 매출로서 2022년 26억원, 2023년 233억원, 2024년 313억원으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제작한 모듈러의 임대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누적된 임대료 수익에 따른 것입니다. 용역매출은 모듈러의 임대를 위한 설치와 임대기간 이후 해체 및 이동시 수취하는 용역수익으로서 모듈러 임대 사업이 본격화됨에 따라 2022년 26억원에서 2023년 134억원, 2024년 116억원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1) 제품매출원가율은 2022년 74.4%에서 2023년 75.7%, 2024년 93.2%, 2025년 1분기 118.9% 로 2023년 대비 2024년 17.4%p, 2024년 대비 2025년 1분기 25.6%p 증가하였습니다. 이는 2024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의 출시로 콘크리트 모듈러 시제품 생산과 함께 철골 모듈러에서 콘크리트 모듈러 위주의 생산 체제로 전환 및 공동주택 시장 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인력 확충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2024년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2023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2025년 1분기 또한 유사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간접비 중 고정비 효과로 인해 2024년, 2025년 1분기의 모듈러 단위당 생산비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습니다. 다만, 2025년 2분기 이후 공동주택 프로젝트, 학교사업에서의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에 대한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에 따라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회복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공모자금을 통한 공장 시설 확충 및 자동화설비 도입으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여 단위당 원가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임대매출원가율이 제품매출원가율 보다 낮은 이유는 제품판매의 경우 관련 원가가 일시에 인식되지만, 임대의 경우 유형자산으로 인식된 모듈러임대자산을 다년간에 걸쳐서 감가상각비 처리하여 비용으로 안분 인식하기 때문입니다. 당사는 모듈러 임대자산의 경우 철골 모듈러(BS1)은 내용연수 6년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으며,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는 20년 정액법으로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 개시와 동시에 해당 임대 모듈러 자산에 대응한 감가상각비를 임대매출원가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임대매출원가율은 2022년 51.7%, 2023년 42.7%, 2024년 48.9%로 2023년 대비 2024년 소폭 상승하였습니다. 다만, 모듈러 임대자산이 회계상 내용연수를 초과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2028년부터는 내용연수가 경과한 모듈러 임대자산이 발생함에 따라 임대매출원가가 대폭 감소하여 전체 임대매출원가율의 개선이 예상됩니다. 2024년에는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로의 제품 전환을 위한 과도기로서 신규 제작한 모듈러 임대자산의 단위당 취득원가의 증가로 인하여 임대매출원가율이 증가하였습니다. 3) 용역매출원가율은 모듈러 제품의 현장설치 시 발생하는 원가율로서 2022년 87.1%, 2023년 102.2%, 2024년 120.0% 입니다. 최근 2개년도의 원가율이 상승한 이유는 현장설치 외주용역비 등 제반비용의 증가의 원인이 있으며, 향후에는 당사 직원의 투입을 늘릴 예정이며, 현장 설치 및 해체 시 재사용 가능한 자재의 재사용율을 증가하여 원가율 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22년 12.4%, 2023년 23.6%, 2024년 11.8%로 매출액총이익률과 마찬가지로 2023년까지 상승하다가 2024년에 다소 감소하였습니다. 이는 상술한 매출총이익률의 감소 요인과 공동주택 시장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 인력 확충 등 모듈러 사업 확대에 따른 신규 직원 채용 관련 인건비 상승,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주식보상비용 증가 등에 기인하여 일시적으로 감소 한 것입니다. 앞서 설명한 매출총이익률 개선과 더불어, 주식매수선택권 가득기간 종료 등으로 향후 영업이익률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상술한 임대 모듈러 자산의 감가상각비와 관련하여 2023년까지는 주로 신규제작 모듈러를 임대하였으나, 2024년부터는 일부 프로젝트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라 해체 및 이동이 발생하였습니다. 신규 임대개시일까지의 재사용을 위한 운휴기간 동안에는 해당 모듈러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판매관리비에 계상됩니다. 2023년 임대자산의 운휴율은 2.1% 이며, 2024년은 11.3% 수준입니다. 사업계획 상 향후 평균운휴율은 16.7% 수준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음에 따라 판매관리비상 감가상각비는 다소 상승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제 임대자산으로서 사용가능한 경제적 내용연수는 회계상 내용연수를 초과하고, 2028년부터는 내용연수가 경과한 모듈러 임대자산이 발생할 예정입니다. 향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는 판매 위주의 사업을 전개할 것이므로 감가상각비는 증가추세에서 감소추세로 접어들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개선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과거 3개년 주요 판관비 항목 및 추이]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매출액 | 17,997 | 100.0% | 51,533 | 100.0% | 52,801 | 100.0% | 10,678 | 100.0% |
판매관리비 | 2,152 | 12.0% | 4,555 | 8.8% | 8,090 | 15.3% | 1,921 | 18.0% |
감가상각비 | 77 | 0.4% | 335 | 0.7% | 2,205 | 4.2% | 929 | 8.7% |
급여 | 488 | 2.7% | 688 | 1.3% | 1,209 | 2.3% | 335 | 3.1% |
경상연구개발비 | 428 | 2.4% | 1,579 | 3.1% | 1,742 | 3.3% | 253 | 2.4% |
주식보상비용 | - | - | 152 | 0.3% | 631 | 1.2% | 180 | 1.7% |
당사의 매출액순이익률은 2022년 (-)86.7%에서 2023년 2.9%, 2024년 3.8%로 점진적으로 회복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과 2023년에는 회계기준을 K-GAAP에서 K-IFRS로 변경함에 따라 상환전환우선주의 부채 전입 효과가 반영되어 부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각각 2022년 169억 원, 2023년 38억 원의 평가손실이 인식되었습니다. 또한, 2023년에는 모듈러 사업의 수주 확대에 따른 생산량 급증 및 생산자금 확보를 위한 장ㆍ단기 차입금 증가로 인해 이자비용이 2022년 12억 원에서 2023년 48억 원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25년 1분기에는 전환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의 증가로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 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2024년 당사의 신제품인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의 출시로 콘크리트 모듈러 시제품 생산과 함께 철골 모듈러에서 콘크리트 모듈러 위주의 생산 체제로 전환 및 공동주택 시장 진입을 위하여 시설투자, 연구개발인력 확충 비용이 증가함에 따라 2024년 전체 모듈러 생산량이 2023년 대비 절반 이하로 감소하였으며 2025년 1분기 또한 유사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간접비 중 고정비 효과로 인해 2024년, 2025년 1분기의 모듈러 단위당 생산비용이 일시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임대 모듈러 자산의 임대기간 종료에 따른 운휴기간 감가상각비 발생함에 따라 2024년과 2025년 1분기 매출순이익률이 감소하였습니다. 다만, 2024년 전체 전환상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이 완료됨에 2024년 이후 관련 평가손실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향후 공모자금을 통한 채무상환으로 관련 이자비용이 감소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주택을 포함한 콘크리트 모듈러(PC모듈러) 판매 확대에 따른 생산량 증가, 자동화 설비 도입 등으로 영업이익률의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순이익률 또한 개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과거 3개년 주요 금융비용 항목 및 추이] |
(단위: 백만원, %) |
구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1분기 |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영업이익 | 2,226 | 100.00% | 12,141 | 100.00% | 6,216 | 100.00% | 503 | 100.00% |
이자비용 | 1,164 | 52.3% | 4,790 | 39.5% | 4,815 | 77.5% | 1,567 | 311.6%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부채평가손실 | 16,869 | 758.0% | 3,832 | 31.6% | - | - | - | -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 - | - | - | - | 33 | 0.5% | 17 | 3.4% |
당사의 2025년 4월, 5월, 6월 가결산 매출액은 37억원, 37억원, 51억원 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2억, 7억, (-)2억 증가하였습니다. 매출액 증가의 중요한 2024년 12월에 협약을 체결한 공동주택(의왕초평 A-4BL)의 진행기준 매출이 발생하기 시작한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공동주택 진도율이 5월 기준 전체계약 대비 약 4% 수준이며, 기투자한 설비 및 인력투입으로 인하여 영업이익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억, 5억 감소하였습니다.
[2025년 가결산 실적 전년 동월 대비 비교] |
(단위: 백만원) |
구분 | 2025년 6월 | 2024년 6월 | 2025년 5월 | 2024년 5월 | 2025년 4월 | 2024년 4월 |
매출액 | 5,120 | 5,301 | 3,682 | 2,522 | 3,680 | 2,989 |
영업이익 | 464 | 100 | 298 | 533 | 261 | 745 |
주1) | 당사의 상기 2025년 월별 잠정실적(매출 및 영업손익)의 경우 감사 또는 검토받지 아니한 수치입니다. 이에 추후 감사 받은 확정 실적과의 차이 발생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이처럼 당사는 향후에도 모듈러 적용 사업분야 확대, 공동주택 프로젝트 수주, 모듈러 신제품 개발, 자동화 설비 도입 등을 통해 높은 매출 성장세와 이익율 개선을 위해 노력할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시적 경제환경 침체 및 모듈러 산업의 트렌드 변화 및 관련 정책 방향 변경 등 대외환경 변수에 따라 당사의 실적과 성장성,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듈러 산업 내 경쟁 심화, 당사의 제품 경쟁력의 저하 및 수요기관의 요구 대응 능력의 하락 등으로 매출 성장성이 저하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14) 정정 전
가. 상 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0,435,075주 중 약 31.24%에 해당하는 3,259,760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물량입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해당물량의 매각으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계속보유의무자의 의무보유기간, 상장주선인의 매각제한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추가 각 의무보유기간에 따른 유통가능물량은 1개월 후 4,019,640주 38.52%, 3개월 후 4,835,075주 46.33%, 6개월 후 5,155,075주 49.02%, 24개월 후 6,963,075주 100.00%입니다. 이 처럼 상장일부터 유통가능한 물량과 이후 추가적인 물량 출회가 가능함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0,435,075주 중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가 보유한 주식 3,472,000주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6개월 의무보유 대상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의 단서 조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당사의 특수관계인인 최대주주의 가족인 강혜경, 등기임원인 김동우가 각각 보유한 주식 448,000주, 1,120,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2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 6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한편, 직원인 이성규 주주가 보유한 주식 560,000주는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보유 주식의 50%인 280,000주에 대해서 6개월, 나머지 280,000주에 대해서 1년 6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 합니다.벤처금융인 모비릭스펀드 1호가 보유한 주식 360,000주 중,180,000주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에 해당하므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모비릭스 펀드 1호의 보유 주식의 50%인 나머지 180,000주에 대해서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합니다.그 외, 벤처금융 보유 주식은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각 주주별 보유 주식의 25%는 상장 후 1개월, 보유주식의 또 다른 25%에 대해서는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를 확약하였습니다.또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인 대표주관회사 NH투자증권㈜는 공모물량의 3% 혹은 10억원의 금액 중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55,555주(0.53%)를 추가로 인수하게 됩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상장 후 3개월 후에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인 0.53%(상장예정주식수 기준)에 해당하는 55,555주에 대하여 계속보유의무가 없습니다. 이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으로 인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신규상장 의무보유)] |
① 보통주식 신규상장의 경우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상장신청인의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다만, 의무보유 대상자가 상장주선인과의 협의에 따라 요청하는 경우 또는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자와 협의하여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서 정하는 기간 외에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의무보유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1.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상장신청인의 임원에는 「상법」 제401조의2제1항 각 호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특수관계인의 경우 주식보유의 목적, 최대주주와의 관계 및 경영권 변동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할 수 있다.2.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이 소유하는 주식등을 취득한 자: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3.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상장신청인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자: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4.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다)이 2년 미만인 주식등(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취득한 주식등 중에서 상장신청일 현재 상장신청인의 자본금을 기준으로 각각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한도까지의 주식등으로 한정한다): 상장일부터 1개월.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5. 상장주선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른 공동주관회사를 포함한다)이 취득한 투자기간(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다)이 6개월 미만인 주식등: 상장일부터 6개월.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산정한 취득가격과 공모가격의 괴리율이 100분의 50 미만인 경우는 상장일부터 1개월로 한다.6.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이 상장일 이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취득하는 주식: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7. 그 밖에 거래소가 공익 실현과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의무보유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주주등(제2조제1항제10호 각 목의 증권을 소유한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상장일부터 거래소와 협의하여 정한 2년 이내의 기간② 보통주식 신규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가 세칙으로 정하는 명목회사인 경우 그 명목회사의 최대주주등은 명목회사의 주식등을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다만, 의무보유 대상자가 상장주선인과의 협의에 따라 요청하는 경우 또는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자와 협의하여 본문에서 정하는 기간 외에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의무보유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③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신규상장신청인이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이거나 해외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인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
상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한 의무보유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각이 제한됩니다.
【상장 후 유통제한 및 유통가능주식수 현황】 |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총주식수 | 유통가능물량 | 매각제한물량 | 매각제한 기간 | 매각제한사유 | |||||
---|---|---|---|---|---|---|---|---|---|---|---|
보통주 | 지분율 | 보통주 | 지분율 | 의무보호예수 | 자발적 보호예수 | 총 보호예수 | 지분율 | ||||
물량 | 물량 | 물량 | |||||||||
최대주주 | 강건우 | 3,472,000 | 33.27% | - | 0.00% | 3,472,000 | - | 3,472,000 | 33.27% | 2년 6개월 | 주1) |
김동우 | 1,120,000 | 10.73% | - | 0.00% | 1,120,000 | - | 1,120,000 | 10.73% | 1년 6개월 | 주2) | |
강혜경 | 448,000 | 4.29% | - | 0.00% | 448,000 | - | 448,000 | 4.29% | 1년 6개월 | 주2) | |
소계 | 5,040,000 | 48.30% | - | 0.00% | 5,040,000 | - | 5,040,000 | 48.30% | - | ||
기존주주 | 미래 ESV 개인투자조합 제1호 | 196,480 | 1.88% | 98,240 | 0.94% | - | 98,240 | 98,240 | 0.94% | 1개월 : 49,12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49,12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제이비(JB)기술지주 개인투자조합 제2호 | 58,880 | 0.56% | 29,440 | 0.28% | - | 29,440 | 29,440 | 0.28% | 1개월 : 14,72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14,72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KTBN 18호 벤처투자조합 | 982,880 | 9.42% | 491,440 | 4.71% | - | 491,440 | 491,440 | 4.71% | 1개월 : 245,72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245,72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코오롱 2021 이노베이션 투자조합 | 491,520 | 4.71% | 245,760 | 2.36% | - | 245,760 | 245,760 | 2.36% | 1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SLi Next 이노베이션 펀드 | 491,520 | 4.71% | 245,760 | 2.36% | - | 245,760 | 245,760 | 2.36% | 1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98,240 | 0.94% | 49,120 | 0.47% | - | 49,120 | 49,120 | 0.47% | 1개월 : 24,56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24,56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모비릭스펀드 1호 | 360,000 | 3.45% | - | 0.00% | 180,000 | 180,000 | 360,000 | 3.45% | 2개월 | 주4) | |
이성규 | 560,000 | 5.37% | - | 0.00% | - | 560,000 | 560,000 | 5.37% | 6개월 : 280,000주(전체 물량의 50%)18개월 : 280,000주(전체 물량의 50%) | 주5) | |
소 계 | 3,239,520 | 31.04% | 1,159,760 | 11.11% | 180,000 | 1,899,760 | 2,079,760 | 19.93% | - | ||
신규주주 | 공모주주 | 2,100,000 | 20.12% | 2,100,000 | 20.12% | - | - | - | 0.00% | - | |
주관사 의무인수분(NH투자증권㈜) | 55,555 | 0.53% | - | 0.00% | 55,555 | - | 55,555 | 0.53% | 3개월 | 주6) | |
소 계 | 2,155,555 | 20.66% | 2,100,000 | 20.12% | 55,555 | - | 55,555 | 0.53% | - | ||
합 계 | 10,435,075 | 100.00% | 3,259,760 | 31.24% | 5,275,555 | 1,899,760 | 7,175,315 | 68.76% | - |
주1) |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가 보유한 주식 3,472,000주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6개월 의무보유 대상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의 단서 조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2) | 당사의 특수관계인인 최대주주의 가족인 강혜경, 등기임원인 김동우가 각각 보유한 주식 448,000주, 1,120,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2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 6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3) |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보유 주식의 25%는 상장 후 1개월, 보유주식의 또 다른 25%는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합니다. |
주4) | 모비릭스펀드 1호가 보유한 주식 360,000주 중, 180,000주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에 해당하므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보유 주식의 50%인 나머지 180,000주에 대해서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합니다. |
주5) | 직원인 이성규가 보유한 주식 560,000주는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보유 주식의 50%인 280,000주에 대해서 6개월, 나머지 280,000주에 대해서 1년 6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 합니다. |
주6)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됩니다. |
주7) | 당사는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임직원이 보유한 모든 주식매수선택권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 내 스톡옵션 행사를 통한 신주취득시 해당 주식에 대하여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의무보유를 확약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기타위험 - 다.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 희석 및 잠재 물량 출회와 관련된 위험'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상장 이후 시점별 유통가능 주식수] |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구분 | 주식수(주) |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상장일 유통가능 | 3,259,760 | 31.24% |
상장후 1개월뒤 유통가능 | 4,019,640 | 38.52% |
상장후 3개월뒤 유통가능 | 4,835,075 | 46.33% |
상장후 6개월뒤 유통가능 | 5,115,075 | 49.02% |
상장후 1년뒤 유통가능 | 5,115,075 | 49.02% |
상장후 2년뒤 유통가능 | 6,963,075 | 66.73% |
주) | 유통가능비율은 상장 이후 상장 주식수 대비 유통가능주식수의 비율입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등록된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법령상 의무의 이행,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의 인수 또는 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보유의 예외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6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거래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라 주식등을 취득하거나 교부받은 자는 잔여 의무보유 기간 동안 해당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1. 법령상 의무의 이행 등을 위한 경우 2. 경쟁력 향상 또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인수·합병 등으로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 3. 그 밖에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 ②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 대상자는 의무보유된 주식등의 권리행사 등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로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거래소의 승인을 받아 인출, 질권 설정·말소 등을 할 수 있다. ③ 제1항 및 제2항 외에 의무보유 예외 사유의 적용 방법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세칙으로 정한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제17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규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인수·합병 등을 말한다. 1. 기술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및 능률 증진을 위한 경우 2.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금액이 과다하거나 위험분산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전문 경영인의 영입 등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경우 4. 거래 조건의 합리화를 위한 경우 5. 그 밖에 기업의 인수나 합병 등으로 인한 기대효과가 최대주주등의 지분 매각을 금지하는 효과보다 크다고 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 |
상기의 의무보유 수량을 제외한 주식수 3,259,760주는 상장 직후 시장에서 유통가능한 물량이며, 상장예정주식수 기준으로 31.24%에 해당합니다. 상장 후 이러한 유통가능 물량의 출회로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의무보유가 종료되면 해당물량의 출회로 추가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14) 정정 후
가. 상 장 이후 유통물량 출회에 따른 위험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0,427,139 주 중 약 31.26%에 해당하는 3,259,760주는 상장 직후 유통가능물량입니다. 유통가능물량의 경우 상장일부터 매도가 가능하므로 해당물량의 매각으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최대주주 등 계속보유의무자의 의무보유기간, 상장주선인의 매각제한기간이 종료되는 경우 추가적인 물량출회로 인하여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추가 각 의무보유기간에 따른 유통가능물량은 1개월 후 4,019,640주 38.55% , 3개월 후 4,827,139주 46.29% , 6개월 후 5,107,139주 48.98% , 24개월 후 6,955,139주 66.70% 입니다. 이 처럼 상장일부터 유통가능한 물량과 이후 추가적인 물량 출회가 가능함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예정주식을 포함한 당사의 상장예정주식수 10,427,139 주 중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가 보유한 주식 3,472,000주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6개월 의무보유 대상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의 단서 조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간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또한, 당사의 특수관계인인 최대주주의 가족인 강혜경, 등기임원인 김동우가 각각 보유한 주식 448,000주, 1,120,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2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 6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할 예정입니다.한편, 직원인 이성규 주주가 보유한 주식 560,000주는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보유 주식의 50%인 280,000주에 대해서 6개월, 나머지 280,000주에 대해서 1년 6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 합니다.벤처금융인 모비릭스펀드 1호가 보유한 주식 360,000주 중,180,000주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에 해당하므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모비릭스 펀드 1호의 보유 주식의 50%인 나머지 180,000주에 대해서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합니다.그 외, 벤처금융 보유 주식은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각 주주별 보유 주식의 25%는 상장 후 1개월, 보유주식의 또 다른 25%에 대해서는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를 확약하였습니다.또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장규정 제13조제5항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주선인인 대표주관회사 NH투자증권㈜는 공모물량의 3% 혹은 10억원의 금액 중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인 47,619주(0.46%) 를 추가로 인수하게 됩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은 상장 후 3개월간 의무보유됩니다. 상장 후 3개월 후에는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인 0.46% (상장예정주식수 기준)에 해당하는 47,619 주에 대하여 계속보유의무가 없습니다. 이와 같은 매도가능물량으로 인하여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단, 금번 공모물량 중 실권주가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수량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신규상장 의무보유)] |
① 보통주식 신규상장의 경우 다음 각 호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상장신청인의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다만, 의무보유 대상자가 상장주선인과의 협의에 따라 요청하는 경우 또는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자와 협의하여 제1호부터 제6호까지의 규정에서 정하는 기간 외에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의무보유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1.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상장신청인의 임원에는 「상법」 제401조의2제1항 각 호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특수관계인의 경우 주식보유의 목적, 최대주주와의 관계 및 경영권 변동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할 수 있다.2.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이 소유하는 주식등을 취득한 자: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3.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1년 이내에 상장신청인이 제3자 배정 방식으로 발행한 주식등을 취득한 자: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4.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다)이 2년 미만인 주식등(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취득한 주식등 중에서 상장신청일 현재 상장신청인의 자본금을 기준으로 각각 100분의 10에 상당하는 한도까지의 주식등으로 한정한다): 상장일부터 1개월.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는 제외한다.5. 상장주선인(「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제6조에 따른 공동주관회사를 포함한다)이 취득한 투자기간(상장예비심사 신청일을 기준으로 한다)이 6개월 미만인 주식등: 상장일부터 6개월. 다만, 세칙으로 정하는 방법으로 산정한 취득가격과 공모가격의 괴리율이 100분의 50 미만인 경우는 상장일부터 1개월로 한다.6. 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등이 상장일 이후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취득하는 주식: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7. 그 밖에 거래소가 공익 실현과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의무보유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주주등(제2조제1항제10호 각 목의 증권을 소유한 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상장일부터 거래소와 협의하여 정한 2년 이내의 기간② 보통주식 신규상장신청인의 최대주주가 세칙으로 정하는 명목회사인 경우 그 명목회사의 최대주주등은 명목회사의 주식등을 상장일부터 6개월(기술성장기업 또는 제31조제1항에 따른 신속이전기업은 1년으로 한다) 동안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다만, 의무보유 대상자가 상장주선인과의 협의에 따라 요청하는 경우 또는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투자자 보호 등을 위하여 거래소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자와 협의하여 본문에서 정하는 기간 외에 2년 이내의 범위에서 의무보유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③ 제1항 및 제2항에도 불구하고 신규상장신청인이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이거나 해외증권시장에 상장한 기업인 경우에는 의무보유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다. |
상기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한 의무보유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각이 제한됩니다.
【상장 후 유통제한 및 유통가능주식수 현황】 |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총주식수 | 유통가능물량 | 매각제한물량 | 매각제한 기간 | 매각제한사유 | |||||
---|---|---|---|---|---|---|---|---|---|---|---|
보통주 | 지분율 | 보통주 | 지분율 | 의무보호예수 | 자발적 보호예수 | 총 보호예수 | 지분율 | ||||
물량 | 물량 | 물량 | |||||||||
최대주주 | 강건우 | 3,472,000 | 33.30% | 0 | 0.00% | 3,472,000 | 0 | 3,472,000 | 33.30% | 2년 6개월 | 주1) |
김동우 | 1,120,000 | 10.74% | 0 | 0.00% | 1,120,000 | 0 | 1,120,000 | 10.74% | 1년 6개월 | 주2) | |
강혜경 | 448,000 | 4.30% | 0 | 0.00% | 448,000 | 0 | 448,000 | 4.30% | 1년 6개월 | 주2) | |
소계 | 5,040,000 | 48.34% | 0 | 0.00% | 5,040,000 | 0 | 5,040,000 | 48.34% | - | ||
기존주주 | 미래 ESV 개인투자조합 제1호 | 196,480 | 1.88% | 98,240 | 0.94% | 0 | 98,240 | 98,240 | 0.94% | 1개월 : 49,12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49,12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제이비(JB)기술지주 개인투자조합 제2호 | 58,880 | 0.56% | 29,440 | 0.28% | 0 | 29,440 | 29,440 | 0.28% | 1개월 : 14,72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14,72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KTBN 18호 벤처투자조합 | 982,880 | 9.43% | 491,440 | 4.71% | 0 | 491,440 | 491,440 | 4.71% | 1개월 : 245,72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245,72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코오롱 2021 이노베이션 투자조합 | 491,520 | 4.71% | 245,760 | 2.36% | 0 | 245,760 | 245,760 | 2.36% | 1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SLi Next 이노베이션 펀드 | 491,520 | 4.71% | 245,760 | 2.36% | 0 | 245,760 | 245,760 | 2.36% | 1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122,88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98,240 | 0.94% | 49,120 | 0.47% | 0 | 49,120 | 49,120 | 0.47% | 1개월 : 24,560주(전체 물량의 25%)2개월 : 24,560주(전체 물량의 25%) | 주3) | |
모비릭스펀드 1호 | 360,000 | 3.45% | 0 | 0.00% | 180,000 | 180,000 | 360,000 | 3.45% | 2개월 | 주4) | |
이성규 | 560,000 | 5.37% | 0 | 0.00% | 0 | 560,000 | 560,000 | 5.37% | 6개월 : 280,000주(전체 물량의 50%)18개월 : 280,000주(전체 물량의 50%) | 주5) | |
소 계 | 3,239,520 | 31.07% | 1,159,760 | 11.12% | 180,000 | 1,899,760 | 2,079,760 | 19.95% | - | ||
신규주주 | 공모주주 | 2,100,000 | 20.14% | 2,100,000 | 20.14% | 0 | 0 | 0 | 0.00% | - | |
주관사 의무인수분(NH투자증권㈜) | 47,619 | 0.46% | 0 | 0.00% | 47,619 | 0 | 47,619 | 0.46% | 3개월 | 주6) | |
소 계 | 2,147,619 | 20.60% | 2,100,000 | 20.14% | 47,619 | 0 | 47,619 | 0.46% | - | ||
합 계 | 10,427,139 | 100.00% | 3,259,760 | 31.26% | 5,267,619 | 1,899,760 | 7,167,379 | 68.74% | - |
주1) |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가 보유한 주식 3,472,000주는「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6개월 의무보유 대상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의 단서 조항에 따라 의무보유기간을 24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2년 6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2) | 당사의 특수관계인인 최대주주의 가족인 강혜경, 등기임원인 김동우가 각각 보유한 주식 448,000주, 1,120,000주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상장일로부터 6개월이나,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단서조항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을 12개월을 추가하여 상장일로부터 1년 6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
주3) |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보유 주식의 25%는 상장 후 1개월, 보유주식의 또 다른 25%는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합니다. |
주4) | 모비릭스펀드 1호가 보유한 주식 360,000주 중, 180,000주는 상장예비심사 신청일 전 벤처금융 또는 전문투자자가 모집이나 매출이 아닌 방법으로 취득한 투자기간 2년 미만인 주식등에 해당하므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26조 제1항 제4호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1개월간 한국예탁결제원에 의무보유합니다. 보유 주식의 50%인 나머지 180,000주에 대해서는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상장 후 2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합니다. |
주5) | 직원인 이성규가 보유한 주식 560,000주는 상장규정상 보호예수 의무는 없으나,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7호에 따라 보유 주식의 50%인 280,000주에 대해서 6개월, 나머지 280,000주에 대해서 1년 6개월간 자발적으로 의무보유 합니다. |
주6)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13조 제5항 제1호 나목에 의거하여 상장일로부터 3개월간 의무보유 됩니다. |
주7) | 당사는 상장 이후 안정적인 경영 및 투자자보호 조치 차원에서 임직원이 보유한 모든 주식매수선택권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제6호에 의거하여 의무보유기간 내 스톡옵션 행사를 통한 신주취득시 해당 주식에 대하여 상장일로부터 6개월간 의무보유를 확약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3.기타위험 - 다.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 희석 및 잠재 물량 출회와 관련된 위험'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상장 이후 시점별 유통가능 주식수] | |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 (단위: 주) |
구분 | 주식수(주) | 유통가능 주식수 비율 |
상장일 유통가능 | 3,259,760 | 31.26% |
상장후 1개월뒤 유통가능 | 4,019,640 | 38.55% |
상장후 3개월뒤 유통가능 | 4,827,139 | 46.29% |
상장후 6개월뒤 유통가능 | 5,107,139 | 48.98% |
상장후 1년뒤 유통가능 | 5,107,139 | 48.98% |
상장후 2년뒤 유통가능 | 6,955,139 | 66.70% |
주) | 유통가능비율은 상장 이후 상장 주식수 대비 유통가능주식수의 비율입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의무보유 등록된 물량은 한국거래소가 법령상 의무의 이행, 코스닥 상장법인의 경쟁력 향상이나 지배구조의 개선을 위한 기업의 인수 또는 합병 등에 대하여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무보유의 예외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한국거래소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6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거래소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여 불가피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라 주식등을 취득하거나 교부받은 자는 잔여 의무보유 기간 동안 해당 주식등을 의무보유하여야 한다. 1. 법령상 의무의 이행 등을 위한 경우 2. 경쟁력 향상 또는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인수·합병 등으로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 3. 그 밖에 의무보유의 예외를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 ② 이 규정에 따른 의무보유 대상자는 의무보유된 주식등의 권리행사 등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로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에는 거래소의 승인을 받아 인출, 질권 설정·말소 등을 할 수 있다. ③ 제1항 및 제2항 외에 의무보유 예외 사유의 적용 방법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세칙으로 정한다.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제17조(의무보유의 예외 등) ① 규정 제16조제1항제2호에서 “세칙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인수·합병 등을 말한다. 1. 기술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및 능률 증진을 위한 경우 2.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위한 투자금액이 과다하거나 위험분산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3. 전문 경영인의 영입 등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경우 4. 거래 조건의 합리화를 위한 경우 5. 그 밖에 기업의 인수나 합병 등으로 인한 기대효과가 최대주주등의 지분 매각을 금지하는 효과보다 크다고 거래소가 인정하는 경우 |
상기의 의무보유 수량을 제외한 주식수 3,259,760주는 상장 직후 시장에서 유통가능한 물량이며, 상장예정주식수 기준으로 31.26 %에 해당합니다. 상장 후 이러한 유통가능 물량의 출회로 주식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의무보유가 종료되면 해당물량의 출회로 추가적으로 주가가 하락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15) 정정 전
나. 상장 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상장 시 공모 주식 2,100,000주 이외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55,555주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해 상장주선인 NH투자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내역】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 후 의무보유기간 |
---|---|---|---|---|
NH투자증권(주) | 보통주 | 55,555주 | 999,990,000원 | 상장 후 3개월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희망공모가액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희망공모가액 하단 18,000원 기준 55,555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시행세칙 제15조 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55,555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에 따라 그 취득수량이 변동하게 될 예정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이 공모 이외의 주식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15) 정정 후
나. 상장 주선인의 의무인수에 관한 사항 상장 시 공모 주식 2,100,000주 이외에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해 상장주선인이 별도로 47,619 주를 취득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공모 이외의 주식 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습니다. 한편, 금번 공모 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주식의 수는 감소할 수 있습니다. |
금번 공모시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제1호나목에 의해 상장주선인 NH투자증권㈜는 모집ㆍ매출하는 주식의 100분의 3에 해당하는 수량(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을 모집ㆍ매출하는 가격과 같은 가격으로 취득하여 3개월간 의무보유 하여야 합니다. 금번 공모 상장주선인으로서 의무인수에 관한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내역】 |
취득자 | 증권의 종류 | 취득수량 | 취득금액 | 취득 후 의무보유기간 |
---|---|---|---|---|
NH투자증권(주) | 보통주 | 47,619주 | 999,999,000원 | 상장 후 3개월 |
주1) | 위의 취득금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상 모집(매출)하는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취득하여야 하며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금번 공모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자기의 계산으로 잔여주식을 인수하는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 취득분( 확정공모가액 21,000원 기준 47,619주에서 잔여주식 인수 수량만큼을 차감한 수량의 주식을 취득하게 됩니다. 또한, 모집ㆍ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 미달이 100분의 3(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10억원에 해당하는 수량) 이상 발생하여 상장주선인이 이를 인수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여야 하는 의무 취득분이 없을 수 있습니다. |
주3) | 동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 인 21,000원으로 계산된 47,619주를 취득합니다.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시행세칙 제15조 제4항에 따르면 모집ㆍ매출한 주권의 일부를 취득하는 자가 없는 때에 그 나머지를 상장주선인이 취득하는 경우에는 그 취득수량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금번 공모 물량 중 청약 미달이 발생하여 이를 상장주선인이 인수하게 될 경우 상장주선인이 추가로 취득하는 증권의 수량이 47,619 주보다 감소할 수 있습니다.또한, 상장주선인의 의무취득분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의거하여 공모주식수량의 100분의 3을 사모의 방식으로 취득하게 되며, 동 취득금액이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10억원을 한도로 취득하게 됩니다. 따라서, 확정공모가액 인 21,000원으로 계산된 47,619주를 취득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와 같이 공모 이외의 주식수 증가로 인해 주식가치가 희석될 수 있는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16) 정정 전
라. 상장 후 경영안정성에 대한 위험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41.93%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60.87%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2,10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55,555주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48.30%로 감소하게 됩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당사의 경영환경이 악화 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포함하여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에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41.93%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60.87%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2,10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55,555주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48.30%로 감소하게 됩니다.
【최대주주등의 공모 전 및 공모 후 지분율 변동】 |
(단위 : 주, %) |
구분 | 주주명 | 관계 | 공모전보유주식수 | 공모후보유주식수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등 | 강건우 | 본인 | 3,472,000 | 41.93% | 3,472,000 | 33.27% |
김동우 | 등기임원 | 1,120,000 | 13.53% | 1,120,000 | 10.73% | |
강혜경 | 최대주주의 가족 | 448,000 | 5.41% | 448,000 | 4.29% | |
합계 | 5,040,000 | 60.87% | 5,040,000 | 48.30% |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당사의 경영환경이 악화 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에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당사는 투명한 경영을 하고 있으며 최고경영자나 주요 임원의 변경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최대주주 변경 등으로 인한 최고경영자 및 주요 임원의 교체, 위법행위로 인한 사임,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퇴사 등 현재는 예측할 수 없는 이유로 당사의 핵심인력인 최고 경영자나 주요 임원이 교체될 경우 당사의 경영환경에 변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 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주16) 정정 후
라. 상장 후 경영안정성에 대한 위험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41.93%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60.87%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2,10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47,619주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48.34%로 감소하게 됩니다.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당사의 경영환경이 악화 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포함하여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에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최대주주인 강건우 대표이사는 총 발행주식수의 41.93%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60.87%로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금번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공모 주식수 2,100,000주 및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47,619 주를 감안할 시 공모 후 최대주주등의 지분율은 48.34 %로 감소하게 됩니다.
【최대주주등의 공모 전 및 공모 후 지분율 변동】 |
(단위 : 주, %) |
구분 | 주주명 | 관계 | 공모전보유주식수 | 공모후보유주식수 |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최대주주등 | 강건우 | 본인 | 3,472,000 | 41.93% | 3,472,000 | 33.30% |
김동우 | 등기임원 | 1,120,000 | 13.53% | 1,120,000 | 10.74% | |
강혜경 | 최대주주의 가족 | 448,000 | 5.41% | 448,000 | 4.30% | |
합계 | 5,040,000 | 60.87% | 5,040,000 | 48.34% |
의무보유 기간 종료 후 최대주주등 및 특수관계인 지분을 대량 매각하거나 경영을 주도하고 있는 최대주주 및 경영진과 관련하여 경영권 변동 또는 기업지배구조 및 경영권 분쟁, 도덕적 해이 발생 등으로 당사의 경영환경이 악화 될 경우 경영 안정성이 저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자금확보를 위한 추가 유상증자 등으로 인하여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이 감소하거나 예기치 못한 경영권 분쟁, 주요 주주들간에 지분보유 경쟁 등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경영권 안정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당사는 투명한 경영을 하고 있으며 최고경영자나 주요 임원의 변경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최대주주 변경 등으로 인한 최고경영자 및 주요 임원의 교체, 위법행위로 인한 사임, 개인적인 사유에 의한 퇴사 등 현재는 예측할 수 없는 이유로 당사의 핵심인력인 최고 경영자나 주요 임원이 교체될 경우 당사의 경영환경에 변화가 발생할 위험이 있습 니다.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어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주17) 정정 전
거. 공모자금 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공모자금 총 41,776백만원 중 시설자금으로 20,940백만원(50.1%),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20,836백만원(49.9%)을 사용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재무지표는 2024년 기준 부채비율 241.8%, 2025년 1분기 257.0%로 업종 평균(122.0%) 대비 높은 수준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2024년 45.6%, 2025년 1분기 51.0%로 업종평균(36.6%)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금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공모자금 중 70%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에 26,30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시설자금의 경우, 공모자금 유입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됨에 따라, PC모듈러 제작 관련 자금 6,298백만원을 자체 자금으로 선집행하였으며, 신규 Battery Mould 제작 일정도 일부 2026년으로 조정함에 따라 관련 집행 금액을 축소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설자금으로는 총 11,373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이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계획 대비 9,567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신주 모집 금액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자금은 인수수수료 및 발행사의 재량으로 지급하는 추가 성과수수료와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하고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혹은 당사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공장 증축 및 시설 증축 자금,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공모자금 총 41,776백만원 중 시설자금으로 20,940백만원(50.1%),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20,836백만원(49.9%)을 사용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재무지표는 2024년 기준 부채비율 241.8%, 2025년 1분기 257.0%로 업종 평균(122.0%) 대비 높은 수준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2024년 45.6%, 2025년 1분기 51.0%로 업종평균(36.6%)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금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공모자금 중 70%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에 26,30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시설자금의 경우, 공모자금 유입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됨에 따라, PC모듈러 제작 관련 자금 6,298백만원을 자체 자금으로 선집행하였으며, 신규 Battery Mould 제작 일정도 일부 2026년으로 조정함에 따라 관련 집행 금액을 축소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설자금으로는 총 11,373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이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계획 대비 9,567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상세 내역은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17) 정정 후
거. 공모자금 의 사용내역 관련 위험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공모자금 총 41,776백만원 중 시설자금으로 20,940백만원(50.1%),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20,836백만원(49.9%)을 사용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재무지표는 2024년 기준 부채비율 241.8%, 2025년 1분기 257.0%로 업종 평균(122.0%) 대비 높은 수준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2024년 45.6%, 2025년 1분기 51.0%로 업종평균(36.6%)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금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공모자금 중 70%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에 29,832 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시설자금의 경우, 공모자금 유입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됨에 따라, PC모듈러 제작 관련 자금 6,298백만원을 자체 자금으로 선집행하였으며, 신규 Battery Mould 제작 일정도 일부 2026년으로 조정함에 따라 관련 집행 금액을 축소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설자금으로는 총 13,865 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이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계획 대비 7,075 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신주 모집 금액에서 발행제비용을 차감한 순수입금의 사용계획을 결정함에 있어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자가 당사의 결정사항에 동의하지 않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공모를 통해 당사가 수령하게 될 공모자금은 인수수수료 및 발행사의 재량으로 지급하는 추가 성과수수료와 기타 발행비용을 제외하고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공모자금을 투자자가 동의하지 않거나 혹은 당사 주주에게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해당 공모자금을공장 증축 및 시설 증축 자금,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공모자금 총 41,776백만원 중 시설자금으로 20,940백만원(50.1%),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20,836백만원(49.9%)을 사용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재무지표는 2024년 기준 부채비율 241.8%, 2025년 1분기 257.0%로 업종 평균(122.0%) 대비 높은 수준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2024년 45.6%, 2025년 1분기 51.0%로 업종평균(36.6%)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금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공모자금 중 70%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에 29,832 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시설자금의 경우, 공모자금 유입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됨에 따라, PC모듈러 제작 관련 자금 6,298백만원을 자체 자금으로 선집행하였으며, 신규 Battery Mould 제작 일정도 일부 2026년으로 조정함에 따라 관련 집행 금액을 축소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설자금으로는 총 13,865 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이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계획 대비 7,075 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상세 내역은 『Ⅴ. 자금의 사용목적』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당사 경영진은 금번 공모를 통해 수령한 공모자금을 실제로 집행함에 있어 재량권을 보유하며, 이를 특정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당사 경영진의 판단을 투자자가 신뢰하고 투자금을 당사 경영진에게 위탁하는 것임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또한, 금번 공모를 통해 조달한 순수입금의 사용내역은 향후 당사가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분/반기 보고서 상 『III.재무에 관한 사항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 조달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에서 확인 하시기 바랍니다.
(주18) 정정 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EV/EBITDA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 | ||||
적용산식 |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①) x 유사기업 EV/EBITDA(②) - 순차입금(③)] ÷ 적용 주식수(④) x {1 - 할인율(⑤)}] | ||||
적용근거 | 구분 | 단위 | 수치 | 참고사항 | |
① |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 | 백만원 | 21,738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2) 적용 EV/EBITDA 배수 산출 | |
② | 유사기업 EV/EBITDA | 배 | 16.08X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2) 적용 EV/EBITDA 배수 산출 | |
③ | 순차입금 | 백만원 | 64,730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2) 적용 EV/EBITDA 배수 산출 | |
평가시가총액 [(① × ② - ③)] | 백만원 | 284,823백만원 | - | ||
④ | 적용 주식수 (희석 반영) | 주 | 12,208,283주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주당 평가가액 [(① × ② - ③) ÷ ④] | 원 | 23,330원 | - | ||
⑤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 | 22.85% ~ 9.99% | - | |
희망 공모가액 밴드 | 원 | 18,000원 ~ 21,000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기준시가총액 | 백만원 | 187,831백만원 ~ 219,137백만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 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는 ㈜엔알비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8,000원 ~ 21,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엔알비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할 예정이며, 향후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 및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주18) 정정 후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공모가 산정 요약표】 |
평가방법 | 상대가치법 | ||||
평가모형 | EV/EBITDA | ||||
적용 재무수치 | 실적치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 | ||||
적용산식 |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①) x 유사기업 EV/EBITDA(②) - 순차입금(③)] ÷ 적용 주식수(④) x {1 - 할인율(⑤)}] | ||||
적용근거 | 구분 | 단위 | 수치 | 참고사항 | |
① |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 | 백만원 | 21,738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2) 적용 EV/EBITDA 배수 산출 | |
② | 유사기업 EV/EBITDA | 배 | 16.08X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2) 적용 EV/EBITDA 배수 산출 | |
③ | 순차입금 | 백만원 | 64,730백만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2) 적용 EV/EBITDA 배수 산출 | |
평가시가총액 [(① × ② - ③)] | 백만원 | 284,823백만원 | - | ||
④ | 적용 주식수 (희석 반영) | 주 | 12,208,283주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주당 평가가액 [(① × ② - ③) ÷ ④] | 원 | 23,330원 | - | ||
⑤ | 주당 평가가액에 대한 할인율 | % | 22.85% ~ 9.99% | - | |
희망 공모가액 밴드 | 원 | 18,000원 ~ 21,000원 | 1. 공모가격에 대한 의견 - 다. 희망공모가액의 산출 -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 ||
기준시가총액 | 백만원 | 187,831백만원 ~ 219,137백만원 | 수요예측 이후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최종 공모가액을 확정할 예정입니다. |
동사의 공모가격 산정을 위한 재무수치는 과거 재무수치 및 영업실적에 기반하여 작성되었습니다. 회사의 과거 재무수치에 관하여는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 재무에 관한 사항'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가. 평가결과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는 ㈜엔알비의 영업 현황, 산업 전망 및 주식시장 상황등을 고려하여 희망공모가액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습니다.
구 분 | 내 용 |
주당 희망공모가액 | 18,000원 ~ 21,000원 |
확정공모가액 | 21,000원 |
확정공모가액 결정방법 |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결정하였습니다. |
상기 표에서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의 범위는 ㈜엔알비의 절대적 가치가 아니며, 향후 국내ㆍ외 경기, 주식시장 상황, 산업 성장성 및 영업환경 변화 등 다양한 제반 요인의 영향으로 예측, 평가 정보는 변동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금번 ㈜엔알비의 코스닥시장 상장공모를 위한 확정공모가액은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가 상기와 같이 제시된 희망공모가액을 바탕으로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실시하였으며, 동 수요예측 결과 및 주식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여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확정공모가액을 1주당 21,000원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주19) 정정 전 다. 희망공모가액 산출
<중략>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EV/EBITDA 거래배수를 적용한 주당 평가가액 산출】 |
구 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 고 |
적용 EBITDA | (A) | 21,738백만원 | 주1) |
유사회사 평균 EV/EBITDA | (B) | 16.08X | - |
순차입금 | (C) | 64,730백만원 | 주2) |
적정시가총액 | (D) = (A) x (B) - (C) | 284,823백만원 | - |
적용 주식수 | (E) | 12,208,283주 | 주3) |
주당 평가가액 | (F) = (D) / (E) | 23,330원 | - |
주1) |
적용 EBITDA는 동사의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 산출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2) |
동사의 2025년 1분기말 기준 순차입금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3) |
동사의 적용주식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EV/EBITDA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엔알비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엔알비의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분 | 내용 | 비고 |
주당 평가가액 | 23,330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22.85% ~ 9.99%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8,000원 ~ 21,000원 | - |
확정 주당 공모가액 | - | 주2) |
주1) |
주당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최근 2개년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일반상장법인들의 주당 희망 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는 ㈜엔알비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추정실적의 할인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2.85% ~ 9.99%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18,000원 ~ 21,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가격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 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유상증자시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제1항에 따르면 일반공모증자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할인율을 100분의 30이내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제1항 주권상장법인이 일반공모증자방식 및 제3자배정증자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그 발행가액은 청약일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를 기준주가로 하여 주권상장법인이 정하는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다만, 일반공모증자방식의 경우에는 그 할인율을 100분의 30 이내로 정하여야 하며, 제3자배정증자방식의 경우에는 그 할인율을 100분의 10 이내로 정하여야 한다. |
반면, 비상장회사의 경우 할인율에 대한 관련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금번 ㈜엔알비의 희망공모가액 범위 산출 시에는 최근 진행되었던 일반 기업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IPO 사례들의 공모 할인율이 평균 32.95% ~ 23.89%이었음을 참고하여 22.85% ~ 9.99% 의 공모할인율 을 적용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는 상기에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합의한 후 공모가액을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주19) 정정 후
다. 희망공모가액 산출
<중략>
(3) 주당 평가가액 산출
【EV/EBITDA 거래배수를 적용한 주당 평가가액 산출】 |
구 분 | 산식 | 산출내역 | 비 고 |
적용 EBITDA | (A) | 21,738백만원 | 주1) |
유사회사 평균 EV/EBITDA | (B) | 16.08X | - |
순차입금 | (C) | 64,730백만원 | 주2) |
적정시가총액 | (D) = (A) x (B) - (C) | 284,823백만원 | - |
적용 주식수 | (E) | 12,200,347주 | 주3) |
주당 평가가액 | (F) = (D) / (E) | 23,346원 | - |
주1) |
적용 EBITDA는 동사의 2025년 1분기 LTM 기준 EBITDA 산출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2) |
동사의 2025년 1분기말 기준 순차입금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
주3) |
동사의 적용주식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4) 희망공모가액 산정
상기 EV/EBITDA 상대가치 산출 결과를 적용한 ㈜엔알비의 희망공모가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엔알비의 희망공모가액 산출내역】 |
구분 | 내용 | 비고 |
주당 평가가액 | 23,330원 | - |
평가액 대비 할인율 | 22.85% ~ 9.99% | 주1) |
희망공모가액 밴드 | 18,000원 ~ 21,000원 | - |
확정 주당 공모가액 | 21,000원 | 주2) |
주1) |
주당 희망 공모가액의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최근 2개년간 코스닥시장에 신규상장한 일반상장법인들의 주당 희망 공모가액 산출을 위하여 적용한 할인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정하였습니다.
|
|||||||||||||||||||||||||||||||||||||||||||||||||||||||||||||||||||||||||||||||||||||||||||||||||||||||||||||||||||||||||||||||||||||||||||||||||||||||||||||||||||||||||||||||||||||||||||||||||||||||||||||||||||||||||||||||||||||||||||||||||||||||||||||||||||||||||||||||||||||||||||||||||||||||||||||||||||||||||||||||||||||||||||||||||||||||||||||||||||||||||||
주2) | 확정공모가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는 ㈜엔알비의 공모희망가액 범위를 산출함에 있어 주당 평가가액을 기초로 동사의 재무 성장성 및 수익성, 추정실적의 할인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2.85% ~ 9.99%의 할인율을 적용하여 희망공모가액을 18,000원 ~ 21,000원으로 제시하였습니다. 해당 가격이 코스닥시장에서 거래될 주가 수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상장기업의 경우 유상증자시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제1항에 따르면 일반공모증자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는 그 할인율을 100분의 30이내에서 정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8조 제1항 주권상장법인이 일반공모증자방식 및 제3자배정증자방식으로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 그 발행가액은 청약일전 과거 제3거래일부터 제5거래일까지의 가중산술평균주가를 기준주가로 하여 주권상장법인이 정하는 할인율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다만, 일반공모증자방식의 경우에는 그 할인율을 100분의 30 이내로 정하여야 하며, 제3자배정증자방식의 경우에는 그 할인율을 100분의 10 이내로 정하여야 한다. |
반면, 비상장회사의 경우 할인율에 대한 관련 규정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금번 ㈜엔알비의 희망공모가액 범위 산출 시에는 최근 진행되었던 일반 기업으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IPO 사례들의 공모 할인율이 평균 32.95% ~ 23.89%이었음을 참고하여 22.85% ~ 9.99% 의 공모할인율 을 적용하였습니다.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2023년 이후 코스닥시장에 상장을 완료한 일반상장기업들의 제시 할인율을 참고하였으나, 다양한 대내외적인 변수에 따라 기업간 할인율이 상이하게 책정되므로 금번 공모시 제시된 할인율은 동 기업들의 평균 할인율과는 차이가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는 상기에 제시한 희망공모가액을 근거로 수요예측을실시하고 수요예측 참여현황 및 시장상황 등을 감안하여 발행회사와 합의한 후 공모가액을 주당 21,000원으로 최종 확정하였습니다.
(주20) 정정 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1) | 37,80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2) | 999,990,000 |
구주매출 대금(3) | - |
발행제비용(4) | 1,117,773,082 |
순조달금액[(1)+(2)-(3)-(4)] | 37,682,216,918 |
주1) | 상기 금액은 제시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21,000원 중 하단인 18,000원 기준이며, 추후 확정 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에 근거하여 공모희망가액 18,000원~21,000원 중 18,0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969,999,750 | 공모금액(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2.5% |
상장심사수수료 | 5,000,000 | 심사수수료: 500만원(자기자본 1,000억원 이하) |
상장수수료 | 12,600,000 | 상장수수료: 820만원 + 1,000억원 초과 금액의 10억당 5만원 |
등록세 | 4,311,110 | 증자자본금의 0.4% |
교육세 | 862,222 | 등록세의 20% |
Comfort letter 비용 | 20,000,000 | 증권신고서 관련 회계법인 비용 |
IR 비용 | 100,000,000 | IR, 청약공고 등 기타 비용 |
등기 비용 | 5,000,000 | 법무사 비용 |
합 계 | 1,117,773,082 | -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제시한 공모희망가액 범위인 18,000원 ~ 21,000원 중 최저가액인 18,000원 기준입니다. 이 외에 대표주관회사를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가적인 성과수수료가 2.0% 내에서 지급될 수 있습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에 증가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모집 및 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변동되므로 인수수수료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0) 정정 후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 조달 금액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모집 및 매출 총액(1) | 44,100,000,000 |
상장주선인 의무인수 금액(2) | 999,999,000 |
구주매출 대금(3) | - |
발행제비용(4) | 1,402,614,261 |
순조달금액[(1)+(2)-(3)-(4)] | 43,697,384,739 |
주1) | 상기 금액은 제시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와 발행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입니다. |
주2)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총액은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제13조제5항에 근거하여 확정공모가액 21,000원을 기준으로 모집 총액의 3%와 10억원 중 낮은 금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인수수수료 | 1,253,499,975 | 공모금액(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 포함)의 2.5% |
상장심사수수료 | 5,000,000 | 심사수수료: 500만원(자기자본 1,000억원 이하) |
상장수수료 | 13,960,000 | 상장수수료: 1,320만원 + 2,000억원 초과 금액의 10억당 4만원 |
등록세 | 4,295,238 | 증자자본금의 0.4% |
교육세 | 859,048 | 등록세의 20% |
Comfort letter 비용 | 20,000,000 | 증권신고서 관련 회계법인 비용 |
IR 비용 | 100,000,000 | IR, 청약공고 등 기타 비용 |
등기 비용 | 5,000,000 | 법무사 비용 |
합 계 | 1,402,614,261 | - |
주1) | 인수수수료는 총 공모금액 및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분을 포함한 금액의 2.5%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한 확정공모가액 인 21,000원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입니다. 이 외에 대표주관회사를 대상으로 상장 관련 업무 성실도, 기여도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추가적인 성과수수료 로 금 126,000,000원을 지급합니다. |
주2) | 등록세 및 교육세의 경우, 모집 주식수와 상장주선인 의무인수분에 증가한 주식수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3) | 상기 금액은 확정공모가액 및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4) | 모집 및 매출하는 물량 중 청약미달이 발생할 경우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 금액이변동되므로 인수수수료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주21) 정정 전
2. 자금 사용의 목적 가. 자금의 사용 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하기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 | 2025년 05월 28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11,373 | - | - | 26,309 | - | - | 37,682 |
주1) | 상기금액은 공모가 하단금액(예정)인 18,0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는 희망공모가액인 18,000원~21,000원중 최저 희망 공모가액인 18,000원으로 계산한 공모자금은 약 37,800,000,000원(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 포함)이며, 이 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공모자금은 37,682,216,918원입니다.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의 자금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 1 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단기금융상품 계좌 등에 일시 예치하여 운용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금액 | 시기 | 비고 |
---|---|---|---|---|
시설자금 | 생산설비, 공장자동화, PC모듈러제작 등 | 11,373 | 2025~2026년 |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 상환 | 26,309 | 2025년 | - |
합 계 | 37,682 | - |
주1) | 상기 자금사용계획은 공모자금 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순수 유입액인 37,682백만원 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공모자금 총 41,776백만원 중 시설자금으로 20,940백만원(50.1%),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20,836백만원(49.9%)을 사용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재무지표는 2024년 기준 부채비율 241.8%, 2025년 1분기 257.0%로 업종 평균(122.0%) 대비 높은 수준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2024년 45.6%, 2025년 1분기 51.0%로 업종평균(36.6%)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금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공모자금 중 70%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에 26,309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시설자금의 경우, 공모자금 유입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됨에 따라, PC모듈러 제작 관련 자금 6,298백만원을 자체 자금으로 선집행하였으며, 신규 Battery Mould 제작 일정도 일부 2026년으로 조정함에 따라 관련 집행 금액을 축소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설자금으로는 총 11,373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이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계획 대비 9,567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자금의 사용목적과 변경내역] |
(단위: 백만원) |
자금의사용목적 | 상장예비심사신청서제출 시 금액 | 증권신고서 상 금액 | 증감(차이금액) |
---|---|---|---|
시설자금 | 20,940 | 11,373 | (9,567) |
운영자금 | - | - | - |
차입금 상환 | 20,836 | 26,309 | 5,473 |
합계 | 41,776 | 37,682 | (4,094) |
(1) 시설자금 당사는 자동화 설비를 위한 공장 증설, 시설장비 및 공동주택을 위한 PC모듈러 목업제작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공장증설 및 시설장비 투자 총액은 153.8억원이며 이 중 105억원은 공모자금을 통해 조달하고, 잔여 48억원은 자체 자금을 활용하여 집행할 예정입니다.
【시설자금 세부 사용계획 】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집행시기 | 전체 금액 | 구체적인집행시기 | ||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건설투자비용-공장동(PC) | 공장 증설(1개층) | 1,500 | 1,844 | - | 3,344 | 2025년 9~10월 |
Battery Mould | PR30554 - 1EA | - | 2,566 | - | 2,566 | 2025년 10~12월 |
갠트리크레인 | 30 TON "D' S/P 30M | - | - | 3,760 | 3,760 | 2026년 1~2월 |
틸팅테이블 | Tilting Table - 30 TON | - | 150 | - | 150 | 2025년 10~11월 |
휠로더 | DL250-7 | - | - | 177 | 177 | 2026년 1~2월 |
지게차 | D70EV-9 | - | 270 | - | 270 | 2025년 10~11월 |
계근대 | 차량계량대 지중식 6-POINT | - | 120 | - | 120 | 2025년 11~12월 |
사일로(200톤) | 4000 x 200Ton | - | 160 | - | 160 | 2025년 10~11월 |
PC모듈러 목업제작비용 | 공동주택 목업 제작비용 | 826 | - | - | 826 | 2025년 7~9월 |
합계 | 2,326 | 5,110 | 3,937 | 11,373 |
당사는 당초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시 Battery Mould 설비를 2세트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설비의 특성과 생산일정, 자금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세트 도입으로 변경하였습니다. Battery Mould는 당사의 PC모듈러 제품 생산을 위한 맞춤형 장비로, 핀란드 A사에 당사 전용 설계가 반영된 주문제작 방식으로 도입되는 설비입니다.
해당 설비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가변형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하며, 2025년 하반기 중 1세트를 우선 도입하여 시험 생산 및 본생산 과정을 통해 장비의 성능과 공정 적합성에 대한 검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후 공동주택 등 신규 수주 물량 확대에 따라 필요 시 추가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설비 투자에 대한 자금 집행 계획을 일부 조정하였습니다.
상기의 투자를 통해, 연간 4,600모듈에서 5,600모듈 CAPA(생산능력)를 확대하기 위한 공장 증설, 자동화 설비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량생산체계에 기반한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특히, 자동화 설비의 핵심은 Battery Mould 설비의 도입입니다. 현재 고정몰드 기준으로 일일 콘크리트 생산량은 약 43㎥에 불과하나, Battery Mould 설비 구축이 완료되면 일일 생산량이 약 200㎥ 증가, 이는 기존 대비 약 365.1%의 생산성 향상에 해당합니다.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반면, 이에 따른 노무비 투입은 기존 대비 55.6% 수준으로만 증가함에 따라, ㎥당 생산단가는 약 27.7% 절감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1모듈당 콘크리트 투입량을 약 12㎥(주1)로 가정할 경우, 연간 최대 CAPA인 5,600모듈 생산 기준으로 약 110억원 규모의 원가절감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1) | 1모듈 당 콘크리트 투입량 12㎥는 주모듈 및 부속모듈을 합산한 총 투입량 기준입니다. |
또한, 2024년에 신제품 개발을 완료한 이후, 2025년부터 대량생산체계 구축을 통해 서울, 경기 등 임시학교시장, 신축개축 학교시장 및 공동주택 판매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PC모듈러로 신규 제품을 추가 제작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동화 설비 투자를 기반으로 2024년 완료한 신규 제품 개발 결과물을 202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체계에 연계할 계획입니다. 특히, Battery Mould 설비를 통해 확보한 대량생산역량과 품질 균일성을 기반으로,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임시학교 시장, 전국 신축 및 개축 학교 프로젝트, 공동주택 시장 등 다양한 수요처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가 운영 중인 차입금 중 일부를 상환하여 이자부담을 감소시킬 계획에 있습니다. 상환예정액은 263억원이며, 차입금 감소로 인한 이자금액 감소효과는 연간 15억원 수준입니다. 차입금 규모를 감소시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으로 지출되는 현금유출을 줄여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채무상환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역 | 금액 | 시기 | 비고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상환 | 26,309 | 2025년 | 기업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수협은행 |
합계 | 26,309 |
당사의 2025년 6월 19일 현재 차입금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6월 19일 기준 차입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금융기관 | 금리 | 금액 | 만기일 |
---|---|---|---|
기업은행 | 4.77% | 100 | 2025-06-20 |
기업은행 | 4.96% | 400 | 2025-09-12 |
기업은행 주1) | - | 212 | 2025-09-12 |
기업은행 | 4.76% | 2,000 | 2025-11-07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3.10% | 36 | 2025-12-06 |
기업은행 | 1.32% | 100 | 2025-12-25 |
기업은행 | 1.32% | 300 | 2025-12-25 |
기업은행 | 4.53% | 500 | 2026-01-02 |
기업은행 | 4.73% | 200 | 2026-02-20 |
기업은행 | 4.61% | 800 | 2026-02-20 |
기업은행 | 4.45% | 1,000 | 2026-02-20 |
광주은행 주2) | - | 1,891 | 2026-02-28 |
기업은행 | 4.91% | 600 | 2026-03-13 |
기업은행 | 4.66% | 400 | 2026-04-24 |
수협은행 | 5.20% | 306 | 2026-05-17 |
기업은행 | 3.56% | 5,000 | 2026-05-18 |
기업은행 | 3.95% | 4,700 | 2026-05-18 |
기업은행 | 2.54% | 100 | 2026-06-05 |
뉴스타엔알비제일차(주) | 6.16% | 18,134 | 2026-06-29 |
광주은행 | 6.33% | 4,375 | 2026-08-30 |
전북은행 | 4.38% | 2,526 | 2026-12-27 |
전북은행 | 5.74% | 3,958 | 2026-12-30 |
신협은행 | 6.30% | 1,683 | 2027-01-24 |
기업은행 | 5.22% | 4,375 | 2027-11-10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2.78% | 500 | 2028-11-01 |
전환사채 | 7.00% | 5,000 | 2029-01-17 |
전환사채 | 7.00% | 5,000 | 2029-01-17 |
전환사채 | 7.00% | 5,000 | 2029-01-17 |
기업은행 | 2.32% | 1,000 | 2031-03-25 |
기업은행 | 2.45% | 4,000 | 2032-05-16 |
기업은행 | 2.45% | 470 | 2034-03-27 |
합계 | 74,666 |
주1) | 협동조합B2B구매카드대출에 관한 사항이며, 약정액은 600백만원이며 대출잔액은 212백만원입니다. |
주2) | Battery Mould 설비를 수입하기 위하여 신용장을 2025-06-05에 개설하였습니다. 개설금액은 EUR 1,201,200이며, 유효기일은 2026-02-28입니다. 대출잔액은 2025-06-17 매매기준율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
주3) | 일부 차입금은 원금균등상환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만기일까지 분할 상환이 이루어지며, 잔액은 상환 일정에 따라 감소합니다.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74,666백만원의 차입금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통해 금리 및 상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환할 계획입니다.
【채무상환자금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사업연도 | 구분 | 차입처 | 종류 | 상환연도 |
---|---|---|---|---|
2025년 | ||||
2025년도 | 국내 | 뉴스타엔알비제일차(주) 주1) | 매출채권 유동화 대출 | 11,403 |
전북은행 | 동산담보 대출 | 3,750 | ||
광주은행 | 동산담보 대출 | 4,083 | ||
전북은행 | 동산담보 대출 | 2,392 | ||
수협은행 | 동산담보 대출 | 306 | ||
기업은행 | 중소기업시설자금대출 | 4,375 | ||
합 계 | 26,309 |
주1) | 당사는 사업을 위해 KB뉴스타엔알비제일차(SPC)와 2022년 3월 금전채권신탁계약을 체결하여 매출채권 유동화 대출(이하 “PF대출”)이 존재하며, 담보 설정과 관련하여 주식근질권 조항[계약 제5-6조] 상 강건우 최대주주 보유 주식 전량이 질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2024년 12월 KRX 사전협의를 진행하여, 심사신청 이전에 “심사신청일로부터 5 영업일 이내 질권 설정을 해지하겠다”는 확약서를 제출하고 심사신청일로부터 5 영업일 이전에 질권 설정을 해지하였습니다. |
다. 연도별 미사용 자금 운영계획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에 대하여 상기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상에 기재된 용도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동 자금의 운용에 대한 사항은 내부 규정 및 통제 절차에 따라 집행 및 운용할 예정입니다.
(주21) 정정 후
2. 자금 사용의 목적 가. 자금의 사용 계획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공모자금 사용계획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만, 하기 계획은 현 시점에서 예상되는 계획이며, 향후 집행 시점의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변경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대적인 계획이 아님을 투자자께서는 인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기준일 : | 2025년 07월 16일 | ) | (단위 : 백만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자금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기타 | 계 |
---|---|---|---|---|---|---|
13,865 | - | - | 29,832 | - | - | 43,697 |
주1) | 상기금액은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나. 자금의 세부 사용 계획 당사 의 확정공모가액인 21,000원을 기준으로 계산한 공모자금은 약 45,099,999,000원 (상장주선인의 의무인수금액 포함)이며, 이 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공모자금은 43,697,384,739원 입니다. 당사는 공모자금 유입 후 실제 투자집행 시기까지의 자금보유 기간에는 국내 제 1 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자금의 사용시기가 도래하여 단기간 내에 자금의 사용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당사의 단기금융상품 계좌 등에 일시 예치하여 운용할 예정입니다. 당사의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모자금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금액 | 시기 | 비고 |
---|---|---|---|---|
시설자금 | 생산설비, 공장자동화, PC모듈러제작 등 | 13,865 | 2025~2026년 |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 상환 | 29,832 | 2025년 | - |
합 계 | 43,697 | - |
주1) | 상기 자금사용계획은 공모자금 중 발행제비용을 제외한 순수 유입액인 43,697 백만원 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주2) | 상기 금액은 실제 비용의 발생 여부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공모자금 총 41,776백만원 중 시설자금으로 20,940백만원(50.1%), 차입금 상환 목적으로 20,836백만원(49.9%)을 사용하기로 계획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재무지표는 2024년 기준 부채비율 241.8%, 2025년 1분기 257.0%로 업종 평균(122.0%) 대비 높은 수준이며, 차입금의존도 역시 2024년 45.6%, 2025년 1분기 51.0%로 업종평균(36.6%) 높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고금리 차입금 상환을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 부담을 완화하고자, 공모자금 중 70% 이상을 차입금 상환에 사용하도록 계획을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차입금 상환에 29,832 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시설자금의 경우, 공모자금 유입 시기가 당초 계획보다 지연됨에 따라, PC모듈러 제작 관련 자금 6,298백만원을 자체 자금으로 선집행하였으며, 신규 Battery Mould 제작 일정도 일부 2026년으로 조정함에 따라 관련 집행 금액을 축소하였습니다. 그 결과, 시설자금으로는 총 13,865 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이며, 이는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당시 계획 대비 7,075 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상 자금의 사용목적과 변경내역] |
(단위: 백만원) |
자금의사용목적 | 상장예비심사신청서제출 시 금액 | 증권신고서 상 금액 | 증감(차이금액) |
---|---|---|---|
시설자금 | 20,940 | 13,865 | (7,075) |
운영자금 | - | - | - |
차입금 상환 | 20,836 | 29,832 | 8,996 |
합계 | 41,776 | 43,697 | 1,921 |
(1) 시설자금 당사는 자동화 설비를 위한 공장 증설, 시설장비 및 공동주택을 위한 PC모듈러 목업제작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공장증설 및 시설장비 투자 총액은 153.8억원이며 이 중 130 억원은 공모자금을 통해 조달하고, 잔여 48억원은 자체 자금을 활용하여 집행할 예정입니다.
【시설자금 세부 사용계획 】 |
(단위 : 백만원) |
구분 | 내역 | 집행시기 | 전체 금액 | 구체적인집행시기 | ||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건설투자비용-공장동(PC) | 공장 증설(1개층) | 1,500 | 1,844 | - | 3,344 | 2025년 9~10월 |
Battery Mould | PR30554 - 1EA | - | 2,566 | - | 2,566 | 2025년 10~12월 |
갠트리크레인 | 30 TON "D' S/P 30M | - | - | 3,760 | 3,760 | 2026년 1~2월 |
틸팅테이블 | Tilting Table - 30 TON | - | 150 | - | 150 | 2025년 10~11월 |
휠로더 | DL250-7 | - | - | 177 | 177 | 2026년 1~2월 |
지게차 | D70EV-9 | - | 270 | - | 270 | 2025년 10~11월 |
계근대 | 차량계량대 지중식 6-POINT | - | 120 | - | 120 | 2025년 11~12월 |
사일로(200톤) | 4000 x 200Ton | - | 160 | - | 160 | 2025년 10~11월 |
PC모듈러 목업제작비용 | 공동주택 목업 제작비용 | 826 | - | - | 826 | 2025년 7~9월 |
플라잉버켓 | FLYING BUCKET SYSTEM | - | 690 | - | 690 | 2025년 10~12월 |
캐스팅머신 | Detachable Concrete Spreader | - | 457 | - | 457 | 2025년 10~12월 |
케이지 웰딩 머신 | Cage making machine | - | 296 | - | 296 | 2025년 10~12월 |
거푸집 | 기둥, 측벽, 슬라브 몰드 | 197 | - | - | 197 | 2025년 8월~9월 |
배치플랜트 | DKBP-120ST | 690 | - | - | 690 | 2025년 8월~9월 |
지게차 | D120S-9 | - | - | 162 | 162 | 2026년 1~3월 |
합계 | 3,213 | 6,553 | 4,099 | 13,865 |
당사는 당초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제출 시 Battery Mould 설비를 2세트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설비의 특성과 생산일정, 자금 효율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1세트 도입으로 변경하였습니다. Battery Mould는 당사의 PC모듈러 제품 생산을 위한 맞춤형 장비로, 핀란드 A사에 당사 전용 설계가 반영된 주문제작 방식으로 도입되는 설비입니다.
해당 설비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가변형 제품 생산을 목적으로 하며, 2025년 하반기 중 1세트를 우선 도입하여 시험 생산 및 본생산 과정을 통해 장비의 성능과 공정 적합성에 대한 검증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후 공동주택 등 신규 수주 물량 확대에 따라 필요 시 추가 도입을 검토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설비 투자에 대한 자금 집행 계획을 일부 조정하였습니다.
상기의 투자를 통해, 연간 4,600모듈에서 5,600모듈 CAPA(생산능력)를 확대하기 위한 공장 증설, 자동화 설비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량생산체계에 기반한 원가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특히, 자동화 설비의 핵심은 Battery Mould 설비의 도입입니다. 현재 고정몰드 기준으로 일일 콘크리트 생산량은 약 43㎥에 불과하나, Battery Mould 설비 구축이 완료되면 일일 생산량이 약 200㎥ 증가, 이는 기존 대비 약 365.1%의 생산성 향상에 해당합니다. 생산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는 반면, 이에 따른 노무비 투입은 기존 대비 55.6% 수준으로만 증가함에 따라, ㎥당 생산단가는 약 27.7% 절감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1모듈당 콘크리트 투입량을 약 12㎥(주1)로 가정할 경우, 연간 최대 CAPA인 5,600모듈 생산 기준으로 약 110억원 규모의 원가절감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1) | 1모듈 당 콘크리트 투입량 12㎥는 주모듈 및 부속모듈을 합산한 총 투입량 기준입니다. |
또한, 2024년에 신제품 개발을 완료한 이후, 2025년부터 대량생산체계 구축을 통해 서울, 경기 등 임시학교시장, 신축개축 학교시장 및 공동주택 판매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PC모듈러로 신규 제품을 추가 제작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당사는 본 자동화 설비 투자를 기반으로 2024년 완료한 신규 제품 개발 결과물을 2025년부터 본격적인 생산체계에 연계할 계획입니다. 특히, Battery Mould 설비를 통해 확보한 대량생산역량과 품질 균일성을 기반으로,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임시학교 시장, 전국 신축 및 개축 학교 프로젝트, 공동주택 시장 등 다양한 수요처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2) 채무상환자금
당사가 운영 중인 차입금 중 일부를 상환하여 이자부담을 감소시킬 계획에 있습니다. 상환예정액은 298 억원이며, 차입금 감소로 인한 이자금액 감소효과는 연간 17 억원 수준입니다. 차입금 규모를 감소시켜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이자비용으로 지출되는 현금유출을 줄여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합니다.
【채무상환계획】 |
(단위: 백만원) |
구분 | 내역 | 금액 | 시기 | 비고 |
---|---|---|---|---|
채무상환자금 | 차입금상환 | 29,832 | 2025년 | 기업은행, 전북은행, 광주은행, 수협은행, 뉴스타엔알비제일차(주), 신협은행 |
합계 | 29,832 |
당사의 2025년 6월 19일 현재 차입금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5년 6월 19일 기준 차입금 현황】 |
(단위 : 백만원) |
금융기관 | 금리 | 금액 | 만기일 |
---|---|---|---|
기업은행 | 4.77% | 100 | 2025-06-20 |
기업은행 | 4.96% | 400 | 2025-09-12 |
기업은행 주1) | - | 212 | 2025-09-12 |
기업은행 | 4.76% | 2,000 | 2025-11-07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3.10% | 36 | 2025-12-06 |
기업은행 | 1.32% | 100 | 2025-12-25 |
기업은행 | 1.32% | 300 | 2025-12-25 |
기업은행 | 4.53% | 500 | 2026-01-02 |
기업은행 | 4.73% | 200 | 2026-02-20 |
기업은행 | 4.61% | 800 | 2026-02-20 |
기업은행 | 4.45% | 1,000 | 2026-02-20 |
광주은행 주2) | - | 1,891 | 2026-02-28 |
기업은행 | 4.91% | 600 | 2026-03-13 |
기업은행 | 4.66% | 400 | 2026-04-24 |
수협은행 | 5.20% | 306 | 2026-05-17 |
기업은행 | 3.56% | 5,000 | 2026-05-18 |
기업은행 | 3.95% | 4,700 | 2026-05-18 |
기업은행 | 2.54% | 100 | 2026-06-05 |
뉴스타엔알비제일차(주) | 6.16% | 18,134 | 2026-06-29 |
광주은행 | 6.33% | 4,375 | 2026-08-30 |
전북은행 | 4.38% | 2,526 | 2026-12-27 |
전북은행 | 5.74% | 3,958 | 2026-12-30 |
신협은행 | 6.30% | 1,683 | 2027-01-24 |
기업은행 | 5.22% | 4,375 | 2027-11-10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2.78% | 500 | 2028-11-01 |
전환사채 | 7.00% | 5,000 | 2029-01-17 |
전환사채 | 7.00% | 5,000 | 2029-01-17 |
전환사채 | 7.00% | 5,000 | 2029-01-17 |
기업은행 | 2.32% | 1,000 | 2031-03-25 |
기업은행 | 2.45% | 4,000 | 2032-05-16 |
기업은행 | 2.45% | 470 | 2034-03-27 |
합계 | 74,666 |
주1) | 협동조합B2B구매카드대출에 관한 사항이며, 약정액은 600백만원이며 대출잔액은 212백만원입니다. |
주2) | Battery Mould 설비를 수입하기 위하여 신용장을 2025-06-05에 개설하였습니다. 개설금액은 EUR 1,201,200이며, 유효기일은 2026-02-28입니다. 대출잔액은 2025-06-17 매매기준율로 환산한 금액입니다. |
주3) | 일부 차입금은 원금균등상환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만기일까지 분할 상환이 이루어지며, 잔액은 상환 일정에 따라 감소합니다. |
당사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74,666백만원의 차입금이 존재하며 공모자금을 통해 금리 및 상환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상환할 계획입니다.
【채무상환자금 세부 사용계획】 |
(단위 : 백만원) |
사업연도 | 구분 | 차입처 | 종류 | 상환연도 |
---|---|---|---|---|
2025년 | ||||
2025년도 | 국내 | 뉴스타엔알비제일차(주) 주1) | 매출채권 유동화 대출 | 11,403 |
전북은행 | 동산담보 대출 | 3,750 | ||
광주은행 | 동산담보 대출 | 4,083 | ||
전북은행 | 동산담보 대출 | 2,392 | ||
수협은행 | 동산담보 대출 | 306 | ||
기업은행 | 중소기업시설자금대출 | 4,375 | ||
신협은행 | 동산담보 대출 | 1,523 | ||
기업은행 | 중소운전자금대출 | 2,000 | ||
합 계 | 29,832 |
주1) | 당사는 사업을 위해 KB뉴스타엔알비제일차(SPC)와 2022년 3월 금전채권신탁계약을 체결하여 매출채권 유동화 대출(이하 “PF대출”)이 존재하며, 담보 설정과 관련하여 주식근질권 조항[계약 제5-6조] 상 강건우 최대주주 보유 주식 전량이 질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2024년 12월 KRX 사전협의를 진행하여, 심사신청 이전에 “심사신청일로부터 5 영업일 이내 질권 설정을 해지하겠다”는 확약서를 제출하고 심사신청일로부터 5 영업일 이전에 질권 설정을 해지하였습니다. |
다. 연도별 미사용 자금 운영계획 당사는 금번 공모를 통한 유입자금에 대하여 상기 '나. 자금의 세부 사용계획' 상에 기재된 용도로 사용하기 전까지는 국내 제1금융권 및 증권사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기관의 상품에 예치할 계획입니다. 동 자금의 운용에 대한 사항은 내부 규정 및 통제 절차에 따라 집행 및 운용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