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3월 11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플래티어 | |
대 표 이 사 : | 이 상 훈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9길 26 에이치비지니스파크 D동 6층 | |
(전 화) 02-554-4668 | ||
(홈페이지) https://www.plateer.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략기획실장 | (성 명) 김 진 성 |
(전 화) 02-554-4668 | ||
(제20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제20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0조 제2항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시 : 2025년 3월 26일 (수요일) 오전 09:00
2. 장소 : 서울시 송파구 법원로9길 26 에이치비지니스파크 D동 12층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20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명구 선임의 건 (재선임)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5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기간 연장 승인의 건4. 경영참고사항 비치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라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으며,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3월 16일 오전 9시 ~ 2025년 3월 25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다. 전자투표시스템에서 본인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 본인인증 방법 :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카카오 인증, PASS앱 인증 등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권순범(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2.14 | 1. 2023년 결산재무제표 (감사전) 승인의 건 | 찬성 |
2 | 2024.03.13 | 1. 제19기 (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확정의 건2. 주식매수선택권 신규 부여 인원 확정의 건3. 제1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안건 확정의 건 | 찬성찬성찬성 |
3 | 2024.04.08 | 1.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안건 확정의 건2. 임시주주총회 관련 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찬성 |
4 | 2024.05.20 | 1. 대표이사 재선임의 건 | 찬성 |
5 | 2024.08.01 | 1. 제2차 우리사주조합 금전소비대차계약 변경의 건 | 찬성 |
6 | 2024.12.12 | 1. 제1차 우리사주조합 금전소비대차계약 변경의 건 | 찬성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2,000,000 | 24,000 | 24,000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 포함 전체 이사에 대한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이커머스]당사 이커머스 부문의 전방산업은 전자상거래 산업으로, 전자상거래란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사고 파는 행위 뿐 아니라 교육, 진단, 예약 등과 같은 비대면 서비스 거래까지 아우르는 개념입니다. 온라인 쇼핑의 시작은 1994년 아마존(Amazon)의 온라인 책 판매를 시작으로 보고 있으며,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가 결합해 촉발된 모바일 혁명과 IT 기술의 발달은 온라인 쇼핑몰을 단순한 상품 거래 사이트가 아닌 '이커머스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매개체로 자리잡게 하였습니다.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은 90년대 초고속 통신망의 보급과 함께 시작됐으며, 1996년 국내 최초의 온라인 쇼핑몰 인터파크를 비롯해 1999년 G마켓과 같은 오픈마켓이 오픈하며 이커머스의 대중화를 이끌었습니다. 이후 국내 이커머스는 2010년대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에 힘입어 급속도로 성장했으며,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오프라인 활동의 제약으로 온라인 접근에 소극적이었던 중장년층 소비자의 온라인 쇼핑 경험이 증가하며 더욱 빠른 속도로 성장했습니다.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여 2017년에서 2023년까지 연평균 15.8% 성장하였으며, 특히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2017년 52.9조원에서 2023년 167.8조원으로 연평균 21.2% 성장하고 그 비중 또한 동 기간 56.2%에서 73.8%로 17.6%p 상승하는 등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단위: 조 원) |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인터넷 쇼핑 | 41.3 | 44.1 | 49.2 | 48.9 | 51.5 | 53.0 | 59.5 |
모바일 쇼핑 | 52.9 | 69.2 | 87.4 | 109.4 | 138.7 | 156.9 | 167.8 |
모바일 쇼핑 비중 | 56.2% | 61.1% | 64.0% | 69.1% | 72.9% | 74.8% | 73.8% |
[온라인쇼핑몰 판매매체별 거래액 추이] |
(출처: 통계청)
국내 온라인쇼핑 시장은 다수의 판매자가 입점하여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종합몰 및 오픈마켓의 경우 G마켓, 11번가, 옥션 등의 출시 후 다자간 경쟁구도였던 초창기와 달리 현재 소수 업체로 경쟁구도가 재편되어 가고 있으며,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저가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중국 플랫폼의 국내 진출로 인해 향후 경쟁강도는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오픈마켓 시장이 커지면서 중개 역할을 하는 오픈마켓 운영자가 브랜드 파워와 함께 가격주도권을 쥐게 되는 반면, 판매자와 제조사의 경우 유통비용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오픈마켓에 종속되는 부작용이 있어, 독립적인 브랜드 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몰 구축을 추진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신 IT 기술 발달과 함께 가치소비 트렌드가 부상하면서 소비자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D2C 방식의 자사몰은 해마다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단위: 조 원) |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종합몰 | 63.0 | 75.7 | 89.1 | 108.8 | 123.8 | 132.6 | 140.6 |
전문몰 | 31.2 | 37.6 | 47.5 | 49.5 | 66.4 | 77.3 | 86.7 |
[온라인쇼핑몰 취급상품범위별 거래액 추이] |
(출처: 통계청)
[AI 마테크]2022년 11월, OpenAI에서 ChatGPT를 선보인 이후, 전 세계 기술 트렌드는 생성형 AI를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어 왔습니다. 국내외 IT 기업들은 주력 사업을 생성형 AI로 선회하기 시작했고, 연구개발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하며 치열한 경쟁에 돌입하였습니다. 생성형 AI는 데이터의 분석과 분류와 같은 수준의 기존 AI와 달리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그리고 합성 데이터 영역에 이르기까지 기존 AI 기술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보여주며 전 세계 IT 업계의 주목을 받았습니다.글로벌 IT 시장조사 기업 가트너(Gartner)가 2023년 10월 발표한 '2023년 생성형 AI 하이프 사이클'에 따르면 2023년 5% 미만에 불과했던 기업의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도입이 2026년이면 8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아울러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매킨지(McKinsey)는 2023년 7월 '생성형 AI의 경제적 잠재력' 보고서를 통해 마케팅과 SW개발 영역에서의 생성형 AI 도입 및 적용 효과가 주목된다 하였습니다.실제로 생성형 AI는 이미 마케팅 업무에 깊숙히 관여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가 2024년 1월 공개한 보고서에 실린 아태지역(일본 제외) CMO(최고마케팅책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들의 약 38%는 이미 생성형 AI 기술을 마케팅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고 답하였고, 향후 생성형 AI로 인해 검색엔진 최적화, 콘텐츠/웹사이트 최적화, 고객데이터 분석, 시장 세분화, 리드 스코어링(잠재고객 점수화), 초개인화 마케팅 등 마케팅 업무의 상당부분이 자동화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시장조사 업체 이마케터(eMarketer)가 2022년 8월 발표한 바에 따르면 미국 B2B 마테크 시장 투자규모는 2024년 약 85억 1천만 달러로 2020년으로부터 4년간 연평균성장률이 15.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단위: Billion USD) |
구 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E) | 2023년(E) | 2024년(E) |
---|---|---|---|---|---|
투자규모 | 4.75 | 5.75 | 6.59 | 7.41 | 8.51 |
증가율 | 16.6% | 21.2% | 14.6% | 12.4% | 14.9% |
[미국 B2B 마테크 투자규모 추이 및 전망] |
(출처: eMarketer, 2022.08)마테크 전문 기자이자 마테크 컨퍼런스의 설립자인 스캇 브링커(Scott Brinker)가 운영하는 Chiefmartec.com에서 발표한 보고서 'Martech for 2024'에 따르면 전세계 마테크 전문 기업은 2023년 11월 기준 13,080개가 존재, 2023년 5월 발표한 11,038개 대비 2,042개의 새로운 마테크 제품이 출시되어 6개월만에 무려 18.5%가 증가하였으며, 이 중 73%인 1,498개는 AI 기반의 툴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2011년 첫 발표 당시 150여개에서 2,000개를 돌파하는데 4년여 소요된 점에 비추어보면, 생성형 AI가 마테크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가히 폭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단위: 개) |
(출처: chiefmartec.com, 2023.12)마테크 안에서도 세부적으로는 광고, 콘텐츠 마케팅, 소셜미디어, 커머스, 매니지먼트,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솔루션이 있으며, 빅테크부터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기업이 마테크 시장에 진입하는 추이로 볼 때 향후 성장성은 쉽게 꺾이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다수입니다.
[디지털 전환]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마켓앤마켓(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전세계 디지털 전환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6,955억 달러로 집계되며, 2030년 3조 1,449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24.1%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단위: Billion USD) |
(출처: MarketsandMarkets)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기업고객의 비즈니스 개선을 위하여 이커머스, AI 마테크, 디지털 전환 부문에서 플랫폼 솔루션을 제공하는 B2B 소프트웨어 전문기업입니다. 이커머스 부문은 고객사의 비즈니스 특성을 고려한 종합몰/전문몰/리뉴얼 등 기업형 맞춤 제작 서비스를 기본으로 하며, 짧은 기간과 합리적인 비용에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로운 커머스 플랫폼 구축을 돕는 이커머스 솔루션 엑스투비(X2BEE)를 제공합니다. 주요 고객사로 대형 유통사부터 제조사, 통신사, 금융기관까지 국내 주요 대기업을 아우르고 있으며, 자체 개발한 커머스 특화 AI를 탑재하며 고객 규모 및 업종이 다양화되는 추세입니다.AI 마테크 솔루션 그루비(groobee)는 AI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개인화 마케팅을 지원하는 SaaS형 제품으로, 300여개 고객사를 통해 얻은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고객의 성공적인 마케팅을 지원합니다.디지털 전환 부문은 기업의 IT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SW툴체인을 제공하는 데브옵스 플랫폼과 더불어 ITSM 및 ESM 솔루션 제공으로 고객의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을 돕습니다. 소프트웨어 확산 트렌드에 따라 전산업으로 고객군이 확산 중에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내 용 |
---|---|---|---|
이커머스 | IT서비스 | 구축운영컨설팅 | 종합몰/전문몰/리뉴얼 등 기업형 맞춤 제작 |
솔루션 | 라이선스개발용역 | 커스터마이징이 자유로운커머스 특화 AI 기반의 맞춤형 이커머스 솔루션 | |
AI 마테크 | 솔루션 | 구독료기타서비스 | 개인화 마케팅을 지원하는 AI/빅데이터 기반의 SaaS형 마케팅 솔루션 |
디지털전환 | IT서비스 | 구축운영컨설팅 |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디지털 혁신을 위한데브옵스 플랫폼 및 ITSM/ESM 솔루션 |
솔루션 | 라이선스 |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SW툴체인 라이선스 판매 |
(2) 시장점유율
업계 특성상 시장점유율을 산정하기 어려워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이커머스]
현재 국내 온라인 쇼핑몰 구축의 경우 당사가 참여해온 종합몰 및 오픈마켓 등의 대형 프로젝트 사례를 토대로 추정컨대 파이언넷, 유젠 등 제한된 업체들과 경쟁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다만, 국내 오픈마켓 운영자간 경쟁구도 변화에 따라 향후 구축 서비스 제공업체간의 경쟁구도 역시 변화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중소형 사업자를 대상으로 임대형 쇼핑몰 서비스를 제공하는 NHN커머스, 카페24, 커넥트웨이브(舊코리아센터) 등은 지금까지 당사와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지 않았으나, D2C 시장이 성장하고 당사 제품 X2BEE의 타겟고객군이 확대됨에 따라 일부 제품군에서는 당사와 경쟁구도를 형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AI 마테크]마테크 시장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세 가지 특성이 있는데, 첫째로는 '데이터 드리븐(Data Driven)'입니다. 감성적 마케팅 접근이 아니라면, 마케팅은 데이터에 기반해야 하며,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하고 핸들링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둘째는 '실시간성'으로서 시즌이나 붐업 등과 같이 이른바 뜨는 시간이 정해져 있는 기존 매스미디어 마케팅과 달리, 최근의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개인화 마케팅은 예상 구매자가 쇼핑몰 사이트에서 상품을 검색하는 그 순간이 마케팅이 필요한 타이밍이며 특정 상품에 관심을 보인 시점으로부터 피드백이 전달되는 시점의 간격이 짧으면 짧을수록 마케팅 효과가 좋기 때문에 실시간성을 충족하여 얼마나 빠르고 적절하게 피드백을 제공할 것인가가 마케팅의 성공 포인트이고, 이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바로 마테크입니다.마지막 셋째는 'AI(인공지능)'으로서, 기업이 고객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알리는 마케팅의 기본인 STP(Segment, Targeting, Positioning) 과정을 좀 더 똑똑하게 고도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기계적인 자동화 레벨을 넘어서서, 마이크로 세그먼트 혹은 데이터 활용 측면에서 AI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합니다.기업은 위 세 가지 특성에 기반하여 고객맞춤형 서비스가 가능한 마테크 솔루션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으며, 국내 기준 스타트업을 비롯하여 수많은 업체가 마테크 솔루션을 출시하였으나,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숙련된 경험을 토대로 SaaS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업체는 당사가 유일한 것으로 추정합니다.[디지털 전환]디지털 전환 사업의 경우 컨설팅만을 진행하거나 솔루션의 판매만 수행하는 일부 업체가 있으나, 당사와 같이 데브옵스 및 협업 플랫폼의 컨설팅부터 구축 및 구축 이후 운영과 기술지원까지 턴키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업체는 제한적입니다.엑센츄어(Accenture) 등 IT 컨설팅 회사에서 데브옵스 및 애자일 컨설팅을 일부 진행하고 있으며 대기업의 경우 SI 계열사에서 컨설팅과 함께 오픈소스 기반의 툴체인을 만들어 공급하는 경우가 있으나, 플랫폼 구축 영역까지는 커버하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입니다.데브옵스 및 협업 플랫폼 구축에 필요한 툴체인을 구성하는 각 솔루션의 경우, 가장 대표적인 Atlassian社의 솔루션을 예로 들면 국내에 당사 포함 총 다섯 곳의 업체가 Jira, Confluence 등 아틀라시안 솔루션을 판매 중에 있으나, 국내 판매 매출 중 50% 이상을 당사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다양한 목적과 기능의 글로벌 벤더社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툴체인 구축 및 지원이 가능한 경험있는 인력 조직을 갖추고 있는 업체는 당사가 유일합니다.데브옵스/협업 플랫폼의 경우 회사의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Backbone(기간망)의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며, 플랫폼 구축 이후에는 고객 환경의 변화 및 추가 요구도에 따라 일부 부분별 개발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작은 부분의 수정이 축적되어 전체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전체 플랫폼 재구축 수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대략 10년 이상 소요되며 해당 10년 이상의 기간 중에는 플랫폼 운영을 위한 핵심 라이선스 매출이 지속되어 당사로서는 안정적인 매출 기반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당사는 이커머스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당사 제품 '엑스투비'에 이커머스 특화 온프레미스 AI인 POLAR를 탑재한 X2BEE AI를 출시하였습니다. POLAR(Plateer's Optimized sLLM and Application with Reliability)는 20여년간 쌓아온 당사의 도메인 전문성을 바탕으로 약 2년간의 연구개발 끝에 탄생한 이커머스 특화 sLLM으로서, 기업의 민감한 데이터 보안과 유출에 대한 걱정 없이 기업 내부 핵심 데이터 강화학습(RAG)을 통해 고객 쇼핑경험 향상, 운영 효율성 증대 및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합니다. X2BEE AI는 AI 챗봇, AI 서치 및 AI 코드 어시스턴트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의 선택 옵션을 확대하였습니다.
(5) 조직도
제1호 의안 : 제20기(2024.01.01~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2024년 당사 잠정 집계 기준 매출액은 298억원, 영업손실 70억원, 당기순손실 57억원으로, 22년도 고금리발 경기침체가 이어지며 대형 고객사의 IT 투자 축소로 인한 수주 감소로 전년도에 이어 매출 및 수익성이 감소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 기준으로 작성된 감사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1)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
제20(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제19(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단위 : 원) |
과목 | 제20(당)기말 | 제19(전)기말 | ||
---|---|---|---|---|
자 산 | ||||
Ⅰ.유동자산 | 26,814,691,556 | 28,107,226,095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005,711,127 | 3,989,349,653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9,071,928,110 | 7,066,977,604 | ||
단기투자자산 | 13,891,873,188 | 15,103,551,722 | ||
기타유동자산 | 2,772,246,471 | 1,795,581,731 | ||
당기법인세자산 | 72,932,660 | 151,765,385 | ||
Ⅱ.비유동자산 | 24,629,396,287 | 25,505,185,752 | ||
장기투자자산 | 914,110,387 | 2,364,062,577 |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992,526,430 | 1,791,374,340 | ||
기타비유동자산 | 477,205,695 | 483,081,078 | ||
이연법인세자산 | 3,139,370,795 | 2,489,648,305 | ||
유형자산 | 2,310,534,118 | 2,477,989,172 | ||
무형자산 | 15,208,683,361 | 15,001,992,081 | ||
사용권자산 | 586,965,501 | 897,038,199 | ||
자산총계 | 51,444,087,843 | 53,612,411,847 | ||
부 채 | ||||
Ⅰ.유동부채 | 13,739,789,551 | 9,972,016,871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9,015,656,942 | 5,980,663,672 | ||
단기차입금 | 2,000,000,000 | 1,000,000,000 | ||
리스부채 | 503,949,450 | 473,055,248 | ||
기타유동부채 | 2,220,183,159 | 2,518,297,951 | ||
Ⅱ.비유동부채 | 880,587,886 | 1,256,166,489 | ||
장기리스부채 | 106,284,283 | 436,697,076 | ||
충당부채 | 170,396,352 | 164,787,034 | ||
기타비유동부채 | 603,907,251 | 654,682,379 | ||
부채총계 | 14,620,377,437 | 11,228,183,360 | ||
자 본 | ||||
Ⅰ.자본금 | 4,194,103,500 | 4,183,603,500 | ||
Ⅱ.자본잉여금 | 29,156,069,252 | 28,915,614,774 | ||
Ⅲ.이익잉여금 | 6,917,865,792 | 12,618,091,866 | ||
Ⅳ.자본조정 | (3,444,328,138) | (3,333,081,653) | ||
자본총계 | 36,823,710,406 | 42,384,228,487 | ||
부채및자본총계 | 51,444,087,843 | 53,612,411,847 |
(2)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
제20(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19(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20(당)기 | 제19(당)기 | ||
---|---|---|---|---|
I.영업수익 | 29,798,214,574 | 33,291,839,469 | ||
II.영업비용 | 36,772,391,921 | 37,833,020,447 | ||
급여 | 17,018,580,039 | 14,529,472,749 | ||
퇴직급여 | 1,215,414,873 | 1,227,446,517 | ||
복리후생비 | 2,031,121,844 | 2,189,806,475 | ||
경상연구개발비 | - | 314,945,964 | ||
여비교통비 | 209,607,606 | 240,413,155 | ||
접대비 | 207,463,481 | 191,871,630 | ||
통신비 | 97,314,344 | 96,171,543 | ||
수도광열비 | 76,286,109 | 60,701,432 | ||
세금과공과금 | 787,503,780 | 765,856,150 | ||
감가상각비 | 463,950,388 | 430,364,559 | ||
사용권자산상각비 | 483,524,449 | 511,496,668 | ||
지급임차료 | 73,541,304 | 262,986,540 | ||
보험료 | 418,407,695 | 459,934,491 | ||
차량유지비 | 67,056,317 | 74,698,809 | ||
교육훈련비 | 88,664,194 | 118,065,718 | ||
소모품비 | 38,748,958 | 41,636,681 | ||
지급수수료 | 2,263,833,083 | 2,263,734,286 | ||
광고선전비 | 247,959,538 | 177,675,131 | ||
대손상각비(환입) | 23,166,436 | 10,718,011 | ||
무형고정자산상각비 | 2,407,603,157 | 290,990,640 | ||
외주용역비 | 8,396,502,932 | 13,348,788,411 | ||
주식보상비용 | 36,482,993 | 138,949,888 | ||
기타영업비용 | 119,658,401 | 86,294,999 | ||
III.영업이익 | (6,974,177,347) | (4,541,180,978) | ||
IV.지분법관련손익 | - | - | ||
V.금융수익 | 810,895,884 | 878,162,502 | ||
VI.금융비용 | 225,536,112 | 65,227,029 | ||
VII.기타영업외수익 | 601,377,925 | 585,072,361 | ||
VIII.기타영업외비용 | 562,508,914 | 1,903,927,821 | ||
IX.법인세차감전순이익 | (6,349,948,564) | (5,047,100,965) | ||
X.법인세비용 | (649,722,490) | (1,811,546,310) | ||
XI.당기순이익 | (5,700,226,074) | (3,235,554,655) | ||
XII.기타포괄손익 | - | - | ||
XIII.총포괄이익 | (5,700,226,074) | (3,235,554,655) |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순이익 | (704) | (397) | ||
희석주당순이익 | (704) | (397) |
(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제20(당)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19(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20(당)기 | 제19(당)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6,917,865,792 | 12,618,091,866 |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12,618,091,866 | 15,853,646,524 |
당기순이익 | (5,700,226,074) | (3,235,554,655)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6,917,865,792 | 12,618,091,866 |
(4)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재무제표 주석은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재 예정인 당사 감사보고서 및 사업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명구 선임의 건 (재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명구 | 1972.05.20 | 사내이사 | -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명구 | ㈜ 플래티어경영지원실장 | 2006~20142014~현재 | 세계로선박금융㈜ 부장㈜ 플래티어 경영지원실장/CFO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명구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김명구 후보자는 당사 최고재무책임자로서 금융 및 회계 분야 업력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였으며, 조직 및 회사의 미래 성장성에 대한 높은 이해를 기반으로 기업 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580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00백만원 |
제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4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0백만원 |
제5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경영,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였거나 기여할 능력을 갖춘 회사의 주요 인력에 대한 동기부여와 근속을 장려하여 높은 경영성과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신성석 | 미등기임원 | 본부장 | 보통주 | 10,000주 |
총 1명 | - | - | 보통주 | 총 10,000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발행형, 자기주식양도형, 차액보상형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기명식 보통주 10,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 행사가격 : 상법 제340조의2 제4항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 규정 준용- 행사기간 : 부여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로부터 3년내 행사 | - |
기타 조건의 개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 체결을 위한 일체의 권한은 법령 및 정관의 범위 내에서 대표이사가 행사함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주식수 | 부여가능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주식수 | 잔여주식수 |
---|---|---|---|---|
8,388,207 |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10 | 보통주 | 838,820 | 583,320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종류 | 부여주식수 | 행사주식수 | 실효주식수 | 잔여주식수 |
---|---|---|---|---|---|---|---|
2024년 | 2024.03.28 | 2명 | 보통주 | 20,000주 | - | - | 20,000주 |
2023년 | - | - | - | - | - | - | - |
2022년 | 2022.03.15 | 3명 | 보통주 | 18,000주 | - | - | 18,000주 |
계 | - | 총 5명 | 보통주 | 총 38,000주 | 총 0주 | 총 0주 | 총 38,000주 |
※ 기타 참고사항
상기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는 주주총회 특별결의 사항입니다.
제6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기간 연장 승인의 건
가. 의안의 요지
기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기간 연장 관련 아래와 같이 이사회에서 결의한 사항에 대해 승인을 받고자 합니다.
최초 부여일 | 2021년 02월 16일 |
최초 행사기간 | 2023년 02월 16일 ~ 2026년 02월 15일 |
행사가격 | 4,930원 |
부여방법 | 신주교부, 자기주식교부, 차액보상 중행사시점에 이사회 결의에 의함 |
행사기간 연장 결의일 | 2025년 03월 11일 |
행사기간 연장 대상주식수 | 85,000주 |
행사기간 연장 대상자 | 김진성 외 11명 |
행사기간 연장 후 행사기간 | 2023년 02월 16일 ~ 2029년 02월 15일 |
※ 기타 참고사항금번 행사기간 연장 대상 주식매수선택권은 최초 부여한 219,500주 중 행사 완료된 115,500주와 퇴사로 인해 부여 취소 또는 권리 상실된 19,000주를 제외한 잔여 수량입니다.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당사는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https://www.plateer.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또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업데이트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