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6.0 엔젯(주)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3일
회 사 명 : 엔젯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변 도 영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산업로92번길 45
(전 화)070-4892-8100
(홈페이지)http://www.enjet.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본부장 (성 명)김상준
(전 화)070-4892-81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6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회사 정관 제 23조와 상법 제 363조에 의하여 제1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5년 03월 28일(금) 오전 9시

2. 장 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산업로 92번길 45 (고색동) 엔젯(주) 2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의결 사항 - 제1호 의안: 제16기(2024.01.01 ~ 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사외이사 심대용 선임의 건 -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4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주주님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상법」제542조의4의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국민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주주총회참석장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총회 참석장

(법인주주 : 위임장,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 대리인신분증)

8. 기타사항

- 주차장이 협소하므로 당일 가급적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5년 03월 13일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산업로 92번길 45 (고색동)

엔젯 주식회사 대표이사 변도영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신현정(출석률: 60%)
찬 반 여 부
1 2024.02.14 제1호 의안: 제1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2 2024.03.12 제1호 의안: 제1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3 2024.05.31 제1호 의안: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찬성
4 2024.06.18 제1호 의안: 골프장 회원권 취득의 건 찬성
5 2024.10.10 제1호 의안: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10,807,080 10,807,08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성장성)

인쇄전자(Printed Electronics) 기술은 기능성 전자 잉크 소재를 이용한 인쇄 방식을 통해 전자소자를 제작하는 기술로서 높은 정밀도, 범용성 등으로 차세대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이하 “ICT”) 기기 제작에 적합한 공정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기관인 '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인쇄전자 시장은 2032년까지 USD 64.69 Billion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source-www.precedenceresearch.com).jpg (source-www.precedenceresearch.com)

인쇄전자 기술은 다양한 기능성잉크 소재(functional ink materials)를 사용하여 인쇄공정(프린팅공정)을 통해 스마트폰,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D(Liquid Crystal Display), 태양전지, 바이오센서, PCB(Printed Circuit Board), 반도체 등의 전자소자를 제작하는 기술입니다. 현재 인쇄전자 기술은 다양한 특성의 기능성 잉크들이 개발되면서 종이에 패턴을 단순 인쇄하는 수준을 넘어서 나노 단위급 패턴에 전기 광학적 기능을 부여하여 다양한 산업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과의 관계

당사가 영위하는 인쇄전자 산업은 전방산업인 LCD/OLED(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의 산업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동 분야에 경기변동과 궤를 같이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인쇄전자 산업은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업체의 투자계획에 따라 영업실적이 변동될 수밖에 없는 바, 동 전방업종의 경기변동적 특성을 참고할 필요가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패널 양산을 위한 투자에서 제품생산까지 일정한 시차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패널업체가 수요 증가를 예측하고 투자를 시작하면 투자가 완료되는 시점에는 생산물량이 급증하여 초과공급이 발생하게 되고, 이후에는 투자를 축소하면서 일정기간이 지나면 초과수요가 발생하는 양상이 반복되어 왔습니다. 치열한 경쟁과 수요 증가에 대한 기대가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로 하여금 유사한 시기에 생산설비 투자를 하도록 하는 것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디스플레이 산업은 패널의 최종 수요처인 TV,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 소비재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동 업종의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체의 설비투자 여부에 따라 Crystal Cycle이라고 불리우는 30~36개월 주기로 경기변동 사이클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한편 반도체 산업의 경우 제품 수명 주기가 매우 짧고, 새로운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는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장치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울러, 과거에는 실리콘 사이클의 순환에 따라 호황과 불황을 반복해 왔으며, 이는 주요 수요처인 미국의 거시경제 순환 사이클(Business Cycle)과의 연관성이 매우 컸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국 및 인도 등 신흥시장의 비중이 확대되고 경쟁력이 부족한 업체들이 일부구조조정 되어 반도체 산업 경기 변동 폭이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추세에 있습니다.

또한 전통적인 반도체산업의 주요 수요산업인 PC와 스마트폰에서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업용 데이터센터 등으로 이동하였으며, 이에 따라 반도체 수요처도 다변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반도체산업의 경기순환 주기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호황과 불황의 폭도 축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의 잉크젯 프린터 및 코터 장비 매출은 전방산업인 디스플레이 및 반도체 주요 업체의 투자계획에 다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1차적으로 프린터 및 코터 장비 판매가 이뤄진 이후 장비 운용에 필요한 부품 및 소모품 등(프린트헤드, 노즐, 잉크, 서비스 용역) 부가적인 매출이 꾸준히 발생하는 사업 모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바이오, 2차전지, 태양광 등 당사 기술의 적용처가 늘어남에 따라 매출처의 다변화도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전방산업 경기변동 영향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최근에는 신제품 발표 시점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으며, 당사의 제품 라인도 확대되고있어 계절적 요인 또한,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1차적으로 프린터 및 코터 장비 판매가 이뤄진 이후 장비 운용에 필요한 부품 및 소모품 등(프린트헤드,노즐, 잉크, 서비스 용역) 부가적인 매출이 꾸준히 발생하는 사업 모델을 보유하고 있는 바 전방산업 CAPEX 계획에 따른 1회성 장비 매출 이후의 계절성 요인은 적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4) 경쟁현황

기존의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비접촉식 방식으로 기판의 형태에 구애를 받지 않고 패터닝이 가능하고, 다층의 패턴을 형성하여 3D-Multilayer 패터닝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최대 30cPs 이하의 저점도 잉크만을 토출할 수 있는 한계가 있어 잉크를 제조할 때 기능성 첨가 물질의 농도를 높일 수 없어 잉크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에 한계가 존재하며, 내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잉크를 토출하는 전통적인 잉크젯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노즐보다 작은 크기의 액적을 형성할 수 없어 고해상도의 패터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미세 패터닝을 위해 노즐의 사이즈를 줄이거나 고점도 잉크를 사용하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여 잉크가 토출되지 않거나 끊기는 현상이 발생하고 액적에 오탄착이 발생하게 되어 품질이 저하됩니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기존의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대체하지 못하였습니다.

EHD기술은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응용 기술이나 해당 기술을 연구ㆍ개발하는데 높은 비용과 장기간의 시간 투입이 필요함에 따라 해당 기술을 연구ㆍ개발하는 경쟁업체들의 진입이 쉽지 않습니다. 당사는 과거부터 수년간, 수백억원의 비용을 투자하여 EHDㆍiEHD 기술을 연구ㆍ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재 출원 후 심사중인 건 제외 약 90건 이상의 관련 특허를 보유(등록완료)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특허 보유로 후속 업체들의 시장 진입을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5) 자금조달상 특성현재 당사는 무차입 경영 중으로 주요 자금 조달원은 없습니다.(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현재 당사의 사업에 대한 특별한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는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09년 9월 설립,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글라스, 카메라 모듈, 바이오, 재료업계 등 다양한 사업분야에 EHD 나노젯 프린터/코터를 생산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이후 지속적 기술개발 및 자체 생산, 영업 네트워크를 확보하여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 개척에 노력을 하고 있으며, 당사의 EHD 기술을 활용 고객사의 품질 만족과 협력을 이어가며 시장 상황에 흔들리지 않는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디스플레이, 반도체, PCB, 스마트폰, 바이오 등 첨단산업 제조분야의 핵심 공정에 적용가능한 하기와 같은 소재, 부품, 장비 Total Solution을 보유,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 및 필요 Solution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1)전자소자의 수 ㎛부터 수백 ㎛ 스케일까지의 초미세 전극 배선과 같은 기능성 패턴을 인쇄기술로 만드는 프린트헤드 및 장비

2)나노스케일 급의 초박막 코팅을 구현할 수 있는 스프레이 노즐 및 장비,

3)인쇄전자기술의 핵심 요소인 기능성 잉크

(2) 시장점유율

EHD기술은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는 대체 기술, 응용 기술이나 해당 기술을 연구ㆍ개발하는데 높은 비용과 장기간의 시간 투입이 필요함에 따라 해당 기술을 연구ㆍ개발하는 경쟁업체들의 진입이 쉽지 않은 기술로 정확한 시장점유율을 파악하기는 어렵습니다. 시장조사업체 Yole Developpement이 2019년 발표한 새로운인쇄기술에 리포트에 따르면, EHD 기술은 당시 연구ㆍ개발단계에 있으며, EHD기술을 연구ㆍ개발하는 주요 업체는 당사가 독보적이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Advanced Sensor Research가 2023년 보고한 "Printed Electronics Technologies for Additive Manufacturing of Hybrid Electronic Sensor Systems"에 따르면, EHD상용화 기술 보유 업체는 엔젯 포함 2개 업체, 준상용화 기술 보유 업체는 스타트업 1개 총 3개 업체로 분석하고 있어, EHD 상용화 기술 보유 업체는 매우 한정적으로 보입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년간 기술과 제품을 개발해왔으며, 글로벌 최초로 잉크젯 프린팅 기술 대비 수백 ㎛급 정밀 토출이 가능한 EHD/iEHD 기술을 상용화한 제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EHD 프린트 헤드의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EHD 프린팅 및 코팅 솔루션을 공급하는 회사로 핵심 부품인 EHD 프린팅/코팅 모듈과 노즐, 잉크,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등 프린팅과 코팅에 사용되는 차별화된 부품과 시스템을 제조 판매합니다. 당사의 부문은 EHD 프린팅 솔루션과 EHD 코팅 솔루션으로 나누어집니다. EHD 프린팅 솔루션 부문은 수 Micrometer(마이크로미터, 이하 “㎛”)부터 수백 ㎛ 스케일까지의 초미세 전극 배선과 같은 기능성 패턴을 구현하는 인쇄기술과 잉크를 제공하며 디스플레이, 반도체, PCB등 첨단 산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3D 프린터 및 3D Additive Manufacturing(3D 적층공정)까지 그 응용범위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EHD 코팅 솔루션 부분은 나노스케일 급의 초박막 코팅을 구현할 수 있는 코팅 기술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코팅 공정이 필요한 모든 산업군에 적용할 수 있어 기술적 확장성이 큰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가) EHD 프린터 사업부문

현재까지 인쇄전자 시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인쇄방식은 잉크젯 프린팅이며, 이 기술은 잉크 저장소(Reservoir)에 담긴 액체를 압전력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액적을 토출하는 방식입니다. 이때 노즐 팁으로부터 액체가 물리적인 힘에 의해 토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즐의 구경보다 더 작은 크기의 액적을 토출 할 수 없고, 작은 크기의 노즐 구경을 사용하면 기능성 입자에 의해 노즐 막힘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로 잉크젯 프린팅 기술의 최소 선폭은 20μm 수준이며, 압전 소자의 물리적인 힘의 한계로 인하여 저점도(10~30cPs(cp=centi poise, 점성도를 나타내는 단위) 인쇄공정으로 제한되고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한 EHD 인쇄기술은 집속된 전기장에 의해 기판으로부터 액적을 끌어당기는 원리로 노즐 구경보다 1/1,000 크기의 액적 토출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특히, 고점도(최대 10,000cPs)의 기능성 잉크의 경우도 강한 전기력에 의해 토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점도 잉크가 필요한 다양한 형상의 3차원 표면 인쇄 및 선 폭 1μm 수준의 초정밀 인쇄가 가능합니다.

(나) EHD 코터 사업부문

반도체,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등의 제조공정에서 박막코팅은 필수요소이며, 특히 박막의 두께 및 균일도는 제품의 성능과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소입니다. 기존에는 박막코팅 공정에 기술적으로 안정적인 진공증착 기술을 적용해 왔으나, 환경오염 및 고가의 설비 투자비용에 따른 원가상승 문제를 안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액 공정을 이용한 초박막 코팅법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진공증착 기술의 안전성과 성능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공압력을 이용한 공압 스프레이 방식은 고유량 사용이 가능하므로 높은 생산량을 확보할 수 있지만, 고압의 공압에 의해 비산 발생이 심하며, 특히 불균일한 액적의 크기로 인하여 인쇄전자 분야에 적용이 어렵습니다. 반면 또 다른 기술인 초음파 스프레이 방식은 균일한 액적 분사가 가능하지만, 사용가능한 유량의 한계로 인하여 생산성이 확보되지 않아 양산적용에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가 개발한 “EHD 스프레이 기술”은 공압력과 전기력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써 공압력을 이용하여 1차 미립화를 진행하고, 전기장을 이용하여 분사된 액적을 2차 미립화 하여 액적의 초미립화가 가능하고 전기장을 통한 액적의 방향성 제어가 가능한 장점을 지니고 있어 공압스프레이 방식과 초음파스프레이 방식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 수 있습니다. 특히, 액적을 나노미터(Nanometer) 크기 수준으로 미립화하여 분사함으로써 모서리 두께(edge/side wall)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으며, 초박막 코팅 공정 적용이 가능하다는 강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다) 기타 (기능성 재료 부문)

인쇄전자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과 시장이 급격히 성장됨에 따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첨단제조 공정에 응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재료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조합(formulation)을 통한 기능성 재료 물성의 극대화는 이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인쇄공정에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헤드의 토출 안정성, 기재에 따른 소결 온도, 온습도 등 공정 환경 등 복합적인 요소를 충족해야하기 때문에 매우 오랜 기간의 개발과정 및 실제 장비를 통한 실험을 통해서만 높은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만큼 당사는 해당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세계 최초로 EHD인쇄기술을 기반으로 재료 및 공정개발을 위한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2009년부터 다양한 시장의 요구에 따라 EHD인쇄 공정기술 개발 및 이에 맞는 기능성 재료 개발을 시작하였습니다. EHD용 기능성 재료를 개발하기 위해 다년간의 재료 및 공정기술 개발 경험이 풍부한 석박사급 인원으로 구성하여 개발, 제조 및 당사 장비를 통한 신뢰성 검증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그 결과 2019년 EHD용 재료의 합성 및 Formulation 기술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제품을 양산승인(전도성잉크(RS Ink), 절연잉크(EP Ink)) 받아 현재 EHD 프린팅 시스템(장비)과 잉크(소재)를 토탈 솔루션 형태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고해상도의 전자제품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EHD 인쇄기술의 활용도는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EHD용 잉크 개발의 속도를 내기위해 당사는 삼성전자와 공동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Micro-LED와 OLED 리페어 공정 등의 기능성 잉크 기술 개발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는 등 잉크제조기술에 있어서 독자적인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독자적 노하우를 통해 당사는 23년에만 기능성 잉크, 소재 분야에 신규 특허 약 15건 이상을 출원하고 등록 결과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태양광 시장

태양광 시장은 기존 별도 공간을 할애하는 설치형 태양광에서 점차 건물일체형 태양광(BIPV)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BIPV는 설치공간이 협소하고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국내 현실에 적합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해당 시장은 제로 탄소화 정책, 지원사업 등 관급에서 주도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성장하는 태양광 발전 사업의 주요 화두는 태양광 에너지 전환 효율 상승입니다. 태양광 패널은 건물 외부에 설치 되어 오염에 취약하고, 오염에 따른 에너지 전환 효율 하락이 필연적입니다. 따라서 오염을 방지하고 투과성을 높힐 수 있는 기능성 소재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신소재 토출에 고점도, 고정밀 토출 가능한 당사의 EHD 코터가 업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나) 2차전지 시장- 친환경자동차 전지박 시장은 구리를 얇게 펴서 만든 박막(동박)을 말하며, 2차전지 음극제 및 항공우주용 등 최첨단 산업 전반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첨단산업에 사용되는 High-End 동박은 머리카락 보다 얇은면서 일정한 두께를 가져야 하고, 표면 거칠기, 강도 등을 고려한 고도의 생산 기술이 필요 합니다. 동박은 기술 장벽이 높아 신규 업체의 진입이 힘든 산업으로 현재 국내는 S, D, I사 3사와 대만 1개사, 일본 기업 2개사가 특수 동박 시장을 이끌고 있으며, 범용 동박 제품은 중국 기업들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2차 전지 산업은 전기차 수요 둔화로 최근 주춤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이 갈수록 증대되는 만큼 해당 사업 분야는 다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 조직도

16기 조직도.jpg 16기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20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16 기 2024. 12. 31 현재
제15 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자산
유동자산 33,491,141,206 41,124,434,646
현금및현금성자산 9,294,780,701 8,077,759,921
매출채권 291,860,628 1,710,154,022
계약자산 108,680,000 -
단기금융상품 20,256,958,909 29,511,941,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기타수취채권 888,453,705 454,173,451
재고자산 1,867,924,569 925,089,020
기타자산 576,236,604 220,552,218
당기법인세자산 206,246,090 224,765,014
비유동자산 12,374,648,301 11,743,133,220
관계기업투자 - 26,867,390
유형자산 9,140,005,362 8,928,683,812
사용권자산 299,651,708 439,987,855
무형자산 800,481,257 177,623,208
장기금융상품 - 9,9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비유동) 200,000,000 100,000,000
기타금융자산(비유동) 500,975,368 626,536,349
기타비유동자산 - -
이연법인세자산 1,433,534,606 1,433,534,606
자산총계 45,865,789,507 52,867,567,866
부채    
유동부채 1,812,905,449 1,549,873,363
매입채무 366,358,001 612,804,873
계약부채 645,736,000 -
단기차입금 - -
유동성장기부채 - -
리스부채 135,184,542 144,340,478
기타금융부채 220,051,598 226,765,440
파생상품부채 - -
기타유동부채 254,417,253 194,583,479
충당부채 191,158,055 371,379,093
당기법인세부채 - -
비유동부채 3,525,695,430 3,063,639,720
차입부채(비유동) - -
리스부채(비유동) 159,638,415 267,995,995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비유동) - -
기타금융부채(비유동) 79,737,882 153,099,832
기타비유동부채 98,527,665 54,385,402
충당부채(비유동) - -
확정급여채무 3,187,791,468 2,588,158,491
부채총계 5,338,600,879 4,613,513,083
자본    
자본금 5,282,738,500 5,258,908,500
자본잉여금 31,219,663,205 30,554,874,358
기타자본항목 (2,691,083,953) 2,126,250,714
이익잉여금 6,715,870,876 10,314,021,211
자본총계 40,527,188,628 48,254,054,783
부채및자본총계 45,865,789,507 52,867,567,866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매출액 6,259,950,733 12,072,705,251
매출원가 2,571,410,327 4,409,627,714
매출총이익 3,688,540,406 7,663,077,537
판매비와관리비 10,222,365,787 9,781,338,743
영업이익 (6,533,825,381) (2,118,261,206)
금융손익 1,376,331,316 1,977,072,154
금융수익 1,413,954,652 2,118,555,661
금융비용 (37,623,336) (141,483,507)
기타영업외손익 519,831,191 142,539,220
기타영업외수익 711,402,995 225,572,570
기타영업외비용 (191,571,804) (83,033,350)
지분법투자이익 -  
지분법투자손실 (51,294,621) (23,132,61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4,688,957,495) (21,782,442)
법인세비용 (1,090,807,160) (335,803,653)
당기순이익 (3,598,150,335) 314,021,211
기타포괄손익 (68,407,007) (520,748,569)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68,407,007) (520,748,569)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68,407,007) (520,748,569)
총포괄이익 (3,666,557,342) (206,727,358)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 (348) 30
희석주당순이익 (348) 30

- 자본변동표

< 자 본 변 동 표>

제 1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원 )
구 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항목 이익잉여금 합계
2023년 1월 1일(기초) 5,258,908,500 78,064,770,029 1,553,491,856 (37,509,895,671) 47,367,274,714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314,021,211 314,021,211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520,748,569) - (520,748,569)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자본전입   (47,509,895,671)   47,509,895,671  
주식매수선택권 - - 1,093,507,427 - 1,093,507,427
유상증자     - - -
무상증자     - - -
전환상환우선주 전환     - - -
2023년 12월 31일(기말) 5,258,908,500 30,554,874,358 2,126,250,714 10,314,021,211 48,254,054,783
2024년 1월 1일(기초) 5,258,908,500 30,554,874,358 2,126,250,714 10,314,021,211 48,254,054,783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3,598,150,335) (3,598,150,335)
순확정급여부채 재측정요소 - - (68,407,007) - (68,407,007)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주식매수선택권 - - 900,301,567 - 900,301,567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23,830,000 664,788,847 (665,801,647)   22,817,200
자기주식     (4,983,427,580)   (4,983,427,580)
2024년 12월 31일(기말) 5,282,738,500 31,219,663,205 (2,691,083,953) 6,715,870,876 40,527,188,628

- 현금흐름표

< 현 금 흐 름 표>

제 1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원 )
과 목 제 16기 제 15기
2024-01-01~2024-12-31 2023-01-01~2023-12-31
영업활동 현금흐름 (1,302,697,253) 3,345,068,210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3,727,539,690) 3,538,254,333
당기순이익 (3,598,150,335) 314,021,211
조정 (478,395,847) (177,832,420)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 변동 349,006,492 3,402,065,542
이자의 수취 1,353,139,689 1,588,311,757
이자의 지급 (37,623,336) (36,521,037)
법인세 납부 1,109,326,084 (1,744,976,843)
투자활동 현금흐름 7,598,614,413 3,633,002,953
투자활동현금유입액 33,617,124,200 51,423,084,559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33,576,741,000 21,633,65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0 29,731,696,059
단기대여금의 감소 30,000,000  
유형자산의 처분 1,000,000 3,000,000
보증금 자산의 감소 9,383,200 54,738,500
투자활동현금유출액 (26,018,509,787) (47,790,081,606)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23,947,100,112) (29,495,367,000)
장기금융상품의 취득 (1,800,000) (3,6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100,000,000) (15,730,974,385)
관계기업투자주식의 취득 0 (50,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1,067,689,268) (1,917,123,975)
사용권자산의 취득 (690,000) (1,260,000)
무형자산의 취득 (665,730,407) (86,496,495)
보증금의 증가 (235,500,000) (505,259,751)
재무활동 현금흐름 (5,103,249,612) (112,543,921)
재무활동현금유입액 22,817,200 0
단기차입금의 차입    
상환전환우선주 발행    
유상증자 22,817,200  
재무활동현금유출액 (5,126,066,812) (112,543,921)
단기차입금의 상환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리스부채 상환 (142,639,232) (112,543,921)
자기주식취득 (4,983,427,580)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0  
임대보증금의 감소    
무상증자 비용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24,353,232 14,064,141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1,217,020,780 6,879,591,383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077,759,921 1,198,168,538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9,294,780,701 8,077,759,921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6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15 기 (2023. 01. 01 부터 2023.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6 기 제 15 기
미처리이익잉여금   6,715,870,876 10,314,021,211
전기이월미처리이익잉여금 10,314,021,211   (37,509,895,671)
당기순이익 (3,598,150,335)   314,021,211
이입액 -   47,509,895,671
결손금 처리액   - -
차기이월미처리이익잉여금   6,715,870,876 10,314,021,211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심대용 1969.06.10 사외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심대용 동아대학교 교수 2023.03 ~ 현재 동아대학교 전자공학과 교수 -
2024.11 ~ 현재 부산광역시 반도체산업 육성위원회 위원
2019.02 ~ 2021.12 SK하이닉스 차량용반도체 사업담당, 부사장
2016.11 ~ 2019.01 SK하이닉스 HBM 사업담당, 상무
2015.01 ~ 2017.12 SK하이닉스 설계 담당, 상무
2013.02 ~ 2014.12 SK하이닉스 모바일 제품그룹, 그룹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심대용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심대용>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서울대 전기전자컴퓨터 공학 박사로 해당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SK하이닉스 출신의 풍부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사업 진행 과정간의 자문 및 이사회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의지속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에 근거 사외이사 부적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독립적인 지위에서 이사와 경영진의 경영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모니터링과 감시역할을 수행하고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립적으로 의사결정할 것임.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임.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당사가 진출하고자 하는 반도체 분야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인적 네트워크로 사업 진행 간 자문 및 의사 결정 과정 간 합리적 의견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되어 추천 함.

확인서 확인서(심대용).jpg 확인서(심대용)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명/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

(전 기) (단위:명/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82
최고한도액 1,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명/백만원)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

(전 기) (단위:명/백만원)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0
최고한도액 100

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2025년 03월 20일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1주일 전(2025년 3월 20일)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될 예정이며,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 당사 홈페이지(https://www.enjet.co.kr) IR 게시판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당사는 2025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가 예정되어 있으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사항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전자공시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당사는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제출일정과 경영진들의 일정 등에 따라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인 2025년 3월 28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 향후 주주총회 개최시 주주총회분산 자율준수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집중일을 피해서 개최할 수 있도록 보다 노력하겠습니다.

※ 코스닥협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 3/21(금), 3/27(목), 3/28(금)

- 이번 정기주주총회 소집통지는 1%이상 소유한 주주에게 회사에서 직접 소집통지서를 발송하므로 1% 이하 소액주주께서는 본 전자공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